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985B1 - 제연 댐퍼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제연 댐퍼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4985B1
KR102534985B1 KR1020230005460A KR20230005460A KR102534985B1 KR 102534985 B1 KR102534985 B1 KR 102534985B1 KR 1020230005460 A KR1020230005460 A KR 1020230005460A KR 20230005460 A KR20230005460 A KR 20230005460A KR 102534985 B1 KR102534985 B1 KR 102534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erential pressure
opening
floor
fire
pre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5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채은
Original Assignee
김채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채은 filed Critical 김채은
Priority to KR1020230005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9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5/00Installa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poisonous or injurious substances, e.g. with separate breath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40Pressure, e.g. wind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제연 댐퍼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제연 댐퍼 장치가 설치된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제연 댐퍼 장치의 개폐를 적절히 제어하는 기술을 제시함으로써, 제연 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연 댐퍼 장치 및 그 동작 방법{SMOKE CONTROL DAMPER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제연 댐퍼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
건물에는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연기의 배출을 위한 소정의 제연 시스템이 구축된 경우가 많다.
이와 관련해서, 도 1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건물에는 소정의 휀룸에 송풍기(20)가 구비되고, 건물의 각 층별로 부속실에 제연 댐퍼 장치(110)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연 댐퍼 장치(110)는 송풍기(20)와 급기 덕트로 연결되어 있어서, 송풍기(20)로부터 바람을 공급받을 수 있고, 평소에는 제연 댐퍼 장치(110)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가,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면, 제연 댐퍼 장치(110)가 개방됨으로써, 송풍기(20)로부터 급기 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바람이 부속실로 공급되게 된다.
이렇게 부속실에 바람이 공급되면, 건물 내의 화재로 인한 연기가 부속실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부속실로 대피한 사람들이 연기로 인해 질식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기존의 제연 댐퍼 장치는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송풍기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이 부속실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서, 일괄적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이렇게, 각 층의 부속실에 설치된 제연 댐퍼 장치가, 화재 발생시 일괄 개방되는 경우, 송풍기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이 각 층의 부속실마다 공급되기 때문에, 실제 화재가 발생한 층에 충분한 양의 바람이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5개의 층으로 구성된 건물에서, 3층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각 층의 부속실에 설치되어 있는 제연 댐퍼 장치가 모두 일괄 개방되기 때문에, 3층에 충분한 양의 바람이 공급되지 못할 수 있다. 만약, 화재가 발생한 3층에 설치된 제연 댐퍼 장치만을 개방시키고, 나머지 비화재층에 설치된 제연 댐퍼 장치는 개방을 제한하게 된다면, 화재가 발생한 3층으로 보다 많은 바람이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제연의 효율이 증대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제연 댐퍼 장치가 설치된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제연 댐퍼 장치의 개폐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제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제연 댐퍼 장치가 설치된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제연 댐퍼 장치의 개폐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제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을 구성하는 부속실에 제연을 위해서 설치되는 장치로서, 상기 건물 내의 휀룸에 설치된 송풍기로부터 급기 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바람을, 상기 부속실로 공급하기 위한 메인 개구부 및 보조 개구부가 구비된 제연 댐퍼 장치는 상기 제연 댐퍼 장치가 설치된 상기 건물 내의 제1 층에서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제1 층에 설치된 소방 중계기 - 상기 소방 중계기와 상기 제연 댐퍼 장치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음 - 로부터, 상기 제1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지시하는 제1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화재층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1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이벤트 발생부 및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되면, 사전 설정된 제1 제어 주기 간격으로, 차압 센서를 통해, 상기 제연 댐퍼 장치가 설치된 상기 부속실의 현재 차압을 측정한 후, 상기 현재 차압이 사전 설정된 최저 기준 차압 미만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메인 개구부와 상기 보조 개구부가 전면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최저 기준 차압 이상이면서, 사전 설정된 제1 임계 차압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메인 개구부가 상기 현재 차압에 따른 사전 설정된 제1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 개구부가 전면 개방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1 임계 차압 이상이면서, 사전 설정된 제2 임계 차압 - 상기 제2 임계 차압은 상기 제1 임계 차압보다 높은 값임 -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메인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 개구부가 상기 현재 차압에 따른 사전 설정된 제2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2 임계 차압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메인 개구부와 상기 보조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을 구성하는 부속실에 제연을 위해서 설치되는 장치로서, 상기 건물 내의 휀룸에 설치된 송풍기로부터 급기 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바람을, 상기 부속실로 공급하기 위한 메인 개구부 및 보조 개구부가 구비된 제연 댐퍼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연 댐퍼 장치가 설치된 상기 건물 내의 제1 층에서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제1 층에 설치된 소방 중계기 - 상기 소방 중계기와 상기 제연 댐퍼 장치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음 - 로부터, 상기 제1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지시하는 제1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화재층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1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되면, 사전 설정된 제1 제어 주기 간격으로, 차압 센서를 통해, 상기 제연 댐퍼 장치가 설치된 상기 부속실의 현재 차압을 측정한 후, 상기 현재 차압이 사전 설정된 최저 기준 차압 미만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메인 개구부와 상기 보조 개구부가 전면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최저 기준 차압 이상이면서, 사전 설정된 제1 임계 차압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메인 개구부가 상기 현재 차압에 따른 사전 설정된 제1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 개구부가 전면 개방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1 임계 차압 이상이면서, 사전 설정된 제2 임계 차압 - 상기 제2 임계 차압은 상기 제1 임계 차압보다 높은 값임 -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메인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 개구부가 상기 현재 차압에 따른 사전 설정된 제2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2 임계 차압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메인 개구부와 상기 보조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연 댐퍼 장치가 설치된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제연 댐퍼 장치의 개폐를 적절히 제어하는 기술을 제시함으로써, 제연 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내의 제연 시스템의 설치 구상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연 댐퍼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연 댐퍼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제연 댐퍼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제연 댐퍼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연 댐퍼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제연 댐퍼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으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고,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블록들이나 흐름도의 단계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등 데이터 프로세싱이 가능한 장비의 프로세서나 메모리에 탑재되어 지정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instructions)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컴퓨터 장치에 구비된 메모리 또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블록도의 블록들 또는 흐름도의 단계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이를 수행하는 명령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로 생산될 수도 있다. 아울러,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가능한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정해진 순서와 달리 실행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거나, 역순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일부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생략된 채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내의 제연 시스템의 설치 구상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연 댐퍼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본 발명에서는 건물 내에 도 1에 도시된 형식의 제연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 상황임을 가정한다.
