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357B1 - 연기차단판을 갖는 렌지후드 - Google Patents

연기차단판을 갖는 렌지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357B1
KR102537357B1 KR1020220100601A KR20220100601A KR102537357B1 KR 102537357 B1 KR102537357 B1 KR 102537357B1 KR 1020220100601 A KR1020220100601 A KR 1020220100601A KR 20220100601 A KR20220100601 A KR 20220100601A KR 102537357 B1 KR102537357 B1 KR 102537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plate
vertical blocking
housing
hood
sm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0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환
Original Assignee
박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환 filed Critical 박성환
Priority to KR1020220100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3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기차단판을 갖는 렌지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주방의 화구 상부에 천정의 배기덕트(111)와 연결되게 배치되며, 하부에 필터(12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드하우징(110)과; 상기 후드하우징(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가열기구에서 조리되는 음식으로부터 발생되는 연기의 실내 확산을 차단하는 연기차단판(140)을 포함하며, 상기 연기차단판(140)은, 상기 후드하우징(110)의 상부에 상기 후드하우징(110)의 전방으로 일정길이 수평하게 돌출된 수평차단판(141)과; 상기 수평차단판(141)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후드하우징(110)의 하부를 향해 일정길이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차단판(1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기차단판을 갖는 렌지후드{Range hood with smoke screen}
본 발명은 렌즈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 음식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의 실내 확산을 차단하는 연기차단판을 갖는 렌지후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렌지후드는 주방에서 가스레인지 또는 오븐레인지, 쿡탑 등의 가열기구 상부에 구비되어 가열기구를 통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냄새나 연기, 유증기 등을 흡입하여 실외로 배기한다.
도 1은 종래 렌지후드(20)가 주방에 설치된 단면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렌지후드(20)는 가열기구(11)가 구비된 싱크대(10)의 상부에 배치된다. 렌지후드(20)는 후드본체(21)와, 후드본체(21)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필터(23)와, 후드본체(21) 내부 일측에 설치된 조명램프(22)와, 필터(23)의 상부에 배치되며 회전되는 모터(25)와, 모터(25)에 결합되며 회전하면서 냄새나 연기, 유증기(A) 등을 흡입하는 팬(24)과, 팬(24)을 통해 흡입된 연기(A)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덕트(27)를 포함한다. .
종래 렌지후드(20)는 가열기구(11)에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담겨진 냄비나 후라이팬 등을 놓은 후 가열하게 되면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냄새나 연기, 유증기(A) 등이 발생하게 되고, 도 1에 화살표와 같이 팬(24)이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하여 후드본체(21) 내부로 흡입되면서 필터(23)를 통하여 이물질이 걸러지고, 배기덕트(27)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된다.
그런데, 종래 렌지후드(20)는 팬(24)이 후드본체(21)의 후방 상부 측에 결합되므로 가열기구(11)의 전방으로 인가되는 흡입력이 후방보다 약해질 수 밖에 없다.
이에 전방에 위치된 음식물로부터 발생된 연기(A)가 후드본체(21)로 흡입되지 못하고 전방의 실내를 향해 확산되어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고 실내에 과도한 음식냄새가 잔류하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번호 제10-2016-0093359호 "신축 흡입노줄유닛을 구비한 렌지후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음식물로부터 발생된 연기의 실내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렌지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되는 음식의 종류에 따라 연기 차단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렌지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기차단판을 갖는 렌지후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렌지후드는, 주방의 화구 상부에 천정의 배기덕트(111)와 연결되게 배치되며, 하부에 필터(12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드하우징(110)과; 상기 후드하우징(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가열기구에서 조리되는 음식으로부터 발생되는 연기의 실내 확산을 차단하는 연기차단판(140)을 포함하며, 상기 연기차단판(140)은, 상기 후드하우징(110)의 상부에 상기 후드하우징(110)의 전방으로 일정길이 수평하게 돌출된 수평차단판(141)과; 상기 수평차단판(141)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후드하우징(110)의 하부를 향해 일정길이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차단판(1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차단판(141)은 상기 후드하우징(110)의 상면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후드하우징(1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차단판(143)은 중간수직차단판(143a)과 하부수직차단판(143b)이 다단으로 펼쳐지거나 중첩되게 결합되어, 상기 후드하우징(110) 하부로 연장되는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차단판(143)은 상기 수평차단판(141)의 선단에 상기 후드하우징(110)을 향해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렌지후드는 후드하우징의 상부에 연기의 실내 유입을 차단하는 연기차단판이 