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088B1 - 헤테로사이클릭아민 유도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헤테로사이클릭아민 유도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1088B1 KR102531088B1 KR1020210025655A KR20210025655A KR102531088B1 KR 102531088 B1 KR102531088 B1 KR 102531088B1 KR 1020210025655 A KR1020210025655 A KR 1020210025655A KR 20210025655 A KR20210025655 A KR 20210025655A KR 102531088 B1 KR102531088 B1 KR 1025310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und represented
- formula
- reaction
- manufacturing
- ethyl acetat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77—1,4-Oxazines, e.g. morpholine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timolo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테로사이클릭아민 유도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불순물 함량이 저감된 헤테로사이클릭아민 유도체를 높은 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헤테로사이클릭아민 유도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ITK(Interleukin-2 Tyrosine Kinase)와 BTK(Bruton's Tyrosine Kinase)는 Tec(tyrosine kinase expressed in hepatocellular carcinoma), RLK(Resting Lymphocyte Kinase) 및 BMX(Bone-Marrow tyrosine kinase gene on chromosome X)와 함께 TEC 계열의 수용체를 가지지 않는 티로신 키나아제의 일종으로 다양한 면역 반응에 작용한다.
ITK는 T세포 뿐만 아니라 NK 세포와 mast세포에서 발현되며, IL-2, IL-4, IL-5, IL-10, IL-13 및 IL-17과 같은 중요한 사이토 카인의 생산 및 T- 세포 증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Schaeffer et al. Nat. Immune 2001,2, 1183; Fowell et al. Immunity, 1999, 11, 399). T 세포는 TCR 신호전달에 의하여 활성화 되며 활성화된 T세포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B 세포 및 마크로파지를 활성화 시켜 RA와 같은 자가면역 질환을 유발한다(Sahu N. et al. Curr Top Med Chem. 2009, 9, 690). 기존에는 T세포가 Th1 세포로 활성화되어 RA 질환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근에 Th1 세포뿐만 아니라 Th17/Treg가 RA의 병인으로 작용된다고 보고되었다(J Leipe J. et al. Arthritis Rheum. 2010, 62, 2876). 또한 ITK는 기존에 천식 등 면역치료 약물 타겟으로 개발된 사례가 있으나 RA 치료제로 개발된 사례는 없다(Lo H. Y Expert Opin Ther Pat. 2010, 20, 459). 하지만 최근 ITK-/- 마우스를 통하여 Th17과 Treg 세포를 발생을 조절하는 것이 보고되어 RA 치료 타겟으로 충분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Gomez-Rodriguez J. et al. J. Exp. Med. 2014, 211, 529).
ITK 저해제 PRN694을 이용한 연구에서, RA 질환의 대표적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가 감소하는 연구 등이 보고되어 ITK 저해를 통하여 Th17 발현을 조절하여 RA 치료제로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Zhong Y. ey al.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015, 290, 5960).
BTK는 초기 B-세포의 발달뿐만 아니라 성숙한 B-세포 활성화, 신호전달 및 생존의 조절제로서 기능한다. 상기 B-세포는 항원제시 세포(antigen-presenting cell)의 표면에 붙어 있는 항원을 인지하는 B 세포 수용체(B cell receptor; BCR)에 의해 신호가 전달되고 성숙한 항체 생성 세포로 활성화된다. 그러나, BCR에 의한 비정상적인 신호 전달은 비정상적인 B-세포 증식 및 병리학적 자가항체의 형성을 야기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암, 자가면역 및/또는 염증성 질환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비정상적인 B-세포의 증식에서, BTK가 결핍되는 경우 BCR에 의한 신호 전달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BTK의 저해는 B-세포 매개 질병 과정을 차단할 수 있어, BTK 저해제의 사용은 B-세포 매개 질병의 치료를 위한 유용한 접근일 수 있다.
또한, BTK는 B-세포 외에도 질병과 관련될 수 있는 다른 세포들에 의해서도 발현될 수 있다. 일 예로, BTK는 골수 세포에서 Fc-감마 신호전달의 중요 구성 성분으로, 비만 세포(mast cell)에 의해 발현된다. 구체적으로 BTK-결핍 골수 유도된 비만 세포는 손상된 항원 유도된 탈과립을 나타내어, BTK 활성의 저해는 알레르기 및 천식과 같은 병리학적인 비만 세포 반응을 치료하는 데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Iwaki et al. J. Biol. Chem. 2005 280:40261). 또한, BTK 활성이 없는 XLA 환자의 단핵구는 자극에 뒤따르는 TNF 알파 생성이 줄어들어, BTK 저해제에 의해 TNF 알파 매개 염증을 억제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Horwood et al. J. Exp. Med. 197:1603, 2003 참조).
현재 BTK 및 ITK를 이중 저해하는 물질로 개발된 사례는 없으나, BTK 저해제로서, WO2008/039218은 4-아미노피라졸로[3,4-d]피리미디닐피페리딘 유도체를 개시한 바 있으며, WO2015/061247은 피리딘, 피리미딘, 피라진 및 피리다진 화합물과 같은 헤테로 화합물을 개시한 바 있으며, WO2014/055934는 피리미디닐페닐아크릴아미드 유도체를 개시한 바 있다. ITK 저해제로서 WO2005/066335은 아미노벤즈이미다졸, WO2005/056785은 피리돈, WO2002050071은 아미노티아졸 유도체를 개시하였으며, 최근에 WO2014/036016는 벤즈이미다졸 유도체를 개시한 바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현재까지 보고된 BTK, ITK 저해제와는 상이한 화학 구조를 가진 헤테로사이클릭아민 유도체가 우수한 BTK 및 ITK 이중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한 바 있다. 이에 신규한 헤테로사이클릭 아민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는 제조 방법을 예의 연구한 결과, 후술할 제조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상업적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나아가 전체적으로 수율이 향상되면서 불순물이 저감되는 제조 방법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헤테로사이클릭아민 유도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1과 같은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1)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팔라듐 촉매 및 염기의 존재 하에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하기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산 존재 하에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하기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염기의 존재 하에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반응식 1]
이때,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Chirality에 따른 하기 3종의 화합물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1) (S)-1-(3-((6-((5-메틸티아졸-2-일)아미노)-4-(몰폴리노메틸)피리딘-2-일)아미노)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2) (R)-1-(3-((6-((5-메틸티아졸-2-일)아미노)-4-(몰폴리노메틸)피리딘-2-일)아미노)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3) 1-(3-((6-((5-메틸티아졸-2-일)아미노)-4-(몰폴리노메틸)피리딘-2-일)아미노)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이하, 각 단계 별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 1)
상기 단계 1은,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상기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상기 반응은 아민 치환 반응으로 팔라듐 촉매 및 염기의 존재 하에서 수행된다.
