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675B1 - 때밀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때밀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675B1
KR102536675B1 KR1020210131888A KR20210131888A KR102536675B1 KR 102536675 B1 KR102536675 B1 KR 102536675B1 KR 1020210131888 A KR1020210131888 A KR 1020210131888A KR 20210131888 A KR20210131888 A KR 20210131888A KR 102536675 B1 KR102536675 B1 KR 102536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xing
support
seating
pu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8911A (ko
Inventor
이계연
Original Assignee
이계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연 filed Critical 이계연
Priority to KR1020210131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675B1/ko
Publication of KR20230048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8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A47K7/02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for washing the back, e.g. bath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A47K7/028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having a rigid hand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이 닿지 않는 신체의 때를 벗기기 위하여 때밀이를 고정할 수 있는 때밀이 고정장치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손에 의하여 지지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일단부에 일체 또는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때밀이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안착부의 일면에서 개폐되며, 때밀이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때밀이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of Body-Scrubber}
본 발명은 손이 닿지 않는 신체의 때를 벗기기 위하여 때밀이를 고정할 수 있는 때밀이 고정장치에 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사용자의 손이 파지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는 때밀이헤드와, 상기 때밀이헤드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때밀이헤드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본체와 상기 손잡이 사이에 구비되며,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다수개의 연결마디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본체를 대 소 원통형으로 구성하여 중심부에는 모터를, 주변에는 모터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건전지가 내재되도록 구성하고 모터의 축에는 감속기어를 구비하여 안마판과 때밀이판을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연결구에는 안마볼에 볼축을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하고 볼축의 브래킷은 안마판에 설치된 지지축에 회전할 수 있도록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본체는 때밀이 타올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요철면을 가진 고정홈과 상기 고정홈에 작용하면서 때밀이 타올을 고정하도록 장착 구성된 고정집게와, 표면에 브러시가 식모되거나 또는 연질의 고무나 합성수지로 가급적 감촉이 부드럽게 형성된 맛사지부와, 피부의 때를 밀수 있도록 된 때밀이부로 이루어지고, 자루는 중심관체와 외부관체로 이루어진 안테나식의 2단 구조로 구성하되, 중심관체 끝단 내부에 스프링과 돌출편으로 이루어진 탄성 고정장치를 장착구성하고, 외부관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돌출편이 끼워져 돌출고정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하며 외부관체 끝단에 걸고리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손에 잡기 적당한 크기 및 형상(타원형상이 가장 바람직함)을 갖는본체를 상,하 판으로 분리 구성시켜 그 내면에 서로 대칭이 되는 결합 돌봉 과 결합 보스를 형성하여 서로 끼워 맞추는 방식으로 결합 토 록 하고, 상판과 하판의 표면에는 마찰 돌기(1mm정도의 선)를 점선 형태로 교차시켜 그 배열이 마름모 형이 되도록 형성하며, 정 중앙과 중앙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일 측과 타 측에는 각각 끼움 구멍을 형성하여 본체에 착탈식 손잡이를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본체만을 손으로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본체 한면에 목욕타월을 쒸워 때밀이구로 사용함과 동시에 다른 한면을 이용해 발바닥이나 발뒤꿈치의 각질제거용으로 겸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2013-0109508 A (2013년10월08일) KR 10-2003-0044436 A (2003년06월09일) KR 10-0706670 B1 (2007년04월05일) KR 10-2006-0115987 A (2006년11월13일)
본 발명은 손이 닿지 않는 신체의 때를 벗기기 위하여 때밀이를 고정할 수 있는 때밀이 고정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에 의하여 지지되는 지지부(100); 상기 지지부(100)의 일단부에 일체 또는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때밀이(10)가 안착되는 안착부(200); 상기 안착부(200)의 일면에서 개폐되며, 상기 때밀이(10)를 고정하는 고정부(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때밀이 고정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지지부(100); 안착부(200); 고정부(3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지지부(100)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손이 접하는 손잡이(110); 상기 손잡이(110)에서 연장되며, 상기 안착부(200)를 단부에 고정하는 지지대(1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때밀이 고정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지지부(100); 안착부(200); 고정부(3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지지부(100)에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200)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작장치(13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때밀이 고정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지지부(100); 안착부(200); 