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014B1 - 로고 제어부 및 로고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로고 제어부 및 로고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014B1
KR102530014B1 KR1020180105502A KR20180105502A KR102530014B1 KR 102530014 B1 KR102530014 B1 KR 102530014B1 KR 1020180105502 A KR1020180105502 A KR 1020180105502A KR 20180105502 A KR20180105502 A KR 20180105502A KR 102530014 B1 KR102530014 B1 KR 102530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go
area
value
grayscale values
imag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7617A (ko
Inventor
박근정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5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014B1/ko
Priority to JP2019058200A priority patent/JP7325989B2/ja
Priority to US16/523,843 priority patent/US10748317B2/en
Priority to EP19195248.0A priority patent/EP3621058A1/en
Priority to CN201910831306.4A priority patent/CN110880298B/zh
Publication of KR20200027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e.g. use of D/A co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6Dealing with screen burn-in prevention or compensation of the effect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2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로고 제어부는: 복수의 영상 프레임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 프레임들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로고 영역을 검출하는 로고 영역 검출부; 상기 로고 영역을 기준으로 확장된 로고 주변 영역을 설정하는 로고 주변 영역 설정부; 적어도 하나의 영상 프레임의 계조 값들에 기초하여 표시 부하 값을 산출하고,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에 기초한 로고 주변 영역 대표 값과 상기 표시 부하 값의 차이가 제1 기준 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표시 부하 판단부; 및 상기 로고 주변 영역 대표 값과 상기 표시 부하 값의 차이가 상기 제1 기준 값을 초과하고, 상기 로고 영역의 계조 값들에 기초한 로고 영역 대표 값과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에 기초한 로고 영역 임계 값의 차이가 제2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감소시키는 로고 주변 영역 보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로고 제어부 및 로고 제어 방법{LOGO CONTOLLER AND LOGO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로고 제어부 및 로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매체인 표시 장치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표시 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며,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계조 값들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화소들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들을 발광시킴으로써, 영상 프레임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 프레임들이 공통된 특정 영역에 로고(logo)를 포함하는 경우, 특정 영역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들은 로고를 표시하기 위하여 고휘도로 계속 발광하여야 한다. 따라서, 특정 영역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들은 다른 영역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들보다 빠르게 열화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표시 부하에 따라 로고 영역 및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을 조절할 수 있는 로고 제어부 및 로고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로고 제어부는: 복수의 제1 영상 프레임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영상 프레임들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로고 영역을 검출하는 로고 영역 검출부; 상기 로고 영역을 기준으로 확장된 로고 주변 영역을 설정하는 로고 주변 영역 설정부;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상 프레임의 계조 값들에 기초하여 표시 부하 값을 산출하고,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에 기초한 로고 주변 영역 대표 값과 상기 표시 부하 값의 차이가 제1 기준 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표시 부하 판단부; 및 상기 로고 주변 영역 대표 값과 상기 표시 부하 값의 차이가 상기 제1 기준 값을 초과하고, 상기 로고 영역의 계조 값들에 기초한 로고 영역 대표 값과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에 기초한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의 차이가 제2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감소시켜 제2 영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로고 주변 영역 보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로고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 프레임의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을 설정하는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 설정부는: 상기 제1 영상 프레임의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의 제1 평균 값을 산출하는 제1 평균 값 산출부; 및 상기 제1 평균 값에 마진 값을 가산하여 상기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을 산출하는 마진 값 가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고 주변 영역 대표 값은 제1 평균 값과 대응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부하 판단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상 프레임의 계조 값들의 제2 평균 값을 산출하는 제2 평균 값 산출부; 및 상기 제1 평균 값과 상기 제2 평균 값의 차이가 상기 제1 기준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비교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부하 값은 상기 제2 평균 값과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로고 주변 영역 보정부는 상기 제1 영상 프레임의 상기 로고 영역의 계조 값들의 제3 평균 값을 산출하는 제3 평균 값 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고 영역 대표 값은 상기 제3 평균 값과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로고 주변 영역 보정부는: 상기 제3 평균 값과 상기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의 차이가 상기 제2 기준 값 이하인지 비교하는 제2 비교부; 상기 제3 평균 값과 상기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의 차이가 상기 제2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서브-영역들 각각에 대한 계조 값들을 서브-영역 임계 값들 이하로 제한하는 제1 매핑 커브들(mapping curves)을 산출하는 로고 주변 영역 커브 산출부; 및 상기 제1 매핑 커브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상 프레임의 상기 서브-영역들의 계조 값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감소시켜 상기 제2 영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제2 영상 프레임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영역 임계 값들은 대응하는 상기 서브-영역들이 상기 로고 영역에 인접할 수록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서브-영역 임계 값들은 상기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로고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상 프레임의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에 기초하여 제2 로고 영역 임계 값을 설정하는 제2 로고 영역 임계 값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 프레임의 상기 로고 영역의 계조 값들을 상기 제2 로고 영역 임계 값 이하로 보정하는 로고 영역 보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고 영역 보정부는: 상기 제2 영상 프레임의 상기 로고 영역의 계조 값들을 상기 제2 로고 영역 임계 값 이하로 제한하는 제2 매핑 커브를 산출하는 로고 영역 커브 산출부; 및 상기 제2 매핑 커브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상 프레임의 상기 로고 영역의 계조 값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감소시켜 제3 영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제3 영상 프레임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고 영역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영상 프레임들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고계조 영역을 검출하는 고계조 영역 검출부; 상기 복수의 제1 영상 프레임들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정지 영역을 검출하는 정지 영역 검출부; 상기 복수의 제1 영상 프레임들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엣지 영역을 검출하는 엣지 영역 검출부; 및 상기 고계조 영역, 상기 정지 영역, 및 상기 엣지 영역의 중첩된 영역을 상기 로고 영역으로 검출하는 중첩 영역 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로고 제어부는: 복수의 제1 영상 프레임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영상 프레임들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로고를 검출하는 로고 검출부; 상기 로고를 기준으로 확장된 로고 주변 영역을 설정하는 로고 주변 영역 설정부;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상 프레임의 계조 값들에 기초하여 표시 부하 값을 산출하고,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에 기초한 로고 주변 영역 대표 값과 상기 표시 부하 값의 차이가 제1 기준 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표시 부하 판단부; 및 상기 로고 주변 영역 대표 값과 상기 표시 부하 값의 차이가 상기 제1 기준 값을 초과하고, 상기 로고의 계조 값들에 기초한 로고 대표 값과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에 기초한 제1 로고 임계 값의 차이가 제2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감소시켜 제2 영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로고 주변 영역 보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로고 주변 영역 설정부는: 상기 로고의 외곽을 복수의 직선으로 에워싸는 로고 영역을 설정하는 로고 영역 설정부; 및 상기 로고 영역의 외곽을 미리 결정된 이격 거리 값에 따라 확장시켜 로고 주변 영역의 외곽을 설정하는 영역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내곽은 상기 로고의 외곽과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로고 주변 영역 보정부는 상기 로고 대표 값과 상기 제1 로고 임계 값의 차이가 상기 제2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서브-영역들 각각에 대한 계조 값들을 서브-영역 임계 값들 이하로 제한하는 제1 매핑 커브들을 산출하는 로고 주변 영역 커브 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로고 임계 값은 상기 서브-영역 임계 값들의 최소 값보다 크고 최대 값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로고 제어 방법은: 복수의 제1 영상 프레임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영상 프레임들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로고 영역을 검출하는 로고 영역 검출 단계; 상기 로고 영역을 기준으로 확장된 로고 주변 영역을 설정하는 로고 주변 영역 설정 단계;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상 프레임의 계조 값들에 기초하여 표시 부하 값을 산출하고,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에 기초한 로고 주변 영역 대표 값과 상기 표시 부하 값의 차이가 제1 기준 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표시 부하 판단 단계; 및 상기 로고 주변 영역 대표 값과 상기 표시 부하 값의 차이가 상기 제1 기준 값을 초과하고, 상기 로고 영역의 계조 값들에 기초한 로고 영역 대표 값과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에 기초한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의 차이가 제2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감소시켜 제2 영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로고 주변 영역 보정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부하 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상 프레임의 계조 값들의 평균 값에 대응하고, 상기 로고 주변 영역 대표 값은 상기 제1 영상 프레임의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의 평균 값에 대응하고, 상기 로고 영역 대표 값은 상기 제1 영상 프레임의 상기 로고 영역의 계조 값들에 평균 값에 대응하고, 상기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은 상기 제1 영상 프레임의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의 평균 값에 마진 값을 가산한 값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로고 주변 영역 보정 단계는: 상기 로고 영역 대표 값과 상기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의 차이가 상기 제2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서브-영역들 각각에 대한 계조 값들을 서브-영역 임계 값들 이하로 제한하는 제1 매핑 커브들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매핑 커브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상 프레임의 상기 서브-영역들의 계조 값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감소시켜 상기 제2 영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고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영상 프레임의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에 기초하여 제2 로고 영역 임계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로고 영역 임계 값은 상기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로고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영상 프레임의 상기 로고 영역의 계조 값들을 상기 제2 로고 영역 임계 값 이하로 제한하는 제2 매핑 커브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매핑 커브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상 프레임의 상기 로고 영역의 계조 값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감소시켜 제3 영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로고 제어부 및 로고 제어 방법은 표시 부하에 따라 로고 영역 및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로고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로고 영역 검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로고 주변 영역 설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 설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부하 판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15, 및 1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로고 주변 영역 보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및 1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로고 영역 보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고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 및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고 주변 영역 설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 23, 및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고 주변 영역 보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참조 부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타이밍 제어부(11), 데이터 구동부(12), 주사 구동부(13), 발광 구동부(14), 화소부(15), 및 로고 제어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1)는 데이터 구동부(12)의 사양(specification)에 적합하도록 계조 값들 및 제어 신호들을 데이터 구동부(12)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11)는 주사 구동부(13)의 사양에 적합하도록 클록 신호, 주사 시작 신호 등을 주사 구동부(13)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11)는 발광 구동부(14)의 사양에 적합하도록 클록 신호, 발광 중지 신호 등을 발광 구동부(14)에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2)는 타이밍 제어부(11)로부터 수신한 계조 값들 및 제어 신호들을 이용하여 데이터 라인들(D1, D2, D3, ..., Dn)로 제공할 데이터 전압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구동부(12)는 클록 신호를 이용하여 계조 값들을 샘플링하고, 계조 값들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압들을 화소행 단위로 데이터 라인들(D1~Dn)에 인가할 수 있다. n은 자연수 일 수 있다.
