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332B1 -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332B1
KR101672332B1 KR1020160090327A KR20160090327A KR101672332B1 KR 101672332 B1 KR101672332 B1 KR 101672332B1 KR 1020160090327 A KR1020160090327 A KR 1020160090327A KR 20160090327 A KR20160090327 A KR 20160090327A KR 101672332 B1 KR101672332 B1 KR 101672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heck valve
impeller
wastewater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웅
박세리
박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엔텍
Priority to KR1020160090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3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31Sampling from special places
    • G01N2001/1043Sampling from special places from sew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87Categories of samp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상에 형성되며 자흡식 펌프(11)를 구비하는 채수기(10); 및 폐수를 채취하기 위해 물이 고인 곳에 투입되는 장치로, 수류 모터(22)를 이용해 외부의 물을 흡입한 뒤, 채수기(10)와 연결된 호스를 통해 채수기(10)로 물을 제공하며, 채수기(10)와 연결된 호스에는 역류방지용 체크 밸브(21)를 구비하는 채수 모듈(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자동 채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저성능의 펌프를 이용하면서도 체크 밸브, 그리고 회전 임펠라에 의한 원심력 발생 원리를 통해서 역류해서 다시 하부로 향하는 채취라인의 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Automatic system for collection small capacity wastewat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자동 채수하는 장치로 체크 밸브, 그리고 회전 임펠라에 의한 원심력 발생 원리를 통해서 역류해서 다시 하부로 향하는 채취라인의 물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폐수 채취 시스템은 폐수의 점도를 측정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채취한다. 폐수 채취 시스템의 펌프를 고사양으로 사용시 채수통이 아주 짧은 시간에 다 차버릴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이 증대되어 일반적으로 저사양의 펌프를 사용한다.
그러나 저사용 펌프를 사용함으로써 2m 이상 깊은 곳에서 채취시 발생하는 수압으로 인한 거꾸로 물이 아래로 빠져나가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4-0073278호 "폐수에서 고순도로 구리를 회수하는 전해채취 설비 및 그 방법(FACILITY FOR ELECTROWINNING OF COPPER WITH HIGH PURITY FROM WASTEWATER AND METHOD THEREFOR)"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01-0100445호 " 원거리 수질오염원의 실시간 수질관리 및 자동시료채취통합시스템(Integrated water management system for real-time monitoring and automatic sampling of wastewater inremote sites)"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자동 채수하도록 하기 위한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크 밸브, 그리고 회전 임펠라에 의한 원심력 발생 원리를 통해서 역류해서 다시 하부로 향하는 채취라인의 물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은, 지상에 형성되며 자흡식 펌프(11)를 구비하는 채수기(10); 및 폐수를 채취하기 위해 물이 고인 곳에 투입되는 장치로, 수류 모터(22)를 이용해 외부의 물을 흡입한 뒤, 채수기(10)와 연결된 호스를 통해 채수기(10)로 물을 제공하며, 채수기(10)와 연결된 호스에는 역류방지용 체크 밸브(21)를 구비하는 채수 모듈(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자흡식 펌프(11)는, 채수 모듈(20)로부터 물의 흡입, 그리고 흡입된 물의 배출을 위한 유체에 대한 압력 작용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채수기(10)는, n개(n은 2 이상의 자연수)로 이루어지며, MCU(30)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ON/OFF) 되는 채수용 솔레노이드 밸브(12); MCU(30)와 각각 데이터 버스로 연결되며, 각 채수통(13) 별로 채수기(10)의 외부면에 하나의 쌍으로 n개가 