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9303B1 - 지중배선 케이블 보호관 - Google Patents

지중배선 케이블 보호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9303B1
KR102529303B1 KR1020220053074A KR20220053074A KR102529303B1 KR 102529303 B1 KR102529303 B1 KR 102529303B1 KR 1020220053074 A KR1020220053074 A KR 1020220053074A KR 20220053074 A KR20220053074 A KR 20220053074A KR 102529303 B1 KR102529303 B1 KR 102529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rotector
right triangle
protector
triangle cabl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3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계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희승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희승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희승이엔지
Priority to KR1020220053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3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02G9/065Longitudinally split tubes or cond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2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7/00Supporting of pipes or cables inside other pipes or sleeves, e.g. for enabling pipes or cables to be inserted or withdrawn from under roads or railways without interruption of traffic
    • F16L7/02Supporting of pipes or cables inside other pipes or sleeves, e.g. for enabling pipes or cables to be inserted or withdrawn from under roads or railways without interruption of traffic and sealing the pipes or cables inside the other pipes, cables or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60)에 매립설치되는 케이블(50)을 보호하는 케이블 보호관에 있어서, 정면이 "+"자형상을 이루고 길이방향으로 수평연장되는 판체로, 좌우측수평판(11,12)과 상하부수직판(13,14)이 각각 형성되어 케이블(50)을 좌우측과 상하부로 각각 구별되게 배치하고 구분시키는 "+"형트레이(10); 정면에서 볼때 일측면(21)과 타측면(22)이 만나 직각을 이루는 직각부(23)가 좌측하단에 위치된 합성수지 재질의 직각삼각형상인 수평지지대로, 좌측상단은 상기 "+"형트레이(10)의 좌측수평판(11) 좌측단과 밀착되고, 우측하단은 상기 하부수직판(14) 하단과 밀착되며, 좌측상단과 우측하단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면(24)이 형성되고, 경사면(24) 내측 일정깊이에는 길이방향 일정간격으로 철재인 다수개의 사면보강봉(24a)이 각각 형성되며, 다수개 사면보강봉(24a)의 중간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수평연장되어 다수개 사면보강봉(24a)을 중심부에서 한몸으로 용접연결하는 철재인 중심보강연결봉(24b)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면(21) 전후방측 중심부에 일측면전후방체결홀(21a,21b)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타측면(22) 전후방측 중심부에 타측면전후방체결홀(22a,22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 사면보강봉(24a) 중 전후방측 사면보강봉(24a) 상단에서 외측으로 수평되게 돌출되는 일측면앵커볼트(24aa,24ac,24ae,24ag)가 각각 돌출형성되며, 상기 다수개 사면보강봉(24a) 중 전후방측 사면보강봉(24a) 하단에서 외측으로 수직되게 돌출되는 타측면앵커볼트(24ab,24ad,24af,24ah)가 각각 돌출형성되는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 상기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와 동일한 형상과 모양을 갖고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과 수직선을 기준으로 우측에 대칭되게 위치되는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 상기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와 동일한 형상과 모양을 갖고 상기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와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부에 대칭되게 위치되는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 상기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와 동일한 형상과 모양을 갖고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과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부에 대칭되게 위치되는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 직사각형상인 고무재질의 판체로 상기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의 타측면앵커볼트(24ab,24ad,24af,24ah)와 인접되어 수직방향 대칭된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의 일측면앵커볼트(24aa,24ac,24ae,24ag) 및 상기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의 타측면앵커볼트(24ab,24ad,24af,24ah)와 인접되어수평방향 대칭된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의 일측면앵커볼트(24aa,24ac,24ae,24ag) 및 상기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의 타측면면앵커볼트(24ab,24ad,24af,24ah)와 인접되어 수직방향 대칭된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의 일측면앵커볼트(24aa,24ac,24ae,24ag) 및 상기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의 타측면앵커볼트(24ab,24ad,24af,24ah)와 인접되어 수평방향 대칭된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의 일측면앵커볼트(24aa,24ac,24ae,24ag) 의 연장선상에 통공형성된 다수개의 관통공(31a)을 갖는 밀폐장판(3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밀폐장판(31)과 동일크기의 합성수지 재질의 판체로 상기 밀폐장판(31) 외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다수개 관통공(31a) 연장선상에 다수개 고정공(32a)이 통공형성되며 관통공(31a)과 고정공(32a)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의 타측면앵커볼트(24ab,24ad,24af,24ah)와 인접되어 수직방향 대칭된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의 일측면앵커볼트(24aa,24ac,24ae,24ag) 및 상기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의 타측면앵커볼트(24ab,24ad,24af,24ah)와 인접되어수평방향 대칭된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의 일측면앵커볼트(24aa,24ac,24ae,24ag) 및 상기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의 타측면면앵커볼트(24ab,24ad,24af,24ah)와 인접되어 수직방향 대칭된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의 일측면앵커볼트(24aa,24ac,24ae,24ag) 및 상기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의 타측면앵커볼트(24ab,24ad,24af,24ah)와 인접되어 수평방향 대칭된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의 일측면앵커볼트(24aa,24ac,24ae,24ag)에 각각 체결고정되는 다수개의 고정너트(32b)를 갖는 고정장판(32)이 각각 형성되는 다수개의 보호대체결구(30,30a,30b,30c); 정면하부에서 일측면(41)과 타측면(42)이 만나 직각을 이루는 직각삼각형상의 프레임으로, 상기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 타측면(22) 및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 일측면(21)과 맞닿는 내측면(43)의 중심측에는 내측으로 요부형성되어 상기 보호대체결구(30)가 위치되는 체결구요부(43a)가 형성되고, 내측중심부에는 중량을 줄이기 위한 중공부(43b)가 형성되며, 일측면(41)에는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 