고정부(3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안착부(200)에 형성되며, 상기 때밀이(10)가 안착되는 안착판(210); 상기 안착판(210)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300)가 결합되는 접합판(220); 상기 접합판(220)의 일단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100)에 결합되는 결합판(230);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때밀이 고정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지지부(100); 안착부(200); 고정부(3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안착판(210)에 형성되며, 상기 때밀이(10)의 접촉 압력을 조절하는 쿠션(240);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때밀이 고정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지지부(100); 안착부(200); 고정부(3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고정부(300)에 형성되며, 상기 접합판(220)에 결합되는 고정판(310); 상기 고정판(310)과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00)에 삽입되는 삽입판(320); 상기 삽입판(320)과 상기 결합판(230) 사이에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삽입판(320)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100)에 체결되는 체결판(330);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때밀이 고정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지지부(100); 안착부(200); 고정부(3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지지부(100)의 단부에 형성되며, 복수의 딤플(251)이 형성된 볼스터드(250); 상기 볼스터드(250)를 수용하며, 상기 안착부(200)에 형성되는 케이스(140); 상기 케이스(140)에 형성되며, 상기 볼스터드(250)에 압력을 가하여 고정하는 고정커버(15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때밀이 고정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지지부(100); 안착부(200); 고정부(3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케이스(140) 내부에 형성되며, 마찰에 의하여 상기 볼스터드(250)의 회전 및 이동을 방지하는 마찰부(16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때밀이를 고정하며, 사용자의 손에 의하여 조작함에 따라 손이 닿지 않는 등 부분의 때를 벗길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때밀이를 고정하는 안착부와 고정부가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때밀이를 교체 및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때밀이가 고정되는 안착부가 지지부에서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다양한 위치의 때를 벗길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지부가 접힘에 따라 보관이 용이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볼스터드로 형성되는 안착부를 지지대에서 압박하여 다양한 각도로 고정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때밀이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때밀이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지지대에 탄성체가 형성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때밀이 고정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안착부가 지지부에서 각도가 조절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조작장치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착부와 지지부를 연결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케이스와 볼스터드의 결합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때밀이 고정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에 의하여 지지되는 지지부(100); 상기 지지부(100)의 일단부에 일체 또는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때밀이(10)가 안착되는 안착부(200); 상기 안착부(200)의 일면에서 개폐되며, 상기 때밀이(10)를 고정하는 고정부(300);를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때밀이 고정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때밀이 고정장치는 합성수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때밀이 고정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0)는 사용자의 등 부분에 때밀이(10)가 접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때밀이 고정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200)와 상기 고정부(300)는 일체 또는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의 때밀이 고정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200)와 상기 고정부(300)는 타원, 원, 사각형, 마름모, 다각형 중 선택된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때밀이 고정장치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때밀이 고정장치는 노약자나, 어린이, 또는 몸이 불편하여 혼자서 목욕을 할 수 없는 사용자 또는 신체의 특성상 손이 닿지 않은 등 부분을 스스로 때를 밀도록 때밀이(10)를 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때밀이 고정장치는 도 1을 참조하면, 플라스틱,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합성수지,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압력이 발생했을 때 형태가 변형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손이 닿지 않은 등 부분까지 연장되는 지지부(100)가 형성된다. 지지부(100)는 사용자의 손에서 연장되며, 곡면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어깨에서 조작함에 따라 등 부분을 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부(100)의 단부에는 안착부(200)와 고정부(300)가 형성되며, 안착부(200)는 때밀이(10)가 안착되고 고정부(300)는 안착부(200)에 고정됨에 따라 안착부(200)와 고정부(300) 사이에 안착되는 때밀이(10)를 고정한다. 