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472B1 -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구동시브와 와이어로프의 슬립에 의한 탑승카 추락사고 방지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구동시브와 와이어로프의 슬립에 의한 탑승카 추락사고 방지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472B1
KR102536472B1 KR1020230043383A KR20230043383A KR102536472B1 KR 102536472 B1 KR102536472 B1 KR 102536472B1 KR 1020230043383 A KR1020230043383 A KR 1020230043383A KR 20230043383 A KR20230043383 A KR 20230043383A KR 102536472 B1 KR102536472 B1 KR 102536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wire rope
sheave
drive sheave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3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230043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4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5/00Main component parts of mining-hoist winding devices
    • B66B15/02Rope or cable carriers
    • B66B15/04Friction sheaves; "Koepe" pu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구동시브와 와이어로프의 슬립에 의한 탑승카 추락사고 방지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승객이 탑승하는 탑승카(10)와, 상기 탑승카(10)의 전방에 구비되는 카도어(14)와, 상기 탑승카(10)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40)와, 상기 탑승카(10)와 카운터웨이트(40)를 연결하는 와이어로프(W)와, 상기 와이어로프(W)가 권취되어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탑승카(10)를 승강시키는 구동시브(20)와, 엘리베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로프식 승객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구동시브(20)의 일측면에, 시브홈(20)과 와이어로프(W) 간에 발생하는 슬립(Slip) 현상을 감지할 수 있는 슬립 감지장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슬립 감지장치는, 상기 구동시브(2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반사판(22)과, 상기 반사판(22)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50)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50)에 설치되는 비접촉 센서(5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구동시브와 와이어로프의 슬립에 의한 탑승카 추락사고 방지 안전장치{SAFETY DEVICE OF ROPE TYPE ELEVATOR FOR PREVENTING FALLING ACCIDENT CAUSED BY SLIP BETWEEN TRACTION SHEAVE AND WIRE ROPE}
본 발명은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구동시브와 와이어로프의 슬립에 의한 탑승카 추락사고 방지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시브와 와이어로프 간에 슬립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슬립량을 사전에 정확히 감지하여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탑승카의 추락사고 방지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고층건물 등의 승강통로에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면서 사람이나 화물을 원하는 층으로 운송시킨다.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권상기와 제어반이 승강로 상부에 구비되는 기계실 상부형, 권상기와 제어반이 승강로 또는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는 머신룸리스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와이어로프식(이하 간단히 '로프식'이라 한다) 엘리베이터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승객이 탑승하거나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탑승카(10)와, 상기 탑승카(10)의 전방에 구비되는 전방 카도어(14)와, 상기 탑승카(10)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40)와, 상기 탑승 카(10)와 카운터웨이트(40)를 연결하는 와이어로프(W)와, 상기 탑승카(1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시브(20)와 엘리베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도시 생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시브(20)는 트랙션 시브(Traction Sheave)라고도 하며, 건물 상부 또는 하부의 기계실 또는 승강로 구조물 내에 제어반과 함께 설치되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탑승카(10)를 승강시킨다.
또한 상기 탑승카(10)의 상면에는 탑승카 시브(S1, S2)가 구비되고, 카운터웨이트(C)의 상면에는 카운터웨이트 시브(S3)가 구비된다.
상기한 구조의 엘리베이터에서, 와이어로프(W)의 일단은, 탑승카(10) 상부의 기계실에 구비되는 로프 고정부(F1)에 의해 고정되고, S1 → S2 → 구동시브→S3에 차례로 로핑된 후, 타단은 승강로 구조물 내의 로프 고정부(F2)에 고정된다.
상기 각 시브에 감겨지는 와이어로프(W)는, 통상 여러 가닥이 사용되며, 와이어로프의 가닥수는 엘리베이터의 적재 하중에 따라 증감된다.
상기한 구조의 엘리베이터에서 구동시브(20)를 정,역회전시키면, 탑승카(10)가 승강통로를 따라 승강하게 되고, 카운터웨이트(40)는 상기 탑승카(10)와 반대방향으로 승강하게 된다.
또한 통상적인 엘리베이터는, 탑승카의 추락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각종 안전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그 일례로서, 상기 구동시브가 정격속도 이상으로 회전할 경우 전기적인 구동을 차단하는 오버스피드 가버너(Overspeed Governor)가 있다.
