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696B1 - 이차전지 성능 복원 장치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성능 복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696B1
KR102378696B1 KR1020200014886A KR20200014886A KR102378696B1 KR 102378696 B1 KR102378696 B1 KR 102378696B1 KR 1020200014886 A KR1020200014886 A KR 1020200014886A KR 20200014886 A KR20200014886 A KR 20200014886A KR 102378696 B1 KR102378696 B1 KR 102378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acid battery
voltage
current voltag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0917A (ko
Inventor
박기택
장형철
서강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인비엔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인비엔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인비엔에프
Priority to KR1020200014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696B1/ko
Publication of KR20210100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9Charging or discharging for charge maintenance, battery initiation or rejuven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6Lead-acid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42Regeneration of electrolyte or react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 성능 복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차전지로 사용되는 납축전지가 외부 부하 또는 충전기에 연동하여 작동하지 않는 휴지상태임을 확인하면 전극판에 붙어 있는 황산납을 제거함으로써 전해질의 비중을 높이기 위하여 납축전지의 현재 전압을 이용하여 납축전지의 현재 전압보다 적어도 1.5배 이상의 고전압을 발생하고 해당 고전압을 펄스폭이 가변 설정된 고주파 펄스신호로 생성하여 납축전지로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라 이차전지로 사용되는 납축전지가 외부 부하 또는 충전기에 연동하여 작동하지 않는 휴지상태에서 납축전지의 현재 전압을 이용하여 납축전지의 현재 전압보다 적어도 1.5배 이상의 고전압을 발생하고 해당 고전압을 펄스폭이 가변 설정된 고주파 펄스신호로 생성하여 납축전지로 공급하면 단위 펄스당 황산납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에너지 양을 충분히 제공함으로써 납축전지의 전극판에 붙어 있는 황산납을 쉽게 제거할 수 있고, 황산납 제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충전성능을 신속하게 복원할 수 있고 납축전지의 수명도 연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차전지 성능 복원 장치{Apparatus for restoring capability of a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이차전지 성능 복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로 사용되는 납축전지는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하는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서, 이산화납을 양극(+), 납을 음극(-)으로 하고 비중이 1.25 정도인 묽은 황산을 전해질로 사용하고, 산업용 축전지 혹은 차량용 축전지로 분류된다.
상기 산업용 축전지는 태양 전지의 전력 저장 시스템, 전자 기기 및 통신 설비의 무정전 전원 장치의 예비 전원용으로 사용되고, 상기 차량용 축전지는 차량이나 모터사이클, 골프카, 선박 및 전기 자동차의 시동용 또는 전력용으로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납축전지는 방전 시 양극과 음극이 모두 황산납이 되어 두 전극의 질량이 점점 증가하고 전해질인 황산의 농도는 점점 묽어지며, 오랜 기간의 충방전 주기를 거치면서 양극과 음극을 구성하는 전극판 표면에 부착된 황산납이 저항이 높은 절연막을 형성하는 황산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황산화 현상은 납축전지의 충방전 주기의 횟수에 비례하여 심하게 발생하고, 특히 전기화학반응의 통로를 차단하여 절연 작동을 하게 되므로 납축전지의 전해질을 보충하여 사용하더라도 납축전지의 수명을 단축하거나 충전성능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이 된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1에는 이차전지로 사용되는 차량용 배터리(예컨대, 납축전지)에 전원이 충전될 때 전극단자에 직류펄스를 공급하고, 이 직류펄스에 의해 전극판에 붙어 있는 황산염을 제거함으로써 깨끗한 극판과 강한 전해질을 유지하게 하여 납축전지의 성능을 개선하는 자동차용 배터리의 성능 유지장치가 게재되어 있다.
