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5718A - 선박의 유지 보수 관리 장치 및 그의 유지 보수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의 유지 보수 관리 장치 및 그의 유지 보수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5718A
KR20170055718A KR1020150158825A KR20150158825A KR20170055718A KR 20170055718 A KR20170055718 A KR 20170055718A KR 1020150158825 A KR1020150158825 A KR 1020150158825A KR 20150158825 A KR20150158825 A KR 20150158825A KR 20170055718 A KR20170055718 A KR 20170055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product
supplier
data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8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진
양정희
박주미
김인일
이원준
이대언
문용재
엄항섭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8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5718A/ko
Publication of KR20170055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7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B63B9/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객사에서 제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를 희망하거나, 교체 또는 검사가 필요한 경우 최적의 공급업체를 선정하여 구매지원 또는 마케팅 지원을 가능하게 한 선박의 유지보수 관리장치 및 그의 유지보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사의 고객 데이터, AIS로부터 수신된 선박 운항 데이터, 선박에 탑재된 제품 또는 서비스를 공급하는 공급업체데이터 및 입출항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적의 공급업체를 결정하는 빅데이터 분석부; 상기 빅데이터 분석부에 의해 결정된 최적의 공급업체에 상기 제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를 지원하는 구매 지원부; 및 상기 제품 또는 서비스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고객사 서버에 상기 결정된 최적의 공급업체와 제품 또는 서비스의 유지보수정보를 포함하는 마케팅정보를 전송하는 마케팅 지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유지보수 관리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선박의 유지 보수 관리 장치 및 그의 유지 보수 관리 방법{APPARATUS FOR MANAGING MAINTENANCE OF VESSEL AND METHOF FOR MANAGING MANAENACE THEREOF}
본 발명은 선박의 유지 보수 관리 장치 및 그의 유지 보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객사에서 제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를 희망하거나, 교체 또는 검사가 필요한 경우 최적의 공급업체를 선정하여 구매지원 또는 마케팅 지원을 가능하게 한 선박의 유지보수 관리장치 및 그의 유지보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선박의 유지보수 작업은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엔지니어가 선박에 직접 탑승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엔지니어가 선박의 각종 시스템 장비의 동작 신호를 일일이 확인하고, 이상 발생 시, 직접적으로 수리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유지보수 작업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선박 장비의 유지보수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이 큰 문제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선박 내에서 선박 장비의 동작 신호를 무선 통신으로 송수신하는 기술이 개발되었지만, 이 또한 선박 장비의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엔지니어가 반드시 탑승한 상태에서 유지보수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조선업 경재환경의 변화로 인해 선박내에 필요한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구매를 요청하는 경우, 대형공급업체에서 주로 구매를 하게 되어 국내 중소대형 조선업의 실적이 악화되고 있다.
또한, 선박내 탑재된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교체 또는 검사가 필요한 경우, 고객사에서 선박의 운항일정을 확인하여 원하는 공급업체에서 원하는 가격으로 공급받기 어렵고, 검사 또한 운항중에 있음에 따라 검사 만료일을 지나칠때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109275호(2011.10.06) "선박용 유지보수방법 및 유지보수관리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사에서 제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를 희망하거나, 교체 또는 검사가 필요한 경우 최적의 공급업체를 선정하여 구매지원 또는 마케팅 지원을 가능하게 한 선박의 유지보수 관리장치 및 그의 유지보수 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사의 고객 데이터, AIS로부터 수신된 선박 운항 데이터, 선박에 탑재된 제품 또는 서비스를 공급하는 공급업체데이터 및 입출항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적의 공급업체를 결정하는 빅데이터 분석부; 상기 빅데이터 분석부에 의해 결정된 최적의 공급업체에 상기 제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를 지원하는 구매 지원부; 및 상기 제품 또는 서비스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고객사 서버에 상기 결정된 최적의 공급업체와 제품 또는 서비스의 유지보수정보를 포함하는 마케팅정보를 전송하는 마케팅 지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유지보수 관리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빅데이터 분석부는 고객사 서버로부터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요청서가 수신되면, 상기 요청서의 제품 또는 서비스를 공급하는 공급업체 리스트와 해당 고객사 서버의 고객 데이터를 통해 구매 또는 거래한 이력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공급업체 리스트와 고객의 이력데이터를 이용하여 선정된 예비공급업체에 견적을 요청하여 등록된 예비공급업체의 견적서들 중에서 미리 설정된 선정기준을 통해 최적의 견적서를 결정하는 유지보수 최적화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지보수 최적화 분석부는 상기 공급업체 리스트 중에서 이력데이터와 요청서간의 유사도를 평가하여 그 평가된 유사도에 근거하여 예비공급업체를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유지보수 최적화 분석부는 상기 요청서에 복수개의 제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희망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제품 또는 서비스를 모두 공급하는 공급업체를 예비공급업체로 선정할 수 있다.
