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837B1 - 이용자 중심의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용자 중심의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837B1
KR102536837B1 KR1020220171187A KR20220171187A KR102536837B1 KR 102536837 B1 KR102536837 B1 KR 102536837B1 KR 1020220171187 A KR1020220171187 A KR 1020220171187A KR 20220171187 A KR20220171187 A KR 20220171187A KR 102536837 B1 KR102536837 B1 KR 102536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ation
information
shared vehicle
base
time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1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우
박준현
김재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쏘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쏘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쏘카
Priority to KR1020220171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8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 중심의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메모리, 통신부, 및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예약 시간 범위 및 적어도 하나의 이용 거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 거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예약 시간 범위에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예약 가능 여부의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상기 예약 시간 범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공유 차량 예약 요청을 획득하고, 상기 예약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유 차량에 대한 대여 권한이 부여된 예약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용자 중심의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SERVER FOR PROVIDING SHARED CAR RESERVATION SERVICE AS USER-CENTERED, ITS METHOD FOR CONTROLLING, AND SHARED CAR RESERVATION SERVICE SYSTEM}
본 개시는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 그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개시는 이용자 중심의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제어방법,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유 경제가 발달하면서, 공유 차량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는 차량의 취등록세, 보험비, 유지비 등의 비용을 절감해주는 효과를 가진다. 이용자들은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공유 차량을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 거점에서 특정한 시간대에 공유 차량을 반납한다.
일반적인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는 이용자의 예약 시간 범위 내에 하나의 공유 차량을 독점 점유할 수 있는 예약을 제공한다. 즉, 이용자가 지정한 시간 범위 내에서 지정된 이용 거점에 배치된 하나의 공유 차량만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가 제공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9-0062719호가 있다.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예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에서 하나의 예약으로 일정한 기간(또는 시간) 동안 복수의 장소에 배치된 복수의 공유 차량을 자유롭게 점유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에 일 측면에 따른 이용자 중심의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메모리, 통신부, 및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예약 시간 범위 및 적어도 하나의 이용 거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 거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예약 시간 범위에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예약 가능 여부의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상기 예약 시간 범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공유 차량 예약 요청을 획득하고, 상기 예약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유 차량에 대한 대여 권한이 부여된 예약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개시의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제어 방법이 더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 및 장치들을 포함하는 시스템이 더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하나의 공유 차량 예약 정보에 복수의 공유 차량을 대응시켜 예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공유 차량을 이용하고자 하는 전체 시간대를 구분하여 이용 거점 별로 공유 차량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이용자는 일 이용 거점에서 일 공유 차량을 일 예약 시간 범위에서 이용하고, 비행기 등의 교통 수단을 통해 다른 이용 거점으로 이동하여 해당 이용 거점에서 다른 공유 차량을 다른 예약 시간 범위에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용자는 공유 차량을 이용하고자 하는 편의에 맞추어 하나의 예약 정보로 복수의 이용 거점에서의 복수의 공유 차량 이용 예약을 복수의 시간대에서 하나의 예약 정보로 제공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를 제공 서버의 구성요소에 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제어 방법에 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제어 방법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른 거점의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 확인 프로세스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른 거점의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 확인 프로세스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유 차량 존재 확률에 따른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 확인 프로세스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점 간 예상 소요 시간 범위 확인 프로세스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새로운 거점 추가 프로세스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실제 이용 시간을 고려한 결제 금액 할인 프로세스에 관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개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개시에 따른 장치'는 연산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모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따른 장치는, 컴퓨터, 서버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를 모두 포함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장치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서버로써, 애플리케이션 서버, 컴퓨팅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파일 서버, 게임 서버, 메일 서버, 프록시 서버 및 웹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유 차량은 차량 셰어링 플랫폼을 통해 공유되는 차량 또는 셰어링되는 차량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공유 차량은 일종의 렌터카 플랫폼의 렌터카를 의미할 수 있다. 