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305B1 - 전기적 가압기능을 이용한 친환경 종이재 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로 인해 제조된 종이재 용기 - Google Patents

전기적 가압기능을 이용한 친환경 종이재 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로 인해 제조된 종이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9305B1
KR102539305B1 KR1020210117485A KR20210117485A KR102539305B1 KR 102539305 B1 KR102539305 B1 KR 102539305B1 KR 1020210117485 A KR1020210117485 A KR 1020210117485A KR 20210117485 A KR20210117485 A KR 20210117485A KR 102539305 B1 KR102539305 B1 KR 102539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aper material
conductor
container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4571A (ko
Inventor
고광섭
Original Assignee
가나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나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7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305B1/ko
Publication of KR20230034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4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59Shaping sheet material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59Shaping sheet material under pressure
    • B31B50/592Shaping sheet material under pressure using punch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1/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 B31D1/0075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by assembling, e.g. by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0077Shaping by methods analogous to moulding, e.g. deep drawing techniqu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단된 빵과 케이크 등을 안착하여 보관 및 섭취가 가능하게 하는 종이재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도체지를 적층하여 준비하는 적층단계(S10); 적층단계에서 여러 겹으로 적층된 도체지에 전기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통해 순간적으로 고온의 열을 공급하고, 가압금형을 통해 순간 압착하여 여러 겹의 도체지를 서로 부착하는 융착단계(S20); 및 융착단계(S20)에서 결착된 도체지를 절단금형을 통해 순간적으로 가압 절단하여 절단된 빵과 케이크 등의 안착이 가능하게끔 여러 겹의 종이재 접시가 안착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를 가지는 종이재 용기를 형성하는 완성단계(S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이재의 휴대성과 안전성과 보관의 향상성을 도모하는 한편, 금속재나 합성수지재 등의 케이스(용기)가 아닌 종이재를 여러 번 겹친 뒤 전기적 가압의 정전방식을 이용하여 제조함과 아울러 친환경적이면서도 인체에 유해한 접착제 등의 사용을 배제함으로써 빵 · 케이크 등을 담는 케이스로서의 안전성과 기능성을 함께 도모함은 물론, 전기적 가압을 이용한 부착 방식을 통해 강한 압착력과 결착력을 갖게 함으로써 냉장 보관 등으로 발생되는 습기와 수분에 의해 종이재의 결착부위가 벌어지는 등의 애로점을 일거에 해결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적 가압기능을 이용한 친환경 종이재 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로 인해 제조된 종이재 용기{The paper container produced by thi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eco-friendly paper container using the electric pressure function}
본 발명은 전기적 가압기능을 이용한 친환경 종이재 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로 인해 제조된 종이재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이재의 가벼운 하중을 이용한 휴대성과 안전성 및 보관의 향상성을 도모하는 한편,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등의 케이스(용기)가 아닌 종이재를 여러 번 겹친 뒤 전기적 가압(加壓)의 정전방식을 이용하여 제조함과 아울러 친환경적이면서도 인체에 유해한 접착제 등의 사용을 전혀 배제함으로써 빵 · 케이크 · 아이스크림 등을 담는 케이스(용기)로서의 안전성과 기능성을 함께 도모함은 물론, 전기적 가압을 이용한 부착 방식을 통해 매우 강한 압착력과 결착력을 갖게 함으로써 냉장 또는 냉동 보관으로 발생되는 습기와 수분에 의해 종이재의 결착부위가 벌어지거나 떨어져 나가는 애로 내지 취약점을 일거에 해결하도록 구성한 친환경 종이재 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로 인해 제조된 종이재 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케이크(cake) 등의 다양한 빵이나 아이스크림 및 케이크 등은 용기에 담아 놓기도 하지만 여러 번 절단해서 섭취하는 것이 보통인데, 이때 새로 만든 빵이나 추후에 먹을 빵 및 케이크 등을 보관하기 위하여 별도의 접시나 케이스(용기) 등에 담아 냉장 혹은 냉동 보관을 하게 된다. 그런데 빵 등을 담는 접시와 케이스 등의 경우에는 고급의 합성수지 내지 보통의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하여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한두 번의 사용 이후에는 재사용의 사례가 많지 않아 즉시 버려지는 일이 다반사였고, 이로 인해 환경오염과 함께 이에 수반되는 경제적 손실 또한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이러한 접시와 케이스에 경우에는 쉽게 깨지기도 하고, 수지재의 무게 또한 많이 나감에 따라 안전성에 취약할 뿐만 아니라 가격도 크게 높아지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장의 종이재를 바인더 · 풀 · 접착제 등으로 부착시켜 제조하는 사례가 있긴 하지만 사용 시 인체에 유해한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바인더 및 접착제 등으로 부착된 종이재의 케이스(용기)는 냉장 또는 냉동 보관 때 발생되는 습기에 의해 쉽게 벌어지거나 갈라져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도 왕왕 발생하는 폐단이 있었다.