구비되어 음식물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가 실내로 유입되어 내부 공기를 오염시키고, 실내에 음식냄새가 퍼지던 종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렌지후드는 조리하는 음식종류에 따라 수평차단판의 돌출길이와 수직차단판의 연장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렌지후드의 연기 배출과정을 도시한 단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렌지후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렌지후드의 연기 배출과정을 도시한 단면예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지후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연기차단판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렌지후드(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렌지후드(100)의 연기 배출경로를 도시한 단면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렌지후드(100)는 가열기구의 상부 천정에 배치되는 후드하우징(110)과, 후드하우징(11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연기(A)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필터(120)와, 후드하우징(110)의 전방에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사용신호를 인가받는 입력보드(130)와, 후드하우징(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음식물로부터 발생된 연기(A)의 실내 확산을 차단하는 연기차단판(1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렌지후드(100)는 후드하우징(110)의 상부에 연기차단판(140)이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전방을 향해 이동되는 연기(A)의 확산경로를 차폐하여 연기(A)가 실내로 유입되지 않고 필터(120)를 통해 후드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이에 의해 연기가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던 종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후드하우징(110)은 가열기구(11)의 상부 천정에 구비되어 연기(A)가 덕트(111)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각 구성들을 지지한다. 후드하우징(110)의 상부에는 연기(A)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덕트(111)가 구비된다. 후드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덕트(111)와 연통되는 영역에 팬(115)과, 팬(115)을 구동시키는 모터(117)가 수용된다.
후드하우징(110)의 내부에는 가열기구(11)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조명(112)이 구비된다. 조명(112)에 해당되는 후드하우징(110)의 하부에는 조명(112)을 투과하는 조명창(113)이 필터(120)와 간섭되지 않게 위치된다.
필터(120)는 후드하우징(11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내부로 흡입되는 연기(A)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준다. 필터(120)는 일정 주기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된다.
입력보드(130)는 후드하우징(110)의 전방에 구비되며 사용자로부어 모터(117) 전원을 조작하는 모터전원버튼, 모터(117)의 구동속도를 조작하는 속도조작버튼, 조명(112)의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버튼과 같은 입력버튼(131)이 구비된다. 또한, 입력보드(130)에는 현재 모터(117)의 on/off 여부와 구동속도 등이 표시되는 표시창(133)이 구비된다.
입력보드(130)의 양측 또는 가운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기차단판(140)에 의해 전방으로의 확산이 차단된 연기(A)를 후드하우징(110) 내부로 유입시키는 전면흡입구(135)가 구비될 수 있다.
전면흡입구(135)는 후드하우징(110)의 전면과 수직차단판(143)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된 연기(A)를 내부로 흡입한다. 이에 의해 수직차단판(143)과 후드하우징(110) 사이에 연기(A)가 갇혀 이동되지 못하고 연기(A)가 정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기차단판(140)은 후드하우징(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대적으로 흡입력이 약한 후드하우징(110)의 전방으로 연기(A)가 확산되지 못하게 연기(A)의 확산경로를 차단한다. 연기차단판(140)은 후드하우징(110)의 상면에 수평하게 형성된 수평차단판(141)과, 수평차단판(141)의 선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 높이 연장형성된 수직차단판(143)을 포함한다.
수평차단판(14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하우징(110)의 전방을 향해 일정길이(W) 돌출되게 형성되어 연기(A)가 상부로 확산되지 못하게 경로를 차단한다. 수직차단판(143)은 수평차단판(141)의 선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높이(h) 연장형성되어 연기(A)가 전방으로 확산되지 못하게 경로를 차단한다.
수평차단판(141)과 수직차단판(143)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내벽면에 부착된 기름때가 쉽게 닦일 수 있도록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수평차단판(141)은 후드하우징(110)이 상면에 접착테잎 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해 고정결합되거나, 경우에 따라 자석이나 암수벨크로 등을 이용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경우 연기차단판(140)만 별도로 구매하여 사용중인 렌지후드의 후드하우징(110) 상부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수평차단판(141)의 돌출길이(W)는 사용자(M)가 요리를 위해 가열기구(11) 앞에 섰을 때 사용자의 머리와 부딪치지 않는 범위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직차단판(143)의 높이(h)는 사용자(M)가 가열기구(11) 앞에 서서 손으로 조리도구(15)를 잡고 요리를 할 때 사용자(M)의 팔의 활동범위와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높이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연기차단판(140)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기구(11)에서 조리중인 조리도구(15)로부터 발생된 연기(A)는 팬(115)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되며 후드하우징(110)으로 흡입된다.