이때,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1:0.1 내지 1:2의 몰비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1:0.5 내지 1:1.7, 1:0.7 내지 1:1.5, 또는 1:0.9 내지 1:1.5의 몰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팔라듐 촉매는 화합물 내 팔라듐(Pd)의 원자가(valency)가 0인 팔라듐(0) 촉매, 또는 원자가(valency)가 +2인 팔라듐(II) 촉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팔라듐 촉매로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O), 비스[트리스(2-메틸페닐)포스핀]팔라듐 및 팔라듐(II) 아세테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1의 반응에 사용되는 염기는 탄산세슘, 탄산 칼륨, 탄산 나트륨, 소듐 터트-부톡사이드 및 칼륨 터트-부톡사이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 중, 반응속도 및 수율 측면에서 탄산세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응은, 상기 팔라듐 촉매 및 상기 염기와 함께 포스핀계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포스핀계 화합물로는 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4,5-비스(디페닐포스피노)-9,9-디메틸잔텐, 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3,6-디메톡시-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 및 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6'-디이소프로폭시비페닐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응의 용매로는 아민 치환 반응에 대해 비활성을 나타내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톨루엔, 다이옥산,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부틸알콜, 또는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등의 용매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반응속도 및 수율 측면에서 톨루엔 및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가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용매는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10 배 내지 30 배의 부피의 양(mL/g), 보다 구체적으로는, 15 배 내지 25 배의 부피의 양(mL/g)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은 80 내지 150℃의 온도에서 3 시간 내지 15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범위보다 낮은 온도 조건 및/또는 짧은 반응 시간 동안 반응을 수행하는 경우 반응이 충분히 진행되지 않아 제조 수율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범위보다 높은 온도 조건 및/또는 긴 반응 시간 동안 반응을 수행하더라도 제조 수율이 실질적으로 증가하지 않아, 공정 비용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응은 90 내지 130℃의 온도에서 4 시간 내지 12 시간, 바람직하게는, 4 시간 내지 10 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시간 내지 10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은 상술한 팔라듐 촉매, 염기 및 포스핀계 화합물의 조합을 사용하는 경우에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의 사용 없이 통상적으로 알려진 반응기에서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대량 생산하기 위한 공정으로 상기 단계 1)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응이 종결된 이후에, 제조된 상기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정제하거나 분리하는 공정 없이, 단계 1과 후술하는 단계 2까지의 공정이 동일한 반응 용기 내에서 인-시츄(In-situ)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단계 1에서 화합물의 정제 및 분리 공정을 요하지 않으므로, 상기 단계 1을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은, 화합물의 산업적 대량 생산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단계 2)
상기 단계 2는, 상기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산 존재 하에 반응시켜, 상기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산 존재 하에서 상기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피페리딘 고리에 치환되어 있는 보호기인, tert-부틸옥시카르보닐기를 제거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2)의 반응에 사용되는 산으로는, 염산, 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중, 수율 및 원가를 고려할 때 염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의 용매로는 아세트산에틸, 메틸알콜, 다이옥산, 또는 톨루엔 등의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은 실온(room temperature)에서 30 분 내지 20 시간,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4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보호기인 tert-부틸옥시카르보닐기의 제거 반응은 추가적인 열처리 없이도 쉽게 일어나는 반응에 해당하여 실온에서 진행될 수 있다. 다만, 반응 시간이 30 분 미만인 경우에는 반응이 충분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고, 반응 시간이 20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조 수율이 실질적으로 증가하지 않아 상술한 반응 시간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반응이 종결된 이후, 필요에 따라, 상기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정제하기 위하여, 상기 반응의 생성물을 결정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화 단계에서는, 상기 반응의 생성물에 결정화 용매를 사용하여 결정화된 상기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한다. 다시 말하여, 단계 2)는 상기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산 존재 하에 반응시킨 다음 반응의 생성물을 결정화하여, 상기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정화 단계는 물에 의한 1차 결정화 및 메탄올에 의한 2차 결정화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단계 2)의 반응 종결 후에 생성된 반응의 생성물을 물 및 메탄올에 의해 순차적으로 결정화하는 경우, 반응 후 남아있는 부산물인 팔라듐 촉매, 리간드, 아미노티아졸 잔류물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틸 아세테이트와 같은 용매를 이용하여 슬러리 형태로 정제하는 공정이 비해, 고순도의 화합물을 높은 수율로 얻을 수 있다.
상기 물에 의한 1차 결정화 공정은, 상기 반응의 생성물에 물을 투입하여 약 0 내지 5℃ 온도에서 10분 내지 2 시간 동안 교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화는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 반응물의 pH를 11 이상, 또는 12 이상으로 유지하면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건 하에서 결정이 생성되면,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 여과하여 결정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물은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5 배 내지 30 배의 부피의 양(mL/g), 보다 구체적으로는, 5 배 내지 25 배의 부피의 양(mL/g)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얻어진 결정을 건조한 다음, 메탄올에 의한 2차 결정화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메탄올에 의한 2차 결정화 공정은, 얻어진 결정에 메탄올을 투입하여 약 50 내지 80℃ 온도에서 10분 내지 2 시간 동안 교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탄올은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5 배 내지 40 배의 부피의 양(mL/g), 보다 구체적으로는, 10 배 내지 35 배의 부피의 양(mL/g)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단계 3)
상기 단계 3은, 상기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반응은 아미드화 반응으로 염기의 존재 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1:0.5 내지 1:2.0의 몰비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1:0.5 내지 1:1.5, 1:0.7 내지 1:1.3, 또는 1:0.9 내지 1:1.1의 몰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계 3의 반응에 사용되는 염기로는, 탄산칼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리튬, 수산화칼륨,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탄산세슘, 탄산나트륨, 메틸산나트륨 및 부티르산칼륨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반응 완결 및 부산물 생성 측면에서,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또는 탄산수소칼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반응의 용매로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및 물의 혼합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은 상기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10 배 내지 40 배의 부피의 양(mL/g)으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물은 상기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2 배 내지 10 배의 부피의 양(mL/g)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또는 트리에틸아민과 혼합된 상태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는 화합물 내 잔류하는 소량의 염산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염산이 반응에 참여하여 부산물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이중결합에 HCl이 첨가된 화합물 및 아크릴아미드의 이중결합에 HCl이 첨가된 화합물과 같은 불순물(이하, 불순물 C(ImpC))을 생성시켜, 최종 화합물의 순도를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상기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N,N-Diisopropylethylamine; DIPEA)과 함께 테트라하이드로퓨란과 같은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또는 트리에틸아민에 의해 상기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 내 잔류하는 소량의 염산이 미리 제거될 수 있어, 상기 불순물 C가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이 혼합된 용액 내에, 상기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은 상기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 1몰 대비 0.01 내지 0.2 몰로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범위에서, 상기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 내 염산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은 -10℃ 내지 1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0℃ 이하의 온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0℃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반응으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이합체(이하, 불순물 B(ImpB))가 제조될 수 있는데 저온으로 반응 진행시 이러한 불순물 B가 생성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0℃의 반응 온도, 보다 구체적으로는 -8 내지 -3℃의 반응 온도가 불순물 저감 및 제조 수율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반응 중 반응 온도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반응물 및 유기용매 등 반응 시약은 모두 0℃ 이하의 온도로 냉각한 다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반응이 종결된 이후, 필요에 따라, 반응 생성물을 추출, 감압 농축에 의한 정제 및 결정화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된 화합물을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다. 높은 순도의 화합물의 제조를 위해서는, 상기 반응 생성물을 추출, 정제 및 결정화하는 단계 모두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3의 반응이 종결된 이후, 상기 반응의 생성물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응의 생성물을 에틸아세테이트와 물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즉,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반응 종결 이후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을 이용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출하는 경우, 메틸렌클로라이드/물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경우에 비해,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로 분리되는 상대보존시간(relative retention time)이 1.0 미만인 불순물들을 물층으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틸아세테이트에 의한 추출 단계는 pH 6.5 내지 7.5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pH가 6.5보다 낮은 경우, 수율이 저하되는 저하될 우려가, pH가 7.5보다 높은 경우 불순물의 제거가 어려울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에틸아세테이트에 의한 추출 공정은 pH 7.0 내지 7.5의 범위에서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3은, 상기 반응의 생성물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용해시키는 단계; 제조된 용액에 인산 함유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및 제조된 혼합물을 여과후 여과물을 감압 농축하는 정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감압 농축 단계는 상기 에틸아세테이트에 의한 추출 공정 이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여, 상기 정제 단계는, 상기 에틸아세테이트에 의해 추출된 생성물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용해시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용액에 인산 함유 용액을 혼합하여, 인산염이 생성된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인산염이 생성된 혼합물을 여과후 여과물을 감압 농축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산 함유 용액은,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매에 인산이 용해되어 있는 것으로, 이때, 상기 인산은 상기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 1몰 대비 0.05 내지 0.5 몰로 용해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범위의 인산이 포함된 인산 함유 용액을 생성물에 투입하는 경우, 반응 중 생성되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결합된 화합물(이하, 불순물 A(ImpA))가 인산 음이온(PO4 3-)과 반응하여 인산염을 생성시키게 되는 데, 생성된 인산염은 여과하여 손쉽게 제거될 수 있어, 최종 제조되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내의 불순물 A의 함량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3은, 상기 반응의 생성물을 에틸아세테이트에 의해 결정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정화 단계는 상기 정제 공정 이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여, 상기 결정화 단계는, 상기 정제 공정 이후, 감압 농축된 생성물에 에틸아세테이트를 투입하여 약 20 내지 40℃ 온도에서 30 분 내지 4 시간 동안 교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조건 하에서 결정이 생성되면,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 건조하여, 최종 생성물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단계 3의 반응 생성물을 추출, 정제 및 결정화하는 단계 모두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경우, 상기 단계 3은 하기와 같은 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염기의 존재 하에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반응 생성물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
상기 에틸아세테이트에 의해 추출된 생성물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용해시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용액에 인산 함유 용액을 혼합하여, 인산염이 생성된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인산염이 생성된 혼합물을 여과 후 여과물을 감압 농축하는 단계; 및
상기 감압 농축물을 에틸아세테이트에 의해 결정화하는 단계.
