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752B1 - 커버 플레이트,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커버 플레이트,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752B1
KR102536752B1 KR1020217031346A KR20217031346A KR102536752B1 KR 102536752 B1 KR102536752 B1 KR 102536752B1 KR 1020217031346 A KR1020217031346 A KR 1020217031346A KR 20217031346 A KR20217031346 A KR 20217031346A KR 102536752 B1 KR102536752 B1 KR 102536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late
area
sideline
fla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1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2705A (ko
Inventor
쓰난 무
리쓰 쉬
보 샤오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32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2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5K5/001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커버 플레이트,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커버 플레이트는 서로 연결된 평탄부와 호형부를 포함하되, 호형부는 평탄부의 외주를 둘러싼다. 평탄부는 평탄 외관면과 제 1 측면을 포함하고, 평탄 외관면은 서로 연결된 제 1 사이드라인과 제 2 사이드라인을 포함한다. 호형부는 호형면과 제 2 측면을 포함하고, 호형면은 평탄 외관면과 제 2 측면 사이에 연결되며, 제 1 사이드라인은 호형면과 평탄 외관면의 경계선이고, 제 2 사이드라인은 평탄 외관면과 제 1 측면의 경계선이며,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은 동일한 방향을 갖게 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전자기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하우징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방안은 신규적인 커버 플레이트의 외관 구조를 통해 새로운 시각적 체험 및 터치 감각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커버 플레이트,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전자기기
본 발명은 전자 제품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커버 플레이트,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사용자가 터치할 수 있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커버 플레이트는 모바일폰 정면의 주요 부품으로서, 그 외관 구조는 사용자의 시각적 체험과 터치 감각에 큰 영향을 끼친다. 종래의 모바일폰의 커버 플레이트의 구조 형식은 비교적 고정적이고 진부하며, 사용자 체험을 저하시킨다.
본 출원은 새롭고 독특한 커버 플레이트의 외관 구조를 통해 새롭고 특이한 시각적 체험 및 터치 감각을 가져오는 커버 플레이트,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커버 플레이트로서, 서로 연결된 평탄부와 호형부를 포함하되, 호형부는 평탄부의 외주를 둘러싼다. 평탄부는 평탄 외관면과 제 1 측면을 포함하고, 평탄 외관면은 서로 연결된 제 1 사이드라인과 제 2 사이드라인을 포함한다. 호형부는 호형면과 제 2 측면을 포함하고, 호형면은 평탄 외관면과 제 2 측면 사이에 연결되며, 제 1 사이드라인은 호형면과 평탄 외관면의 경계선이고, 제 2 사이드라인은 평탄 외관면과 제 1 측면의 경계선이며,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은 동일한 방향을 갖게 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서, 디스플레이 패널과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은 커버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평탄 외관면의 반대측 표면에 접합된다.
전자기기로서, 커버 플레이트, 디스플레이 패널 및 하우징을 포함한다. 커버 플레이트는 서로 연결된 평탄부와 호형부를 포함하되, 호형부는 평탄부의 외주를 둘러싼다. 평탄부는 평탄 외관면과 제 1 측면을 포함하고, 평탄 외관면은 서로 연결된 제 1 사이드라인과 제 2 사이드라인을 포함한다. 호형부는 호형면과 제 2 측면을 포함하고, 호형면은 평탄 외관면과 제 2 측면 사이에 연결되며, 제 1 사이드라인은 호형면과 평탄 외관면의 경계선이고, 제 2 사이드라인은 평탄 외관면과 제 1 측면의 경계선이며,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은 동일한 방향을 갖게 된다. 디스플레이 패널과 커버 플레이트는 적층된다. 하우징은 설치홈을 가지며, 커버 플레이트와 디스플레이 패널은 모두 설치홈 내에 수용되고, 커버 플레이트는 설치홈의 개구부를 밀봉한다.
본 출원의 구조 특징 및 기능 효과를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도면과 구체적인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플레이트의 입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버 플레이트 중 A 위치의 부분 확대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버 플레이트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커버 플레이트의 다른 부분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커버 플레이트의 부분 후면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분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분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입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전자기기의 분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커버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커버 플레이트는 서로 연결된 평탄부와 호형부를 포함하되, 호형부는 평탄부의 외주를 둘러싼다. 평탄부는 평탄 외관면과 제 1 측면을 포함하고, 평탄 외관면은 서로 연결된 제 1 사이드라인과 제 2 사이드라인을 포함한다. 호형부는 호형면과 제 2 측면을 포함하고, 호형면은 평탄 외관면과 제 2 측면 사이에 연결되며, 제 1 사이드라인은 호형면과 평탄 외관면의 경계선이고, 제 2 사이드라인은 평탄 외관면과 제 1 측면의 경계선이며,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은 동일한 방향을 갖게 된다.
그 중, 제 1 사이드라인과 제 2 사이드라인은 수미상접되어 폐쇄 루프를 형성한다.
그 중, 제 1 사이드라인의 길이는 제 2 사이드라인의 길이보다 길다.
그 중, 제 1 사이드라인은 제 2 사이드라인의 상대적 양단에 대칭되게 분포된다.
그 중, 호형면은 제 2 사이드라인에 접근하는 점진적 변화 호형면을 포함한다. 점진적 변화 호형면은 서로 마주하는 제 1 측과 제 2 측을 포함하며, 제 1 측은 제 2 사이드라인에 접근하고, 제 2 측에서 제 1 측을 향해 점진적 변화 호형면의 면적은 점차 수축된다.
그 중, 제 1 측에서 점진적 변화 호형면의 면적은 0으로 축소될 수 있고, 제 1 측은 샤프각 형상일 수 있다.
그 중, 호형면은 코너 호형면을 포함하고, 코너 호형면은 만곡되어 커버 플레이트의 코너를 형성하며, 코너 호형면은 점진적 변화 호형면의 제 2 측과 연결된다.
그 중, 커버 플레이트는 입광 영역과 차광 영역을 포함한다. 차광 영역은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으로부터 시작되며, 또한 평탄 외관면 내부까지 연장된 경계를 포함한다. 입광 영역은 제 2 사이드라인과 경계 사이에 있으며 평탄부에 위치한다. 입광 영역 외주의 설정 범위 내에서 입광 영역을 둘러싸는 일부 차광 영역도 평탄부에 위치한다.
