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3359A - 신축 흡입노즐유닛을 구비한 렌지후드 - Google Patents

신축 흡입노즐유닛을 구비한 렌지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3359A
KR20160093359A KR1020150014253A KR20150014253A KR20160093359A KR 20160093359 A KR20160093359 A KR 20160093359A KR 1020150014253 A KR1020150014253 A KR 1020150014253A KR 20150014253 A KR20150014253 A KR 20150014253A KR 20160093359 A KR20160093359 A KR 20160093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pipe
nozzle unit
suction nozzle
h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4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각
Original Assignee
김은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각 filed Critical 김은각
Priority to KR1020150014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3359A/ko
Publication of KR20160093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33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F24C15/2085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adjustable in he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65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fan combined with single duct; mounting arrangements of a fan in a 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신축 흡입노즐유닛을 구비한 렌지후드가 개시된다. 개시된 렌지후드는 주방의 가열조리용렌지 상부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조리시 발생되는 조리가스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렌지후드에 있어서, 내부에 메인블로워가 설치되며, 하면 일측에 흡입관을 구비한 후드본체; 및, 상기 흡입관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하 길이조절가능하여 하단부가 상기 가열조리용렌지에 올려진 조리냄비와 근접하게 배치되는 신축 흡입노즐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신축 흡입노즐유닛은, 상기 자바라 형태의 주름관으로 형성되고, 신축가능하여 길이조절되도록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흡입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연통; 상기 연통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팬모터; 상단이 상기 보조팬모터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 내주면에는 링형태의 액상슬러지 수용홈이 돌출형성된 보호관; 및, 메쉬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보호관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액상슬러지 수용홈 상에 올려져 설치되는 여과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축 흡입노즐유닛을 구비한 렌지후드{RANGE HOOD HAVING TELESCOPIC SUCTION-NOZZLE UNIT}
본 발명은 가스렌지, 전기렌지 등 가열조리용렌지의 상부에 설치되어 조리시 발생되는 냄새, 증기, 연기등을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렌지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로 신축하게 설치되어 하단부를 가열조리용렌지 위에 올려진 조리냄비와 근접하게 위치시켜 흡입효율을 향상시키도록 신축 흡입노즐유닛을 구비한 렌지후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렌지, 전기렌지(인덕션) 등 주방의 가열조리용렌지(range) 상부에는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 증기, 열기, 냄새를 포함한 공기를 제거해주기 위해서 렌지후드가 설치된다. 종래의 렌지후드에 대해 공개특허 1997-0011602호, 등록실용 20-0345113호, 등록특허 10-0595572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렌지후드는 도 1과 같이, 가스렌지(13)의 화구(15) 상부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가스렌지(13)를 이용한 가열조리시 연기, 증기, 열기, 냄새를 포함한 공기(이하 '조리가스'라 함)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거나 여과하여 실내로 재순환되도록 배출해준다.
구체적으로, 렌지후드는 크게, 하단(22)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 일측에는 배출구(23)가 형성된 후드본체(21)와, 이 후드본체(21)의 배출구(23) 상에 설치되는 블로워(24)로 구성된다. 사용자가 조작부(27)를 조작해 블로워(24)가 구동되면, 흡입력이 발생되고, 이 흡입력에 의해 가스렌지(13)를 통한 조리시 발생되는 조리가스가 흡입구(22)를 통해 흡입되어 배출구(23)를 통해 배출되고, 이 배출구(23)와 연결된 배출덕트(w)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렌지후드의 흡입구(22)측에는 메쉬망 형태의 필터판넬(25)이 설치되어, 조리가스의 흡입시 크기가 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블로워(24)의 고장을 방지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렌지후드는 위치가 가변적이지 않고 고정된 형태일 뿐 아니라, 화구(15)의 상부에 상당히 떨어지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리가스가 많이 발생되는 경우 흡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주방내로 퍼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10-1419387호에는 렌인지후드 하단에 주름관이 설치된 레인지후드용 연통장치가 개시된다.
이러한 등록특허 10-1419387호는 주름관을 조리냄비 근처에 가까이 위치시켜 조리냄비에서 발생되는 조리가스를 흡입하는 흡입효율이 좋아지기는 하나, 주름관의 하부에서만 흡입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렌지후드의 바닥에 형성된 흡입구에서도 흡입이 이루어져서 주름관의 하부에서 흡입력이 집중되지 못해 흡입력에 한계가 있었으며, 또한, 렌지후드 본체에 설치된 팬에 의해서만 흡입력이 발생하므로 흡입력에 한계가 있어 주름관을 통한 흡입력에도 한계가 있었다.
