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842B1 - 화장품용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842B1
KR102528842B1 KR1020187004679A KR20187004679A KR102528842B1 KR 102528842 B1 KR102528842 B1 KR 102528842B1 KR 1020187004679 A KR1020187004679 A KR 1020187004679A KR 20187004679 A KR20187004679 A KR 20187004679A KR 102528842 B1 KR102528842 B1 KR 102528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or
article
container
cas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4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4492A (ko
Inventor
니콜라스 카스텍스
마크 라수스
Original Assignee
샤넬 파르퓜 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넬 파르퓜 보트 filed Critical 샤넬 파르퓜 보트
Publication of KR20180034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3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movable within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movable within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24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with a permanently displaceable pressurising member that remain in position unless actuated, e.g. lead-screw or ratchet mechanisms, toothpaste tube twisting or 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2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 an expanding or articulating manner
    • A46B7/023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 an expanding or articulating manner where the bristle carrier retracts or collapses, i.e. for stor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5Piston or plunger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 A46B2200/1053Cosmetics applicator specifically for mascara

Landscapes

  • Brush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화장품용 용기(21)는, 외벽(58), 상기 외벽과 상기 용기의 주축(51) 사이에서 연장되는 내벽(59) 및 화장품으로서, 상기 외벽과 대향하는 상기 내벽(59)의 표면(60) 쪽에만 존재하는 화장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장품용 용기
본 발명은 화장품용 물품에 관한 것이다.
US 2010/0065080은 펜형(pen-type) 구성을 갖는 마스카라 도포용 물품을 개시하고 있다. 이는 길쭉한 케이스 및 도포기를 포함하며, 상기 도포기는 상기 도포기가 마스카라 용기 내에 침지되는 후퇴 위치(retracted position) 및 메이크업을 허용하는 돌출 위치(protruded position)를 차지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대해 미끄러져 이동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의 장점은, 브러쉬(brush)가 뚜껑에 장착되고 상기 뚜껑이 용기에 나사로 고정되어 상기 뚜껑의 나사를 풀고 상기 브러쉬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두 손을 사용해야 하는 표준 물품과 비교하여, 메이크업시 한쪽 손만으로 상기 물품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후퇴 위치에서는 상기 도포기가 상기 용기의 제품 내에 침지되므로, 다량의 제품이 적재된 케이스에서 도포기가 빠져 나오게 되고, 이러한 제품 중 상당 부분, 특히 도포기의 중심부(core) 주변에 위치하는 제품들은 메이크업에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이 제품은 공기와 접촉하여 건조가 촉진되어 상기 물품의 품질 수명을 제한한다.
이렇게 용기 내에 침지되는 경우 또 다른 문제, 즉, 용기 내로 공기가 유입되어 건조를 촉진하고 용기 내의 제품의 제품 수명을 제한하는 문제가 야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품용 물품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용 물품이 제공되며, 이는:
- 외벽,
- 상기 외벽과 상기 용기의 주축 사이에서 연장되는 내벽 및
- 화장품으로서, 상기 외벽과 대향하는 상기 내벽의 표면 쪽에만 존재하는 화장품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용기가 화장품용 제품에 사용될 때, 상기 용기 내부의 제품은 상기 물품의 도포기와 접촉하지 않는다. 특히, 상기 물품을 사용하지 않을 때, 제품과 상기 도포기가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포기가 제품에 침지되어 사용하고자 할 때 과도한 제품이 적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는 상기 도포기에 제품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될 때를 제외하고는 대기로부터 매우 쉽게 격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장품용 펜형(pen type) 물품에 특히 유리하지만, 이러한 구성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용기는, 도포기가 로드(rod)에 의해 뚜껑에 단단히 고정되고 이 뚜껑이 용기를 포함하는 케이스의 주요부를 폐쇄하도록 작용하는, 종래의 구성을 갖는 물품에 사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상기 용기는 그 단부들 중 하나에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갖는다.
이 개구부는 제품이 상기 용기를 빠져 나와 상기 개구부와 대향하는 도포기에 적재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는 서로 대향하는 2개 이상의 개구부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도포기의 2개의 대향하는 측면에 제품을 적재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도포기가 상기 축에 의해 가로막히는 중심 위치를 차지하는 경우에 상기 도포기에 제품을 전달하는데 특히 유리하다.
상기 용기는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향해 제품을 밀어낼 수 있는 수단들을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수단은 제품이 상기 용기로부터 배출되도록 한다.
유리하게는, 이들 수단은 피스톤(piston) 및 바람직하게는 스프링(spring)을 포함한다.
이 피스톤은 개구부들 중 하나 이상이 개방되어 있을 때 제품이 상기 용기를 빠져 나가도록 상기 제품에 충분한 압력을 가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는 상기 용기의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밸브를 추가로 포함한다.
따라서, 이 밸브가 상기 용기를 폐쇄하는 위치에 있을 때, 이는 제품의 배출을 방지하고, 상기 용기의 내용물을 대기로부터 격리시키므로, 특히 건조를 방지함으로써 내용물의 특성을 보존한다.
상기 밸브는 상기 밸브를 상기 폐쇄 위치(closed position)로 후퇴시키기 위한 수단들을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이는 적재되어야 하는 도포기가 상기 개구부들을 통과한 후에 상기 밸브가 상기 용기의 개구부들을 다시 자동 폐쇄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이들 후퇴 수단들은 하나 이상의 후퇴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포함하는 화장품용 물품이다.
상기 물품은 케이스 및 도포기를 포함하며, 상기 도포기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며 후퇴 위치(retracted position)와 상기 도포기가 유리하게는 상기 후퇴 위치에서보다 상기 케이스로부터 더 연장되는 돌출 위치(protruded position) 사이에서 상기 케이스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품은 상기 도포기가 상기 축에 평행인 궤적을 따라 상기 후퇴 위치로부터 상기 연장 위치로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물품은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도포기로 제품을 전달할 수 있는 수단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용기의 개방을 포함하는 이러한 전달은 상기 용기의 내용물을 주위 환경에 너무 많이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이루어지며, 이는 또한 제품의 특성을 보존하게 해준다.
