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257B1 - 배출가스의 여과성/응축성 초미세먼지 분류에 의한 통합농도 측정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출가스의 여과성/응축성 초미세먼지 분류에 의한 통합농도 측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9257B1
KR102539257B1 KR1020200175586A KR20200175586A KR102539257B1 KR 102539257 B1 KR102539257 B1 KR 102539257B1 KR 1020200175586 A KR1020200175586 A KR 1020200175586A KR 20200175586 A KR20200175586 A KR 20200175586A KR 102539257 B1 KR102539257 B1 KR 102539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fine dust
filterable
condensable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6868A (ko
Inventor
이태형
우정헌
박규태
김경훈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076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47Sampling from a flowing stream of gas
    • G01N1/2252Sampling from a flowing stream of gas in a vehicle exhaus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01N15/06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by collecting particles on a support
    • G01N15/0618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by collecting particles on a support of the filter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2015/1028Sorting particles
    • G01N2015/1081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미세먼지의 농도측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출가스의 여과성/응축성 초미세먼지 분류에 의한 통합농도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배출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210); 유입구(210)에 연결되는 여과성 미세먼지 필터(220); 여과성 미세먼지 필터(220)에 연결되어, 배출가스를 응축하는 응축기(250); 응축기(250)에 연결되는 응축성 미세먼지 필터(270); 배출가스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280); 여과성 미세먼지 필터(220)와 응축성 미세먼지 필터(270)의 무게 변화 및 유량계(280)의 유량에 기초하여 여과성 미세먼지의 농도 및 응축성 미세먼지의 농도를 각각 산출하는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의 여과성/응축성 초미세먼지 분류에 의한 통합농도 측정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배출가스의 여과성/응축성 초미세먼지 분류에 의한 통합농도 측정시스템{Integrated concentration measurement system by classifying filterable/ condensable ultrafine dust from emission gas}
본 발명은 초미세먼지의 농도측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출가스의 여과성/응축성 초미세먼지 분류에 의한 통합농도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전하면서 대기중에는 PM10 미세먼지(fine particulate matter), PM2.5, PM1.0 초미세먼지(Ultra fine particulate matter)(이하 "미세먼지"로 총칭함)의 농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1급 발암물질로 지정될 정도로 인체에 매우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미세먼지는 자동차, 공장의 굴뚝 등에서 다량으로 배출되는 배출가스가 특히 주된 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런데, 배출가스는 입자 형상을 갖는 여과성 미세먼지(Filterable Particulate Matter, FPM)와 응축되어 미세먼지(Condensable Particulate Matter, CPM)가 되는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응축성 미세먼지(CPM)는 배출원에서 고온으로 배출된 가스상 물질이 대기 중 찬 공기와 접촉하여 냉각 또는 응축되어 생성되는 미세먼지로 주로 PM2.5 상태로 존재한다. 응축성 미세먼지(CPM)의 주성분은 유기성 미세먼지와 무기성 미세먼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VOCs와 탄소성분, 암모니아 등의 가스상 물질이 CPM 생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의 응축성 미세먼지 측정 방법으로, 미국의 경우는 US EPA(Environment Protection Agency, 미국 환경보호부)의 Method 202 방법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미세먼지 농도측정을 위한 EPA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오염원(예 : 굴뚝)에서의 응축성 입자를 측정하기 위해 프로브(106)의 후단에 예열부(110)와 세 개의 임핀저(흡수병, 130)을 설치하여 수분을 포집한다. 그리고 FPM 제거를 위한 필터를 거친 이후의 배출되는 입자상물질을 측정하였다. FPM이 제거된 후의 샘플은 응축기와 첫 번째 임핀저(130)에서 온도를 낮추어 응축을 시켜 수분을 포집한다. 여기에 포집된 입자상 물질은 정량한 후에 초순수 증류수를 통해 추출하거나 유기 성분 분석을 위해 증류수 대신 헥산을 이용하여 추출 과정을 거친다. 추출된 시료는 오븐에서 증발시켜 증발 전과 후의 무게 차를 측정하여 CPM의 농도를 산출하였다.