이와 같이, 반응 이후 추가적인 추출, 정제 및 결정화하는 단계를 거치는 경우, RRT가 1.0 미만인 불순물(RRT<1.0), 불순물 A(ImpA), 불순물 B(ImpB) 및 불순물 C(ImpC)의 함량이 현저히 낮은 고순도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있고,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 및 참조예의 비교에서 확인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불순물 함량이 저감된 헤테로사이클릭아민 유도체를 높은 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당량(eq)은 각 단계에서 진행되는 반응에서의 출발 물질 대비 몰 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조예: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S)-tert-부틸 3-((6-클로로-4-(몰폴리노메틸)피리딘-2-일)아미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의 제조
(단계 a)
2,6-디클로로이소니코틴산(10.0 g, 1.0 eq)을 디메틸포름아미드(100.0 mL)에 용해시킨 후, 1,1-카보닐디이미다졸(1.0 g, 1.2 eq)을 가하였다. 질소 가스 하에서 1시간 실온(25~30 ℃) 교반한 후, 몰폴린(5.4 mL, 1.2 eq)을 가하고 2시간 동일 온도에서 교반하여 반응을 완결시켰다. 에틸아세테이트(200.0 mL)와 물(200.0 mL)을 가하여 추출하고 물층을 에틸아세테이트(200.0 mL)를 이용해서 3회 재추출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은 무수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헥산 = 1:5)로 정제하여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2,6-디클로로피리딘-4-일)(몰폴리노)메탄온(13.0 g, 93.0 %)을 수득하였다.
1H-NMR (500 MHz, CDCl3): 7.27(s, 2H), 3.77(m, 4H) 3.65(m, 2H), 3.37(m, 2H)
(단계 b)
단계 a에서 수득한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화합물(10.0 g, 1.0 eq)을 디클로로메탄(100.0 mL)에 용해시킨 후, 질소 가스 하에서 0 내지 10 ℃로 냉각하였다. 여기에, 1M 보란-테트로하이드로퓨란(115.0 mL, 3.0 eq)을 천천히 적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교반하여 반응을 완결시켰다. 반응액을 0 ~ 10 ℃ 로 냉각한 후, 6N-염산 수용액(256.0 mL, 20.0 eq)을 천천히 적가한 후, 같은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10N-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pH 9 내지 pH 12 로 조절한 후, 디클로로메탄으로 2회 추출하였다. 디클로로메탄층은 분리하여 무수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헥산 = 1:1)로 정제하여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4-((2,6-디클로로피리딘-4-일)메틸)몰폴린(8.1 g, 수율 90.0 %)을 수득하였다.
1H-NMR (500 MHz, CDCl3): 7.27(s, 2H), 3.72(m, 4H) 3.46(s, 2H), 2.45(m, 4H)
(단계 c)
단계 b에서 수득한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화합물(1.0 g, 1.0 eq)을 1,4-다이옥산(10.0 mL)에 용해시킨 후,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465.8 mg, 0.2 eq) 및 잔포스(1.5 g, 0.4 eq)를 투입하였다. 여기에, 화학식 1-c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S)-tert-부틸 3-아미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780.0 ㎕, 1.0 eq)을 가한 후, 탄산나트륨(1.3 g, 3.0 eq)을 투입한 후, 12시간 환류하여 반응을 완결시켰다. 이를 30℃ 이하로 냉각한 후, 물(20.0 mL)와 에틸아세테이트(20.0 mL)를 가한 후, 층분리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은 무수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헥산 = 1:1)로 정제하여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S)-tert-부틸 3-((6-클로로-4-(몰폴리노메틸)피리딘-2-일)아미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900.0 mg, 수율 54.1 %)를 수득하였다.
1H-NMR (500 MHz, CDCl3): 6.63(s, 1H), 6.31(s, 1H), 4.66-4.65(m,1H), 3.84-3.82(m, 1H) 3.75-3.70(m, 5H), 3.59-3.54(m, 1H), 3.37(s, 2H), 3.27-3.23(m, 2H), 2.46(t, 4H), 1.98-1.94(m, 1H), 1.73(s, 1H), 1.63-1.56(m, 2H), 1.50(s, 9H)
실시예: (S)-1-(3-((6-((5-메틸티아졸-2-일)아미노)-4-(몰폴리노메틸)피리딘-2-일)아미노)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의 제조
(단계 1)
플라스크에 제조예에서 수득한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50.0 g, 1.0 eq), 상기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화합물(16.7 g, 1.2 eq),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 (11.1 g, 0.1 eq), 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2,2′-bis(diphenylphosphino)-1,1′-binaphthyl; BINAP)(30.3 g, 0.4 eq), 탄산세슘(118.9 g, 3.0 eq) 및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20 배의 부피의 톨루엔 1000 mL를 투입하고 실온에서 10분간 교반하였다. 상기 플라스크 내부온도를 110℃로 승온한 후 105~111℃ 온도 범위에서 8 시간 교반하여 반응을 완결하였다. 얻어진 잔사에서 celite 여과를 통해 촉매 및 생성된 무기염을 제거하였다. 이후,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고, 여기에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5 배의 부피의 정제수 250 mL,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20 배의 부피의 에틸 아세트산 1000 mL를 투입하여 유기층을 추출하였다. 여기서 발생된 수층은 폐기하였다. 그 다음, 40~45℃에서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여, 상기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였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하기 단계 2에 이어서 사용하였다.
1H-NMR (500 MHz, DMSO): 10.51(s, 1H), 6.93(s, 1H) 6.40(s, 1H), 6.06(s, 1H), 5.98(s, 1H), 4.01(s, 2H), 3.55(s, 5H), 3.21(s, 4H), 2.32(s, 4H), 2.24(s, 3H), 1.97(s, 1H), 1.72(s, 1H), 1.32(br s, 2H),1.15(s, 9H)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A) 500 mL 및 6N-HCl(250 mL, 5.0 eq)을 투입한 후 실온에서 2 시간 교반하여, 반응을 완결시켰다.