상기 도포기가 상기 후퇴 위치로부터 상기 돌출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도포기 상에 제품을 전달하도록 상기 물품이 배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물품은 상기 도포기가 상기 후퇴 위치로부터 상기 돌출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도포기가 상기 용기를 개방하도록 배치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물품은 상기 도포기가 상기 돌출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용기가 폐쇄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특징은 또한 상기 용기의 내용물의 대기 노출을 제한하고 제품의 특성을 보존할 수 있게 해준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품은 미리 설정된 양의 제품을 상기 도포기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도포기가 돌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물품이 상기 돌출부들의 일 단부에만 제품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품은 전달되는 제품의 양을 메이크업 효과를 얻기 위해 꼭 필요한 양으로 제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물품은 상기 돌출부들 중 일부와만 대향하는 도포기 상에 또는 상기 돌출부들 중 일부에만 제품을 전달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개시 돌출부들(starting protrusions) 상에 존재하는 제품이 다른 돌출부들로 일부 전달되는 때는 상기 도포기가 메이크업용으로 사용되는 때이다. 이러한 특징은 또한 특히 뭉침이 없는 양호한 메이크업 효과를 얻기 위해 꼭 필요한 양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는 상기 물품 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가 소진되거나 더 이상 만족스러운 사용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새로운 용기로 쉽게 대체할 수 있다. 또 다른 해결책은 동일한 용기에 제품을 재충전하는 것이다.
유리하게는, 상기 도포기는 몸체와 돌출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들은 수축 위치와 상기 돌출부들이 상기 수축 위치에서보다 상기 몸체 외부로 더 연장되는 연장 위치 사이에서 상기 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포기는 상기 돌출부들의 자유 단부가 상기 수축 위치로부터 상기 연장 위치까지 상기 축을 횡단하는 궤적을 따르도록 배치된다.
각각의 자유 단부는 상기 도포기의 종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궤적을 따르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궤적과 상기 도포기의 종 축에 의해 형성된 각이 60˚ 내지 120˚가 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용기는,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들의 수축 위치에서 상기 도포기에 제품을 코팅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이러한 도포기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non-limiting) 예로서 제공되는 실시 예에 대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용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물품의 도포기의 사시도이며, 각각은 상기 도포기의 상기 몸체 내로 후퇴되고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되는 강모들(bristles)을 가지는 구성을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a 및 도 2b의 도포기의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4a는 상기 도포기의 한 층의 분해도이다.
도 4b 및 도 4c는 각각 이 층에서 상기 도포기의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몸체 내로 후퇴하는 강모들을 가지는 형태를 도시한이다.
도 5a는 상기 도포기의 분해도이다.
도 5b 및 도 5c는 상기 도포기 및 상기 물품 내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물품의 밸브 및 배출구 노즐과 내부 튜브를 도시한다.
도 7은 상기 밸브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상기 도포기의 강모들의 진입 및 배출 움직임과 상기 케이스로의 상기 도포기의 진입 및 이로부터의 배출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부조립체(sub-assembly)의 분해도이다.
도 9는 상기 물품의 내부 튜브의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제어 부조립체가 배치되는 튜브의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각각의 위치에서의 상기 물품을 도시하며, 각각에서, 상기 도포기는 케이스 내에서 전부 연장되고 상기 강모들은 수축되어 있거나; 상기 도포기는 상기 케이스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강모들은 수축되어 있거나, 상기 도포기는 상기 케이스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강모들의 일부가 상기 도포기 몸체 밖으로 돌출된다.
도 12a, 도 12b 및 도 12c는 이전 도면들의 도포기를 보다 큰 규모로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용 제품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이 물품의 브러쉬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물품(50)의 제 1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12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나타낸 화장품은 속눈썹 메이크업용 마스카라이다.
상기 물품(50)은 "펜(pen)"형 케이스를 포함한다. 이것은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인 대체로 길쭉한 축(51)을 갖는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축(51)에 수직인 평면 내에서 원형 단면을 갖는 대체로 원통형인 외면(52)을 갖는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축(51)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하여 동축으로(coaxially)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2개의 부품(47, 48)을 포함한다. 이하, 편의상, 부품(48)은 고정 부품으로 지정하고, 부품(47)은 움직이는 부품으로 지정한다.
브러쉬
도 2a 내지 도 2d는 상기 물품의 마스카라의 도포기(11)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도포기는 브러쉬이다.
상기 브러쉬는 상기 축(51)에 수직인 평면 내에서 원형 단면을 갖는 원통형 외면을 갖는 몸체(1)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는 길쭉한 지지체(1) 및 서로 동일하며 상기 지지체와 동축으로 적층되어 이를 상기 지지체의 일 단부로 연장하는 디스크들(discs)(2)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서, 상기 디스크들(2)은 26개이며, 이 개수는 당연히 비제한적이다. 상기 몸체는 또한 상기 지지체에 대향하는 일 단부에서 상기 디스크 스택(stack of discs)을 종결시키는 뚜껑(5)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몸체의 외면은 상기 지지체(1), 디스크들(2) 및 뚜껑(5)의 외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브러쉬는 돌출부들을 포함하며, 이 경우에서 상기 돌출부들은 부드러운 강모들(3)이다. 그러나 이것은 톱니(teeth) 또는 핑거(fingers)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들은 비교적 단단할 수 있다.
상기 브러쉬는 상기 강모들(3)이 상기 몸체(1)의 외면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몸체(1) 내에서 완전히 연장되는 구성 및 강모들이 상기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상기 도포기의 임의의 2개의 연속적인 디스크들(2)에서의 단면을 상세히 도시한다.
