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2850B1 - 납산배터리용 충, 방전시스템 - Google Patents

납산배터리용 충, 방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2850B1
KR102532850B1 KR1020230002417A KR20230002417A KR102532850B1 KR 102532850 B1 KR102532850 B1 KR 102532850B1 KR 1020230002417 A KR1020230002417 A KR 1020230002417A KR 20230002417 A KR20230002417 A KR 20230002417A KR 102532850 B1 KR102532850 B1 KR 102532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ly connected
control unit
lead
predetermined interva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2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혜련
소재영
Original Assignee
윤혜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혜련 filed Critical 윤혜련
Priority to KR1020230002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28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6Lead-acid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격리판의 통공에 스케일이 부착되지 않도록 하여 격리판의 통공에서 전자 이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납산배터리의 충전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납산배터리를 장시간 사용하고, 납산배터리에 전원공급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납산배터리에 충전을 함과 동시에 납산배터리에 부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납산배터리를 방전시키는 납산배터리용 충, 방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제2지지다리(10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어부(108)와; 상기 제1지지다리(104)의 하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기충격파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충격파를 납산배터리(200)의 격리판 통공으로 보내어 통공이 스케일이 부착되지 못하도록 하는 제1전기충격파발생셀(128)과; 상기 제2지지다리(106)의 하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기충격파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충격파를 납산배터리(200)의 격리판 통공으로 보내어 통공이 스케일이 부착되지 못하도록 하는 제2전기충격파발생셀(13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납산배터리용 충, 방전시스템{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for lead acid batteries}
본 발명은 충, 방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납산배터리의 양극(+)판과 음극(-)판을 분리하는 격리판의 통공에 스케일이 부착되지 않도록 하여 격리판의 통공에서 전자 이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납산배터리의 충전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납산배터리를 장시간 사용하는 납산배터리용 충, 방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납산배터리에 전원공급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납산배터리에 충전을 함과 동시에 납산배터리에 부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납산배터리를 방전시키는 납산배터리용 충, 방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납산배터리(또는 납산축전지)는 양극(cathode or positive electrode)과 음극(anode or negative electrode)의 활물질(active material)로 이루어진 두 전극판과, 두 전극판을 분리하는 복수개의 통공을 갖는 격리판(separator), 그리고, 상기 두 전극사이의 이온 전달을 가능케 하기위한 전해액(electrolyte)으로 이루어지며, 이처럼 이루어진 물질들의 화학작용에 의해 직류기전력을 발생되게 하여 전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양극(+)판은 과산화납(PbO2)이고, 음극(-)판은 해면상납(Pb)이며, 전해액은 묽은황산(2H2SO4)이며, 격리판은 분리막이라고도 한다.
상기 납산배터리는 화학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되게 하는 방전(妨電)상태와, 외부 또 다른 전원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화학에너지로 변환, 충전(또는 축적)되게 하는 충전(充電)상태의 반복적 사이클로 그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는 통상, 아래 (화학식)과 같은 반응을 갖게 된다.
(화학식)
Figure 112023002479461-pat00001
그러나, 상기 화학식 처럼 납산배터리가 충, 방전을 반복하게 되면 방전과정에서 황산납(PbS04)으로 변했던 활물질이 충전과정에서 원상으로 회복하지 못하고 양극판과 음극판에 고착되는 황산화현상(Sulfation)이 발생한다.
이러한 황산화현상이 발생하면 다음과 같은 이유로 활물질과 전해액 사이의 유효접촉이 감소하게 된다.
이로 인해, 양극판 또는 음극판에 고착된 황산납에 의해 활물질과 전해액 사이의 접촉면적이 감소한다.
