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077B1 -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077B1
KR100995077B1 KR1020080015250A KR20080015250A KR100995077B1 KR 100995077 B1 KR100995077 B1 KR 100995077B1 KR 1020080015250 A KR1020080015250 A KR 1020080015250A KR 20080015250 A KR20080015250 A KR 20080015250A KR 100995077 B1 KR100995077 B1 KR 100995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liquid
groove
cosmetic
protrusion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0022A (ko
Inventor
최만수
Original Assignee
최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만수 filed Critical 최만수
Priority to KR1020080015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077B1/ko
Priority to PCT/KR2008/001014 priority patent/WO2008102992A1/en
Publication of KR20090090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1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 B65D83/0016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the contents being forced out through the screw-shaf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는 유출홈 및 상부 밀폐부재를 구비한 화장액 저장부와, 상부 내면에 상기 유출홈을 밀폐시키는 압착부재가 형성된 캡과, 상기 화장액 저장부의 하부와 결합되며 관통홈과, 하부 밀폐부재와, 걸림돌기 및 이송홈이 형성되고, 내부가 관통된 몸체부에 외접하며 이송돌기홈이 형성된 외부하우징과, 화장액 유입공, 화장액 유출공이 형성된 화장액 유출 수단, 화장액 브러쉬 및 상기 이송돌기홈을 따라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이송돌기부를 구비한 내부가 관통형성된 화장액 도포부재 및 반원형의 상단 유동돌기와, 반원형의 하단 유동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화장액 유입공이 형성된 위치에 고정되고, 저면에 화장액 수용홈이 형성된 화장액 유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화장용기가 항상 일정한 양의 화장액을 원활하게 유출시킴으로써 사용하기 편리할 뿐만 아니라, 화장용기가 밀폐되어 있음으로써 화장액이 소진되기 직전까지 화장액의 변질 및 굳음을 방지할 수 있다.
화장액, 슬라이딩, 화장용기

Description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A RECEPTACLE FOR MAKE-UP CAPABLE OF SLIDING}
본 발명은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항상 일정한 양의 화장액을 원활하게 유출시킬 수 있어 사용하기 편리한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용기는 나사부가 형성된 병목을 갖는 화장용기에 화장액을 저장한다. 그리고, 병목의 나사부에 마개 겸 손잡이가 나사결합된다. 마개 겸 손잡이의 내부 중앙 하단에는 브러쉬가 부설된 화장액 도포부재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화장용기는 마개를 돌려서 화장액이 저장된 화장용기를 연 후, 화장액이 묻어있는 브러쉬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화장용기는 손질하고자 하는 부위에 화장액을 칠할 때, 브러쉬에 자주 화장액을 발라줘야 한다. 이때, 브러쉬를 화장용기에 담갔다 꺼내기를 반복해야 하므로, 외부 공기가 화장용기 내부로 유입되어 화장액이 쉽게 굳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화장액에는 알코올(Alcohol) 성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제품의 특성상 휘발성이 강하여 마개를 확실하게 밀폐시키지 않는 이상 쉽게 휘발되는 문제 점이 항상 내재되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화장용기의 마개는 확실한 밀폐력을 유지하지 못하여 화장용기 내의 화장액이 휘발되어 화장액이 굳어지거나 또는 변질되어 제품으로서의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항상 일정한 양의 화장액을 원활하게 유출시킬 수 있어 사용하기 편리한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장용기가 밀폐되어 있어 화장액의 변질 및 굳음을 방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는 상단부에 유출홈을 형성하고, 분사돌기가 형성된 상부 밀폐부재가 병목부 내부에 위치한 화장액 저장부와, 상부 내면에 상기 유출홈을 밀폐시키는 압착부재가 형성된 캡과, 상기 화장액 저장부의 하부와 결합되며 상단면에 관통홈과, 상기 관통홈 내에 설치된 하부 밀폐부재와, 상부 일 영역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걸림돌기 및 대향하는 두 면의 하단부부터 상기 걸림돌기 하부까지 연장되도록 이송홈이 형성되고, 내부가 관통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외접하며, 내면에 상기 걸림돌기가 체결되는 걸림돌기 수용부 및 이송돌기홈이 형성된 외부하우징과, 