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190B1 - 항계내 선박의 접안 예정시간 및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항계내 선박의 접안 예정시간 및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190B1
KR102533190B1 KR1020210176504A KR20210176504A KR102533190B1 KR 102533190 B1 KR102533190 B1 KR 102533190B1 KR 1020210176504 A KR1020210176504 A KR 1020210176504A KR 20210176504 A KR20210176504 A KR 20210176504A KR 102533190 B1 KR102533190 B1 KR 102533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information
time
vessel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원
Original Assignee
인천항만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항만공사 filed Critical 인천항만공사
Priority to KR1020210176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3/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marine craf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Remote Sen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서버가 항계내 선박의 접안 예정시간 및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해운항만물류정보시스템(PORT-MIS)으로부터 공공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공공데이터는 상기 선박의 항만물류정보를 포함하며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선박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선박의 정보는 상기 선박의 1) 헤딩값, 2) 침로, 3) 속도, 및 4) 위치를 포함하며 데이터 보정부를 통해, 상기 선박의 정보를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선박의 정보를 선박상태 판단부로 전달하고, 1) 상기 보정된 선박의 정보 및 2)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하여, 상기 선박상태 판단부를 통해, 상기 선박의 현재상태를 판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부두의 좌표, 묘박지 좌표 및 항계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계내 선박의 접안 예정시간 및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 {METHOD OF DETERMINING THE ESTIMATED BERTHING TIME AND CONDITION OF A SHIP IN A HARBOR LIMIT}
본 명세서는 클라우드 서버에서 항계내의 선박의 접안 예정시간 및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우리나라의 수출입의 99.7%은 해상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해상에서 화물을 운송하는 선박은 항만이라는 특정 장소를 통해서 접안을 하고 화물의 하역 등의 작업이 이루어 있다.
선박을 운영하는 선사는 항만으로 입항하기 위해 필요한 신고 등의 행정 업무와 여러 항만 서비스 기업과의 업무 조율을 위탁하고 있다.
항만으로 입항한 선박은 접안 및 정박을 지원해주는 예선사, 도선사, 강취방, 화물의 하역, 보관 검수를 지원해주는 부두운영사, 하역사, 검수검정사, 그외 선용품사, 유류 및 청수 공급사 등으로 부터 항만 부가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선박에 의해 수송되는 화물의 접수, 장치, 선적 등 그 사업에 속하는 거래의 대리를 하는 사업을 위한 해운대리점은 선박(선사)으로부터의 ETA(Estimated Time of Arrival), 즉, 입항예정 시간을 수신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선박은 연료비 절감을 위해 효율(최적화)운항을 하며, 선박 운항에 많은 변수를 야기하는 해상기상으로 인해 입항예정 시간에 대한 오차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또한, 선박이 입항 후, 접안하고자 하는 부두의 상황으로 인해, 실제 접안 시간, ATB(Actual Time of Berth)을 예측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로 인해 항만의 하역사, 강취방, 선용품사 등 항만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의 인력에 대한 손실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본 명세서의 목적은, 클라우드 서버에서 항계내의 선박의 접안 예정시간 및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본 명세서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양상은, 서버가 항계내 선박의 접안 예정시간 및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해운항만물류정보시스템(PORT-MIS)으로부터 공공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공공데이터는 상기 선박의 항만물류정보를 포함함;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선박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선박의 정보는 상기 선박의 1) 헤딩값, 2) 침로, 3) 속도, 및 4) 위치를 포함함; 데이터 보정부를 통해, 상기 선박의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선박의 정보를 선박상태 판단부로 전달하고, 1) 상기 보정된 선박의 정보 및 2)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하여, 상기 선박상태 판단부를 통해, 상기 선박의 현재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부두의 좌표, 묘박지 좌표 및 항계 좌표를 포함함;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1) 상기 보정된 선박의 정보 및 2) 상기 현재상태를 선박 접안시간 판단부로 전달하는 단계; 및 1) 상기 보정된 선박의 정보 및 2) 상기 현재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선박의 접안시간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박 스케줄 생성부를 통해, 1) 상기 공공데이터, 2) 상기 현재상태 및 3) 상기 선박의 접안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선박의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선박의 스케줄을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의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박의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시간 이후 상기 선박의 예상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예상위치와 상기 특정시간 이후에 수신된 상기 선박의 정보에 포함된 상기 선박의 위치를 비교한 오차값에 근거하여, 상기 선박의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재상태는 상기 선박이 이동중인지 정지중인지를 나타내는 제1 상태, 및 1) 현재 시간 및 2) 상기 선박의 출항예정시간에 근거하여 판단되는 제2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의 접안시간을 판단하는 단계는 1) 상기 제1 상태가 이동중을 나타내거나 또는, 2) 상기 제2 상태가 상기 선박이 접안중임을 나타내는 경우에,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의 