형성되는 24 시간 타이머(31) 및 채수용 타이머(32); 및 n개의 채수용 솔레노이드 밸브(12) 중 하나씩 연결됨으로써, n개가 형성되며, 채수용 솔레노이드 밸브(12)의 작용에 따라 각기 정해진 시간에 자흡식 펌프(11)에 의해 채수 모듈(20)로부터 흡입된 물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채수통(1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채수기(10)는, 채수기(10)의 최초 구동시 마중물통(15) 내부에 들어있는 물을 채수 모듈(20)과 연결된 호스(hose)로 투입하기 위해 형성되며, 이를 위해 하부에 마중물통(15)과 호스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드레인 밸브(14);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채수기(10)는, 채수 모듈(20)과 연결된 호스(hose)로부터 공급된 슬러지와 같은 불순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외부 배출용 호스와 자흡식 펌프(11)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용 솔레노이드 밸브(16);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채수 모듈(20)은, 터보임펠러(22a)와 같은 무게추(22b)를 가진 임펠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MCU(30)가 7개의 솔레노이드 밸브인 채수용 솔레노이드 밸브(12), 배출용 솔레노이드 밸브(16), 1개의 자흡식 펌프(11), 채수시간 설정용 24 시간 타이머(31), 채수용 타이머(32), 드레인 및 세척용 타이머(미도시)의 여섯 가지에 대한 디폴트(default) 상태로 셋팅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MCU(30)가 24 시간 타이머(31)에 의하여 지정된 시간이 되면 드레인 및 세척용 솔레노이드 밸브인 배출용 솔레노이드 밸브(16)와 자흡식 펌프(11)가 함께 작동하며 지정된 시간 동안 채수라인에 고여 있는 전 시간대의 샘플수를 드레인 포트를 통하여 배출하고 드레인 및 세척용 솔레노이드 밸브인 배출용 솔레노이드 밸브(16)가 오프(OFF) 되면서 지정된 시간대의 채수용 포트(1-6)의 채수용 솔레노이드 밸브(12)가 온(ON) 되면서 채수용 타이머(32)에 의해 설정된 시간만큼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2 단계 이후, MCU(30)가 대기상태로 돌아가며 이때 자흡식 펌프(11)는 작동 중지되면 채수라인의 물은 다음 시간까지 드레인 되지 않고 라인에 머물러 있도록 하는 제 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3 단계는, 채수망 부분에 역류방지용 밸브인 체크 밸브(21)가 채수망이 기울어져 있어도 역류되지 않도록 유동적으로 움직이면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채수 모듈(20)은, 채수기(10)가 있는 상부 일방향으로 유체가 흐르도록 단속되는 체크 밸브(21), 일단이 체크 밸브(21)에 연결되어 폐수의 물 흐름에 따라 휘어져서 채수 기능을 유지하도록 하는 가소성 호스(22a), 상기 가소성 호스(22a)의 타단에 연결되어 중력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시 폐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폐수 유입구가 형성된 무게체(22b) 및 상기 체크 밸브(21), 가소성 호스(22a), 무게체(22b)를 수용하고 외면에 폐수가 유입되는 여과망 기능을 하는 다수의 타공을 가진 케이싱(22c)으로 이루지며, 케이싱(22c)은 이중, 삼중 등 다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단계의 자흡식 펌프(11)는, 채수 모듈(20)로부터 물의 흡입, 그리고 흡입된 물의 배출을 위한 유체에 대한 압력 작용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자동 채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저성능의 펌프를 이용하면서도 체크 밸브, 그리고 회전 임펠라에 의한 원심력 발생 원리를 통해서 역류해서 다시 하부로 향하는 채취라인의 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 중 채수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 중 채수 모듈의 응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 중 채수 모듈 중 MCU를 중심으로 한 제어 계통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 중 채수기의 외관에 형성된 24 시간 타이머, 채수용 타이머, 그리고 채수통 및 마중물통을 나타내는 참조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 중 채수 모듈의 외관을 나타내는 참조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 중 채수 모듈에서 수류 모터 대신 터보임펠러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변 경사에 적응적인 하이브리드 난간 구조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은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은 채수기(10)와 채수 모듈(20)을 구비한다.