차량 셰어링 플랫폼은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 플랫폼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은 기존의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과 차별성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기존의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은 이용자가 일정 시간 동안 하나의 공유 차량을 독점 점유 가능한 공유 차량 예약을 제공한다. 즉, 기존의 시스템 이용자는 지정 시간 내에서 지정된 거점에 배치된 하나의 공유 차량만을 이용할 수 있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이하 '시스템')은 이용자가 하나의 예약 요청을 통해 복수의 거점의 복수의 공유 차량을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예약 시간 범위는 이용자가 공유 차량을 이용하고자 하는 시간 범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2022년 12월 24일 오전 7시부터 오후 7시까지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예약 시간 범위는 2022년 12월 24일 오전 7시부터 오후 7시에 대응한다. 예약 시간 범위는 전체 예약 시간 범위 내에서 이용 거점 별로 나누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이용 거점은 이용자가 공유 차량을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 거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서울시 및 제주도에서 공유 차량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이용 거점은 서울시 및 제주도에 대응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다른 이용 거점은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이용 거점은 전체 예약 시간 범위 내에서 구분되는 예약 시간 범위에 따라 지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는 이용 거점에서 예약 시간 범위에 이용이 가능한 해당 이용 거점에서의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의 리스트에 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서울시에서 2022년 12월 24일 오전 7시부터 오후 12시까지 공유 차량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시스템은 이용자가 서울시에서 2022년 12월 24일 오전 7시부터 오후 12시까지 이용이 가능한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유 차량 예약 요청은 이용자가 요청하는 것이다. 공유 차량 예약 요청은 시스템 상에서 이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클라이언트 장치를 통해 공유 차량을 예약하고자 하는 요청에 해당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권한이 부여된 예약 정보는 이용자가 공유 차량에 대해 예약을 요청하여 그 요청이 수락된 정보이다. 여기서, 권한은 공유 차량 키 잠금 장치에 대한 권한을 포함한다. 이용자는 클라이언트 장치를 통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서비스를 통해 공유 차량의 잠금 장치를 해제하고 공유 차량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10)에 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1을 참고하면,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10)은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100), 클라이언트 장치(200), 데이터베이스(300), 및 외부 서버(400)을 포함한다. 각각의 노드는 서로 다른 노드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각 노드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10) 내에서의 각종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서비스를 통해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장치(200)로부터 공유 차량 예약 요청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예약 시간 범위 및 이용 거점에 대한 예약 요청 획득 이전의 프로세스에서, 데이터베이스(300) 및 외부 서버(400)를 통해 이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신 및/또는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스마트폰, PC, 스마트워치, 휴대용 단말기 등을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서비스를 통해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장치일 수 있으며,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300)는 데이터 저장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300)는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10)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또는 클라우드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00)는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10)에서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용 거점과 이용 거점 별 공유 차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 서버(400)는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10)이 서비스하고 있는 전체 지역에 대한 교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지역은 대한민국 전역일 수 있다. 외부 서버(400)는 전체 지역에서의 교통량 정보, 특정 거점 간 소요 시간 정보, 특정 거점 간 특정 시간 범위에서의 교통 혼잡도 정보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서버(400)는 전체 지역에 대한 교통의 정보를 관제하고, 그 정보를 활용하여 2차적인 지표에 대한 정보를 가공하여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를 제공 서버의 구성요소에 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내부 구성요소로 프로세서(110), 통신부(120), 및 메모리(13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예: 도 1의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10))의 일련의 프로세스들을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0)는 특정 거점에서 다른 거점으로의 자율 주행 차량의 이동 시간을 연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외부 서버(예: 도 1의 외부 서버(400))를 통해 제공받는 교통 정보를 통해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특정 거점에서 다른 거점으로의 자율 주행 차량의 이동 시간을 연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자율 주행 차량의 이동 시간 연산을 통해 이동한 다른 거점에서 이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예약 시간 범위 내에 해당 자율 주행 차량이 도착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110)는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실시예에 다른 프로세서(110)는 특정 예약 시간 범위에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의 존재 확률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특정 예약 시간 범위 내에서 특정 거점에 공유 차량이 존재할 수 있는 확률을 연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특정 예약 시간 범위 내에서 특정 거점에 공유 차량을 예약했던 이용자의 이용 패턴을 학습하여, 이용 패턴을 기반으로 공유 차량의 반납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10)는 존재 확률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특정 예약 시간 범위에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의 존재 확률을 확인하는 알고리즘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0)는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100) 내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30) 및 메모리(1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블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10)와 메모리(130)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10)와 메모리(130)는 단일의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는 이하의 도 3, 도 5, 도 7 내지 도 10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구현하기 