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123B1 -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을 포함하는 질염에 유용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을 포함하는 질염에 유용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5123B1
KR102535123B1 KR1020220093236A KR20220093236A KR102535123B1 KR 102535123 B1 KR102535123 B1 KR 102535123B1 KR 1020220093236 A KR1020220093236 A KR 1020220093236A KR 20220093236 A KR20220093236 A KR 20220093236A KR 102535123 B1 KR102535123 B1 KR 102535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ginitis
composition
lactobacillus rhamnosus
idcc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3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1589A (ko
Inventor
방원영
이민지
채승아
반오현
양정우
Original Assignee
일동바이오사이언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동바이오사이언스(주) filed Critical 일동바이오사이언스(주)
Priority to KR1020220093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123B1/ko
Publication of KR20230041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1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disorders of the vagi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0Antimyc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omfort perception and well-be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75Rhamnos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ir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Oncology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 유산균을 포함하는 질염에 유용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조성물은 질염의 완화,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약학적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일 수 있다.

Description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을 포함하는 질염에 유용한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Lactobacillus rhamnosus IDCC 3201 helpful for vaginal health}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 유산균을 포함하는 질염에 유용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성의 질 환경은 다양한 미생물의 생장에 적합한 환경으로 독특한 미생물 군집을 형성하고 있으며, 여성의 질과 미생물의 관계는 수태, 임신, 아기분만의 방식과 시기, 성병의 획득 등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성의 건강한 질 점막은 약 28개 세포층의 중층 편평 비각질화 상피로 구성되며, 자궁경부액이 지속적으로 윤활되는 점막층으로 덮여 있다. 또한, 질 상피의 가장 바깥층은 감염되지 않는 죽은 각질화 세포로 구성되어 있어 병원체에 대한 보호막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호층은 항생제, 스트레스, 호르몬 변화 등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한 자극이 지속될 경우, 질 내 균형을 유지하는 미생물 군집의 파괴되어 유산균의 수가 감소하고 pH가 증가하여 병원체의 침입을 원인으로 하는 감염성 염증 질환이 유발된다.
질 내 감염은 대개 세균성 질염과 칸디다성 질염으로 나타나며, 각 질염의 원인균은 가드넬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와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로 알려져 있다. 상기의 질염은 많은 여성에게서 발병되며 재발 위험도 높기 때문에 이를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20145호 (2017년 04월 07일 공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 유산균을 포함하는 질염에 유용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질염 예방 및 완화용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기탁번호: ATCC BAA-2836]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질염 예방 및 완화용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기탁번호: ATCC BAA-2836]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질염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기탁번호: ATCC BAA-2836]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질염 치료 및 예방용 의약외품 조성물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기탁번호: ATCC BAA-2836]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질염은 카디다 알비칸스 및 가드넬라 바지날리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 유산균을 포함하는 질염에 유용한 조성물이 제공된다.
도 1은 Gardnerella vaginalis KCTC 5096에 대한 유산균 5종의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로써, (a)는 1.5 x 106 CFU/mL의 Gardnerella vaginalis에서 유산균의 항균 활성을 비교한 그래프이고, (b)는 1.5 x 107 CFU/mL의 Gardnerella vaginalis에서 유산균의 항균 활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는 Candida albicans KCTC 7122에 대한 유산균 5종의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로써, (a)는 1.5 x 106 CFU/mL의 Candida albicans에서 유산균의 항균 활성을 비교한 그래프이고, (b)는 1.5 x 107 CFU/mL의, (c)는 1.5 x 108 CFU/mL의 Candida albicans에서 유산균의 항균 활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각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크기와 간격 등이 실제와 달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종(Lactobacillus spp.)은 질내에서 젖산을 생성함에 따라 질 pH를 4.5 미만으로 유지하며, 이 산성 환경에서는 유산균이 우점하여 질염 유발균의 생장을 억제한다.