채수기(10)는 소용량 저성능 자흡식 펌프(11)를 이용한다. 그러나 채수기(10)가 놓인 지상으로부터 채수 모듈(20)이 잠긴 물의 표면까지가 보통 1 내지 5m이나, 2m 이상만 되어도 수압에 의해 채수기(10) 내부로 자흡식 펌프(11)에 의해 펌핑된 물이 다시 역류하여 하부로 빨려서 내려가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소용량 저성능 자흡식 펌프(11)를 대용량 고성능으로 대체하는 것은 비용적인 문제점을 야기하므로, 후술하는 채수 모듈(20)에는 역류방지용 체크 밸브(21)를 구비한다.
한편 채수 모듈(20)은 폐수를 채취하기 위해 물이 고인 곳에 투입되는 장치로, 수류 모터(22)를 이용해 외부의 물을 흡입한 뒤, 채수기(10)와 연결된 호스를 통해 채수기(10)로 물을 제공한다.
채수 모듈(20)은 채수기(10)가 있는 상부 일방향으로 유체가 흐르도록 단속되는 체크 밸브(21), 일단이 체크 밸브(21)에 연결되어 폐수의 물 흐름에 따라 휘어져서 채수 기능을 유지하도록 하는 가소성 호스(22a), 상기 가소성 호스(22a)의 타단에 연결되어 중력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시 폐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폐수 유입구가 형성된 무게체(22b) 및 상기 체크 밸브(21), 가소성 호스(22a), 무게체(22b)를 수용하고 외면에 폐수가 유입되는 여과망 기능을 하는 다수의 타공을 가진 케이싱(22c) 및 상기 케이싱(22c)의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축에 연결된 임펠라(23)에 의해 외부의 물을 유입하는 수류 모터(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싱(22c)은 이중, 삼중 등 다중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 중 채수기(1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채수기(10)는 자흡식 펌프(11), 채수용 솔레노이드 밸브(12), 채수통(13), 드레인 밸브(14), 마중물통(15), 배출용 솔레노이드 밸브(16)를 구비한다.
자흡식 펌프(11)는 채수 모듈(20)로부터 물의 흡입, 그리고 흡입된 물의 배출을 위한 유체에 대한 압력 작용을 제공한다.
채수용 솔레노이드 밸브(12)는 6개로 이루어지며, MCU(30)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ON/OFF) 된다. 한편, MCU(30)는 24 시간 타이머(31) 및 채수용 타이머(32)와 데이터 버스를 통해 연결되며, 24 시간 타이머(31) 및 채수용 타이머(32)는 하나의 쌍(pair)으로 각 채수통(13) 별로 채수기(10)의 외부면에 6개의 쌍으로 형성된다.
채수통(13)은 6개의 채수용 솔레노이드 밸브(12) 중 하나씩 연결됨으로써, 6개가 형성되며, 채수용 솔레노이드 밸브(12)의 작용에 따라 각기 정해진 시간에 자흡식 펌프(11)에 의해 채수 모듈(20)로부터 흡입된 물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드레인 밸브(14)는 채수기(10)의 최초 구동시 마중물통(15) 내부에 들어있는 물을 채수 모듈(20)과 연결된 호스(hose)로 투입하기 위해 형성되며, 이를 위해 하부에 마중물통(15)과 호스로 연결된다.
배출용 솔레노이드 밸브(16)는 채수 모듈(20)과 연결된 호스(hose)로부터 공급된 슬러지와 같은 불순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외부 배출용 호스와 자흡식 펌프(11) 사이에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 중 채수 모듈(20)의 응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채수 모듈(20)은 체크 밸브(21), 수류 모터(22), 임펠라(23), 유입단(24), 2차 여과망(25), 그리고 1차 여과망(26)을 구비한다.
체크 밸브(21)는 채수기(10)의 자흡식 펌프(11)를 고성능으로 향상시킬 필요 없이 업그레이드를 위한 단방향 밸브로, 상승하던 물이 다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이러한 체크 밸브(21)의 기능인 물이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후술하는 임펠라(23), 유입단(24), 2차 여과망(25), 그리고 1차 여과망(26) 간의 구조를 제공한다.
