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4146A - 납 배터리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복원 방법을 조절하는 납 배터리 복원 장치 - Google Patents

납 배터리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복원 방법을 조절하는 납 배터리 복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4146A
KR20180024146A KR1020160109782A KR20160109782A KR20180024146A KR 20180024146 A KR20180024146 A KR 20180024146A KR 1020160109782 A KR1020160109782 A KR 1020160109782A KR 20160109782 A KR20160109782 A KR 20160109782A KR 20180024146 A KR20180024146 A KR 20180024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ulse
temperature
unit
duty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한권
김영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테인아이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테인아이엔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테인아이엔시
Priority to KR1020160109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4146A/ko
Publication of KR20180024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1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54Reclaiming serviceable parts of waste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6Lead-acid accum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4Recycling of batteries or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 및 방전이 불량한 납 배터리를 복원할 때 납 배터리의 온도 변화에 따라서 복원 방법을 조절하는 납 배터리 복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수명 연장 장치는 배터리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부, 상기 온도 감지부가 감지한 배터리의 주변 온도에 따라 듀티비(duty ratio)가 조절된 제어 펄스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 부터 입력받은 제어 펄스의 듀티비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어 펄스를 증폭하여 출력 펄스를 생성하여 상기 배터리로 출력하는 출력 펄스 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로 인가되는 펄스의 듀티비(duty ratio)를 배터리의 주변 온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동시에 펄스 인가에 의한 배터리의 고유 기능 저하를 동시에 방지할 수있고, 배터리의 수명 주기를 대폭 증가시켜, 폐배터리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납 배터리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복원 방법을 조절하는 납 배터리 복원 장치{LEAD ACID BATTERY DESULFATION DEVICE FOR ADJUSTING DESULFATION METHOD ACCORDING TO TEMPERATURE CHANGE OF LEAD ACID BATTERY}
본 발명은 충전 및 방전이 불량한 납 배터리를 복원할 때 납 배터리의 온도 변화에 따라서 복원 방법을 조절하는 납 배터리 복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등에 사용되는 12v의 납 배터리는 1개 당 2v의 납(Pb) 극판이 6개의불럭으로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납 배터리 내 비중을 1.24 ~ 1.28 사이를 유지함으로써 납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의 성능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종래에 납 배터리의 경우, 충전과 방전을 반복함에 따라서 축전지의 극판(납(Pb))에 황산(SO4)이 결합하여 황산 납(PbSO4)결정체가 되어 충전과 방전의 성능을 나쁘게 하는 설페이션(Sulfation) 현상이 발생한다.
배터리의 성능을 파악하는 방법으로서, 설페이션 현상이 발생하면, 납 배터리 내 전해액의 비중을 측정함으로써 충전 및 방전 성능을 파악할 수 있다. 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SLA(Sealed Lead Acid) 배터리의 특징으로서, 6개의 배터리 중 1개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구멍이 뚫려 있고, 이 구멍을 통해서 보이는 극판의 색이나 상태(겉에 붙어 있는 황산 납의 상태 등)을 통해서 배터리의 성능을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설페이션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복원 작업을 디설페이션(desulfation)이라 하며, 크게 화학적 복원 및 전기적 복원의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된다.
화학적 복원 방법으로서는, 밀폐된 배터리에 구멍을 뚫고 일반적으로 EM 용액으로 알려진 용액을 배터리에 넣거나, 혹은 배터리 내의 황산용액을 새로운 용액으로 교체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전기적 복원 방법으로서는 황산 납이 표면에 고착된 납 극판에 수 ~ 수십kHz의 충격파 펄스(Pulse)를 인가함으로서 납 극 판에 붙어 있는 황산 납을 환원시키는 방법이 있다. 물론, 상기 화학적 복원 방법과 전기적 복원 방법을 동시에 사용할수도 있다.
선행 특허 문헌 1(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013870 (2013년 02월 06월)은 상술한 저주파 패턴 펄스를 통한 전기적 복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폐배터리의 상태를 재생하기 전에 전류값, RC 값, 비중값, CCA 값등을 사전에 파악하여 최적의 저주파 패턴 펄스를 생성하여 복원 성능을 높이는 장치 및 방법이 기재되어있다. 단, 상기 선행 특허 문헌 1의 경우, 저주파 패턴 펄스를 5~ 50Khz라고 기재되어 있을 뿐, 구체적인 펄스 인가 방법 및 펄스 발생 구성이 기재되어 있지 않다.
