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688B1 - 지주 구조체 - Google Patents

지주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688B1
KR102536688B1 KR1020230025780A KR20230025780A KR102536688B1 KR 102536688 B1 KR102536688 B1 KR 102536688B1 KR 1020230025780 A KR1020230025780 A KR 1020230025780A KR 20230025780 A KR20230025780 A KR 20230025780A KR 102536688 B1 KR102536688 B1 KR 102536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ail
support
engaged
fix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5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일
Original Assignee
이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일 filed Critical 이명일
Priority to KR1020230025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6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B08B1/006
    • B08B1/008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주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가 지면과 결합 고정되어 지면과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주 구조체{A post structure}
본 발명은 지주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신호등은 지면에 고정되는 메인 지주와 상기 메인 지주와 연결되어 도로 상측으로 연장된 가로보로 구성된다. 이러한 가로보에는 신호등을 구비하여 차량 운전자가 쉽게 교통신호를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등용 지주 구조체는 메인 지주의 측면에 연결되는 가로보는 상기 메인 지주와 결합된 부분에서 멀어질수록 수평지지력이 점차 저하되어 가로보 및 신호등의 하중에 의해 하측으로 휠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종래의 신호등용 지주 구조체들은 하중에 의해 하측으로 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 7과 같이 메인 지주의 상단과 가로보의 연장된 끝단을 연결하는 와이어로프를 구비하여 가로보 하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와이어로프는 풍향 등에 영향을 받아 흔들리게 되면서 가로보가 함께 흔들릴 우려가 있고, 장기 간 사용으로 인해 와이어로프가 변성되거나 손상되어 끊어질경우 가로보가 하측으로 휘어질 우려가 존재한다.
더 나아가 하측으로 휘어진 가로보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며, 지주 구조물에 다수개의 와이어로프를 구비하게 되기 때문에 도로 미관을 해칠 수 있고, 운전자의 시야 및 집중도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와이어로프없이 가로보의 수평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는 도로 신호등용 지주 구조체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결합력과 지지력이 향상된 지주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 구조체는, 하부에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가 지면과 결합 고정되어 지면과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주;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주의 상부에 중간결합부가 결합되고 상기 중간결합부에 연장 결합되는 세로지지대; 상기 지주와 수직하게 설치되어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가로지지대; 상기 세로지지대의 상부에서 세로지지대와 수직하게 설치되어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 가로지지대와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가로지지대; 및 상기 세로지지대의 중부에서 세로지지대와 수직하게 설치되어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 가로지지대와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 가로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가로지지대에는 신호등과 감시카메라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가로지지대의 단부에는 가로등이 설치되고, 상기 제3 가로지지대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감시카메라의 촬영영상을 실시간으로 보여주거나 자동차의 속도, 기상상황, 광고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뒷면에 설치되어 뒷면을 자동으로 청소하는 자동청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동청소부는,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디스플레이 뒷판 일측에 형성되어 청소모듈이 청소를 수행하지 않을 시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보관케이스; 제2 레일과 대향하면서 상기 보관케이스의 일측 전단으로부터 뒷판의 타측까지 연장 형성되는 제1 레일; 제1 레일과 대향하면서 상기 보관케이스의 일측 후단으로부터 뒷판의 타측까지 연장 형성되는 제2 레일; 및 전단이 상기 제1 레일에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제2 레일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보관케이스에 수납되되 구동 시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상기 보관케이스로부터 이동하면서 뒷판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청소모듈은, 제2 롤러와 대향하면서 전단이 상기 제1 레일에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제2 레일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클린벨트의 일측 내향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클린벨트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는 제1 롤러; 제1 롤러와 대향하면서 이격 설치되며 전단이 상기 제1 레일에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제2 레일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클린벨트의 타측 내향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클린벨트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는 제2 롤러; 제2 고정프레임과 대향하면서 이격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제1 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측에 상기 제2 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 사이를 지지하는 제1 고정프레임; 제1 고정프레임과 대향하면서 이격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제1 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측에 상기 제2 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 사이를 지지하는 제2 고정프레임; 일측 내향면이 상기 제1 롤러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타측 내향면이 상기 제2 롤러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측 외향면이 뒷판에 밀착 안착되며,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가 회전 구동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뒷판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린벨트; 상기 제1 고정프레임과 상기 제2 고정프레임에 전단 및 후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클린벨트의 상측 내향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 상기 제1 롤러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롤러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제1 고정프레임과 상기 제2 고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지지되며, 상기 클린벨트의 일측 내향면을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구동부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클린벨트를 회전시켜 주는 롤러본체; 상기 롤러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레일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롤러본체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레일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결합력과 지지력이 향상된 지주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청소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청소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 구조체(10)는, 지주(100), 세로지지대(200), 제1 가로지지대(300), 제2 가로지지대(400) 및 제3 가로지지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주(100)는, 하부에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110)가 지면과 결합 고정되어 지면과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다.