스케줄은 1) ETA(Estimated Time of Arrival), 2) ATA(Actual Time of Arrival), 3) PTB(Predict Time of Berthing), 4) ATB(Actual Time of Berthing), 5) ATD(Actual Time of Departure) 및 6) ETD(Estimated Time of Departur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일 양상은 항계내 선박의 접안 예정시간 및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서버에 있어서, 해운항만물류정보시스템(PORT-MIS)으로부터 공공데이터를 수신하고,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선박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선박의 정보를 보정하는 데이터 보정부; 및 상기 보정된 선박의 정보를 수신하고, 1) 상기 보정된 선박의 정보 및 2)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하여, 상기 선박의 현재상태를 판단하는 선박상태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공데이터는 상기 선박의 항만물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선박의 정보는 상기 선박의 1) 헤딩값, 2) 침로, 3) 속도, 및 4) 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부두의 좌표, 묘박지 좌표 및 항계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항계내의 선박의 접안 예정시간 및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와 관련된 전자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와 관련된 시스템의 예시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와 관련된 클라우드 서버의 파이프라인 예시이다.
도 4는 본 명세서가 적용될 수 있는 데이터 보정부의 일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명세서가 적용될 수 있는 선박 스케줄 생성부의 일 실시예이다.
도 6은 본 명세서가 적용될 수 있는 일 실시예이다.
본 명세서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명세서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와 관련된 전자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전자 기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전자 기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전자 기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 기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전자 기기(100)와 다른 전자 기기(100) 사이, 또는 전자 기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 기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전자 기기 내 정보, 전자 기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토양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 기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ㅣ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전자 기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전자 기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전자 기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전자 기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전자 기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전자 기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전자 기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전자 기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전자 기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전자 기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전자 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전자 기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전자 기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기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전자 기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후술될 클라우드 서버는 전술한 전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와 관련된 시스템의 예시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와 관련된 시스템은 크게 해운항만물류정보시스템(Port-Mis),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기지국, 클라우드 서버 및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해운항만물류정보시스템은 해양수산부에서 운영하는 시스템으로서, 항만청의 신고가 이루어지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해운항만물류정보시스템에서는 항만 운영 정보를 공공 API 형태(공공데이터)로 제공하며, 이를 이용하면, 클라우드 서버는 항만물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의 표 1은 이렇게 획득될 수 있는 항만물류정보의 예시이다.
Figure 112021143387643-pat00001
AIS 기지국은 국제해사기구(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기준에 따라 선박에 설치되는 선박자동식별장치(AI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의 정보를 육상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기지국이다. 이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는 주기적으로 선박의 위치 및 항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의 표 2는 AIS의 정보의 예시이다.
Figure 112021143387643-pat00002
클라우드 서버는 데이터 보정부, 선박 스케줄 처리부, 접안시간 판단부 및 선박상태 판단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보정부는 수신된 AIS의 정보에서 주파수 간의 간섭 등 외부 요인으로 인해변조 또는 유실되는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선박 스케줄 처리부는 선박의 입항부터 출항까지의 각 단계별 예상 및 실제 스케줄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접안시간 판단부는 선박이 항만에 인접한 후, 선박의 위치 및 속도를 바탕으로 접안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선박상태 판단부는 선박의 입항부터 출항까지의 각 단계별 선박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클라우드 서버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웹 또는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송수신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와 관련된 클라우드 서버 파이프라인의 예시이다.
