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359Y1 - 배전 케이블 보호구 - Google Patents

배전 케이블 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359Y1
KR200443359Y1 KR2020080010417U KR20080010417U KR200443359Y1 KR 200443359 Y1 KR200443359 Y1 KR 200443359Y1 KR 2020080010417 U KR2020080010417 U KR 2020080010417U KR 20080010417 U KR20080010417 U KR 20080010417U KR 200443359 Y1 KR200443359 Y1 KR 2004433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astening
distribution cable
threaded portion
antifree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04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호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오성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오성이엠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오성이엠
Priority to KR20200800104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3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3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3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02G9/025Coverings therefor, e.g. t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2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 F16L1/03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the pipes being continu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11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the detection or protection of pipes in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16L3/10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the members being joined by means of two scre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전 케이블의 전후방측 상부에 각각 안착되는 반원형상의 틀로 내측면에는 체결요부가 형성되고, 체결요부에서 외측으로는 체결공이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며, 체결요부 내측면에는 밀폐부재가 안착되고, 좌우측 각 선단은 중심측 저면에 하부로 돌출된 앵커볼트를 갖는 좌우측지지대에 의해 연결고정되는 전후방보호프레임과; 상기 전후방보호프레임의 체결요부에 전후방선단이 각각 삽입되어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는 고정볼트에 의해 너트로 체결고정되는 고무재질의 튜브체로 중심측에는 내측나사부를 갖는 주입관이 고정되어 내부로 색소가 가미된 부동액이 일정압력으로 충전되어 밀폐되는 탄성튜브와; 상기 탄성튜브의 주입관 내측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외측나사부를 갖는 체결돌출관이 하단에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체결돌출관의 외측나사부가 나사결합되는 나사부를 갖는 체결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관과 체결돌출관은 수직튜브관에 의해 연결되고, 수직튜브관 좌우측으로는 전후방측으로 다수 개의 가지튜브관을 갖는 좌우측튜브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관은 주입밸브에 의해 체결되어 내부로 색소가 가미된 부동액이 일정압력으로 충전되고, 주입밸브 상단은 마감캡에 의해 밀폐고정되는 충격분출표시구와; 반원형상으로 상기 배전 케이블의 하부를 감싸면서 양단의 고정판에 상기 앵커볼트가 관통되는 볼트체결공이 형성되어 고정너트에 의해 상기 전후방보호프레임과 상기 탄성튜브를 배전 케이블에 체결고정시키는 연결고정구를 구비하는 배전 케이블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굴착기를 이용하여 굴착하는 과정에서 굴착기의 버킷이 배전 케이블이 매설된 주변의 흙을 걷어내면 색소가 가미된 부동액이 충전된 튜브가 손상되면서 내부의 색소가 가미된 부동액이 지중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배전 케이블의 위치를 표시함으로써 매설된 배전 케이블이 파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침투수에 의해 배전 케이블이 쉽게 노후 및 부식되는 것을 예방하며, 지질변화에 의해 상하부에서 토압이 전가되어 오면 보호커버가 토압에 의해 상호보완적으로 상하로 이동하여 배전 케이블의 위치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후방보호프레임, 탄성튜브, 충격분출표시구, 연결고정구

Description

배전 케이블 보호구{PROTECTOR FOR UNDERGROUND LINE}
본 고안은 배전 케이블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굴착기를 이용하여 굴착하는 과정에서 굴착기의 버킷이 배전 케이블이 매설된 주변의 흙을 걷어내면 색소가 가미된 부동액이 충전된 튜브가 손상되면서 내부의 색소가 가미된 부동액이 지중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배전 케이블의 위치를 표시함으로써 매설된 배전 케이블이 파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침투수에 의해 배전 케이블이 쉽게 노후 및 부식되는 것을 예방하며, 지질변화에 의해 상하부에서 토압이 전가되어 오면 보호커버가 토압에 의해 상호보완적으로 상하로 이동하여 배전 케이블의 위치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배전 케이블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상업 및, 공업단지의 지중에는 지중선로로서, 송배전 전선이 수용된 전선관, 가스배관, 상하수도관 등이 매설되어 있다. 이런 지중선로를 지중에 매설되는 이유는 안전성 및 단열성 때문이며, 지중에 장시간 동안 매설된 지중선로는 자체 노후에 의한 파손 및 침투수에 의해 부식되어 일정 시간이 지나면 보수하여야 한다. 또한, 이런 노후 및 부식 등의 원인 외에도 증설 등의 이유에서 보수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지중에 매설되는 배전 케이블을 보수 및 교체하기 위해서는 배전 케이블이 매설된 지면을 굴착하여 배전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후에 보수 및 교체작업을 수행한다.