한편, 상기 납산배터리가 충, 방전을 연속적으로 할 때, 격리판(separator)의 통공에 스케일이 부착되어 전해액이 지속적으로 통공의 내부로 확산되는 것이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으로 인해, 납산배터리의 충, 방전 능력이 저하되어 버려지고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008년 05월 15일자 출원번호 제10-2008-0044857호(발명의 명칭 : 납산축전지재생방법 및 그 장치)로 특허청에 출원된 바 있으며, 도 1을 참조하여 청구범위를 살펴보면, 청구범위는 " 한 쌍의 축전지단자를 갖는 납산축전지를 재생 충전하기 위한 납산축전지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축전지단자를 각각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충전장치단자와; 상기 충전장치단자에 연결되어 충격충전전압과 본충전전압을 공급하는 충전전압생성부와 상기 충전전압생성부와 상기 충전장치단자사이에 개재된 충전스위칭부를 갖는 충전회로부와; 상기 충격충전전압이 단속적으로 상기 충전장치단자를 통해 납산축전지에 인가된 후 상기 본충전전압이 지속적으로 납산축전지에 인가되도록 상기 충전스위칭부의 온오프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산축전지재생장치. " 이다.
상기와 같이 납산배터리(또는 납산축전지)의 재생 관련 연구 및 개발은 꾸준히 실시되고 있다.
본 출원인은 상기 납산축전지재생장치 외에 납산배터리의 양극(+)판과 음극(-)판을 분리하는 격리판의 통공에 스케일이 부착되지 않도록 하여 격리판의 통공에서 전자 이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납산배터리의 충전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납산배터리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납산배터리에 전원공급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납산배터리에 충전을 함과 동시에 납산배터리에 부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납산배터리를 방전시키는 납산배터리용 충, 방전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납산배터리의 양극(+)판과 음극(-)판을 분리하는 격리판의 통공에 스케일이 부착되지 않도록 하여 격리판의 통공에서 전자 이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납산배터리의 충전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납산배터리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납산배터리에 전원공급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납산배터리에 충전을 함과 동시에 납산배터리에 부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납산배터리를 방전시키는 납산배터리용 충, 방전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납산배터리용 충, 방전시스템은,
본체(102)와;
상기 본체(102)의 일측에 하방향으로 설치되되, 탄성을 갖는 제1지지다리(104)와;
상기 제1지지다리(10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1지지다리(104)에 마주보게 본체(102)의 일측에 하방향으로 설치되되, 탄성을 갖는 제2지지다리(106)와;
상기 제2지지다리(10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어부(108)와;
상기 제1지지다리(104)의 하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기충격파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충격파를 납산배터리(200)의 격리판 통공으로 보내어 통공이 스케일이 부착되지 못하도록 하는 제1전기충격파발생셀(128)과;
상기 제2지지다리(106)의 하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기충격파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충격파를 납산배터리(200)의 격리판 통공으로 보내어 통공이 스케일이 부착되지 못하도록 하는 제2전기충격파발생셀(130)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납산배터리용 충, 방전시스템은 납산배터리용 충, 방전시스템은 납산배터리의 양극(+)판과 음극(-)판을 분리하는 격리판의 통공에 스케일이 부착되지 않도록 하여 격리판의 통공에서 전자 이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납산배터리의 충전을 빠르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납산배터리를 장시간 사용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납산배터리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버려지는 납산배터리를 줄 일 수 있어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토양과 수질 등의 환경오염을 줄 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납산배터리에 전원공급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납산배터리에 충전을 함과 동시에 납산배터리에 부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납산배터리를 방전시킬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납산축전지재생장치의 전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납산배터리용 충, 방전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납산배터리용 충, 방전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납산배터리용 충, 방전시스템이 납산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납산배터리용 충, 방전시스템이 납산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납산배터리용 충, 방전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납산배터리용 충, 방전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납산배터리용 충, 방전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납산배터리용 충, 방전시스템(100)은,
본체(102)와;
상기 본체(102)의 일측에 하방향으로 설치되되, 탄성을 갖는 제1지지다리(104)와;
상기 제1지지다리(10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1지지다리(104)에 마주보게 본체(102)의 일측에 하방향으로 설치되되, 탄성을 갖는 제2지지다리(106)와;
상기 제2지지다리(10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어부(108)와;
상기 제어부(10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납산배터리(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공통단자(110)와;
상기 공통단자(11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되, 공통단자(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부(도시는 생략함)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충전단자(112)와;
상기 충전단자(112)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충전단자(112)에 전원공급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제1연결감지부(114)와;
상기 제1연결감지부(11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어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제1스위치(116)와;
상기 제1스위치(11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1스위치(1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충전단자(1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스위치(116)의 온(ON) 시 발광하는 충전엘이디(118)와;
상기 충전엘이디(11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되, 공통단자(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부하(도시는 생략함)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방전단자(120)와;