특허문헌1에 게재된 종래의 자동차용 배터리의 성능 유지장치는 전극단자에 공급되는 직류펄스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 양이 적어서 황산납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에너지 양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이로 인해 황산납 제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KR 20-0408458 Y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차전지로 사용되는 납축전지가 외부 부하 또는 충전기에 연동하여 작동하지 않는 휴지상태임을 확인하면 전극판에 붙어 있는 황산납을 제거함으로써 전해질의 비중을 높이기 위하여 납축전지의 현재 전압을 이용하여 납축전지의 현재 전압보다 적어도 1.5배 이상의 고전압을 발생하고 해당 고전압을 펄스폭이 가변 설정된 고주파 펄스신호로 생성하여 납축전지로 공급하는 이차전지 성능 복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성능 복원 장치는, 이차전지로 사용되는 납축전지의 현재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기와; 제어기로부터 클럭 구동신호가 입력되면 납축전지의 현재 전압보다 적어도 1.5배 이상의 고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클럭발생기; 상기 클럭신호에 의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단속회로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단자 측에 코일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콜렉터 단자 측과 이미터 단자 측 사이에 콘덴서가 병렬 연결되어 있고, 상기 코일의 전단부에 상기 코일의 유도기전력 발생 시의 역류방지용 다이오드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코일과 콘덴서 사이에 상기 콘덴서 방전 시의 역류방지용 다이오드가 배치되어 있고, 납축전지의 현재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단속회로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동작 시의 상기 코일의 유도기전력 발생과 상기 콘덴서의 충전과 방전에 의해 납축전지의 현재 전압보다 적어도 1.5배 이상의 고전압을 발생하여 납축전지로 공급하는 고전압 발생기; 제어기로부터 펄스폭 가변신호가 입력되면 모스펫(MOSFET)의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고전압 발생기에서 공급되는 상기 고전압을 펄스폭이 가변 설정된 고주파 펄스신호로 생성하여 납축전지로 공급하는 펄스 생성기; 및 상기 전압감지기에 의해 감지되는 납축전지의 현재 전압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직전 저장된 전압과 현재 전압의 차이를 근거하여 납축전지의 현재 전압이 해당 납축전지가 외부 부하 또는 충전기에 연동하여 작동하지 않는 휴지상태임을 확인하고 납축전지의 현재 전압으로 성능 복원을 실시하기 위한 성능복원실시 전압인지를 판정하고, 납축전지의 현재 전압이 상기 성능복원실시 전압으로 판정되면 상기 클럭 구동신호와 상기 펄스폭 가변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클럭발생기와 펄스 생성기를 작동시키는 제어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성능 복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이차전지로 사용되는 납축전지의 현재 전압을 기준으로 자동 설정되는 성능 복원 시간 동안 납축전지로 공급되는 고주파 펄스신호의 펄스폭을 1㎲ 이하, 듀티비는 300:1로 가변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성능 복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이차전지로 사용되는 납축전지의 현재 전압을 기준으로 성능 복원이 실시되는 동안 상기 전압감지기에 의해 감지되는 납축전지의 전압이 미리 정한 과전압 방지전압으로 감지되면 성능 복원 실시를 위한 상기 클럭 구동신호와 상기 펄스폭 가변신호의 출력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이차전지로 사용되는 납축전지가 외부 부하 또는 충전기에 연동하여 작동하지 않는 휴지상태에서 납축전지의 현재 전압을 이용하여 납축전지의 현재 전압보다 적어도 1.5배 이상의 고전압을 발생하고 해당 고전압을 펄스폭이 가변 설정된 고주파 펄스신호로 생성하여 납축전지로 공급하면 단위 펄스당 황산납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에너지 양을 충분히 제공함으로써 납축전지의 전극판에 붙어 있는 황산납을 쉽게 제거할 수 있고, 황산납 제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충전성능을 신속하게 복원할 수 있고 납축전지의 수명도 연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성능 복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실시예.
도 2는 이차전지로 사용되는 납축전지로 공급되는 고주파 펄스신호의 펄스폭과 듀티비를 나타낸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성능 복원 장치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기술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기술분야에 대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성능 복원 장치(100)는 전압감지기(110)와 클럭발생기(120), 고전압 발생기(130), 펄스 생성기(140) 및 제어기(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압감지기(110)는 이차전지로 사용되는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을 감지하며, 전압센서 혹은 전류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럭발생기(120)는 제어기(150)로부터 클럭 구동신호가 입력되면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보다 적어도 1.5배 이상(바람직하게는 1.5배)의 고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클럭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클럭발생기(120)는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을 동작전원으로 입력받고, 예컨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납축전지(200)의 양극 단자 측과 상기 클럭발생기(120)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정전압공급용 제너다이오드(ZD1)를 통해 5V의 정전압 전원을 동작전원으로 공급받는다.