주사 구동부(13)는 타이밍 제어부(11)로부터 클록 신호, 주사 시작 신호 등을 수신하여 주사 라인들(S1, S2, S3, ..., Sm)에 제공할 주사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사 구동부(13)는 주사 라인들(S1~Sm)에 순차적으로 턴-온 레벨의 펄스를 갖는 주사 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사 구동부(13)는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클록 신호의 제어에 따라 턴-온 레벨의 펄스 형태인 주사 시작 신호를 다음 스테이지 회로로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주사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m은 자연수 일 수 있다.
발광 구동부(14)는 타이밍 제어부(11)로부터 클록 신호, 발광 중지 신호 등을 수신하여 발광 라인들(E1, E2, E3, ..., Eo)에 제공할 발광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구동부(14)는 발광 라인들(E1~Eo)에 순차적으로 턴-오프 레벨의 펄스를 갖는 발광 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구동부(14)는 시프트 레지스터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클록 신호의 제어에 따라 턴-오프 레벨의 펄스 형태인 발광 중지 신호를 다음 스테이지 회로로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발광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o는 자연수 일 수 있다.
화소부(15)는 화소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화소(PXij)는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 주사 라인, 및 발광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i 및 j는 자연수일 수 있다. 화소(PXij)는 스캔 트랜지스터가 i 번째 주사 라인 및 j 번째 데이터 라인과 연결된 화소를 의미할 수 있다.
로고 제어부(16)는 타이밍 제어부(11)로부터 수신한 영상 프레임으로부터 로고 또는 로고 영역을 검출하고, 로고 또는 로고 영역에 대응하는 계조 값들을 보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로고 제어부(16)는 로고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계조 값들을 보정할 수도 있다. 로고, 로고 영역, 로고 주변 영역에 대한 정의는 도 7 이하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실시예에 따라, 로고 제어부(16)는 일부 또는 전부가 타이밍 제어부(11)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고 제어부(16)의 일부 또는 전부가 타이밍 제어부(11)와 함께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로고 제어부(16)는 일부 또는 전부가 타이밍 제어부(11)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소(PXij)는 트랜지스터들(M1, M2, M3, M4, M5, M6, M7), 스토리지 커패시터(Cst1),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트랜지스터들은 P형 트랜지스터로 도시되었지만, 당업자라면 N형 트랜지스터로 동일한 기능을 하는 화소 회로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1)는 일전극이 제1 전원 전압 라인(ELVDD)에 연결되고, 타전극이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M1)는 일전극이 트랜지스터(M5)의 타전극에 연결되고, 타전극이 트랜지스터(M6)의 일전극에 연결되고, 게이트 전극이 스토리지 커패시터(Cst1)의 타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M1)를 구동 트랜지스터로 명명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M1)는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의 전위차에 따라 제1 전원 전압 라인(ELVDD)과 제2 전원 전압 라인(ELVSS) 사이에 흐르는 구동 전류량을 결정한다.
트랜지스터(M2)는 일전극이 데이터 라인(Dj)에 연결되고, 타전극이 트랜지스터(M1)의 일전극에 연결되고, 게이트 전극이 현재 주사 라인(Si)에 연결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M2)를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캔 트랜지스터, 주사 트랜지스터 등으로 명명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M2)는 현재 주사 라인(Si)에 턴-온 레벨의 주사 신호가 인가되면 데이터 라인(Dj)의 데이터 전압을 화소(PXij)로 인입시킨다.
트랜지스터(M3)는 일전극이 트랜지스터(M1)의 타전극에 연결되고, 타전극이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고, 게이트 전극이 현재 주사 라인(Si)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M3)는 현재 주사 라인(Si)에 턴-온 레벨의 주사 신호가 인가되면 트랜지스터(M1)를 다이오드 형태로 연결시킨다.
트랜지스터(M4)는 일전극이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고, 타전극이 초기화 전압 라인(VINT)에 연결되고, 게이트 전극이 이전 주사 라인(S(i-1))에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트랜지스터(M4)의 게이트 전극은 다른 주사 라인에 연결될 수도 있다. 트랜지스터(M4)는 이전 주사 라인(S(i-1))에 턴-온 레벨의 주사 신호가 인가되면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에 초기화 전압(VINT)을 전달하여,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의 전하량을 초기화시킨다.
트랜지스터(M5)는 일전극이 제1 전원 전압 라인(ELVDD)에 연결되고, 타전극이 트랜지스터(M1)의 일전극에 연결되고, 게이트 전극이 발광 라인(Ei)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M6)는 일전극이 트랜지스터(M1)의 타전극에 연결되고, 타전극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ELD1)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고, 게이트 전극이 발광 라인(Ei)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M5, M6)는 발광 트랜지스터로 명명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M5, M6)는 턴온 레벨의 발광 신호가 인가되면 제1 전원 전압 라인(ELVDD)과 제2 전원 전압 라인(ELVSS) 사이의 구동 전류 경로를 형성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OELD1)를 발광시킨다.
트랜지스터(M7)는 일전극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1)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고, 타전극이 초기화 전압 라인(VINT)에 연결되고, 게이트 전극이 현재 주사 라인(Si)에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트랜지스터(M7)의 게이트 전극은 다른 주사 라인에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M7)의 게이트 전극은 이전 주사 라인(S(i-1)) 또는 그 이전 주사 라인, 다음 주사 라인(i+1 번째 주사 라인) 또는 그 다음의 주사 라인에 연결될 수도 있다. 트랜지스터(M7)는 현재 주사 라인(Si)에 턴온 레벨의 주사 신호가 인가되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1)의 애노드 전극에 초기화 전압을 전달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OELD1)에 축적된 전하량을 초기화시킨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1)는 애노드 전극이 트랜지스터(M6)의 타전극에 연결되고, 캐소드 전극이 제2 전원 전압 라인(ELVSS)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데이터 라인(Dj)에는 이전 화소행에 대한 데이터 전압(DATA(i-1)j)이 인가되고, 이전 주사 라인(S(i-1))에는 턴-온 레벨(로우 레벨)의 주사 신호가 인가된다.
