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705B1 - 재해약자의 안전한 화재대피가 가능한 건축물 화장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대피 방법 - Google Patents

재해약자의 안전한 화재대피가 가능한 건축물 화장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대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705B1
KR101889705B1 KR1020160075905A KR20160075905A KR101889705B1 KR 101889705 B1 KR101889705 B1 KR 101889705B1 KR 1020160075905 A KR1020160075905 A KR 1020160075905A KR 20160075905 A KR20160075905 A KR 20160075905A KR 101889705 B1 KR101889705 B1 KR 101889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terminal
building
information
dispatc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50053A (ko
Inventor
하희상
서지현
박준
Original Assignee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150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50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s
    • E04H9/06Structures arranged in or forming part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connection with doors, windows, ventilators, partitions, or shutters, e.g. automatic clos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9Methods or equipment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2C99/0009 - A62C99/0081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4Hydraulic or pneumatic actuation of the alarm, e.g. by change of fluid pressur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해약자의 안전한 화재대피가 가능한 건축물 화장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 대피 방법은 건물의 화재로 인해 사용자가 건물의 화장실로 대피하면 모듈 동작 제어 장치가 상기 화장실 내부의 기압을 외부의 기압보다 높게 유지시키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보유하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이 상기 화장실에 설치된 서브 AP(Access Point)에 접속하면, 상기 서브 AP가 상기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여 건물 관리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건물 관리 단말이 상기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대피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대피자 정보를 출동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장실 내부의 기압을 외부의 기압보다 높게 유지시켜 외부의 연기가 화장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재해약자가 복잡한 대피과정 없이도 건물의 화장실로 들어가는 것만으로도 화재로부터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재해약자의 안전한 화재대피가 가능한 건축물 화장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대피 방법{SAFE FIRE-EVACUATION TOILET SYSTEM OF BUILDINGS FOR THE WEAK PERSON OF DISASTER AND FIRE-EVACUATION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재해약자의 안전한 화재대피가 가능한 건축물 화장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대피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에 따른 인구의 집중화로 각종 빌딩의 대형화, 고층화 및 복합화가 급격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화재안전에 취약한 건축물이 증가되고 있으므로, 인명안전 확보를 위한 효과적인 화재대책 수립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 초고층 복합빌딩과 같이 고층빌딩은 재실자들이 외부와의 접근성에 제약을 받기 때문에 화재 발생시 일반 건축물보다 피난 동선이 길어 피난시간이 지연되고, 각종 구난장비 활용의 제약 등으로 인해 인명피해의 위험성이 더 높다고 판단된다.
예를 들면, 최근 50층 이상의 초고층빌딩에 대해서는 30층마다 피난층을 설치하고, 30~49층의 준초고층 빌딩에 대해서도 중간층에 피난공간을 확보하도록 하는 등 빌딩의 층수에 따라 피난안전구역 설치를 의무화하고, 그 설치 대상을 확대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관련 규정을 계속 보완하거나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피난공간 확보에 관한 관련 규정의 강화에도 불구하고,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재실자들이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이들과 가장 가까운 곳에 피난공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하지만,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사람들은 이성적으로 판단하여 피난처를 찾기 보다는 평소에 잘 다니고 화염 또는 유독가스를 피하여 본능적으로 대피하기 때문에 건물내 구비되었을 별도의 피난공간에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사람이 매우 적다.
