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4314A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4314A
KR20220154314A KR1020210061595A KR20210061595A KR20220154314A KR 20220154314 A KR20220154314 A KR 20220154314A KR 1020210061595 A KR1020210061595 A KR 1020210061595A KR 20210061595 A KR20210061595 A KR 20210061595A KR 20220154314 A KR20220154314 A KR 20220154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on
signal
image
luminanc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동현
장원우
임경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1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4314A/ko
Priority to US17/708,485 priority patent/US11749186B2/en
Priority to CN202210502008.2A priority patent/CN115346480A/zh
Publication of KR20220154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3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09G2320/0646Modulation of illumination source brightness and image signal correlated to each oth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로고 영상 및 로고 영상 주변의 로고 배경 영상을 포함하는 보정 영상이 표시되는 보정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패널 구동블럭을 포함하고, 패널 구동블럭은, 보정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는 휘도 보정블럭을 포함하며, 휘도 보정블럭은 로고 영상과의 거리에 따라 보정 영역을 복수 개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서브 영역에 표시되는 보정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기 위한 영역 보정 신호를 생성하는 제1 보정블럭, 영상 신호 및 영역 보정 신호를 수신하고, 영상 신호의 계조 및 영역 보정 신호를 토대로 각 서브 영역에 표시되는 보정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는 휘도 보정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보정블럭 및 영상 신호 및 휘도 보정 신호를 토대로 보정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는 제3 보정블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로고를 포함하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표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표시 장치에는 유기 발광 표시(Organic Light Emitthing Display, OLED) 장치, 퀀텀닷 표시(Quantum Dot Display) 장치, 액정 표시(Liquid Crystal Display, LCD) 장치, 플라즈마(Plasma)표시 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표시패널에 결합되어 표시 패널로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구동회로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은 광을 발생하는 화소들을 포함한다.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경우 광을 발생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로고 영상 주변의 로고 배경 영상의 낮아진 계조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화질 저하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로고 영상 및 상기 로고 영상 주변의 로고 배경 영상을 포함하는 보정 영상이 표시되는 보정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표시 패널에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패널 구동블럭을 포함한다. 상기 패널 구동블럭은 상기 보정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는 휘도 보정블럭을 포함한다. 상기 휘도 보정블럭은 상기 로고 영상과의 거리에 따라 상기 보정 영역을 복수 개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서브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보정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기 위한 영역 보정 신호를 생성하는 제1 보정블럭을 포함한다. 상기 휘도 보정블럭은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영역 보정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신호의 계조 및 상기 영역 보정 신호를 토대로 상기 각 서브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보정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는 휘도 보정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보정블럭을 포함한다. 상기 휘도 보정블럭은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휘도 보정 신호를 토대로 상기 보정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는 제3 보정블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휘도 보정블럭은 상기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신호의 계조를 보정한 보정 계조 신호를 생성하는 보정 계조 생성블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제2 보정블럭은 상기 제1 보정블럭으로부터 상기 영역 보정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보정 계조 생성 블럭으로부터 상기 보정 계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보정블럭은 상기 영역 보정 신호 및 상기 보정 계조 신호를 토대로 상기 휘도 보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보정 계조 생성블럭은 상기 영상 신호의 상기 계조에 보정 상수를 곱한 보정 계조를 토대로 상기 보정 계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보정 상수는 n값을 갖고, 상기 n은 1과 같거나 큰 실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영상 신호 중 기 설정된 기준 계조보다 높은 계조를 갖는 영상 신호는 상기 보정 계조 신호에서 동일한 계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기 설정된 기준 계조가 낮아질수록, 상기 보정 상수의 크기는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보정 계조 생성블럭은 상기 보정 계조를 노말라이즈하여 상기 보정 계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휘도 보정블럭은 상기 영상 신호로부터 상기 보정 영역에 대한 영역 산출 신호를 추출하는 추출 블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정블럭은 상기 추출 블럭으로부터 상기 영역 산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영역 산출 신호를 토대로 상기 영역 보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서브 영역들은 상기 로고 영상이 표시되는 제1 서브 영역, 상기 로고 배경 영상이 표시되는 제3 서브 영역 및 상기 제1 서브 영역과 상기 제3 서브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2 서브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영역 보정 신호는 상기 제1 서브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기 위한 제1 영역 보정값 및 상기 제2 서브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기 위한 제2 영역 보정값을 포함한다. 상기 영역 보정 신호는 상기 제3 서브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기 위한 제3 영역 보정값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영역 보정값은 상기 제2 영역 보정값 및 상기 제3 영역 보정값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 보정값은 상기 제3 영역 보정값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영상 신호의 계조가 낮아질수록, 상기 휘도 보정블럭을 통해 보정되는 상기 보정 영역의 휘도의 보정량은 작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패널 구동블럭은 외부에서 상기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신호를 토대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 구동블럭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표시 패널에 상기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소스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상기 휘도 보정블럭은 상기 컨트롤러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따른 표시 장치는 로고 영상 및 상기 로고 영상 주변의 로고 배경 영상을 포함하는 보정 영상이 표시되는 보정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표시 패널에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패널 구동블럭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영상 신호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생성할 때 상기 보정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보정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로고 영상과의 거리에 따라 상기 보정 영역을 복수 개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서브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보정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기 위한 영역 보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보정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영역 보정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영역 신호의 계조 및 상기 영역 보정 신호를 토대로 상기 각 서브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보정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는 