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9872B1 - 착탈이 가능한 빗물침투 배수측구 - Google Patents

착탈이 가능한 빗물침투 배수측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9872B1
KR102529872B1 KR1020210148042A KR20210148042A KR102529872B1 KR 102529872 B1 KR102529872 B1 KR 102529872B1 KR 1020210148042 A KR1020210148042 A KR 1020210148042A KR 20210148042 A KR20210148042 A KR 20210148042A KR 102529872 B1 KR102529872 B1 KR 102529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grating
sides
pitcher
typ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8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주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아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아이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아이디
Priority to KR1020210148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8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5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box-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이 가능한 빗물침투 배수측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빗물유입구유닛에 포함되는 배수공 및 배수홀이 이물질에 의해 막힌 경우에 빗물유입구유닛을 간편하게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게 하여 강우시 노면의 빗물이 언제든지 빗물침투부로 용이하게 침투되어 빗물 침투기능의 지속성을 유지하여 지하수량을 증가시키며, 빗물증가로 인한 도로의 침수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착탈이 가능한 빗물침투 배수측구에 있어서; 상기 착탈이 가능한 빗물침투 배수측구는 땅속에 도랑형으로 매설되어 노면의 빗물이 침투되는 빗물침투부(60)와, 빗물침투부(60)의 상측에 설치되어 노면의 빗물을 빗물침투부(60)로 유입을 안내하는 빗물유입구유닛(100)로 구성되며; 상기 빗물유입구유닛(100)은 빗물침투부(60)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는 완전 개방되고 하부는 부분 개방되게 형성된 도랑형받침대(10)와, 도랑형받침대(10)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안착되는 것으로 납작한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며 다수의 투수홀(32)이 형성되는 투수틀(30)과, 투수틀(30)의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ㄷ"형지지대(20)와, 투수틀(30)의 양측에 끼워진 "ㄷ"형지지대(2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는 그레이팅(40)으로 구성되며, 상기 빗물침투부(60)는 땅속(토사층:64)에 도랑을 판 뒤에 그 도랑의 내벽면에 투수시트(63)를 설치하고, 그 투수시트(63)의 내부에는 물이 스며드는 공극을 형성하는 쇄석층(62)이 설치되는 상부에 투수시트(63)가 덮여지게 설치되며, 투수시트(63)의 상부면에는 모래층(61)이 설치되고; 상기 도랑형받침대(10)는 한 쌍의 "L"형 받침대(11)가 폭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한 상태에서 양측 "L"형 받침대(11)의 하측 수평부에 수개의 수평연결대(12)가 간격을 두고 연결 설치되고; 상기 투수틀(30)은 옆으로 납작한 사각관형태로 형성되는 투수틀본체(31)의 전체면에 다수의 투수홀(32)이 형성되며, 투수틀본체(31)의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직지지대(33)가 형성되고, 상기 그레이팅(40)은 상판부에 다수개의 배수공(41)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양측방 하부에는 하단부가 "ㄷ"형지지대(20)의 상면에 안착되는 다리부(42)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착탈이 가능한 빗물침투 배수측구{Detachable rainwater infiltration drain gutter}
본 발명은 착탈이 가능한 빗물침투 배수측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땅속에 매설하는 빗물침투부로 지면의 빗물이 용이하게 침투되게 하는 빗물유입구유닛을 빗물침투부의 상측에 설치하되, 이 빗물유입구유닛을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빗물유입구유닛에 포함되는 배수공 및 배수홀이 이물질에 의해 막힌 경우에 빗물유입구유닛을 간편하게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게 하여 강우시 노면의 빗물이 언제든지 빗물침투부로 용이하게 침투되어 빗물 침투기능의 지속성을 유지하여 지하수량을 증가시키며, 빗물증가로 인한 도로의 침수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지면의 빗물이 땅속으로 쉽게 침투되게 하는 지표면수 배수용 투수틀(20-0483375)과, 상기 투수틀을 이용한 조립식 빗물침투 배수측구(10-2055272)등의 특허 및 실용신안건을 선출원하여 등록된 바가 있다.
