KR102539623B1 -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복합연결부재와 이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복합연결부재와 이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9623B1
KR102539623B1 KR1020220094403A KR20220094403A KR102539623B1 KR 102539623 B1 KR102539623 B1 KR 102539623B1 KR 1020220094403 A KR1020220094403 A KR 1020220094403A KR 20220094403 A KR20220094403 A KR 20220094403A KR 102539623 B1 KR102539623 B1 KR 102539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joint
composite
asphalt
connecting member
concret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주
박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빌트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빌트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빌트존
Priority to KR1020220094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6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01C11/10Packing of plastic or elastic materials, e.g. wood,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1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2Prim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in foundation 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95/00Presence of bitum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02D2300/001PP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51Including fi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복합연결부재와 이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간극에서 발생하는 수축 및 팽창거동 수평응력을 흡수하고, 신축거동에 의한 탈착과 균열의 발생이 없고, 우수나 지하수의 침투로 접착불량을 방지하여 신축이음부의 파손 예방 및 전체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공용성을 유지 및 증대할 수 있도록 한 신축이음 복합연결부재와 이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부, 중심부, 하부로 구성된 복합연결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복합연결부재의 상부는 필라멘트 그리드로 구성되고, 상기 복합연결부재의 중심부는 신축흡수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복합연결부재의 하부는 무기섬유 그리드가 합지된 금속필름으로 구성되는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복합연결부재 및 이의 설치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복합연결부재와 이의 설치방법{A making method of a composite expansion joint in road concrete structures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복합연결부재와 이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간극에서 발생하는 수축 및 팽창거동 수평응력을 흡수하고, 신축거동에 의한 탈착과 균열의 발생이 없고, 우수나 지하수의 침투로 접착불량을 방지하여 신축이음부의 파손 예방 및 전체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공용성을 유지 및 증대할 수 있도록 한 신축이음 복합연결부재와 이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차도 혹은 고가차도 구조물은 도로의 지하나 지상에 입체적으로 형성되는 도로 구조물로서, 공장에서 사전 제작된 콘크리트 구조물 부재 (section)를 건설 현장에서 서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공법이 주를 이룬다. 이는 품질 관리가 용이하고, 건설 기간을 줄이는 장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각 구조물 부재가 연결 시에 발생하는 부위는 기후변화와 하중에 의하여 각 콘크리트 구조물 부재의 신축 거동을 흡수 혹은 분리시키기 위하여 신축이음부로 설계된다.
즉,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 부재 길이, 두께 등을 역학적으로 해석하여, 각 구조물 부재의 신축거동을 허용하도록 연결부에 불연속 간극이 포함된다. 하지만,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를 통과하는 차량의 안락한 주행성을 위하여, 신축이음부 위를 연속으로 포장하는 아스팔트 도로가 선호된다. 도로에 입체적으로 건설되는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아스팔트 도로는 지상의 도로와 연결되게 된다. 하지만 불연속 신축이음부와 연속 아스팔트 포장체의 역학적 거동이 서로 불완전하게 상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과 아스팔트 포장체의 분리, 도로 표면에서 우수 침투 및 신축이음부 간극을 통한 하수 용출 등의 원인으로, 아스팔트 포장체의 균열이 반복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선행기술로서 개시된 특허 KS 제10-1298794호에서는 고강도의 섬유 필라멘트를 사용하고 격자로 배치한 필라멘트 심재 측면에 박막펠트를 가열 압착하여 일체로 형성한 복합 판재층과, 상기 박판재층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개질 아스팔트로 방수막을 형성하는 아스팔트 콤파운드층이 구비되어 부착과 방수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상부 아스팔트 콤파운드층의 상부면에 천연 또는 인조섬유의 박막펠트에 아크릴계 탄성 폴리머 코팅을 처리한 상면보호층, 상기 하부 아스팔트 콤파운드층 저면에 하부면을 보호하는 이형지로 구성된다.