수류 모터(22)는 상향으로 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으로써, 외부의 물을 흡입하여 상향으로 상승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위해 수류 모터(22)의 하부에는 임펠라(23)를 구비한다.
임펠라(23)는 채수 모듈(20)의 내부 하우징 중 상부에 돔 형상의 바닥면에 형성된 공간 내에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채수 모듈(20)의 상단부는 돔 형상으로, 하단부는 2단 여과 구조를 제공하는데, 이 중 돔 형상으로 상부 끝단은 체크 밸브(21)와 연통된 구조를 갖으며, 돔 형상의 바닥면은 2중의 플레이트에 의해 공간이 형성되는데 2중의 플레이트의 제 1 플레이트 및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임펠라(23)가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제 2 플레이트의 하부는 유입단(24)의 상단에 연결된 호스와 연통된 구조를 갖는다.
유입단(24)은 1차 여과망(26) 및 2차 여과망(25)을 통과된 물을 수류 모터(22)의 끝단에 형성된 임펠라(23)에 의한 상승 수류를 이용해 유입한 뒤, 상부의 호스로 상술한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으로 제공한다.
이렇게 상승된 물은 돔 형상의 양 측면 공간을 통해 체크 밸브(21)를 통해 채수기(10)로 제공됨으로써, 체크 밸브(21)가 작동을 하지 않더라도 물의 역류가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역류의 시간 간격이 발생한다. 또한, 임펠라(23)에 의한 상승하는 방향으로의 수류 공급과 함께, 상술한 돔 형상의 구조로 인해 상승하는 물에는 원심력이 발생함으로써 역류도 최소화될 수 있다.
즉 상승하는 수압이 체크 밸브(21)에 작동 한계치를 넘어서면 체크 밸브(21)는 고장으로 작동 불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정상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 평상시 수압을 위로 올려주는 원심력 구조가 설계되는 것이다.
2차 여과망(25)은 채수 모듈(20)의 내부 하우징의 하단부를 형성하며, 1차 여과망(26)은 채수 모듈(20)의 외부 하우징의 전체를 형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 중 채수 모듈(20) 중 MCU(30)를 중심으로 한 제어 계통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 중 채수기(10)의 외관에 형성된 24 시간 타이머(31), 채수용 타이머(32)(도 4a), 그리고 채수통(13) 및 마중물통(15)을 나타내는 참조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 중 채수 모듈(20)의 외관을 나타내는 참조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MCU(30)는 24 시간 타이머(31), 채수용 타이머(32), 자흡식 펌프(11), 채수용 솔레노이드 밸브(12), 배출용 솔레노이드 밸브(16), 수류 모터(22)와 데이터 버스 및 전원선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폐수 자동 채취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즉, MCU(30)는 각 채수통(13) 별로 24 시간 타이머(31)를 이용하여 지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채수용 타이머(32)에 의해 설정된 시간 동안 6회 샘플을 채취하는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을 제공한다.
MCU(30)는 6개의 24 시간 타이머(31)에 대한 현재시간을 설정하고 샘플 채취 시간에 대해서 설정 입력을 받는다. 예를 들어, 현재시간이 AM 12:00인 경우 1시간 간격이면 1시간 단위로 6개를 증가하시면 된다.
이에 따른 샘플 채취 과정은 MCU(30)가 지정된 시간이 되면 채수 라인에 고여 있는 전 시간대의 샘플수를 제거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 동안 폐수 라인과 연결된 배출용 솔레노이드 밸브(16)를 온(ON) 상태로 제어한 뒤, 자흡식 펌프(11)를 제어하여 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즉, MCU(30)는 먼저 채수기(10)의 자흡식 펌프(11)의 작동을 위해서 세척 버튼의 입력에 따라 배출용 솔레노이드 밸브(16)를 통해 채수기(10)의 자흡식 펌프(11)와 연결된 호스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한편, 채수라인에 호스인 채수기(10)와 채수 모듈(20) 사이의 호스에는 자흡식 펌프(11)의 작동 원리상 유입수가 잔류해 있으므로, 채수 모듈(20)에는 역류 방지 밸브에 해당하는 체크 밸브(21)가 구비된다.