또한, 안착부(200)와 고정부(300)는 타원, 원, 사각형, 마름모,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등의 뼈에 접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안착부(200)와 고정부(300)는 지지부(1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일체로 형성될 경우 안착부(200)와 지지대(120)는 일체로 사출하고 분리되어 형성될 경우 안착부(200)와 지지부(100)와 고정부(300)를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에 의하여 지지부(100)를 조작하면, 사용자의 손에 닿지 않는 등 부분이 안착부(200)와 고정부(300) 사이에 형성되는 때밀이(10)를 통해 때를 벗겨낼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때밀이 고정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0)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손이 접하는 손잡이(110); 상기 손잡이(110)에서 연장되며, 상기 안착부(200)를 단부에 고정하는 지지대(12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때밀이 고정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10)는 상기 지지대(120)의 외측에 결합되도록 이중 사출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때밀이 고정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10)는 손이 이탈되지 않도록 그립홈(111);을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때밀이 고정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10)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5) 본 발명의 때밀이 고정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20)는 탄성을 가지도록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6) 본 발명의 때밀이 고정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20)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120)를 접기 위한 접힘힌지(12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지지부(1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지지부(100)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에 의하여 때밀이(10)의 위치를 조작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부(100)는 도 1의 (c)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손이 접하는 손잡이(110)가 형성되며, 손잡이(110)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과 마찰력을 확보하며, 그립홈(111)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손잡이(110)는 지지대(120)와 다른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지지대(120)의 외측에 겹치도록 결합하거나 이중 사출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대(120)는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때밀이(10)가 등에 접하였을 때 탄성에 의하여 압력이 작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지지대(120)는 도 6을 참조하면, 접힘힌지(121)가 형성되어 접힐 수 있으며, 지지대(120)가 접히도록 형성됨에 따라 보관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접힘힌지(121)는 지지대(120)가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때밀이(10)가 신체의 표피에 접하였을 때 압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실시예 2-7) 본 발명의 때밀이 고정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20)에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200) 및 상기 고정부(300)에 탄성을 주는 탄성체(122);를 포함한다.
(실시예 2-8) 본 발명의 때밀이 고정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122)는 주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지지대(12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지지대(120)는 안착부(200) 및 고정부(300)에 탄성을 주기 위하여 탄성체(122)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대(120)는 도 4를 참조하면, 탄성체(122)가 형성되어 안착부(200) 및 고정부(300)를 지지하는 것으로 안착부(200) 및 고정부(300)에 때밀이(10)가 고정된 후 신체의 표피에 압력을 가할 때 밀착력을 높이고 상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탄성체(122)는 주름 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성을 가하는 것으로 탄성체(122)의 형상은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때밀이 고정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0)에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200)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작장치(130);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때밀이 고정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조작장치(130)에 형성되며,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조작스위치(131);를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때밀이 고정장치는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조작스위치(131)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대(120)의 내부에 수용되는 조작와이어(132);을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의 때밀이 고정장치는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200)에 형성되며, 상기 조작스위치(131)에 의하여 상기 안착부(2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힌지(13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조작장치(13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조작장치(130)는 지지부(100)에 형성되어 안착부(2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이러한 조작장치(130)는 도 6을 참조하면, 손잡이(110)에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 조작되는 조작스위치(131)가 형성되며, 조작스위치(131)는 전진 및 후진하여 조작와이어(132)에 압력을 가하는 것이다. 그리고 조작스위치(131)는 조작와이어(132)에 탄성을 가하며, 조작스위치(131)가 전진하면 조작와이어(132)가 전진하여 안착부(200)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이때, 조작스위치(131)는 전진 및 후진하거나 지지대(120)에서 회전함에 따라 조작와이어(132)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이다. 그리고 조작와이어(132)는 지지대(120)의 내부에 형성되며, 조작와이어(132)는 스프링 등의 탄성장치에 의하여 조작스위치(131)의 조작에 따라 조작와이어(132)가 전진 및 후진하는 것이다. 그리고 안착부(200)의 단부에는 각도조절힌지(133)가 형성되며, 각도조절힌지(133)에 의하여 조작와이어(132)가 전진 및 후진할 때 안착부(200)의 각도가 조절된다.
