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103B1 - 휴대용 차광막 하우스 - Google Patents

휴대용 차광막 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9103B1
KR102539103B1 KR1020200143532A KR20200143532A KR102539103B1 KR 102539103 B1 KR102539103 B1 KR 102539103B1 KR 1020200143532 A KR1020200143532 A KR 1020200143532A KR 20200143532 A KR20200143532 A KR 20200143532A KR 102539103 B1 KR102539103 B1 KR 102539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house
light
baby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3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8131A (ko
Inventor
정민숙
Original Assignee
정민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민숙 filed Critical 정민숙
Priority to KR1020200143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103B1/ko
Publication of KR20220058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8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7/00Children's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기가 취침시 형광등 빛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을 형성하는 제1패널 및 제2패널과, 지붕을 형성하는 제3패널 및 제4패널과 문을 형성하는 제5패널로 이루어진 하우스본체와;
상기 벽, 지붕, 문으로 절첩 조립할 수 있도록 각 패널과 패널 사이에 절첩선이 형성되어 차광막 하우스를 형성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경량의 플라스틱패널 또는 종이패널로 이루어진 절첩식 차광막을 형성하여 아기 취침시 천장의 형광등(조명등) 불빛이나 햇살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아기의 눈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취침시 숙면을 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차광막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차광막 하우스{Portable baby shading house}
본 발명은 취침시 형광등 불빛 또는 햇살로부터 눈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량의 플라스틱패널 또는 종이패널로 이루어진 절첩식 차광막을 형성하여 아기가 취침시 천장의 형광등(조명등) 불빛이나 햇살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아기의 눈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취침시 숙면을 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차광막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생아부터 5살 이하의 유아들은 취침시 숙면을 해야 건강하고 밝게 성장하는 동시에 아기 엄마도 아기 돌봄에서 잠시나마 휴식을 취하고 밤에는 잠을 잘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신생아들은 숙면을 취하지 못하고 수시로 깨어나 울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신생아가 자주 깨는 것은 엄마의 뱃속 양수에 있을 때는 소음 및 빛으로부터 보호를 받아 편안하고 안정감이 있으나, 태어난 후에는 엄마의 뱃속에 있을 때의 안정감보다는 주변의 소음과 빛에 의해 안정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깊은 숙면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신생아는 태어나서 주변환경에 익숙해질 때까지는 백일에서 돌이 지나야 서서히 익숙해지게 되나, 일반적으로는 아기가 태어나면 엄마들이 좀 더 편리하게 보살피기 위해 밤에 형광등 또는 취침등을 켜놓고 아기를 재우게 되며, 특히 낮에는 환한 상태에서 잠을 자게 됨으로 빛이 아기 눈에 비추고 있는 상태가 됨으로 아기는 눈을 감고있어도 동공에서 빛을 인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빛이 비추고 있는 상태에서 취침하게 되면 주변의 작은 소음이 발생시 아기는 숙면을 못하고 바로 깨어나게 됨으로 아기 엄마는 다시 아기 돌봄을 하게 됨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지치게 된다.
따라서 신생아를 비롯한 5세 이하 아기의 경우 취침시 빛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하여 좀 더 편안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분야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2012-0006078호(공개일자 2012년08월30일)의 아기 쿠션 침대(이하 "선행기술"이라 한다)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쿠션(10A)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수평으로 눕혀지거나 수직으로 세워지는 단변측 및 장변측 측벽쿠션(10B)을 가지며, 이들 각 쿠션의 시트천 모서리 부분에 장착되어 있는 지퍼(11) 및 보조끈(12)에 의해 결속되는 침구(20)와, 이 침구를 구성하는 양 단변측 측벽쿠션(10B)의 바깥쪽 하단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반구형으로 탄력있게 설치되는 차양막(30)으로 이루어져 있는 구성이 개시되었다.