또, 특허 KS 제10-1174256호의“지하차도 구조물의 신축이음부 포장층 연결부재 및 포장층 시공방법"에서는 아스팔트 접착층, 부직포층, 탄성그리드층의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연결부재가 지하차도의 시멘트 구조체 사이의 신축이음부 상측에 설치하여 구조체 상부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층의 신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들은 신축이음부로 유입되는 침투수 혹은 용출수를 차단하는 방수기능을 부여한다. 하지만, 통행하는 중차량이 신축이음부에 미치는 신축을 흡수하도록 아스팔트 포장체의 하부를 보강하여 아스팔트 도로의 공용성을 증가시키는 기능은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복합 아스팔트 기반 신축이음부재를 신축이음의 간극 상부에 설치할 때, 신축이음부재 직물의 휨 특성상 간극으로 처지는 위험을 피하기 위한 신축이음부 지지대의 물성을 특화하지 않고 있어, 통상적으로 3~4mm 두께의 강재 철판을 적용하는 실정이다. 하지만 강재 철판은 통과하는 중차량의 동적하중에 의하여 진동으로, 탈착과 균열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특허 KS 제10-1157063호는 신축이음부 상면에 설치하는 탄성이음재의 하면에 그물형상의 난연성 섬유 기반의 지지부재로 신축이음 콘크리트 구조물에 부착되는 기술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상기 지지부재 선행기술은 탄성이음재의 골재 일부가 다짐과 경화 과정에서 그물형상의 지지부재를 통과하여, 신축이음 간극으로 낙하될 수 있다. 이러한 낙하물은 신축이음부 간극의 수축 및 팽창을 오히려 방해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KR 제10-1298794호 KR 제10-1174256호 KR 제10-1157063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 중심부, 하부로 구성된 복합연결부재로 이루어지되 상부는 저연신, 고강도 필라멘트 그리드, 중심부는 점탄성 고분자 기반의 신축흡수부재, 하부는 무기섬유 그리드가 접착된 금속필름으로 이루어진 구성에 의해 신축이음부의 파손 예방 및 전체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공용성을 유지 및 증대할 수 있도록 한 신축이음 복합연결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또, 본 발명은 복합연결부재 설치시에 액상의 방수프라이머를 적용하여 차도 신축이음 콘크리트 표면의 일정 깊이까지의 콘크리트 기공에 침투방수층을 형성하고, 콘크리트 접촉표면에는 박막의 접착프라이머 도막을 동시에 형성하여 침투방수와 표면 접착프라이머 성능을 갖도록 한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복합연결부재 설치방법에 있다.
본 발명은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 신축이음부에 복합연결부재를 설치하되 120×10-9 내지 1×10-4 직경(m)의 입자크기의 알킬알콕시실란 혹은 퍼플루오로알킬실란 실란계 용액으로 조성한 다음 실란계 용액 49 내지 80 중량%, 석유계 아스팔트 5 내지 25 중량%, 합성개질제 5 내지 25 중량%, 점착부여수지 0.1 내지 1 중량%를 혼합하여 액상의 방수프라이머를 조성하는 단계; 상기 액상의 방수프라이머를 0.3 내지 1.0 도막양(kg/m2)으로 신축이음부 콘크리트 접촉표면에 처리하여 표면에 25 이상 500 이하(㎛) 두께의 아스팔트계 접착도막을 조성하는 단계; 상기 조성된 접착도막에 복합연결부재를 50 이상 200 이하 선형 하중(kg/m)을 가하여 부착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복합연결부재 설치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석유계 아스팔트는 컷백(cutback) 아스팔트 아스팔트로 조성하며, 합성개질제는 스티렌부타디엔고무, 부타디엔고무 EPDM, 폴리클로로프렌, 부틸고무, 이소프렌고무, 아크릴고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조성하며, 점착부여수지는 로진류, 이를 에스테르화 변성한 변성 로진류, 수소화 로진류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조성하는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복합연결부재 설치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복합연결부재의 상부는 필라멘트 그리드, 중심부는 신축흡수부재, 하부는 무기섬유 그리드 접착의 금속필름으로 이루어진 복합연결부재 설치시에 액상의 방수프라이머를 적용하여 차도 신축이음 콘크리트 표면의 일정 깊이까지의 콘크리트 기공에 침투방수층을 형성하고, 콘크리트 접촉표면에는 박막의 접착프라이머 도막을 동시에 형성하여 침투방수와 표면 접착프라이머 성능을 