이에 따라 안착부(200)에 안착된 때밀이(10)는 신체의 표피에 접하는 면적이 조절되어 때를 효과적으로 벗길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때밀이 고정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200)에 형성되며, 상기 때밀이(10)가 안착되는 안착판(210); 상기 안착판(210)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300)가 결합되는 접합판(220); 상기 접합판(220)의 일단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100)에 결합되는 결합판(230);을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때밀이 고정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210)에 형성되며, 때밀이(10)에 흡수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홀(211);을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때밀이 고정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210)은 상기 접합판(220)에서 일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때밀이 고정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접합판(220)과 상기 안착판(21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300)의 일측 단부가 결합되는 결합홈;을 포함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의 때밀이 고정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접합판(220)의 중심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300)의 중심이 삽입되는 삽입돌기(221);를 포함한다.
(실시예 4-6) 본 발명의 때밀이 고정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결합판(230)은 상기 지지대(120)의 직경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안착부(2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안착부(200)는 때밀이(10)가 안착되어 신체의표피에 접하는 것이다. 이러한 안착부(200)는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때밀이(10)가 안착되는 안착판(210)이 형성되며, 안착판(210)은 복수의 배출홈이 형성되어 때밀이(10)에 흡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안착판(210)은 접합판(220)에서 일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고정부(300)가 안착부(200)에 접하였을 때 고정부(300)는 신체의 표피에 접하지 않고 때밀이(10)만 접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안착판(210)의 외측에는 접합판(220)이 형성되며, 접합판(220)은 고정부(300)가 고정된다. 그리고 안착판(210)과 접합판(220) 사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고정부(300)의 일측면이 삽입된다. 또한, 접합판(220)은 반원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고정부(300)가 결합되고 접합판(220)은 체결홈이 형성되어 고정부(300)에 형성되는 체결돌기가 체결된다. 이때, 체결홈과 체결돌기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때밀이(10)가 안착부(200)와 고정부(300) 사이에 형성될 경우 때밀이(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접합판(220)은 중심에 삽입돌기(221)가 형성되어 고정부(300)의 중심에 형성되는 삽입홈(311)에 삽입되어 때밀이(10)가 압력에 의하여 수평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안착부(200)에는 지지대(120) 방면으로 연장되는 결합판(230)이 형성되며, 결합판(230)은 지지대(12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지지대(120)의 내부 직경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 또한, 안착부(200)는 고정부(300)가 일단부에서 회전하여 결합되도록 결합힌지가 형성되거나 고정부(300)가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도록 안착부(200)의 접합판(220)은 슬라이딩홈이 형성된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때밀이 고정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210)에 형성되며, 때밀이(10)의 접촉 압력을 조절하는 쿠션(240);을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때밀이 고정장치에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쿠션(240)은 합성수지, 스펀지, 천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쿠션(24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쿠션(240)은 안착판(210)의 일면 또는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š밀이에 접촉 압력을 조절하는 것이다. 이러한 쿠션(240)은 도 5를 참조하면, 고무재질의 합성수지, 스펀지, 천 등으로 형성되며, 안착판(210)의 일면 또는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때밀이(10)가 신체의 표피에 접촉되는 면적 및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력에 의하여 때밀이(10)가 신체의 표피에 원활히 접촉되며, 때밀이(10)에 의하여 신체의 표피가 벗겨지는 등의 상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때밀이 고정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00)에 형성되며, 상기 접합판(220)에 결합되는 고정판(310); 상기 결합판(230)과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00)에 삽입되는 삽입판(320); 상기 삽입판(320)과 상기 결합판(230) 사이에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삽입판(320)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100)에 