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2647B1 - 재박리형 폴리에틸렌 보호필름 - Google Patents

재박리형 폴리에틸렌 보호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2647B1
KR102532647B1 KR1020210188710A KR20210188710A KR102532647B1 KR 102532647 B1 KR102532647 B1 KR 102532647B1 KR 1020210188710 A KR1020210188710 A KR 1020210188710A KR 20210188710 A KR20210188710 A KR 20210188710A KR 102532647 B1 KR102532647 B1 KR 102532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rotective film
polyethylene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문
Original Assignee
조영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문 filed Critical 조영문
Priority to KR1020210188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26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6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08F2/24Emulsion polymerisation with the aid of emulsifying agents
    • C08F2/26Emulsion polymerisation with the aid of emulsifying agents anio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6C6-(meth)acrylate, e.g. (cyclo)hexyl (meth)acrylate or phen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계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보호필름으로서, 상기 점착층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30~40 중량부, 비닐아크릴레이트 4~6 중량부, 2-하이드록실에틸메타크릴레이트 1~2 중량부, 아크릴산 1~2 중량부로 이루어진 아크릴 공중합체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놀에테르 1~2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놀에테르 암모니움 설페이트 0.5~1 중량부, 디소듐에톡실레이트 알코올 하프 에스터 설포소닉 엑시드(disodium ethoxylated alcohol half ester of sulfosuccinic acid)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0.5~1 중량부, 포타슘 퍼설페이트 촉매 0.1~0.3 중량부, 및 정제수 50~6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박리형 폴리에틸렌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호필름은 내후성, 내구성, 내열성, 내한성 및 내수성 등의 여러 성능에 있어서 우수하기 때문에 야외용으로 적용가능하다.

Description

재박리형 폴리에틸렌 보호필름{REMOVABLE POLYETHYLENE-BASED PROTECTIVE FILM}
본 발명은 재박리형 폴리에틸렌 보호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도가 높거나 낮은 환경에서 필름 부착 후 상당한 기간이 경과하여도 폴리에틸렌 보호필름을 제거할 때에 잔사가 남지 않는 내수성 및 내한성이 향상된 재박리형 폴리에틸렌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보호필름은 광학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프리즘 시트 등의 부재, 건축자재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합성 수지판, 스테인레스판, 알루미늄판, 화장합판, 강판, 유리판을 포개어 쌓아 보관하거나, 수송하거나, 또는 굽힘 가공이나 프레스 가공 등의 2차 가공 시의 흠집 발생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또한, 가전제품, 정밀기계 및 자동차 차체를 제조공정에서 반송할 때의 흠집 발생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도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보호필름은 양호한 점착성을 갖는 동시에, 사용 후에는 피착체의 표면을 점착제로 오염시키지 않고 쉽게 벗겨낼 수 있어야만 한다.
그러나 보호필름을 피착체에 붙인 후에 시간이 경과하면, 점착력이 상승하여, 박리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보호필름을 붙인 제품이 그의 운송 및 보관 중 등에 있어서 고온에 노출되거나 저온에 노출될 때 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수성 점착제를 적용한 재박리형 폴리에틸렌 보호필름의 경우, 겨울에 급격한 접착력 상승으로 인하여 겨울철이나 추운 지방에서는 제거가 힘들어, 필름의 제거 시에 전사가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겨울철에도 점착력의 상승을 제한하여, 겨울철에도 쉽게 박리할 수 있는 내한성이 향상된 재박리형 폴리에틸렌 보호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습한 상황에서도 보호필름의 점착층의 점착제의 전이가 없는 재박리형 폴리에틸렌 보호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박리 작업성이 뛰어나고, 내수성, 내한성 등의 제특성이 뛰어난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폴리에틸렌계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보호필름으로서, 상기 점착층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30~40 