이 과정에서 흡입력이 약해 전방으로 이동된 연기(A)는 수평차단판(141)과 수직차단판(143)에 차단되며 더 이상 실내로 이동되지 못한다. 그리고, 수직차단판(143)에 차단된 연기(A)는 전면흡입구(135)를 통해 후드하우징(110) 내부로 흡입된다.
후드하우징(110) 내부로 흡입된 연기(A)는 덕트(1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지후드(100a)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드하우징(110)은 수평차단판(141)의 돌출길이(W)와 높이(h)가 고정된다. 이 경우, 튀김과 같이 기름이 다량 튀는 음식의 조리와 곰탕과 같이 장시간 연기가 발생되는 요리의 경우 실내로의 연기 및 기름 유입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지후드(100a)의 연기차단판(140a)은 조리되는 음식의 종류에 맞게 수평차단판(141)의 돌출길이(W1)와 수직차단판(143)의 높이(h1)가 조절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수평차단판(141)은 후드하우징(110)의 상부 양측 외주연에 구비된 이동레일(142)을 따라 전후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수평차단판(141)의 후단에는 이동레일(142)에 끼워져 슬라이딩 수평차단판(141)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하는 가이드돌기(141a)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수직차단판(143)을 전방을 향해 당기면 수평차단판(141)이 이동레일(142)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수평차단판(141)이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길이(W1)가 더 길어질 수 있다.
수직차단판(143)은 중간수직차단판(143a)와 하부수직차단판(143b)이 다단으로 구비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차단판(143), 중간수직차단판(143a) 및 하부수직차단판(143b)이 서로 중첩되어 최소높이(h1)로 형성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차단판(143)과 중간수직차단판(143a) 및 하부수직차단판(143b)이 서로 하부로 펼쳐지며 최대높이(h2)로 높이가 신장될 수 있다.
이 때, 도 4의 상부와 하부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차단판(143)의 내부에 중간수직차단판(143a)이 수용되고, 중간수직차단판(143a) 내에 하부수직차단판(143b)이 수용된다. 그리고, 수직차단판(143)의 양측 하부에는 중간수직차단판(143a)의 이동을 단속하는 제1고정핀(143-1)이 나사결합되고, 중간수직차단판(143a)의 하부 외측에는 하부수직차단판(143b)의 이동을 단속하는 제2고정핀(143a-1)이 나사결합된다.
사용자는 제1고정핀(143-1) 또는 제2고정핀(143a-1)을 선택적으로 풀거나 조여 중간수직차단판(143a) 또는 하부수직차단판(143b)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최대높이(h2)는 가열기구(11)를 덮는 높이로 형성되어 튀김과 같이 기름이 튀는 음식을 조리할 때 연기 뿐만 아니라 기름이 주변으로 비산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곰탕과 같이 장시간 조리하는 음식의 경우 최대높이(h2)로 조절된 연기차단판(140a)가 연기(A)의 실내유입을 막아 실내가 음식 냄새로 가득차던 종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는 수평차단판(141)이 이동레일(142)에 수동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구비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모터와 랙, 및 피니언 등의 구성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연기차단판(140b)의 변형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예에 따른 연기차단판(140b)는 수직차단판(143)이 전후로 회동되며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7의 (a)와 (b)는 연기차단판(140)의 회전축하우징(144)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와 결합사시도이고, 도 8의 (a)는 회전축하우징(144)의 평단면구성을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8의 (b)는 회전축하우징(144)의 정단면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차단판(141)의 선단 양측에는 전방을 향해 돌출된 기어결합암(141c)이 구비되고, 기어결합암(141c)에는 축수용고리(147)가 결합된다. 한 쌍의 축수용고리(147)가 수평차단판(141)으로부터 돌출형성되므로 한 쌍의 축수용고리(147) 사이에는 하우징회동공간(141b)이 형성된다. 축수용고리(147)의 마주보는 내벽면에는 외부기어(147a)가 구비된다.
수직차단판(143)의 상부에는 회전축하우징(144)이 결합된다. 회전축하우징(144)은 한 쌍의 축수용고리(147) 사이에 동축상으로 배치된다. 회전축하우징(144)의 양단에는 한 쌍의 외부기어(147a)와 맞닿는 영역에 내부기어(144a)가 형성된다.
