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929B1 -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929B1
KR102528929B1 KR1020210063369A KR20210063369A KR102528929B1 KR 102528929 B1 KR102528929 B1 KR 102528929B1 KR 1020210063369 A KR1020210063369 A KR 1020210063369A KR 20210063369 A KR20210063369 A KR 20210063369A KR 102528929 B1 KR102528929 B1 KR 102528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turntable
collection hopper
conveyor
def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6128A (ko
Inventor
주성환
Original Assignee
두성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성산업(주) filed Critical 두성산업(주)
Priority to KR1020210063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929B1/ko
Publication of KR20220156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14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xam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78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pick-up devices, the container remaining immob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5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removing incorrectly orienta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2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ingle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0Turntables carrying articles or materials to be transferred, e.g. combined with ploughs or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ns of tv-camera scan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01Optical details; Scanning 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4Resins; Plastics; Rubber; Leather
    • G01N33/445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65G2203/044Op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4Turn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탈형을 위해 표면에 오일이 도포되어 있는 고 점착성 소형 고무 제품에 대하여 무인으로 불량품을 비전 검출하여 자동 분리 배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급 호퍼(110)와, 승강 컨베이어(120)와, 수평 컨베이어(130)와, 안내 가이드(140)와, 제1 이재 롤러(150)를 포함하는 공급부(100)와; 회전 브러시(210)와, 광학 센서(220)와, 에어 노즐(230)과, 반송 컨베이어(240)를 포함하는 반송부(200)와; 제1 턴테이블(310)과, 치수 검출 카메라(320)와, 정상 표면 검출 카메라(330)와, 제1 불량품 수거 호퍼(340)와, 제1 재검사 수거 호퍼(350)와, 제2 이재 롤러(360)를 포함하는 제1 회전부(300)와; 반전 컨베이어(410)와, 제3 이재 롤러(420)를 포함하는 반전부(400)와; 제2 턴테이블(510)과, 역상 표면 검출 카메라(520)와, 멀티 촬상부재(530)와, 양품 수거 호퍼(540)와, 제2 재검사 수거 호퍼(550)와, 제2 불량품 수거 호퍼(560)를 포함하는 제2 회전부(500)와; 프레임(600)을 포함하여,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자동 무인 생산으로부터 검사에 이르기까지 고 점착성 소형 고무 제품에 대한 무인 생산 설비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Vision inspection apparatus for high-adhesive rubber products}
본 발명은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탈형을 위해 표면에 오일이 도포되어 있는 고 점착성 소형 고무 제품에 대하여 무인으로 불량품을 비전 검출하여 자동 분리 배출하기 위한 장치로써,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자동 무인 생산으로부터 검사에 이르기까지 고 점착성 소형 고무 제품에 대한 무인 생산 설비를 구축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고압, 초고진공, 초저온 등의 열악한 운전 조건 하에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씰링 수단으로 가스켓, 오일 씰, 오일 링 등의 기계 요소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뿐 아니라, 최근에는 차량의 전장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다핀 커넥터 내부에도 씰링 수단을 부가하여 방수 및 방오 특성을 부가하고 있다.
이러한 씰링 수단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재질은 실리콘을 포함한 고무 제품으로, 이들 제품의 제조 시, 성형 이후 가류나 숙성과 같은 별도의 열처리 공정을 거쳐 완제품이 생산되고 있다.
이와 같이 생산되는 고무 제품은 성형 시 발생률은 낮지만 게이트의 잔존이나 변형과 같은 불량품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특히, 다핀 커넥터에 적용되는 씰링 수단의 경우, 커넥터의 핀이 관통하는 다수의 미세한 관통공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다수의 미세한 관통공 중 일부가 올바르게 형성되지 않은 불량품이 발생할 우려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고무 제품의 제조 후 불량품의 검출이 반드시 요구되며, 이러한 불량품의 검출은 통상 검사자에 의해 육안 검사로 행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 결과, 고무 제품의 성형이 무인 자동화 설비를 통해 빠른 시간 내에 대량 생산으로 이루어진다 할지라도, 검사자의 육안검사에 의한 불량품의 검출에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요되고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생산 효율을 떨어트리고 있었다.
게다가, 검사자의 오판이나 실수 등의 이유로 불량품이 검출되지 않고 그대로 소비자에게 공급될 경우, 제품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부피가 비교적 작은 고무 제품의 경우 불량품에 잔존하는 게이트의 길이는 대략 1~2mm 내외로 극히 미소하기 때문에 육안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게다가 이러한 고무 제품의 표면에는 금형으로부터 원활한 탈형을 위해 오일이 도포되어 있어, 고무 제품의 이동 중 기타 설비에 쉽게 점착되기 때문에, 제품의 점착으로 인한 검사장비의 가동 중단 등의 문제점도 발생하고 있다는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992675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탈형을 위해 표면에 오일이 도포되어 있는 고 점착성 소형 고무 제품에 대하여 무인으로 불량품을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비전 검출하여 자동으로 분리 배출할 수 있음으로써,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자동 무인 생산으로부터 검사에 이르기까지 고 점착성 소형 고무 제품에 대한 무인 생산 설비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따른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는, 검사하고자 하는 제품을 투입하는 공급 호퍼와, 상기 공급 호퍼로부터 제품을 공급받아 상승시키는 승강 컨베이어와, 상기 승강 컨베이어로부터 제품을 공급받아 수평하게 이송시키는 수평 컨베이어와, 상기 수평 컨베이어 상의 제품을 폭방향 한 쪽으로 정렬시키는 안내 가이드와, 상기 안내 가이드 이후, 수직하게 마련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수평 컨베이어 상의 제품을 상기 수평 컨베이어 밖으로 이재시키는 제1 이재 롤러를 포함하는 공급부와; 상기 안내 가이드 이전에 위치하되 상기 수평 컨베이어 상측에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이격되게 배치되어 회전에 따라 뭉치거나 적층된 제품을 상기 수평 컨베이어 밖으로 배출시키는 회전 브러시와, 상기 안내 가이드에 마련되어 상기 수평 컨베이어 상의 제품이 올바른 적재 상태인지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광학 센서와, 상기 광학 센서를 통과하는 제품에 대하여 올바른 적재 상태가 아닌 경우,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수평 컨베이어 밖으로 배출시키는 에어 노즐과, 상기 수평 컨베이어 밖으로 배출된 제품을 상기 공급 호퍼로 반송시키는 반송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반송부와; 상기 공급부로부터 이재된 제품을 적재하여 원주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1 턴테이블과, 상기 제1 턴테이블 상의 제품을 촬상하여 외형 치수를 검출하여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치수 검출 카메라와, 상기 치수 검출 카메라 이후, 상기 제1 턴테이블 상의 제품을 촬상하여 표면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정상 표면 검출 카메라와, 상기 정상 표면 검출 카메라 이후, 에어를 선택적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1 턴테이블로부터 불량품을 수거하는 제1 불량품 수거 호퍼와, 상기 제1 불량품 수거 호퍼 이후, 에어를 선택적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1 턴테이블로부터 재검사가 요구되는 제품을 수거하는 제1 재검사 수거 호퍼와, 상기 제1 재검사 수거 호퍼 이후, 수직하게 마련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 턴테이블 상의 제품을 상기 제1 턴테이블 밖으로 이재시키는 제2 이재 롤러를 포함하는 제1 회전부와; 상기 제1 턴테이블 밖으로 이재된 제품을 공급받아 역상시키는 반전 컨베이어와, 상기 반전 컨베이어 상의 제품을 상기 반전 컨베이어 밖으로 이재시키는 제3 이재 롤러를 포함하는 반전부와; 상기 반전부로부터 이재된 제품을 적재하여 원주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2 턴테이블과, 상기 제2 턴테이블 상의 제품을 촬상하여 표면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역상 표면 검출 카메라와, 상기 역상 표면 검출 카메라 이후, 방사상 등간격으로 마련된 복수의 카메라로 제품의 측부 360도 전체를 분할 촬상하여 측면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멀티 