상기 고전압 발생기(130)는 상기 클럭신호에 의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단속회로 트랜지스터(TR)의 콜렉터 단자 측에 코일(L)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콜렉터 단자 측과 이미터 단자 측 사이에 콘덴서(C)가 병렬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고전압 발생기(130)는 상기 코일(L)의 전단부에 상기 코일(L)의 유도기전력 발생 시의 역류방지용 다이오드(D1)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고전압 발생기(130)는 상기 코일(L)과 콘덴서(C) 사이에 상기 콘덴서(C) 방전 시의 역류방지용 다이오드(D2)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고전압 발생기(130)는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을 동작전원으로 입력받고,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단속회로 트랜지스터(TR)의 스위칭 동작 시의 상기 코일(L)의 유도기전력 발생과 상기 콘덴서(C)의 충전과 방전에 의해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보다 적어도 1.5배 이상(바람직하게는 1.5배)의 고전압을 발생하여 납축전지(200)로 공급한다.
상기 고전압 발생기(130)에 있어서 상기 단속회로 트랜지스터(TR)의 스위칭 동작 시의 상기 코일(L)의 유도기전력 발생과 상기 콘덴서(C)의 충전과 방전은 상기 코일(L)의 자기 인덕턴스 값(H; 헨리)과 상기 콘덴서(C)의 용량 값(C; 패럿)의 시상수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펄스 생성기(140)는 제어기(150)로부터 펄스폭 가변신호가 입력되면 모스펫(MOSFET)의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고전압 발생기(130)에서 공급되는 고전압을 펄스폭이 가변 설정된 고주파 펄스신호(예컨대, 3.3Khz)로 생성하여 납축전지(200)로 공급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주파 펄스신호를 납축전지(200)의 양극 단자 측으로 공급한다.
상기 펄스 생성기(140)는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을 동작전원으로 입력받고, 예컨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납축전기(200)의 양극 단자 측과 상기 펄스 생성기(140)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정전압공급용 제너다이오드(ZD2)를 통해 5V의 정전압 전원을 동작전원으로 공급받는다.
상기 제어기(150)는 상기 전압감지기(110)에 의해 감지되는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직전 저장된 전압과 현재 전압의 차이를 근거하여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이 해당 납축전지(200)가 외부 부하 또는 충전기에 연동하여 작동하지 않는 휴지상태임을 확인하고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으로 성능 복원을 실시하기 위한 성능복원실시 전압인지를 판정한다.
상기 제어기(150)는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이 상기 성능복원실시 전압으로 판정되면 상기 클럭 구동신호와 상기 펄스폭 가변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클럭발생기(120)와 펄스 생성기(140)를 작동시킨다.
상기 제어기(150)는 납축전지(200)의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을 기준으로 자동 설정되는 성능 복원 시간 동안 납축전지(200)로 공급되는 고주파 펄스신호(예컨대, 3.3Khz)의 펄스폭을 1㎲ 이하, 듀티비는 300:1로 가변 설정한다.
상기 제어기(150)는 12V 차량용 납축전지에 대하여 전극판에 붙어 있는 황산납을 제거함으로써 전해질의 비중을 높이기 위하여 3.3Khz의 고주파 펄스신호를 공급하는 동안 납축전지의 전극판(예컨대, 양극판)에 물리적 충격을 주지않고 전극판에 붙어 있는 황산납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3.3Khz의 고주파 펄스신호의 펄스폭을 1㎲ 이하, 듀티비는 300:1로 가변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기(150)는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을 기준으로 성능 복원이 실시되는 동안 상기 전압감지기(110)에 의해 감지되는 납축전지(200)의 전압이 미리 정한 과전압 방지전압(예컨대, 성능 복원 실시 전의 전압에 비해 20% 이상의 전압)으로 감지되면 성능 복원 실시를 위한 상기 클럭 구동신호와 상기 펄스폭 가변신호의 출력을 중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성능 복원 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상기 전압감지기(110)는 납축전지(200)가 외부 부하 또는 충전기에 연동하여 작동하든 혹은 작동하지 않든간에 정해진 시간주기로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기(15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어기(150)는 상기 전압감지기(110)에 의해 감지되는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직전 저장된 전압과 현재 전압의 차이를 근거하여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이 해당 납축전지(200)가 외부 부하 또는 충전기에 연동하여 작동하지 않는 휴지상태임을 확인하고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으로 성능 복원을 실시하기 위한 성능복원실시 전압인지를 판정한다.