휘도 보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보정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휘도 보정 신호를 토대로 상기 보정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보정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신호의 계조에 보정 상수를 곱한 보정 계조를 토대로 보정 계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휘도 보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제1 보정블럭으로부터 상기 영역 보정 신호를 수신하고, 보정 계조 생성 블럭으로부터 상기 보정 계조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휘도 보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영역 보정 신호 및 상기 보정 계조 신호를 토대로 상기 휘도 보정 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영상 신호 중 기 설정된 기준 계조보다 높은 계조를 갖는 영상 신호는 상기 보정 계조 신호에서 동일한 계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보정 계조 신호는 상기 보정 계조를 노말라이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보정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신호로부터 상기 보정 영상에 대한 영역 산출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역 보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영역 보정 신호는 상기 영역 산출 신호를 토대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서브 영역들은 상기 로고 영상이 표시되는 제1 서브 영역, 상기 로고 배경 영상이 표시되는 제3 서브 영역 및 상기 제1 서브 영역과 상기 제3 서브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2 서브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영역 보정 신호는 상기 제1 서브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기 위한 제1 영역 보정값 및 상기 제2 서브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기 위한 제2 영역 보정값을 포함한다. 상기 영역 보정 신호는 상기 제3 서브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기 위한 제3 영역 보정값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영역 보정값은 상기 제2 영역 보정값 및 상기 제3 영역 보정값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 보정값은 상기 제3 영역 보정값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고 영상과의 거리 및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의 계조를 토대로 로고 영상 및 로고 배경 영상의 휘도를 보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도 보정블럭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역 보정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도 보정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도 보정블럭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정 계조 생성블럭의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보정블럭의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도 보정블럭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요소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여기서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너무 이상적이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과 같은 대형 표시 장치를 비롯하여, 휴대 전화, 태블릿, 자동차 네비게이션, 게임기 등과 같은 중소형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이것들은 단지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들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은 이상 다른 전자 기기에도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표시 장치(DD)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장변을 갖고,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2 방향(DR2)은 제1 방향(DR1)과 수직한 관계에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표시 장치(DD)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의 표시 장치(DD)가 제공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각각에 평행한 표시면(IS)에 제3 방향(DR3)을 향해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IM)이 표시되는 표시면(IS)은 표시 장치(DD)의 전면(front surface)과 대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IM)이 표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이 정의된다. 전면과 배면은 제3 방향(DR3)에서 서로 대향(opposing)되고, 전면과 배면 각각의 법선 방향은 제3 방향(DR3)과 평행할 수 있다.
제3 방향(DR3)에서의 전면과 배면 사이의 이격 거리는 표시 장치(DD)의 제3 방향(DR3)에서의 두께와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도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영상(IM)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DP) 및 표시 패널(DP)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블럭(PDB)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패널 구동블럭(PDB)은 컨트롤러(CP), 소스 구동블럭(SDB), 게이트 구동블럭(GDB) 및 전압 생성블럭(VG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은 발광형 표시 패널일 수 있다. 그 일 예로 표시 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 패널, 무기발광 표시 패널 또는 퀀텀닷(quantum dot)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유기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유기발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무기발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퀀텀닷 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퀀텀닷, 및 퀀텀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영상(IM)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 주변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DA)은 실질적으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고, 비표시 영역(NDA)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베젤 영역이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 영역(DA)은 꼭지점들이 둥근 사각 형상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표시 영역(DA)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비표시 영역(NDA)은 소정의 컬러를 가질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에워쌀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영역(DA)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비표시 영역(NDA)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일 측에만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DP)에 표시되는 영상(IM)은 보정 영상(CIM) 및 비보정 영상(NCIM)을 포함할 수 있다. 보정 영상(CIM)은 로고 영상(LIM) 및 로고 배경 영상(LBI)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표시 영역(DA)은 보정 영상(CIM)이 표시되는 보정 영역(CA)을 포함할 수 있다.
로고 영상(LIM)은 특정 계조(gray)로 일정 시간 이상 고정된 위치에 표시되는 영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고 영상(LIM)은 방송사 로고, 자막, 날짜, 시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로고 영상(LIM)은 프로그램의 제목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특정 계조로 일정 시간 이상 고정된 위치에 표시되는 다양한 종류의 영상을 모두 로고 영상(LIM)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로고 배경 영상(LBI)은 로고 영상(LIM) 주변에 표시되는 영상일 수 있다. 보정 영상(CIM)은 후술할 휘도 보정블럭(BCB)에 의하여 휘도가 보정되는 영상일 수 있다.
비보정 영상(NCIM)은 표시 영역(DA)에서 보정 영상(CIM)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표시되는 영상일 수 있다. 비보정 영상(NCIM)은 휘도 보정블럭(BCB)에 의하여 휘도가 보정되지 않는 영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로고 영상(LIM)은 로고 배경 영상(LBI) 및 비보정 영상(NCIM)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계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로고 영상(LIM)은 로고 배경 영상(LBI)과 동일한 계조를 가질 수도 있다.
컨트롤러(CP)는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RGB) 및 제어 신호(CTRL)을 수신한다. 제어 신호(CTRL)는 수직 동기 신호, 수평 동기 신호 및 메인 클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CP)는 소스 구동블럭(SDB)과의 인터페이스(interface) 사양에 맞도록 영상 신호(RGB)의 데이터 포맷을 변환하여 영상 데이터(IMD)를 생성한다. 컨트롤러(CP)는 제어 신호(CTRL)에 기초하여 게이트 제어 신호(GDS), 소스 제어 신호(SDS) 및 전압 제어 신호(VCS)를 생성한다. 컨트롤러(CP)는 영상 데이터(IMD) 및 소스 제어 신호(SDS)를 소스 구동블럭(SDB)에 송신한다. 컨트롤러(CP)는 게이트 제어 신호(GDS)를 게이트 구동블럭(GDB)에 송신한다. 컨트롤러(CP)는 전압 제어 신호(VCS)를 전압 생성블럭(VGB)에 송신한다.