한편, 채수 모듈(20)에는 외부 타공망에서 걸러진 후 내부에서 2차로 타공망을 통하여 채수되면 채수 모듈(20) 내부 필터부에 부착된 역류 방지 밸브인 체크 밸브(21)는 채수부(10)가 옆으로 기울어져 있을 경우를 대비하여 실리콘 튜브를 이용하여 유동적으로 부착한다.
이러한 폐수 자동 채취 방법의 작동 원리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7개의 솔레노이드 밸브인 채수용 솔레노이드 밸브(12), 배출용 솔레노이드 밸브(16), 1개의 자흡식 펌프(11), 채수시간 설정용 24 시간 타이머(31), 채수용 타이머(32), 드레인 및 세척용 타이머(미도시)의 여섯 가지에 대한 디폴트(default) 상태로 셋팅을 수행한다.
이후, MCU(30)는 24 시간 타이머(31)에 의하여 지정된 시간이 되면 드레인 및 세척용 솔레노이드 밸브인 배출용 솔레노이드 밸브(16)와 자흡식 펌프(11)가 함께 작동하며 지정된 수십 초의 시간 동안 채수라인에 고여 있는 전 시간대의 샘플수를 드레인 포트를 통하여 배출하고 드레인 및 세척용 솔레노이드 밸브인 배출용 솔레노이드 밸브(16)가 오프(OFF) 되면서 지정된 시간대의 채수용 포트(1-6)의 채수용 솔레노이드 밸브(12)가 온(ON) 되면서 채수용 타이머(32)에 의해 설정된 시간만큼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MCU(30)는 대기상태로 돌아가며 이때 자흡식 펌프(11)는 작동 중지되면 채수라인의 물은 다음 시간까지 드레인 되지 않고 라인에 머물러 있다. 라인이 비워져 있게 되면 다음 작업시 샘플수 채취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채수망 부분에 역류방지용 밸브인 체크 밸브(21)를 채수망이 기울어져 있어도 역류되지 않도록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모든 과정이 완료되고 작업 또한 종료되면 항상 맑은 물로 내부라인을 세척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은 도 3의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 중 채수 모듈(20)에서 수류 모터(22) 대신 터보임펠러(40)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변형된 실시예는 전원 및 동력원 투입 없이 무게추(42)에 의한 회전 관성을 가지는 터보임펠러(40)로 채수기(10)측인 상부로 물을 공급하는 힘을 더 부가하여 체크 밸브(21)와 함께 하부로의 역류 방지 기능을 향상시킨 구성이다.
상세하게는, 본 변형 실시예에서의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은, 지상에 형성되며 자흡식 펌프(11)를 구비하는 채수기(10); 및 폐수를 채취하기 위해 물이 고인 곳에 투입되는 장치로, 상기 자흡식 펌프(11)에 의해 외부의 물을 흡입한 뒤, 채수기(10)와 연결된 호스를 통해 채수기(10)로 물을 공급하며, 채수기(10)와 연결된 호스에는 역류방지용 체크 밸브(21)를 구비하는 채수 모듈(20); 를 포함하되, 상기 채수 모듈(20)은 터보임펠러(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보임펠러(40)는채수기(10)측 및 체크 밸브(21)측으로 공급되는 유로에 구비되어 흡입된 물의 흐름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상부임펠러(41); 회전 관성을 유지하도록 소정 중량을 가지는 무게추(42); 상기 무게추(42)의 회전 관성 및 상기 상부임펠러(41)의 회전력에 의해 흡입된 물에 대해 원심력을 발생시키는 하부임펠러(43); 및 상기 상부임펠러(41), 무게추(42)와 하부임펠러(43)를 차례로 관통하여 동일한 중심축선으로 연결되는 회전축(44);으로 구성되어 하부로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채수기(10)측의 상부로 물을 공급하는 힘을 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즉, 하부임펠러(43)는 상부임펠러(41)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고 무게추(42)에 의해 회전 관성을 받아서 유입된 물에 원심력을 지속적으로 부여함으로써 내부 유로에서 물에 상부로 향하는 힘을 가해 하부로의 역류 방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채수기
11 : 자흡식 펌프
12 : 채수용 솔레노이드 밸브
13 : 채수통
14 : 드레인 밸브
15 : 마중물통