상기 디스크들(2)은 서로에게 끼워 넣어져 포개어진다. 이를 위해, 각각의 디스크는 블록들(blocks)(14)(여기에서 이 블록들의 개수는 4개임)을 그 표면 중 하나에 그리고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인접한 디스크의 각 블록들을 수용하기 위한 동일한 개수의 공동들(cavities)을 대향 표면 상에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디스크들은 서로에 대해 정확하게 배치되고 고정되며, 상기 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하거나 이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적층된 디스크들은 상이한 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디스크들은 그 표면이 접촉함으로써 서로 결합되어있다. 이는 상기 스택의 마지막 디스크에 결합된 뚜껑(5) 및 상기 스택의 제 1 디스크에 결합된 상기 지지체(1)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를 형성하는 강성 조립체가 제조된다.
상기 디스크들(2)은 2개의 인접한 디스크들이 이들의 계면에서 공간들(chambers)(37)(이 경우에서는 8개임)을 정의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에서, 각 공간은 주축(51)에 수직인 배향을 갖는 축(53)을 갖는 원뿔대 형태(truncated conical shape)를 갖는다. 상기 원뿔대의 가장 넓은 구획은 상기 몸체의 외면에 존재한다. 각각의 공간(37)은 그의 축(53)에 수직인 평면에서 원형 단면을 갖는다. 상기 공간들은 상기 축(51)을 중심으로 방사형 배열(radial arrangement)을 가지며 상기 축 둘레에 규칙적으로 분포된다. 각 공간은 상기 디스크들 중 하나에 의해 절반 형성되고 다른 디스크에 의해 절반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크들 중 하나의 각각의 표면은 방사형 반원뿔대(radial semi-truncated cones) 형태의 오목부들을 갖는다.
상기 디스크를 약하게 만들지 않기 위해, 각 디스크의 표면 중 하나의 오목부들은 다른 표면의 오목부에 대해 상기 축(51)을 중심으로 각도를 이루어 오프셋된다(angularly offset). 그렇지 않으면, 상기 오목부들의 바닥에서 디스크 두께가 매우 감소된다. 용어 "크라운(crown)"은 상기 축(51)에 수직인 동일한 평면 내에서 연장되는 공간들의 그룹을 의미한다. 각 디스크의 오목부들의 각도 있는 오프셋은 연이은 공간들의 두 크라운 내에서 그 공간들을 만든다. 이 경우, 각 크라운 내의 공간의 개수를 고려할 때, 이 오프셋은 1회전의 16분의 1이다.
상기 디스크들은 상기 공간들(37)이 생겨나는 중앙에 오목부(39)를 갖는다.
이 실시 예에서, 상기 강모들과 상기 공간들의 개수가 동일하도록 각각의 공간(37)은 오직 하나의 강모(3)만을 수용한다. 따라서, 상기 공간들(37)과 마찬가지로, 상기 강모들(3)은 상기 축(51)에 수직인 동일 평면에 연관된 8개의 강모들을 포함하는 크라운을 형성한다.
상기 강모들은 상기 축(51) 둘레로 연장되고, 일부는 상기 축의 양 측면 상에서 정반대로 대향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강모들은 상기 축과 평행인 열들(rows)을 형성한다. 상기 열들은 상기 축을 중심으로 고르게 분포되며 상기 강모들은 각 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 실시 예에서, 특히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강모는 비드(bead)(13) 형태의 릴리프(relief)를 갖는다. 이 경우에서, 상기 비드는 상기 강모의 자유 단부 쪽으로 향하는 비드의 측면 상에 평평한 표면을 갖는다. 상기 비드는 상기 강모의 중간 부분으로 연장되며 따라서 이의 각 단부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한다.
이 예에서, 각 크라운의 강모들(3)은 상기 강모들이 상기 강모들의 내측 단부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는 그룹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도 4a에서 볼 수 있듯이, 각 그룹에는 별 형태의 배치 형태가 부여된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형태의 강모들의 그룹은 상기 강모들이 각각의 공간에 수용되도록 2개의 연속적인 디스크 사이에 삽입된다.
상기 강모들은 마스카라 도포기 브러쉬를 제조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동일한 돌출부 그룹의 강모들이 상이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층에 위치한 강모들이 반드시 동일한 조성을 가질 필요는 없다.
강모들의 각 그룹은 상기 강모들이 연결되는 중앙 부시(central bush)(12)를 포함한다. 상기 물품은 액츄에이터(actuator)를 형성하는 직선형 로드(rectilinear rod)(4)를 포함한다. 상기 부시(12)는 그의 중앙에 개구부(15)를 가져, 상기 액츄에이터(4)가 각 부시를 관통하여 통과하도록 한다. 따라서, 모든 부시가 상기 액츄에이터에 끼워 맞춰져 축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다. 따라서, 아래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들이 수축 위치에 있거나 또는 돌출하도록, 상기 도포기의 특정 층의 강모들의 그룹(10)의 중앙 부분(12)이 상부 및/또는 하부 층의 강모들의 그룹의 중앙 부분과 접촉한다. 상기 액츄에이터(4)는 상기 액츄에이터 상의 상기 부시들을 축 방향으로 차단하도록 이의 최종 자유 단부에 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액츄에이터(4)는 상기 도포기의 상기 강모들을 수축 위치로부터 연장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축(51)을 향해 상기 몸체(1) 내에서 미끄러질 수 있게 장착된다. 상기 액츄에이터(4)는 추가(extra) 두께(8)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1)는 상기 수축 위치와 관련된 상기 몸체에서의 액츄에이터 운동의 최종 스트로크(stroke)의 단부를 결정하도록 이 추가 두께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견부(shoulder)(41)를 갖는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의 다른 방향으로의 스트로크를 제한하기 위한 배열이 제공된다.