한편, 유럽의 경우 ISO 23210:2009 방법으로 임팩터를 사용하여 FPM을 측정하며, ISO 23210:2013 방법으로 FPM과 CPM을 동시의 측정하고 있다. ISO 23210:2009 방법은 낮은 질량 농도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 공기역학적 직경이 10 μm 이상인 입자와 2.5 ~ 10 μm의 입자를 분리하는 2개의 임팩터 단계가 있고 최종적으로 2.5 μm 미만인 입자를 포집하는 백업필터로서 총 3단계로 나뉜다. 독일의 경우에도 임팩터를 이용한 VDI(Verein Deutscher Ingenieure (Association of German Engineers)) 방법이 있으며, 일본의 경우 JIS K 0302 방법으로 FPM을 측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세계 각국에서 측정되는 응축성 미세먼지(CPM)의 측정은 대규모의 시설을 필요로 하며, 많은 측정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응축성 미세먼지(CPM)의 측정과 관리가 널리 보편화되지 못하고 있다.
한편 국내의 미세먼지 관련 규제는 연소원으로부터 직접 배출되는 1차 여과성 입자상물질(FPM)에 대해서만 공정시험기준이 제정되어 관리가 되고 있을 뿐이며, 응축성 미세먼지(CPM)에 관해서는 규정이나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응축성 및 여과성 입자상물질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우선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16-0109832 호 (재순환식 미세먼지 및 수분 저감장치).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2147163 호(미세먼지 측정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출가스 중 여과성 미세먼지의 농도와 응축성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배출가스의 여과성/응축성 초미세먼지 분류에 의한 통합농도 측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배출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210); 유입구(210)에 연결되는 여과성 미세먼지 필터(220); 여과성 미세먼지 필터(220)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가스를 응축하는 응축기(250); 응축기(250)에 연결되는 응축성 미세먼지 필터(270); 배출가스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280); 여과성 미세먼지 필터(220)와 응축성 미세먼지 필터(270)의 무게 변화 및 유량계(280)의 유량에 기초하여 여과성 미세먼지의 농도 및 응축성 미세먼지의 농도를 각각 산출하는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의 여과성/응축성 초미세먼지 분류에 의한 통합농도 측정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응축기(250)는 순환응축기(250)이며, 순환응축기(250)의 냉각수(255)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순환응축기(250)는 20 ~ 30℃를 유지한다.
또한, 여과성 미세먼지 필터(220)는 PM2.5급 또는 PM10급이다.
또한, 배출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펌프(29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유입구(210)는 거대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사이클론(340)이 더 구비된다.
또한, 배출가스는 자동차(400) 또는 공장의 굴뚝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이다.
또한, 유입구(210)는 배출가스를 배출하는 자동차(400)에 연결되고, 유입구(210)와 자동차(400) 사이에는, 배출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310); 배출가스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320); 및 배출가스의 유량를 측정하는 배출가스 유량계(330); 중 적어도 하나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또 다른 카테고리로써, 냉각기(260)에 의해 순환응축기(250)를 냉각하고, 자동차(400)의 배출가스가 유입구(210)로 유입되는 단계(S100); 사이클론(340)이 배출가스에서 거대입자를 제거하는 단계(S120); 여과성 미세먼지 필터(220)가 여과성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단계(S130); 순환응축기(250)에서 배출가스를 냉각하여 응축시키는 단계(S140); 응축성 미세먼지 필터(270)가 응축성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단계(S150); 포집된 여과성 미세먼지와 응축성 미세먼지의 무게를 계측하고, 유량계(280)의 유량에 기초하여 여과성 미세먼지의 농도 및 상기 응축성 미세먼지의 농도를 각각 산출하는 단계(S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의 여과성/응축성 초미세먼지 분류에 의한 통합농도 측정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유입단계(S100)와 상기 제거단계(S120) 사이에, 배출가스의 온도, 습도 및 유량을 측정하는 단계(S11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차, 공장의 굴뚝 등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 중 여과성 미세먼지의 농도와 응축성 미세먼지의 농도를 실시간에 가깝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EPA 시스템과 달리 대규모 시설투자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서 널리 보편화할 수 있고, 구조가 단순하여 차량에 탑재하고 측정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은 자동차 배출가스로부터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관리에 적용할 수 있을 정도로 간소화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오염원 배출 관리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미세먼지 배출사업장 또는 배출원에 대한 배출량 연구가 수행되어 응축성 미세먼지에 대한 배출인벤토리가 구축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미세먼지 농도측정을 위한 EPA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출가스의 여과성/응축성 초미세먼지 분류에 의한 통합농도 측정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측정시스템이 자동차에 연결되어 농도측정을 하는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출가스의 여과성/응축성 초미세먼지 분류에 의한 통합농도 측정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실시예의 구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출가스의 여과성/응축성 초미세먼지 분류에 의한 통합농도 측정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정시스템이 자동차에 연결되어 농도측정을 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센서(310)는 배출가스의 온도(약 200 ~ 300℃)의 온도를 측정한다.
습도센서(320)는 배출가스의 상대습도를 측정한다.