도3을 참조하면, 항계내 선박의 접안 예정시간 및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300)는 해운항만물류정보시스템으로부터 공공데이터로서 항만물류정보를 수신하고, AIS 기지국으로부터 AIS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사용자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가 적용될 수 있는 데이터 보정부의 일실시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데이터 보정부(310)는 AIS 기지국의 주변 선박(예를 들어, 반경 80~100Km)에 대한 AIS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IS의 정보는 선박의 헤딩값(선수방향), 침로(코스), 속도, 위치, 수신주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보정부(310)는 AIS의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시간 이후, 당해 선박의 예상위치를 계산한다. 데이터 보정부(310)는 예상위치와 특정 시간 이후에 수신된 AIS의 정보 내의 위치를 비교한다. 데이터 보정부(310)는 비교값의 오차가 기설정된 오차허용 범위내에 포함되어 적합한 경우, AIS의 정보를 그대로 선박상태 판단부(320)로 전달할 수 있다.
만일, 비교값의 오차가 오차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AIS의 정보는 보정되어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시간 이후에 수신된 AIS의 정보가 오차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데이터 보정부(310)는 이를 "노이즈"로 판단하고, 예상위치로 대체할 수 있다. 또는, 특정 시간 이후에 수신된 AIS의 정보가 없는 경우, 데이터 보정부(310)는 데이터 "결측"으로 판단하고, 예상위치로 결측된 값을 대체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선박상태 판단부(320)는 선박의 입항부터 출항까지의 AIS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선박은 1개 년도에 복수번 입항할 수도 있기 때문에 해당 정보는 선박의 연도 입항 및 항차 정보로 라벨링되어 저장될 수 있다(ex. 2021-01, A선박).
선박상태 판단부(320)는 데이터 보정부(310)로부터 수신한 AIS의 정보에 근거하여, 당해 AIS의 정보와 관련된 선박의 상태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선박상태 판단부(320)가 선박의 상태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는 선박의 위치(위경도) 정보, 속도, 항해상태 정보 등을 포함하는 AIS의 정보, 및 부두의 좌표, 묘박지 좌표, 항계 좌표 등을 포함하는 내부 DB에 저장된 정보를 포함한다.
선박상태 판단부(320)가 판단할 수 있는 선박의 제1 상태는 다음의 두가지 분류로 나뉠 수 있다.
시스템에서 설정해 놓은 시간 사이에 설정한 위치 및 속도가 변하고 있을 때 선박상태 판단부(320)는 선박의 제1 상태가 "이동중"이라고 판단할 수 있고, 그러지 못할때는 "정지중"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상태 판단부(320)는 선박의 위치와 속도를 변화를 비교하는 기준이 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고, 선박의 이전의 위경도 위치와, 설정 시간 이후의 위경도 위치의 거리를 계산(예를 들어, 미터단위)하여 위치변화를 판단하고,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선박의 속도(예를 들어, 노트)를 통해, 속도 변화를 판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선박상태 판단부(320)는 선박의 출항예정시간(ETD, Estimated Time of Departure)을 고려하여, 선박의 제2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상태 판단부(320)는 당해 선박이 출항예정시간 이전인 경우에 다음과 같이 선박의 제2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1) 선박이 항계 밖에서 이동중일 때는 "항해중"으로 판단한다.
2) 선박이 항계 밖에서 이동하다가 항계 기준선을 넘으면 "입항"으로 판단한다.
3) 선박이 항계 밖에서 정지중일 때는 "정박중"으로 판단하며, 정박중인 위치가 특정 묘박지 (錨泊地) 기준 내에 있을 때 묘박지 정보를 함께 반환한다.
4) 선박이 항계 내에서 이동중일 때는 "접안중"으로 판단한다.
5) 선박이 항계 내에서 정지중일 때 :
i. 정박중인 위치가 특정 묘박지 기준 내에 있을 때 "정박중"으로 판단한고, 묘박지 정보를 함께 반환한다.
ii. 정박중인 위치가 도착지로 설정된 부두의 기준 내에 있을 때 "접안완료"로 판단한다.
만일, 선박상태 판단부(320)는 당해 선박이 출항예정시간 이후인 경우에 다음과 같이 선박의 제2 상태를 판단한다.
1) 선박이 ETD 이후 최초로 움직임이 감지 되었을때 "이안완료"으로 판단한다.
2) 선박이 항계 내에서 정지중일때는 "정박중"으로 판단한다.
