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9568B1 - 하수관의 부분보수공법 - Google Patents

하수관의 부분보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9568B1
KR102529568B1 KR1020220046144A KR20220046144A KR102529568B1 KR 102529568 B1 KR102529568 B1 KR 102529568B1 KR 1020220046144 A KR1020220046144 A KR 1020220046144A KR 20220046144 A KR20220046144 A KR 20220046144A KR 102529568 B1 KR102529568 B1 KR 102529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air
sewage pipe
packer
maintenance
maintenanc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6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희섭
Original Assignee
안희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희섭 filed Critical 안희섭
Priority to KR1020220046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5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08L23/22Copolymers of isobutene; Butyl rubber ; Homo- or copolymers of other iso-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J23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08J2323/22Copolymers of isobutene; butyl rubb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의 부분보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원통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는 패커를 포함하는 보수장치를 준비하는 보수장치 준비 단계; 강화섬유에 아크릴계 수지 및 경화제가 함침된 제1보수재를 상기 보수장치의 패커 외주연에 감싸는 제1보수재 배치 단계; 상기 제1보수재의 표면에 고무 재질로 된 제2보수재를 배치하는 제2보수재 배치 단계; 상기 보수장치를 하수관에 투입하여 하수관의 손상부에 상기 제2보수재가 마주하도록 보수장치를 배치하는 보수장치 투입 단계; 상기 보수장치의 패커에 공기를 주입하여 패커를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제1보수재 및 제2보수재를 하수관의 내주연에 밀착시키는 공기 주입 단계; 및 상기 제1보수재를 경화시키는 경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2보수재는 경화된 상기 제1보수재에 의해 하수관의 손상부 주위에 밀착되어 손상부를 밀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부분보수공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하수관의 부분보수공법{Partial repair method of sewage pipe}
본 발명은 하수관의 부분보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주연에 보수재를 감싼 보수장치를 하수관에 투입하여 하수관의 손상부위를 보수할 수 있도록 한 하수관의 부분보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하수관에 보수장치를 투입하여 하수관의 손상부위를 보수할 수 있도록 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88821호(2006.06.05. 등록)의 '균일 팽창이 가능한 패커를 구비하는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원통 형상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중앙부가 양단부에 비하여 오목하게 형성되어 압축공기의 유입에 의하여 상기 하수관로의 내주면에 균일하게 밀착되도록 팽창되는 패커:를 구비한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패커의 팽창에 의해 라이닝재가 하수관의 내주연에 균일하게 가압되게 함으로써 라이닝재가 하수관에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하수관의 표면 상태나 재질에 따라 라이닝재의 접착력이 떨어져 라이닝재가 하수관에 견고하게 접착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수관의 손상부위가 견고하게 밀봉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 하수관으로 오염이 큰 된 불명수 등이 유입되는 경우, 라이닝만으로는 누수되는 물이 많이 나오는 현장이나 누수 수압이 센 특성의 현장 등의 경우 등이 있어 상술한 종래의 누수 방지수단으로는 누수를 막는 지수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는 현장이 제한적이기도 하였다.