일예로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0429695호에 따르면, '케이크를 받쳐주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놓인 케이크를 덮기 위한 커버로 이루어진 조각케이크용 포장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해당 상품명이나 가격 및 상품의 특징을 소개하는 상품안내지를 표시 및 부착할 수 있도록 상향으로 돌출되어 일정 면적을 갖는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케이크용 포장케이스.'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조각케이크용 포장케이스는 수지재 등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환경오염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 다른 예로 한국 공개 실용신안 제2000-0021103호에 따르면, '투명하며 돔형상의 구조를 가지며 결착부인 내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단턱(10)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뚜껑부(20); 상기 상부뚜껑부(20)와 결착되도록 상부가 " "형 결착단턱(30)이 테두리면에 형성되며 상기 하단부에 형성된 외측단턱(40)을 포함하는 용기몸체부(50)와; 상기 용기몸체부의 하단 테두리면의 외측단턱(40)과 삽입 결착되도록 안쪽으로 형성된 내측단턱(60)을 포함하는 받침판(70)과: 상기 용기몸체부와 받침판 사이에 삽입되는 접이식 스픈(80)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크림 및 케이크 포장용기.'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아이스크림 및 케이크 포장용기 또한 수지재 등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여러 가지의 좋지 않은 환경오염 문제 및 인체에 유해한 요소가 발생되는 폐단이 존재한다.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0429695호 "조각케이크용 포장케이스" 한국 공개 실용신안 제2000-0021103호 "아이스크림 및 케이크 포장용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이재의 가벼운 하중을 이용한 휴대성과 안전성 및 보관의 향상성을 도모하는 한편,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등의 케이스(용기)가 아닌 종이재를 여러 번 겹친 뒤 전기적 가압(加壓)의 정전방식을 이용하여 제조함과 아울러 친환경적이면서도 인체에 유해한 접착제 등의 사용을 전혀 배제함으로써 빵 · 케이크 · 아이스크림 등을 담는 케이스(용기)로서의 안전성과 기능성을 함께 도모함은 물론, 전기적 가압을 이용한 부착 방식을 통해 매우 강한 압착력과 결착력을 갖게 함으로써 냉장 또는 냉동 보관으로 발생되는 습기와 수분에 의해 종이재의 결착부위가 벌어지거나 떨어져 나가는 애로 내지 취약점을 일거에 해결하도록 구성한 친환경 종이재 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로 인해 제조된 종이재 용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절단된 빵과 케이크 등을 안착하여 보관 및 섭취가 가능하게 하는 종이재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도체지를 적층하여 준비하는 적층단계; 상기 적층단계에서 여러 겹으로 적층된 도체지에 전기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통해 순간적으로 고온의 열을 공급하고, 가압금형을 통해 순간 압착하여 여러 겹의 도체지를 서로 부착하는 융착단계; 및 상기 융착단계에서 결착된 도체지를 절단금형을 통해 순간적으로 가압 절단하여 절단된 빵과 케이크 등의 안착이 가능하게끔 여러 겹의 종이재 접시가 안착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를 가지는 종이재 용기를 구성하는 완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적층단계의 도체지는 전기적 전달이 가능하게끔 전기전도성 분말이 포함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상기 융착단계는, 전기공급부를 통해 전기를 순간적으로 공급하여 160∼300℃ 내외의 고온(高溫)이 제공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완성단계는, 다수개의 종이재 접시와 하나의 종이재 용기를 형성하되, 종이재 접시는 절단된 빵과 케이크 등을 안착하는 수용부와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를 구비하고, 종이재 용기는 고정부가 분할 형성되면서 종이재 접시를 수용해서 고정하게끔 다단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고정부와 고정부 상에 종이재 접시의 손잡이를 안착하거나 분리가 용이하도록 절개되는 절개부와 종이재 접시의 각 모서리를 고정하도록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다수의 도체지를 적층한 상태에서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공급부를 통해 발생되는 고온의 열과 함께 가압금형으로 압착하여 다수의 도체지를 순간적인 가압과 압착력으로 서로 부착하고, 이어서 부착된 도체지를 절단금형을 통해 순간적으로 가압 절단하여 절단된 빵과 케이크 등의 안착이 가능하게끔 여러 겹의 종이재 접시가 