그 중, 평탄 외관면 내부에 위치하는 경계 중 입광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은 입광 영역에서 멀어지게끔 구부러져, 입광 영역에 대응되는 경계는 곡선형을 나타낸다.
그 중, 커버 플레이트는 평탄 외관면과 대향하는 바닥면을 포함하며, 바닥면은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에 모두 연결된다. 바닥면은 도포 영역을 포함하고, 도포 영역은 바닥면의 윤곽선으로부터 시작되며, 바닥면 내부에 위치하는 제 3 사이드라인 및 제 4 사이드라인을 포함한다. 제 3 사이드라인과 제 4 사이드라인은 모두 평탄 외관면 내부에 대응되고, 제 3 사이드라인은 바닥면의 윤곽선과 제 4 사이드라인 사이에 위치하고, 제 3 사이드라인이 둘러싸서 폐쇄 영역을 형성한다. 도포 영역 내에 차광 재료가 도포되어 차광 영역을 형성하되, 폐쇄 영역이 입광 영역을 형성하도록 한다.
그 중, 제 1 측면은 제 2 측면과 동일한 평면에 있고 또한 제 2 측면에 연결된다.
그 중,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은 동일한 평면에 있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은 커버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평탄 외관면과 대향하는 표면에 접합된다.
그 중, 커버 플레이트는 입광 영역과 차광 영역을 포함한다. 차광 영역은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으로부터 시작되며, 또한 평탄 외관면 내부까지 연장된 경계를 포함한다. 입광 영역은 제 2 사이드라인과 경계 사이에 있으며 평탄부에 위치한다. 입광 영역 외주의 설정 범위 내에서 입광 영역을 둘러싸는 일부 차광 영역도 평탄부에 위치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이 화면을 표시할 때 발사하는 광선은 경계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으로부터 출사될 수 있다.
그 중, 디스플레이 패널은 경계와 서로 매칭되는 외형 윤곽을 구비한다.
그 중, 디스플레이 패널은 커버 플레이트와 서로 매칭되는 외형 윤곽을 구비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설치홀이 마련되며, 설치홀의 축선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설치홀은 입광 영역을 조준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전자기기는 커버 플레이트, 디스플레이 패널 및 하우징을 포함한다. 커버 플레이트는 서로 연결된 평탄부와 호형부를 포함하되, 호형부는 평탄부의 외주를 둘러싼다. 평탄부는 평탄 외관면과 제 1 측면을 포함하고, 평탄 외관면은 서로 연결된 제 1 사이드라인과 제 2 사이드라인을 포함한다. 호형부는 호형면과 제 2 측면을 포함하고, 호형면은 평탄 외관면과 제 2 측면 사이에 연결되며, 제 1 사이드라인은 호형면과 평탄 외관면의 경계선이고, 제 2 사이드라인은 평탄 외관면과 제 1 측면의 경계선이며,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은 동일한 방향을 갖게 된다. 디스플레이 패널과 커버 플레이트는 적층된다. 하우징은 설치홈을 가지며, 커버 플레이트와 디스플레이 패널은 모두 설치홈 내에 수용되고, 커버 플레이트는 설치홈의 개구부를 밀봉한다.
그 중, 커버 플레이트는 입광 영역과 차광 영역을 포함한다. 차광 영역은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으로부터 시작되며, 또한 평탄 외관면 내부까지 연장된 경계를 포함한다. 입광 영역은 제 2 사이드라인과 경계 사이에 있으며 평탄부에 위치한다. 입광 영역 외주의 설정 범위 내에서 입광 영역을 둘러싸는 일부 차광 영역도 평탄부에 위치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이 화면을 표시할 때 발사하는 광선은 경계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으로부터 출사될 수 있다. 전자기기는 카메라를 포함한다. 카메라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인접되고, 디스플레이 패널과 함께 커버 플레이트의 같은 쪽에 위치하며, 카메라는 입광 영역에 조준하여 입광 영역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을 수집한다.
그 중, 디스플레이 패널은 경계와 서로 매칭되는 외형 윤곽을 포함한다.
그 중, 하우징은 프런트 하우징 및 미들 프레임을 포함한다. 프런트 하우징에 설치홈에 형성되어 있다. 미들 프레임은 프런트 하우징과 결합되며, 또한 프런트 하우징의 커버 플레이트를 등진 한쪽에 위치한다. 카메라는 미들 프레임 또는 프런트 하우징에 장착된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이며, 모든 실시예가 아니다는 점이 자명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당업자가 창조적인 노동을 진행하지 않은 전제하에서 획득된 모든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청구 범위에 속한다.