또한, 하수관 손상부 중 빈 공간(공동)이 있는 경우 얇은 두께의 라이닝만으로 손상구멍으로 인입되기 때문에 인입부위를 부틸고무(제2보수재 사용으로)가 충진하는 역할의 효과를 볼 수 있다. 특히, 콘크리트 관일 경우에는 라이닝만으로도 부착성이 우수하나, 상기 라이닝과 동종의 합성수지제 관에서는 용융부착이 아니므로 수량이 많거나 압력이 센 경우 라이닝과 관 사이의 부착성이 완전할 수 없는 문제점도 우려된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88821호(2006.06.05.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수관의 손상부위를 더욱 견고하게 밀봉할 수 있도록 한 하수관의 부분보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의 부분보수공법은, 원통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는 패커를 포함하는 보수장치를 준비하는 보수장치 준비 단계; 강화섬유에 아크릴계 수지 및 경화제가 함침된 제1보수재를 상기 보수장치의 패커 외주연에 감싸는 제1보수재 배치 단계; 상기 제1보수재의 표면에 고무 재질로 된 제2보수재를 배치하는 제2보수재 배치 단계; 상기 보수장치를 하수관에 투입하여 하수관의 손상부에 상기 제2보수재가 마주하도록 보수장치를 배치하는 보수장치 투입 단계; 상기 보수장치의 패커에 공기를 주입하여 패커를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제1보수재 및 제2보수재를 하수관의 내주연에 밀착시키는 공기 주입 단계; 및 상기 제1보수재를 경화시키는 경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2보수재는 경화된 상기 제1보수재에 의해 하수관의 손상부 주위에 밀착되어 손상부를 밀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보수재는 1㎜ 이상 두께의 부틸고무 시트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보수장치의 패커는 중앙부가 양단부에 비하여 오목하게 형성되어 장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보수재 배치 단계에서 상기 제1보수재는 상기 패커의 중앙부 및 양단부 외주연을 감싸도록 배치됨에 따라 패커와 상응하는 장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보수재 배치 단계에서 상기 제2보수재는 상기 제1보수재의 오목한 중앙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보수재는 전후 길이가 35 내지 40㎝로 형성되고, 상기 제2보수재(300)는 전후 길이가 25 내지 30㎝로 형성되되, 상기 제2보수재 배치 단계에서 상기 제2보수재는 상기 제1보수재의 중앙부에 배치됨으로써, 제1보수재의 양단부가 제2보수재의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보수재의 표면에는 하수관의 손상부 주위를 감싸도록 돌출된 융기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융기부의 높이는 1 내지 2㎜로 형성되고, 상기 융기부의 폭은 융기부 높이의 50 내지 100% 범위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의 부분보수 공법에 의하면, 고무 재질로 된 제2보수재가 하수관의 손상부 주위에 밀착되어 손상부를 밀봉하게 됨으로써 상기 손상부를 더욱 견고하게 밀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수관의 손상부로 인한 누수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의 부분보수 공법에 의하면, 하수관의 내주연이 매끄럽지 못하더라도 제2보수재가 하수관의 손상부 주위에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으며, 하수관이 폴리에틸렌(PE : polyethylene), 폴리염화비닐(PVC : Polyvinyl Chloride)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더라도 제2보수재가 하수관의 손상부 주위에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불명의 침입수(하수관에 생긴 누수로 인해 유입된 물)의 경우 라이닝만으로 지수역할을 할 수 있는 현장이 제한적이나, 본 발명의 부틸고무(제2보수재) 사용으로 침입수 차단(지수)효과가 있다.
또, 하수관 손상부 중 빈 공간(공동)이 있는 경우 얇은 두께의 라이닝만으로 손상구멍으로 인입되기 때문에 인입부위를 부틸고무(제2보수재 사용으로)가 충진하는 역할의 효과를 볼 수 있다. 특히, 콘크리트 관일 경우에는 라이닝만으로도 부착성이 우수하나, 라이닝과 동종의 합성수지(PE 계열) 연성관 등에서는 부틸고무 제2보수재를 사용할 경우 양측 간의 부착력이 양호하여 지수효과가 더욱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의 부분보수공법의 흐름도.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의 부분보수공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의 부분보수공법에 의해 보수가 완료된 하수관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의 부분보수공법에서 제2보수재의 다른 구현예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의 부분보수공법의 흐름도이고,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의 부분보수공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단면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의 부분보수공법에 의해 보수가 완료된 하수관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의 부분보수공법은, 크게 보수장치 준비 단계(S10), 제1보수재 배치 단계(S20), 제2보수재 배치 단계(S30), 보수장치 투입 단계(S40), 공기 주입 단계(S50) 및 경화 단계(S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수장치 준비 단계(S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는 패커(120)를 포함하는 보수장치(100)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보수장치(100)는 상기 선행기술(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88821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상기 패커(120)의 중앙부가 양단부에 비하여 오목하게 형성되어 장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패커(120)에 공기 주입시 패커(120)의 외주연이 균일하게 팽창하게 된다.