3) 선박이 항계 내에서 이동하다가 항계 기준선을 넘으면 "출항"으로 판단한다.
선박 접안시간 판단부(330)는 선박상태 판단부(320)로부터 선박 상태, AIS의 정보 및 내부 DB에 저장된 정보를 전달받아, 접안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의 제1 상태가 "이동중"이거나, 제2 상태가 "접안중"인 경우, 선박 접안시간 판단부(330)는 이동중인 선박의 현재 위치(좌표)와 접안하고자 하는 부두의 위치를 비교하여 두지점의 거리를 계산하고, 계산된 거리와 이동중인 선박의 속도를 계산하여, 접안까지의 예상 소요시간을 도출할 수 있다.
만일, 이동중인 선박의 제1 상태가 "정지중"으로 변경되는 경우, 선박 접안시간 판단부(330)는 선박상태 판단부(320)로부터 선박 상태, AIS의 정보 및 내부 DB에 저장된 정보를 다시 전달받고, 접안시간을 다시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가 적용될 수 있는 선박 스케줄 생성부의 일 실시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선박 스케줄 생성부(340)는 선박상태 판단부(320) 및 선박 접안시간 판단부(330)를 통해, 선박의 상태를 수신하여 해당 선박의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선박 스케줄 생성부(340)는 Port-MIS로부터 ETA(Estimated Time of Arrival), 즉, 입항예정 시간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의 제2 상태가 "입항"인 경우, 선박 스케줄 생성부(340)는 당해 시간을 ATA(Actual Time of Arrival), 즉, 실제 입항시간으로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선박 접안시간 판단부(330)로부터 선박의 접안시간을 수신한 경우, 선박 스케줄 생성부(340)는 현재시간과 접안시간을 합산한 PTB(Predict Time of Berthing), 즉, 예측 접안시간으로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측 접안시간은 접안시간이 업데이트 될 때마다, 다시 산출하여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의 제2 상태가 "접안완료"인 경우, 선박 스케줄 생성부(340)는 해당 시간을 ATB(Actual Time of Berthing), 즉, 실제 접안시간으로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의 제2 상태가 "출항"인 경우, 선박 스케줄 생성부(340)는 해당 시간을 ATD(Actual Time of Departure), 즉, 실제 출항시간으로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선박 스케줄 생성부(340)는 수신된 ETD를 예정 출항 시간으로 기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300)는 항만 관계사 들로부터 수신한 선박의 입항부터 출항까지의 정보를 통해, 선박의 스케줄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항만의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타 항만 대비 경쟁력을 갖춰 이익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가 적용될 수 있는 일 실시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항계내 선박의 접안 예정시간 및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300)는 해운항만물류정보시스템으로부터 공공데이터를 수신한다(S6100). 예를 들어, 공공데이터는 선박의 항만물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AIS 기지국으로부터 선박의 정보를 수신한다(S6200). 예를 들어, 선박의 정보는 AIS 기지국에서 수신된 선박의 헤딩값(선수방향), 침로(코스), 속도, 위치, 수신주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공데이터 및 선박의 정보는 데이터 보정부(310)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데이터 보정부(310)를 통해, 선박의 정보를 보정한다(S6300).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300)는 상기 선박의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시간 이후 상기 선박의 예상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예상위치와 상기 특정시간 이후에 수신된 상기 선박의 정보에 포함된 상기 선박의 위치를 비교한 오차값에 근거하여, 상기 선박의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보정된 선박의 정보를 선박상태 판단부(320)로 전달한다(S6400).
클라우드 서버(300)는 선박상태 판단부(320)를 통해 당해 선박의 상태를 판단한다(S6500). 예를 들어, 선박상태 판단부(320)는 1) 보정된 선박의 정보 및 2)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하여, 선박의 현재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선박의 현재상태는 전술한 제1 상태 및 제2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당해 항만과 관련된 부두의 좌표, 묘박지 좌표 및 항계 좌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1) 선박의 정보 및 2) 선박의 상태를 선박 접안시간 판단부(330)로 전달한다(S6600).
