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197B1 -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 - Google Patents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197B1
KR102537197B1 KR1020220048795A KR20220048795A KR102537197B1 KR 102537197 B1 KR102537197 B1 KR 102537197B1 KR 1020220048795 A KR1020220048795 A KR 1020220048795A KR 20220048795 A KR20220048795 A KR 20220048795A KR 102537197 B1 KR102537197 B1 KR 102537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ckboard
plate
kickboards
rotation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수용
김훈희
김우남
박동재
이주원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48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1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62K15/008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foldable about 2 or more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2003/005Supports or hold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bike ren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하게 형성되며 하단에는 내부 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전륜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전륜의 방향성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핸들부와, 상기 바디부의 하단에서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후면 하단에는 지면과 접촉되어 회전되는 후륜이 형성되어 있는 발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판부는 일단이 상기 바디부에 축 결합되어 상기 바디부의 외면을 향해 상부로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회동판과, 일단이 상기 제1회동판의 타단에 축 결합되어 상기 제1회동판의 하부로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회동판과, 상기 제2회동판의 타단에 축 결합되어 상기 제2회동판의 회동방향에 따라 90도로 회동되어 상기 후륜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회동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회동판과 상기 제2회동판은 상기 바디부를 향해 회동되어 수직하게 회동되어 부피가 감소되도록 접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Foldable Shared Kickboard for combined parking by arranging in a line}
본 발명은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킥보드를 접어서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인접한 다른 킥보드와 결합이 가능하여 일렬로 정렬시켜 보관할 수 있는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킥보드라 불리는 주행용 보드는 통상 어린이들이 타고 다니면서 유희를 즐기는 것으로서 전, 후바퀴에 의해 지지되는 보드 프레임부재와 주행 방향을 조정하는 핸들 및 기타 부재들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주행용 보드는 핸들을 조정하여 방향을 잡은 상태에서 보드 프레임부재에 한발을 올려놓고 다른 한발은 지면을 지치면서 전, 후바퀴를 구동 회전시킴으로써 승용감과 속도감을 즐길 수 있도록 된 기구이다.
한편, 최근에는 모터 혹은 엔진과 같은 동력장치가 장착된 전동 킥보드도 선보이고 있는데, 특히 모터로 구동되는 전동 킥보드는 자동차 시동시와 같이 배터리 혹은 건전지 전원에 의해 모터가 시동되고, 이후에도 배터리(건전지)전원의 공급에 의해 모터가 구동됨으로써 전동주행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킥보드가 사용하기 편리하고 강한 취미성이 있지만 그 구조상 특징을 볼 때 사용자가 탑승되는 프레임부재가 수평방면의 판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핸들은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어 보관시 차지하는 부피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최근에는 다수의 사용자가 킥보드를 공유하여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시간만큼 사용할 수 있는 전동식 공유 킥보드에 대한 이용률이 증가되고 있으나 도로 또는 인도 주변에 사용 후 무분별하게 방치되는 공유 킥보드가 많아져 통행에 불편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1989735호는 킥보드의 핸들을 접어서 보관하여 보관시 차지하는 부피를 감소시키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바닥 면적을 차지하는 비중은 기존과 동일하므로 근본적으로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다.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1989735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킥보드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 바닥에 차지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어 좁은 공간에 다수 개의 킥보드를 보관할 수 있는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킥보드를 접어서 보관할 때 인접한 다른 킥보드와 서로 결합되어 보관이 가능하고, 전자자물쇠에 의해 결합된 킥보드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하여 정렬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킥보드를 대여 또는 반납할 때 다수 개의 킥보드가 정렬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유도할 수 있어 도로나 인도에 무단으로 킥보드가 방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는 수직하게 형성되며 하단에는 내부 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전륜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전륜의 방향성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핸들부와, 상기 바디부의 하단에서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후면 하단에는 지면과 접촉되어 회전되는 후륜이 형성되어 