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442B1 - 슬림형 카드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슬림형 카드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442B1
KR102530442B1 KR1020210067492A KR20210067492A KR102530442B1 KR 102530442 B1 KR102530442 B1 KR 102530442B1 KR 1020210067492 A KR1020210067492 A KR 1020210067492A KR 20210067492 A KR20210067492 A KR 20210067492A KR 102530442 B1 KR102530442 B1 KR 102530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ase
cards
hopper
hopp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9643A (ko
Inventor
양문석
Original Assignee
(주)티아이티 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아이티 이엔지 filed Critical (주)티아이티 이엔지
Priority to KR1020210067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442B1/ko
Publication of KR20220159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ticket printing or like apparatus, e.g. apparatus for dispensing of printed paper tickets or payment ca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165Delivery means using xyz-picker or multi-dimensional article pick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2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inclined
    • G07F11/3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inclined two or magazines having a common delivery chut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motor-drive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Convey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림형 카드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케이스는 전방에 카드 프린터로 카드를 공급하기 위한 카드 공급구를 갖는다. 호퍼들은 케이스의 한쪽 옆에 케이스의 상하 및 전후 방향을 따라 행렬로 배열되어 장착된 상태로 카드들을 각각 적재하며, 각각 최하층의 카드를 케이스의 다른 쪽 옆으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갖는다. 인출 모듈은 호퍼들에 적재된 카드들을 각 배출구를 통해 케이스의 다른 쪽 옆으로 인출한다. 피딩 모듈은 케이스의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호퍼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호퍼로부터 인출 모듈에 의해 인출되는 카드를 픽업해서 탑재한 상태로 카드 공급구 쪽으로 이동한 후, 탑재된 카드를 전방으로 이송해서 카드 공급구를 통해 카드 프린터로 공급한다. 트랜스퍼는 피딩 모듈을 케이스의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Description

슬림형 카드 디스펜서{Slim Card Dispenser}
본 발명은 카드 발급장치에 채용되는 카드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드를 다수 적재해서 카드 프린터로 이송하는 카드 디스펜서에 관한 기술이다.
금융자동화기기(Automatic Teller Machine; ATM)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카드나 통장을 이용하여 현금 및 수표의 입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종래에는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사용되는 카드를 발급받기 위해서 해당 은행에 직접 방문하여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은행은 업무시간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업무시간 외에는 사실상 카드 발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카드 발급장치를 금융자동화기기에 채용해서 무인으로 카드를 발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려는 노력이 있어 왔다.
일반적으로, 카드발급장치는 카드 디스펜서에 카드를 다수 적재해서 카드 프린터로 이송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런데, 카드 디스펜서는 새로운 카드를 채우는 횟수를 줄이기 위해 가급적 많은 카드를 한번에 적재하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게다가, 은행에서 고객의 요구, 생활 패턴에 따라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된 카드들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카드 디스펜서는 서로 다른 종류의 카드를 적재하기 위한 호퍼를 다수 구비할 필요가 있다. 그에 따라, 카드 디스펜서의 크기가 커지게 되므로, 기존 금융자동화기기의 제한된 공간에 용이하게 내장하기 위해서는 카드 디스펜서를 슬림화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슬림화된 구조로 기존 금융자동화기기의 제한된 공간에 용이하게 내장될 수 있는 슬림형 카드 디스펜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카드 디스펜서는 케이스와, 호퍼들과, 인출 모듈과, 피딩 모듈, 및 트랜스퍼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전방에 카드 프린터로 카드를 공급하기 위한 카드 공급구를 갖는다. 호퍼들은 케이스의 한쪽 옆에 케이스의 상하 및 전후 방향을 따라 행렬로 배열되어 장착된 상태로 카드들을 각각 적재하며, 각각 최하층의 카드를 케이스의 다른 쪽 옆으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갖는다. 인출 모듈은 호퍼들에 적재된 카드들을 각 배출구를 통해 케이스의 다른 쪽 옆으로 인출한다. 피딩 모듈은 케이스의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호퍼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호퍼로부터 인출 모듈에 의해 인출되는 카드를 픽업해서 탑재한 상태로 카드 공급구 쪽으로 이동한 후, 탑재된 카드를 전방으로 이송해서 카드 공급구를 통해 카드 프린터로 공급한다. 트랜스퍼는 피딩 모듈을 케이스의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슬림형 카드 디스펜서에 따르면, 카드를 다수 및/또는 다종으로 적재하면서도 슬림화된 구조로 기존 금융자동화기기의 제한된 공간에 용이하게 내장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카드 디스펜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림형 카드 디스펜서의 다른 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슬림형 카드 디스펜서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4는 호퍼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카드 푸셔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어 잠금장치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7은 인출 모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피딩 모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피딩 모듈을 다른 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카드 디스펜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림형 카드 디스펜서의 다른 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슬림형 카드 디스펜서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4는 호퍼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카드 푸셔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어 잠금장치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7은 인출 모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피딩 모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피딩 모듈을 다른 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카드 디스펜서(10)는 케이스(100)와, 호퍼(200)들과, 인출 모듈(300)과, 피딩 모듈(400), 및 트랜스퍼(500)를 포함한다.