갖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복합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복합연결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복합연결부재 설치과정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복합연결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복합연결부재가 설치된 상태에서의 신축 응력흡수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에 강재철판이 설치된 상태에서의 신축 응력흡수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복합연결부재가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최대 인장 접착강도를 측정하는 시험체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복합연결부재가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투수시험을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신축이음부를 통행하는 중차량에 의한 신축을 흡수하고 신축이음부를 덧씌우는 아스팔트 포장체의 공용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복합연결부재 및 신축이음부 콘크리트 표면 내부에 침투방수층과 접촉표면에 접착도막을 형성하도록 조성된 액상의 방수프라이머로 면처리 후에 복합연결부재를 시공하는 설치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복합연결부재(100)는 상부(110), 중심부(120), 하부(130)로 이루어진 다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복합연결부재(100)의 상부(110)는, 아스팔트 포장체와 접촉되는 부위로서, 이러한 복합연결부재의 상부는 필라멘트 그리드로 구성되어 차도 구조물 내의 아스팔트 포장체 하부면의 인장강도를 보강하며, 아스팔트 포장체와 복합연결부재를 일체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필라멘트 그리드는 5 내지 20 인장강도(톤/m)와 파쇄 연신율이 0.5 내지 5.0 연신율(%)의 필라멘트로 조성되며, 아라미드계 케블라(Kevlar), 탄소섬유, 유리섬유, 실리카섬유, 폴리케톤으로 이루어진 세라믹 섬유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소재로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라멘트 그리드의 인장강도가 5(톤/m) 미만인 경우 아스팔트 포장체의 보강효과가 떨어지며, 20(톤/m)를 초과하는 경우 과설계로 인해 경제성이 떨어지게 진다.
또한, 본 발명의 필라멘트 그리드의 파쇄 연신율이 0.5(%) 미만인 경우 취성이 증가하여 보강효과가 떨어지며, 5(%)를 초과하는 경우 아스팔트 포장체의 파괴변형율에서 최대 인장강도를 발현하지 못하여 보강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상기 복합연결부재(100)의 중심부(120)는, 점탄성 고분자 기반의 신축흡수부재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 SBS, EPDM, 부틸로 이루어진 탄성고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개질한 것으로 1 내지 5 두께(mm)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신축흡수부재의 두께가 1(mm) 미만인 경우 차도 구조물의 신축거동시 전단변형에 대한 저항성이 떨어지며, 두께가 5(mm)를 초과하는 경우 아스팔트 포장체 하부의 지지력을 저하시키게 된다.
상기 필라멘트 그리드로 이루어진 복합연결부재(100)의 상부(110)는 신축흡수부재로 된 복합연결부재(100)의 중심부(120) 표면에 0.5 내지 2.0 두께(mm)로 돌출되도록 가열하고 압착하여 제조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러한 돌출된 메쉬구조의 필라멘트 그리드는 150℃로 가열된 아스팔트 포장체가 복합연결부재 상부를 덧씌우고 나서 다짐공정을 진행하면, 돌출된 상부 필라멘트 그리드가 아스팔트 포장체 하부면에 양각되고, 열에너지가 신축흡수부재로 용이하게 전달되어, 화학적 및 물리적인 일체화 반응이 일어난다.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부는 온도변화에 의한 팽창과 수축의 수평적 거동과 중차량의 통과에 의한 상하 전단거동에 함께 종속된다. 본 발명 신축이음 복합연결부재는 차도 구조물 신축이음부 간극 폭이 최대 50 mm, 간극의 전단거동 변위가 최대 25 mm인 구조적 경계조건의 신축을 복합연결부재(100) 상부(110)의 필라멘트 그리드로 보강된 아스팔트 포장체에서 일차로 분산시키며, 복합연결부재(100) 중심부(120)의 점탄성 신축흡수부재로 흡수하여 제거하게 된다.