있는 발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판부는 일단이 상기 바디부에 축 결합되어 상기 바디부의 외면을 향해 상부로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회동판과, 일단이 상기 제1회동판의 타단에 축 결합되어 상기 제1회동판의 하부로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회동판과, 상기 제2회동판의 타단에 축 결합되어 상기 제2회동판의 회동방향에 따라 90도로 회동되어 상기 후륜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회동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회동판과 상기 제2회동판은 상기 바디부를 향해 회동되어 수직하게 회동되어 부피가 감소되도록 접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의 상기 바디부의 전면에는 인접한 다른 킥보드에 형성된 전자자물쇠와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잠금키와, 상기 제2회동판에는 전자자물쇠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인접한 다른 킥보드에 형성된 잠금키가 상기 전자자물쇠에 의해 전자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회동판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락킹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의 상기 제1회동판과 상기 제2회동판이 부피가 감소되도록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잠금키 및 상기 락킹홀에 의해 인접한 서로 다른 킥보드가 서로 결합되어 정렬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의 상기 잠금키는 대여 시에는 상기 바디부 내부로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방지되고, 반납 시에는 인접한 다른 킥보드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의 상기 락킹홀은 대여 시에는 입구가 폐쇄되어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반납 시에는 인접한 다른 킥보드와 결합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의 상기 핸들부에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킥보드를 대여 또는 반납할 때 해당 킥보드의 고유번호 및 상태정보를 대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전자태그와, 상기 킥보드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여 상기 대여 서비스 서버를 통해 해당 킥보드의 위치를 추적하고 유지보수하기 위해 사용되는 GPS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의 상기 전자태그는 대여되는 킥보드가 인접한 다른 킥보드와 결합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대여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가 킥보드를 대여할 때 결합되지 않은 상태 또는 인접한 다른 킥보드가 하나만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만 대여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의 상기 대여 서비스 서버는 상기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에 인근지역의 사전에 반납된 다른 킥보드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킥보드를 반납할 때 사전에 반납된 다른 킥보드와 결합되면 반납이 승인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에 의하면, 킥보드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 바닥에 차지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어 좁은 공간에 다수 개의 킥보드를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에 의하면, 킥보드를 접어서 보관할 때 인접한 다른 킥보드와 서로 결합되어 보관이 가능하고, 전자자물쇠에 의해 결합된 킥보드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하여 정렬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에 의하면, 사용자가 킥보드를 대여 또는 반납할 때 다수 개의 킥보드가 정렬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유도할 수 있어 도로나 인도에 무단으로 킥보드가 방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가 펼쳐진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가 접혀진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가 접혀진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전면 및 후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가 정렬되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의 대여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의 반납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킥보드를 접어서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인접한 다른 킥보드와 결합이 가능하여 일렬로 정렬시켜 보관할 수 있는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가 펼쳐진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가 접혀진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는 수직하게 형성되며 하단에는 내부 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전륜(1220)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부(1200)와, 상기 바디부(1200)의 상단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전륜(1220)의 방향성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핸들부(1100)와, 상기 바디부(1200)의 하단에서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후면 하단에는 지면과 접촉되어 회전되는 후륜(1370)이 형성되어 있는 발판부(1300)를 포함하며, 상기 발판부(1300)는 일단이 상기 바디부(1200)에 축 결합되어 상기 바디부(1200)의 외면을 향해 상부로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회동판(1310)과, 일단이 상기 제1회동판(1310)의 타단에 축 결합되어 상기 제1회동판(1310)의 하부로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회동판(1320)과, 상기 제2회동판(1320)의 타단에 축 결합되어 상기 제2회동판(1320)의 