위해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20)는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정보 또는 프로세서(110)에 의해 처리된 정보를 다른 장치로 전송하거나, 다른 장치로부터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통신부(120)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예: 도 1의 클라이언트 장치(200)), 데이터베이스(예: 도 1의 데이터베이스(300)), 및 외부 서버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20)는 외부 장치들과 통신을 가능하게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유선 통신 모듈, 무선 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 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유선 통신 모듈은,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4G, 5G, 6G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 및 송신기(Transmitt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로 변조하는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및 수신기(Receiv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를 디지털 제어 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은 본 개시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 정보 모듈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클라이언트 장치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통신부(12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은 클라이언트 장치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클라이언트 장치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부(미도시)는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장치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SIM)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된 외부 장치와 관련된 적절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130)는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와, 프로세서(11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음악 파일,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저장할 있고,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본 장치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0)는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는 분리되어 있으나,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데이터베이스가 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도 2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제어 방법에 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예: 도 1의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예: 도 1의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10))에서 이용자에게 공유 차량 예약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용자는 공유 차량을 이용하고자 하는 예약 시간 범위와 이용 거점에 대한 입력을 통해 원하는 시간대에 대응하는 이용 거점에서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 310에서,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10))는 예약 시간 범위 및 이용 거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프로세서는 통신부(예: 도 2의 통신부(120))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예: 도 1의 클라이언트 장치(200))로부터 예약 시간 범위와 적어도 하나의 이용 거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실시예에 따른 예약 시간 범위는 복수의 시간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는 2022년 12월 24일 오전 7시부터 오후 7시까지의 시간을 예약 시간 범위로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자는 2022년 12월 24일 오전 7시부터 오후 12시까지의 시간대와 오후 3시부터 오후 7시까지의 시간대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용자의 예약 시간 범위는 2개의 시간대를 포함한다. 즉, 예약 시간 범위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대(또는 시간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이용 거점에 대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이용 거점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 거점에 대한 정보는 서울시와 제주도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단계 320에서, 프로세서는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확인한다.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이용 거점에 대한 정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예: 도 1의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이용자가 입력한 적어도 하나의 이용 거점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예약 시간 범위에 이용이 가능한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서울시에서 2022년 12월 24일 오전 7시부터 오후 12시까지의 시간 범위에서 이용이 가능한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제주도에서 2022년 12월 24일 오후 3시부터 오후 7시까지의 시간 범위에서 이용이 가능한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거점에서 특정 시간 범위에 이용이 가능한 공유 차량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는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는 이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수신하여 그에 대응하는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생성 및 확인할 수 있다.
단계 330에서, 프로세서는 예약 가능 여부의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로 제공한다. 예약 가능 여부는 확인한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공유 차량의 예약 가능 여부에 대응한다.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통신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을 통한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복수의 이용자들의 공유 차량 예약 요청에 따라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가 변경되는 것에 대응하여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는, 프로세서가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거점에서 특정 시간 범위에 이용이 가능한 공유 차량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업데이트함으로써 가능하다. 즉, 프로세서는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예약이 완료되는 공유 차량을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에서 예약이 불가능한 것으로 처리하여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예약 취소의 경우에도 반대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단계 340에서, 프로세서는 통신부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공유 차량 예약 요청을 획득한다. 이용자는 제공받은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이용하고자 하는 공유 차량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이용자는 공유 차량 선택 이후 선택에 따른 공유 차량에 대한 예약의 진행을 이어갈 수 있다. 프로세서는 통신부를 통해 이용자의 클라이언트 장치를 통한 예약 진행의 입력을 수신하고, 이를 예약 요청으로 획득한다.
