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531B1 - 팥의 풍미, 건조 효율 및 내부 영양소 보존율을 향상 가능한 팥죽 베이스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팥의 풍미, 건조 효율 및 내부 영양소 보존율을 향상 가능한 팥죽 베이스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531B1
KR102536531B1 KR1020230046665A KR20230046665A KR102536531B1 KR 102536531 B1 KR102536531 B1 KR 102536531B1 KR 1020230046665 A KR1020230046665 A KR 1020230046665A KR 20230046665 A KR20230046665 A KR 20230046665A KR 102536531 B1 KR102536531 B1 KR 102536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red bean
bean porridge
stirring
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6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3569A (ko
Inventor
오숙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담꽃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담꽃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담꽃
Publication of KR20230053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3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using irradiation or electrical treatment, e.g. ult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4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free-flowing powder or instant powder, i.e. powder which is reconstituted rapidly when liquid is add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8Multiple-step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Toxicology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팥죽 분말 제조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팥을 세정하는 세정 유닛, 세정된 팥을 물과 함께 가열하여 팥죽 베이스를 조리하는 조리 유닛,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팥죽 베이스를 건조하는 건조 유닛, 및 건조된 팥죽 베이스를 분쇄하여 팥죽 분말을 생성하는 분쇄 유닛을 포함하는 팥죽 분말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팥의 풍미, 건조 효율 및 내부 영양소 보존율을 향상 가능한 팥죽 베이스 건조 장치{APPARATUS FOR DRYING RED BEAN PORRIDGE BASE THAT CAN IMPROVE RED BEAN FLAVOR, DRYING EFFICIENCY AND INTERNAL NUTRIENT PRESERVATION RATE}
본 발명은 팥죽 분말 제조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팥죽은 팥을 삶아 거른 팥물에 쌀 따위를 넣고 끓인 한국의 전통 음식으로서 팥이 갖는 고유의 풍미를 오롯이 느낄 수 있어 팥죽을 즐겨 찾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팥죽은 그 조리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므로 이를 쉽게 요리해 먹기 어렵다.
한편,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식품을 가열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으며, 이는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가 식품에 흡수되어 전기장의 방향을 빠른 속도로 바꾸어 주면 식품 내 물 분자가 빠른 속도로 회전 운동하게 되고, 해당 물분자가 주위의 또 다른 물 분자와 충돌 시 운동에너지가 주위의 물 분자로 전달됨으로써 열이 발생하게 되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해 효과적으로 증숙(蒸熟)된 팥을 효율적으로 건조시켜 분쇄함으로써, 팥의 풍미를 충분히 느낄 수 있으면서도 간편하게 조리해 섭취 가능한 팥죽 분말의 제조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710904호 (2007.04.27. 공고)
본 발명은 팥 풍미의 향상을 위해 건조 시간을 단축 가능하도록 팥을 증숙하고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증숙된 팥을 효율적으로 건조한 후 이를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팥죽 분말 제조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팥을 세정하는 세정 유닛, 세정된 팥을 물과 함께 가열하여 팥죽 베이스를 조리하는 조리 유닛,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팥죽 베이스를 건조하는 건조 유닛, 및 건조된 팥죽 베이스를 분쇄하여 팥죽 분말을 생성하는 분쇄 유닛을 포함하는 팥죽 분말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건조 유닛은,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건조 챔버, 케이스에 결합되어 건조 챔버의 내부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조사 유닛, 건조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팥죽 베이스를 담고, 팥죽 베이스에 마이크로웨이브가 균일하게 조사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건조 용기, 건조 용기의 회전에 따라 팥죽 베이스를 교반 가능하도록 건조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교반 유닛, 및 케이스와 건조 챔버 내부의 온도 및 압력을 조정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교반 유닛은, 건조 용기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교반축, 건조 용기의 내부에 위치되어 팥죽 베이스를 교반하는 교반판, 및 교반판이 건조 용기의 내부에 위치 가능하도록 교반판을 교반축에 지지하는 교반암을 포함할 수 있다.