타측면(22)의 타측면전후방체결홀(22a,22b) 연장선상에 일측면체결장볼트(41aa,41ba)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일측면장볼트공(41a,41b)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면(42)에는 상기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 일측면(21)의 일측면전후방체결홀(21a,21b) 연장선상에 타측면체결장볼트(42aa,42ba)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타측면장볼트공(42a,42b)이 각각 형성되는 하측외부케이블보호대(40); 상기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와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 좌측단에 수직기립되어 밀착고정되는 상기 하측외부케이블보호대(40)와 동일한 케이블보호대로, 정면좌측에서 일측면(41)과 타측면(42)이 만나 직각을 이루는 직각삼각형상을 이루며, 상기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 타측면(22) 및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 일측면(21)과 맞닿는 내측면(43)의 중심측에는 내측으로 요부형성되어 상기 보호대체결구(30c)가 위치되는 체결구요부(43a)가 형성되고, 내측중심부에는 중량을 줄이기 위한 중공부(43b)가 형성되며, 일측면(41)에는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 타측면(22)의 타측면전후방체결홀(22a,22b) 연장선상에 일측면체결장볼트(41aa,41ba)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일측면장볼트공(41a,41b)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면(42)에는 상기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 일측면(21)의 일측면전후방체결홀(21a,21b) 연장선상에 타측면체결장볼트(42aa,42ba)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타측면장볼트공(42a,42b)이 각각 형성되며, 타측면(42) 하단에서 측면연장선상으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하측외부케이블보호대(40) 일측면(41) 선단부를 커버하여 내부로의 수분침투를 방지하는 하단기와돌출부(44)가 더 형성되는 좌측외부케이블보호대(40a); 상기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와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 우측단에 수직기립되어 밀착고정되는 상기 하측외부케이블보호대(40)와 동일한 케이블보호대로, 정면우측에서 일측면(41)과 타측면(42)이 만나 직각을 이루는 직각삼각형상을 이루며, 상기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 일측면(21) 및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 타측면(22)과 맞닿는 내측면(43)의 중심측에는 내측으로 요부형성되어 상기 보호대체결구(30a)가 위치되는 체결구요부(43a)가 형성되고, 내측중심부에는 중량을 줄이기 위한 중공부(43b)가 형성되며, 일측면(41)에는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 타측면(22)의 타측면전후방체결홀(22a,22b) 연장선상에 일측면체결장볼트(41aa,41ba)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일측면장볼트공(41a,41b)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면(42)에는 상기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 일측면(21)의 일측면전후방체결홀(21a,21b) 연장선상에 타측면체결장볼트(42aa,42ba)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타측면장볼트공(42a,42b)이 각각 형성되며, 일측면(41) 하단에서 측면연장선상으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하측외부케이블보호대(40) 타측면(42) 선단부를 커버하여 내부로의 수분침투를 방지하는 하단기와돌출부(44)가 더 형성되는 우측외부케이블보호대(40b); 및 상기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와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 상단에 밀착고정되는 상기 하측외부케이블보호대(40)와 동일한 케이블보호대로, 정면상측에서 일측면(41)과 타측면(42)이 만나 직각을 이루는 직각삼각형상을 이루며, 상기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 일측면(21) 및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 타측면(22)과 맞닿는 내측면(43)의 중심측에는 내측으로 요부형성되어 상기 보호대체결구(30b)가 위치되는 체결구요부(43a)가 형성되고, 내측중심부에는 중량을 줄이기 위한 중공부(43b)가 형성되며, 일측면(41)에는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 타측면(22)의 타측면전후방체결홀(22a,22b) 연장선상에 일측면체결장볼트(41aa,41ba)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일측면장볼트공(41a,41b)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면(42)에는 상기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 일측면(21)의 일측면전후방체결홀(21a,21b) 연장선상에 타측면체결장볼트(42aa,42ba)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타측면장볼트공(42a,42b)이 각각 형성되며, 일측면(41) 하단에서 측면연장선상으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우측외부케이블보호대(40b) 타측면(42) 선단부를 커버하여 내부로의 수분침투를 방지하는 우측하단기와돌출부(44a)가 더 형성되고, 타측면(42) 하단에서 측면연장선상으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좌측외부케이블보호대(40a) 일측면(41) 선단부를 커버하여 내부로의 수분침투를 방지하는 좌측하단기와돌출부(44b)가 더 형성되는 상측외부케이블보호대(40c)을 구비하는 지중배선 케이블 보호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케이블을 구획 분리하는 "+"형트레이와 구획분리된 케이블을 좌측상하부와 우측상하부에서 밀착되어 공간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보호대체결구로 수밀되게 밀폐고정시켜 수분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그 외측을 상하측외부케이블보호대와 좌우측외부케이블보호대로 지중에서 다시 한번 완강히 보호하여 도로 공사중 굴삭기의 버킷에 의해 지중 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구성이 단순하게 이루어지고 부품수가 적으면서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시공시간 및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중배선 케이블 보호관{Underground wiring cable protection system}
본 발명은 지중배선 케이블 보호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을 구획 분리하는 "+"형트레이와 구획분리된 케이블을 좌측상하부와 우측상하부에서 밀착되어 공간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보호대체결구로 수밀되게 밀폐고정시켜 수분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그 외측을 상하측외부케이블보호대와 좌우측외부케이블보호대로 지중에서 다시 한번 완강히 보호하여 도로 공사중 굴삭기의 버킷에 의해 지중 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구성이 단순하게 이루어지고 부품수가 적으면서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시공시간 및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지중배선 케이블 보호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상업 및, 공업단지의 지중에는 지중선로로서, 송배전 전선이 수용된 전선관, 가스배관, 상하 수도관 등이 매설되어 있다. 이런 지중선로를 지중에 매설하는 이유는 안전성 및 단열성 때문이며, 지중에 장시간 동안 매설된 지중선로는 자체 노후에 의한 파손 및 침투수에 의해 부식되어 일정 시간이 지나면 보수하여야 한다. 또한, 이런 노후 및 부식 등의 원인 외에도 증설 등의 이유에서 보수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지중선로를 보수 및 교체하기 위해서는 지중선로가 매설된 지면을 굴착하여 지중선로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후에 보수 및 교체작업을 수행한다.
통상적으로 굴착작업은 굴착기를 이용하여 빠르고 쉽게 수행하는데, 굴착기에 설치된 버킷으로 지면을 굴착한다.
이렇게 굴착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굴착기의 운전자는 지중에 매설된 지중선로를 볼 수 없기 때문에 운전자의 감각으로 굴착작업을 수행한다. 운전자는 버킷이 지중선로에 닿는 충격을 감지하면 버킷을 이동시켜 버킷이 지중선로에 닿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굴착작업을 진행한다.
