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661B1 - 외과 수술 동안 사용되는 수술 기기들과 물품들을 위한 오거나이저 - Google Patents

외과 수술 동안 사용되는 수술 기기들과 물품들을 위한 오거나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5661B1
KR102535661B1 KR1020177010512A KR20177010512A KR102535661B1 KR 102535661 B1 KR102535661 B1 KR 102535661B1 KR 1020177010512 A KR1020177010512 A KR 1020177010512A KR 20177010512 A KR20177010512 A KR 20177010512A KR 102535661 B1 KR102535661 B1 KR 102535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ance
locking bar
fitting
instrument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0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5550A (ko
Inventor
로렌스 리치맨
Original Assignee
로렌스 리치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4/509,986 external-priority patent/US9179978B1/en
Priority claimed from US14/685,465 external-priority patent/US9474579B2/en
Application filed by 로렌스 리치맨 filed Critical 로렌스 리치맨
Publication of KR20170065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50/33T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20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50/3001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for shar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2050/005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with a lid or cover
    • A61B2050/0051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with a lid or cover closable by rotation
    • A61B2050/0056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with a lid or cover closable by rotation about a lateral axis in the lid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2050/3008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having multiple compar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7Indication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수술 기기들을 유지하기 위한 오거나이저는 트레이의 꼭대기면으로부터 연장하는 기기 설치구들을 가진 트레이를 포함한다. 기기 설치구들은 고압 스팀이 설치구들 내의 기기들에 도달하게 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오거나이저는 2개의 영역들을 가진다. 제1 영역은 수술 동안 사용될 살균 기기들을 포함하고, 제2 영역은, 각각 제1 영역 내의 기기 설치구의 모양과 깊이에 상응하는 모양과 깊이를 가진, 빈 기기 설치구들을 포함한다. 기기들이 제1 영역으로부터 제거되고 수술 동안 사용된 후, 그들은 제2 영역 내의 상응하는 기기 설치구로 복귀된다. 수술 후, 제2 영역 내의 모든 기기 설치구들이 가득하지 않으면 임의의 기기가 없어진 것이다. 구조는 기기 설치구가 가득하지 않음을 나타내기 위해 기기 설치구들과 연관될 수 있다.

Description

외과 수술 동안 사용되는 수술 기기들과 물품들을 위한 오거나이저{ORGANIZER FOR SURGICAL INSTRUMENTS AND ITEMS USED DURING SURGERY}
1. 기술분야: 본 출원은 외과 수술 스위트들(suites) 내에 수술 기구들을 유지하기 위한 오거나이저(organizer)에 관한 것이다.
2. 관련 출원들: 본 특허는 다음의 특허 출원들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2014.10.8.자로 출원된 출원번호 14/509,986의 "외과수술 동안 사용되는 수술 도구들과 물품들을 위한 오거나이저". 2015.4.13.자로 출원된 출원번호 14/685,465의 "외과수술 동안 사용되는 수술 기기들과 물품들을 위한 오거나이저". 2015.7.13.자로 출원된 출원번호 14/798,327의 "외과수술 동안 사용되는 수술 기기들과 물품들을 위한 오거나이저". 출원인은 이들 출원들에 기반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이들 출원들은 인용에 의해 통합된다.
3. 일반적 배경 및 기술의 서술: 외과의사들과 그들의 스태프는 외과수술 동안 사용되는 그들의 기기와 기타 물품들이 손쉽게 접근 가능하고 잘 준비되게 할 필요가 있다. 없어진 기기들을 찾기 위해 시간을 보내는 것은 수술에 결정적 시간을 낭비하는 것이다. 지연(delay)들은 외과수술 기간과 마취 하의 시간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환자를 위해 바람직하지 않다.
각각의 외과수술에 걸리는 시간의 증가는 또한 외과의사들, 동료 의료진들과 스태프(staff)에게 그리고 병원 또는 수술 센터에 해롭다. 외과의사들과 기타 의료진들 및 스태프는 수요가 많고 종종 하루에 많은 수술들을 수행한다. 각각의 외과수술에 대한 시간의 증가는 하루에 하나 이상의 수술들을 제거하거나 어느 하루에 계획된 수술을 다음 날 또는 추후의 날로 지연되게 할 수 있다.
병원들과 수술 센터의 경우, 각각의 수술팀에 대한 지체들은 복합적이다. 많은 병원들에서 수술 스위트(suite)들은 완전히 이용된다. 이 사실 만으로도 환자들의 수술들의 스케쥴링에 지연들을 유발한다. 또한, 만약 일부 또는 모든 수술 스위트들이 매일 심지어 하나 보다 더 적은 시술들을 처리하면, 병원은 덜 효율적이 된다. 따라서, 비용이 증가한다. 완전히 설비된 수술 스위트들은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더 많은 수술 스위트들을 부가하면 비용이 많이 든다. 다른 한편으로, 임의의 부가되지만 활용되는 수술 스위트들을 구비하는 것은 수술 스위트들을 위해 또는 다른 병원 비용들 위한 세입을 덜 지불하게 한다.
비용의 증가와 효율의 감소가 유일한 관심사는 아니다. 각각의 시술의 끝에서, 수술팀은 모든 기기들의 소재를 확인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만약 외과의사가 15개의 수술 클램프들을 이용하여 시작하고 5개의 사용하지 않은 수술 클램프들이 수술의 끝에 남아 있으면, 다른 10개는 소재가 확인되어야만 한다. 그렇지 않으면, 없어진 클램프는 환자의 내부에 있을 수 있다. 가능성으로 보아서, 그것은 수술대 위에 숨겨질 수 있거나 플로어(floor) 위에 떨어졌을 수 있다. 클램프들을 찾는 것은 어렵지 않을 수 있고 과도한 시간이 걸리지 않을 수 있지만, 소요된 시간은 대체로 각각의 수술 스위트, 각각의 병원 및 병원들에 대한 부담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는 기기의 소재 확인이 용이한 수술 기기용 오거나이저를 제공하는 것이다.
수술 기기들을 유지하기 위한 오거나이저는 꼭대기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함몰부들을 가진 트레이를 포함한다. 함몰부들은 기기 설치구(instrument well)들을 형성한다. 각각의 기기 설치구는 특정의 수술 기기들의 모양에 상응하는 모양을 가진다. 예를 들어, 가위를 위한 기기 설치구는 가위의 손가락 개구들을 수납하기 위한 2개의 라운드 구역들, 라운드 구역들로부터 연장하는 직사각형 구역 및 가위의 뾰족 끝단에 상응하는 협소 구역을 가진다. 유사하게, 수술용 메스(scalpel)들을 위한 기기 설치구는 핸들에 상응하는 테이퍼진 길이와 블레이드를 위한 더 협소한 구역을 가진다.
각각의 기기 설치구의 깊이는 외과의사가 사용할 계획인 수술 기기들의 스택(stack)의 높이에 상응한다. 예를 들어, 특정의 외과수술이 전형적으로 2개의 메스들을 사용하면, 메스 기기 설치구의 깊이는 3개의 메스들을 수용할 것이다. 만약, 다른 형태의 수술이 3개 보다 더 많은 메스들을 사용하면, 기기 설치구가 더 깊을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하나 이상의 기기 설치구는 설치구들 사이에서 분할된 메스들과 함께 사용될 것이다.
스택의 꼭대기들은 트레이의 꼭대기면과 정렬될 수 있고 또는 스택들은 그 표면과 동일하거나 그 표면 아래의 짧은 거리여야 한다. 수술 후, 사용된 기기들은 그들의 기기 설치구로 복귀된다. 그러므로, 기기 설치구가 가득한지 여부를 한눈에 구별할 수 있다. 만약 임의의 기기 설치구들이 가득하지 않으면, 이것은 기기가 없어졌음을 나타내고, 수술 스위트 직원들에게 알려서 없어진 기기들을 찾아야 한다.
대안적으로, 기기 설치구들의 보충(complementary) 스위트가 마련될 수 있다. 보충 스위트 내의 각각의 기기 설치구의 모양과 깊이는 전술한 기기 설치구의 그것과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하다. 수술 기기는 사용된 후, 전술한 기기 설치구로 복귀되는 대신에 보충 스위트 내의 적절한 기기 설치구로 들어간다.
트레이는 트레이의 꼭대기면에서 각각의 기기 설치구 위로 연장하는 록킹 바아(locking bar)들을 가질 수 있다. 록킹된(locked) 위치에서, 기기들은 기기 설치구에 부가되거나 그로부터 제거될 수 없다. 기기가 기기 설치구로부터 제거되거나 그곳에 부가될 수 있도록 바아는 기기 설치구를 개방하는 위치로 회동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동할 수 있다. 기기 설치구 위로 바아가 연장할 때, 만약 설치구가 가득하면 바아는 기기 설치구 내의 꼭대기 기기에 맞대일 것이다. 바아와 꼭대기 기기 사이의 접촉을 살펴보면 기기 설치구가 가득한지 여부를 신속하게 알 수 있다. 만약, 임의의 수술 기기가 없어진 경우, 록킹 바아의 정반대 끝단이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옵셋되어 없어진 기기의 수술 스태프에게 경보를 발할 수 있다.
만약, 수술 후 기기들이 그들의 기기 설치구 또는 초기의 빈 설치구로 복귀되면, 사용된 기기들을 포함하는 각각의 기기 설치구는 수술이 시작되었을 때 채워진 동일한 개수의 기기 설치구들을 포함해야만 한다. 만약, 기기 설치구로부터 하나 이상의 기기들이 없어지면, 기기 설치구에 인접한 트레이의 구조와 록킹 바아의 교차(intersection)는 록킹 바아의 끝단이 트레이의 표면에 대해 돌출하는 그런 것이다. 그러므로, 모든 수술 기기들이 그들의 함몰부로 복귀되기 때문에 모든 기기 설치구들이 가득한지 여부를 신속히 알아 볼 수 있다.