중량부, 비닐아크릴레이트 4~6 중량부, 2-하이드록실에틸메타크릴레이트 1~2 중량부, 아크릴산 1~2 중량부로 이루어진 아크릴 공중합체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놀에테르 1~2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놀에테르 암모니움 설페이트 0.5~1 중량부, 디소듐에톡실레이트 알코올 하프 에스터 설포소닉 엑시드(disodium ethoxylated alcohol half ester of sulfosuccinic acid) 0.5~1 중량부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포타슘 퍼설페이트 촉매 0.1~0.3 중량부, 및 정제수 50~60 중량부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박리형 폴리에틸렌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반응기에 정제수 및 포타슘 퍼설페이트(potassium persulfate)를 투입하여 반응기 내 온도를 75℃ 내지 85℃까지 승온시키는 단계;
승온 후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30~40 중량부, 비닐아크릴레이트 4~6 중량부, 2-하이드록실에틸메타크릴레이트 1~2 중량부, 및 아크릴산 1~2 중량부로 이루어진 아크릴 모노머 혼합물과 정제수, 포타슘 퍼설페이트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놀에테르 1~2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놀에테르 암모니움설페이트 0.5~1 중량부, 디소듐에톡실레이트 알코올 하프 에스터 설포소닉 엑시드 0.5~1 중량부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에 유화시킨 프리에멀젼을 제조하고나서, 반응기의 온도를 75℃ 내지 85℃로 유지하면서 3시간 내지 4시간 동안 균등하게 적하하는 단계;
반응 완료 후 급냉하여 아크릴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을 수득하고나서 기재층에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점착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조성물 제조 시에, 아크릴계 에멀젼 점착제에 pH를 맞추기 위하여 암모니아수를 첨가하거나, 레벨링을 맞추기 위하여 표면조절제를 첨가하거나, 점도 조절을 위하여 증점제를 첨가하거나 또는 부패를 막기 위하여 방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보호필름은, 발암성 물질인 외부가소제, 특히 톨루엔과 같은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면서도, 박리 작업성이 뛰어나고, 또한 내수성, 내한성 등의 제특성이 뛰어나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보호필름은 주로 건물 외부에서 사용되는데, 내수성 및 내한성이 강화되어, 물에 들어갈 경우에 점착력이 급격히 사라져서 폴리에틸렌 보호필름이 박리되는 문제를 해결하였고, 또한 겨울에 점착제가 냉각이 되어 점착력이 급격히 상승하여, 전사가 발생하거나 보호필름을 제거하지 못하고 찢어져 버리는 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폴리에틸렌계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보호필름으로서, 상기 점착층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30~40 중량부, 비닐아크릴레이트 4~6 중량부, 2-하이드록실에틸메타크릴레이트 1~2 중량부, 아크릴산 1~2 중량부로 이루어진 아크릴 공중합체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놀에테르 1~2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놀에테르 암모니움설페이트 0.5~1 중량부, 디소듐에톡실레이트 알코올 하프 에스터 설포소닉 엑시드(disodium ethoxylated alcohol half ester of sulfosuccinic acid) 0.5~1 중량부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포타슘 퍼설페이트 촉매 0.1~0.3 중량부, 및 정제수 50~6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박리형 폴리에틸렌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보호필름의 점착층을 형성하는 아크릴계 점착제는 물을 분산매로 사용하는 수성 아크릴계 에멀젼 점착제이다.
(보호 필름)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은 기재층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층을 코팅함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점착층과 반대쪽의 기재층에 이형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보호필름은 상온에서 3~15 gf/25mm 범위의 점착력을 나타내게 되며, 약 50℃로 가온하고 24 시간경과 후에도 3~15 gf/25mm 범위의 점착력을 나타내어 경시변화에도 안정적인 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보호필름은 보호필름을 적층하여 보관하는 경우에도 점착액의 전이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보호필름은 박리력이 우수하며 점착액 전이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필름은 투명 폴리에틸렌 필름에 블랙이나 화이트색의 안료를 넣어서 유색을 띠게 할 수 있으며, 블랙이나 화이트를 넣어서 유색을 띠는 필름에 추가로 다른 색상을 넣어 필름의 한 면과 다른 면이 색이 다를 수 있다.
(점착층)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점착층은 전술한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두께는 통상 1∼30 ㎛ 정도, 바람직하게는 2∼10 ㎛이다.