관련해서, 본 발명에서는, 제연 댐퍼 장치(110)가 건물을 구성하는 각 층별로 부속실에 설치되어 있고, 제연을 위한 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기(20)가 건물 내의 휀룸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연 댐퍼 장치(110)는 송풍기(20)와 급기 덕트로 연결되어 있어서, 송풍기(20)로부터 바람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건물 내의 각 층별로 소방 중계기(10)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이 소방 중계기(10)는 각 층에 구비된 경보 시스템(11)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경보 시스템(11)은 건물 내의 화재를 감지하여 경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소정의 온도 센서, 연기 센서 등과 같은 화재 감지를 위한 각종 센서와, 경보음이나 경보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각 층에 설치된 경보 시스템(11)은 센서를 통해서, 각 층에서 화재가 감지되면, 출력부를 통해 경보음이나 경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고, 당해 층에 설치된 소방 중계기(10)로 당해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지시하는 화재 발생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송풍기(20)는 건물 내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송풍기(20)를 구동시키고, 송풍기(20)의 풍속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송풍기 제어 장치(30)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송풍기 제어 장치(30)는 각 층에 설치된 소방 중계기(1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어서, 특정 층에서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해당 층의 소방 중계기(10)에 상기 화재 발생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송풍기 제어 장치(30)는 해당 층의 소방 중계기(10)로부터 상기 화재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송풍기(20)를 구동시킴으로써, 송풍기(20)에서 발생한 바람이 각 층의 부속실에 설치된 제연 댐퍼 장치(110)에 공급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각 층에 설치된 소방 중계기(10)는, 각 층의 부속실에 구비되어 있는 제연 댐퍼 장치(11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특정 층에서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당해 층에서의 경보 시스템(11)을 통해 화재 발생 신호가 당해 층의 소방 중계기(10)에 전달되면, 소방 중계기(10)는 당해 층의 부속실에 구비되어 있는 제연 댐퍼 장치(110)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지시하는 제1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층에 설치된 소방 중계기(10)는, 다른 층의 소방 중계기(10)들과도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고, 특정 층에서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해당 층의 소방 중계기(10)에 화재 발생 신호가 전달된 경우, 이 소방 중계기(10)는 다른 층의 소방 중계기(10)들로, 화재 발생 신호를 전파할 수 있다. 그러면, 다른 층의 소방 중계기(10)들은, 각 층의 소방 중계기(10)와 연결된 제연 댐퍼 장치(110)로, 다른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지시하는 제2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연 댐퍼 장치(110)는 도 2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메인 개구부(111), 보조 개구부(112), 이벤트 발생부(113) 및 제어부(114)를 포함할 수 있고, 제연 댐퍼 장치(110)가 설치된 부속실의 차압을 측정하기 위한 차압 센서(미도시)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메인 개구부(111)와 보조 개구부(112)는 송풍기(20)로부터 급기 덕트를 통해서 공급되는 바람을, 제연 댐퍼 장치(110)가 설치되어 있는 부속실로 공급하기 위한, 개폐 가능한 구성으로서, 도 3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소정의 게이트들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연 댐퍼 장치(110)는 메인 개구부(111)와 보조 개구부(112)를 구성하는 게이트들을 소정의 전동 모터를 통해서 개폐시킴으로써, 부속실로 바람이 공급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연 댐퍼 장치(110)는 메인 개구부(111)의 크기가 보조 개구부(112)의 크기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메인 개구부(111)가 개방되는 경우, 보조 개구부(112)가 개방될 때보다 훨씬 많은 바람이 부속실로 공급될 수 있도록, 메인 개구부(111)의 크기가 보조 개구부(112)의 크기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메인 개구부(111)와 보조 개구부(112)는 도면부호 310과 320에 도시된 그림과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부호 310과 같이 어느 하나의 게이트만을 보조 개구부(112)로 구성할 수도 있고, 도면부호 320과 같이 크기가 작은 게이트들로 보조 개구부(112)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메인 개구부(111)와 보조 개구부(112)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그림과 같은 소정의 게이트들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조리개 방식이나 미닫이 방식 등과 같이 개폐 가능한 다양한 구성들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벤트 발생부(113)는 제연 댐퍼 장치(110)가 설치된 상기 건물 내의 제1 층에서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제1 층에 설치된 소방 중계기(10)로부터, 상기 제1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지시하는 제1 신호가 제연 댐퍼 장치(110)에 수신되는 경우, 화재층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1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예컨대, 도 1의 실시예에서, 3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하는 경우, 3층에 설치된 경보 시스템(11)이 3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지시하는 화재 발생 신호를 3층에 설치된 소방 중계기(10)로 전달할 수 있고, 이때, 소방 중계기(10)는 3층의 부속실에 구비되어 있는 제연 댐퍼 장치(110)로 3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지시하는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3층의 부속실에 설치되어 있는 제연 댐퍼 장치(110)에 상기 제1 신호가 수신되면, 제연 댐퍼 장치(110)에 포함된 이벤트 발생부(113)는 화재층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제1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렇게, 이벤트 발생부(113)를 통해,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114)는 사전 설정된 제1 제어 주기 간격으로, 차압 센서를 통해, 제연 댐퍼 장치(110)가 설치된 상기 부속실의 현재 차압을 측정한 후, 상기 현재 차압이 사전 설정된 최저 기준 차압 미만으로 확인되는 경우, 메인 개구부(111)와 보조 개구부(112)가 전면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최저 기준 차압 이상이면서, 사전 설정된 제1 임계 차압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메인 개구부(111)가 상기 현재 차압에 따른 사전 설정된 제1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보조 개구부(112)가 전면 개방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1 임계 차압 이상이면서, 사전 설정된 제2 임계 차압(상기 제2 임계 차압은 상기 제1 임계 차압보다 높은 값임)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메인 개구부(111)가 폐쇄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보조 개구부(112)가 상기 현재 차압에 따른 사전 설정된 제2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2 임계 차압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메인 개구부(111)와 보조 개구부(112)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관련해서, 상기 제1 제어 주기가 5초라고 하는 경우, 제어부(114)는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되면, 5초 간격으로,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 부속실의 현재 차압을 측정한 후, 상기 현재 차압을 기초로 메인 개구부(111)와 보조 개구부(112)의 개폐를 위한 제어 동작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주기에서,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서 측정한 부속실의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최저 기준 차압 미만으로 확인되는 경우, 제어부(114)는 부속실의 출입문이 개방된 상태로 보고, 제연에 필요한 방연풍속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부속실에 충분한 바람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제연 댐퍼 장치(110)의 메인 개구부(111)와 보조 개구부(112)가 전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4)는 상기 제1 제어 주기 간격으로 제어 동작을 반복 수행하는 과정에서, 특정 주기에서,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서 측정한 부속실의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최저 기준 차압 이상이면서, 사전 설정된 제1 임계 차압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라면, 부속실에 아직 바람이 부족한 상황으로 판단하고, 부속실에 바람을 추가로 공급하기 위하여, 메인 개구부(111)가 상기 현재 차압에 따른 사전 설정된 제1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보조 개구부(112)가 전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4)는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서 측정된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최저 기준 차압 이상이면서, 상기 제1 임계 차압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사전 설정된 제1 개방 비율 테이블(상기 제1 개방 비율 테이블에는, 상한 값과 하한 값으로 구성된 복수의 제1 차압 범위들과 상기 복수의 제1 차압 범위들 각각에 대응되는 사전 지정된 개방 비율이 기록되어 있음)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1 차압 범위들 중 상기 현재 차압이 속한 차압 범위에 대응되는 상기 제1 개방 비율을 추출한 후, 메인 개구부(111)가 상기 제1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보조 개구부(112)가 전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개방 비율 테이블은 하기의 표 1과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제1 차압 범위들
(하한 값 ~ 상한 값)
개방 비율
값 1 ~ 값 2 90%
값 2 ~ 값 3 80%
값 3 ~ 값 4 70%
... ...