촬상부재와, 상기 멀티 촬상부재 이후, 에어를 선택적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2 턴테이블로부터 양품을 수거하는 양품 수거 호퍼와, 상기 양품 수거 호퍼 이후, 에어를 선택적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2 턴테이블로부터 재검사가 요구되는 제품을 수거하는 제2 재검사 수거 호퍼와, 상기 제2 재검사 수거 호퍼 이후, 에어를 선택적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2 턴테이블로부터 불량품을 수거하는 제2 불량품 수거 호퍼를 포함하는 제2 회전부와; 상기 제1 회전부, 상기 반전부, 그리고 상기 제2 회전부를 설치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멀티 촬상부재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높이 차이를 두고 상하에 각각 마련되는 상부 링 및 하부 링과; 상기 상부 링에 중심을 기준으로 6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직하 방향을 향하여 동시에 촬상하는 6개의 카메라와; 상기 하부 링에 중심을 기준으로 6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중심에 위치하는 제품을 향하여 상기 6개의 카메라에 일대일 대응하여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6개의 미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턴테이블 및 상기 제2 턴테이블은 투명 소재로 제작되며; 상기 치수 검출 카메라, 상기 정상 표면 검출 카메라, 상기 역상 표면 검출 카메라, 그리고 상기 멀티 촬상부재의 하부에는 각각 상기 제1 턴테이블 또는 상기 제2 턴테이블을 투과하여 빛을 발광하는 조명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조명 부재는 제품의 존재 여부에 따라 간헐적으로 발광하는 것이 양호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승강 컨베이어, 상기 수평 컨베이어, 상기 반송 컨베이어, 그리고 상기 반전 컨베이어의 회전 벨트는 각각 직조물로 이루어져 제품의 점착을 저감시키며; 상기 공급 호퍼, 상기 안내 가이드, 상기 제1 이재 롤러, 상기 제1 턴테이블, 상기 제2 이재 롤러, 상기 제3 이재 롤러, 그리고 상기 제2 턴테이블의 표면은 각각 엠보싱 처리되어 제품의 점착을 저감시키고; 상기 제1 불량품 수거 호퍼, 상기 제1 재검사 수거 호퍼, 상기 양품 수거 호퍼, 상기 제2 재검사 수거 호퍼, 그리고 상기 제2 불량품 수거 호퍼의 입구에는 제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엠보싱 처리된 투명 소재의 비산 방지 커버가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뿐 아니라,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불량품 수거 호퍼, 상기 제1 재검사 수거 호퍼, 상기 양품 수거 호퍼, 상기 제2 재검사 수거 호퍼, 그리고 상기 제2 불량품 수거 호퍼의 출구에는 제품의 수직 하강을 안내하는 주름진 표면을 가진 고무 소재의 낙하 슈터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낙하 슈터의 하측에는 배출된 제품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함을 미끄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에 이송 레일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탈형을 위해 표면에 오일이 도포되어 있는 고 점착성 소형 고무 제품에 대하여 무인으로 불량품을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비전 검출하여 자동으로 분리 배출할 수 있음으로써,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자동 무인 생산으로부터 검사에 이르기까지 고 점착성 소형 고무 제품에 대한 무인 생산 설비를 구축할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에 있어서 공급부 및 반송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에 있어서 비산 방지 가드 및 회전 브러시를 나타내는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에 있어서 제1 회전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에 있어서 반전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에 있어서 제2 회전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에 있어서 멀티 촬상부재를 도시하는 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에 있어서 프레임에 마련되는 이송 레일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에 있어서 공급부 및 반송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에 있어서 비산 방지 가드 및 회전 브러시를 나타내는 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에 있어서 제1 회전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에 있어서 반전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에 있어서 제2 회전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에 있어서 멀티 촬상부재를 도시하는 도로서, 도 7의 (a)는 평면도이며, 도 7의 (b)는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에 있어서 프레임에 마련되는 이송 레일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는, 탈형을 위해 표면에 오일이 도포되어 있는 고 점착성 소형 고무 제품에 대하여 무인으로 불량품을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비전 검출하여 자동으로 분리 배출할 수 있음으로써,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자동 무인 생산으로부터 검사에 이르기까지 고 점착성 소형 고무 제품에 대한 무인 생산 설비를 구축할 수 있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사하고자 하는 제품(1)을 투입하는 공급 호퍼(110)와, 상기 공급 호퍼(110)로부터 제품(1)을 공급받아 상승시키는 승강 컨베이어(120)와, 상기 승강 컨베이어(120)로부터 제품(1)을 공급받아 수평하게 이송시키는 수평 컨베이어(130)와,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 상의 제품(1)을 폭방향 한 쪽으로 정렬시키는 안내 가이드(140)와, 상기 안내 가이드(140) 이후, 수직하게 마련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 상의 제품(1)을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 밖으로 이재시키는 제1 이재 롤러(150)를 포함하는 공급부(100)와; 상기 안내 가이드(140) 이전에 위치하되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 상측에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이격되게 배치되어 회전에 따라 뭉치거나 적층된 제품(1)을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 밖으로 배출시키는 회전 브러시(210)와, 상기 안내 가이드(140)에 마련되어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 상의 제품(1)이 올바른 적재 상태인지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광학 센서(220)와, 상기 광학 센서(220)를 통과하는 제품(1)에 대하여 올바른 적재 상태가 아닌 경우,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 밖으로 배출시키는 에어 노즐(230)과,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 밖으로 배출된 제품(1)을 상기 공급 호퍼(110)로 반송시키는 반송 컨베이어(240)를 포함하는 반송부(200)와; 상기 공급부(100)로부터 이재된 제품(1)을 적재하여 원주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1 턴테이블(310)과, 상기 제1 턴테이블(310) 상의 제품(1)을 촬상하여 외형 치수를 검출하여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치수 검출 카메라(320)와, 상기 치수 검출 카메라(320) 이후, 상기 제1 턴테이블(310) 상의 제품(1)을 촬상하여 표면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정상 표면 검출 카메라(330)와, 상기 정상 표면 검출 카메라(330) 이후, 에어를 선택적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1 턴테이블(310)로부터 불량품을 수거하는 제1 불량품 수거 호퍼(340)와, 상기 제1 불량품 수거 호퍼(340) 이후, 에어를 선택적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1 턴테이블(310)로부터 재검사가 요구되는 제품(1)을 수거하는 제1 재검사 수거 호퍼(350)와, 상기 제1 재검사 수거 호퍼(350) 이후, 수직하게 마련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 턴테이블(310) 상의 제품(1)을 상기 제1 턴테이블(310) 밖으로 이재시키는 제2 이재 롤러(360)를 포함하는 제1 회전부(300)와; 상기 제1 턴테이블(310) 밖으로 이재된 제품(1)을 공급받아 역상시키는 반전 컨베이어(410)와, 상기 반전 컨베이어(410) 상의 제품(1)을 상기 반전 컨베이어(410) 밖으로 이재시키는 제3 이재 롤러(420)를 포함하는 반전부(400)와; 상기 반전부(400)로부터 이재된 제품(1)을 적재하여 원주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2 턴테이블(510)과, 상기 제2 턴테이블(510) 상의 제품(1)을 촬상하여 표면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역상 표면 검출 카메라(520)와, 상기 역상 표면 검출 카메라(520) 이후, 방사상 등간격으로 마련된 복수의 카메라(533)로 제품(1)의 측부 360도 전체를 분할 촬상하여 측면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멀티 촬상부재(530)와, 상기 멀티 촬상부재(530) 이후, 에어를 선택적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2 턴테이블(510)로부터 양품을 수거하는 양품 수거 호퍼(540)와, 상기 양품 수거 호퍼(540) 이후, 에어를 선택적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2 턴테이블(510)로부터 재검사가 요구되는 제품(1)을 수거하는 제2 재검사 수거 호퍼(550)와, 상기 제2 재검사 수거 호퍼(550) 이후, 에어를 선택적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2 턴테이블(510)로부터 불량품을 수거하는 제2 불량품 수거 호퍼(560)를 포함하는 제2 회전부(500)와; 상기 제1 회전부(300), 상기 반전부(400), 그리고 상기 제2 회전부(500)를 설치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는 프레임(60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는 기본적으로, 비전 검사하고자 하는 제품(1)의 전반적인 진행 순서에 따라, 공급부(100), 반송부(200), 제1 회전부(300), 반전부(400), 제2 회전부(500), 그리고 프레임(600)을 포함하고 있다.