또한, 유산균은 젖산 외에도 박테리오신이라는 항균 펩타이드를 생성하여 질염 유발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중요한 방어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유산균은 질 생태계 내에서 천연 살균제로 작용할 수 있는 과산화수소를 생성하여 질 내의 건강을 유지한다. 유산균은 숙주 세포에 대한 질염 유발균의 상피부착 및 집락화를 방해하므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Lactobacillus rhamnosus IDCC 3201)[기탁번호: ATCC BAA-2836]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조성물은 질염에 유용하며, 질염을 예방, 완화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조성물은 요로감염의 예방, 완화 및 치료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약학적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여성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질염의 주요 원인균인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와 가드넬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의 생장 억제에 대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Lactobacillus rhamnosus IDCC 3201)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은 생균 또는 용해물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은 Gardnerella vaginalis에 대한 항균력이 우수하며,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균력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은 상등액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 외의 다른 유산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일반적인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범위 또는 0.001-1000 ㎎/kg 범위 내일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61(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의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건강상태,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사용목적, 질환의 중독도,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기왕력, 또는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성인 1인당 약 0.1 ng 내지 약 1000 mg/kg, 구체적으로 1 ng 내지 약 100 mg/kg 또는 1 ng 내지 약 10 mg/kg로 투여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빈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일 1회 투여하거나 또는 용량을 분할하여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본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는 1일 0.0001 내지 2,0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000 mg/kg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서 투여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투여량에 의해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투여 경로, 질병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은 질염 완화,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면 다양한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을 약학적 조성물의 총중량 대비 0.00001 내지 20 중량%, 0.00001 내지 10 중량% 또는 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의약외품 조성물"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섬유, 고무제품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인체에 대한 작용이 약하거나 인체에 직접 작용하지 않으며, 기구 또는 기계가 아닌 것과 이와 유사한 것, 감염 예방을 위하여 살균, 살충 및 이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제제 중 하나에 해당하는 물품으로써,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 및 사람이나 동물의 구조와 기능에 약리학적 영향을 줄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을 제외한 물품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피부 외용제 또는 개인위생용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을 질염의 예방, 완화 또는 치료 목적으로 의약외품 조성물에 첨가할 경우, 다른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할 수 있다.
피부 외용제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연고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크림제, 산제, 현탁제, 겔제 또는 젤의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개인위생용품에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비누, 화장품, 물티슈, 휴지, 샴푸, 피부 크림, 얼굴 크림, 치약, 립스틱,향수, 메이크업, 파운데이션, 볼터치, 마스카라, 아이섀도우, 선스크린 로션, 모발 손질 제품, 에어프레쉬너 겔 또는 세정겔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의 또 다른 예로 청결제, 소독청결제, 샤워폼,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마스크 또는 연고제가 있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은 질염 완화,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면 다양한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을 의약외품 조성물의 총중량 대비 0.00001 내지 20 중량%, 0.00001 내지 10 중량% 또는 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내지 건강기능식품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의 식품에 대한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 