소스 구동블럭(SDB)은 컨트롤러(CP)로부터 소스 제어 신호(SDS) 및 영상 데이터(IMD)를 수신한다. 소스 제어 신호(SDS)는 소스 구동 블럭(SDB)의 동작을 개시하는 수평 개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구동블럭(SDB)는 소스 제어 신호(SDS)에 응답하여, 영상 데이터(IMD)에 기초한 데이터 신호(DS)를 생성한다. 소스 구동블럭(SDB)은 데이터 신호(DS)를 후술하는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에 출력한다. 데이터 신호(DS)는 영상 데이터(IMD)의 계조 값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전압이다.
게이트 구동블럭(GDB)는 컨트롤러(CP)로부터 게이트 제어 신호(GDS)를 수신한다. 게이트 제어 신호(GDS)는 게이트 구동블럭(GDB)의 동작을 개시하는 수직 개시 신호, 제1 스캔 신호들(SC1 내지 SCn) 및 제2 스캔 신호들(SS1 내지 SSn)의 출력 시기를 결정하는 스캔 클럭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블럭(GDB)은 게이트 제어 신호(GDS)를 토대로 제1 스캔 신호들(SC1 내지 SCn) 및 제2 스캔 신호들(SS1 내지 SSn)을 생성한다. 게이트 구동 블럭(GDB)은 제1 스캔 신호들(SC1 내지 SCn)을 후술하는 복수 개의 제1 스캔 라인들(SCL1 내지 SCLn)에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제2 스캔 신호들(SS1 내지 SSn)을 후술하는 복수 개의 제2 스캔 라인들(SSL1 내지 SSLn)에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전압 생성블럭(VGB)은 컨트롤러(CP)로부터 전압 제어 신호(VCS)를 수신한다. 전압 생성블럭(VGB)은 표시 패널(DP)의 동작에 필요한 전압들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전압 생성 블럭(VGB)은 제1 구동 전압(ELVDD), 제2 구동 전압(ELVSS) 및 초기화 전압(Vinit)를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표시 패널(DP)은 복수 개의 제1 스캔 라인들(SCL1 내지 SCLn), 복수 개의 제2 스캔 라인들(SSL1 내지 SSLn),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 및 복수 개의 화소들(PX)을 포함한다. 제1 스캔 라인들(SCL1 내지 SCLn) 및 제2 스캔 라인들(SSL1 내지 SSLn)은 게이트 구동 블럭(GDB)으로부터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DR2)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열된다.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은 소스 구동 블럭(SDB)으로부터 제2 방향(DR2)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복수의 화소들(PX) 각각은 제1 스캔 라인들(SCL1 내지 SCLn) 중 대응하는 하나의 제1 스캔 라인 및 제2 스캔 라인들(SSL1 내지 SSLn) 중 대응하는 하나의 제2 스캔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복수의 화소들(PX) 각각은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 중 대응하는 하나의 데이터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복수의 화소들(PX) 각각은 제1 전원 라인(RL1), 제2 전원 라인(RL2) 및 초기화 전원 라인(IVL)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전원 라인(RL1)은 제1 구동 전압(ELVDD)을 수신한다. 제2 전원 라인(RL2)은 제2 구동 전압(ELVSS)을 수신한다. 초기화 전원 라인(IVL)은 초기화 전압(Vinit)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2 전원 라인(RL2)은 2개 이상의 화소들과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화소들(PX)은 서로 다른 서로 다른 컬러광을 생성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가진 복수 개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레드 컬러광을 생성하는 레드 화소들, 그린 컬러광을 생성하는 그린 화소들, 및 블루 컬러광을 생성하는 블루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레드 화소의 유기발광 다이오드, 그린 화소의 유기발광 다이오드 및 블루 화소의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서로 다른 물질의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 구동블럭(PDB)은 휘도 보정블럭(BC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휘도 보정블럭(BCB)은 컨트롤러(CP)에 포함될 수 있다. 오랜 시간동안 동일한 화소(PX)를 통해 표시되는 로고 영상(LIM)에 의한 화소(PX)의 열화 및 잔상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휘도 보정블럭(BCB)는 보정 영상(CIM)의 휘도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휘도 보정블럭(BCB)은 보정 영상(CIM)의 휘도를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휘도 보정블럭(BCB)은 보정 영상(CIM) 중 로고 영상(LIM)의 휘도만을 보정할 수도 있다. 휘도 보정블럭(BCB)은 로고 영상(LIM)의 휘도를 낮출 수 있다.
휘도 보정블럭(BCB)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도 보정블럭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역 보정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도 보정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휘도 보정블럭(BCB_a)은 제1 보정블럭(CB1_a), 제2 보정블럭(CB2_a) 및 제3 보정블럭(CB3_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정블럭(CB1_a)은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RGB)를 수신한다. 제1 보정블럭(CB1_a)은 로고 영상(LIM)과의 거리에 따라 보정 영역(CA)을 복수 개의 서브 영역들(SAR)로 구분하고, 각 서브 영역에 표시되는 보정 영상(CIM)의 휘도를 보정하기 위한 영역 보정 신호(ACS_a)를 생성한다.
제1 보정블럭(CB1_a)은 보정 영역(CA)을 제1 서브 영역(SAR1), 제2 서브 영역(SAR2) 및 제3 서브 영역(SAR3)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1 서브 영역(SAR1)은 로고 영상(LIM)이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서브 영역(SAR1)에는 로고 영상(LIM) 및 로고 배경 영상(LBI) 중 일부가 표시될 수 있다.
제2 및 제3 서브 영역(SAR3)은 로고 배경 영상(LBI)이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서브 영역(SAR2)은 제1 서브 영역(SAR1)과 제3 서브 영역(SAR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서브 영역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보정블럭(CB1_a)은 보정 영역(CA)을 2개의 서브 영역 또는 4개 이상의 서브 영역들로 구분할 수도 있다.