만약, 상기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이 상기 성능복원실시 전압으로 판정되면, 상기 제어기(150)는 상기 클럭 구동신호와 상기 펄스폭 가변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클럭발생기(120)와 펄스 생성기(140)를 작동시킨다.
이때, 상기 클럭발생기(120)는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을 동작전원으로 입력받고 상기 제어기(150)로부터 입력되는 클럭 구동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보다 적어도 1.5배 이상(바람직하게는 1.5배)의 고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클럭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고전압 발생기(130)로 공급한다.
이어서, 상기 고전압 발생기(130)는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을 동작전원으로 입력받고 상기 클럭발생기(120)로부터 입력되는 클럭 구동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단속회로 트랜지스터(TR)가 스위칭 동작하며, 상기 단속회로 트랜지스터(TR)의 스위칭 동작 시의 상기 코일(L)의 유도기전력 발생과 상기 콘덴서(C)의 충전과 방전에 의해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보다 적어도 1.5배 이상(바람직하게는 1.5배)의 고전압을 발생하여 납축전지(200)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펄스 생성기(140)가 상기 제어기(150)로부터 입력되는 펄스폭 가변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고전압 발생기(130)와 납축전지(200)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모스펫(MOSFET)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모스펫(MOSFET)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고전압 발생기(130)에서 공급되는 고전압이 펄스폭이 가변 설정된 고주파 펄스신호로 생성되어 납축전지(200)로 공급된다.
만약, 상기 납축전지(200)가 12V 차량용 납축전지인 경우, 상기 고전압 발생기(130)에서 공급되는 고전압은 상기 모스펫(MOSFET)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에 의해 3.3Khz의 고주파 펄스신호로 생성되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납축전지(200)의 양극 단자 측으로 공급되며, 이처럼 상기 3.3Khz의 고주파 펄스신호가 12V 차량용 납축전지(200)에 공급되는 동안, 납축전지(200)의 전극판(예컨대, 양근판)에 붙어 있는 황산납을 제거됨으로써 납축전지(200)의 전해질의 비중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기(15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2V 차량용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을 기준으로 자동 설정되는 성능 복원 시간 동안 납축전지(200)로 공급되는 3.3Khz의 고주파 펄스신호(예컨대, 3.3Khz)의 펄스폭을 1㎲ 이하, 듀티비는 300:1로 가변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제어기(150)는 12V 차량용 납축전지(200)에 대하여 해당 납축전지(200)가 충전이 필요한 수준으로 방전된 상태가 아님을 전제할 때, 즉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이 충전이 필요한 수준으로 방전된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대략 9시간으로 상기한 성능 복원 시간을 자동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12V 차량용 납축전지(200)의 전극판(예컨대, 양극판)에 1㎲ 이하의 시간 동안 순간적인 고전압 에너지, 예컨대 납축전지 현재 전압의 1.5배 고전압(V1)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전극판(예컨대, 양극판)에 물리적 충격을 주지않고 전극판에 붙어 있는 황산납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전압 발생기(130)에서 고전압의 충전과 방전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콘덴서(C)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한 3.3Khz의 고주파 펄스신호의 펄스폭을 1㎲ 이하, 듀티비는 300:1로 가변 설정이 가능하고, 상기 콘덴서(C) 사용으로 인해 통상적인 PWM 제어 방식으로 상기와 같이 펄스폭을 1㎲ 이하, 듀티비는 300:1로 설정하기 어려운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납축전지(200)가 외부 부하 또는 충전기에 연동하여 작동하지 않는 휴지상태일 때 상기한 3.3Khz의 고주파 펄스신호가 12V 차량용 납축전지(200)로 공급됨에 따라 납축전지(200)의 전극판(예컨대, 양근판)에 붙어 있는 황산납을 제거되어 해당 납축전지(200)의 성능 복원이 실시된다.
