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3547A - 선박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3547A
KR20230073547A KR1020210160044A KR20210160044A KR20230073547A KR 20230073547 A KR20230073547 A KR 20230073547A KR 1020210160044 A KR1020210160044 A KR 1020210160044A KR 20210160044 A KR20210160044 A KR 20210160044A KR 20230073547 A KR20230073547 A KR 20230073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abnormality
maintenance
estimate
anoma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93492B1 (ko
Inventor
신동엽
Original Assignee
(주)스카이오프쇼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카이오프쇼어 filed Critical (주)스카이오프쇼어
Priority to KR1020210160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93492B1/ko
Publication of KR20230073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3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3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3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1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using sensors, e.g. pressure sensors, strain gauges or accelero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3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for diagnosing, testing or predicting the integrity or performance of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81/00Repairing or maintaining vess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06T7/62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of area, perimeter, diameter or volu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ome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효율적이고 높은 신뢰성으로 선박을 관리할 수 있는 선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여기서 선박의 관리란, 선박의 유지/보수/기자재 보급과 같은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한 선박 관리 시스템은 선박에 설치되어 선박의 상태를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에서 센싱된 선박의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선박의 상태정보에 따라 센싱 시점에서 선박의 이상유무, 이상종류, 이상정도 및 이상위치를 판단하는 고장 판단부, 상기 고장 판단부에서 판단한 이상유무, 이상종류, 이상정도 및 이상위치에 따라 유지보수견적을 생성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견적 생성부 및 상기 견적생성부로부터 상기 유지보수견적을 수신하여 유지보수업체에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 관리 시스템{Ship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선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선박의 유지/보수/정비를 하는데 있어서, 선박의 상태에 따른 예상견적정보를 생성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선박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조선 산업에서는 시장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발달된 ICT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선박 운항 및 운영과 관련된 분야에서 CAPEX 및 OPEX의 절감을 위해 자동화와 지능화 그리고 IoT와 같은 기술을 접목한 다양한 제품 및 서비스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조선 사업 분야에서는 단순히 선박을 건조하는 것 뿐 아니라, 선박의 유지 보수에도 많은 비용과 시간이 필요하다. 특히 건조 후 운행하는 선박은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아야 하는데, 이러한 선박의 정기검사는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여, 상대적으로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56684호("선박의 환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공개일 2019.05.27.)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선박 관리 시스템의 목적은, 보다 효율적이고 높은 신뢰성으로 선박을 관리할 수 있는 선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여기서 선박의 관리란, 선박의 유지/보수/기자재 보급과 같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선박 관리 시스템은, 선박에 설치되어 선박의 상태를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에서 센싱된 선박의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선박의 상태정보에 따라 센싱 시점에서 선박의 이상유무, 이상종류, 이상정도 및 이상위치를 판단하는 고장 판단부, 상기 고장 판단부에서 판단한 이상유무, 이상종류, 이상정도 및 이상위치에 따라 유지보수견적을 생성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견적 생성부 및 상기 견적생성부로부터 상기 유지보수견적을 수신하여 유지보수업체에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장 판단부는, 상기 센싱부에서 센싱되는 값들과 부품의 이상유무, 이상종류, 이상정도 및 이상위치에 따른 데이터셋으로 학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운행 중인 상기 선박의 항로정보가 저장되는 항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장 판단부는, 센싱 시점에서 상기 선박이 운행 중이면, 상기 항로 저장부에 저장된 운행정보에 따라 상기 선박의 목적지에 도착시 선박의 이상유무, 이상종류, 이상정도 및 이상위치를 예측하고, 상기 견적 생성부는, 상기 고장 판단부에서 예측된 선박의 이상유무, 이상종류, 이상정도 및 이상위치에 따라 유지보수견적을 생성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항로 저장부는, 운행 중인 상기 선박의 상기 항로의 기상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고장 판단부는, 상기 항로 저장부에 저장된 기상정보를 더 고려하여 상기 선박의 목적지에 도착시 선박의 이상유무, 이상종류, 이상정도 및 이상위치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상정보는, 풍속, 풍향, 강우 여부, 파도의 높이 및 조류의 방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지보수견적은, 유지보수에 필요한 기자재, 비용 및 기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센싱부와 