상기 유출홈 및 관통홈을 통하여 슬라이딩되며, 하부에 형성된 화장액 유입공, 상단 단부에 체결되어 화장액 유출공이 형성된 화장액 유출 수단, 상기 화장액 유출 수단 상부에 연결된 화장액 브러쉬 및 상기 수용홈을 따라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하단 단부에 이송돌기부를 구비하고, 내부가 관통형성된 화장액 도포부재 및 상부면에 상기 화장액 저장부에 내접하는 반원형의 상단 유동돌기와, 상기 반원형의 상단 유동돌기의 일정 영역 하부에 상기 반원형의 상단 유동돌기와 겹쳐지지 않도록 상기 화장액 저장부에 내접하는 반원형의 하단 유동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화장액 도포부재의 화장액 유입공이 형성된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화장액 유입공과 접하는 저면에 화장액 수용홈이 형성되는 화장액 유동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는 상단부에 유출홈을 형성하고, 병목부 내부에 밀폐홈 및 제1 링형 밀폐부재가 위치한 화장액 저장부와, 상부 내면에 상기 유출홈을 밀폐시키는 압착부재가 형성된 캡과, 상기 화장액 저장부의 하부와 결합되며 상단면에 관통홈과, 상기 관통홈 내에 설치된 제2 링형 밀폐부재와, 상부 일 영역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걸림돌기 및 대향하는 두 면의 하단부부터 상기 걸림돌기 하부까지 연장되도록 이송홈이 형성되고, 내부가 관통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외접하며, 내면에 상기 걸림돌기가 체결되는 걸림돌기 수용부 및 이송돌기홈이 형성된 외부하우징과, 상기 유출홈 및 관통홈을 통하여 슬라이딩되며, 하부에 형성된 화장액 유입공, 상단 단부에 체결되어 화장액 유출공이 형성된 화장액 유출 수단 및 상기 이송돌기홈을 따라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하단 단부에 이송돌기부를 구비하고, 내부가 관통된 화장액 도포부재 및 하부면에 상기 화장액 저장부에 내접하는 반원형의 상단 유동돌기와, 상기 반원형의 상단 유동돌기의 일정 영역 상부에 상기 반원형의 상단 유동돌기와 겹쳐지지 않도록 상기 화장액 저장부에 내접하는 반원형의 하단 유동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화장액 도포부재의 화장액 유입공이 형성된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화장액 유입공과 접하는 상면에 화장액 수용홈이 형성되는 화장액 유동부재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항상 일정한 양의 화장액을 원활하게 유출시킬 수 있음으로써,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장용기가 밀폐되어 있음으로써, 화장액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화장액이 소진되기 직전까지도 화장액이 굳지 않은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캡(170)을 개봉한 상태의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는 외부하우징(110)과 화장액 저장부(160)로 구성된다. 이때, 화장액 저장부(160)의 하부는 외부하우징(110)의 상부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화장액 저장부(160)의 최상단부에는 유출홈(161)이 형성되어, 브러쉬(미도시)가 화장액 저장부(160)의 내외부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화장액 저장부(160)의 병목부(162)에는 캡(170)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가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장액 저장부(160)는 화장액 도포부재(150)가 유출 가능하도록 상단부에 유출홈(161)이 형성되고, 병목부(162) 내부에는 분사돌기(183)가 형성된 상부 밀폐부재(180)가 위치한다.
상부 밀폐부재(180)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며, 화장액 도포부재(150)가 최하부로 이동하는 순간 화장액 유출공(158a, 도 4a 참조)으로 유출된 화장액이 분사돌기(183)에 의해 화장액 브러쉬(152)로 용이하게 분사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화장액 저장부(160)의 하부에 나사(111a) 결합되는 몸체부(111)의 상단면에는 화장액 도포부재(150)가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홈(112) 내부에는 탄성 재질로 형성된 하부 밀폐부재(151)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밀폐부재(151)는 화장액 도포부재(150)가 상하로 왕복이동할 시에 압력을 받아서 몸체부(111)와 화장액 저장부(160) 사이를 밀폐시킨다. 이에 의해, 화장액이 화장액 저장부(160)의 외부로 누수되지 않는다. 여기서, 몸체부(111)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몸체부(111)의 외면에는 외부하우징(110)이 둘러싸고 있다. 외부하우징(110)의 내면에는 이송돌기홈(119)이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 내면에는 걸림돌기 수용부(117)가 형성되어 있다. 몸체부(111) 상부의 일 영역의 둘레를 따라 외부하우징(110)의 걸림돌기 수용부(117)와 체결될 수 있는 걸림돌기(1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돌기(114)의 하부에서 몸체부(111)의 하단부까지 연장되 도록 몸체부(111)의 대향하는 두 면에는 이송홈(115)이 형성되며, 몸체부(111)의 내부는 관통 형성되어 있다.