상기 오버스피드 가버너(이하 간단히 '가버너'라 한다)는, 탑승카의 속도가 비정상적으로 빨라질 경우, 가버너 휠의 진자가 원심력에 의해 바깥쪽으로 벌어지면서 과속 스위치를 동작시킨다.
이로써 구동시브(20)를 구동하는 전동기의 전원을 차단하고, 구동시브(20)의 브레이크(도시 생략)를 작동시켜 탑승카(10)를 정지시킨다.
한편 구동시브의 브레이크가 고장나거나 와이어로프가 파단될 경우, 다른 방법에 의해 탑승카(10)를 정지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통상 탑승카의 하부에는 비상제동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비상제동장치는, 승강통로의 벽면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을 파지하는 클램프 타입의 레일 브레이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비상제동장치의 다른 예로서, 한국 특허등록 제10-0370747호에는, 브레이크 하우징의 일측에 브레이크 슈우를 스프링 탄설하고, 대항하는 타측에 편심된 캠을 축결합하여 설치하되, 상기 캠에는 섹터기어를 부착하여 이루어 브레이크 슈우와 편심캠의 사이에 가이드레일이 위치하도록 브레이크 유닛을 형성하고, 통상의 조속기 작동력으로 승강되는 기어와 상기 편심캠의 섹터기어를 치합하여, 조속기 작동시 편심캠이 회전하여 가이드레일을 브레이크 슈우에 가압함으로써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99198호에는, 엘리베이터 카의 상면에 설치되고, 차폐스위치 복구를 위한 차폐스위치 솔레노이드와, 2차 제동수단의 자동복귀를 위한 풀복귀자가 구비되고, 2차 제동수단의 제동로프가 비상제동장치의 링크기구를 직접 작동시키며, 개문발차 제동수단이 구비되고, 승강 양방향의 과속에 대한 강제제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조속기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로프식 엘리베이터에서는, 구동시브(20)에 권취되는 와이어로프(W)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탑승카(10)를 승강시킨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시브(20)의 원주면에 형성되는 원호상의 시브홈(20a)과 와이어로프(W) 간의 마찰력에 의해 탑승카(10)를 견인한다.
상기한 원호상의 시브홈(20a)은, 소음과 진동이 비교적 적고 와이어로프(W)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시브홈(20a)과 와이어로프(W) 간의 마찰력이 저하되어 와이어로프(W)가 미끌어지는 슬립(Slip)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와이어로프(W)를 장시간 사용하다 보면, 마모에 의해 그 직경이 감소되고, 시브홈(20a)에도 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이로써 시브홈(20a)과 와이어로프(W) 간의 슬립현상이 점점 심해지고, 이러한 슬립현상이 과도하게 되면, 와이어로프(W)의 미끄러짐에 의해 탑승카 또는 카운터웨이트가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슬립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구동시브의 원주방향의 회전거리와 와이어로프(W)가 실제로 이동하는 거리 간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로써 탑승카(10)가 각 층의 정확한 위치에 정지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슬립에 의한 문제점을 완화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 형상의 시브홈(20b)을 형성한 구동시브(20)를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한 V자 형상의 시브홈(20b)에 의하면, 마찰력을 향상키킬 수는 있으나, 와이어로프(W)의 수명이 짧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V자 형상의 시브홈(20b)에서도, 슬립현상의 발생은 피할 수가 없다.
이렇게 슬립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가버너의 안전장치를 이용하여 구동시브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는 있다.
그런데 종래의 가버너 안전장치는, 구동시브의 회전속도가 정격속도의 115~120%가 될 경우에, 구동모터를 전기적으로 차단하여 구동시브(20)를 정지시키고 있다.
즉 구동시브의 회전속도가 정격속도의 115% 미만일 경우에는, 가버너의 안전장치가 작동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가버너 안전장치는, 구동시브(20)의 회전속도를 기준으로 안전장치를 작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슬립현상이 발생할 경우 이를 사전에 감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추락방지 안전장치는, 구동시브(20)의 회전속도가 정격속도가 130~140%가 될 경우에, 탑승카(20) 하부에 구비된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켜 탑승카(20)를 강제로 정지시키고 있다.