상기 선행기술 역시 햇살이나 조명으로부터 직접적인 빛을 차단시켜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쿠션침대 위에 모기장 등의 차양막을 설치하여 착탈시킬 수 있도록 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아기 쿠션 침대는 아기가 취침할 수 있도록 된 침구상에 차양막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방에 한정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된 구조로서 장소 등에 구애를 받아 자유롭게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상기 선행기술은 모기장이나 천 등을 이용하여 차광막을 형성함으로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폴대가 구비되어야 함으로 설치 및 보관에 불편한 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607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벼운 플라스틱 패널, 종이 패널 등을 이용하여 간단히 접었다 폈다 하는 구조로 차광막 하우스를 형성하여 아기가 취침시 햇빛, 조명등 빛으로부터 눈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차광막 기능과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차음 기능을 갖도록 하여 편안한 잠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목적과,
또 다른 목적으로는 여행시 숙박장소나 야외에서 아기 또는 성인이 잠잘 때 빛으로부터 눈을 보호할 수 있는 차광막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차광막 하우스를 접어서 간편 용이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차광막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벽을 형성하는 제1패널 및 제4패널과, 지붕을 형성하는 제2패널 및 제3패널과 문을 형성하는 제5패널로 이루어진 하우스본체와;
상기 벽, 지붕, 문으로 절첩 조립할 수 있도록 각 패널과 패널 사이에 절첩선이 형성되어 차광막 하우스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음 및 차광막 하우스의 문을 고정할 수 있도록 제5패널 단부와 제4패널 일측 단부에 착탈수단이 형성되어 문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붕을 형성한 제2패널과 제3패널 일측 단부에 빛 차단 보조날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스본체의 지붕을 구성하는 제2패널 또는 제3패널 내측 경사면에 거치대가 설치되어 모바일기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벽을 형성하는 제1패널과 제4패널에 투시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광막 하우스 외면에는 형광도료피복 또는 형광테이프를 설치하여 야간에 식별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보관시에는 절첩하여 보관하고 사용시에는 차음 및 차광막 하우스로 조립 형성하여 장소와 환경에 구애 없이 아기 또는 성인 취침시 눈을 조명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차광막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벼운 패널로 차광막 하우스를 간단 용이하게 조립하여 아기 취침시 차광막으로 사용하여 빛을 막아줌으로 밤이나 낮에 편안하고 깊은 숙면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또한 아기가 취침시 밤에는 조명등을 차광하고 낮에는 햇살을 차광함으로 아기가 잠잘 때 엄마가 개인적으로 티타임 등 편안한 휴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아기 쿠션 침대에 차광막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차광막 하우스를 조립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전개도.
도3은 본 발명의 차광막 하우스를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차광막 하우스를 조립한 상태의 전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차광막 하우스를 휴대 및 보관하기 위해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차광막 하우스를 아기 취침시 차광막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차광막 하우스 천장에 모바일기기를 설치하기 위한 거치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차광막 하우스의 하우스본체에 투시창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차광막 하우스 입구 지붕추녀에 보조날개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문을 형성하는 제5패널과 대응되는 후면에 모기장을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광막 하우스의 문을 여닫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의 차광막 하우스를 조립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차광막 하우스를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차광막 하우스를 조립한 상태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차광막 하우스를 휴대 및 보관하기 위해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차광막 하우스를 아기 취침시 차광막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도2 내지 도5는 차광막 하우스(100)를 전개도(도2)에서부터 조립단계(도3)를 거쳐 완전히 조립된 상태(도4)에서 사용 후 접어서(도5) 보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차광막 하우스(100)를 조립하기 전 전개도로서 벽(111)을 형성하는 제1패널(120) 및 제4패널(123)과 지붕(112)을 형성하기 위한 제2패널(121) 및 제3패널(122)과 문(113)을 형성하는 제5패널(124)로 하우스 본체(110)가 형성한다.
또한 하우스본체(110)의 문(113)을 형성하기 위한 제5패널(124)이 제1패널(120)의 일측 단에 형성되어 차광막 하우스(100)를 구성한다.
상기 차광막 하우스(100)를 구성하는 하우스본체(110)는 제1패널(120) 내지 제5패널(124)이 연결되는 각각의 패널 연결부에는 요홈으로 형성된 절첩선(130)이 형성되어 벽(111), 지붕(112), 문(113)을 형성한다.
상기 절첩선(130)은 전후면으로 접을 수 있도록 각 패널의 연결부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요홈을 형성한다.
상기 절첩선(130)을 형성하는 요홈은 반홈, 유자홈, 브이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113)을 형성하는 제5패널(124)의 일측 단부와 제4패널(123)의 일측단부에는 착탈수단(140)이 형성되어 서로 대응되면서 접착 고정된다.
상기 문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제4패널(123)과 제5패널(124)의 일측 단부에 서로 탈부착되도록 설치되는 착탈수단(140)은 벨크로즈(매직테이프), 자석, 훅크 등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광막 하우스(10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입구는 문이 없는 상태의 공간부이고 문(113)은 차광막 하우스(100) 배면 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사용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차광막 하우스를 아기 취침시 차광막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아기가 취침시 차광막 하우스(100)의 문(113)이 아기 머리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즉 본 발명은 아기가 취침시 조명 빛 또는 햇살로부터 눈을 보호하고 가리기 위한 것으로 차광막 하우스(100)를 사용시 얼굴과 가슴 또는 배를 가릴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빛을 차단하는 차광막으로 사용하기 위해 도2에 도시된 전개도의 절첩선(130)을 이용하여 제1패널(120)과 제4패널(123)을 절곡하여 수직으로 세우면 "
Figure 112020116028655-pat00001
"와 같은 형상으로 하우스본체(110)가 절곡된다.
