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2831B1 - 자분탐상설비 - Google Patents

자분탐상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2831B1
KR102532831B1 KR1020220155078A KR20220155078A KR102532831B1 KR 102532831 B1 KR102532831 B1 KR 102532831B1 KR 1020220155078 A KR1020220155078 A KR 1020220155078A KR 20220155078 A KR20220155078 A KR 20220155078A KR 102532831 B1 KR102532831 B1 KR 102532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try
support
accommodating
contact
wireless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5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영수
Original Assignee
황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영수 filed Critical 황영수
Priority to KR1020220155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28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by investigating stray magnetic fields
    • G01N27/8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by investigating stray magnetic fields by applying magnetic powder or magnetic in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Econom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분탐상설비로서, 프레임과; 일측의 고정단부와 타측의 자유단부를 갖는 막대상의 통전봉;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통전봉의 상기 고정단부를 지지하는 봉지지부; 상기 봉지지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통전봉에 결합되는 홀더; 일단부가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장케이블과;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인장케이블의 타단부를 상기 통전봉의 상기 고정단부로부터 상향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는 케이블장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자분탐상설비는 설치현장에서 사전에 셋업과정과 사후에 관리과정에서, 설치현장으로의 진입을 제한하고 상기 설치현장의 실시간 상황을 감시관리 하기위한 진입관리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진입관리유닛은, 상기 설치현장(P1, P2)으로의 인력과 기기의 진입을 제한하고 상기 설치현장(P1, P2)의 실시간 상황을 감시관리 하기위한 진입관리유닛(100')을 포함하되,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설치 위치에 배치되며 진입제한을 위한 가벽을 이루도록 구비되되,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설치위치의 지면에 배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몸통파츠와, 상기 구동몸통파츠의 상부에 설정높이로 위치되어 진입을 제한하되,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에서 다수로 구비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왕복유동 가능도록 구비되는 진입제한파츠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분탐상설비{Magnetic Particle Inspection Equipment}
본 발명은 자분탐상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자분탐상설비의 운용에 있어 공간효율성 및 작업효율성을 높이도록 하며, 설치와 운용 등의 전반에 있어 모니터링 관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며, 실내와 실외 주변현장에서 안전관리, 보안관리 등이 실시간으로 수행되도록 하며, 설치현장의 통제가 필요한 영역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설정공간으로의 진입제한 통제가 수행되도록 하며, 통제관리 수단이 단수로 혹은 복수로 구비되어 최소화된 수량으로서 해당 장현에 대한 통제 관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자분탐상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 산업기계나 생산부품(이하 "피검사체"라 함)을 파괴하지 않고 피 검사체의 결함유무를 확인하는 데에는 일반적으로 비파괴 검사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비파괴 검사방법의 종류에는 방사선검사법, 초음파 검사법, 육안 검사법, 자분 탐상법 등 다양한 검사방법이 있다.
자분탐상검사는 피 검사체의 표면 또는 표면하에 있는 불연속부를 검출하기 위하여 피 검사체를 자화시키면서 자분을 적용시키면 피 검사체의 결함부위에 자분이 밀집하여 결함의 모양(즉, 누설 자장에 의해 자분이 모이거나 불순물이 붙어서 불연속부의 윤곽이 형성되는 위치, 크기, 형태 및 높이 등)을 육안으로 검사하여 피검사체의 결함을 확인하는 검사법이다. 이러한 자분탐상검사는 결함검출이 용이하고 간단하므로 단조제품, 주조제품, 용접부위, 가공품 등의 모든 산업분야의 제작검사, 가동중 검사 또는 최종 품질관리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자분탐상장치는 피검사물에 자분액을 도포하면서 장치프레임 내로 이동시킨 다음, 피검사물의 이동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긴 막대형상의 통전봉을 피검사물 내로 이동시켜 삽입하고, 통전봉의 양단에 전극을 장착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아울러 피검사물의 적치 및 이동에 필요한 공간과 통전봉의 삽입을 위한 이동 공간 모두가 필요하기 때문에 비교적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였다.
또한 통전봉의 삽입과정과 그 양단에 전극을 착탈하는 과정 등으로 인해 검사 작업의 효율성이 제한되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00243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분탐상설비의 운용에 있어 공간효율성 및 작업효율성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자분탐상설비의 설치와 운용 등의 전반에 있어 모니터링 관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자분탐상설비가 운용되는 실내와 실외 주변현장에서 안전관리, 보안관리 등을 실시간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해당 현장의 실시간 사고발생을 관리하고, 해당장현의 대상물의 간섭, 도난 등을 철저히 관리할 수 있다.