교반암은 교반판이 건조 용기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교반축과 교반축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교반축의 외주면에는 경사 구조를 갖는 레일홀이 형성되고, 교반암은 레일홀을 따라 회전하면서 하강하여 교반판을 건조 용기의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레일홀은, 교반암이 건조 용기의 외측에서 수평 이동하도록 교반축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구간, 및 교반암이 건조 용기의 내측에서 건조 용기의 내부로 하강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교반축은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교반암은,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 및 로터와 결합되어 교반판을 교반축에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에는 로터의 상부에 배치되어 로터를 교반축 길이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가압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건조 유닛은, 건조 용기의 상단에 배치되고 팥죽 베이스가 건조됨에 따라 발생되는 수증기를 건조 용기의 외부로 배출 가능한 배출홀을 구비하는 건조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팥을 세정하는 단계, 세정된 팥을 물과 함께 가열하여 팥죽 베이스를 조리하는 단계,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팥죽 베이스를 건조하는 단계, 및 건조된 팥죽 베이스를 분쇄하여 팥죽 분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팥을 세정하는 단계는, 팥을 물과 함께 90도 이상에서 5 내지 10분간 가열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및 불순물이 혼입된 물을 버리는 단계를 포함하고, 팥죽 베이스를 조리하는 단계는, 세정된 팥을 물을 첨가하고 물이 첨가된 팥을 가열하여 1차로 익히는 단계, 1차로 익혀진 팥에 물을 추가하고 물이 추가된 팥을 가열하여 2차로 익히는 단계, 2차로 익혀진 팥을 뜸들이는 단계, 및 익혀진 팥을 양념하여 조리는 단계를 포함하고, 1차로 익히는 단계는, 세정 전 팥의 100 중량부 기준 250 내지 260 중량부의 물을 세정된 팥에 첨가하고 물이 첨가된 팥을 90도 이상에서 25 내지 35분간 가열하고, 2차로 익히는 단계는, 세정 전 팥의 100 중량부 기준 55 내지 60 중량부의 물을 1차로 익혀진 팥에 추가하고 물이 추가된 팥을 85 내지 90도에서 25 내지 35분간 가열하고, 팥을 뜸들이는 단계는, 2차로 익혀진 팥을 10 내지 15분동안 방치하여 뜸들이고, 팥을 양념하여 조리는 단계는, 세정 전 팥의 100 중량부 기준 12 내지 17 중량부의 물을 양념된 팥에 넣고 물을 넣은 팥을 85 내지 95도에서 15 내지 20분간 고온 가열하는 단계, 및 고온 가열된 팥을 가압 상태에서 85도 이하의 온도에서 저온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팥죽 분말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 시간을 단축 가능하도록 팥을 증숙하고 증숙된 팥을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건조한 후 이를 분쇄함으로써 팥의 풍미가 향상된 팥죽 분말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팥죽 분말 제조 장치의 건조 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암이 레일홀을 따라 이동됨에 따른 교반판의 위치 변동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팥죽 분말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팥죽 분말 제조 방법을 나타낸 세부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a)팥죽 베이스, (b)건조된 팥죽 베이스, 및 (c)분쇄된 팥죽 베이스를 나타낸 사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팥죽 분말 제조 방법 및 그 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팥죽 분말 제조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팥을 세정하는 세정 유닛, 세정된 팥을 물과 함께 가열하여 팥죽 베이스(10)를 조리하는 조리 유닛,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팥죽 베이스(10)를 건조하는 건조 유닛(100), 및 건조된 팥죽 베이스(10)를 분쇄하여 팥죽 분말을 생성하는 분쇄 유닛을 포함하는 팥죽 분말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 시간을 단축 가능하도록 팥을 증숙하고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증숙된 팥을 효율적으로 건조한 후 이를 분쇄하여 팥의 풍미가 향상된 팥죽 분말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팥죽 분말 제조 장치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세정 유닛은 팥을 물과 함께 가열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불순물이 혼입된 물을 버릴수 있다.
조리 유닛은 세정된 팥을 물을 첨가하고 물이 첨가된 팥을 가열하여 1차로 익히고, 1차로 익혀진 팥에 물을 추가하고 물이 추가된 팥을 가열하여 2차로 익히며, 2차로 익혀진 팥을 뜸들이고, 뜸들인 팥을 양념하여 조릴 수 있다.
