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605B1 - 렌즈 및 촬상 광학계 - Google Patents

렌즈 및 촬상 광학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605B1
KR102536605B1 KR1020200184433A KR20200184433A KR102536605B1 KR 102536605 B1 KR102536605 B1 KR 102536605B1 KR 1020200184433 A KR1020200184433 A KR 1020200184433A KR 20200184433 A KR20200184433 A KR 20200184433A KR 102536605 B1 KR102536605 B1 KR 102536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radius
curvature
optical system
imaging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3576A (ko
Inventor
허재혁
조용주
강영석
정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4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605B1/ko
Priority to US17/213,762 priority patent/US11927731B2/en
Priority to TW112107054A priority patent/TWI823787B/zh
Priority to TW111126302A priority patent/TWI798133B/zh
Priority to TW110112507A priority patent/TWI774309B/zh
Priority to CN202121723890.0U priority patent/CN216052398U/zh
Priority to CN202110851855.5A priority patent/CN114690373A/zh
Publication of KR20220093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576A/ko
Priority to KR1020230056387A priority patent/KR20230062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3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thre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ou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G02B13/006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having a beam-folding prism or mirr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8Anamorphotic object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1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hree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3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our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ive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광축을 포함하는 제1단면의 물체 측면의 곡률 반지름(Rx1) 및 상기 광축을 포함하는 제2단면의 물체 측면의 곡률 반지름(Ry1)이 상이한 왜상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왜상렌즈는 상기 제1방향의 길이와 상기 제2방향의 길이가 상이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렌즈 및 촬상 광학계{Lens and Optical Imaging System}
본 발명은 해상도 열화를 개선하도록 구성된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촬상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장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노트북 등의 휴대용 전자장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의 촬상 광학계는 카메라 모듈의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의 렌즈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는 3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한다. 촬상 광학계는 카메라 모듈의 박형화 또는 소형화를 가능케 하는 렌즈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는 X 방향과 Y 방향이 비대칭인 렌즈를 포함한다. 그러나 전술된 렌즈는 비대칭 형상으로 인해 X 방향의 광특성과 Y 방향 광특성이 최초설계 값과 상이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비대칭 형상에 인해 기인한 해상도 열화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상 광학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광축을 포함하는 제1단면의 물체 측면의 곡률 반지름(Rx1) 및 상기 광축을 포함하는 제2단면의 물체 측면의 곡률 반지름(Ry1)이 상이한 왜상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왜상렌즈는 상기 제1방향의 길이와 상기 제2방향의 길이가 상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비대칭 형상에 따른 해상도 열화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의 평면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에 도시된 렌즈의 제1방향의 제1단면이고, 도 2의 (b)는 도 2에 도시된 렌즈의 제2방향의 제2단면이다.
도 3은 제1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곡선이다.
도 5는 제2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곡선이다.
도 7은 제3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곡선이다.
도 9는 제4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곡선이다.
도 11은 제5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곡선이다.
도 13은 제6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곡선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제1렌즈는 물체(또는 피사체)와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렌즈의 곡률 반지름(Radius), 두께(Thickness), TTL, IMG HT(상면의 대각길이의 1/2), 초점거리의 단위는 모두 ㎜ 단위이다. 아울러, 렌즈의 두께, 렌즈 간의 간격, TTL은 렌즈의 광축에서의 거리이다. 아울러, 렌즈의 형상에 대한 설명에서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라는 의미는 해당 면의 광축 부분이 볼록하다는 의미이고,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라는 의미는 해당 면의 광축 부분이 오목하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렌즈의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라고 설명되어도,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은 오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렌즈의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라고 설명되어도,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은 볼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면은 렌즈의 초점이 맺히는 결상면 또는 이미지 센서의 일면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LM)를 도 1 및 2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LM)는 광축(C)과 교차하는 제1방향의 제1단면(LMs1)과 광축과 교차하는 제2방향의 제2단면(LMs2)이 상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단면(LMs1)의 물체 측면의 곡률 반지름(Rx1)과 제2단면(LMs2)의 물체 측면의 곡률 반지름(Ry1)은 상이할 수 있다. 그러나 렌즈(LM)의 곡률 반지름이 모두 상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단면(LMs1)의 상 측면의 곡률 반지름(Rx2)과 제2단면(LMs2)의 상 측면의 곡률 반지름(Ry2)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LM)는 좁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LM)의 제1단면(LMs1)의 길이(Lx)와 제2단면(LMs2)의 길이(Ly)는 상이할 수 있다. 참고로, 단면(LMs1, LMs2)의 길이(Lx, Ly)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크기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LM)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렌즈(LM)의 재질이 플라스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렌즈(LM)는 대량생산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LM)는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LM)는 하기 조건식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할 수 있다.
0 < |(Rx1 - Ry1)/Ry1| < 0.5
0.2 < |(Rx1 - Ry1)/Rx2| < 2.0
0 < |fx - fy| < 0.5 mm
0 < |(fx - fy)/fx| < 0.01
상기 조건식에서 Rx1은 제1단면(LMs1)의 물체 측면의 곡률 반지름이고, Ry1은 제2단면(LMs2)의 물체 측면의 곡률 반지름이고, Rx2는 제1단면(LMs1)의 상 측면의 곡률 반지름이고, fx는 제1단면(LMs1)의 곡률 반지름에 기반하여 산출된 초점거리이고, fy는 제2단면(LMs2)의 곡률 반지름에 기반하여 산출된 초점거리이다.