그러나, 운전자가 지중선로의 위치를 알지 못한 상태에서 굴착작업을 수행하다 보면 굴착기의 버킷이 과도하게 지중선로를 가압하여 지중선로를 파괴시키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또한 운전자는 지중선로의 매설위치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지중선로를 따라 정확한 굴착위치를 설정하기 어려워 수시로 굴착진행방향을 수정하면서 굴착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 지중선로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판이 설치되는 경우가 있으나, 이러한 보호판은 단지 지중선로 위에 놓여져 지중선로 버켓이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보호판은 버킷이 보호판 바로 위의 흙을 파내더라도 보호판의 존재 유무를 알지 못해 버킷이 보호판과 같이 지중선로를 파손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렇게 굴착기의 버킷이 보호판을 파손시키면 보호판 전체를 버리고 다른 보호판을 공사가 끝난 후 설치하여야 하므로 자원의 낭비가 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방사형으로 형성된 4개의 날개편(11)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4개의 날개편들 사이에 케이블 안착홈(12)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 안착홈에 케이블(1)을 각각 분리 수용하는 탄성체의 케이블 지지대(10)와; 반원형 단면이면서 상기 케이블 지지대의 케이블 안착홈 중 하부측 2개의 케이블 안착홈에 안착된 케이블이 수용되는 케이블 받침홈(21)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 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 지지대를 지지하는 탄성의 받침대(20)와; 반원형 단면이면서 상기 케이블 지지대의 케이블 안착홈 중 상부측 2개의 케이블 안착홈에 안착된 케이블을 덮는 케이블 커버홈(31)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와 상하 대칭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케이블 지지대의 상부를 덮고 다수의 체결구(32)를 통해 상기 받침대에 고정되어 상기 받침대와 함께 원형을 형성하면서 상기 케이블을 보호하는 탄성의 덮개(30)와; 상기 받침대와 덮개의 둘레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굴삭기의 버킷(1)을 포함하는 외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케이블을 보호하는 회전유도관(40)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유도관은, 상기 받침대와 덮개의 둘레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베어링(42), 상기 베어링의 둘레부에 연결대(42)를 통해 연결되며 내부에 유색의 표시용 분말(41)이 충진된 원형의 보호링(44)으로 이루어져, 다수개가 상기 받침대와 덮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배전 지중 케이블 보호관."이 특허등록 제10-0942724호(2010.02.16.공고)로 개시된바 있었다.
이런 종래의 지중 케이블 보호관은, 도로 공사 등으로 인하여 굴삭기로 공사를 하는 경우 굴삭기의 버킷이 지중에 매설된 케이블(1)에 직접 닿지 않아 케이블(1)을 보호할 수 있는 반면에, 케이블(1)을 외부에서 보호하는 회전유도관(40)과 인접된 회전유도관(40)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어 수분이 받침대(20)와 덮개(30)를 통해 케이블(1) 측으로 유입될 우려가 많은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KR)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42724호(2010.02.16.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블을 구획 분리하는 "+"형트레이와 구획분리된 케이블을 좌측상하부와 우측상하부에서 밀착되어 공간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보호대체결구로 수밀되게 밀폐고정시켜 수분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그 외측을 상하측외부케이블보호대와 좌우측외부케이블보호대로 지중에서 다시 한번 완강히 보호하여 도로 공사중 굴삭기의 버킷에 의해 지중 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구성이 단순하게 이루어지고 부품수가 적으면서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시공시간 및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지중배선 케이블 보호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중(60)에 매립설치되는 케이블(50)을 보호하는 케이블 보호관에 있어서,
정면이 "+"자형상을 이루고 길이방향으로 수평연장되는 판체로, 좌우측수평판(11,12)과 상하부수직판(13,14)이 각각 형성되어 케이블(50)을 좌우측과 상하부로 각각 구별되게 배치하고 구분시키는 "+"형트레이(10);
정면에서 볼때 일측면(21)과 타측면(22)이 만나 직각을 이루는 직각부(23)가 좌측하단에 위치된 합성수지 재질의 직각삼각형상인 수평지지대로, 좌측상단은 상기 "+"형트레이(10)의 좌측수평판(11) 좌측단과 밀착되고, 우측하단은 상기 하부수직판(14) 하단과 밀착되며, 좌측상단과 우측하단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면(24)이 형성되고, 경사면(24) 내측 일정깊이에는 길이방향 일정간격으로 철재인 다수개의 사면보강봉(24a)이 각각 형성되며, 다수개 사면보강봉(24a)의 중간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수평연장되어 다수개 사면보강봉(24a)을 중심부에서 한몸으로 용접연결하는 철재인 중심보강연결봉(24b)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면(21) 전후방측 중심부에 일측면전후방체결홀(21a,21b)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타측면(22) 전후방측 중심부에 타측면전후방체결홀(22a,22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 사면보강봉(24a) 중 전후방측 사면보강봉(24a) 상단에서 외측으로 수평되게 돌출되는 일측면앵커볼트(24aa,24ac,24ae,24ag)가 각각 돌출형성되며, 상기 다수개 사면보강봉(24a) 중 전후방측 사면보강봉(24a) 하단에서 외측으로 수직되게 돌출되는 타측면앵커볼트(24ab,24ad,24af,24ah)가 각각 돌출형성되는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
상기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와 동일한 형상과 모양을 갖고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과 수직선을 기준으로 우측에 대칭되게 위치되는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
상기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와 동일한 형상과 모양을 갖고 상기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와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부에 대칭되게 위치되는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
상기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와 동일한 형상과 모양을 갖고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과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부에 대칭되게 위치되는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
직사각형상인 고무재질의 판체로 상기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의 타측면앵커볼트(24ab,24ad,24af,24ah)와 인접되어 수직방향 대칭된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의 일측면앵커볼트(24aa,24ac,24ae,24ag) 및 상기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의 타측면앵커볼트(24ab,24ad,24af,24ah)와 인접되어수평방향 대칭된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의 일측면앵커볼트(24aa,24ac,24ae,24ag) 및 상기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의 타측면면앵커볼트(24ab,24ad,24af,24ah)와 인접되어 수직방향 대칭된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의 일측면앵커볼트(24aa,24ac,24ae,24ag) 및 상기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의 타측면앵커볼트(24ab,24ad,24af,24ah)와 인접되어 수평방향 대칭된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의 일측면앵커볼트(24aa,24ac,24ae,24ag) 의 연장선상에 통공형성된 다수개의 관통공(31a)을 갖는 밀폐장판(3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밀폐장판(31)과 동일크기의 합성수지 재질의 판체로 상기 밀폐장판(31) 외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다수개 관통공(31a) 연장선상에 다수개 고정공(32a)이 통공형성되며 관통공(31a)과 고정공(32a)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의 타측면앵커볼트(24ab,24ad,24af,24ah)와 인접되어 수직방향 대칭된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의 일측면앵커볼트(24aa,24ac,24ae,24ag) 및 상기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의 타측면앵커볼트(24ab,24ad,24af,24ah)와 인접되어수평방향 대칭된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의 일측면앵커볼트(24aa,24ac,24ae,24ag) 및 상기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의 타측면면앵커볼트(24ab,24ad,24af,24ah)와 인접되어 수직방향 대칭된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의 일측면앵커볼트(24aa,24ac,24ae,24ag) 및 상기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의 타측면앵커볼트(24ab,24ad,24af,24ah)와 인접되어 수평방향 대칭된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의 일측면앵커볼트(24aa,24ac,24ae,24ag)에 각각 체결고정되는 다수개의 고정너트(32b)를 갖는 고정장판(32)이 각각 형성되는 다수개의 보호대체결구(30,30a,30b,30c);
