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010B1 -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축광기능을 갖는 목재 펜스 - Google Patents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축광기능을 갖는 목재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4010B1
KR102534010B1 KR1020210059412A KR20210059412A KR102534010B1 KR 102534010 B1 KR102534010 B1 KR 102534010B1 KR 1020210059412 A KR1020210059412 A KR 1020210059412A KR 20210059412 A KR20210059412 A KR 20210059412A KR 102534010 B1 KR102534010 B1 KR 102534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en
horizontal
support
floor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2001A (ko
Inventor
인명원
Original Assignee
명인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인컴퍼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명인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9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010B1/ko
Publication of KR20220152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2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축광기능을 갖는 목재 펜스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목재지주를 설치함에 있어 설정된 위치 상에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고, 인접한 목재지주 간을 연결 고정하도록 수평방향으로 평행 배열되는 수평바 사이에 설계조건에 따른 다양한 길이를 갖는 간격유지체를 고정함으로써 상,하 수평바 사이에 난간화분이나 안내판을 포함하는 부가시설물의 크기에 대응하여 설치가 가능하며, 간격유지체의 상하부에 강성을 가진 우레탄 등의 탄성돌부를 구비하여 수평바 사이 조립부에서 발생되는 흔들림 및 소음 발생이 방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목재지주 표면에 축광부재를 구비하여 낯에 태양빛에너지를 흡수, 축적하고, 그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해 밤에 빛을 발산토록 함으로써 보행자의 안전과 함께 야간경관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면에 수평 설치된 바닥구조체(89) 상에 고정되는 바닥탄성지지체(10); 상기 바닥탄성지지체(10)는 바닥구조체(89)에 밀착고정되는 수평바닥판(12)과, 4각 단면형태를 갖는 목재지주(2)의 외측 4면에 각각 마찰되도록 상기 수평바닥판(12)의 4면 상부 내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측탄성부(19)와, 상기 하측탄성부(19)의 상부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측탄성부(16)와, 상기 상측탄성부(16) 및 하측탄성부(19)와의 연결부에 목재지주(2)의 외측 4면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걸림부(17)가 형성되는 탄성고정체(15)로 구성되며, 상기 목재지주(2)의 외측 4면 각 하부측에 상기 돌출걸림부(17)가 삽입걸림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걸림홈부(5); 상기 걸림홈부(5)에 고정된 바닥탄성지지체(10)가 외부로부터 노출되지 않게 덮히도록 상단부는 바닥탄성지지체(10)의 상부측 목재지주(2)의 외측 4면에 밀착고정되고, 하단부는 바닥구조체(89) 상에 밀착고정되는 바닥장식커버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탄성지지체(10)는 금속재이며, 상기 걸림홈부(5) 상에는 걸림홈부(5)의 상,하부측으로 목재지주(2)의 외면 상에서 각각 수직 연장되어 걸림홈부(5)의 외면에 일치되게 형성되는 자성(磁性) 걸림체(30)가 구비되어, 상기 자성(磁性) 걸림체(30) 상에 탄성고정체(15)의 돌출걸림부(17)가 자력(磁力)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목재지주(2)의 외면에는 난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수평바(40)가 목재지주(2)에 결합된 상태로 평행하게 구비되어지되, 상기 수평바(40)의 외면에는 축광부재(510)가 구비되어 낯에 태양빛에너지를 흡수 및 축적하고, 그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해 밤에 빛을 발산토록 함으로써 보행자의 안전과 함께 야간경관을 조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축광기능을 갖는 목재 펜스{Wooden fence with photoluminescent function with improved ease of fixing the lower part of the wooden post and prevention of vibration and noise}
본 발명은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축광기능을 갖는 목재 펜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목재지주를 설치함에 있어 설정된 위치 상에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고, 인접한 목재지주 간을 연결 고정하도록 수평방향으로 평행 배열되는 수평바 사이에 설계조건에 따른 다양한 길이를 갖는 간격유지체를 고정함으로써 상,하 수평바 사이에 난간화분이나 안내판을 포함하는 부가시설물의 크기에 대응하여 설치가 가능하며, 간격유지체의 상하부에 강성을 가진 우레탄 등의 탄성돌부를 구비하여 수평바 사이 조립부에서 발생되는 흔들림 및 소음 발생이 방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목재지주 표면에 축광부재를 구비하여 낯에 태양빛에너지를 흡수, 축적하고, 그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해 밤에 빛을 발산토록 함으로써 보행자의 안전과 함께 야간경관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축광기능을 갖는 목재 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펜스는 도로변, 자전거 전용도로, 학교 주변, 등산로 등의 도로에 설치되거나, 현관, 거실, 조경시설물, 육각정자, 파고라, 쉼터, 체육시설, 의자, 어린이 놀이시설 등과 같은 시설물의 외곽과 바닥의 데크에 설치되어, 일반 보행자나 어린이 또는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과 편의를 도모하고 양방 통행을 원활하게 하며 특정구역에 대한 경계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펜스는 주로 철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어 딱딱하고 차가운 느낌을 줄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에 의해 녹이 슬거나 햇빛에 의해 부식됨에 따라 주변의 경관을 해칠 우려가 있으며, 또한 중량이 무거운 편인데다가 용접 등의 방법으로 조립해야 하므로 조립 및 설치 작업이 번거롭고 유지 보수에도 불편함이 있었다.
위 제시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근래에는 금속재 속주에 합성 목재나 천연 목재로 이루어진 목재부재를 조립하여 목재지주를 제작하고, 이러한 목재지주와 목재지주의 사이에 수평으로 목재로 제작되는 다수의 가로대를 부착하여 구성되는 목재 펜스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목재펜스의 설치 시 목재지주를 기준으로 수평바를 포함한 다른 구조물들이 설치되는데 이때 목재지주를 지면에 확고하게 고정하기 전에 지면에서 수직하게 목재지주를 세워둘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볼트 등을 포함한 목재지주의 고정부재들을 가 조립해둬야 하므로 목재지주를 세워두는데 드는 시간이 낭비되었을 뿐 아니라, 목재지주를 고정하는데 많은 부품의 고정부재가 사용되었다.