렌즈(LM)는 절단면(CS)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LM)의 양측에는 절단면(CS)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렌즈(LM)의 양측이 모두 절단면(CS)으로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렌즈(LM)의 일측만이 절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단면(CS)은 빛의 입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면(CS)은 광축과 대체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절단면(CS)은 빛의 반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면(CS)에는 반사방지층이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렌즈(LM)는 사출성형 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해상도 열화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LM)는 게이트 방향 또는 게이트와 수직방향에서 발생하는 빛의 굴절력 및 해상도의 차이를 경감시킬 수 있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촬상 광학계의 적용 범위가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촬상 광학계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촬상 광학계는 휴대 단말기에 탑재되는 2개 이상의 카메라 모듈 중 어느 하나에만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촬상 광학계는 휴대 단말기에 탑재되는 3개 이상의 카메라 모듈 중 하나 이상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상면에 도달하는 광선 수차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는 비회전대칭 형상의 왜상렌즈를 통해 광선 수차를 조절할 수 있다. 왜상렌즈는 광축을 포함하는 제1단면의 곡률 반지름과 광축을 포함하는 제2단면의 곡률 반지름이 상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왜상 렌즈는 광축을 포함하는 제1단면의 물체 측면의 곡률 반지름과 광축을 포함하는 제2단면의 물체 측면의 곡률 반지름이 상이할 수 있다. 왜상렌즈는 제1단면의 길이와 제2단면의 길이가 상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단면의 길이는 제2단면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촬상 광학계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는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 내지 제3렌즈 중 하나는 왜상렌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왜상렌즈일 수 있다. 그러나 촬상 광학계의 구성이 3매 렌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촬상 광학계는 제3렌즈의 상 측에 배치되는 제4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촬상 광학계는 제3렌즈의 상 측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4렌즈 및 제5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촬상 광학계는 전술된 왜상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3렌즈 내지 제4렌즈 중 하나 이상은 왜상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는 복수의 왜상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및 제4렌즈는 왜상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는 일 측면이 절단된 렌즈(이하 절단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를 구성하는 제1렌즈 내지 제3렌즈, 또는 제1렌즈 내지 제4렌즈, 또는 제1렌즈 내지 제5렌즈 중 하나 이상은 절단 렌즈일 수 있다. 절단 렌즈의 절단면은 물체 측면 및 상 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절단면은 빛의 입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면은 광축과 대체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절단면은 빛의 반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면에는 반사방지층이 형성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는 광로변환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는 제1렌즈의 물체 측에 배치되는 프리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들의 특징을 설명한다.
제1렌즈는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1렌즈는 비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의 양면은 비구면일 수 있다. 제1렌즈는 소정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의 굴절률은 1.5 이상 1.56 미만일 수 있다.
제2렌즈는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2렌즈는 비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의 양면은 비구면일 수 있다. 제2렌즈는 소정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의 굴절률은 1.60 이상 1.66 미만일 수 있다.
제3렌즈는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3렌즈는 비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렌즈의 양면은 비구면일 수 있다. 제3렌즈는 소정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렌즈의 굴절률은 1.62 이상 1.7 미만일 수 있다.
제4렌즈는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4렌즈는 비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렌즈의 양면은 비구면일 수 있다. 제4렌즈는 소정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렌즈의 굴절률은 1.60 이상 1.66 미만일 수 있다.
제5렌즈는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5렌즈는 비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렌즈의 양면은 비구면일 수 있다. 제5렌즈는 소정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렌즈의 굴절률은 1.5 이상 1.56 미만일 수 있다.
제1렌즈 내지 제5렌즈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비구면을 포함한다. 렌즈의 비구면은 수학식 1로 표현된다.
Figure 112020141685124-pat00001
수학식 1에서 c는 해당 렌즈의 곡률 반지름의 역수이고, K는 코닉 상수이고, r은 비구면 상의 임의의 점으로부터 광축까지의 거리이고, A ~ J는 비구면 상수이고, Z(또는 SAG)는 비구면 상의 임의의 점으로부터 해당 비구면의 정점까지의 광축 방향으로의 높이이다.
촬상 광학계는 필터, 조리개, 상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는 상면과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된다. 필터는 입사광으로부터 일부 파장을 차단하여 촬상 광학계의 해상도를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필터는 입사광의 적외선 파장을 차단할 수 있다. 조리개는 최전방 렌즈의 물체 측 또는 렌즈와 렌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면은 촬상 광학계의 초점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는 하기 조건식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할 수 있다.
0 < |(Rx1 - Ry1)/Ry1| < 0.5
0.2 < |(Rx1 - Ry1)/Rx2| < 2.0
0 < |fx - fy| < 0.5 mm
0 < |(fx - fy)/fx| < 0.01
0 < |(fx-fy)/f| < 0.005
0 < |(Rx1-Ry1)/Rx2| < 2.0
0.6 < (R10-R11x)/(R10-R11y) < 1.2
상기 조건식에서 Rx1은 왜상렌즈의 제1단면의 물체 측면의 곡률 반지름이고, Ry1은 왜상렌즈의 제2단면의 물체 측면의 곡률 반지름이고, Rx2는 왜상렌즈의 제1단면의 상 측면의 곡률 반지름이고, fx는 왜상렌즈의 제1단면의 곡률 반지름에 기반하여 산출된 초점거리이고, fy는 상기 왜상렌즈의 제2단면의 곡률 반지름에 기반하여 산출된 초점거리이고, f는 촬상 광학계의 초점거리이고, R10은 제3렌즈의 상 측면의 곡률 반지름이고, R11x는 제4렌즈의 제1단면에 따른 물체 측면의 곡률 반지름이고, R11y는 제4렌즈의 제2단면에 따른 물체 측면의 곡률 반지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제1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촬상 광학계(100)는 제1렌즈(110), 제2렌즈(120), 제3렌즈(130), 제4렌즈(140), 제5렌즈(150)를 포함한다.
