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252B1 - 자바후추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내피 세포 활성 조절 관련 질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바후추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내피 세포 활성 조절 관련 질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252B1
KR102533252B1 KR1020230010384A KR20230010384A KR102533252B1 KR 102533252 B1 KR102533252 B1 KR 102533252B1 KR 1020230010384 A KR1020230010384 A KR 1020230010384A KR 20230010384 A KR20230010384 A KR 20230010384A KR 102533252 B1 KR102533252 B1 KR 102533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va
pepper
extract
pepper extract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0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희
권유리
Original Assignee
(주)뉴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뉴트리 filed Critical (주)뉴트리
Priority to KR1020230010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2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7Piperaceae (Pepper family), e.g. Jamaican pepper or kav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523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52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rd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자바후추 추출물의 항염증용, 및/또는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으로, 자바후추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생체 안전성이 우수하면서 항염증 효과 및/또는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바후추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내피 세포 활성 조절 관련 질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diseases related to vascular endothelial cell activity regulation, comprising Java peppe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출원은 자바후추 추출물의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혈관 질환은 암에 이어 우리나라 사망원인 2위를 차지하는 질환이다. 혈관이 손상되면 심장, 뇌 등에 영향을 미치면서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 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최근 10년간 2배 이상 증가하고 있고, 뇌졸중, 심근경색 등의 발병률 또한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심뇌혈관질환은 다양한 증상으로 발현되는데, 첫 증상으로 급성 심근경색이나 돌연사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무엇보다도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이 시급하다.
본 출원의 일 예는 자바후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다른 예는 자바후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인은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자바후추(Piper retrofractum)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상기 질병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출원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출원의 일 예는 자바후추 추출물, 상기 자바후추 추출물을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용도, 및 상기 자바후추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다른 예는 상기 자바후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예는 상기 자바후추 추출물의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다른 예는 상기 자바후추 추출물을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출원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자바후추 추출물
본 출원의 일 예는 자바후추의 추출물(자바후추 추출물)을 제공한다. 상기 자바후추(Piper retrofractum Vahl, Piper chaba Hunter, Javanese long pepper, Balinese long pepper, 또는 Cabe Jawa)는 후추나무 열매의 일종으로, 후추나무는 후추과에 속하는 상록덩굴식물이며, 인도 남부가 원산지이다. 성숙하기 전의 열매를 건조시킨 것을 검은 후추, 성숙한 열매의 껍질을 벗겨서 건조시킨 것을 흰 후추라 하며, 가루를 내거나 통으로 이용하기도 하며, 주로 향신료로 사용된다. 자바후추는 자바 섬과 수마트라 섬에서 주로 재배되는 후추로서 열매가 익기 전에 수확하고 건조하여 사용한다. 자바후추는 몸을 따뜻하게 하는 효능이 있어 기침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자바후추는 자바후추(Piper retrofractum) 일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자바후추 추출물은 자바후추의 식물체 전체(전초) 또는 그 일부를 사용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자바후추의 일부는 자바후추의 열매 (예컨대, 과육, 과피, 종자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뿌리, 줄기, 잎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부위일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자바후추 추출물은 자바후추, 예컨대 자바후추의 식물제 전체(전초) 또는 자바후추의 열매 (예컨대, 과육, 과피, 종자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뿌리, 줄기, 잎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부위를 물 및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으며, 일 예에서 물 또는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에탄올 수용액은 발효 주정(발효 에탄올)을 의미하거나, 이를 희석한 것일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자바후추 추출물은 자바후추를 물, 또는 30 내지 100%(v/v), 30 내지 90%(v/v), 30 내지 80%(v/v), 30 내지 70%(v/v), 30 내지 60%(v/v), 30 내지 50%(v/v), 30 내지 40%(v/v), 35 내지 100%(v/v), 35 내지 90%(v/v), 35 내지 80%(v/v), 35 내지 70%(v/v), 35 내지 60%(v/v), 35 내지 50%(v/v), 35 내지 40%(v/v), 40 내지 100%(v/v), 40 내지 90%(v/v), 40 내지 80%(v/v), 40 내지 70%(v/v), 40 내지 60%(v/v), 40 내지 50%(v/v), 45 내지 100%(v/v), 45 내지 90%(v/v), 45 내지 80%(v/v), 45 내지 70%(v/v), 45 내지 60%(v/v), 45 내지 50%(v/v), 50 내지 100%(v/v), 50 내지 95%(v/v), 50 내지 90%(v/v), 50 내지 85%(v/v), 50 내지 80%(v/v), 50 내지 75%(v/v), 50 내지 70%(v/v), 50 내지 65%(v/v), 50 내지 60%(v/v), 50 내지 55%(v/v), 55 내지 100%(v/v), 55 내지 95%(v/v), 55 내지 90%(v/v), 55 내지 85%(v/v), 55 내지 80%(v/v), 55 내지 75%(v/v), 55 내지 70%(v/v), 