특히 도 2a 및 3a에서 도시된 상기 수축 위치에서, 상기 강모들은 상기 몸체(1) 내에서 전부 펼쳐진다. 특히 도 2b 및 도 3b에서 도시된 상기 연장 위치에서, 상기 강모들(3)은 각 강모의 길이의 주요 부분에 걸쳐 상기 축(51)에 대해 방사형으로 상기 몸체 외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강모의 각각의 자유 단부가 상기 수축 위치로부터 상기 연장 위치까지 상기 도포기의 종 축(51)을 횡단하는 궤적을 따르도록 상기 도포기가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강모들을 상기 수축 위치로부터 상기 연장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액츄에이터(4)는 도 1에 도시된 T 방향으로 종 축을 따라 직선 이동한다. 다시 원위치로 바꾸기 위해서는, S 방향으로 종 축을 따라 직선 이동한다.
상기 수축 위치에서, 상기 비드(13)는 상기 몸체의 외면으로부터 후방 위치로 명확하게 후퇴된다. 이 실시 예에서, 상기 강모의 자유 단부는 이 표면과 동일한 레벨 상에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비드 위 및 상기 강모 주위의 공간에 자유 체적, 대체로 슬리브 형태인(sleeve-shaped) 체적이 제공된다. 아래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자유 체적은 메이크업 제품이 적재되기 위한 것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장 위치에서, 상기 비드는 상기 몸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비드 위의 공간의 체적을 채우는 메이크업 제품의 용량이 모두 휩쓸려 상기 몸체 밖으로 완전히 나온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 위치에서 각 그룹의 강모들은 상기 축(51)에 수직인 동일 평면 내에 모두 존재한다. 그 때, 상기 액츄에이터의 단부는 상기 뚜껑의 중앙 오목부(38)에 수용된다.
수축 위치에서, 상기 강모들은 두 개의 굽은 곳이 있는 "S" 형태를 갖는다. 이는 수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강모들이 이들의 공간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도포기를 상기 케이스 내에 보관하는데 필요한 공간을 감소시키는 이점이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상기 디스크의 중앙 공간은 상기 축(51)에 평행하게 놓인 강모들의 내측 단면을 수용하기에 충분할 만큼 크게 제공된다.
기계 장치
이하, 상기 브러쉬(11)의 상기 몸체(1)로부터의 상기 강모들(3)의 돌출 및 상기 케이스로부터의 상기 브러쉬의 돌출을 제어하는 기계 장치를 설명한다. 이 기계 장치는 제어 부조립체(36)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어 부조립체(36)는 가이드(20), 푸셔(pusher)(25), 스프링(spring)(27), 상기 브러쉬(26)의 진입/배출 배럴(entry/exit barrel) 및 니들(needle)(9)을 포함한다.
상기 액츄에이터(4)의 원위 단부(distal end portion)는 상기 강모들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의 근위 단부(proximal end)는, 특히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부조립체(36)의 중앙 직선 니들(9)의 원위 단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니들(9)은 중공(hollow) 원통형 푸셔(25)의 원위 단부에 그의 근위 단부에 의해 견고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연결은 나사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고 상기 축(51)을 따라 상기 케이스에 대해 함께 미끄러지는 여러 부품, 즉 상기 푸셔(25), 니들(9) 및 액츄에이터(4)로 구성된 장비가 형성된다.
상기 부조립체는, 한편으로는 상기 케이스에 대해, 다른 한편으로는 그것이 끼워 맞춰진 니들(9)에 대해 상기 축(51)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게 장착되는 대체로 중공인 원통형 부품으로 형성된 배럴(26)을 추가로 포함한다.
스프링(27)은 상기 배럴(26)과 상기 푸셔(25) 사이에 축 방향으로 삽입되며 상기 바늘(9)에 끼워 맞춰진다. 상기 스프링(27)은 그의 원위 단부가 상기 배럴(26)의 근위 단부의 견부에 대해, 그리고 그의 근위 단부가 상기 푸셔(25)의 원위 단부에 대해 접촉한다.
상기 기계 장치는 또한 대체로 원통형인 중공 부품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20)를 포함한다. 이 부품은 원위 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이는 또한 상기 축(51)에 평행하고 서로 대향하여 연장되는 2개의 길쭉한 측면 노치들(lateral notches)(54)을 제공하도록 개방되어 있다. 이 부품은 상기 케이스의 움직이는 부품(47)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부품(47)이 작동되면 상기 가이드(20)가 작동된다.
상기 푸셔(25)는 그 근위 단부에 상기 가이드의 상기 노치들(54) 내에 수용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에 대해 상기 푸셔를 안내하기 위해 그 내부로 미끄러질 수 있는 2개의 릴리프들(35)을 포함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제어 부조립체는 튜브(19) 내부에 배치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는 원통형 튜브로서, 이의 근위 단부는 상기 가이드(20) 영역에 위치하고 원위 단부는 상기 도포기의 배출구의 오리피스(17)를 갖는 상기 케이스의 원위 단부에 위치한다.
상기 튜브(19)는 상기 가이드 부근의 내면 상에, 상기 튜브의 내면에 홈(groove)을 형성하는 이중 나선 나사(33)를 갖는다. 상기 나사는 상기 축(51)을 따라 2개의 상이한 피치(pitches)를 갖는 2개의 연속적인 구획(55, 56)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튜브의 근위 단부로부터의 제 1 구획은 제 1 피치를 가지며 제 2 구획은 상기 제 1 피치보다 작은 제 2 피치를 갖는다. 상기 푸셔의 상기 릴리프들(35)은 그 표면 상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탭(tab)(42)을 갖는다. 이들 탭은 상기 튜브(19)의 상기 이중 나사(33)의 2개의 연속적인 구획(55, 56)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튜브(19)는, 상기 튜브의 중간 부분에서, 상기 배럴(26)의 근위 단부(38)용 마개를 형성하는 환형 내부 릴리프(29)를 갖는다.