건조 유닛(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건조 챔버(120), 케이스(110)에 결합되어 건조 챔버(120)의 내부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조사 유닛(140), 건조 챔버(120)의 내부에 배치되어 팥죽 베이스(10)를 담고, 팥죽 베이스(10)에 마이크로웨이브가 균일하게 조사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건조 용기(160), 건조 용기(160)의 회전에 따라 팥죽 베이스(10)를 교반 가능하도록 건조 챔버(120)의 내부에 배치되는 교반 유닛(180), 및 케이스(110)와 건조 챔버(120) 내부의 온도 및 압력을 조정하는 컨트롤러(19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해 식품을 가열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로웨이브가 식품에 흡수되어 전기장의 방향을 빠른 속도로 바꾸어 주면 식품 내 물 분자가 빠른 속도로 회전 운동하게 되고 해당 물 분자가 주위의 또 다른 물 분자와 충돌 시 운동에너지가 주위의 물 분자로 전달되어 열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해 식품을 내부에서 가열하여 건조함으로써, 건조 열효율이 향상되고 건조 시간이 단축되며 이와 더불어 내부 영양소의 보존율이 향상될 수 있다.
건조 유닛(100)의 건조 챔버(120) 내부에 배치된 건조 용기(160)에 팥죽 베이스(10)를 담고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건조함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건조 열효율의 향상, 건조 시간의 단축 및 내부 영양소 보존율 상승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마이크로웨이브는 2.45GHz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고, 또한 그 출력은 1.5kW일 수 있다. 2.45GHz 주파수의 마이크로파는 저렴하고 통신용으로 쓰이지 않는 범위의 주파수이며 전세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건조 용기(160)는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건조 용기(160)가 회전함에 따라 건조 용기(160) 내에 담긴 팥죽 베이스(10)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마이크로웨이브를 흡수하여 건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건조 용기(1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하도록 제1 모터(166)와 결합될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건조에 더해 케이스(110)와 건조 챔버(120) 내부의 온도 및 압력을 컨트롤러(190)를 통하여 조정 및 유지함으로써 건조 효율을 보다 상승시킬 수 있다.
특히, 교반 유닛(180)이 건조 용기(160)가 회전됨에 따라 팥죽 베이스(10)를 고루 교반하게 되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팥죽 베이스(10) 전체를 건조할 수 있게 된다.
케이스(110) 및 건조 챔버(120)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반사 가능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10) 및 건조 챔버(120)는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과 금속의 접촉에 의한 마찰 부위, 특히 금속의 뾰족한 모서리나 꼭짓점과 같은 부분에는 전자기파의 집중도가 커져 스파크나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케이스(110) 및 케이스(110) 내부에 배치되는 각 구성들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금속과 금속의 접촉에 의한 마찰 부위 내지 뾰족한 모서리 등이 생기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 및 건조 챔버(120) 각각은 팥죽 베이스(10)를 건조 챔버(120) 내에 배치 가능하도록 투입부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각 투입부는 팥죽 베이스(10)의 용이한 투입을 위하여 대향 배치될 수 있다.
투입부는 팥죽 베이스(10)의 건조 상황을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윈도우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윈도우는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투명 재질은 유리 및/또는 플라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윈도우에는 마이크로웨이브의 외부 방출을 방지 가능하도록, 마이크로웨이브를 반사 가능한 반사 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반사 부재는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건조 챔버(120)의 외주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챔버(120) 내에서 팥죽 베이스(10)가 건조됨에 따라 발생되는 수증기를 외부로 방출 가능한 배출공(1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수증기의 배출율을 높이기 위해 배출공(122)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공(122)을 통해 건조 챔버(120)로부터 배출된 수증기는 케이스(110)와 건조 챔버(120) 간 공간에 위치하게 되고, 이 경우 수증기를 케이스(110) 내주면에서 응결시켜 수증기의 건조 챔버(120)로의 재유입을 방지하도록 케이스(110)에 냉각 유닛(112)이 결합될 수 있으며, 이 때 냉각 유닛(112)은 공냉식 내지 수냉식일 수 있다.
이에 더해 케이스(110)는 내주면에 응결된 수증기를 외부로 배수 가능한 배수구를 구비할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조사 유닛(140)은 2.45GHz 주파수 및 1.5kW 출력의 마이크로웨이브를 2 내지 5시간 동안 조사할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조사 유닛(1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챔버(120) 내부로의 충분한 마이크로웨이브 조사가 가능하도록 건조 챔버(120)의 체적에 비례하여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조사 유닛(140)은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magnetron),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된 마이크로웨이브를 건조 챔버(120) 측으로 유도 가능한 웨이브 가이드 및 웨이브 가이드에 의해 유도된 마이크로웨이브를 건조 챔버(120) 내로 조사 가능한 조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라, 건조 챔버(120) 내에는 회전 가능한 회전축(124)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건조 용기(160)는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축(124)과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라, 건조 용기(160)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건조 용기(160)는 적층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교반 유닛(18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하도록 제2 모터(186)와 결합될 수 있다.