상기 방전단자(120)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방전단자(120)에 부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제2연결감지부(122)와;
상기 제2연결감지부(12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어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제2스위치(124)와;
상기 제2스위치(12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2스위치(1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방전단자(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스위치(124)의 온(ON) 시 발광하는 방전엘이디(126)와;
상기 제1지지다리(104)의 하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기충격파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충격파를 납산배터리(200)의 격리판 통공으로 보내어 통공이 스케일이 부착되지 못하도록 하는 제1전기충격파발생셀(128)과;
상기 제2지지다리(106)의 하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기충격파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충격파를 납산배터리(200)의 격리판 통공으로 보내어 통공이 스케일이 부착되지 못하도록 하는 제2전기충격파발생셀(130)과;
상기 제2전기충격파발생셀(13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납산배터리(200)의 팽창을 감지하는 배터리팽창감지부(132)와;
상기 배터리팽창감지부(13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납산배터리(20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13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납산배터리용 충, 방전시스템(100)은 알람엘이디(136)와 통신부(138)를 더 포함할 수 있는 바,
상기 알람엘이디(136)는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발광하여 사용자에게 납산배터리용 충, 방전시스템(100)의 이상유무를 알려준다.
상기 통신부(138)는 알람엘이디(13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관리서버(도시는 생략함) 또는 사용자스마트폰(도시는 생략함)으로 이상유무신호를 보낸다.
상기와 같이 포함된 본 발명에 따른 납산배터리용 충, 방전시스템(100)의 동작(또는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동작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납산배터리용 충, 방전시스템(100)을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납산배터리(2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충전시
먼저, 상기 제어부(108)는 제1전기충격파발생셀(128)과 제2전기충격파발생셀(130)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제1전기충격파발생셀(128)은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기충격파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충격파를 납산배터리(200)의 격리판 통공으로 보내고, 상기 제2전기충격파발생셀(130)은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기충격파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충격파를 납산배터리(200)의 격리판 통공으로 보낸다. 이때, 상기 전기충격파에 의해 격리판 통공에 스케일이 부착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격리판의 통공에서 전자 이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8)는 제1연결감지부(114)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제1연결감지부(114)는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충전단자(112)에 전원공급부(도시는 생략함)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감지하고 감지된 감지값을 제어부(108)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8)는 기 설정된 감지값과 감지된 감지값을 비교한 후 감지된 감지값이 기 설정된 감지값보다 크면(즉, 충전단자(112)에 전원공급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 제1스위치(116)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제1스위치(116)는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ON) 한다.
상기와 같이 제1스위치(116)가 온(ON) 하면, 충전엘이디(118)가 발광을 하고, 전원공급부가 공통단자(110)를 통해 납산배터리(200)를 충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8)는 배터리팽창감지부(132)와 온도감지부(134)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배터리팽창감지부(132)는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납산배터리(200)의 팽창을 감지한다.
상기 온도감지부(134)는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납산배터리(200)의 온도를 감지한다.
만약, 감지된 감지값이 기 설정된 감지값보다 작으면(즉, 충전단자(112)에 전원공급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 제어부(108)는 알람엘이디(136)와 통신부(138)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알람엘이디(136)는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발광하여 사용자에게 충전단자(112)에 전원공급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라는 신호를 보낸다.
상기 통신부(138)는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스마트폰(도시는 생략함)으로 충전단자(112)에 전원공급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라는 신호를 보낸다.
방전시
먼저, 상기 제어부(108)는 제1전기충격파발생셀(128)과 제2전기충격파발생셀(130)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제1전기충격파발생셀(128)은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기충격파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충격파를 납산배터리(200)의 격리판 통공으로 보내고, 상기 제2전기충격파발생셀(130)은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기충격파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충격파를 납산배터리(200)의 격리판 통공으로 보낸다. 이때, 상기 전기충격파에 의해 격리판 통공에 스케일이 부착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격리판의 통공에서 전자 이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8)는 제2연결감지부(122)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제2연결감지부(122)는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방전단자(120)에 부하(도시는 생략함)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감지하고 감지된 감지값을 제어부(108)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8)는 기 설정된 감지값과 감지된 감지값을 비교한 후 감지된 감지값이 기 설정된 감지값보다 크면(즉, 방전단자(120)에 전원공급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 제2스위치(124)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제2스위치(124)는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ON) 한다.