일반적인 배터리 복원기의 경우에는 도 1에 기재된 스위치 회로(S, 예를 들어, 릴레이스위치 또는 MOSFET 등의 반도체)를 사용하여 온오프 함으로써 전압부(10)에서 배터리로 전압이 공급될 때 펄스 형태의 전압이 공급된다. 물론, 이러한 경우도 배터리의 복원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복원기라 하기보다는 단순한 펄스 충전기라고 말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기존의 경우 납 배터리의 온도에 맞춘 복원 방법을 사용하지 않아 배터리 온도 상승에 따른 비효율성과 배터리의 폭팔 위험이 존재하였다.
도 6과 도 7는 이러한 펄스를 이용한 종래의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은 듀티비(duty ratio)가 1/2인 펄스를 인가하는 방식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듀티비란 한 주기(a+b)중 펄스가 하이 레벨로 상승해 있는 부분의 비율을 말하는 것인데, 도 6의 경우, 듀티비는 a/(a+b)이며, a와 b는 같으므로 듀티비는 1/2이다. 결국 전체 시간 구간의 50%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배터리에 공급하게 되며 이는 배터리의 상태에 따라 너무 과다한 에너지가 될 수 있다. 특히, 배터리의 내부 온도가 높은 상황에서 이러한 과다한 에너지가 공급되는 경우, 배터리의 과열로 그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도 7는 1/2 미만의 일정한 듀티비(duty ratio)를 갖는 펄스를 인가하는 방식이다.
도 7를 참조하면, 주기는 항상 일정하고 듀티비도 일정하다. 그러나 도 2에 개시된 방식도 배터리 주변 온도를 고려하지 않고, 항상 일정하게 에너지를 인가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배터리가 과열되어 배터리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기존의 복원 방법을 개선하여, 새로운 방식의 배터리 복원 장치및 방법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선행 특허 문헌 1 : 공개특허공보 10-2013-0013870 (2013년 02월 06월)
본 발명은 종래의 배터리 복원 장치와 다르게 납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복원하여 충전 및 방전 성능을 회복하고, 종래 배터리 복원 장치 보다 배터리 복원 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에 인가되는 펄스의 듀티비를 배터리의 온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배터리의 고유 기능 저하 및 폭팔의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전압부 및 상기 전압부에서 납 배터리에 대하여 인가하는 전압 및 전류를 온오프하여 제1 펄스를 발생시키는 제1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제1 펄스 발생부, 및 연속 펄스 발생부 및 납 배터리 사이에서 연속펄스 발생부에서 납 배터리에 대하여 인가하는 제2 펄스를 온오프하는 제2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2 펄스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펄스 발생부와 상기 제2펄스 발생부는 병렬로 연결되는 납 배터리 복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 가지 서로 다른 충격파 펄스를 배터리에 가함으로써, 종래에 한 가지 충격파 펄스만을 폐배터리에 가하여 배터리를 복원하는 방법에 비하여 복원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의 온도에 따라 복원 방법을 조절함으로써, 배터리의 고유 기능 저하 및 폭팔의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배터리 복원 장치의 회로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복원 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펄스 생성부 및 제2 펄스 생성부에 의하여 발생되는 제1 펄스 및 제2 펄스를 동일한 시간대에서 비교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 스위치부와 제2 스위치부가 서료 교대하며 온오프됨으로써 발생되는 제1 펄스 및 제2 펄스를 동일한 시간대에서 비교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배터리의 온도 변화에 따른 복원 방법을 변화시킬 수 없는 종래의 배터리 복원 장치의 회로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배터리의 온도 변화에 따른 복원 방법을 변화시키는 배터리 복원 장치의 회로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가 배터리의 주변 온도에 따라 듀티비를 조절하여 생성한 제어 펄스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 복원 장치가 동작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납 배터리 복원 장치의 전반적인 설명에 앞서, 도 2에 기재된 배터리 복원기용 회로를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의 배터리 복원용 회로는 배터리의 기전력을 이용하여 복원행위를 하는 것인 데, 상대적으로 적은 전압(V)을 가지는 펄스 신호를 인덕터(L)에 가하면 인덕터(L)의 전기적 기본 특성으로 인해 인덕터(L)의 양단 전압이 두 배가 되도록 승압(2LV)된다. 이렇게 승압된 펄스를 배터리에 적용하여 배터리를 복원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단, 이러한 방법만으로는 배터리의 기전력이 거의 없는 폐 배터리의 경우 적용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하 상기 도 2의 배터리 복원 장치 및 종래 기술로서 설명한 도 1의 회로를 결합한 본 발명에 따른 납 배터리 복원 장치의 내부 회로를 도 3에서 블록 다이어그램과 회로도로 도시하였다.