교반 유닛(18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용기(160)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교반축(181), 건조 용기(160)의 내부에 위치되어 팥죽 베이스(10)를 교반하는 교반판(184), 및 교반판(184)이 건조 용기(160)의 내부에 위치 가능하도록 교반판(184)을 교반축(181)에 지지하는 교반암(18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반판(184)은 교반암(183)에 의해 교반축(181)에 지지되어 건조 용기(160)의 내부에 되어 건조 용기(160)가 회전함에 따라 건조 용기(160)에 담긴 팥죽 베이스(10)를 교반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교반판(184)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시 팥죽 베이스(10)가 통과 가능한 교반홀(185)이 형성될 수 있고, 교반홀(185)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팥죽 베이스(10)는 일방향으로 밀리지 않고 교반판(184)에 의해 교반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교반판(184)은 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유연하게 팥죽 베이스(10)를 교반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라, 교반암(183) 및 교반판(184)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이 때 건조 용기(160)가 복수로 형성되어 적층 구조로 배치되는 경우에 있어, 각 건조 용기(160)는 교반암(183)과 교반판(184)이 배치 가능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라, 복수의 건조 용기(160)는 후술할 것과 같이 교반암(183)의 회전에 따라 변경되는 높이의 범위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반암(183)의 회전 이동 시 복수의 건조 용기(160)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교반암(18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판(184)이 건조 용기(16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교반축(181)과 교반축(181)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팥죽 베이스(10)를 건조시킬 경우 교반암(183)이 회전해 교반판(184)을 건조 용기(160) 내부에 위치시켜 교반판(184)이 팥죽 베이스(10)를 교반할 수 있고, 팥죽 베이스(10)를 투입하거나 건조된 팥죽 베이스(10)를 반출하는 경우에는 교반암(183)이 다시 회전해 교반판(184)을 건조 용기(160) 외부에 배치시켜 건조된 팥죽 베이스(10)를 용이하게 투입 내지 반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라, 교반축(181)의 외주면에는 경사 구조를 갖는 레일홀(182)이 형성되고, 교반암(183)은 레일홀(182)을 따라 회전하면서 하강하여 교반판(184)을 건조 용기(160)의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즉 교반축(18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레일홀(182)은 교반암(183)의 회전 경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레일홀(182)이 경사 구조를 가짐으로써 교반암(183)은 레일홀(182)을 따라 하강하게 되어 교반판(184)을 건조 용기(160)의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레일홀(18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암(183)이 건조 용기(160)의 외측에서 수평 이동하도록 교반축(181)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구간(182(a)), 및 교반암(183)이 건조 용기(160)의 내측에서 건조 용기(160)의 내부로 하강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1) 내지 (a3)에 도시된 것처럼 레일홀(182)의 제1 구간(182(a))에서는 교반암(183)이 건조 용기(160) 외측에서 수평 이동 가능하고 이에 따라 교반암(183)이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으며, 레일홀(182)의 제2 구간(182(b))에서는, 도 2(b1) 내지 (b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교반암(183)이 건조 용기(160)의 내측에서 하향 이동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라, 교반축(181)은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교반암(183)은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183(a)), 및 로터(183(a))와 결합되어 교반판(184)을 교반축(181)에 지지하는 지지대(183(b))를 포함할 수 있다.
교반축(181)의 관통홀에 배치되는 로터(183(a))는 교반축(181)의 내주를 따라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지지대(183(b))가 로터(183(a))와 함께 회전하면서 레일홀(182)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라, 관통홀에는 로터(183(a))의 상부에 배치되어 로터(183(a))를 교반축(181) 길이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가압 유닛(187)이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일홀(182)은 하향 경사 구조를 가지는 바 레일홀(182)을 따라 이동하는 지지대(183(b))에 의해 로터(183(a))는 상하 이동하게 되므로, 이러한 로터(183(a)) 상부에 가압 유닛(187)이 배치되어 로터(183(a))가 탄성적으로 상하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가압 유닛(187)은 로터(183(a))를 하향 가압하게 되므로, 교반판(184)이 건조 용기(160)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교반암(183)이 안정으로 하향 지지될 수 있고, 교반암(183)이 제1 구간(182(a))에 위치되는 경우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건조 유닛(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용기(160)의 상단에 배치되고 팥죽 베이스(10)가 건조됨에 따라 발생되는 수증기를 건조 용기(160)의 외부로 배출 가능한 배출홀(189)을 구비하는 건조 커버(18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출홀(189)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건조 커버(188)는 마이크로웨이브가 통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건조 용기(160)는 교반판(184)이 통과 가능하도록 교반판(184)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통과홀을 구비할 수 있다.