제1 서브 영역(SAR1)은 로고 영상(LIM)이 표시되는 로고 영역을 포함한다. 제2 서브 영역(SAR1)과 로고 영역과의 거리는 제3 서브 영역(SAR3)과 로고 영역과의 거리보다 가깝다.
영역 보정 신호(ACS_a)는 복수 개의 영역 보정값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영역 보정값들은 제1 서브 영역(SAR1)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RGB)의 휘도를 보정하기 위한 제1 영역 보정값(ACV1), 제2 서브 영역(SAR2)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RGB)의 휘도를 보정하기 위한 제2 영역 보정값(ACV2) 및 제3 서브 영역(SAR3)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RGB)의 휘도를 보정하기 위한 제3 영역 보정값(ACV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내지 제3 영역 보정값(ACV1, ACV2, ACV3)은 후술할 제3 보정블럭(CB3_a)이 보정 영상(CIM)의 휘도를 보정하는 정도를 결정하는 가중치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영역 보정값(ACV1, ACV2, ACV3)이 클수록 제3 보정블럭(CB3_a)이 보정 영상(CIM)의 휘도를 보정하는 정도가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 4에서 제1 영역 보정값(ACV1)의 크기를 제1 서브 영역(SAR1)에 포함된 검은 점의 빈도로 나타낸다. 제2 영역 보정값(ACV2)의 크기는 제2 서브 영역(SAR2)에 포함된 검은 점의 빈도로 나타내고, 제3 영역 보정값(ACV3)의 크기는 제3 서브 영역(SAR3)에 포함된 검은 점의 빈도로 나타낸다.
영역 보정값들의 크기는 로고 영상(LIM)과의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영역 보정값(ACV1)은 제2 영역 보정값(ACV2) 및 제3 영역 보정값(ACV3)보다 크다. 제2 영역 보정값(ACV2)은 제3 영역 보정값(ACV3)보다 크다.
제2 보정블럭(CB2_a)은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RGB)를 수신하고, 제1 보정블럭(CB1_a)으로부터 영역 보정 신호(ACS_a)를 수신한다. 제2 보정블럭(CB2_a)은 영상 신호(RGB)의 계조 및 영역 보정 신호(ACS_a)를 토대로 각 서브 영역들(SAR1, SAR2, SAR3)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RGB)의 휘도를 보정하는 휘도 보정 신호(BCS_a)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2 보정블럭(CB2_a)은 각 서브 영역들(SAR1, SAR2, SAR3)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RGB)의 계조에 따라 영역 보정 신호(ACS_a)에 포함된 영역 보정값들의 크기를 보정하여 휘도 보정 신호(BCS_a)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서브 영역(SAR1)에 표시되는 영상 중 로고 영상(LIM)인 “LOGO”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는 상대적으로 높은 계조를 갖는다. 이와 달리 제1 서브 영역(SAR1)에 표시되는 로고 배경 영상(LBI)과 제2 및 제3 서브 영역들(SAR2, SAR3)에 표시되는 로고 배경 영상(LBI)은 로고 영상(LIM)보다 낮은 계조를 갖는다. 제2 보정블럭(CB2_a)은 상기한 영상 신호(RGB)의 계조를 토대로 로고 영상(LIM)과 로고 배경 영상(LBI)의 계조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제1 내지 제3 영역 보정값들(ACV1, ACV2, ACV3)에 반영하여 휘도 보정 신호(BCS_a)를 생성한다.
휘도 보정 신호(BCS_a1)는 제1 휘도 보정값(BCV1_a1), 제2 휘도 보정값(BCV2_a1), 제3 휘도 보정값(BCV3_a1) 및 제4 휘도 보정값(BCV4_a1)을 포함한다.
제1 휘도 보정값(BCV1_a1)은 제1 서브 영역(SAR1)에 표시되는 로고 영상(LIM)인 “LOGO”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의 계조를 토대로 제1 영역 보정값(AVC1)을 보정한 값이다. 제2 휘도 보정값(BCV2_a1)은 제1 서브 영역(SAR1)에 표시되는 로고 배경 영상(LBI)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의 계조를 토대로 제1 영역 보정값(AVC1)을 보정한 값이다. 제3 휘도 보정값(BCV3_a1)은 제2 영역 보정값(AVC2)을 제2 서브 영역(SAR2)에 표시되는 로고 배경 영상(LBI)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의 계조를 토대로 보정한 값이다. 제4 휘도 보정값(BCV4_a1)은 제3 영역 보정값(AVC3)을 제3 서브 영역(SAR3)에 표시되는 로고 배경 영상(LBI)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의 계조를 토대로 보정한 값이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로고 영상(LIM)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RGB)의 계조에 따라 휘도 보정 신호(BCS_a)에 포함되는 휘도 보정값들은 달라질 수 있다.
제1 서브 영역(SAR1)에 표시되는 로고 영상(LIM)과 로고 배경 영상(LBI)이 서로 다른 계조를 갖기 때문에, 제2 보정블럭(CB2_a)은 제1 영역 보정값(AVC1)을 토대로 서로 다른 크기의 제1 휘도 보정값(BCV1_a1) 및 제2 휘도 보정값(BCV2_a1)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휘도 보정값(BCV1_a1)의 크기는 제2 휘도 보정값(BCV2_a1)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제2 보정블럭(CB2_a)은 기 설정된 최고 계조를 기준으로 영상 신호(RGB)의 계조를 노말라이즈(nomalize)할 수 있다. 이 경우, 휘도 보정 신호(BCS_a)의 제1 내지 제4 휘도 보정값들(BCV1_a1, BCV2_a1, BCV3_a1, BCV4_a1)의 크기는 영역 보정 신호(ACS_a)의 제1 내지 제3 영역 보정값들(AVC1, AVC2, AVC3)의 크기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최고 계조는 255로 기 설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최고 계조는 영상 신호(RGB)에 포함된 계조 중 가장 높은 계조로 기 설정될 수도 있다. 이하,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 설정된 최고 계조는 255로 한다.
