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361B1 - 배기 가스로부터 생성되는 응축성 미세먼지를 계측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배기 가스로부터 생성되는 응축성 미세먼지를 계측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361B1
KR102561361B1 KR1020210087742A KR20210087742A KR102561361B1 KR 102561361 B1 KR102561361 B1 KR 102561361B1 KR 1020210087742 A KR1020210087742 A KR 1020210087742A KR 20210087742 A KR20210087742 A KR 20210087742A KR 102561361 B1 KR102561361 B1 KR 102561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exhaust gas
condensable
measuring
measurement 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7016A (ko
Inventor
이승복
김창혁
조경일
강기원
김남건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87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361B1/ko
Priority to US17/856,246 priority patent/US20230003629A1/en
Publication of KR20230007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5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with mechanical, e.g. inertial, classification, and investigation of sorted colle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47Sampling from a flowing stream of gas
    • G01N1/2252Sampling from a flowing stream of gas in a vehicle exhaus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01N1/2211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with cyclo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01N1/221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by sorp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4Suction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4Purifying; Clea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66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with electrical classif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47Sampling from a flowing stream of gas
    • G01N1/2252Sampling from a flowing stream of gas in a vehicle exhaust
    • G01N2001/2255Sampling from a flowing stream of gas in a vehicle exhaust with dilution of the samp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2001/228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with cool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42Investigating dispersion of solids
    • G01N2015/0046Investigating dispersion of solids in gas, e.g. smo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92Monitoring flocculation or agglom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96Investigating consistence of powders, dustability, dusti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5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with mechanical, e.g. inertial, classification, and investigation of sorted collections
    • G01N2015/0261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with mechanical, e.g. inertial, classification, and investigation of sorted collections using imp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배기 가스로부터 생성되는 응축성 미세먼지를 계측하는 방법으로서, 내연기관으로부터 배기 가스를 흡인하는 단계; 흡인된 배기 가스를 희석하여 대기 조건으로 모사하는 단계; 대기 조건의 배기 가스 중 일부를 분기하여 응축성 미세먼지와 여과성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미세먼지를 계측하는 제1 계측단계; 대기 조건의 배기 가스 중 나머지를 분기하여 응축성 미세먼지를 제거하고, 여과성 미세먼지만을 포함하는 미세먼지를 계측하는 제2 계측단계; 및 제1 계측단계와 제2 계측단계를 비교하여 대기 조건의 배기 가스 중 응축성 미세먼지의 양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로부터 생성되는 응축성 미세먼지를 계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기 가스로부터 생성되는 응축성 미세먼지를 계측하는 방법{METHOD FOR MEASURING CONDENSABLE PARTICULATE MATTERS PRODUCED FROM EXHAUST GAS}
본 발명은 배기 가스로부터 생성되는 응축성 미세먼지를 계측하는 방법으로서, 구체적으로, 응축성 미세먼지와 여과성 미세먼지를 분리 측정함으로써 응축성 미세먼지의 양을 계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s, PM)는 현재 공기질을 평가하는 주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서, 건강과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발전소와 같은 고정오염원을 비롯하여, 자동차를 포함하는 내연기관과 같은 이동오염원에 이르기까지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을 통해 규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미세먼지 대기 배출허용기준과 오염원의 미세먼지 배출계수 산정은 여과지에 포집된 여과성 미세먼지(Filterable PM, FPM)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오염원으로부터 입자인 미세먼지의 형태로 배출되는 미세먼지를 1차 미세먼지라고 하며, 대기 중 광화학반응에 의해 기체상 전구물질에서 입자를 형성하는 2차 미세먼지와 구분하고 있다.
1차 미세먼지는 여과성 미세먼지뿐만 아니라, 기체상으로 배출된 후, 대기에 노출됨과 동시에 급격한 온도변화에 따른 응축으로 급격한 속도로 입자의 형태로 변하는 응축성 미세먼지(Condensable PM, CPM)을 포함하고 있다.
응축성 미세먼지는 응축에 관여하는 대기의 온도와 압력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여과성 미세먼지와 달리 정확한 측정과 산정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응축성 미세먼지는 여과성 미세먼지에 비해 최근에 나타난 개념으로 여과성 미세먼지와 달리 국내외에 대기 배출 허용 기준이 없으며, 관련 측정 기준이나 방법의 정립이 미비한 상황이다.