기존 신축이음장치들은 신축이음부 간극의 상부를 40 mm 이상 두께의 단단한 강재 철판(500)으로 덮어서 지지하는데, 불균일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과 간극의 단차로 접착이 불안전하다. 통행하는 중차량에서 발생하는 동적신축은 판재 지지대의 진동(rocking)을 유발하여, 지지대와 신축이음장치의 탈착과 균열의 원인이 된다.
상기 복합연결부재(100)의 하부(130)는, 무기섬유 그리드(132)가 합지된 내부식성 금속필름(134)으로 구성된다. 무기섬유 그리드는 1 내지 100 인장강도(kg/m)의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무기섬유 필라멘트를 1 내지 10 폭(mm)의 격자로 직조된 무기섬유 그리드를 구성한다. 상기 무기섬유 그리드는 50 내지 500 두께 (㎛)의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카본 스틸, 티타늄, 니켈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합금으로 조성된 금속필름 상부에 위치시킨 후에, 복합연결부재 상부와 중심부를 150℃로 가열시켜 압착하여 일체화한다.
무기섬유 그리드(132)는 신축흡수부재와 금속필름(134)의 접착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가열된 신축흡수부재의 휨저항성을 개선하고, 동시에 박막의 금속필름이 설치과정에서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상기 금속필름은 신축이음 간극에서 용출할 수 있는 우수에 노출될 수 있어서, 내부식성 금속으로 조성된다.
본 발명의 무기섬유 그리드의 인장강도가 1(kg/m) 미만인 경우 아스팔트 포 장체 설치시 다짐에너지에 대한 저항성이 저하되며, 100(kg/m)를 초과하는 경우 경제성이 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무기섬유 그리드의 격자크기가 1(mm) 미만인 경우 금속필름과 신축흡수부재 사이의 접착을 방해하며, 10(mm)를 초과하는 경우 아스팔트 포장체 설치 시 처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부식성 금속필름 두께가 50(㎛) 미만인 경우 아스팔트 포장체 다짐시 처짐에 대한 저항성이 떨어지며, 500(㎛)을 초과하는 경우 응력집중에 의해 내구성이 저하된다.
차도에 설치되는 신축이음부의 구조적 거동은 매우 복잡하고, 상이한 재료들이 서로 맞닿아서, 재료들의 접촉면이 분리되거나 탈착되기 쉽다. 이러한 위험을 예방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신축이음부 표면으로 부터 2 내지 10 깊이(mm)까지 콘크리트 미세기공을 채워서 불투수층을 만들고, 표면에는 25 내지 500 두께(㎛)의 아스팔트계 접착도막을 만드는 일액형의 액상으로 된 방수프라이머(200)를 조성하여 시공한다.
액상의 방수프라이머(200)는 발수성능이 우수한 알킬알콕시실란, 퍼플루오로알킬실란 등의 실란계 용액의 입자 크기를 콘크리트의 미세기공(microporous) 기준인 120×10-9 이상 직경 (m), 거대기공(macroporous) 1×10-4 이하 직경(m)의 메조기공 (mesoporous)으로 침투하여 채울 수 있도록, 습식 밀링(milling)과정을 진행하여 입자크기를 조절한다. 상기 실란계 용액의 49 내지 80 중량%를 기반으로, 석유계 아스팔트 5 내지 25 중량%, 합성개질제 1 내지 25 중량%, 점착부여수지 0.1 내지 1 중량%를 혼합하여 액상의 방수프라이머(200)를 조성한다.