클라우드 서버(300)는 선박 접안시간 판단부(330)를 통해, 1) 선박의 정보 및 2) 선박의 상태에 근거하여, 당해 선박의 접안시간을 판단한다(S6700). 예를 들어, 접안시간은 1) 제1 상태가 이동중을 나타내거나 또는, 2) 제2 상태가 상기 선박이 접안중임을 나타내는 경우에, 판단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선박 스케줄 생성부(340)를 통해, 1) 공공 데이터, 2) 선박의 상태 및 3) 선박의 접안시간에 근거하여, 당해 선박의 스케줄을 생성한다(S6800). 예를 들어, 선박의 스케줄은 ETA, ATA, PTB, ATB, ATD 및 ETD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1) 선박의 상태 및 2) 선박의 스케줄을 사용자 단말로 전달한다(S6900).
전술한 본 명세서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이상에서 서비스 및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명세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서비스 및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서버가 항계내 선박의 접안 예정시간 및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해운항만물류정보시스템(PORT-MIS)으로부터 공공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공공데이터는 상기 선박의 항만물류정보를 포함함;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선박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선박의 정보는 상기 선박의 1) 헤딩값, 2) 침로, 3) 속도, 및 4) 위치를 포함함;
    데이터 보정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AIS의 정보에서 주파수 간의 간섭 등 외부 요인으로 인해 변조 또는 유실되는 선박의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및
    상기 보정된 선박의 정보를 선박상태 판단부로 전달하고, 1) 상기 보정된 선박의 정보 및 2)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하여, 상기 선박상태 판단부를 통해, 상기 선박의 현재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부두의 좌표, 묘박지 좌표 및 항계 좌표를 포함하며, 1) 상기 보정된 선박의 정보 및 2) 상기 현재상태를 선박 접안시간 판단부로 전달하는 단계; 및 1) 상기 보정된 선박의 정보 및 2) 상기 현재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선박의 접안시간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함;
    상기 선박의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박의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시간 이후 상기 선박의 예상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예상위치와 상기 특정시간 이후에 수신된 상기 선박의 정보에 포함된 상기 선박의 위치를 비교한 오차값에 근거하여,
    오차가 기설정된 오차허용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수신된 선박의 정보를 선박상태 판단부로 전달하고, 오차가 기설정된 오차허용 범위를 초과하거나, 오차허용 범위를 계산할 수 없는 경우, 계산된 선박의 예상위치를 선박상태 판단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함;
    을 포함하는, 판단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선박 스케줄 생성부를 통해, 1) 상기 공공데이터, 2) 상기 현재상태 및 3) 상기 선박의 접안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선박의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선박의 스케줄을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판단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상태는
    상기 선박이 이동중인지 정지중인지를 나타내는 제1 상태, 및 1) 현재 시간 및 2) 상기 선박의 출항예정시간에 근거하여 판단되는 제2 상태를 포함하는, 판단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접안시간을 판단하는 단계는
    1) 상기 제1 상태가 이동중을 나타내거나 또는, 2) 상기 제2 상태가 상기 선박이 접안중임을 나타내는 경우에, 판단되는, 판단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스케줄은
    1) ETA(Estimated Time of Arrival), 2) ATA(Actual Time of Arrival), 3) PTB(Predict Time of Berthing), 4) ATB(Actual Time of Berthing), 5) ATD(Actual Time of Departure) 및 6) ETD(Estimated Time of Departure)를 포함하는, 판단방법.
  8. 항계내 선박의 접안 예정시간 및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서버에 있어서,
    해운항만물류정보시스템(PORT-MIS)으로부터 공공데이터를 수신하고,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선박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선박의 정보를 보정하는 데이터 보정부; 및
    상기 보정된 선박의 정보를 수신하고, 1) 상기 보정된 선박의 정보 및 2)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하여, 상기 선박의 현재상태를 판단하는 선박상태 판단부;
    상기 선박상태 판단부로부터 1) 상기 보정된 선박의 정보 및 2) 상기 현재상태를 수신하고, 1) 상기 보정된 선박의 정보 및 2) 상기 현재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선박의 접안시간을 판단하는 접안시간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보정부는,
    상기 수신된 AIS의 정보에서 주파수 간의 간섭 등 외부 요인으로 인해 변조 또는 유실되는 선박의 정보를 보정하며,
    상기 선박의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시간 이후 상기 선박의 예상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예상위치와 상기 특정시간 이후에 수신된 상기 선박의 정보에 포함된 상기 선박의 위치를 비교한 오차값에 근거하여, 오차가 기설정된 오차허용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수신된 선박의 정보를 선박상태 판단부로 전달하고, 오차가 기설정된 오차허용 범위를 초과하거나, 오차허용 범위를 계산할 수 없는 경우, 계산된 선박의 예상위치를 선박상태 판단부로 전달하며,
    상기 공공데이터는 상기 선박의 항만물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선박의 정보는 상기 선박의 1) 헤딩값, 2) 침로, 3) 속도, 및 4) 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부두의 좌표, 묘박지 좌표 및 항계 좌표를 포함하는, 서버.