또한 종래의 추락방지 안전장치는, 탑승카(20)가 하강하는 경우에만 작동되고, 카운터웨이트(40)가 추락하는 경우(즉 탑승카가 과속으로 상승하는 경우)에는 작동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 한국 등록특허 제10-1701887호(2017. 04. 11. 공고) : 한국 등록특허 제10-1054013호(2011. 08. 04. 공고) : 한국 등록특허 제10-0888667호(2009. 03. 13.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가버너 안전장치가 감지하기 곤란한 와이어로프의 슬립현상을 사전에 정확히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로프의 슬립량을 사전에 정확히 감지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로프의 과도한 미끄러짐에 의해 탑승카가 추락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탑승카 추락사고 뿐만 아니라 카운터웨이트의 추락사고도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 및 저렴한 비용으로 슬립 감지장치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구동 안전성을 향상시켜 고품질의 엘리베이터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승객이 탑승하는 탑승카와, 상기 탑승카의 전방에 구비되는 카도어와, 상기 탑승카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와, 상기 탑승카와 카운터웨이트를 연결하는 와이어로프와, 상기 와이어로프가 권취되어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탑승카를 승강시키는 구동시브와, 엘리베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로프식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구동시브의 일측면에, 시브홈과 와이어로프 간에 발생하는 슬립(Slip) 현상을 감지할 수 있는 슬립 감지장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슬립 감지장치는, 상기 구동시브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비접촉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시브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반사판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원호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시브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반사판은, 기준 반사판을 포함하여 원주 둘레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시브의 원주면에 형성되는 시브홈은, 원호형 시브홈 또는 V자형 시브홈 또는 플랫벨트형 시브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승카가 최하층, 최상층 또는 임의의 중간층에 착상할 때마다, 상기 비접촉 센서가 반사판을 감지하여 그 정보를 제어반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시브와 와이어로프의 슬립량이 일정 이상이 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그 내용을 탑승카 내부, 감시반 또는 관제실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반에 슬립량 표시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슬립량 표시부는 슬립량을 숫자 또는 그래프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시브와 와이어로프 슬립량이 일정 이상이 되었음에도 오버스피드 가버너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구동시브의 작동을 강제적으로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가버너 안전장치가 감지하기 어려운 와이어로프의 슬립현상을 사전에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와이어로프의 슬립량을 사전에 정확히 감지할 수 있으므로, 슬립의 축적에 의해 발생하는 와이어로프의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와이어로프의 과도한 미끄러짐에 의해 탑승카가 추락하는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탑승카 추락사고 뿐만 아니라 카운터웨이트의 추락사고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교적 간단한 구조 및 저렴한 비용으로 와이어로프의 슬립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구동 안전성을 향상시킨 고품질의 엘리베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원호형 구동시브와 와이어로프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V자형 구동시브와 와이어로프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일반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부를 위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탑승카 추락사고 방지 안전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이 탑승하는 탑승카(10)와, 상기 탑승카(10)의 전방에 구비되는 카도어(14)와, 상기 탑승카(10)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40)와, 상기 탑승카(10)와 카운터웨이트(40)를 연결하는 와이어로프(W)와, 상기 와이어로프(W)가 권취되어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탑승카(10)를 승강시키는 구동시브(20)와, 엘리베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도시 생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로프식 승객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구동시브(20)의 일측면에, 시브홈(20)과 와이어로프(W) 간에 발생하는 슬립(Slip) 현상을 감지할 수 있는 슬립 감지장치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슬립 감지장치는, 상기 구동시브(2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반사판(22)과, 상기 반사판(22)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50)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50)에 설치되는 비접촉 센서(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비접촉 센서(52)는, 광센서 등 다양한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시브(2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반사판(22)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원호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기준 반사판을 기준으로 하여 구동시브(20)와 와이어로프(W) 간에 발생하는 슬립현상을 사전에 감지할 수 있다.
즉 탑승카(10)가 최하층, 최상층 또는 임의의 중간층에 착상하였을 때 비접촉 센서(52)가 기준 반사판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세팅해 놓으면, 슬립현상에 의해 와이어로프가 더 견인되거나 덜 견인되는 정도를 파악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시브(20)의 원주면에 형성되는 시브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형 시브홈(20a)으로 형성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형 시브홈(20b)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브홈은 플랫벨트형 시브홈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탑승카 추락방지 안전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때, 탑승카(10)가 최하층, 최상층 또는 임의의 중간층(이하 '기준층'이라 한다)에 착상했을 경우, 비접촉 센서(52)가 기준 반사판(22)을 감지할 수 있도록 와이어로프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탑승카(10)가 상기 기준층에 착상할 때마다, 상기 비접촉 센서(52)가 반사판(22)을 감지하여 그 정보를 제어반으로 전송한다.
