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315B1 - 지방 흡입 장치 및 지방 흡입용 핸드피스 - Google Patents

지방 흡입 장치 및 지방 흡입용 핸드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315B1
KR102537315B1 KR1020210007553A KR20210007553A KR102537315B1 KR 102537315 B1 KR102537315 B1 KR 102537315B1 KR 1020210007553 A KR1020210007553 A KR 1020210007553A KR 20210007553 A KR20210007553 A KR 20210007553A KR 102537315 B1 KR102537315 B1 KR 102537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nula
vibration
fat
handpie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5022A (ko
Inventor
박윤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육오엠씨(365mc)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육오엠씨(365mc)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육오엠씨(365mc)
Priority to KR1020210007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315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004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shock waves
    • A61B17/2201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shock waves in direct contact with, or very close to, the obstruction or con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6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681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00734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attery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79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suction of debr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 A61B2018/00458Deeper parts of the skin, e.g. treatment of vascular disorders or port wine stains
    • A61B2018/00464Subcutaneous fat, e.g. liposuction, lipo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5Auxiliary appliance with suction drainag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지방 흡입 시술을 위해 일부가 신체 내에 삽입되며, 지방을 흡입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캐뉼라; 상기 캐뉼라의 후단부에 상기 캐뉼라와 접촉되어 결합되는 핸드피스; 상기 핸드피스 및 상기 캐뉼라에 결합되어 상기 캐뉼라를 진동시키는 캐뉼라 진동부; 및 상기 캐뉼라에 연결되며 음압을 발생시켜 상기 흡입구를 통해 지방이 흡입될 수 있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캐뉼라는 말단의 일부 영역이 뚫려 있어 음압에 의해 상기 지방이 흡입되는 통로가 되는 하나 이상의 상기 흡입구를 포함하며, 신체에 삽입되어 상기 신체 내 지방층으로부터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지방을 흡입하는 삽입부; 내부가 비어있는 관체의 형태로,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지방이 이동하는 본체; 및 상기 캐뉼라 진동부 및 상기 핸드피스에 고정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지방 흡입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지방 흡입 장치 및 지방 흡입용 핸드피스{APPARATUS AND HANDPIECE FOR FAT INHALALATION}
본 발명은 의료용 지방 흡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의 특정 부위에 삽입하여 지방을 흡입하거나 주입하는 지방 흡입 장치 및 지방 흡입 장치에 사용되는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식생활과 운동 부족 등으로 인한 비만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비만은 질병의 하나로서 특히 동맥경화, 당뇨 등 각종 성인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비만 환자의 치료는 물론이고, 체형과 외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미용 목적의 지방 흡입술이 널리 시술되고 있다. 지방 흡입술은 체내에 과도하게 축적된 지방을 인위적으로 제거하는 시술이다.
이러한 지방 흡입술은 일반적으로 관(pipe) 형상을 갖는 캐뉼라(cannula)를 체내의 지방층에 삽입하고, 해당 캐뉼라가 고정된 핸드피스를 시술자가 전후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서 지방세포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방법의 시술이다. 반면 지방 주입술은 인체 중 지방이 부족한 부위에 지방을 주입하는 시술이다.
캐뉼라는 주로 이러한 의료상의 목적에 의해 신체 내에 삽입되는 튜브로서, 액체나 공기를 통하게 하기 위한 의료 기구의 일종이다. 캐뉼라는 체내로 약물을 주입하거나 체액을 뽑아내기 위해 꽂는 얇은 튜브형태의 관으로서, 흉강이나 복강에 찬 액체를 꺼내거나, 혈관 내에 삽입하여 채혈하거나, 기관절개술 때 기관 내에 삽입하여 호흡을 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기구이다.
특히, 지방이식 시술과정에서 지방 채취나 지방 주입에는 가느다란 금속제 관의 캐뉼라가 쓰이는데, 일반 의료용 바늘에 비하여 끝이 뭉툭하여 혈관, 근육층, 피부층 등의 다른 조직들의 손상을 최소화해서 멍이 들지 않는다.
그러나, 종래의 캐뉼라를 이용한 지방흡입 시술 시, 시술자는 피부 속에서 흡입하고자 하는 지방 부위를 따라서 또는 피부 속의 지방을 골고루 흡입하기 위해서, 시술자가 환자의 체내의 지방층에 캐뉼라를 삽입한 후, 삽입된 캐뉼라를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스트로크 동작 등을 수행하며 지방세포를 분리 및 파괴하면서 지방이 축적되어 있는 부위를 집중적으로 시술하게 된다.