55 내지 65%(v/v), 55 내지 60%(v/v), 60 내지 100%(v/v), 60 내지 95%(v/v), 60 내지 90%(v/v), 60 내지 85%(v/v), 60 내지 80%(v/v), 60 내지 75%(v/v), 60 내지 70%(v/v), 60 내지 65%(v/v), 65 내지 100%(v/v), 65 내지 95%(v/v), 65 내지 90%(v/v), 65 내지 85%(v/v), 65 내지 80%(v/v), 65 내지 75%(v/v), 65 내지 70%(v/v), 70 내지 100%(v/v), 70 내지 95%(v/v), 70 내지 90%(v/v), 70 내지 85%(v/v), 70 내지 80%(v/v), 70 내지 75%(v/v), 75 내지 100%(v/v), 75 내지 95%(v/v), 75 내지 90%(v/v), 75 내지 85%(v/v), 75 내지 80%(v/v), 80 내지 100%(v/v), 80 내지 95%(v/v), 80 내지 90%(v/v), 80 내지 85%(v/v), 85 내지 100%(v/v), 85 내지 95%(v/v), 85 내지 90%(v/v), 90 내지 100%(v/v), 90 내지 95%(v/v), 또는 95 내지 100%(v/v)의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에탄올 수용액은 발효 주정(발효 에탄올, 95%(v/v) 이상의 에탄올 수용액)을 의미하거나, 이를 희석하여 상기 수치범위의 농도로 조절한 것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자바후추 추출물을 자바후추를 물, 50 내지 70%(v/v), 50%(v/v), 60%(v/v), 또는 70%(v/v)의 에탄올 수용액(예컨대, 발효 주정을 상기 수치범위의 농도로 희석한 수용액)으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자바후추를 추출하는데 첨가되는 추출용매의 함량은 자바후추의 중량 기준으로 10 내지 100배, 10 내지 75배, 10 내지 50배, 또는 10 내지 25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 따른 자바후추 추출물은, 유효 성분 함량 추출에 유리하도록, 추출 시의 pH를 예컨대 5 내지 9, 5 내지 8.5, 5 내지 8, 5 내지 7.5, 5 내지 7, 5 내지 6.5, 5 내지 6, 5 내지 5.5, 5.5 내지 9, 5.5 내지 8.5, 5.5 내지 8, 5.5 내지 7.5, 5.5 내지 7, 5.5 내지 6.5, 5.5 내지 6, 6 내지 9, 6 내지 8.5, 6 내지 8, 6 내지 7.5, 6 내지 7, 6 내지 6.5, 6.5 내지 9, 6.5 내지 8.5, 6.5 내지 8, 6.5 내지 7.5, 6.5 내지 7, 7 내지 9, 7 내지 8.5, 7 내지 8, 7 내지 7.5, 7.5 내지 9, 7.5 내지 8.5, 7.5 내지 8, 8 내지 9, 8 내지 8.5, 또는 8.5 내지 9로 조절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 시의 pH는 자바후추에 추출용매와 함께 pH 조절제를 첨가하여 조절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pH 조절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수산화칼륨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pH를 상기한 범위로 조절할 수 있는 모든 물질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자바후추 추출물은 자바후추를 50 내지 100℃, 50 내지 95℃, 50 내지 90℃, 50 내지 85℃, 50 내지 80℃, 50 내지 75℃, 50 내지 70℃, 50 내지 65℃, 50 내지 60℃, 50 내지 55℃, 55 내지 100℃, 55 내지 95℃, 55 내지 90℃, 55 내지 85℃, 55 내지 80℃, 55 내지 75℃, 55 내지 70℃, 55 내지 65℃, 55 내지 60℃, 60 내지 100℃, 60 내지 95℃, 60 내지 90℃, 60 내지 85℃, 60 내지 80℃, 60 내지 75℃, 60 내지 70℃, 60 내지 65℃, 65 내지 100℃, 65 내지 95℃, 65 내지 90℃, 65 내지 85℃, 65 내지 80℃, 65 내지 75℃, 65 내지 70℃, 70 내지 100℃, 70 내지 95℃, 70 내지 90℃, 70 내지 85℃, 70 내지 80℃, 70 내지 75℃, 75 내지 100℃, 75 내지 95℃, 75 내지 90℃, 75 내지 85℃, 75 내지 80℃, 80 내지 100℃, 80 내지 98℃, 80 내지 96℃, 80 내지 95℃, 80 내지 94℃, 80 내지 92℃, 80 내지 90℃, 80 내지 85℃, 85 내지 100℃, 85 내지 98℃, 85 내지 96℃, 85 내지 95℃, 85 내지 94℃, 85 내지 92℃, 85 내지 90℃, 90 내지 100℃, 90 내지 98℃, 90 내지 96℃, 90 내지 95℃, 90 내지 94℃, 90 내지 92℃, 92 내지 100℃, 92 내지 98℃, 92 내지 96℃, 92 내지 95℃, 92 내지 94℃, 94 내지 100℃, 94 내지 98℃, 94 내지 96℃, 94 내지 95℃, 95 내지 100℃, 95 내지 98℃, 95 내지 96℃, 96 내지 100℃, 96 내지 98℃, 또는 98 내지 100℃에서 추출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자바후추의 추출 단계의 추출 시간은 추출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는 시간이면 족하고, 1시간 이상, 2시간 이상, 3시간 이상, 4시간 이상, 또는 5시간 이상, 또는,
1 내지 24시간, 1 내지 12시간, 1 내지 6시간, 1 내지 5시간, 1 내지 4시간, 1 내지 3시간, 1 내지 2시간, 2 내지 24시간, 2 내지 12시간, 2 내지 6시간, 2 내지 5시간, 2 내지 4시간, 2 내지 3시간, 3 내지 24시간, 3 내지 12시간, 3 내지 6시간, 3 내지 5시간, 3 내지 4시간, 4 내지 24시간, 4 내지 12시간, 4 내지 6시간, 4 내지 5시간, 5 내지 24시간, 5 내지 12시간, 또는 5 내지 6시간 등으로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법에 사용된 추출 과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추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예컨대, 열수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추출법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추출 과정 이후에, 임의로 추출물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건조(예컨대, 분무건조 등), 여과, 및/또는 농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를 사용하거나 상기 추출조건(추출용매의 농도, 온도, pH, 및/또는 추출시간)에서 추출함으로써 본 출원에 따른 자바후추 추출물은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및/또는 피페린계 알칼로이드(amide alkaloids)를 높은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자바후추 추출물은 플라보노이드를 높은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플라보노이드는 로세오사이드(roseoside, Cas No. 54835-70-0), 이소비텍신-2''-O-글루코사이드(isovitexin-2''-O-glucoside, Cas No. 60767-80-8), 비텍신 람노사이드(vitexin rhamnoside, Cas No. 64820-99-1), 및 루틴(rutin, Cas No. 153-18-4)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자바후추 추출물은 피페린계 알칼로이드를 높은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페린계 알칼로이드는 피페린(또는 파이퍼린)(piperine, Cas No. 94-62-2), 파이퍼차바오사이드 B(piperchabaoside B, PubChem CID No. 44521607), 파이퍼롱구민(piperlongumine, Cas No. 20069-09-4), 피페릴린(piperyline, Cas No. 25924-78-1), 피페라닌(piperanine, Cas No. 23512-46-1), 디하이드로파이퍼롱구미닌(dihydropiperlonguminine, Cas No. 23512-53-0), 파이퍼롱구미닌(piperlonguminine, Cas No. 5950-12-9), 파이퍼다딘(piperdardine, PubChem CID No. 10086948), 펠리토린(pellitorine, Cas No. 18836-52-7), 파이퍼칼로신(pipercallosine, PubChem CID No. 5372201), 디하이드로파이퍼노날린(dehydropipernonaline, Cas No. 107584-38-3), 파이퍼노날린(pipernonaline, Cas No. 88660-10-0), 레트로프랙타마이드 B(retrofractamide B 또는 pipercide, Cas No. 54794-74-0), 피페로레인 B(piperolein B, Cas No. 