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870B1 - 흡수노즐 - Google Patents

흡수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870B1
KR102531870B1 KR1020220040844A KR20220040844A KR102531870B1 KR 102531870 B1 KR102531870 B1 KR 102531870B1 KR 1020220040844 A KR1020220040844 A KR 1020220040844A KR 20220040844 A KR20220040844 A KR 20220040844A KR 102531870 B1 KR102531870 B1 KR 102531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ing
nozzle
check valve
ab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0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효근
Original Assignee
지효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효근 filed Critical 지효근
Priority to KR1020220040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8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8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vacuum, under pressure in a closed receptacle or circuit system
    • B01F35/71801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vacuum, under pressure in a closed receptacle or circuit system using a syphon to create a suction of a compon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for obtaining fine bubbles, i.e. bubbles with a size below 100 µ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50Circulation mixers, e.g. wherein at least part of the mixture is discharged from and reintroduced into a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181Preventing generation of dust or dirt; Sieves;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35/75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 B01F35/7547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using valves, gates, orifices or open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단순하여 생산효율이 증대됨에 따라,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용수가 흡입되는 흡입관의 종단에 구비되어 용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여과처리하고 용수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된 흡수노즐에 있어서; 양단이 관통되며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토출되는 토출구의 사이에 용수가 경유하는 경유공간을 가지는 흡수몸체와; 내부에 용수가 통과하며 상기 경유공간에서 상기 토출구측에 시설되는 역류방지일방향체크밸브와; 상기 경유공간에서 상기 역류방지일방향체크밸브와 연결되면서 시설되며 용수가 관통 경유하면서 이물질이 여과되는 여과망을 구비하는 여과수단;을 포함하는 흡수노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흡수노즐{A absorption nozzle}
본 발명은, 용수가 저장된 용수저장공간에 배치되어 용수를 흡입하여 이동시키도록 된 흡수노즐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나노버블수의 순환경로상에서 용수가 저장된 용수저장공간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여과하면서 청정한 용수를 순환경로로 흡입공급하도록 되어 용수의 사용품질을 향상시키도록 된 흡수노즐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구조적으로 단순하여 생산효율이 증대됨에 따라,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된 흡수노즐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그 부피를 효율적으로 소형화하도록 되어, 사용성이 향상된 흡수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노버블은,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초 미세기포로써, 일반 버블의 1/2,000 크기로 피부의 모공 25㎛ 이하의 미세한 공기 입자이며, 소멸할 때 1) 40KHz의 초음파 발생시키고, 2) 140db의 높은 음압을 발생시키며, 3) 4,000도~6,000도의 순간적인 고열 발생된다.
즉, 일반기포는 물속에서 상승해 표면에서 파열하지만 나노버블은 수중에서 압력에 의해 축소되며 다양한 에너지를 발생시키며 소멸한다.
이러한 나노버블은, 초 극미한 거품으로 물과 공기를 격렬하게 회전시키는 경우 주로 발생한다.
이와 같은 나노버블은 "기체 용해 효과, 자기가압효과, 대전효과" 등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에 의해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근자에 이르러 특히 어업, 농업 분야에서는 각종 양식, 수경재배에 이용되고, 의료 분야에서는 정밀진단에 이용되며, 각종 분야에서 물리치료, 고순도 정수 처리, 환경장치 등에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그 사용분야가 온천욕부터 암진단까지 광범위하며 피부도 재생해주는데다가 살균효과도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나노 버블은 선회액체류식, 스테이트믹서식, 아젝터식, 밴추리식, 가압용해식, 초음파식, 전기분해식, 미세기공필터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생성된다.
이와 같은 다양한 방식의 나노버블발생설비 또는 장치를 통해 나노버블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기체가 혼합된 액체(공급수)를 공급받아 기체를 미세기포로 전환시켜 나노 버블을 생성하게 된다.
아울러 나노버블이 함유된 혼합수는, 별도의 기체용해장치를 경유하여 나노버블의 탈기를 억제하면서 액체의 내부에 기체 용존율을 높이게 된다.