배기가스 유량계(330)는 배출가스의 유량(l/min)을 측정한다. 이러한 온도, 습도 및 유량은 배출가스의 성상을 모니터링 하는데 의무 사항이 될 수 있다.
사이클론(340)는 배출가스로부터 거대입자(PM 2.5 또는 PM10 초과)를 제거한다. 이러한 거대입자를 미리 제거함에 따라 정확한 미세먼지의 농도를 계측할 수 있다.
여과성 미세먼지(FPM) 필터(220)는 유입구(220)를 통해 유입되는 배출가스 중 여과성 미세먼지를 포집한다. 여과성 미세먼지(FPM) 필터(220)는 선택적으로 PM1.0, PM2.5 또는 PM 10이 될 수 있다. 여과성 미세먼지(FPM) 필터(220)는 미세먼지를 포집한 필터만 분리할 수 있다. 여과성 미세먼지(PM) 필터(220)의 포집 사양에 따라 사이클론(340)의 사양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순환응축기(250)는 여과성 미세먼지가 제거된 배출가스를 냉각하여 응축시키는 기능을 한다. 순환응축기(250)는 배출가스가 통과하는 열교환기(230)가 구비되며, 열교환기(230)의 주변으로 냉각수(255)가 순환되는 구성이다. 열교환기(230)는 열교환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접촉면적이 큰 코일형, 판형, 핀형 열교환기가 될 수 있다.
냉각기(260)는 순환응축기(250)의 냉각수(255)를 냉각(20 ~ 30℃)하며 순환시키는 기능을 한다. 냉각기(260)는 내부에 순환펌프, 냉매 사이클 또는 펠티어 소자, 냉각열교환기 등을 구비한다.
응축성 미세먼지 필터(270)는 배출가스 중 냉각되어 응축된 미세먼지를 포집한다. 응축성 미세먼지(CPM) 필터(270)는 미세먼지를 포집한 필터만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응축성 미세먼지(CPM)는 주로 PM2.5 상태이며, 유기성 미세먼지와 무기성 미세먼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VOCs와 탄소성분, 암모니아 등의 가스상 물질이 응축성 미세먼지(CPM) 생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량계(280)는 응축성 미세먼지 필터(270)의 후단에 연결되어 배출가스의 유량(l/min)을 측정한다. 일정시간(예 : 10 ~ 30분) 동안의 배출가스의 유량(l/min)으로부터 전체 배출가스의 부피를 알 수 있다. 선택적으로 유량계(280)는 배출가스가 유동하는 배관들 중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유량계(280)와 배기가스유량계(330) 중 하나를 생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펌프(290)는 유량계(280)의 후단에 연결된다. 펌프(290)는 배출가스를 유동시키고 유출구(300)를 통해 배출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펌프(290)는 배출가스가 유동하는 배관들 중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실시예의 동작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출가스의 여과성/응축성 초미세먼지 분류에 의한 통합농도 측정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냉각기(260)에 의해 순환응축기(250)를 일정 온도(20~ 30℃)로 냉각하고, 통합농도 측정시스템(200)을 자동차(400)의 머플러에 연결한다.
그러면, 배출가스가 유입구(210)로 유입된다(S100).
그리고, 온도센서(310)가 배출가스의 온도(200 ~ 300℃)를 측정하고, 습도센서(320)가 상대습도를 측정하며, 배기가스유량계(330)가 유량을 측정한다(S110). 측정된 온도, 상대습도 및 유량은 배출가스의 기본적인 모니터링에 사용된다.
여과성 미세먼지 필터(220)가 PM2.5인 경우, 사이클론(340)은 배출가스에서 거대입자(PM 2.5 초과)를 미리 제거한다(S120). 만약 여과성 미세먼지 필터(220)가 PM10인 경우, 사이클론(340)은 배출가스에서 거대입자(PM10 초과)를 미리 제거한다.
그 다음, 배출가스는 여과성 미세먼지 필터(220)를 통과하고, 이때 여과성 미세먼지 필터(220)가 여과성 미세먼지(FPM)를 포집한다(S130).
그 다음, 배출가스는 열교환기(230)를 통과하면서 20 ~ 30℃로 냉각되고 응축되어 응축성 미세먼지(CPM)가 생성된다(S140). 이때, 냉각기(260)는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냉각수(255)를 지속적으로 순환시킨다.
그 다음, 응축성 미세먼지 필터(270)가 응축성 미세먼지(CPM)를 포집한다(S150).
그리고, 유량계(280)는 소정의 동작시간(예 10분, 20분, 30분 등)유출구(300)를 통해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유량을 측정한다.