상기 빅데이터 분석부는 고객사 서버로부터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구매 또는 거래한 이력데이터와, 해당 제품 또는 서비스의 교체주기를 분석하여 유지보수가 필요한 제품 또는 서비스를 결정하는 예방정비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방정비 분석부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고객사로부터 구매 도는 거래한 이력 데이터 및 수명을 근거로 하여 선박에 탑재된 제품 또는 서비스의 재구매 추천일을 계산하고, 해당 선박의 타겟지역 예상 도착일을 계산하여 계산된 재구매 추천일과 타겟지역 예상 도착일을 비교하여 재구매가 필요한 마케팅 대상을 선정할 수 있다.
상기 빅데이터 분석부는 AIS로부터 수신된 선박 운항 데이터를 분석하여 타겟지역에 도착할 선박을 추출하고 추출된 선박의 선급 검사 데이터를 기준으로 검사가 필요한 잠재고객을 추정하는 잠재고객 추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재고객 추정부는 상기 선급 검사 데이터에 포함된 제품 또는 서비스의 검사 만료일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기준일만큼 남아 있는 경우 상기 제품 또는 서비스의 검사를 주관하는 최적의 공급업체와 검사만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방정비 분석부는 정박시 선박내 제품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태진단을 통해 해당 제품의 이상유무를 판단하고, 이상판단시 제품 교체 또는 수리업체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사의 고객 데이터, AIS로부터 수신된 선박 운항 데이터, 선박에 탑재된 제품 또는 서비스를 공급하는 공급업체데이터 및 입출항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적의 공급업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최적의 공급업체에 상기 제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를 지원하는 단계; 및 상기 제품 또는 서비스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고객사 서버에 상기 결정된 최적의 공급업체와 제품 또는 서비스의 유지보수정보를 포함하는 마케팅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유지보수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사 서버로부터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구매요청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품 또는 서비스를 공급하는 공급업체리스트 및 구매이력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공급업체리스트 및 구매이력데이터를 분석하여 예비공급업체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예비공급업체에 구매요청서의 견적을 요청하여 해당 예비공급업체로부터 비용 및 납기일을 포함하는 견적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견적서들의 견적조합을 생성하고 미리 설정된 선정기준을 기준으로 최적의 견적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견적서를 고객사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구매 지원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공급업체 리스트 중에서 이력데이터와 요청서간의 유사도를 평가하여 그 평가된 유사도에 근거하여 예비공급업체를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 요청서에 복수개의 제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희망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제품 또는 서비스를 모두 공급하는 공급업체를 예비공급업체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구매이력 및 제품의 교체주기를 통해 재구매 추천일을 계산하는 단계; AIS로부터 수신된 선박 운항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상기 제품을 탑재한 선박의 타겟지역 예상 도착일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추천일과 상기 계산된 타겟지역 예상 도착일에 기준일을 차감한 일을 비교하여 마케팅 대상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마케팅 대상 선박에 제품의 교체일과 교체가능업체를 알리는 알림정보를 고객사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예방정비 마케팅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AIS로부터 