또한, 목재지주 간을 연결 고정하도록 수평방향으로 평행 배열되는 다수의 수평바는 목재지주 상에서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조립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른 수평바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없어 다변화 되는 현대사회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설계조건을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위와 같은 목재지주와 수평바가 연결 구성되는 목재펜스는 인도와 계단 등과 같이 통행로로 시공하는 경우 야간에는 잘 보이지 않아서 보행의 안정성이 저하되고, 노인이나 어린이의 경우 작은 안전사고로도 크게 다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므로, 종래에는 양쪽 끝 부분이나 코너 부분에 별도의 표식을 부착하는 것으로 대체하였다. 그러나 별도의 위치에 부착하는 표식은 쉽게 오염되거나 훼손되어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고, 별도의 시공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2023036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목재지주를 설치함에 있어 설정된 위치 상에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고, 인접한 목재지주 간을 연결 고정하도록 수평방향으로 평행 배열되는 수평바 사이에 설계조건에 따른 다양한 길이를 갖는 간격유지체를 고정함으로써 상,하 수평바 사이에 난간화분이나 안내판을 포함하는 부가시설물의 크기에 대응하여 설치가 가능하며, 간격유지체의 상하부에 강성을 가진 우레탄 등의 탄성돌부를 구비하여 수평바 사이 조립부에서 발생되는 흔들림 및 소음 발생이 방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목재지주 표면에 축광부재를 구비하여 낯에 태양빛에너지를 흡수, 축적하고, 그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해 밤에 빛을 발산토록 함으로써 보행자의 안전과 함께 야간경관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축광기능을 갖는 목재 펜스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축광기능을 갖는 목재 펜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지면에 수평 설치된 바닥구조체(89) 상에 고정되는 바닥탄성지지체(10); 상기 바닥탄성지지체(10)는 바닥구조체(89)에 밀착고정되는 수평바닥판(12)과, 4각 단면형태를 갖는 목재지주(2)의 외측 4면에 각각 마찰되도록 상기 수평바닥판(12)의 4면 상부 내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측탄성부(19)와, 상기 하측탄성부(19)의 상부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측탄성부(16)와, 상기 상측탄성부(16) 및 하측탄성부(19)와의 연결부에 목재지주(2)의 외측 4면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걸림부(17)가 형성되는 탄성고정체(15)로 구성되며, 상기 목재지주(2)의 외측 4면 각 하부측에 상기 돌출걸림부(17)가 삽입걸림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걸림홈부(5); 상기 걸림홈부(5)에 고정된 바닥탄성지지체(10)가 외부로부터 노출되지 않게 덮히도록 상단부는 바닥탄성지지체(10)의 상부측 목재지주(2)의 외측 4면에 밀착고정되고, 하단부는 바닥구조체(89) 상에 밀착고정되는 바닥장식커버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탄성지지체(10)는 금속재이며, 상기 걸림홈부(5) 상에는 걸림홈부(5)의 상,하부측으로 목재지주(2)의 외면 상에서 각각 수직 연장되어 걸림홈부(5)의 외면에 일치되게 형성되는 자성(磁性) 걸림체(30)가 구비되어, 상기 자성(磁性) 걸림체(30) 상에 탄성고정체(15)의 돌출걸림부(17)가 자력(磁力)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목재지주(2)의 외면에는 난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수평바(40)가 목재지주(2)에 결합된 상태로 평행하게 구비되어지되, 상기 수평바(40)의 외면에는 축광부재(510)가 구비되어 낯에 태양빛에너지를 흡수 및 축적하고, 그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해 밤에 빛을 발산토록 함으로써 보행자의 안전과 함께 야간경관을 조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축광기능을 갖는 목재 펜스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수평바(40)의 표면 상에 수용홈(6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61) 내에 축광부재(510)가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홈(61)에 마주하는 축광부재(510)의 표면 상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대(514)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대(514)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삽입돌부(512)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대(514) 및 삽입돌부(512)에 대응되는 수용홈(61) 상에 연장수용부(614) 및 결합홈부(612)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부(512)가 결합홈부(612)에 끼움되면서 축광부재(510)가 수용홈(610) 내에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바(40)는 단면이 전면(403), 후면(405), 상부면(401) 및 하부면으로 된 4각형태로 형성되어지되, 수평바(40)의 각 모서리부에 경사면(407)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407)에 수용홈(610)을 형성하여 상기 수용홈(610) 내에 축광부재(510)를 삽입 고정토록 하고, 상기 전면(403), 후면(405) 및 상부면(401) 상에 수용홈(630)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630) 내에 보조축광부재(530)를 수용하며, 상기 보조축광부재(530)를 인근 축광부재(510)에 전선(640)으로 연결하여 보조축광부재(530)에 흡수, 축적된 태양빛에너지를 축광부재(510)로 전달토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바(40)의 상부면(401) 상에 보조축광부재(530)를 노출 구비하고, 상기 수평바(40)의 전면(403), 후면(405) 및 상부면(401) 상에 축광부재(510)를 구비하되, 상기 보조축광부재(530)와 축광부재(510)를 전력전달선(640)으로 연결하여 태양빛에너지를 전달토록 구성하고, 상기 수평바(40)의 하부측에 이격되는 위치에 보조축광부재(530)와 전력전달선(640)으로 연결되는 발광부(564)를 갖는 안내판(562)을 구비하여 보조축광부재(530)를 통해 생성되는 태양빛에너지를 통해 안내판(562)의 발광부(564)를 작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재지주(2)는 금속재 속주(91)의 외측에 고정되어지되, 상기 속주(91)의 바닥부에 수평지지판(92)이 구비되고, 상기 수평지지판(92)의 바닥부에 자성체(94)가 구비되어, 상기 수평지지판(92)이 수평바닥판(12)의 상부면에 자력(磁力)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바닥장식커버체(20)는 상기 바닥구조체(89) 상에 밀착고정되는 바닥고정부(21)와, 상기 바닥고정부(21)의 목재지주(2)측 내측단부에서 수직상향 연장되는 수직벽체부(22)와, 상기 수직벽체부(22)의 상단부에서 목재지주(2)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수평덮개부(23)와, 상기 수평덮개부(23)의 내측단부에서 수직상향 연장되어 목재지주(2)의 외측면에 밀착고정되는 밀착지지부(2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덮개부(23)의 하부측으로 유동방지부(25)가 연장되어지되, 상기 유동방지부(25)의 일측부는 상기 밀착지지부(24)의 수직하향 일직선상으로 형성되어 목재지주(2)의 외면에 밀착되고, 타측부는 경사 형성되는 상측탄성부(16)의 상부면에 밀착되게 하여 상기 목재지주(2)의 하부측을 