도 3을 비롯한 이하 회로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정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실제 제품의 실시에는 필요하지만 본 발명의 설명을 불명확하게 하는 구성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단, 이를 생략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 업자라면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복원 장치는 두 개의 배터리 복원용 충격파 펄스(제1 펄스(P1) 및 제2 펄스(P2))를 납 배터리(300)에 인가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의 좌측에 도시된 제1 펄스 발생부(100)는 전원부(110) 및 제1 스위치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스위치부는 상기 전원부(110)에서 납 배터리(300)에 대하여 인가하는 전력을 온오프한다.
전원부(110)는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부 전원(예를 들어, AC 110 또는 220v)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전원부(110)는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들어오는 전력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전원부는 납 배터리의 일반적인 통상 전압보다 높은 전압으로 상기 직류를 납 배터리에 공급한다.
제1 스위치부(130)는 상기 전원부와 직렬로 연결되고 전원부와 납 배터리 사이에 위치하여 납 배터리에 대하여 인가되는 전력을 온오프(on-off)한다. 이하, 온오프(on-off)란, 선택적으로 전류를 통전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스위치부로 MOSFET과 같은 소자가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소정의 주기(주파수)로 선택적 통전을 납 배터리에 인가할 수 있는 모든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제1 및 제2 스위치부가 온(on)되었다는 것은 전류를 통하게 되도록 하였다는 것을 의미하고, 오프(off)되었다는 것은 전류가 통하지 않도록 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110)에 의하여 공급되는 소정의 전압(v1)을 가지는 직류에 대하여 제1 스위치부(130)는 온오프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제1 펄스(P1)를 납 배터리에 인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펄스(P1)의 크기(v1)는 상기 납 배터리의 전압(Vb)보다 높다.
이와 같이 도 3의 제1 펄스 발생부(100)와 납 배터리(300)만을 놓고 보면, 도 1 및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종래의 배터리 복원기의 구성과 매우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1 펄스 발생부(100)와 병렬로 배치 및 연결되는 제2 펄스 발생부(200)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펄스 발생부(200)는 연속 펄스 발생부(210) 및 제2 스위치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스위치부(230)는 상기 연속 펄스 발생부(210)와 납 배터리 사이에 위치하고 연속 펄스 발생부(210)에서 납 배터리에 대하여 인가하는 제2 펄스(P2)를 발생시킨다.
연속 펄스 발생부(210)의 연속 펄스는, 예를 들어 소신호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MCU(Micro Computer Unit)와 SMPS(Switched Mod Power Supply)를 조합하여 발생시킬 수 있다. 단,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속적인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모든 공지의 기술을 포함한다.
제2 스위치부(230)는 연속 펄스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연속 펄스를 온오프하여 제2 펄스(P2)를 발생시킨다. 주의해야 할 점은, 제2 스위치부(230)는 상술한 제1 스위치부(130)과 유사한 구성이지만, 온오프하는 목적 및 대상이 상이하다는 점이다.
도 4는 제1 스위치부(130) 및 제2 스위치부(230)의 온오프 목적, 대상 및 방법의 차이점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제1 스위치부(130)의 경우, 전원부(110)에서 인가되는 소정의 전압(V1)을 가지는 직류 전류를 일정한 주기(T1)로 온오프함으로써 제1 펄스(P1)를 발생시킨다(도 4의 상단 그래프 참조). 이 때 중요한 것은 제1 펄스(P1)가 주기는 일정하더라도 PWM(Pulse Width Modulation)방법에 의해 발생된 펄스 이기 때문에 듀티 비(Duty Rate ? 전체 주기 중 on 과 off 시간적 점유 비율)는 복원 과정에서 목적 및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제2 스위치부(230)의 경우, 배터리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PWM 연속 펄스 발생기(210)에 의해 발생된 펄스 신호(Ps)로 스위치부(230)을 온오프 시키고 동시에 이 신호(Ps)가 인덕터(250)를 통해 펄스(P2)로 되어 펄스(P2)가 배터리에 인가된다. 이 때 제2 스위치부(230)이 온되어 있는 시간 동안은 배터리에 아무 작용을 하지 않지만, 펄스(P2)가 오프될 때 인덕터(250)의 고유한 전기적 특성으로 인하여 현재 배터리가 가진 두 전압의 두 배 전압을 발생 시켜 배터리에 충격을 주게 되는데 이 때 실질적인 배터리 복원이 이루어 진다.