화장액 도포부재(150)는 내부가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유출홈(161) 및 관통홈(112)을 통하여 슬라이딩된다. 화장액 도포부재(150)의 하부에 화장액 유입공(158b)이 형성되며, 상단 단부에 화장액 유출공(158a, 도 4a 참조)이 형성된 화장액 유출 수단(157)이 끼움결합되어 있다. 이때, 화장액 유출 수단(157)의 둘레는 화장액 도포부재(150)의 둘레보다 작게 형성되고, 화장액 유출 수단(157)의 상단면은 화장액 도포부재(150) 상단에 걸쳐지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화장액 유출 수단(157)의 상부에는 화장액 브러쉬(152)가 연결되어 있으며, 화장액 유출공(158a)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탄성재질의 밀폐조절수단(159)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밀폐조절수단(159)은 화장액 유출공(158a)으로 화장액이 유출되면, 유출 압력에 의해 밀폐조절수단(159)이 팽창되면서 화장액을 화장액 브러쉬(152)로 유출시킨다. 이에 의해, 그 외의 약한 압력이 가해질 경우에는 화장액 유출공(158a)을 통해 화장액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화장액 도포부재(150)의 하단 단부에는 외부하우징(110) 내면의 이송돌기홈(119)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이송돌기(155)가 형성된 이송돌기부(154)가 화장액 도포부재(150)의 관통된 내부에 끼움결합되어 있다. 이송돌기부(154)와 겹쳐진 화장액 도포부재(150)의 일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어홈(156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송돌기부(154)에는 제1 에어홈(156a)보다 일정 높이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2 에어홈(156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송돌기 부(154)의 제2 에어홈(156b)부터 하부면까지는 내부가 관통되도록 에어홀(15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에어홈(156a)과 제2 에어홈(156b)은 화장액 충전 시에 공기가 빠져나가는 통로 역할을 하며, 화장액이 충전되는 작동에 관하여는 추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화장액 도포부재(150)의 화장액 유입공(158b)이 형성된 위치에는 화장액 유동부재(113)가 고정되어 있다.
화장액 유동부재(113)는 화장액 도포부재(150)의 상하 이동에 따라 화장액 저장부(160)의 내부를 상하로 이동하면서 화장액을 끌어올리거나 끌어내리는 역할을 한다. 화장액 유동부재(113)는 화장액 저장부(160)의 둘레보다 작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면에 화장액 저장부(160)에 내접하는 반원형의 상단 유동돌기(113a)와, 반원형의 상단 유동돌기(113a)의 일정 영역 하부에 반원형의 상단 유동돌기(113a)와 겹쳐지지 않도록 화장액 저장용기(160)에 내접하는 반원형의 하단 유동돌기(113b)를 구비한다. 화장액 유입공(158b)과 접하는 화장액 유동부재(113)의 저면에는 화장액 수용홈(113c, 도 3 참조)이 형성된다.