회동방향에 따라 90도로 회동되어 상기 후륜(137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회동대(136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회동판(1310)과 상기 제2회동판(1320)은 상기 바디부(1200)를 향해 회동되어 수직하게 회동되어 부피가 감소되도록 접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디부(1200)는 내부에 배터리, 구동모터, 제동유닛, 제어회로가 마련되어 있어 하단에 형성된 전륜(122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고 발판부(1300)의 접힘 상태에 따라 대여모드, 반납모드에 따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디부(1200)의 상단에는 핸들부(11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핸들부(1100)가 삽입되면 사용자가 핸들부(1100)를 조작하면서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전륜(1220)의 방향이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핸들부(1100)는 T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바디부(1200)의 상단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바디부(1200) 내부에서 전륜(1220)과 연결되어 킥보드(100)가 전진될 때 조향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핸들부(1100)에는 다수 개의 버튼이 마련되어 있어 바디부(1200) 내부의 구동모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전륜(1220)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되고, 제동유닛을 통해 전륜(1220)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핸들부(1100)를 회전시키면 바디부(1200)의 하단에 형성된 전륜(1220)만 좌우 방면으로 회동될 수 있게 되며, 이를 위해 바디부(1200) 내부에는 핸들부(1100)가 삽입되었을 때 전륜(1220)과 연결되도록 별도의 회전축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핸들부(1100)의 상단 중앙에는 사용자가 킥보드(100)를 대여하거나 반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자태그(1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자태그(1110)를 통해 대여 또는 반납하는 킥보드(100)의 정보를 대여 서비스 서버에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바디부(1200)의 하단 후면에는 발판부(1300)가 마련되게 되는데, 발판부(1300)를 바디부(1200)와 연결하기 위해 바디부(1200)에는 연결대(1230)가 형성되어 있어 바디부(12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발판부(1300)는 사용자가 발을 지지하여 탑승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바디부(1200)의 하단 후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발판부(1300)는 판상형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이격되어 있으며, 발판부(1300)의 후면 하단에는 지면과 접촉되어 자유롭게 회전되는 후륜(1370)이 형성되어 있어 발판부(1300)가 전륜(1220)과 후륜(137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발판부(1300)의 상부면에는 사용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요철 처리되어 마찰계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판부(1300)는 크게 제1회동판(1310)과 제2회동판(1320)으로 나누어져 있어 킥보드(100)를 보관하거나 주차할 때 발판부(1300)를 접어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회동판(1310)은 일단이 연결대(1230)와 제1회동축(1330)에 의해 축 결합되어 제1회동축(1330)을 기준으로 바디부(1200)를 향해 상부 방면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1회동판(1310)의 타단과 제2회동판(1320)의 일단은 제2회동축(1340)을 통해 축 결합되어 제2회동축(1340)을 기준으로 제2회동판(1320)이 제1회동판(1310)의 하부 방면으로 회동될 수 있게 된다.
즉, 제1회동판(1310)과 제2회동판(1320)은 제2회동축(1340)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어 접혀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전면부의 후면에 제1회동판(1310)과 제2회동판(1320)이 서로 포개어져 수직하게 접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회동판(1320)의 타단에는 후륜(1370)을 지지하기 위한 회동대(1360)가 마련되어 있으며, 회동대(1360)는 제2회동판(1320)의 타단에서 제3회동축(1350)에 의해 축 결합되어 90도로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제2회동판(1320)이 수직하게 접혀진 상태에서 후륜(1370)이 제2회동판(1320)의 타단과 수직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3회동축(1350)을 기준으로 90도로 회동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제2회동판(1320)이 접혀진 상태에서 전륜(1220)과 후륜(1370)이 모두 지면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되며, 전륜(1220)과 후륜(1370)에 의해 킥보드(100)가 지면에 세워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디부(1200)의 측면에는 받침대가 마련되어 있어 킥보드(100)가 측면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받침대는 전륜(1220)이 정지되거나 발판부(1300)가 접혀진 상태에서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발판부(13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발판부(1300)에 올라섰을 때 발생되는 하중에 의해 발판부(1300)가 지면을 향해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제1회동판(1310)의 일단 하부면에는 외면으로 돌출되는 제1고정단(13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고정단(1311)은 제1회동판(1310)이 수평하게 펼쳐졌을 때 연결대(1230)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제1회동판(1310)이 더 이상 하부 방면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회동판(1310)의 타단 상부 양측에는 외면으로 돌출되는 제1지지단(13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지지단(1312)은 