체결되는 체결판(330);을 포함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의 때밀이 고정장치에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안착부(200)에 회전 및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3) 본 발명의 때밀이 고정장치에 실시예 6-2에 있어서, 고정판(310)은 상기 접합판(2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에 삽입홈(311)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4) 본 발명의 때밀이 고정장치에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체결판(330)은 상기 삽입판(320)에 고정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고정부(3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고정부(300)는 안착부(200)의 일면에 결합되어 때밀이(10)를 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부(300)는 도 3을 참조하면, 안착부(200)에 형성되는 접합판(220)의 일면에 결합되도록 접합판(220)과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판(310)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판(310)의 내측은 개방되어 안착판(210)이 노출되어 때밀이(10)가 노출된다. 이때, 고정판(310)은 안착판(210)보다 돌출되지 않음에 따라 때밀이(10)가 신체의 표피에 접할 때 고정판(310)은 접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판(310)의 중심에는 도 5를 참조하면, 삽입홈(311)이 형성되며, 삽입홈(311)은 접합판(220)의 삽입돌기(221)가 삽입되어 때밀이(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판(310)의 일단부에는 삽입판(320)이 형성되며, 삽입판(320)은 안착부(200)의 결합판(230)과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지지대(120)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때, 삽입판(320)에는 체결판(330)이 형성되며, 체결판(330)은 삽입판(320)과 결합판(230) 사이에 형성되거나 삽입판(320)에 형성되고 일면이 삽입판(320)의 외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지지대(120)에 형성되는 체결홈에 삽입되어 안착부(200) 및 고정부(300)가 지지부(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고정부(300)는 안착부(200)와 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결합힌지에 결합되어 고정부(300)가 안착부(200)에서 회전하거나 안착부(200)에서 슬라이딩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때밀이 고정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200)의 단부에 형성되며, 복수의 딤플(251)이 형성된 볼스터드(250); 상기 볼스터드(250)를 수용하며, 상기 지지부(100)에 형성되는 케이스(140); 상기 케이스(140)에 형성되며, 상기 볼스터드(250)에 압력을 가하여 고정하는 고정커버(150);를 포함한다.
(실시예 7-2) 본 발명의 때밀이 고정장치에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40)는 상기 볼스터드(25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포함한다.
(실시예 7-3) 본 발명의 때밀이 고정장치에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40)의 외주면은 일단부로 향할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7-4) 본 발명의 때밀이 고정장치에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버(150)는 상기 케이스(140)의 외측에 억지끼움 및 나선 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지지부(1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지지부(100)와 안착부(200)를 연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부(100)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압력에 의하여 안착부(200)의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안착부(200)의 단부에 형성되는 볼스터드(250)는 원구의 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볼스터드(250)는 안착부(200)에 형성되는 케이스(140)에 수용되며, 케이스(140)는 외측의 고정커버(150)에 의하여 압력에 의하여 볼스터드(250)를 고정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때밀이(10)를 신체의 표피에 접할 때 압력이 발생하여 안착부(200)가 회전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딤플(251)이 복수로 형성되는 볼스터드(250)는 케이스(140)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케이스(140)의 외주면에 압력을 가하는 고정커버(150)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때, 케이스(140)의 외주면은 일단부로 향할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고정커버(150)가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이동하며 케이스(140) 내부의 볼스터드(250)를 압박하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부(300)는 안착부(200)와 접하도록 형성되며, 안착부(200)와 고정부(300)는 별도의 결합장치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안착부(200)의 볼스터드(250)에 의하여 안착부(200)와 고정부(300)가 동시에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7-5) 본 발명의 때밀이 고정장치에 실시예 7-4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40)에 형성되며, 상기 볼스터드(250)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한다.