그리고 여기서 캐뉼라는 핸드피스에 연결 및 고정되어 있는데, 시술자가 캐뉼라를 직접 잡을 수 없으므로 시술자는 캐뉼라를 핸드피스에 고정하고 핸드피스를 움직이면서 스크로크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한국출원특허(출원번호: 10-2018-0035814(2018.03.28)) 의료용 핸드피스(medical handpiece)는, 의료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서, 레이저 시술 등에 사용되며 다양한 레이저 빔 패턴을 출력할 수 있는 의료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해당 발명은 레이저 시술 등에 사용되며 다양한 레이저 빔 패턴을 출력할 수 있는 의료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 레이저가 통과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 몸체; 소정의 투과율을 가지는 복수의 개별 패턴이 배열되는 패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구조체; 및 상기 몸체와 결합되고, 상기 렌즈 구조체를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수용 공간을 통해 상기 렌즈 구조체와 탈착되는 렌즈 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패턴 렌즈를 투과한 레이저가 상기 복수의 개별 패턴에 의해 소정의 레이저 빔 패턴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출원특허(출원번호 10-2018-0020898(2018.02.22)) 의료용 레이저 수술기의 핸드피스는 핸드피스의 레이저팁(팁 구조물)의 방향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레이저 손실이나 발열을 억제할 수 있는 개선된 의료용 레이저 수술기의 핸드피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광섬유를 통해 본체와 연결되는 핸드피스 바디와, 상기 핸드피스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는 헤드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 어셈블리는, 레이저 빔을 조사하기 위해 일측에 형성된 팁 헤드부와 상기 팁 헤드부의 반대측에 형성된 구형 조인트부재를 갖는 팁 구조물, 및 상기 구형 조인트부재의 일부를 수용하는 조인트부재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팁 구조물은 상기 조인트부재 수용부 내에 상기 구형 조인트부재의 일부가 수용된 채로 중심축과 이루는 각도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되 상기 중심축의 법선 방향으로의 전방향(omni-direction)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가능하여, 핸드피스 바디 전체의 회전을 최소화함으로써, 핸드피스 바디 전체의 회전에 의한 광섬유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한다.
한국출원특허 제10-2018-0035814호 한국출원특허 제10-2018-0020898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충전이 가능한 의료용 핸드피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진동이 부여되는 핸드피스를 제공하고, 지방 흡입 또는 각종 주입 시술 시 피부를 용이하게 관통하고 지방의 흡입을 보다 원활하게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의 온/오프, 진동의 세기나 패턴 등을 시술자가 제어하게 함으로써 시술 시 편의를 증진하며 시술 시간 단축 및 후유증의 최소화를 포함하여 최적의 시술 효과를 내는 데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지방 흡입 장치는 지방 흡입 시술을 위해 일부가 신체 내에 삽입되며, 지방을 흡입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캐뉼라; 상기 캐뉼라의 후단부에 상기 캐뉼라와 접촉되어 결합되는 핸드피스; 상기 핸드피스 및 상기 캐뉼라에 결합되어 상기 캐뉼라를 진동시키는 캐뉼라 진동부; 및 상기 캐뉼라에 연결되며 음압을 발생시켜 상기 흡입구를 통해 지방이 흡입될 수 있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캐뉼라는 말단의 일부 영역이 뚫려 있어 음압에 의해 상기 지방이 흡입되는 통로가 되는 하나 이상의 상기 흡입구를 포함하며, 신체에 삽입되어 상기 신체 내 지방층으로부터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지방을 흡입하는 삽입부; 내부가 비어있는 관체의 형태로,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지방이 이동하는 본체; 및 상기 캐뉼라 진동부 및 상기 핸드피스에 고정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캐뉼라 진동부는 상기 캐뉼라 진동부의 진동에 대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입력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신호 입력부는 상기 진동의 온/오프 또는 상기 진동의 속도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상기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상기 신호 입력부는 상기 핸드피스의 외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뉼라 진동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진동의 온/오프 또는 상기 진동의 속도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캐뉼라 진동부는 상기 진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캐뉼라 