본 실시예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커버 플레이트를 제공하며, 커버 플레이트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커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고, 터치 동작에 응답하는 등 역할을 발휘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 1 실시방식은 커버 플레이트(10)를 제공하며, 커버 플레이트(10)는 전반적으로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나타내고, 유리로 제조될 수 있다. 물론 커버 플레이트(10)는 다른 임의의 필요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및/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플레이트(10)는 서로 연결된 평탄부(12)와 호형부(11)를 포함하되, 호형부(11)는 평탄부(12)의 외주를 둘러싼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부(12)는 플레이트 형상이고, 그 두께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양면은 모두 평면이다. 평탄부(12)는 평탄 외관면(12a) 및 제 1 측면(12b)를 포함하고, 평탄 외관면(12a)은 사용자를 향하며, 사용자가 터치할 수 있는 평면이다. 제 1 측면(12b)은 평탄 외관면(12a)과 연결되고, 제 1 측면(12b)은 평면이며, 제 1 측면(12b)의 법선 방향은 평탄부(12)의 두께 방향과 수직될 수 있다. 평탄 외관면(12a)은 서로 연결된 제 1 사이드라인(L1) 및 제 2 사이드라인(L2)을 포함한다(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이드라인은 평면의 경계선을 표시한다). 제 1 사이드라인(L1)과 제 2 사이드라인(L2)은 모두 직선 또는 곡선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제 2 사이드라인(L2)은 직선이다(제 2 사이드라인(L2)이 직선일 경우, 제 1 사이드라인(L1)은 직접 제 2 사이드라인(L2)에 연결될 수 있고, 또는 중간 세그먼트를 통해 제 2 사이드라인(L2)에 연결될 수도 있다). 호형부(11)는 호형면(11a) 및 제 2 측면(11b)을 포함한다. 호형면(11a)은 평탄 외관면(12a)과 제 2 측면(11b) 사이에 연결되며, 호형면(11a)은 평탄 외관면(12a)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되어 곡률을 갖게 되며, 곡률은 수요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 2 측면(11b)는 평면이다. 호형면(11a)은 평탄 외관면(12a)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므로, 커버 플레이트(10)는 2.5D 유리 커버 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 1 사이드라인(L1)은 호형면(11a)과 평탄 외관면(12a)의 경계선이고, 제 2 사이드라인(L2)은 평탄 외관면(12a)과 제 1 측면(12b)의 경계선이다. 따라서, 커버 플레이트(10)의 가장자리 부분은 호형면(11a)이 있을 뿐만 아니라 평면(즉, 평탄 외관면(12a))도 있다. 제 1 측면(12b)과 제 2 측면(11b)은 동일한 방향을 가지며, 즉, 제 1 측면(12b)과 제 2 측면(11b)의 법선 방향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바람직하기로는, 제 1 측면(12b)은 제 2 측면(11b)과 동일한 평면에 있고 또한 제 2 측면에 연결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측면(12b)과 제 2 측면(11b) 사이에 경계선(M1) 및 경계선(M2)이 존재한다. 제 1 측면(12b)과 제 2 측면(11b)은 커버 플레이트(10)의 적어도 일부 측면을 구성한다. 또는, 제 1 측면(12b)과 제 2 측면(11b)은 동일한 평면에 있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제 1 측면(12b)은 제 2 측면(11b)으로부터 돌출되어 보스 디자인을 형성한다.
제 1 실시방식에 있어서, 호형부(11)는 평탄부(12) 중 제 2 사이드라인(L2)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사이드라인을 둘러쌀 수 있다. 이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사이드라인(L1)은 제 2 사이드라인(L2)과 함께 평탄부(12)의 모든 사이드라인을 구성하고, 제 2 측면(11b)은 제 1 측면(12b)과 함께 커버 플레이트(10)의 모든 측면을 구성한다. 다른 실시방식에서, 호형부(11)는 평탄부(12) 중 제 2 사이드라인(L2)을 제외한 일부 사이드라인을 둘러쌀 수 있고, 이때, 제 1 사이드라인(L1)은 제 2 사이드라인(L2)과 함께 평탄부(12)의 일부 사이드라인을 구성하고, 제 2 측면(11b)은 제 1 측면(12b)과 함께 커버 플레이트(10)의 일부 측면을 구성한다. 또한, 제 1 실시방식에서, 커버 플레이트(10)를 평탄부(12)와 호형부(11)로 구분하였지만, 이것은 커버 플레이트(10)의 구조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커버 플레이트(10)는 분리된 평탄부(12)와 호형부(11)를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커버 플레이트(10)는 일체형 구조이다.
제 1 실시방식에 있어서, 커버 플레이트(10)는 평탄부(12)의 외주를 둘러싸는 호형부(11)를 포함하며, 호형부(11)의 호형면(11a)과 평탄부(12)의 평탄 외관면(12a)은 제 1 사이드라인(L1) 위치에서 연결되고, 이와 동시에, 평탄 외관면(12a)과 평탄부(12)의 제 1 측면(12b)은 제 2 사이드라인(L2) 위치에서 연결되며, 따라서, 커버 플레이트(10)의 가장자리 부분은 호형면(11a)과 평면(즉, 평탄 외관면(12a))을 동시에 갖는 외관 구조를 형성하며, 이것은 종래의 커버 플레이트의 가장자리가 모두 호형면인 외관 구조와 다르다. 커버 플레이트(10)의 호형면 부분과 평면 부분의 터치 감각은 차이가 있으며, 전자기기의 하우징과 조립할 때, 두 부분과 하우징의 결합 방식도 다르므로, 호형면 부분과 평면 부분은 각각 상이한 시각 효과를 형성한다. 따라서, 커버 플레이트(10)는 재래식 외관 구조를 타파하여 새롭고 독특한 사용자 체험을 제공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방식에서, 바람직하기로는, 제 1 사이드라인(L1)과 제 2 사이드라인(L2)은 수미상접되어 폐쇄 루프를 형성하며, 즉, 제 1 사이드라인(L1)의 상대적 양단은 각각 제 2 사이드라인(L2)의 상대적 양단과 연결된다. 