16 : 배출용 솔레노이드 밸브
20 : 채수 모듈
21 : 체크 밸브
22 : 수류 모터
23 : 임펠라
24 : 유입단
25 : 2차 여과망
26 : 1차 여과망
40 : 터보임펠러
41 : 상부임펠러
42 : 무게추
43 : 하부임펠러
44 : 회전축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지상에 형성되며 자흡식 펌프(11)를 구비하는 채수기(10); 및
    폐수를 채취하기 위해 물이 고인 곳에 투입되는 장치로, 수류 모터(22)를 이용해 외부의 물을 흡입한 뒤, 채수기(10)와 연결된 호스를 통해 채수기(10)로 물을 제공하며, 채수기(10)와 연결된 호스에는 역류방지용 체크 밸브(21)를 구비하는 채수 모듈(20);을 포함하되,
    상기 채수 모듈(20)은,
    채수기(10)가 있는 상부 일방향으로 유체가 흐르도록 단속되는 체크 밸브(21),
    일단이 체크 밸브(21)에 연결되어 폐수의 물 흐름에 따라 휘어져서 채수 기능을 유지하도록 하는 가소성 호스(22a),
    상기 가소성 호스(22a)의 타단에 연결되어 중력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시 폐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폐수 유입구가 형성된 무게체(22b),
    상기 체크 밸브(21), 가소성 호스(22a), 무게체(22b)를 수용하고 외면에 폐수가 유입되는 여과망 기능을 하는 다수의 타공을 가진 케이싱(22c) 및
    상기 케이싱(22c)에 구비되어 회전축에 연결된 임펠라(23)에 의해 외부의 물을 유입하는 수류 모터(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싱(22c)은 다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
  10. 지상에 형성되며 자흡식 펌프(11)를 구비하는 채수기(10); 및
    폐수를 채취하기 위해 물이 고인 곳에 투입되는 장치로, 상기 자흡식 펌프(11)에 의해 외부의 물을 흡입한 뒤, 채수기(10)와 연결된 호스를 통해 채수기(10)로 물을 공급하며, 채수기(10)와 연결된 호스에는 역류방지용 체크 밸브(21)를 구비하는 채수 모듈(20); 를 포함하되,
    상기 채수 모듈(20)은 터보임펠러(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보임펠러(40)는
    채수기(10)측 및 체크 밸브(21)측으로 공급되는 유로에 구비되어 흡입된 물의 흐름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상부임펠러(41);
    회전 관성을 유지하도록 소정 중량을 가지는 무게추(42);
    상기 무게추(42)의 회전 관성 및 상기 상부임펠러(41)의 회전력에 의해 흡입된 물에 대해 원심력을 발생시키는 하부임펠러(43); 및
    상기 상부임펠러(41), 무게추(42)와 하부임펠러(43)를 차례로 관통하여 동일한 중심축선으로 연결되는 회전축(44);으로 구성되어
    하부로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채수기(10)측의 상부로 물을 공급하는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
KR1020160090327A 2016-07-15 2016-07-15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672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327A KR101672332B1 (ko) 2016-07-15 2016-07-15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327A KR101672332B1 (ko) 2016-07-15 2016-07-15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2332B1 true KR101672332B1 (ko) 2016-11-04

Family

ID=57530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327A KR101672332B1 (ko) 2016-07-15 2016-07-15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3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44783A (zh) * 2018-08-17 2018-11-20 浙江清环智慧科技有限公司 水质采样监测方法及装置
KR20190089559A (ko) 2018-01-23 2019-07-31 주식회사 유비마이크로 드론에 결합 가능한 채수 장치