물 및 메탄올에 의한 결정화 공정
이어서, 물층을 추출하고, 유기층에 정제수 1000 mL(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20 배의 부피의 양(mL/g))를 투입하여 2차 추출하였다. 1차 및 2차에서 얻어진 물층을 합쳐서 ice-bath를 사용하여 내부온도 0~5 ℃를 유지하며, 약 30 분간 4N-NaOH 700 mL(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14 배의 부피의 양(mL/g))을 투입하여 pH 12 이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에 따라 생성된 결정을 감압 여과하고, 그 여과물을 정제수 500 mL(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10 배의 부피의 양(mL/g))를 및 헥산 500 mL(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10 배의 부피의 양(mL/g))로 세척하였다. 이때 세척된 여과물을 건조기에 넣은 후, 40~45℃의 온도에서 12 시간 이상 진공 건조한 다음 메탄올 1.65 L(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33 배의 부피의 양(mL/g))에 투입하여 내부온도 65℃에서 약 30분간 교반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이에 따라 생성된 결정을 감압 여과하고 얻어진 여과물을 건조기에 넣은 후, 40~45℃의 온도에서 12시간 이상 진공 건조하여, 상기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 28.5 g을 수득하였다(수율: 60.3%(단계 1 및 2 포함)).
1H-NMR (500 MHz, DMSO): 10.47 (s, 1H), 6.93(s, 1H) 6.28(d, 1H), 6.02(s, 1H), 5.94(s, 1H), 3.91(s, 1H), 3.56 (s, 4H), 3.20 (s, 2H), 3.06 (d, 1H), 2.79 (d, 1H), 2.44-2.42 (m, 1H), 2.37-2.34 (m, 1H), 2.32(s, 3H), 2.28(s, 4H), 2.03-2.01(m, 2H), 1.63-1.60(m, 1H), 1.44-1.42 (m, 1H), 1.30-1.28 (m, 1H)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5.0 g, 1.0 eq)에 THF 90.0 mL(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18 배의 부피의 양(mL/g)) 및 H2O 20.0 mL(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4 배의 부피의 양(mL/g))을 가하여 실온에서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외부 온도 -8~-5℃ bath(ice, H2O, MeOH 혼합)를 이용하여 내부 온도를 -8~-3℃ 로 냉각시킨 후, K2CO3(2.6 g, 1.5 eq)을 가하여 용해시켰다. 여기에, -8~-3℃ 로 냉각한 THF 5 mL에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N,N-Diisopropylethylamine; DIPEA)(111.5 ㎕. 0.05 eq)과 상기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1.1 mL, 1.05 eq)을 혼합한 용액을 내부 온도 -8~-3℃에서 적가하였다. 이를, -8~-3℃에서 0.5시간 교반하여 반응을 완결시켰다.
에틸아세테이트에 의한 추출 공정
반응이 완결된 반응 용기에, -8~-3℃ 온도의 에틸아세테이트 100.0 mL(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20 배의 부피의 양(mL/g))와 포화된 NH4Cl 수용액 50.0 mL(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10 배의 부피의 양(mL/g))을 가한 후, 층분리하여 유기층만을 분리하였다. 이후, 수층에 -8~-3℃ 온도의 에틸아세테이트 50.0 mL(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10 배의 부피의 양(mL/g))를 가하여 재추출한 후, 유기층만을 모아 외부 온도 35℃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8~-3℃ 온도의 에틸아세테이트 100.0 mL(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20 배의 부피의 양(mL/g))와 0~5℃ 온도의 H2O 50.0 mL(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10 배의 부피의 양(mL/g))를 가한 후, 1N-HCl 용액으로 pH 7.0~7.5가 되도록 조절한 후, 2회 층분리하였다. 분리된 유기층을 모아 Na2SO4 로 건조한 후, 외부 온도 35℃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인산(H
3
PO
4
)에 의한 정제 공정
여기에, -8~-3℃ 온도의 THF 90.0 mL(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18 배의 부피의 양(mL/g))를 투입하고 용해되도록 하였다. 이후, H3PO4(9.3 g, 0.095 eq)를 -8~-3℃ 온도의 THF 5.0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8~-3℃ 온도에서 적가한 다음, 이를 30분동안 교반하였다. Celite 여과하여 염을 제거한 후, 여액에 H3PO4(8.3 g, 0.085 eq)를 -8~-3℃ 온도의 THF 5.0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적가한 다음, 이를 -8~-3℃ 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Celite 여과하여 염을 제거한 후, 여과물을 외부 온도 35℃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8~-3℃ 온도의 메틸렌 클로라이드(MC) 25.0 mL(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5 배의 부피의 양(mL/g))와 0~5℃ 온도의 H2O 10.0 mL(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2 배의 부피의 양(mL/g))를 가하여 pH 9.0~9.5로 조절한 다음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유기층에 Na2SO4를 가하여 건조한 후, 외부 온도 35℃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에 의한 결정화 공정
여기에, 에틸아세테이트 75.0 mL(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15 배의 부피의 양(mL/g))를 가한 후, 결정이 생성되면, 20~30℃에서 2시간 교반하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감압 건조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S)-1-(3-((6-((5-메틸티아졸-2-일)아미노)-4-(몰폴리노메틸)피리딘-2-일)아미노)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3.4 g을 수득하였다(수율 60.0%).
1H NMR(500 MHz, DMSO): 10.57(m, 1H), 6.91-6.90(m, 1H), 6.80-6.85(m, 0.5H), 6.70-6.40(m, 1.5H), 6.10-5.96(m, 3H), 5.65-5.63(d, 0.5H), 5.42-5.40(d, 0.5H), 4.42-4.40(m, 0.5H), 4.10-4.0(m, 1H), 3.90-3.87(m, 1.5H), 3.56(m, 4H), 3.20(s, 2H), 3.14-3.10(m, 1H), 2.68-2.63(m, 0.5H), 2.32(m, 4H), 2.19(s, 3H), 1.90-2.0(m, 1H), 1.80(m, 1H), 1.50-1.40(m, 2.5H)
참조예 1
(단계 1)
제조예에서 수득한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730.0 mg, 1.0 eq)을 1,4-다이옥산(14.0 mL)에 용해하였다. 팔라듐아세테이트(40.0 mg, 0.1 eq), 잔포스(204.7 mg, 0.2 eq), 상기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화합물(203.6 mg, 1.0 eq), 탄산세슘(1.7 g, 3.0 eq)를 차례로 가하였다.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150 ℃, 30분 반응시켰다. 30℃ 이하로 냉각한 후, 물(15.0 mL)과 에틸아세테이트(15.0 mL)를 가한 후, 층분리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은 무수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100%)로 정제하여 상기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564.0 mg을 수득하였다(수율 65.0 %).
1H-NMR (500 MHz, DMSO): 10.51(s, 1H), 6.93(s, 1H) 6.40(s, 1H), 6.06(s, 1H), 5.98(s, 1H), 4.01(s, 2H), 3.55(s, 5H), 3.21(s, 4H), 2.32(s, 4H), 2.24(s, 3H), 1.97(s, 1H), 1.72(s, 1H), 1.32(br s, 2H),1.15(s, 9H)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수득한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500.0 mg, 1.0 eq)을 다이클로로메탄(10.0 mL)에 용해한 후, 0~10℃로 냉각하였다. 여기에, 트리클로로아세트산(1.6 mL, 20.0 eq)을 천천히 적가한 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12N-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pH 9~12로 조절한 후, 분리된 다이클로로메탄층은 무수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에 에틸아테세이트(10.0 mL)를 가하여 30분 동안 결정을 생성시켰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한 후, 건조하여 상기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 357.5 mg을 수득하였다(수율: 90.0 %).