현재 주사 라인(Si)에는 턴-오프 레벨(하이 레벨)의 주사 신호가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M2)는 턴오프 상태이고, 이전 화소행(DATA(i-1)j)에 대한 데이터 전압이 화소(PXij)로 인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트랜지스터(M4)는 턴-온 상태가 되므로,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에 초기화 전압이 인가되어 전하량이 초기화된다. 발광 라인(Ei)에는 턴-오프 레벨의 발광 신호가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M5, M6)는 턴-오프 상태이고, 초기화 전압 인가 과정에 따른 불필요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1)의 발광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데이터 라인(Dj)에는 현재 화소행에 대한 데이터 전압(DATAij)이 인가되고, 현재 주사 라인(Si)에는 턴-온 레벨의 주사 신호가 인가된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M2, M1, M3)가 도통 상태가 되며, 데이터 라인(Dj)과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데이터 전압(DATAij)이 스토리지 커패시터(Cst1)의 타전극에 인가되고, 스토리지 커패시터(Cst1)는 제1 전원 전압 라인(ELVDD)의 전압과 데이터 전압(DATAij)의 차이에 해당하는 전하량을 축적한다.
이때, 트랜지스터(M7)는 턴-온 상태이므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1)의 애노드 전극과 초기화 전압 라인(VINT)이 연결되고, 유기 발광 다이오드(OELD1)는 초기화 전압과 제2 전원 전압의 전압 차이에 해당하는 전하량으로 프리차지(precharge) 또는 초기화된다.
이후, 발광 라인(Ei)에 턴-온 레벨의 발광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트랜지스터(M5, M6)가 도통되며, 스토리지 커패시터(Cst1)에 축적된 전하량에 따라 트랜지스터(M1)를 통과하는 구동 전류량이 조절되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1)로 구동 전류가 흐른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1)는 발광 라인(Ei)에 턴-오프 레벨의 발광 신호가 인가되기 전까지 발광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타이밍 제어부(11), 데이터 구동부(12), 주사 구동부(13), 화소부(15'), 및 로고 제어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표시 장치(10')는 발광 제어부가 없는 점을 제외하고 도 1의 표시 장치(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들을 포함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화소(PXij')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들(T1, T2), 스토리지 커패시터(Cst2),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2)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T2)는 게이트 전극이 주사 라인(Si)에 연결되고, 일전극이 데이터 라인(Dj)에 연결되고, 타전극이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T2)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캔 트랜지스터, 주사 트랜지스터 등으로 명명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T1)는 게이트 전극이 트랜지스터(T2)의 타전극에 연결되고, 일전극이 제1 전원 전압 라인(ELVDD)에 연결되고, 타전극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2)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T1)는 구동 트랜지스터로 명명될 수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2)는 트랜지스터(T1)의 일전극과 게이트 전극을 연결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2)는 애노드 전극이 트랜지스터(T1)의 타전극에 연결되고, 캐소드 전극이 제2 전원 전압 라인(ELVSS)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단자에 주사 라인(Si)을 통해서 턴-온 레벨(로우 레벨)의 스캔 신호가 공급되면, 트랜지스터(T2)는 데이터 라인(Dj)과 스토리지 커패시터(Cst2)의 일전극을 연결시킨다. 따라서, 스토리지 커패시터(Cst2)에는 데이터 라인(Dj)을 통해 인가된 데이터 전압(DATAij)과 제1 전원 전압의 차이에 따른 전압 값이 기입된다. 트랜지스터(T1)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2)에 기입된 전압 값에 따라 결정된 구동 전류를 제1 전원 전압 라인(ELVDD)으로부터 제2 전원 전압 라인(ELVSS)으로 흐르게 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2)는 구동 전류량에 따른 휘도로 발광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로고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로고 제어부(16)는 로고 영역 검출부(161), 로고 주변 영역 설정부(162),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 설정부(163a), 제2 로고 영역 임계 값 설정부(163b), 로고 영역 보정부(164), 표시 부하 판단부(165), 및 로고 주변 영역 보정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기능부들(161~166)은 독립적으로 각각 구성될 수도 있고, 통합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각각의 기능부들(161~166)은 전용(exclusive-purpose) 회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되어 범용(general-purpose) 회로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범용 회로는 프로세서(processor)일 수도 있다.
로고 제어부(16)는 타이밍 제어부(11)로부터 제1 영상 프레임(IMF1)을 수신하여 보정된 제3 영상 프레임(IMF3)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3 영상 프레임(IMF3)은 타이밍 제어부(11) 또는 데이터 구동부(12)에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3 영상 프레임(IMF3)은 제1 영상 프레임(IMF1) 또는 제2 영상 프레임(IMF2)과 동일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로고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3 영상 프레임(IMF3)은 제1 영상 프레임(IMF1)과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7의 각 구성을 해당하는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영역은 화소(PXij, PXij')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영역은 화소(PXij, PXij')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1, OLED2)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1, OLED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로고 영역 검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로고 주변 영역 설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로고 영역 검출부(161)는 제1 영상 프레임(IMF1)을 수신하고, 로고 영역 위치 정보(LGA_loc)를 제공할 수 있다.
로고 영역 검출부(161)는 복수의 제1 영상 프레임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1 영상 프레임들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로고 영역(LGA)을 검출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영상 프레임들은 순차적으로 입력된 제1 영상 프레임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고 영역 검출부(161)는 고계조 영역 검출부(1611), 정지 영역 검출부(1612), 엣지 영역 검출부(1613), 및 중첩 영역 추출부(1614)를 포함할 수 있다.
고계조 영역 검출부(1611)는 제1 영상 프레임(IMF1)을 수신하고, 고계조 영역 위치 정보(HGA_loc)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계조 영역 검출부(1611)는 복수의 제1 영상 프레임들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고계조 영역을 검출하여, 그 위치 정보를 고계조 영역 위치 정보(HGA_loc)로써 제공할 수 있다.
정지 영역 검출부(1612)는 제1 영상 프레임(IMF1)을 수신하고, 정지 영역 위치 정보(SIA_loc)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지 영역 검출부(1612)는 복수의 제1 영상 프레임들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정지 영역을 검출하여, 그 위치 정보를 정지 영역 위치 정보(SIA_loc)로써 제공할 수 있다.
엣지 영역 검출부(1613)는 제1 영상 프레임(IMF1)을 수신하고, 엣지 영역 위치 정보(EDA_loc)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엣지 영역 검출부(1613)는 복수의 제1 영상 프레임들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엣지 영역을 검출하여, 그 위치 정보를 엣지 영역 위치 정보(EA_loc)로써 제공할 수 있다.
중첩 영역 추출부(1614)는 고계조 영역 위치 정보(HGA_loc), 정지 영역 위치 정보(SIA_loc), 및 엣지 영역 위치 정보(EDA_loc)를 수신하고, 로고 영역 위치 정보(LGA_loc)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첩 영역 추출부(1614)는 고계조 영역 위치 정보(HGA_loc)에 기초한 고계조 영역, 정지 영역 위치 정보(SIA_loc)에 기초한 정지 영역, 및 엣지 영역 위치 정보(EDA_loc)에 기초한 엣지 영역의 중첩된 영역을 로고 영역(LGA)으로 추출하여, 그 위치 정보를 로고 영역 위치 정보(LGA_loc)로써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순차적인 복수의 제1 영상 프레임들에 공통적으로 고계조 상태 및 정지 상태를 유지하면서 엣지(edge)를 포함하는 영역이 로고 영역(LGA)으로 검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정확한 로고(LG)의 위치를 확인하는 복잡한 알고리즘 없이도 높은 확률로 로고(LG)가 포함된 로고 영역(LGA)을 검출해 낼 수 있다.
로고 주변 영역 설정부(162)는 로고 영역 위치 정보(LGA_loc)를 수신하고, 로고 주변 영역 위치 정보(LGPA_loc)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고 주변 영역 설정부(162)는 영역 확장부(162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영역 확장부(1621)는 로고 주변 영역 설정부(162)와 동일할 수 있다.