안착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를 가지는 종이재 용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이재의 가벼운 하중을 이용한 휴대성과 안전성 및 보관의 향상성을 도모하는 한편,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등의 케이스(용기)가 아닌 종이재를 여러 번 겹친 뒤 전기적 가압(加壓)의 정전방식을 이용하여 제조함과 아울러 친환경적이면서도 인체에 유해한 접착제 등의 사용을 전혀 배제함으로써 빵 · 케이크 · 아이스크림 등을 담는 케이스(용기)로서의 안전성과 기능성을 함께 도모함은 물론, 전기적 가압을 이용한 부착 방식을 통해 매우 강한 압착력과 결착력을 갖게 함으로써 냉장 또는 냉동 보관으로 발생되는 습기와 수분에 의해 종이재의 결착부위가 벌어지거나 떨어져 나가는 애로 내지 취약점을 일거에 해결하도록 구성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종이재 용기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종이재 용기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종이재 용기의 제조방법에 의한 적층 상태의 도체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종이재 용기의 제조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용기의 사용사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종이재 용기의 제조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접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종이재 용기의 제조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용기의 사용사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절단된 빵과 케이크 등을 안착하여 보관하거나 섭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종이재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련되며, 적층단계(S10) · 융착단계(S20) · 완성단계(S30) 등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단계(S10)는 다수의 도체지(導體紙, 10)를 적층하여 준비한다. 적층단계(S10)는 다수 장의 도체지(10)를 여러 겹 적층한 상태로 유지하게 되는데, 이후의 완성단계(S30)에서 형성되는 종이재 접시(50)와 종이재 용기(60)의 형태 및 사용 목적 등(수용되는 빵 · 케이크 · 떡 등의 종류와 무게)에 따라 두껍게 혹은 얇게 5∼20장 내외로 겹겹이 적층할 수 있으나 대략 10장 가량 내외가 적합하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때, 상기 적층단계(S10)의 도체지(10)는 전기적 전달이 가능하게끔 전기전도성 분말이 포함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적층단계(S10)는 도체지(10)를 여러 겹 적층하여 사용하는데, 이러한 도체지(10)에는 제조 과정에서 전기전도성 분말이 극소량 포함되어 제조됨으로 인해 눈에 보이지 않는 전기적 전달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전기전도성 분말의 경우에는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지만 일정한 고온(高溫)에도 잘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참고로 도체지(10) 자체에도 극미량의 분말을 함유하는 경우도 있지만 없을 경우에는 도체지(10)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전기적 도전성이 있는 분말을 넓게 살짝 도포해 줄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이렇게 전기적 도전성이 있는 분말이 포함되어 있음으로 전기적 전달을 통해 서로 부착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융착단계(S20)는 상기 적층단계(S10)에서 여러 겹으로 적층된 도체지(10)에 전기공급부(20)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통해 순간적으로 고온의 열을 공급하고, 가압금형(30)을 통해 순간 압착하여 여러 겹의 도체지(10)를 서로 부착한다. 이러한 융착단계(S20)는 다수로 적층된 도체지(10)에 전기적 공급에 의한 고온의 열을 발생시켜 다수의 도체지(10)가 전기적 도전성에 의해 서로 달라붙고 압착되면서 긴밀하게 결착하게 된다. 즉, 적층된 도체지(10)로 근접되는 전기공급부(20)를 통해 전기가 공급되고, 이로 인해 도체지(10) 쪽에 고열의 열이 전달되는 한편, 가압금형(30)을 통해 강하게 압착하게 됨에 따라 적층된 도체지(10)는 고온의 전기 열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상호 강제로 압착되어 긴밀하게 결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융착단계(S20)에서는 전기공급부(20)를 통해 전기를 순간적 공급하여 약 160∼300℃ 내외의 고온이 제공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융착단계(S20)에서 전기공급부(20)를 통해 전기를 순간적으로 약 160∼300℃의 온도를 통해 짧은 시간으로 공급하게 됨으로 상술한 전기전도성 분말이 포함된 적층된 도체지(10)는 서로 융착하게 된다. 