단계 350에서, 프로세서는 권한이 부여된 예약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로 제공한다. 권한이 부여된 예약 정보는 예약 요청에 대응하여 프로세서가 예약을 승인함으로써 생성된다.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이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이용 거점에서 예약 시간 범위 내에 이용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유 차량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공유 차량에 대한 보안 해제 등의 권한을 클라이언트 장치에 부여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권한이 부여된 예약 정보는 클라이언트 장치를 통한 이용 대금 결제가 이루어진 후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 서버(예: 도 1의 외부 서버(400))로부터 이용자의 이용 대금 결제 완료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이에 따라 단계 350의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예약 서비스 제공과 같이 선불 결제 후의 권한 부여 프로세스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제어 방법에 관한 예시도(400)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예: 도 1의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10))은 이용자A(410)의 예약 요청에 따라 예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예: 도 1의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통신부(예: 도 2의 통신부(120))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예: 도 1의 클라이언트 장치(200))로 예약 정보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10))는 이용자A(410)의 예약 시간 범위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이용자는 클라이언트 장치를 통해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서비스에서 예약 시간 범위를 입력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용자A(410)는 예약 시간 범위(420)를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로 입력하였다. 여기서, 예약 시간 범위는 2가지의 시간 범위를 포함한다. 즉, 예약 시간 범위(420)는 오전 9시부터 오후 12시까지의 제1 예약 시간 범위(421)와 오후 2시부터 오후 4시까지의 제2 예약 시간 범위(422)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이용자A(410)의 이용 거점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이용자는 클라이언트 장치를 통해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서비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용 거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용자A(410)는 이용 거점을 강남역(431)과 제주공항(432)로 입력하였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이용 거점 정보는 2가지의 이용 거점 정보를 포함한다. 즉, 적어도 하나의 이용 거점 정보는 강남역(431)에 대한 이용 거점 정보와 제주공항(432)에 대한 이용 거점 정보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강남역(431)에서 제1 예약 시간 범위(421)의 예약 시작 시간부터 이용이 가능한 공유 차량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용이 가능한 공유 차량을 확인하여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제주공항(432)에서 제2 예약 시간 범위(422)의 예약 시작 시간부터 이용이 가능한 공유 차량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용이 가능한 공유 차량을 확인하여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는 이용자A(410)가 공유 차량을 예약하고자 복수의 이용 거점에서의 예약 시간 범위(420)를 고려하여 이용이 가능한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확인한다. 이용자A(410)는 강남역(431)에서 차량A(441)에 대한 대여 권한이 부여된 예약 정보와 제주공항(432)에서 차량B(442)에 대한 대여 권한이 부여된 예약 정보를 제공받는다. 이용자A(410)는 강남역(431)에서 차량A(441)를 오전 9시부터 이용 가능하고, 이후 오후 12시에 인천공항에 차량A(441)를 반납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A(410)는 제주공항(432)에서 차량B(442)를 오후 2시부터 이용 가능하고, 이후 오후 4시에 중문관광단지에 차량B(442)를 반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이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복수의 이용 거점에서 복수의 시간 범위에 따른 복수의 공유 차량 대여를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이용자가 이용 거점에 다시 반납할 필요가 없도록 한다. 또한, 프로세서는 이용자가 지역을 이동하게 되더라도 연속적으로 공유 차량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경험을 제공하게 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른 거점의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 확인 프로세스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예: 도 1의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예약 시간 범위에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확인할 때 다른 거점에서 동일한 예약 시간 범위에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510에서,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10))는 다른 거점의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거점은 이용자가 입력한 거점A가 아닌 거점일 수 있다. 이 때, 다른 거점은 거점A와 무관한 거점은 아니며 물리적인 거리와 관련된 거점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이용 거점의 중심 위치를 기초로 기설정된 거리에 위치한 다른 거점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거리는 2km일 수 있다. 기설정된 거리는 이용자가 공유 차량을 이용하기를 원하는 거점A로부터 멀지 않아 걸어갈 수 있을만한 거리 또는 다른 거점에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이 자율 주행으로 거점A로 배치될 수 있을 만한 거리이다.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통신부(예: 도 2의 통신부(12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예: 도 1의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다른 거점과 다른 거점의 공유 차량 정보를 확인한다. 프로세서는 이용자가 공유 차량을 이용하기를 원하는 이용 거점에서의 예약 시간 범위 내에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이 존재하지 않을 것에 대비하여 다른 거점의 공유 차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이용자가 다른 거점을 대안으로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다른 거점의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 중 사람이 없는 상태에서 자율 주행이 가능한 차량을 다른 거점에서 거점A로 배치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예약 시간 범위 및 적어도 하나의 이용 거점 정보를 토대로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생성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통신부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로 대안이 될 수 있는 다른 거점의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520에서, 프로세서는 다른 공유 차량 중 자율 주행이 가능한 공유 차량에 대한 예약 가능 여부의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로 제공한다. 