제1렌즈(11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1렌즈(11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2렌즈(12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렌즈(12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3렌즈(13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3렌즈(13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4렌즈(14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4렌즈(140)는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5렌즈(15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5렌즈(15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전술된 렌즈들 중 제4렌즈(140)는 비회전대칭 형상의 왜상렌즈일 수 있다.
촬상 광학계(100)는 필터(IF), 상면(IP)를 포함한다. 필터(IF)는 상면(IP)의 전방에 배치되어, 입사광에 포함된 적외선 등을 차단한다. 상면(IP)은 이미지 센서(IS)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면(IP)은 이미지 센서(IS)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면(IP)이 이미지 센서(IS)에 반드시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면(IP)은 화상용 필름 등과 같이 광신호를 수렴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부재 또는 장치에 형성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100)는 광로변환수단인 프리즘(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리즘(P)은 제1렌즈(110)의 물체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100)는 도 1에 도시된 형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110) 내지 제5렌즈(150) 중 하나 이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절단면(CS)이 형성될 수 있다.
표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100)의 렌즈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표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100)의 비구면 값이다. 도 4는 위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100)의 수차 곡선이다.
면번호 비고 곡률반지름
(Rx)
곡률반지름
(Ry)
두께/거리 굴절률 아베수 유효반경
1 프리즘 Infinity Infinity 0.000 6.000
2 Infinity Infinity 5.500 1.723 29.5 6.000
3 Infinity Infinity 5.500 1.723 29.5 8.485
4 Infinity Infinity 3.000 6.000
5 제1렌즈 5.8252 5.8252 1.993 1.537 55.7 3.300
6 -70.7610 -70.7610 0.035 3.095
7 제2렌즈 249.3151 249.3151 1.106 1.644 23.5 3.058
8 4.9733 4.9733 0.948 2.650
9 제3렌즈 5.3624 5.3624 1.599 1.667 20.4 2.659
10 -39.0877 -39.0877 0.074 2.480
11 제4렌즈 -100.7217 -99.0000 0.682 1.644 23.5 2.438
12 5.7443 5.7443 1.561 2.190
13 제5렌즈 15.8152 15.8152 1.000 1.546 56.0 2.032
14 16.9556 16.9556 15.391 1.940
15 필터 Infinity Infinity 0.110 1.519 64.2 3.024
16 Infinity Infinity 2.501 3.030
17 상면 Infinity Infinity 0.000 3.207
면번호 5 6 7 8 9 11 : Anamorphic
K -0.44733 -7.83886 99.00000 0.15108 0.37211 Y 코닉상수 0.00000
A 0.00015 0.00011 -0.00019 -0.00054 -0.00040 4차대칭계수 0.00000
B 0.00001 0.00000 0.00001 0.00000 0.00001 6차대칭계수 0.00000
C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8차대칭계수 0.00000
D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10차대칭계수 0.00000
E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X 코닉상수 0.00000
F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4차비대칭계수 0.00000
G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6차비대칭계수 0.00000
H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8차비대칭계수 0.00000
J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10차비대칭계수 0.00000
면번호 10 12 13 14
K -62.20732 0.42974 -7.39730 -24.78544
A 0.00001 -0.00060 -0.00157 -0.00045
B 0.00007 0.00002 -0.00002 -0.00007
C 0.00000 0.00000 -0.00001 -0.00002
D 0.00000 0.00000 0.00000 0.00000
E 0.00000 0.00000 0.00000 0.00000
F 0.00000 0.00000 0.00000 0.00000
G 0.00000 0.00000 0.00000 0.00000
H 0.00000 0.00000 0.00000 0.00000
J 0.00000 0.00000 0.00000 0.00000
도 5를 참조하여 제2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촬상 광학계(200)는 제1렌즈(210), 제2렌즈(220), 제3렌즈(230), 제4렌즈(240), 제5렌즈(250)를 포함한다.
제1렌즈(21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1렌즈(21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2렌즈(22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렌즈(220)는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3렌즈(23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3렌즈(23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4렌즈(24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4렌즈(24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5렌즈(25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5렌즈(25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전술된 렌즈들 중 제4렌즈(240)는 비회전대칭 형상의 왜상렌즈일 수 있다.
촬상 광학계(200)는 필터(IF), 상면(IP)를 포함한다. 필터(IF)는 상면(IP)의 전방에 배치되어, 입사광에 포함된 적외선 등을 차단한다. 상면(IP)은 이미지 센서(IS)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면(IP)은 이미지 센서(IS)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면(IP)이 이미지 센서(IS)에 반드시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면(IP)은 화상용 필름 등과 같이 광신호를 수렴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부재 또는 장치에 형성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200)는 광로변환수단인 프리즘(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리즘(P)은 제1렌즈(210)의 물체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200)는 도 1에 도시된 형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210) 내지 제5렌즈(250) 중 하나 이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절단면(CS)이 형성될 수 있다.
표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200)의 렌즈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표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200)의 비구면 값이다. 도 5는 위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200)의 수차 곡선이다.