케이스(100)는 전방에 카드 프린터(미도시)로 카드를 공급하기 위한 카드 공급구(110)를 갖는다. 카드 프린터는 공지의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스(100)는 내부 지지대에 의해 호퍼(200)들과, 인출 모듈(300)과, 피딩 모듈(400), 및 트랜스퍼(500)를 장착해서 지지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카드 프린터와의 사이에 리젝트되는 카드를 적재하는 리젝트 박스(120)가 배치될 수 있다.
호퍼(200)들은 케이스(100)의 한쪽 옆에 케이스(100)의 상하 및 전후 방향을 따라 행렬로 배열되어 장착된 상태로 카드들을 각각 적재한다. 예컨대, 호퍼(200)들은 2행 3열로 6개로 구비될 수 있다. 호퍼(200)들은 각각 최하층의 카드를 케이스(100)의 다른 쪽 옆으로 배출하는 배출구(200a)를 갖는다.
인출 모듈(300)은 호퍼(200)들에 적재된 카드들을 각 배출구(200a)를 통해 케이스(100)의 다른 쪽 옆으로 인출한다. 인출 모듈(300)은 피딩 모듈(400)의 이동에 따라 선택된 호퍼(200)로부터 배출구(200a)를 통해 카드를 인출해서 피딩 모듈(400)로 전달할 수 있게 한다.
피딩 모듈(400)은 케이스(100)의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호퍼(200)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호퍼(200)로부터 인출 모듈(300)에 의해 인출되는 카드를 픽업해서 탑재한 상태로 카드 공급구(110) 쪽으로 이동한 후, 탑재된 카드를 전방으로 이송해서 카드 공급구(110)를 통해 카드 프린터로 공급한다.
트랜스퍼(500)는 피딩 모듈(400)을 케이스(100)의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예컨대, 슬림형 카드 디스펜서(1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에 의해 호퍼(200)가 선택되면, 트랜스퍼(500)는 카드 공급구(110) 쪽에 대기해있는 피딩 모듈(400)을 호퍼(200)들의 행들 사이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시킨 후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켜, 선택된 호퍼(200)에 위치시킬 수 있다.
선택된 호퍼(200)에 카드가 탑재되면, 트랜스퍼(500)는 피딩 모듈(400)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켜 호퍼(200)들의 행들 사이에 위치시킨 후 전방으로 이동시켜, 카드 공급구(110) 쪽에 위치시킬 수 있다.
전술한 슬림형 카드 디스펜서(10)는, 도 3에 화살표로 나타낸 것처럼, 케이스(100)의 한쪽 옆에 케이스(100)의 상하 및 전후 방향을 따라 배열된 호퍼(200)들에 의해 카드(1)들을 적재하고, 선택된 호퍼(200)에 적재된 카드(1)를 인출 모듈(300)에 의해 케이스(100)의 다른 쪽으로 인출하며, 인출되는 카드(1)를 케이스(100)의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피딩 모듈(400)에 의해 픽업해서 탑재한 상태로 카드 공급구(110) 쪽으로 이동한 후 탑재된 카드(1)를 전방으로 이송해서 카드 프린터로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슬림형 카드 디스펜서(10)는 카드(1)를 호퍼(200)들마다 케이스(100)의 옆쪽으로 이동시킨 후 케이스(100)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므로, 좌우 폭이 상당히 좁은 슬림화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슬림형 카드 디스펜서(10)는 카드(1)를 다수 및/또는 다종으로 적재하면서도 슬림화된 구조로 기존 금융자동화기기의 제한된 공간에 용이하게 내장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호퍼(200)는 호퍼 본체(210)와, 호퍼 도어(220)와, 카드 인식센서(230), 및 고정쇠(240)를 포함할 수 있다.
호퍼 본체(210)는 배출구(200a)를 갖고 외측 부위가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져 카드들을 내부 공간에 적재한다. 호퍼 본체(210)는 육면체 형상의 내부 공간을 갖는다. 배출구(200a)는 호퍼 본체(210)의 내측 부위에 최하층의 카드를 케이스(100)의 다른 쪽 옆으로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호퍼 도어(220)는 호퍼 본체(210)의 외측 개구 옆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피벗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호퍼 본체(210)의 외측 개구를 개폐한다. 호퍼 도어(220)는 힌지 결합 부위의 반대쪽 부위 상측에 손가락 걸이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가락 걸이홈(221)에 손가락을 걸어서 호퍼 도어(220)를 손쉽게 개방시킬 수 있다.