아울러, 등록특허 10-1419387호는 장기간 사용시 주름관 내면에 응축되거나 고착형성된 액상슬러지의 양이 많아지면, 이 액상슬러지가 주름관 내면을 타고 흘러내려 주름관 하단을 통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심하면 조리음식에 액상슬러지가 떨어져 음식을 먹지못하고 버리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상하신축되어 조리냄비에 가까이 위치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흡입력을 향상시키도록 보조팬모터를 설치한 신축 흡입노즐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조리가스의 흡입효율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액상슬러지가 떨어지지 않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신축 흡입노즐유닛을 구비한 렌지후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신축 흡입노즐유닛을 구비한 렌지후드는 주방의 가열조리용렌지 상부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조리시 발생되는 조리가스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렌지후드에 있어서, 내부에 메인블로워가 설치되며, 하면 일측에 흡입관을 구비한 후드본체; 및, 상기 흡입관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하 길이조절가능하여 하단부가 상기 가열조리용렌지에 올려진 조리냄비와 근접하게 배치되는 신축 흡입노즐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신축 흡입노즐유닛은, 상기 자바라 형태의 주름관으로 형성되고, 신축가능하여 길이조절되도록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흡입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연통; 상기 연통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팬모터; 상단이 상기 보조팬모터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 내주면에는 링형태의 액상슬러지 수용홈이 돌출형성된 보호관; 및, 메쉬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보호관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액상슬러지 수용홈 상에 올려져 설치되는 여과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축 흡입노즐유닛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신축 흡입노즐유닛은 상기 가열조리용렌지의 화구수와 동일한 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의 내주면에 나선형태로 설치되고, 상단과 하단이 상기 연통의 상부 및 하부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보조팬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선;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조팬모터는 일측에 전원공급용 단추형 건전지장착수단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통은 형상기억합금재질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통의 상단과 상기 흡입관을 접속결합시키는 제1고정수단; 및, 상기 연통의 하단과 상기 보조팬모터의 상단을 접속결합시키는 제2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수단 및 상기 제2고정수단 각각은 호스클램프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후드본체는 상기 흡입관이 형성된 저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저면부는 상기 후드본체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후드본체는 상기 흡입관이 형성된 저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저면부는 상기 후드본체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주방의 가열조리용렌지 상부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조리시 발생되는 조리가스를 흡입하여 배출하도록, 하부이 개방된 후드본체를 구비한 렌지후드에 있어서, 상기 후드본체의 개방된 하단을 막도록 결합되며, 일측에 흡입관이 형성된 저면부; 및, 상기 흡입관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하 길이조절가능하여 하단부가 상기 가열조리용렌지에 올려진 조리냄비와 근접하게 배치되는 신축 흡입노즐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신축 흡입노즐유닛은, 상기 자바라 형태의 주름관으로 형성되고, 신축가능하여 길이조절되도록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흡입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연통; 상기 연통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팬모터; 상단이 상기 보조팬모터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 내주면에는 링형태의 액상슬러지 수용홈이 돌출형성된 보호관; 및, 메쉬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보호관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액상슬러지 수용홈 상에 올려져 설치되는 여과망;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신축 흡입노즐유닛의 하단부를 가열조리용 렌지에 올려진 조리냄비에 근접하게 위치시킴으로써, 조리냄비에서 발생하는 냄새, 증기, 연기 등을 포함한 공기(조리가스)를 완벽하게 흡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신축 흡입노즐유닛의 하단부에 보조팬모터가 설치되어 있어, 후드본체에 설치된 메인블로워의 흡입력과 더불어 보조팬모터의 흡입력이 보강되어 보다 완벽하게 조리가스를 흡입해서 주방내로 조리가스가 빠지는 것을 확실히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축 흡입노즐유닛은 보조팬모터의 하단에 보호관이 설치되어 있어, 음식을 조리하는 사람의 손이 보조팬모터의 임펠러에 닿아 상처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축 흡입노즐유닛의 내주면에 응축되거나 고착되어 형성된 액상슬러지가 조리냄비측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보호관의 하단에 액상슬러지 수용홈이 형성되어, 보다 위생적으로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축 흡입노즐유닛이 복수개로 구성되거나 가열조리용 렌지의 화구의 수에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화구에 올려진 냄비 각각에 신축 흡입노즐유닛을 적용하여 조리가스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렌지후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렌지후드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렌지후드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렌지후드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렌지후드의 연통에 전원공급선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렌지후드에서 신축흡입노즐유닛의 하단부 일측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렌지후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렌지후드의 정면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신축 흡입노즐유닛을 구비한 렌지후드(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렌지후드(100)는 후드본체(110)와 신축 흡입노즐유닛(A)을 포함한다.