우선, 상기 공급부(10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전 검사하고자 하는 제품을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공급 호퍼(110)와, 승강 컨베이어(120)와, 수평 컨베이어(130)와, 안내 가이드(140)와, 그리고 제1 이재 롤러(1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공급부(100)에 있어서, 공급 호퍼(110)는 대략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비전 검사를 받기 위한 제품(1)을 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급 호퍼(110)는 대략 상부가 넓게 형성되어 제품(1)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고, 그 하부는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중앙에는 이하에 설명할 승강 컨베이어(120)의 시작점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급 호퍼(110)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품(1)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폐 가능한 덮개(111)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공급 호퍼(110)는 대략 설치면에 인접하는,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에 형성되어, 제품(1)의 투입을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승강 컨베이어(120)는, 상기 공급 호퍼(110)로부터 제품(1)을 공급받아 반복적으로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공급 호퍼(110)는 가급적 설치면에 가깝게 낮은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좋지만, 그 이후의 공정들은 관리자가 현재 상태를 용이하게 관찰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면으로부터 대략 1m 내외의 높이에서 이루어질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승강 컨베이어(120)는 상술한 공급 호퍼(110)로부터 그 이후 공정이 이루어지는 높이까지 제품(1)을 연속적으로 상승시키면서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 컨베이어(120)의 시작점은 상술한 공급 호퍼(110)의 하부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승강 컨베이어(120)의 종료점은 설치면으로부터 대략 1.5m 내외의 높이에 위치할 것이다.
이러한 승강 컨베이어(120)는 통상의 컨베이어가 경사지게 배치된 것으로, 컨베이어 상의 제품(1)이 미끄러져 내려가지 않도록 다수의 스토퍼(121)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 승강 컨베이어(120)의 종료점에는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승강 컨베이어(120)와 나란한 방향으로 수평 컨베이어(130)가 위치하고 있다.
이때, 상기 승강 컨베이어(120)의 종료점 높이는 설치면으로부터 대략 1.5m 내외인 반면,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는 설치면으로부터 대략 1m 높이에 수평하게 마련되어, 상기 승강 컨베이어(120)의 종료점을 통해 배출되는 제품(1)을 수평하게 이송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도 2와 같이 상기 승강 컨베이어(120)의 종료점 높이와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의 높이 사이에 대략 0.5m 내외의 높이차를 두는 것으로, 상기 승강 컨베이어(120)의 종료점에서 제품(1)이 떨어지면서 서로 점착되어 있는 제품(1)을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추가적으로, 상기 승강 컨베이어(120)의 종료점으로부터 낙하하는 제품이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명한 판재인 비산 방지 가드(122)를 양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 상에는, 상기 승강 컨베이어(120)의 종료점으로부터 낙하한 다수의 제품(1)이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의 전체 폭에 대하여 임의의 위치에 적재되어 있을 수 있다.
이 수평 컨베이어(130)의 중간에는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 상의 제품(1)을 폭방향 한 쪽으로 정렬시키는 안내 가이드(140)가 마련된다.
상기 안내 가이드(140)는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로부터 상측으로 미세하게 이격되어 상기 안내 가이드(140)와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 상호간에 마찰이 발생치는 않도록 한다.
이러한 안내 가이드(140)는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어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 상에 적재된 상태로 이송되고 있는 제품(1)과 직접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 가이드(140)는,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 상에서 전체 폭에 대하여 임의의 위치에 적재되어 있는 제품(1)을,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의 폭방향 한 쪽으로, 예를 들어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의 진행을 따라 보았을 때 우측으로 정렬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의 종료점 인근에는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 상의 제품(1)을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 밖으로 이재시키는 제1 이재 롤러(150)가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제1 이재 롤러(150)는, 모터 등의 구동부재(151)와,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미세하게 이격되어 회전하는 원판형 회전부재(152)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재(151)의 출력축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하게 혹은 수직하게(미도시) 위치할 수 있지만, 상기 회전부재(152)의 회전축은 반드시 수직하게 마련되어야 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상기 구동부재(151)와 상기 회전부재(152) 사이에 베벨기어 등의 기계 요소가 요구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회전부재(152)는,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의 폭방향에 대하여 한 쪽으로 정렬되어 이송되는 제품(1)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제품(1)을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 바깥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후에 설명할 제1 회전부(300)로 이재시키게 된다.
즉, 공급부(100)는 공급 호퍼(110)에 공급한 제품(1)을 소정의 높이로 상승시키고, 하나의 열로 정렬하여 이후의 제1 회전부(3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반송부(200)는 상술한 공급부(100)와 나란하게 위치하여,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 상에서 제품(1)을 하나의 열로 정렬시키는 데 부적합한 상태의 제품(1)을 다시 상기 공급부(100)로 반송하기 위하여, 회전 브러시(210)와, 광학 센서(220)와, 에어 노즐(230)과, 반송 컨베이어(24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품(1)을 하나의 열로 정렬시키는 데 부적합한 상태란, 하나의 제품(1)이 누워있지 않고 세워져 있거나, 둘 이상의 제품(1)이 서로 점착되어 붙어 있는 상태 등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에 있어서,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의 시작점과 상기 안내 가이드(140) 사이에는 회전 브러시(210)가 마련된다.
상기 회전 브러시(210)는 도 3과 같이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탄력성 날개(213)가 방사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모터 등의 구동부재(211)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회전 브러시(21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의 진행 방향과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마련되며,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의 상측에 소정의 높이, 예를 들어, 하나의 제품(1)이 눕혀진 상태로 통과할 정도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 상에 적재된 제품(1) 중, 하나의 제품(1)이 누워있지 않고 세워져 있거나, 둘 이상의 제품(1)이 서로 점착되어 붙어 있는 상태 등의 제품(1)을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의 밖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후에 설명할 반송 컨베이어(240)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 브러시(210)는 도 3과 같이 상술한 비산 방지 가드(122) 내에 위치하는 것이 양호하며, 이 회전 브러시(21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재(211)는 상기 비산 방지 가드(122) 바깥에 위치할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 브러시(210)에 구동부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축(212)은 상기 비산 방지 가드(122)를 관통하여 배치될 것이다.
특히, 상기 비산 방지 가드(122)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12)이 관통하는 관통공(122a)에는 추가적으로 비산 방지 솔(123)을 마련하여, 상기 회전축(212)의 회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이 관통공을 통해 제품(1)이 비산 방지 가드(122)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회전 브러시(210)는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는 높이를 필요에 따라 가변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검사하고자 하는 제품(1)이 다른 형상,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제품(1)이 눕혀진 상태로 통과할 정도의 높이가 변경되는 경우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수평 컨베이어(130) 상에서, 상기 회전 브러시(210)가 제품(1)을 하나의 열로 정렬시키는 데 부적합한 상태의 제품(1)과 접촉하여 수평 컨베이어(130)의 바깥으로 배출시켰다면, 이후에 설명할 광학 센서(220) 및 에어 노즐(230)은 비접촉으로 부적합한 상태의 제품(1)을 검출하여 수평 컨베이어(130) 바깥으로 강제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광학 센서(22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발광부와 수광부가 한 조를 이루는 것으로, 상술한 공급부(100)의 안내 가이드(140) 직전에 마련되어, 상기 발광부가 수평 컨베이어(130) 상의 제품(1) 바로 위로 광학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이러한 광학 센서(220)는,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 상에 하나의 제품이 누워있는 상태만을 양호한 상태로 판단하고, 하나의 제품(1)이 누워있지 않고 세워져 있거나, 둘 이상의 제품(1)이 서로 점착되어 붙어 있는 상태 등을 불량 상태로 판단할 수 있도록, 발광부와 수광부의 높이가 결정된다.