그리고, 이는 창문을 깨고 빌딩 밖으로 뛰어내리는 등 극단적인 행동을 취하게 만들어 추락과 유독가스에 의한 2차적인 재해, 즉 대형 인명피해가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화장실 내부의 기압을 외부의 기압보다 높게 유지시켜 외부의 연기가 화장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재해약자가 복잡한 대피과정 없이도 건물의 화장실로 들어가는 것만으로도 화재로부터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재해약자의 안전한 화재대피가 가능한 건축물 화장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대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해약자가 화장실에 대피 시 재해약자가 보유하는 단말이 화장실에 설치된 서브 AP(Access point)에 접속하도록 하여 외부에서 화장실에 설치된 서브 AP에 접속한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화장실에 대피한 대피자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재해약자의 안전한 화재대피가 가능한 건축물 화장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대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실 별로 대피한 사용자의 명수에 따라 건물의 인접한 위치에 있는 다수의 긴급 출동 관리 센터에 소속된 출동자가 보유하는 출동자 단말에 대피자 정보를 나누어 전송함으로써 화재를 빠르게 진압함과 동시에 연기가 역류되어 화장실 내부로 연기가 유입되기 이전에 화장실에 대피한 사용자를 빠르게 구조할 수 있도록 하는 재해약자의 안전한 화재대피가 가능한 건축물 화장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대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 중에서, 재해약자의 안전한 화재대피가 가능한 건축물 화장실 시스템은 건물의 화재로 인해 사용자가 건물의 화장실로 대피하면 상기 화장실 내부의 기압을 외부의 기압보다 높게 유지시키는 모듈 동작 제어 장치, 상기 사용자가 보유하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이 상기 화장실에 설치된 서브 AP(Access Point)에 접속하면, 상기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여 각각 제공하는 상기 서브 AP 및 상기 화장실에 각각 설치된 서브 AP 각각으로부터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면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대피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대피자 정보를 출동자 단말에 제공하는 건물 관리 단말을 포함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재해약자의 안전한 화재대피가 가능한 건축물 화장실 시스템을 이용한 화재대피 방법은 건물의 화재로 인해 사용자가 건물의 화장실로 대피하면 모듈 동작 제어 장치가 상기 화장실 내부의 기압을 외부의 기압보다 높게 유지시키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보유하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이 상기 화장실에 설치된 서브 AP(Access Point)에 접속하면, 상기 서브 AP가 상기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여 건물 관리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건물 관리 단말이 상기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대피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대피자 정보를 출동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실 내부의 기압을 외부의 기압보다 높게 유지시켜 외부의 연기가 화장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재해약자가 복잡한 대피과정 없이도 건물의 화장실로 들어가는 것만으로도 화재로부터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재해약자가 화장실에 대피 시 재해약자가 보유하는 단말이 화장실에 설치된 서브 AP(Access point)에 접속하도록 하여 외부에서 화장실에 설치된 서브 AP에 접속한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화장실에 대피한 대피자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실 별로 대피한 사용자의 명수에 따라 건물의 인접한 위치에 있는 다수의 긴급 출동 관리 센터에 소속된 출동자가 보유하는 출동자 단말에 대피자 정보를 나누어 전송함으로써 화재를 빠르게 진압함과 동시에 연기가 역류되어 화장실 내부로 연기가 유입되기 이전에 화장실에 대피한 사용자를 빠르게 구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해약자의 안전한 화재대피가 가능한 건축물 화장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화장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해약자의 안전한 화재대피가 가능한 건축물 화장실 시스템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재해약자의 안전한 화재대피가 가능한 건축물 화장실 시스템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재해약자의 안전한 화재대피가 가능한 건축물 화장실 시스템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해약자의 안전한 화재대피가 가능한 건축물 화장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대피 방법은 저층건물/고층건물/초고층건물을 포함한, 층마다 공용화장실이 존재하는 모든 종류의 건축물에 적용 가능하며, 화장실 내부의 기압을 외부의 기압보다 높게 유지시켜 외부의 연기가 화장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재해약자(어린이, 노인, 장애인, 임산부 등)가 복잡한 대피과정 없이도 건물의 화장실로 들어가는 것만으로도 화재로부터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해약자의 안전한 화재대피가 가능한 건축물 화장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재해약자의 안전한 화재대피가 가능한 건축물 화장실 시스템은 모듈 동작 제어 장치(111a, 111b, 111c, 111d), 건물 관리 단말(200), 긴급 출동 관리 서버(300) 및 출동자 단말(400a, 400b, 400c, 400d)을 포함한다.