아울러 설치현장의 통제가 필요한 영역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설정공간으로의 진입제한 통제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통제관리 수단이 단수로 혹은 복수로 구비되어 최소화된 수량으로서 해당 장현에 대한 통제 관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자분탐상설비로서, 프레임과; 일측의 고정단부와 타측의 자유단부를 갖는 막대상의 통전봉;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통전봉의 상기 고정단부를 지지하는 봉지지부; 상기 봉지지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통전봉에 결합되는 홀더; 일단부가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장케이블과;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인장케이블의 타단부를 상기 통전봉의 상기 고정단부로부터 상향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는 케이블장착부를 포함하되,
설치현장(P1, P2)에서 사전에 셋업과정과 사후에 관리과정에서, 설치현장(P1, P2)으로의 진입을 제한하고 상기 설치현장(P1, P2)의 실시간 상황을 감시관리 하기위한 진입관리유닛(1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설치 위치에 배치되어 진입제한을 위한 가벽을 이루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설치현장(P1, P2)으로의 인력과 기기의 진입을 제한하고 상기 설치현장(P1, P2)의 실시간 상황을 감시관리하며,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설치위치의 지면에 배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몸통파츠(111')와,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상부에 설정높이로 위치되어 진입을 제한하되,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에서 다수로 구비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왕복유동 가능도록 구비되는 진입제한파츠를 포함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진입제한파츠는,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상기 구동력을 기반으로 슬라이딩방식으로 좌우유동되는 위치변경모듈(112')과,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의 상부에서 설정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되며 무선비행체를 운용하기 위한 운용모듈(1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운용모듈(120')은, 상기 위치변경모듈(112')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체(121')와,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의 상부로 상기 연장체(121')에 의하여 지지되며 회동을 위한 회동구동력을 제공하는 지지몸체(122')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상부 일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1가변지지체(131')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상부 타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2가변지지체(132')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하부 일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3가변지지체(133')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하부 타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4가변지지체(134')를 포함하는 가변지지체와, 상기 제1 가변지지체(131')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1운용체(141')와, 상기 제2가변지지체(132')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2운용체(142')와, 상기 제3 가변지지체(133')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3운용체(143')와, 상기 제4가변지지체(134')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중 기설정된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학 위한 제4운용체(144')를 포함하는 운용체를 포함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제1운용체(141')는, 상기 제1가변지지체(131')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높이를 설정하는 제1상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2운용체(142')는, 상기 제2가변지지체(132')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높이를 설정하는 제2상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3운용체(143')는, 상기 제3가변지지체(133')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위치를 설정하는 제1하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4운용체(144')는 상기 제4가변지지체(134')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위치를 설정하는 제2하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상기 제1상부높이 설정동작과 상기 제1하부높이 설정동작에 따라 상기 제1운용체(141')와 상기 제3운용체(143') 사이에 발생되는 제1간극공간을 일부 메우기 위한 제1간극메움파츠와, 상기 제2상부높이 설정동작과 상기 제2하부높이 설정동작에 따라 상기 제2운용체(142')와 상기 제4운용체(144') 사이에 발생되는 제2간극공간을 일부 메우기 위한 제2간극메움파츠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운용체(141')는, 상기 제1가변지지체(131')에 접하는 제1접촉부(1411')와, 상기 제1접촉부(141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14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촉부(1411')는, 상기 제1수용부(1412')로 제1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1수용부(1412')는 상기 제1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상기 제1전력을 제공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제2운용체(142')는, 상기 제2가변지지체(132')에 접하는 제2접촉부(1421')와, 상기 제2접촉부(142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142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접촉부(1421')는, 상기 제2수용부(1422')로 제2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2수용부(1422')는 상기 제2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상기 제2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3운용체(143')는, 상기 제3가변지지체(133')에 접하는 제3접촉부(1431')와, 상기 제3접촉부(143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3수용부(1432')를 포함하고, 상기 제3접촉부(1431')는, 상기 제3수용부(1432')로 제3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3수용부(1432')는 상기 제3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상기 제3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4운용체(144')는, 상기 제4가변지지체(134')에 접하는 제4접촉부(1441')와, 상기 제4접촉부(144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4 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4수용부(1442')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접촉부(1441')는, 상기 제4 수용부(1442')로 제4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4수용부(1442')는 상기 제4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상기 제4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1간극메움파츠는,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결되는 제1-1일측지지구조체(151')와, 상기 제1-1일측지지구조체(151')에 의하여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상부로 지지되는 제1간극메움구동부(152')와, 상기 제1간극메움구동부(152')에서 제2방향(Y')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2일측지지구조체(153')와, 상기 제1-2일측지지구조체(153')의 단부에 위치되며 상부로 상기 제1접촉부(1411')로 장착되는 제1장착체(156')가 돌출되며, 하부로 상기 제3접촉부(1431')로 장착되는 제3장착체(155')가 돌출되는 제1보조간극메움구동부(154')를 포함하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
본 발명은 자분탐상장치의 운용에 있어 공간효율성 및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자분탐상장치의 설치와 운용 등의 전반에 있어 모니터링 관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자분탐상장치가 운용되는 실내와 실외 주변현장에서 안전관리, 보안관리 등을 실시간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해당 현장의 실시간 사고발생을 관리하고, 해당장현의 대상물의 간섭, 도난 등을 철저히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설치현장의 통제가 필요한 영역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설정공간으로의 진입제한 통제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통제관리 수단이 단수로 혹은 복수로 구비되어 최소화된 수량으로서 해당 장현에 대한 통제 관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분탐상설비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분탐상설비의 피검사물이 유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분탐상설비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분탐상설비의 진입관리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자분탐상설비는 자분탐상장치 및 진입관리유닛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분탐상장치는 피검사물(1)이 들어와 자분탐상이 실시되는 프레임(10)과 피검사물(1) 내로 삽입되는 통전봉(20)을 갖는다.