따라서, 제 1 사이드라인(L1)은 제 2 사이드라인(L2)과 함께 평탄 외관면(12a)의 모든 사이드라인을 구성하고, 즉, 호형부(11)는 평탄부(12)의 제 2 사이드라인(L2)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사이드라인을 따라 분포되고, 제 2 측면(11b)은 제 1 측면(12b)과 함께 커버 플레이트(10)의 모든 측면을 구성한다. 다른 실시방식에서, 제 1 사이드라인(L1)의 일단과 제 2 사이드라인(L2)의 일단만 연결될 수 있으며, 이 때, 제 1 사이드라인(L1)은 제 2 사이드라인(L2)과 함께 평탄 외관면(12a)의 일부 사이드라인만을 구성하고, 즉, 호형부(11)는 평탄부(12)의 제 2 사이드라인(L2)을 제외한 일부 사이드라인만 따라 분포되며, 제 2 측면(11b)은 제 1 측면(12b)과 함께 커버 플레이트(10)의 일부 측면만 구성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기로는, 제 1 사이드라인(L1)의 길이는 제 2 사이드라인(L2)의 길이보다 길다. 예를 들어, 제 1 사이드라인(L1)과 제 2 사이드라인(L2)이 폐쇄 루프를 형성할 때, 비교적 긴 제 1 사이드라인(L1)은 비교적 짧은 제 2 사이드라인(L2)을 포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커버 플레이트(10)의 평면 부분의 상대적 양측은 모두 호형면 부분을 갖게 된다. 이러한 디자인은 커버 플레이트(10)가 보다 균형적인 구조를 가지도록 하며, 휴먼-머신 공학 원리에 보다 부합되어, 보다 양호한 시각적 체험을 제조할 수 있고, 또한 가공에도 편리하다. 다른 실시방식에서, 제 1 사이드라인(L1)과 제 2 사이드라인(L2)의 길이 관계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제 1 사이드라인(L1)은 제 2 사이드라인(L2)의 상대적 양단에 대칭되게 분포되고, 따라서, 커버 플레이트(10)의 호형면 부분은 평면 부분의 상대적 양측에 대칭되게 분포되므로, 커버 플레이트(10)는 대칭 구조를 가지고, 시각적 체험이 보다 좋다. 다른 실시방식에서, 제 1 사이드라인(L1)은 제 2 사이드라인(L2)에 관하여 대칭되지 않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 1 사이드라인(L1)의 일단만 제 2 사이드라인(L2)에 연결되거나, 또는, 제 1 사이드라인(L1)과 제 2 사이드라인(L2)은 수미상접되어 폐쇄 루프를 형성하지만, 제 2 사이드라인(L2)은 제 1 사이드라인(L1)의 상대적 양측에 비대칭적으로 분포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방식에서, 바람직하기로는, 호형면(11a)은 제 2 사이드라인(L2)에 접근하는 점진적 변화 호형면(11a1)을 포함할 수 있다. 점진적 변화 호형면은 서로 마주하는 제 1 측과 제 2 측을 포함하고(예를 들어, 도 3의 시각에서 제 1 측은 우측이고, 제 2 측은 좌측이다), 제 1 측은 제 2 사이드라인(L2)에 접근한다. 제 2 측에서 제 1 측을 향해 점진적 변화 호형면(11a1)의 면적은 점차 수축되고, 즉, 점진적 변화 호형면(11a1)의 면적은 체감 변화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기로는, 제 1 측에서 점진적 변화 호형면(11a1)의 면적은 0으로 축소될 수 있고, 이 때, 제 1 측은 샤프각 형상일 수 있다. 호형면(11a)이 점진적 변화 부분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호형면(11a)은 스무스하게 평탄 외관면(12a)으로 과도될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을 가지는 커버 플레이트(10)의 터치 감각은 보다 좋으며, 시각적으로도 보다 원활하고 눈을 즐겁게 해준다. 본 실시방식에서, 점진적 변화 호형면(11a1)의 제 2 측은 제 2 사이드라인(L2)과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위치할 수 있고, 점진적 변화 호형면(11a1)의 길이(커버 플레이트(10)의 사이드라인의 연장 방향을 따른 치수, 도 3의 시각 중 좌우 방향에서의 치수)는 비교적 짧으며, 점진적 변화 호형면(11a1)의 면적은 비교적 평탄하게 체감될 수 있다. 다른 실시방식에서, 호형면(11a)은 점진적 변화 부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 2 실시방식에서, 상기 제 1 실시방식과 달리, 커버 플레이트(20)의 호형면(21a)은 코너 호형면(21a2)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코너 호형면(21a2)은 만곡되어 커버 플레이트(10)의 코너(“코너”는 평탄 외관면(12a)에 수직되는 시각에서 보이는 코너 부분이다)를 형성한다. 코너 호형면(21a2)은 점진적 변화 호형면(21a1)의 제 2 측에 연결되고, 즉, 점진적 변화 호형면(21a1)의 길이는 비교적 길며, 그 제 2 측은 커버 플레이트(10)의 코너까지 연장되어 코너에 연결된다. 점진적 변화 호형면(21a1)을 길게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더 많은 점진적 변화 영역을 터치할 수 있도록 하며, 터치 체험을 향상시킨다. 동시에, 더욱 긴 점진적 변화 호형면(21a1)이 외부 광선에 조사될 때에 보다 눈길을 끄는 빛과 그림자 효과를 만들 수 있으며, 시각적 체험이 매우 좋다. 제 2 실시방식에서, 점진적 변화 호형면(21a1)의 면적은 비교적 급격하게 체감되어, 점진적 변화 호형면(21a1)이 좁고 긴 띠 형상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의 방안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커버 플레이트(10)는 입광 영역(S1)과 차광 영역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차광 영역(도 1 ~도 4 중 점상 음영 영역 외의 영역)은 제 1 측면(12b)와 제 2 측면(11b)으로부터 시작되며(즉, 제 1 측면(12b)과 제 2 측면(11b)을 하나의 경계로 한다), 평탄 외관면(12a) 내부까지 연장된 경계(M3)(평탄 외관면(12a)에 수직되는 방향에서 보면, 경계(M3)는 평탄 외관면(12a) 내부에 위치한다)를 포함한다. 차광 영역은 평탄부(12)에 위치한 부분과 호형부(11)에 위치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차광 영역의 두개의 서로 대향하는 경계는 모두 폐쇄 루프를 형성할 수 있으며, 차광 영역은 폐쇄 영역이다. 차광 영역은 커버 플레이트(10) 하부의 부품 부위를 차폐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표시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차광 영역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 프레임, 커버 플레이트(10) 및/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선 및 케이블, 커버 플레이트(10) 하방에 위치하는 다른 소자(예를 들어, 카메라, 광 센서 등) 등 차폐가 필요한 부위를 차폐하는 데에 사용된다.