진동부는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캐뉼라에 직접 체결된 채로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캐뉼라를 진동시키는 진동 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무선충전 방식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 구동부는 상기 흡입기의 온/오프와 별개로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기능을 가진 지방 흡입용 핸드피스를 제공함으로써, 대용량 지방 흡입 시 시술 시간 단축 및 시술 편의성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캐뉼라를 질긴 부위에 삽입하는 경우에 핸드피스를 통해 캐뉼라에 적정 진동을 부여하면 캐뉼라 삽입과 지방흡입을 보다 용이하고 원활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진동 모드를 제공하고 시술자가 이를 자유롭게 제어하게 함으로써 지방 흡입 부위 특성에 맞는 시술을 가능하게 하며, 보다 섬세하고 성공적인 시술 및 지방 흡입 시술의 효과와 예후의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1은 지방 흡입용 핸드피스가 포함된 지방 흡입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에 장착되는 지방 흡입용 캐뉼라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방 흡입용 핸드피스의 블록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방 흡입용 핸드피스의 사시도.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 및 "제 3(third)"과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방 흡입 장치 및 지방 흡입용 핸드피스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방 흡입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에 장착되는 지방 흡입용 캐뉼라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방 흡입용 캐뉼라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지방 흡입 장치(10)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방 흡입 장치(10)에서는 캐뉼라(100)에 진동이 부여되는데, 이를 위해 핸드피스(110)에 진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캐뉼라(100)의 진동을 위한 배터리는, 무선충전 방식으로 충전될 수 있다.
핸드피스(110) 내부에 진동기 및 진동기에 전원을 배터리를 설치하면 전원 공급을 위한 케이블이 필요 없으므로 핸드피스의 핸들링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핸드피스 내부에 내장된 배터리는 무선 충전에 의해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로 내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충전 시에도 케이블 연결이 불필요하므로 사용상 편의가 증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방 흡입 장치(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100), 시술자가 손으로 잡고 시술 부위에 삽입된 캐뉼라를 핸들링할 수 있는 핸드피스(110), 핸드피스(110)의 전단부 또는 핸드피스(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캐뉼라를 진동시키는 캐뉼라 진동부(300) 그리고 핸드피스(110)의 후단부에 장착되고 지방이 연통되어, 신체로부터 흡입된 지방 등이 수거공간까지 이동하는 통로가 되는 튜브(120), 흡입 동력을 제공하여 신체로부터 분리된 지방을 수집하는 흡입기(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캐뉼라(100)는 신체에 삽입되어 신체 내 지방층(20)으로부터 지방이 흡입되는 흡입구가 하나 이상 마련된 삽입부(210), 내부가 비어있는 관체로 형성되며 흡입한 지방이 이동하는 본체(220), 그리고 핸드피스(110) 및 캐뉼라 진동부(300)에 결합되어 이를 통해 캐뉼라(100)를 흡입기(130)에 이르기까지 물리적으로 연결시키는 체결부(230)를 포함한다.
핸드피스(110) 내에는 이후 설명할 캐뉼라 진동부(300)가 장착되는데, 캐뉼라(100)가 캐뉼라 진동부(300)와 직접 연결되는 부분이 체결부(230)이다. 캐뉼라 진동부(300)에서 발생된 진동은, 캐뉼라 진동부(300)와 직접 접촉 체결된 캐뉼라(100)의 체결부(230)를 통해 캐뉼라(100) 전체로 전달될 수 있다.
지방흡입 시술은 음압을 이용하여 캐뉼라로 지칭되는 얇은 관을 통해 신체 내의 지방 조직을 추출하여 제거하는 시술이다. 이 때 지방 조직의 추출을 위해 캐뉼라 구조 말단, 즉 삽입부(210)에 캐뉼라의 내부가 외부로 통하는 개구부의 형태로서 흡입기(130)에서 발생된 음압이 걸리는 흡입구가 존재하며, 이 흡입구를 통해 지방 조직이 신체로부터 캐뉼라 내부로 추출된다.
그런데 지방 조직의 효율적인 해체와 추출을 위해 시술자는 스트로크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스트로크 동작이라 함은 캐뉼라(100) 등을 직선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캐뉼라(100)는 피부를 관통하여 피부 내부로 삽입되며, 특히 지방 흡입의 경우에는 피부 내부의 지방층(20)까지 삽입된 후 전후 또는 좌우로 움직이는 스트로크 동작을 통해 지방세포를 분리하고 파괴하는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지방 또는 필러 이식 시에는 반복적인 삽입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어 지방 흡입 등의 시술 시 혈관을 찔러 출혈과 멍을 유발하고 피부 조직을 손상시키거나 파열시키는 과정이 수반될 수 있다.