트레이를 위한 잠재적인 물질인, 플라스틱은 양호한 열 전도체가 아니다. 만약, 기기 설치구들 내의 수술 기기들이 오토클레이브 내에서 고온 및 가압 스팀에 의해 살균되면, 기기 설치구들의 플라스틱은 수술 기기들의 완전한 살균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기기 설치구들이 딱딱하지 않으면, 고온 스팀이 수술 기기들에 도달할 수 있으므로 기기들이 살균될 수 있다. 설치구들의 벽들을 딱딱하지 않게 만들기 위하여, 벽들은 이격된 플라스틱 스트립들 또는 아암들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충분한 개구 공간을 가진 설치구들의 벽들의 천공은 기기들에 스팀을 도달시키게 할 것이다.
또한, 수술 스위트 스태프를 지원하기 위하여, 록킹 바아의 일부 또는 전체 꼭대기는 녹색 또는 다른 색상으로 채색될 수 있으므로, 기기들 위에서 록킹 바아들이 닫힌(closed) 위치에 있을 때, 외과의사 또는 스태프 멤버는 바아가 닫힌 것을 볼 수 있다. 유사하게, 록킹 바아의 반대 사이드의 일부 또는 전부는 적색 또는 록킹 바아의 제1 사이드와 상이한 다른 색상으로 채색될 수 있다. 따라서, 기기들이 사용 중이어서 록킹 바아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사람은 적색을 볼 것이다. 수술의 마지막에서, 수술 스위트 스태프는 모든 록킹 바아들이 트레이와 완전히 동일한 높이이고 각각의 기기 설치구 위에서 녹색을 나타낼 때 모든 기기들의 소재가 확인되었음을 확신할 수 있다. 색상 대신에, 록킹 바아의 꼭대기와 바닥은 대비되는 상징(symbol)들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오거나이저는 트레이의 꼭대기면에 직교하는 축에 대해 회동하는 록킹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풀린(unlocked) 방향에서, 록킹 플레이트는 기기 설치구 내의 수술 기기들로부터 비켜나 있다. 축에 대한 록킹 플레이트의 회동은 기기 설치구 내의 기기들을 록킹하기 위해 최-상위 수술 기기 위로 록킹 플레이트의 일부를 이동한다. 록킹 플레이트는 트레이의 꼭대기면에 있는 소형 구멍(cavity) 속으로 회동할 수 있다. 구멍 속으로 록킹 플레이트의 회동은 기기 설치구 내의 기기들을 록킹해제(unlock)시키고 구멍의 꼭대기면을 덮는다. 구멍의 꼭대기면의 채색은 록킹 플레이트가 잠겼는지 여부를 표시한다. 즉, 구멍의 색상을 볼 수 있으면, 록킹 플레이트는 록킹된다. 만약 사용자가 색상을 보지 않으면, 록킹 플레이트가 록킹해제 된다. 그러므로, 모든 기기들이 그들의 적절한 기기 설치구로 복귀하고 모든 록킹 플레이트들이 록킹되면, 색상은 모든 락(lock)을 위해 볼 수 있어야 한다.
스프링은 기기들을 상방을 향해 또는 트레이의 꼭대기면 위로 밀기 위해 최-하위 기기의 아래에 장착될 수 있다. 플런저(plunger)는 기기 설치구에 인접되게 장착될 수 있다. 플런저의 직립부로부터 연장하는 베이스는 기기 설치구 내의 최-하위 기기의 아래로 연장하고, 스프링은 플런저의 베이스 아래에 장착된다. 적어도 하나의 기기가 설치구로부터 제거될 때, 스프링은 플런저를 위쪽을 향해 밀고 플런저의 직립부의 꼭대기는 트레이의 꼭대기면 위로 연장한다. 외과수술 후 그리고 모든 기기가 각각의 기기 설치구로 복귀된 후, 적어도 하나의 플런저의 꼭대기는 트레이의 꼭대기면 주위로 연장하기 때문에 임의의 기기들이 없어졌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기기 설치구들 내의 기기들을 도시하는 트레이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기기 설치구들 내의 기기들을 도시하는 트레이의 제1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3-3선을 따라 취한 트레이의 제1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트레이의 꼭대기면에 있는 하나의 기기 설치구의 단면도들이다.
도 6, 도 7, 도 8, 및 도 9는 상이한 방향들에서 록킹 바아를 각각 도시하는 트레이의 꼭대기면에 있는 하나의 기기 설치구의 사시도들이다.
도 10은 기기 설치구들 내의 기기들을 도시하는 트레이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트레이의 다른 부분에 대하여 접혀진 트레이의 부분을 도시하는 트레이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트레이의 다른 부분에 대하여 완전히 접힌 트레이의 다른 부분을 도시하는 트레이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개방" 구성에서 트레이의 제2 실시예의 평면도로서, 기기 설치구들 내의 기기들을 도시한다.
도 14는 도 13의 14-14선을 따라 취한 트레이의 제2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도 15, 도 16, 및 도 17은 도 14의 상세부분 15를 각각 도시하는 기기 설치구의 일부의 단면도들이다.
도 18은 도 13의 18-18선을 따라 취한 기기 설치구의 일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상이한 방향들에서 록킹 바아를 각각 도시하는 트레이의 꼭대기면에서 하나의 기기 설치구의 사시도들이다.
도 21은 닫힌 위치에 있는 개량된 오거나이저의 사시도이다.
도 22 및 도 23은 개선된 트레이의 사시도들이다.
도 24는 다른 개선된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개선된 기기 설치구의 상세부분을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이다.
도 26 및 도 27은 도 25의 26-26면 및 27-27면을 따라 취한 단면도들이다.
도 28은 개선된 기기 설치구를 도시하는 부분 발췌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29-29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수술 기기를 유지하기 위한 트레이(100)(도 1, 도 2, 및 도 3)는 플라스틱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비-부식성 금속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지만, 판지, 성형 페이퍼 및 복합 재료들이 선택될 수 있다. 비-금속 물질들은 성형이 용이하고 금속보다 비용이 저렴하다. 도면들에 도시된 트레이를 위한 물질은 단단하지만, 굴곡될 수 있다.
트레이(100)는 일회용일 수 있다. 그러나, 비-일회용 물질들은 오토클레이브 온도들(20psi에서 100℃) 또는 특정의 기능을 위해 통용되는 임의의 온도들과 압력들에 노출될 때 그들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트레이(100)는 꼭대기면(102) 및 도면들에서 3개의 측벽들(104, 106, 108)만 볼 수 있는, 4개의 매달린 측벽들을 가진다. 트레이는 직사각형이지만, 다각형, 원형들, 타원형들 및 다른 자유형 모양들과 같은 다른 모양들이 허용될 수 있다.
트레이(100)의 베이스는 개방되지만, 폐쇄될 수 있다. 베이스가 개방되면, 트레이의 밑면(110)(도 3)은 엑세스 가능하다. 또한, 아래에서 서술될 도 24를 참조하면, 오토클레이브 내의 고압 및 고온 스팀이 수술 도구들에 도달하기 위해 트레이의 사이드들이 개방된다.
트레이(100)의 꼭대기면(102)은 수술 기기들을 수납하기 위한 기기 설치구들을 형성하는 다수의 함몰부(indentation)들을 가진다. 도면들에는 8개의 기기 설치구들(120, 122, 124, 126, 128, 130, 132, 134)이 도시되지만, 트레이는 더 많거나 더 적은 기기 설치구들을 가질 수 있다. 많은 기기 설치구들을 부가하여 트레이를 과도하게 크게 만들기 보다는, 바람직한 사이즈의 2개 이상의 트레이들은 단일의 대형 트레이를 대체할 수 있다.
각각의 기기 설치구는 특정의 기기를 수납하기 위해 형상화된다. 예를 들어, 설치구(120)는 메스들(140)(도 1 및 도 2)의 형상과 일치한다. 기기 설치구(122)는 수술 클램프들(142)을 수납한다. 가위(144)는 기기 설치구(124)에 꼭 들어맞고, 겸자(forceps)(146)는 기구 설치구(126)에 꼭 들어맞는다. 설치구(128)는 더 많은 클램프들(148)을 유지한다. 설치구들(130, 132, 134)은 소형, 중형, 및 대형 바늘 홀더들(150, 152, 154)을 각각 수납한다. 기기 설치구들은 기기의 파지가 더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적절한 장소들에 있는 움푹 파인 곳(depression)들(138)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기기 설치구가 수술 기기들의 상이한 사이즈들과 숫자들을 수용하기 위해 상이한 깊이들을 가질 수 있음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기기 설치구(124)는 가위(144)를 수납하는 것을 가정한다. 기기 설치구를 형성하는 함몰부는 측벽들(162, 164)로부터 매달린 베이스(160)를 포함한다. 측벽들의 꼭대기면들은 숄더(shoulder)들(166, 168)과 교차하고, 각각의 숄더의 외측은 짧은 확장부들(170, 172)과 교차한다. 확장부들은 트레이(100)의 꼭대기면(102)과 교차한다. 숄더들 위의 공간의 기능들은 아래에서 논의된다.
능숙한 외과의사는 특정의 수술을 위해 특정한 개수의 각각의 수술 기기의 사용을 예상한다. 따라서, 기기 설치구들의 개수와 특정한 기기들을 위한 그들의 모양들은 특정한 수술들을 위해 변화할 수 있다.