호퍼 도어(220)는 힌지 결합 부위의 반대쪽 부위 하측 코너가 절개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절개된 상면에 고정쇠(240)가 끼워지거나 분리되는 고정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카드 인식센서(230)는 호퍼 본체(210)에 카드의 적재 여부를 인식한다. 카드 인식센서(230)는 해당 호퍼(200)에 카드의 적재 여부 정보를 컨트롤러로 제공함으로써, 비어 있는 호퍼(200)에 카드가 채워질 수 있게 한다. 카드 인식센서(230)는 버튼 스위치 등과 같은 공지의 스위치로 구성되어 호퍼 본체(210)의 바닥에 장착될 수 있다.
고정쇠(240)는 케이스(100)의 가이드 장공(130)을 따라 상하로 안내되는 노브(knob, 241)를 갖고 상방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은 상태로 상측 부위가 호퍼 도어(220)의 고정 홈에 끼움 또는 분리된다. 고정쇠(240)는 노브(241)가 케이스(100)의 가이드 장공(130)에 끼워진 상태로 케이스(100) 또는 호퍼 본체(210)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고정쇠(240)는 스프링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아 노브(241)가 가이드 장공(130)의 상단 주변에 걸린 상태에서 상측 부위가 호퍼 도어(220)의 고정 홈에 끼워져 유지됨으로써, 호퍼 도어(220)를 호퍼 본체(210)에 대해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가 노브(241)를 손가락으로 외력을 가해 가이드 장공(130)을 따라 내리게 되면, 고정쇠(240)는 상측 부위가 호퍼 도어(220)의 고정 홈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호퍼 도어(220)를 호퍼 본체(210)에 대해 해제할 수 있게 한다.
추가 양상으로, 슬림형 카드 디스펜서(10)는 호퍼(200)들의 각 배출구(200a) 상측 공간에 탄성을 갖고 배치되어 카드를 한 장씩 배출시키도록 규제하는 규제 부재(25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배출구(220a)는 카드의 두께보다 큰 높이를 가질 수 있다. 규제 부재(250)는 상측 부위가 배출구(220a)의 상측 주변에 고정된 상태로 배출구(220a)의 상측 공간으로 돌출됨으로써, 배출구(220a)의 하측 공간 높이가 카드의 두께 이하로 한정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최하층의 카드가 배출구(220a)의 하측 공간을 통해 배출될 때, 규제 부재(250)는 최하층 카드 위에 놓인 카드의 배출을 차단함과 동시에, 돌출 끝 부위가 탄성 변형되면서 최하층의 카드만 배출할 수 있게 한다. 배출구(220a)의 하측 공간 높이는 규제 부재(250)의 탄성도를 고려하여 최하층의 카드를 원활하게 배출시키는 범주에서 설정될 수 있다. 규제 부재(250)는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 양상으로, 슬림형 카드 디스펜서(10)는 호퍼 본체(210)에 적재된 카드들을 상방에서 눌러주는 카드 푸셔(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카드 푸셔(260)는 푸셔 지지체(261)와, 푸셔 블록(262), 및 걸림쇠(263)를 구비한다.
푸셔 지지체(261)는 호퍼 본체(210)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하방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푸셔 지지체(261)는 압축 코일 스프링(264)들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푸셔 블록(262)은 푸셔 지지체(261)의 한쪽 옆에 수평축을 중심으로 피벗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푸셔 지지체(261)의 하강에 따라 카드들을 눌러준다. 따라서, 카드들은 호퍼 본체(210) 내에서 카드 푸셔(260)에 의해 들뜸 없이 적재된 상태로 최하층으로부터 인출 모듈(300)에 의해 인출될 수 있다.
푸셔 블록(262)은 카드 인출 방향과 나란한 수평축을 중심으로 피벗 가능하게 푸셔 지지체(261)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푸셔 블록(262)은 힌지 결합 부위 주변이 푸셔 지지체(261)의 턱에 걸려 수평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젖혀지지 않게 제한될 수 있다. 푸셔 블록(262)은 걸림쇠(263)에 걸림 또는 분리되는 걸림홀을 갖는다.