또한, 화장액 저장부(160)의 병목부(162)와 결합되는 캡(17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병목부(162)에는 캡(170)과 결합되기 위한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캡(170) 상부 내면에는 유출홈(161)을 밀폐시키는 압착부재(171, 도 4b 참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캡(170)이 결합됨에 의해 화장액 브러쉬(152)가 외부의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의 보관 시에는 화장액 도포부재(150)의 화장액 브러쉬(152)는 화장액 저장부(160)의 유출홈(161) 내측에서 화장액에 침지되어 보관된다. 그리고, 화장액 도포부재(150)가 상부로 이동하는 경우에만 화장액 브러쉬(152)가 유출홈(161)을 통하여 돌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액 유동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장액 유입공과 접하는 화장액 유동부재(113)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화장액 수용홈(113c)이 형성되어 있다. 몸체부의 관통홈에 화장액 유동부재(113)가 결합되면, 화장액 유동부재(113)의 저면이 밀폐되면서 화장액 수용홈(113c)을 압축시키게 된다. 이에 의해, 화장액 수용홈(113c)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화장액이 화장액 도포부재에 형성된 화장액 유입공으로 유입되어 화장액 도포부재 상부에 형성된 화장액 유출공으로 유출된다. 화장액 유출공으로 유출된 화장액은 화장액 브러쉬에 묻게 되고, 이에 따라 화장액 브러쉬가 항상 촉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화장액 유동부재(113)는 화장액 도포부재가 하부로 슬라이딩되어 몸체부에 관통홈에 결합될 때, 화장액 유동부재(113) 저면에 형성된 화장액 수용홈(113c)에 수용된 화장액을 압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화장액 도포부재(113)가 몸체부 내부를 상하로 슬라이딩할 때, 반원형의 상단 유동돌기(113a) 및 반원형의 하단 유동돌기(113b) 사이로 화장액이 드나들 수 있다. 따라서, 화장액 도포부재는 화장액 저장부 내부의 상하부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상세한 화장액 유동부재(113)의 작동은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의 외부하우징을 시계 방향으로 완전히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구동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화장액 저장부(160)를 고정시키고 외부하우징(11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경우, 화장액 도포부재(150) 하단 단부에 끼움결합된 이송돌기부(154)의 이송돌기(155)가 외부하우징(110) 내면에 형성된 이송돌기홈(119)을 따라 상부로 이동한다. 동시에 화장액 도포부재(150) 상부에 형성된 화장액 브러쉬(152)는 유출홈(161)을 통해 외부로 나가게 된다. 유출홈(161)의 직경은 화장액 도포부재(150)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화장액 브러쉬(152)가 외부로 노출되더라도 화장액 저장부(160)는 외부와 밀폐될 수 있다.
그리고, 화장액 저장부(160)의 하부와 결합되며, 외부하우징(110)의 내면에 접하도록 형성된 몸체부(111)의 상부 일 영역의 둘레에 형성된 걸림돌기(114)는 외부하우징(110) 내면에 이송돌기홈(119)이 형성된 영역 상부에 위치하는 걸림돌기 수용부(117, 도 2 참조)에 끼워진다. 이에 의해, 외부하우징(110)이 회전하여 화장액 도포부재(150)가 상하로 이동하더라도 몸체부(111)는 상하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외부하우징(11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화장액 도포부재(150)의 이송돌기부(154)의 이송돌기(155)가 몸체부(111)의 대향하는 두 면에 형성된 이송홈(115, 도 2 참조)을 통해 몸체부(111)의 상부로 이동한다.
반원의 상단 유동돌기(113a) 및 하단 유동돌기(113b)가 화장액 저장부(160)에 각각 내접하도록 화장액 유입공(158b)이 형성된 위치에 고정된 화장액 유동부재(113)는, 저면에 화장액 수용홈(113c)이 형성되어 있다.
화장액 도포부재(150)가 상부로 이동 시 화장액 유동부재(113)도 상부로 이동하고, 반원의 상단 유동돌기(113a) 및 하단 유동돌기(113b) 사이로 화장액이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화장액 도포부재(150)의 이송돌기(155)가 외부하우징(110)의 이송돌기홈(119) 최상단까지 이동하였을 때, 화장액 유동부재(113)는 상부 밀폐부재(180)의 하단부까지 이동하게 된다.