즉 시술자가 캐뉼라(100)를 피부 속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핸드피스(110)를 움직여, 특수 용액에 의해 부풀려진 지방을 분리한 후, 분리된 지방을 캐뉼라(100)의 삽입부(210)에 형성된 흡입구를 통해 흡입하고, 흡입된 지방은 흡입기(130)가 제공하는 흡입 동력에 의해 강하게 흡입되어 튜브(120)를 통하여 이동하여 흡입기(130) 내 별도의 저장고에 저장된다.
그런데 캐뉼라(100)가 피부층을 뚫어 삽입이 이루어지고, 스트로크 동작이 수행되는데, 피부층을 뚫을 때 신체 특성이나 부위에 따라 삽입이나 스트로크 동작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등과 같이 지방사이사이 질긴 섬유층이 혼재하는 부위나 사이즈가 큰 대용량흡입의 경우에 캐뉼라에 진동을 부여하여 시술하게 되면, 지방층을 해체하는 데 드는 시간과 시술자의 체력적인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캐뉼라에 진동 운동을 부여하는 캐뉼라 진동부(300)에 대해서는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진동부(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캐뉼라 진동부(300)는 신호 입력부(310), 제어부(320), 전원부(330), 진동 구동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진동부(300)가 위의 구성부를 동시에 모두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실시예에 따라 위의 구성부 중 일부는 생략될 수 있고, 캐뉼라 진동부(300)는 상기의 구성부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입력부(310)는 캐뉼라의 진동에 대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 신호는 시술자로부터 입력받거나, 지방 흡입 장치(10)의 디폴트 설정에 의해 자동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사용자에게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핸드피스(110)의 외부에는 사용자의 제어 신호 입력을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신호 입력부(310)가 입력받는 제어 신호는 진동의 온/오프 또는 진동의 세기, 진동의 패턴, 진폭, 진동 모드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진동의 패턴은 진동의 세기의 변화나 진동의 개시/멈춤의 반복 형태 등이 다양하게 결합 또는 설정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드는 진동의 강약이나 진폭, 패턴에 있어서, 피부층의 관통 또는 지방의 흡입에 최적화된 진동 운동이 여러 단계별로 다양화하여 제공되므로 시술자는 시술 시 적합한 진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피부층을 관통할 때는 진동의 진폭은 작고 세기는 강하게, 피부층에 삽입된 이후 지방층을 흡입할 때는 상대적으로 진폭은 크고 세기는 약하게 진동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입력부(31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핸드피스(110)의 외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시술자가 신호 입력부(310)에 상응하는 스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제어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0)는 신호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된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캐뉼라의 진동의 온/오프 또는 진동의 세기, 진폭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진동을 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320)는 진동 구동부(340)의 진동 발생을 개시하고, 진동을 종료하는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320)는 진동 운동하던 진동 구동부(340)의 진동을 중지한다. 진동의 세기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320)는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세기로 캐뉼라의 진동을 증감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320)는 캐뉼라의 진동 세기 및/또는 진폭을 0, 1, 2, 3의 네 단계로 나누어 설정할 수 있다. 진동 세기의 단계별 설정에 의해 0은 진동 정지, 1은 최소 진동 즉 느리고 약한 진동, 3은 최대 진동 즉 빠르고 강한 진동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진폭의 단계별 설정에 의해 0은 최소 진폭, 3은 최대 진폭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술자는 진동의 세기 및/또는 진동의 진폭을 0, 1, 2, 3 중 하나로 각각 설정함으로써 캐뉼라의 진동 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또는 제어부(320)는 진동 강도를 최대 세기 대비 퍼센티지(%)로 나타내는 제어 신호에 따라 진동의 강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시술자 또는 사용자는 캐뉼라의 최대 진동 대비 설정하고자 하는 캐뉼라의 진동 속도의 비율을 퍼센티지로 나타냈을 때 해당 수치에 상응하는 스위치 조작으로 캐뉼라의 진동 강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예컨대 0%는 진동 정지, 100%는 최대 진동을 의미할 수 있으며, 시술자는 필요에 따라 최저 강도에서 최고 강도까지 캐뉼라의 진동 강도를 연속성있게 설정하여 캐뉼라의 진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흡입기(130)의 흡입 동력에 따른 음압 여부와 무관하게 캐뉼라의 진동 세기나 진동 모드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전원부(330)는 캐뉼라의 진동 운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330)는 흡입기(130)의 흡입 동력을 위한 전원과 진동 구동부(340)의 전동 동력을 위한 전원을 모두 공급할 수 있다. 또는 전원부(330)는 핸드피스(1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흡입기(130)의 흡입 동력과는 무관하게 진동 구동부(340)의 진동 동력만을 위한 전원을 따로 공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부(330)는 유선충전, 즉 케이블에 연결되어 충전되는 배터리일 수도 있고, 무선충전에 의해 충전되는 방식의 배터리일 수 있다. 또는 방전 시 교체되는 망간전지, 알카라인 전지와 같은 일반 일회용 전지일 수도 있다.