삭제
파이프 형상의 피검사물(1)은 피검사물(1)은 하부의 지지캐리어(3)에 지지되어 프레임(10)에 설치된 컨베이어(2)를 따라 이송된다. 피검사물(1)이 프레임(10)에 유입되면 자분액분사기(4)가 액상의 매체에 자성분말이 분산되어 있는 자분액을 분사하여 도포한다.
자분액이 도포된 피검사물(1)은 계속하여 컨베이어(2)에 의해 이동되어, 그 내부에 통전봉(20)이 삽입된 상태가 되게 된다. 통전봉이 삽입된 피검사물(1)은 피검사물(1)의 전체 면을 검사할 수 있도록 지지캐리어(3)에 의해 회전된다.
아울러 긴 막대상의 통전봉(20)은 외팔보 형태로 일측의 고정단부(21)만이 프레임(10)의 봉지지부(11)에 고정되어 있어, 자유단부(22) 측으로 피검사물(1)이 자유롭게 유입된다.
봉지지부(11)는 프레임(10)에 고정된 지지판(11b)과 이 지지판(11b)에 지지된 한 쌍의 지지홀더(11a)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지지홀더(11a)는 통전봉(20)의 고정단부(21)를 지지한다.
경우에 따라서 통전봉(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판(11b)과 프레임(10) 사이에 경첩을 개재시킬 수도 있다.
통전봉(20)에는 자유단부(2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복수 개의 결합공이 형성된 홀더(30)가 장착되어 있다.
이 홀더(30)에는 상부 및 하부 인장케이블(40a, 40b)의 일단부가 결합된다.
상부 인장케이블(40a)은 외팔부 형태의 통전봉(20)을 지지하도록 통전봉(20)의 고정단부(21)로부터 상향 이격된 위치의 프레임(10)에 마련된 케이블장착부(12)에 고정된다.
하부 인장케이블(40b)은 통전봉(20) 하부의 지지판(11b)에 지지된다.
케이블 장착부(12)는 상부 인장케이블(40a)의 타단부를 통전봉(20)의 고정단부(21)로부터 상향 이격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케이블장착부(12)는 상부 인장케이블(40a)이 상이한 높이에 장착될 수 있도록 높이가 상이한 복수의 고정부(12a)를 갖는다.
통전봉(20)의 길이가 길수록 통전봉(20)에 결합된 상부 인장케이블(40a)과 통전봉(20) 간의 각도가 낮아진다. 각도가 낮아질 경우 통전봉(20)의 자유단부(22)가 상향 혹은 하향 경사지도록 하는데 필요한 힘이 각도가 높을 때보다 많다. 따라서 물리역학적으로 통전봉(20)의 자유단부(22)를 조절할 때 드는 힘을 줄이기 위해 통전봉(20)의 길이에 따라 통전봉(20)과 상부 인장케이블(40a) 간의 각도를 조절가능하도록 고정부(12a)는 높이가 상이한 복수 개로 이루어져 있다.
경우에 따라서 케이블 장착부(12)의 고정부(12a)는 스크류를 갖는 나사형태로 마련되어 나사를 돌려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부 인장케이블(40a)과 통전봉(20) 간의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기계적 메커니즘에 의해 상기 고정부(12a)는 점진적으로 상하 이동하거나 혹은 슬라이딩 이동할 수도 있다.
상부 인장케이블(40a)은 통전봉(20)의 상부 영역에 한 쌍이 통전봉(20)의 길이방향에 가로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며, 통전봉(20)의 하부에는 하부 인장케이블(40b)이 설치된다.
통전봉(20)의 길이방향에 가로방향으로 상호간격을 두고 상부 인장케이블(40a)을 이격 배치할 경우 하나의 인장케이블을 이용하여 고정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좌우방향으로 통전봉(20)의 요동을 방지한다. 또한 통전봉(20)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인장케이블(40b)은 통전봉(20)의 상하방향 요동을 방지하여 통전봉(20)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인장케이블(40a, 40b)의 타단부 영역에는 인장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턴버클(50)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턴버클(50)은 사용자가 통전봉(20)의 자유단부(22)를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가 통전봉(20)의 자유단부(22)가 상향 경사지도록 턴버클(50)을 회전시켜 상부 및 하부 인장케이블(40a, 40b)의 길이를 비교적 짧게 조절하거나, 턴버클(50)을 이용하여 상부 및 하부 인장케이블(40a, 40b)의 길이를 연장시켜 자유단부(22)가 자중에 의해 하향경사지도록 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인장케이블(40a, 40b)은 자장에 영향을 받지 않는 비자성체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전봉(20)의 고정단부(21)에는 고정단부 전극(61)이, 통전봉(20)의 자유단부(22)에는 자유단부 전극(62)으로 이루어진 전원공급부(60)와 각각 접촉되며, 이들은 통전봉(20)에 전원을 공급하여 통전봉(20)이 자성을 띠도록 한다.