응축성 미세먼지의 측정 방법의 예시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오염원의 굴뚝 내부에 샘플링 포트를 삽입하여 응축성 미세먼지를 형성할 잠재적인 기체상 오염물질을 추출하여 잠재적 응축성 미세먼지의 양을 산정하는 임핀저(impinger) 방식과 대기 중 응축성 미세먼지 생성 기작을 모사한 희석식(dilution) 방식의 2 가지로 나뉜다.
임핀저 방식의 경우, 기체상 오염물질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한 용액 내에 용해된 기체상 오염물질이 모두 응축성 미세먼지로 전환됨을 가정하여 응축성 미세먼지의 양을 산정하므로 실제 대기 중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응축성 미세먼지의 양을 과다 산정할 한계를 지니고 있다.
또한,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개발한 희석식의 경우, 여과지를 사용하여 여과성 미세먼지를 제거한 뒤, 희석공기에 의해 발생한 응축성 미세먼지를 재차 여과지에 포집하여 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온의 공기만을 희석에 사용하고, 여과성 미세먼지를 제거함으로 인해 여과성 미세먼지의 표면에 응축되는 과정을 통해 발생하는 응축성 미세먼지는 간과할 한계를 지닌다.
또한, 여과성 미세먼지와 같이 결국 여과지에 포집한 응축성 미세먼지를 칭량함을 통해 배출량을 산정하는 방식은 상대적으로 시간당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량이 일정한 고정 오염원에는 적용이 가능하지만, 가감속시 내연기관의 연소조건 및 대기 온도 변화 등의 변수로 인해 대기오염물질의 조성과 배출량이 변하는 자동차를 포함하는 내연기관과 같은 이동오염원에는 적합하지 않다.
즉, 배출하는 대기오염물질의 조성과 양이 변함에 따라 발생하는 응축성 미세먼지의 양 역시 변화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임핀저 및 희석식 방법은 시간 변동성이 큰 자동차 발생 응축성 미세먼지 측정 및 배출계수 산정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대기 환경 조건에서 나타날 수 있는 자동차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에서 배출되는 응축성 미세먼지 양의 변화를 실시간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특허공보 제10-2199628호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대기 조건에서 발생 가능한 자동차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에서 배출되는 응축성 미세먼지 양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배기 가스로부터 생성되는 응축성 미세먼지를 계측하는 방법으로서, 내연기관으로부터 배기 가스를 흡인하는 단계; 흡인된 배기 가스를 희석하여 대기 조건으로 모사하는 단계; 대기 조건의 배기 가스 중 일부를 분기하여 응축성 미세먼지와 여과성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미세먼지를 계측하는 제1 계측단계; 대기 조건의 배기 가스 중 나머지를 분기하여 응축성 미세먼지를 제거하고, 여과성 미세먼지만을 포함하는 미세먼지를 계측하는 제2 계측단계; 및 제1 계측단계와 제2 계측단계를 비교하여 대기 조건의 배기 가스 중 응축성 미세먼지의 양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로부터 생성되는 응축성 미세먼지를 계측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연기관으로부터 배기 가스를 흡인하는 단계 이후에 배기 가스로부터 초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초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단계는, 사이클론(cyclone)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기 가스를 희석하여 대기 조건으로 모사하는 단계는, 희석 챔버에서 배기 가스에 공기를 주입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배기 가스의 전달은 도관을 통해 전달되고, 도관은 히팅테이프로 권취되어 가열됨으로써, 배기관에서의 온도 범위를 200℃ 내지 300℃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기 가스를 희석하여 대기 조건으로 모사하는 단계는, 배기 가스의 부피에 대하여 공기의 비율을 1:9 내지 1:29의 희석 비율로 이루어지고, 냉각기 및 가열기를 통해 -10℃ 내지 50℃의 범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또한 본 발명은 대기 조건의 배기 가스 중 일부가 바이패스 배관으로 분기하여 제1 계측단계가 수행되고, 대기 조건의 배기 가스 중 나머지는 가열 포집 장치로 분기하여 제2 계측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열 포집 장치는, 25℃ 내지 300℃의 범위로 가열되어, 응축성 미세먼지가 가열 포집 장치 내부의 탄소천에 흡착되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응축성 미세먼지의 양을 산출은, 제1 계측단계에서 응축성 미세먼지와 여과성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미세먼지의 수농도 크기 분포를 측정하고, 제2 계측단계에서 여과성 미세먼지만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의 수농도 크기 분포를 측정하여, 제1 계측단계의 수농도 크기 분포로부터 제2 계측단계의 수농도 크기 분포를 감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 발생 미세먼지 중 응축성 미세먼지 성분의 완전한 제거가 가능하여, 기존의 평가 방법으로 확인이 어려운 자동차 발생 미세먼지 중 