선박 운항 데이터 중에서 타겟 지역을 경유하는 선박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선박의 선급정보를 수신하여 선급검사데이터를 업데이트시키는 단계; 상기 선급검사데이터에 포함된 검사만료일이 남아 있는 검사대상선박을 잠재고객으로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검사대상선박에 검사일정과 검사가능업체를 알리는 알림정보를 고객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잠재고객 마케팅 방법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사에서 제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를 희망하거나, 교체 또는 검사가 필요한 경우 최적의 공급업체를 선정하여 구매지원 또는 마케팅 지원을 가능하게 한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조선업체, 조선기자재업체, 선박 수리조선소, 빅데이터 IT 업체의 신 먹거리 창출하여 지속 가능한 신사업 모델을 창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유지보수 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의 유지보수 관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최적의 구매 지원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4는 교체가 필요한 제품 또는 서비스를 탑재한 고객에게 마케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5는 잠재고객을 선정하여 선정된 잠재고객에게 마케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6은 최적의 견적서를 도시한 화면 예시도,
도 7은 재구매 추천일과 재구매 가능업체를 알리는 알림정보를 도시한 화면 예시도, 그리고
도 8은 마케팅정보를 도시한 화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유지보수 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의 유지보수 관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유지보수 관리시스템은 고객 데이터, 기자재업체 및 기자재 데이터를 분석하여 고객사 서버(10)로부터 구매 요청된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최적의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 제품 또는 서비스의 수명주기 및 구매이력데이터를 분석하여 예방정비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 및 AIS(30)로부터 수신된 선박 운항 데이터 및 항만 관리 서버(40)로부터 수신된 입출항정보를 분석하여 잠재고객을 추정하여 잠재고객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선박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은 고객사 서버(10), 유지보수 관리장치(20), AIS(30), 항만 관리 서버(40) 및 공급업체 관리서버(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객사 서버(10)는 선박을 보유 또는 운영하는 고객사(즉, 해운사)의 고객 데이터를 유지보수 관리장치(20)에 제공한다.
AIS(Automated Identification System: 선박 자동 식별 장치)(30)는 해상의 선박 위치를 포함하는 선박 운항 데이터를 위성을 통해 수신 또는 발신한다. AIS(30)는 선박 운항 정보를 유지보수 관리장치(20)에 제공한다.
항만 관리 서버(40)는 선박이 입출항하는 항만 데이터, 입출항 일정을 유지보수 관리장치(20)에 제공한다.
공급업체 관리서버(50)는 기자재 업체, 선용품업체, 수리조선소 및 선급협회에서 관리하는 공급업체 데이터와, 해당 공급업체에서 공급하는 제품 데이터를 유지보수 관리장치(20)에 제공한다. 공급업체 데이터는 공급업체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포함하고, 제품 데이터는 제품, 예컨대 기자재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와, 사양과, 해당 제품의 보유수량을 포함한다.
유지보수 관리장치(20)는 상술된 고객사 서버(10), AIS(30), 항만 관리 서버(40) 및 공급업체 관리서버(5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5)에 저장 및 관리하고, 고객사 서버(10)로부터 수신된 구매 요청된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최적의 구매 지원 서비스를 수행하고, 구매요청한 구매이력을 제공하고, 선박의 검사를 지원하는 선박 관리 지원서비스를 수행하며, 제품 또는 서비스의 교체/갱신주기를 분석하여 사전에 구매를 유도하거나, 검사 또는 수리가 필요한 제품 또는 서비스를 고객사에게 마케팅할 수 있는 마케팅 서비스를 수행한다.