상기 고장 판단부로부터 선박의 상태정보와 선박의 이상유무, 이상종류, 이상정도 및 이상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적어도 둘 이상의 유지보수업체에 제공하며, 상기 유지보수업체로부터 제안견적을 수신하면, 상기 제안견적과 상기 견적 생성부에서 생성된 유지보수견적을 비교해, 상기 유지보수견적과 비용 및 기한이 유사한 제안견적을 송신한 유지보수업체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선박 내에 설치되는 서로 다른 종류의 제1센서, 제2센서 및 제3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고장 판단부는, 상기 제1센서의 센싱값과, 상기 제2센서 및 상기 제3센서에서 측정되는 값을 통해 추정되는 상기 제1센서의 센싱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센서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박이 고정되는 독에 설치되어 상기 선박의 하부 측면을 촬영하고, 영상처리 기법을 이용해 상기 선박의 하부 측면 중, 세척이 필요한 면적과 깊이를 산출하는 영상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견적 생성부는,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산출된 세척이 필요한 면적과 깊이를 고려한 유지보수견적을 생성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선박의 하부 측면을 촬영하는 촬영수단 및 상기 촬영수단에서 촬영된 운항 후 선박의 하부 측면 이미지와, 저장된 상기 선박의 운항 전 하부 측면 이미지를 비교하여 세척이 필요한 면적과 깊이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촬영수단은, 수중드론 형태로 구현되어 운행 중인 상기 선박의 하부 측면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박은, 상기 선박의 운행 속도를 제어하는 운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행부는 상기 촬영수단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촬영수단에 상기 선박의 속도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촬영수단은, 상기 운행부로부터 수신한 속도정보를 이용하여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선박 관리 시스템은, 선박에 설치되어 선박의 부품 또는 위치별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부의 동작에 따라 고장 판단부가 이상을 판단하고, 판단된 이상여부에 따라 견적 작성부가 견적을 작성하여 유지보수업체에 제공하기 때문에, 선박의 검사과정을 효율적이고 간략화 할 수 있고, 유지보수 또한 효율적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장 판단부에서 선박의 부품 또는 특정 위치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학습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게 선박의 부품 또는 특정 위치의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운행 중인 선박에서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고장 판단부가 목적지에 도착한 시점에서 선박의 상태를 예측하고, 예측된 선박의 상태에 따라 견적 작성부가 유지보수견적을 작성하여 유지보수업체에 제공하기 때문에, 선박의 검사과정을 효율적이고 간략화 할 수 있고, 유지보수 자체 또한 효율적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처리부에서 운항중인 선박의 하부 측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에 기반해 선박의 하부 측면 중 세척이 필요한 면적과 깊이를 산출해 이를 유지보수견적에 반영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선박의 유지보수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선박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견적 생성부(300)에서 선박(10)이 목적지에 도착했을 때 예측된 선박의 상태에 따라 생성된 유지보수견적을 지도 및 항로와 함께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영상 처리부(6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블록 형태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촬영수단(610)이 수중드론 형태로 구현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선박 관리 시스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선박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선박 관리 시스템은, 크게 선박의 해운사(3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지보수업체(40)가 사용할 수 있다. 해운사(30)와 유지보수업체(40) 각각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20)를 이용해 후술할 서버(400)에 접속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선박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정보들을 열람하고 특정 사안에 대한 피드백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20)란, 스마트폰, 개인용 컴퓨터, 태블릿 PC 등과 같은 기기가 될 수 있고, 해당 전자기기에는 서버(400)에 접속하여 본 발명에 의한 관리 시스템을 이용 가능하게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센싱부(100), 고장 판단부(200), 견적 생성부(300) 및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00)는 다수개의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센서는 선박(10)의 각종 부품 또는 위치에 설치되어, 선박(10)의 상태를 센싱하는 장치 또는 수단들을 의미한다. 센서는 선박(10)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을 수 있으며, 몇몇 예를 들어보면, 엔진에 설치되어 엔진의 RPM을 센싱하는 수단, 엔진 내부의 압력을 센싱하는 수단, 엔진의 소음 또는 진동을 측정하는 수단, 항해 중에 선박(10)의 표면의 두께를 측정하는 장치, 운항 중 특정 위치에서의 소음을 측정하는 장치, 선박의 출력 대비 속도를 연산하는 수단과 같이 다양한 종류가 있을 수 있다. 센싱부(100)에 포함되는 다수개의 센서는 각각에서 센싱한 센싱값을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센싱부(100)에 포함되는 다수개의 센서는 각각에서 개별적으로 외부로 센싱값을 송신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센싱값을 센싱부(100)에 포함되는 하나의 제어장치에 송신하고, 제어장치가 다수개의 센서에서 센싱되어 송신한 센싱값을 모아 외부로 송신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각의 센서는 제어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호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센서에서 제어장치로 일방향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고장 판단부(200)는 센싱부(100)에서 센싱된 선박(10)의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선박(10)의 상태정보에 따라 센싱 시점에서 선박의 이상유무, 이상종류, 이상정도 및 이상위치를 판단한다. 고장 판단부(200)에서 판단의 예를 들어보면, 아래 표와 같을 수 있다.