면번호 비고 곡률반지름
(Rx)
곡률반지름
(Ry)
두께/거리 굴절률 아베수 유효반경
1 프리즘 Infinity Infinity 0.000 6.000
2 Infinity Infinity 5.500 1.723 29.5 6.000
3 Infinity Infinity 5.500 1.723 29.5 8.485
4 Infinity Infinity 3.000 6.000
5 제1렌즈 4.7421 4.7421 2.048 1.537 55.7 3.300
6 -17.6184 -17.6184 0.120 3.095
7 제2렌즈 -95.8922 -95.8922 0.500 1.621 26.0 3.058
8 4.2715 4.2715 1.258 2.650
9 제3렌즈 4.6379 4.6379 0.889 1.679 19.2 2.659
10 9.3708 9.3708 0.100 2.480
11 제4렌즈 6.9347 6.9000 0.500 1.621 26.0 2.438
12 3.5656 3.5656 2.203 2.190
13 제5렌즈 3.8576 3.8576 0.882 1.547 56.1 2.032
14 4.7572 4.7572 6.068 1.940
15 필터 Infinity Infinity 0.210 1.519 64.2 3.024
16 Infinity Infinity 3.618 3.030
17 상면 Infinity Infinity 0.001 3.207
면번호 5 6 7 8 9 11 : Anamorphic
K -0.70575 -2.23459 -58.45925 -0.02889 -0.00793 Y 코닉상수 -0.03401
A 0.00024 0.00080 -0.00139 -0.00353 -0.00288 4차대칭계수 -0.00295
B 0.00000 -0.00001 0.00013 -0.00001 0.00020 6차대칭계수 -0.00002
C 0.00000 0.00000 0.00000 -0.00001 -0.00001 8차대칭계수 0.00004
D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10차대칭계수 -0.00001
E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X 코닉상수 -0.03401
F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4차비대칭계수 0.00000
G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6차비대칭계수 0.00000
H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8차비대칭계수 0.00000
J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10차비대칭계수 0.00000
면번호 10 12 13 14
K -1.67614 -0.00939 -0.84534 -1.77094
A -0.00288 -0.00540 -0.00526 -0.00291
B 0.00028 0.00030 0.00013 -0.00012
C -0.00002 0.00009 0.00002 0.00003
D 0.00000 0.00001 0.00000 0.00001
E 0.00000 -0.00001 0.00000 0.00000
F 0.00000 0.00000 0.00000 0.00000
G 0.00000 0.00000 0.00000 0.00000
H 0.00000 0.00000 0.00000 0.00000
J 0.00000 0.00000 0.00000 0.00000
도 7을 참조하여 제3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촬상 광학계(300)는 제1렌즈(310), 제2렌즈(320), 제3렌즈(330)를 포함한다.
제1렌즈(31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1렌즈(31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32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렌즈(32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3렌즈(33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3렌즈(33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전술된 렌즈들 중 제3렌즈(330)는 비회전대칭 형상의 왜상렌즈이다.
촬상 광학계(300)는 필터(IF), 상면(IP)를 포함한다. 필터(IF)는 상면(IP)의 전방에 배치되어, 입사광에 포함된 적외선 등을 차단한다. 상면(IP)은 이미지 센서(IS)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면(IP)은 이미지 센서(IS)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면(IP)이 이미지 센서(IS)에 반드시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면(IP)은 화상용 필름 등과 같이 광신호를 수렴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부재 또는 장치에 형성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300)는 광로변환수단인 프리즘(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리즘(P)은 제1렌즈(310)의 물체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300)는 도 1에 도시된 형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310) 내지 제3렌즈(330) 중 하나 이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절단면(CS)이 형성될 수 있다.
표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300)의 렌즈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표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300)의 비구면 값이다. 도 8은 위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300)의 수차 곡선이다.
면번호 비고 곡률반지름
(Rx)
곡률반지름
(Ry)
두께/거리 굴절률 아베수 유효반경
1 프리즘 Infinity Infinity 0.000 6.000
2 Infinity Infinity 5.500 1.723 29.5 6.000
3 Infinity Infinity 5.500 1.723 29.5 8.485
4 Infinity Infinity 3.000 6.000
5 제1렌즈 6.3172 6.3172 1.153 1.537 55.7 3.000
6 15.7178 15.7178 0.056 2.422
7 제2렌즈 5.7851 5.7851 1.094 1.620 25.9 2.426
8 3.0580 3.0580 1.179 2.270
9 제3렌즈 22.1360 22.0500 1.194 1.640 44.2 3.240
10 -16.3216 -16.3216 15.000 2.427
11 필터 Infinity Infinity 0.210 1.519 64.2 2.547
12 Infinity Infinity 4.768 2.548
13 상면 Infinity Infinity 0.004 2.589
면번호 5 6 7 8 10 9 : Anamorphic
K -1.32284 -1.00000 -1.54431 -1.15945 -1.00000 Y 코닉상수 0.69733
A 0.00082 0.00326 -0.00168 -0.00432 0.00012 4차대칭계수 0.00086
B -0.00002 -0.00046 -0.00005 0.00031 0.00041 6차대칭계수 -0.00001
C 0.00000 0.00008 0.00000 -0.00002 -0.00028 8차대칭계수 -0.00001
D 0.00000 -0.00001 0.00000 0.00000 0.00011 10차대칭계수 0.00000
E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2 X 코닉상수 0.79417
F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4차비대칭계수 0.00000
G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6차비대칭계수 0.00000
H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8차비대칭계수 0.00000
J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10차비대칭계수 0.00000
도 9를 참조하여 제4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촬상 광학계(400)는 제1렌즈(410), 제2렌즈(420), 제3렌즈(430), 제4렌즈(440), 제5렌즈(450)를 포함한다.
제1렌즈(41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1렌즈(41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2렌즈(42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렌즈(420)는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3렌즈(43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3렌즈(43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4렌즈(44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4렌즈(440)는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5렌즈(45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5렌즈(45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전술된 렌즈들 중 제4렌즈(440)는 비회전대칭 형상의 왜상렌즈일 수 있다.
촬상 광학계(400)는 필터(IF), 상면(IP)를 포함한다. 필터(IF)는 상면(IP)의 전방에 배치되어, 입사광에 포함된 적외선 등을 차단한다. 상면(IP)은 이미지 센서(IS)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면(IP)은 이미지 센서(IS)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면(IP)이 이미지 센서(IS)에 반드시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면(IP)은 화상용 필름 등과 같이 광신호를 수렴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부재 또는 장치에 형성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400)는 광로변환수단인 프리즘(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리즘(P)은 제1렌즈(410)의 물체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400)는 도 1에 도시된 형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410) 내지 제5렌즈(450) 중 하나 이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절단면(CS)이 형성될 수 있다.