응축성 미세먼지의 기여도와 배출계수의 산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 배출 미세먼지의 실시간 입경 분포를 측정함으로써, 자동차 평가 사이클 동안 특정 구간에서 응축성 미세먼지 양의 변화를 산정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대기 온도 조건의 모사가 가능하여, 상온에서 진행하는 기존 자동차 배출 미세먼지 배출계수 평가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여 다양한 대기 조건에서 변하는 응축성 미세먼지의 양을 산정하고, 이를 반영한 실제에 가까운 미세먼지 배출계수 산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희석비의 변화가 가능하여, 차량의 밀집도에 따른 자동차 배출 미세먼지의 희석 정도의 변화로 인한 응축성 미세먼지의 양을 반영한 실제에 가까운 미세먼지 배출계수 산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응축성 미세먼지를 계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라 자동차에서 발생되는 배기 가스로부터 응축성 미세먼지의 양을 계측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로서, 도관의 온도를 유지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희석 챔버에서 배기 가스가 희석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가열 포집 장치에서 응축성 미세먼지가 흡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라 연산부에서 응축성 미세먼지가 연산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라 응축성 미세먼지를 측정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종래 기술의 굴뚝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의 양을 산정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응축성 미세먼지를 계측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 실시 형태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 형태에서는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응축성 미세먼지를 계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미세먼지를 계측하는 방법은 내연기관으로부터 배기 가스의 일부를 흡인하여, 측정 대상인 초미세 먼지의 입자 크기를 분급하고, 입자 크기가 분급된 배기 가스를 희석하여 대기 조건으로 모사한 이후에, 응축성 미세먼지와 여과성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미세먼지를 계측하는 제1 계측단계의 데이터와, 응축성 미세먼지를 제거한 여과성 미세먼지만을 포함하는 미세먼지를 계측하는 제2 계측단계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배기 가스 중 응축성 미세먼지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라 자동차에서 발생되는 배기 가스로부터 응축성 미세먼지의 양을 계측하는 시스템(1)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에서 도관(50)의 온도가 유지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시 형태에 따른 응축성 미세먼지의 측정 시스템(1)은 직접 자동차의 배출구에 설치되어 배기 가스 속에 포함된 응축성 미세먼지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동차의 배기 가스를 흡인하는 샘플링 도관(50)은 자동차 배기구에 직접 설치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관의 주위를 히팅테이프(Heating tape)(51)로 권취하여 도관 내부를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배기 가스의 온도를 200℃ 내지 300℃의 범위로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흡인되는 배기 가스의 온도를 유지하여 도관(50) 내에서 배기 가스가 응축이 발생하여 의도하지 않은 응축성 미세먼지(102)가 생성되거나 응축성 미세먼지의 생성원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흡인된 배기 가스는 사이클론(10)을 이용하여 배기 가스에 포함된 초미세먼지보다 큰 입자를 우선적으로 제거하고 초미세먼지만 통과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는 PM2.5의 사이클론(10)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2.5㎛보다 큰 먼지를 우선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의 배기 가스에서 고려하지 않는 입경 크기의 입자들을 제거함으로써, 불필요한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희석 챔버(20)에서 배기 가스가 희석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클론(10)에서 초미세먼지가 제거된 배기 가스는 희석 챔버(20)에 주입되어 대기 조건으로 배출되면서 희석되는 현상이 모사된다.
구체적으로, 희석 챔버(20)는 온도와 희석비를 제어하면서 희석 공기와 배기 가스 샘플을 단시간에 완전하게 혼합할 수 있다. 희석비의 제어는 유량 제어기와 진공 펌프(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소정의 희석비를 유지할 수 있다. 희석 챔버(20)는 희석 공기가 주입하여 난류를 발생시켜, 배기 가스 샘플을 희석 공기와 혼합하고, 단시간에 완전히 혼합을 수행할 수 있다.