상기 보수장치(100)는 바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퀴(130)는 상기 선행기술에 개시된 것과 같이 중심일치수단에 의해 좌우 바퀴(1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보수재 배치 단계(S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섬유에 아크릴계 수지 및 경화제가 함침된 제1보수재(200)를 상기 보수장치(100)의 패커(120) 외주연에 감싸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상기 강화섬유를 규격에 맞추어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아크릴계 수지 및 경화제를 상기 강화섬유에 도포한 후 헤라 등의 공구로 아크릴계 수지 및 경화제를 강화섬유에 균일하게 펴 바름으로써 제1보수재(200)를 제작하는 공정과, 상기 제1보수재(200)를 상기 보수장치(100)의 패커(120) 외주연을 감싸도록 배치하는 공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강화섬유는 상기 제1보수재(200)의 보강재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유리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탄소 섬유, 알라미드 섬유, 나일론 섬유 등이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상기 제1보수재(200)에 함유되어 제1보수재(200)가 하수관(10)의 내주연에 접착될 수 있도록 제1보수재(200)에 접착력을 부여하게 된다. 상기 아크릴 수지와 상기 경화제는 2:1의 비율로 혼합되어 상기 감화섬유에 함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보수재 배치 단계(S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보수재(200)의 표면에 고무 재질로 된 제2보수재(300)를 배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2보수재(300)는 하수관(10)에서 균열이 발생하거나 파손되어 보수가 필요한 손상부(11)의 주위에 밀착되어 손상부(11)를 밀봉하게 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두께 또는 그 이상 두께의 부틸고무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1mm 이하 두께의 부틸고무 시트는 그 재료특성상 찢겨져서 부착될 우려가 많다. 상기 제2보수재(300)의 재질로서 부틸고무를 적용할 경우 그 기밀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제2보수재(300)가 제공될 수 있어서 매우 바람직하다. 실제로 본 발명의 발명자가 여러 조건에서 다수 반복된 테스트해 본 결과에 의하면, 부틸고무 시트를 사용할 경우 유연하고 끈적하게 달라붙게 되는 연성의 성질을 갖고 있어서 플라스틱 관, 특히 PE로 된 연성의 관에 보수재로 사용시에 연성 관의 누수부위 구멍 인입 부위에도 유연하게 형합되면서 충진되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어 종래에 비해 지수 표면적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지수 작업 환경에 의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부틸고무 외에 천연고무, 실리콘 고무 등 다양한 종류의 고무 재질을 제2보수재(300)로 적용하여서도 될 것이다.
상기 제2보수재(300)의 형상은 하수관(10)의 손상부(11)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상부(11)의 형상이 하수관(10)의 내주연 일측에 천공된 구멍 형태일 경우 상기 제2보수재(300)는 상기 구멍을 덮을 수 있도록 패치(patch)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손상부(11)의 형상이 하수관(10)의 내주연을 따라 연장된 균열 형태일 경우 상기 제2보수재(300)는 상기 균열을 감쌀 수 있도록 상기 제1보수재(200)의 외주연을 감싸는 원형의 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수장치 투입 단계(S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수장치(100)를 하수관(10)에 투입하여 하수관(10)의 손상부(11)에 상기 제2보수재(300)가 마주하도록 보수장치(100)를 배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공기 주입 단계(S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수장치(100)의 패커(120)에 공기를 주입하여 패커(120)를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제1보수재(200) 및 제2보수재(300)를 하수관(10)의 내주연에 밀착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경화 단계(S60)는 상기 제1보수재(200)를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상기 보수장치(100)의 패커(120)를 팽창시킨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제1보수재(200)를 2 내지 4시간 자연경화시키게 된다.