이상위치(부품) 이상유무 이상종류 이상정도
엔진 출력저하 30%
고장 판단부(200)는 선박(10) 내부에 일종의 전자소자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고장 판단부(200)에는 선박의 이상유무, 이상종류, 이상정도 및 이상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치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 기준치는 이상종류, 이상위치 또는 이상대상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진에 원활한 연료의 공급이 되지 않을 때에는, 엔진의 소리, 진동, 압력과 같은 측정값이 엔진에 원활한 연료의 공급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기준일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엔진의 소리가 아닌 특정 위치에서의 소리 또한 엔진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고장 판단부(200)는 이러한 각종 센서들의 측정값을 통해, 선박(10)에 포함되는 부품들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고장 판단부(200)의 기준치는 동일한 선박(10)의 각종 센서들의 센싱값 대비 선박의 이상유무, 이상종류, 이상정도 및 이상위치의 데이터 셋을 통해 학습될 수 있으며, 선박(10)이 지속적으로 운행됨에 따라 상기한 데이터 셋은 갱신되어, 고장 판단부(200)는 보다 정확한 선박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장 판단부(200)의 기준치는 센서 각각에서 측정되는 센싱값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기준치는 학습될 수 있다.
견적 생성부(300)는 상기 고장 판단부(200)에서 판단한 이상유무, 이상종류, 이상정도 및 이상위치에 따라 유지보수견적을 생성하여 외부로 송신한다. 유지보수견적에는 유지보수에 필요한 기자재, 비용 및 기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견적 생성부(300)는 상술한 고장 판단부(200)와 같이 선박(10) 내부에 설치되거나, 선박(10)과 별개로 육지 또는 해양에 설치된 특정한 구조물에 설치되어 고장 판단부(200)로부터 각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400)는 상기 견적 생성부(300)로부터 유지보수견적을 수신하여 접속하는 유지보수업체에 제공한다. 서버(400)는 선박(10)과 별개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견적 생성부(300)가 선박(10)에 설치되는 경우, 서버(400)와 견적 생성부(300)는 위성통신과 같은 수단을 통해 상호간에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400)와 견적 생성부(300) 각각은 위성통신모듈과 같은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선박 관리 시스템은 항로 저장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항로 저장부(500)는 선박(10)에 설치되는 일종의 저장공간일 수 있으며, 운행 중인 선박(10)의 항로정보가 저장된다. 항로 저장부(500)는 운행 중인 상기 선박(10)의 상기 항로의 기상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항로 저장부(500)에 저장되는 기상정보는, 풍속, 풍향, 강우 여부, 파도의 높이 및 조류의 방향을 포함한다.
고장 판단부(200)는 센싱 시점에서 상기 선박(10)이 운행 중이면 상기 항로 저장부(500)에 저장된 운행정보에 따라 상기 선박(10)의 목적지에 도착시 선박의 이상유무, 이상종류, 이상정도 및 이상위치를 예측하고, 상기 견적 생성부(300)는, 상기 고장 판단부(200)에서 예측된 선박의 이상유무, 이상종류, 이상정도 및 이상위치에 따라 유지보수견적을 생성하여 외부로 송신한다.