희석비는 도로상 자동차의 밀집 정도에 따라 대기에 배기 가스가 노출될 시의 희석비를 모사하는 범위로 2배 내지 50배로 설정할 수 있지만, 배기 가스에 대하여 공기의 비율을 1:9 내지 1:29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희석 비율이 1:9보다 큰 경우에는 배기 가스의 농도가 높게 설정되어 희석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데이터의 취득이 어렵고, 1:29보다 낮은 경우에는 과도하게 희석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희석 챔버(20)는 -10℃ 내지 50℃의 범위로 온도 제어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희석 챔버(20)에 냉각기와 가열기를 설치하여, 계절에 따른 대기 온도를 정확하게 모사할 수 있으며, 응축성 미세먼지의 성장에 기여하는 온도 조건을 변화하며 측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가열 포집 장치(31)에서 응축성 미세먼지가 가스상으로 휘발된 후 흡착되어 제거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희석 챔버(20)에서 대기 조건으로 모사된 배기 가스 중 일부는 바이패스 배관(32)으로 분기된다. 바이패스 배관(32)을 통과하는 배기 가스 입자(100)는 모사된 대기 조건과 같이 여과성 미세먼지(101)와 응축성 미세먼지(102)를 함께 포함하고 있다.
또한, 바이패스 배관(32)으로 분기된 배기 가스를 제외한 나머지 배기 가스는 가열 포집 장치(Thermodenuder)(31)로 분기된다. 가열 포집 장치(31)의 내부의 히팅 섹션(Heating section)에서 25℃ 내지 300℃의 범위로 가열되어 응축성 미세먼지(102)가 휘발되고, 휘발된 응축성 미세먼지(102)는 흡착 섹션(Adsorption section)의 탄소천(Carbon Cloth)에 흡착되어 배기 가스로부터 제거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라 연산부(40)에서 응축성 미세먼지가 계측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이패스 배관(32)에서 응축성 미세먼지(102)와 여과성 미세먼지(101)를 모두 포함한 배기 가스 입자(100)를, 가열 포집 장치(31)를 통과시키며 응축성 미세먼지(102)를 제거한 배기 가스 입자를 비교하여, 응축성 미세먼지(102)의 비율을 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가열 포집 장치(31)만 이용하여 배기 가스가 상온 조건으로 배출될 때 발생하는 응축성 미세먼지(102)를 계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열 포집 장치(31)의 온도를 25℃로 설정하는 경우, 응축성 미세먼지(102)가 제거되지 않으므로, 이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바이패스 배관(31)을 통과한 배기 가스와 동일한 조건으로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25℃에서 계측된 데이터와 가열 포집 장치(31)를 300℃로 설정하여 계측된 비교하여, 배기 가스 내의 응축성 미세먼지(102)의 양을 계측할 수 있다.
한편, 입자 수농도 크기분포 측정부에 사용 가능한 장치로는, 예를 들어, SMPS(Scanning mobility particle sizer), 또는 FMPS((Fast mobility particle sizer), 또는 OPS(Optical particle sizer)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장치를 통해, 최소 3㎚에서 최대 10㎛까지 측정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라 응축성 미세먼지를 측정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응축성 미세먼지 계측 시스템과 종래의 자동차 배기 가스 측정 장치를 이용한 실시간 수농도 변화를 비교하였을 때, 본 발명의 시스템과 종래의 자동차 배기 가스의 측정 장치는 매우 유사한 결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젤 4등급과 5등급의 차량에서 배출되는 고농도 배기가스 측정 있어서,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종래의 측정 장치의 한계 이상의 측정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가스 연료를 사용하는 차량(LPG, CNG)의 측정에서는 본 발명의 시스템이 자동차의 배기가스에 직접 샘플링하기 때문에, 대부분 작은 입경의 입자들이 손실되는 종래의 배기가스 측정 장치와는 다르게 응축성 미세먼지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술한 설명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지금까지 전술한 실시 형태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상기 실시 형태들에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균등한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3)

  1. 내연기관의 배기 가스로부터 생성되는 응축성 미세먼지를 계측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내연기관으로부터 배기 가스를 흡인하는 단계;
    흡인된 상기 배기 가스를 희석하여 대기 조건으로 모사하는 단계;
    상기 대기 조건으로 모사된 배기 가스 중 일부를 바이패스 배관으로 분기하여 응축성 미세먼지와 여과성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미세먼지를 계측하는 제1 계측단계;
    상기 대기 조건으로 모사된 배기 가스 중 나머지를 가열 포집 장치로 분기하여, 상기 가열 포집 장치에서 상기 배기 가스 중 나머지를 25℃ 내지 300℃의 범위로 가열하여 응축성 미세먼지를 상기 가열 포집 장치 내부의 탄소천에 흡착시킴으로써 응축성 미세먼지를 제거하고, 여과성 미세먼지만을 포함하는 미세먼지를 계측하는 제2 계측단계; 및