컨트롤러(190)는 케이스(110) 및 건조 챔버(120) 내부의 온도 및 압력을 각각 상기 온도는 35 내지 45도 및 0.05 내지 0.50bar으로 조정 및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0.05 내지 0.50bar의 압력 상태는 다시 말해 진공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팥죽 분말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팥을 세정하는 단계(S120), 세정된 팥을 물과 함께 가열하여 팥죽 베이스를 조리하는 단계(S140),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팥죽 베이스를 건조하는 단계(S160), 및 건조된 팥죽 베이스를 분쇄하여 팥죽 분말을 생성하는 단계(S180)를 포함하는 팥죽 분말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 시간을 단축 가능하도록 팥을 증숙하고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증숙된 팥을 효율적으로 건조하며 이를 분쇄하여 팥의 풍미가 향상된 팥죽 분말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팥죽 분말 제조 방법의 각 단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팥을 세정하는 단계(S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팥을 물과 함께 가열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S122), 및 불순물이 혼입된 물을 버리는 단계(S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팥에 포함될 수 있는 불순물을 제거 가능함과 더불어 팥을 본격적으로 익히기 전에 초벌로서 익히는 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S122)는 팥을 물과 함께 90도 이상에서 5 내지 10분간 가열할 수 있다.
팥죽 베이스를 조리하는 단계(S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된 팥을 물을 첨가하고 물이 첨가된 팥을 가열하여 1차로 익히는 단계(S142), 1차로 익혀진 팥에 물을 추가하고 물이 추가된 팥을 가열하여 2차로 익히는 단계(S144), 2차로 익혀진 팥을 뜸들이는 단계(S146), 및 뜸들인 팥을 양념하여 조리는 단계(S148)를 포함할 수 있다.
팥죽 베이스를 조리하는 단계(S140)에서는 다단계에 걸쳐 팥을 익히므로 팥을 충분히 익힐 수 있고,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팥을 익히는 과정에 첨가되는 물의 양을 기존 대비 감소시킴으로써 이후 건조 과정에서의 건조 시간을 단축하고 이에 따라 팥의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1차로 익히는 단계(S142)는 세정 전 팥의 100 중량부 기준 250 내지 260 중량부의 물을 세정된 팥에 첨가하고 물이 첨가된 팥을 90도 이상에서 25 내지 35분간 가열할 수 있다.
또한, 2차로 익히는 단계(S144)는 세정 전 팥의 100 중량부 기준 55 내지 60 중량부의 물을 1차로 익혀진 팥에 추가하고 물이 추가된 팥을 85 내지 90도에서 25 내지 35분간 가열할 수 있다.
팥을 뜸들이는 단계(S146)는 2차로 익혀진 팥을 10 내지 15분동안 방치하여 뜸들일 수 있다.
팥을 양념하여 조리는 단계(S14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뜸들인 팥에 설탕 및 소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양념을 첨가하는 단계, 및 양념된 팥을 물과 함께 가열하여 조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팥을 물과 함께 가열하여 조리는 단계는, 세정 전 팥의 100 중량부 기준 12 내지 17 중량부의 물을 양념된 팥에 첨가하고 물을 넣은 팥을 85 내지 95도에서 15 내지 20분간 고온 가열하는 단계, 및 고온 가열된 팥을 가압 상태에서 85도 이하의 온도에서 저온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팥을 충분히 익히는 동시에 팥에 양념이 잘 배도록 할 수 있다.