특히 충전전지인 경우, 전원부(330)의 배터리는 니켈 카드뮴(Ni-Cd) 전지, 니켈 수소(Ni-MH) 전지 또는 리튬 이온(Lithium-Ion)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선충전 시, 무선충전 방식 역시 자기 유도방식과 공진 유도방식 중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자기 유도방식의 경우 충전 패드 위에 지방 흡입용 핸드피스를 내려놓음으로써 시술 전후나 시술 중간에 전원부(330)를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공진 유도방식의 경우 자기 유도방식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먼 거리, 즉 100mm 내외의 거리에서도 90% 정도의 효율로 충전이 가능하므로, 만약의 상황, 예컨대 시술이 예상보다 길어져서 시술 중간에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도 시술과 동시에 충전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니켈 카드뮴 전지의 경우 기전압 1.2V로서 전압은 낮으나 저항이 작아 큰 전류를 필요로 하는 제품에 주로 사용되는 전지이다. 전지 자체로 메모리 효과가 있어서 충분히 방전하지 않고 충전을 반복하면 전체 용량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니켈 수소 전지 역시 기전압 1.2V로, 니켈 카드뮴 전지보다 무게가 가볍고 같은 용적에 30% 더 큰 용량을 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핸드피스에 사용 시 니켈 카드뮴 전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핸드피스의 중량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메모리 효과가 없어서 시술 전후로 수시로 충전해도 배터리 용량 또는 배터리 수명이 떨어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리튬 이온 전지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에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배터리이다. 출력 전압이 3.7V로 니켈 카드뮴 전지나 니켈 수소 전지에 비해 3배 정도 높은 전압을 낼 수 있으며, 높은 에너지 밀도, 우수한 보전성과 긴 라이프 사이클 등 기존 여타의 전지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섭씨 -55도씨 내지 85도씨 사이에서 정상적으로 작동이 가능한 뛰어난 온도 특성을 가지므로, 고온 치료나 저온 치료시에도 무리없이 핸드피스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다만 리튬 이온 전지의 단점은 전해질이 액체이므로 누액 가능성과 폭발의 위험성이 있다는 점이다.
리튬 이온 전지의 뛰어난 성능은 유지하면서 폭발 위험성을 보완한 전지가 리튬 폴리머 전지이다. 리튬 폴리머 전지는 폭발의 위험성이 있는 액체 대신에 화학적으로 안정적인 폴리머 상태의 전해질을 사용한다. 또한 리튬 이온 전지는 폭발의 위험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3mm 정도의 ?塚? 두께의 소형 전지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한 뛰어난 디자인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슬림한 형태의 의료용 핸드피스 내부에 장착되는 경우에 리튬 이온 전지의 사용이 유리할 수 있다.
진동 구동부(340)는 캐뉼라와의 체결 장치가 구비된 진동 모터일 수 있다. 진동 구동부(340)는 전원부(3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캐뉼라에 직접 체결되어 진동함으로써 캐뉼라를 진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진동 구동부(340)는 흡입기(130)의 온/오프와 별개로 신호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될 수 있다. 즉, 흡입기(130)에 의해 음압이 걸리기 전에도 피부층을 관통하기 위해 캐뉼라의 진동이 먼저 개시될 수 있으며, 음압에 의해 흡입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도 캐뉼라의 진동 여부는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캐뉼라 진동부(300)에 의해 캐뉼라(100)에 진동 운동이 부여된 지방 흡입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방 흡입 장치에는 흡입기(130), 튜브(120), 핸드피스(110), 핸드피스(110)에 장착된 캐뉼라 진동부(300)와 전원부(330), 캐뉼라 진동부(300)에 체결된 지방 흡입용 캐뉼라(1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캐뉼라(100)는 지방 흡입 시술을 위해 일부가 신체 내에 삽입되며, 지방을 흡입하는 흡입구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캐뉼라(100)의 후단부에는 핸드피스(110)가 결합되고, 핸드피스(110)내부에는 캐뉼라 진동부(300)가 핸드피스(110)와 함께 캐뉼라(100)에 결합된다. 캐뉼라 진동부(300)가 진동하면 이에 결합된 캐뉼라(100)도 함께 진동하게 된다.