상기 석유계 아스팔트는 컷백(cutback) 아스팔트 아스팔트로 조성하며, 합성개질제는 스티렌부타디엔고무, 부타디엔고무 EPDM, 폴리클로로프렌, 부틸고무, 이소프렌고무, 아크릴고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조성한다. 점착부여수지는 로진류, 이를 에스테르화 변성한 변성 로진류, 수소화 로진류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조성한다. 상기 석유계 아스팔트, 합성개질제, 점착부여수지의 혼합물의 입자는 콘크리트 거대기공 (macroporous) 1×10-4 직경 (m) 이상이여서, 콘크리트 표면에 점착하여 접착도막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방수프라이머(200) 액상 내에 실란계 용액 함량이 49(중량%) 미만인 경우 침투량이 부족하여 내수성능이 떨어지며, 80(중량%)을 초과하는 경우 도로 구조물 내부로 침투하는 시간이 길어져 표면의 경화속도가 저하된다.
또한, 액상의 방수프라이머(200)는 도로 구조물 표면의 접착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석유계 아스팔트를 사용한다. 이때 액상의 방수프라이머 내에 석유계 아스팔트 함량이 5(중량%) 미만인 경우 도로 구조물 표면의 접착력이 저하되며, 2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실란계 용액의 침투성능이 저하된다.
또한, 액상의 방수프라이머 내의 합성개질제 함량이 1(중량%) 미만이거나 2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접착력이 저하된다.
본 발명 신축이음장치의 설치는 상기 조성된 액상의 방수프라이머를 0.3 내지 1.0 도막양 (kg/m2)으로 신축이음부 콘크리트 접촉표면에 처리하면, 액상의 방수프라이머 유기용매가 조속히 증발되면서 표면 도막에 형성된다. 이에 상기 복합연결부재(100)를 압착하여 액상의 방수프라이머 도막에 부착시켜서 복합연결부재(100)가 설치되면, 가열된 아스팔트 포장체(400)로 신축이음부(310)를 덧씌우는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아스팔트 포장체(400)로 덧씌워지는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300)의 불연속 간극의 신축이음부(310)에 구조적 안정성과 아스팔트 포장체 공용성을 보강하는 복합연결부재(100)의 설치시에 액상의 방수프라이머(200)를 적용하여 콘크리트 신축이음부(310) 표면 내부에 침투방수층(220)을 형성하고, 동시에 접촉표면에 접착도막(210)이 조성하여 시공이 이루어진다.
신축이음 복합연결부재의 상부는 10 인장강도(톤/m) 및 3% 파쇄 연신율의 유리섬유 필라멘트를 12mm 격자로 그리드로 직조하였고, 중심부는 3 mm 두께의 SBS 개질아스팔트 시트의 신축흡수부재 표면에 필라멘트 그리드가 1 mm 돌출되도록 가압하여 150℃의 열로 접착하였으며, 신축흡수부재의 하부면에 100 인장강도(kg/m)의 0.2 mm 두께의 유리섬유 그리드를 폭 250mm의 100㎛ 두께의 스테인리스 필름으로 접착하여 복합연결부재를 구성하였다.
액상의 방수프라이머는 몰비로 1.5배인 알킬알콕시실란 용액을 60분간 습식밀링작업을 거친 뒤에, 중량비 30%의 알킬알콕시실란 용액에 석유계 아스팔트 중량비 50%, 스타디엔부타디엔 고무 중량비 20%를 용해시킨 뒤에 30분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본 발명 복합연결부재 설치공사는 먼저 액상의 방수프라이머를 도막량 0.5 kg/m2 으로 신축이음부 표면에 도포하여, 표면 내부에 침투방수층을, 처리된 표면에는 접착도막을 형성시켰다. 상기 사전 제조된 폭 500mm의 복합연결부재는, 하부면의 금속필름이 신축이음부 간극의 중앙을 따라 놓이도록 액상의 방수프라이머가 처리된 표면의 지촉건조 상태에서 별도의 가열작업 없이 0.3MPa의 선형 하중을 가하여 부착시키는 수단으로 설치를 완료하였다.