제2회동판(1320)의 일단 상부 양측에서 내측으로 파여진 제2받침단(1324)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제2회동판(1320)의 일단 상부 중앙에는 외면으로 돌출되는 제2지지단(13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지지단(1323)은 제1회동판(1310)의 타단 상부 중앙에서 내측으로 파여진 제1받침단(1313)에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즉, 제1회동판(1310)과 제2회동판(1320)은 제1지지단(1312), 제2지지단(1323), 제1받침단(1313), 제2받침단(1324)에 의해 서로 지지되어 사용자가 올라섰을 때 제1회동판(1310)과 제2회동판(1320)은 수평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회동판(1320)의 타단 하부에는 외면으로 돌출되는 제2고정단(13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고정단(1322)은 제2회동판(1320)이 수평하게 펼쳐졌을 때 후륜(1370)이 형성된 회동대(1360)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제2회동판(1320)이 더 이상 하부 방면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회동대(1360)가 하중에 의해 임의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동대(1360)에는 브레이크모터가 구비되어 있어 제2회동판(1320)이 수직상태로 접혀지는 상태에서만 회동대(1360)가 90도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회동판(1320)이 수평상태로 유지되는 동안에는 회동대(1360)가 임의로 회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회동축(1330), 제2회동축(1340), 제3회동축(135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고정단(1311), 제1지지단(1312), 제2고정단(1322), 제2지지단(1323)에는 각각 축이 결합될 수 있도록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판부(1300)를 접었을 때 바디부(1200), 제1회동판(1310), 제2회동판(1320)이 접촉되는 부위에는 후크를 이용하여 접촉된 면이 서로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접혀진 상태에서 장시간 보관할 때 임의로 발판부(1300)가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회동판(1310)과 제2회동판(1320)이 회동된 상태에서는 임의로 회동되어 접히거나 펼쳐지지 않도록 내부에 회동모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여나 반납 신호에 따라 제1회동판(1310)과 제2회동판(1320)이 자동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가 접혀진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전면 및 후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가 정렬되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는 바디부(1200)의 전면에는 인접한 다른 킥보드(100)에 형성된 전자자물쇠와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잠금키(1210)와, 제2회동판(1320)에는 전자자물쇠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인접한 다른 킥보드(100)에 형성된 잠금키(1210)가 전자자물쇠에 의해 전자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제2회동판(132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락킹홀(132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회동판(1310)과 제2회동판(1320)이 부피가 감소되도록 접혀진 상태에서 잠금키(1210) 및 락킹홀(1321)에 의해 인접한 서로 다른 킥보드(100)가 서로 결합되어 정렬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잠금키(1210)와 락킹홀(1321)은 서로 다른 킥보드(100)를 서로 연결하여 단일체로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제2회동판(1320)의 내부에 전자자물쇠가 형성되어 있고 락킹홀(1321)을 통해 잠금키(1210)가 전자자물쇠로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킥보드(100)에 형성된 잠금키(1210)와 락킹홀(1321)은 인접한 다른 킥보드(100)에 형성된 락킹홀(1321) 또는 잠금키(1210)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잠금키(1210)는 바디부(1200)의 전면에서 외면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도면 상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단에는 지름이 작게 형성되어 있어 전자자물쇠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잠금키(12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전자자물쇠의 체결종류에 따라 외면에 홈이 형성되거나 다수 개의 체결단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락킹홀(1321)은 제2회동판(132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2회동판(1320) 내부에 형성된 전자자물쇠에 잠금키(1210)가 삽입되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락킹홀(1321)은 발판부(1300)에 형성된 제1회동판(1310)과 제2회동판(1320)이 수직하게 회동되어 접은 상태가 되면 바디부(1200)에 형성된 잠금키(1210)와 동일한 위치에서 잠금키(12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수평하게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다수 개의 킥보드(100)를 보관하는 경우 킥보드(100)의 발판부(1300)를 접은 상태로 부피를 최소화한 후 일렬로 정렬시키고 어느 하나의 킥보드(100)에 형성된 잠금키(1210)를 다른 하나의 킥보드(100)에 형성된 락킹홀(1321)에 삽입하면 전자자물쇠에 의해 자동으로 체결되면서 두 개의 킥보드(100)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여러 번 반복하게 되면 도 7과 같이 다수 개의 킥보드(100)를 정렬시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잠금키(1210)와 락킹홀(1321)의 위치를 지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형성시키되, 잠금키(1210)는 좌측 또는 우측방향에 위치되도록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어, 두 개의 킥보드(100)가 결합되었을 때 하나의 킥보드(100)는 전방 좌측에 위치되고 다른 하나의 킥보드(100)는 우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받침대 없이 세워지도록 유도할 수도 있게 된다.