후드본체(110)는 내부에 시로코팬이나 여타의 후드용 송풍기로 이루어진 메인블로워(112)가 내장설치되며, 저면부(111) 상에 흡입관(116)이 형성된다. 이 흡입관(116)은 신축 흡입노즐유닛(A)의 수와 대응되는 수로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신축 흡입노즐유닛(A)이 2개 설치되어 있으므로 흡입관(116)도 2개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후드본체(110)는 신축 흡입노즐유닛(A)을 통해 조리가스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거나 여과하여 순환되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후드본체(110)는 기존에 비해 하부가 개방되지 않고 저면부(111)에 의해 막혀있는 구조이고, 이 저면부(111)에 흡입관(116)이 형성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기존의 렌지후드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 저면부(111)는 도 2와 같이 후드본체(110)의 하단에 일체로 연장형성된다.
신축 흡입노즐유닛(A)은 후드본체(110)의 저면부(111)에 형성된 흡입관(116)에 결합설치되며, 신축가능한 구조로서 길이조절가능하여 하단부가 가스렌지(13)에 올려진 조리냄비(18,19)에 상부에 근접하도록 배치하여 조리가스(연기,증기,냄새 등을 포함한 공기)의 흡입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축 흡입노즐유닛(A)은 한개 또는 복수개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특히, 도 2와 같이 가스렌지(13)의 화구(15)의 수에 대응되게 2개로 구성된다. 즉, 화구(15)의 수가 2개짜리 가스렌지(13)일 경우, 신축 흡입노즐유닛(A)은 2개로 구성되며, 화구(15)가 3개일 경우, 신축 흡입노즐유닛(A)도 3개가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흡입관(116)도 신축 흡입노즐유닛(A)의 수와 대응되는 수로 구성되어야 한다.
각각의 신축 흡입노즐유닛(A)은 동일한 구성이므로, 한개의 신축 흡입노즐유닛(A)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신축 흡입노즐유닛(A)은 연통(120), 보조팬모터(130), 보호관(140), 여과망(150)을 포함한다.
연통(120)은 자바라형태의 원형주름관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자바라식 연통(120)은 통상의 연통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신축되어 길이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연통(120)의 상단(121)에는 흡입관(116)이 제1고정수단(125)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접속결합된다. 제1고정수단(125)은 호스클램프로 이루어지며, 연통(120)의 상단(121)에 흡입관(116)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1고정수단(125)으로 연통(120)의 상단(121)을 감싸고 조임볼트부(125a)를 회전시켜줌으로써 연통(120)의 상단(121)을 흡입관(116)에 결합고정시킬 수 있다.
연통(120)의 하단(123)에는 보조팬모터(130)의 상단이 제2고정수단(127)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접속결합된다. 제2고정수단(127)은 호스클램프로 이루어지며, 연통(120)의 하단(123)에 보조팬모터(130)의 상단 외주면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2고정수단(127)으로 연통(120)의 하단(123)을 감싸고 조임볼트(127a)를 회전시켜줌으로써 연통(120)의 하단(123)에 보조팬모터(130)가 결합고정된다.
보조팬모터(130)는 원통형의 케이싱(131)과, 이 원형의 케이싱(131)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임펠러(132)와, 임펠러(132)와 연결되도록 케이싱(131) 내에 설치되어 전원공급에 의해 임펠러(132)를 회전시키는 모터(133, 도 3참조)를 포함한다.
보조팬모터(130)는 케이싱(131)의 상단 외주면이 연통(120)의 하단(123)에 삽입된 상태로, 제2고정수단(127)을 통해 결합고정되어 설치된다.