바닥탄성지지체(10) 상에 확고하게 고정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목재지주(2)는 금속재 속주(91)의 외측에서 2분할 구비되어 결합고정되어지되, 마주하는 양측 목재지주(2)에서 일측 목재지주(2)의 양단부에는 각각 속주(91)의 외면에 밀착되면서 돌출되는 돌출턱부(2a)가 형성되고, 타측 목재지주(2)의 양단부에는 상기 돌출턱부(2a)에 대응되는 요입홈부(2b)가 형성되어 상호간에 걸림마찰된 상태에서 속주(91) 상에 볼트(3) 고정되게 하며, 상기 목재지주(2)의 외면에는 난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수평바(40)가 목재지주(2)에 결합된 상태로 평행하게 구비되어지되, 상기 수평바(40)의 양단부는 각각 외향확개 형태로 된 사다리꼴 돌출레일부(45)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바(40)의 단부에 마주하는 목재지주(2)의 외면에는 상기 돌출레일부(45)가 끼움되어 외측으로 이탈을 방지하도록 내향확개 형태로 된 사다리꼴 레일홈부(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행하게 구비되는 수평바(40)의 상,하단면에 각각 삽입홈부(41,43)가 형성되고, 상기 상,하에 위치되는 수평바(40)의 마주하는 상,하단측 삽입홈부(41,43)에 결합되어 상,하 수평바(4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체(5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간격유지체(50)의 상부에는 수평바(40)의 하단측 삽입홈부(43)에 결합되는 결합돌부(51)가 형성되고, 상기 간격유지체(50)의 하부에는 수평바(40)의 상단측 삽입홈부(41)에 결합되는 결합돌부(53)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간격유지체(50)의 길이는 설계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결합돌부(51,53)는 강성을 가진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어 수평바(40)의 상,하단면에 형성된 삽입홈부(41,43)에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결합돌부(51,53)의 폭을 삽입홈부(41,43)의 폭 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호간에 끼움 고정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목재지주(2)에 마주하는 간격유지체(50)의 측부에 외향확개 형태로 된 사다리꼴 돌출레일부(55)가 형성되어, 목재지주(2)에 형성된 레일홈부(8)에 끼움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체(50)는 다수의 수평바(40) 사이 마다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수평바(40) 중 맨하단에 위치하는 수평바(40)의 하단면과, 상기 바닥장식커버체(20)의 수평덮개부(23) 사이에 간격유지체(50)를 더 구비하도록 수평덮개부(23)의 상부면에 삽입홈부를 더 형성하고, 상기 마주하는 목재지주(2)의 양측 레일홈부(8)에 끼워지는 수평바(40)는, 상기 양측 레일홈부(8)에 각각 끼워져 수평상태를 고정유지하는 양측 수평고정바(240)와, 상기 양측 수평고정바(240) 사이에 분리 구비되는 수평바(40)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수평바(40)에 마주하는 수평고정바(240)의 전방측에 반구 형태의 삽입홈부(241)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부(241)에 마주하는 수평바(40)의 대응측에 수평연결대(342)의 단부에 구(球) 형태의 회전체(340)가 구비되어 삽입홈부(241)에 마찰되도록 수용되며, 상기 삽입홈부(241) 내에서 회전체(34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2분할된 지지틀(250)이 각각 수평고정바(240)의 전방면(243)과 테두리면(245)에 밀착되면서 회전체(340)의 외주연 일부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로 고정 구성되게 하여, 상기 회전체(340)에 고정된 수평바(240)가 삽입홈부(241)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경사형 지면의 경사각에 대응되게 설치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틀(250)은 수평고정바(240)의 테두리면(245)에 밀착되는 수평밀착부(255)와, 상기 수평밀착부(255)의 단부에서 수직 연장되어 수평고정바(240)의 전방면(243)에 밀착되는 이탈방지부(251)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이탈방지부(251)의 단부 내측에는 회전체(340)의 외주연 일부에 대응 밀착되는 만곡마찰면(252)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251)의 단부 외측에는 회전체(340)에 연결된 수평연결대(342)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도록 회전제한 경사면(254)이 외향확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목재지주를 설치함에 있어 설정된 위치 상에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고, 인접한 목재지주 간을 연결 고정하도록 수평방향으로 평행 배열되는 수평바 사이에 설계조건에 따른 다양한 길이를 갖는 간격유지체를 고정함으로써 상,하 수평바 사이에 난간화분이나 안내판을 포함하는 부가시설물의 크기에 대응하여 설치가 가능하며, 간격유지체의 상하부에 강성을 가진 우레탄 등의 탄성돌부를 구비하여 수평바 사이 조립부에서 발생되는 흔들림 및 소음 발생이 방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목재지주 표면에 축광부재를 구비하여 낯에 태양빛에너지를 흡수, 축적하고, 그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해 밤에 빛을 발산토록 함으로써 보행자의 안전과 함께 야간경관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목재 펜스의 바닥지지체 실시 예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바닥지지체를 보호하는 바닥장식커버체 실시 측단면 예시도
도 4는 도 3의 사시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변형 실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목재 펜스의 목재지주와 수평바 및 간격유지체의 결합 실시 예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실시 예시도
도 9는 도 7의 결합상태에서의 사용 실시 예시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 예시도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축광기능을 갖는 목재 펜스의 다양한 실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목재지주를 설치함에 있어 설정된 위치 상에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고, 인접한 목재지주 간을 연결 고정하도록 수평방향으로 평행 배열되는 수평바 사이에 설계조건에 따른 다양한 길이를 갖는 간격유지체를 고정함으로써 상,하 수평바 사이에 난간화분이나 안내판을 포함하는 부가시설물의 크기에 대응하여 설치가 가능하며, 간격유지체의 상하부에 강성을 가진 우레탄 등의 탄성돌부를 구비하여 수평바 사이 조립부에서 발생되는 흔들림 및 소음 발생이 방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목재지주 표면에 축광부재를 구비하여 낯에 태양빛에너지를 흡수, 축적하고, 그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해 밤에 빛을 발산토록 함으로써 보행자의 안전과 함께 야간경관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축광기능을 갖는 목재 펜스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17을 참고하여 보면 목재지주(2), 걸림홈부(5), 바닥탄성지지체(10), 바닥장식커버체(20), 수평바(40) 및 축광부재(5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목재 펜스를 구현하기 위해 먼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지면에 수평하게 바닥구조체(89)가 수평 설치되고, 상기 바닥구조체(89) 상에 바닥탄성지지체(10)가 고정 구비된다.