자율 주행이 가능한 공유 차량은 사람의 운행이 없이도 자율적으로 주행이 가능한 공유 차량을 포함한다. 즉, 자율 주행이 가능한 공유 차량은 주행자 없이도 원격 제어로 주행이 가능한 공유 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다른 거점의 예약 시간 범위에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 중 다른 거점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용 거점으로 자율 주행이 가능한 공유 차량에 대한 예약 가능 여부의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거점A에서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이 없는 상태에서, 프로세서는 거점A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거점B에 배치된 자율 주행 차량을 거점A로 배치되도록 하여 해당 자율 주행 차량에 대한 예약이 가능하다는 정보를 제공한다. 이 때, 프로세서는 이용자의 거점A에서의 예약 시작 시간과 현재 시간을 토대로 거점B에 배치된 자율 주행 차량의 거점A로의 배치 가능 시간을 확인한다. 거점B에 배치된 자율 주행 차량의 거점A로의 배치 가능 시간이 거점A에서의 예약 시작 시간 이전이라면, 프로세서는 거점A에서 예약 시간 범위 내에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에 자율 주행 차량을 포함하여 클라이언트 장치로 예약이 가능하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른 거점의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 확인 프로세스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10))는 이용 거점 별 예약 시간 범위에 대응하여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6에서의 거점A와 거점B는 이용자가 공유 차량을 이용하기를 원하는 복수의 이용 거점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제1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610)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610)는 거점A에서 제1 예약 시간 범위에 이용이 가능한 공유 차량들의 리스트 정보이다.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제2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620)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620)는 거점B에서 제2 예약 시간 범위에 이용이 가능한 공유 차량들의 리스트 정보이다. 프로세서는 이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제1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610)와 제2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620)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6에서의 거점A는 이용자가 공유 차량을 이용하기를 원하는 이용 거점이고, 거점B는 거점A로부터 기설정된 거리에 위치한 이용 거점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제1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610)에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이 없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1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610)를 대신하여 제2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620)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2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620)에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이 적어도 하나 존재해야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6에서의 거점A는 이용자가 공유 차량을 이용하기를 원하는 이용 거점이고, 거점B는 거점A로부터 기설정된 거리에 위치한 이용 거점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제1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610)에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이 없거나 적은 것(예: 1대)으로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1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610)에 제2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620) 중 자율 주행이 가능하고 거점A에서의 예약 가능 시간 이전에 거점B에서 거점A로 배치가 가능한 공유 차량 정보를 제1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61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유 차량 존재 확률에 따른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 확인 프로세스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10))는 공유 차량 존재 확률을 판단한다. 공유 차량 존재 확률은 이용자가 공유 차량의 이용을 원하는 이용 거점의 예약 시간 범위에 공유 차량이 존재할 확률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거점 간 예상 소요 시간 정보, 현재 이용 중인 공유 차량의 위치로부터 반납 이용 거점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 정보, 통계에 따른 시간 별 교통 혼잡도 정보 등을 토대로 존재 확률을 연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예: 도 1의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10))의 데이터베이스(예: 도 1의 데이터베이스(300))에 축적된 이용자들의 공유 차량 이용 패턴 정보를 통신부(예: 도 2의 통신부(12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일정 예약 시간 범위 동안 공유 차량을 예약하고 실제로 이용한 시간을 통계내어 이용 패턴 정보를 분석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는 이용자 별 공유 차량 반납 시간을 예약 시간 범위에 따라 예측할 수 있다. 이는 프로세서가 존재 확률을 연산할 수 있는 추가적인 예시가 될 뿐이며, 존재 확률의 연산에 이용될 수 있는 인자는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710에서, 프로세서는 예약 시간 범위에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의 존재 확률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거점 간 예상 소요 시간 정보, 현재 이용 중인 공유 차량의 위치로부터 반납 이용 거점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 정보, 통계에 따른 시간 별 교통 혼잡도 정보 등을 토대로 거점A에서의 공유 차량 존재 확률을 연산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이용 패턴 정보를 더 기반으로 하여 현재 시간에 이용자A를 통해 이용 중인 차량A가 이용자B가 예약하려는 예약 시작 시간 이전에 거점A에 배치(예: 반납)될 수 있는 확률을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이용자B는 거점A에서 공유 차량을 이용하려고 하는 것일 수 있다.
단계 720에서, 프로세서는 존재 확률을 기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한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임계값은 80%(0.8)일 수 있다. 기설정된 임계값은 통계적으로 공유 차량이 존재할 수 있는 확률로 정해질 수 있다. 이는 프로세서의 머신러닝을 통해 학습되어 설정되는 값일 수 있다.