상기 경화 단계(S60)가 완료되면, 상기 보수장치(100)의 패커(120)에서 공기를 배출시킨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관(10)에서 보수장치(100)를 빼내어 보수장치(100)를 회수함으로써 본 발명의 하수관 부분보수공법이 최종 완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의 부분보수공법이 완료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보수재(300)는 경화된 상기 제1보수재(200)에 의해 하수관(10)의 손상부(11) 주위에 밀착되어 손상부(11)를 밀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보수재(30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하수관(10)의 손상부(11) 주위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상기 손상부(11)를 더욱 견고하게 밀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수관(10)의 손상부(11)로 인한 누수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의 부분보수공법에 의하면, 하수관(10)의 내주연이 매끄럽지 못하더라도 상기 제2보수재(300)가 하수관(10)의 손상부(11) 주위에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으며, 하수관(10)이 폴리에틸렌(PE : polyethylene), 폴리염화비닐(PVC : Polyvinyl Chloride)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더라도 제2보수재(300)가 하수관(10)의 손상부(11) 주위에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보수재 배치 단계(S20)에서 상기 제1보수재(200)는 상기 보수장치(100)의 패커(120)의 중앙부 및 양단부 외주연을 감싸도록 배치됨에 따라 패커(120)와 상응하는 장구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보수재 배치 단계(S30)에서 상기 제2보수재(300)는 상기 제1보수재(200)의 오목한 중앙부에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2보수재(300)의 양단이 상기 제1보수재(200)의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수공사의 완료 후 제1보수재(200)의 양단부가 하수관(10)의 내주연에 밀착되고, 이에 따라 제1보수재(200)의 양단부가 제2보수재(300)의 전방 및 후방을 차단하여 제2보수재(300)를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하수관(10)의 손상부(11)를 더욱 견고하게 밀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1보수재(200)의 양단부가 제2보수재(300)의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게 하는 구조는, 제1보수재(200) 및 제2보수재(300)의 전후 길이를 일정한 규격으로 설정하여 제1보수재(200)가 제2보수재(300)보다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게 함으로써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보수재 배치 단계(S20)에서 상기 제1보수재(200)의 전후 길이를 약 35 내지 40㎝로 형성하고, 상기 제2보수재 배치 단계(S30)에서 상기 제2보수재(300)의 전후 길이를 약 25 내지 30㎝로 형성하여 상기 제1보수재(200)의 중앙부에 배치함으로써, 제1보수재(200)의 양단부가 제2보수재(300)의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보수장치(100)의 패커(120)가 장구형상이 아닌 평탄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8을 더 참조하여 상기 제2보수재(300)의 다른 구현예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의 부분보수공법에서 제2보수재의 다른 구현예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의 부분보수공법에서 상기 제2보수재(300)의 표면에는 하수관(10)의 손상부(11) 주위를 감싸도록 돌출된 융기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융기부(310)는 상기 제2보수재(300)의 표면에 돌출 형성됨에 따라 제2보수재(300)가 하수관(10)의 내주연에 밀착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융기부(310)가 비(非)형성된 부분에 비하여 더욱 큰 압력으로 하수관(10)의 내주연에 밀착된다.