즉, 제1 스위치부(130)의 온오프 목적은 전원부(110)에 의해 발생한 직류 전력을 온오프 시간 중 온시간 일 때 배터리에 인가하여 충전행위를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2 스위치부(230)의 온오프 목적은 제1 스위치부(130)에 의해 발생된 펄스(P1)의 오프 시간 동안 제2 펄스 발생부(200)(즉, PWM 연속 펄스 발생부(210)에 의해 발생된 펄스(Ps)가 인덕터(250)에 의하여 제2 펄스(P2)가 되어 배터리에 충격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는 제1 스위치부 및 제2 스위치부가 각각 온오프되는 것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제1 스위치부가 온(on)되어 제1 펄스(P1)가 온 되어 배터리에 전력이 인가되는 시간 동안에 제2 스위치부는 전체 오프(off)가 되어 제2 펄스(P2)는 발생되지 않는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위치부(230)가 오프되는 경우, 제2 스위치부 쪽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고, 제1 펄스(P1)는 모두 납 배터리(300) 측에 가해지게 된다. 반대로, 제2 스위치브의 온에 의하여 제2 펄스(P2)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제1 스위치부는 오프가 되어 제2 펄스(P2) 만이 납 배터리(300) 측에 가해지게 된다. 즉, 제1 스위치부와 제2 스위치부는 서로 배타적(Exclucive)하게 서로 교차하여 배터리에 작용한다.
도 5의 상단 그래프는 t1 ~ t8 사이에 4번 제1 스위치부(130)가 소정의 시간 간격 동안만 온이 되고 나머지는 오프되는 것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때, 온이 되어 있는 동안만 배터리에 충전 전력이 가해진다. 도 5의 중단 그래프는 동일한 시간대에서 제1 스위치부가 오프되는 시간 간격 동안 제2 스위치부가 작용하여 그 시간 간격 중에 제2 펄스(P2)가 배터리에 가해지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하단 그래프는 동일한 시간대에서 배터리 측에 작용되는 제1 펄스(P1)와 제2 펄스(P2)를 함께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펄스(P1)의 주기는 제2 펄스(P2)의 주기보다 더 길다. 즉, 제2 펄스(P2)의 주파수가 제1 펄스(P1)의 주파수보다 더 크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듯이, 제1 펄스(P1)의 주파수는 수 KHz ~ 수십 KHz, 특히 1 ~ 50 KHz일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제2 펄스(P2)의 주파수는 10 ~ 90 KHz이다.
이와 같이, 제1 스위치부와 제2 스위치부가 서로 교차하여 온오프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복원 장치는 별도의 제어부를 통해서 상기 두 개의 스위치부가 각각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두 개의 스위치부를 서로 교차되록 제어하는 방법은 공지의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2 펄스 생성부에 사용되는 MCU와 제1 스위치부의 연동를 통해서 이를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도 3에 도시된 회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동작 실시예를 설명한다.
배터리(300)는 설페이션(Sulfation) 현상이 발생되어 본래의 12v의 성능을 다 발휘하지 못하고 약 10v 또는 그 이하의 전압(Vb)을 가진다. 전원부(110)는 AC 220v(실제적으로는 85~265VAC) 의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통상의 배터리보다 높은 전압 약14~16v의 직류 전압(V1)을 발생시킨다. 이 때, 제1 스위치부(130)는 MCU 프로그램에 의해 수 KHz PWM 펄스를 이용하여 온오프되어 제1 펄스(P1)를 생성한다. 한편, 제2 PWM 펄스 생성부(210)는 MUC에 의하여 발생되는 10 kHz의 연속 펄스 신호를 이용하여 제2 펄스(P2)로 만든다.
이 때, 제1 스위치부(130)가 온(on) 상태가 되어 있을 때, 제2 스위치부(230)는 오프(off) 상태가 되어 제2 펄스(P2)는 배터리(300)에 가해지지 않고 제1 펄스(P1)만 배터리에 가해진다. 단, 제1 스위치부(130)가 오프(Off) 상태가 되어 있을 때, 제2 스위치부(230)는 온(on) 상태가 되어 제1 펄스(P1)는 배터리에 가해지지 않고, 제2 펄스(P2) 만이 배터리에 가해지게 된다.
추가적으로, 도 3에서는 제2 스위치부가 온(On) 상태에 있고 제1 스위치부가 오프(off) 상태에 있는 경우, 제2 펄스가 제1 펄스 생성부측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제1 펄스 생성부와 제2 펄스 생성부 사이에 다이오드(150)를 도 3에서와 같이 구비할 수 있다. 하지만 다이오드(150)은 제1 스위치부(130)의 구성 방법에 따라 다이오드(150)의 기능을 포함 할 수가 있어서 반드시 다이오드(150)가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제2 펄스 생성부는 연속 펄스 생성부에서 생성된 연속 펄스를 증폭시키기 위하여 인덕터(250)를 저전압 펄스 생성부와 직렬로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연속 펄스 생성부에서 생성된 연속 펄스의 크기보다 큰 (예를 들어, 2배) 전압 크기(Vp2)를 가지는 제2 펄스가 발생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복원 방법을 조절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배터리의 전해액에 포함된 황(S) 성분이 납(Pb) 성분의 극판에 고착되는 현상을 억제하거나 이미 극판에 고착된 황(S) 성분을 극판으로부터 격리시켜 전해액으로 되돌려 주기 위하여 펄스를 인가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때 배터리 외부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여, 배터리의 내부 온도를 추정하고, 배터리의 주변 온도에 따라 인가되는 펄스의 듀티비(duty ratio)를 조절함으로써, 배터리에 악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극판에 고착되어 있는 황 성분을 극판으로부터 격리시켜 전해액으로 용해시킨다.