관련해서, 제어부(114)는 특정 주기에서,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서 측정한 부속실의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최저 기준 차압 이상이면서, 상기 제1 임계 차압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라면, 상기 표 1과 같은 제1 개방 비율 테이블로부터, 상기 현재 차압이 속한 차압 범위에 대응되는 제1 개방 비율을 추출한 후, 보조 개구부(112)가 전면 개방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메인 개구부(111)가 상기 제1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개방 비율이 80%라고 하는 경우, 제어부(114)는 보조 개구부(112)를 전면 개방시킴과 동시에, 메인 개구부(111)를, 전면 개방이 되는 것을 기준으로, 80%만큼만 개방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4)는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한 이후, 상기 제1 제어 주기가 사전 설정된 기준 횟수를 경과할 때까지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1 임계 차압이 도달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소방 중계기(10)로,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1 임계 차압에 도달하지 못한 상황임을 지시하는 제2 이상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소방 중계기(10)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송풍기 제어 장치(30)로 상기 제2 이상 신호를 전송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그러면, 송풍기 제어 장치(30)는 상기 제2 이상 신호가 수신되면, 송풍기(20)의 풍속을 증가시킬 것을 지시하는 증가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송풍기(20)에 전달함으로써, 송풍기(20)의 풍속이 증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관련해서, 제어부(114)가 특정 주기에서,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서 측정한 부속실의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1 임계 차압 미만으로 확인됨에 따라, 메인 개구부(111)와 보조 개구부(112)의 개방을 제어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1 임계 차압에 미치지 못하는 상태가, 상기 제1 제어 주기가 기준 횟수를 경과할 때까지 지속되는 경우라면, 상기 부속실의 제연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고 있는 상태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제어부(114)는 상기 부속실로 많은 바람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서, 송풍기(20) 자체의 풍속을 증가시키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제어부(114)는 제연 댐퍼 장치(110)가 구비되어 있는 현재 층과 동일한 층에 구비된 소방 중계기(10)로 상기 제2 이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소방 중계기(10)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송풍기 제어 장치(30)로 상기 제2 이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송풍기 제어 장치(30)는 상기 제2 이상 신호가 수신되면, 송풍기(20)의 풍속을 증가시킬 것을 지시하는 증가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송풍기(20)에 전달함으로써, 송풍기(20)의 풍속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4)는 상기 제1 제어 주기 간격으로 제어 동작을 반복 수행하는 과정에서, 특정 주기에서,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서 측정한 부속실의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1 임계 차압 이상이면서, 사전 설정된 제2 임계 차압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라면, 부속실에 바람이 충분히 공급된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부속실의 차압이 상기 현재 차압의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메인 개구부(111)를 폐쇄시킴과 동시에, 보조 개구부(112)만을 상기 현재 차압에 따른 소정의 제2 개방 비율만큼 개방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4)는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서 측정된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1 임계 차압 이상이면서, 상기 제2 임계 차압 미만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사전 설정된 제2 개방 비율 테이블(상기 제2 개방 비율 테이블에는, 상한 값과 하한 값으로 구성된 복수의 제2 차압 범위들과 상기 복수의 제2 차압 범위들 각각에 대응되는 사전 지정된 개방 비율이 기록되어 있음)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2 차압 범위들 중 상기 현재 차압이 속한 차압 범위에 대응되는 상기 제2 개방 비율을 추출한 후, 메인 개구부(111)가 폐쇄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보조 개구부(112)가 상기 제2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개방 비율 테이블은 하기의 표 2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제2 차압 범위들
(하한 값 ~ 상한 값)
개방 비율
값 a ~ 값 b 90%
값 b ~ 값 c 80%
값 c ~ 값 d 70%
... ...