본 발명은 보조팬모터(1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도 5와 같이 연통(120)의 내주면에 전원공급선(137)이 설치될 수 있다. 전원공급선(137)은 연통(12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태로 설치되며, 양단은 연통(1120)의 상부 및 하부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양단에는 커넥터(137a)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공급선(137)의 하단에 구비된 커넥터(137a)를 보조팬모터(130)의 모터(133)의 연결단자(미도시)에 접속연결하고, 상단에 구비된 커넥터(137a)는 후드본체(110) 내의 전원선(미도시)에 연결함으로써, 상용전원을 전원공급선(137)을 통해 보조팬모터(130)에 전달하여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후드본체(110) 내에서는 상용전원과 연결되어 교류를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아답터(미도시)가 구비되어 보조팬모터(130)가 직류전원용일 경우, 이 아답터(미도시)와 전원공급선(137)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보조팬모터(130)는 상용전원에 의해 구동되지 않고 건전지에 의해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팬모터(130)의 케이싱(131) 일측에는 모터(13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단추형건전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수단(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보호관(140)은 원통형태로 이루진 것으로 조리시 부주의로 인해 손가락이 보조팬모터(130)의 임펠러(132)에 닿아 부상당하는 일이 없도록 보조팬모터(130)의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보호관(140)은 보조팬모터(130)의 케이싱(131) 하단 외주면에 나사부재(s)를 통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보호관(140)의 상단에는 원주를 따라 균등하게 복수의 나사통과공(143)이 형성되고, 보조팬모터(130)의 케이싱(131) 하단에는 원주를 따라 상기 나사통과공(143)과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결합공(134)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보호관(140) 상단에 보조팬모터(130)의 케이싱(131) 하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나사부재(s)를 나사통과공(143)에 통과시키고 나사결합공(134)에 나사체결함으로써 보호관(140)을 보조팬모터(130)의 하단에 결합할 수 있다.
보호관(140)의 하단 내주에는 액상슬러지 수용홈(145)이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보호관(140)은 굽힙 가능한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호관(140)의 하단을 내측으로 말아서 "U"자 형태의 액상슬러지 수용홈(145)을 형성할 수 있다.
액상슬러지 수용홈(145)은 액상슬러지가 보호관(140) 내면을 타고 보호관(140) 아래로 떨어지지 않도록 액상슬러지를 수용하는 기능 뿐 아니라, 여과망(150)을 설치하기 위한 지지부 역할도 수행한다.
여과망(150)은 원통형의 메쉬판 형태로 형성되며, 보호관(140)의 내경보다 작고, 액상슬러지 수용홈(145)의 내측보다는 큰 직경을 갖도록 구성된다. 여과망(150)은 보호관(14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삽입되어 액상슬러지 수용홈(145)에 올려져, 보호관(140) 하부로 빠지지 않도록 액상슬러지 수용홈(145)에 지지되어 설치된다. 여과망(150)에 의해 보호관(140) 내로 흡입되는 조리가스에서 크기가 큰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신축 흡입노즐유닛을 구비한 렌지후드의 사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리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연통(120)을 수축시킨 상태로 두었다가, 조리를 하여 조리냄비(18,19)에서 조리가스(열기, 냄새, 증기, 연기 등을 포함한 공기)가 발생하게 되면 도 4와 같이 보호관(140)을 끌어내려 연통(120)의 길이가 늘어나도록 신장시킴으로써 보호관(140)의 끝단이 조리냄비(18,19)에 근접하도록 위치시킨다.