세로지지대(200)는, 상기 지주(100)의 상부에 중간결합부(600)가 결합되고 상기 중간결합부(600)에 연장 결합될 수 있다.
중간결합부(600)는, 지주(100)와 세로지지대(200)를 연결 결합하는 것으로, 세로지지대(200)가 바람, 충격, 진동 등에 의해 지주(100)로부터 이탈되거나 돌출 과정에서 뒤틀려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연결체(610), 상부연결체(620) 및 지지체(630)를 포함한다.
하부연결체(61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연결본체(611), 및 지지체(630)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연결본체(611)의 상부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지지체(630)의 하부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 삽입홈(612)을 포함하며,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부연결체(62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연결본체(621), 지지체(630)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연결본체(621)의 하부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지지체(630)의 상부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 삽입홈(622)이 형성되며, 하부연결체(610)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지지체(63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연결체(610)와 상부연결체(6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연결체(620)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중간결합부(600)의 지지체(630)는, 4 개의 모듈이 서로 연결 설치되어 원기둥 형상을 이루는데, 각각의 모듈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부 및 상부가 하부연결체(610) 또는 상부연결체(620)에 의해 체결되는 것이다.
지지체(630)는, 중심각이 직각인 원호 형상의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4 개의 지지체모듈(631a, 631b, 631c 및 631d)이 서로 연결 설치되어 원기둥 형태를 형성하며, 하부가 제1 삽입홈(612)에 삽입되고, 상부가 제2 삽입홈(622)에 삽입된다.
여기서, 각각의 지지체모듈(631a, 631b, 631c 및 631d)은, 모듈바디(6311), 체결돌기(6312), 체결홈(6313), 롤러본체(6314) 및 롤러(6315)를 포함한다.
모듈바디(6311)는, 중심각이 직각인 원호 형상의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 평면에 체결돌기(6312)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 평면에 체결홈(6313)이 형성된다.
체결돌기(6312)는, 모듈바디(6311)의 일측 평면에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다른 모듈바디(6311)의 다른 일측 평면에 형성된 체결홈(6313)의 상측으로부터 삽입 체결된다.
체결홈(6313)은, 모듈바디(6311)의 다른 일측 평면에 체결돌기(631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하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며, 다른 모듈바디(6311)의 체결돌기(6312)가 삽입 체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롤러본체(6314)는, 모듈바디(6311)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부 안착홈(421)의 상측면을 지지하며, 상부에 롤러(6315)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롤러(6315)는, 모듈바디(6311)의 상측에 안착된 상부연결체(6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롤러본체(6314)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때, 각각의 롤러(6315a, 6315b, 6315c 및 6315d)는, 상측에 안착된 상부연결체(6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일측면이 지지체(630)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지체(630)는, 상부연결체(620)의 일측에만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해당 일측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지지체모듈(631a, 631b, 631c 또는 631d)만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른 경사면을 형성하는 상부연결체(620)를 이용하여 상부연결체(620)의 상측에 안착되는 세로지지대를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연결체(610)는, 제1 연결본체(611), 제1 삽입홈(612), 지지판(613) 및 회전판(615)을 포함한다.
지지판(613)은, 제1 삽입홈(612)에 대응하는 형상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측에 안착되는 회전판(615)을 지지하기 위한 탄성체(614)가 하측면에 설치된다.
회전판(615)은, 제1 삽입홈(612)에 대응하는 형상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판(613)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측에 안착된 기둥모듈(431)을 제1 삽입홈(612)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측면의 각 사방에 롤러(616)가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하부연결체(610)는, 승강 또는 하강, 회전함에 따라 회전판(615)의 상측에 안착되는 지지체(630)가 비틀림에 따라 회전하에 되어 비틀림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체(630)를 지지하는 지지판(613)을 통해 지지체(63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감쇄시킴으로써 진동이나 충격에 따른 파손 역시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 가로지지대(300)는, 상기 지주(100)와 수직하게 설치되어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로지지대(400)는, 상기 세로지지대(200)의 상부에서 세로지지대(200)와 수직하게 설치되어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 가로지지대(300)와 반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3 가로지지대(500)는, 상기 세로지지대(200)의 중부에서 세로지지대(200)와 수직하게 설치되어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 가로지지대(300)와 동일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로지지대(300)에는 신호등(310)과 감시카메라(320)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가로지지대(400)의 단부에는 가로등(410)이 설치되고, 상기 제3 가로지지대(500)에는 디스플레이부(51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510)는, 상기 감시카메라(320)의 촬영영상을 실시간으로 보여주거나 자동차의 속도, 기상상황, 광고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D)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D) 뒷면에 설치되어 뒷면을 자동으로 청소하는 자동청소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일정한 주기 또는 사용자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뒷판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장치가 항상 청결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자동청소부(800)는, 보관케이스(710), 제1 레일(720), 제2 레일(730) 및 청소모듈(740)을 포함한다.