상기와 같이 제1패널(120)과 제4패널(123)을 절곡하여 세운 후에는 제2패널(121)과 제3패널(122) 사이의 절첩선(130)을 상부로 들어올려 "∧"와 같은 형상으로 절곡하면 차광막 하우스(100)의 전체적인 형상이 "
Figure 112020116028655-pat00002
"형과 같이 절곡된다.
이때 제2패널(121)과 제3패널(122) 사이의 절첩선(130)을 상부로 들어올려 "∧"와 같은 형상으로 절곡시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제1패널(120)과 제4패널(123)의 거리는 일측에 형성된 제5패널(124)의 길이만큼 이격되도록 한 후 제5패널(124)의 절첩선(130)을 절첩시킨 후 제5패널(124)의 일측에 형성된 착탈수단(140)을 제4패널(123)의 일측에 형성된 착탈수단(140)과 접착시키면 문(113)이 닫힌 상태가 되는 동시에 제1패널(120)과 제4패널(123)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여 차광막 하우스(100)가 넘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하우스 형태를 유지토록한다.
상기 제4패널(123)과 제5패널(124)에 형성된 착탈수단(140)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벨크로즈(일명: 매직테이프), 자석, 훅크 중 어느 하나의 착탈수단(140)으로 설치된다.
도2 내지 도6은 아기가 취침시 차광막 하우스(100)가 머리에서 배부분까지 씌워져 빛을 가릴 수 있는 차광막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 크기로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차광막 하우스(100)는 필요에 따라서 아기의 목, 가슴, 배 부분이 가려질 수 있는 크기와 또는 성인이 사용할 수 있는 크기로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차광막 하우스 천장에 모바일기기를 설치하기 위한 거치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7은 본 발명의 차광막 하우스(100) 내부에 모바일기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포켓형태의 거치대(150)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 거치대(150)에는 휴대폰, 태블릿PC 등을 설치하여 아기가 취침 전 동요, 어린이 드라마 등을 보여줄 수 있도록 하여 엄마가 책을 읽어주는 효과 또는 구연동화를 해주는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거치대(150)는 아기가 누웠을 때 눈으로 편안하게 바라볼 수 있도록 포켓을 형성하는 제2패널 또는 제3패널의 내측천장 경사면에 설치한다.
상기 거치대(150)를 제2패널(121) 또는 제3패널(122)에 설치하는 것은 아기를 눕힐때 얼굴의 방향을 반드시 좌측 우측으로 정할 필요가 없음으로 필요에 따라서 제2패널(121)과 제3패널(122) 내측 경사면에 모두 설치하거나 어느 일측에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150)는 도5와 같이 차광막 하우스(100)를 휴대 및 보관하기 위해 접을 때 불편하지 않도록 모바일기기의 화면이 투시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창을 갖는 직물지, 합성수지직물, 연질합성수지 시트 등으로 포켓과 같은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 별도의 거치대를 하우스본체(110) 내부에 걸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거치대(150)는 성인도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차광막 하우스(100)를 크게 형성한 경우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차광막 하우스(100)는 필요에 따라서 성인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제작시 아기용과 성인용을 각각 제작할 수도 있고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차광막 하우스의 하우스본체에 투시창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하우스본체(110)의 벽(111)을 형성하는 제1패널(120)과 제4패널(123)과 문(113)을 형성하는 제5패널(124)에 투시창(160)을 선택적으로 형성하여 차광막 하우스(100) 내에서 취침하는 아기를 수시로 측면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아기가 잠에서 깨었을 때 주변이 보이도록 함으로 갑자기 놀라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신생아 또는 5살 이하의 유아는 취침중에 열이 올라올 수도 있고, 잠결에 뒤척이다가 엎어져 이불이나 요 등에 의해 입과 코를 막는 경우가 있으므로 엄마가 수시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상기 투시창(160)은 천장에 설치된 조명등 또는 낮에 햇살이 직접적으로 아기 얼굴에 조사되지 않는 각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아기 엄마가 제1패널(120) 또는 제4패널(123)의 벽(111)측 위치한 경우 에 아기 얼굴이 잘 보일 수 있도록 눈으로 투시가 가능한 크기의 직사각창, 원형, 타원형의 투시창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도시된 도8의 투시창(160)은 일례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제작시 크기와 위치는 조절될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차광막 하우스 입구 지붕추녀에 보조날개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하우스본체(110)의 지붕(112)을 형성하는 제2패널(121)과 제3패널(122)의 전면 단부(지붕추녀 부분)에는 보조날개(112-1)를 형성하여 하우스 본체(110)를 조립시 제2패널(121)과 제3패널(122) 사이의 전면에 발생되는 공간부 상부를 막아 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2패널(121)과 제3패널(122)의 전면 단부에 형성되는 보조날개(112-1)는 차광막 하우스(100)로 조립하였을 때 지붕(112)의 추녀부분이 수평으로 직선이 될 수 있도록 전개도를 디자인할 때 이를 감안하여 디자인한다.