정면하부에서 일측면(41)과 타측면(42)이 만나 직각을 이루는 직각삼각형상의 프레임으로, 상기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 타측면(22) 및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 일측면(21)과 맞닿는 내측면(43)의 중심측에는 내측으로 요부형성되어 상기 보호대체결구(30)가 위치되는 체결구요부(43a)가 형성되고, 내측중심부에는 중량을 줄이기 위한 중공부(43b)가 형성되며, 일측면(41)에는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 타측면(22)의 타측면전후방체결홀(22a,22b) 연장선상에 일측면체결장볼트(41aa,41ba)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일측면장볼트공(41a,41b)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면(42)에는 상기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 일측면(21)의 일측면전후방체결홀(21a,21b) 연장선상에 타측면체결장볼트(42aa,42ba)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타측면장볼트공(42a,42b)이 각각 형성되는 하측외부케이블보호대(40);
상기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와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 좌측단에 수직기립되어 밀착고정되는 상기 하측외부케이블보호대(40)와 동일한 케이블보호대로, 정면좌측에서 일측면(41)과 타측면(42)이 만나 직각을 이루는 직각삼각형상을 이루며, 상기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 타측면(22) 및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 일측면(21)과 맞닿는 내측면(43)의 중심측에는 내측으로 요부형성되어 상기 보호대체결구(30c)가 위치되는 체결구요부(43a)가 형성되고, 내측중심부에는 중량을 줄이기 위한 중공부(43b)가 형성되며, 일측면(41)에는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 타측면(22)의 타측면전후방체결홀(22a,22b) 연장선상에 일측면체결장볼트(41aa,41ba)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일측면장볼트공(41a,41b)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면(42)에는 상기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 일측면(21)의 일측면전후방체결홀(21a,21b) 연장선상에 타측면체결장볼트(42aa,42ba)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타측면장볼트공(42a,42b)이 각각 형성되며, 타측면(42) 하단에서 측면연장선상으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하측외부케이블보호대(40) 일측면(41) 선단부를 커버하여 내부로의 수분침투를 방지하는 하단기와돌출부(44)가 더 형성되는 좌측외부케이블보호대(40a);
상기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와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 우측단에 수직기립되어 밀착고정되는 상기 하측외부케이블보호대(40)와 동일한 케이블보호대로, 정면우측에서 일측면(41)과 타측면(42)이 만나 직각을 이루는 직각삼각형상을 이루며, 상기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 일측면(21) 및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 타측면(22)과 맞닿는 내측면(43)의 중심측에는 내측으로 요부형성되어 상기 보호대체결구(30a)가 위치되는 체결구요부(43a)가 형성되고, 내측중심부에는 중량을 줄이기 위한 중공부(43b)가 형성되며, 일측면(41)에는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 타측면(22)의 타측면전후방체결홀(22a,22b) 연장선상에 일측면체결장볼트(41aa,41ba)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일측면장볼트공(41a,41b)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면(42)에는 상기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 일측면(21)의 일측면전후방체결홀(21a,21b) 연장선상에 타측면체결장볼트(42aa,42ba)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타측면장볼트공(42a,42b)이 각각 형성되며, 일측면(41) 하단에서 측면연장선상으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하측외부케이블보호대(40) 타측면(42) 선단부를 커버하여 내부로의 수분침투를 방지하는 하단기와돌출부(44)가 더 형성되는 우측외부케이블보호대(40b); 및
상기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와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 상단에 밀착고정되는 상기 하측외부케이블보호대(40)와 동일한 케이블보호대로, 정면상측에서 일측면(41)과 타측면(42)이 만나 직각을 이루는 직각삼각형상을 이루며, 상기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 일측면(21) 및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 타측면(22)과 맞닿는 내측면(43)의 중심측에는 내측으로 요부형성되어 상기 보호대체결구(30b)가 위치되는 체결구요부(43a)가 형성되고, 내측중심부에는 중량을 줄이기 위한 중공부(43b)가 형성되며, 일측면(41)에는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 타측면(22)의 타측면전후방체결홀(22a,22b) 연장선상에 일측면체결장볼트(41aa,41ba)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일측면장볼트공(41a,41b)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면(42)에는 상기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 일측면(21)의 일측면전후방체결홀(21a,21b) 연장선상에 타측면체결장볼트(42aa,42ba)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타측면장볼트공(42a,42b)이 각각 형성되며, 일측면(41) 하단에서 측면연장선상으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우측외부케이블보호대(40b) 타측면(42) 선단부를 커버하여 내부로의 수분침투를 방지하는 우측하단기와돌출부(44a)가 더 형성되고, 타측면(42) 하단에서 측면연장선상으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좌측외부케이블보호대(40a) 일측면(41) 선단부를 커버하여 내부로의 수분침투를 방지하는 좌측하단기와돌출부(44b)가 더 형성되는 상측외부케이블보호대(40c)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블을 구획 분리하는 "+"형트레이와 구획분리된 케이블을 좌측상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와 우측상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에 의해 밀착되어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보호대체결구로 수밀되게 밀폐고정시켜 수분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그 외측을 상하측외부케이블보호대와 좌우측외부케이블보호대로 지중에서 다시 한번 완강히 보호하여 도로 공사중 굴삭기의 버킷에 의해 지중 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구성이 단순하게 이루어지고 부품수가 적으면서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시공시간 및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지중배선 케이블 보호관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지중배선 케이블 보호관의 시공시 체결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지중배선 케이블 보호관의 체결모습을 보인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지중배선 케이블 보호관의 시공모습을 보인 요부절취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지중배선 케이블 보호관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 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지중배선 케이블 보호관은, 지중(60)에 매립설치되는 케이블(50)을 보호하는 것으로, "+"형트레이(10)와,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와,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와,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와,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와, 보호대체결구(30,30a,30b,30c)와, 하측외부케이블보호대(40)와, 좌측외부케이블보호대(40a)와, 우측외부케이블보호대(40b)와, 상측외부케이블보호대(40c)로 구성된다.