이러한 유지보수 관리장치(20)는 빅데이터 분석부(21), 구매 지원부(22), 선박 관리지원부(23), 마케팅 지원부(24) 및 데이터베이스(25)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25)는 웹 데이터베이스(251)와 빅데이터 데이터베이스(252)로 구분되며, 웹 데이터베이스(251)는 공급업체 관리서버(50)로부터 수신된 제품 데이터 및 해당 제품 데이터를 공급 가능한 공급업체 데이터와, 고객사 서버(10)로부터 수신된 고객 데이터와, 고객사로부터 구매 또는 거래한 이력데이터를 저장하고, 빅데이터 데이터베이스(252)는 AIS(30)로부터 수신된 선박 운항 데이터와, 항만 관리 서버(40)로부터 수신된 입출항 데이터와, 선급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빅데이터 분석부(21)는 유지보수 최적화 분석부(211), 예방정비 분석부(212) 및 잠재고객 추정부(2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빅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25)에 저장되어 있는 저장 데이터이다. 저장 데이터는 공급업체 관리서버(50)로부터 수신된 기자재 데이터, 부품 데이터, 기자재업체 데이터와, 항만 관리서버(40)로부터 수신된 항만 데이터 및 실시간 입출항일정과, AIS(30)로부터 수신된 전세계 선박 운항 데이터, 선박 탑재 기자재 운전 데이터와, 고객사 서버(10)로부터 수신된 고객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유지보수 최적화 분석부(211)는 고객사 서버(10)로부터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요청서, 즉 구매 요청서가 수신되면, 수신된 구매 요청서의 제품 또는 서비스를 공급하는 공급업체 리스트와, 해당 고객사 서버(10)의 고객 데이터를 통해 구매 또는 거래한 이력데이터를 웹 데이터베이스(251)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공급업체 리스트와 고객의 이력데이터를 이용하여 예비공급업체를 선정한다. 구매 요청서에는 예컨대 기자재, 브랜드, 카테고리, 납기일, 배송지 및 수량/단위 등이 포함되어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유지보수 최적화 분석부(211)는 구매 요청서에 포함되어 있는 브랜드와 매칭되는 공급업체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251)로부터 검색하여 검색된 공급업체 리스트를 제공하면, 고객사 서버(10)로부터 구매요청서와 함께 수신된 고객 데이터와 연관지어 저장되어 있는 이력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51)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이력데이터와 구매요청서에 포함되어 있는 구매정보, 예컨대 제품명 또는 서비스명과의 유사도를 평가하여 유사도가 있으면 이력 데이터의 공급업체를 예비공급업체로 선정하거나, 복수개의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구매요청한 경우 복수개의 제품 또는 서비스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급업체를 예비공급업체로 선정한다.
구매 지원부(22)는 이와 같이 유지보수 최적화 분석부(211)에 의해 선정된 예비공급업체에 구매요청서에 대한 견적을 요청한다.
또한, 구매 지원부(22)는 구매 요청서를 수신한 예비공급업체로부터 접수한 구매요청서에 대한 비용 및 납기일을 포함하는 견적서를 등록한다.
유지보수 최적화 분석부(211)는 구매요청서에 등록된 견적서들 중에서 미리 설정된 선정기준을 통해 최적의 견적서를 결정한다. 이때 선정기준은 가중치 평가인자, 즉 비용이 최소비용이면서 납기일도 최단 납기일인 견적서를 최적의 견적서로 결정한다. 가중치 평가인자는, 고객사 서버(10)에서 수신된 구매 요청서에 기재되어 있을 경우 이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고, 웹 데이터베이스(251)에 기 저장된 고객의 구매 이력 데이터에 근거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구매 지원부(22)는 유지보수 최적화 분석부(211)에 의해 가중치 평가인자별로 재배치된 견적서를 공급업체의 순위로 재조합하여 고객사 서버(10)에 제공하고, 고객사 서버(10)로부터 선택된 최종공급업체에 최종구매 요청정보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최소비용 및 최단납기일로 견적서를 등록한 공급업체, 예컨대 중소형 공급업체에서 고객사에게 제품 또는 서비스의 공급을 유치할 수 있고, 중소 공급업체에게도 비지니스 기회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방정비 분석부(212)는 고객사 서버(10)로부터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구매 또는 거래한 이력 및 제품 또는 서비스의 교체/갱신주기를 분석하여 사전에 재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예방정비 분석부(212)는 데이터베이스(25), 특히 웹 데이터베이스(251)에 저장되어 있는 고객 데이터에 연관지어 저장되어 있는 이력 데이터와 해당 고객사의 제품 또는 서비스의 수명주기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제품 또는 서비스의 교체주기를 계산하여 계산된 교체주기가 기준교체주기, 예를 들면 30일만큼 남아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교체주기가 기준교체주기만큼 남아 있는 경우 고객사의 제품 또는 서비스가 탑재된 선박의 입항일정을 분석하여 특정항의 입항이 예측되면 유지보수가 필요한 제품 또는 서비스를 결정한다.