그리고, 동축상에 배치된 축수용고리(147)와 회전축하우징(144) 내부로 회전축(146)이 삽입된다. 회전축(146)의 일단에는 고정턱(146b)이 구비되고, 타단의 외주면에는 일정길이 나사산(146a)이 형성된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하우징(144)의 일단과 타단에 구비된 내부기어(144a)는 외부기어(147a)와 기어결합되고, 회전축(146)은 축수용고리(147) 외부로 돌출된다. 축수용고리(147) 외부로 돌출된 회전축(146)에는 와셔(148)가 끼워지고 나비볼트(145)가 나사결합된다.
도 8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비볼트(145)가 나사산(146a)의 내측으로 이동되면 나비볼트(145)의 구속력에 의해 수직차단판(143)은 수평차단판(141)의 하부에 각도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고, 사용자가 나비볼트(145)를 풀고 수직차단판(143)을 희망하는 각도로 회동시키면 내부기어(144a)와 외부기어(147a)가 맞물리며 각도가 조절된다.
조절된 각도로 수직차단판(143)의 위치를 고정시키려면 나비볼트(145)를 다시 조이게 된다.
이러한 변형예에 따른 연기차단판(140b)은 수직차단판(143)의 각도조절에 의해 수평방향 돌출길이와 수직방향 높이를 함께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직차단판(143)이 필요없는 경우 수직차단판(143)을 수평차단판(141)과 나란하게 회동시켜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렌지후드는 후드하우징의 상부에 연기의 실내 유입을 차단하는 연기차단판이 구비되어 음식물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가 실내로 유입되어 내부 공기를 오염시키고, 실내에 음식냄새가 퍼지던 종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렌지후드는 조리하는 음식종류에 따라 수평차단판의 돌출길이와 수직차단판의 연장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렌지후드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렌지후드 110 : 후드하우징
111 : 덕트 112 : 조명
113 : 조명창 115 : 팬
117 : 모터 120 : 필터
130 : 입력보드 131 : 입력버튼
133 : 표시창 135 : 전면흡입구
140 : 연기차단판 141 : 수평차단판
141a : 가이드돌기 141b : 하우징회동공간
141c : 기어결합암 142 : 이동레일
143 : 수직차단판 143-1 : 제1고정핀
143a : 중간수직차단판 143a-1 : 제2고정핀
143b : 하부수직차단판 144 : 회전축하우징
144a : 내부기어 145 : 나비볼트
146 : 회전축 146a : 나사산
146b : 고정턱 147 : 축수용고리
147a : 외부기어 148 : 와셔
A : 연기
M : 사용자

Claims (4)

  1. 주방의 화구 상부에 천정의 배기덕트와 연결되게 배치되며, 하부에 필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드하우징과,
    상기 후드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가열기구에서 조리되는 음식으로부터 발생되는 연기의 실내 확산을 차단하는 연기차단판을 포함하며,
    상기 연기차단판은,
    상기 후드하우징의 상부에 상기 후드하우징의 전방으로 일정길이 수평하게 돌출된 수평차단판과,
    상기 수평차단판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후드하우징의 하부를 향해 일정길이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차단판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차단판은 상기 후드하우징의 상면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후드하우징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길이가 조절되며,
    상기 후드 하우징의 상부 양측 외주연에는 이동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수평차단판의 후단에는 이동레일에 끼워지는 가이드가 설치되어, 상기 수평차단판이 이동레일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수직차단판은 중간수직차단판과 하부수직차단판이 다단으로 펼쳐지거나 중첩되게 결합되어, 상기 후드하우징 하부로 연장되는 높이가 조절되며,
    상기 수직차단판은 내부에 중간수직차단판이 수용되고, 중간수직차단판의 내부에 하부수직차단판이 수용되고, 수직차단판의 양측 하부에는 중간수직차단판의 이동을 단속하는 제1고정핀이 나사결합되고 중간수직차단판의 하부 외측에는 하부수직차단판의 이동을 단속하는 제2고정핀이 나사결합되며, 제1고정핀 또는 제2고정핀을 선택적으로 풀거나 조이는 것을 통해 중간수직차단판 또는 하부수직차단판의 위치를 조정시키며,
    상기 수직차단판은 상기 수평차단판의 선단에 상기 후드하우징을 향해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수평차단판의 선단 양측에는 전방을 향해 돌출된 기어결합암이 구비되고, 기어결합암에는 축수용고리가 결합되며, 축수용고리가 수평차단판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축수용고리 사이에 하우징회동공간이 형성되며, 축수용고리의 마주보는 내벽면에는 외부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수직차단판의 상부에는 회전축하우징이 결합되고, 회전축하우징은 축수용고리 사이에 동축상으로 배치되며, 회전축하우징의 양단에는 외부기어와 맞닿는 영역에 내부기어가 형성되며,