모듈 동작 제어 장치(111a, 111b, 111c, 111d)는 화장실(110a, 110b, 110c, 110d)에 설치된 모듈(예를 들어, 공기 유입 장치, 환풍기, 역류 감지 센서, 압력 측정 장치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모듈 동작 제어 장치(111a, 111b, 111c, 111d)는 건물(100)의 화재로 인해 사용자가 건물(100)의 화장실(110a, 110b, 110c, 110d)로 대피하면 모듈 동작 제어 장치(111a, 111b, 111c, 111d)가 화장실(110a, 110b, 110c, 110d) 내부의 기압을 외부의 기압보다 높게 유지시켜 외부의 연기가 화장실(110a, 110b, 110c, 110d)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재해약자(예를 들어, 어린이, 노인, 장애인, 임산부 등)가 복잡한 대피과정 없이도 건물(100)의 화장실(110a, 110b, 110c, 110d)로 들어가는 것만으로도 화재로부터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
먼저, 모듈 동작 제어 장치(111a, 111b, 111c, 111d)는 평상시에 화장실(110a, 110b, 110c, 110d)에 설치된 환풍기가 동작되도록 제어하여 악취가 나는 화장실(110a, 110b, 110c, 110d)의 내부 공기를 환풍기를 통해 풍로로 흡입되어 옥외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모듈 동작 제어 장치(111a, 111b, 111c, 111d)는 화장실(110a, 110b, 110c, 110d)에 설치된 공기 유입 장치가 항상 동작되도록 제어하여 외부 공기가 화장실(110a, 110b, 110c, 110d)의 내부에 유입되도록 하여 화장실(110a, 110b, 110c, 110d)에서 악취가 나지 않도록 한다.
하지만, 모듈 동작 제어 장치(111a, 111b, 111c, 111d)는 화재 발생 시 화장실(110a, 110b, 110c, 110d)에 설치된 환풍기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고, 화장실(110a, 110b, 110c, 110d)에 설치된 공기 유입 장치만이 동작되도록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화재 발생 시 화장실(110a, 110b, 110c, 110d) 내부로 연기가 유입되는 이유는 화장실(110a, 110b, 110c, 110d) 외부의 기압이 화장실(110a, 110b, 110c, 110d) 내부의 기압보다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장실(110a, 110b, 110c, 110d) 내부의 기압이 화장실(110a, 110b, 110c, 110d) 외부의 기압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하여 화재 시 연기가 화장실(110a, 110b, 110c, 110d) 내부에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모듈 동작 제어 장치(111a, 111b, 111c, 111d)는 화장실(110a, 110b, 110c, 110d)에 설치된 환풍기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하여 화장실(110a, 110b, 110c, 110d) 내부의 공기가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며 공기 유입 장치를 통해 외부 공기를 화장실(110a, 110b, 110c, 110d) 내부로 유입함으로써 화장실(110a, 110b, 110c, 110d) 내부의 기압이 외부의 기압보다 높도록 한다.
화장실(110a, 110b, 110c, 110d)에 설치된 압력 측정 장치는 화장실(110a, 110b, 110c, 110d) 내부의 기압 및 화장실(110a, 110b, 110c, 110d) 외부의 기압의 차이 기압을 측정하여 모듈 동작 제어 장치(111a, 111b, 111c, 111d)에 제공하며, 모듈 동작 제어 장치(111a, 111b, 111c, 111d)는 압력 측정 장치로부터 수신된 차이 기압에 따라 공기 유입 장치의 동작 속도를 조절하여 공기 유입 장치가 동작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모듈 동작 제어 장치(111a, 111b, 111c, 111d)는 차이 기압이 음수이면 화장실(110a, 110b, 110c, 110d) 외부의 기압이 더 높다고 판단하여 공기 유입 장치의 동작 속도를 증가시켜 외부 공기가 화장실(110a, 110b, 110c, 110d) 내부로 더 많이 유입되도록 한다.
하지만, 화재가 지속될 경우 화장실(110a, 110b, 110c, 110d)에 설치된 공기 유입 장치(112)를 통해 연기가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모듈 동작 제어 장치(111a, 111b, 111c, 111d)는 연기 감지 센서로부터 연기 감지 정보를 수신하면 공기 유입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러한 경우, 화장실 내부의 기압을 외부의 기압보다 높게 유지하기 위해 임시적으로 공기를 제공하는 임시 공기 제공 장치를 동작시킨다.
또한, 사용자가 화재 시 화장실(110a, 110b, 110c, 110d)로 대피하면 사용자가 보유하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이 화장실(110a, 110b, 110c, 110d)에 설치된 서브 AP(Access Point)에 접속하게 된다. 그러면, 건물(100)의 화장실(110a, 110b, 110c, 110d) 각각에 설치된 서브 AP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여 건물 관리 단말(200)에 각각 제공한다.
화재 발생 시 전원이 차단되어 건물(100) 내의 모든 전자 기기의 동작이 정지되기 때문에 AP의 동작 또한 정지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화장실(110a, 110b, 110c, 110d) 내부의 기압을 화장실(110a, 110b, 110c, 110d) 외부의 기압보다 높게 하여 연기가 화장실(110a, 110b, 110c, 110d)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화장실(110a, 110b, 110c, 110d)에 설치된 서브 AP는 화재 발생과 상관없이 동작할 수 있는 것이다.