푸셔 블록(262)은 끝 부위에 롤러 기구(265)를 장착할 수 있다. 롤러 기구(265)는 롤러 지지축(265a)의 양쪽에 한 쌍의 롤러(265b)들이 동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구성될 수 있다. 롤러 기구(265)는 롤러 지지축(265a)이 카드 인출 방향과 수직을 이룬 상태로 카드 인출 방향과 나란한 수평축을 중심으로 피벗 가능하게 푸셔 블록(262)의 끝 부위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롤러(265b)들은 푸셔 블록(262)이 하강한 상태에서 롤러 지지축(265a)이 인출 롤러(310)와 나란하게 위치되어 카드 윗면에 맞닿을 수 있다. 따라서, 롤러(265a)들은 카드 윗면을 손상시키지 않으며, 마지막 남은 카드를 인출 롤러(310)와 함께 원활하게 인출시킬 수 있다.
걸림쇠(263)는 호퍼 본체(210)에 인출입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인출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은 상태로 푸셔 지지체(261)의 상사점에서 푸셔 블록(262)을 걸림 처리해 있다가 호퍼 도어(220)의 폐쇄 동작에 따라 호퍼 도어(220)의 작동돌기에 의해 인입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푸셔 블록(262)을 해제시킨다. 걸림쇠(263)는 스프링에 의해 인출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걸림쇠(263)는 푸셔 블록(262)의 걸림홀에 걸림 또는 분리되는 걸림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푸셔 블록(262)을 걸림쇠(263)에 걸림 처리해둔 상태로 호퍼 본체(210)에 카드들을 적재한 후 호퍼 도어(220)를 폐쇄 동작시키면, 걸림쇠(263)가 호퍼 본체(210) 내로 인입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푸셔 블록(262)을 해제시켜 하강시킴에 따라 최상층 카드를 누를 수 있게 하므로, 사용 편의성이 좋게 된다.
추가 양상으로, 슬림형 카드 디스펜서(10)는 호퍼 도어(220)들을 해당 호퍼 본체(210)들에 대해 동시에 잠금 또는 해제 처리하는 도어 잠금장치(27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 편의성 및 보안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어 잠금장치(270)는 자물쇠(271)와, 작동대(272)와, 수직 링크(273), 및 수평 링크(274)들을 구비한다.
자물쇠(271)는 케이스(100)에 열쇠 구멍이 노출되도록 장착된다. 작동대(272)는 열쇠 구멍에 해당 열쇠가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수평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수직 링크(273)는 케이스(100)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상단이 작동대(272)에 맞닿아 작동대(272)의 회전에 따라 승강한다.
수평 링크(274)들은 호퍼(200)들의 행마다 케이스(100)에 전후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전방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은 상태로 각 전단이 수직 링크(273)에 맞닿아 수직 링크(273)의 승강에 따라 전후진하면서 잠금돌기(274a)들로 해당 고정쇠(240)들의 하강을 차단 또는 해제한다.
수평 링크(274)들은 스프링들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수평 링크(274)들은 잠금 위치에서 고정쇠(240)들에 각각 마주하도록 돌출된 잠금돌기(274a)들을 갖는다. 수평 링크(274)들은 각 전단이 후방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고, 수직 링크(273)는 수평 링크(274)들의 각 전단에 대응되는 부위에 좌우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롤러(273a)들을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직 링크(273)의 승강시 롤러(273a)들이 수평 링크(274)들의 각 경사진 전단에 맞닿아 수평 링크(274)들을 원활하게 전후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도어 잠금장치(270)는 다음과 같이 작용할 수 있다. 자물쇠(271)가 잠금되면, 수직 링크(273)는 상승한 상태에서 수평 링크(274)들은 전진한 상태로 잠금돌기(274a)들이 해당 고정쇠(240)들의 하강을 차단함으로써, 호퍼 도어(220)들을 해당 호퍼 본체(210)들에 대해 한꺼번에 잠금 처리할 수 있게 한다.
이 상태에서, 자물쇠(271)가 해정되면, 작동대(272)가 회전하여 수직 링크(273)를 하강시킴에 따라 수평 링크(274)들을 후진시키면서 잠금돌기(274a)들이 해당 고정쇠(240)들로부터 벗어나게 함으로써, 호퍼 도어(220)들을 해당 호퍼 본체(210)들에 대해 한꺼번에 해제 처리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 모듈(300)은 인출 롤러(310)들과, 인출 롤러 구동기(320)와, 회전 샤프트(330)들, 및 클러치(34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출 롤러(310)들은 호퍼(200)들의 바닥 개구를 통해 각 최하층 카드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각 배출구(200a)를 통해 최하층 카드를 케이스(100)의 다른 쪽 옆으로 인출한다. 인출 롤러(310)는 케이스(100)의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케이스(100) 내의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인출 롤러(310)는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돌기와 홈이 교대로 형성되어 요철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카드를 미끄럼 없이 인출시킬 수 있다.