관련해서, 제어부(114)는 특정 주기에서,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서 측정한 부속실의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1 임계 차압 이상이면서, 상기 제2 임계 차압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라면, 상기 표 2와 같은 제2 개방 비율 테이블로부터, 상기 현재 차압이 속한 차압 범위에 대응되는 제2 개방 비율을 추출한 후, 메인 개구부(111)가 폐쇄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보조 개구부(112)가 상기 제2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개방 비율이 70%라고 하는 경우, 제어부(114)는 메인 개구부(111)를 폐쇄시킴과 동시에, 보조 개구부(112)를, 전면 개방이 되는 것을 기준으로, 70%만큼만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4)는 상기 제1 제어 주기 간격으로 제어 동작을 반복 수행하는 과정에서, 특정 주기에서,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서 측정한 부속실의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2 임계 차압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라면, 부속실에 바람이 과도하게 공급된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부속실에 바람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메인 개구부(111)와 보조 개구부(112)를 모두 폐쇄시킬 수 있다. 부속실에 바람이 과도하게 공급되어, 부속실의 차압이 현저히 높아지게 되면, 부속실로 대피하려고 문을 열고 들어오려는 사람이 차압으로 인해 문을 열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114)는 부속실의 차압이 상기 제2 임계 차압 이상으로 과도하게 높아진 것으로 확인되면, 메인 개구부(111)와 보조 개구부(112)를 모두 폐쇄시켜, 부속실로 더 이상 바람이 공급되지 않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4)는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서 측정된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2 임계 차압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메인 개구부(111)와 보조 개구부(112)가 폐쇄되도록 제어한 후, 소방 중계기(10)로,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2 임계 차압 이상임을 지시하는 제1 이상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소방 중계기(10)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송풍기 제어 장치(30)로 상기 제1 이상 신호를 전송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그러면, 송풍기 제어 장치(30)는 상기 제1 이상 신호가 수신되면, 송풍기(20)의 풍속을 감소시킬 것을 지시하는 감소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송풍기(20)에 전달함으로써, 송풍기(20)의 풍속이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관련해서, 제어부(114)는 특정 주기에서, 부속실에 바람이 과도하게 공급됨에 따라,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서 측정한 부속실의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2 임계 차압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라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 개구부(111)와 보조 개구부(112)를 모두 폐쇄시켜, 부속실로 더 이상 바람이 공급되지 않도록 처리함과 동시에, 송풍기(20) 자체의 풍속을 감소시켜, 부속실로 공급되는 바람의 양이 줄어들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제어부(114)는 제연 댐퍼 장치(110)가 구비되어 있는 현재 층과 동일한 층에 구비된 소방 중계기(10)로 상기 제1 이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소방 중계기(10)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송풍기 제어 장치(30)로 상기 제1 이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이때, 송풍기 제어 장치(30)는 상기 제1 이상 신호가 수신되면, 송풍기(20)의 풍속을 감소시킬 것을 지시하는 감소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송풍기(20)에 전달함으로써, 송풍기(20)의 풍속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렇게, 제어부(114)는 소방 중계기(10)로부터 당해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지시하는 상기 제1 신호가 제연 댐퍼 장치(110)에 수신됨에 따라, 이벤트 발생부(113)를 통해 화재층 제어를 위한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제1 제어 주기 간격으로,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 제연 댐퍼 장치(110)가 설치된 부속실의 현재 차압을 측정한 후, 상기 현재 차압을 기반으로, 메인 개구부(111)와 보조 개구부(112)의 개폐를 위한 제어 동작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소방 중계기(10)는, 소방 중계기(10)가 구비된 층이 아닌 다른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다른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지시하는 제2 신호를 생성하여, 동일한 층의 부속실에 구비된 제연 댐퍼 장치(110)로 상기 제2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와 다르게, 상기 건물 내의 상기 제1 층이 아닌 다른 층에서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소방 중계기(10)로부터, 다른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지시하는 제2 신호가 상기 제1 층에 구비된 제연 댐퍼 장치(110)에 수신되는 경우, 제연 댐퍼 장치(110)에 포함된 이벤트 발생부(113)는 비화재층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2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제2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114)는 사전 설정된 대기 시간 동안, 메인 개구부(111)와 보조 개구부(112)가 폐쇄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대기 시간이 경과하면, 사전 설정된 제2 제어 주기 간격으로,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 제연 댐퍼 장치(110)가 설치된 상기 부속실의 현재 차압을 측정한 후, 메인 개구부(111)의 폐쇄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사전 설정된 제3 개방 비율 테이블(상기 제3 개방 비율 테이블에는, 상한 값과 하한 값으로 구성된 복수의 제3 차압 범위들과 상기 복수의 제3 차압 범위들 각각에 대응되는 사전 지정된 개방 비율이 기록되어 있음)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3 차압 범위들 중 상기 현재 차압이 속한 차압 범위에 대응되는 제3 개방 비율을 추출하여, 보조 개구부(112)가 상기 제3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관련해서, 상기 제1 층이 아닌 다른 층에서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제1 층에 구비된 제연 댐퍼 장치(110)에서 상기 제2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라면, 화재가 발생한 층에 많은 양의 바람이 공급되어야 하고, 상기 제1 층에는 상대적으로 바람이 많이 공급될 필요가 없다. 오히려, 상기 제1 층에 바람이 공급되는 경우라면, 화재층에 공급되어야 할 바람이 분산되어 버리기 때문에, 화재층에 충분한 양의 바람이 공급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4)는 상기 제2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면, 사전 설정된 대기 시간 동안, 메인 개구부(111)와 보조 개구부(112)가 폐쇄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 층이 아닌, 화재층으로 송풍기(20)의 바람이 충분하게 공급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관련해서, 상기 대기 시간을 3분이라고 하는 경우, 제어부(114)는 상기 제2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면, 3분 동안 메인 개구부(111)와 보조 개구부(112)를 폐쇄시킴으로써, 상기 제1 층으로 바람이 분산되지 않도록 처리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제어부(114)는 상기 대기 시간인 3분이 경과하게 되면, 비화재층인 상기 제1 층에도 어느 정도의 제연 처리가 필요한 상황이므로, 사전 설정된 제2 제어 주기 간격으로,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 부속실의 현재 차압을 측정한 후, 메인 개구부(111)의 폐쇄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현재 차압을 기초로 보조 개구부(112)만을 소정의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시키는 제어 동작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제연 댐퍼 장치(10)가 구비된 부속실 내에 바람이 일정 정도 공급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개방 비율 테이블은 하기의 표 3과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제3 차압 범위들
(하한 값 ~ 상한 값)
개방 비율
값 A ~ 값 B 100%
값 B ~ 값 C 80%
값 C ~ 값 D 60%
... ...