상기 "+"형트레이(10)는, 정면이 "+"자형상을 이루고 길이방향으로 수평연장되는 판체로, 좌우측수평판(11,12)과 상하부수직판(13,14)이 각각 형성되어 케이블(50)을 좌우측과 상하부로 각각 구별되게 배치하고 구분시킨다.
상기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는, 정면에서 볼때 일측면(21)과 타측면(22)이 만나 직각을 이루는 직각부(23)가 좌측하단에 위치된 합성수지 재질의 직각삼각형상인 수평지지대로, 좌측상단은 상기 "+"형트레이(10)의 좌측수평판(11) 좌측단과 밀착되고, 우측하단은 상기 하부수직판(14) 하단과 밀착되며, 좌측상단과 우측하단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면(24)이 형성되고, 경사면(24) 내측 일정깊이에는 길이방향 일정간격으로 철재인 다수개의 사면보강봉(24a)이 각각 형성되며, 다수개 사면보강봉(24a)의 중간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수평연장되어 다수개 사면보강봉(24a)을 중심부에서 한몸으로 용접연결하는 철재인 중심보강연결봉(24b)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면(21) 전후방측 중심부에 일측면전후방체결홀(21a,21b)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타측면(22) 전후방측 중심부에 타측면전후방체결홀(22a,22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 사면보강봉(24a) 중 전후방측 사면보강봉(24a) 상단에서 외측으로 수평되게 돌출되는 일측면앵커볼트(24aa,24ac,24ae,24ag)가 각각 돌출형성되며, 상기 다수개 사면보강봉(24a) 중 전후방측 사면보강봉(24a) 하단에서 외측으로 수직되게 돌출되는 타측면앵커볼트(24ab,24ad,24af,24ah)가 각각 돌출형성된다.
상기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는, 상기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와 동일한 형상과 모양을 갖고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과 수직선을 기준으로 우측에 대칭되게 위치된다.
상기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는, 상기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와 동일한 형상과 모양을 갖고 상기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와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부에 대칭되게 위치된다.
상기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는, 상기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와 동일한 형상과 모양을 갖고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과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부에 대칭되게 위치된다.
상기 보호대체결구(30,30a,30b,30c)는, 직사각형상인 고무재질의 판체로 상기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의 타측면앵커볼트(24ab,24ad,24af,24ah)와 인접되어 수직방향 대칭된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의 일측면앵커볼트(24aa,24ac,24ae,24ag) 및 상기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의 타측면앵커볼트(24ab,24ad,24af,24ah)와 인접되어수평방향 대칭된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의 일측면앵커볼트(24aa,24ac,24ae,24ag) 및 상기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의 타측면면앵커볼트(24ab,24ad,24af,24ah)와 인접되어 수직방향 대칭된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의 일측면앵커볼트(24aa,24ac,24ae,24ag) 및 상기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의 타측면앵커볼트(24ab,24ad,24af,24ah)와 인접되어 수평방향 대칭된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의 일측면앵커볼트(24aa,24ac,24ae,24ag) 의 연장선상에 통공형성된 다수개의 관통공(31a)을 갖는 밀폐장판(3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밀폐장판(31)과 동일크기의 합성수지 재질의 판체로 상기 밀폐장판(31) 외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다수개 관통공(31a) 연장선상에 다수개 고정공(32a)이 통공형성되며 관통공(31a)과 고정공(32a)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의 타측면앵커볼트(24ab,24ad,24af,24ah)와 인접되어 수직방향 대칭된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의 일측면앵커볼트(24aa,24ac,24ae,24ag) 및 상기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의 타측면앵커볼트(24ab,24ad,24af,24ah)와 인접되어수평방향 대칭된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의 일측면앵커볼트(24aa,24ac,24ae,24ag) 및 상기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의 타측면면앵커볼트(24ab,24ad,24af,24ah)와 인접되어 수직방향 대칭된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의 일측면앵커볼트(24aa,24ac,24ae,24ag) 및 상기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의 타측면앵커볼트(24ab,24ad,24af,24ah)와 인접되어 수평방향 대칭된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의 일측면앵커볼트(24aa,24ac,24ae,24ag)에 각각 체결고정되는 다수개의 고정너트(32b)를 갖는 고정장판(32)이 각각 형성되는 다수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측외부케이블보호대(40)는, 정면하부에서 일측면(41)과 타측면(42)이 만나 직각을 이루는 직각삼각형상의 프레임으로, 상기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 타측면(22) 및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 일측면(21)과 맞닿는 내측면(43)의 중심측에는 내측으로 요부형성되어 상기 보호대체결구(30)가 위치되는 체결구요부(43a)가 형성되고, 내측중심부에는 중량을 줄이기 위한 중공부(43b)가 형성되며, 일측면(41)에는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 타측면(22)의 타측면전후방체결홀(22a,22b) 연장선상에 일측면체결장볼트(41aa,41ba)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일측면장볼트공(41a,41b)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면(42)에는 상기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 일측면(21)의 일측면전후방체결홀(21a,21b) 연장선상에 타측면체결장볼트(42aa,42ba)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타측면장볼트공(42a,42b)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좌측외부케이블보호대(40a)는, 상기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와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 좌측단에 수직기립되어 밀착고정되는 상기 하측외부케이블보호대(40)와 동일한 케이블보호대로, 정면좌측에서 일측면(41)과 타측면(42)이 만나 직각을 이루는 직각삼각형상을 이루며, 상기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 타측면(22) 및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 일측면(21)과 맞닿는 내측면(43)의 중심측에는 내측으로 요부형성되어 상기 보호대체결구(30c)가 위치되는 체결구요부(43a)가 형성되고, 내측중심부에는 중량을 줄이기 위한 중공부(43b)가 형성되며, 일측면(41)에는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 타측면(22)의 타측면전후방체결홀(22a,22b) 연장선상에 일측면체결장볼트(41aa,41ba)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일측면장볼트공(41a,41b)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면(42)에는 상기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 일측면(21)의 일측면전후방체결홀(21a,21b) 연장선상에 타측면체결장볼트(42aa,42ba)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타측면장볼트공(42a,42b)이 각각 형성되며, 타측면(42) 하단에서 측면연장선상으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하측외부케이블보호대(40) 일측면(41) 선단부를 커버하여 내부로의 수분침투를 방지하는 하단기와돌출부(44)가 더 형성된다.