즉, 상기 발광부에서 송신된 광학 신호가 상기 수광부에서 수신되면 양호 상태로 판단하는 반면, 광학 신호가 상기 수광부에서 수신되지 않으면 불량 상태로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광학 센서(220) 이후에 배치되는 에어 노즐(230)은, 상기 광학 센서(220)를 통과하는 제품(1)에 대하여 올바른 적재 상태가 아닌 불량 상태인 경우, 순간적으로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불량 상태의 제품(1)을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 밖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송 컨베이어(240)로 배출시키게 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반송부(200)에는, 상기 공급부(100)의 수평 컨베이어(130) 인근에 위치하여 나란하게 반송 컨베이어(240)가 마련된다.
이 반송 컨베이어(240)는 상술한 반송부(200)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브러시(210) 또는 상기 에어 노즐(230)에 의해 공급부(100)의 수평 컨베이어(130) 바깥으로 배출된 불량 상태의 제품(1)을 다시 공급 호퍼(110)로 반송시키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반송부(200)는 상기 공급부(100)의 수평 컨베이어(130) 상에서 제품(1)을 하나의 열로 정렬시키는 데 부적합한 상태의 제품(1)을 다시 상기 공급부(100)로 반송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반송 컨베이어(240)는 상술한 공급부(100)의 수평 컨베이어(130) 보다 도 2와 같이 약간 낮게 설치될 것이며, 그 종료점은 상술한 공급 호퍼(110) 내부가 될 것이다.
다음으로, 제1 회전부(30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100)로부터 하나의 열로 정렬된 제품(1)을 공급받아, 상기 제품(1)에 대한 외형 치수와 상기 제품(1)의 한 쪽 표면, 즉 상측면에 대한 불량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제1 턴테이블(310)과, 치수 검출 카메라(320)와, 정상 표면 검출 카메라(330)와, 제1 불량품 수거 호퍼(340)와, 제1 재검사 수거 호퍼(350)와, 제2 이재 롤러(360)를 포함하고 있다.
우선, 상기 제1 턴테이블(310)은 비교적 큰 직경을 가진 회전 원판으로 이루어져, 미도시한 모터 등의 구동부재에 의하여 위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여 회전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1 턴테이블(310)은 상술한 공급부(100)로부터 제1 이재 롤러(150)에 의해 이재된 제품(1)을 적재한 상태로 회전하며, 이때, 상기 제품(1)들은 상기 제1 턴테이블(310)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재 롤러(150)에 의해 결정된 소정의 반경 방향 위치에 적재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하나의 열을 이루어 회전할 것이다.
이와 같은 제1 턴테이블(310)의 설치 높이는 상술한 공급부(100)의 수평 컨베이어(130)와 대략 동등한 높이에 해당할 것이다.
제품(1)이 상기 제1 턴테이블(310)에 적재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이송되면서, 치수 검출 카메라(320) 및 정상 표면 검출 카메라(33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우선, 상기 치수 검출 카메라(320)는 상기 제1 턴테이블(310) 상측에 수직하게 마련되어, 그 밑으로 지나가는 제품(1)의 상측면을 촬상하여 화상 정보를 취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치수 검출 카메라(320) 직전에 별도의 광학 센서를 두어, 상기 치수 검출 카메라(320)가 제품(1)을 촬상하는 시점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치수 검출 카메라(320)는 기본적으로 제품(1)의 상측면을 촬상하여, 촬상된 화상 정보로부터 상기 제품(1)에 대한 치수 데이터를 취득하여 양품의 치수 기준 내에 해당하는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치수 검출 카메라(320)는 기본적으로 제조된 제품(1)의 외형 치수가 양품의 기준치 범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지만, 수많은 제품(1)을 반복적으로 촬상하는 것으로, 제품(1)의 외형 치수를 빅데이터로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조된 제품(1)의 외형 치수 평균값을 산출하고, 이를 이후에 양품과 불량품을 판단하는 기준치 범위 설정에 반영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뿐 아니라, 소정 형상의 제품(1)에 대하여 고유 모델 번호를 부여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것도 가능하여, 하나의 비전 검사 장치에서 고유 모델 번호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제품(1)을 하나의 비전 검사 장치에서 번갈아 가면서 검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하나의 비전 검사 장치에 다양한 고유 모델 번호의 제품(1) 외형 치수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해 놓고, 관리자가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고유 모델 번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으로, 하나의 비전 검사 장치에서 외형이 다른 모델을 교체하여 검사를 실시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치수 검출 카메라(320) 이후에는, 정상 표면 검출 카메라(330)가 수직하게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정상 표면 검출 카메라(330)는 상기 제1 턴테이블(310) 상의 제품(1)을 촬상하여 상기 제품(1)에 대한 상측 표면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정상 표면 검출 카메라(330)는 기본적으로 제품(1)의 상측 표면을 촬상하여, 촬상된 화상 정보로부터 명도나 채도가 그 이웃하는 영역과 비교하여 급격하게 변화하는 특이점을 검출해 내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정상 표면 검출 카메라(330)와 제1 턴테이블(310) 사이에는 보조 조명부재(331)를 마련하고, 이 보조 조명부재(331)는 제품(1)의 크기에 비해 넓게 형성되어 제1 턴테이블(310) 상의 제품(1) 위쪽을 고르게 조명하게 된다.
물론, 이 정상 표면 검출 카메라(330)는 제품(1)이 다핀 커넥터에 적용되는 씰링 수단인 경우, 커넥터의 핀이 관통하는 다수의 미세한 관통공이 모두 올바르게 형성되었는지 여부도 검출해 낼 수 있다.
따라서, 제1 회전부(300)에 있어서는 상기 치수 검출 카메라(320) 및 상기 정상 표면 검출 카메라(330)에서 제품(1)을 촬상하여, 상기 제품(1)이 올바르게 제조되었는지 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정상 표면 검출 카메라(330) 이후에는, 제1 불량품 수거 호퍼(340)와 제1 재검사 수거 호퍼(350)가 순차적으로 마련된다.
상기 제1 불량품 수거 호퍼(340)는 상기 제1 턴테이블(310)의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1 불량품 수거 호퍼(340)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턴테이블(310)의 반경 방향 내측에는 고압의 공기를 순간적으로 분사하는 분사 노즐(341)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턴테이블(310) 상의 제품(1)으로부터 내측에 위치한 상기 분사 노즐(341)이 고압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분사함으로써, 외측에 위치하는 제1 불량품 수거 호퍼(340)가 불량품을 수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불량품 수거 호퍼(340)에서 수거된 불량품은, 도 4와 같이 상기 제1 불량품 수거 호퍼(340) 하측에 위치하는 수거함(2)에 자중에 의해 떨어지게 되며, 이 수거함(2)에 불량품이 모이면, 수거함(2)을 빼내어 불량품을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1 불량품 수거 호퍼(340)가 수거하는 불량품이란, 제품(1)의 외형 치수나 제품(1)의 한 쪽 표면에서 검출된 표면 불량이 소정의 양품 기준치로부터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제품(1)의 외형 치수나 제품(1)의 한 쪽 표면에서 검출된 표면 불량이 소정의 양품 기준치로부터 오차 범위 내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제1 재검사 수거 호퍼(350)를 통해 제품(1)을 수거하여 재검사를 실시하게 된다.
이러한 제1 재검사 수거 호퍼(350)는 상술한 제1 불량품 수거 호퍼(340) 이후에 마련되어, 제어가 이루어지는 조건에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상기 제1 불량품 수거 호퍼(340)의 구성과 모두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도면 부호 351은 상기 제1 재검사 수거 호퍼(350)로 제품(1)을 수거하기 위한 분사 노즐이다.