일반적인 굴착작업은 굴착기를 이용하여 빠르고 쉽게 수행하는데, 굴착기에 설치된 버킷으로 지면을 굴착한다.
이와 같이, 굴착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굴착기의 운전자는 지중에 매설된 배전 케이블을 볼 수 없기 때문에 운전자의 감각으로 굴착작업을 수행한다.
운전자는 버킷이 지중선로에 닿는 충격을 감지하면 버킷을 이동시켜 버킷이 배전 케이블에 닿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굴착작업을 진행한다.
그러나, 굴착기 운전자가 배전 케이블의 위치를 알지 못한 상태에서 굴착작업을 수행하다 보면 굴착기의 버킷이 과도하게 배전 케이블을 가압하여 배전 케이블을 파괴시키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굴착기 운전자는 배전 케이블의 매설위치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배전 케이블을 따라 정확한 굴착위치를 설정하기 어려워 수시로 굴착진행방향을 수정하면서 굴착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굴착기를 이용하여 굴착하는 과정에서 굴착기의 버킷이 배전 케이블이 매설된 주변의 흙을 걷어내면 색소가 가미된 부동액이 충전된 튜브가 손상되면서 내부의 색소가 가미된 부동액이 지중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배전 케이블의 위치를 표시함으로써 매설된 배전 케이블이 파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침투수에 의해 배전 케이블이 쉽게 노후 및 부식되는 것을 예방하며, 지질변화에 의해 상하부에서 토압이 전가되어 오면 보호커버가 토압에 의해 상호보완적으로 상하로 이동하여 배전 케이블의 위치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배전 케이블 보호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배전 케이블의 전후방측 상부에 각각 안착되는 반원형상의 틀로 내측면에는 체결요부가 형성되고, 체결요부에서 외측으로는 체결공이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며, 체결요부 내측면에는 밀폐부재가 안착되고, 좌우측 각 선단은 중심측 저면에 하부로 돌출된 앵커볼트를 갖는 좌우측지지대에 의해 연결고정되는 전후방보호프레임과;
상기 전후방보호프레임의 체결요부에 전후방선단이 각각 삽입되어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는 고정볼트에 의해 너트로 체결고정되는 고무재질의 튜브체로 중심측에는 내측나사부를 갖는 주입관이 고정되어 내부로 색소가 가미된 부동액이 일정압력으로 충전되어 밀폐되는 탄성튜브와;
상기 탄성튜브의 주입관 내측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외측나사부를 갖는 체결돌출관이 하단에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체결돌출관의 외측나사부가 나사결합되는 나사부를 갖는 체결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관과 체결돌출관은 수직튜브관에 의해 연결되고, 수직튜브관 좌우측으로는 전후방측으로 다수 개의 가지튜브관을 갖는 좌우측튜브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관은 주입밸브에 의해 체결되어 내부로 색소가 가미된 부동액이 일정압력으로 충전되고, 주입밸브 상단은 마감캡에 의해 밀폐고정되는 충격분출표시구와;