상기 종래고안(20-0483375)은 외주면 다수의 투수홀이 형성되는 투수틀본체를 넓적한 관형으로 형성한 뒤에, 넓적한 관형으로 형성되는 투수틀본체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수직칸막이를 설치함으로써, 지면의 빗물이 투수틀의 내부로 빠르게 유입되게 되고, 투수틀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이 투수틀이 매설된 땅속으로 침투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종래발명(10-2055272)은 외주면에 다수의 투수홀이 형성되며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는 다수의 투수틀을 주요 구성요소로 하여 배수측구 유닛을 조립식으로 구성한 뒤에, 이들 배수측구 유닛을 연결부재로 연결하여 조립식 빗물침투 배수측구를 구성함으로써, 배수측구로 유입되는 빗물이 다수의 투수틀에 형성된 투수홀을 통하여 땅속으로 신속하게 침투되게 하며, 땅속 지반의 침투능력을 초과하여 침투되지 못하는 빗물은 하수구로 흘려보내어 침수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발명은 장기간의 사용으로 투수틀의 투수홀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경우에는 종래발명의 제가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안타까운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483375호(고안의 명칭 : 지표면수 배수용 투수틀) 특허등록 제10-2055272호(발명의 명칭 : 상기 투수틀을 이용한 조립식 빗물침투 배수측구)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땅속에 매설하는 빗물침투부로 지면의 빗물이 용이하게 침투되게 하는 빗물유입구유닛을 빗물침투부의 상측에 설치하되, 이 빗물유입구유닛을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빗물유입구유닛에 포함되는 배수공 및 배수홀이 이물질에 의해 막힌 경우에 빗물유입구유닛을 간편하게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게 하여 노면의 빗물이 언제든지 빗물침투부로 용이하게 침투되어 빗물 침투기능의 지속성을 유지하여 지하수량을 증가시키며, 빗물증가로 인한 도로의 침수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착탈이 가능한 빗물침투 배수측구에 있어서; 상기 착탈이 가능한 빗물침투 배수측구는 땅속에 도랑형으로 매설되어 노면의 빗물이 침투되는 빗물침투부와, 빗물침투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노면의 빗물을 빗물침투부로 유입을 안내하는 빗물유입구유닛로 구성되며; 상기 빗물유입구유닛은 빗물침투부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는 완전 개방되고 하부는 부분 개방되게 형성된 도랑형받침대와, 도랑형받침대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안착되는 것으로 납작한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며 다수의 투수홀이 형성되는 투수틀과, 투수틀의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ㄷ"형지지대와, 투수틀의 양측에 끼워진 "ㄷ"형지지대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는 그레이팅으로 구성되며, 상기 빗물침투부는 땅속(토사층)에 도랑을 판 뒤에 그 도랑의 내벽면에 투수시트를 설치되며, 그 투수시트의 내부에는 물이 스며드는 공극을 형성하는 쇄석층이 설치되는 상부에 투수시트가 덮여지게 설치되고, 투수시트의 상부면에는 모래층이 설치되며, 쇄석층의 내측 하부에 다수의 투수홀이 형성된 투수틀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도랑형받침대는 한 쌍의 "L"형 받침대가 폭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한 상태에서 양측 "L"형 받침대의 하측 수평부에 수개의 수평연결대가 간격을 두고 연결 설치되고; 상기 투수틀은 옆으로 납작한 사각관형태로 형성되는 투수틀본체의 전체면에 다수의 투수홀이 형성되며, 투수틀본체의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직지지대가 형성되고, 상기 그레이팅은 상판부에 다수개의 배수공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양측방 하부에는 하단부가 "ㄷ"형지지대의 상면에 안착되는 다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착탈이 가능한 빗물침투 배수측구는, 땅속에 매설하는 빗물침투부로 지면의 빗물이 용이하게 침투되게 하는 빗물유입구유닛을 빗물침투부의 상측에 설치하되, 이 빗물유입구유닛을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빗물유입구유닛에 포함되는 배수공 및 배수홀이 이물질에 의해 막힌 경우에 빗물유입구유닛을 간편하게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게 하여 노면의 빗물이 언제든지 빗물침투부로 용이하게 침투되어 빗물 침투기능의 지속성을 유지하여 지하수량을 증가시키며, 빗물증가로 인한 도로의 침수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빗물유입구유닛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빗물유입구유닛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빗물유입구유닛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착탈이 가능한 빗물침투 배수측구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이 가능한 빗물침투 배수측구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땅속에 