즉, 화장 시 외부하우징(110)을 시계 방향으로 끝까지 회전시킴으로써, 화장액 도포부재(150)가 상부로 이동하는 동시에 보관 시 화장액이 묻어있는 브러쉬(152)가 외부로 나오게 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의 외부하우징을 반시계 방향으로 완전히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구동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화장액 저장부(160)를 고정시키고 외부하우징(110)을 반시계 방향으로 완전히 회전시킨 경우, 외부하우징(110) 내면에 형성된 이송돌기홈(119)의 최하단에 화장액 도포부재(150)의 하단 단부의 이송돌기(155)가 위치한다. 또한, 화장액 도포부재(150) 상부에 형성된 화장액 브러쉬(152)는 화장액 저장부(160)의 내부에 위치된다. 또한, 화장액 유동부재(113)는 몸체부(111)의 관통홈(112, 도 2 참조)에 결합되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화장을 하지 않을 시에는 외부하우징(11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화장액 브러쉬(150)를 화장액 저장부(160)의 내부로 넣을 수 있다. 따라서, 화장액 저장부(160)에 캡(170)을 체결하여 화장액 브러쉬(152)를 외부와 밀폐 시킴으로써, 적당히 촉촉한 상태로 유지시켜 항상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인 대기 중의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도 4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의 외부하우징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화장액 브러쉬가 화장액 저장부로 완전히 삽입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구동도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화장액 저장부(160)를 고정시키고 외부하우징(11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외부하우징(110) 내면에 형성된 이송돌기홈(119)을 따라 화장액 도포부재(150) 하단 단부에 형성된 이송돌기부(154)의 이송돌기(155, 도 2 참조)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화장액 도포부재(150) 상부에 형성된 화장액 브러쉬(152)는 유출홈(161, 도 2 참조)을 통해 화장액 저장부(160)의 내부에 위치된다.
또한, 화장액 도포부재(150)의 이송돌기(155)가 이송홈(115, 도 2 참조)을 통해 외부하우징(110)의 이송돌기홈(119)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여 화장액 도포부재(150)의 화장액 유입공(158b)이 형성된 위치에 고정된 화장액 유동부재(113)가 관통홈(112, 도 2 참조)과 맞닿는 순간, 화장액 유동부재(113)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화장액 수용홈(113c)에 수용된 화장액은 공간이 협소해지면서 화장액 유입공(158b)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유입된 화장액은 화장액 도포부재(150)의 내부를 따라 상부로 올라가 화장액 유출수단(157)에 형성된 화장액 유출공(158a)으로 유출된다. 이때 화장액 유출공(158a)이 형성된 화장액 도포부재(150)의 외면에 위치한 탄성 재질의 밀폐조절수단(159)이 유출 압력에 의해 팽창되면서 화장액을 화장액 저장부(160)로 유출시킨다. 화장액의 유출이 완료되면 밀폐조절수단(159)은 다시 화장액 유출공(158a)을 압축시켜 그 외의 약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화장액 유출공(158a)을 통해 화장액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화장액 도포부재(150)가 하부로 이동하여 관통홈(112, 도 2 참조)에 결합되는 순간, 화장액 유출공(158a)으로 유출되는 화장액이 상부 밀폐부재(180)의 분사돌기(183)에 의해 화장액 브러쉬(152)로 용이하게 분사된다. 이에 따라, 화장액 브러쉬(152)는 항상 촉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에 화장액을 충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동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에 화장액 충전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동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화장액이 소진되었을 경우 몸체부(111)를 둘러싸고 있는 외부하우징(110, 도 2 참조)과, 화장액 도포부재(150) 상부에 끼움결합되어 있는 화장액 브러쉬(152, 도 2 참조) 및 화장액 유출 수단(157, 도 2 참조)을 제거한다. 그리고, 화장액 도포부재(150)의 하부에 끼움결합되어 있는 이송돌기부(154)를 화장액 도포부재(150)에서 하부로 빼내어 제1 에어홈(156a)과 제2 에어홈(156b)이 일치하도록 한다.