한편, 납축전지(200)의 성능 복원이 실시되는 동안, 상기 클럭발생기(120)와 고전압 발생기(130) 및 펄스 생성기(140)가 모두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을 동작전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납축전지(200)의 전압이 미리 정한 과전압 방지전압(예컨대, 성능 복원 실시 전의 전압에 비해 20% 이상의 전압)이 된 이후부터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성능 복원 장치(100)가 성능 복원 실시를 계속하더라도 납축전지(200)의 충전 성능이 더 이상 개선되지 않는다.
따라서, 만약 상기 전압감지기(110)에 의해 납축전지(200)의 전압이 상기한 과전압 방지전압(예컨대, 성능 복원 실시 전의 전압에 비해 20% 이상의 전압)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기(150)는 해당 납축전지(200)의 성능 복원 실시를 위한 상기 클럭 구동신호와 상기 펄스폭 가변신호의 출력을 중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납축전지(200)가 외부 부하 또는 충전기에 연동하여 작동하지 않는 휴지상태에서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을 이용하여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보다 적어도 1.5배 이상의 고전압을 발생하고 해당 고전압을 펄스폭이 가변 설정된 고주파 펄스신호(예컨대, 3.3Khz)로 생성하여 납축전지(200)로 공급하면 단위 펄스당 황산납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에너지 양을 충분히 제공함으로써 납축전지(200)의 전극판에 붙어 있는 황산납을 쉽게 제거할 수 있고, 황산납 제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충전성능을 신속하게 복원할 수 있고 납축전지(200)의 수명도 연장할 수 있다.
100: 이차전지 성능 복원 장치 110: 전압감지기
120: 클럭발생기 130: 고전압 발생기
140: 펄스 생성기 150: 제어기
200: 납축전지 TR: 단속회로 트랜지스터
L: 코일 C: 콘덴서
D1,D2: 역류방지용 다이오드
ZD1,ZD2: 정전압공급용 제너다이오드
MOSFET: 모스펫

Claims (3)

  1. 이차전지로 사용되는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기(110)와;
    제어기(150)로부터 클럭 구동신호가 입력되면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보다 적어도 1.5배 이상의 고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클럭발생기(120);
    상기 클럭발생기(120)의 클럭신호에 의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단속회로 트랜지스터(TR)의 콜렉터는 상기 납축전지(200)와 코일(L) 및 상기 코일(L)의 유도기전력 발생 시의 역류방지용 다이오드(D1)을 통해 직렬 연결되고, 상기 단속회로 트랜지스터(TR)의 콜렉터는 콘덴서(C) 및 상기 콘덴서(C) 방전 시의 역류방지용 다이오드(D2)를 통해 상기 단속회로 트랜지스터(TR)의 이미터와 직렬 연결되어,
    상기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단속회로 트랜지스터(TR)의 스위칭 동작 시의 상기 코일(L)의 유도기전력 발생과 상기 콘덴서(C)의 충전과 방전에 의해 상기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보다 적어도 1.5배 이상의 고전압을 발생하여 상기 납축전지(200)로 공급하는 고전압 발생기(130);
    상기 제어기(150)로부터 펄스폭 가변신호를 입력받아, 고주파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생성기(140)를 구비하고, 상기 펄스 생성기(140)로 부터의 고주파 펄스신호을 게이트로 입력받아, 상기 고전압 발생기(130)의 상기 역류방지용 다이오드(D2)의 출력을 스위칭하여 펄스폭이 가변 설정된 고주파 펄스를 상기 납축전지(200)로 공급하는 모스펫(MOSFET); 및
    상기 전압감지기(110)에 의해 감지되는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직전 저장된 전압과 현재 전압의 차이를 근거하여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이 해당 납축전지(200)가 외부 부하 또는 충전기에 연동하여 작동하지 않는 휴지상태임을 확인하고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으로 성능 복원을 실시하기 위한 성능복원실시 전압인지를 판정하고,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이 상기 성능복원실시 전압으로 판정되면 상기 클럭 구동신호와 상기 펄스폭 가변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클럭발생기(120)와 펄스 생성기(140)를 작동시키는 제어기(15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성능 복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150)는 이차전지로 사용되는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을 기준으로 자동 설정되는 성능 복원 시간 동안 납축전지(200)로 공급되는 고주파 펄스신호의 펄스폭을 1㎲ 이하, 듀티비는 300:1로 가변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성능 복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150)는 이차전지로 사용되는 납축전지(200)의 현재 전압을 기준으로 성능 복원이 실시되는 동안 상기 전압감지기(110)에 의해 감지되는 납축전지(200)의 전압이 미리 정한 과전압 방지전압으로 감지되면 성능 복원 실시를 위한 상기 클럭 구동신호와 상기 펄스폭 가변신호의 출력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성능 복원 장치.