예방정비 분석부(212)에 의해 결정된 유지보수가 필요한 제품 또는 서비스를 공급하는 공급업체는 상술된 유지보수 최적화 분석부(211)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예방정비 분석부(212)는 고객사 서버(10)로부터 선박내 설치된 제품 또는 서비스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웹 데이터베이스(251)에 저장 및 관리하고, 저장된 제품 또는 서비스의 상태를 진단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제품 또는 서비스의 이상으로 결정된 경우 고객사 서버(10)에 알리는 알림정보와 함께 해당 제품 또는 서비스를 교체 또는 수리하는 공급업체를 웹 데이터베이스(251)에서 검색하여 검색된 공급업체 중 우선순위가 높게 부여된 공급업체를 고객사 서버(10)에 추천할 수 있다. 이때 제품 또는 서비스의 상태정보로서, 예컨대, 회전기기 진동 시뮬레이터에서 측정 또는 수집된 데이터일 수 있다.
잠재고객 추정부(213)는 AIS(30)로부터 수신된 선박 운항 데이터를 분석하여 타겟지역, 예를 들면 한국에 도착할 선박을 추출하고 추출된 선박의 도착 예정날짜를 추정하여 추정된 선박의 선급 검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검사가 필요한 잠재고객에게 마케팅할 수 있는 마케팅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마케팅 정보를 마케팅 지원부(24)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잠재고객 마케팅에 의한 시장이 확대 가능하며, 해외 선사의 국내 유지보수 공급업체의 공급 기회를 증가시킬 수 있다. 선급 검사 데이터에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검사 만료일이 포함되어 있다.
잠재고객 추정부(213)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검사 만료일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기준일이면 해당 제품 또는 서비스의 견적을 요청한 고객사 서버(10)에 제품 또는 서비스의 검사를 알리는 알림정보를 제공한다. 알림정보는 이메일 등을 통하여 고객사 서버(10)에 전송될 수 있다.
선박 관리지원부(23)는 고객사 서버(10)로부터 구매 요청된 기자재에 대한 구매이력을 조회하고, 주기적인 선박의 검사 시기 및 방법을 조회하여 고객사 서버(10)에 필요한 정비 또는 검사를 제안할 수 있다.
마케팅 지원부(23)는 상술된 예방정비 분석부(212)에 결정된 특정항에서 유지보수가 필요한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마케팅 정보를 생성하여 고객사 서버(10)에 전송하고, 상술된 잠재고객 추정부(21)에 의해 추정된 잠재고객에게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마케팅 정보를 생성하여 고객사 서버(10)에 전송한다.
마케팅 정보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유지보수나 검사를 지원하는 공급업체와, 교체시기나 검사일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선박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의 유지보수 관리방법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유지보수 관리시스템의 유지보수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최적의 구매 지원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지보수 관리장치(20)는 고객사 서버(10)로부터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구매요청서를 수신한다(S11).
유지보수 관리장치(20)는 제품 또는 서비스를 공급하는 공급업체리스트 및 구매 또는 거래한 이력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5)에서 검색한다(S13).
유지보수 관리장치(20)는 데이터베이스(25)에서 검색된 공급업체리스트 및 이력 데이터를 토대로 예비공급업체를 선정한다(S15). 예비공급업체는 복수개일 수 있다.
유지보수 관리장치(20)는 선정된 예비공급업체에 구매요청서의 견적을 요청한다(S17).
유지보수 관리장치(20)는 견적을 요청받은 예비공급업체로부터 구매요청서에 대한 비용 및 납기일을 포함하는 견적서를 수신한다(S19). 예비공급업체는 유지보수 관리장치(20)에 적어도 하나의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비용 및 납기일을 포함하는 견적서를 생성하여 유지보수 관리장치(20)에 등록한다.