30505-89-6), N-이소뷰틸-2,4,-도데카디엔아마이드(N-isobutyl-2,4,-dodecadienamide, Cas No. 24738-51-0), 파이퍼운데칼리딘(piperundecalidine, Cas No. 88660-11-1), 파이퍼차바미드 B(piperchabamide B, PubChem CID No. 44453655), 구인엔신(guineensine, Cas No. 55038-30-7), 파이퍼차바미드 C(piperchabamide C, PubChem CID No. 44454018), N-이소뷰틸-2,4,12-옥타데카트리엔아마이드(N-isobutyl-2,4,12-octadecatrienamide, Cas No. 151391-69-4), 1-(2,4,12-옥타데카트리엔오일)피페리딘(1-(2,4,12-octadecatrienoyl)piperidine, Cas No. 151391-71-8), 및 N-이소뷰틸-2,4,14-에이코사트리엔아마이드(N-isobutyl-2,4,14-eicosatrienamide, Cas No. 151391-70-7)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피페린계 알칼로이드는 피페린(piperine)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자바후추 추출물에 포함되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및/또는 피페린계 알칼로이드(amide alkaloids)는 공지의 검색 사이트(예컨대, https://pubchem.ncbi.nlm.nih.gov/ 또는 https://commonchemistry.cas.org/ 등에서 구체적인 화합물명, 구조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자바후추 추출물 내에 포함되는 플라보노이드 및/또는 피페린계 알칼로이드(예컨대, 피페린)의 함량은, 자바후추 추출물의 고형분 중량(g)을 기준으로, 1 내지 1000mg/g, 1 내지 900mg/g, 1 내지 800mg/g, 1 내지 700mg/g, 1 내지 600mg/g, 1 내지 500mg/g, 1 내지 400mg/g, 1 내지 300mg/g, 1 내지 200mg/g, 1 내지 100mg/g, 50 내지 1000mg/g, 50 내지 900mg/g, 50 내지 800mg/g, 50 내지 700mg/g, 50 내지 600mg/g, 50 내지 500mg/g, 50 내지 400mg/g, 50 내지 300mg/g, 50 내지 200mg/g, 50 내지 100mg/g, 100 내지 1000mg/g, 100 내지 900mg/g, 100 내지 800mg/g, 100 내지 700mg/g, 100 내지 600mg/g, 100 내지 500mg/g, 100 내지 400mg/g, 100 내지 300mg/g, 100 내지 200mg/g, 150 내지 1000mg/g, 150 내지 900mg/g, 150 내지 800mg/g, 150 내지 700mg/g, 150 내지 600mg/g, 150 내지 500mg/g, 150 내지 400mg/g, 150 내지 300mg/g, 또는 150 내지 200mg/g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피페린(CAS NO. 94-62-2)은 아래 화학식 1과 같은 구조를 갖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3009664598-pat00001
본 출원에 따른 자바후추 추출물은 혈관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다양한 유리한 활성을 가질 수 있다: 혈관내피세포의 활성능, 혈관의 수축 및 이완 기능 개선능, 혈관 내피세포 부착인자 발현 감소능, 혈관 항염증 효능, 혈관 내피 결합력 강화능, 혈관 투과성 감소능, 혈관을 안정화시키는 활성, 혈관의 성숙 촉진 활성, 혈관의 정상화 활성 등.
일 예에서, 본 출원에 따른 자바후추 추출물은 상기와 같은 유리한 활성으로 인하여, 구체적으로 항염증 활성, 및/또는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 활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항염증 활성"은 염증 발생을 억제하거나, 염증의 정도를 경감하는 등 염증을 감소시키는 모든 활성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항염증 활성은 염증을 유발하는 염증 세포(예컨대, 대식 세포 등)의 증식을 억제하거나 염증 세포가 생성하는 염증 물질(예컨대, 염증성 사이토카인, 히스타민 등)의 유전자 전사 억제 또는 단백질 번역 억제 등의 활성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항염증 활성은 면역 반응으로 생성된 염증 물질(예컨대, 핵인자 카파비(NF-κB, nuclear factor kappa-light-chain-enhancer of activated B cells), 세포간 부착 분자-1(ICAM(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 및/또는 혈관 세포 부착 분자 1(VCAM-1(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 1)) 등)을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염증은 혈관에서 발생한 염증이거나, 및/또는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은 혈관 내피세포의 기능 부전, 혈관 수축 및 이완 기능 부전, 혈관의 염증반응, 및/또는 혈관 투과성 증가로 인한 질병일 수 있다.
즉,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자바후추 추출물은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은 염증(예컨대, 혈관에서 발생한 염증, 또는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으로 인한 염증 등), 부종, 모세혈관 누출 증후군(Capillary leak syndrome), 고지혈증, 고중성지방혈증, 뇌혈관질환, 신혈관질환, 말초혈관질환, 혈관염, 대동맥류, 혈전증 또는 색전증(예컨대, 뇌졸중, 폐 색선증, 심근경색증, 동맥 혈전증, 정맥 혈전증, 간문맥 혈전증, 폐동맥 색전증, 심부정맥혈전증), 동맥경화증(예컨대 당뇨병으로 인한 동맥경화증), 소혈관질환(예컨대 당뇨병으로 인한 소혈관질환), 하지허혈증, 괴저(예컨대 건성 괴저, 또는 습성 괴저), 버거병(버거씨병, Buerger's disease), 레이노병(Raynaud'S Phenomenon), 손-팔 증후군(진동 백색 손가락병, Hand-Arm Vibration Syndrome, HAVS), 정맥류(예컨대, 하지 정맥류), 및 표재성 혈전정맥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혈관"은 동맥, 정맥, 및 모세혈관(미세혈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부위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은 동맥의 기능 저하 관련 질병, 정맥의 기능 저하 관련 질병, 및/또는 모세혈관의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동맥, 정맥, 및 모세혈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부위의 기능이 함께 저하되어 종합적으로 발생하는 질환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손, 발과 같은 특정 신체 부위의 말초혈관 (말초동맥, 말초정맥, 및 말초모세혈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혈관)의 기능 저하로 인한 질환 (예컨대, 괴저(예컨대 건성 괴저, 또는 습성 괴저), 버거병(버거씨병, Buerger's disease), 레이노병(Raynaud'S Phenomenon), 손-팔 증후군(진동 백색 손가락병, Hand-Arm Vibration Syndrome, HAV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맥은 탄력 섬유와 평활근이 잘 발달되어 있어 탄성이 풍부하여, 심장에서 밀려나온 혈액에 의해 혈관 내강이 넓어져도 스스로의 탄성으로 혈류를 흐르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과정에서 평활근의 수축으로 인해 혈류에 저항이 발생하고, 저항에 의해 혈압이 상승하는데 이것이 고혈압의 발생 과정이다. 동맥의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은 고혈압, 대동맥류, 허혈성 심장 질환, 관상동맥질환, 협심증, 심근경색증, 죽상동맥경화증, 뇌졸중, 뇌내출혈, 뇌경색, 부정맥, 동맥경화증(예컨대 당뇨병으로 인한 동맥경화증), 동맥에서 발생한 염증, 동맥 고지혈증, 동맥 고중성지방혈증, 동맥 뇌혈관질환, 동맥 신혈관질환, 동맥혈관염, 동맥 혈전증 (또는 동맥 색전증, 예컨대 폐동맥 색선증 등), 소동맥 혈관질환, 괴저(예컨대 건성 괴저, 또는 습성 괴저), 버거병(버거씨병, Buerger's disease), 레이노병(Raynaud'S Phenomenon), 손-팔 증후군(진동 백색 손가락병, Hand-Arm Vibration Syndrome, HAVS)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동맥의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은 뇌 및/또는 심장 등에서 발생한 것일 수 있다.