화장실(110a, 110b, 110c, 110d) 각각에 설치된 서브 AP 해당 화장실(110a, 110b, 110c, 110d)에 대피한 사용자가 보유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여 건물 관리 단말(200)에 제공하면, 건물 관리 단말(200)은 서브 AP에서 수신한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대피자 정보를 생성하고, 대피자 정보를 출동자 단말(400a, 400b, 400c, 400d)에 제공함으로써 긴급 출동을 알린다.
이때, 대피자 정보는 긴급 출동자가 대피자를 구조할 시 사용되는 정보이다. 건물 관리 단말(200)이 대피자 정보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건물 관리 단말(200)은 화장실(110a, 110b, 110c, 110d)에 각각 설치된 서브 AP 각각으로부터 식별자 정보의 개수를 이용하여 화장실(110a, 110b, 110c, 110d) 별로 대피한 사용자의 명수를 산출하고, 화장실(110a, 110b, 110c, 110d) 별로 대피한 사용자의 명수 및 해당 사용자가 보유하는 있는 사용자 단말이 접속한 AP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대피자 정보를 생성하여 출동자 단말(400a, 400b, 400c, 400d)에 제공할 수 있다.
건물 관리 단말(200)은 화장실(110a, 110b, 110c, 110d) 별로 대피한 사용자의 명수가 특정 명수 이상이면 긴급 출동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긴급 출동 관리 센터 별 출동자 상황 정보를 참조하여 긴급 출동 관리 센터에서 출동 가능자의 명수를 확인하고, 출동 가능자의 명수가 특정 명수 이하이면 건물(100)의 인접한 위치에 있는 다수의 긴급 출동 관리 센터에 소속된 출동자가 보유하는 출동자 단말에 대피자 정보를 나누어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장실(110a, 110b, 110c, 110d)에 대피해 있는 사용자의 명수를 미리 파악하여 출동자 단말에 제공하며 화장실(110a, 110b, 110c, 110d)에 대피해 있는 사용자의 명수가 특정 명수 이상인 경우 많은 긴급 출동자가 요구되기 때문에 긴급 출동 관리 센터 별 출동자 상황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긴급 출동 관리 센터에서 출동 가능자의 명수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때, 긴급 출원 관리 센터에서 출동 가능자의 명수가 특정 명수 이하이면 화장실(110a, 110b, 110c, 110d) 별로 대피한 사용자의 명수에 따라 건물(100)의 인접한 위치에 있는 다수의 긴급 출동 관리 센터에 소속된 출동자가 보유하는 출동자 단말에 대피자 정보를 나누어 제공한다. 이로 인해, 화재를 빠르게 진압함과 동시에 연기가 역류되어 화장실(110a, 110b, 110c, 110d) 내부로 연기가 유입되기 이전에 화장실(110a, 110b, 110c, 110d)에 대피한 사용자를 빠르게 구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긴급 출동 관리 서버(300)는 긴급 출동 관리 센터 별로 소속된 출동자가 보유하는 출동자 단말(400a, 400b, 400c, 400d)과 통신하여 출동자 단말(400a, 400b, 400c, 400d)의 위치가 해당 긴급 출동 관리 센터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출동자의 출동자 상황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건물 관리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것이다.
긴급 출동 관리 서버(300)는 출동자 단말(400a, 400b, 400c, 400d)의 위치가 해당 긴급 출동 관리 센터이면 출동자의 출동자 상황 정보를 출동 가능 사용자로 설정하고, 출동자 단말(400a, 400b, 400c, 400d)의 위치가 해당 긴급 출동 관리 센터가 아니면 출동자의 출동자 상황 정보를 출동 불가능 사용자로 설정하여 출동자 상황 정보를 관리한다. 이에 따라, 건물 관리 단말(200)은 실시간으로 출동자 상황 정보를 확인하여 대피자 정보를 출동자 단말(400a, 400b, 400c, 400d)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화장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건물 내 화장실(110)에는 모듈 동작 제어 장치(111), 공기 유입 장치(112), 환풍기(113), 서브 AP(114), 역류 감지 센서(115) 및 압력 측정 장치(116)을 포함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공기 유입 장치(112) 및 환풍기(113)는 서로 분리하여 도시하였으나 하나의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으며, 공기 유입 장치(112) 및 환풍기(113)는 화장실(110)의 천장에 설치될 수 있으나 화장실 내부의 다른 유치에 설치될 수 있다.