1H-NMR (500 MHz, DMSO): 10.47 (s, 1H), 6.93(s, 1H) 6.28(d, 1H), 6.02(s, 1H), 5.94(s, 1H), 3.91(s, 1H), 3.56 (s, 4H), 3.20 (s, 2H), 3.06 (d, 1H), 2.79 (d, 1H), 2.44-2.42 (m, 1H), 2.37-2.34 (m, 1H), 2.32(s, 3H), 2.28(s, 4H), 2.03-2.01(m, 2H), 1.63-1.60(m, 1H), 1.44-1.42 (m, 1H), 1.30-1.28 (m, 1H)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수득한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350.0 mg, 1.0 eq)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7.0 mL)에 용해한 후, 물(7.0 mL)을 가하고 중탄산 나트륨(226.8 mg, 3.0 eq)을 가한 후, 0~10℃로 냉각하였다. 상기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73.1 ㎕. 1.0 eq )을 천천히 적가한 후, 30분 동안 교반하여 반응을 완결시켰다. 이를, 다이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층분리한 후, 무수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다이클로로메탄:메탄올 = 15:1)로 정제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318.0 mg을 수득하였다(수율: 60.0%).
1H NMR(500 MHz, DMSO): 10.57(m, 1H), 6.91-6.90(m, 1H), 6.80-6.85(m, 0.5H), 6.70-6.40(m, 1.5H), 6.10-5.96(m, 3H), 5.65-5.63(d, 0.5H), 5.42-5.40(d, 0.5H), 4.42-4.40(m, 0.5H), 4.10-4.0(m, 1H), 3.90-3.87(m, 1.5H), 3.56(m, 4H), 3.20(s, 2H), 3.14-3.10(m, 1H), 2.68-2.63(m, 0.5H), 2.32(m, 4H), 2.19(s, 3H), 1.90-2.0(m, 1H), 1.80(m, 1H), 1.50-1.40(m, 2.5H)
참조예 2
(단계 1 및 2)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단계 1 및 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수득한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350.0 mg, 1.0 eq)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7.0 mL)에 용해한 후, 물(7.0 mL)을 가하고 중탄산 나트륨(226.8 mg, 3.0 eq)을 가한 후, 0~10℃로 냉각하였다. 상기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73.1 ㎕. 1.0 eq )을 천천히 적가한 후, 30분 동안 교반하여 반응을 완결시켰다. 이를, 다이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층분리한 후, 무수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에 에틸아세테이트를 잔사 중량 대비 20 배의 부피의 양(mL/g)만큼 가한 후,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여 결정을 생성시켰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 후, 실온에서 감압 건조한 다음, 여기에 디메톡시에탄을 결정 중량 대비 15배의 부피의 양(mL/g)만큼 가한 후, 환류하여 용해하고 실온으로 서서히 냉각 후, 2시간 교반하여 결정을 생성시켰다. 이를 여과 후, 실온 감압 건조하여 6번 물질을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0.12 g을 수득하였다(수율 30.0%)
1H NMR(500 MHz, DMSO): 10.57(m, 1H), 6.91-6.90(m, 1H), 6.80-6.85(m, 0.5H), 6.70-6.40(m, 1.5H), 6.10-5.96(m, 3H), 5.65-5.63(d, 0.5H), 5.42-5.40(d, 0.5H), 4.42-4.40(m, 0.5H), 4.10-4.0(m, 1H), 3.90-3.87(m, 1.5H), 3.56(m, 4H), 3.20(s, 2H), 3.14-3.10(m, 1H), 2.68-2.63(m, 0.5H), 2.32(m, 4H), 2.19(s, 3H), 1.90-2.0(m, 1H), 1.80(m, 1H), 1.50-1.40(m, 2.5H)
참조예 3
(단계 1 및 2)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단계 1 및 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2.34 g, 1.0 eq)에 THF 46.8 mL(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20 배의 부피의 양(mL/g)) 및 H2O 9.4 mL(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4 배의 부피의 양(mL/g))을 가하여 실온에서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외부 온도 0~5℃ bath(ice, H2O 혼합)를 이용하여 내부 온도를 0~5℃로 냉각시킨 후, NaHCO3(1.51 g, 3.0 eq)을 가하여 용해시켰다. 여기에, 상기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0.51 mL, 1.05 eq)를 혼합한 용액을 내부 온도 0~5℃에서 적가하였다. 이를, 0~5℃에서 0.5시간 교반하여 반응을 완결시켰다.
에틸아세테이트에 의한 추출 공정
반응이 완결된 반응 용기에, 에틸아세테이트 46.8 mL(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20 배의 부피의 양(mL/g))와 H2O 23.4 mL(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10 배의 부피의 양(mL/g))을 가한 후, 층분리하여 유기층만을 분리하였다. 이후, 수층에 에틸아세테이트 23.4 mL(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10 배의 부피의 양(mL/g))를 가하여 재추출한 후, 유기층만을 모아 외부 온도 40℃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46.8 mL(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20 배의 부피의 양(mL/g))와 H2O 23.4 mL(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10 배의 부피의 양(mL/g))를 가한 후, 1N-HCl 용액으로 pH 7.0~7.5이 되도록 조절한 후, 2회 층분리하였다. 분리된 유기층을 모아 Na2SO4 로 건조한 후, 외부 온도 40℃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에 의한 결정화 공정
여기에, 에틸아세테이트 46.8 mL(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20 배의 부피의 양(mL/g))를 가한 후, 결정이 생성되면, 20~30℃ 에서 2시간 교반하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감압 건조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S)-1-(3-((6-((5-메틸티아졸-2-일)아미노)-4-(몰폴리노메틸)피리딘-2-일)아미노)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1.75 g을 수득하였다(수율 68.9%).
디메톡시에탄에 의한 결정화 공정
에틸아세테이트에 의한 결정 0.5 g 에 디메톡시에탄 7.5 mL(에틸아세테이트에 의한 결정의 중량 대비 15 배의 부피의 양(mL/g))를 가한 후, 50~60℃ 에서 용해시킨 후, 20~30℃ 로 자연 냉각 시켜 결정을 생성시켰다. 결정 생성 후, 20~30℃ 에서 2시간 교반하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은 여과물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감압 건조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S)-1-(3-((6-((5-메틸티아졸-2-일)아미노)-4-(몰폴리노메틸)피리딘-2-일)아미노)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0.25 g을 수득하였다(수율 35%).
1H NMR(500 MHz, DMSO): 10.57(m, 1H), 6.91-6.90(m, 1H), 6.80-6.85(m, 0.5H), 6.70-6.40(m, 1.5H), 6.10-5.96(m, 3H), 5.65-5.63(d, 0.5H), 5.42-5.40(d, 0.5H), 4.42-4.40(m, 0.5H), 4.10-4.0(m, 1H), 3.90-3.87(m, 1.5H), 3.56(m, 4H), 3.20(s, 2H), 3.14-3.10(m, 1H), 2.68-2.63(m, 0.5H), 2.32(m, 4H), 2.19(s, 3H), 1.90-2.0(m, 1H), 1.80(m, 1H), 1.50-1.40(m, 2.5H)
참조예 4
(단계 1 및 2)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단계 1 및 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288.0 g, 1.0 eq)에 THF 5760.0 mL(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20 배의 부피의 양(mL/g)) 및 H2O 1152.0 mL(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4 배의 부피의 양(mL/g))을 가하여 실온에서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외부 온도 0~5℃ bath(ice, H2O 혼합)를 이용하여 내부 온도를 0~5℃로 냉각시킨 후, NaHCO3(186.0 g, 3.0 eq)을 가하여 용해시켰다. 여기에, 상기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63.0 mL, 1.05 eq)를 혼합한 용액을 내부 온도 0~5℃에서 적가하였다. 이를, 0~5℃에서 0.5 시간 교반하여 반응을 완결시켰다.