팥죽 베이스를 건조하는 단계(S160)는 건조 유닛에 팥죽 베이스를 배치하는 단계(S162), 및 팥죽 베이스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는 단계(S164), 및 팥죽 베이스를 교반하는 단계(S166)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 유닛(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건조 챔버(120), 케이스(110)에 결합되어 건조 챔버(120)의 내부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조사 유닛(140), 건조 챔버(120)의 내부에 배치되어 팥죽 베이스(10)를 담고, 팥죽 베이스(10)에 마이크로웨이브가 균일하게 조사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건조 용기(160), 건조 용기(160)의 회전에 따라 팥죽 베이스(10)를 교반 가능하도록 건조 챔버(120)의 내부에 배치되는 교반 유닛(180), 및 케이스(110)와 건조 챔버(120) 내부의 온도 및 압력을 조정하는 컨트롤러(190)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 용기(1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하도록 제1 모터(166)와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110) 및 건조 챔버(120)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반사 가능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10) 및 건조 챔버(120)는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스(110) 및 케이스(110) 내부에 배치되는 각 구성들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금속과 금속의 접촉에 의한 마찰 부위 내지 뾰족한 모서리 등이 생기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 및 건조 챔버(120) 각각은 팥죽 베이스(10)를 건조 챔버(120) 내에 배치 가능하도록 투입부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각 투입부는 팥죽 베이스(10)의 용이한 투입을 위하여 대향 배치될 수 있다.
투입부는 팥죽 베이스(10)의 건조 상황을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윈도우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윈도우는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투명 재질은 유리 및/또는 플라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윈도우에는 마이크로웨이브의 외부 방출을 방지 가능하도록, 마이크로웨이브를 반사 가능한 반사 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반사 부재는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건조 챔버(120)의 외주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챔버(120) 내에서 팥죽 베이스(10)가 건조됨에 따라 발생되는 수증기를 외부로 방출 가능한 배출공(1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수증기의 배출율을 높이기 위해 배출공(122)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수증기를 케이스(110) 내주면에서 응결시켜 수증기의 건조 챔버(120)로의 재유입을 방지하도록 케이스(110)에 냉각 유닛(112)이 결합될 수 있으며, 이 때 냉각 유닛(112)은 공냉식 내지 수냉식일 수 있다.
이에 더해 케이스(110)는 내주면에 응결된 수증기를 외부로 배수 가능한 배수구를 구비할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조사 유닛(140)은 2.45GHz 주파수 및 1.5kW 출력의 마이크로웨이브를 2 내지 5시간 동안 조사할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조사 유닛(1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챔버(120) 내부로의 충분한 마이크로웨이브 조사가 가능하도록 건조 챔버(120)의 체적에 비례하여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조사 유닛(140)은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Magnetron),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된 마이크로웨이브를 건조 챔버(120) 측으로 유도 가능한 웨이브 가이드 및 웨이브 가이드에 의해 유도된 마이크로웨이브를 건조 챔버(120) 내로 조사 가능한 조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라, 건조 챔버(120) 내에는 회전 가능한 회전축(124)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건조 용기(160)는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축(124)과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라, 건조 용기(160)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건조 용기(160)는 적층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교반 유닛(18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하도록 제2 모터(186)와 결합될 수 있다.
교반 유닛(18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용기(160)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교반축(181), 건조 용기(160)의 내부에 위치되어 팥죽 베이스(10)를 교반하는 교반판(184), 및 교반판(184)이 건조 용기(160)의 내부에 위치 가능하도록 교반판(184)을 교반축(181)에 지지하는 교반암(18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교반판(184)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시 팥죽 베이스(10)가 통과 가능한 교반홀(185)이 형성될 수 있고, 교반홀(185)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교반판(184)은 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유연하게 팥죽 베이스(10)를 교반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라, 교반암(183) 및 교반판(184)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이 때 건조 용기(160)가 복수로 형성되어 적층 구조로 배치되는 경우에 있어, 각 건조 용기(160)는 교반암(183)과 교반판(184)이 배치 가능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라, 복수의 건조 용기(160)는 교반암(183)의 회전에 따라 변경되는 높이의 범위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교반암(18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판(184)이 건조 용기(16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교반축(181)과 교반축(181)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라, 교반축(181)의 외주면에는 경사 구조를 갖는 레일홀(182)이 형성되고, 교반암(183)은 레일홀(182)을 따라 회전하면서 하강하여 교반판(184)을 건조 용기(160)의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레일홀(18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암(183)이 건조 용기(160)의 외측에서 수평 이동하도록 교반축(181)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구간(182(a)), 및 교반암(183)이 건조 용기(160)의 내측에서 건조 용기(160)의 내부로 하강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라, 교반축(181)은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교반암(183)은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183(a)), 및 로터(183(a))와 결합되어 교반판(184)을 교반축(181)에 지지하는 지지대(183(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라, 관통홀에는 로터(183(a))의 상부에 배치되어 로터(183(a))를 교반축(181) 길이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가압 유닛(187)이 배치될 수 있다.
