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9394B1 - 배기가스 유입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배기가스 유입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9394B1
KR102529394B1 KR1020200176199A KR20200176199A KR102529394B1 KR 102529394 B1 KR102529394 B1 KR 102529394B1 KR 1020200176199 A KR1020200176199 A KR 1020200176199A KR 20200176199 A KR20200176199 A KR 20200176199A KR 102529394 B1 KR102529394 B1 KR 102529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vehicle
gas inflow
information
inflow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6077A (ko
Inventor
김명준
박인택
연동원
김태군
양희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6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394B1/ko
Publication of KR20220086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9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for selectively commanding the induction of outside or insid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algorithms or computational models, e.g. fuzzy logic or dynamic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배기가스 유입 방지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배기가스 유입 방지 장치는, 차량의 운행에 따른 각종 센서 및 각종 제어기로부터 배기가스 유입 로직에 필요한 운전정보를 검출하는 운전정보 검출부 및 상기 운전정보 검출부를 통해 수집된 전방 물체 정보, 차량 간격, 차량 속도, 교통 정보 및 날씨 정보를 포함하는 운전정보가 상기 배기가스 유입 로직에 설정된 진입조건을 모두 충족하면 공조장치의 인테이크 도어를 외기 모드에서 내기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기가스 유입 방지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INFLOW OF EXHAUST GAS}
본 발명은 배기가스 유입 방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실내에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배기가스 유입 방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외기를 유입하거나 내기를 순환하면서 히터나 에어컨을 가동하여 실내 온도를 적정수준으로 유지시켜주는 공조 장치가 탑재된다.
차량의 주행 중 앞차에서 다량의 배기가스가 배출 시 운전자는 창문을 모두 닫더라도 공조장치의 외기 모드를 통해 배기가스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사람이 인식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미량의 배기가스는 외기와 함께 유입되어 실내 공기질을 악화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종래에는 차량의 전방에 설치된 AQS(Air quality system) 센서를 이용하여 앞차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예; Nox, CO 등)를 감지 시 내기모드로 전환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종래의 AQS 센서를 이용한 방식은 센서 추가에 따른 원가와 중량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으며, AQS 센서에서 배기가스를 감지하는 시간 동안 이미 배기가스가 실내에 유입되는 성능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앞차와의 거리정보를 활용하여 일정거리 이내이면 내기모드로 전환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차량이 아니더라도 전방에 물체가 감지되면 내기모드로 전환되고, 앞차와의 거리에 따라 잦은 내/외기 모드의 전환이 발생됨에 따른 공조장치의 제어, 내구 성능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의 주행 중 운전정보를 수집하여 전방 물체의 차량 인식 정보, 차량 간격, 차량 속도, 교통 정보 및 날씨 정보를 고려한 모든 진입조건 만족 시 내기 모드로 전환하는 배기가스 유입 방지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배기가스 유입 방지 장치는, 차량의 운행에 따른 각종 센서 및 각종 제어기로부터 배기가스 유입 로직에 필요한 운전정보를 검출하는 운전정보 검출부; 및 상기 운전정보 검출부를 통해 수집된 전방 물체 정보, 차량 간격, 차량 속도, 교통 정보 및 날씨 정보를 포함하는 운전정보가 상기 배기가스 유입 로직에 설정된 진입조건을 모두 충족하면 공조장치의 인테이크 도어를 외기 모드에서 내기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기 가스 유입 방지 장치는, 운전자의 환경설정에 따라 상기 배기가스 유입 방지 로직의 온(ON) 또는 오프(OFF)를 설정하는 USM(User Setting Mode)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SM 설정부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 환경설정화면을 제공하여 공조 설정 메뉴의 배기가스 유입 방지 로직 선택 여부에 따른 기능을 활성화(ON) 혹은 비활성화(OFF)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SM 설정부는 배기가스 유입 방지 로직 온/오프 버튼을 구비하여 운전자의 입력에 따른 기능을 활성화(ON) 혹은 비활성화(OFF)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전방 물체 정보가 차량 인식 정보이고, 상기 차량 간격이 일정거리 이하의 근접 조건, 상기 차량 속도가 일정속도 이하의 저속 조건, 상기 교통 정보가 차량 혼잡 지역 조건 및 상기 날씨 정보가 일정 레벨의 빗물 감지량이 감지된 조건을 모두 충족하면 상기 