상기 바닥탄성지지체(10)는 목재지주(2)의 하부측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체로서, 자세하게는 도 1의 (a)에서와 같이 바닥구조체(89)에 밀착고정되는 수평바닥판(12)과, 4각 단면형태를 갖는 목재지주(2)의 외측 4면에 각각 마찰되도록 상기 수평바닥판(12)의 4면 상부 내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측탄성부(19)와, 상기 하측탄성부(19)의 상부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측탄성부(16)와, 상기 상측탄성부(16) 및 하측탄성부(19)와의 연결부에 목재지주(2)의 외측 4면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걸림부(17)가 형성되는 탄성고정체(15)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바닥탄성지지체(10)는 도 1의 (a)에서와 같이 4방향의 탄성고정체(15)에 의해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준비되고, 도 1의 (b)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부측에서 목재지주(2)가 수직하향으로 진입하게 되면 목재지주(2)의 외면이 탄성고정체(15)의 돌출걸림부(17)에 닿이게 되면서 탄성고정체(15)를 외측방향으로 밀어내게 되고, 그 후 목재지주(2)의 외측 4면 각 하부측에 형성된 함몰형 걸림홈부(5)에 돌출걸림부(17) 삽입되면서 걸림된다.
위 구조에 의하면 상기 바닥탄성지지체(10) 상에서 목재지주(2)가 확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가 조립상태 상태가 되어 목재지주(2)의 양측방향에 설치되는 수평바(40) 및 다른 구조물의 결합설치를 위한 기준위치를 설정해 주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가 조립상태 뿐 아니라, 그 상태에서 확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구현할 수 있는데, 이는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바닥탄성지지체(10)는 금속재로 형성하고, 상기 걸림홈부(5) 상에는 걸림홈부(5)의 상,하부측으로 목재지주(2)의 외면 상에서 각각 수직 연장되어 걸림홈부(5)의 외면에 일치되게 형성되는 자성(磁性) 걸림체(30)를 구비하여, 상기 자성(磁性) 걸림체(30) 상에 탄성고정체(15)의 돌출걸림부(17)가 자력(磁力)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걸림체(30)는 바닥탄성지지체(10)의 돌출걸림부(17)가 대응 삽입되는 결합홈부(35)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35)의 상부 및 하부측에 각각 상,하 연장부(38,31)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 연장부(38,31)는 각각 피스(39)에 의해 목재지주(2) 상에 고정된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목재지주(2)는 금속재 속주(91)의 외측에 고정되어지되, 상기 속주(91)의 바닥부에 수평지지판(92)이 구비되고, 상기 수평지지판(92)의 바닥부에 자성체(94)가 구비되어, 상기 수평지지판(92)이 수평바닥판(12)의 상부면에 자력(磁力)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바닥판(12)은 피스(13)에 의해 바닥구조체(89) 상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도 1의 (b) 및 도 5의 (b)에서와 같이 목재지주(2)의 하부측에 바닥탄성지지체(10)가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바닥탄성지지체(10)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바닥장식커버체(2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바닥장식커버체(20)의 상단부는 바닥탄성지지체(10)의 상부측 목재지주(2)의 외측 4면에 밀착고정되게 하고, 하단부는 바닥구조체(89) 상에 밀착고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의 구현을 위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바닥장식커버체(20)는 상기 바닥구조체(89) 상에 밀착고정되는 바닥고정부(21)와, 상기 바닥고정부(21)의 목재지주(2)측 내측단부에서 수직상향 연장되는 수직벽체부(22)와, 상기 수직벽체부(22)의 상단부에서 목재지주(2)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수평덮개부(23)와, 상기 수평덮개부(23)의 내측단부에서 수직상향 연장되어 목재지주(2)의 외측면에 밀착고정되는 밀착지지부(24)로 구성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바닥고정부(21) 및 밀착지지부(24)에 각각 볼트(29,27)를 구비하여 바닥구조체(89) 및 목재지주(2) 상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목재지주(2)를 직립 고정되게 구성한다.