도랑형으로 매설되어 노면의 빗물이 침투되는 빗물침투부(60)와, 빗물침투부(60)의 상측에 설치되어 노면의 빗물을 빗물침투부(60)로 유입을 안내하는 빗물유입구유닛(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빗물침투부(60)는 땅속(토사층:64)에 도랑을 판 뒤에 그 도랑의 내벽면에 부직포나 메쉬와 같은 투수시트(63)를 설치한 뒤에 그 투수시트(63)의 내부에 물이 스며드는 공극을 형성하는 공극형성부재를 설치하되, 이 공극형성부재는 쇄석을 투입하여 다수의 공극이 형성되는 쇄석층(62)을 형성하며, 쇄석층(62)의 상부를 투수시트(63)로 덮은 뒤에 그 상부에 쇄석층(62)의 상부를 평탄하게 하는 모래층(61)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쇄석층(62)의 상부를 평탄하게 형성한 경우에는 모래층(61)을 생략해도 무방하며, 쇄석층(62)의 내측 하부에 투수틀(30)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하여 쇄석층(62)으로 투입되는 빗물이 투수틀(30)의 내부로 스며들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물유입구유닛(100)은 빗물침투부(60)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랑형받침대(10)와, 도랑형받침대(10) 내측의 수평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안착되는 것으로 납작한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며 다수의 투수홀(32)이 형성되는 투수틀(30)과, 투수틀(30)의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ㄷ"형지지대(20)와, 투수틀(30)의 양측에 끼워진 "ㄷ"형지지대(2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는 그레이팅(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랑형받침대(10)는 "L"자형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L"형 받침대(11)가 폭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한 상태에서 양측 "L"형 받침대(11)의 하측 수평부가 수개의 수평연결대(12)로 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상부는 완전 개방되고 하부는 부분 개방되어 빗물이 아래로 흘러내리게 구성된다.
이때, "L"형 받침대(11)의 수직부 높이는 상단부가 노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고, 수평부에 안착되는 "ㄷ"형지지대(20)와 그레이팅(40)의 높이가 합쳐진 만큼의 높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투수틀(30)은 옆으로 납작한 사각관형태로 형성되는 투수틀본체(31)의 전체면에 다수의 투수홀(32)이 형성되며, 투수틀본체(31)의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직지지대(3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그레이팅(40)은 상판부에 다수개의 배수공(41)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양측방 하부에는 하단부가 "ㄷ"형지지대(20)의 상면에 안착되는 다리부(42)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은 도 5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빗물유입구유닛(100)의 이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빗물유입구유닛(100)의 이실시예는 그레이팅(40)의 폭을 일실시예보다 좁게 형성하는 것으로, 빗물침투부(60,60a)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랑형받침대(10)와, 도랑형받침대(10) 내측의 수평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안착되는 것으로 납작한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며 다수의 투수홀(32)이 형성되는 투수틀(30)과, 투수틀(30)의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ㄷ"형지지대(20)와, 투수틀(30)의 양측에 끼워진 "ㄷ"형지지대(2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는 그레이팅설치대(50)와, 그레이팅설치대(50)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는 그레이팅(40)과, 그레이팅설치대(50)의 양측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마감대(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랑형받침대(10)와, 투수틀(30), "ㄷ"형지지대(20), 그레이팅(40)은 일, 이실시예 모두가 동일하게 구성되어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추가되는 그레이팅설치대(50)와, 상부마감대(56)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그레이팅설치대(50)는 "L"자형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L"형 받침대(51)가 폭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한 상태에서 양측 "L"형 받침대(51)의 하측 수평부(50a)가 수개의 수평연결대(54)로 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상부는 완전 개방되고 하부는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빗물이 아래로 흘러내리게 형성된다.