인출 롤러 구동기(320)는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인출 롤러 구동기(320)는 회전 모터와, 회전 모터의 회전력을 회전 샤프트들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전달기구는 기어세트와, 풀리들과, 벨트를 포함한 공지의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 샤프트(330)들은 호퍼(200)들의 행마다 배치되어 인출 롤러 구동기(32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회전 샤프트(330)들은 케이스(100) 내의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클러치(340)들은 피딩 모듈(400)의 이동에 따라 선택된 호퍼(200)의 인출 롤러(310)에만 해당 회전 샤프트(330)를 통한 인출 롤러 구동기(320)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일 예로, 각각의 클러치(340)는 가동 브래킷(341)과, 제1 클러치 기어(342)와, 제2 클러치 기어(343)와, 제3 클러치 기어(344), 및 제4 클러치 기어(345)를 포함할 수 있다.
가동 브래킷(341)은 하측 부위가 회전 샤프트(330)와 나란한 축을 중심으로 피벗 가능하게 케이스(100)에 지지된다. 가동 브래킷(341)은 스프링에 의해 상측 부위가 호퍼(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가동 브래킷(341)은 피딩 모듈(400)에 가까운 상측 부위에 회전 샤프트(330)와 나란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롤러(341a)를 장착할 수 있다.
피딩 모듈(400)은 가동 브래킷(341)의 롤러(341a)에 접촉되는 누름 브래킷(470)을 가질 수 있다. 누름 브래킷(470)은 중앙 부위가 편평하게 이루어지고 상하측 부위가 롤러(341a)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롤러(341a)는 피딩 모듈(400)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시 누름 브래킷(470)에 접촉되어 눌러짐에 따라 가동 브래킷(341)이 원활하게 피벗 동작할 수 있게 한다.
제1 클러치 기어(342)는 회전 샤프트(330)에 동축으로 고정되어 가동 브래킷(34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 클러치 기어(343)는 제1 클러치 기어(342)와 맞물린 상태로 가동 브래킷(34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3 클러치 기어(344)는 제2 클러치 기어(343)와 맞물린 상태로 가동 브래킷(34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4 클러치 기어(345)는 해당 인출 롤러(310)에 동축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클러치(340)들은 다음과 같이 작용할 수 있다. 클러치(340)들의 각 가동 브래킷(341)은 상측 부위가 호퍼(200)로부터 멀어진 방향으로 피벗 동작해서 위치하여 제3 클러치 기어(344)가 해당 제4 클러치 기어(345)로부터 이격되고, 제1,2,3 클러치 기어(342, 343, 344)는 회전 샤프트(33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한 상태로 대기한다.
이 상태에서, 피딩 모듈(400)이 이동하여 호퍼(200)를 선택하면, 선택된 호퍼(200)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피딩 모듈(400)의 누름 브래킷(470)이 해당 클러치(340)의 가동 브래킷(341)을 호퍼(200) 쪽으로 밀어서 피벗 동작시킴에 따라 제3 클러치 기어(344)를 제4 클러치 기어(345)에 맞물리게 한다. 그에 따라, 제4 클러치 기어(345)가 회전하여 인출 롤러(310)를 회전시킴으로써, 해당 호퍼(200)의 카드를 인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인출 모듈(300)은 하나의 회전 구동원으로 피딩 모듈(400)의 이동과 연계하여 클러치(340)들에 의해 인출 롤러(310)들에 제공되는 회전력을 개별적으로 단속하도록 구성되므로, 인출 롤러(310)마다 독립적인 회전 구동원을 다수 구비하는 것보다, 회전 구동원의 개수를 줄여 유지보수 관리에 유리할 수 있다.
한편, 도 7과 함께 도 8 및 도 9을 참조하면, 피딩 모듈(400)은 캐리어(410)와, 상,하측 픽업 롤러(420, 430)와, 픽업 롤러 구동기(440)와, 후크(450), 및 후크 구동기(46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410)는 픽업된 카드를 탑재한다. 캐리어(410)는 카드가 탑재되는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가이드 판(411)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판(411)은 캐리어(410)의 바닥과의 사이에 카드를 수용한다. 가이드 판(411)은 전방 부위가 v자 형태로 절곡되어 캐리어(410)의 바닥 전방 부위와의 사이에 카드를 안정되게 배출할 수 있다.
캐리어(410)는 상,하측 픽업 롤러(420, 430)와, 픽업 롤러 구동기(440)와, 후크(450), 및 후크 구동기(460)를 장착해서 지지한다. 캐리어(410)는 카드 탑재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하측 픽업 롤러(420, 430)는 인출 모듈(300)에 의해 인출되는 카드를 끼워서 회전함에 따라 캐리어(410)의 탑재 영역으로 이송한다. 상측 픽업 롤러(420)는 상측 롤러 샤프트(421)에 동축으로 고정된다. 상측 롤러 샤프트(421)는 캐리어(410)의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양쪽 단이 캐리어(4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측 픽업 롤러(420)는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돌기와 홈이 교대로 형성되어 요철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카드를 미끄럼 없이 픽업할 수 있다. 상측 픽업 롤러(42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측 롤러 샤프트(421)에 배열될 수 있다.