한편, 나노버블용해장치의 하나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7-0106679호(명칭: 기체용해장치/2007.10.23.)가 있으며, 공보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액체공급부와 기체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 결합되는 용해조; 및 상기 용해조의 다른 일 측에 결합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공급부의 단부는, 용해조의 내측벽을 향하도록 구성된 기체용해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9-0098452호(명칭: 나노버블발생장치/2019.08.12.)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이송압력을 가지는 혼합수가 공급되는 공급구와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를 가지며 상기 공급구와 상기 토출구의 사이에 외부에 대하여 밀폐되어 물에 대한 기체의 용해압력을 형성하도록 된 용해공간이 구비된 용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나노버블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해수단은, 상기 공급구의 입구가 외측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구의 출구가 상면에 배치되어 외측에서 혼합수가 공급되는 공급관로가 연결되어 상면으로 토출하도록 되며, 상면에 상기 토출구의 입구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토출구의 출구가 외측면에 배치되어 외측에서 혼합수가 배출되는 배출관로가 연결되어 외측으로 배출된 용해몸체와; 하부가 개방되어 개방된 하부가 상기 용해몸체의 상부에 결속되면서 조립되며 내부에 상기 공급구의 출구를 통해 공급되는 혼합수에 대하여 용해압력을 형성하도록 된 용해공간을 가지는 용해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용해몸체의 상면에서 상기 공급구의 출구에는, 수직상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혼합수가 이송되는 이송관로를 가지어 상기 용해통의 상부면으로 상기 혼합수를 분사하여 충돌압력을 인가하도록 된 분사관이 결속되는 결속관이 구비되는 나노버블발생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근자에, 실생할에서 식수와 생활용수로 사용되는 물의 수질은 믿을 수 없는 수준에 이르렀다.
즉, 물 내에 각종 질병을 유발하는 세균이 서식하고 있으므로 그 세균을 죽이기 위하여 심한 염소 소독 등을 진행하게 되어서 정수된 수돗물에서 심한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를 지닌다.
또한, 양식장에서 밀식양식으로 인해 과다한 항생제를 투여하고, 축산 역시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해 원수에 과다한 항생제를 투여하고 있다. 이같이 원수에 항생제를 과다 투여하는 것은 소비자의 건강을 저해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용수가 저장된 용수공간에 대하여 나노버블을 발생시켜 순환시켜 용수에 대한 살균처리하도록 된 다양한 시설들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용수를 순환시키면서 버블화하도록 된 장치 및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그 중 하나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4-0146442호(명칭: 순환식 기·액체 혼합장치/2014.10.27.)가 있으며, 공보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내부에 원수가 수용되는 용수탱크와, 용수탱크에 설치되어 원수를 펌핑하여 공급하는 원수공급부와, 원수공급부에 연결되어 원수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원수에 오존을 혼합하는 제1혼합부와, 원수공급부 및 제1혼합부에 연결되어 원수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원수와 제1혼합부를 통해 오존이 혼합된 원수를 상호 혼합하는 제2혼합부와, 제2혼합부에 연결되어 제2혼합부에 의해 혼합된 원수를 용수탱크로 주입하는 회수부를 구비한 혼합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상기 용수탱크에서 용수를 흡입하여 순환경로로 공급하도록 상기 용수탱크에 흡수구가 배치되면서 구비되는 흡수관에는, 용수의 역류하여 상기 순환경로에서 상기 용수탱크로 역회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역류방지일방향체크밸브가 구비된 것이 있다.
즉, 상기 흡수구의 종단에 상기 역류방지일방향체크밸브가 결속하여 용수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흡수구의 종단에, 상기 용수탱크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상기 흡수구를 통해 상기 순환경로로 유입되어 용수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여과장치가 구비된 것이 있다.
즉, 상기 여과장치를 통해 용수를 여과처리하여 이물질이 상기 흡수구로 흡입되는 용수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7-0106679호(2007.10.23.)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9-0098452호(2019.08.12.)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4-0146442호(2014.10.27.)