영역 확장부(1621)는 로고 영역 위치 정보(LGA_loc) 및 제1 내지 제4 이격 거리 값들(D11, D12, D21, D22)을 수신하고, 로고 주변 영역 위치 정보(LGPA_loc)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역 확장부(1621)는, 로고 영역(LGA)의 제1 방향(DR1)의 외곽을 제1 이격 거리 값(D11)만큼 제1 방향(DR1)으로 확장시키고, 로고 영역(LGA)의 제1 방향(DR1)의 반대 방향의 외곽을 제2 이격 거리 값(D12)만큼 제1 방향(DR1)의 반대 방향으로 확장시키고, 로고 영역(LGA)의 제2 방향(DR2)의 외곽을 제3 이격 거리 값(D21)만큼 제2 방향(DR2)으로 확장시키고, 로고 영역(LGA)의 제2 방향(DR2)의 반대 방향의 외곽을 제4 이격 거리 값(D22)만큼 제2 방향(DR2)의 반대 방향으로 확장시킴으로써, 로고 주변 영역(LGPA)의 외곽을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로고 주변 영역(LGPA)의 내곽은 로고 영역(LGA)의 외곽과 일치할 수 있다. 영역 확장부(1621)는 이러한 로고 주변 영역(LGPA)의 위치 정보를 로고 주변 영역 위치 정보(LGPA_loc)로써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로고 주변 영역(LGPA)의 크기가 로고 영역(LGA)의 크기에 맞춰 가변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로고 영역(LGA)에 대응하여 로고 주변 영역(LGPA)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 설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 설정부(163a)는 제1 영상 프레임(IMF1) 및 로고 주변 영역 위치 정보(LGPA_loc)를 수신하고, 제1 평균 값(LGPA_avg) 및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BGth1)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 설정부(163a)는 제1 영상 프레임(IMF1)의 로고 주변 영역(LGPA)의 계조 값들에 기초하여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BGth1)을 설정할 수 있다.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 설정부(163a)는 제1 평균 값 산출부(1631) 및 마진 값 가산부(16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평균 값 산출부(1631)는 제1 영상 프레임(IMF1) 및 로고 주변 영역 위치 정보(LGPA_loc)를 수신하고, 제1 평균 값(LGPA_avg)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평균 값 산출부(1631)는 제1 영상 프레임(IMF1)의 로고 주변 영역(LGPA)의 계조 값들의 제1 평균 값(LGPA_avg)을 산출할 수 있다. 로고 주변 영역 대표 값은 제1 평균 값(LPGA_avg)과 대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마진 값 가산부(1632)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BGth1)은 제1 평균 값(LGPA_avg)과 대응할 수도 있다.
마진 값 가산부(1632)는 제1 평균 값(LGPA_avg) 및 마진 값(mg1)을 수신하고,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BGth1)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진 값 가산부(1632)는 제1 평균 값(LGPA_avg)에 마진 값(mg1)을 가산하여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BGth1)을 산출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가로 축은 계조 값(GRAY)에 대응하고, 세로 축은 로고 주변 영역(LGPA)에서 해당 계조 값(GRAY)을 갖는 화소의 개수(PXN)에 대응하는 히스토그램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계조 값(GRAY)과 대응하는 화소의 개수(PXN)를 곱한 값들을 합산하고, 이를 로고 주변 영역(LGPA)에 포함된 화소의 전체 개수로 나누면 제1 평균 값(LGPA_avg)이 도출될 수 있다. 즉, 제1 평균 값(LGPA_avg)은 로고 주변 영역(LGPA)에 포함된 화소들의 평균 계조 값에 해당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BGth1)의 크기가 제1 평균 값(LGPA_avg)에 맞춰 가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부하 판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표시 부하 판단부(165)는 제1 영상 프레임(IMF1) 및 제1 평균 값(LGPA_avg)을 수신하고, 제1 비교 정보(CP1)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부하 판단부(165)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상 프레임(IMF1)의 계조 값들에 기초하여 표시 부하 값을 산출하고, 로고 주변 영역 대표 값(예를 들어, 제1 평균 값(LGPA_avg))과 표시 부하 값의 차이가 제1 기준 값(ref1) 이하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부하 판단부(165)는 제2 평균 값 산출부(1651) 및 제1 비교부(16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평균 값 산출부(1651)는 제1 영상 프레임(IMF1)을 수신하고, 제2 평균 값(IMF1_avg)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평균 값 산출부(1651)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상 프레임(IMF1)의 계조 값들의 제2 평균 값(IMF1_avg)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2 평균 값(IMF1_avg) 산출의 대상이 되는 계조 값들은 로고 주변 영역(LGPA) 및 로고 영역(LGA)을 포함하는 제1 영상 프레임(IMF1) 전체 화소들의 계조 값들일 수 있다. 따라서, 표시 부하 값은 제2 평균 값(IMF1_avg)과 대응할 수 있다.
제1 비교부(1652)는 제1 평균 값(LGPA_avg), 제2 평균 값(IMF1_avg) 및 제1 기준 값(ref1)을 수신하고, 제1 비교 정보(CP1)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교부(1652)는 제1 평균 값(LGPA_avg)과 제2 평균 값(IMF1_avg)의 차이가 제1 기준 값(ref1)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대응하는 제1 비교 정보(CP1)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평균 값(LGPA_avg)과 제2 평균 값(IMF1_avg)의 차이가 제1 기준 값(ref1)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표시 부하가 상대적으로 크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1 평균 값(LPGA_avg)이 제2 평균 값(IMF1_avg)보다 클 수 있다. 표시 부하가 상대적으로 크다는 의미는 제1 영상 프레임(IMF1)이 상대적으로 밝다는 의미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후술하는 단계들에서, 로고 주변 영역(LGPA)의 계조 값들을 보정하지 않고, 로고 영역(LGA)의 계조 값들만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BGth1) 이하로 보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시인하는 로고 영역(LGA)의 휘도는 로고 주변 영역(LGPA)의 상대적인 휘도에 주로 의존하므로, 표시 부하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라도, 계조 값들이 감소된 로고 영역(LGA)의 로고(LG)는 사용자에게 적절히 시인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후술하는 로고 주변 영역 보정부(166)는 제1 영상 프레임(IMF1)을 보정하지 않고 제2 영상 프레임(IMF2)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이때, 제2 영상 프레임(IMF2)은 제1 영상 프레임(IMF1)과 동일할 수 있다.
제1 평균 값(LGPA_avg)과 제2 평균 값(IMF1_avg)의 차이가 제1 기준 값(ref1)을 초과하는 경우, 표시 부하가 상대적으로 작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1 평균 값(LPGA_avg)이 제2 평균 값(IMF1_avg)보다 클 수 있다. 표시 부하가 상대적으로 작다는 의미는 제1 영상 프레임(IMF1)이 상대적으로 어둡다는 의미일 수 있다. 이때, 조건에 따라 로고 주변 영역(LGPA) 및 로고 영역(LGA)의 계조 값들을 더 감소시킴으로써, 화소들의 열화를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이때, 조건에 따라서 제2 영상 프레임(IMF2)은 제1 영상 프레임(IMF1)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4, 15, 및 16을 더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기준 값(ref1)은 제품에 따라 적절한 계조 값으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준 값(ref1)은 50 계조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4, 15, 및 1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로고 주변 영역 보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로고 주변 영역 보정부(166)는 제1 영상 프레임(IMF1), 제1 비교 정보(CP1), 로고 영역 위치 정보(LGA_loc), 로고 주변 영역 위치 정보(LGPA_loc), 및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BGth1)을 수신하고, 제2 영상 프레임(IMF2)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고 주변 영역 보정부(166)는 표시 부하 값(예를 들어, 제2 평균 값(IMF1_avg))이 제1 기준 값(ref1) 이하이고, 로고 영역(LGA)의 계조 값들에 기초한 로고 영역 대표 값(예를 들어, 제3 평균 값(LGA_avg))과 로고 주변 영역(LGPA)의 계조 값들에 기초한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BGth1)의 차이가 제2 기준 값(ref2) 이하인 경우, 로고 주변 영역(LGPA)의 계조 값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감소시켜 제2 영상 프레임(IMF2)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고 주변 영역 보정부(166)는 제3 평균 값 산출부(1661), 제2 비교부(1662), 로고 주변 영역 커브 산출부(1663), 및 제2 영상 프레임 생성부(16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평균 값 산출부(1661)는 제1 비교 정보(CP1), 로고 영역 위치 정보(LGA_loc), 및 제1 영상 프레임(IMF1)을 수신하고, 제3 평균 값(LGA_avg)을 제공할 수 있다. 로고 영역 대표 값은 제3 평균 값(LGA_avg)과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평균 값 산출부(1661)는 제1 영상 프레임(IMF1)의 로고 영역(LGA)의 계조 값들의 제3 평균 값(LGA_avg)을 산출할 수 있다.