상기 튜브(19)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 바람직하게는 배출구의 오리피스(17) 근처의 원위 단부에 2개의 방사형 개구부(radial openings)(30)를 갖는다. 상기 2개의 개구부는 상기 축의 양 측면 상에서 서로 정반대로 대향한다.
상기 튜브의 원위 단부는 상기 튜브의 나머지 부분의 단면보다 큰 나팔 모양의 구획을 갖는다. 이러한 큰 구획은 밸브(18)의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도 11a 내지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19)는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된다. 상기 튜브 주위에 남아있는 환형 주변 공간은 마스카라 용기(21)에 의해 점유된다.
용기
따라서, 상기 마스카라 용기(21) 또는 카트리지(cartridge)는 환형 원형 단면을 갖는 원통형 슬리브(sleeve)를 갖는다. 이것은 동축의(coaxial) 외벽(58)과 내벽(59)을 포함한다. 마스카라(43)는 이들 2개의 벽 사이 및 상기 내벽의 외면(60) 쪽에만 존재한다. 상기 용기에 제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 표면은 상기 외벽의 내면에 대향한다. 상기 용기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고정 부품(48)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러쉬(11)는 상기 브러쉬가 사용되지 않을 때 상기 용기의 제품(43)과 접촉하지 않으며 상기 용기 내로 연장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상기 용기(21)는 상기 배출구의 오리피스(17) 부근에 위치한 상기 용기의 원위 단부에 2개의 개구부(28)를 갖는다. 이들 개구부는 상기 내부 튜브의 상기 2개의 유사한 개구부들(30)과 일치한다. 이들 개구부는 상기 축(51)의 방향으로 방사형 배향을 갖는다.
상기 용기로부터의 마스카라의 배출은 여러 방법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스카라는, 상기 용기의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개방될 때 마스카라가 압력에 의해 이 개구부를 통해 빠져 나오도록 상기 용기 내부에서 가압 상태로 유지된다.
여기에서, 도 11a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카라는 피스톤(22) 및 스프링(23)의 기계 장치에 의해 상기 용기 내에서 가압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스프링 및 피스톤은 이들이 수용되는 상기 용기의 형태와 유사한 환형을 갖는다. 상기 피스톤(22)은 상기 용기의 벽들과 접촉한다. 이것은 상기 축(51)의 방향으로 상기 용기 내에서 미끄러지도록 이동 가능하다. 상기 스프링(23)은 그 원위 단부가 상기 피스톤에 대해 그리고 그 근위 단부가 상기 용기의 근위 단부에 대해 지지된다. 상기 용기에서 마스카라가 점차적으로 비워짐에 따라, 상기 피스톤은 스프링 작용으로 인해 상기 용기의 원위 단부 쪽으로 이동한다.
상기 장치는 밸브(18)를 추가로 포함하며, 이는 특히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 밸브는 대체로 원통형이며, 측벽에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수 개의 방사형 개구부(45)를 갖는다. 이는 상기 튜브의 나팔 모양의 구획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튜브(19)에 대해 미끄러질 수 있게 장착된다. 상기 밸브는 중심에 축(51)을 갖는 원통형 하우징(housing)을 가지며, 이는 상기 브러쉬(11)에 의해 횡단될 수 있다.
상기 밸브는 근위 위치(proximal position)에서 원위 위치(distal position)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밸브(18)의 상기 근위 위치는 상기 밸브의 개구부들(45)이 상기 용기(21) 및 상기 튜브(19)의 개구부들과 일치하지 않는 폐쇄 위치이다. 상기 원위 위치는 상기 밸브의 개구부들이 상기 용기 및 상기 튜브의 개구부들과 일치하는 개방 위치이다.
상기 밸브는 상기 근위 위치로의 밸브 후퇴 축(51)(axis 51 of the valve retraction)을 갖는 하나 이상의 나선형 탄성 스트립들(helical elastic strips)(46)을 갖는다. 상기 스트립들은 밸브 몸체의 원위 표면에 고정된 근위 단부 및 상기 오리피스(17)의 단부에 대해 축 방향으로 지지된 자유 원위 단부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마스카라 도포기가 상기 케이스에서 빠져 나오면, 이들 스트립은 마스카라가 상기 용기로부터 분배되는 것을 멈추게 한다.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의 상기 밸브의 미끄러짐은 상기 브러쉬를 상기 케이스 밖으로 돌출시키기 위한 브러쉬 운동 작용 하에서 마찰에 의해 발생한다. 반대 방향으로의 미끄러짐은 스트립들 후퇴의 효과에 따라 발생한다.
작동
상기 도포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상기 물품이 도 1 및 도 11a의 구성을 가지며, 상기 브러쉬(11)가 후퇴 위치에서 완전히 상기 케이스 내에 존재하고, 따라서, 수축 위치에서 강모들(3) 전체가 완전히 상기 몸체(1)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움직이는 부품(47) 및 따라서 상기 가이드(20)는 상기 축(51)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 부품(48)에 대해 회전된다.
이 경우, 상기 푸셔의 상기 가이드 릴리프들(35)의 상기 탭들(42)은 상기 튜브(19)의 상기 나사(33)의 제 1 근위 구획(proximal part) 내에서 움직인다. 이들 릴리프가 상기 가이드(20)의 노치들(54)에 회전식으로 고정되므로, 상기 푸셔(25)는 T 방향으로 상기 축(51)의 방향을 따라 미끄러진다.
상기 스프링(27)의 작용 하에서, 상기 푸셔(25)는 상기 배럴(26), 니들(9), 액츄에이터(4) 및 브러쉬(11)를 그와 함께 미끄러지도록 구동한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미끄러짐은 상기 케이스의 몸체로부터 상기 도포기가 배출되게 한다. 이 경우, 상기 브러쉬의 모든 디스크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존재한다. 상기 미끄러짐은 상기 배럴(26)의 근위 단부(38)가 상기 튜브(19)의 상기 지지체(29)에 대해 축 방향으로 정지될 때까지 지속된다.