내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배기가스 유입 방지 장치의 배기가스 유입 방지 방법은, a) 차량의 외기 모드 상태에서 배기가스 유입 방지 로직의 USM 설정부가 온(ON)이면 운전정보 검출부를 통해 차량의 운행에 다른 운전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운전정보 검출부를 통해 수집된 전방 물체 정보, 차량 간격, 차량 속도, 교통 정보 및 날씨 정보를 포함하는 운전정보가 각각 상기 배기가스 유입 로직에 설정된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운전정보가 모든 배기가스 유입 방지 진입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외기 모드를 내기 모드로 전환하여 배기가스의 유입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전방 물체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 인식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 간격을 분석하여 일정거리 이하인 근접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 하는 단계; 상기 차량 속도를 분석하여 일정속도 이하인 저속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교통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 위치가 도심이나 차량 혼잡 지역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날씨 정보를 분석하여 레인 센서를 통해 감지된 빗물 감지량이 일정 레벨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운전정보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이라도 만족되지 않으면 상기 내기 모드로의 전환을 미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의 주행 중 운전정보를 수집하여 전방 물체의 차량 인식 정보, 차량 간격, 차량 속도, 교통 정보 및 날씨 정보를 고려한 배기가스 유입 상황을 미리 예측하여 내기 모드를 전환함으로써 종래 AQS 센서를 이용한 방식과 달리 사전에 원천적으로 배기가스의 실내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의 운전정보로 수집된 전방 물체의 차량 인식 정보, 차량 간격, 차량 속도, 교통 정보 및 날씨 정보의 모든 진입조건 만족 시에만 내기 모드로 전환하는 배기가스 유입 방지를 실행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잦은 내/외기 전환을 예방하고 그에 따른 공조 장치의 내구 성능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기가스 유입 방지 로직의 활성여부를 USM 설정을 통해 운전자가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배기가스 유입 방지를 선호하는 따른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외기 모드를 선호하는 고객 불만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기가스 유입 방지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기가스 유입 장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기가스 유입 방지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거나 '접속된다'고 언급되는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된다'거나 '직접 접속된다'고 언급되는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포함한다', '가진다' 등과 관련된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기가스 유입 방지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기가스 유입 방지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기가스 유입 장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기가스 유입 장치 장치(1)는 차량의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운전정보 검출부(10), USM(User Setting Mode) 설정부(20), 공조장치(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한다. 예컨대, 배기가스 유입 장치 장치(1)는 차량의 공조장치(30)를 제어하는 DATC (Dual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일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FATC(Full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에 적용될 수 있다.
차량은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mart Cruise Control, SCC/ASCC), 전방 카메라, 레이더, 서라운드뷰 카메라 및 V2X(Vehicle to Everything)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DAS)이 적용된다. 상기 카메라와 레이더는 상기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에 적용되어 전방 차량 및 거리를 인식하는 센서일 수 있으며, 그 상위 개념인 ADAS에 포함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나아가, ADAS 보다 진보된 자율주행기능이 적용된 차량일 수 있다.
운전정보 검출부(10)는 차량의 운행에 따른 각종 센서 및 각종 제어기로부터 배기가스 유입 장치 장치(1)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운전정보를 검출하여 제어부(40)로 전달한다.
예컨대, 운전정보 검출부(10)는 차량의 운행에 따른 전방 물체 정보, 차량 간격, 차량 속도, 교통 정보 및 날씨 정보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운전정보 검출부(10)는 ADAS의 카메라, SCC 및 라이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방 물체 정보가 차량인지 차량외 물체인지 인식할 수 있다.
운전정보 검출부(10)는 ADAS의 SCC를 통해 전방의 차량 간격을 검출할 수 있다.
운전정보 검출부(10)는 차속 센서를 통해 현재 차량 속도를 검출한다.