즉 도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기가 취침시 차광막 하우스(100) 사용하여 차광 가리개로 사용시 전면의 제2패널(121)과 제3패널(122)이 "∧"와 같은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이부분을 빛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보조날개(112-1)를 설치한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문을 형성하는 제5패널과 대응되는 전면에 모기장을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로서, 후면에 설치되어 문을 형성하는 제5패널(124)과 대향되는 전면 공간부에는 모기장(170) 형태의 망을 착탈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2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막 하우스(100)는 후면에 위치한 문(113)과 대응되는 전면에는 벽이 형성되지 않고 공간부로 형성하여 아기의 몸이 위치하게 된 것이나, 필요에 따라서 차광막 하우스(100)를 텐트와 같이 크게 형성하여 아기를 안에서 재울 수 있으며 이때에는 전면 공간부에 모기장(170) 형태의 망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차광막 하우스(100)는 사용시 후면의 문(113) 측을 아기 엄마가 취침하는 침대 측 또는 방의 벽측에 근접되도록 위치시킬 수도 있고 모기장(170)이 설치된 측을 침대 측 또는 방의 벽측에 근접되도록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기가 취침시 차광막 하우스(100)를 이용하여 조명등 빛이나 햇살로부터 보호하여 편안하고 깊은 숙면을 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필요에 따라서 도10과 같이 차광막 하우스를 크게 제작하여 아기의 몸 전체가 들어갈 수도 있고, 작게 형성하여 아기의 얼굴과 가슴만을 차광막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10과 같이 입구측의 공간부에 모기장을 설치함으로서 모기로부터 아기를 보호할 수도 있지만 공간부가 개방된 상태일 경우 아기가 빛으로부터 보호받지 못하기 때문에 모기장(170)과 같은 망을 설치하여 빛이 직접적으로 아기 얼굴에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취침하는 아기가 답답하지 않고 공기가 원활하게 소통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광막 하우스 외면에는 형광도료를 피복하거나 형광테이프를 부착하여 야간에 차광막하우스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하여 방의 조명등을 모두 소등한 상태에서 화장실이나 거실 등으로 이동시 쉽게 식별이 쉽게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광막 하우스의 문을 여닫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실시하는 차광막 하우스의 문은 좌측 또는 우측에서 여닫더라고 문제가 없는 것으로 문을 여닫는 상태의 이해를 돕도록 전면서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광막 하우스(100) 내부에 아기의 침구를 깔고 아기를 취침시킴으로 밤 또는 낮에 천장의 조명등 빛과 햇살로부터 차단함으로 함으로 아늑하고 포근한 느낌을 주게 됨으로 아기는 취침시 숙면을 할 수 있게된다.