이때, 상기 바닥장식커버체(20) 수평덮개부(23)의 하부면에 바닥탄성지지체(10) 상측탄성부(16)의 상단측이 밀착된 상태로서, 상기 수평덮개부(23)의 하부면이 상측탄성부(16)의 상단측을 하향 가압하게 되면, 돌출걸림부(17)가 목재지주(2) 측으로 탄성작동되면서 가압력이 증대되어 고정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바닥탄성지지체(10), 바닥장식커버체(20) 및 목재지주(2)의 상호간에 더욱 견고한 고정력을 확보하기 위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수평덮개부(23)의 하부측으로 유동방지부(25)를 더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상기 유동방지부(25)의 일측부는 상기 밀착지지부(24)의 수직하향 일직선상으로 형성되어 목재지주(2)의 외면에 밀착되고, 타측부는 경사 형성되는 상측탄성부(16)의 상부 경사면에 밀착되게 하여 상기 목재지주(2)의 하부측을 바닥탄성지지체(10) 상에 확고하게 고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유동방지부(25)의 표면에 탄성패드를 구비하게 되면 목재지주(2)의 외면과 바닥탄성지지체(16)의 외면에 더욱 확고하게 밀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목재지주(2)는 금속재 속주(91)의 외측에서 2분할 구비되어 결합고정되어지되, 마주하는 양측 목재지주(2)에서 일측 목재지주(2)의 양단부에는 각각 속주(91)의 외면에 밀착되면서 돌출되는 돌출턱부(2a)가 형성되고, 타측 목재지주(2)의 양단부에는 상기 돌출턱부(2a)에 대응되는 요입홈부(2b)가 형성되어 상호간에 걸림마찰된 상태에서 속주(91) 상에 볼트(3) 고정되게 구성한다. 상기 돌출턱부(2a) 및 요입홈부(2b)는 도시된 형태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보면 상기 목재지주(2)의 외면에는 난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수평바(40)가 목재지주(2)에 결합된 상태로 평행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수평바(40)의 양단부는 각각 외향확개 형태로 된 사다리꼴 돌출레일부(45)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바(40)의 단부에 마주하는 목재지주(2)의 외면에는 상기 돌출레일부(45)가 끼움되어 외측으로 이탈을 방지하도록 내향확개 형태로 된 사다리꼴 레일홈부(8)가 형성되게 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목재지주(2)의 상부측에서 수평바(40)를 끼움하여 돌출레일부(45) 및 레일홈부(8)를 따라 수직하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수평바(40)의 위치를 잡게 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평행하게 구비되는 다수 수평바(40) 사이의 간격을 설계조건에 따라 조절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7에서와 같이 간격유지체(50)를 구비한다.
상기 간격유지체(50)의 구현을 위해, 상기 평행하게 구비되는 수평바(40)의 상,하단면에 각각 삽입홈부(41,43)가 형성되고, 상기 상,하에 위치되는 수평바(40)의 마주하는 상,하단측 삽입홈부(41,43)에 간격유지체(50)가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간격유지체(50)의 상부에는 수평바(40)의 하단측 삽입홈부(43)에 결합되는 결합돌부(51)가 형성되고, 상기 간격유지체(50)의 하부에는 수평바(40)의 상단측 삽입홈부(41)에 결합되는 결합돌부(53)가 각각 형성되게 하며, 이러한 구조로 된 간격유지체(50)의 길이는 설계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수평바(40) 및 간격유지체(50)와의 결합구조에 있어 상호간에 흔들림과 소음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결합돌부(51,53)는 강성을 가진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어 수평바(40)의 상,하단면에 형성된 삽입홈부(41,43)에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결합돌부(51,53)의 폭을 삽입홈부(41,43)의 폭 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호간에 끼움 고정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간격유지체(50)는 수평바(40)의 단부 구조에서와 같이 목재지주(2)에 마주하는 간격유지체(50)의 측부에 외향확개 형태로 된 사다리꼴 돌출레일부(55)가 형성되어, 목재지주(2)에 형성된 레일홈부(8)에 끼움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간격유지체(50)는 다수의 수평바(40) 사이 마다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수평바(40) 중 맨하단에 위치하는 수평바(40)의 하단면과, 상기 바닥장식커버체(20)의 수평덮개부(23) 사이에 간격유지체(50)를 더 구비하도록 수평덮개부(23)의 상부면에 삽입홈부(219)를 더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다수 수평바(40)의 상호간 위치선정과 함께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간격유지체(50)의 구조에 의하면 도 9에서와 같이 안내(광고)판(110) 또는 거리화분(130)을 설치하는 경우 그 안내(광고)판(110) 또는 거리화분(130)의 크기(특히 높이)에 맞는 간격유지체(50)를 채택하여 설치하면 된다. 이때, 상기 목재지주(2) 상에 수평바(40) 및 간격유지체(50)는 끼움형태로 조리되는 구조로서 분리가 용이하므로 설계변경에 따라 그에 적합한 간격유지체(50)를 교체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이때, 상기 안내(광고)판(110) 또는 거리화분(130)은 수평바(40) 상에 걸림고리(102) 또는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목재지주(2)의 상단에는 덮개부재(70)가 끼움 고정된다.
또한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간격유지체(50)는 자체적으로 높이조절수단을 내재하여 조립상태에서 수평바(4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경사형 지면에 설치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수평바(40)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현 가능한데, 이를 위해 상기 마주하는 목재지주(2)의 양측 레일홈부(8)에 끼워지는 수평바(40)는, 상기 양측 레일홈부(8)에 각각 끼워져 수평상태를 고정유지하는 양측 수평고정바(240)와, 상기 양측 수평고정바(240) 사이에 분리 구비되는 수평바(40)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수평바(40)에 마주하는 수평고정바(240)의 전방측에 반구 형태의 삽입홈부(241)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부(241)에 마주하는 수평바(40)의 대응측에 수평연결대(342)의 단부에 구(球) 형태의 회전체(340)가 구비되어 삽입홈부(241)에 마찰되도록 수용되며, 상기 삽입홈부(241) 내에서 회전체(34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2분할된 지지틀(250)이 각각 수평고정바(240)의 전방면(243)과 테두리면(245)에 밀착되면서 회전체(340)의 외주연 일부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로 고정 구성되게 하여, 상기 회전체(340)에 고정된 수평바(240)가 삽입홈부(241)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경사형 지면의 경사각에 대응되게 설치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연결대(342)는 수평대(40)의 단부에 고정되는 덮개부(310)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형태이며, 상기 덮개부(310)는 수평대(40)의 전방측에 구비되는 전면덮개(311)와, 상기 전면덮개(311)의 각 단부에서 테두리측으로 연장되어 수평대(40)의 단부를 감싸는 테두리덮개(315)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연결대(342) 및 지지틀(250)은 각각 볼트(321,261)에 의해 수평대(40,240)에 고정된다.