특정의 시술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사이즈의 가위(144)의 3개의 가위들이 필요하다고 예상하는 외과의사를 간주한다. 그러므로, 그 시술을 위하여, 기기 설치구는 3개(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님)의 가위들을 유지할 만큼 충분한 깊다. 유사하게, 외과 의사가 4개의 겸자들이 필요하다고 예상하면, 기기 설치구(126)는 4개의 겸자들(146)을 유지할 만큼 충분히 깊다. 겸자는 가위(144)의 두께보다 더 두껍기 때문에, 4개의 겸자들을 유지하는 기기 설치구(126)는 3개의 가위들을 유지하는 기기 설치구(124)보다 훨씬 더 깊다. 가장 깊은 기기 설치구(122)는 20개의 수술 클램프들(142)을 유지한다.
판 스프링 또는 다른 스프링(미도시)은 기기들을 위쪽으로 밀기 위하여 일부 또는 모든 기기 설치구들의 바닥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배치는 최-상위 기기의 파지를 도울 수 있다.
록킹 바아는 각각의 기기 설치구 내의 최-상위 기기 위로 연장한다. 록킹 바아들은 유사하고, 록킹 바아들(190, 192)만 논의된다. 기기 설치구(128)는 5개의 겸자들 또는 수술 클램프들(148)(도 4)을 유지한다. 록킹 바아(192)는 숄더들(194, 196) 위의 공간 내의 핀(198)에 장착된다. 록킹 바아의 꼭대기면(200)은 트레이(100)의 꼭대기면(102)과 동일한 면이다. 도 4에서 록킹 바아는 최-상위 겸자에 얹혀져 있음을 볼 수 있다.
기기 설치구로부터 기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록킹 바아는 수직으로 회동되거나 이동된다. 그러므로,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록킹 바아(190)는 수평 위치로부터 핀(미도시)을 기준으로 기기 설치구(120)와 메스(140)(도 6) 위로 수직 방향으로 회동한다(도 7). 록킹 바아는 계속해서 도 8 위치로 회전할 수 있고 거기서 그루브(202) 내에 안착한다. 그 위치(및 도 6의 위치)에서, 트레이(100)의 꼭대기면(102) 위로 자기의 손을 이동하는 사람은 록킹 바아들로부터 어떤 방해도 부딪히지 않을 것이다. 또한, 그루브는 록킹 바아를 그루브 밖으로 당기기 위해 손가락 또는 기기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움푹 파인 곳들(204)을 가질 수 있다. 록킹 바아들은 그루브 내의 멈춤쇠(detent)(미도시)와 결합하는 스프링-장전 핀(210)을 가질 수 있다. 그러한 배치는 록킹 바아를 기기들로부터 떨어지게 회전시킬 때까지 록킹 바아를 기기들 위에 유지시키는 경향이 있다.
록킹 바아는 꼭대기면과 바닥면 상에 상이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꼭대기면(220)(도 4)의 전부 또는 일부는, 예를 들어, 모든 록킹 바아들의 록킹되거나 거의 록킹된(도 5) 위치를 보여 줄, 녹색으로 채색될 수 있다. 상징들은 색상들을 대체할 수 있다.
도면들에서, 록킹 바아들은 기기 설치구들 위로 또는 그로부터 멀어지게 회동한다. 다른 배치들로 가능하지만 그들은 회동하는 록킹 바아의 모든 장점들을 제공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록킹 바아는 기기 설치구 위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기기 설치구로부터 이격된 위치까지 가늘고 긴 그루브 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유사하게, U-형상 패스너(fastener)가 각각의 기기 설치구의 사이드들에 인접하는 개구들 속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25에 도시된 트레이는 하나의 위치에서 기기들의 삽입과 제거를 방해하지만 다른 위치에서 기기 설치구들을 방해하지 않는 회동 록킹 플레이트를 사용한다. 다른 배치들 또한 가능하다.
수술이 시작될 때, 외과의사 또는 보조원은 모든 록킹 바아들, 예컨대, 완전히 로딩된 트레이(100)의 바아들(190, 200)을 개방한다. 물론, 모든 록킹 바아들이 초기에 개방될 필요는 없지만, 그렇게 하면 보다 더 편리할 수 있다. 수술이 진행됨에 따라, 외과의사 및 그의 스태프는 수술이 완료될 때까지 필요한 기기들을 사용한다. 그러면, 기기들은 그들의 최초 기기 설치구로 복귀된다.
모두 5개의 겸자들 또는 수술 클램프들(148)이 기기 설치구(128)로 복귀되고 록킹 바아(200)가 락(lock) 위치로 회동될 때, 록킹 바아는 트레이(100)의 꼭대기면(102)과 정렬한다(도 4 참조). 그러나, 만약 4개의 클램프들만 그들의 기기 설치구로 복귀되면, 록킹 바아가 락 위치로 회동될 때, 록킹 바아의 끝단은 그것이 숄더(194)와 접촉할 때까지 더 회동한다(도 5 참조). 결과적으로, 록킹 바아(도 5)의 우측은 트레이의 꼭대기면 위로 돌출한다. 그것은 받침점(fulcrum)으로 작용하는, 핀(198)이 록킹 바아의 짧은 사이드(224)에 더 가깝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적어도 하나의 겸자가 그 기기 설치구로부터 없어진 것을 한눈에 또는 트레이 위로 손을 움직여 알 수 있다.
유사하게, 만약 2개 미만의 겸자(140)가 기기 설치구(120)로 복귀되면, 록킹 바아(200)는 편평하지 않을 것이다(도 9 참조). 적어도 하나의 메스가 없어졌음을 쉽게 구별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바아들(190, 200)과 같은 회동하는 록킹 바아들을 구비하는 하나의 장점은 기기 설치구가 가득하지 않을 때 트레이(100)의 꼭대기면(102) 위로 돌출하는 그들의 방향이다. 트레이로부터 기기가 없어진 것을 발견하면, 수술 스위트 내의 담당자들은 기기를 찾아 볼 수 있다. 그러한 찾기(search)는 기기들을 트레이로 복귀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일부이기 때문에, 사용된 모든 기기들의 정확한 위치들을 찾아내는 것이 한 번에 취급되어 보다 효율적이 된다.
오거나이저의 제2 실시예는 트레이(300)(도 10, 도 11 및 도 12)를 포함한다. 트레이를 위한 물질은 트레이(100)(도 1)의 물질들과 유사하다. 도면들에 도시된 트레이를 위한 물질은 단단하지만, 굴곡될 수 있다.
트레이(300)는 적어도 2개의 영역들(301)(303)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0, 도11 및 도 13에서 도시하는 2개의 영역들은 하나의 영역이 다른 하나의 영역 위로 접히도록 함께 힌지(305) 결합될 수 있다. 도 10과 도 11 및 도 12를 비교하면, 도 10은 열려 있고, 도 12는 닫혀 있고, 도 11은 열림과 닫힘 사이이다. 트레이는 닫힌 위치에서 2개의 영역들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역(303) 상의 후크(311)(도 10)는 영역(301) 상의 핀, 구멍(eye) 또는 다른 구조(미도시)와 결합할 수 있다.
트레이가 플라스틱이면, 힌지(305)는, 사출 성형 동안 형성되는, 플라스틱 리빙 힌지(living hinge)일 수 있다. 리빙 힌지 대신에 직물, 금속 또는 플라스틱 또는 다른 형태의 힌지들이 사용될 수 있다.
트레이(300)는 일회용일 수 있다. 그러나, 임의의 비-일회용 물질들은 오토클레이브 온도들에 노출될 때 그들의 형태를 보유할 수 있어야 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트레이(300)는 표면 구역들(302a, 302b)로 구분된 꼭대기면(302)을 포함한다. 트레이는 직사각형이만, 다른 모양들도 허용된다. 또한, 트레이는 10에서 3개의 측벽들(304, 306a, 306b)만 볼 수 있는 매달린 측벽들을 가진다. 또한, 측벽(306c)(도 12)을 볼 수 있다. 2개의 영역들(301, 303)은 트레이가 개방 구성(도 10)일 때 틈새(308)를 따라 이격될 수 있다.
트레이(300)의 베이스는 개방될 수 있지만, 베이스는 본 실시예에서 폐쇄된다. 즉, 플레이트들(307a, 307b)이 베이스를 덮는다(도 10, 도 11, 도 12 및 도 14). 플레이트들은 이동 가능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플레이트들은 스크류들(309) 또는 다른 패스너들을 사용하여 트레이의 베이스에 고정된다. 플레이트들을 제거하면 트레이의 내측(310)(도 14)에 대한 엑세스가 가능하다.
트레이(300)의 꼭대기면(302) 내의 함몰부들은 수술 기기들을 수납하는 기기 설치구들을 형성한다. 도면들은 8개의 기기 설치구들(320, 322, 324, 326, 328, 330, 332, 334)을 도시하지만, 트레이는 더 많거나 더 적은 기기 설치구들을 가질 수 있다.