이후, 이송돌기부(154)가 몸체부(111)의 최상단에 위치하도록 고정하고, 화장액 도포부재(150)의 상부로 화장액을 주입시킨다. 이에 의해 화장액은 화장액 유입공(158b)을 통해 화장액 저장부(160) 내부로 주입되게 된다. 그리고, 화장액 저장부(160) 내부에 있던 공기는 화장액이 주입되는 압력에 의해 제1 에어홈(156a) 및 제2 에어홈(156b)을 통해 에어홀(153)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제1 에어홈(156a) 및 제2 에어홈(156b)은 화장액 저장부(160) 내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화장액의 충전이 완료되면, 화장액 도포부재(150)의 상부로 주입되는 화장액을 차단시키고, 이송돌기부(154)를 화장액 도포부재(150)의 하부로 끝까지 밀어넣는다. 이에 의해, 제2 에어홈(156b)이 제1 에어홈(156a)보다 일정 높이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화장액 저장부(160)의 하부는 몸체부(111)와 밀폐되게 된다. 즉, 제1 에어홈(156a)과 제2 에어홈(156b)은 화장액 충전 시에 일치되어 공기가 빠져나가는 통로 역할을 한 뒤, 화장액 충전이 완료되면 밀폐된다. 또한, 화장용기 보관 시 화장액 저장부(160) 내부도 밀폐되어 진공 상태가 되므로, 화장액이 굳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기는 화장액 소진 시 간편하게 화장액을 충전하여 재활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의 외부하우징을 시계 방향으로 완전히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구동도이며, 도 7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의 외부하우징을 반시계 방향으로 완전히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구동도이다.
도 6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면, 화장액 저장부(260)의 병목부(262) 내부에는 화장액 유동부재(240)와 결합될 수 있는 형태의 밀폐홈(29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화장액 저장부(260)의 하부에 나사(211a) 결합되는 몸체부(211) 상부의 일 영역의 둘레를 따라 외부하우징(210)의 걸림돌기 수용부(217)와 체결될 수 있는 걸림돌기(2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돌기(214)의 하부에서 몸체부(211)의 하단부까지 연장되도록 몸체부(211)의 대향하는 두 면에는 이송홈(215)이 형성되며, 몸체부(211)의 내부는 관통 형성되어 있다.
화장액 도포부재(250) 하단부의 이송돌기부(254)에 형성된 이송돌기(255)가 몸체부(211)의 이송돌기홈(219)을 따라 상승하면, 화장액 도포부재(250)의 화장액 유입공(258b)이 형성된 위치에 고정된 화장액 유동부재(213)가 밀폐홈(290)에 끼워지게 된다. 밀폐홈(290)에는 제1 링형 밀폐부재(251)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화장액 수용홈(240c)이 압축되면서 화장액이 화장액 유입공(258b)을 통해 화장액 도포부재(250)의 상부를 따라 이동한다. 이때, 유입된 화장액을 통해 화장액 유출 수단(253)에 끼워진 밀폐조절수단(259)이 압력을 받으면 하부의 틈(280, 도 7 참조)이 벌어지면서 화장액 유출공(258a)으로 화장액이 유출된다. 밀폐조절수단(259)은 밀폐홈(290)에 화장액 유동부재(213)가 끼워져 화장액 수용홈(240c)에 압력이 작용할 때 외에 약한 압력에 의해 화장액 유출공(258a)으로 화장액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관통홈(212)에 결합된 제2 링형 밀폐부재(252)는 화장액 도포부재(250)가 상하 이동함에 따라 화장액이 화장액 저장부(260) 하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240a 및 240b는 각각 하단 유동돌기 및 상단 유동돌기이며, 작동 및 기능은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상단 유동돌기(113a) 및 하단 유동돌기(113b)와 동일하다.
그리고, 이송돌기부(254)와 겹쳐진 화장액 도포부재(250)의 일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어홈(256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송돌기부(254)에는 제1 에어홈(256a)보다 일정 높이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2 에어홈(256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송돌기부(254)의 제2 에어홈(256b)부터 하부면까지는 내부가 관통되도록 에어홀(257)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에어홈(256a)과 제2 에어홈(256b)은 화장액 충전 시에 공기가 빠져나가는 통로 역할을 한다.
또한, 화장을 하지 않을 시에는 화장액 도포부재(250)의 이송돌기(255)가 몸체부(211)의 이송돌기홈(219)을 따라 이동하며 하강되어 몸체부(211)가 외부하우징(210)에 삽입되고, 화장액 도포부재(250) 최상부의 화장액 유출 수단(253)은 화장액 저장부(260) 내부에 보관된다. 그리고 화장액 저장부(260)의 병목부(262)에 캡(270)이 결합되는데, 캡(270)의 상부 내면에는 압착부재(271)가 형성되어 화장액 유출홈(261)과 결합되면서 외부와 밀폐된다.