상기와 같이 제2스위치(124)가 온(ON) 하면, 방전엘이디(126)가 발광을 하고, 납산배터리(200)가 공통단자(110)를 통해 부하로 방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8)는 배터리팽창감지부(132)와 온도감지부(134)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배터리팽창감지부(132)는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납산배터리(200)의 팽창을 감지한다.
상기 온도감지부(134)는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납산배터리(200)의 온도를 감지한다.
만약, 감지된 감지값이 기 설정된 감지값보다 작으면(즉, 방전단자(120)에 부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 제어부(108)는 알람엘이디(136)와 통신부(138)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알람엘이디(136)는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발광하여 사용자에게 방전단자(120)에 부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라는 신호를 보낸다.
상기 통신부(138)는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스마트폰(도시는 생략함)으로 방전단자(120)에 부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라는 신호를 보낸다.
충, 방전시
먼저, 상기 제어부(108)는 제1전기충격파발생셀(128)과 제2전기충격파발생셀(130)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제1전기충격파발생셀(128)은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기충격파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충격파를 납산배터리(200)의 격리판 통공으로 보내고, 상기 제2전기충격파발생셀(130)은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기충격파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충격파를 납산배터리(200)의 격리판 통공으로 보낸다. 이때, 상기 전기충격파에 의해 격리판 통공에 스케일이 부착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격리판의 통공에서 전자 이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8)는 제1연결감지부(114)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제1연결감지부(114)는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충전단자(112)에 전원공급부(도시는 생략함)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감지하고 감지된 감지값을 제어부(108)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8)는 기 설정된 감지값과 감지된 감지값을 비교한 후 감지된 감지값이 기 설정된 감지값보다 크면(즉, 충전단자(112)에 전원공급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 제1스위치(116)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제1스위치(116)는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ON) 한다.
상기와 같이 제1스위치(116)가 온(ON) 하면, 충전엘이디(118)가 발광을 하고, 전원공급부가 공통단자(110)를 통해 납산배터리(200)를 충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8)는 제2연결감지부(122)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제2연결감지부(122)는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방전단자(120)에 부하(도시는 생략함)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감지하고 감지된 감지값을 제어부(108)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8)는 기 설정된 감지값과 감지된 감지값을 비교한 후 감지된 감지값이 기 설정된 감지값보다 크면(즉, 방전단자(120)에 전원공급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 제2스위치(124)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제2스위치(124)는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ON) 한다.
상기와 같이 제2스위치(124)가 온(ON) 하면, 방전엘이디(126)가 발광을 하고, 납산배터리(200)가 공통단자(110)를 통해 부하로 방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8)는 배터리팽창감지부(132)와 온도감지부(134)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배터리팽창감지부(132)는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납산배터리(200)의 팽창을 감지한다.
상기 온도감지부(134)는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납산배터리(200)의 온도를 감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납산배터리의 양극(+)판과 음극(-)판을 분리하는 격리판의 통공에 스케일이 부착되지 않도록 하여 격리판의 통공에서 전자 이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납산배터리의 충전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납산배터리를 장시간 사용하고, 납산배터리에 전원공급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납산배터리에 충전을 함과 동시에 납산배터리에 부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납산배터리를 방전시킨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납산배터리용 충, 방전시스템
102 : 본체 104 : 제1지지다리
106 : 제2지지다리 108 : 제어부
110 : 공통단자 112 : 충전단자
114 : 제1연결감지부 116 : 제1스위치
118 : 충전엘이디 120 : 방전단자
122 : 제2연결감지부 124 : 제2스위치
126 : 방전엘이디 128 : 제1전기충격파발생셀
130 : 제2전기충격파발생셀 132 : 배터리팽창감지부
134 : 온도감지부 136 : 알람엘이디
138 : 통신부

Claims (5)

  1. 본체(102)와;
    상기 본체(102)의 일측에 하방향으로 설치되되, 탄성을 갖는 제1지지다리(104)와;
    상기 제1지지다리(10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1지지다리(104)에 마주보게 본체(102)의 일측에 하방향으로 설치되되, 탄성을 갖는 제2지지다리(106)와;
    상기 제2지지다리(10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어부(108)와;
    상기 제어부(10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납산배터리(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공통단자(110)와;
    상기 공통단자(11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되, 공통단자(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충전단자(112)와;
    상기 충전단자(112)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충전단자(112)에 전원공급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제1연결감지부(114)와;
    상기 제1연결감지부(11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어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제1스위치(116)와;
    상기 제1스위치(11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1스위치(1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충전단자(1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스위치(116)의 온(ON) 시 발광하는 충전엘이디(118)와;
    상기 충전엘이디(11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되, 공통단자(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부하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방전단자(120)와;
    상기 방전단자(120)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방전단자(120)에 부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제2연결감지부(122)와;
    상기 제2연결감지부(12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어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제2스위치(124)와;
    상기 제2스위치(12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2스위치(1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방전단자(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스위치(124)의 온(ON) 시 발광하는 방전엘이디(126)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산배터리용 충, 방전시스템.