고정단부 전극(61)은 프레임(10)의 밖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통전봉(20)으로 전달되도록 고정결합되어 있다.
자유단부 전극(62) 역시 전원이 통전봉(20)으로 전달되도록 하며 통전봉(20)의 자유단부(22)로 피검사물(1)이 들어오기 때문에 피검사물(1)의 유입경로에 방해되지 않게 자유단부(22)에 접촉 및 이탈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자유단부전극(62)을 통전봉(20)에 접촉하거나 이탈시킬 수 있도록 승강구동부 (70) 및 접촉구동부(80)가 프레임(10)에 설치된다.
승강구동부(70)는 승강구동실린더(71)와 이를 지지하는 승강지지프레임(72)으로 구성되며, 프레임(10)의 천장에 설치되어 있다.
승강지지프레임(72)의 하단부에는 접촉구동실린더(81)와 이를 지지하는 접촉지지프레임(82)으로 구성된 접촉구동부(80)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구동실린더(71)가 구동하게되면 승강지지프레임(72) 및 승강지지프레임(72)에 설치된 접촉구동부(80)는 통전봉(20)과 평행하도록 하강한다.
접촉구동부(80)가 하강하여 통전봉(20)과 평행하게 되면 접촉구동실린더(81)가 통전봉(20)의 축선 방향으로 구동되고, 접촉구동실린더(81)의 단부에 설치된 자유단부전극(62)이 통전봉(20)의 자유단부(22)와 접촉하게 되고 이로 인해 통전봉(20)의 자유단부(22)로 전원이공급된다.
승강구동실린더(71) 및 접촉구동실린더(81)는 에어실린더 혹은 유압실린더가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다른 구동수단이 될 수도 있다. 통전봉(20)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통전봉(20)의 길이방향에 대해 원형자장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서 피검사물(1)에 도포된 형광 자분액의 자분이 피검사물(1)의 결함이 있는 부위에 몰려 자력선의 교란이 생기게 되고 이러한 교란을 프레임(10) 상부에 설치된 복수 개의 자외선등(5)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즉, 자외선등(5)의 자외선쪼임에 의해 피검사물(1) 내부 및 외부에 도포된 자분의 누설된 형상이 형광을 띠도록 맺히게 되고, 이를 통해 피검사물(1)의 결함 부위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 자외선등(5)은 복수 개가 아닌 위치 이동 가능한 단수 개를 적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내용에 기반하여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분탐상장치는 프레임(10); 일측의 고정단부와 타측의 자유단부를 갖는 막대상의 통전봉(20); 프레임(10)에 설치되어 통전봉(20)의 고정단부를 지지하는 봉지지부(11); 봉지지부(11)와 이격된 위치에서 통전봉(20)에 결합되는 홀더(30); 일단부가 홀더(30)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장케이블과; 프레임(10)에 마련되어 인장케이블의 타단부를 통전봉(20)의 고정단부로부터 상향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는 케이블장착부(12)를 포함한다.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자분탐상장치가 위치되는 설치현장에, 사전에 셋업과정과 사후에 관리과정에서, 설치현장으로의 진입을 제한하고 설치현장의 실시간 상황을 감시관리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설치현장(P1, P2)으로의 인력과 기기의 진입을 제한하고 설치현장(P1, P2)의 실시간 상황을 감시관리한다.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설치 위치에 배치되며 진입제한을 위한 가벽을 이루도록 구비된다.
삭제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설치위치의 지면에 배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몸통파츠(111')와, 구동몸통파츠(111')의 상부에 설정높이로 위치되어 진입을 제한하되, 구동몸통파츠(111')에서 다수로 구비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왕복유동 가능도록 구비되는 진입제한파츠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진입제한파츠는, 구동몸통파츠(111')의 구동력을 기반으로 슬라이딩방식으로 좌우유동되는 위치변경모듈(112')과, 위치변경모듈(112')의 상부에서 설정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되며 무선비행체를 운용하기 위한 운용모듈(120')을 포함한다.
상기 운용모듈(120')은, 위치변경모듈(112')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체(121')와, 위치변경모듈(112')의 상부로 연장체(121')에 의하여 지지되며 회동을 위한 회동구동력을 제공하는 지지몸체(122')와, 지지몸체(122')의 상부 일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1 가변지지체(131')와, 지지몸체(122')의 상부 타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2 가변지지체(132')와, 지지몸체(122')의 하부 일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3 가변지지체(133')와, 지지몸체(122')의 하부 타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4 가변지지체(134')를 포함하는 가변지지체를 포함한다.