물론, 상기 제1 재검사 수거 호퍼(350)의 하측에 마련되는 수거함(2)은 상술한 제1 불량품 수거 호퍼(340)의 하측에 마련되는 수거함(2)과는 별도로 마련될 것이다.
상술한 제1 불량품 수거 호퍼(340)와 제1 재검사 수거 호퍼(350)를 통과하여 제1 턴테이블(310) 상에 잔존하는 제품(1)은 양품 기준치 내에 해당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재검사 수거 호퍼(350) 이후, 도 1과 같이 상기 제1 턴테이블(310) 상의 제품(1)을 상기 제1 턴테이블(310) 밖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후에 설명할 반전부(400)로 이재시키는 제2 이재 롤러(360)가 마련된다.
이러한 제2 이재 롤러(360) 또한 상술한 제1 이재 롤러(150)의 구성과 동일하며, 오직 설치 위치에만 차이가 있는 것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1 회전부(300)에서는 제품(1)의 외형 치수와 제품(1)의 한 쪽 표면, 즉 상측면에 존재할 수 있는 표면 결함을 검출하여, 불량품이나 재검사가 요구되는 제품(1)을 선별하여 수거하는 것이 가능하며, 불량품이나 재검사가 요구되는 제품(1)으로 선별되지 않은 양호한 제품(1)은 제1 턴테이블(310) 상에 그대로 위치하여 이후에 설명할 반전부(400)로 보내진다.
상기 반전부(400)는 상술한 제1 회전부(300)에서 제1 턴테이블(310)에 접촉하고 있던 제품(1)의 바닥면을 제2 회전부(500)에서 검사할 수 있도록, 한 쪽 표면, 즉 상측면에 대한 검사를 마친 제품(1)에 대하여 위아래를 역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1 및 도 5와 같이 반전 컨베이어(410)와 제3 이재 롤러(420)를 포함하고 있다.
우선, 상기 반전 컨베이어(410)는 상측과 하측에 나란하게 적층되어 위치하는 상측 컨베이어(411)와 하측 컨베이어(412)를 포함하며, 이 상측 컨베이어(411)의 종료점에는 반원형 단면을 가진 역전 가이드 패널(413)이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측 컨베이어(411)의 종료점 하측에는 하측 컨베이어(412)의 시작점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이재 롤러(360)에 의해 제1 회전부(300)로부터 제품(1)이 상기 반전 컨베이어(410)의 상측 컨베이어(411)로 이재되면, 상기 상측 컨베이어(411)는 역전 가이드 패널(413)과 함께 제품(1)의 상하를 뒤집게 되며, 뒤집힌 제품(1)을 하측 컨베이어(412) 상에 안착시키게 된다.
이러한 하측 컨베이어의 종료점에 제품(1)이 다다르면, 다시 제3 이재 롤러(420)가 반전부(400)의 반전 컨베이어(410)로부터 이후의 제2 회전부(500)로 제품(1)을 이재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3 이재 롤러(420) 또한 앞서 설명한 제1 이재 롤러(150)나 제2 이재 롤러(360)와 동일한 구성이며, 단지 설치 위치에만 차이가 있는 것이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반전부(400)는 앞서 제1 회전부(300)에서 검사하지 않은 제품(1)의 바닥면, 즉 하측면을 이후의 제2 회전부(500)에서 검사할 수 있도록, 제품(1)의 위아래를 뒤집는 동작을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2 회전부(500)는 상술한 반전부(400)로부터 역상된 제품(1)을 공급 받아, 검사하지 않은 제품(1)의 다른 한 쪽 면, 즉 상측면(뒤집기 전의 하측면)을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턴테이블(510)과, 역상 표면 검출 카메라(520)와, 멀티 촬상부재(530)와, 양품 수거 호퍼(540)와, 제2 재검사 수거 호퍼(550)와, 제2 불량품 수거 호퍼(560)를 포함하고 있다.
우선, 상기 제2 턴테이블(510)은 상술한 제1 회전부(300)의 제1 턴테이블(310)과 동일한 구성으로, 단지 설치 위치만 다른 것이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제2 턴테이블(510)은 앞서 설명한 제1 턴테이블(310)의 설치 높이보다 상술한 반전부(400)의 상측 컨베이어(411) 높이만큼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반전부(400)에서 상하가 뒤집힌 제품(1)은 반전부(400)로부터 제3 이재 롤러(420)에 의해 제2 회전부(500)의 제2 턴테이블(510)로 이재되며, 상기 제2 턴테이블(510)의 시계 방향 회전에 따라 제품(1)이 원주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역상 표면 검출 카메라(520)는 상기 제2 턴테이블(510) 상의 제품(1)을 촬상하여 상측 표면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이 역상 표면 검출 카메라(520)는 상술한 제1 회전부(300)의 정상 표면 검출 카메라(330)와 동일한 구성으로, 오직 설치 위치에만 차이가 있는 것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역상 표면 검출 카메라(520)와 제2 턴테이블(510) 사이에도 보조 조명부재(521)를 마련하고, 이 보조 조명부재(521) 또한 제품(1)의 크기에 비해 넓게 형성되어 제2 턴테이블(510) 상의 제품(1) 위쪽을 고르게 조명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역상 표면 검출 카메라(520) 이후에는, 멀티 촬상부재(530)가 마련되며, 이 멀티 촬상부재(530)는 방사상 등간격으로 마련된 복수의 카메라(533)로 제품(1)의 측부 360도 전체를 분할 촬상하여 측면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 멀티 촬상부재(530)는 제품(1)의 측부 표면 결함이 존재하는 것을 보다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제2 턴테이블(510) 상에 올려 놓인 상태로 통과하는 제품(1)을 중심으로 방사상에 등간격으로 복수의 카메라(533)가 마련된다.
이러한 복수의 카메라(533)는 예를 들어, 3개가 마련되어 상기 제품(1)의 전체 둘레 360도에 대하여 1대의 카메라(533)가 대략 120도 내외의 범위를 각각 촬상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보다는 4개 이상의 카메라(533)가 90도 내외의 범위를 각각 촬상하는 등 다수의 카메라(533)가 마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그 결과, 상기 멀티 촬상부재(530)는 제품(1)의 측부 360도 전체를 각각 분할하여 촬상하고, 그 촬상된 화상 정보를 통해 제품(1)의 측면에 대한 불량 여부를 정확하게 검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멀티 촬상부재(530) 이후에는, 양품 수거 호퍼(540)가 마련되어, 비전 검사를 마쳐 양품으로 판단된 제품(1)에 대하여 에어를 선택적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2 턴테이블(510)로부터 양품을 수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양품 수거 호퍼(540)에서 수거되는 제품(1)은, 제품(1)에 대한 치수 검사, 제품(1)의 한 쪽 면 및 그 반대 쪽 면(상측면 및 하측면)에 대한 표면 검사, 그리고 제품(1)의 측부 표면에 대한 표면 검사를 모두 양호하게 통과한 양품일 것이다.
이때, 상기 양품 수거 호퍼(540) 또한 상술한 제1 불량품 수거 호퍼(340)와 동일한 구성으로, 단지 설치 위치에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양품 수거 호퍼(540) 이후에는 제2 재검사 수거 호퍼(550)와 제2 불량품 수거 호퍼(560)가 순차적으로 마련되어, 상측면(역상 이전의 하측면)에 대한 표면 검사와 제품(1)의 측부 표면에 대한 표면 검사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하지 못하여 재검사가 요구되는 제품(1)이나 불량품을 수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에도, 상기 제2 재검사 수거 호퍼(550) 및 상기 제2 불량품 수거 호퍼(560)는 상술한 제1 불량품 수거 호퍼(340)나 제1 재검사 수거 호퍼(350)의 구성 및 작용과 모두 동일하고, 오직 설치 위치 및 수거하고자 하는 대상에만 차이가 있는 것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제2 재검사 수거 호퍼(550) 및 제2 불량품 수거 호퍼(560)를 통과하면서, 제2 회전부(500)의 제2 턴테이블(510) 상에 위치하였던 모든 제품(1)은 상기 제2 재검사 수거 호퍼(550)나 상기 제2 불량품 수거 호퍼(560) 중 어느 하나로 수거될 것이다.