위 실시예의 보다 구체적으로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틀(250)은 수평고정바(240)의 테두리면(245)에 밀착되는 수평밀착부(255)와, 상기 수평밀착부(255)의 단부에서 수직 연장되어 수평고정바(240)의 전방면(243)에 밀착되는 이탈방지부(251)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이탈방지부(251)의 단부 내측에는 회전체(340)의 외주연 일부에 대응 밀착되는 만곡마찰면(252)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251)의 단부 외측에는 회전체(340)에 연결된 수평연결대(342)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도록 회전제한 경사면(254)이 외향확개 형태로 형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만곡마찰면(252)과 경사면(254) 사이에는 양측의 간격을 조절해주는 이음부(253)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목재지주를 설치함에 있어 설정된 위치 상에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고, 인접한 목재지주 간을 연결 고정하도록 수평방향으로 평행 배열되는 수평바 사이에 설계조건에 따른 다양한 길이를 갖는 간격유지체를 고정함으로써 상,하 수평바 사이에 난간화분이나 안내판을 포함하는 부가시설물의 크기에 대응하여 설치가 가능하며, 간격유지체의 상하부에 강성을 가진 우레탄 등의 탄성돌부를 구비하여 수평바 사이 조립부에서 발생되는 흔들림 및 소음 발생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재 펜스에 축광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해 도 9 및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목재지주(2)의 외면에는 난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수평바(40)가 목재지주(2)에 결합된 상태로 평행하게 구비되어지되, 상기 수평바(40)의 외면에는 축광부재(510)를 구비하여 낯에 태양빛에너지를 흡수 및 축적하고, 그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해 밤에 빛을 발산토록 함으로써 보행자의 안전과 함께 야간경관을 조성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 개시되는 축광부재(510)는 태양빛에너지를 흡수 및 축적한 후 발산하는 발광기능을 겸비한다.
상기 축광부재(510)는 다양한 실시예로 수평바(40) 상에 결합이 가능한데, 그 실시예로서 도 13 및 도 14의 (a)에서와 같이 상기 수평바(40)의 표면 상에 수용홈(61)을 형성하고, 수용홈(61) 내에 축광부재(510)가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축광부재(510) 및 수용홈(61)은 수평바(40)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단면이 4각형태로 된 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축광부재(510)의 단면이 원형이거나 3각형, 4각형, 6각형 등 다각형으로의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축광부재(510) 및 수용홈(61) 띠 형태 외에도 점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축광부재(510)의 확고한 고정력을 확보하기 위해 도 14의 (b)에서와 같이 상기 수용홈(61)에 마주하는 축광부재(510)의 표면 상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대(514)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대(514)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삽입돌부(512)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대(514) 및 삽입돌부(512)에 대응되는 수용홈(61) 상에 연장수용부(614) 및 결합홈부(612)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부(512)가 결합홈부(612)에 끼움되면서 축광부재(510)가 수용홈(610) 내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삽입돌부(512)는 탄성재질로 형성하여 연장수용부(614)를 통과한 후 결합홈부(612)에 삽입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축광부재(510)의 인근에 태양빛에너지의 축적만을 수행하는 보조축광부재(530)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는 도 15에서와 같이 상기 수평바(40)는 단면이 전면(403), 후면(405), 상부면(401) 및 하부면으로 된 4각형태로 형성되어지되, 수평바(40)의 각 모서리부에 경사면(407)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407)에 수용홈(610)을 형성하여 상기 수용홈(610) 내에 축광부재(510)를 삽입 고정토록 하고, 상기 전면(403), 후면(405) 및 상부면(401) 상에 수용홈(630)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630) 내에 보조축광부재(530)를 수용하며, 상기 보조축광부재(530)를 인근 축광부재(510)에 전선(640)으로 연결하여 보조축광부재(530)에 흡수, 축적된 태양빛에너지를 축광부재(510)로 전달토록 구성하게 되면 더 많은 태양빛에너지를 축적하여 사용할 수 있음으로 축광 및 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경사면(407)은 태양과의 접촉각 확보를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6 및 도 17에서와 같이 상기 수평바(40)의 상부면(401) 상에 보조축광부재(530)를 노출 구비하고, 상기 수평바(40)의 전면(403), 후면(405) 및 상부면(401) 상에 축광부재(510)를 구비하되, 상기 보조축광부재(530)와 축광부재(510)를 전력전달선(640)으로 연결하여 태양빛에너지를 전달토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노출형 보조축광부재(530)는 태양과의 충분한 접촉각이 형성되도록 상부표면을 라운딩 형성하거나 반원형으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평바(40)의 하부측에 이격되는 위치에 보조축광부재(530)와 전력전달선(640)으로 연결되는 발광부(564)를 갖는 안내판(562)을 구비하여 보조축광부재(530)를 통해 생성되는 태양빛에너지를 통해 안내판(562)의 발광부(564)를 작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면 별도의 전력 공급없이 축광부재(510)를 이용하여 낯에 태양빛에너지를 흡수, 축적하고, 그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해 밤에 빛을 발산토록 함으로써 보행자의 안전과 함께 야간경관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 목재지주 5 : 걸림홈부
10 : 바닥탄성지지체 12 : 수평바닥판
15 : 탄성고정체 16 : 상측탄성부
17 : 돌출걸림부 19 : 하측탄성부
20 : 바닥장식커버체 40 : 수평바
89 : 바닥구조체 510 : 축광부재

Claims (10)

  1.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축광기능을 갖는 목재 펜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지면에 수평 설치된 바닥구조체(89) 상에 고정되는 바닥탄성지지체(10);
    상기 바닥탄성지지체(10)는 바닥구조체(89)에 밀착고정되는 수평바닥판(12)과, 4각 단면형태를 갖는 목재지주(2)의 외측 4면에 각각 마찰되도록 상기 수평바닥판(12)의 4면 상부 내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측탄성부(19)와, 상기 하측탄성부(19)의 상부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측탄성부(16)와, 상기 상측탄성부(16) 및 하측탄성부(19)와의 연결부에 목재지주(2)의 외측 4면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걸림부(17)가 형성되는 탄성고정체(15)로 구성되며,