환풍기(113)는 모듈 동작 제어 장치(111)의 제어에 따라 화장실(110) 내부의 공기를 풍로로 흡입하여 옥외로 배출하여 화장실(110)에서 악취가 나지 않도록 한다.
공기 유입 장치(112)는 모듈 동작 제어 장치(111)의 제어에 따라 외부 공기를 화장실(110) 내부로 유입시킨다.
모듈 동작 제어 장치(111)는 평상시에는 환풍기(113) 및 공기 유입 장치(112)를 동시에 가동시켜 화장실(110)의 내부 공기를 환풍기(113)를 통해 풍로로 흡입되어 옥외로 배출되도록 하고, 공기 유입 장치(112)를 통해 외부 공기가 화장실(110)의 내부에 유입되도록 화장실(110)에서 악취가 나지 않도록 한다.
모듈 동작 제어 장치(111)는 화재 발생 시 환풍기(113)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공기 유입 장치(112)는 계속해서 동작되도록 하여 화장실(110) 내부의 기압을 외부의 기압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화재 발생 시 화장실(110) 내부로 연기가 유입되는 이유는 화장실(110) 외부의 기압이 화장실(110) 내부의 기압보다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장실(110) 내부의 기압이 화장실(110) 외부의 기압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하여 화재 시 연기가 화장실(110) 내부에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모듈 동작 제어 장치(111)는 압력 측정 장치(116)에 의해 측정된 화장실(110) 내부의 기압이 화장실(110) 외부의 기압 보다 높도록 할 수 공기 유입 장치(112)를 계속해서 동작시킨다.
하지만, 화재가 지속될 경우 화장실(110)에 설치된 공기 유입 장치(112)를 통해 연기가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모듈 동작 제어 장치(111)는 역류 감지 센서(115)를 이용하여 연기가 화장실(110) 내부로 유입되는지 확인하며, 역류 감지 센서(115)로부터 연기 감지 정보를 수신하면 공기 유입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화장실(110) 내부로 연기가 유입되어 공기 유입 장치(112)의 동작이 정지되더라도 임시 공기 제공 장치(미도시됨)를 동작시켜 화장실(110) 내부의 기압을 화장실(110) 외부의 기압보다 높게 유지시킬 수 있다.
서브 AP(114)는 건물의 화재로 인해 사용자가 건물의 화장실로 대피하면 사용자가 보유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식별자 정보를 수신한다. 이러한 식별자 정보는 화장실에 대피한 사용자를 구조하는데 필요한 대피자 정보를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과정은 도 1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화장실 내부의 대피자들이 안전하게 생존할 수 있는 모듈, 화재 연기 감지 시 화장실의 문이 강제로 개방되어지지 않기 위한 모듈, 화장실 문틈 사이로 연기가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거나, 들어오더라도 이의 확산을 방지하는 모듈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해약자의 안전한 화재대피가 가능한 건축물 화장실 시스템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의 일 실시예에는 모듈 동작 제어 장치의 실행 과정이 개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듈 동작 제어 장치(111)는 환풍기를 가동시켜 화장실의 내부 공기를 옥외로 배출되도록 한다(단계 S310). 모듈 동작 제어 장치(111)는 화장실에 설치된 공기 유입 장치(112)가 항상 동작되도록 제어하여 외부 공기가 화장실의 내부에 유입되도록 하여 화장실에서 악취가 나지 않도록 한다(단계 S320). 모듈 동작 제어 장치(111)는 건물의 화재로 인해 사용자가 건물의 화장실로 대피하면(단계 S330), 화장실에 설치된 환풍기의 동작을 정지시킨다(단계 S340).
모듈 동작 제어 장치(111)는 압력 측정 장치를 통해 측정된 화장실 내부의 기압 및 화장실 외부의 기압 사이의 차이 기압을 이용하여 화장실 내부의 기압이 화장실 외부의 기압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공기 유입 장치를 동작시킨다(단계 S350).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재해약자의 안전한 화재대피가 가능한 건축물 화장실 시스템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의 일 실시예에는 건물 관리 단말의 실행 과정이 개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건물 관리 단말(200)은 화장실 각각에 설치된 서브 AP로부터 서브 AP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S410). 건물 관리 단말(200)은 화장실에 각각 설치된 서브 AP 각각으로부터 식별자 정보의 개수를 이용하여 화장실 별로 대피한 사용자의 명수를 산출한다(단계 S420).