제1 가변지지체(131')의 단부에 설치되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1운용체(141')와, 제2 가변지지체(132')의 단부에 설치되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2 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2 운용체(142')를 포함한다.
아울러 제3 가변지지체(133')의 단부에 설치되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3 운용체(143')와, 제4가변지지체(134')의 단부에 설치되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4 운용체(144')를 포함하는 운용체를 포함한다.
제1운용체(141')는 제1 가변지지체(131')를 매개로,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높이를 설정하는 제1 상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제2 운용체(142')는 제2 가변지지체(132')를 매개로,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높이를 설정하는 제2상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진다.
제3 운용체(143')는 제3가변지지체(133')를 매개로,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위치를 설정하는 제1하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제4 운용체(144')는 제4가변지지체(134')를 매개로,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위치를 설정하는 제2하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진다
한편 진입관리유닛(100')은, 제1상부높이 설정동작과 제1하부높이 설정동작에 따라 제1운용체(141')와 제3운용체(143') 사이에 발생되는 제1간극공간을 일부 메우기 위한 제1 간극메움파츠와, 제2상부높이 설정동작과 제2하부높이 설정동작에 따라 제2운용체(142')와 제4운용체(144') 사이에 발생되는 제2간극공간을 일부 메우기 위한 제2 간극메움파츠를 더 포함한다.
제1운용체(141')는, 제1가변지지체(131')에 접하는 제1접촉부(1411')와, 제1접촉부(1411')의 상부에 위치되며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1412')를 포함한다.
제1 접촉부(1411')는, 제1수용부(1412')로 제1전력을 제공하며, 제1수용부(1412')는 제1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제1전력을 제공한다.
제2 운용체(142')는, 제2가변지지체(132')에 접하는 제2접촉부(1421')와, 제2접촉부(1421')의 상부에 위치되며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14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접촉부(1421')는, 제2수용부(1422')로 제2전력을 제공하며, 제2수용부(1422')는 제2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제2전력을 제공한다.
제3 운용체(143')는, 제3가변지지체(133')에 접하는 제3접촉부(1431')와, 제3접촉부(1431')의 상부에 위치되며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3수용부(1432')를 포함한다.
아울러 제3 접촉부(1431')는, 제3수용부(1432')로 제3전력을 제공하며, 제3수용부(1432')는 제3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제3전력을 제공한다.
제4 운용체(144')는, 제4가변지지체(134')에 접하는 제4접촉부(1441')와, 제4접촉부(1441')의 상부에 위치되며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4 수용부(1442')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4 접촉부(1441')는, 제4 수용부(1442')로 제4전력을 제공하며, 제4수용부(1442')는 제4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제4 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제4전력을 제공한다.
제1 간극메움파츠는, 구동몸통파츠(111')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결되는 제1-1일측지지구조체(151')와, 제1-1일측지지구조체(151')에 의하여 구동몸통파츠(111')의 상부로 지지되는 제1 간극메움구동부(152')와, 제1 간극메움구동부(152')에서 제2방향(Y')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2일측지지구조체(153')와, 제1-2일측지지구조체(153')의 단부에 위치되며 상부로 제1 접촉부(1411')로 장착되는 제1장착체(156')가 돌출되며, 하부로 제3 접촉부(1431')로 장착되는 제3장착체(155')가 돌출되는 제1보조간극메움구동부(154')를 포함한다.
한편 제1 보조간극메움구동부(154')는, 제1장착체(156')가 제1접촉부(1411')를 통해 제1수용부(1412')에 제1전력을 공급하고, 제3장착체(155')가 제3접촉부(1431')를 통해 제3수용부(1432')에 제3전력을 공급한다.s
여기서 제1 장착체(156')와 제3장착체(155')가 제1접촉부(1411')와 제3접촉부(1431') 상호간을 밀어내는 이격힘을 가하여, 제1접촉부(1411')와 제3접촉부(1431')로부터 지지력이 보강되도록 한다.
제2 간극메움파츠는, 구동몸통파츠(111')의 타측에서 상부로 연결되는 제2-1일측지지구조체(161')와, 제2-1일측지지구조체(161')에 의하여 구동몸통파츠(111')의 상부로 지지되는 제2 간극메움구동부(162')와, 제2간극메움구동부(162')에서 제1방향(X')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2측지지구조체(163')와, 제2-2측지지구조체(163')단부에 위치되며 상부로 제2접촉부(1421')로 장착되는 제2장착체(166')가 돌출되며, 하부로 제4접촉부(1441')로 장착되는 제4장착체(165')가 돌출되는 제2보조간극메움구동부(164')를 포함한다.
아울러 제2보조간극메움구동부(164')는, 제2장착체(166')가 제2접촉부(1421')를 통해 제2접촉부(1421')에 제2전력을 공급하고, 제4장착체(165')가 제4접촉부(1441')를 통해 제4수용부(1442')에 제4전력을 공급하되, 제2장착체(166')와 제4장착체(165')가 제2접촉부(1421')와 제4접촉부(1441') 상호간을 밀어내는 이격힘을 가하여, 제2접촉부(1421')가 제4접촉부(1441')로부터 지지 보강되도록 한다.