내지 건강기능식품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유산균이 함유된 껌, 발효유, 기능성 음료, 비타민 복합체, 차, 주스 및 드링크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을 과립화, 캡슐화 또는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내지 건강기능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식품 조성물 내지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천연 과일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추출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식품 조성물 내지 건강기능식품의 제형은 산제, 과립제, 환, 정제, 캡슐제의 형태뿐만 아니라 일반 식품 또는 음료의 형태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콜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식품 조성물에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의 함량은 0.001 내지 50중량%, 0.01 내지 50중량%, 0.1 내지 50중량%, 0.1 내지 20중량% 또는 1 내지 50중량%일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에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의 함량은 0.1 내지 100중량%, 0.1 내지 50중량%, 0.1 내지 30중량%, 0.1 내지 10중량% 또는 1 내지 10중량%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의 함량은 0.1 내지 50중량%, 0.1 내지 20중량% 또는 0.1 내지 10중량%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식품 조성물 중 음료는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일 구체예에 따른 식품 조성물 내지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내지 건강기능식품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험예 1] 유산균 및 병원균과 배양조건
유산균은 MRS배지(BD Difico, Franklin Lakes, NJ, USA)에서 혐기적 조건으로 37℃, 16시간 정치 배양하였다. 질염의 주 원인균인 Candida albicans KCTC 7122는 YM 배지(BD Difico)에서 25℃, 200rpm 조건으로 16시간 배양하였으며, Gardnerella vaginalis KCTC 5096는 TSB Hemin Menadione 배지(MB cell, Seoul, Korea)에서 37℃, 혐기적 조건으로 16시간 배양하였다. 항균력 테스트를 위한 유산균의 배양 상등액은 4℃, 6,000 rpm 조건으로 10분 동안 원심분리 및 필터 과정을 거쳐 준비하였다. 실험에 이용된 유산균은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22078686913-pat00001
[실험예 2] 유산균의 질염 원인균 항균력 평가
실험예 1에서 준비된 유산균 상등액을 1.5 x 106-108 CFU/mL 세포 수 범위의 Candida albicans KCTC 7122 및 1.5 x 106-107 CFU/mL 세포 수 범위의 Gardnerella vaginalis KCTC 5096과 함께 96-well plates에 100 μL씩 주입한 뒤 초기 흡광도(OD600)와 18시간 이후의 흡광도(OD600)를 microplate reader(BioTek, Winooski, VT)로 측정하였다. 질염 원인균에 대한 유산균 5종의 항균력 비교 결과는 도 1과 도 2에 나타내었으며, 다음의 식을 통하여 그 결과를 해석하였다.
Figure 112022078686913-pat00002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Gardnerella vaginalis의 경우, 무처리군(non-treated)에서는 세포 생장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다. 실험군 중 B. subtilis IDCC 1101은 106, 107 CFU/mL의 Gardnerella vaginalis 생장을 모두 억제하지 못하였고, B. coagulans IDCC 1201은 106 CFU/mL에서만 Gardnerella vaginalis의 생장 억제에 효과를 보였다. 반면 L. rhamnosus IDCC 3201, L. bulgaricus IDCC 3601, B. bifidum IDCC 4201은 106, 107 CFU/mL 모두에서 Gardnerella vaginalis의 생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Candida albicans의 경우, 무처리군(non-treated)에서는 세포 생장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다. 실험군에서는 L. rhamnosus IDCC 3201, L. bulgaricus IDCC 3601, B. bifidum IDCC 4201, B. coagulans IDCC 1201, B. subtilis IDCC 1101 모두 Candida albicans의 생장을 억제하였고, 106, 107 CFU/mL에서는 모두 비슷한 억제율을 보였으나 108 CFU/mL에서는 L. rhamnosus IDCC 3201이 가장 높은 항균력을 나타냈다. 이를 종합하였을 때, L. rhamnosus IDCC 3201가 질염 원인 균들의 생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3] 유산균의 질염 원인균 생장 억제 원인 평가
질염 원인균의 억제가 일반적으로 유산균이 생성하는 독성 아세트산에 의한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Aminex HPX-87H(Bio-Rad, Hercules, MA, USA) 컬럼이 장착된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 Agilent 1100, Agilent Technology, Waldronn, Germany)를 이용하여 유산균 상등액의 아세트산 농도를 비교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컬럼의 온도는 65℃로 설정하였으며, 이동상으로는 0.5 mM H2SO4를 0.6 mL/min으로 흘려주었고, 아세트산의 측정을 위하여 굴절률 검출기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5종 유산균 상등액의 아세트산 농도가 평균 4.08 g/L로 유산균들 사이에 크게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질염 원인 균들의 억제능력은 독성 아세트산이 아닌 균주자체의 항생물질 또는 항균펩타이드(박테리오신 등)에 의한 것으로 판단이 된다.
<표 2>
Figure 112022078686913-pat00003

Claims (8)

  1. 질염 예방 및 완화용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질염 원인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기탁번호: ATCC BAA-2836]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염은 카디다 알비칸스 및 가드넬라 바지날리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한 식품 조성물.