관련해서, 상기 제2 제어 주기를 5초라고 하는 경우, 제어부(114)는 메인 개구부(111)와 보조 개구부(112)를 폐쇄시킨지 3분이 경과하면, 5초 간격으로 제어 동작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4)는 5초 간격으로,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서 부속실의 현재 차압을 측정한 후, 상기 표 3과 같은 제3 개방 비율 테이블로부터, 상기 현재 차압이 속한 차압 범위에 대응되는 제3 개방 비율을 추출한 후, 메인 개구부(111)의 폐쇄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보조 개구부(112)가 상기 제3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3 개방 비율이 60%라고 하는 경우, 제어부(114)는 메인 개구부(111)의 폐쇄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보조 개구부(112)를, 전면 개방이 되는 것을 기준으로, 60%만큼만 개방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메인 개구부(111)와 보조 개구부(112)가 탑재된 제연 댐퍼 장치(110)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연 댐퍼 장치(110)는 도 4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하나의 개구부(111)만을 탑재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하나의 개구부(111)만이 탑재된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연 댐퍼 장치(110)는 도 4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하나의 개구부(111), 이벤트 발생부(113) 및 제어부(11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개구부(111)는 도 5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개폐 가능한 소정의 게이트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벤트 발생부(113)는 제연 댐퍼 장치(110)가 설치된 상기 건물 내의 제1 층에서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제1 층에 설치된 소방 중계기(10)로부터, 상기 제1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지시하는 제1 신호가 제연 댐퍼 장치(110)에 수신되는 경우, 화재층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1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14)는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되면, 사전 설정된 제1 제어 주기 간격으로, 차압 센서를 통해, 제연 댐퍼 장치(110)가 설치된 상기 부속실의 현재 차압을 측정한 후, 상기 현재 차압이 사전 설정된 최저 기준 차압 미만으로 확인되는 경우, 개구부(111)가 전면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최저 기준 차압 이상이면서, 사전 설정된 제1 임계 차압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사전 설정된 제1 개방 비율 테이블(상기 제1 개방 비율 테이블에는, 상한 값과 하한 값으로 구성된 복수의 제1 차압 범위들과 상기 복수의 제1 차압 범위들 각각에 대응되는 사전 지정된 개방 비율이 기록되어 있음)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1 차압 범위들 중 상기 현재 차압이 속한 차압 범위에 대응되는 제1 개방 비율을 추출한 후, 개구부(111)가 상기 제1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1 임계 차압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개구부(111)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관련해서, 상기 제1 제어 주기가 5초라고 하는 경우, 제어부(114)는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되면, 5초 간격으로,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 부속실의 현재 차압을 측정한 후, 상기 현재 차압을 기초로 개구부(111)의 개폐를 위한 제어 동작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주기에서,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서 측정한 부속실의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최저 기준 차압 미만으로 확인되는 경우, 제어부(114)는 부속실의 출입문이 개방된 상태로 보고, 제연에 필요한 방연풍속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부속실에 충분한 바람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제연 댐퍼 장치(110)의 개구부(111)가 전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4)는 상기 제1 제어 주기 간격으로 제어 동작을 반복 수행하는 과정에서, 특정 주기에서,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서 측정한 부속실의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최저 기준 차압 이상이면서, 사전 설정된 제1 임계 차압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라면, 부속실에 바람이 아직 부족한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부속실의 차압이 상기 제1 임계 차압 이상으로 올라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구부(111)를 상기 현재 차압에 따른 소정의 제1 개방 비율만큼 개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4)는 특정 주기에서,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서 측정한 부속실의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최저 기준 차압 이상이면서, 사전 설정된 제1 임계 차압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라면, 제1 개방 비율 테이블로부터, 상기 현재 차압이 속한 차압 범위에 대응되는 제1 개방 비율을 추출한 후, 개구부(112)가 상기 제1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4)는 상기 제1 제어 주기 간격으로 제어 동작을 반복 수행하는 과정에서, 특정 주기에서,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서 측정한 부속실의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1 임계 차압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라면, 부속실에 바람이 적정 이상으로 공급된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부속실에 바람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개구부(111)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이때, 이벤트 발생부(113)는 상기 건물 내의 상기 제1 층이 아닌 다른 층에서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소방 중계기(10)로부터, 다른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지시하는 제2 신호가 상기 제1 층에 구비된 제연 댐퍼 장치(110)에 수신되는 경우, 비화재층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2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제2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114)는 사전 설정된 대기 시간 동안, 개구부(111)가 폐쇄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대기 시간이 경과하면, 사전 설정된 제2 제어 주기 간격으로,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 제연 댐퍼 장치(110)가 설치된 상기 부속실의 현재 차압을 측정한 후, 사전 설정된 제2 개방 비율 테이블(상기 제2 개방 비율 테이블에는, 상한 값과 하한 값으로 구성된 복수의 제2 차압 범위들과 상기 복수의 제2 차압 범위들 각각에 대응되는 사전 지정된 개방 비율이 기록되어 있음)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2 차압 범위들 중 상기 현재 차압이 속한 차압 범위에 대응되는 제2 개방 비율을 추출하여, 개구부(11)가 상기 제2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연 댐퍼 장치(110)는 화재층에 보다 많은 바람이 집중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을 구성하는 부속실에 제연을 위해서 설치되는 장치로서, 상기 건물 내의 휀룸에 설치된 송풍기로부터 급기 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바람을, 상기 부속실로 공급하기 위한 메인 개구부 및 보조 개구부가 구비된 제연 댐퍼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S610)에서는 상기 제연 댐퍼 장치가 설치된 상기 건물 내의 제1 층에서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제1 층에 설치된 소방 중계기(상기 소방 중계기와 상기 제연 댐퍼 장치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음)로부터, 상기 제1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지시하는 제1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화재층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1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단계(S620)에서는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되면, 사전 설정된 제1 제어 주기 간격으로, 차압 센서를 통해, 상기 제연 댐퍼 장치가 설치된 상기 부속실의 현재 차압을 측정한 후, 상기 현재 차압이 사전 설정된 최저 기준 차압 미만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메인 개구부와 상기 보조 개구부가 전면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최저 기준 차압 이상이면서, 사전 설정된 제1 임계 차압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메인 개구부가 상기 현재 차압에 따른 사전 설정된 제1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 개구부가 전면 개방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1 임계 차압 이상이면서, 사전 설정된 제2 임계 차압(상기 제2 임계 차압은 상기 제1 임계 차압보다 높은 값임)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메인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 개구부가 상기 현재 차압에 따른 사전 설정된 제2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2 임계 차압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메인 개구부와 상기 보조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620)에서는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서 측정된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최저 기준 차압 이상이면서, 상기 제1 임계 차압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사전 설정된 제1 개방 비율 테이블(상기 제1 개방 비율 테이블에는, 상한 값과 하한 값으로 구성된 복수의 제1 차압 범위들과 상기 복수의 제1 차압 범위들 각각에 대응되는 사전 지정된 개방 비율이 기록되어 있음)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1 차압 범위들 중 상기 현재 차압이 속한 차압 범위에 대응되는 상기 제1 개방 비율을 추출한 후, 상기 메인 개구부가 상기 제1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 개구부가 전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620)에서는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서 측정된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1 임계 차압 이상이면서, 상기 제2 임계 차압 미만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사전 설정된 제2 개방 비율 테이블(상기 제2 개방 비율 테이블에는, 상한 값과 하한 값으로 구성된 복수의 제2 차압 범위들과 상기 복수의 제2 차압 범위들 각각에 대응되는 사전 지정된 개방 비율이 기록되어 있음)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2 차압 범위들 중 상기 현재 차압이 속한 차압 범위에 대응되는 상기 제2 개방 비율을 추출한 후, 상기 메인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 개구부가 상기 제2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620)에서는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서 측정된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2 임계 차압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메인 개구부와 상기 보조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소방 중계기로,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2 임계 차압 이상임을 지시하는 제1 이상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소방 중계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송풍기 제어 장치로 상기 제1 이상 신호를 전송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풍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이상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송풍기의 풍속을 감소시킬 것을 지시하는 감소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송풍기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송풍기의 풍속이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620)에서는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한 이후, 상기 제1 제어 주기가 사전 설정된 기준 횟수를 경과할 때까지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1 임계 차압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소방 중계기로,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1 임계 차압에 도달하지 못한 상황임을 지시하는 제2 