상기 실시예 1와 같이 복합연결부재에 의해 보강된 아스팔트 포장체는, 표면에 1 MPa의 압력의 재하하중을 가했을 때, 비보강 아스팔트 포장체에 비하여 53.8%의 휨저항성이 개선되었다.
F4932 시험방법을 적용하여, 도 7과 같이 설치된 시험체를 시험온도 20℃ 조건에서 연직 방향으로 인장력을 0.15 N/mm2로 가하여 최대 인장 접착강도를 측정해서, 국내 아스팔트계 도막방수재의 기준 0.6 MPa를 67% 능가한 1.0 MPa로 측정되었다.
KS F4932 시험방법을 적용하여, 도 8과 같은 투수시험 장치에 20℃ 조건에서 0.3 MPa의 수압을 3시간 가한 뒤에 콘크리트 밑판으로 물이 침투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시험을 통하여, 액상의 방수프라이머가 적용된 콘크리트에 설치된 복합연결부재의 내투수성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복합연결부재 110 : 상부
120 : 중심부 130 : 하부
132 : 무기섬유 그리드 134 : 금속필름
200 : 방수프라이머 210 : 접착도막
210 : 침투방수층 300 :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
310 : 신축이음부 400 : 아스팔트 포장체
500 : 강재철판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상부, 중심부, 하부로 구성된 복합연결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복합연결부재의 상부는 필라멘트 그리드로 구성되고, 상기 복합연결부재의 중심부는 신축흡수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복합연결부재의 하부는 무기섬유 그리드가 합지된 금속필름으로 구성되는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복합연결부재를 설치하되,
    120×10-9 내지 1×10-4 직경(m)의 입자크기의 알킬알콕시실란 혹은 퍼플루오로알킬실란 실란계 용액으로 조성한 다음 실란계 용액 49 내지 80 중량%, 석유계 아스팔트 5 내지 25 중량%, 합성개질제 5 내지 25 중량%, 점착부여수지 0.1 내지 1 중량%를 혼합하여 액상의 방수프라이머를 조성하는 단계;
    상기 액상의 방수프라이머를 0.3 내지 1.0 도막양(kg/m2)으로 신축이음부 콘크리트 접촉표면에 처리하여 표면에 25 이상 500 이하(㎛) 두께의 아스팔트계 접착도막을 조성하는 단계;
    상기 조성된 접착도막에 복합연결부재를 50 이상 200 이하 선형 하중(kg/m)을 가하여 부착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복합연결부재 설치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석유계 아스팔트는 컷백(cutback) 아스팔트 아스팔트로 조성하며,
    합성개질제는 스티렌부타디엔고무, 부타디엔고무 EPDM, 폴리클로로프렌, 부틸고무, 이소프렌고무, 아크릴고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조성하며,
    점착부여수지는 로진류, 이를 에스테르화 변성한 변성 로진류, 수소화 로진류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조성하는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복합연결부재 설치방법.