도 2는 견적 생성부(300)에서 선박(10)이 목적지에 도착했을 때 예측된 선박의 상태에 따라 생성된 유지보수견적을 지도 및 항로와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 2와 같이 고장 판단부(200)가 센싱부(100)에서 측정되는 센싱값만을 가지고 선박(10)의 상태를 판단하고, 견적 생성부(300)가 이를 바탕으로 유지보수견적을 산출하더라도, 선박(10)이 항해중이라면 유지보수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고장 판단부(200)는 유지보수가 가능한 목적지에 도착했을 때를 기준으로 유지보수견적을 예측하여 생성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항로 저장부(500)에 저장된 항로 정보가 필요하다.
단, 단순히 고장 판단부(200)는 항로 저장부(500)에 저장된 항로에 따라, 선박(10)이 목적지까지 가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기준으로 목적지 도착 시점에서의 선박(10)의 선박(10)의 이상유무, 이상종류, 이상정도 및 이상위치를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항로 저장부(500)에 저장된 항로의 기상정보인 선박(10)이 해당 항로로 진행할 경우 마주하는 풍속, 풍향, 강우 여부, 파도의 높이 및 조류의 방향을 고려하여 선박(10)의 이상유무, 이상종류, 이상정도 및 이상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고장 판단부(200)에서 선박(10)의 상태를 예측하는 것은 센싱부(100)에서 센싱되는 선박(10)의 센싱값, 항로, 풍속, 풍향, 강우 여부, 파도의 높이 및 조류의 방향 등에 따른 유지보수견적 데이터셋을 통해 학습되어, 보다 정확한 선박(10)의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견적 생성부(300)는 상기 고장 판단부(200)에서 예측된 목적지에서 선박(10)의 이상유무, 이상종류, 이상정도 및 이상위치에 따라 유지보수견적을 생성하여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는 견적 생성부(300)에서 생성된 유지보수견적을 목적지에 위치한 선박의 유지보수업체에 제공하여, 유지보수업체가 보다 효율적으로 선박(10)의 유지보수를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선박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전자기기를 활용하여 서버(400)에 접속해, 서버(400)가 제공하는 정보를 얻고, 필요한 사항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400)에 접속하는 주체는 선박(10)을 운행하는 해운사, 선박(10)의 유지보수업체(40)가 될 수 있다. 하나의 선박(10)을 운행하는 해운사가 하나라고 했을 때, 다수개의 유지보수업체(40)는 하나의 선박(10)을 유지 보수하는데 일종의 입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400)는, 센싱부(100)와 고장 판단부(200)로부터 선박의 상태정보와 선박의 이상유무, 이상종류, 이상정도 및 이상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적어도 둘 이상의 유지보수업체에 제공할 수 있다. 유지보수업체는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토대로 자체적인 견적을 제안하여 서버(400)로 업로드할 수 있으며, 서버(400)는 유지보수업체의 제안견적을 수신하면, 견적 생성부(300)에서 생성된 유지보수견적을 비교해, 유지보수견적과 비용 및 기한이 유사한 제안견적을 송신한 유지보수업체를 선정할 수 있다. 이때, 해운사별로 비용과 기한 측면에서 더 중요한 요소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유지보수업체에서 제안한 견적인 10일이 소요되고, 1000만원의 유지보수비용이 필요하다고 가정하고, B 유지보수업체에서 제안한 견적은 15일이 소요되고, 800만원의 유지보수비용이 필요하다고 가정한다. 해운사 입장에서 만약 기한을 보다 중요시 생각한다면, 다소 비싸더라도 10일이 소요되는 A 업체를 선택하여 선박(10)의 유지보수를 진행시킬 수 있으나, 기한에 여유가 있고 비용을 보다 중요시 생각한다면, B 업체를 선책하여 선박(10)의 유지보수를 진행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일종의 가중치로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운사에서 기한을 중시할 경우, 서버(400)는 기한에 비용보다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기한*기한가중치와 비용*비용가중치를 더한값을 비교하여, 더 높은 값을 가지는 업체를 선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선박 관리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져 유지보수업체는 보다 효율적으로 선박(10)의 유지보수를 수행하도록 준비할 수 있으며, 목적지에 도착 후 진행되는 선박의 검사과정을 간략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박 관리 시스템에서 센싱부(100)는, 상기 선박 내에 설치되는 서로 다른 종류의 제1센서, 제2센서 및 제3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센서는 엔진에 설치되는 소음센서, 제2센서는 엔진룸에 설치되는 소음센서, 제3센서는 엔진 내부에 설치되는 압력센서일 수 있다. 이때, 제1센서, 제2센서 및 제3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는, 나머지 둘 이상의 센서와 상호보완적인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선박(10) 자체는 항해의 특성상 상당히 험한 환경에 노출된다. 