그 다음, 여과성 미세먼지 필터(220)를 분리하여 무게를 측정한다. 여과성 미세먼지(FPM)의 포집으로 인한 필터 무게의 증가량이 여과성 미세먼지(FPM)의 중량이다. 이와 더불어, 응축성 미세먼지 필터(270)를 분리하여 무게를 측정한다. 응축성 미세먼지(CPM)의 포집으로 인한 필터 무게의 증가량이 응축성 미세먼지(CPM)의 중량이다.
즉, 10분동안의 배출가스 유량으로부터 산출되는 배출가스의 전체 부피 및 여과성 미세먼지(FPM)의 중량으로부터 여과성 미세먼지(FPM)의 농도(㎍/m3)를 산출할 수 있다(S160). 또한, 10분동안의 배출가스 유량으로부터 산출되는 배출가스의 전체 부피 및 응충성 미세먼지(CPM)의 중량으로부터 응축성 미세먼지(CPM)의 농도(㎍/m3)를 산출할 수 있다(S160). 이러한 농도산출(S160)은 유량계(280)와 연동하는 컴퓨터(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센서를 컴퓨터(미도시)와 연동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0 : EPA 시스템,
102 : 노즐,
104 : 온도센서,
106 : 프로브,
108 : 마노미터,
110 : 예열부,
120 : 냉각조,
130 : 임핀저,
140 : 진공라인,
142 : 펌프,
145 : 건식 가스미터,
150 : 오리피스,
200 : 통합농도 측정시스템,
210 : 유입구,
220 : 여과성 PM필터,
230 : 열교환기,
250 : 순환응축기,
255 : 냉각수,
260 : 냉각기,
270 : 응축성 PM 필터,
280 : 유량계,
290 : 펌프,
300 : 유출구,
310 : 온도센서,
320 : 습도센서,
330 : 배출가스 유량계,
340 : 사이클론.
400 : 자동차.

Claims (11)

  1. 자동차(400)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210);
    상기 유입구(210)에 연결되는 여과성 미세먼지 필터(220);
    상기 여과성 미세먼지 필터(220)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가스를 응축하는 순환응축기(250);
    상기 순환응축기(250)를 20 ~ 30℃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순환응축기(250)의 냉각수(255)를 냉각하는 냉각기(260);
    상기 순환응축기(250)에 연결되는 응축성 미세먼지 필터(270);
    상기 배출가스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280);
    상기 여과성 미세먼지 필터(220)와 상기 응축성 미세먼지 필터(270)의 무게 변화 및 상기 유량계(280)의 유량에 기초하여 상기 여과성 미세먼지의 농도 및 상기 응축성 미세먼지의 농도를 각각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배출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펌프(290);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210)는 거대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사이클론(34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의 여과성/응축성 초미세먼지 분류에 의한 통합농도 측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성 미세먼지 필터(220)는 PM2.5급 또는 PM10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의 여과성/응축성 초미세먼지 분류에 의한 통합농도 측정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210)는 상기 배출가스를 배출하는 자동차(400)에 연결되고,
    상기 유입구(210)와 상기 자동차(400) 사이에는 ,
    상기 배출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310);
    상기 배출가스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320); 및
    상기 배출가스의 유량를 측정하는 배출가스 유량계(330); 중 적어도 하나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의 여과성/응축성 초미세먼지 분류에 의한 통합농도 측정장치.
  9. 제 1 항, 제 4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합농도 측정장치를 이용한 측정방법으로써,
    냉각기(260)에 의해 순환응축기(250)를 20 ~ 30℃범위에서 냉각하고, 자동차(400)의 배출가스가 유입구(210)로 유입되는 단계(S100);
    사이클론(340)이 상기 배출가스에서 거대입자를 제거하는 단계(S120);
    여과성 미세먼지 필터(220)가 여과성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단계(S130);
    순환응축기(250)에서 배출가스를 냉각하여 응축시키는 단계(S140);
    응축성 미세먼지 필터(270)가 응축성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단계(S150); 및
    포집된 상기 여과성 미세먼지와 상기 응축성 미세먼지의 무게를 계측하고, 상기 여과성 미세먼지 필터(220)와 상기 응축성 미세먼지 필터(270)의 무게 변화 및 유량계(280)의 유량에 기초하여, 상기 여과성 미세먼지의 농도 및 상기 응축성 미세먼지의 농도를 각각 산출하는 단계(S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의 여과성/응축성 초미세먼지 분류에 의한 통합농도 측정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단계(S100)와 상기 제거단계(S120) 사이에,
    상기 배출가스의 온도, 습도 및 유량을 측정하는 단계(S11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의 여과성/응축성 초미세먼지 분류에 의한 통합농도 측정방법.