캐뉼라 진동부(300)는 전원부(330)로부터 진동을 발생시키는 데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받는다. 전원부(330)는 무선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일 수 있다. 이 경우 핸드피스(110)에는 진동 발생을 위한 전원 공급용 별도의 유선 장치의 연결이 불필요하다. 전원부(330)에 사용되는 배터리의 종류와 무선충전의 방식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흡입기(130)는 흡입 동력을 통해 캐뉼라(100)의 흡입구(130)에 음압을 발생시켜 흡입구를 통해 지방이 흡입될 수 있는 흡입력을 제공한다.
캐뉼라(100)에는 말단, 즉 삽입부(210)의 일부 영역이 뚫려 있어, 음압에 의해 상기 지방이 흡입되는 통로가 되는 하나 이상의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캐뉼라(100)는 삽입부(210)와 본체(220), 체결부(230)를 포함하는데, 삽입부(210)는 신체에 삽입되어 상기 신체 내 지방층으로부터 흡입구를 통해 지방을 흡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캐뉼라의 삽입부(210)의 말단의 일부 영역이 뚫려 있어 개구부의 형태로 흡입구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는데, 흡입기(130)의 동력에 의해 흡입구에 음압이 걸리면 흡입구는 음압에 의해 지방이 흡입되는 입구가 된다. 그리고 캐뉼라의 삽입부(210)가 신체에 삽입되어 상기 신체 내 지방층으로부터 흡입구를 통해 지방을 흡입하게 된다. 그리고 본체(220)는 내부가 비어있는 관체의 형태로,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지방이 본체를 통해 캐뉼라(100) 내부를 이동한다.
그리고 캐뉼라(100)는 체결부(230)를 통해 캐뉼라 진동부(300) 및 핸드피스(110)에 고정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캐뉼라 진동부(300)는 핸드피스(110)의 내부에 장착되며 캐뉼라(100)와 결합된 채로 진동함으로써 캐뉼라(100)에도 진동 동력을 제공한다. 캐뉼라 진동부(300)의 진동을 시술자가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신호 입력부(310)가 핸드피스(110) 외면에 형성되면, 시술자가 지방 흡입 시술의 진행 중에 자유롭게 캐뉼라(100)의 진동 여부나 진동 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캐뉼라 진동부(300)를 통한 핸드피스(110) 및 캐뉼라(100)의 진동은, 신체로부터 흡입된 지방이 캐뉼라(100) 내부를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통과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지방 흡입 장치
100: 캐뉼라
110: 핸드피스
120: 튜브
130: 흡입기

Claims (8)

  1. 지방 흡입 시술을 위해 일부가 신체 내에 삽입되며, 지방을 흡입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캐뉼라;
    상기 캐뉼라의 후단부에 상기 캐뉼라와 접촉되어 결합되는 핸드피스;
    상기 핸드피스 및 상기 캐뉼라에 결합되어 상기 캐뉼라를 진동시키는 캐뉼라 진동부; 및
    상기 캐뉼라에 연결되며 음압을 발생시켜 상기 흡입구를 통해 지방이 흡입될 수 있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캐뉼라는
    말단의 일부 영역이 뚫려 있어 음압에 의해 상기 지방이 흡입되는 통로가 되는 하나 이상의 상기 흡입구를 포함하며, 신체에 삽입되어 상기 신체 내 지방층으로부터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지방을 흡입하는 삽입부;
    내부가 비어있는 관체의 형태로,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지방이 이동하는 본체; 및
    상기 캐뉼라 진동부 및 상기 핸드피스에 고정되어 상기 캐뉼라 진동부로부터 발생된 진동 운동을 전달받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캐뉼라 진동부는
    상기 핸드피스의 외부에 장착되고 상기 캐뉼라 진동부의 진동에 대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입력부;
    상기 진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고 무선충전 방식- 상기 무선충전 방식은 자기 유도방식으로 구현된 결과 충전 패드 위에 상기 핸드피스를 내려놓음으로써 시술 전후나 시술 중간에 충전이 가능함 -으로 충전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리튬 폴리머 전지로 구현되는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캐뉼라에 직접 체결된 채로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캐뉼라를 진동시키는 진동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흡입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입력부는 상기 진동의 온/오프 또는 상기 진동의 속도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상기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흡입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뉼라 진동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진동의 온/오프 또는 상기 진동의 속도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흡입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10007553A 2021-01-19 2021-01-19 지방 흡입 장치 및 지방 흡입용 핸드피스 KR102537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553A KR102537315B1 (ko) 2021-01-19 2021-01-19 지방 흡입 장치 및 지방 흡입용 핸드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553A KR102537315B1 (ko) 2021-01-19 2021-01-19 지방 흡입 장치 및 지방 흡입용 핸드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022A KR20220105022A (ko) 2022-07-26