즉, 상기 융기부(310)는 상기 제2보수재(300)의 표면에 다른 부분보다 더욱 긴밀하게 하수관(10)의 내주연에 밀착되는 국부적인 장벽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하수관(10)의 손상부(11)가 더욱 견고하게 밀봉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융기부(310)는 그 높이(h)가 1 내지 2㎜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융기부(310)의 높이(h)가 1㎜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며, 2㎜를 초과하여 형성될 경우 상기 제2보수재(300)의 표면에서 융기부(310)를 제외한 부분이 하수관(10)의 내주연에 밀착되기 어려우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융기부(310)는 그 폭(w)이 융기부(310) 높이(h)의 50 내지 100%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융기부(310)의 폭(w)이 융기부(310)의 높이(h)에 대하여 50%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 융기부(310)가 상하로 기다란 단면 형상을 갖게 됨으로써 제2보수재(300)가 하수관(10)에 밀착될 때에 융기부(310)가 휘어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100%를 초과하여 형성될 경우 하수관(10)과 접촉되는 융기부(310)의 면적이 넓어져 융기부(310)가 하수관(10)에 충분히 가압 밀착되기 어려우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 균등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하수관 11 : 손상부
100 : 보수장치 110 : 프레임
120 : 패커 130 : 바퀴
200 : 제1보수재 300 : 제2보수재
310 : 융기부

Claims (6)

  1. 원통 형상의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는 패커(120)를 포함하는 보수장치(100)를 준비하는 보수장치 준비 단계(S10);
    강화섬유에 아크릴계 수지 및 경화제가 함침된 제1보수재(200)를 상기 보수장치(100)의 패커(120) 외주연에 감싸되,
    상기 강화섬유를 사이즈 규격에 맞추어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아크릴계 수지 및 경화제를 2:1 비율로 혼합하여 상기 강화섬유에 도포한 후 헤라 공구로 아크릴계 수지 및 경화제를 강화섬유에 균일하게 펴 바름으로써 제1보수재(200)를 제작하는 공정과, 상기 제1보수재(200)를 상기 보수장치(100)의 패커(120) 외주연을 감싸도록 배치하는 공정 순서로 이루어지되, 상기 강화섬유는 유리섬유를 상기 제1보수재(200)의 보강재로 사용하여 여기에 탄소 섬유, 알라미드 섬유, 나일론 섬유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서 사용하는 제1보수재 배치 단계(S20);
    상기 제1보수재(200)의 표면에 1㎜ 내지 2㎜ 두께의 부틸고무 시트로 된 제2보수재(300)를 배치하는 제2보수재 배치 단계(S30);
    상기 보수장치(100)를 하수관(10)에 투입하여 하수관(10)의 손상부(11)에 상기 제2보수재(300)가 마주하도록 보수장치(100)를 배치하는 보수장치 투입 단계(S40);
    상기 보수장치(100)의 패커(120)에 공기를 주입하여 패커(120)를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제1보수재(200) 및 제2보수재(300)를 하수관(10)의 내주연에 밀착시키는 공기 주입 단계(S50); 및
    상기 패커가 팽창된 상태에서 상기 제1보수재(200)를 2시간 내지 4시간 자연 경화시키는 경화 단계(S6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경화된 상기 제1보수재(200)에 의해 상기 제2보수재(300)가 하수관(10)의 손상부(11) 주위에 밀착되어 손상부(11)를 밀봉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수장치(100)의 패커(120)는 중앙부가 양단부에 비하여 오목하게 형성되어 장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보수재 배치 단계(S20)에서 상기 제1보수재(200)는 상기 패커(120)의 중앙부 및 양단부 외주연을 감싸도록 배치됨에 따라 패커(120)와 상응하는 장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보수재 배치 단계(S30)에서 상기 제2보수재(300)는 상기 제1보수재(200)의 오목한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부분보수공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수재(200)는 전후 길이가 35 내지 40㎝로 형성되고, 상기 제2보수재(300)는 전후 길이가 25 내지 30㎝의 부틸고무 시트로 형성되되,
    상기 제2보수재 배치 단계(S30)에서 상기 제2보수재(300)는 상기 제1보수재(200)의 중앙부에 배치됨으로써, 제1보수재(200)의 양단부가 제2보수재(300)의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부분보수공법.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수재(300)의 표면에는 하수관(10)의 손상부(11) 주위를 감싸도록 돌출된 융기부(3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부분보수공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310)의 높이는 1 내지 2㎜로 형성되고, 상기 융기부(310)의 폭은 융기부(310) 높이의 50 내지 100% 범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부분보수공법.