KR102011372B1 (ko) * 2018-11-16 2019-10-21 대한민국 현장 해수랩용 다채널 진공식 채수장치
KR102531870B1 (ko) * 2022-03-31 2023-05-11 지효근 흡수노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445A (ko) 2000-05-02 2001-11-14 곽무영 원거리 수질오염원의 실시간 수질관리 및 자동시료채취통합시스템
KR200257419Y1 (ko) * 2001-09-11 2001-12-24 서순태 자흡식 오수펌프
KR100672966B1 (ko) * 2000-12-29 2007-01-22 한국해양연구원 자동채수기
KR20100131410A (ko) * 2010-11-24 2010-12-15 주식회사 해마 자동 채수 장치 및 이에 적합한 채수 방법
KR20130142849A (ko) * 2012-06-20 2013-12-30 주식회사 우리소재 채수시스템
KR20140073278A (ko) 2012-12-06 2014-06-16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고투명성 poss 감광성 바니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445A (ko) 2000-05-02 2001-11-14 곽무영 원거리 수질오염원의 실시간 수질관리 및 자동시료채취통합시스템
KR100672966B1 (ko) * 2000-12-29 2007-01-22 한국해양연구원 자동채수기
KR200257419Y1 (ko) * 2001-09-11 2001-12-24 서순태 자흡식 오수펌프
KR20100131410A (ko) * 2010-11-24 2010-12-15 주식회사 해마 자동 채수 장치 및 이에 적합한 채수 방법
KR20130142849A (ko) * 2012-06-20 2013-12-30 주식회사 우리소재 채수시스템
KR20140073278A (ko) 2012-12-06 2014-06-16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고투명성 poss 감광성 바니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9559A (ko) 2018-01-23 2019-07-31 주식회사 유비마이크로 드론에 결합 가능한 채수 장치
CN108844783A (zh) * 2018-08-17 2018-11-20 浙江清环智慧科技有限公司 水质采样监测方法及装置
KR102011372B1 (ko) * 2018-11-16 2019-10-21 대한민국 현장 해수랩용 다채널 진공식 채수장치
KR102531870B1 (ko) * 2022-03-31 2023-05-11 지효근 흡수노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2332B1 (ko) 소용량 하폐수 자동 채취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CN205617484U (zh) 一种供水设备过滤器的废水再利用装置
JP4213644B2 (ja) 液処理装置
CN103671127A (zh) 一种具有自动冲洗清淤功能的排污泵
CN109620075A (zh) 需水量少的清洁装置
CN208949006U (zh) 一种建筑工地污水处理装置
JP2020049447A (ja) 固形薬剤供給装置
CN201835381U (zh) 一种污水压力输送设备
CN212878938U (zh) 一种具有净水储水桶的集成智能厨房电器
JP2006110452A (ja) 油分回収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を用いた油分回収方法
CN207444217U (zh) 具有节水功能的糯米粉生产装置
KR101330560B1 (ko) 양식장의 급수 시스템
KR20200008539A (ko) 빗물의 재활용 방법 및 시스템
CN207126210U (zh) 一种防堵塞环保颗粒水液分离箱
WO2013175460A1 (en) Water filter
CN206274915U (zh) 一种园林蓄水及智能灌溉装置
CN104961265A (zh) 一种六级下置模块式双水双膜净水机
CN205815229U (zh) 具有自清洁滤网功能的废水回收过滤机
CN215048991U (zh) 一种用于雨水回收处理的高效生态滤床
CN111542381B (zh) 用于游泳池过滤的浸入式装置
CN211752931U (zh) 一种污泥过滤装置
CN211394227U (zh) 基于人工湿地系统的污水初步处理装置
CN109537687A (zh) 一种节省空间自动马桶及其工作方法
CN211170335U (zh) 城市垃圾渗滤液收集处理装置
CN209468267U (zh) 一种多重逐配过滤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