정맥은 탄력섬유가 적고 결합조직이 많아 동맥보다 탄력성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중력에 영향을 받아 혈액이 고이거나 역류할 수 있지만, 내강에 정맥판(판막)이 위치하여 혈액의 역류를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정맥의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은 정맥류(예컨대, 지정맥류 (varicose veins), 하지 정맥류 등), 부종 (oedema), 정맥부전(예컨대, 만성정맥부전 (chronic venous insufficiency, CVI)), 심부정맥혈전증 (deep vein thrombosis), 정맥염 (phlecitis), 거미정맥, 정맥 고지혈증, 정맥 고중성지방혈증, 정맥 뇌혈관질환, 정맥 신혈관질환, 정맥 혈전증 (또는 정맥 색전증, 예컨대 폐정맥 색전증 등), 폐정맥 혈관질환, 괴저(예컨대 건성 괴저, 또는 습성 괴저), 버거병(버거씨병, Buerger's disease), 레이노병(Raynaud'S Phenomenon), 손-팔 증후군(진동 백색 손가락병, Hand-Arm Vibration Syndrome, HAVS)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정맥의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은 하체 등에서 발생한 것일 수 있다.
모세혈관은 근세포 및 결합조직 없이 내피세포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혈관 내외의 물질 교환에 편리한 구조이나, 외부 스트레스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세혈관에서 물질의 교환은 농도차, 압력차에 의해 발생한다. 모세혈관 내에 혈액과 조직액 사이에 압력 차이가 있어, 동맥 쪽 모세혈관에서는 혈액의 압력이 높아 수분이 혈관 내에서 밖으로 흘러나가고, 정맥 쪽 모세혈관은 조직액의 압력이 높아 수분이 밖에서 혈관으로 흡수된다. 모세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은 유전성 모세혈관 확장증 (Hereditary haemorrhagic telangiectasia), 모세혈관 누출 증후군 (Systemic capillary leak syndrome), 사구체신염 (Glomerulonephritis), 괴저(예컨대 건성 괴저, 또는 습성 괴저), 버거병(버거씨병, Buerger's disease), 레이노병(Raynaud'S Phenomenon), 손-팔 증후군(진동 백색 손가락병, Hand-Arm Vibration Syndrome, HAVS)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모세혈관의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은 피부, 눈, 및/또는 신장 등에서 발생한 것일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자바후추 추출물은 다른 성분의 추가 없이 그 자체로도 항염증 활성, 및/또는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 활성을 나타낼 수 있으나, 자바후추 추출물을 편리하게 처리, 투여, 또는 섭취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자바후추 추출물은, 자바후추 추출물을 제형화(제제화)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 첨가제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덱스트린(dextrin)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덱스트린은 녹말(전분)이 가수분해되어 생성되는 저분자량의 탄수화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덱스트린((C6H10O5)n, n은 1 이상의 자연수, 예컨대 n은 10,000 이하, 1,000 이하, 또는 100 이하의 자연수일 수 있다.) 아래 화학식 2와 같이 당이 여러 개 중합된 형태의 다당류이다.
본 명세서에서, 자바후추 추출물은 자바후추 추출물 단독, 또는 자바후추 추출물을 제형화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예컨대, 덱스트린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자바후추 추출물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일 예에서 자바후추 추출물을 제형화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자바후추 추출물을 "자바후추 추출물의 복합물"로 기재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자바후추 추출물의 복합물은 자바후추 추출물 및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23009664598-pat00002
상기 자바후추 추출물의 복합물 내에 포함되는 자바후추 추출물과 덱스트린의 혼합비는, 자바후추 추출물의 농축액의 고형분 중량(g)을 기준으로, 1: 10 내지 0.1, 1: 10 내지 0.111 (또는, 1: 10 내지 9: 1), 1: 10 내지 0.125, 1: 10 내지 0.142857 (또는, 1: 10 내지 7: 1), 1: 10 내지 0.167 (또는, 1: 10 내지 6: 1), 1: 10 내지 0.2, 1: 10 내지 0.25, 1: 10 내지 0.333 (또는, 1: 10 내지 3: 1), 1: 10 내지 0.5, 1: 10 내지 1, 1: 10 내지 2, 1: 10 내지 3, 1: 10 내지 4, 1: 10 내지 5, 1: 10 내지 6, 1: 10 내시 7, 1: 10 내지 8, 1: 10 내지 9, 1: 9 내지 0.1, 1: 9 내지 0.111 (또는, 1: 9 내지 9: 1), 1: 9 내지 0.125, 1: 9 내지 0.142857 (또는, 1: 9 내지 7: 1), 1: 9 내지 0.167 (또는, 1: 9 내지 6: 1), 1: 9 내지 0.2, 1: 9 내지 0.25, 1: 9 내지 0.333 (또는, 1: 9 내지 3: 1), 1: 9 내지 0.5, 1: 9 내지 1, 1: 9 내지 2, 1: 9 내지 3, 1: 9 내지 4, 1: 9 내지 5, 1: 9 내지 6, 1: 10 내시 7, 1: 9 내지 8, 1: 8 내지 0.1, 1: 8 내지 0.111 (또는, 1: 8 내지 9: 1), 1: 8 내지 0.125, 1: 8 내지 0.142857 (또는, 1: 8 내지 7: 1), 1: 8 내지 0.167 (또는, 1: 8 내지 6: 1), 1: 8 내지 0.2, 1: 8 내지 0.25, 1: 8 내지 0.333 (또는, 1: 8 내지 3: 1), 1: 8 내지 0.5, 1: 8 내지 1, 1: 8 내지 2, 1: 8 내지 3, 1: 8 내지 4, 1: 8 내지 5, 1: 8 내지 6, 또는 1: 10 내지 7 (자바후추 추출물의 농축액의 고형분 중량: 덱스트린 중량)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서, 상기 자바후추 추출물의 복합물 내에 포함되는 자바후추 추출물과 덱스트린의 혼합비는, 자바후추 추출물의 농축액의 고형분 중량(g)을 기준으로, 1: 9, 1: 2.33 (또는 3: 7), 또는 1: 1 (자바후추 추출물의 농축액의 고형분 중량: 덱스트린 중량)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형분 중량은 추출물의 용매 성분을 제거하고 남은 고형분의 중량을 의미한다. 이는 상기 혼합물이 자바후추 추출물 및 덱스트린의 혼합물인 경우, 상기 혼합비가 추출물의 성상 및/또는 농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추출용매를 제거한 성분 중량 간 비율을 의미함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된 용어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와 같이 자바후추 추출물 및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자바후추 추출물의 복합물은, "자바후추 추출물"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자바후추 추출물의 용도
본 출원의 다른 예는 자바후추 추출물을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다른 예는 자바후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다른 예는 자바후추 추출물을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예방"이란 일 예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질병(질환)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치료"란 일 예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질환의 의심 및 발병 개체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개선"이란, 일 예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질병이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질환은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일 수 있다.