    상기 목재지주(2)의 외측 4면 각 하부측에 상기 돌출걸림부(17)가 삽입걸림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걸림홈부(5);
    상기 걸림홈부(5)에 고정된 바닥탄성지지체(10)가 외부로부터 노출되지 않게 덮히도록 상단부는 바닥탄성지지체(10)의 상부측 목재지주(2)의 외측 4면에 밀착고정되고, 하단부는 바닥구조체(89) 상에 밀착고정되는 바닥장식커버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탄성지지체(10)는 금속재이며, 상기 걸림홈부(5) 상에는 걸림홈부(5)의 상,하부측으로 목재지주(2)의 외면 상에서 각각 수직 연장되어 걸림홈부(5)의 외면에 일치되게 형성되는 자성(磁性) 걸림체(30)가 구비되어, 상기 자성(磁性) 걸림체(30) 상에 탄성고정체(15)의 돌출걸림부(17)가 자력(磁力)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목재지주(2)의 외면에는 난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수평바(40)가 목재지주(2)에 결합된 상태로 평행하게 구비되어지되, 상기 수평바(40)의 외면에는 축광부재(510)가 구비되어 낮에 태양빛에너지를 흡수 및 축적하고, 그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해 밤에 빛을 발산토록 함으로써 보행자의 안전과 함께 야간경관을 조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축광기능을 갖는 목재 펜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40)의 표면 상에 수용홈(61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610) 내에 축광부재(510)가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축광기능을 갖는 목재 펜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610)에 마주하는 축광부재(510)의 표면 상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대(514)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대(514)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삽입돌부(512)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대(514) 및 삽입돌부(512)에 대응되는 수용홈(610) 상에 연장수용부(614) 및 결합홈부(612)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부(512)가 결합홈부(612)에 끼움되면서 축광부재(510)가 수용홈(610) 내에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축광기능을 갖는 목재 펜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40)는 단면이 전면(403), 후면(405), 상부면(401) 및 하부면으로 된 4각형태로 형성되어지되, 수평바(40)의 각 모서리부에 경사면(407)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407)에 수용홈(610)을 형성하여 상기 수용홈(610) 내에 축광부재(510)를 삽입 고정토록 하고,
    상기 전면(403), 후면(405) 및 상부면(401) 상에 수용홈(630)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630) 내에 보조축광부재(530)를 수용하며, 상기 보조축광부재(530)를 인근 축광부재(510)에 전선(640)으로 연결하여 보조축광부재(530)에 흡수, 축적된 태양빛에너지를 축광부재(510)로 전달토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축광기능을 갖는 목재 펜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40)의 상부면(401) 상에 보조축광부재(530)를 노출 구비하고, 상기 수평바(40)의 전면(403), 후면(405) 및 상부면(401) 상에 축광부재(510)를 구비하되, 상기 보조축광부재(530)와 축광부재(510)를 전력전달선(640)으로 연결하여 태양빛에너지를 전달토록 구성하고, 상기 수평바(40)의 하부측에 이격되는 위치에 보조축광부재(530)와 전력전달선(640)으로 연결되는 발광부(564)를 갖는 안내판(562)을 구비하여 보조축광부재(530)를 통해 생성되는 태양빛에너지를 통해 안내판(562)의 발광부(564)를 작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축광기능을 갖는 목재 펜스.
  6. 청구항 제2항 내지 제5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지주(2)는 금속재 속주(91)의 외측에 고정되어지되, 상기 속주(91)의 바닥부에 수평지지판(92)이 구비되고, 상기 수평지지판(92)의 바닥부에 자성체(94)가 구비되어, 상기 수평지지판(92)이 수평바닥판(12)의 상부면에 자력(磁力)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바닥장식커버체(20)는 상기 바닥구조체(89) 상에 밀착고정되는 바닥고정부(21)와, 상기 바닥고정부(21)의 목재지주(2)측 내측단부에서 수직상향 연장되는 수직벽체부(22)와, 상기 수직벽체부(22)의 상단부에서 목재지주(2)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수평덮개부(23)와, 상기 수평덮개부(23)의 내측단부에서 수직상향 연장되어 목재지주(2)의 외측면에 밀착고정되는 밀착지지부(2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축광기능을 갖는 목재 펜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덮개부(23)의 하부측으로 유동방지부(25)가 연장되어지되, 상기 유동방지부(25)의 일측부는 상기 밀착지지부(24)의 수직하향 일직선상으로 형성되어 목재지주(2)의 외면에 밀착되고, 타측부는 경사 형성되는 상측탄성부(16)의 상부면에 밀착되게 하여 상기 목재지주(2)의 하부측을 바닥탄성지지체(10) 상에 확고하게 고정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목재지주(2)는 금속재 속주(91)의 외측에서 2분할 구비되어 결합고정되어지되, 마주하는 양측 목재지주(2)에서 일측 목재지주(2)의 양단부에는 각각 속주(91)의 외면에 밀착되면서 돌출되는 돌출턱부(2a)가 형성되고, 타측 목재지주(2)의 양단부에는 상기 돌출턱부(2a)에 대응되는 요입홈부(2b)가 형성되어 상호간에 걸림마찰된 상태에서 속주(91) 상에 볼트(3) 고정되게 하며,
    상기 목재지주(2)의 외면에는 난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수평바(40)가 목재지주(2)에 결합된 상태로 평행하게 구비되어지되, 상기 수평바(40)의 양단부는 각각 외향확개 형태로 된 사다리꼴 돌출레일부(45)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바(40)의 단부에 마주하는 목재지주(2)의 외면에는 상기 돌출레일부(45)가 끼움되어 외측으로 이탈을 방지하도록 내향확개 형태로 된 사다리꼴 레일홈부(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축광기능을 갖는 목재 펜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하게 구비되는 수평바(40)의 상,하단면에 각각 삽입홈부(41,43)가 형성되고, 상기 상,하에 위치되는 수평바(40)의 마주하는 상,하단측 삽입홈부(41,43)에 결합되어 상,하 수평바(4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체(5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간격유지체(50)의 상부에는 수평바(40)의 하단측 삽입홈부(43)에 결합되는 결합돌부(51)가 형성되고, 상기 간격유지체(50)의 하부에는 수평바(40)의 상단측 삽입홈부(41)에 결합되는 결합돌부(53)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간격유지체(50)의 길이는 설계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결합돌부(51,53)는 강성을 가진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어 수평바(40)의 상,하단면에 형성된 삽입홈부(41,43)에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결합돌부(51,53)의 폭을 삽입홈부(41,43)의 폭 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호간에 끼움 고정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목재지주(2)에 마주하는 간격유지체(50)의 측부에 외향확개 형태로 된 사다리꼴 돌출레일부(55)가 형성되어, 목재지주(2)에 형성된 레일홈부(8)에 끼움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축광기능을 갖는 목재 펜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체(50)는 다수의 수평바(40) 사이 마다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수평바(40) 중 맨하단에 위치하는 수평바(40)의 하단면과, 상기 바닥장식커버체(20)의 수평덮개부(23) 사이에 간격유지체(50)를 더 구비하도록 수평덮개부(23)의 상부면에 삽입홈부를 더 형성하고,