단계 730에서, 프로세서는 제1 공유 차량의 리스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존재 확률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공유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공유 차량을 제1 공유 차량으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는 도 3의 단계 320에서의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에 제1 공유 차량을 포함시켜 그 리스트를 업데이트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는 단계 730에 따라 도 3의 단계 320에서의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이를 도 7에서 단계 A로의 분기로 표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존재 확률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공유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용 거점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에 위치한 다른 거점의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확인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는 도 5의 단계 510에서의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이를 도 7에서 단계 B로의 분기로 표현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점 간 예상 소요 시간 범위 확인 프로세스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10))는, 예약 시간 범위에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의 존재 확률을 연산함에 있어서, 외부 서버(예: 도 1의 외부 서버(4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단계 810에서, 프로세서는 거점 간 예상 소요 시간 범위를 확인한다. 일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이용 거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거점 간 예상 소요 시간 범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현재 이용자A에 의해 이용 중인 제1 공유 차량이 이용자B가 이용하고자 하는 거점A로 반납될 시간을, 현재의 제1 공유 차량의 위치로부터 거점A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을 기반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단계 820에서, 프로세서는 예약 시간 범위 내에 거점 간 예상 소요 시간 범위가 포함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는 존재 확률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는 도 7의 단계 710에서의 존재 확률을 확인하게 된다. 이를 도 8에서 단계 C로의 분기로 표현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거점 간 예상 소요 시간 범위는 이용 거점 간 예상 소요 시간 범위와 이용 중인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이용 거점 간 예상 소요 시간 범위를 포함한다. 또한, 거점 간 예상 소요 시간 범위는 예약 시간 범위에 대응하는 거점 간 소요 시간 정보 및 교통 혼잡도 정보를 기초로 확인된다. 프로세서는 외부 서버로부터 과거 및 현재까지의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예상 소요 시간 범위에 대한 정보와 존재 확률을 연산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이용자들의 이용 패턴 정보를 취합하여 예상 소요 시간 범위에 대한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연산하고, 존재 확률을 보다 정확하게 연산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새로운 거점 추가 프로세스에 관한 흐름도이다.
단계 910에서,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10))는 예약 시간 범위의 예약 시작 시간이 도래하기 전에 클라이언트 장치(예: 도 1의 클라이언트 장치(400))로부터 통신부(예: 도 2의 통신부(120))를 통해 제1 거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는 2022년 12월 24일 오전 7시부터 거점A를 시작 이용 거점으로 선택하고, 동일자의 오후 2시부터 거점B를 시작 이용 거점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이용자는 동일자의 오전 7시 이전에 거점C를 새로운 시작 이용 거점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거점C는 제1 거점이 된다. 다만, 프로세서는 거점C를 이용하려는 예약 시작 시간을 새로운 예약 시간 범위로 확인하고, 이에 따라 현재 시각이 예약 시간 범위의 예약 시작 시간이 도래하기 전인 경우에 이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용자는 동일자의 오후 12시부터 거점D를 시작 이용 거점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거점D가 제1 거점이 된다. 다만, 프로세서는 거점D를 이용하려는 예약 시작 시간인 오후 12시가 도래하기 전인 경우에 이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이용자의 예약 시간 범위에는 복수의 예약 시작 시간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프로세서는 복수의 예약 시작 시간의 도래 여부를 기반으로 제1 거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단계 920에서, 프로세서는 제1 거점에 대한 정보를 새로운 이용 거점에 대한 정보로 수신할 수 있다. 이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제1 거점은 기존에 선택하였던 이용 거점들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이용자의 예약 시간 범위를 통해 예약 시간 범위 내의 예약 시작 시간이 도래하기 전이라면, 제1 거점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이용 거점에 대한 정보에 포함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1 거점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예약 시간 범위가 기존의 예약 시간 범위에 더해져 예약 시간 범위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는 도 3의 단계 310에서의 예약 시간 범위 및 이용 겆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를 도 9에서 단계 D로의 분기로 표현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실제 이용 시간을 고려한 결제 금액 할인 프로세스에 관한 흐름도이다.
단계 1010에서, 프로세서(예: 도2의 프로세서(110))는 통신부(예: 도 2의 통신부(120))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예: 도 1의 클라이언트 장치(200))로부터 예약 요청에 따른 이용 종료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이용자는 2022년 12월 24일 오전 7시부터 오후 12시까지 거점A에서 차량A를 이용하고, 동일자의 오후 2시부터 오후 4시까지 거점B에서 차량B를 이용하는 권한이 부여된 예약 정보를 제공받았다. 이용자는 실제로 차량A를 오전 11시까지 이용하였고, 차량B를 오후 4시까지 이용하였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이용자의 차량A에 대한 조기 반납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의 조기 반납의 정보는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차량A에 대한 오후 3시까지의 이용 정보로부터 확인 가능하다. 즉, 프로세서는 공유 차량 반납 정보를 이용 종료 정보로 수신하게 된다.