유지보수 관리장치(20)는 수신된 견적서들 중에서 최적의 견적서를 결정한다(S21). 이때 유지보수 관리장치(20)는 다수의 제품 또는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견적 조합을 생성하여 미리 설정된 선정인자, 즉 가중치평가인자를 기준으로 최적의 견적서를 결정할 수 있다. 최적의 견적서는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으며, 복수의 공급업체별 견적서를 랭킹한 리스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유지보수 관리장치(20)는 결정된 최적의 견적서를 고객사 서버(10)에 제공한다(S23).
이에 따라 최소비용 및 최단 납기일로 견적서를 등록한 중소 공급업체에서 고객사의 제품 또는 서비스의 공급을 유치할 수 있어 중소 공급업체에게도 비지니스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교체가 필요한 제품 또는 서비스를 탑재한 고객에게 마케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유지보수 관리장치(20)는 데이터베이스(25)에 저장되어 있는 고객사로부터 구매 또는 거래한 이력 데이터 및 수명을 근거로 하여 선박의 제품 또는 서비스의 재구매 추천일(T1)을 계산한다(S51).
유지보수 관리장치(20)는 AIS(30)로부터 수신된 선박 운항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품 또는 서비스가 탑재된 선박의 운항거리를 이용하여 재구매가 필요한 제품 또는 서비스의 선박의 타겟지역 예상 도착일(T2)를 계산한다(S53).
유지보수 관리장치(20)는 재구매 추천일(T1)과 타겟지역 예상 도착일(T2)에서 1개월을 차감한 타겟지역 예상일을 비교하여 재구매 추천일(T1)이 타겟지역 예상일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S55).
상기 S55 단계의 판단결과, 재구매 추천일(T1)이 타겟지역 예상일보다 작은 경우 유지보수 관리장치(20)는 소정시간 대기상태를 유지하고, 큰 경우 유지보수 관리장치는 재구매가 필요한 선박의 제품 또는 서비스를 마켓팅 대상으로 선정한다(S57).
이후, 유지보수 관리장치(20)는 재구매 추천일과 재구매 가능업체를 알리는 알림정보(도 7 참조)를 고객사 서버(10)에 전송한다(S59). 이때, 재구매 가능업체는 앞선 실시예의 유지보수 최적화 분석부(211)를 통해 결정된 최적의 견적서를 등록한 공급업체일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운항중인 선박에 탑재된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교체시기에 맞춰 특정항에서 최적의 견적서를 공급한 공급업체로부터 신속하게 제품 또는 서비스의 교체를 가능하게 한다.
도 5는 잠재고객을 선정하여 선정된 잠재고객에게 마케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유지보수 관리장치(20)는 AIS(30)로부터 선박 운항 데이터 중에서 타겟 지역의 선박을 추출한다(S71).
유지보수 관리장치(20)는 선박의 선급정보 및 선급검사일정을 수신하여 빅데이터 데이터베이스(252) 저장된 선급데이터를 업데이트시킨다(S73).
유지보수 관리장치(20)는 업데이트된 선급검사일정을 근거로 하여 타겟 지역내 검사대상선박인 잠재고객을 선정한다(S75).