일 예는 자바후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예는 자바후추 추출물의 유효량을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조성물 및/또는 방법에 포함되거나 사용되는 자바후추 추출물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일 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투여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복강 투여, 복강 주사, 관절강 내 주사, 동맥 주사, 정맥 주사, 경피 투여(예컨대, 피부에 도포), 경피 주사, 국소 도포, 근육 투여, 복막내 투여와 같은 비경구 투여이거나, 경구 투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 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상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분말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상 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고, 본 출원에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의학적 치료 또는 예방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질환의 중증도, 약물의 활성,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환자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사용된 본 출원 조성물의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사용된 본 출원의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 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예를 들면, 포유동물에 하루 동안 0.0001 내지 10,000mg/g, 0.0001 내지 5,000mg/g, 0.0001 내지 1,000mg/g, 0.0001 내지 500mg/g, 0.0001 내지 100mg/g, 0.0001 내지 50mg/g, 0.0001 내지 10mg/g, 0.001 내지 10,000mg/g, 0.001 내지 5,000mg/g, 0.001 내지 1,000mg/g, 0.001 내지 500mg/g, 0.001 내지 100mg/g, 0.001 내지 50mg/g, 0.001 내지 10mg/g, 0.01 내지 10,000mg/g, 0.01 내지 5,000mg/g, 0.01 내지 1,000mg/g, 0.01 내지 500mg/g, 0.01 내지 100mg/g, 0.01 내지 50mg/g, 0.01 내지 10mg/g, 0.1 내지 10,000mg/g, 0.1 내지 5,000mg/g, 0.1 내지 1,000mg/g, 0.1 내지 500mg/g, 0.1 내지 100mg/g, 0.1 내지 50mg/g, 0.1 내지 10mg/g, 1 내지 10,000mg/g, 1 내지 5,000mg/g, 1 내지 1,000mg/g, 1 내지 500mg/g, 1 내지 100mg/g, 1 내지 50mg/g, 또는 1 내지 10mg/g으로 투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 빈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일 1회 투여하거나 또는 용량을 분할하여 수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출원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약학 조성물의 투여 대상은 인간, 개, 고양이, 말, 소, 돼지, 염소, 토끼, 마우스, 래트 등을 포함하는 포유동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세포, 조직, 또는 이의 배양물일 수 있으며, 일 예에서 상기 대상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거나,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을 가지는 개체 (인간 등의 포유동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세포, 조직, 또는 이의 배양물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자바후추 추출물을 1 내지 80중량%, 5 내지 80중량%, 5 내지 75중량%, 5 내지 70중량%, 5 내지 65중량%, 50 내지 70중량%, 55내지 65중량%, 60 내지 65중량%, 10 내지 60중량%, 15 내지 60 중량%, 20 내지 60 중량%, 1 내지 50중량%, 5 내지 50중량%, 10 내지 50중량%, 15 내지 50 중량%, 20 내지 50 중량%, 1 내지 40중량%, 5 내지 40중량%, 10 내지 40중량%, 15 내지 40 중량%, 20 내지 40 중량%, 1 내지 30중량%, 5 내지 30중량%, 10 내지 30중량%, 15 내지 30 중량%, 20 내지 30 중량%, 1 내지 25중량%, 5 내지 25중량%, 10 내지 25중량%, 15 내지 25중량%, 20 내지 25중량%, 또는 23 내지 25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는 자바후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의 예방, 및/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예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 식품 및 건강 식품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건강 기능 식품(functional food)이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과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건강 식품(health food)은 일반 식품에 비해 적극적인 건강유지나 증진 효과를 가지는 식품을 의미하고, 건강보조식품(health supplement food)은 건강보조 목적의 식품을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 건강 기능 식품, 건강식품, 건강보조식품의 용어는 혼용될 수 있다. 여기서 "기능"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 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의 제형 또한 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본 출원의 식품 조성물은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의 예방 또는 개선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강 기능 식품은 알 예에 따른 조성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 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일 예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의 예방 또는 개선에 대하여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크륨(Cr) 등의 미네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데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틸히드록시톨류엔(BHT) 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food additive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조성물은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출원의 식품 조성물은 식품 또는 음료에 대하여 50 중량부 이하, 구체적으로 2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장기간 섭취할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의 함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의 일 예로 건강 음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출원의 건강음료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0.04 g, 구체적으로 약 0.02 내지 0.03 g이 될 수 있다.
상기 외에 건강 음료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펙트산의 염, 알긴산, 알긴산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또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또는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출원의 건강음료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 예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면 다양한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일 예에 따른 조성물을 식품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00001 내지 100 중량% 또는 0.01 내지 8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는 상기 자바후추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자바후추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자바후추를 추출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사용된 추출 과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추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예컨대, 열수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추출법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추출 과정 이후에, 임의로 추출물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건조(예컨대, 분무건조 등), 여과, 및/또는 농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 추출온도, 추출시간 등의 추출조건에 대한 내용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출원에 따른 자바후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생체 안전성이 우수하면서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고,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자바후추 추출물의 제조방법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1의 왼쪽 (lab-scale)은 자바후추 추출물을 동결건조하는 것이고, 도 1의 오른쪽 (pilot-scale)은 자바후추 추출물과 덱스트린을 혼합하여 분무건조하는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출원에 따른 자바후추의 열수 추출물 (도 2a) 및 발효 주정 추출물 (도 2b)에 포함되는 플라보노이드 및 피페린계 알칼로이드 성분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출원에 따른 자바후추의 열수 추출물 (PREW) 및 발효 주정 추출물 (PREF)을 각각 처리하였을 때 혈관내피세포(HDMECs 세포, 이하 동일)의 생존률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4는 혈관내피세포에 본 출원에 따른 자바후추의 열수 추출물 (PREW) 및 발효 주정 추출물 (PREF)을 각각 처리하였을 때 혈관내피세포에서 생성되는 일산화질소의 생성량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혈관내피세포에 염증유도물질 LPS를 처리(LPS(+)) 또는 처리하지 않고(LPS(-)), 본 출원에 따른 자바후추의 열수 추출물 (PREW) 및 발효 주정 추출물 (PREF)을 각각 처리하였을 때 혈관내피세포에서 염증인자 단백질(Nf-κB, ICAM-1 및 VCAM-1)의 발현량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Rut은 양성대조군(rutin 처리)을 의미한다.