로고 영상(LIM)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의 계조가 255일 경우, 제1 휘도 보정값(BCV1_a1)의 크기는 제1 영역 보정값(AVC1)의 크기와 같을 수 있다. 로고 배경 영상(LBI)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의 계조가 255보다 작을 경우, 제2 휘도 보정값(BCV2_a1)의 크기는 제1 영역 보정값(AVC1)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3 휘도 보정값(BCV3_a1)의 크기는 제2 영역 보정값(AVC2)보다 작고, 제4 휘도 보정값(BCV4_a1)의 크기는 제3 영역 보정값(ACV3)보다 작을 수 있다.
제3 보정블럭(CB3_a)은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RGB)를 수신하고, 제2 보정블럭(CB2_a)로부터 휘도 보정 신호(BCS_a)를 수신한다. 제3 보정블럭(CB3_a)은 영상 신호(RGB) 및 휘도 보정 신호(BCS_a)를 토대로 보정 영역(CA)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RGB)의 휘도를 보정한다. 제3 보정블럭(CB3_a)은 영상 신호(RGB) 및 휘도 보정 신호(BCS_a)를 토대로 보정 영상(CIM)의 휘도를 보정한다. 제3 보정블럭(CB3_a)은 영상 신호(RGB) 및 휘도 보정 신호(BCS_a)를 토대로 보정 영상(CIM)의 휘도를 보정하고, 영상 데이터(IMD_a)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보정블럭(CB3_a)은 휘도 보정 신호(BCS_a)의 제1 내지 제4 휘도 보정값들(BCV1_a1, BCV2_a1, BCV3_a1, BCV4_a1)의 크기에 따라 보정 영역(CA)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RGB)의 휘도를 보정하는 정도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3 보정블럭(CB3_a)은 보정 영상(CIM) 중 제1 휘도 보정값(BCV1_a1)을 갖는 휘도 보정 신호(BCS_a)에 대응되는 로고 영상(LIM)의 휘도를 가장 많이 보정할 수 있다. 제3 보정블럭(CB3_a)은 보정 영상(CIM) 중 제2 휘도 보정값(BCV2_a1)을 갖는 휘도 보정 신호(BCS_a)에 대응되는 제1 서브 영역(SAR1)에 표시되는 로고 배경 영상(LBI)의 휘도를 로고 영상(LIM)의 휘도보다 적게 보정할 수 있다.
제3 보정블럭(CB3_a)은 보정 영상(CIM) 중 제4 휘도 보정값(BCV4_a1)을 갖는 휘도 보정 신호(BCS_a)에 대응되는 제3 서브 영역(SAR3)에 표시되는 로고 배경 영상(LBI)의 휘도를 가장 적게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휘도 보정블럭(BCB_b)은 로고 배경 영상(LBI)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의 계조가 낮은 경우에 휘도 보정블럭((BCB_a)이 로고 배경 영상(LBI)의 휘도가 낮아지는 정도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로고 배경 영상(LBI)의 휘도가 과도하게 낮아져 사용자에게 로고 배경 영상(LBI)이 시인되지 않거나, 또는 로고 배경 영상(LBI)과 비보정 영상(NCIM)의 경계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도 보정블럭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정 계조 생성블럭의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보정블럭의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구성 및 신호와 동일한 구성 및 신호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8b를 참조하면, 휘도 보정블럭(BCB_b)은 추출 블럭(EXB) 및 보정 계조 생성블럭(CGB)을 더 포함한다.
추출 블럭(EXB)은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RGB)를 수신한다. 추출 블럭(EXB)은 영상 신호(RGB)로부터 보정 영상(CIM)이 표시되는 보정 영역(CA)에 대한 영역 산출 신호(CAS)를 추출한다. 추출 블럭(EXB)은 보정 영상(CIM)의 검출을 위한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을 수행하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추출 블럭(EXB)은 컨벌루션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모델 등에 기반한 머신 러닝을 이용하여 잔상 발생의 방지를 위해 휘도 보정블럭(BCB_b)에 의해 휘도 보정이 이루어질 보정 영상(CIM)이 표시되는 보정 영역(CA)에 대한 영역 산출 신호(CAS)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추출 블럭(EXB)은 머신 러닝뿐만 아니라 딥 러닝(deep learning)을 수행하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영역 산출 신호(CAS)를 추출할 수 있다. 추출 블럭(EXB)은 기 설정된 시간동안 표시 패널(DP)에 표시되는 영상(IM)을 분석하여 보정 영상(CIM)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시점에 반복되는 영상(IM)의 프레임들을 분석하여 보정 영상(CIM)을 검출할 수 있다.
제1 보정블럭(CB1_b)은 추출 블럭(EXB)으로부터 영역 산출 신호(CAS)를 수신한다. 제1 보정블럭(CB1_b)는 영역 산출 신호(CAS)를 토대로 영역 보정 신호(ACS_b)를 생성할 수 있다.