이러한 배출 전까지의 이동 중에, 마찰에 의해 상기 브러쉬(11)는 상기 밸브를 관통하는 브러쉬 몸체와 접촉하는 밸브(18)의 미끄러짐을 야기하고, 따라서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변화시킨다. 따라서, 상기 용기(21), 튜브(19) 및 밸브(18)의 개구부들(28, 30, 45)이 일치되게 된다.
상기 스프링-피스톤 기계 장치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의 영향 하에서, 마스카라는 상기 용기의 2개의 개구부들(28)을 통해 상기 용기를 빠져나가고, 상기 튜브 및 상기 밸브를 통과하여 상기 브러쉬의 상기 공간들(37) 중의 일부의 자유 체적들 내로 퍼진다. 이들은 상기 개구부들 앞쪽에서 상기 브러쉬가 통과하는 동안 제품 흐름에 노출되는 공간들이다. 다른 공간들에는 상기 제품이 적재되지 않는다.
접합(abutment) 이후,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의 움직이는 부품을 계속해서 회전시키기 때문에, 상기 푸셔(25)는 T 방향으로 계속 미끄러지고, 상기 푸셔의 상기 가이드 릴리프들(35)의 상기 탭들(42)은 상기 튜브(19)의 상기 나사의 제 2 원위 구획을 횡단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미끄러짐은 상기 스프링(27)을 압축함으로써 발생한다. 상기 푸셔는 상기 니들(9) 및 상기 액츄에이터(4)를 상기 축을 따라 구동하여,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모들(3)이 상기 도포기 몸체 내부의 수축 위치로부터 상기 도포기 몸체 외부로 돌출된 연장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이러한 작동시, 상기 스프링(27)은 상기 이동의 제 1 부분 동안, 즉, 상기 배럴(26)이 상기 튜브의 상기 견부(29)에 맞서 정지할 때까지 응력을 받지 않는다는 점이 주목된다. 상기 이동의 제 1 부분은 상기 릴리프들의 탭들이 상기 튜브의 상기 나사(33)의 제 1 구획(가장 큰 피치를 갖는 구획)을 통과하는 부분에 대응한다. 상기 이 운동의 제 1 부분은 상기 도포기 몸체로부터의 상기 브러쉬의 배출에 대응한다.
그 후, 상기 도포기의 강모들이 상기 도포기 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27)은 상기 이동의 제 2 부분에서 압축되고, 이는 상기 튜브의 상기 나사 (33)의 제 2 구획의 릴리프 탭들을 통과하는 것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강모들의 돌출시, 제품이 적재된 공간들과 관련된 강모들은 상기 공간들에 초기에 적재된 마스카라를 비드들을 사용하여 운반한다. 따라서, 마스카라가 적재된 곳은 상기 강모들 전체가 아니라 강모들의 자유 단부 부분이다. 특히, 상기 비드와 상기 브러쉬 몸체 사이에서 연장되는 상기 브러쉬의 부분에는 마스카라가 적재되지 않거나 매우 적은 양으로 적재된다. 따라서, 메이크업에 꼭 필요한 양의 마스카라만 상기 브러쉬에 적재된다.
이 실시 예에서, 상기 튜브(19)의 개구부들과 상기 용기의 개구부들은 원주의 일부분에 걸쳐서만 연장된다. 이것은 상기 브러쉬의 통과시 마스카라가 적재되는 것은 상기 공간들(37) 중의 일부에 불과함을 의미하며, 이 경우 상기 공간들 중 일부에는 적재되지 않는다.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이다. 실제로, 마스카라가 적재되지 않은 강모들이 마스카라가 적재된 강모들에 의해 속눈썹에 묻혀진 마스카라를 퍼지게 한다. 마스카라가 초기에 적재되지 않은 강모들은 속눈썹을 따라 마스카라가 잘 퍼지게 한다. 속눈썹의 메이크업 동안, 마스카라는 초기에 적재된 강모들로부터 속눈썹으로 전달되고, 또한 초기에 적재되지 않은 강모들로 전달되고, 이어서 이들로부터 속눈썹으로 전달된다. 일반적으로, 메이크업 후 브러쉬에 남아있는 마스카라의 양이 최소화된다.
특히, 상기 브러쉬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완전히 빠져 나가기 전에 그리고 상기 브러쉬 몸체로부터 상기 강모들이 빠져 나가기 전에, 상기 브러쉬에 마스카라가 적재된다. 이러한 특징들 각각은 고유한 이점을 갖는다. 상기 케이스로부터 브러쉬가 빠져 나가기 전에 브러쉬에 적재하면 용기의 내용물을 주위의 자유 공기와 직접 접촉시키지 않아 건조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강모들이 빠져 나가기 전에 상기 브러쉬의 공간들에 적재하면 브러쉬 상에 묻는 제품의 양이 감소된다.
상기 브러쉬 상에 적재될 마스카라의 양은 주로 상기 공간들의 자유 체적에 따라 결정되며, 따라서 그 구성 및 상기 강모들의 구성에 의해 결정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제 2 실시 예에서, 물품(150)은 종래의 마스카라 도포기, 예를 들어 강모들이 안으로 접어 넣을 수 있지 않는 도포기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도포기는 2개의 꼬인 금속 와이어들 사이에 낀 강모들(3)을 포함하는 긴 솔형 브러쉬(111)이다. 이러한 도포기는 상기 도포기가 상기 케이스 내로 완전히 연장되는 위치를 차지할 수 있으며, 그 때, 상기 케이스 내부의 중앙 부분의 이용 가능한 직경이 강모들이 연장된 상태의 상기 도포기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그 강모들은 굽어진다. 이 경우, 상기 제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도포기는 T 방향으로 주축을 따라 세로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상기 도포기가 밸브를 통과하면 상기 밸브가 개방 위치로 들어가므로 상기 브러쉬에 마스카라가 적재되게 된다.