배터리의 주변 온도에 따른 펄스의 듀티비 조절은 펄스의 폭과 주기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1) 배터리의 주변 온도가 낮으면, 인가되는 펄스의 폭을 늘리고 주기를 줄여 배터리로 공급되는 에너지 량을 늘리고, 2) 주변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면, 펄스의 폭을 줄이고 주기를 늘려 배터리로 공급되는 에너지 량을 줄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온도가 높을 때 무리하게, 낮은 온도에서와 같은 량의 에너지를 배터리에 공급하면 이에 동반하여 배터리 내부의 온도도 상승하게 되어 배터리에 나쁜 영향을 준다. 또한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배터리의 주변 온도가 85℃가 넘으면 배터리의 내부 온도가 약 50℃에 육박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배터리 수명 연장을 위한 작동을 정지하게 함으로서 과열 등에 의한 배터리에 기능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동시에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수명 연장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수명 연장 장치는 전압 변환부(20), 온도 감지부(30), 제어부(40), 출력 펄스 생성부(50), 전압 감지부(60) 및 반대 극성 연결 방지 표시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도 9의 T1 구간에서 인가되는 제어 펄스를 참조하여, 제어 펄스의 듀티비(duty ratio)를 정의한다.
도 9의 T1 구간을 참조하면, a1은 에너지가 공급되는 하이(high) 레벨의 구간으로서 제어 펄스의 폭이고, b1은 에너지가 공급되지 않는 로우(low) 레벨의 구간이고, a1+b1은 제어 펄스의 주기이며, 제어 펄스의 듀티비는 a1/(a1+b1)이 된다.
전압 변환부(20)는 배터리(10)에 충전된 전압을 후술하는 제어부(40)를 동작시키기 위한 레벨의 전압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온도 감지부(30)는 배터리(10)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온도 감지부(30)는 대기 온도 감지부(32)와 음극 단자 온도 감지부(34)로 구성될 수 있다.
대기 온도 감지부(32)는 자동차의 엔진과 배터리(1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엔진 룸 내부의 대기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음극 단자 온도 감지부(34)는 배터리(10)의 음극 단자에 접촉되거나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배터리(10)의 음극 단자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와 같이, 온도 감지부(30)를 대기 온도 감지부(32)와 음극 단자 온도 감지부(34)로 구성하는 경우, 후술하는 제어부(40)가 음극 단자 온도 감지부(34)가 감지한 배터리(10)의 음극 단자 온도에 따라 제어 펄스의 듀티비(duty ratio)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온도 감지부(30)를 대기 온도 감지부(32)와 음극 단자 온도 감지부(34)로 구성하는 경우, 제어부(40)가 대기 온도 감지부(32)가 감지한 대기 온도와 음극 단자 온도 감지부(30)가 감지한 배터리(10)의 음극 단자 온도를 비교하고, 대기 온도와 음극 단자 온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온도 차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 펄스의 생성을 중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온도 감지부(30)가 감지한 배터리(10)의 주변 온도에 따라 듀티비(duty ratio)가 조절된 제어 펄스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앞서 설명한 바 있지만, 온도 감지부(30)를 대기 온도 감지부(32)와 음극 단자 온도 감지부(34)로 구성하는 경우, 제어 펄스의 듀티비는 음극 단자 온도 감지부(34)가 감지한 배터리(10)의 음극 단자 온도를 기준으로 조절된다.