이상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소방 중계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송풍기 제어 장치로 상기 제2 이상 신호를 전송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풍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2 이상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송풍기의 풍속을 증가시킬 것을 지시하는 증가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송풍기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송풍기의 풍속이 증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연 댐퍼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건물 내의 상기 제1 층이 아닌 다른 층에서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소방 중계기로부터, 다른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지시하는 제2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비화재층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2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이벤트가 발생되면, 사전 설정된 대기 시간 동안, 상기 메인 개구부와 상기 보조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대기 시간이 경과하면, 사전 설정된 제2 제어 주기 간격으로,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 상기 제연 댐퍼 장치가 설치된 상기 부속실의 현재 차압을 측정한 후, 상기 메인 개구부의 폐쇄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사전 설정된 제3 개방 비율 테이블(상기 제3 개방 비율 테이블에는, 상한 값과 하한 값으로 구성된 복수의 제3 차압 범위들과 상기 복수의 제3 차압 범위들 각각에 대응되는 사전 지정된 개방 비율이 기록되어 있음)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3 차압 범위들 중 상기 현재 차압이 속한 차압 범위에 대응되는 제3 개방 비율을 추출하여, 상기 보조 개구부가 상기 제3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을 구성하는 각 층의 부속실에 제연을 위해서 설치되는 장치로서, 상기 건물 내의 휀룸에 설치된 송풍기로부터 급기 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바람을, 상기 부속실로 공급하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된 제연 댐퍼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S710)에서는 상기 제연 댐퍼 장치가 설치된 상기 건물 내의 제1 층에서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제1 층에 설치된 소방 중계기(상기 소방 중계기와 상기 제연 댐퍼 장치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음)로부터, 상기 제1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지시하는 제1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화재층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1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단계(S720)에서는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되면, 사전 설정된 제1 제어 주기 간격으로, 차압 센서를 통해, 상기 제연 댐퍼 장치가 설치된 상기 부속실의 현재 차압을 측정한 후, 상기 현재 차압이 사전 설정된 최저 기준 차압 미만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개구부가 전면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최저 기준 차압 이상이면서, 사전 설정된 제1 임계 차압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사전 설정된 제1 개방 비율 테이블(상기 제1 개방 비율 테이블에는, 상한 값과 하한 값으로 구성된 복수의 제1 차압 범위들과 상기 복수의 제1 차압 범위들 각각에 대응되는 사전 지정된 개방 비율이 기록되어 있음)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1 차압 범위들 중 상기 현재 차압이 속한 차압 범위에 대응되는 제1 개방 비율을 추출한 후,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제1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1 임계 차압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제어한다.
단계(S730)에서는 상기 건물 내의 상기 제1 층이 아닌 다른 층에서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소방 중계기로부터, 다른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지시하는 제2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비화재층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2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단계(S740)에서는 상기 제2 이벤트가 발생되면, 사전 설정된 대기 시간 동안, 상기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대기 시간이 경과하면, 사전 설정된 제2 제어 주기 간격으로,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 상기 제연 댐퍼 장치가 설치된 상기 부속실의 현재 차압을 측정한 후, 사전 설정된 제2 개방 비율 테이블(상기 제2 개방 비율 테이블에는, 상한 값과 하한 값으로 구성된 복수의 제2 차압 범위들과 상기 복수의 제2 차압 범위들 각각에 대응되는 사전 지정된 개방 비율이 기록되어 있음)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2 차압 범위들 중 상기 현재 차압이 속한 차압 범위에 대응되는 제2 개방 비율을 추출하여,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제2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연 댐퍼 장치의 동작 방법은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연 댐퍼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4)

  1. 건물을 구성하는 각 층의 부속실에 제연을 위해서 설치되는 장치로서, 상기 건물 내의 휀룸에 설치된 송풍기로부터 급기 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바람을, 상기 부속실로 공급하기 위한 메인 개구부 및 보조 개구부가 구비된 제연 댐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연 댐퍼 장치가 설치된 상기 건물 내의 제1 층에서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제1 층에 설치된 소방 중계기 - 상기 소방 중계기와 상기 제연 댐퍼 장치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음 - 로부터, 상기 제1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지시하는 제1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화재층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1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이벤트 발생부; 및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되면, 사전 설정된 제1 제어 주기 간격으로, 차압 센서를 통해, 상기 제연 댐퍼 장치가 설치된 상기 부속실의 현재 차압을 측정한 후, 상기 현재 차압이 사전 설정된 최저 기준 차압 미만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메인 개구부와 상기 보조 개구부가 전면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최저 기준 차압 이상이면서, 사전 설정된 제1 임계 차압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메인 개구부가 상기 현재 차압에 따른 사전 설정된 제1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 개구부가 전면 개방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1 임계 차압 이상이면서, 사전 설정된 제2 임계 차압 - 상기 제2 임계 차압은 상기 제1 임계 차압보다 높은 값임 -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메인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 개구부가 상기 현재 차압에 따른 사전 설정된 제2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2 임계 차압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메인 개구부와 상기 보조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제연 댐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서 측정된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최저 기준 차압 이상이면서, 상기 제1 임계 차압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사전 설정된 제1 개방 비율 테이블 - 상기 제1 개방 비율 테이블에는, 상한 값과 하한 값으로 구성된 복수의 제1 차압 범위들과 상기 복수의 제1 차압 범위들 각각에 대응되는 사전 지정된 개방 비율이 기록되어 있음 - 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1 차압 범위들 중 상기 현재 차압이 속한 차압 범위에 대응되는 상기 제1 개방 비율을 추출한 후, 상기 메인 개구부가 상기 제1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 개구부가 전면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서 측정된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1 임계 차압 이상이면서, 상기 제2 임계 차압 미만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사전 설정된 제2 개방 비율 테이블 - 상기 제2 개방 비율 테이블에는, 상한 값과 하한 값으로 구성된 복수의 제2 차압 범위들과 상기 복수의 제2 차압 범위들 각각에 대응되는 사전 지정된 개방 비율이 기록되어 있음 - 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2 차압 범위들 중 상기 현재 차압이 속한 차압 범위에 대응되는 상기 제2 개방 비율을 추출한 후, 상기 메인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 개구부가 상기 제2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 댐퍼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서 측정된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2 임계 차압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메인 개구부와 상기 보조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소방 중계기로,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2 임계 차압 이상임을 지시하는 제1 이상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소방 중계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송풍기 제어 장치로 상기 제1 이상 신호를 전송하도록 처리하고,
    상기 송풍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이상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송풍기의 풍속을 감소시킬 것을 지시하는 감소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송풍기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송풍기의 풍속이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 댐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한 이후, 상기 제1 제어 주기가 사전 설정된 기준 횟수를 경과할 때까지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1 임계 차압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소방 중계기로,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1 임계 차압에 도달하지 못한 상황임을 지시하는 제2 이상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소방 중계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송풍기 제어 장치로 상기 제2 이상 신호를 전송하도록 처리하고,
    상기 송풍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2 이상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송풍기의 풍속을 증가시킬 것을 지시하는 증가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송풍기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송풍기의 풍속이 증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 댐퍼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발생부는
    상기 건물 내의 상기 제1 층이 아닌 다른 층에서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소방 중계기로부터, 다른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지시하는 제2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비화재층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2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벤트가 발생되면, 사전 설정된 대기 시간 동안, 상기 메인 개구부와 상기 보조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대기 시간이 경과하면, 사전 설정된 제2 제어 주기 간격으로,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 상기 제연 댐퍼 장치가 설치된 상기 부속실의 현재 차압을 측정한 후, 상기 메인 개구부의 폐쇄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사전 설정된 제3 개방 비율 테이블 - 상기 제3 개방 비율 테이블에는, 상한 값과 하한 값으로 구성된 복수의 제3 차압 범위들과 상기 복수의 제3 차압 범위들 각각에 대응되는 사전 지정된 개방 비율이 기록되어 있음 - 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3 차압 범위들 중 상기 현재 차압이 속한 차압 범위에 대응되는 제3 개방 비율을 추출하여, 상기 보조 개구부가 상기 제3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 댐퍼 장치.