에틸아세테이트에 의한 추출 공정
반응이 완결된 반응 용기에, 에틸아세테이트 5760.0 mL(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20 배의 부피의 양(mL/g))와 H2O 2880.0 mL(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10 배의 부피의 양(mL/g))을 가한 후, 층분리하여 유기층만을 분리하였다. 이후, 수층에 에틸아세테이트 1440.0 mL(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5 배의 부피의 양(mL/g))를 가하여 재추출한 후, 유기층만을 모아 외부 온도 40℃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5760.0 mL(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20 배의 부피의 양(mL/g))와 H2O 2880.0 mL(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10 배의 부피의 양(mL/g))를 가한 후, 1N-HCl 용액으로 pH 7.0~7.5이 되도록 조절한 후, 2회 층분리하였다. 분리된 유기층을 모아 Na2SO4 로 건조한 후, 외부 온도 40℃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인산(H
3
PO
4
)에 의한 정제 공정
여기에 THF 5184.0 mL(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18 배의 부피의 양(mL/g))를 투입하고 용해되도록 하였다. 이후, H3PO4(6.8 g, 0.095 eq)를 THF 288.0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적가한 다음, 이를 30 분동안 교반하였다. Celite 여과하여 염을 제거한 후, 여액에 H3PO4(6.1 g, 0.085 eq)을 THF 288.0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적가한 다음, 이를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Celite 여과하여 염을 제거한 후, 외부 온도 40℃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에 의한 결정화 공정
여기에, 에틸아세테이트 5760.0 mL(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20 배의 부피의 양(mL/g))를 가한 후, 결정이 생성되면, 20~30℃ 에서 2시간 교반하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감압 건조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S)-1-(3-((6-((5-메틸티아졸-2-일)아미노)-4-(몰폴리노메틸)피리딘-2-일)아미노)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195.5 g을 수득하였다(수율 60.0%).
1H NMR(500 MHz, DMSO): 10.57(m, 1H), 6.91-6.90(m, 1H), 6.80-6.85(m, 0.5H), 6.70-6.40(m, 1.5H), 6.10-5.96(m, 3H), 5.65-5.63(d, 0.5H), 5.42-5.40(d, 0.5H), 4.42-4.40(m, 0.5H), 4.10-4.0(m, 1H), 3.90-3.87(m, 1.5H), 3.56(m, 4H), 3.20(s, 2H), 3.14-3.10(m, 1H), 2.68-2.63(m, 0.5H), 2.32(m, 4H), 2.19(s, 3H), 1.90-2.0(m, 1H), 1.80(m, 1H), 1.50-1.40(m, 2.5H)
참조예 5
(단계 1 및 2)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단계 1 및 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15.0 g, 1.0 eq)에 THF 270.0 mL(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18배의 부피의 양(mL/g)) 및 H2O 60.0 mL(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4 배의 부피의 양(mL/g))을 가하여 실온에서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외부 온도 0~5℃bath(ice, H2O 혼합)를 이용하여 내부 온도를 0~5℃로 냉각시킨 후, K2CO3(8.0 g, 1.5 eq)을 가하여 용해시켰다. 여기에, 0~5℃로 냉각한 THF에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N,N-Diisopropylethylamine; DIPEA)(334.4㎕. 0.05 eq)과 상기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3.3 mL, 1.05 eq)을 혼합한 용액을 내부 온도 0~5℃에서 적가하였다. 이를, 0~5℃에서 0.5 시간 교반하여 반응을 완결시켰다.
에틸아세테이트에 의한 추출 공정
반응이 완결된 반응 용기에, 0~5℃ 온도의 에틸아세테이트 300.0 mL(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20 배의 부피의 양(mL/g))와 0~5℃ 온도의 H2O 150.0 mL(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10 배의 부피의 양(mL/g))을 가한 후, 층분리하여 유기층만을 분리하였다. 이후, 수층에 에틸아세테이트 75.0 mL(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5 배의 부피의 양(mL/g))를 가하여 재추출한 후, 유기층만을 모아 외부 온도 40℃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0~5℃ 온도의 에틸아세테이트 300.0 mL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20 배의 부피의 양(mL/g))와 H2O 150.0 mL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10 배의 부피의 양(mL/g))를 가한 후, 1N-HCl 용액으로 pH 7.0~7.5이 되도록 조절한 후, 2회 층분리하였다. 분리된 유기층을 모아 Na2SO4 로 건조한 후, 외부 온도 35℃ 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인산(H
3
PO
4
)에 의한 정제 공정
여기에 0~5℃ THF 270.0 mL(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18 배의 부피의 양(mL/g))를 투입하고 용해되도록 하였다. 이후, H3PO4(0.36 g, 0.095 eq)를 THF 15.0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적가한 다음, 이를 30분동안 교반하였다. Celite 여과하여 염을 제거한 후, 여액에 H3PO4(0.32 g, 0.085 eq)을 THF 15.0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적가한 다음, 이를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Celite 여과하여 염을 제거한 후, 외부 온도 35℃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에 의한 결정화 공정
여기에, 에틸아세테이트 225.0 mL(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대비 15 배의 부피의 양(mL/g))를 가한 후, 결정이 생성되면, 20~30℃ 에서 2시간 교반하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감압 건조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S)-1-(3-((6-((5-메틸티아졸-2-일)아미노)-4-(몰폴리노메틸)피리딘-2-일)아미노)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10.2g을 수득하였다(수율 60.0%).
1H NMR(500 MHz, DMSO): 10.57(m, 1H), 6.91-6.90(m, 1H), 6.80-6.85(m, 0.5H), 6.70-6.40(m, 1.5H), 6.10-5.96(m, 3H), 5.65-5.63(d, 0.5H), 5.42-5.40(d, 0.5H), 4.42-4.40(m, 0.5H), 4.10-4.0(m, 1H), 3.90-3.87(m, 1.5H), 3.56(m, 4H), 3.20(s, 2H), 3.14-3.10(m, 1H), 2.68-2.63(m, 0.5H), 2.32(m, 4H), 2.19(s, 3H), 1.90-2.0(m, 1H), 1.80(m, 1H), 1.50-1.40(m, 2.5H)
BTK 및 ITK에 대한 저해 활성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BTK 및 ITK에 대한 저해 활성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BTK에 대한 저해활성 평가는 Promega사의 'ADP-Glo™ + BTK Kinase enzyme system' kit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White 96-well plate에서 최종농도가 10 ng/㎖ 이 되도록 준비한 BTK 효소 10 ㎕와 화합물의 단일 농도 평가일 경우 최종농도가 1 uM, IC50 평가일 경우 1000, 200, 40, 8, 1.6, 0.32 nM 농도의 화합물 5 ㎕를 섞은 뒤 상온에서 15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plate에 substrate 5 ㎕와 최종 농도가 10 uM이 되도록 준비한 ATP 5 ㎕를 넣은 뒤, 30℃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plate의 모든 well에 ADP-Glo™ reagent를 25 ㎕ 처리하여 30℃에서 40분 반응시켰다. 그 뒤, 모든 well에 kinase detection buffer를 50 ㎕ 처리한 뒤, 빛을 차단하여 실온에서 30분 반응시켰다. 모든 반응이 끝난 plate는 luminescence를 측정하여 결과를 산출하였다. 평가는 duplicate로 진행하였으며, 화합물의 처리 없이 효소의 첨가 여부에 따라 negative control과 positive control을 산출하여, 그 값을 기준으로 IC50을 계산하였다.