아크릴계 중합체는 상기 모노머를 공지의 중합방법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일괄 포함방법, 모노머 적하 방법, 모노머 에멀션 적하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모노머 등을 적하할 경우에는 연속적으로 적하해도 좋고 분할해 적하해도 좋다. 또한 중합 온도는 중합개시제의 종류 등에 따라 적의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5~100℃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유화중합에 있어서 필요 불가결한 성분이지만, 폴리머 입자 계면에 존재하는 계면활성제가 피막 생성 시에 융착 계면에 편재하기 때문에, 성능 면에서 보면 내수성, 내열성 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놀에테르 1~2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놀에테르 암모니움설페이트 0.5~1 중량부, 디소듐에톡실레이트 알코올 하프 에스터 설포소닉 엑시드(disodium ethoxylated alcohol half ester of sulfosuccinic acid) 0.5~1 중량부를 포함하는 반응성 유화제를 계면활성제로 사용한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는 피막 생성 후, 점착층에 편재되지 않기 때문에 점착제 조성물의 내수성 및 내한성을 향상시켜 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의 단점인 내수성 및 내한성, 재박리형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가교반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보호필름의 내수성 및 재박리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점착제 조성물이 3관능 아지리딘 경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서는 촉매가 반응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암모늄 퍼설페이트 (ammonium persulphate), 벤조일 퍼옥시드 (Benzoyl Peroxide),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Azobisisobutyronitrile, AIBN) 및 디-터셔리-부틸퍼옥시드(di-tert-butyl perox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암모늄 퍼설페이트 (ammonium persulphate)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원활한 코팅성을 위하여 우레탄 회합형, 아크릴, 알칼리 팽윤형 증점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의 단점인 코팅성 및 레벨링성의 물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폴리실록산계 및 아크릴계, 실리콘켸의 표면조절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원활한 코팅성을 위하여 pH를 조절하기 위한 암모니아수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는 알칼리성 물질로 중화 처리한 후의 pH가 약 6 이상 또는 약 6 내지 95, 혹은 pH가 약 65 이상 또는 약 65 내지 85가 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중화제는 하나의 예로, 2가 금속의 수산화물, 염화물, 탄산염, 암모니아수, 및 유기 아민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상세하게는 암모니아수, 유기 아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유화 안정제, 산화환원제, 방부제 등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화 안정제는 0.05 내지 1 중량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산화환원제는 0.1 내지 1.0 중량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방부제는 0.05 내지 0.3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어, 광중합개시제, 가교제, 촉매, 소포제, 점착부여제, 가소제, 안료, 염료, 충전제, 노화 방지제, 도전재,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박리 조정제, 연화제, 계면활성제, 난연제,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소포제, 웨팅제 및 증점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점착 부여제는 로진산, 로진 에스테르 수지, 테르펜 수지, 석유계 탄화수소 수지, 쿠마톤-인덴 수지, 페놀-포름알데히드계 수지, 크실렌-포름알데히드계 수지, 테르펜-페놀 수지, 폴리부텐, 알킬페놀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한다.
(기재층)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재층은 폴리에틸렌계 수지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승온시키는 단계는 본 발명에서 폴리에틸렌 필름의 기재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Low Density polyethylene Film),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Film),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High Density Polyethylene Film)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보호필름에서 기재는 폴리에틸렌 필름 이외에 IPP (Inflated Polypropylene Film), OPP (Oriented Polypropylene Film), CPP (Cast Polypropylene Film 미연신 폴리플로필렌), 이축연신 나일론 필름(ON), 미연신 나일론 필름(CN), 폴리에스테르필름(PET), PVDC (Polyvinyliolene chloride 염화 비닐라덴필름), PVC (Polyvinyl chloride 염화 비닐 필름). EVA(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폴리스티렌(PS), 폴리카보네이트 (PC), 폴리아미드 (PA), 폴리에스테르(PET) 필름을 적층구조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는 에틸렌을 주성분으로서 사용하여 얻어진다.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전체 구조단위 100 중량% 중, 에틸렌에 유래하는 구조단위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이다.
본 발명에서의 기재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이하이다. 상기 기재의 두께가 10 ㎛ 이상 및 100 ㎛ 이하면, 보호 필름의 취급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은 투명 폴리에틸렌 필름에 블랙이나 화이트색의 안료를 넣어서 유색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블랙 또는 화이트 필름에 추가로 다른 색상을 넣어 필름의 한 면과 다른 면이 색이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안료로는 유기계 및 무기계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형층)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은 일면에 아크릴계 에멀젼 점착층이 형성되고 타면에 실리콘, 왁스, 불소 등으로 구성되는 이형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형층 표면과 점착층 표면의 박리력을 억제하기 위해 표면 요철을 부여하여, 점착층과의 접촉면적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 필름의 제막방법)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의 제조 시에는 먼저, 기재층을 형성한다.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기재로 하는 필름의 표면을 기재층과 점착층의 부착성능을 높이기 위해 성형되어 나오는 기재층 표면을 코로나 처리하여 기재층을 형성한다.