이러한 환경에 노출도니 센서들은 오작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센서들의 오작동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상호보완적인 센서들을 구현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엔진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엔진 또는 엔진룸에 설치된 제1센서, 제2센서 및 제3센서 각각에서 센싱되는 센싱값은 달라질 것이다. 이때 엔진의 이상의 종류에 따라 제1센서, 제2센서 및 제3센서에서 측정되는 센싱값의 변화량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엔진의 이상종류 및 이상정도에 따라서 제1센서, 제2센서 및 제3센서의 데이터셋이 충분히 확보될 경우, 제2센서와 제3센서의 센싱값에 따라 제1센서의 센싱값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장 판단부(200)는, 제1센서의 실제 센싱값과, 제2센서 및 제3센서의 센싱값을 통해 예측한 제1센서의 센싱 예측값을 서로 비교해, 두 개의 값이 서로 일정 오차 이내로 비슷하다면 제1센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만약 서로 일정 오차를 초과하여 다른 값을 가진다면, 제1센서가 오작동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고장 판단부(200)는 제1센서가 오작동 하고 있다고 판단할 경우, 선박(10) 내부의 사용자 및 서버(400)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 즉각적인 조치가 취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박 관리 시스템은, 영상 처리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600)는 선박(10)의 하부 표면을 촬영하여, 선박(10)의 하부 표면 청소를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도 3은 영상 처리부(6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블록 형태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처리부(600)는 선박(10)의 하부 표면을 촬영하는 촬영수단(610)과, 촬영수단(610)에서 촬영된 운항 후 측면 이미지와, 저장된 운항 전 측면 이미지를 비교하여 선박(10)의 하부 표면의 세척이 필요한 면적과 깊이를 산출하는 산출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선박(10)의 하부 표면 청소의 청소대상은 선박(10)이 장기간 항해 중 선박(10)의 하부 표면에 달라붙거나 식생한 따개비 또는 이끼를 말한다. 이러한 따개비 또는 이끼의 경우 선박(10)을 추진하는데 있어서 연비를 나쁘게 하므로 주기적으로 세척해야한다. 특히 선박(10)의 하부 표면에 장기간 따개비와 이끼가 식생 할 경우, 세척해야할 깊이가 증가할 수 있다. 산출부(620)는 따개비 또는 이끼가 식생한 부분의 색상을 깊이에 따라 비교하여, 세척해야할 면적과 깊이 정보를 산출할 수 있으며, 견적 생성부(300)는 영상 처리부(600)에서 산출된 세척이 필요한 면적과 깊이를 고려한 유지보수견적을 생성하여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산출부(620)가 산출하는 세척이 필요한 부분의 면적과 깊이 정보 역시 다수개의 데이터셋(이미지에 따른 면적과 깊이 정보)을 통해 학습되어, 보다 정확하게 세척이 필요한 부분의 면적과 깊이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영상 처리부(600)는 선박(10)의 운행여부에 따라 두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첫 번째는 선박(10)이 운행중에 선박(10)의 하부 측면을 촬영하는 형태로, 영상 처리부(600)의 촬영수단(610)은 일종의 수중드론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촬영수단(610)이 수중드론 형태로 구현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드론 형태로 구현된 촬영수단(610)은 항해중인 선박(10)의 측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 상태로 수중에서 선박(10)과 함께 이동하면서, 선박(10)의 하부 측면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촬영수단(610)은 선박(10)의 이동속도를 감지하고, 선박(10)의 이동속도를 고려하여 이동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촬영수단(610)에서 선박(10)의 이동속도를 감지하는 것은, 별도의 속도계를 통해 촬영수단(610)에서 선박(10)의 이동속도를 직접 감지하거나, 선박(10)의 운행을 담당하는 운행부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선박(10)에서 이동속도 정보를 촬영수단(61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선박(10)의 운행부는 촬영수단(610)이 선박(10)의 하부 측면을 촬영하면, 선박(10)의 속도를 감속하여, 촬영수단(610)이 보다 용이하게 선박(10)의 하부 측면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촬영수단(610)은 선박(10)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선박(10)의 하부 측면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조명이 필요할 수 있으며, 조명은 촬영수단(610) 자체에 설치된 조명을 활용하거나, 별도의 드론을 운행하여 조명을 비추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조명용 드론은 수중용 드론이 아니며, 공중을 나는 드론일 수 있다. 이는 수중드론으로 구현된 촬영수단(610)의 경우에는 수중에서 선박(10)의 하부 측면을 촬영해야 보다 정확한 세척이 필요한 면적과 깊이 정보를 산출할 수 있지만, 조명은 수중에서 선박(10)의 하추 측면으로 비출 필요가 없고, 구현 난이도가 공중을 나는 드론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이다.