이때 잠금키(1210)는 결합되는 킥보드(100)가 지그재그 형태로 결합되도록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정보는 대여 서비스 서버를 통해 제어되어 사용자가 반납할 때 잠금키(1210)의 위치를 수동으로 변경하거나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그재그로 결합되는 다수 개의 킥보드(100)에 의해 킥보드(100)가 쓰러지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안정적인 상태로 주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디부(1200)의 내부에 형성된 제어회로는 잠금키(1210)에 의해 체결된 상태와 락킹홀(1321)에 잠금키(1210)가 삽입되어 전자자물쇠에 체결된 상태를 전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이를 기반으로 대여 서비스 서버에 무선통신을 통해 신호를 출력하여 체결상태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잠금키(1210)는 대여 시에는 바디부(1200) 내부로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방지되고, 반납 시에는 인접한 다른 킥보드(1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바디부(1200)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잠금키(1210)의 경우 바디부(1200)의 전면에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킥보드(100)를 대여하여 사용자가 운행할 때 잠금키(1210)가 물체에 접촉되면서 충격에 의해 파손되거나 사람과 부딪혀 상해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 잠금키(1210)는 바디부(1200) 내부로 삽입되거나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킥보드(100)를 대여하여 발판부(1300)가 펼쳐져 탑승이 가능한 상태로 변환되면 바디부(1200)에 형성된 제어회로가 이를 인지하여 잠금키(1210)가 바디부(1200) 내부로 삽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킥보드(100)를 반납하기 위해 발판부(1300)를 접은 상태로 변환되면 잠금키(1210)는 바디부(1200)로부터 외면으로 돌출되어 다른 킥보드(100)와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락킹홀(1321)은 대여 시에는 입구가 폐쇄되어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반납 시에는 인접한 다른 킥보드(1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락킹홀(1321)의 경우 발판부(13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제2회동판(132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발에 의해 이물질이 락킹홀(1321)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로 인해 킥보드(100)를 접어서 다른 킥보드(100)와 연결할 때 잠금키(1210)가 락킹홀(1321) 내부의 이물질에 의해 정상적으로 체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발판부(1300)를 펼쳐서 킥보드(100)를 사용할 경우에는 락킹홀(1321)의 입구에 커버가 형성되어 있어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발판부(1300)를 접어서 다른 킥보드(100)와 결합하여 보관하는 경우 커버가 슬라이딩되어 잠금키(1210)가 락킹홀(132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커버의 외면에 이물질이 유입된 상태에서 커버가 개방되는 경우 이물질이 잔존할 수도 있기 때문에 락킹홀(1321) 내부에는 압축된 공기를 분사하는 다수 개의 분사구가 마련되어 있어 락킹홀(1321)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을 외부로 분사시켜 배출할 수도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락킹홀(1321) 내부에 유입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되고 락킹홀(1321)에 삽입되는 잠금키(1210)가 정상적으로 체결되어 킥보드(100)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의 대여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의 반납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는 핸들부(1100)에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킥보드(100)를 대여 또는 반납할 때 해당 킥보드(100)의 고유번호 및 상태정보를 대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전자태그(1110)와, 킥보드(100)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여 대여 서비스 서버를 통해 해당 킥보드(100)의 위치를 추적하고 유지보수하기 위해 사용되는 GPS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태그(1110)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킥보드(100)를 대여하거나 반납할 때 킥보드(100)에 대한 고유 정보를 읽고 이에 대한 정보를 대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대여 또는 반납될 킥보드(100)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전자태그(1110)는 RFID로 형성되거나 QR코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킥보드(100)에 대한 고유 정보를 전자적으로 읽어낼 수 있는 수단이라면 적용이 가능하다.
GPS는 킥보드(100)의 위치를 대여 서비스 서버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사용자가 대여 또는 반납 신청을 할 때 대여 가능한 킥보드(100)의 위치나 반납 위치를 안내하기 위해 사용되며, 킥보드(100)가 고장 났을 경우 유지보수를 위해 해당 킥보드(100)의 위치를 수리기사에게 안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대여 서비스 서버는 공유 킥보드를 유지 보수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회사에서 관리할 수 있게 되며, 대여 서비스 서버는 원격에서 각각의 킥보드(100)에 대한 위치정보, 배터리 상태, 점검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킥보드(100)에서 동작되는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각각의 킥보드(100)는 별도의 무선통신모듈이 내장되어 있어 주기적으로 킥보드(100)에 대한 정보를 대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게 된다.
사용자 단말기에는 대여 서비스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마련되어 있어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대여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킥보드(100)를 대여 또는 반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킥보드(100)의 전자태그(1110)를 NFC로 태그하거나 카메라로 촬영하여 대여 또는 반납하고자 하는 킥보드(100)에 대한 정보를 읽을 수 있게 되며, 대여 서비스 서버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읽어진 킥보드(100) 정보를 이용하여 대여나 반납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자태그(1110)는 대여되는 킥보드(100)가 인접한 다른 킥보드(100)와 결합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대여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가 킥보드(100)를 대여할 때 결합되지 않은 상태 또는 인접한 다른 킥보드(100)가 하나만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만 대여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과 같이,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킥보드(100)를 대여를 원하는 경우 먼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대여 서비스 서버와 연결하게 되며, 대여 서비스 서버와 연결된 어플리케이션에서는 대여를 원하는 킥보드(100)에 형성된 전자태그(1110)를 선택하도록 요청한다.