그러나, 상기와 같이 용수를 흡수하도록 된 흡수관에 각각의 상기 여과장치 및 역류방지체크밸브가 각각 시설됨에 따라,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특히 점유면적이 크게 됨에 따라, 사용성 및 사용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게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수가 저장된 용수저장공간에 배치되어 용수를 흡입하여 이동시키도록 된 것으로, 나노버블수의 순환경로상에서 용수가 저장된 용수저장공간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여과하면서 청정한 용수를 순환경로로 흡입공급하도록 되어 용수의 사용품질을 향상시키도록 됨은 물론, 구조적으로 단순하여 생산효율이 증대됨에 따라,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특히, 점유면적을 줄이어 그 부피를 효율적으로 소형화하도록 되어, 사용성이 향상된 흡수노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흡수노즐은, 용수가 흡입되는 흡입관의 종단에 구비되어 용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여과처리하고 용수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된 흡수노즐에 있어서; 양단이 관통되며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토출되는 토출구의 사이에 용수가 경유하는 경유공간을 가지는 흡수몸체와; 내부에 용수가 통과하며 상기 경유공간에서 상기 토출구측에 시설되는 역류방지일방향체크밸브와; 상기 경유공간에서 상기 역류방지일방향체크밸브와 연결되면서 시설되며 용수가 관통 경유하면서 이물질이 여과되는 여과망을 구비하는 여과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흡수노즐은, 용수가 저장된 용수저장공간에 배치된 흡수관의 종단(흡수구)에 결속되어 용수를 흡입하도록 되며; 용수저장공간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여과수단을 통해 여과처리하여 청정한 용수를 흡입공급함은 물론, 역류방지일방향체크밸브를 통해 용수가 용수저장탱크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단일의 흡수몸체에 역류방지일방향체크밸브 및 여과수단을 각각 연결되게 구비하도록 됨에 따라, 구조적으로 단순하여 생산효율이 증대되어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그 점유면적과 부피 및 부속품들을 간단 소형화하게 될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흡수노즐을 보인 개략 분리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흡수노즐을 보인 개략 결합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흡수노즐을 구성하는 여과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흡수노즐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흡수노즐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흡수노즐(1)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흡수노즐(1)은, 용수저장공간(W)에 배치되어 저장된 용수를 흡입하도록 된 흡입관(10)의 종단에 결합되어 용수를 흡입하는 것에 적합하게 적용된다.
즉, 용수를 흡수하여 상기 흡입관(10)으로 공급하도록 된 것으로, 이때, 흡수되는 용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여과처리하고, 흡수된 용수가 역류하여 상기 용수저장공간(W)으로 역회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는 것에 적합하게 적용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흡수노즐(1)은, 양단이 관통되며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1)와 토출되는 토출구(22)의 사이에 용수가 경유하는 경유공간(A)을 가지는 흡수몸체(2);를 가진다.
즉, 상기 흡수몸체(2)가 상기 용수저장공간(W)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흡입관(10)의 종단에 결속되며; 이때, 상기 토출구(22)가 상기 흡입관(10)의 종단에 관접속되면서 결합되어, 상기 유입구(21)를 통해 상기 용수저장공간(W)에 저장된 용수가 흡수된 후, 상기 흡수몸체(2)의 경유공간(A)을 경유하면서 상기 토출구(22)를 통해 상기 흡입관(10)으로 토출되면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흡수노즐(1)은, 내부에 용수가 통과하며 상기 경유공간(A)에서 상기 토출구(22)측에 시설되는 역류방지일방향체크밸브(3);를 가진다.
즉, 상기 유입구(21)를 통해 상기 용수저장공간(W)에 저장된 용수가 흡수된 후, 상기 흡수몸체(2)의 경유공간(A)을 경유하면서 용수의 이동압에 의해 개방되는 상기 역류방지일방향체크밸브(3)를 통과하고, 공간적으로 연결된 상기 토출구(22)를 통해 상기 흡입관(10)으로 토출되면서 공급된다.
이때, 상기 흡입관(10)에서의 용수의 흡입작업이 중단되어 용수에 대한 흡입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역류방지일방향체크밸브(3)가 폐쇄되면서 용수가 상기 용수저장공간(W))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용수의 흡입작업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에서 역류방지일방향체크밸브(3)의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흡수노즐(1)은, 상기 흡수몸체(2)의 상기 경유공간(A)에서 상기 역류방지일방향체크밸브(3)와 연결되면서 시설되며 용수가 관통 경유하면서 이물질이 여과되는 여과망(41)을 구비하는 여과수단(4);을 포함한다.
즉, 상기 용수저장공간(W)에 저장된 용수가 상기 흡수몸체(2)의 유입구(21)를 통해 흡수된 후, 상기 경유공간(A)을 통해 상기 토출구(22)를 통과하면서 상기 흡입관(10)으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토출구(22)에 근접되어 시설된 상기 역류방지일방향체크밸브(3)를 경유하여 상기 흡입관(10)으로 공급되는 중에 상기 여과수단(4)의 여과망(41)을 통과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용수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상기 여과망(41)에 의해 여과처리되면서, 상기 흡입관(10)으로 청정한 용수만이 공급된다.