이에 따라, 조리냄비(18,19)에서 발생하는 조리가스가 조리냄비(18,19)와 근접하게 위치한 보호관(140)으로 바로 들어가기 때문에 조리가스가 주방 내부공간으로 새나가서 퍼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렌지후드는 연통(120)의 하단에 보조팬모터(130)가 설치되어 있어, 후드본체(110) 내에 설치된 메인블로워(112)와 함께 보조팬모터(130)에 의해 흡입력이 보강되어 조리가스를 더욱더 완벽하게 흡입해서 조리가스가 주방 내부공간으로 빠지는 것을 더욱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조리시에 발생되는 고온의 조리가스가 보호관(140), 보조팬모터(130)의 케이싱(131) 및 연통(120)을 거쳐 흡입되게 되는데, 조리가스의 온도가 내려가거나 장기간 사용시 보호관(140)과 케이싱(131)과 연통(120)의 내주면에는 조리가스가 응축되거나 고착되어 액상슬러지가 생성되게 되며, 이렇게 보호관(140)과 케이싱(131)과 연통(120)의 내주면에서 생성된 액상슬러지는 자중에 의해 아래로 흘러내리게 되어 보호관(140)의 하단에 형성된 액상슬러지 수용홈(145)에 수용되게 된다(도 6 참조).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보호관(140)을 보조팬모터(130)에서 분리하고, 보호관(140) 내에서 여과망(150)을 빼낸 다음, 액상슬러지 수용홈(145)에 수용된 액상슬러지를 버린 후, 다시 재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액상슬러지가 조리냄비(18,19)측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어, 위생상 양호한 조리과정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신축 흡입노즐유닛(A)이 복수개로 구성되거나 가스렌지(13)의 화구(15)의 수에 동일하게 구성됨으로써, 화구(15)에 올려진 각각의 냄비(18,19)에 개별적으로 신축 흡입노즐유닛(A)을 근접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조리가스의 흡입효과를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연통(120)이 일반적인 자바라 주름관으로 이루어져 신축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연통(120)은 형상기억합금재질로 이루어져 열이 가해졌을 때 늘어나고 열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보호관(140)을 잡고 아래로 끌어내리지 않더라도, 조리가 시작되어 고온의 조리가스가 연통(120)에 전달되면 연통(120)이 가열되어 자동적으로 늘어나 보호관(140)의 끝단이 조리냄비(18,19)에 근접한 위치에 위치된다. 이후 고온의 조리가스가 연통(120)에 전달되지 않아 연통(120)의 온도가 감소하면 원통(120)이 원상태로 수축하게 된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신축 흡입노즐유닛을 구비한 렌지후드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 예에 따른 렌지후드는 저면부(111)가 도 2와 같이 후드본체(110)의 하단에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이 저면부(111)에 흡입관(116)이 형성된 구성이었으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렌지후드(100')는 저면부(114)가 별도로 구성되어 후드본체(110)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저면부(114)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박스형태로 형성되어 후드본체(110)의 하단이 억지끼움형태로 끼워지고, 이러한 상태에서 스크류(미도시)를 이용해 후드본체(110)와 저면부(114)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저면부(114)가 후드본체(110)의 개방된 하단에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저면부(114)를 기존에 설치하여 사용하던 렌지후드의 개방된 하부에 설치하고, 이 저면부(114)에 형성된 흡입관(116)에 신축 흡입노즐유닛(A)을 장착하여 설치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렌지후드는 후드본체(110)의 구성을 삭제하고, 저면부(114)와 신축 흡입노즐유닛(A)으로만 구성되어, 기존설치된 렌지후드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신축 흡입노즐유닛(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이에 대응되게 흡입관(116)도 원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신축흡입노즐유닛(A)은 사각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흡입관(116)도 사각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신축흡입노즐유닛(A)은 오각관, 육각관등 다양한 모양의 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이에 대응되게 흡입관(116)도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기만 하면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10...후드본체
111...저면부
114...저면부
116...흡입관
120...연통
130...보조팬모터
131...케이싱
132...임펠러
133...모터
137...전원공급선
140...보호관
145...액상슬러지 수용홈
150...여과망

Claims (10)

  1. 주방의 가열조리용렌지 상부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조리시 발생되는 조리가스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렌지후드에 있어서,
    내부에 메인블로워가 설치되며, 하면 일측에 흡입관을 구비한 후드본체; 및,
    상기 흡입관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하 길이조절가능하여 하단부가 상기 가열조리용렌지에 올려진 조리냄비와 근접하게 배치되는 신축 흡입노즐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신축 흡입노즐유닛은,
    상기 자바라 형태의 주름관으로 형성되고, 신축가능하여 길이조절되도록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흡입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연통;
    상기 연통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팬모터;
    상단이 상기 보조팬모터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 내주면에는 링형태의 액상슬러지 수용홈이 돌출형성된 보호관; 및,