하지만, 상기 제2 불량품 수거 호퍼(560) 이후에도 제2 턴테이블(510) 상에 제품(1)이 잔존하여, 다시 앞서 설명하였던 역상 표면 검출 카메라(520)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배출 가이드(570)를 마련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러한 배출 가이드(570) 또한 상기 제2 턴테이블(510)로부터 상측으로 미세하게 이격되어 위치하여 상기 제2 턴테이블(510)과 마찰이 발생치 않도록 한다.
그리고, 이 배출 가이드(570)는 상기 제2 턴테이블(510)의 원주 방향에 대하여 바깥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제2 턴테이블(510) 상에 남아 있을 수 있는 모든 제품(1)을 상기 제2 턴테이블(51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떨어트리게 된다.
이러한 배출 가이드(570)의 반경 방향 외측에도 별도의 수거함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제2 회전부(500)는 제품(1)을 역상시켜 제1 회전부(300)에서 바닥면에 해당하던 면을 검사하고, 또한 제품(1)의 측면 전체를 360도 검사함으로써, 검사를 통과한 양품을 재검사가 요구되는 제품(1)이나 불량품으로부터 선별하여 수거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프레임(600)은 상술한 공급부(100) 및 반송부(200)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상기 제1 회전부(300), 상기 반전부(400), 그리고 상기 제2 회전부(500)를 수용하여 설치면으로부터 대략 1m 높이에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프레임(600)은 도 8과 같이 다수의 수직바(601)와 수평바(602)가 격자 형태로 이루어져 높은 강성을 지니는 것으로, 그 내부에 수거함(2)을 내장할 수 있도록 빈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프레임(600)의 외부 테두리에는 투명 판재로 이루어진 보호 가드판(620)을 두어 제품(1)이 프레임(600) 밖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관리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프레임(600)은 본 발명에 따른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에 있어서 기본 골격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는, 제품(1)의 외형 치수, 제품(1)의 위아래 표면, 그리고 제품(1)의 측부 360도 전체에 대한 비전 검사를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하게 실시하고, 그 검사 결과에 따라 불량품, 재검사가 요구되는 제품(1), 그리고 양품을 선별하여 자동 수거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상술한 기본적인 구성에 추가적으로 다양한 장치를 부가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멀티 촬상부재(53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 형태로 형성되어 높이 차이를 두고 상하에 각각 마련되는 상부 링(531) 및 하부 링(532)과; 상기 상부 링(531)에 중심을 기준으로 6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직하 방향을 향하여 동시에 촬상하는 6개의 카메라(533)와; 상기 하부 링(532)에 중심을 기준으로 6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중심에 위치하는 제품(1)을 향하여 상기 6개의 카메라(533)에 일대일 대응하여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6개의 미러(534)를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
즉, 상기 멀티 촬상부재(530)에 있어서, 상부 링(531)에는 6개의 카메라(533)가 중앙에 위치하는 제품(1)을 중심으로 방사상에 60도 간격을 두고 고정된다.
이러한 카메라(533)는 모두 수직한 아래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상부 링(531)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링(532)에는 6개의 미러가 중앙에 위치하는 제품(1)을 중심으로 방사상 60도 간격을 두고 고정되며, 이 때 각각의 미러(534)는 모두 상기 카메라(533)와 일대일로 대응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미러(534)의 설치 각도는 필요에 따라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이들 미러(534)를 모두 연결하는 제어링(535)을 마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제어링(535)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것으로, 이 제어링(535)에 연결된 6개의 미러(534)가 모두 일체적으로 경사각 조절되면 좋다.
여기에서, 상기 6개의 미러(534)가 지향하는 방향은, 그 중앙에 위치하는 제품(1)을 향하되, 상기 제품(1)이 링 형상의 제품인 경우, 링 형상 제품(1)의 내측 둘레 표면을 상기 카메라(533)가 촬상하도록 함으로써, 링 형상 제품(1)의 내측 표면을 비전 검사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품(1)이 링 형상의 제품(1)이 아닌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품(1)의 외측 둘레 표면 360도 전체를 분할하여 외측 표면을 비전 검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하나의 제어링(535)을 통해 방사상에 마련된 다수의 미러(534)의 경사각을 일체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제품(1)의 외측 표면이나 내측 표면까지도 비전 검사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턴테이블(310) 및 상기 제2 턴테이블(510)은 투명 소재로 제작되며; 상기 치수 검출 카메라(320), 상기 정상 표면 검출 카메라(330), 상기 역상 표면 검출 카메라(520), 그리고 상기 멀티 촬상부재(530)의 하부에는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제1 턴테이블(310) 또는 상기 제2 턴테이블(510)을 투과하여 빛을 발광하는 조명 부재(700)가 마련되고; 상기 조명 부재(700)는 제품(1)의 존재 여부에 따라 간헐적으로 발광하는 것이 양호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회전부(300)의 제1 턴테이블(310)과 제2 회전부(500)의 제2 턴테이블(510)을 투명 소재, 예를 들어 간유리(frosted glass)로 제작하여, 이러한 제1 턴테이블(310)과 제2 턴테이블(510)의 하측에 배치된 조명 부재(700)로부터의 빛이 상기 제1 턴테이블(310)이나 제2 턴테이블(510)을 투과하여 상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조명 부재(700)는 상시 발광하는 구성이어도 좋지만, 전력 소모 등을 고려하여 제품(1)이 통과함에 따라, 상기 치수 검출 카메라(320), 상기 정상 표면 검출 카메라(330), 상기 역상 표면 검출 카메라(520), 그리고 상기 멀티 촬상부재(530)가 제품(1)을 촬상할 때, 순간적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 결과, 상기 제1 턴테이블(310)이나 상기 제2 턴테이블(510)의 상측에 마련되어 제품(1)을 수직한 하측방향으로 촬상하는 상기 치수 검출 카메라(320), 상기 정상 표면 검출 카메라(330), 상기 역상 표면 검출 카메라(520), 그리고 상기 멀티 촬상부재(530)에 조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비전 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대상이 되는 제품(1)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금형으로부터 원활한 탈형을 위해 오일이 도포되어 있는 고무 제품(1)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는, 상기 승강 컨베이어(120),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 상기 반송 컨베이어(240), 그리고 상기 반전 컨베이어(410)의 회전 벨트는 각각 직조물로 이루어져 제품(1)의 점착을 저감시키며; 상기 공급 호퍼(110), 상기 안내 가이드(140), 상기 제1 이재 롤러(150), 상기 제1 턴테이블(310), 상기 제2 이재 롤러(360), 상기 제3 이재 롤러(420), 그리고 상기 제2 턴테이블(510)의 표면은 각각 엠보싱 처리되어 제품(1)의 점착을 저감시키고; 상기 제1 불량품 수거 호퍼(340), 상기 제1 재검사 수거 호퍼(350), 상기 양품 수거 호퍼(540), 상기 제2 재검사 수거 호퍼(550), 그리고 상기 제2 불량품 수거 호퍼(560)의 입구에는 제품(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엠보싱 처리된 투명 소재의 비산 방지 커버(800)가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제품(1)을 적재한 상태로 이동하되, 유연성이 요구되는 상기 승강 컨베이어(120),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 상기 반송 컨베이어(240), 그리고 상기 반전 컨베이어(410)에 대해서는 회전 벨트의 재질을 직조물로 제작함으로써, 고 점착성 고무 제품(1)이 회전 벨트에 달라붙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뿐 아니라, 제품(1)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되 유연성이 요구되지 않는 구성들, 예를 들면, 상기 공급 호퍼(110), 상기 안내 가이드(140), 상기 제1 이재 롤러(150), 상기 제1 턴테이블(310), 상기 제2 이재 롤러(360), 상기 제3 이재 롤러(420), 그리고 상기 제2 턴테이블(510)에 대해서는 그 표면을 올록볼록하게 엠보싱 처리하는 것으로써, 고 점착성 고무 제품(1)이 달라붙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게다가, 분사 노즐에 의해 제1 턴테이블(310)이나 제2 턴테이블(510)로부터 제품(1)을 수거하는 상기 제1 불량품 수거 호퍼(340), 상기 제1 재검사 수거 호퍼(350), 상기 양품 수거 호퍼(540), 상기 제2 재검사 수거 호퍼(550), 그리고 상기 제2 불량품 수거 호퍼(560)의 입구에는 도 4 및 도 6고 같이 비산 방지 커버(800)를 마련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비산 방지 커버(800)는 그 길이가 대략 분사 노즐에 인접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분사 노즐에 의해 수거할 제품(1)이 호퍼 밖으로 비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비산 방지 커버(800)는 투명 소재로 제작하여 제품(1)이 달라붙어 있는지 외부에서 육안으로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비산 방지 커버(800)의 내측면에 올록볼록한 엠보싱을 처리를 하여 제품(1)이 비산 방지 커버(800)의 내측면에 점착하는 것도 예방하는 것이 좋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불량품 수거 호퍼(340), 상기 제1 재검사 수거 호퍼(350), 상기 양품 수거 호퍼(540), 상기 제2 재검사 수거 호퍼(550), 그리고 상기 제2 불량품 수거 호퍼(560)의 출구에는 제품(1)의 수직 하강을 안내하는 주름진 표면을 가진 고무 소재의 낙하 슈터(900)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낙하 슈터(900)의 하측에는 배출된 제품(1)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함(2)을 미끄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600)에 이송 레일(610)이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각각의 호퍼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측 입구로부터 제품(1)을 수거하고, 수거한 제품(1)을 그 하측의 출구로 자유 낙하시킨다.