제2 비교부(1662)는 제3 평균 값(LGA_avg), 제2 기준 값(ref2), 및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BGth1)을 수신하고, 제2 비교 정보(CP2)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비교부(1662)는 제3 평균 값(LGA_avg)과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BGth1)의 차이가 제2 기준 값(ref2) 이하인지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제2 비교 정보(CP2)로써 제공할 수 있다.
제3 평균 값(LGA_avg)과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BGth1)의 차이가 제2 기준 값(ref2)을 초과하는 경우, 로고 주변 영역(LGPA)의 계조 값들이 상대적으로 작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로고 영역 보정부(164)에 의해 로고(LG)에 대응하는 화소들의 계조 값들이 충분히 감소될 수 있어 화소 열화 방지 목적이 달성되므로, 로고 주변 영역(LGPA)의 보정이 불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로고 주변 영역 보정부(166)는 제1 영상 프레임(IMF1)과 동일한 제2 영상 프레임(IMF2)을 제공할 수 있다.
로고 영역 검출부(161)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면, 로고(LG)에 해당하는 화소들은 고계조 값들을 갖기 때문에, 제3 평균 값(LGA_avg)과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BGth1)의 차이가 제2 기준 값(ref2) 이하인 경우, 로고 주변 영역(LGPA)의 계조 값들이 상대적으로 크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BGth1)에 의존한다면, 로고(LG)에 대응하는 화소들의 계조 값들이 충분히 감소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로고 주변 영역(LGPA)의 계조 값들을 감소시켜, 더 낮은 제2 로고 영역 임계 값을 생성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로고 주변 영역 보정부(166)는 제1 영상 프레임(IMF1)과 다른 제2 영상 프레임(IMF2)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기준 값(ref2)은 제품에 따라 적절한 계조 차이 값으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준 값(ref2)은 20 계조로 선택될 수 있다.
로고 주변 영역 커브 산출부(1663)는 제2 비교 정보(CP2),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BGth1), 및 로고 주변 영역 위치 정보(LGPA_loc)를 수신하고, 제1 매핑 커브들(SB1_CV, SB2_CV, SB3_CV)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고 주변 영역 커브 산출부(1663)는 제3 평균 값(LGA_avg)과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BGth1)의 차이가 제2 기준 값(ref2) 이하인 경우, 로고 주변 영역(LGPA)의 서브-영역들(SB1, SB2, SB3) 각각에 대한 계조 값들을 서브-영역 임계 값들(SB1_th, SB2_th, SB3_th) 이하로 제한하는 제1 매핑 커브들(SB1_CV, SB2_CV, SB3_CV)을 산출할 수 있다.
제2 영상 프레임 생성부(1664)는 로고 주변 영역 위치 정보(LGPA_loc), 제1 영상 프레임(IMF1), 및 제1 매핑 커브들(SB1_CV, SB2_CV, SB3_CV)을 수신하고, 제2 영상 프레임(IMF2)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상 프레임 생성부(1664)는 제1 매핑 커브들(SB1_CV, SB2_CV, SB3_CV)에 기초하여 제1 영상 프레임(IMF1)의 서브-영역들(SB1, SB2, SB3)의 계조 값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감소시켜 제2 영상 프레임(IMF2)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서브-영역들(SB1, SB2, SB3)은 로고 영역(LGA)과의 거리에 따라 순차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영역들(SB1, SB2, SB3) 중 서브-영역(SB1)이 로고 영역(LGA)으로부터 가장 멀고, 서브-영역(SB3)이 로고 영역(LGA)으로부터 가장 가까울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서브-영역들(SB1, SB2, SB3)은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고 영역(LGA)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한 서브-영역(SB1)은 상대적으로 가까이 위치한 서브-영역(SB2)을 에워쌀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가로축은 로고 주변 영역(LGPA)의 입력 계조 값들(LGPA_IN)이고, 세로축은 로고 주변 영역(LGPA)의 보정 계조 값들(LGPA_OUT)인 그래프가 도시된다.
디폴트 매핑 커브(default mapping curve, LGPA_CV_d)에 따르면, 입력 계조 값들(LGPA_IN)은 보정 없이 동일한 계조 값들로 유지될 수 있다. 즉, 디폴트 매핑 커브(LGPA_CV_d)의 기울기는 1일 수 있다.
제1 매핑 커브들(SB1_CV, SB2_CV, SB3_CV)는 0 계조부터 제1 기준 계조(ref_gray1)까지에 대해서는 기울기가 1로 제공되고, 제1 기준 계조(ref_gray1)의 이후부터 기울기가 점점 작아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0 계조는 블랙 계조일 수 있고, 마지막 계조(8비트 데이터인 경우 255 계조)는 화이트 계조일 수 있다. 제1 매핑 커브들(SB1_CV, SB2_CV, SB3_CV)에 따른 보정 계조 값들(LGPA_OUT)은 대응하는 서브-영역 임계 값들(SB1_th, SB2_th, SB3_th)로 수렴할 수 있다.
서브-영역 임계 값들(SB1_th, SB2_th, SB3_th)은 대응하는 서브-영역들(SB1, SB2, SB3)이 로고 영역(LGA)에 인접할 수록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로고 영역(LGA)과 최인접한 서브-영역(SB3)의 휘도를 가장 낮춤으로써, 상대적인 로고(LG)의 휘도를 부각시킬 수 있다.
서브-영역 임계 값들(SB1_th, SB2_th, SB3_th)은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BGth1)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입력 계조에 대해서 불규칙한 계조 표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8의 설명을 참조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기준 계조(ref_gray1)의 값은 각각의 제1 매핑 커브들(SB1_CV, SB2_CV, SB3_CV)에 대해서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제1 기준 계조(ref_gray1)의 값은 대응하는 서브-영역 임계 값들(SB1_th, SB2_th, SB3_th)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영역 임계 값들(SB1_th, SB2_th, SB3_th)이 작아질수록 제1 기준 계조(ref_gray1)의 값은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0 계조부터 제1 기준 계조(ref_gray1)까지에 대해서도 기울기가 점점 작아지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각각의 제1 매핑 커브들(SB1_CV, SB2_CV, SB3_CV)은 입력 계조 값들(LGPA_IN)에 대응하는 보정 계조 값들(LGPA_OUT)이 기록된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형태로 메모리에 미리 저장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1 매핑 커브들(SB1_CV, SB2_CV, SB3_CV)은, 일부 입력 계조 값들에 대응하는 일부 보정 계조 값들에 대해서만 룩-업 테이블 형태로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고, 나머지 입력 계조 값들에 대응하는 나머지 보정 계조 값들에 대해서는 인터폴레이션(interpolation) 등의 방법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매핑 커브들(SB1_CV, SB2_CV, SB3_CV)은 데이터들이 아니라 수학식 형태일 수 있으며, 해당 수학식은 알고리즘화 되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전용 회로로 직접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건에 따라, 로고 주변 영역(LGPA)의 서브-영역들(SB1, SB2, SB3)의 계조 값들이 대응하는 서브-영역 임계 값들(SB1_th, SB2_th, SB3_th) 이하로 보정될 수 있다. 보정된 경우, 제2 영상 프레임(IMF2)은 제1 영상 프레임(IMF1)과 다를 수 있다. 보정되지 않은 경우, 제2 영상 프레임(IMF1)은 제1 영상 프레임(IMF1)과 동일할 수 있다.
제2 로고 영역 임계 값 설정부(163b)는 제2 영상 프레임(IMF2) 및 로고 주변 영역 위치 정보(LGPA_loc)를 수신하고, 제2 로고 영역 임계 계조(BGth2)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로고 영역 임계 값 설정부(163b)는 제2 영상 프레임(IMF2)의 로고 주변 영역(LGPA)의 계조 값들에 기초하여 제2 로고 영역 임계 값(BGth2)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로고 영역 임계 값 설정부(163b)는,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 설정부(163a)와 유사하게, 제1 평균 값 산출부 및 마진 값 가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로고 영역 임계 값 설정부(163b)는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 설정부(163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는다.
하지만, 제2 로고 영역 임계 값 설정부(163b)는 제2 영상 프레임(IMF2)에 기초하여 제2 로고 영역 임계 값(BGth2)을 설정하는 점에서,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 설정부(163a)와 차이가 있다. 보정된 제2 영상 프레임(IMF2)의 로고 주변 영역(LGPA)의 계조 값들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영상 프레임(IMF1)의 로고 주변 영역(LGPA)의 대응하는 계조 값들보다 작게 된다. 따라서, 제2 로고 영역 임계 계조(BGth2)는 제1 로고 영역 임계 계조(BGth1)보다 작을 수 있다.