하측 픽업 롤러(430)는 하측 롤러 샤프트(431)에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하측 롤러 샤프트(431)는 캐리어(410)의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양쪽 단이 상측 롤러 샤프트(421)를 향해 스프링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하측 픽업 롤러(430)는 외주면이 매끈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측 픽업 롤러(43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측 픽업 롤러(420)들과 일대일 대응된 상태로 하측 롤러 샤프트(431)에 배열될 수 있다. 하측 픽업 롤러(430)들은 상측 픽업 롤러(420)들과의 사이에 카드를 탄성력에 의해 밀착시킨 상태로 미끄럼 없이 이송시킬 수 있다.
픽업 롤러 구동기(440)는 상,하측 픽업 롤러(420, 430)를 회전 구동시킨다. 픽업 롤러 구동기(440)는 회전 모터와 기어세트를 포함하여 상측 픽업 롤러(420)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기어세트 대신 다양한 공지의 동력전달기구가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픽업 롤러 구동기(440)는 다음과 같이 작용할 수 있다. 피딩 모듈(400)이 이동하여 호퍼(200)를 선택하면, 인출 롤러(310)의 회전 구동으로 카드가 인출된다. 이때, 픽업 롤러 구동기(440)는 상측 픽업 롤러(420)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인출되는 카드를 상측 픽업 롤러(420)와 하측 픽업 롤러(430) 사이에 끼워서 캐리어(410)로 탑재한다. 픽업 롤러 구동기(440)는 센서에 의해 캐리어(410)에 카드가 탑재 완료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측 픽업 롤러(420)를 정지시킬 수 있다.
후크(450)는 캐리어(410)에 탑재된 카드의 후단을 걸어서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해당 카드를 전방으로 이송시킨다. 후크(450)는 캐리어(410)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후크 구동기(460)는 후크(450)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시킨다. 후크 구동기(460)는 회전 모터와, 회전 모터의 회전력을 후크(450)의 선형 이동으로 변환해서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전달기구는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 및 벨트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 풀리는 후크(450)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캐리어(4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구동 풀리는 회전 모터의 회전력을 기어세트에 의해 제공받을 수 있다. 종동 풀리는 구동 풀리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후크(450)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캐리어(4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벨트는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에 걸쳐져 무한궤도로 이동한다. 벨트는 후크(450)를 고정한 상태로 구동 풀리에 의해 전후 왕복함에 따라 후크(450)를 전후 왕복시킬 수 있다. 후크 구동기(460)는 후크의 위치를 감지하는 공지의 다양한 센서에 의해 후크(450)를 위치 제어해서 왕복시킬 수 있다.
캐리어(410)가 카드를 탑재한 상태로 카드 공급구(110) 쪽으로 이동하면, 후크 구동기(460)는 카드 후단에 위치한 후크(45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카드를 카드 공급구(110)를 통해 카드 프린터로 공급한 후, 후크(450)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복귀시킨다.
이러한 피딩 모듈(400)은 호퍼(200)로부터 케이스(100)의 좌우 방향으로 인출되는 카드를 상,하측 픽업 롤러(420, 430)에 의해 동일 방향으로 캐리어(410)에 픽업해서 탑재한 후, 카드 공급구(110) 쪽으로 이동해서 탑재된 카드를 후크(450)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함에 따라 카드 프린터로 공급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트랜스퍼(500)는 피딩 모듈(400)을 케이스(10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 유닛(510)과, 수평 이동 유닛(510)을 케이스(10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피딩 모듈(400)을 케이스(10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 이동유닛(520)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이동유닛(510)은 승강체(521)에 형성된 수평 가이드에 의해 피딩 모듈(400)의 캐리어(410)를 케이스(100)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안내하고, 수평 구동기(511)에 의해 캐리어(410)를 케이스(10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왕복시킬 수 있다. 수평 가이드는 레일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캐리어(410)는 케이블 베이어(512)에 의해 지지되어 안내될 수 있다.