상기 우측외부케이블보호대(40b)는, 상기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와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 우측단에 수직기립되어 밀착고정되는 상기 하측외부케이블보호대(40)와 동일한 케이블보호대로, 정면우측에서 일측면(41)과 타측면(42)이 만나 직각을 이루는 직각삼각형상을 이루며, 상기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 일측면(21) 및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 타측면(22)과 맞닿는 내측면(43)의 중심측에는 내측으로 요부형성되어 상기 보호대체결구(30a)가 위치되는 체결구요부(43a)가 형성되고, 내측중심부에는 중량을 줄이기 위한 중공부(43b)가 형성되며, 일측면(41)에는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 타측면(22)의 타측면전후방체결홀(22a,22b) 연장선상에 일측면체결장볼트(41aa,41ba)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일측면장볼트공(41a,41b)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면(42)에는 상기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 일측면(21)의 일측면전후방체결홀(21a,21b) 연장선상에 타측면체결장볼트(42aa,42ba)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타측면장볼트공(42a,42b)이 각각 형성되며, 일측면(41) 하단에서 측면연장선상으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하측외부케이블보호대(40) 타측면(42) 선단부를 커버하여 내부로의 수분침투를 방지하는 하단기와돌출부(44)가 더 형성된다.
상기 상측외부케이블보호대(40c)는, 상기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와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 상단에 밀착고정되는 상기 하측외부케이블보호대(40)와 동일한 케이블보호대로, 정면상측에서 일측면(41)과 타측면(42)이 만나 직각을 이루는 직각삼각형상을 이루며, 상기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 일측면(21) 및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 타측면(22)과 맞닿는 내측면(43)의 중심측에는 내측으로 요부형성되어 상기 보호대체결구(30b)가 위치되는 체결구요부(43a)가 형성되고, 내측중심부에는 중량을 줄이기 위한 중공부(43b)가 형성되며, 일측면(41)에는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 타측면(22)의 타측면전후방체결홀(22a,22b) 연장선상에 일측면체결장볼트(41aa,41ba)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일측면장볼트공(41a,41b)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면(42)에는 상기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 일측면(21)의 일측면전후방체결홀(21a,21b) 연장선상에 타측면체결장볼트(42aa,42ba)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타측면장볼트공(42a,42b)이 각각 형성되며, 일측면(41) 하단에서 측면연장선상으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우측외부케이블보호대(40b) 타측면(42) 선단부를 커버하여 내부로의 수분침투를 방지하는 우측하단기와돌출부(44a)가 더 형성되고, 타측면(42) 하단에서 측면연장선상으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좌측외부케이블보호대(40a) 일측면(41) 선단부를 커버하여 내부로의 수분침투를 방지하는 좌측하단기와돌출부(44b)가 더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다수개 케이블(50)을 구획 분리하는 "+"형트레이(10)와 구획분리된 다수개 케이블(50)을 좌측상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20c)와 우측상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20a)에 의해 밀착되어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면서 다수개의 보호대체결구(30,30a,30b,30c)로 수밀되게 밀폐고정시켜 수분의 내부 유입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그 외측을 상하측외부케이블보호대(40c,40)와 좌우측외부케이블보호대(40a,40b)로 지중(60)에서 다시 한번 완강히 보호하여 도로 공사중 굴삭기의 버킷에 의해 지중(60)의 케이블(50)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구성이 단순하게 이루어지고, 부품수가 적으면서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시공시간 및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형트레이
20 :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
20a :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
20b :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
20b :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
30,30a,30b,30c : 보호대체결구
31 : 밀폐장판
32 : 고정장판
40 : 하측외부케이블보호대
40a : 좌측외부케이블보호대
40b : 우측외부케이블보호대
40c : 상측외부케이블보호대
50 : 케이블
60 : 지중

Claims (1)

  1. 정면이 "+"자형상을 이루고 길이방향으로 수평연장되는 판체로 좌우측수평판(11,12)과 상하부수직판(13,14)이 각각 형성되어 지중(60)의 케이블(50)을 좌우측과 상하부로 각각 구별되게 배치하고 구분시키는 "+"형트레이(10)와, 상기 "+"형트레이(10)를 외부 사방에서 감싸면서 케이블(50)을 보호하는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 및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와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 및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와, "+"형트레이(10)와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 및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와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 및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를 체결고정시키는 다수개의 보호대체결구(30,30a,30b,30c)와, 상기 "+"형트레이(10)와 케이블(50)을 하측에서 보호하는 하측외부케이블보호대(40)와, 상기 "+"형트레이(10)와 케이블(50)을 좌측에서 보호하는 좌측외부케이블보호대(40a)와, 상기 "+"형트레이(10)와 케이블(50)을 우측에서 보호하는 우측외부케이블보호대(40b)와, 상기 "+"형트레이(10)와 케이블(50)을 상측에서 보호하는 상측외부케이블보호대(40c)를 구비하여 지중(60)에 매립설치되는 케이블(50)을 보호하는 케이블 보호관에 있어서,
    상기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는, 정면에서 볼때 일측면(21)과 타측면(22)이 만나 직각을 이루는 직각부(23)가 좌측하단에 위치된 합성수지 재질의 직각삼각형상인 수평지지대로, 좌측상단은 상기 "+"형트레이(10)의 좌측수평판(11) 좌측단과 밀착되고, 우측하단은 상기 하부수직판(14) 하단과 밀착되며, 좌측상단과 우측하단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면(24)이 형성되고, 경사면(24) 내측 일정깊이에는 길이방향 일정간격으로 철재인 다수개의 사면보강봉(24a)이 각각 형성되며, 다수개 사면보강봉(24a)의 중간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수평연장되어 다수개 사면보강봉(24a)을 중심부에서 한몸으로 용접연결하는 철재인 중심보강연결봉(24b)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면(21) 전후방측 중심부에 일측면전후방체결홀(21a,21b)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타측면(22) 전후방측 중심부에 타측면전후방체결홀(22a,22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 사면보강봉(24a) 중 전후방측 사면보강봉(24a) 상단에서 외측으로 수평되게 돌출되는 일측면앵커볼트(24aa,24ac,24ae,24ag)가 각각 돌출형성되며, 상기 다수개 사면보강봉(24a) 중 전후방측 사면보강봉(24a) 하단에서 외측으로 수직되게 돌출되는 타측면앵커볼트(24ab,24ad,24af,24ah)가 각각 돌출형성되고;