그리고, 양측 "L"형 받침대(51)의 수평부(50a) 상측에 수직벽부(52)를 수직 설치하되, 수평부(50a)의 내측 소정위치에 그레이팅(40)의 다리부(42)가 안착될 만큼의 간격을 둔 상태로 수직벽부(52)가 수직 설치되어 "L"형 받침대(51)의 외측 수직부와 수직벽부(52)의 사이에는 "ㄷ"자를 90도로 세운 형태의 홈통부(55)가 형성되고, 수직벽부(52) 내측의 수평부(50a)에는 다리받침부(5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마감대(56)는 보도블럭을 홈통부(55)에 착탈식으로 안착 설치하거나, 또는 홈통부(55)에 충진재(콘크리트 포함)를 충진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며, 각각의 "L"형 받침대(11,51)의 수직부 상단부와, 그레이팅(40)의 상판부, 그리고 상부마감대(56)의 상면 높이는 노면과 동일한 높이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본 발명의 이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빗물침투부(60,60a)의 구조가 다르고, 상측의 빗물유입구유닛(100)은 도 2, 3 및 도 5에 도시된 빗물유입구유닛(100)을 적용 설치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실시예에서 달라진 빗물침투부(60a)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즉, 이실시예에 포함되는 빗물침투부(60a)는 땅속(토사층:64)에 도랑을 판 뒤에 그 도랑의 내벽면에 다수개의 투수틀(30)을 다수층의 다발로 형성한 뒤에 그 외부면에 투수시트(63)를 감싸고 끈으로 묶은 투수틀 다발을 설치한 뒤에 투수틀 다발 주변에 토사를 채워서 구성하며, 투수틀 다발의 상부는 빗물유입구유닛(100)을 안착 설치하여 이실시예를 완성한다.
이때, 다수개의 투수틀(30)이 다발로 설치되는 빗물침투부(60a)를 설치하기 위하여 땅속(토사층:64)에 도랑을 팠을 때, 빗물유입구유닛(100)의 상면과 노면의 높이를 수평하게 맞추기 위해 빗물침투부(60a)의 상측에 모래층(61)을 포설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부호 "71"은 집수정(70)의 상측에 설치되는 그레이팅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착탈이 가능한 빗물침투 배수측구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땅속(토사층:64)에 소정의 깊이와 폭으로 도랑을 길이방향으로 판 뒤에, 그 도랑의 내벽면에 부직포나 메쉬와 같이 투수가 가능한 투수시트(63)를 설치한다.
이때, 투수시트(63)는 도랑의 내부면을 감싸도록 설치하며, 투수시트(63)의 일측단 또는 양측단부를 도랑 외측으로 벌어지게 한다.
그 다음에 투수시트(63)가 덮여진 도랑의 바닥에서부터 쇄석을 10~30㎝ 만큼 투입하고, 그 상면을 평탄하게 하며 그렇게 평탄해진 쇄석의 상부에 납작한 사각관형태로 형성되며 다수의 투수홀(32)이 형성된 투수틀(30)을 길이방향으로 설치하고, 그 위에 쇄석을 다시 투입하여 도랑의 내부에 쇄석층(62)을 형성한다.
이때, 쇄석층(62)의 설치높이는 쇄석층(62)의 상부에 모래층(61)을 형성한 뒤에 그 상부에 빗물유입구유닛(100)을 안착시켰을 때, 빗물유입구유닛(100)의 상면 높이가 지면높이와 동일한 높이가 될 만큼 형성해야 한다.
위와 같이 도랑으로 쇄석을 투입하여 쇄석층(62)을 소정의 높이만큼 형성한 뒤에는 도랑의 외측으로 벌려놓은 투수시트(63)의 외측단부를 쇄석층(62)의 상부를 덮고, 투수시트(63)가 덮여진 쇄석층(62)의 상부에 모래를 포설하여 모래층(61)을 형성하는데, 이 모래층(61)의 두께는 빗물유입구유닛(100)의 상부가 지면과 동일한 높이가 될 만큼 모래를 포설하며, 이때 모래층(61)의 상면이 평평해지게 한다.
그 다음에 모래층(61)의 상부에 빗물유입구유닛(100)에 포함되는 도랑형받침대(10)를 안착 설치하며, 도랑형받침대(10) 외측의 도랑부분에 토사를 채워넣고 그 상면을 보도블럭이나 콘크리트, 아스팔트 등의 도로포장재를 포장하는데, 도로포장재의 상면과 도랑형받침대(10)에 포함하는 "L"형 받침대(11)의 상단부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한다.