꼭대기면(302)의 하나의 사이드 또는 다른 사이드 상에 수술 기기들을 위치시키는 것은 트레이의 열림과 닫힘을 용이하게 한다. 어떤 기기도 힌지(305)를 지나 연장하지 않음을 도시하는 도 10 및 도 13을 참조한다. 각각의 기기 설치구들의 축은 힌지에 직교하지만, 기기 설치구들의 하나 이상의 앵글링(angling)은 더 긴 기기들을 수용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유사하게, 기기 설치구들의 방향을 다르게 하는 것은 트레이가 더 많은 기기들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각각의 기기 설치구의 모양은 특정 기기의 그것과 일치한다. 예를 들어, 설치구(320)의 모양은 메스(340)(도 10 및 도 13)의 모양과 일치한다. 기기 설치구(322)는 수술 클램프들(342)을 수납한다. 가위(344)는 기기 설치구(324)에 꼭 들어 맞고, 겸자(346)는 기기 설치구(326)에 꼭 들어 맞는다. 설치구(328)는 추가의 클램프들(348)을 유지한다. 기기 설치구들(330, 334, 332)는 소형, 중형 및 대형 바늘 홀더들(350, 354, 352)을 각각 수납한다. 기기 설치구들은 사람의 손가락들에 의해 또는 기기를 이용하여 기기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적절한 장소들에서 움푹 파인 곳(338)과 같은 움푹 파인 곳들을 가질 수 있다(도 10, 도 13, 도 18, 도 19 및 도 20 참조).
기기 설치구들은 상이한 개수의 수술 기기들과 상이한 치수의 수술 기기들을 수용하기 위해 상이한 깊이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의 단면도에서 가위(344)를 위한 기기 설치구(324)를 고려한다. 기기 설치구를 형성하는 함몰부는 측벽들(362, 364)의 바닥들인 바닥(360)을 포함한다. 측벽(362)의 꼭대기는 꼭대기면(302a)을 교차하는, 짧은 확장부(367)로 연장하는, 숄더(366)와 교차한다. 측벽(364)은 꼭대기면(302a)으로 연장한다.
베이스들(307a, 307b)은 각각의 기기 설치구들을 지지하기 위해 베이스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기둥(pillar)들을 가진다. 도면들은 베이스(307a)를 위한 기둥들만 도시한다. 기둥들(430, 432, 434, 436, 438, 440)을 도시하는, 도 14를 참조한다. 각각의 기둥(430, 434, 438, 440)은 꼭대기 상에서 캐버티를 가진 받침대(pedestal) 영역을 가진다(도 14, 도 15, 도 16 및 도 17의 받침대(442) 상의 캐버티(439) 참조). 기기 설치구(322)는 다른 설치구들보다 더 깊고 거의 베이스(307a)까지 연장하기 때문에, 기둥(432)은 수술 기기들이 표면(302a) 부근에 도달할 만큼 충분히 높게 그 캐버티(433)를 상승시키기 위한 받침대 영역이 필요 없다. 그러므로, 캐버티는 베이스(307a)까지 연장한다. 기둥들, 받침대들 및 캐버티들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기둥들(432, 438)을 위한 구조만 더 상세히 논의한다.
각각의 캐버티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도 14, 도 15, 도 16 및 도 17의 스프링(448)과 도 14의 스프링(446)을 참조). 판 스프링들 또는 다른 형태의 탄성 구조는 코일 스프링들을 대체할 수 있다. 도면들에서, 캐버티들은 원형 코일 스프링들을 수납하기 위해 원통형일 수 있다. 다른 형태의 스프링들이 사용되면, 캐버티들은 스프링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기둥들은 캐버티들을 위한 상이한 사이즈와 모양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들(446, 448)과 같은 스프링들은 각각의 기기 설치구의 베이스 즉, 설치구(324)의 바닥(360)을 통해 연장한다. 스프링은 플런저(380)의 아암(450)을 상방으로 민다. 유사하게, 스프링(448)은 베이스(449) 내의 개구를 통해 연장하고, 스프링은 플런저(452)의 아암(456)을 위쪽을 향해 민다. 각각의 스프링으로부터의 위쪽을 향하는 힘은 각각의 기기 설치구 내부의 수술 기기를 꼭대기면(302a, 302b)을 향해 위쪽으로 민다.
플런저(380)는 개구(381) 내에 장착된다(도 10, 도 13, 및 도 14 참조). 또한, 도 25는 플런저를 도시하지만, 그것은 그 도면의 논의와 함께 설명될 것이다. 상응하는 플런저들은 다른 기기 설치구들의 각각의 옆에 장착된다. 플런저(380)(도 14)는 직립부(382) 및 직립부의 바닥에 있는 베이스(384)를 포함한다. 플런저의 베이스는 수술 기기 즉, 기기 설치구(324) 내의 기기인, 가위(344) 아래의 기기 설치구(324)까지 연장한다.
도 15, 도 16 및 도 17은 기기 설치구(328)를 위한 플런저(452)를 더 상세히 도시한다. 플런저는 직립부(454)와 베이스(452)를 포함한다. 플런저의 베이스는 기기 설치구(324) 내부인 수술 클램프들(348) 아래로 연장한다. 기기 설치구(328)가 가득할 때 즉, 5개의 수술 클램프들을 포함할 때, 록킹 플레이트(390)는 스프링(448)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하는 힘에 대항하여 클램프들을 정 위치에 유지한다. 록킹 플레이트들은 아래에서 설명된다.
외과 시술 동안, 외과의사가 클램프들(342, 348)의 사이즈의 15개의 수술 클램프들을 사용할 계획임을 가정한다. 10개의 클램프들(342)은 설치구(322)에 있다. 그러므로, 그 수술을 위하여, 다른 기기 설치구, 설치구(328)는 더도 말고 덜도 말고 5개의 클램프들을 유지할 만큼 충분히 깊어야만 한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는 클램프들을 하나의 설치구(322) 내의 10개의 클램프들과 다른 설치구(328) 내의 5개로 구분하지만, 각각의 설치구의 깊이는 9개와 6개, 8개와 7개, 또는 일부 다른 구분으로 구분된 15개의 클램프들을 수납하기 위한 총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만약 외과의사가 4개의 겸자들이 필요하다고 예상하면, 기기 설치구(326)는 4개의 겸자들(436)을 유지할 만큼 충분한 깊이이다. 겸자들의 높이는 클램프들의 높이보다 더 크기 때문에, 4개의 겸자들을 유지하는 기기 설치구(326)는 3개의 가위들을 유지하는 기기 설치구(328)보다 더 깊다. 가장 깊은 기기 설치구(322)는 10개의 수술 클램프들(348)을 유지한다.
기기 설치구들은 추가의 수술 기기들을 수용하기 위해 더 깊게 만들어 질 수 있지만, 기기들의 일반적인 개수는 더 깊은 설치구와 함께 사용되고, 기기들 아래에는 스페이서가 설치될 수 있으므로 최-상위의 기기는 도 14의 최-상위 기기의 그것과 유사한 위치이다.
록킹 바아 또는 플레이트는 각각의 기기 설치구 내의 최-상위 기기 위로 연장한다. 모든 설치구들을 위한 록킹 플레이트들은 유사하고, 록킹 플레이트(390)(도 15 내지 도 18)만 논의된다. 기기 설치구(328)는 5개의 수술 클램프들(348)(도 14)을 유지한다. 록킹 플레이트(390)는 숄더(366) 속으로 연장하는, 샤프트(392) 상에 장착된다. 록킹 플레이트의 꼭대기면(400)은 트레이의 꼭대기면(302a)과 동일한 면이거나 꼭대기면(302a)과 동일한 면에 가깝다. 록킹 플레이트는 도 15의 5개의 클램프들의 최-상위 클램프 상에 록킹된 위치이다. 록킹 플레이트들은 반-원형(semicircular)일 수 있다. 모든 록킹 플레이트들이 그들의 록킹된 방향으로 굴곡되거나 반원형의 표면들을 가짐으로써, 사용자는 트레이를 보고 모든 록킹 플레이트들이 그들의 록킹된 위치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각각의 록킹 바아의 굴곡된 사이드가 우측을 향하는 도 15 참조). 중형 및 대형 바늘 홀더들(352, 354)(도 13)과 같은 더 큰 기기들을 위한 하나 이상의 록킹 바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2개의 록킹 플레이트들(391)은 이들 기기들을 락(lock)시킨다. 또한, 원형 표면들은 서로 면한다. 반원형 록킹 플레이트들에 의해 제공되는 장점을 보는 것에 부가하여, 록킹 플레이트들의 원형의 외면은 플레이트들이 그들의 록킹된 위치로 회동될 때 최-상위 수술 기기 위로 더 쉽게 슬라이딩한다.
록킹 플레이트들은 각각의 록킹 플레이트가 록킹 또는 언록킹(unlocked) 위치에 도달할 때, 록킹 플레이트가 그 위치에서 멈출 수 있도록 스탑(stop) 또는 스탑들(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스탑은 록킹 플레이트의 록킹 또는 언록킹 여부에 대한 터치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록킹 플레이트들은 화살표 또는 다른 분명한 도형과 같은 표시(indicia)를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록킹 플레이트들의 반대 사이드들은 대비되는 색상들을 가질 수 있다. 표시 또는 대비되는 색상들은 모든 록킹 플레이트들의 록킹 여부를 용이하게 결정하게 한다.
기기 설치구로부터 기기를 제거하기를 원하면, 사용자는 도 15의 위치로부터 도 16의 위치로 록킹 플레이트(390)를 회전시킨다. 또한, 도 19 및 도 20를 참조하면, 기기 설치구(320) 내의 메스(340)와 상호작용하는 록킹 플레이트(394)를 도시한다. 록킹 플레이트가 도 19 위치일 때, 그것은 최상위 메스(340)의 일 부분의 위이고 기기 설치구(320)로부터 기기의 제거를 방해한다. 도 20의 위치에서, 록킹 플레이트는 메스와의 접촉이 해제되도록 회동하여, 메스의 제거를 허용한다.