반원형상으로 상기 배전 케이블의 하부를 감싸면서 양단의 고정판에 상기 앵커볼트가 관통되는 볼트체결공이 형성되어 고정너트에 의해 상기 전후방보호프레임과 상기 탄성튜브를 배전 케이블에 체결고정시키는 연결고정구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굴착기를 이용하여 굴착하는 과정에서 굴착기의 버킷이 배전 케이블이 매설된 주변의 흙을 걷어내면 색소가 가미된 부동액이 충전된 튜브가 손상되면서 내부의 색소가 가미된 부동액이 지중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배전 케이블의 위치를 표시함으로써 매설된 배전 케이블이 파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침투수에 의해 배전 케이블이 쉽게 노후 및 부식되는 것을 예방하며, 지질변화에 의해 상하부에서 토압이 전가되어 오면 보호커버가 토압에 의해 상호보완적으로 상하로 이동하여 배전 케이블의 위치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 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일 실시 예인 배전 케이블 보호구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일 실시 예인 배전 케이블 보호구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일 실시 예인 배전 케이블 보호구의 시공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다른 실시 예인 배전 케이블 보호구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배전 케이블 보호구는, 지면에 매립된 배전 케이블(50)의 상면에 탄성튜브(20)를 고정지지하는 전후방보호프레임(10,10a)과, 전후방보호프레임(10,10a)에 의해 고정되어 외부 충격을 완충시켜 배전 케이블(50)을 보호함과 동 시에 색소가 가미된 부동액(22)을 분출시켜 배전 케이블(50)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탄성튜브(20)와, 탄성튜브(20) 상부에 위치되어 외부 충격시 배전 케이블(50)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충격분출표시구(30)와, 전후방보호프레임(10,10a)을 배전 케이블(50) 상면에 고정시키는 연결고정구(40)로 구성된다.
상기 전후방보호프레임(10,10a)은 지면에 매립된 배전 케이블(50)의 전후방측 상부에 각각 안착되는 반원형상의 틀로 내측면에는 체결요부(11)가 각각 형성되고, 체결요부(11)에서 외측으로는 체결공(12)이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며, 체결요부(11) 내측면에는 밀폐부재(13)가 안착되고, 좌우측 각 선단은 중심측 저면에 하부로 돌출된 앵커볼트(14b)를 갖는 좌우측지지대(14,14a)에 의해 각각 연결고정된다.
상기 탄성튜브(20)는 상기 전후방보호프레임(10,10a)의 체결요부(11)에 전후방선단이 각각 삽입되어 상기 체결공(12)을 관통하는 고정볼트(23)에 의해 너트(23a)로 체결고정되어 밀폐되는 고무재질의 튜브체로, 상부 중심측에는 내측나사부(21a)를 갖는 주입관(21)이 고정되고, 내부에는 색소가 가미된 부동액(22)이 일정압력으로 충전되어 밀폐보관된다.
상기 충격분출표시구(30)는 상기 탄성튜브(20)의 주입관(21) 내측나사부(21a)에 나사결합되는 외측나사부(35a)를 갖는 체결돌출관(35)이 하단에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측으로의 길이연장시 상측에 위치된 또 다른 몸체 하단의 체결돌출관(35)의 외측나사부(35a)가 나사결합되는 나사부(34a)를 갖는 체결관(34)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관(34)과 체결돌출관(35)은 수직튜브관(33)에 의해 연결되고, 수직튜브관(33) 중심부 좌우측으로는 전후방측으로 다수 개의 가지튜브관(31,31a)을 갖는 좌우측튜브관(32,32a)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체결관(34)은 나사부(34a) 내부로 체결고정되는 주입관(36a,36b)을 갖는 주입밸브(36)에 의해 밀폐되게 체결되어 내부로 색소가 가미된 부동액(22)이 일정압력으로 충전되고, 상기 주입밸브(36) 상단은 마감캡(37)에 의해 밀폐고정되어 외부충격시 내부의 섹소가 가미된 부동액(22)을 외부로 분출시킨다.