상기한 방식에 의해, 구동시브(20)와 와이어로프(W)의 슬립량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즉 탑승카(20)가 최하층에 착상하였을 때, 비접촉 센서(52)가 감지하는 반사판이 기준 반사판으로 부터 어느 정도 벗어나는 지를 파악하여 슬립량을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탑승카(20)가 기준층에 착상할 때, 상기 비접촉 센서(52)가 감지하는 반사판이 기준 반사판에 바로 인접하는 경우에는, 슬립량이 적은 것으로 판단하고 구동시브(20)가 계속 작동되도록 한다.
만일 비접촉 센서(52)가 감지하는 반사판이 기준 반사판으로부터 2번째 반사판 이상이 될 경우에는, 슬립량이 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구동시브(20)와 와이어로프(W)의 슬립량이 일정 이상이 되었음에도 오버스피드 가버너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구동시브(20)의 작동을 강제적으로 중지시킨다.
그리고 그 내용을 탑승카(10) 내부, 감시반 또는 관제실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반에 슬립량 표시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슬립량 표시부는 슬립량을 숫자 또는 그래프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슬립량이 일정 이상이 될 경우, 경고등을 점등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관리자가 구동시브 또는 와이어로프의 교체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구동시브를 정,회전시켜 탑승카를 승강시키는 로프식 승객용 엘리베이터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시브홈 및 와이어로프의 마모에 의해 시브홈과 와이어로프의 마찰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대형 엘리베이터의 경우에 더욱 심해지게 된다.
한편 현재 사용되고 있는 오버스피드 가버너는, 구동시브의 회전속도가 정격속도의 115~120% 이상이 될 경우에만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구동시브와 와이어로프 간에 슬립현상이 계속 발생하고 있음에도, 구동시브의 회전속도가 정격속도의 115% 미만이 되는 경우에는, 이를 감지할 수가 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시브와 와이어로프 간에 슬립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 이를 사전에 정확히 파악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가 있다.
이로써 과도한 슬립현상에 의해 탑승카 또는 카운터웨이트가 추락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특히 슬립에 의한 와이어로프의 미끄러짐 현상이 계속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동시브의 회전속도가 정격속도의 115% 미만이라서 오버스피드 가버너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추락사고의 위험성을 사전에 정확하게 감지할 수가 있다.
즉 오버스피드 가버너가 작동하기 이전에 과도한 슬립에 의한 추락사고의 위험을 미리 감지하여, 이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가 있다.
또한 슬립 감지장치의 구조가 간단하므로,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서도 승객용 엘리베이터의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탑승카 14: 카도어(Car Door)
20: 구동시브(Traction Sheave) 22: 반사판
40: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
50: 고정 플레이트(Plate) 52: 비접촉 센서
F1: 제1 고정부 F2: 제2 고정부
S1: 제1 트랙션 시브 S2: 제2 트랙션 시브
S3: 카운터웨이트 시브 W: 와이어로프(Wire Rope)

Claims (9)

  1. 승객이 탑승하는 탑승카(10)와, 상기 탑승카(10)의 전방에 구비되는 카도어(14)와, 상기 탑승카(10)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40)와, 상기 탑승카(10)와 카운터웨이트(40)를 연결하는 와이어로프(W)와, 상기 와이어로프(W)가 권취되어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탑승카(10)를 승강시키는 구동시브(20)와, 엘리베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로프식 승객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구동시브(20)의 일측면에, 시브홈(20)과 와이어로프(W) 간에 발생하는 슬립(Slip) 현상을 감지할 수 있는 슬립 감지장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슬립 감지장치는,
    상기 구동시브(2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반사판(22)과,
    상기 반사판(22)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50)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50)에 설치되는 비접촉 센서(5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동시브(20)와 와이어로프(W)의 슬립량이 일정 이상이 되었음에도 오버스피드 가버너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구동시브(20)의 작동을 강제적으로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시브와 와이어로프의 슬립에 의한 탑승카 추락사고 방지 안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시브(2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반사판(22)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원호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시브와 와이어로프의 슬립에 의한 탑승카 추락사고 방지 안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시브(2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반사판(22)은, 기준 반사판을 포함하여 원주 둘레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시브와 와이어로프의 슬립에 의한 탑승카 추락사고 방지 안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시브(20)의 원주면에 형성되는 시브홈은, 원호형 시브홈(20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시브와 와이어로프의 슬립에 의한 탑승카 추락사고 방지 안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시브(20)의 원주면에 형성되는 시브홈은, V자형 시브홈(20b) 또는 플랫벨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시브와 와이어로프의 슬립에 의한 탑승카 추락사고 방지 안전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카(10)가 최하층, 최상층 또는 임의의 중간층에 착상할 때마다, 상기 비접촉 센서(52)가 반사판(22)을 감지하여 그 정보를 제어반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시브와 와이어로프의 슬립에 의한 탑승카 추락사고 방지 안전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시브(20)와 와이어로프(W)의 슬립량이 일정 이상이 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그 내용을 탑승카(10) 내부, 감시반 또는 관제실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시브와 와이어로프의 슬립에 의한 탑승카 추락사고 방지 안전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에 슬립량 표시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슬립량 표시부는, 슬립량을 숫자 또는 그래프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시브와 와이어로프의 슬립에 의한 탑승카 추락사고 방지 안전장치.