이어서 표면 처리된 기재층 상에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한 후 열풍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하여 점착층을 형성한다. 이때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은 그라비아코팅법, 리버스 그라비아 코팅법(reverse gravure coating), 리버스롤코팅법, 롤코팅법, 딥코팅법, 콤마코팅법, 그리고 최근에는 마이크로그라비아코팅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기재층의 안정적인 평활면에 따른 도공정밀도와 저점도에서 고점도까지 널리 사용할 수 있는 그라비아코팅법 중 바코팅(bar coating)방식을 적용할 경우 보다 바람직하다. 코팅을 한 후 코팅 표면의 온도가 50~70℃가 되도록 약 95~105℃의 열풍으로 2~5분 정도 건조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상은,
반응기에 정제수 및 포타슘 퍼설페이트를 선행 투입하여 내부 온도를 75℃ 내지 85℃까지 승온시키는 단계;
승온 후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30~40 중량부, 비닐아크릴레이트 4~6 중량부, 2-하이드록실에틸메타크릴레이트 1~2 중량부, 및 아크릴산 1~2 중량부로 이루어진 아크릴 모노머 혼합물과 정제수, 포타슘 퍼설페이트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놀에테르 1~2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놀에테르 암모니움설페이트 0.5~1 중량부, 디소듐에톡실레이트 알코올 하프 에스터 설포소닉 엑시드(disodium ethoxylated alcohol half ester of sulfosuccinic acid) 0.5~1 중량부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에 유화시킨 프리에멀젼을 제조하고나서, 승온한 반응기에 외온 75℃ 내지 85℃를 유지하면서 3시간 내지 4시간 적하하는 단계;
반응 완료 후 급냉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수득하고나서, 수득된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층에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보호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 「부」 및 「%」는 중량 기준이다.
실시예 1
(에멀젼 수성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온도계, 교반기, 적하 깔대기, 질소 도입관 및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3L 용량의 유리 반응기에 물 220g과 계면활성제로 26 중량% 포타슘 퍼설페이트 10g을 넣고 교반하면서 반응기 내부를 질소로 치환한 다음, 질소 분위기 하에서 80℃로 승온시키고 이를 60분 동안 유지하였다.
승온 후 별도의 반응기에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35 중량부, 비닐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 2-하이드록실에틸메타크릴레이트 1 중량부, 및 아크릴산 1 중량부를 투입한 후 30분 동안 혼합한 단량체 혼합물 1000 g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단량체 혼합물에 1.5 중량부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놀에테르, 2 중량부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놀에테르 암모니움설페이트, 0.5 중량부의 디소듐에톡실레이트 알코올 하프 에스터 설포소닉 엑시드(disodium ethoxylated alcohol half ester of sulfosuccinic acid) 및 물 300g으로 이루어진 용액을 투입하고, 교반기로 섞어 프리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상기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에 10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pH를 7~8로 조절하여 폴리에틸렌 보호필름의 점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준비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그라비아 코팅기를 이용하여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에 코팅하여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준비된 점착제 조성물에 3관능 아지리딘을 1.5 중량부 첨가한 후 30분간 균일 배합하여 코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폴리에틸렌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계면활성제로서 반응성 유화제가 아닌 일반 유화제 (Disodium ethoxylated alcohol[C10~C12] half ester of sulfasuccinic acid, sodium dodecyl benzene sulphonate) 를 투입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폴리에틸렌 보호필름을 제조한 후, 그 성능을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비교예 2
계면활성제로서 반응성 유화제가 아닌 일반 유화제 (Disodium ethoxylated alcohol[C10~C12] half ester of sulfasuccinic acid, sodium dodecyl benzene sulphonate) 를 투입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조성물의 제조 후 3관능 아지리딘을 1~2 중량부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폴리에틸렌 보호필름을 제조한 후, 그 성능을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비교예 3
부틸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0 중량부, 2-하이드록실에틸메타크릴레이트 1 중량부, 아크릴산 1 중량부로 이루어진 아크릴 공중합체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놀에테르 1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놀에테르 암모니움설페이트 0.5 중량부, 디소듐에톡실레이트 알코올 하프 에스터 설포소닉 엑시드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포타슘퍼설페이트(potassium persulfate)를 포함하는 0.1~0.3 중량부의 촉매, 및 정제수 50 중량부를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폴리에틸렌 보호필름을 제조한 후, 그 성능을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으로부터 제조된 보호필름의 성능을 하기의 방법으로 시험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초기점착력: 초기 점착력은 KSI 1514:2006 시험법에 따라 피착체로서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단위는 gf/25㎜로 나타냈다.