보정 계조 생성블럭(CGB)은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RGB)를 수신한다. 보정 계조 생성블럭(CGB)은 영상 신호(RGB)의 계조를 보정한 보정 계조 신호(CGS)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보정 계조 생성블럭(CGB)은 영상 신호(RGB)의 계조에 보정 상수를 곱하여 보정 계조를 생성하고, 상기 보정 계조를 토대로 보정 계조 신호(CGS)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보정 상수는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n은 보정 상수이고, a는 n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상수로, 1 내지 Gmax 사이의 실수이며, Gmax는 기 설정된 최고 계조이다. 이하, 최고 계조는 255인 것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보정 상수는 n 값을 갖고, n은 1보다 큰 실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영상 신호(RGB)의 계조는 0 내지 255 사이의 자연수일 수 있다. 보정 계조는 영상 신호(RGB)의 계조와 같거나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보정 계조 생성블럭(CGB)은 보정 계조의 최고 계조를 255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신호(RGB)의 계조에 보정 상수를 곱한 값이 255를 초과하더라도, 보정 계조 생성블럭(CGB)은 255의 보정 계조를 토대로 보정 계조 신호(CGS)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보정 상수의 크기는 영상 신호(RGB) 중 기 설정된 기준 계조보다 높은 계조를 갖는 영상 신호(RGB)가 동일한 보정 계조를 갖도록 결정될 수 있다. 보정 상수의 크기는 영상 신호(RGB)의 기 설정된 기준 계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신호(RGB)의 기 설정된 기준 계조가 200인 경우, 보정 상수의 크기가 1.28이 되도록 a의 값이 결정(a는 대략 199.22)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기준 계조는 휘도 보정블럭(BCB_b)에 의해 보정되는 휘도의 보정량이 영상 신호(RGB)의 계조가 최고 계조일 때 보정되는 휘도의 보정량과 같도록 설정된 계조일 수 있다.
보정 상수의 크기가 1.28인 경우, 200 이상의 계조를 갖는 영상 신호(RGB)는 255의 동일한 보정 계조를 갖는다. 따라서 보정 계조 생성블럭(CGB)은 200 이상의 계조를 갖는 영상 신호(RGB)를 토대로 동일한 보정 계조 신호(CGS)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기 설정된 기준 계조가 낮아질수록, 보정 상수의 크기는 커질 수 있다.
보정 계조 생성블럭(CGB)은 보정 계조를 255를 최고 계조로 하여 노말라이즈하여 보정 계조 신호(CGS)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예로, 제2 보정블럭(CB2_b)에서 보정 계조 신호(CGS)를 토대로 보정 계조를 노말라이즈 한 후 휘도 보정 신호(BCS_b)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7a에는 보정 영상(CIM)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RGB)의 계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7b에는 보정 계조 생성블럭(CGB)을 통해 생성된 보정 계조 신호(CGS)의 보정 계조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도 7a에 도시된 로고 영상(LIM)의 계조는 255이고, 제1 서브 영역(SAR1)에 표시되는 제1 로고 배경 영상(SLBI1)의 계조는 255보다 낮고 기 설정된 기준 계조보다 높은 값일 수 있다. 제2 서브 영역(SAR2)에 표시되는 제2 로고 배경 영상(SLBI2)의 계조 및 제3 서브 영역(SAR3)에 표시되는 제3 로고 배경 영상(SLBI3)의 계조는 기준 계조보다 작은 값일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보정된 로고 영상(C_LIM)의 보정 계조는 255일 수 있다. 보정된 제1 로고 배경 영상(C_SLBI1)의 보정 계조는 255일 수 있다. 보정된 제2 로고 배경 영상(C_SLBI2)의 보정 계조 및 보정된 제3 로고 배경 영상(C_SLBI3)의 보정 계조는 255보다 작을 수 있다.
기 설정된 최고 계조가 255인 경우, 보정 계조 생성블럭(CGB)는 보정된 로고 영상(C_LIM) 및 보정된 제1 로고 배경 영상(C_SLBI1)에 대응되는 보정 계조 신호(CGS)는 1의 크기를 갖고, 보정된 제2 및 제3 로고 배경 영상들(C_SLBI2, C_SLBI3)에 대응되는 보정 계조 신호(CGS)는 1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노말라이즈 할 수 있다.
제2 보정블럭(CB2_b)은 제1 보정블럭(CB1_b)로부터 영역 보정 신호(ACS_b)를 수신하고, 보정 계조 생성블럭(CGB)로부터 노말라이즈 된 보정 계조 신호(CGS)를 수신한다. 제2 보정블럭(CB2_b)은 영역 보정 신호(ACS_b) 및 보정 계조 신호(CGS)를 토대로 휘도 보정 신호(BCS_b)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a에는 제2 보정블럭(CB2_b)이 영역 보정 신호(ACS_b) 및 도 7a에 도시된 영상 신호(RGB)를 토대로 생성한 휘도 보정 신호(BCS_a2)의 제1 내지 제4 휘도 보정값들(BCV1_a2, BCV2_a2, BCV3_a2, BCV4_a2)이 도시되어 있다. 도 8a에 도시된 휘도 보정 신호(BCS_a2)는 도 5에 도시된 휘도 보정 신호(BCS_a1)와 같은 방식으로 생성된 신호일 수 있다.