건조 유닛(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용기(160)의 상단에 배치되고 팥죽 베이스가 건조됨에 따라 발생되는 수증기를 건조 용기(160)의 외부로 배출 가능한 배출홀(189)을 구비하는 건조 커버(18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출홀(189)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건조 커버(188)는 마이크로웨이브가 통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건조 용기(160)는 교반판(184)이 통과 가능하도록 교반판(184)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통과홀을 구비할 수 있다.
컨트롤러(190)는 케이스(110) 및 건조 챔버(120) 내부의 온도 및 압력을 각각 상기 온도는 35 내지 45도 및 0.05 내지 0.50bar의 진공 상태로 조정 및 유지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도록 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시험 건조 결과
- 팥죽 베이스 28.7kg을 약 40도의 온도에서 2시간 7분(압력 조절 시간 포함)동안 상술한 건조 유닛에서 건조한 결과, 8.6kg의 건조된 팥죽 베이스를 수득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팥죽 베이스의 건조 전의 함수량은 70% 정도였으며, 건조를 진행한 후 함수율은 3%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시험 건조 결과에 알 수 있듯, 본원발명이 시간 대비 우수한 건조 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2) 타 건조 방법과의 비교 내용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동결 진공 건조(비교예 1) 및 열풍 건조(비교예 2)와 건조 시간, 살균 여부, 적용 가능 제품, 영양소와 향 보존, 및 소비 전력의 측면에서 비교하여 보았다. 그 결과를 정리하여 보면 다음의 표와 같다.
실시예
(microwave 건조)
비교예 1
(동결 진공 건조)
비교예 2
(열풍 건조)
건조 시간 2~4시간 12~72시간 이상 8~72시간 이상
살균 여부 O X 일부
적용 가능 제품 모든 제품 난동결 제품 한정 열 민감 제품 제외
양양소 보존 보존 보존 파괴
향 보존 보존 일부 보존 보존 안됨
소비 전력 1.5kWh/kg 이하 10kWh/kg 이하 2.5kWh/kg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비교예 1 및 2의 타 건조 방법과 비교한 결과, 낮은 건조 시간, 살균 가부, 적용 가능 제품의 다양성, 영양소 및 향의 보존율, 및 낮은 비 전력 등 건조 방법과 관련한 주요 항목들에 대한 결과치에서 월등하거나 우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3) 관능 검사 결과
본원발명을 통해 제조한 팥죽 분말(실시예, 도 5의 사진 참조)을 동결 진공 건조(비교예 1) 및 열풍 건조(비교예 2) 방법으로 건조하여 제조한 팥죽 분말(건조에 이용된 팥죽 베이스는 동일)과 색, 맛, 향, 점성, 및 전반적 기호도 측면에서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검사는 육안 검사와 시식하는 방식으로 행해졌고, 20명의 인원이 참여하여 육안 검사 및 시식 후 설문한 결과를 통계로 평가하였다. 7점을 최고점으로, 1점을 최하점으로 하여 평가했으며, 그 결과를 정리하여 보면 다음의 표와 같다.