운전정보 검출부(10)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system)을 통해 현재 차량 위치가 교통량이 많은 도심지역이나 교통혼잡(서행, 지체, 정체 등 포함) 구간에 있는지 교통정보를 파악한다. 이 때, 운전정보 검출부(1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교통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운전정보 검출부(10)는 레인 센서를 통해 빗물 감지 및 그 빗물 감지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운전정보 검출부(10)는 V2X를 통해 수신된 눈이나 비가 오는 날씨정보를 수신하거나 카메라를 통해 눈이 내리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USM(User Setting Mode) 설정부(20)는 운전자의 환경설정에 따라 배기가스 유입 방지 로직(기능)의 온/오프(ON/OFF)를 설정한다.
예컨대, USM 설정부(2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 환경설정화면을 제공하여 공조 설정 메뉴, 내기 전환 및 배기가스 유입 방지 로직의 선택 여부에 따른 기능을 활성화(ON) 혹은 비활성화(OFF)할 수 있다.
또한, USM 설정부(20)는 센터페시아 등에 배기가스 유입 방지 로직 온/오프(ON/OFF) 버튼을 구비하여 운전자의 입력에 따라 해당 기능을 활성화 혹은 비활성화할 수 있다.
공조장치(30)는 인테이크 도어(INTAKE DOOR)(31), 송풍기(32) 및 에어컨(A/C)(33)을 포함한다.
인테이크 도어(31)는 공조장치(30)의 작동상태에 따라 차량의 실내에 외기를 유입시키는 외기 모드 또는 내기를 순환시키는 내기 모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고, 그 상태를 기능 버튼에 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테이크 도어(31)는 배기가스 유입 방지 로직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기 모드를 내기 모드로 자동 전환할 수 있다.
송풍기(32)는 인테이크 도어(31)를 통해 내기 혹은 외기가 유입되도록 송풍력을 발생한다. 송풍기(32)의 송풍력은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다단으로 조절될 수 있다.
에어컨(A/C)(33)는 냉매를 통해 공기를 냉각하여 차량의 실내에 차가운 공기를 공급한다. 이외에도 공조장치(30)는 히터와 디프로스터(Defroster)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차량의 배기가스 유입 방지를 위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이를 위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포함한다.
제어부(40)는 USM 설정부(20)를 통해 배기가스 유입 방지 로직이 활성화되면 운전정보 검출부(10)를 통해 차량의 운행에 따른 전방 물체 정보, 차량 간격, 차량 속도, 교통 정보 및 날씨 정보를 포함하는 운전정보를 수집한다.
제어부(40)는 차량의 외기 모드 상태에서 상기 운전정보가 상기 배기가스 유입 방지 로직에 설정된 조건을 모두 충족하면, 인테이크 도어(31)를 외기 모드에서 내기 모드로 자동 전환한다.
이를 통해, 차량 내부로 녹스(Nox), 이산화탄소(CO) 등의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방지) 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4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된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배기가스 유입 방지 방법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 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차량의 배기가스 유입 방지 방법은 아래의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기가스 유입 방지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40)는 차량의 외기 모드 상태에서 배기가스 유입 방지 로직의 USM 설정부(20)가 온(ON)이면(S2; 예), 운전정보 검출부(10)를 통해 차량의 운행에 다른 운전정보를 수집한다.
제어부(40)는 전방 물체 정보, 차량 간격, 차량 속도, 교통 정보 및 날씨 정보를 포함하는 운전정보를 분석하여 배기가스 유입 방지 진입조건을 충족하는지 판단한다(S4).
예컨대, 제어부(40)는 상기 전방 물체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 인식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S41). 이는 전방에 차량이 아닌 물체가 감지된 경우에는 배기가스가 나오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잦은 내기전환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어부(40)는 상기 차량 간격을 분석하여 일정거리(예; 3M) 이하인 근접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S42). 이는 전방에 차량이 인식되더라도 간격이 먼 경우에는 배기가스가 실내 유입될 확률이 적기 때문에 차량 간격이 근접하여 유효한 경우에만 내기 모드로의 전환을 작동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어부(40)는 상기 차량 속도를 분석하여 일정속도(예; 15km/h) 이하인 저속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S43). 이는 배기가스의 실내 유입 상황이 대부분 정체조건으로 차량 간격이 줄어들수록 배기가스의 실내 유입 확률이 높아짐을 고려한 것이다.