트레이의 2개의 절반들(301, 303)이 그들의 열림 및 닫힘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할 때, 록킹 플레이트 예컨대, 플레이트(394)는 기기 설치구들로부터 수술 기기들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수술 시작 전에, 정확한 개수의 적절한 기기들은 기기 설치구들에 로딩되고, 모든 록킹 플레이트들은 록킹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므로, 각각의 기기는 각각의 기기 설치구 내에 고정된다. 외과의사 또는 조보자는 완전히 로딩된 트레이(300)의 모든 록킹 플레이트 예컨대, 플레이트(390)를 개방한다. 물론, 시작할 때 모든 록킹 플레이트들이 개방될 필요는 없지만, 그렇게 하면 보다 더 편리할 수 있다.
록킹 플레이트가 언록킹 방향으로 회동될 때, 스프링(448)은 기기들(348)과 플런저(454)를 상승시킨다. 도 15, 도 16 및 도 17을 비교한다. 플런저가 상승할 때, 직립부(454)의 꼭대기 부분은 표면(302a)(도 16)과 동일한 높이 또는 거의 동일한 높이로 돌출하고 대략 표면(도 17)의 위치로 돌출한다. 측벽들(363, 365)은 기기 설치구(328)를 형성하고, 측벽(365)은 플런저(452)의 아암(456)을 수납하는 슬롯(369)을 가진다. 슬롯의 꼭대기는 플런저가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제한한다. 그러므로, 도 17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런저의 꼭대기 부분이 표면(302a) 위로 연장한다.
수술이 진행됨에 따라, 외과의사와 그의 스태프는 수술이 완료될 때까지 필요한 만큼 기기를 사용한다. 그러면, 기기들은 그들의 원래의, 각각의 기기 설치구로 복귀된다. 동일한 형태 및 사이즈의 수술 기기들이 2개 이상의 기기 설치구들에 꼭 들어 맞으면, 기기들은 임의의 적절한 설치구들로 복귀될 수 있다. 정확한 수의 기기들이 적절한 기기 설치구로 복귀할 때 각각의 플런저의 꼭대기만이 꼭대기면(302a) 위로부터 물러난다. 그러므로, 모든 5개의 수술 클램프들(348)이 기기 설치구(328)로 복귀되고, 록킹 플레이트가 그 록킹 위치로 복귀할 때, 플런저(452)의 꼭대기는 꼭대기 면(302a) 아래로 밀려진다.
5개보다 더 작은 수술 클램프들(348)이 기기 설치구(328)로 복귀되면, 플런저(452)의 꼭대기는 꼭대기 면(302a) 위에 남아 있다. 수술 후 트레이를 다시 채우는 사람이 임의의 플런저들이 꼭대기 면들(302a, 302b)을 기준으로 연장하는 것을 보면, 그는 적어도 하나의 기기가 트레이에 복귀되지 않았음을 알게 된다. 그러나, 모든 플런저들이 철회되면, 사용자는 모든 기기 설치구들이 채워졌음을 안다. 그러므로, 수술 전의 트레이 내의 모든 기기들이 트레이(300)로 복귀되었고 하나도 없어진 것이 없다.
각각의 플런저의 꼭대기는 시각적 검사를 쉽게 하기 위하여 꼭대기면들(302a, 302b)의 색상과 대조되도록 채색될 수 있다. 또한, 외과의사 또는 스태프 멤버는 꼭대기면들을 기준으로 연장하는 플런저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꼭대기면들 위로 손을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만약 아무것도 느껴지지 않으면, 기기 설치구들이 다시 채워졌고 모든 기기들이 트레이에 돌아오게 된다. 모든 기기들이 다시 로딩된 후 돌출하는 플런저가 느껴지면, 기기가 복귀되지 않았음을 즉각적으로 안다. 그것이 발생할 때, 수술 스위트 내의 사람들은 그 기기를 찾을 수 있다. 찾기는 기기들을 트레이로 복귀시키는 것과 동시에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사용된 모든 기기들의 위치를 한번에 확인할 수 있어서 더 효율적이 된다.
도 21, 도 22, 및 도 23이 도시하는 오거나이저는 트레이(1000)를 포함한다. 트레이의 물질은 트레이(100, 300)(도 1 및 도 10)의 물질들과 유사할 수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트레이를 위한 물질은 단단하지만, 굴곡될 수 있다.
트레이(1000)는 적어도 2개의 영역들(1001, 1003)로 구분될 수 있다. 2개의 영역들은 하나의 영역이 다른 영역으로 닫힌 위치로 접히게 하기 위하여 서로 힌지(1005) 결합될 수 있다. 도 21 참조. 트레이는 닫힌 위치에서 2개의 영역들을 고정하기 위한 락 또는 다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트레이가 플라스틱이면, 힌지(1005)는, 사출 성형 동안 형성된 힌지 형태의, 플라스틱 리빙 힌지일 수 있다. 리빙 힌지 대신에 직물, 금속 또는 플라스틱 또는 다른 형태의 힌지들이 사용될 수 있다.
트레이(100)는 일회용일 수 있다. 그러나, 임의의 비-일회용 물질들은 오토클레이브 온도들에 노출될 때 그들 형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트레이(1000)의 영역(1001)은 꼭대기면(1002a)을 포함한다. 또한, 영역(1003)은 꼭대기면(1002b)을 포함한다. 트레이와 그 영역들은 직사각형이지만, 다른 모양들이 허용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는 도 22 및 도 23에서 3개의 측벽들(1004, 1006a, 1006b)만 볼 수 있는 매달린 측벽들을 가진다. 2개의 영역들(1001, 1003)은 트레이가 개방될 때(도 22 및 도 23) 틈새(1008)를 따라 이격될 수 있다.
트레이(1000)의 꼭대기면들(1002a, 1002b) 내의 함몰부들은 수술 기기들을 수납하는 기기 설치구들을 형성한다. 도 22 및 도 23의 영역(1001)은 8개의 제1 기기 설치구들(1020, 1022, 1024, 1026, 1028, 1030, 1032, 1034)를 가지고, 영역(1003)은 8개의 보충하는(complementary), 제2 기기 설치구들(1021, 1023, 1025, 1027, 1029, 1031, 1033)을 가진다. 특정의 수술들의 조건들에 따라, 트레이는 더 많거나 더 적은 기기 설치구들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문단에서 "보충"은 영역(1003) 내의 각각의 제2 기기 설치구가 상응하는 영역(1001) 내의 제1 기기 설치구와 일반적으로 동일한 모양과 깊이를 가지는 의미이다(도 22 및 도 23 참조). 그러므로, 기기 설치구들(1021, 1023)은 일반적으로 메스들과 수술 클램프들을 각각 유지하기 위한 각각의 설치구들(1020, 1022)과 동일한 모양과 깊이를 가진다.
기기 설치구들은 사람의 손가락들에 의해 또는 기기의 도움으로 기기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적절한 장소들에 있는 푹 파인 곳들(1038, 1039)과 같은 푹 파인 곳들을 가질 수 있다.
기기 설치구들은 상이한 개수의 수술 기기들과 상이한 치수의 기기들을 수용하기 위해 상이한 깊이들을 가질 수 있다. 수술 기기의 두께 및 그들 기기들의 미리 결정된 개수의 높이에 대한 기기 설치구들의 깊이들은 도 3 및 도 14에 대한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되었다. 그들 설명들이 완전하기 때문에, 도 22 및 도 23은 그 기기 설치구들의 변형된 깊이를 도시하지 않는다. 또한, 도 14는 수술 기기들을 트레이의 꼭대기를 향해 미는 스프링들을 포함하는 배치를 도시한다. 도 22 및 도 23이 도시하는 디바이스는 그러한 배치를 사용할 수 있다.
록킹 바아는 각각의 기기 설치구 내의 최-상위 기기 위로 연장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바아(190)와 같은 록킹 바아들은 각각의 기기 설치구의 꼭대기 위로 회동하거나 꼭대기로부터 벗어나도록 장착된다. 도 10의 실시예에서, 플레이트(390)와 같은 록킹 바아는 각각의 기기 설치구의 적어도 일부분 위로 슬라이드 또는 회동한다. 도 22 및 도 23은 도 1이 도시하는 록킹 바아들(190)을 사용한다. 그러나, 그것은 도 10의 실시예 또는 균등물들의 그러한 것들을 사용할 수 있다.
외과 시술이 시작할 때, 살균 수술 기기들을 포함하는, 트레이(1000)는 수술 스위트 내에 있다. 영역(1001) 내의 8개의 기기 설치구들(1020, 1022, 1024, 1026, 1028, 1030, 1032, 1034)에는 각각의 기기 설치구를 위한 수술 기기들이 미리 결정된 개수로 로딩된다. 영역(1003) 내의 8개의 다른 기기 설치구들(1021, 1023, 1025, 1027, 1029, 1031, 1033, 1035)은 빈 채로 시작된다. 영역들(1001, 1003)의 꼭대기 면들은 상이한 색상일 수 있고, 비사용된 수술 기기들을 포함하는 기기 설치구들을 가진 영역과 빈 기기 설치구들을 포함하는 영역 사이를 구별하기 위한 표시를 가질 수 있다.
시술이 시작될 때, 록킹 바아들은 제1 영역(1001) 내의 그들의 각각의 설치구들로부터 수술 기기들의 제거를 허용하는 위치로 회동되거나 이동된다. 외과의사가 필요로 하는 기기는 기기 설치구로부터 제거되어 외과의사에게 제공된다. 예를 들어, 도 23은 기기 설치구(1022)로부터 제거된 수술 클램프(1042)를 도시하고, 사용 후, 클램프는 기기 설치구(1021)로 복귀된다. 외과의사가 각각의 특정 기기의 사용을 완료한 후, 기기는 영역(1003) 내의 그 적절한, 보충 기기 설치구(1021, 1023, 1025, 1027, 1029, 1031, 1033, 1035)로 복귀된다. 수술 기기를 적절한 기기 설치구로 복귀시키는 것은 외과의사가 그 사용을 종료한 후 즉각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기기는 한쪽으로 치워져야 하고 나중에 적절한 기기 설치구 속으로 넣어진다.