KR1020220046144A 2022-04-14 2022-04-14 하수관의 부분보수공법 KR102529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144A KR102529568B1 (ko) 2022-04-14 2022-04-14 하수관의 부분보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144A KR102529568B1 (ko) 2022-04-14 2022-04-14 하수관의 부분보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9568B1 true KR102529568B1 (ko) 2023-05-04

Family

ID=86379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6144A KR102529568B1 (ko) 2022-04-14 2022-04-14 하수관의 부분보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56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869Y1 (ko) * 2003-01-24 2003-05-22 주식회사 한미산기 하수관거 비굴착 보수용 감합기
KR100588821B1 (ko) 2006-01-06 2006-06-12 모악개발 주식회사 균일 팽창이 가능한 패커를 구비하는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
KR100618620B1 (ko) * 2005-08-31 2006-09-06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vc 시트를 이용한 하수관로 보수방법
KR100758722B1 (ko) * 2006-05-16 2007-09-14 주식회사 한강개발 관로 보수공법 및 그 보수구조
KR101038486B1 (ko) * 2008-09-03 2011-06-01 쌍용건설 주식회사 패커를 이용한 비굴착식 하수관로 보수 장치 및 방법
KR101293636B1 (ko) * 2012-12-31 2013-08-13 박주영 파이프 내부의 고무라이닝 방법
KR102374714B1 (ko) * 2021-04-26 2022-03-15 평원개발(주) 관로 보수 라이닝체 및 관로 보수 공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869Y1 (ko) * 2003-01-24 2003-05-22 주식회사 한미산기 하수관거 비굴착 보수용 감합기
KR100618620B1 (ko) * 2005-08-31 2006-09-06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vc 시트를 이용한 하수관로 보수방법
KR100588821B1 (ko) 2006-01-06 2006-06-12 모악개발 주식회사 균일 팽창이 가능한 패커를 구비하는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
KR100758722B1 (ko) * 2006-05-16 2007-09-14 주식회사 한강개발 관로 보수공법 및 그 보수구조
KR101038486B1 (ko) * 2008-09-03 2011-06-01 쌍용건설 주식회사 패커를 이용한 비굴착식 하수관로 보수 장치 및 방법
KR101293636B1 (ko) * 2012-12-31 2013-08-13 박주영 파이프 내부의 고무라이닝 방법
KR102374714B1 (ko) * 2021-04-26 2022-03-15 평원개발(주) 관로 보수 라이닝체 및 관로 보수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8716B2 (en) Method for rehabilitating an existing pipe
CA2547994C (en) Device and method for repairing pipe using hydrophilic seals
US86837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leaking crack repair
CA2714404C (en) Device and method for repairing pipe
US7056064B2 (en) Block unit for repairing flow passage facilities and method of repairing flow passage facilities
US9851040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repair the junction of a sewer main line and lateral pipe
KR100488670B1 (ko) 지관라이닝재및관라이닝공법
US6085794A (en) Pipe lining method
JP6144125B2 (ja) 管ライニング工法及び管ライニング管
US6217688B1 (en) Method of repairing a flanged pipe joint
KR102529568B1 (ko) 하수관의 부분보수공법
US103860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of water conduit with lateral openings
WO20190793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PIPE LENGTH OR MAIN / SIDE PIPE JUNCTION
JPH01188326A (ja) プリライナー及び管路補修工法
AU2003221369B2 (en) Block unit for repairing flow passage facilities and method of repairing flow passage facilities
US20210131603A1 (en) Pipeline Repair Assembly and Method Having Hydrophilic Containment Bands
JP4855169B2 (ja) 既設管渠の更生方法、及び既設管渠の更生用治具
KR20030042159A (ko) 매설관 보수 공법
KR102635468B1 (ko) 고압스팀리크보수유니트
KR102611649B1 (ko) 하수관로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로 보수공법
JP2016116268A (ja) クロージャの補修用部材、クロージャの補修構造体、及びクロージャの補修方法
KR100607599B1 (ko) 금형을 이용한 배관연결공법
KR100438852B1 (ko) 단차부관로보수공법
GB2344147A (en) Encasing tubular component
JP2788095B2 (ja) 流路形成体の修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