이러한 호퍼의 출구 하측에는 각각 수거함(2)을 두어 검사를 통과한 양품, 재검사가 요구되는 제품(1), 그리고 검사를 통과하지 못한 불량품을 각각의 수거함(2)으로 분리 수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상기 호퍼의 출구에는 제품(1)의 수직 하강을 안내하기 위한 원통 형상의 낙하 슈터(900)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낙하 슈터(900)는 주름진 표면을 가진 고무 소재로 제조되어 제품(1)이 달라붙지 않도록 함으로써, 호퍼로 수거된 모든 제품(1)이 수거함(2)으로 자유 낙하하도록 유도하게 된다.
특히, 각각의 호퍼로부터 제품(1)을 수거하는 수거함(2)은, 검사를 통과한 양품, 재검사가 요구되는 제품(1), 그리고 검사를 통과하지 못한 불량품을 각각의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도록 최소 3개 이상이 마련된다.
이러한 수거함(2)은 상술한 프레임(600)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되며, 빈 수거함(2)의 경우 경량이어서 프레임(600) 내부에서 수거함(2)의 위치를 쉽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수거함(2)에 제품(1)이 채워져 있는 상태에서는 수거함(2)을 프레임(600)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600) 내에 상기 수거함(2)을 미끄럼 이동시키기 위하여 이송 레일(610)이 추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 이송 레일(610)의 구조는 마치 서랍의 안내 레일과 같이, 측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 가능하여, 길이가 신장되거나 단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러한 이송 레일(610)은 프레임(600)의 바깥으로도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관리자가 수거함(2)을 용이하게 넣거나 빼내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는 제품(1)의 치수는 물론 상하 표면과 측부 표면을 모두 일괄적으로 비전 검사하여 양품과 불량품, 그리고 재검사가 요구되는 제품을 각각 선별하여 분리 수거하는 것이 가능하며, 고 점착성의 제품(1)에 대해서는 장비에 달라붙는 일 없이 제품(1)의 비전 검사를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는, 탈형을 위해 표면에 오일이 도포되어 있는 고 점착성 소형 고무 제품에 대하여 무인으로 불량품을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비전 검출하여 자동으로 분리 배출할 수 있음으로써,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자동 무인 생산으로부터 검사에 이르기까지 고 점착성 소형 고무 제품에 대한 무인 생산 설비를 구축할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 발명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제품 2 : 수거함
100 : 공급부 110 : 공급 호퍼
111 : 덮개 120 : 승강 컨베이어
121 : 스토퍼 122 : 비산 방지 가드
122a : 관통공 123 : 비산 방지 솔
130 : 수평 컨베이어 140 : 안내 가이드
150 : 제1 이재 롤러 151 : 구동부재
152 : 회전부재 200 : 반송부
210 : 회전 브러시 211 : 구동부재
212 : 회전축 213 : 날개
220 : 광학 센서 230 : 에어 노즐
240 : 반송 컨베이어 300 : 제1 회전부
310 : 제1 턴테이블 320 : 치수 검출 카메라
330 : 정상 표면 검출 카메라 331 : 보조 조명 부재
340 : 제1 불량품 수거 호퍼 341 : 분사 노즐
350 : 제1 재검사 수거 호퍼 351 : 분사 노즐
360 : 제2 이재 롤러 400 : 반전부
410 : 반전 컨베이어 411 : 상측 컨베이어
412 : 하측 컨베이어 413 : 역전 가이드 패널
420 : 제3 이재 롤러 500 : 제2 회전부
510 : 제2 턴테이블 520 : 역상 표면 검출 카메라
521 : 보조 조명 부재 530 : 멀티 촬상부재
531 : 상부 링 532 : 하부 링
533 : 카메라 534 : 미러
535 : 제어링 540 : 양품 수거 호퍼
550 : 제2 재검사 수거 호퍼 560 : 제2 불량품 수거 호퍼
570 : 배출 가이드 600 : 프레임
601 : 수직바 602 : 수평바
610 : 이송 레일 620 : 보호 가드판
700 : 조명 부재 800 : 비산 방지 커버
900 : 낙하 슈터

Claims (5)

  1. 검사하고자 하는 제품(1)을 투입하는 공급 호퍼(110)와, 상기 공급 호퍼(110)로부터 제품(1)을 공급받아 상승시키는 승강 컨베이어(120)와, 상기 승강 컨베이어(120)로부터 제품(1)을 공급받아 수평하게 이송시키는 수평 컨베이어(130)와,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 상의 제품(1)을 폭방향 한 쪽으로 정렬시키는 안내 가이드(140)와, 상기 안내 가이드(140) 이후, 수직하게 마련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 상의 제품(1)을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 밖으로 이재시키는 제1 이재 롤러(150)를 포함하는 공급부(100)와;
    상기 안내 가이드(140) 이전에 위치하되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 상측에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이격되게 배치되어 회전에 따라 뭉치거나 적층된 제품(1)을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 밖으로 배출시키는 회전 브러시(210)와, 상기 안내 가이드(140)에 마련되어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 상의 제품(1)이 올바른 적재 상태인지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광학 센서(220)와, 상기 광학 센서(220)를 통과하는 제품(1)에 대하여 올바른 적재 상태가 아닌 경우,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 밖으로 배출시키는 에어 노즐(230)과,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 밖으로 배출된 제품(1)을 상기 공급 호퍼(110)로 반송시키는 반송 컨베이어(240)를 포함하는 반송부(200)와;
    상기 공급부(100)로부터 이재된 제품(1)을 적재하여 원주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1 턴테이블(310)과, 상기 제1 턴테이블(310) 상의 제품(1)을 촬상하여 외형 치수를 검출하여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치수 검출 카메라(320)와, 상기 치수 검출 카메라(320) 이후, 상기 제1 턴테이블(310) 상의 제품(1)을 촬상하여 표면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정상 표면 검출 카메라(330)와, 상기 정상 표면 검출 카메라(330) 이후, 에어를 선택적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1 턴테이블(310)로부터 불량품을 수거하는 제1 불량품 수거 호퍼(340)와, 상기 제1 불량품 수거 호퍼(340) 이후, 에어를 선택적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1 턴테이블(310)로부터 재검사가 요구되는 제품(1)을 수거하는 제1 재검사 수거 호퍼(350)와, 상기 제1 재검사 수거 호퍼(350) 이후, 수직하게 마련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 턴테이블(310) 상의 제품(1)을 상기 제1 턴테이블(310) 밖으로 이재시키는 제2 이재 롤러(360)를 포함하는 제1 회전부(300)와;
    상기 제1 턴테이블(310) 밖으로 이재된 제품(1)을 공급받아 역상시키는 반전 컨베이어(410)와, 상기 반전 컨베이어(410) 상의 제품(1)을 상기 반전 컨베이어(410) 밖으로 이재시키는 제3 이재 롤러(420)를 포함하는 반전부(400)와;
    상기 반전부(400)로부터 이재된 제품(1)을 적재하여 원주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2 턴테이블(510)과, 상기 제2 턴테이블(510) 상의 제품(1)을 촬상하여 표면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역상 표면 검출 카메라(520)와, 상기 역상 표면 검출 카메라(520) 이후, 방사상 등간격으로 마련된 복수의 카메라(533)로 제품(1)의 측부 360도 전체를 분할 촬상하여 측면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멀티 촬상부재(530)와, 상기 멀티 촬상부재(530) 이후, 에어를 선택적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2 턴테이블(510)로부터 양품을 수거하는 양품 수거 호퍼(540)와, 상기 양품 수거 호퍼(540) 이후, 에어를 선택적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2 턴테이블(510)로부터 재검사가 요구되는 제품(1)을 수거하는 제2 재검사 수거 호퍼(550)와, 상기 제2 재검사 수거 호퍼(550) 이후, 에어를 선택적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2 턴테이블(510)로부터 불량품을 수거하는 제2 불량품 수거 호퍼(560)를 포함하는 제2 회전부(500)와;