또한, 제어부(40)는 상기 교통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 위치가 도심이나 차량 혼잡 지역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S44). 이는 배기가스의 실내 유입 상황이 대부분 정체 혹은 신호대기로 정지 중일 때 발생하는 경향을 고려하여 차가 많은 지역(도심, 교차로 등)에서의 작동을 목표로 추가된 것이다.
또한, 제어부(40)는 상기 날씨 정보를 분석하여 빗물 감지량이 일정 레벨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45). 이는 앞차간격을 측정하는 SCC 기능이 비가오는 조건에서 정확성이 떨어지는 것을 고려하여 비오는 조건에서 로직 미진입을 위해 추가된 것이다.
그러므로, 제어부(40)는 상기 운전정보 중 어느 하나라도 해당 배기가스 유입 방지 진입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S5; 아니오), 상기 내기 모드로 전환하지 않는다(S6).
반면, 제어부(40)는 상기 운전정보가 모든 배기가스 유입 방지 진입조건을 만족하면(S5; 예), 상기 외기 모드를 자동 내기 모드로 전환하여(S7), 차량의 실내에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S8).
또한, 상기 S2 단계에서 운전자의 선택에 의해 USM 설정부(20)가 오프(OFF)된 상태이면(S2; 아니오), 상기 배기가스 유입 방지 로직을 비활성화하여 자동 내기 전환이 없도록 한다(S3).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의 주행 중 운전정보를 수집하여 전방 물체의 차량 인식 정보, 차량 간격, 차량 속도, 교통 정보 및 날씨 정보를 고려한 배기가스 유입 상황을 미리 예측하여 내기 모드를 전환함으로써 종래 AQS 센서를 이용한 방식과 달리 사전에 원천적으로 배기가스의 실내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의 운전정보로 수집된 전방 물체의 차량 인식 정보, 차량 간격, 차량 속도, 교통 정보 및 날씨 정보의 모든 진입조건 만족 시에만 내기 모드로 전환하는 배기가스 유입 방지를 실행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잦은 내/외기 전환을 예방하고 그에 따른 공조 장치의 내구 성능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기가스 유입 방지 로직의 활성여부를 USM 설정을 통해 운전자가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배기가스 유입 방지를 선호하는 따른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외기 모드를 선호하는 고객 불만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배기가스 유입 장치 장치
10: 운전정보 검출부
20: USM 설정부
30: 공조장치
31: 인테이크 도어
32: 송풍기
33: 에어컨
40: 제어부

Claims (8)

  1. 차량의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배기가스 유입 방지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운행에 따른 각종 센서 및 각종 제어기로부터 배기가스 유입 로직에 필요한 운전정보를 검출하는 운전정보 검출부; 및
    상기 운전정보 검출부를 통해 수집된 전방 물체 정보, 차량 간격, 차량 속도, 교통 정보 및 날씨 정보를 포함하는 운전정보가 상기 배기가스 유입 로직에 설정된 진입조건을 모두 충족하면 공조장치의 인테이크 도어를 외기 모드에서 내기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날씨 정보를 분석하여 빗물 감지량이 일정 레벨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지 판단하여 비가오는 조건에서는 상기 배기가스 유입 로직으로 미진입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유입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운전자의 환경설정에 따라 상기 배기가스 유입 방지 로직의 온(ON) 또는 오프(OFF)를 설정하는 USM(User Setting Mode)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배기 가스 유입 방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SM 설정부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 환경설정화면을 제공하여 공조 설정 메뉴의 배기가스 유입 방지 로직 선택 여부에 따른 기능을 활성화(ON) 혹은 비활성화(OFF) 하는 배기 가스 유입 방지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SM 설정부는
    배기가스 유입 방지 로직 온/오프(ON/OFF) 버튼을 구비하여 운전자의 입력에 따른 기능을 활성화(ON) 혹은 비활성화(OFF) 하는 배기 가스 유입 방지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전방 물체 정보가 차량 인식 정보이고, 상기 차량 간격이 일정거리 이하의 근접 조건, 상기 차량 속도가 일정속도 이하의 저속 조건, 상기 교통 정보가 차량 혼잡 지역 조건 및 상기 날씨 정보가 일정 레벨의 빗물 감지량이 감지된 조건을 모두 충족하면 상기 내기 모드로 전환하는 배기 가스 유입 방지 장치.