    상기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는, 상기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와 동일한 형상과 모양을 갖고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과 수직선을 기준으로 우측에 대칭되게 위치되며;
    상기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는, 상기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와 동일한 형상과 모양을 갖고 상기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와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부에 대칭되게 위치되고;
    상기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는, 상기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와 동일한 형상과 모양을 갖고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과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부에 대칭되게 위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보호대체결구(30,30a,30b,30c)는, 직사각형상인 고무재질의 판체로 상기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의 타측면앵커볼트(24ab,24ad,24af,24ah)와 인접되어 수직방향 대칭된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의 일측면앵커볼트(24aa,24ac,24ae,24ag) 및 상기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의 타측면앵커볼트(24ab,24ad,24af,24ah)와 인접되어수평방향 대칭된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의 일측면앵커볼트(24aa,24ac,24ae,24ag) 및 상기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의 타측면면앵커볼트(24ab,24ad,24af,24ah)와 인접되어 수직방향 대칭된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의 일측면앵커볼트(24aa,24ac,24ae,24ag) 및 상기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의 타측면앵커볼트(24ab,24ad,24af,24ah)와 인접되어 수평방향 대칭된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의 일측면앵커볼트(24aa,24ac,24ae,24ag) 의 연장선상에 통공형성된 다수개의 관통공(31a)을 갖는 밀폐장판(3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밀폐장판(31)과 동일크기의 합성수지 재질의 판체로 상기 밀폐장판(31) 외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다수개 관통공(31a) 연장선상에 다수개 고정공(32a)이 통공형성되며 관통공(31a)과 고정공(32a)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의 타측면앵커볼트(24ab,24ad,24af,24ah)와 인접되어 수직방향 대칭된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의 일측면앵커볼트(24aa,24ac,24ae,24ag) 및 상기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의 타측면앵커볼트(24ab,24ad,24af,24ah)와 인접되어수평방향 대칭된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의 일측면앵커볼트(24aa,24ac,24ae,24ag) 및 상기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의 타측면면앵커볼트(24ab,24ad,24af,24ah)와 인접되어 수직방향 대칭된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의 일측면앵커볼트(24aa,24ac,24ae,24ag) 및 상기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의 타측면앵커볼트(24ab,24ad,24af,24ah)와 인접되어 수평방향 대칭된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의 일측면앵커볼트(24aa,24ac,24ae,24ag)에 각각 체결고정되는 다수개의 고정너트(32b)를 갖는 고정장판(32)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하측외부케이블보호대(40)는, 정면하부에서 일측면(41)과 타측면(42)이 만나 직각을 이루는 직각삼각형상의 프레임으로, 상기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 타측면(22) 및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 일측면(21)과 맞닿는 내측면(43)의 중심측에는 내측으로 요부형성되어 상기 보호대체결구(30)가 위치되는 체결구요부(43a)가 형성되고, 내측중심부에는 중량을 줄이기 위한 중공부(43b)가 형성되며, 일측면(41)에는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 타측면(22)의 타측면전후방체결홀(22a,22b) 연장선상에 일측면체결장볼트(41aa,41ba)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일측면장볼트공(41a,41b)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면(42)에는 상기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 일측면(21)의 일측면전후방체결홀(21a,21b) 연장선상에 타측면체결장볼트(42aa,42ba)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타측면장볼트공(42a,42b)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좌측외부케이블보호대(40a)는, 상기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와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 좌측단에 수직기립되어 밀착고정되는 상기 하측외부케이블보호대(40)와 동일한 케이블보호대로, 정면좌측에서 일측면(41)과 타측면(42)이 만나 직각을 이루는 직각삼각형상을 이루며, 상기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 타측면(22) 및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 일측면(21)과 맞닿는 내측면(43)의 중심측에는 내측으로 요부형성되어 상기 보호대체결구(30c)가 위치되는 체결구요부(43a)가 형성되고, 내측중심부에는 중량을 줄이기 위한 중공부(43b)가 형성되며, 일측면(41)에는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 타측면(22)의 타측면전후방체결홀(22a,22b) 연장선상에 일측면체결장볼트(41aa,41ba)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일측면장볼트공(41a,41b)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면(42)에는 상기 좌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 일측면(21)의 일측면전후방체결홀(21a,21b) 연장선상에 타측면체결장볼트(42aa,42ba)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타측면장볼트공(42a,42b)이 각각 형성되며, 타측면(42) 하단에서 측면연장선상으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하측외부케이블보호대(40) 일측면(41) 선단부를 커버하여 내부로의 수분침투를 방지하는 하단기와돌출부(44)가 더 형성되고;