    동축상에 배치된 축수용고리와 회전축하우징 내부로 회전축이 삽입되고, 회전축의 일단에는 고정턱이 구비되고, 타단의 외주면에는 일정길이 나사산이 형성되며,
    회전축하우징의 일단과 타단에 구비된 내부기어는 외부기어와 기어결합되고, 회전축은 축수용고리 외부로 돌출되며, 축수용고리 외부로 돌출된 회전축에는 와셔가 끼워지고 나비볼트가 나사결합되며,
    상기 수직차단판은 나비볼트가 나사산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나비볼트의 구속력에 의해 수평차단판의 하부에 각도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고, 나비볼트를 풀고 수직차단판을 임의의 각도로 회동시키는 경우 내부기어와 외부기어가 맞물리며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20100601A 2022-08-11 2022-08-11 연기차단판을 갖는 렌지후드 KR102537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601A KR102537357B1 (ko) 2022-08-11 2022-08-11 연기차단판을 갖는 렌지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601A KR102537357B1 (ko) 2022-08-11 2022-08-11 연기차단판을 갖는 렌지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7357B1 true KR102537357B1 (ko) 2023-05-26

Family

ID=86536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0601A KR102537357B1 (ko) 2022-08-11 2022-08-11 연기차단판을 갖는 렌지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35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7715A (ko) * 2004-08-21 2006-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방용 후드의 차단판 개폐장치
KR200422082Y1 (ko) * 2006-05-12 2006-07-20 (주)은하 후드 조립체
KR101469130B1 (ko) * 2013-06-21 2014-12-09 김선엽 배기후드
KR20160093359A (ko) 2015-01-29 2016-08-08 김은각 신축 흡입노즐유닛을 구비한 렌지후드
JP2021103018A (ja) * 2019-12-25 2021-07-15 東洋アルミエコープロダクツ株式会社 油煙捕集支援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7715A (ko) * 2004-08-21 2006-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방용 후드의 차단판 개폐장치
KR200422082Y1 (ko) * 2006-05-12 2006-07-20 (주)은하 후드 조립체
KR101469130B1 (ko) * 2013-06-21 2014-12-09 김선엽 배기후드
KR20160093359A (ko) 2015-01-29 2016-08-08 김은각 신축 흡입노즐유닛을 구비한 렌지후드
JP2021103018A (ja) * 2019-12-25 2021-07-15 東洋アルミエコープロダクツ株式会社 油煙捕集支援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6554B2 (en) Fume exhaust apparatus for cooking stoves
KR102350472B1 (ko) 조리장치
WO2016052843A1 (ko) 급배기 겸용 인덕션 환기시스템
ATE473667T1 (de) Verbesserter grill und grillkomponenten
AU2018347080A1 (en) Fume collecting assembly, range hood, side suction range hood, range hood for two-sided fume collection and central air intake, range hood with partition, and central fume purification device
CN113310087A (zh) 一种吸油烟机
KR20160104514A (ko) 이동식 렌지 후드
KR20080060395A (ko)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KR102537357B1 (ko) 연기차단판을 갖는 렌지후드
US6872917B2 (en) Automatic cooker
US10830454B2 (en) Ventilation systems having reconfigurable airflow features
US10883727B2 (en) Freestanding portable splatter shield
JPH02219917A (ja) 家庭電化製品の制御手段を支持する装置
KR101624607B1 (ko) 주방 환기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3295433A (en) Kitchen range hood
KR200344331Y1 (ko) 식당용 가스 조리대
KR102269442B1 (ko) 조리기기
US20200340683A1 (en) Ventilation pot cover
CN219624115U (zh) 烹饪加热装置、锅具及烹饪器具
KR200190120Y1 (ko)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고내용 램프 브라켓 취부구조
BE1029056B1 (de) Beleuchtungseinrichtung und Dunstabzugshaube
KR102474743B1 (ko) 측방차폐형 입식 배기후드
CN218583240U (zh) 一种厨房电器
JPH0737853B2 (ja) レンジフード
KR20060104278A (ko) 슬라이딩 타입의 백가드가 구비된 오븐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