  2. 본체(102)와;
    상기 본체(102)의 일측에 하방향으로 설치되되, 탄성을 갖는 제1지지다리(104)와;
    상기 제1지지다리(10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1지지다리(104)에 마주보게 본체(102)의 일측에 하방향으로 설치되되, 탄성을 갖는 제2지지다리(106)와;
    상기 제2지지다리(10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어부(108)와;
    상기 제어부(10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납산배터리(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공통단자(110)와;
    상기 공통단자(11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되, 공통단자(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충전단자(112)와;
    상기 충전단자(112)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충전단자(112)에 전원공급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제1연결감지부(114)와;
    상기 제1연결감지부(11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어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제1스위치(116)와;
    상기 제1스위치(11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1스위치(1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충전단자(1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스위치(116)의 온(ON) 시 발광하는 충전엘이디(118)와;
    상기 충전엘이디(11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되, 공통단자(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부하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방전단자(120)와;
    상기 방전단자(120)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방전단자(120)에 부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제2연결감지부(122)와;
    상기 제2연결감지부(12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어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제2스위치(124)와;
    상기 제2스위치(12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2스위치(1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방전단자(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스위치(124)의 온(ON) 시 발광하는 방전엘이디(126)와;
    상기 제1지지다리(104)의 하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기충격파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충격파를 납산배터리(200)의 격리판 통공으로 보내어 통공이 스케일이 부착되지 못하도록 하는 제1전기충격파발생셀(128)과;
    상기 제2지지다리(106)의 하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기충격파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충격파를 납산배터리(200)의 격리판 통공으로 보내어 통공이 스케일이 부착되지 못하도록 하는 제2전기충격파발생셀(13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산배터리용 충, 방전시스템.
  3. 본체(102)와;
    상기 본체(102)의 일측에 하방향으로 설치되되, 탄성을 갖는 제1지지다리(104)와;
    상기 제1지지다리(10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1지지다리(104)에 마주보게 본체(102)의 일측에 하방향으로 설치되되, 탄성을 갖는 제2지지다리(106)와;
    상기 제2지지다리(10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어부(108)와;
    상기 제어부(10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납산배터리(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공통단자(110)와;
    상기 공통단자(11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되, 공통단자(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충전단자(112)와;
    상기 충전단자(112)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충전단자(112)에 전원공급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제1연결감지부(114)와;
    상기 제1연결감지부(11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어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제1스위치(116)와;
    상기 제1스위치(11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1스위치(1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충전단자(1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스위치(116)의 온(ON) 시 발광하는 충전엘이디(118)와;
    상기 충전엘이디(11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되, 공통단자(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부하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방전단자(120)와;
    상기 방전단자(120)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방전단자(120)에 부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제2연결감지부(122)와;
    상기 제2연결감지부(12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어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제2스위치(124)와;
    상기 제2스위치(12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2스위치(1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방전단자(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스위치(124)의 온(ON) 시 발광하는 방전엘이디(126)와;