도 6은 혈관내피세포에 염증유도물질 LPS를 처리(LPS(+)) 또는 처리하지 않고(LPS(-)), 본 출원에 따른 자바후추의 열수 추출물 (PREW) 및 발효 주정 추출물 (PREF)을 각각 처리하였을 때 혈관내피세포에서 혈관내피 결합력 강화 인자 단백질(Tie2 단백질)의 발현량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Rut은 양성대조군(rutin 처리)을 의미한다.
도 7은 혈관내피세포에 염증유도물질 LPS를 처리(LPS(+)) 또는 처리하지 않고(LPS(-)), 본 출원에 따른 자바후추의 열수 추출물 (PREW) 및 발효 주정 추출물 (PREF)을 각각 처리하였을 때 혈관내피세포의 혈관 투과성을 측정하여 그 투과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Rut은 양성대조군(rutin 처리)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자바후추 추출물의 복합물의 제조
자바후추 추출물의 복합물(자바후추 추출물 및 덱스트린의 혼합물)의 전체적인 제조방법은 도 1에 모식도(도 1의 오른쪽, pilot-scale)로 나타내었다.
1) 자바후추의 열매(자바후추는 씨케이(주)에서 입수(구매)하였음)를 수세하고 건조하였다.
2) 건조시킨 자바후추 열매를 열수(~100℃) 및50%(v/v) 발효 주정을 사용하여, 각각 70℃의 온도 조건에서 5시간 가열하여 추출하였다.
3) 추출물을 직경 50μm 필터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었다.
4) 여과액을 60℃에서 고형분 10%를 기준으로 감압 농축하여 자바후추 추출물의 농축액을 얻었다.
5) 4) 단계에서 얻은 자바후추 추출물의 농축액의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자바후추 및 덱스트린(덱스트린은 씨케이(주)에서 입수(구매)하였음)을 1:9, 3:7 또는 5:5 비율로 혼합하였다.
6) 5) 단계에서 얻은 3종의 혼합물을 80~85℃에서 40분 이상 살균을 진행하였다.
7) Inlet temp. 180~190℃, Outlet temp. 80~90℃ 조건에서 분무건조하여, 자바후추 추출물의 복합물의 분말을 수득하였다.
아래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7에서는 덱스트린을 포함하지 않은 자바후추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성분 및 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실시예 1의 1) 내지 4) 단계까지를 수행하여 얻은 자바후추 추출물의 농축물을 동결건조하여 사용하였다 (도 1의 왼쪽, lab-scale 참조).
실시예 2. 자바후추 추출물의 수율 및 성분 분석
자바후추를 추출한 추출용매에 따른 자바후추의 추출 수율, 플라보노이드 및 피페린계 알칼로이드 함량, 및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2,2-디페닐-1-피크릴하이드라질) 라디칼 소거능을 통한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PREW: 자바후추의 열수 추출물, PREF: 자바후추의 50%(v/v) 발효 주정 추출물).
추출 수율은 자바후추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플라보노이드 및 피페린계 알칼로이드 함량은 HPLC-UV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Ultraviolet detector) 기기분석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자바후추의 열수 추출물(PREW) 및 자바후추의 발효 주정 추출물(PREF)를 각각 메탄올에 10mg(추출물)/mL로 재용해하여 측정하였다. DPPH 라디컬 소거능은 Ascorbic acid를 표준 물질로 하여 0.1% (w/v) 자바후추 수용액의 상대적인 항산화능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추출 수율 피페린 함량
(mg/g)
DPPH 항산화능
자바후추 열수 추출물 (PREW) 3.8% 1.93±0.19 15%
자바후추 발효 주정 추출물 (PREF) 5.44% 135.02±1.2 24%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자바후추의 열수 추출물은 추출 수율이 3.8%, 자바후추의 발효 주정 추출물은 5.44%로 측정되었다.
자바후추의 열수 추출물(PREW) 및 발효 주정 추출물(PREF)의 플라보노이드 및 피페린계 알칼로이드 정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정성 분석은 UHPLC-LTQ-Orbitrap-MS/MS 기기를 이용하였고, 직경 1.7μm C18 UHPLC 컬럼을 사용하였으며, 이온화모드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었다. 도 2a는 자바후추의 열수 추출물(PREW)의 정성 분석 결과이며, 도 2b는 자바후추의 발효 주정 추출물(PREF)의 정성 분석 결과이다. 도 2a 및 도 2b에서 RT (retention time) 7~10분대의 peak가 피페린계 알칼로이드를 나타낸다.
도 2a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자바후추의 열수 추출물(PREW)에서는 플라보노이드 성분 4종과 피페린계 알칼로이드 성분 9종이 검출되었다. 자바후추의 발효 주정 추출물(PREF)에서는 플라보노이드 성분 4종과 피페린계 알칼로이드 성분 22종이 검출되어, 자바후추를 열수로 추출한 경우와 비교하여 다양한 피페린계 알칼로이드 성분이 검출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자바후추의 열수 추출물(PREW)에서는 피페린 함량이 1.93mg/g로 측정되었으나, 자바후추의 발효 주정 추출물(PREF)에서는 피페린 함량이 135.02mg/g로 측정되어 자바후추를 열수로 추출한 경우와 비교하여 피페린 함량이 더 높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In vitro 혈관내피세포 생존률 측정
아래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7에서는 실시예 1의 1) 내지 4) 단계를 통해 얻어진 자바후추 추출물의 열수 추출물(PREW) 및 발효 주정 추출물(PREF)의 농축물의 동결건조물을, 각 추출용매와 동일한 용액에 용해하여 세포에 처리하였다. 즉 자바후추 추출물의 열수 추출물의 농축물의 동결건조물은 물(증류수)에 용해하였고, 자바후추 추출물의 발효 주정 추출물의 농축물의 동결건조물은 50% 에탄올(발효 주정)에 용해하여 세포에 처리하였다.
자바후추 추출물이 혈관내피세포에 유해하지 않음을 보이기 위하여 cell viability 실험을 수행하였다. 인체진피미세혈관내피세포 (Human Dermal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s (HDMECs), PromoCell社, 성우라이프사이언스(주)에서 구매)에 배지로 희석한 WST-8 용액을 분주하고 1~4시간 동안 37℃, 5% CO2 incubator에 보관하였다. WST-8 시약은 살아있는 세포 내 탈수소효소에 의해 환원되어 포르마잔(formazan)을 형성하고, 포르마잔의 생성량은 세포생존률과 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WST-8 시약은 CCK-8 (Cell Counting Kit-8)에 포함된 시약이며, 상기 CCK-8은 Dojindo Molecular Technologies, Inc.에서 구입하였다.