만약 사용자의 주변에 킥보드(100)가 없는 경우 대여 서비스 서버는 어플리케이션에 지도를 출력하여 사용자 인근에 주차되어 있는 킥보드(100)의 위치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킥보드(100)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대여를 원하는 킥보드(100)에 형성된 전자태그(1110)에 단말기를 태그하거나 카메라로 촬영하면, 대여 서비스 서버는 킥보드(100)가 주차된 상태를 분석하여 해당 킥보드(100)에 다른 킥보드(100)와 결합된 상태인지 판단하게 된다.
이때 결합된 상태는 대여를 원하는 킥보드(100)의 잠금키(1210)가 다른 킥보드(100)의 락킹홀(1321)에 결합되어 있거나, 대여를 원하는 킥보드(100)의 락킹홀(1321)에 다른 킥보드(100)의 잠금키(1210)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바디부(1200)에 형성된 제어회로는 잠금키(1210)를 통해 체결된 상태와 락킹홀(1321)에 의해 체결된 상태를 전기적인 신호로 파악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기반으로 다른 킥보드(100)와의 결합상태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대여를 원하는 킥보드(100)가 다른 킥보드(100)와 결합되어 있지 않는 경우 대여 서비스 서버는 해당 킥보드(100)가 대여가 가능한 상태로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킥보드(100)의 사용시간에 따른 비용 결제 화면을 출력하게 되고 사용자가 비용을 결제하면 대여를 원하는 킥보드(10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시간만큼 사용자가 대여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대여를 원하는 킥보드(100)가 다른 킥보드(100)와 결합된 상태인 경우 대여 서비스 서버는 대여를 원하는 킥보드(100)가 결합된 다수 개의 킥보드(100)의 가장자리에 위치되어 있는지 판단하게 된다.
즉, 결합된 다수 개의 킥보드(100) 중 말단에 위치된 킥보드(100)가 아닌 경우에는 대여가 불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하게 되며, 대여를 원하는 킥보드(100)가 말단에 위치된 킥보드(100)인 경우 대여 서비스 서버는 대여를 원하는 킥보드(100)가 분리될 수 있도록 결합된 다른 킥보드(100)를 분리시키도록 제어신호를 보내게 된다.
대여 서비스 서버를 통해 대여를 원하는 킥보드(100)의 잠금키(1210)가 다른 킥보드(100)의 락킹홀(1321)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 해당 락킹홀(1321)의 전자자물쇠를 해제하여 대여를 원하는 킥보드(100)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하며, 대여를 원하는 킥보드(100)의 락킹홀(1321)에 다른 킥보드(100)의 잠금키(1210)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 대여를 원하는 킥보드(100)의 전자자물쇠를 해제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사용자는 대여를 원하는 킥보드(100)를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킥보드(100)는 최소 한 개의 이하의 다른 킥보드(100)와 연결된 상태에서만 대여 가능하며, 두 개 이상의 다른 킥보드(100)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 말단 킥보드(100)가 아니므로 대여가 불가능해진다.
또한 대여 서비스 서버는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에 인근지역의 사전에 반납된 다른 킥보드(100)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킥보드(100)를 반납할 때 사전에 반납된 다른 킥보드(100)와 결합되면 반납이 승인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와 같이, 사용자가 대여한 킥보드(100)를 반납하고자 하는 경우 대여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 주변의 킥보드(100) 위치 정보를 지도로 출력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되며 대여한 킥보드(100)를 반납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반납 위치는 킥보드(100)를 정렬하여 보관하기 위한 곳이기 때문에 사용자 주변에 킥보드(10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대여한 킥보드(100)의 위치가 반납 위치로 지정될 수 있게 된다.
대여 서비스 서버는 대여한 킥보드(100)의 사용시간이 소모되기 전에 반납 위치를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납 위치까지 킥보드(100)가 이동되면 사용자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 반납 버튼을 눌러 대여한 킥보드(100)를 반납을 시작하게 된다.