  9. 삭제
KR1020230043383A 2023-04-03 2023-04-03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구동시브와 와이어로프의 슬립에 의한 탑승카 추락사고 방지 안전장치 KR102536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383A KR102536472B1 (ko) 2023-04-03 2023-04-03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구동시브와 와이어로프의 슬립에 의한 탑승카 추락사고 방지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383A KR102536472B1 (ko) 2023-04-03 2023-04-03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구동시브와 와이어로프의 슬립에 의한 탑승카 추락사고 방지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6472B1 true KR102536472B1 (ko) 2023-05-26

Family

ID=86536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3383A KR102536472B1 (ko) 2023-04-03 2023-04-03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구동시브와 와이어로프의 슬립에 의한 탑승카 추락사고 방지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47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667B1 (ko) 2008-08-20 2009-03-13 주식회사 세명엘리베이터 슬립방지수단을 포함하는 하부 구동식 엘리베이터
JP2010089869A (ja) * 2008-10-06 2010-04-2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ロープ滑り検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KR101054013B1 (ko) 2011-04-14 2011-08-04 주식회사 한테크 슬립 방지형 엘리베이터 권상장치
KR101701887B1 (ko) 2015-02-13 2017-04-11 (주)한양공영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장치
KR20210150394A (ko) * 2019-04-10 2021-12-10 비쉐이 세미컨덕터 게엠베하 광학 인코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667B1 (ko) 2008-08-20 2009-03-13 주식회사 세명엘리베이터 슬립방지수단을 포함하는 하부 구동식 엘리베이터
JP2010089869A (ja) * 2008-10-06 2010-04-2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ロープ滑り検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KR101054013B1 (ko) 2011-04-14 2011-08-04 주식회사 한테크 슬립 방지형 엘리베이터 권상장치
KR101701887B1 (ko) 2015-02-13 2017-04-11 (주)한양공영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장치
KR20210150394A (ko) * 2019-04-10 2021-12-10 비쉐이 세미컨덕터 게엠베하 광학 인코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65426B (zh) 电梯配重对置曳引机构
US8336677B2 (en) Safety device for elevator and rope slip detection method
US7669697B2 (en) Elevator apparatus
US9546074B2 (en) Elevator apparatus including an anomalous acceleration detecting mechanism
US11014781B2 (en)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an elevator system
EP2186768B1 (en) Elevator device
JP4907097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4928796A (en) Lift
EP1927567B1 (en) Elevator device
WO2014097373A1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1098822A (zh) 电梯装置
JP2004155519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107522056B (zh) 一种监测电梯系统曳引能力的方法和系统
JP2009286525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制動機能検査方法
KR102523904B1 (ko) 엘리베이터의 로프파단 검출에 의한 이중 안전운행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안전운행 방법
KR102536472B1 (ko)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구동시브와 와이어로프의 슬립에 의한 탑승카 추락사고 방지 안전장치
JP5074917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停止点検装置及び非常停止点検方法
JP5334868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397720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447399B1 (ko)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
JP7078145B1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JP2002356283A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伸び検出装置および安全運転方法
KR20040005576A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EP4008666A1 (en) An elevator
JPH01181688A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