또한 본 발명의 차광막 하우스(100)는 빛으로부터 차광하는 효과와 더불어 소음을 방지하는 차음효과를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차광막 하우스(100)가 낮은 소음이나 부스럭대는 소리를 차단하여 아기가 취침시 놀라서 깨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래 신생아나 유아들은 큰소리가 아닌 부스럭대는 소리에도 민감한 반응을 보여 놀라 깨거나 놀라서 울음을 터트리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빛을 차단하는 효과와 더불어 작은 소리를 차음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플라스틱, 직물, 종이 중 어느 하나의 가벼운 재질로 절첩식 차광막 하우스를 형성하여 아기가 취침시 천장의 조명등 빛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아기의 눈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취침시 숙면을 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차광막 하우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00:차광막하우스 110:하우스본체
111:벽 112:지붕
112-1:보조날개 113:문
120:제1패널 121:제2패널
122:제3패널 123:제4패널
124:제5패널 130:절첩선
140:착탈수단 150:거치대
160:투시창 170:모기장

Claims (6)

  1. 벽을 형성하는 제1패널 및 제4패널과, 지붕을 형성하는 제2패널 및 제3패널과 문을 형성하는 제5패널로 이루어진 하우스본체와;
    상기 벽, 지붕, 문으로 절첩 조립할 수 있도록 경량의 플라스틱패널로 이루어진 제1패널 내지 제5패널이 연결되는 각각의 패널 연결부에는 각 패널과 패널 사이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요홈을 형성한 절첩선이 형성되어 차광막 하우스를 형성하고,
    상기 차광막 하우스의 문을 고정할 수 있도록 제5패널 단부와 제4패널 일측 단부에 착탈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지붕을 형성한 제2패널과 제3패널 전면 단부에 빛 차단 보조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스본체의 지붕을 구성하는 제2패널 또는 제3패널 내측 경사면에 디스플레이창을 갖는 거치대가 설치되어 모바일기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되며,
    상기 하우스본체의 벽을 형성하는 제1패널과 제4패널과 문을 형성하는 제5패널에 투시창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스본체의 문을 형성하는 제5패널과 대향되는 전면 입구 공간부에는 모기장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차광막 하우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 하우스 외면에는 형광도료피복 또는 형광테이프를 설치하여 야간에 식별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차광막 하우스.
  6. 삭제
KR1020200143532A 2020-10-30 2020-10-30 휴대용 차광막 하우스 KR102539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532A KR102539103B1 (ko) 2020-10-30 2020-10-30 휴대용 차광막 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532A KR102539103B1 (ko) 2020-10-30 2020-10-30 휴대용 차광막 하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8131A KR20220058131A (ko) 2022-05-09
KR102539103B1 true KR102539103B1 (ko) 2023-06-01

Family

ID=81582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3532A KR102539103B1 (ko) 2020-10-30 2020-10-30 휴대용 차광막 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1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325B1 (ko) 2012-11-29 2013-12-09 (주)디자인스킨 다용도 하우스형 범퍼매트
KR200485388Y1 (ko) 2017-01-26 2018-01-03 유청기 가변형 매트 세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255Y1 (ko) * 1995-08-25 1998-12-15 김재덕 발광효과를 갖는 텐트
JPH1068250A (ja) * 1996-08-27 1998-03-10 Ochi Kogyosho:Kk 折り畳みテントの切妻部骨組構造
KR20120006078U (ko) 2011-02-22 2012-08-30 김재원 아기 쿠션 침대
KR101769253B1 (ko) * 2015-09-12 2017-08-18 임대섭 하우스형 변형 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325B1 (ko) 2012-11-29 2013-12-09 (주)디자인스킨 다용도 하우스형 범퍼매트
KR200485388Y1 (ko) 2017-01-26 2018-01-03 유청기 가변형 매트 세트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인터넷: < URL: https://blog.naver.com/annalee90/220890128276 >
네이버 블로그, 인터넷: < URL: https://blog.naver.com/king0655/221729882353 >
네이버 블로그, 인터넷: < URL: https://blog.naver.com/luckygirljoo/22127755313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8131A (ko) 202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19144A1 (en) Attachable swing shade
US20090066123A1 (en) Child-care instrument and hood
TWI809891B (zh) 嬰兒床
KR102539103B1 (ko) 휴대용 차광막 하우스
KR200453145Y1 (ko) 차양막부가 설치된 유모차 커버
US8903303B1 (en) Book with padded covers and pages
US20170208963A1 (en) Pillow
KR200463068Y1 (ko) 의자 및 침대 기능을 갖는 휴대용 가방
CN213820701U (zh) 一种多功能蚊帐
JP5096361B2 (ja) インキュベータ
US2392948A (en) Portable crib
KR200294105Y1 (ko) 다기능 아기용 침대
CN211091209U (zh) 一种背包式多功能宠物窝
CN209845930U (zh) 一种易清洗收纳的宠物双肩背包
KR20210094357A (ko) 반려 동물 캐리어
US20160302590A1 (en) Play yard obscurement system
TWI826916B (zh) 頂篷裝置及其兒童載具
KR102435584B1 (ko) 유아침구 겸용 가방
CN208048909U (zh) 一种婴儿护理床
JP2006271859A (ja) 子守帯
CN213640314U (zh) 一种睡眠辅助装置
US11497323B1 (en) Co-sleeper bassinet with collapsible wall panels
CN215684066U (zh) 可折叠和拓展的宠物外出背包
ES1072797U (es) Dispositivo proyector de cuentos infantiles.
KR101524864B1 (ko) 놀이용 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