표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400)의 렌즈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표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400)의 비구면 값이다. 도 10은 위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400)의 수차 곡선이다.
면번호 비고 곡률반지름
(Rx)
곡률반지름
(Ry)
두께/거리 굴절률 아베수 유효반경
1 프리즘 Infinity Infinity 0.000 6.000
2 Infinity Infinity 5.500 1.723 29.5 6.000
3 Infinity Infinity 5.500 1.723 29.5 8.485
4 Infinity Infinity 3.000 6.000
5 제1렌즈 5.8278 5.8278 1.995 1.537 55.7
6 -48.3702 -48.3702 0.105
7 제2렌즈 -376.5099 -376.5099 1.117 1.644 23.5
8 4.9818 4.9818 1.276
9 제3렌즈 5.3742 5.3742 1.604 1.667 20.4
10 -35.8594 -35.8594 0.100
11 제4렌즈 -100.0000 -99.0000 0.659 1.644 23.5
12 5.7500 5.7500 1.557
13 제5렌즈 15.7621 15.7621 1.015 1.546 56.0
14 17.1484 17.1484 15.391
15 필터 Infinity Infinity 0.110 1.519 64.2
16 Infinity Infinity 1.309
17 상면 Infinity Infinity 0.018
면번호 5 6 7 8 9 11 : Anamorphic
K -0.44799 -8.69413 -99.00000 0.15145 0.37194 Y 코닉상수 0.00000
A 0.00015 0.00011 -0.00019 -0.00054 -0.00040 4차대칭계수 0.00000
B 0.00001 0.00000 0.00001 0.00000 0.00001 6차대칭계수 0.00000
C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8차대칭계수 0.00000
D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10차대칭계수 0.00000
E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X 코닉상수 -66.28410
F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4차비대칭계수 1.10349
G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6차비대칭계수 1.01404
H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8차비대칭계수 0.34328
J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10차비대칭계수 -0.18715
면번호 10 12 13 14
K -62.53574 0.43065 -7.45079 -24.71436
A 0.00001 -0.00060 -0.00158 -0.00045
B 0.00007 0.00002 -0.00002 -0.00007
C 0.00000 0.00000 -0.00001 -0.00002
D 0.00000 0.00000 0.00000 0.00000
E 0.00000 0.00000 0.00000 0.00000
F 0.00000 0.00000 0.00000 0.00000
G 0.00000 0.00000 0.00000 0.00000
H 0.00000 0.00000 0.00000 0.00000
J 0.00000 0.00000 0.00000 0.00000
도 11을 참조하여 제5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촬상 광학계(500)는 제1렌즈(510), 제2렌즈(520), 제3렌즈(530), 제4렌즈(540), 제5렌즈(550)를 포함한다.
제1렌즈(51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1렌즈(51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2렌즈(52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렌즈(520)는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3렌즈(53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3렌즈(53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4렌즈(54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4렌즈(540)는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5렌즈(55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5렌즈(55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전술된 렌즈들 중 제2렌즈(520) 및 제4렌즈(540)는 비회전대칭 형상의 왜상렌즈일 수 있다. 제2렌즈(520)와 제4렌즈(540)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왜상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520)는 물체 측면의 제1방향의 곡률 반지름이 물체 측면의 제2방향의 곡률 반지름보다 큰 형상이나, 제4렌즈(540)는 물체 측면의 제1방향의 곡률 반지름이 물체 측면의 제2방향의 곡률 반지름보다 작은 형상일 수 있다.
촬상 광학계(500)는 필터(IF), 상면(IP)를 포함한다. 필터(IF)는 상면(IP)의 전방에 배치되어, 입사광에 포함된 적외선 등을 차단한다. 상면(IP)은 이미지 센서(IS)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면(IP)은 이미지 센서(IS)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면(IP)이 이미지 센서(IS)에 반드시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면(IP)은 화상용 필름 등과 같이 광신호를 수렴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부재 또는 장치에 형성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500)는 광로변환수단인 프리즘(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리즘(P)은 제1렌즈(510)의 물체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500)는 도 1에 도시된 형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510) 내지 제5렌즈(550) 중 하나 이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절단면(CS)이 형성될 수 있다.
표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500)의 렌즈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표 10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500)의 비구면 값이다. 도 12는 위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500)의 수차 곡선이다.