이와 같이 단일의 상기 흡수몸체(2)의 내부에 상기 역류방지일방향체크밸브(3) 및 상기 여과수단(4)이 각각 연결되면서 구비됨에 따라, 전체 구조의 단순화를 통해 생산효율이 증대되어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그 점유면적과 부피 및 부속품들을 간단 소형화하도록 됨에 따라, 사용성이 향상된다.
상기에서 여과망(41)의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흡수노즐(1)에서, 흡수몸체(2)는, 일단에 상기 흡입관(10)의 종단에 나사체결되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토출구(22)를 형성하면서 상기 역류방지일방향체크밸브(3)가 내장설치되고, 외주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역류방지일방향체크밸브(3)가 상기 여과수단(4)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끼움하여 결속되는 결속돌부(231)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돌부(231)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면서 내측면에 너트홈이 형성된 '관(管;sleeve)' 형상의 토출관(23)과; 일단이 상기 토출관(23)의 상기 너트홈에 나사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여과수단(4)이 배치되는 상기 경유공간(A)을 형성하는 '관(管;sleeve)' 형상의 노즐몸체(24)와; 일측부가 상기 노즐몸체(24)의 종단에 나사결합되며 중앙이 관통되어 상기 유입구(21)가 형성되는 노즐덮개(2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토출관(23)과 상기 노즐덮개(25)의 사이에 상기 노즐몸체(24)가 길이를 가지면서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노즐덮개(25)의 중앙에 형성된 상기 유입구(21)를 통해 용수를 흡입한 후, 상기 노즐몸체(24)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경유공간(A)을 경유하는 중에 상기 여과망(41)을 통과하면서 여과처리된다.
그리고, 상기 여과망(41)을 통해 청정하게 된 용수는 상기 역류방지일방향체크밸브(3)를 통과하면서 상기 토출관(23)의 상기 토출구(22)를 경유하여 상기 흡입관(10)으로 공급된다.
아울러, 상기 토출관(23)과 상기 노즐몸체(24)와 상기 노즐덮개(25)과 상기 여과수단(4)을 각각 수리 및 청소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토출관(23)과 상기 노즐덮개(25)의 사이에 상기 노즐몸체(24)를 각각 분리하고, 상기 토출관(23)에서 상기 여과수단(4)을 분리한 후, 각각 수리 및 청소하고, 추후, 분리의 역순으로 결합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상기에서 노즐몸체(24)는, 외부에서 내부를 육안으로 투시하여 인지하도록 된 '투영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흡수노즐(1)에서, 상기 여과수단(4)은, 일단 내측이 상기 토출관(23)에 끼움결속하며 타단에는 상기 여과망(41)의 일단이 결합되는 여과몸체(42)와; 상기 여과몸체(42)와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며 상기 여과망(41)의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여과망(41)의 단부를 외부에 대하여 폐쇄하도록 된 폐쇄몸체(43)와; 상기 여과몸체(42)와 상기 폐쇄몸체(43)를 연결하여 일체화하면서 연결하며 간격을 가지면서 다수개가 구비되어 각각의 사이로 용수가 통과하면서 상기 여과망(41)을 관통하도록 된 다수의 지지연결대(44)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여과망(41)이 인서트된 상태에서 상기 여과몸체(42)와 상기 폐쇄몸체(43)와 상기 지지연결대(44)들이 일체로 사출성형되면서 상기 여과수단(4)을 제조형성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여과수단(4)의 전체형상이 상기 여과몸체(42)의 알단부가 개구된 '컵(cup)'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여과몸체(42)의 외주면에는, 상기 토출관(23)에 형성된 끼움돌부(232)의 내측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면 상기 여과몸체(42)의 개구를 밀폐하도록 된 외부밀폐링(45)이 구비되며; 상기 여과몸체(42)의 내측면에는, 중앙이 관통된 와셔링(46)과 내부밀폐링(47)이 각각 구비되어 용수의 무단누출을 방지하도록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폐쇄몸체(43)에는, 상기 노즐덮개(25)의 내측면에 접촉하면서 서로 간격을 가지는 복수의 지지돌부(48)들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여과몸체(42)의 개구단부는 상기 토출관(23)에 끼움결합하며, 상기 폐쇄몸체(43)는 상기 지지돌부(48)들이 상기 노즐덮개(25)의 내측면에 지지하면서 상기 경유공간(A)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안정되게 그 위치를 유지하면서 결합하도록 된다.