단계 1020에서, 프로세서는 실제 이용 시간 범위를 확인한다. 이 때, 프로세서는 이용 종료 정보를 토대로 이용자가 실제로 공유 차량을 이용한 시간 범위를 확인하게 된다. 단계 1010의 예시에서, 프로세서는 이용자의 실제 이용 시간 범위를 오전 7시부터 오전 11시 및 오후 2시부터 오후 4시까지로 확인할 수 있다.
단계 1030에서, 프로세서는 실제 이용 시간 범위와 예약 시간 범위를 비교한다. 프로세서는 이용자의 실제 이용 시간 범위가 예약 시간 범위 내인지 판단하게 된다.
단계 1040에서, 프로세서는 결제 금액을 할인하여 통신부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로 제공한다. 단계 1030에서, 실제 이용 시간 범위가 예약 시간 범위 내인 경우, 프로세서는 권한이 부여된 예약 정보에 따른 결재 금액을 할인하여 이용자에게 과금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도 3의 단계 350에서 권한이 부여된 예약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로 제공하기 전에 이용자에게 과금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과금된 금액을 결제 금액으로 지불하고 단계 350에 따른 예약 정보를 제공받는다. 도 10을 통해 설명하는 실시예는, 단계 350 이후에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프로세스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기존의 결제 금액을 할인하여 주고 그 차액을 이용자에게 환불하여 주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할인 프로세스는 이용자의 실제 이용 시간 범위가 예약 시간 범위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근거로 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실제 이용 시간이 예약한 시간보다 적을수록 할인되는 금액이 커질 수 있다. 프로세서는 실제 이용 시간만큼의 과금을 수행하게 되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개시가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
100: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
200: 클라이언트 장치
300: 데이터베이스
400: 외부 서버

Claims (10)

  1. 이용자 중심의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메모리;
    통신부; 및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예약 시간 범위 및 적어도 하나의 이용 거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 거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예약 시간 범위에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예약 시간 범위에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의 존재 확률을 확인하고,
    상기 존재 확률을 기초로 상기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 거점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에 위치한 다른 거점의 상기 예약 시간 범위에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더 확인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획득한 교통 정보를 토대로 상기 다른 거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 거점으로 자율 주행이 가능한 공유 차량이 상기 예약 시간 범위 내에 도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예약 가능 여부의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다른 거점의 상기 예약 시간 범위에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 중 상기 다른 거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 거점으로 자율 주행이 가능한 공유 차량에 대한 예약 가능 여부의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상기 예약 시간 범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공유 차량 예약 요청을 획득하고,
    상기 예약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유 차량에 대한 대여 권한이 부여된 예약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제공하도록 설정된,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존재 확률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제1 공유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공유 차량의 리스트 정보를 상기 예약 시간 범위에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로 확인하고,
    상기 존재 확률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제1 공유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 거점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에 위치한 다른 거점의 상기 예약 시간 범위에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제공하도록 설정된,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 거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거점 간 예상 소요시간 범위를 확인하고,
    상기 예약 시간 범위 내에 상기 거점 간 예상 소요 시간 범위가 포함되는지 확인하여 상기 존재 확률을 확인하고,
    상기 거점 간 예상 소요 시간 범위는 상기 예약 시간 범위에 대응하는 상기 거점 간 소요 시간 정보 및 교통 혼잡도 정보를 기초로 확인하도록 설정된,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예약 시간 범위의 예약 시작 시간이 도래하기 전,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제1 거점에 대한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1 거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 거점에 대한 정보에 포함하여 수신하도록 설정된,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이용 종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용 종료 정보를 기초로 실제 이용 시간 범위를 확인하고,
    상기 실제 이용 시간 범위가 상기 예약 시간 범위 내인 경우, 상기 권한이 부여된 예약 정보에 따른 결제 금액을 할인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제공하도록 설정된,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
  9. 이용자 중심의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예약 서비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예약 시간 범위 및 적어도 하나의 이용 거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 거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예약 시간 범위에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예약 시간 범위에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의 존재 확률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존재 확률을 기초로 상기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 거점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에 위치한 다른 거점의 상기 예약 시간 범위에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더 확인하는 단계;
    외부 서버로부터 획득한 교통 정보를 토대로 상기 다른 거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 거점으로 자율 주행이 가능한 공유 차량이 상기 예약 시간 범위 내에 도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예약 가능 여부의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다른 거점의 상기 예약 시간 범위에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 중 상기 다른 거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 거점으로 자율 주행이 가능한 공유 차량에 대한 예약 가능 여부의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상기 예약 시간 범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공유 차량 예약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예약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유 차량에 대한 대여 권한이 부여된 예약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약 서비스 제어 방법.