  3. 질염 예방 및 완화용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
    질염 원인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기탁번호: ATCC BAA-2836]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질염은 카디다 알비칸스 및 가드넬라 바지날리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한 건강기능식품.
  5. 질염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질염 원인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기탁번호: ATCC BAA-2836]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질염은 카디다 알비칸스 및 가드넬라 바지날리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한 약학적 조성물.
  7. 질염 치료 및 예방용 의약외품 조성물에 있어서,
    질염 원인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기탁번호: ATCC BAA-2836]을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질염은 카디다 알비칸스 및 가드넬라 바지날리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한 의약외품 조성물.
KR1020220093236A 2021-09-16 2022-07-27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을 포함하는 질염에 유용한 조성물 KR102535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236A KR102535123B1 (ko) 2021-09-16 2022-07-27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을 포함하는 질염에 유용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660 2021-09-16
KR1020220093236A KR102535123B1 (ko) 2021-09-16 2022-07-27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을 포함하는 질염에 유용한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660 Division 2021-09-16 2021-09-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1589A KR20230041589A (ko) 2023-03-24
KR102535123B1 true KR102535123B1 (ko) 2023-05-30

Family

ID=85872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3236A KR102535123B1 (ko) 2021-09-16 2022-07-27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을 포함하는 질염에 유용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512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687B1 (ko) * 2019-05-03 2020-07-30 주식회사 메디오젠 가드네렐라 바기날리스 및 칸디다 알비칸스에 항균 효과를 갖는 질염 치료 또는 개선용 유산균 mg4288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241B1 (ko) * 2009-11-09 2011-12-23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요로감염과 칸디다성 질염을 억제하는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에스피. 에이취와이 7801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101287126B1 (ko) * 2011-10-28 2013-07-17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식물성유산균발효액을 함유하는 질염 및 요로감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720145B1 (ko) 2016-07-08 2017-04-07 (주)정가진면역연구소 여성 질염 예방 및 개선 기능성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687B1 (ko) * 2019-05-03 2020-07-30 주식회사 메디오젠 가드네렐라 바기날리스 및 칸디다 알비칸스에 항균 효과를 갖는 질염 치료 또는 개선용 유산균 mg4288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ternational Journal of Gynecology & Obstetrics, Volume 110, Issue 3, September 2010, Pages 223-22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1589A (ko) 2023-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9551B2 (ja) カンジダ菌感染に基づく疾患の予防又は改善剤
KR102268128B1 (ko) 모유 유래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lm1071 균주, 및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완화용 조성물
KR101975671B1 (ko) 유산균의 유크림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JP2024050702A (ja) エンテロコッカス・フェカーリス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肥満または肥満から誘導された代謝症候群の予防または治療用の組成物
KR20230120619A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535123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을 포함하는 질염에 유용한 조성물
KR102549522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idcc 3501을 포함하는 질염에 유용한 조성물
KR102118866B1 (ko)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및 셀룰라이트 감소용 조성물
KR101157535B1 (ko)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WO2007086573A1 (ja) カンジダ菌感染に基づく疾患の予防又は改善剤及び経口組成物
KR102444746B1 (ko)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idcc 3451을 포함하는 질염에 유용한 조성물
KR102268125B1 (ko) 한국인 영유아 유래 신규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lm1024 균주, 및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완화용 조성물
KR102268124B1 (ko) 발효반죽 유래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lm1020 균주, 및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완화용 조성물
KR102268122B1 (ko) 김치 유래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m1014 균주, 및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완화용 조성물
KR20150133351A (ko) 플라보놀계 화합물 및 항생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150041968A (ko)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의 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20758B1 (ko) 커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91593A (ko) 심비디움(cymbidium) 추출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 질환 또는 접촉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2669361B1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670653B1 (ko) 돼지감자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탈모 개선 조성물
KR102546957B1 (ko) 참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및 항균용 조성물
KR102347819B1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KR102567997B1 (ko) 발효 태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과 그의 용도
KR20230096821A (ko) 게박쥐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93352B1 (ko) 청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과 이의 이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