또한, 제어부(40)에 의한 제어 펄스의 듀티비 조절은 1) 제어 펄스의 폭을 조절하는 경우, 2) 제어 펄스의 주기를 조절하는 경우, 3) 제어 펄스의 폭과 주기를 동시에 조절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40)는 온도 범위에 대응하는 듀티비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를 참조하여, 제어 펄스의 듀티비를 온도 감지부(30)가 감지한 배터리(10)의 주변 온도가 속하는 온도 범위에 대응하는 듀티비로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40)는 1) 배터리(10)의 주변 온도가 높을수록 배터리(10)에 공급되는 에너지 량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제어 펄스의 듀티비를 낮게 조절하고, 2) 배터리(10)의 주변 온도가 낮을수록 배터리(10)에 공급되는 에너지 량을 늘리기 위하여 제어 펄스의 듀티비를 높게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40)는 온도 감지부(30)가 감지한 배터리(10)의 주변 온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온도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 펄스의 생성을 중단하여 배터리(10)로의 에너지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배터리(10)의 과열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온도 감지부(30)를 대기 온도 감지부(32)와 음극 단자 온도감지부(34)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제어부(40)가 음극 단자 온도 감지부(34)가 감지한 배터리(10)의 음극 단자온도를 온도 임계치와 비교하고, 음극 단자 온도가 온도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 펄스의 생성을 중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된 배터리는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열에 항상 노출이 되게 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자체 온도 즉, 배터리의 내부 온도가 약 52℃ 이상이 되면 배터리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전 또는 방전의 행위를 멈추어야 한다. 배터리의 내부 온도를 직접 측정할 수는 없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배터리(10)의 음극 단자 온도가 85℃ 이상이 되면, 배터리(10)의 내부 온도가 약 52℃ 이상인 상태로 추정하여, 제어부(40)에 의한 제어 펄스의 생성을 중단한다.
이러한 제어부(40)에 의한 제어 펄스의 생성 과정의 예를 도 9를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제어부(40)가 배터리의 주변 온도에 따라 듀티비(duty ratio)를 조절하여 생성한 제어 펄스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앞에서도 설명한 바 있지만, 배터리(10)의 주변 온도가 85℃가 되면, 배터리(10)의 내부 온도가 약 52℃ 이상인 상태로 추정하여, 배터리(10)의 차량에 대한 고유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하여, 제어부(40)에 의한 제어 펄스의 생성을 중단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배터리의 주변 온도가 0℃ 이하가 되면, 배터리는 정상 성능의 약 1/3정도 밖에 발휘하지 못하는데, 이는 온도 저하로 인하여 배터리의 내부저항이 커지는 현상에 기인한다.
이를 기초로, 온도 구간을 -30℃ ~ 85℃의 범위에서 단계를 나누어, 예를 들어, 저온 구간, 상온 구간, 고온구간 등의 범위를 지정한다.
도 9에 이들 온도 구간에 대한 예가 개시되어 있다. 도 9의 Toff 구간은 배터리(10)의 과열로 인한 기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차단 구간이며, T1 구간 내지 Tn 구간은 배터리(10)의 주변 온도에 따라 듀티비가 조절된 제어펄스가 제어부(40)에 의해 생성되어 출력되는 구간들이다. 도 9를 통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온도가 높을수록 제어 펄스의 듀티비가 작게 조절되고, 온도가 낮을수록 제어 펄스의 듀티비가 높게 조절된다. 도 9에 개시된 예에서는, 제어 펄스의 듀티비 조절이 제어 펄스의 폭과 주기를 동시에 조절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제어 펄스의 주기는 일정하게 하되 그 폭만을 조절하거나, 제어 펄스의 폭은 일정하게 하되 주기만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제어 펄스의 듀티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본적으로 배터리(10)를 보호해 가면서 배터리(10)의 주변 온도에 적응적으로 배터리(10)에 펄스를 인가하게 되면, 배터리(10)의 고유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황(S) 성분이 납 극판에 고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인가 파형의 주기(an+bn)는 배터리(10)의 주변 온도가 높을수록 커지고, 온도가 낮을수록 작아지지만, 듀티비an/(an+bn)는 온도가 높을수록 작아지고, 온도가 낮을수록 커짐을 알 수있다. 이는 온도가 높을수록 배터리(10)에 에너지를 적게 공급하여, 고온 상태에 있을 경우 배터리(10)에 무리를 주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도 9의 Tn 구간과 Tn-1 구간을 참조하면, Tn 구간과 비교하여 Tn-1 구간에서 제어 펄스의 주기는 커지고 듀티비는 작아진다. 또한 Tn 구간에서는 Tn-1 구간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주기는 더 작아지고 듀티비는 더 커진다.
출력 펄스 생성부(50)는 제어부(40)로부터 입력받은 제어 펄스의 듀티비가 유지되도록 제어 펄스를 증폭하여 출력 펄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출력 펄스를 배터리(10)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배터리(10)에 출력 펄스가 공급되면, 배터리(10)의 극판에 고착되어 있는 황 성분이 극판으로부터 분리되어 전해액으로 용해되기 때문에, 전해액의 적정 농도가 회복되며, 이에 따라, 배터리(10)의 성능이 유지되고, 수명이 연장되게 된다.