이때 현재 사용자 위치에서 탐색 반경 내에 킥보드(100)가 없는 경우 해당위치에서 반납 처리되고, 주변에 킥보드(100)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킥보드(100)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해당 먼저 주차되어 있는 킥보드(100)의 락킹홀(1321)에 대여한 킥보드(100)의 잠금키(1210)가 삽입되도록 하여 전자자물쇠에 의해 킥보드(100)가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
대여 서비스 서버는 대여한 킥보드(100)가 결합된 상태인지 판단 한 후 최종적으로 반납 승인 메시지를 출력하게 되며, 정상적으로 결합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결합되도록 메시지를 출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에 의하면, 킥보드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 바닥에 차지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어 좁은 공간에 다수 개의 킥보드를 보관할 수 있고, 킥보드를 접어서 보관할 때 인접한 다른 킥보드와 서로 결합되어 보관이 가능하고, 전자자물쇠에 의해 결합된 킥보드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하여 정렬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킥보드를 대여 또는 반납할 때 다수 개의 킥보드가 정렬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유도할 수 있어 도로나 인도에 무단으로 킥보드가 방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킥보드 1100 : 핸들부
1110 : 전자태그 1200 : 바디부
1210 : 잠금키 1220 : 전륜
1230 : 연결대 1300 : 발판부
1310 : 제1회동판 1311 : 제1고정단
1312 : 제1지지단 1313 : 제1받침단
1320 : 제2회동판 1321 : 락킹홀
1322 : 제2고정단 1323 : 제2지지단
1324 : 제2받침단 1330 : 제1회동축
1340 : 제2회동축 1350 : 제3회동축
1360 : 회동대 1370 : 후륜

Claims (8)

  1. 삭제
  2. 수직하게 형성되며 하단에는 내부 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전륜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전륜의 방향성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핸들부와;
    상기 바디부의 하단에서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후면 하단에는 지면과 접촉되어 회전되는 후륜이 형성되어 있는 발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판부는
    일단이 상기 바디부에 축 결합되어 상기 바디부의 외면을 향해 상부로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회동판과;
    일단이 상기 제1회동판의 타단에 축 결합되어 상기 제1회동판의 하부로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회동판과;
    상기 제2회동판의 타단에 축 결합되어 상기 제2회동판의 회동방향에 따라 90도로 회동되어 상기 후륜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회동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회동판과 상기 제2회동판은 상기 바디부를 향해 회동되어 수직하게 회동되어 부피가 감소되도록 접을 수 있고,
    상기 바디부의 전면에는 인접한 다른 킥보드에 형성된 전자자물쇠와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잠금키와;
    상기 제2회동판에는 전자자물쇠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인접한 다른 킥보드에 형성된 잠금키가 상기 전자자물쇠에 의해 전자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회동판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락킹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판과 상기 제2회동판이 부피가 감소되도록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잠금키 및 상기 락킹홀에 의해 인접한 서로 다른 킥보드가 서로 결합되어 정렬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키는 대여 시에는 상기 바디부 내부로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방지되고, 반납 시에는 인접한 다른 킥보드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홀은 대여 시에는 입구가 폐쇄되어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반납 시에는 인접한 다른 킥보드와 결합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
  6. 삭제
  7. 수직하게 형성되며 하단에는 내부 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전륜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전륜의 방향성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핸들부와;
    상기 바디부의 하단에서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후면 하단에는 지면과 접촉되어 회전되는 후륜이 형성되어 있는 발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판부는
    일단이 상기 바디부에 축 결합되어 상기 바디부의 외면을 향해 상부로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회동판과;
    일단이 상기 제1회동판의 타단에 축 결합되어 상기 제1회동판의 하부로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회동판과;
    상기 제2회동판의 타단에 축 결합되어 상기 제2회동판의 회동방향에 따라 90도로 회동되어 상기 후륜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회동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회동판과 상기 제2회동판은 상기 바디부를 향해 회동되어 수직하게 회동되어 부피가 감소되도록 접을 수 있고,
    상기 핸들부에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킥보드를 대여 또는 반납할 때 해당 킥보드의 고유번호 및 상태정보를 대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전자태그와;
    상기 킥보드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여 상기 대여 서비스 서버를 통해 해당 킥보드의 위치를 추적하고 유지보수하기 위해 사용되는 GPS;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자태그는 대여되는 킥보드가 인접한 다른 킥보드와 결합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대여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가 킥보드를 대여할 때 결합되지 않은 상태 또는 인접한 다른 킥보드가 하나만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만 대여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