(실시예 7-6) 본 발명의 때밀이 고정장치에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복수로 분리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볼스터드(250)가 삽입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케이스(14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케이스(140)는 볼스터드(250)가 삽입되어 압력이 가해 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케이스(140)는 볼스터드(250)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삽입부는 양측면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삽입부를 절개하여 간격이 벌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간격이 벌어진 삽입부로 볼스터드(250)가 억지끼움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케이스(140)에 볼스터드(250)가 삽입되어 수용되면 케이스(140)의 외측으로 고정커버(150)가 이동하며, 볼스터드(250)에 압력을 가한다. 이때, 케이스(140)에 작용하는 압력이 낮아지면 볼스터드(250)를 회전시켜 안착부(200)의 각도를 조절하고 압력이 높아지면 볼스터드(250)를 고정하는 것이다.
(실시예 8-1) 본 발명은 때밀이 고정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40) 내부에 형성되며, 마찰에 의하여 상기 볼스터드(250)의 회전 및 이동을 방지하는 마찰부(160);를 포함한다.
(실시예 8-2) 본 발명의 때밀이 고정장치에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160)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4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마찰돌기(161);를 포함한다.
(실시예 8-3) 본 발명의 때밀이 고정장치에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마찰돌기(161)가 삽입되며, 상기 케이스(140)의 내부에 형성되는 마찰홀(162);을 포함한다.
(실시예 8-4) 본 발명의 때밀이 고정장치에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160)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딤플(251)에 삽입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8-5) 본 발명의 때밀이 고정장치에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160)는 상기 볼스터드(250)와의 마찰력을 상승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마찰부(16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마찰부(160)는 케이스(140) 내부에 형성되며, 볼스터드(250)의 딤플(251)에 삽입되어 마찰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마찰부(160)는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일면에 케이스(14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마찰홈에 삽입되도록 마찰돌기(161)가 복수로 형성된다. 마찰돌기(161)에 의하여 마찰부(160)는 케이스(140)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마찰부(160)는 유연성이 확보되며, 마찰계수가 높은 고무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케이스(140)에 압력이 가해지면 볼에 형성되는 복수의 딤플(251)로 마찰부(160)가 안착된다. 이때, 마찰부(160)가 복수의 딤플(251)에 안착될 경우 안착판(210)의 압력에 의하여 볼스터드(250)가 회전할 경우 볼스터드(250)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마찰부(160)가 뭉치게 되므로 마찰력이 향상된다. 구체적으로 마찰부(160)에 의하여 마찰력이 향상되어 볼스터드(25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며, 지지부(100)의 케이스(140) 압력에 의하여 볼스터드(250)가 회전하면 볼스터드(250)가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딤플(251)에 마찰부(160)가 서로 뭉쳐져 마찰계수가 높아짐과 동시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다.
10: 때밀이 100: 지지부
110: 손잡이 111: 그립홈
120: 지지대 121: 접힘힌지
122: 탄성체 130: 조작장치
131: 조작스위치 132: 조작와이어
133: 각도조절힌지 140: 케이스
150: 고정커버 160: 마찰부
161: 마찰돌기 162: 마찰홀
200: 안착부 210: 안착판
211: 배출홀 220: 접합판
221: 삽입돌기 230: 결합판
240: 쿠션 250: 볼스터드
251: 딤플 300: 고정부
310: 고정판 311: 삽입홈
320: 삽입판 330: 체결판

Claims (8)

  1. 사용자의 손에 의하여 지지되는 지지부(100);
    상기 지지부(100)의 일단부에 일체 또는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때밀이(10)가 안착되는 안착부(200);
    상기 안착부(200)의 일면에서 개폐되며, 상기 때밀이(10)를 고정하는 고정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100)에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200)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작장치(130);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장치(130)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조작스위치(131); 및 상기 조작스위치(131)에 연결되며, 지지대(120)의 내부에 수용되는 조작와이어(132);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200)는 상기 때밀이(10)가 안착되는 안착판(210); 상기 안착판(210)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300)가 결합되는 접합판(220); 상기 접합판(220)의 일단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100)에 결합되는 결합판(230); 및 상기 안착판(210)에 형성되며, 상기 때밀이(10)의 접촉 압력을 조절하는 쿠션(24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접합판(220)에 결합되는 고정판(310); 상기 고정판(310)과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00)에 삽입되는 삽입판(320); 상기 삽입판(320)과 상기 결합판(230) 사이에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삽입판(320)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100)에 체결되는 체결판(33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100)의 단부에 형성되며, 복수의 딤플(251)이 형성된 볼스터드(250);
    상기 볼스터드(250)를 수용하며, 상기 안착부(200)에 형성되는 케이스(140);
    상기 케이스(140)에 형성되며, 상기 볼스터드(250)에 압력을 가하여 고정하는 고정커버(150);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140)의 외주면은 일단부로 향할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것;을 포함하는 때밀이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0)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손이 접하는 손잡이(110);
    상기 손잡이(110)에서 연장되며, 상기 안착부(200)를 단부에 고정하는 지지대(120);를 포함하는 때밀이 고정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40) 내부에 형성되며, 마찰에 의하여 상기 볼스터드(250)의 회전 및 이동을 방지하는 마찰부(160);를 포함하는 때밀이 고정장치.