KR1020200014886A 2020-02-07 2020-02-07 이차전지 성능 복원 장치 KR102378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886A KR102378696B1 (ko) 2020-02-07 2020-02-07 이차전지 성능 복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886A KR102378696B1 (ko) 2020-02-07 2020-02-07 이차전지 성능 복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917A KR20210100917A (ko) 2021-08-18
KR102378696B1 true KR102378696B1 (ko) 2022-03-28

Family

ID=77464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886A KR102378696B1 (ko) 2020-02-07 2020-02-07 이차전지 성능 복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6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69384B (zh) * 2023-04-22 2023-08-18 飞杨电源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铅酸蓄电池的修复电路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881B1 (ko) 2010-05-04 2010-12-30 정은철 배터리 재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763A (ko) * 1999-01-21 2000-02-07 장영진 배터리(납축전지)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수명연장 장치
KR200408458Y1 (ko) 2005-11-14 2006-02-09 (주)한성월드칸 자동차용 배터리의 성능 유지장치
KR20120019779A (ko) * 2010-08-27 2012-03-07 (주)한성월드칸 저전압 배터리의 수명연장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881B1 (ko) 2010-05-04 2010-12-30 정은철 배터리 재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917A (ko)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51843B2 (en) Power supply device for vehicle
US11949259B2 (en) Power supply device for vehicle
KR102378696B1 (ko) 이차전지 성능 복원 장치
CN1307769C (zh) 铅酸蓄电池的充电电路和对铅酸蓄电池组充电的方法
EP3059831A1 (en) Secondary lithium battery for vehicle use
EP4084311A1 (en) Wake-up circuit for charge controller, on-board charger, and new energy vehicle
WO2021124952A1 (ja) 車両用電源装置
KR101499816B1 (ko) 납축전지 성능 개선형 복합 펄스파워 충전장치
CN2450789Y (zh) 铅酸电池维护装置
KR200431726Y1 (ko) 배터리의 내부저항에 의한 재생장치
JP2012130174A (ja) 充電システム
KR200434218Y1 (ko) 보조 충전수단을 갖는 배터리
US20230391201A1 (en) Power supply device for vehicle
US20230382230A1 (en) Power supply device for vehicle
CN220754411U (zh) 一种瞬间失电维持设备短时供电的车载辅助电路
KR200330414Y1 (ko) 배터리 전극 회복장치
KR102601805B1 (ko) 폐 연축전지 성능복원장치를 이용한 폐 연축전지 성능복원 방법
RU2483401C1 (ru) Способ циклирования щелочных аккумуляторных батаре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CN106160040B (zh) 车用二次锂电池
KR200422013Y1 (ko) 저전압 2차전지 내부저항 억제 장치
CN116457975A (zh) 铅蓄电池再生装置
KR20120121934A (ko) 축전지 복원 시스템
KR200409065Y1 (ko) 배터리의 성능 보전 기능을 갖는 충전장치
JP2020182336A (ja) 組電池のメンテナンス装置およびメンテナンス方法
KR20110064839A (ko) 방전가공기의 방전 에너지 회생 전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