제1 접촉부(1411')는, 외관상에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 수납된 수에 관련된 제1-1상태를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1-1출력부(1411a')와, 제1전력의 충전상태에 관한 제1-2상태가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1-2출력부(1411b')를 포함한다.
제2 접촉부(1421')는, 외관상에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 수납된 수에 관련된 제2-1상태를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2-1출력부(1422a')와, 제2전력의 충전상태에 관한 제2-2상태가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2-2출력부(1422b')를 포함한다.
제3 접촉부(1431')는, 외관상에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 수납된 수에 관련된 제3-1상태를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3-1출력부(1431a')와, 제3전력의 충전상태에 관한 제3-2상태가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3-2출력부(1432b')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4 접촉부(1441')는, 외관상에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 수납된 수에 관련된 제4-1상태를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4-1출력부(1441a')와, 제4전력의 충전상태에 관한 제4-2상태가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4-2출력부(1442b')를 포함한다.
진입관리유닛(100')은, 제3접촉부(143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위치변경모듈(112') 상에 구비되는 가변식 제1완충파츠와, 제4접촉부(144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위치변경모듈(112') 상에 구비되는 가변식 제2완충파츠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가변식 제1 완충파츠는, 위치변경모듈(112')에 설치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제1 하부범퍼구동체(171')와, 제1 하부범퍼구동체(171')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팽창되어, 제3 접촉부(1431')의 하부를 받치는 완충재질의 제1하부범퍼접촉체(172')를 포함한다.
제1 하부범퍼접촉체(172')는, 제3 접촉부(1431')가 위치변경모듈(112')측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되어 위치변경모듈(112')측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며, 제3 접촉부(1431')가 제1접촉부(1411')를 지함에 있어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가변식 제2 완충파츠는, 위치변경모듈(112')에 설치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제2 하부범퍼구동체(181')와, 제2 하부범퍼구동체(181')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팽창되어, 제4 접촉부(1441')의 하부를 받치는 완충재질의 제2하부범퍼접촉체(182')를 포함한다.
아울러 제2 하부범퍼접촉체(182')는, 제4 접촉부(1441')가 위치변경모듈(112')측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되어 위치변경모듈(112')측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며, 제4접촉부(1441')가 제2접촉부(1421')를 지함에 있어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진입관리유닛(100')은, 제3 접촉부(143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위치변경모듈(112') 상에 구비되며 가변식 제1 완충파츠에서 제1방향(X')측에 이웃하도록 구비되는 가변식 제1 보조완충파츠와, 제3 접촉부(143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위치변경모듈(112') 상에 구비되며 가변식 제1 완충파츠에서 제1 방향(X')측과 반대인 제2 방향(Y')측에 이웃하도록 구비되는 가변식 제2보조완충파츠를 더 포함한다.
제1 보조완충파츠는, 위치변경모듈(112') 상에 구비되는 유체를 제공하는 제1보조구동체(211')와 제1보조구동체(211')에서 제공되는 유체를 기반으로 상부로 팽창되어, 제3접촉부(1431')의 하부를 받치는 완충재질의 제1하부보조범퍼첩촉체(212')를 포함한다.
아울러 제2 보조완충파츠는, 위치변경모듈(112') 상에 구비되는 유체를 제공하는 제2보조구동체(221')와, 제2보조구동체(221')에서 제공되는 유체를 기반으로 상부로 팽창되어, 제3접촉부(1431')의 하부를 받치는 완충재질의 제2하부보조범퍼접촉체(222')를 포함한다.
제1 보조범퍼접촉체와 제2 하부보조범퍼접촉체(222')는 제1 하부범퍼접촉체(172')가 팽창된 이후에 2차적으로 팽창되어, 제1 하부범퍼접촉체(172')의 제3접촉부(1431')에 대한 지지력을 보조하는 것이다.
한편 가변식 제1 완충파츠는, 제1하부범퍼접촉체(172') 내부에 위치되도록 제1 하부범퍼구동체(171')에서 상부로 출몰되며, 제1 하부멉퍼접촉체의 내부에서 제3접촉체를 지지하도록 하는 내부지지보강체(173')를 더 포함한다.
내부지지보강체(173')는 제1 보조범퍼접촉체와 제2 하부보조범퍼접촉체(222')가 팽창된 이후에 3차적으로 동작되는 것이다. 진입관리유닛(100')은 전면부 혹은 후면부에 설치되는 진입제한 보강유닛에 의하여 진입제한이 보강된다.