아울러, 상기 노즐덮개(25)의 유입구(21)를 통해 상기 경유공간(A)으로 유입된 용수가 상기 지지돌부(48)들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노즐몸체(24)의 내부로 이동한 한 후, 상기 여과수단(4)과 상기 역류방지일방향체크밸브(3)를 각각 경유하면서 상기 토출관(23)으로 이동되고, 상기 흡입관(10)으로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흡수노즐(1)는, 단일의 상기 흡수몸체(2)에 상기 역류방지일방향체크밸브(3) 및 상기 여과수단(4)을 각각 연결되게 구비하도록 되는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흡수노즐 10 : 흡입관
2 : 흡수몸체 21 : 유입구
22 : 토출구 23 : 토출관
231 : 결속돌부 232 : 끼움돌부
24 : 노즐몸체 25 : 노즐덮개
3 : 역류방지일방향체크밸브
4 : 여과수단 41 : 여과망
42 : 여과몸체 43 : 폐쇄몸체
44 : 지지연결대 45 : 외부밀폐링
46 : 와셔링 47 : 내부밀폐링
48 : 지지돌부

Claims (1)

  1. 용수가 흡입되는 흡입관(10)의 종단에 구비되며 양단이 관통되며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1)와 토출되는 토출구(22)의 사이에 용수가 경유하는 경유공간(A)을 가지는 흡수몸체(2)와; 내부에 용수가 통과하며 상기 경유공간에서 상기 토출구(22)측에 시설되는 역류방지일방향체크밸브(3)와; 상기 경유공간에서 상기 역류방지일방향체크밸브(3)와 연결되면서 시설되며 용수가 관통 경유하면서 이물질이 여과되는 여과망(41)을 구비하는 여과수단(4);을 포함하는 흡수노즐(1)에 있어서;
    상기 흡수몸체(2)는,
    일단에 상기 흡입관(10)의 종단에 나사체결되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토출구(22)를 형성하면서 상기 역류방지일방향체크밸브(3)가 내장설치되고, 외주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역류방지일방향체크밸브(3)가 상기 여과수단(4)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끼움하여 결속되는 결속돌부(231)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돌부(231)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면서 내측면에 너트홈이 형성된 '관(管;sleeve)' 형상의 토출관(23)과; 일단이 상기 토출관(23)의 상기 너트홈에 나사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여과수단(4)이 배치되는 상기 경유공간(A)을 형성하는 '관(管;sleeve)' 형상의 노즐몸체(24)와; 일측부가 상기 노즐몸체(24)의 종단에 나사결합되며 중앙이 관통되어 상기 유입구(21)가 형성되는 노즐덮개(25);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수단(4)은,
    일단 내측이 상기 토출관(23)에 끼움결속하며 타단에는 상기 여과망(41)의 일단이 결합되는 여과몸체(42)와; 상기 여과몸체(42)와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며 상기 여과망(41)의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여과망(41)의 단부를 외부에 대하여 폐쇄하도록 된 폐쇄몸체(43)와; 상기 여과몸체(42)와 상기 폐쇄몸체(43)를 연결하여 일체화하면서 연결하며 간격을 가지면서 다수개가 구비되어 각각의 사이로 용수가 통과하면서 상기 여과망(41)을 관통하도록 된 다수의 지지연결대(44)들과; 상기 여과몸체(42)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토출관(23)에 형성된 끼움돌부(232)의 내측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면 상기 여과몸체(42)의 개구를 밀폐하도록 된 외부밀폐링(45)과; 상기 여과몸체(42)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중앙이 관통된 와셔링(46) 및 내부밀폐링(47)과; 상기 폐쇄몸체(43)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노즐덮개(25)의 내측면에 접촉하면서 서로 간격을 가지는 복수의 지지돌부(48)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노즐.