내한성: 피착제는 SUS304로 하여, 절단한 시료를 피착제에 부착해서 1시간 동안 방치한 후, 건조 오븐기에서 -10℃에서 168시간 동안 방치한 후 바로 상온에서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내수성: 피착제는 SUS304로 하여, 30℃ 항온수조에 72시간 동안 침지 후 피착제에서의 벗겨짐 및 백화정도를 육안으로 검사하였다. 수성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의 경우 물에 들어갔을 경우 점착제 조성물 부분의 백화가 발생하면서 점착력이 사라진다. 백화 정도 및 점착력 소실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아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상: 피착체에서 테이프의 벗겨짐 및 백화가 거의 없다.
중: 피착체에서 약간의 벗겨짐과 백화가 발견되지만, 실용상 문제가 없다.
하: 피착체에서 벗겨짐과 백화가 심하게 나타나 실용상 문제가 있다.
재박리형: 준비된 시료를 SUS304 피착판에 부착하고 80℃ 항온기에 투입한 후 3일후 및 7일 후 점착력 경시 변화를 측정하였다.
내수성 초기점착력 재박리형
(80℃ 3일후)
재박리형
(80℃ 7일후)
내한성
실시예 1 50 gf/25㎜ 65 gf/25㎜ 100 gf/25㎜ 200 gf/25㎜
실시예 2 15 gf/25㎜ 16 gf/25㎜ 18 gf/25㎜ 30 gf/25㎜
비교예 1 65 gf/25㎜ 100 gf/25㎜ 190 gf/25㎜ 1500 gf/25㎜
비교예 2 25 gf/25㎜ 45 gf/25㎜ 62 gf/25㎜ 600 gf/25㎜
비교예 3 30 gf/25㎜ 70 gf/25㎜ 120 gf/25㎜ 450 gf/25㎜
상기 표 1의 결과를 통해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의 경우 비교예 1 내지 3과 비교하여 초기 점착력 대비 내수성 및 내한성, 재박리형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7)

  1. 폴리에틸렌계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보호필름으로서, 상기 점착층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30~40 중량부, 비닐아크릴레이트 4~6 중량부, 2-하이드록실에틸메타크릴레이트 1~2 중량부, 아크릴산 1~2 중량부로 이루어진 아크릴 공중합체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놀에테르 1~2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놀에테르 암모니움 설페이트 0.5~1 중량부, 디소듐에톡실레이트 알코올 하프 에스터 설포소닉 엑시드(disodium ethoxylated alcohol half ester of sulfosuccinic acid) 0.5~1 중량부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포타슘 퍼설페이트 촉매 0.1~0.3 중량부, 및 정제수 50~60 중량부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박리형 폴리에틸렌 보호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계 기재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LDPE),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LLDP)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HD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박리형 폴리에틸렌 보호필름.
  3. 반응기에 정제수 및 포타슘 퍼설페이트를 투입하여 내부 온도를 75℃ 내지 85℃까지 승온시키는 단계;
    승온 후 별도의 반응기에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30~40 중량부, 비닐아크릴레이트 4~6 중량부, 2-하이드록실에틸메타크릴레이트 1~2 중량부, 및 아크릴산 1~2 중량부로 이루어진 아크릴 모노머 혼합물과 정제수, 포타슘 퍼설페이트 촉매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놀에테르 1~2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놀에테르 암모니움설페이트 0.5~1 중량부, 디소듐에톡실레이트 알코올 하프 에스터 설포소닉 엑시드(disodium ethoxylated alcohol half ester of sulfosuccinic acid) 0.5~1 중량부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에 유화시킨 프리에멀젼을 제조하고나서 온도를 75℃ 내지 85℃로 유지하면서 3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적하하는 단계;
    반응 완료 후 급냉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수득하고나서, 수득된 점착제 조성물을 폴리에틸렌계 기재층에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보호필름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이 상기 폴리에틸렌계 기재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Low Density Polyethylene Film),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Film)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High Density Polyethylene Film)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박리형 폴리에틸렌 보호필름의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이 그라비아 코팅, 리버스 그라비아 코팅(reverse gravure coating), 리버스롤코팅, 딥코팅, 마이크로그라비아 코팅, 롤투롤 코팅, 콤마코팅, 슬롯다이코팅, 또는 립다이 코팅에 의해 점착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박리형 폴리에틸렌 보호필름의 제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pH를 맞추기 위하여 암모니아수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박리형 폴리에틸렌 보호필름의 제조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표면조절제, 증점제 및 방부제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박리형 폴리에틸렌 보호필름의 제조방법.