수술이 시작할 때(도 22 및 도 23), 영역(1003) 내의 기기 설치구들은 비어 있다. 그러나, 기기 설치구는 상이한 위치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딩된 설치구(1020)는 빈 설치구(1021) 옆일 수 있고, 로딩된 설치구(1022)는 빈 설치구(1023) 옆일 수 있다. 빈 설치구들은 로딩된 설치구에 대해 돌아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빈 기기 설치구들의 일부는 영역(1001)의 하나의 사이드 상일 수 있고, 남아 있는, 빈 설치구는 영역의 다른 사이드 상일 수 있다. 기기 설치구들을 위한 다른 배치들이 가능하다.
영역(1003) 상의 기기 설치구들을 위한 다양한 록킹 바아 구조들은 기기 설치구들이 모든 적절한 수술 기기들을 가질 때만 편평하게 놓여져야 한다. 또한, 록킹 바아들은 그 표면들 상에서 상이한 색상들 또는 표시를 가질 수 있다. 적절한 색상 또는 표시는 가득한 기기 설치구들을 표시한다. 또한, 디바이스는 도 15,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플런저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기기 설치구(120)(도 1 및 도 2)와 같은 기기 설치구들의 사이드들과 바닥은, 설치구들의 꼭대기들만 개방된 채로 남겨두고, 수술 기기들을 둘러싼다. 구체적으로, 오거나이저가 열의 전도성이 좋지 않은 플라스틱이면, 오토클레이브 내의 고압 스팀은 기기 설치구들 및 설치구들 내의 수술 기기들을 충분히 살균할 수 없다. 도 25 내지 도 29는 기기 설치구들 내의 변형들을 도시하고, 도 24는 기기들과 설치구들에 도달하는 스팀을 강화시키는 오거나이저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25, 도 26, 및 도 27에서, 트레이(1100)의 꼭대기면(1102)은 수술 기기들을 수납하기 위한 기기 설치구들을 형성하는 함몰부들을 가진다. 도 25는 매스들을 수납하는 형상을 가진, 그러한 하나의 설치구(1120)만을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의 설치구(120)와 비교한다. 설치구(1120)는 설치구로부터 수술 기기를 제거함에 있어서 손가락 또는 도구가 설치구 속으로 용이하게 들어가게 하기 위하여 적절한 장소들에 있는 움푹 파인 곳들(1138)을 가질 수 있다.
연속적인 바닥과 사이드들 대신에, 오토클레이브로부터 스팀이 설치구 내의 수술 기기들에 도달하도록 하기 위하여 기기 설치구(1120)는 개방된다(도 25 및 도 27 참조). 기기 설치구(1120)는 지지 부재들(1118)의 격자를 사용함으로써 개방된다. 지지 부재는 그 각각이 수직 서포트들(1124, 1126)에 의해 측면에 배치되고, 수평 서포트의 끝단들로부터 꼭대기면(1102)까지 연장하는, 수평 서포트들(1122)를 구비한다.
도 25 및 도 26은 4개의 지지 부재들(1118)을 도시하지만, 디바이스는 더 많거나 더 적게 가질 수 있다. 커넥터(1132)는 수평 서포트들(1122)을 가진 부착물을 통해 지지 부재들 사이에서 연장한다. 수직 레그들(1128, 1130)은 기기 설치구의 전방과 후방에서 커넥터(113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한다. 수평 서포트들은 기기 설치구의 전방으로부터 후방까지 상이한 폭들을 가진 수술 기기들을 수용하기 위해 상이한 길이들(도 25)을 가짐을 유의해야 한다. 수평 서포트들(1122), 수직 서포트들(1124, 1126), 커넥터(1132) 및 수직 레그들(1128, 1130)은 단일의 일체화된 부재일 수 있다. 그러나, 도 25에서, 스프링과 플런저를 위한 하우징(1140)은 일체화된 부재를 2개의 부분들로 분리시킨다.
대안적 실시예로서, 수직 레그들에 부착된 단단한 바닥 표면은 수평 서포트들을 대체한다. 또한, 단단한 표면은 스팀이 들어가게 하는 개구들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허용 가능한 살균을 제공할 수 있다. 유사하게, 스팀이 기기 설치구들의 꼭대기들과 바닥들(및 단단한 측벽들 내의 임의의 개구들)을 통해 들어갈 수 있도록, 수평 서포트들은 단단한 측벽들(스팀을 위한 개구들을 가질 수도 있고 가지지 않을 수 있음)의 바닥 사이로 연장할 수 있다.
서포트(1118)(도 25)와 같은 지지 부재들을 사용하면 고압 스팀이 수술 기기들에 도달하게 하는 실질적인 공간을 남기게 된다. 그러나, 다른 배치들도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기 설치구들을 형성하는 벽들은 벽들을 관통하는 천공들 또는 다른 개구들을 가진 명목상의 고체일 수 있다. 스크린-유사 물질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유사하게, 이격된 플라스틱 스트립들은 도 1과 도 2 및 다른 도면들의 단단한 벽들과 동일한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형상화될 수 있다. 스트립들 사이의 간격은 고압 스팀이 수술 기기들에 도달하게 한다. 강도(strength)를 위하여, 짧은 패스너들은 인접한 스트립들을 연결할 수 있다.
도 25의 기구 설치구는 도 14 내지 도 20의 스프링 및 플런저와 유사한 스프링-플런저 장치를 사용한다. 스프링들은 그들의 각각의 기기 설치구들 내부의 수술 기기들을 상승시켜서 그들을 용이하게 도달시킨다. 플런저는 각각의 기기 설치구가 모든 그 기기들을 포함하고 있거나 일부 기기들이 설치구로부터 없어진 것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스프링(1146)과 같은 스프링들은 기기 설치구(1120) 아래의 하우징(1140) 내에 장착된다(도 26 참조). 소형 플레이트(1148)는 스프링의 꼭대기에 부착되고 최-상위 수술 도구(1142)와 접촉한다. 스프링은 플레이트(1148)를 상방으로 밀어서, 차례차례로 수술 기기들을 상방으로 밀게 된다.
또한, 플레이트(1148)는 플런저(1180)(도 25)로 연장한다. 플레이트와 플런저는 단일 부품일 수 있다. 플런저는 플런저(도 25의 원형)의 모양과 동일한, 개구(1181) 내에 장착된다. 플레이트(1148)를 상방으로 밀게 되면, 스프링(1146) 또한 플런저(1180)를 상방으로 민다.
또한, 도 25는 기기 설치구(1120)에 인접한 록킹 플레이트(1190)를 도시한다. 도 25의 위치에서, 록킹 플레이트는 스프링(1148)으로부터의 위쪽을 향하는 힘에 대항하여 수술 기기들을 정 위치로 유지한다. 그러므로, 록킹 플레이트는 기기 설치구로부터 수술 기기들의 삽입 또는 제거를 방해한다. 록킹 플레이트는 반원 모양을 가진다. 핀(1192)은 록킹 플레이트를 스프링-플런저 하우징(1140)에 장착한다. 트레이(1102)의 꼭대기는 도 25의 위치로부터 180° 회전될 때 대부분의 록킹 바아를 수납할 수 있는, 컷아웃(cutout)(1194)을 가진다. 그러한 회전된 위치에서, 수술 기기들은 기기 설치구에 부가되거나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록킹 플레이트의 굴곡되거나 반원형 사이드는 모든 것이 그들의 록킹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모든 록킹 플레이트들을 사람이 보게 한다.
도 28 및 도 29의 트레이(1200)의 꼭대기면(1202)은 수술 기기들을 수납하기 위한 기기 설치구들을 형성하는 함몰부를 가진다. 도 25는 메스들을 수납하도록 형상화된 그러한 하나의 설치구(1220)만을 도시한다. 기기 설치구(1220)는 설치구로부터 수술 기기를 제거함에 있어서 손가락 또는 도구가 설치구 속으로 용이하게 들어가게 하도록 적절한 장소들에 있는 움푹 파인 곳들(1238)을 가질 수 있다.
도 25의 설치구와 유사하게, 기기 설치구(1220)는 또한 스팀이 수술 기기들뿐만 아니라 설치구를 형성하는 물질에 도달되게 하도록 개방된다(도 28 참조). 기기 설치구(1220)는 지지 부재들(1218)의 격자를 가진다. 지지 부재는 수평 서포트의 끝단들로부터 꼭대기면(1202)까지 연장하는, 수직 서포트들(1224, 1226)에 의해 그 각각이 측면에 배치된, 수평 서포트들(1222)을 구비한다.
도 25의 디바이스가 사용하는 회동하는 록킹 플레이트들(1190)을 사용하는 대신에, 록킹 바아들(1290)이 사용될 수 있다. 록킹 바아들의 구성과 장착은 도 1의 록킹 바아(190)의 그것들과 유사하다. 특히, 록킹 바아는 리세스(1292) 내의 핀(1294)에 장착된다(도 28 및 도 29 참조). 록킹 바아는 리세스로부터 수술 도구들의 부가 또는 제거를 방지하는 리세스(1220) 위의 임의의 위치와 수술 도구들의 부가 또는 제거를 허용하는 임의의 위치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29의 기기 설치구 및 관련된 구조에 대한 개량들에 부가하여, 트레이(1100)(도 24)는 개방 사이드들(1103, 1104, 1105, 1106) 및 도 24에서 볼 수 없는 다른 사이드들을 가진다. 개방 사이드들은 고압 스팀이 기기 설치구들과 수술 도구들에 용이하게 도달하게 함으로써 살균을 향상시킨다.