    상기 마주하는 목재지주(2)의 양측 레일홈부(8)에 끼워지는 수평바(40)는, 상기 양측 레일홈부(8)에 각각 끼워져 수평상태를 고정유지하는 양측 수평고정바(240)와, 상기 양측 수평고정바(240) 사이에 분리 구비되는 수평바(40)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수평바(40)에 마주하는 수평고정바(240)의 전방측에 반구 형태의 삽입홈부(241)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부(241)에 마주하는 수평바(40)의 대응측에 수평연결대(342)의 단부에 구(球) 형태의 회전체(340)가 구비되어 삽입홈부(241)에 마찰되도록 수용되며, 상기 삽입홈부(241) 내에서 회전체(34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2분할된 지지틀(250)이 각각 수평고정바(240)의 전방면(243)과 테두리면(245)에 밀착되면서 회전체(340)의 외주연 일부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로 고정 구성되게 하여, 상기 회전체(340)에 고정된 수평바(240)가 삽입홈부(241)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경사형 지면의 경사각에 대응되게 설치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축광기능을 갖는 목재 펜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250)은 수평고정바(240)의 테두리면(245)에 밀착되는 수평밀착부(255)와, 상기 수평밀착부(255)의 단부에서 수직 연장되어 수평고정바(240)의 전방면(243)에 밀착되는 이탈방지부(251)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이탈방지부(251)의 단부 내측에는 회전체(340)의 외주연 일부에 대응 밀착되는 만곡마찰면(252)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251)의 단부 외측에는 회전체(340)에 연결된 수평연결대(342)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도록 회전제한 경사면(254)이 외향확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축광기능을 갖는 목재 펜스.
KR1020210059412A 2021-05-07 2021-05-07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축광기능을 갖는 목재 펜스 KR102534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412A KR102534010B1 (ko) 2021-05-07 2021-05-07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축광기능을 갖는 목재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412A KR102534010B1 (ko) 2021-05-07 2021-05-07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축광기능을 갖는 목재 펜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001A KR20220152001A (ko) 2022-11-15
KR102534010B1 true KR102534010B1 (ko) 2023-05-18

Family

ID=84041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412A KR102534010B1 (ko) 2021-05-07 2021-05-07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축광기능을 갖는 목재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0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8795A (ja) 2003-08-25 2005-03-17 Sakata Komuten:Kk 楔接合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036B1 (ko) 2019-01-18 2019-09-19 주식회사 에이치티 고강도 강판 속주형 목재 펜스용 지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8795A (ja) 2003-08-25 2005-03-17 Sakata Komuten:Kk 楔接合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001A (ko) 202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2869B1 (ko)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목재 펜스
KR101271859B1 (ko) 녹색성장을 구현하기 위한 디자인 휀스
KR101876827B1 (ko) 완충형 보행 데크 및 이의 시공 방법
US20110290588A1 (en) Temporary viewing platforms
JP2010029182A (ja) 芝保護マット
KR102155782B1 (ko) 지주대 내부를 통해 연결되는 난간살대가 구비되는 데크로드
KR102534010B1 (ko)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축광기능을 갖는 목재 펜스
KR102135147B1 (ko) 지주대 내부에서 난간살대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안전난간
CN207988648U (zh) 一种稳定性较高的园林护栏
KR102070711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펜스의 가로대 고정구
KR102023036B1 (ko) 고강도 강판 속주형 목재 펜스용 지주
KR102025511B1 (ko) 수평지 및 경사지에 설치 가능하며 횡대 수평지지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횡대를 고정하는 조립식 울타리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183081B1 (ko) 디자인형 울타리의 체결구조
KR100886343B1 (ko) 조립 해체가 가능한 승강식 막구조물
KR101220340B1 (ko) 헬스용 인공암벽
KR20120001426U (ko) 상하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의 가로대 연결장치
KR102365828B1 (ko) 디자인형 울타리
KR101881515B1 (ko) 경사면 각도 조절이 가능한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
KR102091846B1 (ko) 울타리용 철망 휀스
KR200456782Y1 (ko) 지주캡
KR200493037Y1 (ko) 펜스에 사용되는 목재기둥 고정판용 덮개
CN216276091U (zh) 一种景观规划用排水台阶
RU208683U1 (ru) Каркас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хозяйствен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CN216475512U (zh) 景观长廊
KR200486494Y1 (ko) 베란다 난간 설치용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