도 8b에는 제2 보정블럭(CB2_b)이 영역 보정 신호(ACS_b) 및 도 7b에 도시된 보정 계조 신호(CGS)를 토대로 생성한 휘도 보정 신호(BCS_b)의 제1 내지 제4 휘도 보정값들(BCV1_b, BCV2_b, BCV3_b, BCV4_b)이 도시되어 있다. 도 8a와 비교하여, 보정 계조 신호(CGS)는 보정된 로고 영상(C_LIM)의 보정 계조와 보정된 제1 로고 배경 영상(C_SLBI1)의 보정 계조가 255로 동일하다. 따라서 휘도 보정 신호(BCS_b)의 제1 휘도 보정값(BCV1_b) 및 제2 휘도 보정값(BCV2_b)의 크기가 동일할 수 있다. 결국, 보정 계조 생성블럭(CGB)을 통해 보정 계조 신호(CGS)를 생성할 경우, 휘도 보정블럭(BCB_b)이 기 설정된 기준 계조보다 높은 계조를 갖는 영상 신호(RGB)의 휘도를 보정하는 정도와 최고 계조를 갖는 영상 신호(RGB)의 휘도를 보정하는 정도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도 보정블럭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휘도 보정블럭(BCB_b)은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RGB)를 수신하고, 영상 신호(RGB)로부터 보정 영상(CIM, 도 1 참조)에 대한 영역 산출 신호(CAS)를 추출할 수 있다(S100). 휘도 보정블럭(BCb_b)은 영역 산출 신호(CAS)를 토대로 로고 영상(LIM)과의 거리에 따라 보정 영역(CA, 도 5 참조)를 복수 개의 서브 영역들(SAR1, SAR2, SAR3, 도 5 참조)로 구분하고, 각 서브 영역들(SAR1, SAR2, SAR3)에 표시되는 보정 영상(CIM)의 휘도를 보정하기 위한 영역 보정 신호(ACS_b)를 생성한다(S101). 본 발명의 일 예로, 휘도 보정블럭(BCB_b)이 영역 산출 신호(CAS)를 추출하는 단계(S100)는 생략되고, 영상 신호(RGB)로부터 영역 보정 신호(ACS_b)를 생성할 수도 있다.
휘도 보정블럭(BCB_b)은 영상 신호(RGB)의 계조에 보정 상수를 곱하여 보정 계조를 생성하고(S201), 상기 보정 계조를 노말라이즈 한 후(S202), 노말라이즈 한 보정 계조를 토대로 보정 계조 신호(CGS)를 생성할 수 있다(S203). 본 발명의 일 예로, 휘도 보정블럭(BCB_b)이 보정 계조를 생성(S201)하는 단계 및 보정 계조를 노말라이즈 하는 단계(S202)은 하나의 단계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휘도 보정블럭(BCB_b)은 영역 보정 신호(ACS_b) 및 보정 계조 신호(CGS)를 토대로 휘도 보정 신호(BCS_b)를 생성할 수 있다(S300).
본 발명의 일 예로, 휘도 보정블럭(BCB_b)이 보정 계조를 생성하는 단계(S201), 보정 계조를 노말라이즈 하는 단계(S202) 및 노말라이즈 된 보정 계조를 토대로 보정 계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203)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휘도 보정블럭(BCB_b)은 영상 신호(RGB) 및 영역 보정 신호(ACS_b)를 토대로 휘도 보정 신호(BCS_b)를 생성할 수도 있다.
휘도 보정블럭(BCB_b)은 영상 신호(RGB) 및 휘도 보정 신호(BCS_b)를 토대로 보정 영상(CIM)의 휘도를 보정할 수 있다(S40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D: 표시 장치 DP: 표시 패널
PDB: 패널 구동블럭 BCB: 휘도 보정블럭
LIM: 로고 영상 LBI: 로고 배경 영상
CIM: 보정 영상 CA: 보정 영역
NCA: 비보정 영역 RGB: 영상 신호
DS: 데이터 신호 SAR: 서브 영역
ACS: 영역 보정 신호 CB1: 제1 보정블럭
BCS: 휘도 보정 신호 CB2: 제2 보정블럭
CB3: 제3 보정블럭 CGS: 보정 계조 신호
CGB: 보정 계조 생성블럭 EXB: 추출 블럭
CAS: 영역 산출 신호 ACV1: 제1 영역 보정값
ACV2: 제2 영역 보정값 ACV3: 제3 영역 보정값
CP: 컨트롤러 IMD: 영상 데이터
SDB: 소스 드라이버

Claims (20)

  1. 로고 영상 및 상기 로고 영상 주변의 로고 배경 영상을 포함하는 보정 영상이 표시되는 보정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표시 패널에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패널 구동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 구동블럭은,
    상기 보정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는 휘도 보정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휘도 보정블럭은,
    상기 로고 영상과의 거리에 따라 상기 보정 영역을 복수 개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서브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보정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기 위한 영역 보정 신호를 생성하는 제1 보정블럭;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영역 보정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신호의 계조 및 상기 영역 보정 신호를 토대로 상기 각 서브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보정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는 휘도 보정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보정블럭; 및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휘도 보정 신호를 토대로 상기 보정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는 제3 보정블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보정블럭은,
    상기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신호의 계조를 보정한 보정 계조 신호를 생성하는 보정 계조 생성블럭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정블럭은,
    상기 제1 보정블럭으로부터 상기 영역 보정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보정 계조 생성 블럭으로부터 상기 보정 계조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영역 보정 신호 및 상기 보정 계조 신호를 토대로 상기 휘도 보정 신호를 생성하는 표시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계조 생성블럭은,
    상기 영상 신호의 상기 계조에 보정 상수를 곱한 보정 계조를 토대로 상기 보정 계조 신호를 생성하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상수는 n값을 갖고,
    상기 n은 1과 같거나 큰 실수인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 중 기 설정된 기준 계조보다 높은 계조를 갖는 영상 신호는, 상기 보정 계조 신호에서 동일한 계조를 갖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기준 계조가 낮아질수록, 상기 보정 상수의 크기는 커지는 표시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계조 생성블럭은,
    상기 보정 계조를 노말라이즈하여 상기 보정 계조 신호를 생성하는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보정블럭은,
    상기 영상 신호로부터 상기 보정 영역에 대한 영역 산출 신호를 추출하는 추출 블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정블럭은,
    상기 추출 블럭으로부터 상기 영역 산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영역 산출 신호를 토대로 상기 영역 보정 신호를 생성하는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영역들은 상기 로고 영상이 표시되는 제1 서브 영역, 상기 로고 배경 영상이 표시되는 제3 서브 영역 및 상기 제1 서브 영역과 상기 제3 서브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2 서브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영역 보정 신호는,
    상기 제1 서브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기 위한 제1 영역 보정값, 상기 제2 서브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기 위한 제2 영역 보정값 및 상기 제3 서브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기 위한 제3 영역 보정값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보정값은, 상기 제2 영역 보정값 및 상기 제3 영역 보정값보다 크고,
    상기 제2 영역 보정값은, 상기 제3 영역 보정값보다 큰 표시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의 계조가 낮을수록, 상기 휘도 보정블럭을 통해 보정되는 상기 보정 영역의 휘도의 보정량이 작아지는 표시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구동블럭은,
    외부에서 상기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신호를 토대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표시 패널에 상기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소스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상기 휘도 보정블럭은, 상기 컨트롤러에 포함된 표시 장치.