즉, 전기공급부(20)가 순간적으로 전기를 공급하게 됨에 따라 약 160∼300℃ 내외의 고온을 발생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약 200~250℃ 가량의 온도로 도체지(10)를 압착하여 서로 결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도체지(10)에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5∼20장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고, 대략 10장 내외가 적합하긴 하지만, 도체지(10)의 성질과 두께, 장수 등에 따라 상황에 맞도록 온도를 조절하여 후술하는 종이재 접시(50)와 종이재 용기(6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융착단계(S20)에서는 가압금형(30)으로 500∼1,000 bar의 압력을 가하여 약 1∼5초가량의 순간적인 가압과 압착력을 이용하여 여러 겹의 도체지(10)가 상호 긴밀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러한 융착단계(S20)는 전기공급부(20)의 순간적인 전기 공급을 통해 고온을 발생한 상태에서 가압금형(30)이 500∼1,000 bar의 가압력을 통해 1∼5초가량 순간적인 압착을 가하게 되면, 고온의 도체지(10)는 서로 가압되고 긴밀하게 압축되면서 융착 됨에 따라 강한 압착에 의해 종이재 두께가 극히 얇아지면서 긴밀하게 부착된다. 그리고 융착단계(S20)를 통해 압착된 도체지(10)의 외부 면에는 별도의 코팅을 시행해도 무방하고, 로고 · 무늬 · 글자 등을 새겨서 압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팅을 통해 수분으로부터 종이재 접시(50)와 종이재 용기(60)의 보호가 가능하도록 하지만, 코팅을 하지 않아도 별도의 접착제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데다가 수분에 의해서도 어느 정도의 유지력을 가진 결착력으로 인해 수분에 의해 종이재 접시(50)와 종이재 용기(60)가 풀어지는 현상 등은 거의 없다 할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완성단계(S30)는 상기 융착단계(S20)에서 결착된 도체지(10)를 절단금형(40)을 통해 순간적으로 가압 절단하여 절단된 빵과 케이크 등의 안착이 가능한 종이재 접시(50)와 종이재 접시(50)가 안착 고정할 수 있게끔 고정부(61)를 가지는 종이재 용기(60)를 형성한다. 완성단계(S30)는 상술한 융착단계(S20)를 통해 여러 겹의 도체지(10)가 부착된 상태에서 완성단계(S30)를 통해 종이재 접시(50)와 종이재 용기(60)를 서로 개별적으로 형성하게 되는데 이렇게 형성된 도체지(10)를 절단금형(40)을 통해 순간적으로 가압 절단하여 종이재 접시(50)와 종이재 용기(60)를 형성하게 된다. 즉, 이러한 절단금형(40)에는 종이재 접시(50)와 종이재 용기(60)를 각각 형성되도록 한다. 좀 더 설명하면, 다수의 도체지(10)를 적층한 상태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공급부(20)에 의해 발생되는 고온의 열과 함께 가압금형(30)으로 압착하여 순간적으로 서로 부착하고, 부착된 도체지(10)를 절단금형(40)을 통해 순간적으로 가압 절단하여 종이재 접시(50)와 종이재 용기(60)를 형성하게 된다. 덧붙여 절단금형(40)에는 종이재 접시(50)와 종이재 용기(60)를 다수개, 즉 5∼30개 내외의 형태로 한 번의 절단공정을 통해 5∼30개 내외의 종이재 접시(50)와 종이재 용기(60)가 제작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는 것이 종이재 접시(50)와 종이재 용기(60)의 비용(cost)을 줄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때, 상기 완성단계(S30)는 다수개의 종이재 접시(50)와 하나의 종이재 용기(60)를 형성하되, 종이재 접시(50)는 절단된 빵과 케이크 등을 안착하는 수용부(51)와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52)를 구비하고, 종이재 용기(60)는 고정부(61)가 분할 형성되면서 종이재 접시(50)를 수용해서 고정하게끔 다단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고정부(61)와 고정부(61) 상에 종이재 접시(50)의 손잡이(52)를 안착하거나 분리가 용이하게 절개되는 절개부(62)(63)와 종이재 접시(52)의 각 모서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걸림턱(6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완성단계(S30)는 절단금형(40)을 통해 종이재 접시(50)와 종이재 용기(60)를 형성하게 되는데, 다수개의 종이재 접시(50)와 하나의 종이재 용기(60)가 하나의 묶음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종이재 접시(50)에 경우에는 절단된 빵과 케이크 및 떡 등을 안착할 수 있도록 수용부(51)가 형성되고, 종이재 접시(50)를 잡고 절단된 빵과 케이크와 떡 등을 취식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히기 위해 이동 및 보관 등이 용이하도록 손잡이(52)를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손잡이(52)에는 미끄러지지 않도록 돌출 형태 또는 계단식 형태 등으로 형성되는 마찰부(53)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종이재 접시(50)는 종이재 용기(60)에 형성된 다수개로 분할된 고정부(61) 상에 안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종이재 접시(50)에는 손잡이(52)와 절개부(62)(63)를 형성하되, 고정부(61)에 장착된 종이재 접시(50)의 이탈이 용이하도록 절개부(62)를 형성하거나 종이재 접시(50)의 손잡이(52)가 서로 맞물려 장착이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에 중앙에 절개부(63)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절개부(62)(63)는 둘 중 하나만 선택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종이재 용기(60)의 형상에 따라 절개부(62)(63)를 동시에 형성해도 무방하다. 