선박(10)이 항구에 정박해 있을 경우, 촬영수단(610)은 선박의 전후를 따라 이동하는 레일상에 설치되어, 선박(10)의 하부 표면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선박(10)은 도크에 배치되어, 하부 표면이 공기 중에 드러난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선박
20 : 단말기
30 : 해운사
40 : 유지보수업체
100 : 센싱부
200 : 고장 판단부
300 : 견적 생성부
400 : 서버
500 : 항로 저장부
600 : 영상 처리부
610 : 촬영수단
620 : 산출부

Claims (8)

  1. 선박에 설치되어 선박의 상태를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에서 센싱된 선박의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선박의 상태정보에 따라 센싱 시점에서 선박의 이상유무, 이상종류, 이상정도 및 이상위치를 판단하는 고장 판단부;
    상기 고장 판단부에서 판단한 이상유무, 이상종류, 이상정도 및 이상위치에 따라 유지보수견적을 생성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견적 생성부; 및
    상기 견적생성부로부터 상기 유지보수견적을 수신하여 유지보수업체에 제공하는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판단부는,
    상기 센싱부에서 센싱되는 값들과 부품의 이상유무, 이상종류, 이상정도 및 이상위치에 따른 데이터셋으로 학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운행 중인 상기 선박의 항로정보가 저장되는 항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장 판단부는,
    센싱 시점에서 상기 선박이 운행 중이면, 상기 항로 저장부에 저장된 운행정보에 따라 상기 선박의 목적지에 도착시 선박의 이상유무, 이상종류, 이상정도 및 이상위치를 예측하고,
    상기 견적 생성부는,
    상기 고장 판단부에서 예측된 선박의 이상유무, 이상종류, 이상정도 및 이상위치에 따라 유지보수견적을 생성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항로 저장부는,
    운행 중인 상기 선박의 항로에 예보된 풍속, 풍향, 강우 여부, 파도의 높이 및 조류의 방향에 대한 기상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고장 판단부는,
    상기 항로 저장부에 저장된 기상정보를 더 고려하여 상기 선박의 목적지에 도착시 선박의 이상유무, 이상종류, 이상정도 및 이상위치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센싱부와 상기 고장 판단부로부터 선박의 상태정보와 선박의 이상유무, 이상종류, 이상정도 및 이상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적어도 둘 이상의 유지보수업체에 제공하며, 상기 유지보수업체로부터 제안견적을 수신하면, 상기 제안견적과 상기 견적 생성부에서 생성된 유지보수견적을 비교해, 상기 유지보수견적과 비용 및 기한이 유사한 제안견적을 송신한 유지보수업체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선박 내에 설치되는 서로 다른 종류의 제1센서, 제2센서 및 제3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고장 판단부는,
    상기 제1센서의 센싱값과, 상기 제2센서 및 상기 제3센서에서 측정되는 값을 통해 추정되는 상기 제1센서의 센싱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센서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이 고정되는 독에 설치되어 상기 선박의 하부 측면을 촬영하고, 영상처리 기법을 이용해 상기 선박의 하부 측면 중, 세척이 필요한 면적과 깊이를 산출하는 영상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견적 생성부는,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산출된 세척이 필요한 면적과 깊이를 고려한 유지보수견적을 생성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수중드론 형태로 구현되어 운행 중인 상기 선박의 하부 측면을 촬영하는 촬영수단; 및
    상기 촬영수단에서 촬영된 운항 후 선박의 하부 측면 이미지와, 저장된 상기 선박의 운항 전 하부 측면 이미지를 비교하여 세척이 필요한 면적과 깊이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관리 시스템.