    상기 제1 계측단계와 상기 제2 계측단계를 비교하여 상기 대기 조건의 배기 가스 중 응축성 미세먼지의 양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로부터 생성되는 응축성 미세먼지를 계측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으로부터 배기 가스를 흡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배기 가스로부터 초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로부터 생성되는 응축성 미세먼지를 계측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초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단계는, 사이클론(cyclone)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로부터 생성되는 응축성 미세먼지를 계측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를 희석하여 대기 조건으로 모사하는 단계는, 희석 챔버에서 상기 배기 가스에 공기를 주입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로부터 생성되는 응축성 미세먼지를 계측하는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 또는 희석 챔버로의 배기 가스의 전달은 도관을 통해 전달되고,
    상기 도관은 200℃ 내지 300℃ 온도 범위를 유지하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로부터 생성되는 응축성 미세먼지를 계측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은 히팅테이프로 권취되어 가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로부터 생성되는 응축성 미세먼지를 계측하는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를 희석하여 대기 조건으로 모사하는 단계는, 상기 배기 가스의 부피에 대하여 상기 공기의 비율을 1:9 내지 1:29의 희석 비율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로부터 생성되는 응축성 미세먼지를 계측하는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를 희석하여 대기 조건으로 모사하는 단계는, 냉각기 및 가열기를 통해 -10℃ 내지 50℃의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로부터 생성되는 응축성 미세먼지를 계측하는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성 미세먼지의 양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계측단계에서 상기 응축성 미세먼지와 여과성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미세먼지의 수농도 크기 분포를 측정하고,
    상기 제2 계측단계에서 상기 여과성 미세먼지만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의 수농도 크기 분포를 측정하여,
    상기 제1 계측단계의 수농도 크기 분포로부터 상기 제2 계측단계의 수농도 크기 분포를 감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성 미세먼지를 계측하는 방법.
KR1020210087742A 2021-07-05 2021-07-05 배기 가스로부터 생성되는 응축성 미세먼지를 계측하는 방법 KR102561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742A KR102561361B1 (ko) 2021-07-05 2021-07-05 배기 가스로부터 생성되는 응축성 미세먼지를 계측하는 방법
US17/856,246 US20230003629A1 (en) 2021-07-05 2022-07-01 Method for measuring condensable particulate matters formed from exhaust ga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742A KR102561361B1 (ko) 2021-07-05 2021-07-05 배기 가스로부터 생성되는 응축성 미세먼지를 계측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016A KR20230007016A (ko) 2023-01-12
KR102561361B1 true KR102561361B1 (ko) 2023-08-01

Family

ID=84785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742A KR102561361B1 (ko) 2021-07-05 2021-07-05 배기 가스로부터 생성되는 응축성 미세먼지를 계측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003629A1 (ko)
KR (1) KR1025613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7543A (zh) * 2022-02-18 2022-06-03 中国环境科学研究院 用于检测尾气中颗粒物排放量的系统及方法
KR102632004B1 (ko) * 2023-07-28 2024-02-01 대한민국 화재 시 발생하는 미세 분진의 농도 측정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26435B2 (ja) 2008-08-29 2013-07-03 株式会社堀場製作所 排ガス測定装置および排ガス測定方法
CN110441099A (zh) * 2019-07-18 2019-11-12 清华大学 一种污染源可凝结颗粒物采样装置及采样方法
KR102185185B1 (ko) 2019-05-02 2020-12-01 한국전력공사 가스 희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스 측정장치
KR102199628B1 (ko) * 2020-01-23 2021-01-08 주식회사 정엔지니어링 응축성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측정장치 및 유해중금속을 포함하는 다이옥신 연속포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6435B2 (ko) * 1971-10-13 1977-07-14
JPS63298133A (ja) * 1987-05-29 1988-12-05 Toyota Motor Corp 微粒子サンプリング装置
JPH08178880A (ja) * 1994-12-27 1996-07-12 Gastar Corp Coセンサの取付構造およびcoセンサ
EP1618374A1 (en) * 2003-04-28 2006-01-25 Johnson Matthey Public Limite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sing particulates
KR102165770B1 (ko) * 2018-01-18 2020-10-15 인더스트리얼 테크놀로지 리서치 인스티튜트 보정된 입자 분석 장치 및 방법
WO2019225591A1 (ja) * 2018-05-22 2019-11-28 株式会社堀場製作所 分析システム及び分析方法