KR1020210188710A 2021-12-27 2021-12-27 재박리형 폴리에틸렌 보호필름 KR102532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710A KR102532647B1 (ko) 2021-12-27 2021-12-27 재박리형 폴리에틸렌 보호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710A KR102532647B1 (ko) 2021-12-27 2021-12-27 재박리형 폴리에틸렌 보호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2647B1 true KR102532647B1 (ko) 2023-05-16

Family

ID=86545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710A KR102532647B1 (ko) 2021-12-27 2021-12-27 재박리형 폴리에틸렌 보호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26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502B1 (ko) * 2023-09-11 2023-12-21 (주)서호 친환경 접착제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701332A (ko) * 1990-02-07 1992-08-11 원본미기재 우수한 저온성능을 갖는 점착성 아크릴 에멀션 압감성 접착제
JP2001131512A (ja) * 1999-11-02 2001-05-15 Nitto Denko Corp 水分散型再剥離用感圧接着剤とその接着シ―ト類
US20050250887A1 (en) * 2004-05-05 2005-11-10 Bin-Yen Yang Emulsion type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KR101675452B1 (ko) * 2015-08-17 2016-11-14 태영화학공업 주식회사 내한성이 우수한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701332A (ko) * 1990-02-07 1992-08-11 원본미기재 우수한 저온성능을 갖는 점착성 아크릴 에멀션 압감성 접착제
JP2001131512A (ja) * 1999-11-02 2001-05-15 Nitto Denko Corp 水分散型再剥離用感圧接着剤とその接着シ―ト類
US20050250887A1 (en) * 2004-05-05 2005-11-10 Bin-Yen Yang Emulsion type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KR101675452B1 (ko) * 2015-08-17 2016-11-14 태영화학공업 주식회사 내한성이 우수한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502B1 (ko) * 2023-09-11 2023-12-21 (주)서호 친환경 접착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54018B (zh) 背光单元
TWI461497B (zh) 黏合劑組合物及利用該黏合劑組合物的光學元件
US8623961B2 (en) Optical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optical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KR102543355B1 (ko) 광학 부재용 점착제층,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부재 및 화상 표시 장치
US20160185083A1 (en) Pressure-sensitive-adhesive-layer-attached polarizing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TWI670348B (zh) 黏著劑組成物、黏著片及光學膜
US20130005911A1 (e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TWI509046B (zh) 光學壓感黏著片材
US20130004769A1 (e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US20130071656A1 (en) Peel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eel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peel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WI461499B (zh) 丙烯酸系壓感性黏著組成物
US20160289516A1 (en) Water-dispersi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optical film,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140102602A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 시트, 광학 부재 및 터치 패널
CN103102847A (zh) 粘合剂组合物和粘合片
TW201335311A (zh) 丙烯酸系壓感黏著帶
KR20170062390A (ko) 점착 시트 및 박리 필름 구비 점착 시트
KR101114638B1 (ko) 감압 접착제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점착 시트 및 점착성 광학 부재
KR102532647B1 (ko) 재박리형 폴리에틸렌 보호필름
KR20140031117A (ko) 점착제 조성물
US20160298005A1 (en) Optically Clear High Refractive Index Adhesives
US20190161651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CN110268288B (zh) 带有光学功能层的光学构件
TWI638024B (zh) Adhesive layer for organic conductive layer, adhesive composition, polarizing film with adhesive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20190161650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O2020122148A1 (ja) 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