따라서 이 작동은, 상기 브러쉬의 몸체 외부로 상기 강모들을 연장하는 이동이 수행되지 않으며 상기 기계 장치에서의 대응 부품들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면 이전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다.
대안적으로, 사용되는 밸브(18)가 전술한 밸브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밸브의 근위 단부의 일부분은 그의 공칭 직경(nominal diameter)에 비해 감소된 직경을 갖는다. 상기 도포기의 직경은 상기 밸브의 공칭 직경 이하이며 상기 밸브의 상기 감소된 직경보다 크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물품의 몸체를 떠날 때 상기 도포기의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밸브의 상기 감소된 부분을 파지(grip)하고 상기 도포기 몸체를 따라 깔려서, 상기 밸브(18)의 개구부들(45)이 상기 튜브(19) 및 상기 화장품용 용기(21)의 개구부들(30, 28)과 일치하도록 상기 밸브를 상기 배출구의 오리피스(17)쪽으로 구동한다. 이러한 개구부의 일치는 상기 용기에 저장된 제품(43)의 배출을 야기한다. 상기 돌출부들이 감소된 직경을 갖는 상기 밸브의 부분을 통과하고 나면, 상기 돌출부들은 똑바로 펴지며, 적어도 이들의 일부는 상기 밸브의 개구부와 대향하고, 이들의 단부는 제품으로 적재된다. 상기 도포기가 상기 물품의 몸체 외부로 연장되면, 상기 밸브의 후퇴 스트립들(46)은 상기 밸브, 튜브 및 용기의 개구들이 더 이상 일치하지 않도록 상기 축(51)을 따라 S 방향으로 상기 밸브를 구동하여, 화장품의 분배를 종결시킨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는 점이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의 구성은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제거 가능한 뚜껑을 포함하는 케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포기는 상기 뚜껑에 영구적으로 고정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공간 크라운은 전술한 공간 개수와 상이한 개수의 공간을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는 강모들의 각 그룹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도포기가 브러쉬일 필요는 없다. 상기 도포기는 플로킹 처리된(flocked) 도포기나 빗(comb)일 수 있다.
상기 돌출부들은 강모가 아닌 톱니(teeth)나 핑거(fingers)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품들의 많은 특징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다음 세 가지 양태가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 상기 도포기의 돌출부들은 수축 위치와 이들 돌출부가 상기 수축 위치에서보다 상기 도포기의 몸체 외부로 더 연장되는 연장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됨,
- 제품이 외벽에 대향하는 내벽의 한쪽 면에만 존재하는, 외벽 및 내벽을 갖는 용기의 구성, 및
- 상기 도포기가 후퇴 위치와 상기 도포기가 상기 후퇴 위치에서보다 상기 케이스 외부로 더 연장되는 돌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케이스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됨.
상기 용기 내의 상기 피스톤의 후퇴 스프링(23)은 다른 후퇴 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밸브 이외의 폐쇄 부재(closing member)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기의 입구에는 제거 가능한 마개(plug)가 끼워 맞춰질 수 있다.

Claims (18)

  1. 화장품용 용기(21)로서,
    외벽(58);
    상기 외벽과 상기 용기의 축(51) 사이에서 연장되는 내벽(59); 및
    화장품(43)으로서, 상기 외벽과 대향하는 상기 내벽(59)의 표면(60) 쪽에만 존재하는 화장품(43)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의 단부들 중 하나에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28)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부(28)를 폐쇄하기 위한 밸브(18)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밸브는 상기 밸브를 폐쇄 위치로 후퇴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나선형 탄성 스트립(46)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밸브는 브러쉬가 케이스 밖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브러쉬의 운동 작동 상태에서 마찰에 의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미끄러지며;
    상기 나선형 탄성 스트립은, 밸브 몸체의 원위 표면에 고정된 근위 단부 및 오리피스의 단부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지지된 자유 원위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28)는 서로 대향하는 2개 이상의 개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 1 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28)는 상기 축(51)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 1 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개구부(28)를 향해 상기 화장품을 밀어낼 수 있는 수단들(22, 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들은 피스톤(22) 및 스프링(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 삭제
  8. 삭제
  9. 화장품용 물품(50, 150)으로서,
    제 1 항 또는 제3항에 따른 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물품(50, 150).
  10. 제 9 항에 있어서, 케이스(47, 48) 및 도포기(11, 111)를 포함하고,
    상기 도포기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며, 후퇴 위치와 상기 도포기가 상기 후퇴 위치에서보다 상기 케이스로부터 더 연장되는 돌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케이스에 대해 이동 가능하며,
    상기 물품은, 상기 도포기가 상기 축(51)에 평행인 궤적을 따라 상기 후퇴 위치로부터 상기 돌출 위치로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물품(50, 150).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화장품을 상기 도포기(11, 111)로 전달할 수 있는 수단들(28, 45, 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50, 150).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기가 상기 후퇴 위치로부터 상기 돌출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도포기(11, 111)에 상기 화장품을 전달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50, 150).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기(11, 111)가 상기 후퇴 위치로부터 상기 돌출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도포기가 상기 용기를 개방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50, 150).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기(11, 111)가 상기 돌출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용기가 폐쇄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50, 150).
  15. 제 10 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양의 화장품을 상기 도포기(11, 111)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50, 150).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기(11, 111)는 돌출부들(3)을 포함하고, 상기 물품은 상기 돌출부들의 일 단부에만 상기 화장품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50, 150).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 중 일부와만 대향하는 도포기(11, 111) 상에 또는 상기 돌출부들 중 일부에만 상기 화장품을 전달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50, 150).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기는 몸체(1, 2)와 돌출부들(3)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들은 수축 위치와 상기 돌출부들이 상기 수축 위치에서보다 상기 몸체 외부로 더 연장되는 연장 위치 사이에서 상기 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도포기는, 상기 돌출부들의 일 자유 단부가 상기 수축 위치로부터 상기 연장 위치까지 상기 축(51)을 횡단하는 궤적을 따르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50).