또한, 종이재 용기(60)의 고정부(61)는 종이재 접시(50)의 수용이 원활하도록 다단의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고, 종이재 접시(52)의 모서리 부분을 수용하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걸림턱(64)이 형성되어 원활한 장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한다.
한편, 다수의 도체지(10)를 적층한 상태에서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공급부(20)를 통해 발생되는 고온의 열과 함께 가압금형(30)으로 압착하여 다수의 도체지(10)를 순간적인 가압과 압착력으로 서로 부착하고, 이어서 부착된 도체지(10)를 절단금형(40)을 통해 순간적으로 가압 절단하여 절단된 빵과 케이크 등의 안착이 가능한 종이재 접시(50)와 종이재 접시(50)가 안착 고정할 수 있게끔 고정부(61)를 가지는 종이재 용기(60)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이재의 가벼운 하중을 이용한 휴대성과 안전성 및 보관의 향상성을 도모하는 한편,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등의 케이스(용기)가 아닌 종이재를 여러 번 겹친 뒤 전기적 가압(加壓)의 정전방식을 이용하여 제조함과 아울러 친환경적이면서도 인체에 유해한 접착제 등의 사용을 전혀 배제함으로써 빵 · 케이크 · 아이스크림 등을 담는 케이스(용기)로서의 안전성과 기능성을 함께 도모함은 물론, 전기적 가압을 이용한 부착 방식을 통해 매우 강한 압착력과 결착력을 갖게 함으로써 냉장 또는 냉동 보관으로 발생되는 습기와 수분에 의해 종이재의 결착부위가 벌어지거나 떨어져 나가는 애로 내지 취약점을 일거에 해결하도록 구성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도체지 20: 전기공급부
30: 가압금형 40: 절단금형
50: 종이재 접시 51: 수용부
52: 손잡이 53: 마찰부
60: 종이재 용기 61: 고정부
62, 63: 절개부 64: 걸림턱
S10: 적층단계 S20: 융착단계
S30: 완성단계

Claims (5)

  1. 절단된 빵과 케이크 등을 안착하여 보관하거나 섭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종이재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도체지(導體紙, 10)를 적층하여 준비하는 적층단계(S10);
    상기 적층단계(S10)에서 여러 겹으로 적층된 도체지(10)에 전기공급부(20)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통해 순간적으로 고온의 열을 공급하고, 가압금형(30)을 통해 순간 압착하여 여러 겹의 도체지(10)를 서로 부착하는 융착단계(S20); 및
    상기 융착단계(S20)에서 결착된 도체지(10)를 절단금형(40)을 통해 순간적으로 가압 절단하여 절단된 빵과 케이크 등의 안착이 가능하게끔 여러 겹의 종이재 접시(50)가 안착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61)를 가지는 종이재 용기(60)를 구성하는 완성단계(S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가압기능을 이용한 친환경 종이재 용기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단계(S10)의 도체지(10)는 전기적 전달이 가능하게끔 전기전도성 분말이 포함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가압기능을 이용한 친환경 종이재 용기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단계(S20)는 전기공급부(20)를 통해 전기를 순간적으로 공급하여 160∼300℃ 내외의 고온이 제공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가압기능을 이용한 친환경 종이재 용기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성단계(S30)는 다수개의 종이재 접시(50)와 하나의 종이재 용기(60)를 형성하되, 종이재 접시(50)는 절단된 빵과 케이크 등을 안착하는 수용부(51)와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52)를 구비하고, 종이재 용기(60)는 고정부(61)가 분할 형성되면서 종이재 접시(50)를 수용해서 고정하게끔 다단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고정부(61)와 고정부(61) 상에 종이재 접시(50)의 손잡이(52)를 안착하거나 분리가 용이하도록 절개되는 절개부(62)(63)와 종이재 접시(52)의 각 모서리를 고정하도록 걸림턱(6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가압기능을 이용한 친환경 종이재 용기의 제조방법
  5. 삭제