만약, 제2 영상 프레임(IMF2)이 제1 영상 프레임(IMF1)과 동일한 경우, 제2 로고 영역 임계 계조(BGth2)는 제1 로고 영역 임계 계조(BGth1)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7 및 1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로고 영역 보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로고 영역 보정부(164)는 제2 영상 프레임(IMF2), 로고 영역 위치 정보(LGA_loc), 및 제2 로고 영역 임계 값(BGth2)을 수신하고, 제3 영상 프레임(IMF3)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고 영역 보정부(164)는 제2 영상 프레임(IMF2)의 로고 영역(LGA)의 계조 값들을 제2 로고 영역 임계 값(BGth2) 이하로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고 영역 보정부(164)는 로고 영역 커브 산출부(1641) 및 제3 영상 프레임 생성부(1642)를 포함할 수 있다.
로고 영역 커브 산출부(1641)는 제2 로고 영역 임계 값(BGth2) 및 로고 영역 위치 정보(LGA_loc)를 수신하고, 제2 매핑 커브(LGA_CV)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고 영역 커브 산출부(1641)는 제2 영상 프레임(IMF2)의 로고 영역(LGA)의 계조 값들을 제2 로고 영역 임계 값(BGth2) 이하로 제한하는 제2 매핑 커브(LGA_CV)를 산출할 수 있다.
제3 영상 프레임 생성부(1642)는 로고 영역 위치 정보(LGA_loc), 제2 영상 프레임(IMF2), 및 제2 매핑 커브(LGA_CV)를 수신하고, 제3 영상 프레임(IMF3)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영상 프레임 생성부(1642)는 제2 매핑 커브(LGA_CV)에 기초하여 제2 영상 프레임(IMF2)의 로고 영역(LGA)의 계조 값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감소시켜 제3 영상 프레임(IMF3)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가로축은 로고 영역(LGA)의 입력 계조 값들(LGA_IN)이고, 세로축은 로고 영역(LGA)의 보정 계조 값들(LGA_OUT)인 그래프가 도시된다.
디폴트 매핑 커브(LGA_CV_d)에 따르면, 입력 계조 값들(LGA_IN)은 보정 없이 동일한 계조 값들로 유지될 수 있다. 즉, 디폴트 매핑 커브(LGA_CV_d)의 기울기는 1일 수 있다.
제2 매핑 커브(LGA_CV)는 0 계조부터 제2 기준 계조(ref_gray2)까지에 대해서는 기울기가 1로 제공되고, 제2 기준 계조(ref_gray2)의 이후부터 기울기가 점점 작아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0 계조는 블랙 계조일 수 있고, 마지막 계조(8비트 데이터인 경우 255 계조)는 화이트 계조일 수 있다. 제2 매핑 커브(LGA_CV)에 따른 보정 계조 값들(LGA_OUT)은 제2 로고 영역 임계 값(BGth2)의 값으로 수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기준 계조(ref_gray2)의 값은 제2 로고 영역 임계 계조(BGth2)의 값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로고 영역 임계 계조(BGth2)의 값이 작아질수록 제2 기준 계조(ref_gray2)의 값은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0 계조부터 제2 기준 계조(ref_gray2)까지의 입력 계조 값들(LGA_IN)에 대해서도 기울기가 점점 작아지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제2 매핑 커브(LGA_CV)는 각각의 제2 로고 영역 임계 계조(BGth2)에 대해서 입력 계조 값들(LGA_IN)에 대응하는 보정 계조 값들(LGA_OUT)이 기록된 룩-업 테이블 형태로 메모리에 미리 저장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매핑 커브(LGA_CV)는 일부 제2 로고 영역 임계 계조들에 대해서만 룩-업 테이블 형태로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고, 나머지 제2 로고 영역 임계 계조들에 대해서는 인터폴레이션 등의 방법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매핑 커브(LGA_CV)는 데이터들이 아니라 수학식 형태일 수 있으며, 해당 수학식은 알고리즘화 되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전용 회로로 직접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로고 영역(LGA)의 계조 값들이 제2 로고 영역 임계 값(BGth2) 이하로 보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로고 영역(LGA)에서 로고(LG)가 고계조들(예를 들어, 제2 기준 계조(ref_gray2) 초과 계조들)로 구성되므로, 로고(LG)에 해당하는 화소들의 계조들이 제2 매핑 커브(LGA_CV)에 따라 감소될 수 있다. 반면에, 로고 영역(LGA)에서 로고(LG)가 아닌 화소들은 비교적 저계조들(예를 들어, 제2 기준 계조(ref_gray2) 이하 계조들)러 구성되므로, 로고(LG)가 아닌 화소들은 제2 매핑 커브(LGA_CV)에 따른 계조 감소량이 미미할 수 있다. 따라서, 로고 영역 검출부(161)에서 로고(LG) 자체가 아닌 로고 영역(LGA)을 검출하더라도, 로고(LG)에 해당하는 화소들의 계조 값들을 선택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영상 프레임(IMF2)이 제1 영상 프레임(IMF1)과 다른 경우, 제2 로고 영역 임계 값(BGth2)은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BGth1)보다 작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로고(LG)에 해당하는 화소들의 계조 값들이 더 감소될 수 있고, 해당 화소들의 열화가 더욱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16 및 18을 참조하면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BGth1) 이하로 설정되는 제2 로고 영역 임계 값(BGth2)은 서브-영역 임계 값들(SB1_th, SB2_th, SB3_th)보다 낮음이 보장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입력 계조 값에 대해서 서브-영역(SB1), 서브-영역(SB2), 서브-영역(SB3), 로고 영역(LGA) 순서로 출력 계조 값이 순차적으로 낮아지게 되므로, 불규칙적인 계조 표현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고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고 제어부(16')는 로고 검출부(161'), 로고 주변 영역 설정부(162'), 제1 로고 임계 값 설정부(163a'), 제2 로고 임계 값 설정부(163b'), 로고 보정부(164'), 표시 부하 판단부(165'), 및 로고 주변 영역 보정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의 로고 제어부(16')는, 도 7의 로고 제어부(16)와 달리, 로고 영역(LGA)을 검출한 이후에 로고 영역 임계 값들(BGth1, BGth2)을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로고(LG) 자체를 검출한 이후에 로고 임계 값들(BGth1', BGth2')을 설정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7과 비교했을 때, 도 19의 로고 제어부(16')는 로고 영역 검출부(161)가 로고 검출부(161')로 대체되고,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 설정부(163a)가 제1 로고 임계 값 설정부(163a')로 대체되고, 제2 로고 영역 임계 값 설정부(163b)가 제1 로고 임계 값 설정부(163b')로 대체되고, 로고 영역 보정부(164)가 로고 보정부(164')로 대체되었다. 기타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에 따옴표(apostrophe)를 추가하여 도시하였다.
로고 검출부(161')는 제1 영상 프레임(IMF1')을 수신하고, 로고 위치 정보(LG_loc')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고 검출부(161')는 복수의 제1 영상 프레임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1 영상 프레임들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로고를 검출할 수 있다.
로고 검출부(161')는 로고 영역 검출부(161)와 달리, 로고 영역(LGA)이 아닌 로고(LG) 자체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로고(LG)의 검출 알고리즘은 기존의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딥 러닝(deep learning) 등의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로고 주변 영역 설정부(162')는 로고를 기준으로 확장된 로고 주변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표시 부하 판단부(165')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상 프레임(IMF1')의 계조 값들에 기초하여 표시 부하 값을 산출하고, 표시 부하 값이 제1 기준 값 이하인지 판단할 수 있다.
로고 주변 영역 보정부(166')는 표시 부하 값이 제1 기준 값 이하이고, 로고의 계조 값들에 기초한 로고 대표 값과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에 기초한 제1 로고 임계 값(BGth1')의 차이가 제2 기준 값 이하인 경우,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감소시켜 제2 영상 프레임(IMF2')을 생성할 수 있다.
기타, 도 7의 로고 제어부(16)와 유사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 및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고 주변 영역 설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로고 주변 영역 설정부(162')는 로고 위치 정보(LG_loc')를 수신하고, 로고 주변 영역 위치 정보(LGPA_loc')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고 주변 영역 설정부(162')는 로고 영역 설정부(1622') 및 영역 확장부(1621')를 포함할 수 있다.