위와 같이 도랑형받침대(10)의 "L"형 받침대(11) 외측에 토사를 채워 넣을 때, 토사는 "L"형 받침대(11)의 수직부에 걸려서 도랑형받침대(10)의 내부에는 "ㄷ"형지지대(20)를 끼운 투수틀(30)과 그레이팅(40)을 삽입 안착시킬 사각도랑형태의 공간부가 형성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납작한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는 투수틀(30)의 양측에 "ㄷ"형강 형태로 형성된 "ㄷ"형지지대(20)를 끼운 뒤에 "ㄷ"형지지대(20)가 끼워진 투수틀(30)을 도랑형받침대(10)의 내측 사각도랑형태의 공간부로 삽입 안착시킨다.
상기 도랑형받침대(10)의 "L"형 받침대(11)가 마주보게 설치된 상태에서 수평부의 하부에 수평연결대(12)가 연결 설치되어서 양측 "L"형 받침대(11)의 수평부에 "ㄷ"형지지대(20)가 끼워진 투수틀(30)이 얹히게 되며, 양측 "L"형 받침대(11)가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로 하부에 수개의 수평연결대(12)가 연결 설치되어서 도랑형받침대(10)의 하부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투수틀(30)의 상측에 그레이팅(40)을 삽입 안착시키면, 그레이팅(40)의 양측 하부에 하향 형성된 다리부(42)가 투수틀(30)의 양측에 끼워진 "ㄷ"형지지대(20)의 상측 평면부에 얹히게 되며, 이 "ㄷ"형지지대(20)의 상측 평면부는 투수틀(30)의 양측에 끼워진 상태이므로 투수틀(30)의 양측이 수직방향으로 보강된 상태가 되어 그레이팅(40)에서부터 하측방으로 수직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지탱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비가 내려서 노면에 빗물이 증가되면, 그 빗물은 그레이팅(40)에 형성된 배수공(41)으로 유입되고, 배수공(41)으로 흘러들어간 빗물은 그 하측의 투수틀(30)에 형성된 투수홀(32)을 통하여 투수틀(30)의 내부로 유입되며, 이 투수틀(30)은 전체면에 다수의 투수홀(32)이 형성되어 투수틀(30)의 하측 투수홀(32)을 통하여 빗물침투부(60)로 내려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빗물유입구유닛(100)으로 소량의 빗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상측의 그레이팅(40)에 형성되는 배수공(41)과 그 하측의 투수틀(30)에 형성되는 투수홀(32)을 통하여 빗물침투부(60) 측으로 빗물이 내려가면서 모래층(61)과 쇄석층(62) 상측의 투수시트(63)를 통하여 쇄석층(62)으로 스며들어 쇄석층(62)에 빗물이 저장되게 된다.
그리고, 홍수 때와 같이 많은 비가 내릴 경우에는 그레이팅(40)에서 투수틀(30) 하부까지 빠르게 물이 차게 되고, 그 하측의 모래층(61)과 투수시트(63) 상측부분으로 물이 침투하는 속도가 늦으므로 그레이팅(40)의 상측으로 물이 역류를 의심할 수 있겠으나, 투수틀(30)은 납작한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투수틀(30)의 단부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집수정(70)과 연결되어서 다량의 빗물이 빗물유입구유닛(100)으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투수틀(30)을 통하여 집수정(70)으로 배수되어 침수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쇄석층(62)으로는 빗물유입구유닛(100)을 통하여 빗물이 침투할 뿐만 아니라, 빗물유입구유닛(100) 외측의 땅속으로 스며드는 지표수 중에 쇄석층(62)과 근접한 땅속을 통하여 쇄석층(62)으로 스며들게 되며, 쇄석층(62)의 외부에 투수시트(63)가 감싸져 있고, 그 외측에 토사층(64)이 막혀서 쇄석층(62)의 내부에 물이 저장되게 되며,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쇄석층(62)으로 스며들어 있던 물은 투수시트(63)를 통과하여 쇄석층(62) 하측의 땅속으로 서서히 스며들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쇄석층(62)의 외부 전체를 투수시트(63)로 감싸고 있음에 따라 쇄석층(62) 외측의 토사층(64)에 포함하는 토사가 쇄석층(62)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쇄석층(62) 내에서의 일정한 공극을 유지하게 되며, 쇄석층(62) 내에 저장되는 물의 량이 증가하게 되면 쇄석층(62)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 투수틀(30)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빗물유입구유닛(100)과 연결된 집수정(70)으로 배수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장시간 사용하다보면, 그레이팅(40)의 배수공(41)과, 투수틀(30)의 투수홀(32)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게 되는데, 이런 경우에는 그레이팅(40)과 투수틀(30)을 도랑형받침대(10)에서 상측으로 분리한 뒤에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하는 청소를 한 뒤에 재설치하면, 배수공(41)과 투수홀(32)이 뚫려서 홍수와 같이 폭우가 내리는 경우에도 침수를 예방할 수 있고, 빗물 침투기능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도 5에 도시된 빗물유입구유닛(100)의 이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하는데, 이 경우도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작용이 이루어지나, 다른 점은 도로의 여건상 그레이팅(40)을 좁게 설치하는 경우로서 도랑형받침대(10)의 폭보다 그레이팅(40)의 폭이 좁은 만큼 그레이팅(40)의 양측의 보도블록과 같은 상부마감대(56)를 착탈식으로 설치한 부분에서 차이가 있다.