전압 감지부(60)는 배터리(10)의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 사이의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전압 감지부(60)가 감지한 배터리(10)의 전압은 제어부(40)로 공급되며, 제어부(40)는 배터리(10)의 전압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전압 임계치와 비교하고, 배터리(10)의 전압이 전압 임계치 미만인 경우, 제어 펄스의 생성을 중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배터리(10)가 자체의 고유 기능을 수행할 수 없을 정도의 저전압 상태에서는, 배터리(10) 수명 연장을 위한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배터리(10)가 고유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된다.
반대 극성 연결 방지 표시부(70)는 배터리 수명 연장 장치가 배터리(10)에 반대 극성으로 연결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반대 극성 연결 상태를 발광 다이오드 등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하에서는 도 10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수명 연장 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의 예를 설명한다. 도 10의 예는 온도 감지부(30)가 대기 온도 감지부(32)와 음극 단자 온도 감지부(34)로 구성된경우이다.
도 10를 참조하면, 먼저 단계 S10에서, 대기 온도 감지부(32)가 자동차의 엔진 룸의 대기 온도를 감지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다음으로 단계 S20에서는, 음극 단자 온도 감지부(34)가 배터리(10)의 음극 단자 온도를 감지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10과 단계 S20의 과정은 동시에 수행되거나 순서를 바꾸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단계 S30에서는, 제어부(40)가 대기 온도와 음극 단자 온도를 비교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30에 서의 비교 결과, 대기 온도와 음극 단자 온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온도 차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단계 S60으로 전환되어 제어부(40)에 의한 제어 펄스의 생성이 중단된다. 또한, 단계 S30에서의 비교 결과, 대기 온도와 음극 단자 온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온도 차이 임계치 이하인 경우, 단계 S70으로 전환된다.
또한 단계 S40에서는, 제어부(40)가 음극 단자 온도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온도 임계치를 비교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40에서의 비교 결과, 음극 단자 온도가 온도 임계치보다 큰 경우, 단계 S60으로 전환되어 제어부(40)에 의한 제어 펄스의 생성이 중단된다. 또한, 단계 S40에서의 비교 결과, 음극 단자 온도가 온도 임계치 이하인 경우, 단계 S70으로 전환된다.
또한 단계 S50에서는, 제어부(40)가 배터리 전압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전압 임계치를 비교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50에서의 비교 결과, 배터리 전압이 전압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단계 S60으로 전환되어 제어부(40)에 의한 제어 펄스의 생성이 중단된다. 또한, 단계 S50에서의 비교 결과, 배터리 전압이 전압 임계치 이상인 경우, 단계 S70으로 전환된다.
이상의 단계 S30 내지 단계 S50의 과정은 동시에 수행되거나 시차를 두고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70에서는, 제어부(40)가 배터리(10)의 음극 단자 온도에 따라 듀티비가 조절된 제어 펄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펄스를 출력 펄스 생성부(50)로 출력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다음으로 단계 S80에서는, 출력 펄스 생성부(50)가 제어부(40)로부터 입력받은 제어 펄스의 듀티비가 유지되도록 제어 펄스를 증폭하여 출력 펄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출력 펄스를 배터리(10)로 출력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로 인가되는 펄스의 듀티비(duty ratio)를 배터리의 주변 온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동시에 펄스 인가에 의한 배터리의 고유 기능 저하를 동시에 방지할 수 있는 온도 적응적인 배터리 수명 연장 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의 수명 주기를 대폭 증가시켜, 폐배터리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온도 적응적인 배터리 수명 연장 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는 특히 자동차 등에 아주 많이 보급되어 활용되는 바 본 발명을 이용하면, 일반적으로 3년 정도인 배터리의 수명을 7~8년 이상 늘릴 수 있어, 개인적 측면에서는 배터리와 관련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국가적 측면에서는 배터리의 구성 요소인 납과 황산이 폐기되어 일으킬 수 있는 환경 오염원 발생의 문제점을 크게 줄일 수 있어, 이른바 “녹색대국” 건설에도 일조할 수가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게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장치에서, 구성들은 일련의 추상적인 형상으로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 업자라면 도면 및 추상적인 명칭으로 설명된 구성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구성 요소가 포함되거나 구성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분 구성이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에서 납 배터리에 대하여 인가하는 직류를 온오프(on-off)하여 제1 펄스를 발생시키는 제1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제1 펄스 발생부; 및
    연속 펄스 발생부, 및 상기 연속 펄스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연속 펄스를 온오프하여 제2 펄스를 발생시키는 제2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제2 펄스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펄스 발생부와 상기 제2 펄스 발생부는 병렬로 연결되는 납 배터리 복원 장치로서,
    배터리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부;
    상기 온도 감지부가 감지한 배터리의 주변 온도에 따라 듀티비(duty ratio)가 조절된 제어 펄스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은 제어 펄스의 듀티비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어 펄스를 증폭하여 출력 펄스를 생성하여 상기 배터리로 출력하는 출력 펄스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 배터리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복원 방법을 조절하는 납 배터리 복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펄스의 폭과 주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듀티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 배터리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복원 방법을 조절하는 납 배터리 복원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온도 범위에 대응하는 듀티비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를 참조하여, 상기 제어 펄스의 듀티비를 상기 온도감지부가 감지한 배터리의 주변 온도가 속하는 