상기 연결고정구(40)는 반원형상으로 상기 배전 케이블(50)의 하부를 감싸면서 양단의 고정판(41,41a)에 상기 앵커볼트(14b)가 관통되는 볼트체결공(41b)이 형성되어 고정너트(42)에 의해 상기 전후방보호프레임(10,10a)과 상기 탄성튜브(20)를 배전 케이블(50) 상면에 체결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지면에 매립설치된 배전 케이블(50)의 상면에 설치되어 굴착기와 같은 기계를 이용한 지표면의 작업시 배전 케이블(50) 측으로 충격이 가해지면 이에 의해 충격분출표시구(30)나 탄성튜브(20)가 찢겨지면서 내부에 충전된 섹소가 가미된 부동액(22) 외부로 분출시켜 시각적으로 바로 눈에 띄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작업하는 위치에 배전 케이블(50)이 위치됨을 알려주어 배전 케이블(50)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이때, 손상된 일정 구간의 충격분출표시구(30)나 탄성튜브(20) 만을 일부 교환하여 재설치함으로써 적은 유지비용으로 배전 케이블(50)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배전 케이블(50)의 상부를 포함한 좌우측을 탄성튜브(20)로 감싸게 되어 지면상부에서 하부로 흘러내리는 빗물과 같은 침투수에 의해 배전 케이블(50)이 쉽게 노후 및 부식되는 것을 예방하게 되며, 지질변화에 의해 상하부에서 토압이 전가되어 오면 보호커버인 탄성튜브(20) 상부에 고정된 충격분출표시구(30)에 의한 지면과의 마찰력과 탄성튜브(20)의 탄성력으로 토압에 의해 상호보완적으로 상하로 이동하여 배전 케이블(50)의 위치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 일 실시 예인 배전 케이블 보호구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일 실시 예인 배전 케이블 보호구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일 실시 예인 배전 케이블 보호구의 시공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다른 실시 예인 배전 케이블 보호구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a : 전후방보호프레임 11 : 체결요부
12 : 체결공 13 : 밀폐부재
14,14a : 좌우측지지대 14b : 앵커볼트
20 : 탄성튜브 21 : 주입관
21a : 내측나사부 22 : 색소가 가미된 부동액
30 : 충격분출표시구 31,31a : 가지튜브관
32,32a : 좌우측튜브관 33 : 수직튜브관
34 : 체결관 34a : 나사부
35 : 체결돌출관 35a : 외측나사부
36 : 주입밸브 36a,36b : 주입관
37 : 마감캡
40 : 연결고정구 41,41a : 고정판
41b : 볼트체결공 42 : 고정너트
50 : 배전 케이블

Claims (1)

  1. 지면에 매립된 배전 케이블(50)의 전후방측 상부에 각각 안착되는 반원형상의 틀로 내측면에는 체결요부(11)가 각각 형성되고, 체결요부(11)에서 외측으로는 체결공(12)이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며, 체결요부(11) 내측면에는 밀폐부재(13)가 안착되고, 좌우측 각 선단은 중심측 저면에 하부로 돌출된 앵커볼트(14b)를 갖는 좌우측지지대(14,14a)에 의해 각각 연결고정되는 전후방보호프레임(10,10a)과;
    상기 전후방보호프레임(10,10a)의 체결요부(11)에 전후방선단이 각각 삽입되어 상기 체결공(12)을 관통하는 고정볼트(23)에 의해 너트(23a)로 체결고정되어 밀폐되는 고무재질의 튜브체로, 상부 중심측에는 내측나사부(21a)를 갖는 주입관(21)이 고정되고, 내부에는 색소가 가미된 부동액(22)이 일정압력으로 충전되어 밀폐보관되는 탄성튜브(20)와;
    상기 탄성튜브(20)의 주입관(21) 내측나사부(21a)에 나사결합되는 외측나사부(35a)를 갖는 체결돌출관(35)이 하단에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측으로의 길이연장시 상측에 위치된 또 다른 몸체 하단의 체결돌출관(35)의 외측나사부(35a)가 나사결합되는 나사부(34a)를 갖는 체결관(34)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관(34)과 체결돌출관(35)은 수직튜브관(33)에 의해 연결되고, 수직튜브관(33) 중심부 좌우측으로는 전후방측으로 다수 개의 가지튜브관(31,31a)을 갖는 좌우측튜브관(32,32a)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체결관(34)은 나사부(34a) 내부로 체결고정되는 주입관(36a,36b)을 갖는 주입밸브(36)에 의해 밀폐되게 체결되어 내부로 색소가 가미된 부동액(22)이 일정압력으로 충전되고, 상기 주입밸브(36) 상단은 마감캡(37)에 의해 밀폐고정되어 외부충격시 내부의 섹소가 가미된 부동액(22)을 외부로 분출시키는 충격분출표시구(30)와;
    반원형상으로 상기 배전 케이블(50)의 하부를 감싸면서 양단의 고정판(41,41a)에 상기 앵커볼트(14b)가 관통되는 볼트체결공(41b)이 형성되어 고정너트(42)에 의해 상기 전후방보호프레임(10,10a)과 상기 탄성튜브(20)를 배전 케이블(50) 상면에 체결고정시키는 연결고정구(40)를 구비하는 배전 케이블 보호구.