로고 영역 설정부(1622')는 로고 위치 정보(LG_loc')를 수신하고, 로고 영역 위치 정보(LGA_loc')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고 영역 설정부(1622')는 로고(LG')의 외곽을 복수의 직선으로 에워싸는 로고 영역(LGA')을 설정하고, 로고 영역(LGA')에 대한 위치 정보를 로고 영역 위치 정보(LGA_loc')로써 제공할 수 있다.
영역 확장부(1621')는 로고 영역 위치 정보(LGA_loc') 및 제1 내지 제4 이격 거리 값들(D11', D12', D21', D22')을 수신하고, 로고 주변 영역 위치 정보(LGPA_loc')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역 확장부(1621')는 로고 영역(LGA')의 외곽을 미리 결정된 이격 거리 값들(D11', D12', D21', D22')에 따라 확장시켜 로고 주변 영역(LGPA')의 외곽을 설정할 수 있다. 다만, 도 21의 로고 주변 영역(LGPA')의 내곽은 로고(LG')의 외곽과 대응하고, 도 10의 로고 주변 영역(LGPA)의 내곽은 로고 영역(LGA)의 외곽과 대응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22, 23, 및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고 주변 영역 보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로고 주변 영역 보정부(166')는 제3 평균 값 산출부(1661'), 제2 비교부(1662'), 로고 주변 영역 커브 산출부(1663'), 및 제2 영상 프레임 생성부(1664')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로고 주변 영역 커브 산출부(1663')는 로고 대표 값(예를 들어, 제3 평균 값(LG_avg'))과 제1 로고 임계 값(BGth1')의 차이가 제2 기준 값(ref2') 이하인 경우, 로고 주변 영역(LGPA')의 서브-영역들(SB1', SB2', SB3', SB4') 각각에 대한 계조 값들을 서브-영역 임계 값들(SB1_th', SB2_th', SB3_th', SB4_th') 이하로 제한하는 제1 매핑 커브들(SB1_CV', SB2_CV', SB3_CV', SB4_CV')을 산출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서브-영역들(SB1', SB2', SB3', SB4')은 로고 주변 영역(LGPA')의 중심과의 거리에 따라 순차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영역들(SB1', SB2', SB3', SB4') 중 서브-영역(SB1')이 로고 주변 영역(LGPA')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멀고, 서브-영역(SB4')이 로고 주변 영역(LGPA')의 중심과 가장 가까울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서브-영역들(SB1', SB2', SB3', SB4')은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고 주변 영역(LGPA')의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한 서브-영역(SB1')은 상대적으로 가까이 위치한 서브-영역(SB2')을 에워쌀 수 있다.
도 15와 비교했을 때, 도 23의 실시예는 서브-영역(SB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영역(SB4')은 로고 영역(LGA')의 외곽선의 내부에 포함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서브-영역(SB4')은 로고(LG')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서브-영역(SB4')을 구성하는 화소들은 로고(LG')를 구성하는 화소들과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1 매핑 커브들(SB1_CV', SB2_CV', SB3_CV', SB4_CV')이 도시된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로고 임계 값(BGth1')은 서브-영역 임계 값들(SB1_th', SB2_th', SB3_th', SB4_th')의 최소 값(SB4_th')보다 크고 최대 값(SB1_th')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서브-영역(SB4')의 서브-영역 임계 값(SB4_th')은 제1 로고 임계 값(BGth1')보다 작게 설정됨으로써, 로고(LG')의 상대적 휘도를 상승시키면서, 동일한 입력 계조에 대한 불규칙한 계조 표현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후에 설정되는 제2 로고 임계 값(BGth2')은 제1 로고 임계 값(BGth1')보다 낮지만, 서브-영역 임계 값(SB3_th') 및 서브-영역 임계 값(SB4_th')의 사이 값을 유지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표시 장치
11: 타이밍 제어부
12: 데이터 구동부
13: 주사 구동부
14: 발광 구동부
15: 화소부
16: 로고 제어부

Claims (20)

  1. 복수의 제1 영상 프레임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영상 프레임들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로고 영역을 검출하는 로고 영역 검출부;
    상기 로고 영역을 기준으로 확장된 로고 주변 영역을 설정하는 로고 주변 영역 설정부;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상 프레임의 계조 값들에 기초하여 표시 부하 값을 산출하고,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에 기초한 로고 주변 영역 대표 값과 상기 표시 부하 값의 차이가 제1 기준 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표시 부하 판단부; 및
    상기 로고 주변 영역 대표 값과 상기 표시 부하 값의 차이가 상기 제1 기준 값을 초과하고, 상기 로고 영역의 계조 값들에 기초한 로고 영역 대표 값과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에 기초한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의 차이가 제2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감소시켜 제2 영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로고 주변 영역 보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상 프레임의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을 설정하는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로고 제어부.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 설정부는:
    상기 제1 영상 프레임의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의 제1 평균 값을 산출하는 제1 평균 값 산출부; 및
    상기 제1 평균 값에 마진 값을 가산하여 상기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을 산출하는 마진 값 가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고 주변 영역 대표 값은 제1 평균 값과 대응하는,
    로고 제어부.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부하 판단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상 프레임의 계조 값들의 제2 평균 값을 산출하는 제2 평균 값 산출부; 및
    상기 제1 평균 값과 상기 제2 평균 값의 차이가 상기 제1 기준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비교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부하 값은 상기 제2 평균 값과 대응하는,
    로고 제어부.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 주변 영역 보정부는 상기 제1 영상 프레임의 상기 로고 영역의 계조 값들의 제3 평균 값을 산출하는 제3 평균 값 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고 영역 대표 값은 상기 제3 평균 값과 대응하는,
    로고 제어부.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 주변 영역 보정부는:
    상기 제3 평균 값과 상기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의 차이가 상기 제2 기준 값 이하인지 비교하는 제2 비교부;
    상기 제3 평균 값과 상기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의 차이가 상기 제2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서브-영역들 각각에 대한 계조 값들을 서브-영역 임계 값들 이하로 제한하는 제1 매핑 커브들(mapping curves)을 산출하는 로고 주변 영역 커브 산출부; 및
    상기 제1 매핑 커브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상 프레임의 상기 서브-영역들의 계조 값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감소시켜 상기 제2 영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제2 영상 프레임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로고 제어부.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영역 임계 값들은 대응하는 상기 서브-영역들이 상기 로고 영역에 인접할 수록 감소하는,
    로고 제어부.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영역 임계 값들은 상기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보다 크거나 같은,
    로고 제어부.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 프레임의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에 기초하여 제2 로고 영역 임계 값을 설정하는 제2 로고 영역 임계 값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로고 제어부.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 프레임의 상기 로고 영역의 계조 값들을 상기 제2 로고 영역 임계 값 이하로 보정하는 로고 영역 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로고 제어부.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 영역 보정부는:
    상기 제2 영상 프레임의 상기 로고 영역의 계조 값들을 상기 제2 로고 영역 임계 값 이하로 제한하는 제2 매핑 커브를 산출하는 로고 영역 커브 산출부; 및
    상기 제2 매핑 커브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상 프레임의 상기 로고 영역의 계조 값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감소시켜 제3 영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제3 영상 프레임 생성부를 포함하는,
    로고 제어부.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 영역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영상 프레임들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고계조 영역을 검출하는 고계조 영역 검출부;
    상기 복수의 제1 영상 프레임들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정지 영역을 검출하는 정지 영역 검출부;
    상기 복수의 제1 영상 프레임들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엣지 영역을 검출하는 엣지 영역 검출부; 및
    상기 고계조 영역, 상기 정지 영역, 및 상기 엣지 영역의 중첩된 영역을 상기 로고 영역으로 검출하는 중첩 영역 추출부를 포함하는,
    로고 제어부.