입광 영역(S1)은 제 2 사이드라인(L2)과 평탄 외관면(12a) 내부에 위치한 경계(M3) 사이에 위치하고, 차광 영역은 입광 영역(S1)의 외주를 포위한다. 입광 영역(S1)은 외부 광선을 투과시키며, 커버 플레이트(10) 하방에 마련된 카메라가 광선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아래 상세하게 설명한다). 입광 영역(S1)은 폐쇄 영역이다. 입광 영역(S1)은 평탄부(12) 에 위치하며, 입광 영역(S1) 외주의 설정 범위 내에서 입광 영역(S1)을 둘러싸는 일부 차광 영역도 평탄부에 위치하며, 즉, 입광 영역(S1)의 경계로부터 외부로 설정된 거리만큼 연장되며, 상기 설정 거리 범위내의 영역(입광 영역(S1)을 포함하고, 도 3에서 원형 점선으로 표시된다)은 모두 평탄부(12)에 위치한다. 외부 광선이 상기 설정 거리 범위 내의 평탄부(12) 영역을 투과하여 카메라로 입사될 때, 상기 평탄부(12) 영역의 표면은 평탄한 것으로 인해, 광선은 예상된 전송 경로에 따라 전도되며, 광선이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카메라로 입사되도록 하며, 따라서, 카메라로 형성된 이미지가 양호한 정밀도를 갖고, 왜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장한다. 상기 설정 거리는 카메라의 채광 신뢰성과 정확성을 기준으로 카메라의 디바이스 모델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종래의 커버 플레이트(10)의 가장자리는 모두 호형면(11a)이고, 상기 설정 거리 범위내의 영역(입광 영역(S1)을 포함한다)이 모두 평탄부(12)에 위치하는 것을 만족시켜 카메라의 채광 신뢰성 및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해, 호형면(11a)의 내측 경계(본 실시예의 제 1 사이드라인(L1)을 참조)로부터 입광 영역(S1)까지의 경계까지의 간격은 상기 설정 거리 이상이여야 하며(호형면(11a)의 내측 경계와 입광 영역(S1) 사이는 평면임), 따라서, 입광 영역(S1)로부터 커버 플레이트(10) 가장자리까지의 간격은 비교적 크다. 상응하게, 평탄 외관면(12a) 내부에 위치하는 차광 영역의 경계(M3)로부터 커버 플레이트(10) 가장자리까지의 간격도 비교적 크다(도 3 및 도 4의 시각을 참조하면, 경계(M3)는 상응하게 아래로 이동됨). 따라서 커버 플레이트(10)의 차광 영역이 차지하는 면적이 비교적 크고, 투광 영역(커버 플레이트(10)에서 차광 영역과 입광 영역 외의 영역)이 차지하는 면적은 축소되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정면에서 보면 디스플레이 영역(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는 투광 영역의 크기와 매칭됨)은 비교적 작아 보이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화면 점유율은 비교적 낮고, 시청 체험이 좋지 않다. 반대로, 본 실시예의 커버 플레이트(10)는 입광 영역(S1)에 대응되는 커버 플레이트(10) 가장자리를 호형면(11a)으로부터 평면으로 변경하였으며, 상기 평면의 가장자리가 바로 커버 플레이트(10)의 가장자리이다. 따라서, 상기 설정 거리를 보장하는 전제하에서, 입광 영역(S1)은 커버 플레이트(10)의 가장자리와 더 가깝게 설치될 수 있다. 상응하게, 평탄 외관면(12a) 내부에 위치하는 차광 영역의 경계(M3)로부터 커버 플레이트(10)의 가장자리까지의 간격도 감소될 수 있고(도 3 및 도 4의 시각을 참조하면, 경계(M3)는 상응하게 위로 이동됨), 따라서 커버 플레이트(10)의 차광 영역이 차지하는 면적은 감소되고, 투광 영역이 차지하는 면적은 커진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정면에서 보면, 디스플레이 영역이 크게 보이고, 따라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화면 점유율을 제고시켰으며, 시청 체험이 더욱 좋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10)는 호형부(11)와 평탄부(12)로 구분되며, 상응한 공정을 통해 호형부(11)의 호형면(11a)에 필요한 곡률을 부여하여 상응한 시각적 효과 및 터치 감각을 구현하도록 하며(곡률이 클수록 커버 플레이트(10) 가장자리가 나타내는 물방울 효과가 더 뚜렷하며, 터치 감각이 더욱 둥글반반하다), 또한 평탄부(12)에 위치하는 입광 영역(S1)으로부터 커버 플레이트(10) 가장자리까지의 거리에 영향주지 않는다. 즉, 필요에 따라 호형면(11a)의 곡률을 조절하지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화면 점유율에 영향주지 않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기로는, 평탄 외관면(12a) 내부에 위치하는 경계(M3) 중 입광 영역(S1)에 대응되는 부분은 입광 영역(S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될 수 있으며, 따라서 입광 영역에 대응되는 경계가 곡선형을 나타내도록 한다. 상기 곡선형은 입광 영역에 대응되는 차광 영역이 돌출되는 형상, 즉, 물방울 형상의 영역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디자인은 종래의 커버 플레이트(10)가 차광 영역을 직선형 스트립으로 설계하는 고정 관념을 돌파하였으며, 매우 새로운 시각적 체험을 제공한다. 특히, 물방울 형상의 영역이 커버 플레이트(10)의 대칭축에 관하여 대칭될 때, 커버 플레이트(10)의 시각적 미감은 크게 향상된다. 상술한 내용과 결합하면, 평탄 외관면(12a) 내부에 위치하는 차광 영역의 경계(M3)가 위로 이동하면, 물방울 형상 영역은 위로 “압축”되며, 물방울 형상 영역의 하부 경계로부터 커버 플레이트(10)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는 감소되고, 따라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화면 점유율을 제고시킬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의 물방울 형상의 차광 영역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차광 영역 중 입광 영역(S1)에 대응되는 부분은 둥근 모서리를 갖는 스트립 형상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 플레이트(10)의 차광 영역은 커버 플레이트(10)의 바닥면에 차광 재료를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10)는 평탄 외관면(12a)과 대향하는 바닥면(10a)을 포함하며, 바닥면(10a)은 제 1 측면(12b) 및 제 2 측면(11b)에 모두 연결된다. 바닥면(10a)은 도포 영역을 포함하고, 도포 영역은 바닥면(10a)의 윤곽선(10a1)으로부터 시작되며, 바닥면(10a) 내부에 위치하는 제 3 사이드라인(L3)과 제 4 사이드라인(L4)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사이드라인(L3)과 제 4 사이드라인(L4)은 모두 평탄 외관면(12a) 내부에 대응된다(평탄 외관면(12a)에 수직되는 방향에서 볼 때, 제 3 사이드라인(L3)과 제 4 사이드라인(L4)은 모두 평탄 외관면(12a) 내부에 위치한다). 제 3 사이드라인(L3)은 바닥면(10a)의 윤곽선(10a1)과 제 4 사이드라인(L4) 사이에 위치하고, 제 3 사이드라인(L3)이 둘러싸서 폐쇄 영역을 형성한다. 도포 영역 내에 차광 재료가 도포되어 차광 영역을 형성하고, 제 4 사이드라인(L4)은 평탄 외관면(12a) 내부에 위치하는 차광 영역의 경계(M3)에 대응되며, 폐쇄 영역이 입광 영역(S1)을 형성하도록 한다. 