KR102537315B1 true KR102537315B1 (ko) 2023-05-30

Family

ID=82609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553A KR102537315B1 (ko) 2021-01-19 2021-01-19 지방 흡입 장치 및 지방 흡입용 핸드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3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1874A1 (en) * 2001-04-12 2002-10-17 Kolster Alwin H. Liposuction cannula device and method
US20110172652A1 (en) 2010-01-08 2011-07-14 Ceramoptec Industries Inc. Method and device for underskin radiation treatment of adipose tissue
US20200323550A1 (en) * 2019-04-10 2020-10-15 Lipocosm, Llc Vibrating surgical instrument for liposuction and other body contouring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111B1 (ko) * 2009-06-19 2012-07-31 (주) 메트리젠 진동피스를 구비한 지방흡입장치
KR101541605B1 (ko) * 2013-11-12 2015-08-0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지방흡입장치
US10271305B2 (en) 2015-07-31 2019-04-23 Qualcomm Incoporated Techniques for joint transmission in unlicensed spectrum
JP6730879B2 (ja) 2016-08-18 2020-07-29 株式会社ディスコ 剥離方法及び剥離装置
KR102241513B1 (ko) * 2017-08-28 2021-04-15 이일권 진동 매체를 가진 지방 흡입용 캐뉼라 및 그에 대한 진동 조절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1874A1 (en) * 2001-04-12 2002-10-17 Kolster Alwin H. Liposuction cannula device and method
US20110172652A1 (en) 2010-01-08 2011-07-14 Ceramoptec Industries Inc. Method and device for underskin radiation treatment of adipose tissue
US20200323550A1 (en) * 2019-04-10 2020-10-15 Lipocosm, Llc Vibrating surgical instrument for liposuction and other body contouring appl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022A (ko) 202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3563B2 (en) Surgical instrument with charging devices
US705633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rmally activating a console of a thermal delivery system
US10355512B2 (en) Focused power transfer for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2006028769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rmally activating a console of a thermal delivery system
WO2002015768A2 (en) Systems and method for applying ultrasonic energy
CN105597173A (zh) 右心辅助装置
KR102537315B1 (ko) 지방 흡입 장치 및 지방 흡입용 핸드피스
CN108175674A (zh) 颈部按摩美容仪
CN105561412A (zh) 心脏辅助装置
TW201347801A (zh) 填補脂肪裝置
CN105079961B (zh) 眼部按摩装置及控制方法
CN205598311U (zh) 右心辅助装置
CN113100882A (zh) 手术刀
KR20200123535A (ko) 휴대용 무바늘 무통 주사 장치
CN103732141B (zh) 激光产生装置及方法
KR20160115656A (ko) 지방 제거 장치 및 세포 분리 장치
CN202982958U (zh) 多功能冠心病治疗仪
Wassenberg The Abiomed BVS 5000 biventricular support system
CN203620083U (zh) 生物能膀胱起搏器
JP2001017385A (ja) 手術具
CN203886012U (zh) 心脏发电系统
CN109999235A (zh) 一种一体手持式多功能吸引器
CN211434052U (zh) 一种按摩枪
CN203620079U (zh) 生物能喉起搏器
JP7217873B1 (ja) 注射器及び注射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