도 24 내지 도 29만 개방 사이드들과 개방 기기 설치구들을 도시하지만, 다른 도면들에 도시된 오거나이저 또한 그러한 특징들을 사용할 수 있다. 비록 오거나이저가 기기들을 빼내고 수술 후 그들을 복귀시키기 위해 동일한 기기 설치구들을 사용하더라도, 그들 오거나이저들은 개방 사이드들과 개방 기기 설치구들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이며,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오로지 예시적인 방식이다. 비록 본 출원은 예들을 도시하고 설명하지만, 당업자들은 변화들, 수정들 또는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많은 예들이 방법들, 행위 또는 시스템 요소들의 특정의 조합들을 수반하지만, 그들 행위들과 요소들은 동일한 목적들을 수행하기 위해 다른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와 관련해서만 논의된 행위들, 요소들 및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의 유사한 기능으로부터 배제될 의도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는 2개 이상을 의미한다. 물품들의 "세트"는 그러한 물품들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서술된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항들 내에서 "구비하는", "포함하는", "보유하는(carrying)", "가진", "함유하는(containing)", "수반하는(involving)" 등은 개방형(open-ended), 즉, 각각 "포함하지만 한정되지 않는"을 의미한다. "이루어지는" 및 "실질적으로 구성된"의 번역구들만이 청구항들과 관련하여 폐쇄형 또는 반-폐쇄형 번역구들이다. 청구항의 구성요소를 수정하기 위하여 청구항들 내의 "제1", "제2", "제3" 등과 같은 통상적인 용어들은 그들 자체가 임의의 우선성, 우선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하나의 청구항 구성요소의 순서 또는 방법들의 행위들이 수행되는 시간적 순서를 암시하는 것은 아니다. 대신에, 그들은 단지 특정의 이름을 가진 하나의 청구항 구성요소를 동일한 이름(그러나, 서수 용어의 사용을 위해)을 가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라벨에 불과하다. "또한"과 같은 대안들은 열거된 항목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100 : 트레이
102 : 꼭대기면
120, 122, 124, 126, 128, 130, 132, 134 : 기기 설치구
140 : 메스
142 : 수술 클램프
144 : 가위
146 : 겸자
162, 164 : 측벽
166, 168 : 숄더
170, 172 : 짧은 확장부
190, 192 : 록킹 바아
200 : 록킹 바아의 꼭대기면

Claims (17)

  1. 수술 기기들을 유지하기 위한 오거나이저(organizer)에 있어서,
    상면을 가진 트레이; 및
    수술 기기들의 외형에 상응하는 모양을 가진 기기 설치구(instrument well)들을 형성하는 상기 트레이 내의 다수의 함몰부들을 구비하고,
    각각의 기기 설치구는 상기 수술 기기들의 미리 결정된 개수의 스택(stack)의 높이에 상응하는 깊이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기기 설치구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기 설치구보다 더 깊게 되어 있고,
    각각의 기기 설치구의 깊이는, 특정 도구의 미리 결정된 개수를 유지하고,
    상기 오거나이저는, 상기 트레이의 상면에 있고 제1 기기 설치구의 일부분을 덮는 제1 위치와, 상기 제1 기기 설치구를 덮지 않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록킹 바아(locking bar)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기기 설치구는 상기 제1 기기 설치구로부터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숄더(should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숄더는 상기 트레이의 상면 아래의 거리(distance)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기기 설치구가 특정 도구의 미리 결정된 개수를 보유할 때 상기 제1 록킹 바아는 상기 상면과 정렬되고, 상기 제1 기기 설치구가 특정 도구의 미리 결정된 개수보다 더 적거나 더 많은 개수를 보유할 때 상기 제1 록킹 바아는 상기 상면과 정렬되지 않고,
    상기 제1 록킹 바아는 핀에 회동되게 장착되고, 상기 제1 록킹 바아는 상기 핀으로부터 연장하는 짧은 영역과 상기 짧은 영역에 대향하는 더 긴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핀은 받침점(fulcrum)으로서 작용하고 상기 제1 록킹 바아가 제1 위치로 복귀되고 그의 상응하는 기기 설치구가 특정 도구의 미리 결정된 개수보다 더 적은 수를 포함할 때 상기 제1 록킹 바아의 상기 짧은 영역을 상기 핀 위로 돌출시키는, 오거나이저.
  2.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록킹 바아는 꼭대기면과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꼭대기면와 바닥면은 상이한 색상을 갖는, 오거나이저.
  3.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록킹 바아는 꼭대기면과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꼭대기면와 바닥면은 상이한 표시(indicia)를 갖는, 오거나이저.
  4. 청구항 1에서,
    상기 트레이의 상면은 평평한, 오거나이저.
  5. 청구항 1에서,
    상기 트레이는 단단한(rigid), 오거나이저.
  6. 청구항 1에서,
    제2 기기 설치구에 인접하는, 상기 트레이의 상면에서 적어도 제2 록킹 바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기기 설치구는 상기 제1 기기 설치구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2 록킹 바아는 상기 제2 기기 설치구의 일부분을 덮는 제1 위치와 상기 제2 기기 설치구로부터 이격된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위치 내의 상기 제2 록킹 바아는 상기 제2 기기 설치구로부터 도구의 제거 또는 그 속으로 도구의 부가를 방해하고,
    상기 제2 위치 내의 상기 제2 록킹 바아는 상기 제2 기기 설치구로부터 도구의 제거 또는 그 속으로 도구의 부가를 허용하는, 오거나이저.
  7. 특정의 모양들과 높이들을 가진 수술 기기들을 유지하기 위한 오거나이저에 있어서,
    꼭대기를 가지고, 꼭대기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고, 특정 수술 기기의 외형에 상응하는 모양을 각각 가진 기기 설치구들을 형성하는 다수의 함몰부들을 구비하고;
    각각의 기기 설치구는 특정 기기의 스택의 높이에 상응하는 깊이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기기 설치구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구 설치구의 깊이와 상이한 깊이를 갖고,
    각각의 기기 설치구의 깊이는 특정 기기의 미리 결정된 개수를 유지하고,
    상기 오거나이저는, 제1 기기 설치구의 꼭대기에 인접하고 상기 제1 기기 설치구의 일부분을 덮는 제1 위치와 상기 제1 기기 설치구를 개방시키는 제1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록킹 바아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함몰부는 상기 제1 기기 설치구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숄더(shoulder)를 가진 제1 기기 설치구를 형성하고, 상기 숄더는 상기 제1 기기 설치구의 꼭대기 아래의 거리(distance)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기기 설치구가 특정 기기의 미리 결정된 개수를 보유할 때 상기 제1 록킹 바아가 상기 제1 기기 설치구의 꼭대기와 정렬될 수 있고, 상기 제1 기기 설치구가 특정 기기의 미리 결정된 개수보다 더 적거나 더 많이 보유할 때 상기 제1 록킹 바아가 상기 제1 기기 설치구의 꼭대기와의 정렬이 해제되고,
    상기 록킹 바아는 꼭대기면과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꼭대기면과 바닥면은 상이한 색상을 갖는, 오거나이저.
  8. 청구항 7에서,
    상기 제1 록킹 바아는 핀 상에서 회동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핀은 상기 제1 록킹 바아를 더 짧은 영역과 더 긴 영역의 2개의 상이한 길이들로 구분하고,
    상기 핀은 받침대로서 작용하고 상기 제1 록킹 바아가 제1 위치로 복귀되고 그의 상응하는 기기 설치구가 특정 기기의 미리 결정된 개수보다 더 적은 수를 포함할 때 상기 제1 록킹 바아의 짧은 영역을 상기 핀 위로 돌출시키는, 오거나이저.
  9. 청구항 7에서,
    제2 기기 설치구에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록킹 바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기기 설치구는 상기 제1 기기 설치구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2 록킹 바아는 상기 제1 기기 설치구의 일부분을 덮는 제1 위치와 상기 제2 기기 설치구로부터 이격된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위치 내의 상기 제2 록킹 바아는 상기 제2 기기 설치구로부터 도구의 제거 또는 그 속으로 도구의 부가를 방해하고,
    상기 제2 위치 내의 상기 제2 록킹 바아는 상기 제2 기기 설치구로부터 도구의 제거 또는 그 속으로 도구의 부가를 허용하는, 오거나이저.