KR1020210131888A 2021-10-05 2021-10-05 때밀이 고정장치 KR102536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888A KR102536675B1 (ko) 2021-10-05 2021-10-05 때밀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888A KR102536675B1 (ko) 2021-10-05 2021-10-05 때밀이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911A KR20230048911A (ko) 2023-04-12
KR102536675B1 true KR102536675B1 (ko) 2023-05-26

Family

ID=85984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888A KR102536675B1 (ko) 2021-10-05 2021-10-05 때밀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67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545Y1 (ko) * 2001-01-19 2001-10-26 송경원 목욕용 때밀이기구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797Y1 (ko) * 1998-08-25 2001-04-16 서동윤 목욕용 때밀이구
KR20030044436A (ko) 2001-11-30 2003-06-09 김병근 안마겸용 때밀이 용구
KR100706670B1 (ko) 2006-06-23 2007-04-13 권영호 때밀이 봉
KR100791808B1 (ko) 2006-10-24 2008-01-07 배규석 목욕 용구
KR101354487B1 (ko) 2012-03-27 2014-01-27 윤미경 회전식 때밀이 장치
KR101802891B1 (ko) * 2016-02-15 2017-11-30 이용 샤워기 헤드용 때밀이기구와 그 샤워기 헤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545Y1 (ko) * 2001-01-19 2001-10-26 송경원 목욕용 때밀이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911A (ko) 202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9613B2 (ja) マッサージブラシ及びマッサージブラシ用ハンドル
US7536743B2 (en) Multi-surfaces cleaning implement
US7516508B2 (en) Motorized cleaning implement
US20060010625A1 (en) Cleansing system with disposable pads
US20070066919A1 (en) Massage device and method
KR102608682B1 (ko) 용이하게 탈착가능한 웨브를 갖는 청소 도구
US8341796B1 (en) Personal hygiene device with extending handle and disposable wipe
US10405887B2 (en) Handheld device for personal hygiene of the foot
US6026535A (en) Topical solution application apparatus
KR102536675B1 (ko) 때밀이 고정장치
KR101636363B1 (ko) 효자손 및 약품 도포기능을 겸비하는 등 마사지 기구
US20060173389A1 (en) Reflex massager
US677921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rgonomic basic chiropody
US20060224092A1 (en) Massaging apparatus
US20230149265A1 (en) Medicine applicator, medicine application kit, and pressing tool for medicine applicator
KR200490811Y1 (ko) 각질제거 겸용 목욕타월 고정구
JP2016194240A (ja) 清掃用具
KR102666799B1 (ko) 목욕용 때밀이기구
JP2774077B2 (ja) あかすり具
JP3170352U (ja) 身体摩擦具
KR20230141095A (ko) 목욕용 때밀이기구
EP4360607A1 (en) Massaging device
KR200320367Y1 (ko) 등밀이 타월
JP3106586U (ja) 吸引マッサージ器
JP3040981U (ja) 多機能按摩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