  8. 수직하게 형성되며 하단에는 내부 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전륜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전륜의 방향성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핸들부와;
    상기 바디부의 하단에서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후면 하단에는 지면과 접촉되어 회전되는 후륜이 형성되어 있는 발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판부는
    일단이 상기 바디부에 축 결합되어 상기 바디부의 외면을 향해 상부로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회동판과;
    일단이 상기 제1회동판의 타단에 축 결합되어 상기 제1회동판의 하부로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회동판과;
    상기 제2회동판의 타단에 축 결합되어 상기 제2회동판의 회동방향에 따라 90도로 회동되어 상기 후륜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회동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회동판과 상기 제2회동판은 상기 바디부를 향해 회동되어 수직하게 회동되어 부피가 감소되도록 접을 수 있고,
    상기 핸들부에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킥보드를 대여 또는 반납할 때 해당 킥보드의 고유번호 및 상태정보를 대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전자태그와;
    상기 킥보드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여 상기 대여 서비스 서버를 통해 해당 킥보드의 위치를 추적하고 유지보수하기 위해 사용되는 GPS;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대여 서비스 서버는
    상기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에 인근지역의 사전에 반납된 다른 킥보드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킥보드를 반납할 때 사전에 반납된 다른 킥보드와 결합되면 반납이 승인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
KR1020220048795A 2022-04-20 2022-04-20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 KR102537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795A KR102537197B1 (ko) 2022-04-20 2022-04-20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795A KR102537197B1 (ko) 2022-04-20 2022-04-20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7197B1 true KR102537197B1 (ko) 2023-05-26

Family

ID=86536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795A KR102537197B1 (ko) 2022-04-20 2022-04-20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19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8803A (ko) * 2004-11-26 2006-06-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휠체어 겸용 운전석 시트의 바퀴 폴딩구조
CN106741451A (zh) * 2016-12-16 2017-05-31 郭馨艳 一种自动双折叠电动滑板车
KR101989735B1 (ko) 2018-01-04 2019-06-14 (주)머케인 폴딩형 전동 킥보드
KR20210014985A (ko) * 2019-07-31 2021-02-10 주식회사 오스코 전동 킥보드 보관 겸용 충전 시스템
KR20210086278A (ko) * 2019-12-31 2021-07-08 대시컴퍼니 주식회사 퍼스널 모빌리티 쉐어링 방법 및 퍼스널 모빌리티 대여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8803A (ko) * 2004-11-26 2006-06-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휠체어 겸용 운전석 시트의 바퀴 폴딩구조
CN106741451A (zh) * 2016-12-16 2017-05-31 郭馨艳 一种自动双折叠电动滑板车
KR101989735B1 (ko) 2018-01-04 2019-06-14 (주)머케인 폴딩형 전동 킥보드
KR20210014985A (ko) * 2019-07-31 2021-02-10 주식회사 오스코 전동 킥보드 보관 겸용 충전 시스템
KR20210086278A (ko) * 2019-12-31 2021-07-08 대시컴퍼니 주식회사 퍼스널 모빌리티 쉐어링 방법 및 퍼스널 모빌리티 대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511336B (zh) 具有控制和通信单元的电动便利车辆(ecv)
US7614931B2 (en) Toy vehicle track set
CN107943015A (zh) 自主个人移动系统
CN106530806A (zh) 一种水上智能停车船停车系统及其应用方法
US20210178921A1 (en) Vehicle docking stations systems and methods
US20100197416A1 (en) Artificial ski slope assembly
CN105879365A (zh) 两用电动滑板平衡车
KR102537197B1 (ko) 일렬로 정렬시켜 결합 주차가 가능한 접이식 공유 킥보드
JP6258743B2 (ja) 脱着コンテナ
CN216979847U (zh) 一种折叠共享车辆存放箱及存放装置
KR102079902B1 (ko) 폴더블 전동킥보드
CN111779338A (zh) 智能立体车库预约管理系统
US20190054972A1 (en) Electric Convenience Vehicle (ECV) With Control And Communications Unit
FI111063B (fi) Sähkömoottorikäyttöinen kulkuväline
KR20140049766A (ko) 차량 탑재형 이동식 스윙 놀이기구
KR100908040B1 (ko)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US20080113800A1 (en) Game With Remotely Controlled Game Vehicles
CN105839967A (zh) 一种车位锁和停车场
CN108674533B (zh) 一种适用于共享单车的停放装置及其存取方法
KR102063854B1 (ko) 주차 및 교통 통제장치
US10518755B1 (en) Daneshvar autorotation means and methods
KR20210092599A (ko) 전동 킥보드 주차장치
JP2009273740A (ja) 搭乗型遊戯装置及び該装置に用いられるカート
JPH09277972A (ja) 駐輪装置
CN115891795A (zh) 一种多功能车及其运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