또한, ITK에 대한 저해활성 평가는 Promega사의 'ADP-Glo™ + ITK Kinase enzyme system' kit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White 96-well plate에서 최종농도가 4 ng/㎖ 가 되도록 준비한 ITK 효소 10 ㎕와 단일 농도 평가일 경우 최종농도가 1 uM, IC50 평가일 경우 1000, 200, 40, 8, 1.6, 0.32 nM 농도의 화합물 5 ㎕를 섞은 뒤 상온에서 15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plate에 substrate 5 ㎕와 최종 농도가 25 uM이 되도록 준비한 ATP 5 ㎕를 넣은 뒤, 30℃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plate의 모든 well에 ADP-Glo™ reagent를 25 ㎕ 처리하여 30℃에서 40분 반응시켰다. 그 뒤, 모든 well에 kinase detection buffer를 50 ㎕ 처리한 뒤, 빛을 차단하여 실온에서 30분 반응시켰다. 모든 반응이 끝난 plate는 luminescence를 측정하여 결과를 산출하였다. 평가는 duplicate로 진행하였으며, 화합물의 처리 없이 효소의 첨가 여부에 따라 negative control과 positive control을 산출하여, 그 값을 기준으로 IC50을 계산하였다.
계산 결과, 실시예에서 제조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BTK에 대한 저해 활성(BTK IC50)은 0.4 nM ~ 1.4 nM이었고, ITK에 대한 저해 활성(ITK IC50)은 1.0 nM ~ 1.7 nM이었다. 이로써,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우수한 BTK 및 ITK 이중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및 참조예 2 내지 5의 비교
상기 실시예 및 참조예 2 내지 5의 제조방법에서 제조되는 최종 화합물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제조 시 같이 생성되는 불순물을 확인하기 위하여,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사용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조건으로 상대보존시간(relative retention time; RRT)에 따라 불순물을 분리하였고, 그 결과를 단계 3의 수율과 함께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column | Capcell Pak C18, 250 x 4.6 mm, 5 ㎛ |
Mobile phase A | 20 mM Ammonium acetate |
Mobile phase B | 100 % Acetonitrile |
UV | 280 nm |
column temp. | 30℃ |
Flaw rate | 1 ml/min |
Sample preparation |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10 mg / MeOH 25ml |
Gradient |
|
1) RRT가 1.0 미만인 불순물(RRT<1.0)
2) RRT가 1.17인 불순물 A(ImpA):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결합된 화합물)
3) RRT가 1.37인 불순물 B(ImpB):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dimer
4) RRT가 1.18인 불순물 C(ImpC):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이중결합에 HCl이 첨가된 화합물 및 아크릴아미드의 이중결합에 HCl이 첨가된 화합물
단계 3 수율 |
순도 | RRT<1.0 | ImpA | ImpB | ImpC | |
실시예 | 60% | 99.74% | < 0.1% | < 0.1% | < 0.1% | 0% |
참조예 2 | 30% | 98.00% | 0.5% | 0.5% | - | 0.4% |
참조예 3 | 35% | 98.00% | < 0.1% | 0.6% | 0.13% | 0.08% |
참조예 4 | 60% | 99.00% | < 0.1% | < 0.1% | 0.30% | 0.50% |
참조예 5 | 60% | 99.39% | < 0.1% | < 0.1% | 0.30% | 0% |
상기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공정에 의해 화합물 제조 시, 상술한 참조예 1 공정에 추가적으로 1차 및 2차 결정화에 의한 화합물의 분리 및 정제를 실시한 참조예 2 공정 대비, 모든 종류의 불순물이 저감된 고순도의 화합물을 높은 수율로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공정에 의해 화합물 제조 시, 실시예 공정에서의 단계 3에서의 일부 공정을 변경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한 참조예 3 내지 5 공정 대비, 불순물이 저감된 고품질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ⅰ) 단계 3의 반응에서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을 사용하면서, (ⅱ) 단계 3의 반응 온도를 -8 내지 -3℃로 조절하고, (ⅲ) 에틸아세테이트(EA)에 의한 결정화를 통해 최종 화합물을 분리한 실시예 공정에 따라 제조된 화합물은,
(ⅰ) 단계 3의 반응에서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을 사용하지 않고, (ⅱ) 단계 3의 반응 온도를 0 내지 5℃로 조절하면서, (ⅲ) 에틸아세테이트(EA) 및 디메톡시에탄(DME)에 의한 결정화를 통해 최종 화합물을 분리한 참조예 3 공정에 따라 제조된 화합물 대비, 불순물 A(ImpA), 불순물 B(ImpB) 및 불순물 C(ImpC)의 함량이 낮음을 알 수 있고,
(ⅰ) 단계 3의 반응에서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을 사용하지 않고, (ⅱ) 단계 3의 반응 온도를 0 내지 5℃로 조절하면서, (ⅲ) 에틸아세테이트(EA)에 의한 결정화를 통해 최종 화합물을 분리한 참조예 4 공정에 따라 제조된 화합물 대비, 불순물 B(ImpB) 및 불순물 C(ImpC)의 함량이 낮음을 알 수 있고,
(ⅰ) 단계 3의 반응에서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을 사용하였으나, (ⅱ) 단계 3의 반응 온도를 0 내지 5℃로 조절하고, (ⅲ) 에틸아세테이트(EA)에 의한 결정화를 통해 최종 화합물을 분리한 참조예 5 공정에 따라 제조된 화합물 대비, 불순물 B(ImpB)의 함량이 낮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참조예 1 및 참조예 2의 비교
상기 실시예, 참조예 1 및 참조예 2의 제조 방법의 각 단계의 수율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단계 1 & 2 | 단계 3 | 총수율 | 최종순도 | |||
수율 | 순도 | 수율 | 순도 | |||
실시예 | 60.3% | 99.8% | 60.0% | 99.74% | 36.0% | 99.74% |
참조예 1 | 58.5% | - | 60.0% | 98.00% | 35.1% | 98.00% |
참조예 2 | 58.5% | - | 30.0% | 98.00% | 17.6% | 98.00% |
상기 표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공정에 의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제조 시, 마이크로웨이브 기기가 요구되고 제조되는 화합물의 분리 및 정제가 컬럼을 통해 이루어지는 참조예 1 공정과 달리, 단계 1 및 단계 2가 인-시츄(In-situ)하게 이루어지고, 결정화를 통해 화합물의 분리 및 정제가 이루어져 산업적으로 생산에 유리하면서도, 참조예 1 공정 대비 수율의 저하가 없음이 확인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 공정은, 화합물의 최종 순도를 높이기 위해 참조예 1 공정 이후 1차 및 2차 결정화에 의해 화합물의 분리 및 정제를 추가로 실시하는 참조예 2 공정에 비해서도, 현저히 높은 수율로 최종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공정에 의해, 고품질을 갖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산업적 대량 생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17)
1)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팔라듐 촉매 및 염기의 존재 하에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하기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산 존재 하에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하기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염기의 존재 하에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또는 트리에틸아민과 혼합된 상태로 투입되고,
상기 단계 3)에서, 상기 염기는 탄산칼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리튬, 수산화칼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탄산세슘, 탄산나트륨, 메틸산나트륨 및 부티르산칼륨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단계 3)의 반응은 -10℃ 이상 0℃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
[화학식 1]
[화학식 1-1]
[화학식 1-2]
[화학식 1-3]
[화학식 1-4]
[화학식 1-5]
.
2) 하기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산 존재 하에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하기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염기의 존재 하에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또는 트리에틸아민과 혼합된 상태로 투입되고,
상기 단계 3)에서, 상기 염기는 탄산칼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리튬, 수산화칼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탄산세슘, 탄산나트륨, 메틸산나트륨 및 부티르산칼륨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단계 3)의 반응은 -10℃ 이상 0℃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
[화학식 1]
[화학식 1-1]
[화학식 1-2]
[화학식 1-3]
[화학식 1-4]
[화학식 1-5]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1:0.1 내지 1:2의 몰비로 사용되는,
제조 방법.