KR1020210117485A 2021-09-03 2021-09-03 전기적 가압기능을 이용한 친환경 종이재 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로 인해 제조된 종이재 용기 KR102539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485A KR102539305B1 (ko) 2021-09-03 2021-09-03 전기적 가압기능을 이용한 친환경 종이재 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로 인해 제조된 종이재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485A KR102539305B1 (ko) 2021-09-03 2021-09-03 전기적 가압기능을 이용한 친환경 종이재 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로 인해 제조된 종이재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571A KR20230034571A (ko) 2023-03-10
KR102539305B1 true KR102539305B1 (ko) 2023-06-02

Family

ID=85511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485A KR102539305B1 (ko) 2021-09-03 2021-09-03 전기적 가압기능을 이용한 친환경 종이재 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로 인해 제조된 종이재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3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730B1 (ko) 2015-12-31 2017-11-08 김동현 기능성 케이크 받침판
KR102172874B1 (ko) 2019-01-07 2020-11-02 김익성 종이용기 성형기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7418A (ja) * 1983-06-09 1984-12-20 Hokkai Can Co Ltd 高周波を利用した容器の製造方法
TW411357B (en) 1994-11-17 2000-11-11 Ciba Sc Holding Ag Reactive azo dyes and their preparation
KR20000021103A (ko) 1998-09-25 2000-04-15 김헌식 초음파와 원적외선방출 세라믹을 이용한 무세제 세탁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730B1 (ko) 2015-12-31 2017-11-08 김동현 기능성 케이크 받침판
KR102172874B1 (ko) 2019-01-07 2020-11-02 김익성 종이용기 성형기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571A (ko) 2023-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9647B2 (ja) 複数のパッケージと、それらに対して構成要素を一緒に保持する方法
KR102539305B1 (ko) 전기적 가압기능을 이용한 친환경 종이재 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로 인해 제조된 종이재 용기
WO20080350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ood packaging container
KR102535801B1 (ko) 전기적 가압기능을 이용한 친환경 종이재 나이프의 제조방법 및 그로 인해 제조된 종이재 나이프
KR20230128225A (ko) 전기적 가압방식을 이용한 친환경 종이재의 아이스크림 케이크용 받침판 및 그 제조방법
JP5399951B2 (ja) 紙容器
US20130205721A1 (en) Pouch Style Food Service Bag
KR101728061B1 (ko) 컬링부를 갖는 일회용 종이접시,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EP2025605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igh temperature formed paperboard packing trays for hermetic sealing
EP1818265A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igh temperature formed paperboard packing trays for hermetic sealing
EP2535186A1 (en) Packaging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and packaging tool made thereof
JP4981985B1 (ja) 強粘性食品用トレーとその製造方法
CN217779216U (zh) 一种模块化纸质包装盒
KR102662527B1 (ko) 전기적 가압방식을 이용한 친환경 종이재의 케이크용 받침판의 제조방법
EP2583913A1 (en) Thermally insulated cup and insulating cover
CN215921410U (zh) 一种包装盒表面贴纸压紧装置
CN218790984U (zh) 一种隐藏置放筷子用具袋的降解淀粉基饭盒
CN112498921B (zh) 一种多功能食品包装盒
CN110475729A (zh) 容器和容器的制造方法
JP3144799U (ja) 食品用容器
AU2006337720A1 (en) Laminate structur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5902783B2 (ja) 食品用トレイの製造方法
CN107416337B (zh) 易撕盖的加工方法
WO2021096443A1 (en) Portable box
JP3079097U (ja) 縦ひだ付紙製容器の並設重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