  10. 특정 모양들과 높이들을 가진 수술 기기들을 유지하기 위한 오거나이저에 있어서,
    기기 설치구들을 형성하는 다수의 함몰부들로서, 각각의 기기 설치구는 꼭대기를 가지고, 각각의 꼭대기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고, 특정의 수술 기기의 외형에 상응하는 모양을 각각 갖는 다수의 함몰부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기기 설치구는 특정의 수술 기기의 스택(stack)의 높이에 상응하는 깊이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기기 설치구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기 설치구의 깊이와 상이한 깊이를 갖고; 그리고
    각각의 기기 설치구의 깊이는 특정 기기의 미리 결정된 개수를 유지하고, 상기 오거나이저는 제1 기기 설치구의 꼭대기에 인접하고, 상기 제1 기기 설치구의 일부분을 덮는 제1 위치와, 상기 제1 기기 설치구를 덮지 않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록킹 바아(locking bar)를 더 구비하고,
    함몰부는 상기 제1 기기 설치구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숄더를 갖는 제1 기기 설치구를 형성하고,
    상기 숄더는 상기 제1 기기 설치구의 꼭대기의 아래의 거리(distance)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기기 설치구가 특정 도구의 미리 결정된 개수를 보유할 때 상기 제1 록킹 바아는 상기 제1 기기 설치구의 상면과 정렬되고, 상기 제1 기기 설치구가 특정 도구의 미리 결정된 개수보다 더 적거나 더 많은 개수를 보유할 때 상기 제1 록킹 바아는 상기 제1 기기 설치구의 상면과 정렬되지 않고,
    상기 제1 록킹 바아는 꼭대기면과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꼭대기면와 바닥면은 상이한 표시를 갖는, 오거나이저.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77010512A 2014-10-08 2015-07-27 외과 수술 동안 사용되는 수술 기기들과 물품들을 위한 오거나이저 KR1025356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09,986 US9179978B1 (en) 2014-10-08 2014-10-08 Organizer for surgical tools and items used during surgery
US14/509,986 2014-10-08
US14/685,465 US9474579B2 (en) 2014-10-08 2015-04-13 Organizer for surgical instruments and items used during surgery
US14/685,465 2015-04-13
US14/798,327 US20160100891A1 (en) 2014-10-08 2015-07-13 Organizer for surgical instruments and items used during surgery
US14/798,327 2015-07-13
PCT/US2015/042307 WO2016057102A1 (en) 2014-10-08 2015-07-27 Organizer for surgical instruments and items used during surg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550A KR20170065550A (ko) 2017-06-13
KR102535661B1 true KR102535661B1 (ko) 2023-05-22

Family

ID=55653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512A KR102535661B1 (ko) 2014-10-08 2015-07-27 외과 수술 동안 사용되는 수술 기기들과 물품들을 위한 오거나이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60100891A1 (ko)
EP (1) EP3203923B1 (ko)
JP (1) JP6735740B2 (ko)
KR (1) KR102535661B1 (ko)
CN (1) CN106999253B (ko)
AU (1) AU2015328645B2 (ko)
CA (1) CA2963513C (ko)
ES (1) ES2799906T3 (ko)
RU (1) RU2697312C2 (ko)
WO (1) WO20160571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9215A1 (en) * 2016-07-08 2018-01-11 Stryker European Holdings I, Llc Storage assembly for a medical device
USD799059S1 (en) * 2016-09-14 2017-10-03 Latifa Self Surgical Instrument Organizer
USD829565S1 (en) * 2017-05-01 2018-10-02 Best Accessory Group LLC Package for personal grooming accessories
USD829566S1 (en) * 2017-05-01 2018-10-02 Best Accessory Group LLC Package for makeup brush accessories
DE102017209966A1 (de) * 2017-06-13 2018-12-13 Kuka Deutschland Gmbh Instrumentensieb für chirurgische instrumente
US20190184221A1 (en) * 2017-12-18 2019-06-20 Depco, Inc. Tray for holding exercise putty and putty tools
KR200489595Y1 (ko) 2018-06-20 2019-07-11 주식회사 실로무역 가방용 오거나이저
GB201817051D0 (en) * 2018-10-19 2018-12-05 Depuy Ireland Ultd Co Surgical instrument tray
USD941138S1 (en) * 2019-05-22 2022-01-18 Best Accessory Group LLC Package for grooming accessories
CN111114965B (zh) * 2019-12-28 2022-09-16 陕西理工大学 一种基于土地检测土层风化研究用土层放置装置
USD940550S1 (en) * 2020-01-14 2022-01-11 Best Accessory Group LLC Package for grooming accessories
CN111449763B (zh) * 2020-04-09 2021-02-26 吉林大学 一种手术室护理用托盘固定装置
CN111728708A (zh) * 2020-06-18 2020-10-02 鹤壁市人民医院 一种用于内分泌医用器材的固定装置
USD991781S1 (en) * 2021-11-10 2023-07-11 Best Accessory Group LLC Package for bathing articles
CN117547360B (zh) * 2024-01-11 2024-04-02 佳木斯大学 一种介入手术室器械放置工具台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62475A (en) * 1947-07-22 1949-02-22 Filippo Abramo Di Sterilizer for barbers' implements
US3807954A (en) * 1972-06-16 1974-04-30 H Mcdonald Sterilizing apparatus for medical instruments
US3987895A (en) * 1974-04-11 1976-10-26 Khosrow Jamshidi Disposable liver biopsy tray
US3983996A (en) * 1975-10-06 1976-10-05 Hendren Iii William Hardy Instrument holder
US4011944A (en) * 1975-11-17 1977-03-15 Texas Medical Products, Inc. Disposable surgical equipment tray
US4153160A (en) * 1978-01-30 1979-05-08 Johannah Medical Services, Inc. Disposable slide-step percutaneous transhepatic cholangiography procedure tray
JPS6052816U (ja) * 1983-09-19 1985-04-13 甕 隆通 手術器具収納及び滅菌装置
US4595102A (en) * 1984-12-18 1986-06-17 The Kendall Company Kit for performing a medical procedure
JPS63255052A (ja) * 1987-04-10 1988-10-21 株式会社 メジカルビユ−社 手術用器具図示プレ−ト
US5137151A (en) * 1990-08-16 1992-08-11 Choate Carol A Instrument rack
US5294413A (en) * 1991-07-17 1994-03-15 Hu-Friedy Mfg. Co., Inc. Sterilization and storage cassette
US5505916A (en) * 1992-08-25 1996-04-09 C/T Med--Systems Ltd. Inc. Autoclave cassette
US6426041B1 (en) * 1999-11-23 2002-07-30 Sharon G. Smith Multipurpose surgical instrument tray
JP3557585B2 (ja) * 2000-10-04 2004-08-25 株式会社ホギメディカル 取り外しトレー付医療用品収納容器
US7066328B2 (en) * 2003-08-22 2006-06-27 Janice Pulsifer Grooved angled tray for ring-handled surgical instruments
DE20318732U1 (de) * 2003-12-04 2004-02-26 Richard Martin Medizintechnik Gmbh Bereitstellungsbox für chirurgische Implantate
US20060175209A1 (en) * 2004-02-18 2006-08-10 Ormco Corporation Orthodontic appliance organizer
US7341148B2 (en) * 2005-05-24 2008-03-11 Containmed, Inc. Modular container for the storage, organization, protection, sterilization and delivery of medical instruments and implants
ES2606506T3 (es) * 2007-04-20 2017-03-24 Doheny Eye Institute Aparato quirúrgico
JP4801010B2 (ja) * 2007-06-18 2011-10-26 テルモ株式会社 包装体
WO2009076452A2 (en) * 2007-12-10 2009-06-18 Robotic Systems & Technologies, Inc. Automated robotic system for handling surgical instruments
US20090266728A1 (en) * 2008-04-25 2009-10-29 Warsaw Orthopedic, Inc. Medical device tracking system with tray and method
US8641984B2 (en) * 2009-11-16 2014-02-04 Q-Case, Inc. Surgical instrument tray system
CN201949149U (zh) * 2010-12-29 2011-08-31 姜玉华 一种手术器械架
US20140083886A1 (en) * 2012-09-21 2014-03-27 Zimmer, Inc. Modular brackets and instrumentation case
CN203089415U (zh) * 2013-03-20 2013-07-31 张玉红 易于清点数目的手术器械托盘
CN203524844U (zh) * 2013-10-20 2014-04-09 吉林市中心医院 急救用眼角膜异物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5328645B2 (en) 2020-10-01
CA2963513A1 (en) 2016-04-14
CA2963513C (en) 2022-11-01
RU2017113522A3 (ko) 2019-02-14
RU2697312C2 (ru) 2019-08-13
CN106999253A (zh) 2017-08-01
EP3203923A1 (en) 2017-08-16
RU2017113522A (ru) 2018-11-19
ES2799906T3 (es) 2020-12-22
AU2015328645A1 (en) 2017-04-27
JP6735740B2 (ja) 2020-08-05
KR20170065550A (ko) 2017-06-13
CN106999253B (zh) 2019-09-17
EP3203923A4 (en) 2018-04-25
US20160100891A1 (en) 2016-04-14
JP2017534371A (ja) 2017-11-24
EP3203923B1 (en) 2020-04-01
WO2016057102A1 (en) 2016-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5661B1 (ko) 외과 수술 동안 사용되는 수술 기기들과 물품들을 위한 오거나이저
US9474579B2 (en) Organizer for surgical instruments and items used during surgery
US10980907B2 (en) Modular tray and bracket assembly for equipment sterilization
US5533618A (en) Surgical holster
EP2892459A1 (en) Modular instrument tray
US8641984B2 (en) Surgical instrument tray system
BRPI1011975B1 (pt) Gaveta, armário, método para acessar um recipiente em uma gaveta e sistema de travamento
JP2018512200A (ja) 医療器具の保管のためのカセット
US11389262B2 (en) Modular post and partition assembly for equipment sterilization
CN111801063A (zh) 具有多方向入口的医疗灭菌和存储柜
KR20190112720A (ko) 수술용 기구들을 전달하고, 카운팅하고, 저장하고 폐기하기 위한 트레이 시스템
US20040206711A1 (en) Multi-level instrument organizer
US9179978B1 (en) Organizer for surgical tools and items used during surgery
EP3946205B1 (en) Improved chest of drawers
JP2013505760A (ja) 針および使い捨て式医療器具用の安全デバイスのためのアクチュエータ
CN220824368U (zh) 一种医疗器械用消毒盒
US20160302877A1 (en) Ophthalmic procedure assembli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TWM520355U (zh) 植牙輔助器械放置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