    메쉬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보호관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액상슬러지 수용홈 상에 올려져 설치되는 여과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흡입노즐유닛은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흡입노즐유닛은 상기 가열조리용렌지의 화구수와 동일한 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의 내주면에 나선형태로 설치되고, 상단과 하단이 상기 연통의 상부 및 하부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보조팬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팬모터는 일측에 전원공급용 단추형 건전지장착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은 형상기억합금재질로 이루어져, 고온의 조리가스에 의해 자동으로 신장하고, 상기 고온의 조리가스조리시 발생되는 고온 조리가스에 의해 자동으로 신장하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의 상단과 상기 흡입관을 접속결합시키는 제1고정수단; 및,
    상기 연통의 하단과 상기 보조팬모터의 상단을 접속결합시키는 제2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수단 및 상기 제2고정수단 각각은 호스클램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본체는 상기 흡입관이 형성된 저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저면부는 상기 후드본체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본체는 상기 흡입관이 형성된 저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저면부는 상기 후드본체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
  10. 주방의 가열조리용렌지 상부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조리시 발생되는 조리가스를 흡입하여 배출하도록, 하부이 개방된 후드본체를 구비한 렌지후드에 있어서,
    상기 후드본체의 개방된 하단을 막도록 결합되며, 일측에 흡입관이 형성된 저면부; 및,
    상기 흡입관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하 길이조절가능하여 하단부가 상기 가열조리용렌지에 올려진 조리냄비와 근접하게 배치되는 신축 흡입노즐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신축 흡입노즐유닛은,
    상기 자바라 형태의 주름관으로 형성되고, 신축가능하여 길이조절되도록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흡입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연통;
    상기 연통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팬모터;
    상단이 상기 보조팬모터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 내주면에는 링형태의 액상슬러지 수용홈이 돌출형성된 보호관; 및,
    메쉬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보호관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액상슬러지 수용홈 상에 올려져 설치되는 여과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
KR1020150014253A 2015-01-29 2015-01-29 신축 흡입노즐유닛을 구비한 렌지후드 KR201600933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253A KR20160093359A (ko) 2015-01-29 2015-01-29 신축 흡입노즐유닛을 구비한 렌지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253A KR20160093359A (ko) 2015-01-29 2015-01-29 신축 흡입노즐유닛을 구비한 렌지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359A true KR20160093359A (ko) 2016-08-08

Family

ID=56711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253A KR20160093359A (ko) 2015-01-29 2015-01-29 신축 흡입노즐유닛을 구비한 렌지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335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84588A (zh) * 2021-03-17 2021-06-18 合肥瑞纳通软件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具有多个可独立升降吸风口的油烟机
KR102352051B1 (ko) * 2021-07-07 2022-01-14 최진수 렌지필터형 가정용 배기장치
KR102537357B1 (ko) 2022-08-11 2023-05-26 박성환 연기차단판을 갖는 렌지후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84588A (zh) * 2021-03-17 2021-06-18 合肥瑞纳通软件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具有多个可独立升降吸风口的油烟机
KR102352051B1 (ko) * 2021-07-07 2022-01-14 최진수 렌지필터형 가정용 배기장치
KR102537357B1 (ko) 2022-08-11 2023-05-26 박성환 연기차단판을 갖는 렌지후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4557B2 (en) Suction device for a range hood comprising a volute including a first semi-shell and a second semi-shell forming a compartment for housing a capacitor and a connector electrically coupled to an electric motor
CN206001577U (zh) 一种油烟机
JP6852088B2 (ja) 一体化フードを持つ調理用レンジ
KR20160093359A (ko) 신축 흡입노즐유닛을 구비한 렌지후드
EP3037672B1 (en) Adapter in a suction device for a hood
KR20110090407A (ko) 가정용 조리기구 커버
KR20180099393A (ko) 포터블 후드
KR20190065795A (ko) 조리용기를 위한 휴대용 연기정화장치
KR200487625Y1 (ko) 휴대용 흡기장치
CN113180494A (zh) 一种新型无烟煎烤器
KR101970531B1 (ko) 제연기가 구비된 자바라식 후드
CN205379194U (zh) 一种防烫伤安全电压力锅
JP4366236B2 (ja) 電磁誘導調理器具における換気補助装置
KR102631587B1 (ko) 조리 디바이스
CN210425206U (zh) 集成灶
JPH03268718A (ja) 蒸気処理機能付調理器
CN207501203U (zh) 一种油烟烟管安装结构
CN214537120U (zh) 一种便携式快速干燥器
CN105455456A (zh) 多功能整体式厨房设备
CN210107484U (zh) 家用电器与烹饪系统
CN215765281U (zh) 一种带有净化装置的烹饪灶
CN108606621B (zh) 锅具和锅具组件
CN111780175A (zh) 壳体与家用电器
KR100803886B1 (ko) 지주의 상판 지지부가 분리가능하게 형성된 기능성 테이블
CN220069545U (zh) 一种高效净烟料理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