유지보수 관리장치(20)는 검사대상선박에 검사일정과 검사가능업체를 포함하는 마케팅정보를 생성하여 고객사 서버(10)에 전송한다(S77). 마케팅정보는 도 8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잠재고객 마케팅에 의한 시장이 확대 가능하며, 해외 선사의 국내 유지보수 공급업체의 공급 기회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10 : 고객사 서버 20 : 유지보수 관리장치
21 : 빅데이터 분석부 211 : 유지보수 최적화 분석부
212 : 예방정비 분석부 213 : 잠재고객 추정부
22 : 구매 지원부 23 : 선박 관리 지원부
24 : 마케팅 지원부 25 : 데이터베이스
30 : AIS 40 : 항만 관리서버
50 : 공급업체 관리서버

Claims (16)

  1. 고객사의 고객 데이터, AIS로부터 수신된 선박 운항 데이터, 선박에 탑재된 제품 또는 서비스를 공급하는 공급업체데이터 및 입출항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적의 공급업체를 결정하는 빅데이터 분석부;
    상기 빅데이터 분석부에 의해 결정된 최적의 공급업체에 상기 제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를 지원하는 구매 지원부; 및
    상기 제품 또는 서비스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고객사 서버에 상기 결정된 최적의 공급업체와 제품 또는 서비스의 유지보수정보를 포함하는 마케팅정보를 전송하는 마케팅 지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유지보수 관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빅데이터 분석부는 고객사 서버로부터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요청서가 수신되면, 상기 요청서의 제품 또는 서비스를 공급하는 공급업체 리스트와 해당 고객사 서버의 고객 데이터를 통해 구매 또는 거래한 이력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공급업체 리스트와 고객의 이력데이터를 이용하여 선정된 예비공급업체에 견적을 요청하여 등록된 예비공급업체의 견적서들 중에서 미리 설정된 선정기준을 통해 최적의 견적서를 결정하는 유지보수 최적화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유지보수 관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지보수 최적화 분석부는 상기 공급업체 리스트 중에서 이력데이터와 요청서간의 유사도를 평가하여 그 평가된 유사도에 근거하여 예비공급업체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유지보수 관리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지보수 최적화 분석부는 상기 요청서에 복수개의 제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희망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제품 또는 서비스를 모두 공급하는 공급업체를 예비공급업체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유지 보수 관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빅데이터 분석부는 고객사 서버로부터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구매 또는 거래한 이력데이터와, 해당 제품 또는 서비스의 교체주기를 분석하여 유지보수가 필요한 제품 또는 서비스를 결정하는 예방정비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유지보수 관리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예방정비 분석부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고객사로부터 구매 도는 거래한 이력 데이터 및 수명을 근거로 하여 선박에 탑재된 제품 또는 서비스의 재구매 추천일을 계산하고, 해당 선박의 타겟지역 예상 도착일을 계산하여 계산된 재구매 추천일과 타겟지역 예상 도착일을 비교하여 재구매가 필요한 마케팅 대상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유지보수 관리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빅데이터 분석부는 AIS로부터 수신된 선박 운항 데이터를 분석하여 타겟지역에 도착할 선박을 추출하고 추출된 선박의 선급 검사 데이터를 기준으로 검사가 필요한 잠재고객을 추정하는 잠재고객 추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유지보수 관리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잠재고객 추정부는 상기 선급 검사 데이터에 포함된 제품 또는 서비스의 검사 만료일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기준일만큼 남아 있는 경우 상기 제품 또는 서비스의 검사를 주관하는 최적의 공급업체와 검사만료일을 포함하는 마케팅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유지보수 관리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예방정비 분석부는 정박시 선박내 제품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태진단을 통해 해당 제품의 이상유무를 판단하고, 이상판단시 제품 교체 또는 수리업체를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유지보수 관리장치.
  10. 고객사의 고객 데이터, AIS로부터 수신된 선박 운항 데이터, 선박에 탑재된 제품 또는 서비스를 공급하는 공급업체데이터 및 입출항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적의 공급업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최적의 공급업체에 상기 제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를 지원하는 단계; 및
    상기 제품 또는 서비스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고객사 서버에 상기 결정된 최적의 공급업체와 제품 또는 서비스의 유지보수정보를 포함하는 마케팅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유지보수 관리방법.
  11. 고객사 서버로부터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구매요청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품 또는 서비스를 공급하는 공급업체리스트 및 구매이력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공급업체리스트 및 구매이력데이터를 분석하여 예비공급업체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예비공급업체에 구매요청서의 견적을 요청하여 해당 예비공급업체로부터 비용 및 납기일을 포함하는 견적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견적서들의 견적조합을 생성하고 미리 설정된 선정기준을 기준으로 최적의 견적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견적서를 고객사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구매 지원 서비스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공급업체 리스트 중에서 이력데이터와 요청서간의 유사도를 평가하여 그 평가된 유사도에 근거하여 예비공급업체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구매 지원 서비스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 요청서에 복수개의 제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희망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제품 또는 서비스를 모두 공급하는 공급업체를 예비공급업체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구매 지원 서비스 방법.