차광 재료는 차광 잉크를 포함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 플레이트(10)의 차광 영역은 상술한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 본 출원의 실시예의 커버 플레이트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하, 도면과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전자기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30)을 제공하며, 디스플레이 패널(31)과 상기 임의의 실시방식의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31)은 커버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평탄 외관면과 대향하는 표면에 접합되고,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31)은 커버 플레이트(10)의 바닥면(10a)에 접합된다. 디스플레이 패널(31)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 잉크 스크린 패널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스크린(30)은 외관 구조가 신규적이고, 사용자에게 차별화된 터치 감각 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며,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기로는, 디스플레이 스크린(30)은 상술한 입광 영역(S1)과 차광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0)를 예로 들면, 디스플레이 스크린(30)의 커버 플레이트(10)는 입광 영역(S1)과 차광 영역을 포함하고, 차광 영역은 제 1 측면(12b)와 제 2 측면(11b)으로부터 시작되며, 평탄 외관면(12a) 내부까지 연장된 경계(M3)을 포함한다. 입광 영역(S1)은 제 2 사이드라인(L2)과 경계(M3) 사이에 있으며, 평탄부(12)에 위치한다. 입광 영역(S1) 외주의 설정 범위 내에서 입광 영역(S1)을 둘러싸는 일부 차광 영역도 평탄부(12)에 위치한다. 디스플레이 패널(31)이 화면을 표시할 때 발사하는 광선은 경계(M3)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즉, 투광 영역)으로부터 출사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스크린(30)에서, 디스플레이 패널(31)을 더 크게 만들어 투광 영역에 매칭시킬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스크린(30)은 보다 높은 화면 점유율을 가지며, 시청 체험을 향상시킨다. 또한, 수요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30) 중 커버 플레이트(10)의 호형면(11a)의 곡률을 조정할 수 있지만, 디스플레이 스크린(30)의 화면 점유율에 영향주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기로는, 제 1 실시방식에서 디스플레이 패널(31)은 차광 영역의 경계(M3)와 매칭되는 외형 윤곽을 갖고, 즉 디스플레이 패널(31)의 외형 윤곽은 투광 영역과 매칭되며, 디스플레이 패널(31)이 화면을 표시할 때 발사되는 광선이 투광 영역으로부터 출사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투광 영역이 물방울 형상 부분을 포함할 때, 디스플레이 패널(31)의 대응 위치에도 노치(31a)가 형성되며, 카메라는 상기 노치(31a)에 설치되고, 또한 커버 플레이트(10)의 입광 영역(S1)을 조준하여 외부 광선을 수집한다. 상규적인 디스플레이 패널은 규칙적인 외형을 포함하는 것과 달리, 제 1 실시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31)은 이형 패널이며, 화면 점유율을 제고시키는 목적을 달성한다. 물론, 이러한 디자인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방식에서, 상기 제 1 실시방식과 달리, 디스플레이 패널(41)은 커버 플레이트(10)와 매칭되는 외형 윤곽(즉, 규칙적인 외형)을 구비하고, 디스플레이 패널(41)에는 설치홀(41a)이 마련되며, 설치홀(41a)의 축선은 디스플레이 패널(41)의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설치홀(41a)은 입광 영역(S1)을 조준한다. 설치홀(41a)은 카메라를 설치하는 데에 사용되며, 카메라는 입광 영역(S1)을 투과하여 입사된 외부 광선을 수집할 수 있다. 제 2 실시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41)은 구멍 있는 패널이지만 마찬가지로 화면 점유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디자인도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전자기기는 모바일폰, 태블릿 컴퓨터, 전자책 리더, 리모컨, 노트북 컴퓨터, 차량 탑재 기기, 네트워크 티비, 웨어러블 장치 등 전자 제품을 포함하지만, 이런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전자기기는 모바일폰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50)는 하우징 및 상기 임의의 실시방식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30)을 예로 들면, 전자기기(50)의 디스플레이 스크린(30)은 커버 플레이트(10) 및 디스플레이 패널(31)을 포함한다. 커버 플레이트(10)는 서로 연결된 평탄부(12)와 호형부(11)를 포함하되, 호형부(11)는 평탄부(12)의 외주를 둘러싼다. 평탄부(12)는 평탄 외관면(12a)과 제 1 측면(12b)를 포함하고, 평탄 외관면(12a)은 서로 연결된 제 1 사이드라인(L1) 및 제 2 사이드라인(L2)을 포함한다. 호형부(11)는 호형면(11a)과 제 2 측면(11b)을 포함하고, 호형면(11a)은 평탄 외관면(12a)과 제 2 측면(11b) 사이에 연결된다. 제 1 사이드라인(L1)은 호형면(11a)과 평탄 외관면(12a)의 경계선이고, 제 2 사이드라인(L2)은 평탄 외관면(12a)과 제 1 측면(12b)의 경계선이며, 제 1 측면(12b)과 제 2 측면(11b)은 동일한 방향을 가진다. 디스플레이 패널(31)과 커버 플레이트(10)는 적층된다. 하우징은 설치홈을 가지며, 커버 플레이트(10)와 디스플레이 패널(31)은 모두 설치홈 내에 수용되고, 커버 플레이트(10)는 설치홈의 개구부를 밀봉한다. 본 실시예의 전자기기(50)의 디스플레이 스크린(30)은 외관 구조가 신규적이고, 사용자에게 차별화된 터치 감각과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며,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기로는, 전자기기(50)은 카메라(51)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51)는 디스플레이 패널(31)과 인접하며, 디스플레이 패널(31)과 함께 커버 플레이트(10)의 같은 쪽에 위치한다. 카메라(51)는 입광 영역(S1)에 조준하여 입광 영역(S1)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을 수집한다. 이러한 전자기기(50)는 더 높은 화면 점유율을 갖고, 시청 체험이 향상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전자기기(50) 중 커버 플레이트(10)의 호형면(11a)의 곡률을 조정할 수 있지만, 디스플레이 스크린(30)의 화면 점유율에 영향주지 않는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기로는, 디스플레이 패널(31)의 외형 윤곽은 커버 플레이트(10)의 투광 영역과 매칭되며, 디스플레이 패널(31)이 화면을 표시할 때 발사되는 광선이 투광 영역으로부터 출사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투광 영역이 물방울 형상 부분을 포함할 때, 디스플레이 패널(31)의 대응 위치에도 노치(31a)가 형성되며, 카메라는 상기 노치(31a)에 설치되고, 또한 커버 플레이트(10)의 입광 영역(S1)을 조준하여 외부 광선을 수집한다. 상규적인 디스플레이 패널은 규칙적인 외형을 포함하는 것과 달리, 본 실시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31)은 이형 패널이며, 화면 점유율을 제고시키는 목적을 달성한다. 