    상기 제1지지다리(104)의 하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기충격파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충격파를 납산배터리(200)의 격리판 통공으로 보내어 통공이 스케일이 부착되지 못하도록 하는 제1전기충격파발생셀(128)과;
    상기 제2지지다리(106)의 하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기충격파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충격파를 납산배터리(200)의 격리판 통공으로 보내어 통공이 스케일이 부착되지 못하도록 하는 제2전기충격파발생셀(130)과;
    상기 제2전기충격파발생셀(13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납산배터리(200)의 팽창을 감지하는 배터리팽창감지부(132)와;
    상기 배터리팽창감지부(13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납산배터리(20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134)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산배터리용 충, 방전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230002417A 2023-01-06 2023-01-06 납산배터리용 충, 방전시스템 KR102532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2417A KR102532850B1 (ko) 2023-01-06 2023-01-06 납산배터리용 충, 방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2417A KR102532850B1 (ko) 2023-01-06 2023-01-06 납산배터리용 충, 방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2850B1 true KR102532850B1 (ko) 2023-05-15

Family

ID=86394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2417A KR102532850B1 (ko) 2023-01-06 2023-01-06 납산배터리용 충, 방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285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9374A (ja) * 2002-08-20 2004-03-11 Osurogureen Kk バッテリー再生方法及び再生装置
KR20090119047A (ko) * 2008-05-15 2009-11-19 부영주 납산축전지재생방법 및 그 장치
WO2012133186A1 (ja) * 2011-03-31 2012-10-04 三洋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回路制御部及び充放電システム
JP2016219257A (ja) * 2015-05-20 2016-12-22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KR20180024146A (ko) * 2016-08-29 2018-03-08 주식회사 에코테인아이엔시 납 배터리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복원 방법을 조절하는 납 배터리 복원 장치
KR20210073563A (ko) * 2018-11-13 2021-06-18 선전 카쿠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차량 시동 기능을 구비한 전동 공구 전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9374A (ja) * 2002-08-20 2004-03-11 Osurogureen Kk バッテリー再生方法及び再生装置
KR20090119047A (ko) * 2008-05-15 2009-11-19 부영주 납산축전지재생방법 및 그 장치
WO2012133186A1 (ja) * 2011-03-31 2012-10-04 三洋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回路制御部及び充放電システム
JP2016219257A (ja) * 2015-05-20 2016-12-22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KR20180024146A (ko) * 2016-08-29 2018-03-08 주식회사 에코테인아이엔시 납 배터리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복원 방법을 조절하는 납 배터리 복원 장치
KR20210073563A (ko) * 2018-11-13 2021-06-18 선전 카쿠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차량 시동 기능을 구비한 전동 공구 전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2424B1 (ko) 황산화된 납축전지의 자동복구 장치 및 방법
US81299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battery cell voltage using isolation capacitor
US20130162206A1 (en) Charging unit and electrical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CN103650232A (zh) 具有空气电极保护装置的金属-空气蓄电池
JP2001503238A (ja) ハイブリッド・エネルギ貯蔵システム
AR015260A1 (es) Bateria y metodo para extender la vida util de la misma
KR102258821B1 (ko) 이차 전지 테스트 장치 및 방법
CN105393401A (zh) 检测机构
JPH08233916A (ja) 電池検査方法
KR102532850B1 (ko) 납산배터리용 충, 방전시스템
CN103311593A (zh) 超声蓄电池
US6801017B2 (en) Charger for rechargeable nickel-zinc battery
JP4083579B2 (ja) 電気蓄電池において硫酸化に耐える方法および装置
US2653180A (en) Alkaline storage battery and process for preventing its self-discharge
JP3010563B2 (ja) 少なくとも2つの電気化学電池の放電を最適化するための装置
KR20160115433A (ko) 연축전지의 수명 연장 장치
KR20090119047A (ko) 납산축전지재생방법 및 그 장치
US627009A (en) Leonard paget
KR100950547B1 (ko) 밧데리 충전 방법
CN109428400B (zh) 接触式无线充电方法以及装置
CN112736303B (zh) 一种电池容量恢复装置
JP2012003870A (ja) 蓄電システム
KR20110094642A (ko) 고주파 펄스 배터리 복원기
KR101057886B1 (ko) 납축전지 재생장치
KR20170105673A (ko) 배터리 복원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