온도 범위에 대응하는 듀티비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 배터리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복원 방법을 조절하는 납 배터리 복원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주변 온도가 높을수록 상기 제어 펄스의 듀티비를 낮게 조절하고, 상기 배터리의 주변 온도가 낮을수록 상기 제어 펄스의 듀티비를 높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 배터리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복원 방법을 조절하는 납 배터리 복원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감지부가 감지한 배터리의 주변 온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온도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 펄스의 생성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 배터리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복원 방법을 조절하는 납 배터리 복원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부는
    자동차의 엔진 룸의 대기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대기 온도 감지부와 상기 배터리의 음극 단자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음극 단자 온도 감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 배터리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복원 방법을 조절하는 납 배터리 복원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기 온도와 상기 음극 단자 온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온도 차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 펄스의 생성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 배터리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복원 방법을 조절하는 납 배터리 복원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전압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 펄스의 생성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 배터리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복원 방법을 조절하는 납 배터리 복원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명 연장 장치가 상기 배터리에 반대 극성으로 연결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반대 극성 연결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반대 극성 연결 방지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 배터리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복원 방법을 조절하는 납 배터리 복원 장치.
KR1020160109782A 2016-08-29 2016-08-29 납 배터리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복원 방법을 조절하는 납 배터리 복원 장치 KR201800241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782A KR20180024146A (ko) 2016-08-29 2016-08-29 납 배터리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복원 방법을 조절하는 납 배터리 복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782A KR20180024146A (ko) 2016-08-29 2016-08-29 납 배터리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복원 방법을 조절하는 납 배터리 복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146A true KR20180024146A (ko) 2018-03-08

Family

ID=61725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782A KR20180024146A (ko) 2016-08-29 2016-08-29 납 배터리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복원 방법을 조절하는 납 배터리 복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414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80577A (zh) * 2019-11-05 2021-05-11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电池回路水泵的控制方法、系统、车辆
WO2023054808A1 (ko) * 2021-09-28 2023-04-06 주식회사 인진 배터리 재생 시스템,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배터리 재생 방법
KR102532850B1 (ko) * 2023-01-06 2023-05-15 윤혜련 납산배터리용 충, 방전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80577A (zh) * 2019-11-05 2021-05-11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电池回路水泵的控制方法、系统、车辆
WO2023054808A1 (ko) * 2021-09-28 2023-04-06 주식회사 인진 배터리 재생 시스템,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배터리 재생 방법
KR102532850B1 (ko) * 2023-01-06 2023-05-15 윤혜련 납산배터리용 충, 방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89665B (zh) 发动机启动用的蓄电装置及其控制方法、车辆
JP5322395B2 (ja) 組電池の充電方法
TW201830823A (zh) 控制裝置、平衡校正裝置、蓄電系統及裝置
US11951843B2 (en) Power supply device for vehicle
KR20180024146A (ko) 납 배터리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복원 방법을 조절하는 납 배터리 복원 장치
JP2010178421A (ja) 電力供給装置
GB2441926A (en) DC/DC converter
US11945313B2 (en) Power supply device for vehicle
CN111712988B (zh) 电池组以及其充电控制方法
US11949259B2 (en) Power supply device for vehicle
KR20210065119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배터리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
CN111371143A (zh) 一种充放电系统
US7369391B2 (en) Drive circuit of direct-current voltage-driven magnetic contactor and power converter
JP4761209B2 (ja)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を適用した電力変換装置および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の充電方法
JP4828511B2 (ja) バックアップ電源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4336974A (ja) 電源装置
KR20120068053A (ko) 이차전지 충방전 장치
US11904706B2 (en) Power supply device for vehicle
KR102378696B1 (ko) 이차전지 성능 복원 장치
KR100585426B1 (ko) 축전상태에 따라 펄스전류의 크기를 조절하는 축전지의 수명연장 장치
CN210297249U (zh) 自激振荡双向限流电路
KR101499816B1 (ko) 납축전지 성능 개선형 복합 펄스파워 충전장치
WO2020121935A1 (ja) 電力変換装置及びこの装置を備える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KR20180021641A (ko) 납 배터리 복원 장치
WO2022091630A1 (ja) 車両用電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