보관케이스(710)는,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디스플레이 뒷판 일측에 형성되어 청소모듈(740)이 청소를 수행하지 않을 시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1 레일(720)은, 제2 레일(730)과 대향하면서 보관케이스(710)의 일측 전단으로부터 뒷판의 타측까지 연장 형성되며, 청소모듈(740)의 전단이 연결 설치되어 이동한다.
제2 레일(730)은, 제1 레일(720)과 대향하면서 보관케이스(710)의 일측 후단으로부터 뒷판의 타측까지 연장 형성되며, 청소모듈(740)의 후단이 연결 설치되어 이동한다.
청소모듈(740)은, 전단이 제1 레일(720)에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제2 레일(730)에 연결 설치되며, 보관케이스(710)에 수납되며, 구동 시 제1 레일(720)과 제2 레일(730)을 따라 보관케이스(710)로부터 이동하면서 뒷판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자동청소부(700)는, 일정한 주기 또는 사용자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청소모듈(740)이 구동되어 뒷판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장치가 항상 청결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청소모듈(740)은, 제1 롤러(741), 제2 롤러(742), 제1 고정프레임(743), 제2 고정프레임(744), 클린벨트(745),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롤러(746), 제1 구동부(747) 및 제2 구동부(748)를 포함한다.
제1 롤러(741)는, 제2 롤러(742)와 대향하면서 전단이 제1 레일(720)에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제2 레일(730)에 연결 설치되어 제1 레일(720)과 제2 레일(730)을 따라 이동하며, 클린벨트(745)의 일측 내향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클린벨트(745)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롤러(741)는, 롤러본체(7411), 제1 체결부(7412) 및 제2 체결부(7413)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본체(7411)는, 제1 고정프레임(743)과 제2 고정프레임(744)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지지되며, 클린벨트(745)의 일측 내향면을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제1 구동부(747)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클린벨트(745)를 회전시켜 준다.
제1 체결부(7412)는, 롤러본체(7411)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1 레일(720)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제1 레일(720)을 따라 이동한다.
제2 체결부(7413)는, 롤러본체(7411)의 타측에 설치되어 제2 레일(730)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제2 레일(730)을 따라 이동한다.
제2 롤러(742)는, 제1 롤러(741)와 대향하면서 이격 설치되며, 전단이 제1 레일(720)에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제2 레일(730)에 연결 설치되어 제1 레일(720)과 제2 레일(730)을 따라 이동하며, 클린벨트(745)의 타측 내향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클린벨트(745)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준다.
여기서, 제2 롤러(742)는, 상술한 제1 롤러(741)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롤러(741)의 롤러본체(7411), 제1 체결부(7412) 및 제2 체결부(7413)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 고정프레임(743)은, 제2 고정프레임(744)과 대향하면서 이격 설치되며, 일측에 제1 롤러(741)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측에 제2 롤러(742)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롤러(741)와 제2 롤러(742) 사이를 지지한다.
제2 고정프레임(744)은, 제1 고정프레임(743)과 대향하면서 이격 설치되며, 일측에 제1 롤러(741)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측에 제2 롤러(742)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롤러(741)와 제2 롤러(742) 사이를 지지한다.
클린벨트(745)는, 일측 내향면이 제1 롤러(74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타측 내향면이 제2 롤러(742)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측 외향면이 뒷판에 밀착 안착되며, 제1 이동롤러 (841)와 제2 롤러(742)가 회전 구동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디스플레이 뒷판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지지롤러(746)는, 제1 고정프레임(743)과 제2 고정프레임(744)에 전단 및 후단이 각각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클린벨트(745)의 상측 내향면을 지지한다.
이때, 제1 롤러(741), 제2 롤러(742), 및 지지롤러(746)는, 클린벨트(745)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름이 제1 고정프레임(743)과 제2 고정프레임(744)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제1 구동부(747)는, 제1 롤러(74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서 제1 롤러(74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준다.
제2 구동부(748)는, 제2 롤러(742)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서 제2 롤러(742)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준다.