KR102539257B1 (ko) * 2019-12-16 2023-06-0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출가스의 여과성/응축성 초미세먼지 분류에 의한 통합농도 측정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26435B2 (ja) 2008-08-29 2013-07-03 株式会社堀場製作所 排ガス測定装置および排ガス測定方法
KR102185185B1 (ko) 2019-05-02 2020-12-01 한국전력공사 가스 희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스 측정장치
CN110441099A (zh) * 2019-07-18 2019-11-12 清华大学 一种污染源可凝结颗粒物采样装置及采样方法
KR102199628B1 (ko) * 2020-01-23 2021-01-08 주식회사 정엔지니어링 응축성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측정장치 및 유해중금속을 포함하는 다이옥신 연속포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03629A1 (en) 2023-01-05
KR20230007016A (ko) 2023-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1361B1 (ko) 배기 가스로부터 생성되는 응축성 미세먼지를 계측하는 방법
Lipsky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a portable dilution sampling system for measuring fine particle emissions
US11668632B2 (en) Particulate calibration and generation simulator for particle measurement and number
Cheng et al. Characterization of diesel exhaust in a chronic inhalation study
Foote et al. Evaluation of partial flow dilution methodology for light duty particulate mass measurement
Lüders et al. The role of sampling conditions in particle size distribution measurements
Rubino et al. Portable emission measurement system (PEMS) for heavy duty diesel vehicle PM measurement: the European PM PEMS program
Otsuki et al. The methodologies and instruments of vehicle particulate emission measurement for current and future legislative regulations
Kim et al. A new on-board PN analyzer for monitoring the real-driving condition
Lee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and comparison of nanoparticle emission characteristics in light-duty vehicles for two different fuels
Bischof et al. Characterization of the miniaturized inverted flame burner as a combustion source to generate a nanoparticle calibration aerosol
Weaver et al. Development of the'RAVEM'Ride-Along Vehicle Emission Measurement System for Gaseous and Particulate Emissions
Nussbaum et al. The in-plume emission test stand: An instrument platform for the real-time characterization of fuel-based combustion emissions
Desantes et al. Methodology for measuring exhaust aerosol size distributions from heavy duty diesel engines by means of a scanning mobility particle sizer
Kasper Sampling and measurement of nanoparticle emissions for type approval and field control
Rogers et al. Characterization of submicron exhaust particles from engines operating without load on diesel and JP-8 fuels
Andersson et al. DETR/SMMT/CONCAWE particle research programme: sampling and measurement experiences
Besch et al. On-Road and Chassis Dynamometer Testing of Light-duty Diesel Passenger Cars
Besch In-line, Real-time Particulate Matter Sensors for OBD and Exhaust After-treatment System Control Applications
Otsuki et al. Applicability of Diffusion Charger Sensor to Portable Emission Measurement System
Flaim Study of the Variations in Continuous Diesel Particulate Matter Size Measurements and Effect of Fuel Properties on DPM Size
Kasper Characterisation of the second generation PMP “Golden instrument”
Leatherman Comparison of emissions measurement between a sensor-based compact emissions meter and a standard PEMS
THAKARE et al. Study to Compare CO2 Emissions from M1 Bharat Stage VI Passenger Vehicles at Chassis Dynamometer and Indian Real Traffic Conditions
Rubino et al. Development of an official test method for on-board PM measurements from Heavy-Duty diesel engines in the European Un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