화장액 도포부재(250)가 몸체부(211)의 상하부를 이동하는 작동이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되었으므로, 상세한 작동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밀폐조절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밀폐조절수단(259)은 상부가 뚫린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압력을 받았을 경우 벌어질 수 있도록 틈(280)이 형성되어 있다. 화장액 유출 수단(253)의 하부에 끼워질 수 있으며, 밀폐홈(290)에 화장액 유동부재(240)가 결합되어 압축된 화장액이 화장액 유입공(258b)으로 유입되어 화장액 유출공(258a)에 압력을 가할 시에만 틈(280)이 벌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 외의 약한 압력을 받았을 경우에는 틈(280)이 벌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화장용기의 보관 시에 화장액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기는 항상 일정한 양의 화장액을 원활하게 유출시킬 수 있음으로써,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화장용기가 밀폐되어 화장액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화장액이 소진되기 직전까지도 화장액이 굳지 않은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액 유동부재의 저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의 외부하우징을 시계 방향으로 완전히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구동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의 외부하우징을 반시계 방향으로 완전히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구동도.
도 4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의 외부하우징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화장액 브러쉬가 화장액 저장부로 완전히 삽입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구동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에 화장액을 충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동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에 화장액 충전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의 외부하우징을 시계 방향으로 완전히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구동도.
도 7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의 외부하우징을 반시계 방향으로 완전히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구동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밀폐조절수단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210 : 외부하우징 111, 211 : 몸체부
113, 240 : 화장액 유동부재 150, 250 : 화장액 도포부재
158a, 258a : 화장액 유출공 158b, 258b : 화장액 유입공
159, 259 : 밀폐조절수단 157, 253 : 화장액 유출 수단
160, 260 : 화장액 저장부 155, 255 : 이송돌기

Claims (12)

  1. 상단부에 유출홈(161)을 형성하고, 분사돌기(183)가 형성된 상부 밀폐부재(180)가 병목부(162) 내부에 위치한 화장액 저장부(160);
    상기 화장액 저장부(160)의 병목부(162)와 결합되며, 상부 내면에 상기 유출홈(161)을 밀폐시키는 압착부재(171)가 형성된 캡(170);
    상기 화장액 저장부(160)의 하부와 결합되며 상단면에 관통홈(112)과, 상기 관통홈(112) 내에 설치된 하부 밀폐부재(151)와, 상부 일 영역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걸림돌기(114) 및 대향하는 두 면의 하단부부터 상기 걸림돌기(114) 하부까지 연장되도록 이송홈(115)이 형성되고, 내부가 관통된 몸체부(111);
    상기 몸체부(111)에 외접하며, 내면에 상기 걸림돌기(114)가 체결되는 걸림돌기 수용부(117) 및 이송돌기홈(119)이 형성된 외부하우징(110);
    상기 유출홈(161) 및 관통홈(112)을 통하여 슬라이딩되며, 하부에 형성된 화장액 유입공(158b), 상단 단부에 체결되어 화장액 유출공(158a)이 형성된 화장액 유출 수단(157), 상기 화장액 유출 수단(157) 상부에 연결된 화장액 브러쉬(152) 및 상기 이송돌기홈(119)을 따라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하단 단부에 이송돌기부(154)를 구비하고, 내부가 관통형성된 화장액 도포부재(150); 및
    상부면에 상기 화장액 저장부(160)에 내접하는 반원형의 상단 유동돌기(113a)와, 상기 반원형의 상단 유동돌기(113a)의 일정 영역 하부에 상기 반원형의 상단 유동돌기(113a)와 겹쳐지지 않도록 상기 화장액 저장부(160)에 내접하는 반원형의 하단 유동돌기(113b)를 구비하여, 상기 화장액 도포부재(150)의 화장액 유입공(158b)이 형성된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화장액 유입공(158b)과 접하는 저면에 화장액 수용홈(113c)이 형성되는 화장액 유동부재(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액 유출공(158a)이 형성된 상기 화장액 유출 수단(157)의 외면에는 탄성 재질의 밀폐조절수단(159)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액 도포부재(150)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어홈(156a)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돌기부(154)는 상기 화장액 도포부재(150)의 하부에 끼움결합되고,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에어홈(156a)보다 일정 높이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어홈(156b)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에어홈(156b)부터 하단부까지 내부가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홈(156a)과 상기 제2 에어홈(156b)은 화장액 충전 시 일치하도록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밀폐부재(18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