면번호 비고 곡률반지름
(Rx)
곡률반지름
(Ry)
두께/거리 굴절률 아베수 유효반경
1 프리즘 Infinity Infinity 0.000 6.000
2 Infinity Infinity 5.500 1.723 29.5 6.000
3 Infinity Infinity 5.500 1.723 29.5 8.485
4 Infinity Infinity 3.000 6.000
5 제1렌즈 5.8278 5.8278 1.956 1.537 55.7 3.300
6 -48.1696 -48.1696 0.100 3.206
7 제2렌즈 -354.6721 -362.7748 1.086 1.644 23.5 3.116
8 4.9949 4.9949 2.043 2.614
9 제3렌즈 5.4072 5.4072 1.596 1.667 20.4 2.643
10 -35.1965 -35.1965 0.100 2.469
11 제4렌즈 -99.9316 -98.9947 0.639 1.644 23.5 2.415
12 5.7307 5.7307 1.587 2.173
13 제5렌즈 15.3055 15.3055 0.949 1.546 56.0 2.057
14 17.6665 17.6665 15.391 1.940
15 필터 Infinity Infinity 0.110 1.519 64.2 3.092
16 Infinity Infinity 1.578 3.097
17 상면 Infinity Infinity 0.004 3.214
면번호 5 6 8 9 10 12
K -0.44815 -7.79525 0.15084 0.37275 -61.93721 0.41925
A 0.00015 0.00011 -0.00054 -0.00040 0.00001 -0.00061
B 0.00001 0.00000 0.00000 0.00001 0.00007 0.00001
C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D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E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F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G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H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J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면번호 13 14 면번호 7 11
K -6.37862 -25.62393 Y 코닉상수 0.00000 0.00000
A -0.00155 -0.00046 4차대칭계수 -0.00020 0.00000
B -0.00002 -0.00007 6차대칭계수 0.00001 0.00000
C -0.00001 -0.00002 8차대칭계수 0.00000 0.00000
D 0.00000 0.00000 10차대칭계수 0.00000 0.00000
E 0.00000 0.00000 X 코닉상수 0.00000 -24.84397
F 0.00000 0.00000 4차비대칭계수 -0.00175 -1.96708
G 0.00000 0.00000 6차비대칭계수 -0.00112 0.46646
H 0.00000 0.00000 8차비대칭계수 0.00254 0.09334
J 0.00000 0.00000 10차비대칭계수 -0.00063912 -0.26578
도 13을 참조하여 제6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촬상 광학계(600)는 제1렌즈(610), 제2렌즈(620), 제3렌즈(630), 제4렌즈(640)를 포함한다.
제1렌즈(61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1렌즈(61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2렌즈(62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렌즈(620)는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3렌즈(63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3렌즈(63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4렌즈(64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4렌즈(640)는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전술된 렌즈들 중 제2렌즈(620) 및 제4렌즈(640)는 비회전대칭 형상의 왜상렌즈일 수 있다. 제2렌즈(620)와 제4렌즈(640)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왜상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620)는 물체 측면의 제1방향의 곡률 반지름이 물체 측면의 제2방향의 곡률 반지름보다 큰 형상이나, 제4렌즈(640)는 물체 측면의 제1방향의 곡률 반지름이 물체 측면의 제2방향의 곡률 반지름보다 작은 형상일 수 있다.
촬상 광학계(600)는 필터(IF), 상면(IP)를 포함한다. 필터(IF)는 상면(IP)의 전방에 배치되어, 입사광에 포함된 적외선 등을 차단한다. 상면(IP)은 이미지 센서(IS)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면(IP)은 이미지 센서(IS)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면(IP)이 이미지 센서(IS)에 반드시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면(IP)은 화상용 필름 등과 같이 광신호를 수렴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부재 또는 장치에 형성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600)는 광로변환수단인 프리즘(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리즘(P)은 제1렌즈(610)의 물체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600)는 도 1에 도시된 형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610) 내지 제4렌즈(640) 중 하나 이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절단면(CS)이 형성될 수 있다.
표 1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600)의 렌즈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표 1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600)의 비구면 값이다. 도 14는 위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600)의 수차 곡선이다.
면번호 비고 곡률반지름
(Rx)
곡률반지름
(Ry)
두께/거리 굴절률 아베수 유효반경
1 프리즘 Infinity Infinity 0.000 6.000
2 Infinity Infinity 5.500 1.723 29.5 6.000
3 Infinity Infinity 5.500 1.723 29.5 8.485
4 Infinity Infinity 3.000 6.000
5 제1렌즈 5.8236 5.8236 2.039 1.537 55.7 3.300
6 -48.6265 -48.6265 0.193 3.342
7 제2렌즈 -410.5616 -375.9890 1.361 1.644 23.5 3.188
8 5.7102 5.7102 2.729 2.545
9 제3렌즈 6.2675 6.2675 1.818 1.667 20.4 2.098
10 -34.1445 -34.1445 0.202 1.891
11 제4렌즈 -94.9207 -98.9855 0.606 1.644 23.5 1.841
12 6.2367 6.2367 1.587 1.632
13 필터 Infinity Infinity 0.110 1.519 64.2 1.873
14 Infinity Infinity 12.889 1.879
15 상면 Infinity Infinity 0.000 3.204
면번호 5 6 8 9 10 12
K -0.46384 -18.04159 0.16700 0.35972 -82.80944 0.58062
A 0.00014 0.00012 -0.00051 -0.00043 0.00004 -0.00048
B 0.00000 0.00000 0.00000 0.00001 0.00007 0.00004
C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D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E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F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G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H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J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면번호 7 11
Y 코닉상수 0.00000 0.00000
4차대칭계수 -0.00020 0.00000
6차대칭계수 0.00001 0.00000
8차대칭계수 0.00000 0.00000
10차대칭계수 0.00000 0.00000
X 코닉상수 0.00000 92.60156
4차비대칭계수 0.00289 -4.22709
6차비대칭계수 -0.00252 -2.05965
8차비대칭계수 -0.00108 0.93156
10차비대칭계수 0.04058 0.59775
표 13은 제1실시 예 내지 제6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광학 특성을 나타낸다.
비고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 제4실시예 제5실시예 제6실시예
f1 10.122 7.193 18.856 9.809 9.803 9.811
f2x -7.893 -6.577 -12.360 -7.608 -7.624 -8.701
f2y - - - - -7.621 -8.713
f3x 7.178 12.572 14.843 7.104 7.125 8.069
f3y - - 14.867 - - -
f4x -8.409 -12.613 - -8.397 -8.371 -9.068
f4y -8.417 -12.538 - -8.402 -8.376 -9.044
f5 328.967 27.720 - 283.527 183.552 -
TTL 27.002 18.397 24.658 26.255 27.139 23.534
BFL 18.002 9.897 19.982 16.828 17.083 14.586
f 30.900 19.000 23.667 29.127 28.967 25.025
f number 4.460 3.520 3.940 4.410 4.410 4.400
HFOV 11.870 24.730 12.470 12.440 12.440 14.450
IMG HT 3.200 4.200 2.590 3.200 3.200 3.200
표 13에서 TTL은 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이고, BFL은 상면과 가장 인접한 렌즈의 상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이고, HFOV는 반화각이고, IMG HT는 상면의 높이이다.