  14. 로고 영상 및 상기 로고 영상 주변의 로고 배경 영상을 포함하는 보정 영상이 표시되는 보정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표시 패널에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패널 구동블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방법은,
    상기 영상 신호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생성할 때 상기 보정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정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로고 영상과의 거리에 따라 상기 보정 영역을 복수 개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서브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보정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기 위한 영역 보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영역 보정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영역 신호의 계조 및 상기 영역 보정 신호를 토대로 상기 각 서브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보정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는 휘도 보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휘도 보정 신호를 토대로 상기 보정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신호의 계조에 보정 상수를 곱한 보정 계조를 토대로 보정 계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보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제1 보정블럭으로부터 상기 영역 보정 신호를 수신하고, 보정 계조 생성 블럭으로부터 상기 보정 계조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영역 보정 신호 및 상기 보정 계조 신호를 토대로 상기 휘도 보정 신호를 생성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방법.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 중 기 설정된 기준 계조보다 높은 계조를 갖는 영상 신호는, 상기 보정 계조 신호에서 동일한 계조를 갖는 표시 장치의 구동방법.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계조 신호는, 상기 보정 계조를 노말라이즈하여 생성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방법.
  19.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신호로부터 상기 보정 영상에 대한 영역 산출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역 보정 신호는 상기 영역 산출 신호를 토대로 생성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방법.
  20.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영역들은 상기 로고 영상이 표시되는 제1 서브 영역, 상기 로고 배경 영상이 표시되는 제3 서브 영역 및 상기 제1 서브 영역과 상기 제3 서브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2 서브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영역 보정 신호는,
    상기 제1 서브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기 위한 제1 영역 보정값, 상기 제2 서브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기 위한 제2 영역 보정값 및 상기 제3 서브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를 보정하기 위한 제3 영역 보정값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 보정값은, 상기 제2 영역 보정값 및 상기 제3 영역 보정값보다 크고,
    상기 제2 영역 보정값은, 상기 제3 영역 보정값보다 큰 표시 장치의 구동방법.
KR1020210061595A 2021-05-12 2021-05-12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220154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595A KR20220154314A (ko) 2021-05-12 2021-05-12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US17/708,485 US11749186B2 (en) 2021-05-12 2022-03-30 Display device for correcting an image including a logo and driving method of display device
CN202210502008.2A CN115346480A (zh) 2021-05-12 2022-05-10 显示装置和显示装置的驱动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595A KR20220154314A (ko) 2021-05-12 2021-05-12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314A true KR20220154314A (ko) 2022-11-22

Family

ID=83948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595A KR20220154314A (ko) 2021-05-12 2021-05-12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49186B2 (ko)
KR (1) KR20220154314A (ko)
CN (1) CN115346480A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125B1 (ko) 2012-11-27 2019-0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이밍 컨트롤러 및 그 구동 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2111777B1 (ko) 2013-09-05 2020-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105102B1 (ko) * 2013-10-10 2020-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2279373B1 (ko) 2014-12-12 2021-07-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열화보상장치 및 보상방법,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279374B1 (ko) 2014-12-12 2021-07-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열화보상장치 및 방법,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288334B1 (ko) * 2015-02-03 2021-08-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로고 영역 휘도 조절 방법
KR102453215B1 (ko) 2016-05-31 2022-10-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화소 보상 모듈 및 방법
US10770008B2 (en) * 2017-07-31 2020-09-08 Japan Display Inc. Display device with dimming panel
KR102530014B1 (ko) * 2018-09-04 2023-05-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로고 제어부 및 로고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49186B2 (en) 2023-09-05
CN115346480A (zh) 2022-11-15
US20220366843A1 (en)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3101B2 (en) Compensation technology for display panel
CN107452327B (zh) 显示装置及用于对显示装置的像素进行补偿的模块和方法
KR101182307B1 (ko) 평판표시장치와 그 화질 제어장치 및 화질 제어방법
KR101947125B1 (ko) 타이밍 컨트롤러 및 그 구동 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2207190B1 (ko) 영상 처리 방법 및 영상 처리 회로와, 그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102025184B1 (ko) 데이터 변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12863446B (zh) 显示补偿模组、显示补偿方法和显示装置
KR20110038321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30140564A (ko) 표시 장치, 화상 처리 장치, 및 표시 방법
KR101126349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로드이펙트 보상장치
JP2021124728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US11302261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US11735141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50315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70040865A (ko) 표시장치와 그 영상 렌더링 방법
KR20150024613A (ko) 데이터 변환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56708A (ko) 열화보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2200918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잔상 보상 방법
KR20140059386A (ko) 데이터 변환 장치와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0628B1 (ko) 영상 처리 방법 및 영상 처리 모듈과 그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20140076363A (ko) 휘도조절방법, 휘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154314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10004645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계조 데이터 보정 방법
US20210256895A1 (en)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CN114627816A (zh) 显示装置和显示装置的驱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