진입제한 보강유닛(300')은, 구동몸통파츠(11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파지유닛(310')과, 구동몸통파츠(111')의 타측에 구비되며 진입관리유닛(10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2파지유닛(320')과, 제1파지유닛(310')과 제2파지유닛(320')에 사이에 파지되어 구비되고, 진입관리유닛(100') 전면부 또는 후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되는 마감패널유닛(330')을 포함한다. 마감패널유닛(330')은 진입관리유닛(100')의 전면과 후면간의 진입공간을 차단하도록 설치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설치현장은 관리 보수 등이 이루어지는 제1설치현장(P1)과 제1설치현장(P1) 주변의 제2설치현장(P2)을 포함한다. 제1설치현장(P1)에는 직접적 관리 보수 등이 이루어지고, 제2설치현장(P2)에는 관리 보수 등을 위한 각종 대상물이 적재되어 보관된다.
여기서 제2설치현장(P2)을 둘러싸는 제1진입제한영역(L1') 내지 제4진입제한영역(L4')이 구비된다. 진입관리유닛(100')은 제1진입제한영역(L1') 내지 제4진입제한영역(L4')등 으로 설치 가능하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피검사물
2: 가이드레일
3: 가이드롤러
4: 자분분사기
5: 자외선등
10: 프레임
11: 봉지지부
11a: 지지판
11b: 지지홀더
12: 케이블장착부
12a: 고정부
20: 통전봉

Claims (5)

  1. 삭제
  2. 자분탐상설비로서, 자분탐상장치 및 진입관리유닛(100')을 포함하되,
    상기 자분탐상장치는, 프레임(10); 일측의 고정단부와 타측의 자유단부를 갖는 막대상의 통전봉(20);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어 상기 통전봉(20)의 상기 고정단부를 지지하는 봉지지부(11); 상기 봉지지부(11)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통전봉(20)에 결합되는 홀더(30); 일단부가 상기 홀더(30)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장케이블; 상기 프레임(10)에 마련되어 상기 인장케이블의 타단부를 상기 통전봉(20)의 상기 고정단부로부터 상향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는 케이블장착부(12);를 포함하며,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상기 자분탐상장치가 위치되는 설치현장(P1, P2)에서 상기 설치현장(P1, P2)으로의 진입을 제한하고 상기 설치현장(P1, P2)의 실시간 상황을 감시관리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설치 위치에 배치되어 진입의 제한을 위한 가벽을 이루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설치현장(P1, P2)으로의 인력과 기기의 진입을 제한하고 상기 설치현장(P1, P2)의 실시간 상황을 감시관리하며,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설치위치의 지면에 배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몸통파츠(111')와,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상부에 설정높이로 위치되어 진입을 제한하되,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에서 다수로 구비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왕복유동 가능도록 구비되는 진입제한파츠를 포함하며,
    상기 진입제한파츠는,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상기 구동력을 기반으로 슬라이딩방식으로 좌우유동되는 위치변경모듈(112')과,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의 상부에서 설정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되며 무선비행체를 운용하기 위한 운용모듈(1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운용모듈(120')은, 상기 위치변경모듈(112')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체(121')와,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의 상부로 상기 연장체(121')에 의하여 지지되며 회동을 위한 회동구동력을 제공하는 지지몸체(122')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상부 일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1가변지지체(131')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상부 타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2가변지지체(132')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하부 일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3가변지지체(133')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하부 타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4가변지지체(134')를 포함하는 가변지지체와, 상기 제1 가변지지체(131')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1운용체(141')와, 상기 제2가변지지체(132')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2운용체(142')와, 상기 제3 가변지지체(133')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3운용체(143')와, 상기 제4가변지지체(134')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중 기설정된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4운용체(144')를 포함하는 운용체를 포함하는, 자분탐상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운용체(141')는,
    상기 제1가변지지체(131')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높이를 설정하는 제1상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2운용체(142')는,
    상기 제2가변지지체(132')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높이를 설정하는 제2상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3운용체(143')는,
    상기 제3가변지지체(133')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위치를 설정하는 제1하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4운용체(144')는 상기 제4가변지지체(134')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위치를 설정하는 제2하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지는, 자분탐상설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상기 제1상부높이 설정동작과 상기 제1하부높이 설정동작에 따라 상기 제1운용체(141')와 상기 제3운용체(143') 사이에 발생되는 제1간극공간을 일부 메우기 위한 제1간극메움파츠와,
    상기 제2상부높이 설정동작과 상기 제2하부높이 설정동작에 따라 상기 제2운용체(142')와 상기 제4운용체(144') 사이에 발생되는 제2간극공간을 일부 메우기 위한 제2간극메움파츠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운용체(141')는,
    상기 제1가변지지체(131')에 접하는 제1접촉부(1411')와,
    상기 제1접촉부(141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14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촉부(1411')는,
    상기 제1수용부(1412')로 제1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1수용부(1412')는 상기 제1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상기 제1전력을 제공하는, 자분탐상설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운용체(142')는,
    상기 제2가변지지체(132')에 접하는 제2접촉부(1421')와,
    상기 제2접촉부(142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142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접촉부(1421')는,
    상기 제2수용부(1422')로 제2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2수용부(1422')는 상기 제2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상기 제2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3운용체(143')는,
    상기 제3가변지지체(133')에 접하는 제3접촉부(1431')와,
    상기 제3접촉부(143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3수용부(1432')를 포함하고,
    상기 제3접촉부(1431')는,
    상기 제3수용부(1432')로 제3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3수용부(1432')는 상기 제3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상기 제3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4운용체(144')는,
    상기 제4가변지지체(134')에 접하는 제4접촉부(1441')와, 상기 제4접촉부(144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4 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4수용부(1442')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접촉부(1441')는,
    상기 제4 수용부(1442')로 제4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4수용부(1442')는 상기 제4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상기 제4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1간극메움파츠는,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결되는 제1-1일측지지구조체(151')와,
    상기 제1-1일측지지구조체(151')에 의하여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상부로 지지되는 제1간극메움구동부(152')와,
    상기 제1간극메움구동부(152')에서 제2방향(Y')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2일측지지구조체(153')와,
    상기 제1-2일측지지구조체(153')의 단부에 위치되며 상부로 상기 제1접촉부(1411')로 장착되는 제1장착체(156')가 돌출되며, 하부로 상기 제3접촉부(1431')로 장착되는 제3장착체(155')가 돌출되는 제1보조간극메움구동부(154')를 포함하는, 자분탐상설비.