표 14 및 표 15는 제1실시 예 내지 제6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조건식 값이다.
조건식 제1실시예
(제4렌즈)
제2실시예
(제4렌즈)
제3실시예
(제3렌즈)
제4실시예
(제4렌즈)
제5실시예
(제4렌즈)
제6실시예
(제4렌즈)
|(Rx1-Ry1)/Ry1| 0.0174 0.0050 0.0039 0.0101 0.0095 0.0411
|fx-fy| 0.0082 0.0751 0.0241 0.0048 0.0045 0.0238
|(fx-fy)/fx| 0.0010 0.0060 0.0016 0.0006 0.0005 0.0026
(fx-fy)/f 0.0003 0.0040 0.0010 0.0002 0.0002 0.0010
(Rx1-Ry1)/Rx2 1.0754 0.4883 1.7441 1.0682 1.0674 1.0219
(R10x-R11x)/
(R10y-R11y)
1.0287 0.9859 - 1.0158 1.0147 0.9373
조건식 제5실시예
(제2렌즈)
제6실시예
(제2렌즈)
|(Rx1-Ry1)/Ry1| 0.0223 0.0920
|fx-fy| 0.0026 0.0120
|(fx-fy)/fx| 0.0003 0.0014
(fx-fy)/f 0.0001 0.0005
(Rx1-Ry1)/Rx2 0.9914 1.1071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6)

  1. 광축과 교차하는 제1방향의 제1단면과 상기 광축과 교차하는 제2방향의 제2단면이 상이하고,
    상기 제1단면의 상기 제1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2단면의 상기 제2방향의 길이와 상이하고,
    상기 제1단면의 물체 측면의 곡률 반지름(Rx1)과 상기 제2단면의 물체 측면의 곡률 반지름(Ry1)이 상이하도록 형성되며,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렌즈.
    0.2 < (Rx1-Ry1)/Rx2 < 2.0
    (상기 조건식에서 Rx2는 상기 제1단면의 상 측면의 곡률 반지름이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렌즈.
    0 < |(Rx1-Ry1)/Ry1| < 0.5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렌즈.
    0 < |fx-fy| < 0.5 mm
    (상기 조건식에서 fx는 상기 제1단면의 곡률 반지름에 기반하여 산출된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y는 상기 제2단면의 곡률 반지름에 기반하여 산출된 렌즈의 초점거리이다)
  6.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렌즈.
    0 < |(fx-fy)/fx| < 0.01
    (상기 조건식에서 fx는 상기 제1단면의 곡률 반지름에 기반하여 산출된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y는 상기 제2단면의 곡률 반지름에 기반하여 산출된 렌즈의 초점거리이다)
  7. 광축을 포함하는 제1단면의 물체 측면의 곡률 반지름(Rx1) 및 상기 광축을 포함하는 제2단면의 물체 측면의 곡률 반지름(Ry1)이 상이한 왜상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왜상렌즈는 상기 제1단면의 길이와 상기 제2단면의 길이가 상이하도록 구성되고,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0.2 < (Rx1-Ry1)/Rx2 < 2.0
    (상기 조건식에서 Rx2는 상기 제1단면의 상 측면의 곡률 반지름이다)
  8. 제7항에 있어서,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를 포함하는 촬상 광학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기 왜상렌즈인 촬상 광학계.
  10. 제7항에 있어서,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를 포함하는 촬상 광학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 및 상기 제4렌즈는 상기 왜상렌즈인 촬상 광학계.
  12. 제7항에 있어서,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제5렌즈를 포함하는 촬상 광학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4렌즈는 상기 왜상렌즈인 촬상 광학계.