HDMECs 세포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자바후추 추출물의 열수 추출물 (PREW) 및 발효 주정 추출물 (PREF)를 각각 다양한 농도로(12.5μg/ml, 25μg/ml, 50μg/ml, 100μg/ml, 200μg/ml) 처리한 후 CCK-8 시약을 이용하여 세포생존률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바후추 추출물의 열수 추출물(PREW)을 처리한 군 전 농도 범위에서 세포 생존률이 증가하였다. 자바후추 추출물의 발효 주정 추출물(PREF)을 처리한 군은 0 내지 100μg/ml의 농도 범위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세포생존률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일산화질소 생성량 측정
일산화질소(NO, nitric oxide)는 내피세포에서 아미노산 아르지닌(L-arginine)으로부터 산화질소 합성효소(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eNOS)에 의해 생성된다. 일산화질소는 내피세포의 항상성 유지의 핵심 역할을 하며 혈관의 평활근세포로 확산되어 cyclic guanosine-5’-monophosphate (cGMP)로 매개된 혈관 이완을 유도한다. 또한, 일산화질소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부착 분자 등의 발현을 방해하여 혈관 내피세포 기능을 조절하는 핵심 역할을 한다. 이에 자바후추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혈관내피세포에서 일산화질소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HDMECs 세포에 L-NAME(Nω-Nitro-L-arginine methyl ester hydrochloride, CAS Number: 51298-62-5)을 처리하여 일산화질소의 생성을 억제한 세포모델을 제조하였다. L-NAME은 혈관내피세포에서 L-아르기닌(L-arginine)이 산화질소 합성효소(eNOS,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에 의해 일산화질소로 합성되는 것을 방해하는 역할을 하며, 혈관의 이완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일산화질소의 생성을 억제한 세포모델의 제작을 위하여, HDMECs 세포에 L-NAME을 100 μM의 농도로 15분간 노출시켰다.
상기 세포모델에, 자바후추 열수 추출물 및 발효 주정 추출물을 각각 처리하여 일산화질소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HDMECs 세포에 시약 4-amino-5-methylamino-2’,7’-difluorofluorescein diacetate (DAF-FM DA, CAS Number: 254109-22-3)를 희석하여 20~60분간 처리하고, 시약을 제거한 후 PBS로 세포를 세척하였다. 이후 ex 495 nm/em 515 nm 파장에서 형광도를 측정하여 이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L-NAME을 처리하지 않은 군(L-NAME(-))과 비교하여 L-NAME을 처리한 군(L-NAME(+))은 형광도가 낮아 일산화질소의 생성량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L-NAME을 처리한 군에 자바후추의 열수 추출물 (PREW) 및 발효 주정 추출물 (PREF)을 각각 처리한 결과 (L-NAME(+)/PREW 및 L-NAME(+)/PREF)), L-NAME으로 인하여 감소된 일산화질소의 생성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L-NAME을 처리하지 않은 군(L-NAME(-))과 동등 이상의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실시예 5. In vitro 혈관내피 염증인자 단백질의 발현량 측정
HDMECs 세포에 Lipopolysaccharide (LPS) 물질을 처리하여 혈관내피 염증을 유도한 세포모델을 제조하였다. 염증 유발 물질인 LPS에 노출된 세포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가 활성화되고, 급성 염증이 발생한다. 혈관내피세포에 염증이 발생하면 정상적인 내피세포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며, 혈관 내벽을 이루는 내피세포간의 결합력이 약화되고, 염증이 심화되면 혈액의 유출을 방지하는 해부학적 장벽의 기능을 상실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혈관내피 염증을 유도한 세포모델을 제조하기 위하여 HDMECs에 10 μg/mL 농도의 LPS를 24시간 노출시켜 혈관내피세포 염증 모델을 제작하였다. 이렇게 제작한 혈관내피세포 염증 모델은 실시예 5 내지 7에서 동일하게 사용되었다.
상기 세포모델에 자바후추 열수 추출물 및 발효 주정 추출물을 각각 처리하여 염증인자 단백질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HDMECs 세포를 PBS로 2회 세척한 후 RIPA buffer를 처리하여 cell lysate를 만들었다. 원심분리(13,500 rpm, 4℃, 20분) 후 상등액의 단백질을 정량하고 loading buffer를 첨가하여 전기영동 샘플을 제조하였다. 각 그룹 별 동일한 양의 단백질을 아크릴아마이드 겔에 로딩 후 전기영동하고, 이를 PVDF-membrane에 transfer하였다. 이후 5% skim milk로 blocking, 1차 항체 및 2차 항체를 부착하고 형광시약으로 발색하여 그룹 별 band 굵기를 확인하였다. 염증을 유발하는 단백질로 알려진 Nf-κB, ICAM-1 및 VCAM-1의 밴드 굵기와 발현량을 확인하였으며, GADPH는 housekeeping gene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LPS를 처리하지 않은 군(LPS(-))과 비교하여 LPS를 처리한 군(LPS(+))은 Nf-κB, ICAM-1 및 VCAM-1의 발현량이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양성대조군은 LPS를 처리하고 rutin(CAS No. 153-18-4)를 처리한 군(Rut)으로, 상기 rutin은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성분으로 혈관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성분이다.
LPS를 처리한 군에 자바후추의 열수 추출물 (PREW) 및 발효 주정 추출물 (PREF)을 각각 처리한 결과 (LPS(+)/PREW 및 LPS(+)/PREF), LPS로 인하여 증가한 염증인자 단백질의 발현량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In vitro 혈관내피 결합력 강화 인자 단백질의 발현량 측정
HDMECs 세포에 Lipopolysaccharide (LPS) 물질을 처리하여 혈관 결합력을 약화시킨 세포 모델을 제조하였다. 상기 세포 모델은 실시예 5에서 제조한 세포 모델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세포모델에 자바후추 열수 추출물 및 발효 주정 추출물을 각각 처리하여 Tie2 단백질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Tie2 단백질은 혈관내피세포에 존재하는 수용체로서 혈관의 안정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혈관벽세포(pericyte)에서 분비되는 angiopoietin-1과 결합을 형성하여 혈관벽세포 및 내피세포간의 결합력을 높이고 안정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ie2 단백질의 발현량은 실시예 5에서 사용한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HDMECs 세포에 자바후추 열수 추출물 및 발효 주정 추출물을 각각 처리하고, Tie2 단백질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LPS를 처리하지 않은 군(LPS(-))과 비교하여 LPS를 처리한 군(LPS(+))은 Tie2 단백질의 발현량이 감소하였다. 양성대조군은 LPS를 처리하고 rutin을 처리한 군(Rut)이다.