KR2020080010417U 2008-08-05 2008-08-05 배전 케이블 보호구 KR2004433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417U KR200443359Y1 (ko) 2008-08-05 2008-08-05 배전 케이블 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417U KR200443359Y1 (ko) 2008-08-05 2008-08-05 배전 케이블 보호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3359Y1 true KR200443359Y1 (ko) 2009-02-09

Family

ID=41346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0417U KR200443359Y1 (ko) 2008-08-05 2008-08-05 배전 케이블 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35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282B1 (ko) * 2010-05-28 2010-11-23 이인호 기준틀 및 이를 이용하는 지하매설물 qsm 매설 방법
KR101199455B1 (ko) 2012-08-03 2012-11-09 주식회사 한얼엔지니어링 고압 지중 전력 케이블관 보호구
KR101995713B1 (ko) * 2019-04-02 2019-07-03 삼성유비스 주식회사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구
CN111677095A (zh) * 2020-06-19 2020-09-18 中建富林集团有限公司 一种排水管道的施工方法
KR102537644B1 (ko) * 2023-03-08 2023-05-30 (주)나이스에너지엔지니어링 지하매설용 지중송전케이블 보호시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282B1 (ko) * 2010-05-28 2010-11-23 이인호 기준틀 및 이를 이용하는 지하매설물 qsm 매설 방법
KR101199455B1 (ko) 2012-08-03 2012-11-09 주식회사 한얼엔지니어링 고압 지중 전력 케이블관 보호구
KR101995713B1 (ko) * 2019-04-02 2019-07-03 삼성유비스 주식회사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구
CN111677095A (zh) * 2020-06-19 2020-09-18 中建富林集团有限公司 一种排水管道的施工方法
KR102537644B1 (ko) * 2023-03-08 2023-05-30 (주)나이스에너지엔지니어링 지하매설용 지중송전케이블 보호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3359Y1 (ko) 배전 케이블 보호구
KR100733783B1 (ko) 지중배전선로관용 보호장치
KR100942724B1 (ko) 송배전 지중 케이블 보호관
KR100948975B1 (ko) 지중케이블 보호관
KR100604083B1 (ko) 공동주택내의 지중선로의 보호장치
KR100579471B1 (ko) 건축단지용 지중선로 보호장치
KR100853674B1 (ko) 지중 케이블 보호관
KR101915096B1 (ko) 지중배전선로의 보호 패널
KR101565933B1 (ko) 건축단지 지하 매설용 전기 및 통신 케이블 지중관로 보호구
KR100761338B1 (ko) 지중 전력 케이블 보호관
KR100830883B1 (ko) 지중 케이블 보호관
KR101082905B1 (ko)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관
KR100835931B1 (ko) 배전 지중 케이블 보호관
KR100596459B1 (ko) 공동주택용 지중선로 보호구
KR101569868B1 (ko) 토압으로부터 지중 배전선로를 보호할 수 있는 보호장치
KR100805072B1 (ko) 공동주택용 지중선로 보호구
KR100725142B1 (ko) 고압케이블 설치보호용 이중 관 설치구조
KR101180466B1 (ko) 지중송전선 보호용 절연관
KR100933191B1 (ko) 공동주택용 지하매설 전선보호관
KR100853694B1 (ko) 지중선로 보호구
KR101585953B1 (ko) 지중배전선간 안정적 연결을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1903469B1 (ko) 지하수 관정의 탈부착식 상부 보호공 조합체
KR20140009014A (ko) 관 이음장치
US8587428B2 (en) System for protecting underground utilities and preventing damages
KR100771424B1 (ko) 건축단지내 지중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