  6. 건물을 구성하는 각 층의 부속실에 제연을 위해서 설치되는 장치로서, 상기 건물 내의 휀룸에 설치된 송풍기로부터 급기 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바람을, 상기 부속실로 공급하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된 제연 댐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연 댐퍼 장치가 설치된 상기 건물 내의 제1 층에서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제1 층에 설치된 소방 중계기 - 상기 소방 중계기와 상기 제연 댐퍼 장치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음 - 로부터, 상기 제1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지시하는 제1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화재층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1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이벤트 발생부; 및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되면, 사전 설정된 제1 제어 주기 간격으로, 차압 센서를 통해, 상기 제연 댐퍼 장치가 설치된 상기 부속실의 현재 차압을 측정한 후, 상기 현재 차압이 사전 설정된 최저 기준 차압 미만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개구부가 전면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최저 기준 차압 이상이면서, 사전 설정된 제1 임계 차압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사전 설정된 제1 개방 비율 테이블 - 상기 제1 개방 비율 테이블에는, 상한 값과 하한 값으로 구성된 복수의 제1 차압 범위들과 상기 복수의 제1 차압 범위들 각각에 대응되는 사전 지정된 개방 비율이 기록되어 있음 - 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1 차압 범위들 중 상기 현재 차압이 속한 차압 범위에 대응되는 제1 개방 비율을 추출한 후,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제1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1 임계 차압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부는
    상기 건물 내의 상기 제1 층이 아닌 다른 층에서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소방 중계기로부터, 다른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지시하는 제2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비화재층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2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벤트가 발생되면, 사전 설정된 대기 시간 동안, 상기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대기 시간이 경과하면, 사전 설정된 제2 제어 주기 간격으로,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 상기 제연 댐퍼 장치가 설치된 상기 부속실의 현재 차압을 측정한 후, 사전 설정된 제2 개방 비율 테이블 - 상기 제2 개방 비율 테이블에는, 상한 값과 하한 값으로 구성된 복수의 제2 차압 범위들과 상기 복수의 제2 차압 범위들 각각에 대응되는 사전 지정된 개방 비율이 기록되어 있음 - 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2 차압 범위들 중 상기 현재 차압이 속한 차압 범위에 대응되는 제2 개방 비율을 추출하여,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제2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 댐퍼 장치.
  7. 건물을 구성하는 부속실에 제연을 위해서 설치되는 장치로서, 상기 건물 내의 휀룸에 설치된 송풍기로부터 급기 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바람을, 상기 부속실로 공급하기 위한 메인 개구부 및 보조 개구부가 구비된 제연 댐퍼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연 댐퍼 장치가 설치된 상기 건물 내의 제1 층에서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제1 층에 설치된 소방 중계기 - 상기 소방 중계기와 상기 제연 댐퍼 장치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음 - 로부터, 상기 제1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지시하는 제1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화재층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1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되면, 사전 설정된 제1 제어 주기 간격으로, 차압 센서를 통해, 상기 제연 댐퍼 장치가 설치된 상기 부속실의 현재 차압을 측정한 후, 상기 현재 차압이 사전 설정된 최저 기준 차압 미만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메인 개구부와 상기 보조 개구부가 전면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최저 기준 차압 이상이면서, 사전 설정된 제1 임계 차압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메인 개구부가 상기 현재 차압에 따른 사전 설정된 제1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 개구부가 전면 개방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1 임계 차압 이상이면서, 사전 설정된 제2 임계 차압 - 상기 제2 임계 차압은 상기 제1 임계 차압보다 높은 값임 -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메인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 개구부가 상기 현재 차압에 따른 사전 설정된 제2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2 임계 차압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메인 개구부와 상기 보조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연 댐퍼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서 측정된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최저 기준 차압 이상이면서, 상기 제1 임계 차압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사전 설정된 제1 개방 비율 테이블 - 상기 제1 개방 비율 테이블에는, 상한 값과 하한 값으로 구성된 복수의 제1 차압 범위들과 상기 복수의 제1 차압 범위들 각각에 대응되는 사전 지정된 개방 비율이 기록되어 있음 - 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1 차압 범위들 중 상기 현재 차압이 속한 차압 범위에 대응되는 상기 제1 개방 비율을 추출한 후, 상기 메인 개구부가 상기 제1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 개구부가 전면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서 측정된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1 임계 차압 이상이면서, 상기 제2 임계 차압 미만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사전 설정된 제2 개방 비율 테이블 - 상기 제2 개방 비율 테이블에는, 상한 값과 하한 값으로 구성된 복수의 제2 차압 범위들과 상기 복수의 제2 차압 범위들 각각에 대응되는 사전 지정된 개방 비율이 기록되어 있음 - 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2 차압 범위들 중 상기 현재 차압이 속한 차압 범위에 대응되는 상기 제2 개방 비율을 추출한 후, 상기 메인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 개구부가 상기 제2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 댐퍼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서 측정된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2 임계 차압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메인 개구부와 상기 보조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소방 중계기로,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2 임계 차압 이상임을 지시하는 제1 이상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소방 중계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송풍기 제어 장치로 상기 제1 이상 신호를 전송하도록 처리하고,
    상기 송풍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이상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송풍기의 풍속을 감소시킬 것을 지시하는 감소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송풍기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송풍기의 풍속이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 댐퍼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한 이후, 상기 제1 제어 주기가 사전 설정된 기준 횟수를 경과할 때까지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1 임계 차압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소방 중계기로,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1 임계 차압에 도달하지 못한 상황임을 지시하는 제2 이상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소방 중계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송풍기 제어 장치로 상기 제2 이상 신호를 전송하도록 처리하고,
    상기 송풍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2 이상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송풍기의 풍속을 증가시킬 것을 지시하는 증가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송풍기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송풍기의 풍속이 증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 댐퍼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 내의 상기 제1 층이 아닌 다른 층에서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소방 중계기로부터, 다른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지시하는 제2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비화재층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2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이벤트가 발생되면, 사전 설정된 대기 시간 동안, 상기 메인 개구부와 상기 보조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대기 시간이 경과하면, 사전 설정된 제2 제어 주기 간격으로,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 상기 제연 댐퍼 장치가 설치된 상기 부속실의 현재 차압을 측정한 후, 상기 메인 개구부의 폐쇄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사전 설정된 제3 개방 비율 테이블 - 상기 제3 개방 비율 테이블에는, 상한 값과 하한 값으로 구성된 복수의 제3 차압 범위들과 상기 복수의 제3 차압 범위들 각각에 대응되는 사전 지정된 개방 비율이 기록되어 있음 - 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3 차압 범위들 중 상기 현재 차압이 속한 차압 범위에 대응되는 제3 개방 비율을 추출하여, 상기 보조 개구부가 상기 제3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연 댐퍼 장치의 동작 방법.