이실시예에 의한 빗물유입구유닛(100)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레이팅설치대(50)의 다리받침부(53)에 안착된 그레이팅(40)과, 그레이팅(40) 양측의 홈통부(55)에서 상부마감대(56)를 분리하면 그레이팅설치대(50)을 상측으로 분리시킬 수 있고, 뒤이어 "ㄷ"형지지대(20)가 양측에 끼워진 투수틀(30)을 상측으로 분리한 뒤에 그레이팅(40)의 배수공(41)과 투수틀(30)의 투수홀(32)을 청소하여 재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이는 도 3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빗물침투부(60)의 구조가 다르고, 상측의 빗물유입구유닛(10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빗물유입구유닛(100)를 선택하여 모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일실시예와 다른 빗물침투부(60a)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즉, 이실시예에 포함되는 빗물침투부(60a)는 땅속 토사층(64)에 도랑을 판 뒤에 그 도랑의 내부에 다수개의 투수틀(30)을 다발로 형성하고 그 다발 외부에 투수시트(63)를 감싼 뒤에 끈으로 묶은 투수틀 다발을 삽입 설치한 것이다.
이 경우도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상측의 빗물유입구유닛(100)을 통하여 빗물침투부(60a)로 빗물이 유입되는데, 이는 일실시예에서 쇄석층(62)을 대신하여 투수틀(30)이 다수층으로 다발을 형성하여 설치됨에 따라 빗물유입구유닛(100)에서 투수틀(30)으로 이루어지는 빗물침투부(60a)로 빗물이 빠르게 유입되고, 쇄석층(62) 보다 내부공간이 커서 더 많은 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투수틀(30)은 합성수지재로 성형한 것임에 따라 무게가 가볍고 쇄석보다 가격이 저렴하여 시공성과 경제적인 측면에서 쇄석층 보다 매우 유익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출원인이 제작하는 그레이팅(40)은 배수공(41)의 크기가 담배꽁초가 들어가지 못할 만큼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서 그레이팅(40)의 배수공(41)이 막히는 것과, 그레이팅(40) 주변이 담배꽁초에 의해 더렵혀지는 것을 방지하고, 여성의 하이힐 뒷굽이나, 노인의 지팡이가 빠지지 않은 효과가 있음을 밝혀둔다.