  13. 복수의 제1 영상 프레임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영상 프레임들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로고를 검출하는 로고 검출부;
    상기 로고를 기준으로 확장된 로고 주변 영역을 설정하는 로고 주변 영역 설정부;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상 프레임의 계조 값들에 기초하여 표시 부하 값을 산출하고,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에 기초한 로고 주변 영역 대표 값과 상기 표시 부하 값의 차이가 제1 기준 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표시 부하 판단부; 및
    상기 로고 주변 영역 대표 값과 상기 표시 부하 값의 차이가 상기 제1 기준 값을 초과하고, 상기 로고의 계조 값들에 기초한 로고 대표 값과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에 기초한 제1 로고 임계 값의 차이가 제2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감소시켜 제2 영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로고 주변 영역 보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고 주변 영역 보정부는 상기 로고 대표 값과 상기 제1 로고 임계 값의 차이가 상기 제2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서브-영역들 각각에 대한 계조 값들을 서브-영역 임계 값들 이하로 제한하는 제1 매핑 커브들을 산출하는 로고 주변 영역 커브 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로고 임계 값은 상기 서브-영역 임계 값들의 최소 값보다 크고 최대 값보다 작은,
    로고 제어부.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 주변 영역 설정부는:
    상기 로고의 외곽을 복수의 직선으로 에워싸는 로고 영역을 설정하는 로고 영역 설정부; 및
    상기 로고 영역의 외곽을 미리 결정된 이격 거리 값에 따라 확장시켜 로고 주변 영역의 외곽을 설정하는 영역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내곽은 상기 로고의 외곽과 대응하는,
    로고 제어부.
  15. 삭제
  16. 복수의 제1 영상 프레임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영상 프레임들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로고 영역을 검출하는 로고 영역 검출 단계;
    상기 로고 영역을 기준으로 확장된 로고 주변 영역을 설정하는 로고 주변 영역 설정 단계;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상 프레임의 계조 값들에 기초하여 표시 부하 값을 산출하고,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에 기초한 로고 주변 영역 대표 값과 상기 표시 부하 값의 차이가 제1 기준 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표시 부하 판단 단계; 및
    상기 로고 주변 영역 대표 값과 상기 표시 부하 값의 차이가 상기 제1 기준 값을 초과하고, 상기 로고 영역의 계조 값들에 기초한 로고 영역 대표 값과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에 기초한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의 차이가 제2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감소시켜 제2 영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로고 주변 영역 보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부하 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상 프레임의 계조 값들의 평균 값에 대응하고,
    상기 로고 주변 영역 대표 값은 상기 제1 영상 프레임의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의 평균 값에 대응하고,
    상기 로고 영역 대표 값은 상기 제1 영상 프레임의 상기 로고 영역의 계조 값들에 평균 값에 대응하고,
    상기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은 상기 제1 영상 프레임의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의 평균 값에 마진 값을 가산한 값에 대응하는,
    로고 제어 방법.
  17. 삭제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 주변 영역 보정 단계는:
    상기 로고 영역 대표 값과 상기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의 차이가 상기 제2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서브-영역들 각각에 대한 계조 값들을 서브-영역 임계 값들 이하로 제한하는 제1 매핑 커브들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매핑 커브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상 프레임의 상기 서브-영역들의 계조 값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감소시켜 상기 제2 영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고 제어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 프레임의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의 계조 값들에 기초하여 제2 로고 영역 임계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로고 영역 임계 값은 상기 제1 로고 영역 임계 값보다 작거나 같은,
    로고 제어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 프레임의 상기 로고 영역의 계조 값들을 상기 제2 로고 영역 임계 값 이하로 제한하는 제2 매핑 커브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매핑 커브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상 프레임의 상기 로고 영역의 계조 값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감소시켜 제3 영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로고 제어 방법.
KR1020180105502A 2018-09-04 2018-09-04 로고 제어부 및 로고 제어 방법 KR102530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502A KR102530014B1 (ko) 2018-09-04 2018-09-04 로고 제어부 및 로고 제어 방법
JP2019058200A JP7325989B2 (ja) 2018-09-04 2019-03-26 ロゴ制御部
US16/523,843 US10748317B2 (en) 2018-09-04 2019-07-26 Logo controller and logo control method
EP19195248.0A EP3621058A1 (en) 2018-09-04 2019-09-03 Logo controller and logo control method
CN201910831306.4A CN110880298B (zh) 2018-09-04 2019-09-04 徽标控制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502A KR102530014B1 (ko) 2018-09-04 2018-09-04 로고 제어부 및 로고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617A KR20200027617A (ko) 2020-03-13
KR102530014B1 true KR102530014B1 (ko) 2023-05-10

Family

ID=67850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502A KR102530014B1 (ko) 2018-09-04 2018-09-04 로고 제어부 및 로고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48317B2 (ko)
EP (1) EP3621058A1 (ko)
JP (1) JP7325989B2 (ko)
KR (1) KR102530014B1 (ko)
CN (1) CN1108802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8335702U (zh) * 2018-05-14 2019-01-04 北京京东方技术开发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552299B1 (ko) * 2018-08-31 2023-07-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잔상 보상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US10896483B2 (en) * 2018-12-14 2021-01-19 Adobe Inc. Dynamic content generation system
KR102661825B1 (ko) * 2019-04-04 2024-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KR20210078617A (ko) * 2019-12-18 2021-06-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210128523A (ko) 2020-04-16 2021-10-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구동 제어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CN111599311B (zh) * 2020-05-28 2021-04-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像素电路、显示单元及终端设备
KR20220031848A (ko) 2020-09-04 2022-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220049645A (ko) * 2020-10-14 2022-04-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잔상 보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20051086A (ko) * 2020-10-16 2022-04-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220085065A (ko) * 2020-12-14 2022-06-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US11238775B1 (en) * 2020-12-18 2022-02-0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Image adjustment device and image adjustment method suitable for light-emitting diode display
KR20220089807A (ko) 2020-12-21 2022-06-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220154314A (ko) 2021-05-12 2022-1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230057496A (ko) * 2021-10-21 2023-05-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230089589A (ko) * 2021-12-13 2023-06-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240005371A (ko) * 2022-07-05 2024-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잔상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40013697A1 (en) * 2022-07-05 2024-0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85009A1 (en) * 1989-03-03 1990-09-05 Hewlett-Packard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image processing
US8711436B2 (en) * 2007-09-06 2014-04-29 Seiko Epson Corporation Tint block image generation program and tint block image generation device
JP5213554B2 (ja) 2008-07-10 2013-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CN102625028B (zh) * 2011-01-30 2016-09-14 索尼公司 对视频中存在的静态徽标进行检测的方法和设备
US8971617B2 (en) * 2012-03-06 2015-03-03 Apple Inc. Method and interface for converting images to grayscale
KR101947125B1 (ko) * 2012-11-27 2019-0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이밍 컨트롤러 및 그 구동 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2111777B1 (ko) 2013-09-05 2020-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136312B1 (ko) 2013-10-31 2020-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의 잔상방지장치
KR102245365B1 (ko) 2014-08-11 2021-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79374B1 (ko) * 2014-12-12 2021-07-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열화보상장치 및 방법,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60092537A (ko) 2015-01-27 2016-08-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로고 영역 휘도 조절 방법
KR102288334B1 (ko) 2015-02-03 2021-08-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로고 영역 휘도 조절 방법
CN107209865B (zh) * 2015-02-27 2020-12-08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递归半色调化和灰值替换
CN104766561B (zh) * 2015-04-20 2016-03-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避免残像的方法和装置
KR102315691B1 (ko) * 2015-08-31 2021-10-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453215B1 (ko) 2016-05-31 2022-10-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화소 보상 모듈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48317B2 (en) 2020-08-18
CN110880298A (zh) 2020-03-13
JP7325989B2 (ja) 2023-08-15
CN110880298B (zh) 2024-02-20
JP2020038339A (ja) 2020-03-12
EP3621058A1 (en) 2020-03-11
KR20200027617A (ko) 2020-03-13
US20200074708A1 (en) 202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0014B1 (ko) 로고 제어부 및 로고 제어 방법
JP5570569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
KR101279117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 및 그의 구동 방법
US9520084B2 (en) Image quality compensation device and method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JP6843488B2 (ja) Oled表示装置の輝度補償システム及び輝度補償方法
US10267866B2 (en) Crack detector and method of driving crack detector
KR20170051630A (ko) 휘도 제어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1037487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1335268B2 (en) Data driver and data voltage setting method thereof
KR20160047083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253684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1142383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663628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전압 제어 방법
CN110675827A (zh) 有机发光显示设备及其驱动方法
KR102578304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복수의 감마 제어 기술
US11514843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50101042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061849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60056495A (ko)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20210193017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230174361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20051086A (ko)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220167852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30118222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50028407A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