LPS를 처리한 군에 자바후추의 열수 추출물 (PREW) 및 발효 주정 추출물 (PREF)을 각각 처리한 결과 (LPS(+)/PREW 및 LPS(+)/PREF), LPS로 인하여 감소한 Tie2 단백질의 발현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LPS를 처리하지 않은 군에 자바후추의 열수 추출물 (PREW) 및 발효 주정 추출물 (PREF)을 각각 처리한 결과 (LPS(-)/PREW 및 LPS(-)/PREF) Tie2 단백질의 발현량이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In vitro 혈관 투과성 측정
혈관 내피는 혈관 내강을 덮는 한 층의 세포층으로 산소, 영양소, 노폐물 등의 물질이 교환되는 곳으로, 혈관 내 공간과 주변 조직간의 물질 교환에 선택적 장벽 기능을 보인다. 이러한 투과성에 관여하는 수많은 사이토카인(TNF-a, IL-1 등 이 존재하며, 염증매개물질의 분비와 함께 혈관투과성이 증가한다. 혈관 투과성이 손상되면 암, 당뇨, 뇌졸중, 고혈압 등의 전신질환이 발생한다. 모세혈관의 투과성이 증가하게 되면 혈액 내 단백질이 조직으로 이동하고, 삼투압으로 인해 조직에 더 많은 수분이 이동하여 부종이 발생한다.
HDMECs 세포에 Lipopolysaccharide (LPS) 물질을 처리하여 혈관 투과성 항진을 유도한 세포 모델을 제조하였다. 상기 세포 모델은 실시예 5에서 제조한 세포 모델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세포모델에 자바후추 열수 추출물 (PRWE) 및 발효 주정 추출물 (PREF)을 각각 처리하여 혈관 투과성을 확인하였다.
Collagen-Ⅰ이 코팅된 transwell의 chamber에 HDMECs 세포가 monolayer을 형성하도록 배양하였다. Chamber에 배지로 희석시킨 FITC-dextran을 분주 후 5분 뒤 bottom plate에 투과되는 FITC-dextran의 양을 ex485 nm/em520 nm에서 형광 측정하여 투과도(Vascular Permeability)를 계산하고 이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LPS를 처리하지 않은 군(LPS(-))과 비교하여 LPS를 처리한 군(LPS(+))은 혈관투과도가 증가하였다. LPS를 처리한 군에 자바후추의 열수 추출물 (PREW) 및 발효 주정 추출물 (PREF)을 각각 처리한 결과 (LPS(+)/PREW 및 LPS(+)/PREF), LPS로 인해 증가한 혈관투과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자바후추(Piper retrofract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자바후추 추출물은 자바후추를 40 내지 6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것인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은 정맥류, 부종, 정맥부전, 정맥염, 괴저, 버거병, 및 레이노병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정맥 기능 저하 관련 질병; 또는
    유전성 모세혈관 확장증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바후추 추출물은 덱스트린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바후추 추출물은 피페린을 1 내지 1000mg/g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바후추 추출물은 피페린계 알칼로이드를 50 내지 200mg/g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5. 자바후추(Piper retrofractum)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자바후추 추출물은 자바후추를 40 내지 6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것인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혈관 기능 저하 관련 질병은 정맥류, 부종, 정맥부전, 정맥염, 괴저, 버거병, 및 레이노병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정맥 기능 저하 관련 질병; 또는
    유전성 모세혈관 확장증인 것인, 식품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바후추 추출물은 덱스트린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식품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바후추 추출물은 피페린을 1 내지 1000mg/g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인, 식품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바후추 추출물은 피페린계 알칼로이드를 50 내지 200mg/g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인, 식품 조성물.
KR1020230010384A 2021-12-23 2023-01-26 자바후추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내피 세포 활성 조절 관련 질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33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0384A KR102533252B1 (ko) 2021-12-23 2023-01-26 자바후추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내피 세포 활성 조절 관련 질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642 2021-12-23
KR1020230010384A KR102533252B1 (ko) 2021-12-23 2023-01-26 자바후추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내피 세포 활성 조절 관련 질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5642 Division 2021-12-23 2021-1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252B1 true KR102533252B1 (ko) 2023-05-16

Family

ID=86545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0384A KR102533252B1 (ko) 2021-12-23 2023-01-26 자바후추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내피 세포 활성 조절 관련 질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25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47385A1 (en) * 2010-12-02 2013-10-09 Maruzen Pharmaceuticals Co., Ltd. Tie2 ACTIVATOR,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NHIBITOR, ANTI-ANGIOGENIC AGENT, AGENT FOR MATURING BLOOD VESSELS, AGENT FOR NORMALIZING BLOOD VESSELS, AGENT FOR STABILIZING BLOOD VESSEL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47385A1 (en) * 2010-12-02 2013-10-09 Maruzen Pharmaceuticals Co., Ltd. Tie2 ACTIVATOR,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NHIBITOR, ANTI-ANGIOGENIC AGENT, AGENT FOR MATURING BLOOD VESSELS, AGENT FOR NORMALIZING BLOOD VESSELS, AGENT FOR STABILIZING BLOOD VESSEL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 411, 219-225 (2011) *
J MAJORITY 3(7), p1-6 (2014.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98371T3 (es) Composición que comprende los extractos de lindera obtusiloba para la prevención y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cardiovasculares
KR100588469B1 (ko) 생강에서 분리된 쇼가올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0948332B1 (ko) 큰까치수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2533252B1 (ko) 자바후추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내피 세포 활성 조절 관련 질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47633B1 (ko) 뇌졸중 치료용 조성물
KR102239066B1 (ko)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38751B1 (ko) 포도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101143955B1 (ko)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발기부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42291B1 (ko) 징콜릭산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72660A (ko) 잔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101695507B1 (ko)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970280B1 (ko) 리나릴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올메사탄으로 유발된 빈맥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82356B1 (ko) 오가피 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15927A (ko) 포도잎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맥순환 장애 개선용 조성물
KR102265786B1 (ko) 매실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72659A (ko) 청미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101045551B1 (ko) 복분자 발효주의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104090A (ko) 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025572B1 (ko) 고욤나무 잎 및 포도송이 줄기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01202B1 (ko) 하엽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017502A (ko) 참죽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1713557B1 (ko) 흑축 추출물 또는 흑축 추출물과 현호색 추출물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혈관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30087174A (ko) 브로콜리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05387B1 (ko) 항염증 및 면역조절 활성을 가지는 매자나무 유래 용매 추출물의 조성물
KR101743489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행촉진, 혈관신생촉진, 및 허혈성 심질환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