10 : 도랑형받침대 11,51 : "L"형 받침대 12,54 : 수평연결대
20 : "ㄷ"형지지대 30 : 투수틀 31 : 투수틀본체
32 : 투수홀 33 : 수직지지대 40 : 그레이팅
41 : 배수공 42 : 다리부 50 : 그레이팅설치대
52 : 수직벽부 53 : 다리받침부 55 : 홈통부
56 : 상부마감대 60,60a : 빗물침투부 61 : 모래층
62 : 쇄석층 63 : 투수시트 64 : 토사층
70 : 집수정 100 : 빗물유입구유닛

Claims (6)

  1. 착탈이 가능한 빗물침투 배수측구에 있어서;
    상기 착탈이 가능한 빗물침투 배수측구는 땅속에 도랑형으로 매설되어 노면의 빗물이 침투되는 빗물침투부(60)와, 빗물침투부(60)의 상측에 설치되어 노면의 빗물을 빗물침투부(60)로 유입을 안내하는 빗물유입구유닛(100)로 구성되며;
    상기 빗물유입구유닛(100)은 빗물침투부(60)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는 완전 개방되고 하부는 부분 개방되게 형성된 도랑형받침대(10)와, 도랑형받침대(10)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안착되는 것으로 납작한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며 다수의 투수홀(32)이 형성되는 투수틀(30)과, 투수틀(30)의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ㄷ"형지지대(20)와, 투수틀(30)의 양측에 끼워진 "ㄷ"형지지대(2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는 그레이팅(40)으로 구성되며,
    상기 빗물침투부(60)는 땅속(토사층:64)에 도랑을 판 뒤에 그 도랑의 내벽면에 투수시트(63)를 설치되며, 그 투수시트(63)의 내부에는 물이 스며드는 공극을 형성하는 쇄석층(62)이 설치되는 상부에 투수시트(63)가 덮여지게 설치되고, 투수시트(63)의 상부면에는 모래층(61)이 설치되며, 쇄석층(62)의 내측 하부에 다수의 투수홀(32)이 형성된 투수틀(30)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도랑형받침대(10)는 한 쌍의 "L"형 받침대(11)가 폭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한 상태에서 양측 "L"형 받침대(11)의 하측 수평부에 수개의 수평연결대(12)가 간격을 두고 연결 설치되고;
    상기 투수틀(30)은 옆으로 납작한 사각관형태로 형성되는 투수틀본체(31)의 전체면에 다수의 투수홀(32)이 형성되며, 투수틀본체(31)의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직지지대(33)가 형성되고,
    상기 그레이팅(40)은 상판부에 다수개의 배수공(41)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양측방 하부에는 하단부가 "ㄷ"형지지대(20)의 상면에 안착되는 다리부(42)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가능한 빗물침투 배수측구.
  2. 착탈이 가능한 빗물침투 배수측구에 있어서;
    상기 착탈이 가능한 빗물침투 배수측구는 땅속에 도랑형으로 매설되어 노면의 빗물이 침투되는 빗물침투부(60a)와, 빗물침투부(60a)의 상측에 설치되어 노면의 빗물을 빗물침투부(60a)로 유입을 안내하는 빗물유입구유닛(100)로 구성되며;
    상기 빗물유입구유닛(100)은 빗물침투부(60a)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는 완전 개방되고 하부는 부분 개방되게 형성된 도랑형받침대(10)와, 도랑형받침대(10)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안착되는 것으로 납작한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며 다수의 투수홀(32)이 형성되는 투수틀(30)과, 투수틀(30)의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ㄷ"형지지대(20)와, 투수틀(30)의 양측에 끼워진 "ㄷ"형지지대(2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며 중앙에 그레이팅(40)이 착탈식으로 안착되고 양측에 상부마감대(56)가 착탈 가능하게 안착 설치되는 그레이팅설치대(50)와, 그레이팅설치대(50)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는 그레이팅(40)과, 그레이팅설치대(50)의 양측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마감대(5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가능한 빗물침투 배수측구.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침투부(60a)는 전체면에 다수의 투수홀(32)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투수틀(30)이 다수층의 다발로 설치된 뒤에 다수개의 투수틀(30) 외부에 투수시트(63)가 감싸지게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가능한 빗물침투 배수측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랑형받침대(10)는 한 쌍의 "L"형 받침대(11)가 폭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한 상태에서 양측 "L"형 받침대(11)의 하측 수평부에 수개의 수평연결대(12)가 간격을 두고 연결 설치되고;
    상기 투수틀(30)은 옆으로 납작한 사각관형태로 형성되는 투수틀본체(31)의 전체면에 다수의 투수홀(32)이 형성되며, 투수틀본체(31)의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직지지대(33)가 형성되고;
    상기 그레이팅(40)은 상판부에 다수개의 배수공(41)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양측방 하부에는 하단부가 "ㄷ"형지지대(20)의 상면에 안착되는 다리부(42)가 형성되며;
    상기 그레이팅설치대(50)는 "L"자형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L"형 받침대(51)가 폭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한 상태에서 양측 "L"형 받침대(51)의 하측 수평부가 수개의 수평연결대(54)로 간격을 두고 연결되고, 양측 "L"형 받침대(51)의 수평부 상측에 수직벽부(52)를 수직 설치하되,
    수평부(50a)의 내측 소정위치에 그레이팅(40)의 다리부(42)가 안착될 만큼의 간격을 둔 상태로 수직벽부(52)가 수직 설치되어 "L"형 받침대(51)의 외측 수직부와 수직벽부(52)의 사이에는 "ㄷ"자를 90도로 세운 형태의 홈통부(55)가 형성되고, 수직벽부(52) 내측의 수평부(50a)에는 다리받침부(53)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마감대(56)는 보도블럭을 홈통부(55)에 착탈식으로 안착 설치하거나, 또는 홈통부(55)에 충진재를 충진하여 형성하는 구성이 포함되는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가능한 빗물침투 배수측구.