  12. 건물을 구성하는 각 층의 부속실에 제연을 위해서 설치되는 장치로서, 상기 건물 내의 휀룸에 설치된 송풍기로부터 급기 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바람을, 상기 부속실로 공급하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된 제연 댐퍼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연 댐퍼 장치가 설치된 상기 건물 내의 제1 층에서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제1 층에 설치된 소방 중계기 - 상기 소방 중계기와 상기 제연 댐퍼 장치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음 - 로부터, 상기 제1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지시하는 제1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화재층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1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되면, 사전 설정된 제1 제어 주기 간격으로, 차압 센서를 통해, 상기 제연 댐퍼 장치가 설치된 상기 부속실의 현재 차압을 측정한 후, 상기 현재 차압이 사전 설정된 최저 기준 차압 미만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개구부가 전면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최저 기준 차압 이상이면서, 사전 설정된 제1 임계 차압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사전 설정된 제1 개방 비율 테이블 - 상기 제1 개방 비율 테이블에는, 상한 값과 하한 값으로 구성된 복수의 제1 차압 범위들과 상기 복수의 제1 차압 범위들 각각에 대응되는 사전 지정된 개방 비율이 기록되어 있음 - 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1 차압 범위들 중 상기 현재 차압이 속한 차압 범위에 대응되는 제1 개방 비율을 추출한 후,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제1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현재 차압이 상기 제1 임계 차압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건물 내의 상기 제1 층이 아닌 다른 층에서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소방 중계기로부터, 다른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지시하는 제2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비화재층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2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이벤트가 발생되면, 사전 설정된 대기 시간 동안, 상기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대기 시간이 경과하면, 사전 설정된 제2 제어 주기 간격으로, 상기 차압 센서를 통해, 상기 제연 댐퍼 장치가 설치된 상기 부속실의 현재 차압을 측정한 후, 사전 설정된 제2 개방 비율 테이블 - 상기 제2 개방 비율 테이블에는, 상한 값과 하한 값으로 구성된 복수의 제2 차압 범위들과 상기 복수의 제2 차압 범위들 각각에 대응되는 사전 지정된 개방 비율이 기록되어 있음 - 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2 차압 범위들 중 상기 현재 차압이 속한 차압 범위에 대응되는 제2 개방 비율을 추출하여,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제2 개방 비율만큼만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연 댐퍼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4.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30005460A 2023-01-13 2023-01-13 제연 댐퍼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34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5460A KR102534985B1 (ko) 2023-01-13 2023-01-13 제연 댐퍼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5460A KR102534985B1 (ko) 2023-01-13 2023-01-13 제연 댐퍼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985B1 true KR102534985B1 (ko) 2023-05-26

Family

ID=86536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5460A KR102534985B1 (ko) 2023-01-13 2023-01-13 제연 댐퍼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9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837B1 (ko) * 2023-08-14 2024-03-05 강경인 지능형 냉동창고 바닥공조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6758A (ko) * 2012-06-05 2013-12-13 이동명 차압 풍량 연산제어 급기댐퍼
KR20220068902A (ko) * 2020-11-19 2022-05-26 주식회사 에스앤에프시스템 자동 차압 급기 댐퍼 및 그의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6758A (ko) * 2012-06-05 2013-12-13 이동명 차압 풍량 연산제어 급기댐퍼
KR20220068902A (ko) * 2020-11-19 2022-05-26 주식회사 에스앤에프시스템 자동 차압 급기 댐퍼 및 그의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837B1 (ko) * 2023-08-14 2024-03-05 강경인 지능형 냉동창고 바닥공조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4985B1 (ko) 제연 댐퍼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5788571A (en) Method of venting smoke from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KR101638152B1 (ko) 스마트 화재예방 및 대응 시스템
KR20110048425A (ko) 인버터 제어에 의한 흡연실 자동 배기시스템
US4068568A (en) Fire safety systems
KR20090044172A (ko)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US10726695B1 (en) Building safety system
JP3567397B2 (ja) 排煙制御システム
JP2012037176A (ja) 換気システム
JP2003019221A (ja) 附室加圧排煙システム
JP3390772B2 (ja) 非常用エレベーターの附室の加圧給気装置
JP2000140141A (ja) 加圧防排煙設備における圧力調整機構
JP2005040504A (ja) 排煙設備および加圧排煙システム
JPH0759869A (ja) 加圧排煙システム
JP3047105B2 (ja) 防煙方法及び防煙装置
JP5528367B2 (ja) イオン発生装置付きエレベーター
JP3985336B2 (ja) 附室を備えた建築物における防火装置
JP7443896B2 (ja) 加圧防排煙設備、建物及び加圧防排煙設備の設計方法
JPH04367670A (ja) 高層集合住宅における火災時の排煙方法
JPH11242788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2486467B1 (ko) 제연설비 스마트 제어 시스템
JP2010088567A (ja) 床吹き出し空調兼用排煙システム
JP2000065406A (ja) 換気システム
KR101889705B1 (ko) 재해약자의 안전한 화재대피가 가능한 건축물 화장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대피 방법
KR20170090061A (ko) 개량된 전류 공급구조를 갖는 dc 24v 입력형의 비상문 자동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