KR1020220155078A 2022-11-18 2022-11-18 자분탐상설비 KR102532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5078A KR102532831B1 (ko) 2022-11-18 2022-11-18 자분탐상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5078A KR102532831B1 (ko) 2022-11-18 2022-11-18 자분탐상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2831B1 true KR102532831B1 (ko) 2023-05-15

Family

ID=86394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5078A KR102532831B1 (ko) 2022-11-18 2022-11-18 자분탐상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283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5682A (ja) * 1995-11-27 1997-06-06 Kawasaki Steel Corp 磁粉探傷装置
KR101002435B1 (ko) 2010-09-30 2010-12-21 나우기연주식회사 형광 자분 탐상 장치
KR20120131920A (ko) * 2011-05-27 2012-12-0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분 탐상 장치
KR20150064875A (ko) * 2013-12-04 2015-06-12 (주)삼영엠아이텍 자분탐상장치
JP2017009298A (ja) * 2015-06-17 2017-01-12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磁粉探傷検査装置
KR20190002606U (ko) * 2018-04-10 2019-10-1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자분탐상검사용 프로드 자동장비
CN115326918A (zh) * 2022-07-15 2022-11-11 曹龙程 一种磁探伤系统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5682A (ja) * 1995-11-27 1997-06-06 Kawasaki Steel Corp 磁粉探傷装置
KR101002435B1 (ko) 2010-09-30 2010-12-21 나우기연주식회사 형광 자분 탐상 장치
KR20120131920A (ko) * 2011-05-27 2012-12-0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분 탐상 장치
KR20150064875A (ko) * 2013-12-04 2015-06-12 (주)삼영엠아이텍 자분탐상장치
JP2017009298A (ja) * 2015-06-17 2017-01-12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磁粉探傷検査装置
KR20190002606U (ko) * 2018-04-10 2019-10-1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자분탐상검사용 프로드 자동장비
CN115326918A (zh) * 2022-07-15 2022-11-11 曹龙程 一种磁探伤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75376B2 (en) A container inspection device
US9410874B2 (en) Simulated impact-type rock burst experiment apparatus
US4526311A (en) Method for carrying out repair, maintenance or testing apparatus, components and the like in hot cells
CN110774289B (zh) 一种风井巡检机器人
KR102532831B1 (ko) 자분탐상설비
KR20130035431A (ko) 배관탐상로봇
CN108106805A (zh) 一种适用于隧道防护门的冲击荷载试验装置
CN110320019A (zh) 用于抗震支吊架的疲劳测试设备
US20190066554A1 (en) Automatic optic inspection device and inspection system for display panel
KR101862918B1 (ko)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
CN109909972A (zh) 轮距可调的水冷壁检测机器人
KR101568416B1 (ko) 자분탐상장치
CN217517532U (zh) 一种用于建筑工程的地基承载力检测装置
KR101197286B1 (ko) 원자로 상부헤드 내부 제염장치
CN111366327B (zh) 一种轮体耐冲击性能测试装置
CN111044357A (zh) 一种大型结构构件静力加载试验机
CN207440613U (zh) 一种用于环境检测、修复的工程机器人
KR102626389B1 (ko)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및 방법
CN218766760U (zh) 一种fast缆索检测机器人模拟试验装置
CN218016392U (zh) 一种施工升降机顶板的焊接装置
CN221967035U (zh) 用于液压支架的焊缝检修修补装置
CN217552334U (zh) 一种起重机起升系统疲劳对比验证平移装置
KR102259924B1 (ko) 원자로 헤드 검사장치
KR102121444B1 (ko) 사운딩 시물레이션 장치
CN219996965U (zh) 一种铁路机车车辆传动轴专用磁粉探伤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