KR1020187004679A 2015-07-21 2016-07-20 화장품용 용기 KR1025288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556913A FR3039044A1 (fr) 2015-07-21 2015-07-21 Reservoir de produit cosmetique
FR1556913 2015-07-21
PCT/FR2016/051871 WO2017013357A1 (fr) 2015-07-21 2016-07-20 Réservoir de produit cosmé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492A KR20180034492A (ko) 2018-04-04
KR102528842B1 true KR102528842B1 (ko) 2023-05-04

Family

ID=54329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4679A KR102528842B1 (ko) 2015-07-21 2016-07-20 화장품용 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350724B2 (ko)
EP (1) EP3324783B1 (ko)
JP (1) JP7033058B2 (ko)
KR (1) KR102528842B1 (ko)
CN (1) CN107920648B (ko)
FR (1) FR3039044A1 (ko)
WO (1) WO20170133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7751B1 (fr) 2020-12-22 2023-01-27 Chanel Parfums Beaute Article cosmétique à applicateur rétractab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6643A (ja) * 1998-12-03 2000-06-20 Yutaka Michiwaki 流動体塗布具
JP2001198516A (ja) * 2000-01-14 2001-07-24 Yutaka Michiwaki 流動体の分配用器具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5591A (en) 1935-05-25 1935-12-24 Folsom-Jones Laurie Reservoir applicator
US3428404A (en) * 1966-04-28 1969-02-18 Pasqualina J Ciancio Liquid applicator
US5027838A (en) * 1990-05-14 1991-07-02 Chesebrough-Pond's Usa Co., Division Of Conopco, Inc. Cosmetic applicator brush
US6371129B1 (en) * 2000-02-18 2002-04-16 Revlon Consumer Products Corporation Dispenser for fluid materials
DE10139995A1 (de) * 2001-08-16 2003-02-27 Steffen Homann Vorrichtung zum Auftragen von flüssigen, viskosen oder pastösen Substanzen
DE20217821U1 (de) * 2002-11-18 2003-03-20 Schwan Stabilo Cosmetics Gmbh Schminkgerät
US6968848B2 (en) * 2002-12-13 2005-11-29 Grant George L Retractable bristle brush
CN2606543Y (zh) * 2003-02-11 2004-03-17 洽兴塑胶厂股份有限公司 化妆品容器定量出料装置
FR2890295B1 (fr) * 2005-09-07 2007-11-23 Bourjois Soc Par Actions Simp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e produit cosmetique fluide a applicateur integre
US9596918B2 (en) * 2006-10-26 2017-03-21 Albéa Services Devices and methods for pressurized delivery of materials in cosmetic dispensers
KR100995077B1 (ko) * 2008-02-20 2010-11-18 최만수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
CN101674749B (zh) * 2007-03-15 2012-04-25 株式会社资生堂 推进容器
US20100065080A1 (en) 2008-06-25 2010-03-18 Charlotte Wynne Retractable mascara brush
US7955014B2 (en) * 2008-11-13 2011-06-07 Hct Asia Ltd Dispenser with moving assembly with encased valve
US8408218B2 (en) * 2010-06-04 2013-04-02 Hct Asia Ltd Applicator with extendable implement
CN201888410U (zh) * 2010-10-14 2011-07-06 上海惠慧企业发展有限公司 可调整用量比例的按压式双色润肤瓶
FR2970849B1 (fr) * 2011-01-27 2013-02-22 Dior Christian Parfums Dispositif applicateur de produit et son utilisation.
CN202680954U (zh) * 2012-05-21 2013-01-23 张思义 液体化妆笔的旋转结构
WO2014024040A2 (en) * 2012-08-06 2014-02-13 M.Y.H Ltd Multi-purpose makeup applic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6643A (ja) * 1998-12-03 2000-06-20 Yutaka Michiwaki 流動体塗布具
JP2001198516A (ja) * 2000-01-14 2001-07-24 Yutaka Michiwaki 流動体の分配用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39044A1 (fr) 2017-01-27
JP7033058B2 (ja) 2022-03-09
CN107920648A (zh) 2018-04-17
US11350724B2 (en) 2022-06-07
WO2017013357A1 (fr) 2017-01-26
EP3324783B1 (fr) 2021-03-03
KR20180034492A (ko) 2018-04-04
CN107920648B (zh) 2021-08-20
US20180206615A1 (en) 2018-07-26
EP3324783A1 (fr) 2018-05-30
JP2018521771A (ja)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6913B2 (en) Cosmetic applicator with internal applicators that can be pushed out and rotated
US11882926B2 (en) Adjustable applicator
KR102556717B1 (ko) 이동 가능한 돌출부들을 갖는 화장품 도포기
JP2011504376A (ja) 少なくとも部分的に多孔性のある吸収体を保持して制御式に小出しするためのデバイスと、それとともに使用するための吸収体
MXPA00007118A (es) Dispositivo para el peinado de pestanas y de cejas y dispositivo de acondicionamiento asi equipado.
WO2009051904A1 (en) Retractable substance dispenser
KR101129657B1 (ko) 포장 및 도포 장치
JP6667513B2 (ja) アプリケーターおよびメークアップ製品のディスペンサーを含むメークアップアイテム
KR102528842B1 (ko) 화장품용 용기
KR102528841B1 (ko) 이동 가능한 도포기를 구비한 화장품용 물품
JP7203819B2 (ja) ボールの形態の製品を分配するための装置
JPH0591510U (ja) 化粧液の押し出し塗布具
KR102544005B1 (ko) 회전 화장품 어플리케이터 시스템
WO2021122425A1 (en) Cosmetic product refill, loading assembly, dispensing mechanism and associated kit
CN111067234B (zh) 一种旋转式睫毛刷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