물론, 이러한 디자인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기로는, 하우징은 프런트 하우징(52) 및 미들 프레임(53)을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하우징(52)은 설치홈(52a)을 포함한다. 미들 프레임(53)은 프런트 하우징(52)과 결합되며, 또한 프런트 하우징(52)의 커버 플레이트(10)를 등진 한쪽에 위치한다. 카메라는 미들 프레임(53) 또는 프런트 하우징(52)에 장착된다. 하우징은 리어 하우징(54)을 더 포함할 수도 있고, 리어 하우징(54)은 미들 프레임(53)과 결합되며, 또한 미들 프레임(53)의 프런트 하우징(52)을 등진 한쪽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조의 하우징은 더 많은 부품을 탑재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50)의 전반적 구조 강도가 비교적 높다. 리어 하우징(54)은 착탈가능하게 만들 수 있으며, 사용자가 리어 하우징(54)을 오픈하여 배터리 또는 기타 부품(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 SIM 카드 등)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디자인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이상,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설명하였으나,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에 익숙한 당업자는 본 출원에서 개시한 기술범위내에서, 다양한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수정 또는 교체를 생각해낼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 또는 교체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범위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20)

  1. 커버 플레이트로서,
    서로 연결된 평탄부와 호형부를 포함하되, 상기 호형부는 상기 평탄부의 외주를 둘러싸고,
    상기 평탄부는 평탄 외관면과 제 1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평탄 외관면은 서로 연결된 제 1 사이드라인과 제 2 사이드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호형부는 호형면과 제 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호형면은 상기 평탄 외관면과 상기 제 2 측면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사이드라인은 상기 호형면과 상기 평탄 외관면의 경계선이고, 상기 제 2 사이드라인은 상기 평탄 외관면과 상기 제 1 측면의 경계선이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부분은 호형면이 있을 뿐만 아니라 평탄 외관면도 있으며, 상기 호형면과 상기 평탄 외관면은 동일한 측을 향하며, 또한 상기 호형면에 연결된 제 2 측면과 상기 평탄 외관면에 연결된 제 1 측면은 동일한 방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플레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이드라인과 상기 제 2 사이드라인은 수미상접되어 폐쇄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플레이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이드라인의 길이는 상기 제 2 사이드라인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플레이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이드라인은 상기 제 2 사이드라인의 상대적 양단에 대칭되게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플레이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형면은 상기 제 2 사이드라인에 접근하는 점진적 변화 호형면을 포함하고, 상기 점진적 변화 호형면은 서로 마주하는 제 1 측과 제 2 측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측은 상기 제 2 사이드라인에 접근하고, 상기 제 2 측에서 상기 제 1 측을 향해 상기 점진적 변화 호형면의 면적은 점차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플레이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점진적 변화 호형면은 상기 제 1 측에서 뾰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플레이트.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호형면은 코너 호형면을 포함하고, 상기 코너 호형면은 만곡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코너를 형성하며, 상기 코너 호형면은 상기 점진적 변화 호형면의 상기 제 2 측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플레이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입광 영역과 차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차광 영역은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제 2 측면으로부터 시작되며, 또한 상기 평탄 외관면 내부까지 연장된 경계를 포함하고,
    상기 입광 영역은 상기 제 2 사이드라인과 상기 경계 사이에 있으며, 또한 상기 평탄부에 위치하며,
    상기 입광 영역 외주의 설정 범위 내에서 상기 입광 영역을 둘러싸는 일부 상기 차광 영역도 상기 평탄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플레이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 외관면 내부에 위치하는 경계 중 상기 입광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은 상기 입광 영역에서 멀어지게끔 구부러져, 상기 입광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경계는 곡선형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플레이트.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평탄 외관면과 대향하는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은 상기 제 1 측면 및 상기 제 2 측면에 모두 연결되며,
    상기 바닥면은 도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도포 영역은 상기 바닥면의 윤곽선으로부터 시작되며, 또한 상기 바닥면 내부에 위치하는 제 3 사이드라인 및 제 4 사이드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사이드라인과 상기 제 4 사이드라인은 모두 상기 평탄 외관면 내부에 대응되고, 상기 제 3 사이드라인은 상기 바닥면의 윤곽선과 상기 제 4 사이드라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3 사이드라인이 둘러싸서 폐쇄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도포 영역 내에 차광 재료가 도포되어 상기 차광 영역을 형성하되, 상기 폐쇄 영역이 상기 입광 영역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플레이트.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제 2 측면은 동일한 평면에 있고, 또한 상기 제 1 측면은 상기 제 2 측면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제 2 측면은 동일한 평면에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플레이트.