  11. 삭제
KR1020200175586A 2019-12-16 2020-12-15 배출가스의 여과성/응축성 초미세먼지 분류에 의한 통합농도 측정시스템 KR1025392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67847 2019-12-16
KR1020190167847 2019-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868A KR20210076868A (ko) 2021-06-24
KR102539257B1 true KR102539257B1 (ko) 2023-06-02

Family

ID=76607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586A KR102539257B1 (ko) 2019-12-16 2020-12-15 배출가스의 여과성/응축성 초미세먼지 분류에 의한 통합농도 측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2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361B1 (ko) * 2021-07-05 2023-08-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배기 가스로부터 생성되는 응축성 미세먼지를 계측하는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4413A (ja) 2006-12-28 2008-07-17 Horiba Ltd 排出ガスサンプリング分析システム
KR101677421B1 (ko) * 2015-03-13 2016-11-18 (주)청류에프앤에스 재순환식 미세먼지 및 수분 저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6429B2 (ja) * 1993-09-09 2001-03-19 日本鋼管株式会社 排ガス中のダスト濃度の自動測定装置
JPH09209009A (ja) * 1996-01-30 1997-08-12 Kawasaki Steel Corp 高炉炉頂圧力回収発電における回収タービンの損傷防止方法および湿式ガス中のダスト濃度およびミスト濃度の連続監視装置
KR100265284B1 (ko) * 1997-05-28 2000-09-15 윤종용 반도체장치 제조용 청정실의 대기중의 수용성 오염물질 분석방법 및 분석장치
KR20170061601A (ko) * 2015-11-26 2017-06-0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응축성장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20180076667A (ko) * 2016-12-28 2018-07-0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굴뚝 배출가스 중 미세먼지 시료 채취관
KR102147163B1 (ko) 2019-05-16 2020-08-25 주식회사 피아이앤이 미세먼지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4413A (ja) 2006-12-28 2008-07-17 Horiba Ltd 排出ガスサンプリング分析システム
KR101677421B1 (ko) * 2015-03-13 2016-11-18 (주)청류에프앤에스 재순환식 미세먼지 및 수분 저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868A (ko)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eng et al. Critical review of condensable particulate matter
Giechaskiel et al. Measurement of automotive nonvolatile particle number emissions within the European legislative framework: A review
Giechaskiel et al. Review of motor vehicle particulate emissions sampling and measurement: From smoke and filter mass to particle number
Wang et al. Characteristics of condensable particulate matter before and after wet flue gas desulfurization and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from ultra-low emission coal-fired power plants in China
Yang et al. Filterable and condensable fine particulate emissions from stationary sources
Ning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exhaust gas cooling on diesel particulate
Wang et al. Measurement of real-world stack emissions with a dilution sampling system
CN110044666A (zh) 一种高温高尘烟气采样系统及方法
Vouitsis et al. Particulate matter mass measurements for low emitting diesel powered vehicles: what's next?
Buonanno et al. Size distribution and number concentration of particles at the stack of a municipal waste incinerator
US11131610B2 (en) Particulate calibration and generation simulator for particle measurement and number
KR102539257B1 (ko) 배출가스의 여과성/응축성 초미세먼지 분류에 의한 통합농도 측정시스템
Petrovic et al. The possibilities for measurement and characterization of diesel engine fine particles-A review
JP6313609B2 (ja) 硝酸塩粒子測定装置及びその測定方法
CN101524617A (zh) 用Nafion管去除气体中水份的方法
CN206557172U (zh) 一种用于固定污染源VOCs的在线监测设备
Cheng et al. Effect of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denitrification on fine particulate matter emission characteristics
Cornette et al. Particulate matter emission reduction in small-and medium-scale biomass boilers equipped with flue gas condensers: Field measurements
Yang et al. Fine particulate speciation profile and emission factor of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 established by dilution sampling method
Lee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and comparison of nanoparticle emission characteristics in light-duty vehicles for two different fuels
Khalek Sampling system for solid and volatile exhaust particle size, number, and mass emissions
CN210123371U (zh) 一种高温高尘烟气采样系统
Swanson et al. Alternatives to the gravimetric method for quantification of diesel particulate matter near the lower level of detection
Wang et al. A sampler for collecting fine particles into liquid suspensions
Wardoyo et al. Developing reheated filter of motorcycle exhaust for reducing PM2. 5 emiss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