KR1020210160044A 2021-11-19 2021-11-19 선박 관리 시스템 KR102693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044A KR102693492B1 (ko) 2021-11-19 2021-11-19 선박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044A KR102693492B1 (ko) 2021-11-19 2021-11-19 선박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3547A true KR20230073547A (ko) 2023-05-26
KR102693492B1 KR102693492B1 (ko) 2024-08-09

Family

ID=86537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044A KR102693492B1 (ko) 2021-11-19 2021-11-19 선박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9349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7981A (ko) * 2013-02-28 2014-09-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체 검사분석 시스템 및 선체 검사분석 방법
KR101701278B1 (ko) * 2015-09-11 2017-02-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해양플랜트의 원격 검사 및 유지보수 시스템
KR20170055718A (ko) * 2015-11-12 2017-05-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유지 보수 관리 장치 및 그의 유지 보수 관리 방법
KR20170068059A (ko) * 2015-12-09 2017-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보조시스템용 센서의 고장진단 및 보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90056684A (ko) 2017-11-17 2019-05-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환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31179A (ko) * 2019-09-11 2021-03-19 주식회사 케이엘넷 빅 데이터를 활용한 기관 장비 고장 예측 시스템
JP2021142968A (ja) * 2020-03-13 2021-09-24 トライボテックス株式会社 舶用機械の状態診断システム及び状態診断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7981A (ko) * 2013-02-28 2014-09-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체 검사분석 시스템 및 선체 검사분석 방법
KR101701278B1 (ko) * 2015-09-11 2017-02-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해양플랜트의 원격 검사 및 유지보수 시스템
KR20170055718A (ko) * 2015-11-12 2017-05-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유지 보수 관리 장치 및 그의 유지 보수 관리 방법
KR20170068059A (ko) * 2015-12-09 2017-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보조시스템용 센서의 고장진단 및 보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90056684A (ko) 2017-11-17 2019-05-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환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31179A (ko) * 2019-09-11 2021-03-19 주식회사 케이엘넷 빅 데이터를 활용한 기관 장비 고장 예측 시스템
JP2021142968A (ja) * 2020-03-13 2021-09-24 トライボテックス株式会社 舶用機械の状態診断システム及び状態診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93492B1 (ko) 2024-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255946B (zh) 一种基于云服务和大数据的船舶状态远程监控系统及方法
US9109895B2 (en) Estimating probabilities of arrival times for voyages
JP4690730B2 (ja) 船舶の運行管理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船舶の運行管理システム
US10926412B2 (en) Coordinating robotic apparatus deliveries
KR20090091277A (ko) 선박의 운항지시 최적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P6783006B1 (ja) 通信端末、プログラム及び方法
KR102478496B1 (ko) 선박 운영 관리 시스템
CN113822518B (zh) 一种ais大数据驱动的集装箱港口装卸效率计算方法
US20160236758A1 (en)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supporting analysis of fuel consumption in voyage of ship
JP2021107785A (ja) 船舶性能評価・提供システム
CN114047515A (zh) 基于无人船的侧扫声呐系统及侧扫声呐设备数据处理方法
AU202125801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tugs
US10611495B2 (en) Sea state estimation
KR102693492B1 (ko) 선박 관리 시스템
Mattioli et al. Unlocking Resident Underwater Inspection drones or AUV for subsea autonomous inspection: value creation between technical requirements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JP2017033378A (ja) 配船計画策定支援方法及び配船計画策定支援システム
JP2017033378A5 (ko)
KR20150086417A (ko) 선내와 육상에서 선박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통합 정보 시스템
Xue et al. Vessel-UAV collaborative optimization for the offshore oil and gas pipelines inspection
WO2014129693A1 (ko) It 융합형 해상 수송네트웍 통합 관리 기반의 온실가스-에너지 절감 지향 최적 경제안전운항 시스템
KR102533190B1 (ko) 항계내 선박의 접안 예정시간 및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
CN206833237U (zh) 燃煤电站煤场作业机械安全和煤场环保管理装置
Dong et al. A new formulation for the combined maritime fleet deployment and inventory management problem
Sullivan et al. A prospective data-oriented framework for new vessel design
Aslam et al. Emerging IoT Applications and Architectures for Smart Maritime Container Termi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