KR1020220040844A 2022-03-31 2022-03-31 흡수노즐 KR102531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844A KR102531870B1 (ko) 2022-03-31 2022-03-31 흡수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844A KR102531870B1 (ko) 2022-03-31 2022-03-31 흡수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1870B1 true KR102531870B1 (ko) 2023-05-11

Family

ID=86378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844A KR102531870B1 (ko) 2022-03-31 2022-03-31 흡수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870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5490A (ja) * 1997-02-14 1998-08-25 Takagi Ind Co Ltd 水流マッサージ装置
KR20070106679A (ko) 2004-09-09 2007-11-05 인터내셔널 페이퍼 컴퍼니 생분해성 종이 기재의 컵 또는 패키지 및 제조 방법
KR200438861Y1 (ko) * 2006-12-28 2008-03-07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 급수관 고정구조
KR20090010385U (ko) * 2008-04-08 2009-10-13 오태준 미세기포 발생장치
KR100922592B1 (ko) * 2009-05-29 2009-10-21 (주)물과사람들 입욕제가 구비된 연수기
KR20120096368A (ko) * 2011-02-22 2012-08-30 노명애 흡입노즐에 여과부재를 구비한 나노버블 발생장치
KR20140146442A (ko) 2013-06-17 2014-12-26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Z축 비틀림 보정이 포함된 기판과 마스크 정렬방법
KR101672332B1 (ko) * 2016-07-15 2016-11-04 주식회사 코엔텍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US20180229159A1 (en) * 2015-10-20 2018-08-16 Nitto Kohki Co., Ltd. Suction nozzle and fluid recovery apparatus
KR20190098452A (ko) 2018-02-14 2019-08-22 주식회사 예스파워테크닉스 신뢰성이 고려된 배면 구조를 가진 전력 반도체
KR20200083779A (ko) * 2018-12-28 2020-07-09 주식회사 피코그램 기능성소재가 구비된 정수기용 정수필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필터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5490A (ja) * 1997-02-14 1998-08-25 Takagi Ind Co Ltd 水流マッサージ装置
KR20070106679A (ko) 2004-09-09 2007-11-05 인터내셔널 페이퍼 컴퍼니 생분해성 종이 기재의 컵 또는 패키지 및 제조 방법
KR200438861Y1 (ko) * 2006-12-28 2008-03-07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 급수관 고정구조
KR20090010385U (ko) * 2008-04-08 2009-10-13 오태준 미세기포 발생장치
KR100922592B1 (ko) * 2009-05-29 2009-10-21 (주)물과사람들 입욕제가 구비된 연수기
KR20120096368A (ko) * 2011-02-22 2012-08-30 노명애 흡입노즐에 여과부재를 구비한 나노버블 발생장치
KR20140146442A (ko) 2013-06-17 2014-12-26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Z축 비틀림 보정이 포함된 기판과 마스크 정렬방법
US20180229159A1 (en) * 2015-10-20 2018-08-16 Nitto Kohki Co., Ltd. Suction nozzle and fluid recovery apparatus
KR101672332B1 (ko) * 2016-07-15 2016-11-04 주식회사 코엔텍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90098452A (ko) 2018-02-14 2019-08-22 주식회사 예스파워테크닉스 신뢰성이 고려된 배면 구조를 가진 전력 반도체
KR20200083779A (ko) * 2018-12-28 2020-07-09 주식회사 피코그램 기능성소재가 구비된 정수기용 정수필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507876A (ja) フィルタ洗浄機構付き浄水システム
JP7078938B2 (ja) 殺菌効果を有する自己密封シャワーヘッド
JP2015213569A (ja) 多目的入浴兼治療装置
US20230373825A1 (en) Device for dissolving gas in liquid
CN109985541B (zh) 一种臭氧水的即时混合装置
KR102531870B1 (ko) 흡수노즐
JP2008237996A (ja) 微細気泡発生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洗浄装置、シャワリング装置、生簀
CN200977301Y (zh) 微波消毒空气净化器
KR101966304B1 (ko) 수질관리가 특별한 수영장
CN1162359C (zh) 一种水净化装置
CN209985226U (zh) 一种臭氧水的即时混合装置
CN207671838U (zh) 一种新型多功能污水处理设备
CN210683380U (zh) 一种污水再生利用装置
KR102170073B1 (ko) 천일염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RU2017116609A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дезинфекции высокого уровня (ДВУ) и стерилизации эндоскопов
CN209537213U (zh) 便于清理的医院废水处理装置
JP2018149054A (ja) カテーテル出口部の洗浄ケア装置とこれを用いた洗浄ケア方法
KR102675068B1 (ko) 나노버블발생용 용해장치
CN210876441U (zh) 一种牙科消毒仓的喷雾结构
KR102586467B1 (ko) 나노버블발생용 용해장치
CN214859786U (zh) 一种透析机
CN208603888U (zh) 一种家用饮用水过滤环保设备
CN216667935U (zh) 一种多用途消毒除臭风机
JPH02284610A (ja) 風呂用循環装置
CN206985918U (zh) 活性净化饮用水处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