실시예
(microwave 건조)
비교예 1
(동결 진공 건조)
비교예 2
(열풍 건조)
6 3 5
6 4 4
6 3 3
점성 4 4 4
전반적 기호도 6 3 4
상기 결과 표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을 통해 제조한 팥죽 분말이 비교예 1 및 2와 비교하여 모든 항목에 있어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특히 맛, 향 및 전반적 기호도에서 높은 우위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토대로 판단하여 볼 때 본원발명을 통해 팥 풍미가 향상된 팥죽 분말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팥죽 베이스
100: 건조 유닛
110: 케이스
112: 냉각 유닛
120: 건조 챔버
122: 배출공
124: 회전축
140: 마이크로웨이브 조사 유닛
160: 건조 용기
166: 제1 모터
180: 교반 유닛
181: 교반축
182: 레일홀
182(a): 제1 구간
182(b): 제2 구간
183: 교반암
183(a): 로터
183(b): 지지대
184: 교반판
185: 교반홀
186: 제2 모터
187: 가압 유닛
188: 건조 커버
189: 배출홀
190: 컨트롤러

Claims (1)

  1. 팥죽 분말로 분쇄하기 위해, 팥을 물과 함께 가열하여 조리한 팥죽 베이스를 건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건조 챔버;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건조 챔버의 내부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조사 유닛;
    상기 건조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팥죽 베이스를 담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건조 용기; 및
    상기 건조 용기의 회전에 따라 상기 팥죽 베이스를 교반 가능하도록 상기 건조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교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교반 유닛은,
    상기 건조 용기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교반축;
    상기 건조 용기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팥죽 베이스를 교반하는 교반판; 및
    상기 교반판을 상기 교반축에 지지하는 교반암을 포함하고,
    상기 교반암은,
    상기 교반판이 상기 건조 용기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교반축과 상기 교반축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팥죽 베이스 건조 장치.
KR1020230046665A 2020-09-14 2023-04-10 팥의 풍미, 건조 효율 및 내부 영양소 보존율을 향상 가능한 팥죽 베이스 건조 장치 KR1025365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17342 2020-09-14
KR1020200117342 2020-09-14
KR1020200165474A KR102521330B1 (ko) 2020-09-14 2020-12-01 팥죽 분말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474A Division KR102521330B1 (ko) 2020-09-14 2020-12-01 팥죽 분말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569A KR20230053569A (ko) 2023-04-21
KR102536531B1 true KR102536531B1 (ko) 2023-05-30

Family

ID=809889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474A KR102521330B1 (ko) 2020-09-14 2020-12-01 팥죽 분말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30046665A KR102536531B1 (ko) 2020-09-14 2023-04-10 팥의 풍미, 건조 효율 및 내부 영양소 보존율을 향상 가능한 팥죽 베이스 건조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474A KR102521330B1 (ko) 2020-09-14 2020-12-01 팥죽 분말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21330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435A (ko) * 2000-03-15 2000-08-05 현윤 바로 팥죽
KR100607443B1 (ko) * 2004-04-23 2006-08-08 주식회사 엠스타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건조장치
KR100710904B1 (ko) 2005-12-09 2007-04-27 씨제이 주식회사 쓴맛을 제거한 팥죽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팥죽만들기, 팥??는방법부터 동지팥죽만들기까지 간단하네요~, 2019. 12. 20. 게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1330B1 (ko) 2023-04-13
KR20220035816A (ko) 2022-03-22
KR20230053569A (ko) 202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8456C (zh) 感应加热器
US9125428B2 (en) Retort sterilization device, heating device, heat sterilization method and heat treatment method
US371668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king
EP1351595B1 (en) Appliance and method for cooking food articles
US20170010005A1 (en) Heating cooking device and heating cooking method using superheated vapor
US3920944A (en) Method of cooking food employing both microwave and heat energy
US1095957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oasting coffee beans
CN101903705A (zh) 炊具
WO2012021347A1 (en) Microwave oven for roasting low-moisture foods
JP4620732B2 (ja) 過熱蒸気発生装置、過熱蒸気を用いた食品製造方法および加熱方法
US383094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eggs with microwave energy
AU2014234102A1 (en) Cooking apparatus
US4037070A (en) Turntable-type microwave continuous oven
KR102536531B1 (ko) 팥의 풍미, 건조 효율 및 내부 영양소 보존율을 향상 가능한 팥죽 베이스 건조 장치
JP2006234332A (ja) 攪拌機能付き電子レンジ
JP2010272211A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11147468A (ja) 食材の加熱装置および方法
EP1377130A2 (en) Microwave oven, and guide roller, cooking tray and dish for use in microwave oven
JP5604383B2 (ja) 加熱調理器
WO2017073146A1 (ja) 粉砕装置、飲料製造装置、および調理器
JP2019110824A (ja) 焙煎装置
JP2012090616A (ja) 電子レンジを利用した焙煎、煎り工程並びに攪拌加熱に関する装置
KR20170102853A (ko) 견과류 건조 장치
KR20110073659A (ko) 전자렌지용 밥솥
JP2000220963A (ja) 被乾燥物、被濃縮物、被解凍物、被焙煎物、被殺菌物の乾燥、濃縮、解凍、焙煎、殺菌方法と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