이때, 제1 구동부(747)와 제2 구동부(748)는, 제1 롤러(741)와 제2 롤러(742)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 지주 구조체

Claims (3)

  1. 하부에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가 지면과 결합 고정되어 지면과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주;를 포함하고,
    상기 지주의 상부에 중간결합부가 결합되고 상기 중간결합부에 연장 결합되는 세로지지대;
    상기 지주와 수직하게 설치되어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가로지지대;
    상기 세로지지대의 상부에서 세로지지대와 수직하게 설치되어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 가로지지대와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가로지지대; 및
    상기 세로지지대의 중부에서 세로지지대와 수직하게 설치되어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 가로지지대와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 가로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로지지대에는 신호등과 감시카메라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가로지지대의 단부에는 가로등이 설치되고, 상기 제3 가로지지대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감시카메라의 촬영영상을 실시간으로 보여주거나 자동차의 속도, 기상상황, 광고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뒷면에 설치되어 뒷면을 자동으로 청소하는 자동청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자동청소부는,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디스플레이 뒷판 일측에 형성되어 청소모듈이 청소를 수행하지 않을 시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보관케이스;
    제2 레일과 대향하면서 상기 보관케이스의 일측 전단으로부터 뒷판의 타측까지 연장 형성되는 제1 레일;
    제1 레일과 대향하면서 상기 보관케이스의 일측 후단으로부터 뒷판의 타측까지 연장 형성되는 제2 레일; 및
    전단이 상기 제1 레일에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제2 레일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보관케이스에 수납되되 구동 시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상기 보관케이스로부터 이동하면서 뒷판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모듈은,
    제2 롤러와 대향하면서 전단이 상기 제1 레일에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제2 레일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클린벨트의 일측 내향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클린벨트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는 제1 롤러;
    제1 롤러와 대향하면서 이격 설치되며 전단이 상기 제1 레일에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제2 레일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클린벨트의 타측 내향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클린벨트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는 제2 롤러;
    제2 고정프레임과 대향하면서 이격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제1 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측에 상기 제2 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 사이를 지지하는 제1 고정프레임;
    제1 고정프레임과 대향하면서 이격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제1 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측에 상기 제2 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 사이를 지지하는 제2 고정프레임;
    일측 내향면이 상기 제1 롤러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타측 내향면이 상기 제2 롤러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측 외향면이 뒷판에 밀착 안착되며,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가 회전 구동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뒷판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린벨트;
    상기 제1 고정프레임과 상기 제2 고정프레임에 전단 및 후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클린벨트의 상측 내향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
    상기 제1 롤러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롤러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제1 고정프레임과 상기 제2 고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지지되며, 상기 클린벨트의 일측 내향면을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구동부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클린벨트를 회전시켜 주는 롤러본체;
    상기 롤러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레일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롤러본체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레일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는, 지주 구조체.
  2. 삭제
  3. 삭제
KR1020230025780A 2023-02-27 2023-02-27 지주 구조체 KR102536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5780A KR102536688B1 (ko) 2023-02-27 2023-02-27 지주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5780A KR102536688B1 (ko) 2023-02-27 2023-02-27 지주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6688B1 true KR102536688B1 (ko) 2023-05-30

Family

ID=86529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5780A KR102536688B1 (ko) 2023-02-27 2023-02-27 지주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68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940B1 (ko) * 2012-03-14 2012-08-30 이효성 다기능 교통시설물 철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940B1 (ko) * 2012-03-14 2012-08-30 이효성 다기능 교통시설물 철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5405B2 (en) Number plate combination type camera apparatus for rear monitoring of vehicle
US10266094B2 (en) Bicycle retainer
KR102536688B1 (ko) 지주 구조체
KR102221170B1 (ko) 고정지그장치
FR2604676A1 (fr) Vehicule a plusieurs elements sur rail pour le trafic sur de petites distances
FR3014404A1 (fr) Support pour radar de detection de distance sur vehicule automobile
CN108914805A (zh) 一种带自清洗功能的高速公路道路指示牌
KR102235375B1 (ko) 도로 유도 표시 장치
JPS6369392A (ja) ビデオカメラを用いた監視装置
CN209008486U (zh) 一种车载多媒体液晶显示装置
NL2019024B1 (nl) Beeldopname-inrichting, samenstel, reinigingsapparaat en motorvoertuig
CN213339125U (zh) 一种高清车牌识别道闸一体机
KR20220084943A (ko) 다기능 가로등 거치대
KR102626110B1 (ko) Cctv 설치 구조
KR102132615B1 (ko) 흔들림 방지형 팔레트를 가지는 수직 순환식 주차설비
CN111267543A (zh) 一种防溅水装置及具有其的车轮
KR102572637B1 (ko) 신호등 공사 지지용 지주 장치
CN206900288U (zh) 一种咬合式兼吸盘式双固定结构的车载夜视仪安装座
CN207328315U (zh) 一种车载硬盘录像机硬盘盒抗震支架
CN216663930U (zh) 一种防撞道闸
CN109424232A (zh) 立体停车库
JP7221567B1 (ja) ホイール付きタイヤ展示装置
JPH0579208A (ja) 立体駐車場
JPH01116105A (ja) 駐車場用ガードケーブル
CN218367646U (zh) 安装支架、采集设备和卡丁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