    상기 우측외부케이블보호대(40b)는, 상기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와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 우측단에 수직기립되어 밀착고정되는 상기 하측외부케이블보호대(40)와 동일한 케이블보호대로, 정면우측에서 일측면(41)과 타측면(42)이 만나 직각을 이루는 직각삼각형상을 이루며, 상기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 일측면(21) 및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 타측면(22)과 맞닿는 내측면(43)의 중심측에는 내측으로 요부형성되어 상기 보호대체결구(30a)가 위치되는 체결구요부(43a)가 형성되고, 내측중심부에는 중량을 줄이기 위한 중공부(43b)가 형성되며, 일측면(41)에는 우측하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a) 타측면(22)의 타측면전후방체결홀(22a,22b) 연장선상에 일측면체결장볼트(41aa,41ba)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일측면장볼트공(41a,41b)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면(42)에는 상기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 일측면(21)의 일측면전후방체결홀(21a,21b) 연장선상에 타측면체결장볼트(42aa,42ba)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타측면장볼트공(42a,42b)이 각각 형성되며, 일측면(41) 하단에서 측면연장선상으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하측외부케이블보호대(40) 타측면(42) 선단부를 커버하여 내부로의 수분침투를 방지하는 하단기와돌출부(44)가 더 형성되고;
    상기 상측외부케이블보호대(40c)는, 상기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와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 상단에 밀착고정되는 상기 하측외부케이블보호대(40)와 동일한 케이블보호대로, 정면상측에서 일측면(41)과 타측면(42)이 만나 직각을 이루는 직각삼각형상을 이루며, 상기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 일측면(21) 및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 타측면(22)과 맞닿는 내측면(43)의 중심측에는 내측으로 요부형성되어 상기 보호대체결구(30b)가 위치되는 체결구요부(43a)가 형성되고, 내측중심부에는 중량을 줄이기 위한 중공부(43b)가 형성되며, 일측면(41)에는 우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b) 타측면(22)의 타측면전후방체결홀(22a,22b) 연장선상에 일측면체결장볼트(41aa,41ba)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일측면장볼트공(41a,41b)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면(42)에는 상기 좌측상부직각삼각케이블보호대(20c) 일측면(21)의 일측면전후방체결홀(21a,21b) 연장선상에 타측면체결장볼트(42aa,42ba)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타측면장볼트공(42a,42b)이 각각 형성되며, 일측면(41) 하단에서 측면연장선상으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우측외부케이블보호대(40b) 타측면(42) 선단부를 커버하여 내부로의 수분침투를 방지하는 우측하단기와돌출부(44a)가 더 형성되고, 타측면(42) 하단에서 측면연장선상으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좌측외부케이블보호대(40a) 일측면(41) 선단부를 커버하여 내부로의 수분침투를 방지하는 좌측하단기와돌출부(44b)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선 케이블 보호관.
KR1020220053074A 2022-04-28 2022-04-28 지중배선 케이블 보호관 KR102529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074A KR102529303B1 (ko) 2022-04-28 2022-04-28 지중배선 케이블 보호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074A KR102529303B1 (ko) 2022-04-28 2022-04-28 지중배선 케이블 보호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9303B1 true KR102529303B1 (ko) 2023-05-04

Family

ID=86379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3074A KR102529303B1 (ko) 2022-04-28 2022-04-28 지중배선 케이블 보호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3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2604A (ko) * 2006-11-21 2007-01-26 (주)대호엔지니어링 전선관 또는 하수관으로 사용되는 조립이 용이한 파이프
KR100850627B1 (ko) * 2008-01-31 2008-08-05 (주)지성전기기술사사무소 지중전력 케이블 선로 보호구
KR100853674B1 (ko) * 2008-02-15 2008-08-25 주식회사 아람엔지니어링 지중 케이블 보호관
KR100942724B1 (ko) 2009-11-13 2010-02-16 주식회사 부흥기술단 송배전 지중 케이블 보호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2604A (ko) * 2006-11-21 2007-01-26 (주)대호엔지니어링 전선관 또는 하수관으로 사용되는 조립이 용이한 파이프
KR100850627B1 (ko) * 2008-01-31 2008-08-05 (주)지성전기기술사사무소 지중전력 케이블 선로 보호구
KR100853674B1 (ko) * 2008-02-15 2008-08-25 주식회사 아람엔지니어링 지중 케이블 보호관
KR100942724B1 (ko) 2009-11-13 2010-02-16 주식회사 부흥기술단 송배전 지중 케이블 보호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724B1 (ko) 송배전 지중 케이블 보호관
KR101565933B1 (ko) 건축단지 지하 매설용 전기 및 통신 케이블 지중관로 보호구
KR101017026B1 (ko) 기 매설된 관로에 대한 밸브실 구조물의 조립구조
KR100579471B1 (ko) 건축단지용 지중선로 보호장치
KR102529303B1 (ko) 지중배선 케이블 보호관
KR101064623B1 (ko) 지중선로 보호구
KR100830883B1 (ko) 지중 케이블 보호관
US20140250794A1 (en) Floating manhole frame assembly
KR101692989B1 (ko) 내진 강화부재가 구비된 pdf 저수조
KR100853674B1 (ko) 지중 케이블 보호관
KR100659207B1 (ko) 지중선로 보호구
KR100835931B1 (ko) 배전 지중 케이블 보호관
JP5819278B2 (ja) 連壁部材、連壁構築方法
KR20160011113A (ko) 지중매설관의 침하관측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0443359Y1 (ko) 배전 케이블 보호구
KR101804537B1 (ko) 지중 매설용 원통형 저장탱크의 조립식 보호방벽
KR100733390B1 (ko) 지중 매설용 전주 지지대
DK3141676T3 (en) BOLT CONNECTION TO A OFFSHORE STRUCTURE
KR101017030B1 (ko) 기 매설된 관로에 대한 밸브실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266127B1 (ko) 누수 감지형 암거블럭
KR101903469B1 (ko) 지하수 관정의 탈부착식 상부 보호공 조합체
JP2002220991A (ja) 本坑シ−ルドトンネル内に設ける隔壁とその構築方法
KR102186630B1 (ko) 상하수도공사 시공방법
KR100667007B1 (ko) 공동주택단지의 지중케이블 방호판
KR100853672B1 (ko) 지중선로 보호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