수평 구동기(511)는 회전 모터와, 회전 모터의 회전력을 캐리어(410)의 수평 이동으로 변환해서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전달기구는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 및 벨트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 풀리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승강체(5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구동 풀리는 회전 모터의 회전력을 기어세트에 의해 제공받을 수 있다. 종동 풀리는 구동 풀리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수직축을 중심으로 승강체(5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벨트는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에 걸쳐져 무한궤도로 이동한다. 벨트는 캐리어(410)를 고정한 상태로 전후 왕복함에 따라 캐리어(410)를 전후 왕복시킬 수 있다. 수평 구동기(511)는 캐리어(410)의 위치를 감지하는 공지의 다양한 센서에 의해 캐리어(410)의 전후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수직 이동유닛(520)은 케이스(100)에 형성된 수직 가이드에 의해 승강체(521)를 케이스(100)의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안내하고, 수직 구동기(522)에 의해 승강체(521)를 케이스(1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왕복시킬 수 있다. 수직 가이드는 레일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승강체(521)는 케이블 베이어(523)에 의해 지지되어 안내될 수 있다.
수직 구동기(522)는 회전 모터와, 회전 모터의 회전력을 승강체의 수직 이동으로 변환해서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전달기구는 한 쌍의 연결 샤프트들과, 2쌍의 풀리들, 및 1쌍의 벨트들을 구비할 수 있다.
연결 샤프트들은 케이스(100)의 상하에 케이스(100)의 전후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연결 샤프트들은 각 양단에 동축으로 풀리들을 고정한다. 벨트들은 케이스(100)의 전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풀리들에 걸쳐져 무한궤도로 이동할 수 있다. 풀리들 중 어느 하나가 회전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벨트들과 연결 샤프트들에 의해 나머지 풀리들에 전달할 수 있다.
벨트들은 승강체(521)를 고정한 상태로 상하 왕복함에 따라 승강체(521)를 상하 왕복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피딩 모듈(400)이 상하 왕복할 수 있다. 수직 구동기(522)는 승강체(521)의 위치를 감지하는 공지의 다양한 센서에 의해 피딩 모듈(400)의 상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슬림형 카드 디스펜서 100..케이스
200..호퍼 210..호퍼 본체
220..호퍼 도어 230..카드 인식센서
240..고정쇠 250..규제 부재
260..카드 푸셔 270..도어 잠금장치
300..인출 모듈 310..인출 롤러
320..인출 롤러 구동기 330..회전 샤프트
340..클러치 400..피딩 모듈
410..캐리어 420..상측 픽업 롤러
430..하측 픽업 롤러 440..픽업 롤러 구동기
450..후크 460..후크 구동기
470..누름 브래킷 500..트랜스퍼
510..수평 이동 유닛 520..수직 이동유닛

Claims (7)

  1. 전방에 카드 프린터로 카드를 공급하기 위한 카드 공급구를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한쪽 옆에 상기 케이스의 상하 및 전후 방향을 따라 행렬로 배열되어 장착된 상태로 카드들을 각각 적재하며, 각각 최하층의 카드를 상기 케이스의 다른 쪽 옆으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갖는 호퍼들;
    상기 호퍼들에 적재된 카드들을 상기 각 배출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다른 쪽 옆으로 인출하는 인출 모듈;
    상기 케이스의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호퍼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호퍼로부터 상기 인출 모듈에 의해 인출되는 카드를 픽업해서 탑재한 상태로 상기 카드 공급구 쪽으로 이동한 후, 탑재된 카드를 전방으로 이송해서 상기 카드 공급구를 통해 카드 프린터로 공급하는 피딩 모듈; 및
    상기 피딩 모듈을 상기 케이스의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트랜스퍼;를 포함하며,
    상기 인출 모듈은,
    상기 호퍼들의 바닥 개구를 통해 각 최하층 카드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각 배출구를 통해 최하층 카드를 상기 케이스의 다른 쪽 옆으로 인출하는 인출 롤러들과,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인출 롤러 구동기와,
    상기 호퍼들의 행마다 배치되어 상기 인출 롤러 구동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 샤프트들, 및
    상기 피딩 모듈의 이동에 따라 선택된 호퍼의 인출 롤러에만 해당 회전 샤프트를 통한 상기 인출 롤러 구동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클러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카드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 모듈은,
    픽업된 카드를 탑재하는 캐리어와,
    상기 인출 모듈에 의해 인출되는 카드를 끼워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캐리어의 탑재 영역으로 이송하는 상,하측 픽업 롤러와,
    상기 상,하측 픽업 롤러를 회전 구동시키는 픽업 롤러 구동기와,
    상기 캐리어에 탑재된 카드의 후단을 걸어서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해당 카드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후크, 및
    상기 후크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시키는 후크 구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카드 디스펜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호퍼는,
    상기 배출구를 갖고 외측 부위가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져 카드들을 내부 공간에 적재하는 호퍼 본체와,
    상기 호퍼 본체의 외측 개구 옆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피벗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호퍼 본체의 외측 개구를 개폐하는 호퍼 도어와,
    상기 호퍼 본체에 카드의 적재 여부를 인식하는 카드 인식센서, 및