KR1020220094403A 2022-07-29 2022-07-29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복합연결부재와 이의 설치방법 KR102539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403A KR102539623B1 (ko) 2022-07-29 2022-07-29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복합연결부재와 이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403A KR102539623B1 (ko) 2022-07-29 2022-07-29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복합연결부재와 이의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9623B1 true KR102539623B1 (ko) 2023-06-05

Family

ID=86764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403A KR102539623B1 (ko) 2022-07-29 2022-07-29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복합연결부재와 이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62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063B1 (ko) 2012-01-12 2012-06-21 한국토지주택공사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74256B1 (ko) 2012-07-05 2012-08-14 김문정 지하차도 구조물의 신축이음부 포장층 연결부재 및 포장층 시공방법
KR101298794B1 (ko) 2013-02-08 2013-08-22 김문정 도로 및 교면 방수부재
JP2020002590A (ja) * 2018-06-27 2020-01-09 株式会社ダイフレックス 防水構造の改修方法、および防水構造
KR20200007337A (ko) * 2018-07-12 2020-01-22 한본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복합 방수층의 시공방법
KR20200055929A (ko) * 2018-11-14 2020-05-22 (주)부성텍스텍 탄소섬유보강 그리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27868B1 (ko) * 2020-09-15 2021-11-18 주식회사 삼송마그마 자가치유 고무아스팔트 복합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063B1 (ko) 2012-01-12 2012-06-21 한국토지주택공사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74256B1 (ko) 2012-07-05 2012-08-14 김문정 지하차도 구조물의 신축이음부 포장층 연결부재 및 포장층 시공방법
KR101298794B1 (ko) 2013-02-08 2013-08-22 김문정 도로 및 교면 방수부재
JP2020002590A (ja) * 2018-06-27 2020-01-09 株式会社ダイフレックス 防水構造の改修方法、および防水構造
KR20200007337A (ko) * 2018-07-12 2020-01-22 한본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복합 방수층의 시공방법
KR20200055929A (ko) * 2018-11-14 2020-05-22 (주)부성텍스텍 탄소섬유보강 그리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27868B1 (ko) * 2020-09-15 2021-11-18 주식회사 삼송마그마 자가치유 고무아스팔트 복합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3940B2 (en) Structure and method of pavement on steel deck bridge
CN105401519B (zh) 一种具有抗爆性能的钢箱梁桥面铺装结构及铺装方法
US3932051A (en) Highway construction
KR101256108B1 (ko) 교면방수공법
Nithin et al. State-of-the art summary of geosynthetic interlayer systems for retarding the reflective cracking
US7621693B2 (en) Asphalt fiber panels for pavement construction and repair
KR101189549B1 (ko) 아스팔트 포장 균열 방지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 및 교량 방수 포장 방법
CN101913799B (zh) 橡胶沥青应力吸收层用混合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0505302B1 (ko) 도로 포장 구조물의 보강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도로포장 구조물
KR101942986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와 단열 및 보강재료를 이용한 외단열, 방수 및 보강 복합 구조 및 그 시공공법
CN110029576A (zh) 一种无钢无缝桥梁伸缩缝装置及其施工工艺
CN103469713A (zh) 用于预防性养护技术的磨耗层及其施工方法
CN103696366B (zh) 一种组合式钢桥桥面的铺装结构及其铺装方法
KR100886158B1 (ko) 가스 홀을 갖춘 방수시트를 이용하는 방수공법
KR101955570B1 (ko) 아스팔트섬유보강재가 일체 형성된 택코팅용 섬유융착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방법
KR101942977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 및 단열 복합 자착시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및 단열 복합 시공공법
KR102539623B1 (ko) 차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복합연결부재와 이의 설치방법
US6192650B1 (en) Water-resistant mastic membrane
Shukla et al. Functions and installation of paving geosynthetics
KR102199977B1 (ko) 포장층과 방수층의 접착력을 향상시킨 교량 상판 방수구조 및 교량 상판 방수공법
CN107905099A (zh) 适用于钢桥面铺装的排水性沥青路面结构及其制备方法
KR101028144B1 (ko) 교량 표면 방수 공법
Vanelstraete et al. Laboratory testing and numerical modeling of overlay systems on cement concrete slabs
KR102407794B1 (ko) 아스팔트 덧씌우기층 보강용 토목섬유부재의 보풀 형성방법 및 토목섬유부재의 시공방법
KR101752214B1 (ko) 침투식 액체 방수제, 아스팔트 및 보강그리드 적층 복합 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