    상기 제1 회전부(300), 상기 반전부(400), 그리고 상기 제2 회전부(500)를 설치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는 프레임(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촬상부재(530)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높이 차이를 두고 상하에 각각 마련되는 상부 링(531) 및 하부 링(532)과;
    상기 상부 링(531)에 중심을 기준으로 6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직하 방향을 향하여 동시에 촬상하는 6개의 카메라(533)와;
    상기 하부 링(532)에 중심을 기준으로 6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중심에 위치하는 제품(1)을 향하여 상기 6개의 카메라(533)에 일대일 대응하여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6개의 미러(5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턴테이블(310) 및 상기 제2 턴테이블(510)은 투명 소재로 제작되며;
    상기 치수 검출 카메라(320), 상기 정상 표면 검출 카메라(330), 상기 역상 표면 검출 카메라(520), 그리고 상기 멀티 촬상부재(530)의 하부에는 각각 상기 제1 턴테이블(310) 또는 상기 제2 턴테이블(510)을 투과하여 빛을 발광하는 조명 부재(700)가 마련되고;
    상기 조명 부재(700)는 제품(1)의 존재 여부에 따라 간헐적으로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컨베이어(120), 상기 수평 컨베이어(130), 상기 반송 컨베이어(240), 그리고 상기 반전 컨베이어(410)의 회전 벨트는 각각 직조물로 이루어져 제품(1)의 점착을 저감시키며;
    상기 공급 호퍼(110), 상기 안내 가이드(140), 상기 제1 이재 롤러(150), 상기 제1 턴테이블(310), 상기 제2 이재 롤러(360), 상기 제3 이재 롤러(420), 그리고 상기 제2 턴테이블(510)의 표면은 각각 엠보싱 처리되어 제품(1)의 점착을 저감시키고;
    상기 제1 불량품 수거 호퍼(340), 상기 제1 재검사 수거 호퍼(350), 상기 양품 수거 호퍼(540), 상기 제2 재검사 수거 호퍼(550), 그리고 상기 제2 불량품 수거 호퍼(560)의 입구에는 제품(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엠보싱 처리된 투명 소재의 비산 방지 커버(800)가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불량품 수거 호퍼(340), 상기 제1 재검사 수거 호퍼(350), 상기 양품 수거 호퍼(540), 상기 제2 재검사 수거 호퍼(550), 그리고 상기 제2 불량품 수거 호퍼(560)의 출구에는 제품(1)의 수직 하강을 안내하는 주름진 표면을 가진 고무 소재의 낙하 슈터(900)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낙하 슈터(900)의 하측에는 배출된 제품(1)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함(2)을 미끄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600)에 이송 레일(6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
KR1020210063369A 2021-05-17 2021-05-17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 KR102528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369A KR102528929B1 (ko) 2021-05-17 2021-05-17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369A KR102528929B1 (ko) 2021-05-17 2021-05-17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128A KR20220156128A (ko) 2022-11-25
KR102528929B1 true KR102528929B1 (ko) 2023-05-12

Family

ID=84237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369A KR102528929B1 (ko) 2021-05-17 2021-05-17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9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40252B (zh) * 2023-02-14 2023-12-08 安徽美安密封件股份有限公司 一种油封骨架自动上料摆盘机
KR102598507B1 (ko) * 2023-06-19 2023-11-06 지알디씨 주식회사 도장 제품용 비전검사장치
CN117735166B (zh) * 2024-02-20 2024-04-19 云南浩翔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附带输送轨道防卡功能的牛奶瓶盖输送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72469A1 (fr) 2002-02-27 2003-09-04 Kanebo, Ltd. Equipement de transport et dispositif d'inspection
JP2010249513A (ja) 2009-04-10 2010-11-04 Tdk Corp 外観検査装置
JP2013213813A (ja) 2012-03-06 2013-10-17 Shimatec:Kk 表面検査装置
JP2020098135A (ja) 2018-12-18 2020-06-25 株式会社スザキ 軸体検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675B1 (ko) 2017-12-07 2019-06-25 두성산업(주)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72469A1 (fr) 2002-02-27 2003-09-04 Kanebo, Ltd. Equipement de transport et dispositif d'inspection
JP2010249513A (ja) 2009-04-10 2010-11-04 Tdk Corp 外観検査装置
JP2013213813A (ja) 2012-03-06 2013-10-17 Shimatec:Kk 表面検査装置
JP2020098135A (ja) 2018-12-18 2020-06-25 株式会社スザキ 軸体検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128A (ko) 2022-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8929B1 (ko) 고 점착성 고무 제품의 비전 검사 장치
US7342655B2 (en) Inspec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foreign matter
US9975149B2 (en) Device and method for sorting bulk material
US8228493B2 (en) Carrying device and appearance inspection device for test objects
US8154593B2 (en) Appearance inspection device
CN103884651B (zh) 一种全自动瓶盖质量检测系统
CN104634790A (zh) 一种胶囊检测方法及高速全自动检测装置
CN214516133U (zh) 一种多支单排瓶体的自动灯检装置
CN102735694A (zh) 全自动胶囊检测机
CN102288617A (zh) 对充满液体的容器内的悬浮物质的检测
KR102287992B1 (ko) 유리병 검사장치
US4593190A (en) Apparatus for inspecting capsules
CN109047004A (zh) 滚珠不合格品剔除方法
CN109001229A (zh) 圆锥滚子外圆表面缺陷检测装置
KR20210112512A (ko) 크랙 검사기를 포함하는 골프공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크랙 검사 방법
EP0019489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surface irregularities in articles made of transparent material
KR101366188B1 (ko) 측면 및 표면 검사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
CN106623004A (zh) 高精度光学检测机
KR20150051714A (ko) 오작동이 적고 불량 강구를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는 강구 검사장치
JP2005017003A (ja) バイアルの検査システム
KR101682091B1 (ko) 캡 검사장치
US8208016B2 (en) Automated visual checking device
JP2016049515A (ja) 対象物検査装置
CN109047033A (zh) 滚动体全表面缺陷检测方法
CN203772760U (zh) 一种瓶盖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