  10. 이용자 중심의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장치;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
    데이터베이스; 및
    외부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는,
    메모리;
    통신부; 및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예약 시간 범위 및 적어도 하나의 이용 거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 거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예약 시간 범위에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예약 시간 범위에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의 존재 확률을 확인하고,
    상기 존재 확률을 기초로 상기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 거점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에 위치한 다른 거점의 상기 예약 시간 범위에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더 확인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획득한 교통 정보를 토대로 상기 다른 거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 거점으로 자율 주행이 가능한 공유 차량이 상기 예약 시간 범위 내에 도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예약 가능 여부의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다른 거점의 상기 예약 시간 범위에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 리스트 정보 중 상기 다른 거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 거점으로 자율 주행이 가능한 공유 차량에 대한 예약 가능 여부의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상기 예약 시간 범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공유 차량 예약 요청을 획득하고,
    상기 예약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유 차량에 대한 대여 권한이 부여된 예약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제공하도록 설정된,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
KR1020220171187A 2022-12-09 2022-12-09 이용자 중심의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 KR102536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1187A KR102536837B1 (ko) 2022-12-09 2022-12-09 이용자 중심의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1187A KR102536837B1 (ko) 2022-12-09 2022-12-09 이용자 중심의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6837B1 true KR102536837B1 (ko) 2023-05-26

Family

ID=86536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1187A KR102536837B1 (ko) 2022-12-09 2022-12-09 이용자 중심의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83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04478A (ja) * 2015-06-10 2017-01-05 横浜特殊船舶株式会社 レンタルシステムおよびレンタル方法
KR20170006396A (ko) * 2015-07-08 2017-01-18 이승원 스마트기기장치를 이용한 차량 대여 방법
KR20170142133A (ko) * 2017-11-10 2017-12-27 육준 카 쉐어링 시스템 및 카 쉐어링 방법
JP2018081574A (ja) * 2016-11-17 2018-05-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管理方法及び車両管理システム
KR20210058456A (ko) * 2019-11-14 2021-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플릿 시스템을 위한 이동체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20152972A (ko) * 2019-09-10 2022-11-17 주식회사 케이티 통합 교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04478A (ja) * 2015-06-10 2017-01-05 横浜特殊船舶株式会社 レンタルシステムおよびレンタル方法
KR20170006396A (ko) * 2015-07-08 2017-01-18 이승원 스마트기기장치를 이용한 차량 대여 방법
JP2018081574A (ja) * 2016-11-17 2018-05-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管理方法及び車両管理システム
KR20170142133A (ko) * 2017-11-10 2017-12-27 육준 카 쉐어링 시스템 및 카 쉐어링 방법
KR20220152972A (ko) * 2019-09-10 2022-11-17 주식회사 케이티 통합 교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58456A (ko) * 2019-11-14 2021-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플릿 시스템을 위한 이동체 제어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62396B1 (en) Location-based credential selection for wireless transactions
US10229602B2 (en) System for navigating drivers to service transportation requests specifying sightseeing attractions
CN103081525B (zh) 使用预测的位置来访问网络连接信息的方法和装置
US201601407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payment for parking
US201200416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ing Transportation Service
KR20140023541A (ko) 일정 관리 방법, 일정 관리 서버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
CN107077706A (zh) 共享车辆管理装置和共享车辆管理方法
WO2014176646A1 (en) Event not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KR102330737B1 (ko) 쿠리어 네트워크 서비스
US20150161533A1 (en) On-demand vehicle operation management device, on-demand vehicle operation management method, and on-demand vehicl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US201501770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owd congestion reduction at venue locations using beacons
KR101481956B1 (ko) 주차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6085509A (ja) 共用車両管理装置及び共用車両管理方法
JP6240718B1 (ja) 決済制御システム
KR102026913B1 (ko) 주문형 교통 서비스를 위한 정류장 선택 방법 및 시스템
US201600554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itineraries and weather forecast displays
EP3333790A1 (en) Automatic context-based selection from a digital wallet
WO2014190023A2 (en) Multi-modal journey planning and payment
US92866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principal / agent based mobile commerce
KR102536837B1 (ko) 이용자 중심의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공유 차량 예약 서비스 시스템
JP202019428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ブラム
JP2018045616A (ja) 管理装置及び管理システム
KR101899281B1 (ko) 차량 대여 시스템 및 방법
JP5522876B1 (ja) 情報処理方法、携帯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497131B1 (ko)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교통 정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