  6. 차량의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배기가스 유입 방지 장치의 배기가스 유입 방지 방법에 있어서,
    a) 차량의 외기 모드 상태에서 배기가스 유입 방지 로직의 USM 설정부가 온(ON)이면 운전정보 검출부를 통해 차량의 운행에 다른 운전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운전정보 검출부를 통해 수집된 전방 물체 정보, 차량 간격, 차량 속도, 교통 정보 및 날씨 정보를 포함하는 운전정보가 각각 상기 배기가스 유입 로직에 설정된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운전정보가 모든 배기가스 유입 방지 진입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외기 모드를 내기 모드로 전환하여 배기가스의 유입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는, 상기 날씨 정보를 분석하여 레인 센서를 통해 감지된 빗물 감지량이 일정 레벨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여 비가오는 조건에서는 상기 배기가스 유입 로직으로 미진입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유입 방지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전방 물체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 인식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 간격을 분석하여 일정거리 이하인 근접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 하는 단계;
    상기 차량 속도를 분석하여 일정속도 이하인 저속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교통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 위치가 도심이나 차량 혼잡 지역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 유입 방지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운전정보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이라도 만족되지 않으면 상기 내기 모드로의 전환을 미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 유입 방지 방법.
KR1020200176199A 2020-12-16 2020-12-16 배기가스 유입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2529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199A KR102529394B1 (ko) 2020-12-16 2020-12-16 배기가스 유입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199A KR102529394B1 (ko) 2020-12-16 2020-12-16 배기가스 유입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077A KR20220086077A (ko) 2022-06-23
KR102529394B1 true KR102529394B1 (ko) 2023-05-04

Family

ID=82221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199A KR102529394B1 (ko) 2020-12-16 2020-12-16 배기가스 유입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394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061B1 (ko) * 2016-01-07 2018-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보조 장치 및 차량
KR20180058482A (ko) * 2016-11-24 2018-06-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실내 유해물질 제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077A (ko)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7846B2 (en) Auto-isolate vehicular climate system
US7997090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method of operation thereof, and vehicle using the same
KR20170048789A (ko) 차량용 미세먼지 자동 제거 장치
US1138358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EP3163551A1 (en) System for distinguishing between traffic jam and parked vehicles
JP2008213763A (ja) 車両用換気システム
US11891849B2 (en) Apparatus and control unit for automating a state change of a window pane of a vehicle
US7800486B2 (en) Driving operation feedback apparatus and program for same
US10696143B2 (en) Apparatus of improving vehicle indoor air quality by using air dust concentration data corrected from the outside of vehicle and purifying vehicle indoor air
JP2015158451A (ja) 気象観測システム
JPH04201712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6137818A (ja) 車室内空気向上システム
KR101826544B1 (ko) 터널 통과 시 차량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US10981506B2 (en) Display system, vehicle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program
KR20170100958A (ko) 차량용 제스처 인식 인터페이스 장치
KR102529394B1 (ko) 배기가스 유입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US11345288B2 (en) Display system, vehicle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program
JP2003072353A (ja) 車両用空調装置
US20200164801A1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program
KR20220028990A (ko) 터널 연동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0967707B2 (en)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s
CN112124071B (zh) 车辆的酒驾检测系统、方法和车辆
KR20170022340A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차량의 오염공기 차단 방법
JP2002029246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511515B1 (ko) 차량 윈도우의 디포깅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