상기 단계 1)에서,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1:0.1 내지 1:2의 몰비로 사용되는,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 상기 팔라듐 촉매는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O), 비스[트리스(2-메틸페닐)포스핀]팔라듐 및 팔라듐(II) 아세테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제조 방법.
상기 단계 1)에서, 상기 팔라듐 촉매는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O), 비스[트리스(2-메틸페닐)포스핀]팔라듐 및 팔라듐(II) 아세테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 상기 염기는 탄산세슘,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소듐 터트-부톡사이드 및 칼륨 터트-부톡사이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제조 방법.
상기 단계 1)에서, 상기 염기는 탄산세슘,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소듐 터트-부톡사이드 및 칼륨 터트-부톡사이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반응은, 80℃ 내지 150℃의 온도에서 3 시간 내지 15 시간 동안 수행되는,
제조 방법.
상기 단계 1)의 반응은, 80℃ 내지 150℃의 온도에서 3 시간 내지 15 시간 동안 수행되는,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산은 염산인,
제조 방법.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산은 염산인,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반응의 생성물을 결정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반응의 생성물을 결정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 단계는 물에 의한 1차 결정화 및 메탄올에 의한 2차 결정화로 수행되는,
제조 방법.
상기 결정화 단계는 물에 의한 1차 결정화 및 메탄올에 의한 2차 결정화로 수행되는,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 상기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1:0.5 내지 1:2.0의 몰비로 사용되는,
제조 방법.
상기 단계 3)에서, 상기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1:0.5 내지 1:2.0의 몰비로 사용되는,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 상기 염기는 탄산칼륨인,
제조 방법.
상기 단계 3)에서, 상기 염기는 탄산칼륨인,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 상기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상기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과 혼합된 상태로 투입되고,
상기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상기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이 혼합된 용액 내에, 상기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은 상기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 1몰 대비 0.01 내지 0.2 몰로 포함되는,
제조 방법.
상기 단계 3)에서, 상기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상기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과 혼합된 상태로 투입되고,
상기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상기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이 혼합된 용액 내에, 상기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은 상기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 1몰 대비 0.01 내지 0.2 몰로 포함되는,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의 반응은 -8℃ 내지 -3℃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제조 방법.
상기 단계 3)의 반응은 -8℃ 내지 -3℃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 상기 반응의 생성물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상기 단계 3)에서, 상기 반응의 생성물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단계는 pH 6.5 내지 7.5에서 수행되는,
제조 방법.
상기 추출 단계는 pH 6.5 내지 7.5에서 수행되는,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은, 상기 반응의 생성물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용해시키는 단계; 제조된 용액에 인산 함유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및 제조된 혼합물을 여과 후 여과물을 감압 농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상기 단계 3)은, 상기 반응의 생성물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용해시키는 단계; 제조된 용액에 인산 함유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및 제조된 혼합물을 여과 후 여과물을 감압 농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 함유 용액은, 상기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 1몰 대비 0.05 내지 0.5 몰의 인산이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용해된 것인,
제조 방법.
상기 인산 함유 용액은, 상기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 1몰 대비 0.05 내지 0.5 몰의 인산이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용해된 것인,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은, 상기 반응의 생성물을 에틸아세테이트에 의해 결정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상기 단계 3)은, 상기 반응의 생성물을 에틸아세테이트에 의해 결정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2180015867.2A CN115151537B (zh) | 2020-02-26 | 2021-02-26 | 制备杂环胺衍生物的方法 |
PCT/KR2021/002440 WO2021172922A1 (ko) | 2020-02-26 | 2021-02-26 | 헤테로사이클릭아민 유도체의 제조 방법 |
JOP/2022/0199A JOP20220199A1 (ar) | 2020-02-26 | 2021-02-26 | طريقة لتحضير مشتقات أمين حلقي غير متجانس |
MX2022010391A MX2022010391A (es) | 2020-02-26 | 2021-02-26 | Metodo de preparacion de derivados de amina heterociclica. |
JP2022551582A JP7447291B2 (ja) | 2020-02-26 | 2021-02-26 | ヘテロサイクリックアミン誘導体の製造方法 |
EP21761001.3A EP4112617A4 (en) | 2020-02-26 | 2021-02-26 | PROCESS FOR PREPARING HETEROCYCLIC AMINE DERIVATIVES |
US17/799,774 US20230094404A1 (en) | 2020-02-26 | 2021-02-26 | Method for preparation of heterocyclicamine derivatives |
BR112022016729A BR112022016729A2 (pt) | 2020-02-26 | 2021-02-26 | Método para preparação de derivados de heterociclicamina |
CONC2022/0011593A CO2022011593A2 (es) | 2020-02-26 | 2022-08-17 | Método de preparación de derivados de amina heterocíclica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23899 | 2020-02-26 | ||
KR1020200023899 | 2020-02-2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8908A KR20210108908A (ko) | 2021-09-03 |
KR102531088B1 true KR102531088B1 (ko) | 2023-05-10 |
Family
ID=77785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25655A KR102531088B1 (ko) | 2020-02-26 | 2021-02-25 | 헤테로사이클릭아민 유도체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31088B1 (ko)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13433B1 (ko) * | 2017-10-11 | 2023-12-13 | 주식회사 대웅제약 | 신규한 페닐피리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
-
2021
- 2021-02-25 KR KR1020210025655A patent/KR102531088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8908A (ko) | 2021-09-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368529B1 (en) | Heteroarylcarboxamide derivatives as plasma kallikrein inhibitors | |
EP3313849B1 (en) | New hydroxyacid derivatives,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 |
RU2734418C2 (ru) | Новые гидроксисложноэфирные производные,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е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их | |
KR102327917B1 (ko) | 신규한 4-아미노피라졸로[3,4-d]피리미디닐아자바이사이클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 |
EP4328230A2 (en) | Amino acid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 |
EP3813819A1 (en) | Inhibitors of cyclin-dependent kinases | |
WO2007042806A1 (en) | Pyrimidin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 |
JP2006522143A (ja) | プロテインキナーゼ阻害剤としての新規化合物および組成物 | |
AU2010228902A1 (en) |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logliptin | |
CN108473461B (zh) | 喹唑啉酮衍生物、其制备方法、药物组合物及应用 | |
CN112638910B (zh) | 新的杂环胺衍生物及包含其的药物组合物 | |
AU2013293974A1 (en) | Method for Producing 4-[5-(Pyridin-4-yl)-1H-1,2,4-Triazol-3-yl]Pyridin-2-Carbonitrile, and Intermediate thereof | |
JP3269574B2 (ja) | メタノアントラセン化合物、これを含有する神経精神障害を治療するための調剤学的組成物、およびこの化合物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中間体 | |
CA2719394A1 (en) | Hydroxyquinoxalinecarboxamide derivative | |
KR102531088B1 (ko) | 헤테로사이클릭아민 유도체의 제조 방법 | |
KR20190085114A (ko) | Gsk-3 억제제 | |
JP7447291B2 (ja) | ヘテロサイクリックアミン誘導体の製造方法 | |
RU2796069C1 (ru) |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роизводных гетероциклического амина | |
CN111057021A (zh) | 均三嗪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 |
AU2005210496B2 (en) | Methods for making 4-Tetrazolyl-4-Phenylpiperidine compounds | |
AU2013403336A1 (en) | Secondary alcohol quinolinyl modulators of RORyt | |
CA3143813A1 (en) | Cdk kinase inhibitor | |
EP3863713A1 (en) | Phenyltetrazole derivatives as plasma kallikrein inhibitors | |
EP4262975A1 (en) | Heterocyclic derivatives as p2x7 receptor antagonists | |
CN116731022A (zh) | 三并环类泛素特异性蛋白酶1抑制剂及其用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