  6. 삭제
KR1020210148042A 2021-11-01 2021-11-01 착탈이 가능한 빗물침투 배수측구 KR102529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042A KR102529872B1 (ko) 2021-11-01 2021-11-01 착탈이 가능한 빗물침투 배수측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042A KR102529872B1 (ko) 2021-11-01 2021-11-01 착탈이 가능한 빗물침투 배수측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9872B1 true KR102529872B1 (ko) 2023-05-09

Family

ID=86408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8042A KR102529872B1 (ko) 2021-11-01 2021-11-01 착탈이 가능한 빗물침투 배수측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8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5254A (ko) * 2008-04-02 2009-10-07 대한민국(소방방재청장) 일체형 침투 집수정
KR200483375Y1 (ko) 2014-12-30 2017-05-08 황주연 지표면수 배수용 투수틀
KR101738905B1 (ko) * 2016-08-29 2017-05-23 (주)마이즈텍 집수 경계 블록
KR20190053753A (ko) * 2017-11-10 2019-05-20 황주연 조립식 빗물침투 배수측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5254A (ko) * 2008-04-02 2009-10-07 대한민국(소방방재청장) 일체형 침투 집수정
KR200483375Y1 (ko) 2014-12-30 2017-05-08 황주연 지표면수 배수용 투수틀
KR101738905B1 (ko) * 2016-08-29 2017-05-23 (주)마이즈텍 집수 경계 블록
KR20190053753A (ko) * 2017-11-10 2019-05-20 황주연 조립식 빗물침투 배수측구
KR102055272B1 (ko) 2017-11-10 2019-12-16 황주연 조립식 빗물침투 배수측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34478B1 (en) Underground drainage system
KR102055272B1 (ko) 조립식 빗물침투 배수측구
JP4284665B2 (ja) 側溝の排水構造
KR101020718B1 (ko) 지반보강용 지오셀과 중공형 섬유보강 투수블록을 이용한 지반침투형 포장구조
KR101510615B1 (ko) 침투식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206057B1 (ko) 보도의 식생 배수 구조물
JP2011074563A (ja) 雨水浸透システム
KR102529872B1 (ko) 착탈이 가능한 빗물침투 배수측구
KR100964893B1 (ko) 개수로와 배수재가 결합 형성된 초연약 지반의 집배수장치
KR102055349B1 (ko)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
KR101038336B1 (ko) 도로 l형 측구에 저류조 방식을 이용한 빗물분산과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및 비점 오염 저감 여과 장치
KR101771073B1 (ko) 빗물의 저장과 지중 침투 복합형 저수 시설 및 시공 공법
CN214460937U (zh) 交通枢纽雨水花园结构
KR20230135931A (ko) 물 분사기능이 구비된 빗물침투 배수측구
KR20120139874A (ko) 통수 개수로와 투수성 배수재를 이용한 연약지반 집배수 시스템
KR100804066B1 (ko) 효율적인 배수가 가능하며 그 구조강도가 개선되는인공지반의 배수구조
JP3508826B2 (ja) 雨水の地下貯留浸透構造
KR101867974B1 (ko) 지하수 확보 기능이 향상된 친환경 집수정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친환경 도로 구조물
KR102201825B1 (ko) 배수 특성이 향상된 친환경 측구 구조물
KR100577846B1 (ko) 친환경적인 도로 옹벽 설치구조
KR100784174B1 (ko) 초연약지반의 표층처리가 되게 한 투수와 배수를 겸한 부재의 집배수 장치와 이에 의한 초연약지반 표층 처리 공법
CN219344756U (zh) 一种越岭隧道地面防排水结构
JP4157803B2 (ja) 歩車道境界ブロック
JP4084479B2 (ja) 雨水等の浸透構造
KR20190010513A (ko) 배수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