건물 관리 단말(200)은 화장실 별로 대피한 사용자의 명수 및 해당 사용자가 보유하는 있는 사용자 단말이 접속한 AP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대피자 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430).
건물 관리 단말(200)은 화장실 별로 대피한 대피한 사용자의 명수가 특정 명수 이상이면 긴급 출동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긴급 출동 관리 센터 별 출동자 상황 정보를 참조하여 긴급 출동 관리 센터에서 출동 가능자의 명수를 확인한다(단계 S440).
건물 관리 단말(200)은 출동 가능자의 명수가 특정 명수 이하이면(단계 S450), 대피한 사용자의 명수에 따라 건물의 인접한 위치에 있는 다수의 긴급 출동 관리 센터에 소속된 출동자가 보유하는 출동자 단말에 대피자 정보를 나누어 제공한다(단계 S460). 한편, 건물 관리 단말(200)은 출동 가능자의 명수가 특정 명수 이하가 아니면(단계 S450), 하나의 긴급 출동 관리 센터에 소속된 출동자가 보유하는 출동자 단말에 대피자 정보를 제공한다(단계 S470).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재해약자의 안전한 화재대피가 가능한 건축물 화장실 시스템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의 일 실시예에는 긴급 출동 관리 서버의 실행 과정이 개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긴급 출동 관리 서버(300)는 긴급 출동 관리 센터 별로 소속된 출동자가 보유하는 출동자 단말과 통신하여 출동자 단말의 위치를 확인한다(단계 S510).
긴급 출동 관리 서버(300)는 출동자 단말의 위치가 해당 긴급 출동 관리 센터인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520). 긴급 출동 관리 서버(300)는 출동자 단말의 위치가 해당 긴급 출동 관리 센터이면(단계 S530), 출동자의 출동자 상황 정보를 출동 가능 사용자로 설정한다(단계 S540).
긴급 출동 관리 서버(300)는 출동자 단말의 위치가 해당 긴급 출동 관리 센터가 아니면 출동자의 출동자 상황 정보를 출동 불가능 사용자로 설정한다(단계 S550).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건물 110: 화장실
111: 모듈 동작 제어 장치 112: 공기 유입 장치
113: 환풍기 114: 서브 AP
115: 역류 감지 센서 116: 압력 측정 장치
200: 건물 관리 단말 300: 긴급 출동 관리 서버
400: 출동자 단말

Claims (8)

  1. 건물의 화재로 인해 사용자가 건물의 화장실로 대피하면 상기 화장실 내부의 기압을 외부의 기압보다 높게 유지시키는 모듈 동작 제어 장치;
    상기 사용자가 보유하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이 상기 화장실에 설치된 서브 AP(Access Point)에 접속하면, 상기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여 각각 제공하는 상기 서브 AP;
    상기 화장실에 각각 설치된 서브 AP 각각으로부터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면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대피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대피자 정보를 출동자 단말에 제공하는 건물 관리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건물 관리 단말은
    상기 화장실에 각각 설치된 서브 AP 각각으로부터 식별자 정보의 개수를 이용하여 화장실 별로 대피한 사용자의 명수를 산출하고,
    상기 화장실 별로 대피한 사용자의 명수 및 해당 사용자가 보유하는 있는 사용자 단말이 접속한 AP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대피자 정보를 상기 출동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약자의 안전한 화재대피가 가능한 건축물 화장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동작 제어 장치는
    외부 공기를 상기 화장실의 내부에 유입시키도록 공기 유입 장치를 동작시키고,
    상기 건물의 화재 발생 시 상기 화장실에 설치된 환풍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압력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상기 화장실 내부의 기압 및 상기 화장실 외부의 기압 사이의 차이 기압에 따라 상기 공기 유입 장치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약자의 안전한 화재대피가 가능한 건축물 화장실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동작 제어 장치는
    연기 감지 센서로부터 연기 감지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공기 유입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약자의 안전한 화재대피가 가능한 건축물 화장실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 관리 단말은
    상기 대피한 사용자의 명수가 특정 명수 이상이면 긴급 출동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긴급 출동 관리 센터 별 출동자 상황 정보를 참조하여 긴급 출동 관리 센터에서 출동 가능자의 명수를 확인하고,
    상기 출동 가능자의 명수가 특정 명수 이하이면 상기 대피한 사용자의 명수에 따라 상기 건물의 인접한 위치에 있는 다수의 긴급 출동 관리 센터에 소속된 출동자가 보유하는 출동자 단말에 대피자 정보를 나누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약자의 안전한 화재대피가 가능한 건축물 화장실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 관리 단말은