  14. 구매이력 및 제품의 교체주기를 통해 재구매 추천일을 계산하는 단계;
    AIS로부터 수신된 선박 운항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상기 제품을 탑재한 선박의 타겟지역 예상 도착일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추천일과 상기 계산된 타겟지역 예상 도착일에 기준일을 차감한 일을 비교하여 마케팅 대상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마케팅 대상 선박에 제품의 교체일과 교체가능업체를 알리는 알림정보를 고객사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예방정비 마케팅 방법.
  15. AIS로부터 선박 운항 데이터 중에서 타겟 지역을 경유하는 선박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선박의 선급정보를 수신하여 선급검사데이터를 업데이트시키는 단계;
    상기 선급검사데이터에 포함된 검사만료일이 남아 있는 검사대상선박을 잠재고객으로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검사대상선박에 검사일정과 검사가능업체를 알리는 알림정보를 고객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잠재고객 마케팅 방법.
  16.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50158825A 2015-11-12 2015-11-12 선박의 유지 보수 관리 장치 및 그의 유지 보수 관리 방법 KR201700557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825A KR20170055718A (ko) 2015-11-12 2015-11-12 선박의 유지 보수 관리 장치 및 그의 유지 보수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825A KR20170055718A (ko) 2015-11-12 2015-11-12 선박의 유지 보수 관리 장치 및 그의 유지 보수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718A true KR20170055718A (ko) 2017-05-22

Family

ID=59049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8825A KR20170055718A (ko) 2015-11-12 2015-11-12 선박의 유지 보수 관리 장치 및 그의 유지 보수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571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529A (ko) 2017-10-11 2019-04-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기자재 관리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20230019609A (ko) * 2021-08-02 2023-02-09 이상규 제지가공 유지보수 및 관리 시스템
CN117922784A (zh) * 2024-03-21 2024-04-26 南通惠尔海事服务有限公司 一种船舶信息管理系统
CN117922784B (zh) * 2024-03-21 2024-05-28 南通惠尔海事服务有限公司 一种船舶信息管理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529A (ko) 2017-10-11 2019-04-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기자재 관리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20230019609A (ko) * 2021-08-02 2023-02-09 이상규 제지가공 유지보수 및 관리 시스템
CN117922784A (zh) * 2024-03-21 2024-04-26 南通惠尔海事服务有限公司 一种船舶信息管理系统
CN117922784B (zh) * 2024-03-21 2024-05-28 南通惠尔海事服务有限公司 一种船舶信息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66192B (zh) 生命週期過時預測工具
Guide Jr Production planning and control for remanufacturing: industry practice and research needs
Akçalı et al. Quantitative models for inventory and production planning in closed-loop supply chains
Topan et al. A review of operational spare parts service logistics in service control towers
WO2008151240A1 (en) Performance-based logistics for aerospace and defense programs
JP2013122761A5 (ko)
Kulkarni et al. Networked RFID systems in product recovery management
US10410151B2 (en) Strategic decision support model for supply chain
KR20090003488A (ko) 물류정보 시스템
CN111768207A (zh) 认知采购
US11250377B2 (en)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spare parts of an aircraft
Lehtonen et al. Enhancing field‐service delivery: the role of information
KR20170126431A (ko) 네트워크 기반의 차량 정비 방법 및 시스템
WO2001093171A2 (en) Resource management system
KR20170055718A (ko) 선박의 유지 보수 관리 장치 및 그의 유지 보수 관리 방법
US10496950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intelligent visibility across an outcome-based service cycle infrastructure
US200803130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receiving, inspection, and supplier quality system
US20050137919A1 (en) Method, system, and storage medium for integrating return products into a forward supply chain manufacturing process
US200802702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rvice loss analysis and reporting
Tan et al. A decision making framework for reverse logistics network design
US20150235287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enabling outcome-based service cycle management
KR20200098917A (ko) 통합 관리시스템
Ala-Risku Installed base information management with industrial service operations
Laskar A study on application of Supply Chain Analytics in ONGC
KR20220053836A (ko) 당구장 소모품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