  12.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서,
    디스플레이 패널과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상기 평탄 외관면과 대향하는 표면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입광 영역과 차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차광 영역은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제 2 측면으로부터 시작되며, 또한 상기 평탄 외관면 내부까지 연장된 경계를 포함하고,
    상기 입광 영역은 상기 제 2 사이드라인과 상기 경계 사이에 있으며, 또한 상기 평탄부에 위치하며,
    상기 입광 영역 외주의 설정 범위 내에서 상기 입광 영역을 둘러싸는 일부 상기 차광 영역도 상기 평탄부에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화면을 표시할 때 발사하는 광선은 상기 경계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으로부터 출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14. 전자기기로서,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버 플레이트, 디스플레이 패널 및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서로 적층되고,
    상기 하우징은 설치홈을 가지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모두 상기 설치홈 내에 수용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설치홈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입광 영역과 차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차광 영역은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제 2 측면으로부터 시작되며, 또한 상기 평탄 외관면 내부까지 연장된 경계를 포함하고,
    상기 입광 영역은 상기 제 2 사이드라인과 상기 경계 사이에 있으며, 또한 상기 평탄부에 위치하며,
    상기 입광 영역 외주의 설정 범위 내에서 상기 입광 영역을 둘러싸는 일부 상기 차광 영역도 상기 평탄부에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화면을 표시할 때 발사하는 광선은 상기 경계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으로부터 출사되고,
    상기 전자기기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인접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함께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같은 쪽에 위치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입광 영역에 조준하여 상기 입광 영역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을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217031346A 2019-03-19 2020-03-05 커버 플레이트,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전자기기 KR1025367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20353579.8 2019-03-19
CN201920353579.8U CN210137340U (zh) 2019-03-19 2019-03-19 盖板、显示屏和电子设备
PCT/CN2020/078050 WO2020187049A1 (zh) 2019-03-19 2020-03-05 盖板、显示屏和电子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705A KR20210132705A (ko) 2021-11-04
KR102536752B1 true KR102536752B1 (ko) 2023-05-26

Family

ID=69702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1346A KR102536752B1 (ko) 2019-03-19 2020-03-05 커버 플레이트,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409059A1 (ko)
EP (1) EP3934215B1 (ko)
JP (1) JP2022525669A (ko)
KR (1) KR102536752B1 (ko)
CN (1) CN210137340U (ko)
WO (1) WO20201870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78846S1 (en) * 2018-02-02 2023-02-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module
USD978845S1 (en) * 2018-02-02 2023-02-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module
USD978847S1 (en) * 2018-02-02 2023-02-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module
USD968391S1 (en) * 2018-06-28 2022-11-01 Asustek Computer Inc. Electronic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4623A2 (en) 2012-06-08 2013-12-12 Apple Inc. Fused opaque and clear glass for camera or display window
US20160234362A1 (en) 2015-02-06 2016-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with bent area
US20170192140A1 (en) 2016-01-05 2017-07-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CN108600459A (zh) 2018-05-04 2018-09-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JP2019028759A (ja) * 2017-07-31 2019-02-21 Hoya株式会社 保護カバー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33156B2 (en) * 2012-01-10 2018-11-20 Apple Inc. Fused opaque and clear glass for camera or display window
JPWO2013108312A1 (ja) * 2012-01-16 2015-05-11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TWI489336B (zh) * 2012-11-22 2015-06-21 Wintek Corp 觸控面板及其觸控顯示模組
KR20160027679A (ko) * 2014-09-02 201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127276A (ko) * 2015-04-24 2016-1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9870024B2 (en) * 2015-10-30 2018-01-16 Essential Products, Inc. Camera integrated into a display
KR20170083686A (ko) * 2016-01-08 2017-07-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507472B1 (ko) * 2016-02-26 2023-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의 안테나
KR102456540B1 (ko) * 2016-05-02 2022-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폐쇄형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6301438A (zh) * 2016-08-29 2017-01-04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智能终端
CN106341501B (zh) * 2016-09-13 2019-03-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盖板玻璃及移动终端
KR102589400B1 (ko) * 2016-11-10 2023-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드 스피커 홀을 구비한 전자 장치
CN106843389B (zh) * 2017-01-09 2022-08-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
KR102611125B1 (ko) * 2017-02-15 2023-1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곡면 윈도우를 갖는 전자 장치
KR102367971B1 (ko) * 2017-06-16 2022-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90005795A (ko) * 2017-07-07 2019-01-16 (주)넥스디스플레이 평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곡면형 에지를 갖는 커버글래스를 갖는 사용자 기기
CN207766300U (zh) * 2017-12-01 2018-08-24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曲面盖板、屏幕组件及终端设备
CN207652502U (zh) * 2017-12-19 2018-07-24 南昌欧菲光学技术有限公司 盖板及终端
KR102391961B1 (ko) * 2018-01-29 2022-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90108311A (ko) * 2018-03-14 2019-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곡면 글래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58284B1 (ko) * 2018-05-02 2022-10-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CN208905034U (zh) * 2018-06-21 2019-05-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装饰件和电子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4623A2 (en) 2012-06-08 2013-12-12 Apple Inc. Fused opaque and clear glass for camera or display window
US20160234362A1 (en) 2015-02-06 2016-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with bent area
US20170192140A1 (en) 2016-01-05 2017-07-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JP2019028759A (ja) * 2017-07-31 2019-02-21 Hoya株式会社 保護カバー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600459A (zh) 2018-05-04 2018-09-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25669A (ja) 2022-05-18
EP3934215A1 (en) 2022-01-05
EP3934215A4 (en) 2022-04-27
CN210137340U (zh) 2020-03-10
EP3934215B1 (en) 2023-04-26
US20210409059A1 (en) 2021-12-30
WO2020187049A1 (zh) 2020-09-24
KR20210132705A (ko)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6752B1 (ko) 커버 플레이트,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전자기기
EP3716253B1 (en) Terminal device
US10073198B2 (en) Display device
JP6681311B2 (ja) 表示装置
KR102018741B1 (ko) 커버 윈도우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US8593746B2 (en) Image display device
CN103002692B (zh) 电子装置以及其隐藏物体使物体不被看见的方法
EP3780566B1 (en) Screen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WO2018205804A1 (zh) 输入输出模组及电子装置
CN108873429B (zh) 显示组件的制造方法、显示组件和电子设备
CN111179744B (zh) 显示模组及显示装置
CN108181758B (zh) 遮光双面胶带及显示装置
EP3125022B1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210033913A1 (en) Flexible liquid-crystal-screen modul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EP3780565B1 (en) Screen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CN111511131B (zh) 外框、终端外壳和终端
CN112615977B (zh) 电子设备
TWI669646B (zh) 觸控顯示裝置
WO2020140201A1 (zh) 显示设备
CN118011680A (zh) 显示设备及显示模组
CN113126365A (zh) 电子设备及其液晶显示组件
CN110062085A (zh) 背光模组、显示屏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