    상기 다수의 긴급 출동 관리 센터 별 출동 가능자 명수 및 화장실 별로 대피한 사용자의 명수를 비교하여 상기 긴급 출동 관리 센터 별로 구조 구역을 나누고,
    상기 구조 구역에 위치하는 AP의 위치 정보를 해당 긴급 출동 관리 센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약자의 안전한 화재대피가 가능한 건축물 화장실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출동 관리 서버는
    상기 긴급 출동 관리 센터 별로 소속된 출동자가 보유하는 출동자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출동자 단말의 위치가 해당 긴급 출동 관리 센터이면 상기 출동자의 출동자 상황 정보를 출동 가능 사용자로 설정하고,
    상기 출동자 단말의 위치가 해당 긴급 출동 관리 센터가 아니면 상기 출동자의 출동자 상황 정보를 출동 불가능 사용자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약자의 안전한 화재대피가 가능한 건축물 화장실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재해약자의 안전한 화재대피가 가능한 건축물 화장실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시되어지는 화재대피 방법
  8. 삭제
KR1020160075905A 2015-06-17 2016-06-17 재해약자의 안전한 화재대피가 가능한 건축물 화장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대피 방법 KR1018897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993 2015-06-17
KR20150085993 2015-06-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053A KR20160150053A (ko) 2016-12-28
KR101889705B1 true KR101889705B1 (ko) 2018-08-21

Family

ID=57724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905A KR101889705B1 (ko) 2015-06-17 2016-06-17 재해약자의 안전한 화재대피가 가능한 건축물 화장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대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7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9536A (ja) * 2000-05-26 2001-12-07 Nec Corp 緊急通知方式
JP2005040504A (ja) * 2003-07-25 2005-02-17 Taisei Corp 排煙設備および加圧排煙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151B1 (ko) * 2011-11-23 2013-09-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고층건물의 화재 대피공간용 화장실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9536A (ja) * 2000-05-26 2001-12-07 Nec Corp 緊急通知方式
JP2005040504A (ja) * 2003-07-25 2005-02-17 Taisei Corp 排煙設備および加圧排煙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053A (ko)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550B1 (ko) 공동주택의 화재 대피실 방화 장치
KR101843861B1 (ko) 비상문 자동 개폐 시스템
KR20070001065U (ko) 에어커튼기기를 이용한 제연방법 및 그 장치
WO2007032083A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1444395B1 (ko) 비상 대처가 가능한 지능형 자동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7948368B2 (en) Method for evacuating buildings divided into sections
KR102113241B1 (ko) 제연설비 및 그 제연설비의 제어방법
KR20120112660A (ko) 비상 상황 중 승강기의 작동 방법
KR101306151B1 (ko) 고층건물의 화재 대피공간용 화장실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US20110108365A1 (en) Evacuation supporting system
KR101594806B1 (ko) 주거 시설물의 인명구조용 제연 설비
KR101889705B1 (ko) 재해약자의 안전한 화재대피가 가능한 건축물 화장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대피 방법
KR20190142032A (ko) 건물 재난 알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재난 알림 방법
KR100804381B1 (ko) 제연 환기시스템
JP2008308309A (ja) エレベータを利用した火災時避難誘導システム
US20200139169A1 (en) Hvac fire suppression system
CN112750268B (zh) 火灾报警系统及相关产品
CN111489516A (zh) 建筑物事件响应处理方法、系统以及存储介质
KR20120078340A (ko)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
JPH09287787A (ja) 排煙制御システム
CA2405858A1 (en) Stairwell pressurization system
KR101355175B1 (ko)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
KR101263368B1 (ko)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
JP2004323176A (ja) 構造物の排煙装置
CN111913399B (zh) 一种业主物业联动安防系统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