KR1020210176504A 2021-12-10 2021-12-10 항계내 선박의 접안 예정시간 및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 KR102533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504A KR102533190B1 (ko) 2021-12-10 2021-12-10 항계내 선박의 접안 예정시간 및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504A KR102533190B1 (ko) 2021-12-10 2021-12-10 항계내 선박의 접안 예정시간 및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190B1 true KR102533190B1 (ko) 2023-05-17

Family

ID=86547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504A KR102533190B1 (ko) 2021-12-10 2021-12-10 항계내 선박의 접안 예정시간 및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1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5860A (ja) * 2007-07-17 2009-02-05 Natl Inst For Land & Infrastructure Management Mlit 船舶動静予測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635142B1 (ko) * 2012-12-31 2016-06-30 (주)지엠티 선박자동식별장치를 활용한 항만운영 스케쥴링 방법
KR101703906B1 (ko) * 2015-01-22 2017-02-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박 관제 시스템 및 그것의 선박 관제 방법
KR102151876B1 (ko) * 2019-05-29 2020-09-0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상교통관제 이벤트 자동 탐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5860A (ja) * 2007-07-17 2009-02-05 Natl Inst For Land & Infrastructure Management Mlit 船舶動静予測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635142B1 (ko) * 2012-12-31 2016-06-30 (주)지엠티 선박자동식별장치를 활용한 항만운영 스케쥴링 방법
KR101703906B1 (ko) * 2015-01-22 2017-02-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박 관제 시스템 및 그것의 선박 관제 방법
KR102151876B1 (ko) * 2019-05-29 2020-09-0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상교통관제 이벤트 자동 탐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4866B1 (en) Remote sensing and determination of tactical ship readiness
AU2015207935B2 (en) Vessel performance optimization reporting tool
CN103503232A (zh) 用于海事高速宽带通信联网的方法和系统
US20130311002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diagnostics of vessels and watercrafts
US20110131050A1 (en) Harbor Berth Information System
US10926412B2 (en) Coordinating robotic apparatus deliveries
CN104737184B (zh) 综合跟踪系统和方法
US202202537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vessel risk assessment
JP7449567B2 (ja) 通信端末、プログラム及び方法
US2020021096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maintenance plans in the presence of sensor data
Mattioli et al. Unlocking Resident Underwater Inspection drones or AUV for subsea autonomous inspection: value creation between technical requirements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KR102533190B1 (ko) 항계내 선박의 접안 예정시간 및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
KR20170111708A (ko) 저궤도 위성통신 기반의 벌크형 자재 관리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WO20232159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estimated time of arrival for vessels
CN114047515A (zh) 基于无人船的侧扫声呐系统及侧扫声呐设备数据处理方法
KR20230073547A (ko) 선박 관리 시스템
Coelho et al. Design process and validation of an autonomous surface vehicle for the offshore industry
US10172222B2 (en) Utility light malfunction determination
KR102526685B1 (ko) 해양레저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해양레저인원 위치 추적 시스템
KR102484255B1 (ko) 해양레저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해양레저인원 위치 추적 방법
KR20230101266A (ko) 선박 eta 통합 관리시스템
WO2021132713A1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KR20240066976A (ko) P2P(Port to Port) 물류 플랫폼 시스템
KR20220046148A (ko) 안벽 호선 위치 및 안벽 호선 작업자 승선 및 하선 모니터링 시스템
Snyder et al. Development and Deployment of Multi-mission Intelligent Autonomous Maritime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