    상기 케이스의 가이드 장공을 따라 상하로 안내되는 노브를 갖고 상방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은 상태로 상측 부위가 상기 호퍼 도어의 고정 홈에 끼움 또는 분리되는 고정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카드 디스펜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 본체에 적재된 카드들을 상방에서 눌러주는 카드 푸셔를 포함하며;
    상기 카드 푸셔는,
    상기 호퍼 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하방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 푸셔 지지체와,
    상기 푸셔 지지체의 한쪽 옆에 수평축을 중심으로 피벗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푸셔 지지체의 하강에 따라 카드들을 눌러주는 푸셔 블록, 및
    상기 호퍼 본체에 외측 개구를 통해 인출입 가능하게 지지되고 인출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은 상태로 상기 푸셔 지지체의 상사점에서 상기 푸셔 블록을 걸림 처리해 있다가 상기 호퍼 본체의 폐쇄 동작에 따라 상기 푸셔 블록을 해제시키는 걸림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카드 디스펜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들의 각 배출구 상측 공간에 탄성을 갖고 배치되어 카드를 한 장씩 배출시키도록 규제하는 규제 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카드 디스펜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 도어들을 해당 호퍼 본체들에 대해 동시에 잠금 또는 해제 처리하는 도어 잠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잠금장치는,
    상기 케이스에 열쇠 구멍이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자물쇠와,
    상기 열쇠 구멍에 해당 열쇠가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수평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작동대와,
    상기 케이스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상단이 상기 작동대에 맞닿아 상기 작동대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는 수직 링크, 및
    상기 호퍼들의 행마다 상기 케이스에 전후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전방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은 상태로 각 전단이 상기 수직 링크에 맞닿아 상기 수직 링크의 승강에 따라 전후진하면서 잠금돌기들로 해당 고정쇠들의 하강을 차단 또는 해제하는 수평 링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카드 디스펜서.
KR1020210067492A 2021-05-26 2021-05-26 슬림형 카드 디스펜서 KR102530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492A KR102530442B1 (ko) 2021-05-26 2021-05-26 슬림형 카드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492A KR102530442B1 (ko) 2021-05-26 2021-05-26 슬림형 카드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643A KR20220159643A (ko) 2022-12-05
KR102530442B1 true KR102530442B1 (ko) 2023-05-09

Family

ID=84391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492A KR102530442B1 (ko) 2021-05-26 2021-05-26 슬림형 카드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4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654Y1 (ko) 1998-10-21 2000-11-15 이내학 카드 디스펜서
KR101442788B1 (ko) * 2013-04-17 2014-09-23 (주)자영테크 카드 디스펜서
KR101509170B1 (ko) 2014-02-26 2015-04-09 (주)자영테크 다기능 복합 카드 발급 장치
KR102222237B1 (ko) * 2021-01-07 2021-03-02 강희식 다종카드 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654Y1 (ko) 1998-10-21 2000-11-15 이내학 카드 디스펜서
KR101442788B1 (ko) * 2013-04-17 2014-09-23 (주)자영테크 카드 디스펜서
KR101509170B1 (ko) 2014-02-26 2015-04-09 (주)자영테크 다기능 복합 카드 발급 장치
KR102222237B1 (ko) * 2021-01-07 2021-03-02 강희식 다종카드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643A (ko) 202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72481B1 (en) Paper money transmission and storage device
JP5502182B2 (ja) 媒体保管箱、媒体処理装置及び金融機器
EP2772460B1 (en) Medium pick-up apparatus
US8047428B2 (en) Cash transaction machine
US20140037421A1 (en) Cassette replenishment
US8360224B2 (en) Automatic teller machine
KR20060132510A (ko) 지폐 처리장치 및 그 제어 시스템
EP1550625B1 (en) Media dispenser comprising media cassette with internal lock
KR101171460B1 (ko) 지폐저장박스의 푸쉬플레이트 승강 구조
US20180273312A1 (en) Sheet storage device and sheet handling apparatus
KR102530442B1 (ko) 슬림형 카드 디스펜서
EP1548660B1 (en) Media cassette for media dispenser
KR101046821B1 (ko) 카세트의 푸쉬플레이트 잠금장치
JP3664774B2 (ja) 物品投出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物品投出機
KR101508266B1 (ko) 묶음지폐 입출금기
KR102529498B1 (ko) 카드 관리기
KR20100038675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JP2019085196A (ja) 図書保管設置用のトレイ、及びトレイを備えた図書保管装置
WO2010026632A1 (ja) 紙葉類収納カセット
KR20100073461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저장장치
CN214678403U (zh) 一种容器取放柜
CN112773140A (zh) 一种容器取放柜
KR101009109B1 (ko) 금융자동화기기
CN215753833U (zh) 存储箱和存储发放设备
WO2022049852A1 (ja) 紙葉収納庫取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