  14. 제13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0.6 < (R10-R11x)/(R10-R11y) < 1.2
    (상기 조건식에서 R10은 상기 제3렌즈의 상 측면의 곡률 반지름이고, R11x는 상기 제4렌즈의 제1단면에 따른 물체 측면의 곡률 반지름이고, R11y는 상기 제4렌즈의 제2단면에 따른 물체 측면의 곡률 반지름이다)
  15. 제7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0 < |(fx-fy)/f| < 0.005
    (상기 조건식에서 fx는 상기 왜상렌즈의 상기 제1단면의 곡률 반지름에 기반하여 산출된 상기 왜상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y는 상기 왜상렌즈의 상기 제2단면의 곡률 반지름에 기반하여 산출된 상기 왜상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는 촬상 광학계의 초점거리이다)
  16. 삭제
KR1020200184433A 2020-12-28 2020-12-28 렌즈 및 촬상 광학계 KR102536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433A KR102536605B1 (ko) 2020-12-28 2020-12-28 렌즈 및 촬상 광학계
US17/213,762 US11927731B2 (en) 2020-12-28 2021-03-26 Lens and optical imaging system
TW112107054A TWI823787B (zh) 2020-12-28 2021-04-07 光學成像系統
TW111126302A TWI798133B (zh) 2020-12-28 2021-04-07 透鏡以及光學成像系統
TW110112507A TWI774309B (zh) 2020-12-28 2021-04-07 透鏡以及光學成像系統
CN202121723890.0U CN216052398U (zh) 2020-12-28 2021-07-27 透镜和光学成像系统
CN202110851855.5A CN114690373A (zh) 2020-12-28 2021-07-27 透镜和光学成像系统
KR1020230056387A KR20230062529A (ko) 2020-12-28 2023-04-28 렌즈 및 촬상 광학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433A KR102536605B1 (ko) 2020-12-28 2020-12-28 렌즈 및 촬상 광학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6387A Division KR20230062529A (ko) 2020-12-28 2023-04-28 렌즈 및 촬상 광학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576A KR20220093576A (ko) 2022-07-05
KR102536605B1 true KR102536605B1 (ko) 2023-05-26

Family

ID=806181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433A KR102536605B1 (ko) 2020-12-28 2020-12-28 렌즈 및 촬상 광학계
KR1020230056387A KR20230062529A (ko) 2020-12-28 2023-04-28 렌즈 및 촬상 광학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6387A KR20230062529A (ko) 2020-12-28 2023-04-28 렌즈 및 촬상 광학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27731B2 (ko)
KR (2) KR102536605B1 (ko)
CN (2) CN114690373A (ko)
TW (3) TWI7743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605B1 (ko) * 2020-12-28 2023-05-26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및 촬상 광학계
TWI763290B (zh) 2021-02-01 2022-05-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攝像光學鏡片系統、取像裝置及電子裝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7407A (ja) 1998-11-12 2000-05-26 Ricoh Co Ltd 走査結像レンズおよび光走査装置
JP2007328030A (ja) * 2006-06-06 2007-12-2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撮像装置、光学装置及びレンズ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9897B2 (ja) * 1986-07-08 1995-12-20 株式会社リコー 光走査装置
US5282088A (en) * 1992-10-19 1994-01-25 Mark Davidson Aplanatic microlens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3486508B2 (ja) * 1996-09-10 2004-01-13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光学装置
JP3769373B2 (ja) * 1997-11-19 2006-04-26 フジノン株式会社 明るい広角レンズ
JP2000206312A (ja) * 1998-11-12 2000-07-28 Olympus Optical Co Ltd 光学素子
JP2002221606A (ja) * 2001-01-24 2002-08-09 Sony Corp 光学レンズとその製造方法、光学レンズアレイの製造方法、フォーカスエラー信号生成方法および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
FR2827680B1 (fr) * 2001-07-20 2003-10-10 Immervision Internat Pte Ltd Procede de capture d'une image panoramique au moyen d'un capteur d'image de forme rectangulaire
US7085066B2 (en) * 2004-08-20 2006-08-01 Panavision International, L.P. Anamorphic imaging system
US7616877B2 (en) 2004-08-25 2009-11-10 Panavision Imaging,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lens, and camera module incorporating same
JP5031303B2 (ja) * 2006-09-11 2012-09-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4748220B2 (ja) * 2006-11-22 2011-08-17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超広角レンズ
JP4669539B2 (ja) * 2008-10-01 2011-04-13 株式会社トプコン 撮像装置、車載カメラ及び監視カメラ
JP5821968B2 (ja) 2011-10-31 2015-11-2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変倍光学系
US10067314B2 (en) 2016-01-21 2018-09-0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Lens system and camera system including the lens system
EP3461284A4 (en) * 2017-07-07 2019-07-03 Corephotonics Ltd. PRISM DESIGN OF FOLDED CAMERA FOR PREVENTING PARASITE LIGHT
US10809491B2 (en) * 2018-08-22 2020-10-2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optical imaging system, and lens assembly
CN109445072A (zh) * 2018-12-26 2019-03-08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摄像镜头组
CN109541783B (zh) * 2019-01-07 2024-04-19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摄像镜头
CN109459840A (zh) * 2019-01-11 2019-03-12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成像镜头
CN110764232A (zh) * 2019-11-29 2020-02-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光学镜头和电子装置
KR102536605B1 (ko) * 2020-12-28 2023-05-26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및 촬상 광학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7407A (ja) 1998-11-12 2000-05-26 Ricoh Co Ltd 走査結像レンズおよび光走査装置
JP2007328030A (ja) * 2006-06-06 2007-12-2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撮像装置、光学装置及びレン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690373A (zh) 2022-07-01
TWI823787B (zh) 2023-11-21
TWI774309B (zh) 2022-08-11
TW202323920A (zh) 2023-06-16
US20220206274A1 (en) 2022-06-30
TW202229965A (zh) 2022-08-01
CN216052398U (zh) 2022-03-15
KR20220093576A (ko) 2022-07-05
KR20230062529A (ko) 2023-05-09
TW202242478A (zh) 2022-11-01
TWI798133B (zh) 2023-04-01
US11927731B2 (en) 202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4717B2 (en) Lens module
KR102009431B1 (ko) 촬상 광학계
KR102526441B1 (ko) 촬상 광학계
KR102418603B1 (ko) 촬상 광학계
KR20230062529A (ko) 렌즈 및 촬상 광학계
KR20230004415A (ko) 촬상 광학계
KR102544194B1 (ko) 촬상 광학계
KR102435997B1 (ko) 촬상 광학계,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2409108B1 (ko) 촬상 광학계
KR102246993B1 (ko) 촬상 광학계
KR101973455B1 (ko) 촬상 광학계
KR20230079325A (ko) 촬상 광학계
KR20230071109A (ko) 촬상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2375928B1 (ko) 촬상 광학계
KR20220062464A (ko) 촬상 광학계
KR102126411B1 (ko) 촬상 광학계
KR20230049403A (ko) 촬상 광학계
KR20220115259A (ko) 촬상 광학계
KR102535291B1 (ko) 촬상 광학계
KR102479779B1 (ko) 촬상 광학계
KR102126412B1 (ko) 촬상 광학계
KR20200071715A (ko) 촬상 광학계
KR20220138778A (ko) 촬상 광학계
KR20230088319A (ko) 촬상 광학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