  7. 상단부에 유출홈(261)을 형성하고, 병목부(262) 내부에 밀폐홈(290) 및 제1 링형 밀폐부재(251)가 위치한 화장액 저장부(260);
    상부 내면에 상기 유출홈(261)을 밀폐시키는 압착부재(271)가 형성된 캡(270);
    상기 화장액 저장부(260)의 하부와 결합되며 상단면에 관통홈(212)과, 상기 관통홈(212) 내에 설치된 제2 링형 밀폐부재(252)와, 상부 일 영역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걸림돌기(214) 및 대향하는 두 면의 하단부부터 상기 걸림돌기(214) 하부까지 연장되도록 이송홈(215)이 형성되고, 내부가 관통된 몸체부(211);
    상기 몸체부(211)에 외접하며, 내면에 상기 걸림돌기(214)가 체결되는 걸림돌기 수용부(217) 및 이송돌기홈(219)이 형성된 외부하우징(210);
    상기 유출홈(261) 및 관통홈(212)을 통하여 슬라이딩되며, 하부에 형성된 화장액 유입공(258b), 상단 단부에 체결되어 화장액 유출공(258a)이 형성된 화장액 유출 수단(253) 및 상기 이송돌기홈(219)을 따라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하단 단부에 이송돌기부(254)를 구비하고, 내부가 관통된 화장액 도포부재(250); 및
    하부면에 상기 화장액 저장부(260)에 내접하는 반원형의 상단 유동돌기(240b)와, 상기 반원형의 상단 유동돌기(240b)의 일정 영역 상부에 상기 반원형의 상단 유동돌기(240b)와 겹쳐지지 않도록 상기 화장액 저장부(260)에 내접하는 반원형의 하단 유동돌기(240a)를 구비하여, 상기 화장액 도포부재(250)의 화장액 유입공(258b)이 형성된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화장액 유입공(258b)과 접하는 상면에 화장액 수용홈(240c)이 형성되는 화장액 유동부재(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액 유출 수단(253)의 하부를 둘러싸며, 하면에 틈(280)이 형성된 탄성 재질의 밀폐조절수단(259)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액 도포부재(250)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어홈(256a)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돌기부(254)는 상기 화장액 도포부재(250)의 하부에 끼움결합되고,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에어홈(256a)보다 일정 높이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어홈(256b)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에어홈(256b)부터 하단부까지 내부가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홈(256a)과 상기 제2 에어홈(256b)은 화장액 충전 시 일치하도록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형 밀폐부재(251) 및 제2 링형 밀폐부재(252)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
KR1020080015250A 2007-02-21 2008-02-20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 KR100995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250A KR100995077B1 (ko) 2008-02-20 2008-02-20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
PCT/KR2008/001014 WO2008102992A1 (en) 2007-02-21 2008-02-21 A receptacle for make-up capable of sli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250A KR100995077B1 (ko) 2008-02-20 2008-02-20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022A KR20090090022A (ko) 2009-08-25
KR100995077B1 true KR100995077B1 (ko) 2010-11-18

Family

ID=41207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250A KR100995077B1 (ko) 2007-02-21 2008-02-20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0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39044A1 (fr) * 2015-07-21 2017-01-27 Chanel Parfums Beaute Reservoir de produit cosmetiqu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5632A (ja) 1997-11-27 1999-06-15 Yoshino Kogyosho Co Ltd 化粧筆
KR100472662B1 (ko) 2002-11-15 2005-03-11 최만수 화장용 브러시기구
KR100758216B1 (ko) 2005-10-11 2007-09-12 변영광 토출형 액상 화장품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5632A (ja) 1997-11-27 1999-06-15 Yoshino Kogyosho Co Ltd 化粧筆
KR100472662B1 (ko) 2002-11-15 2005-03-11 최만수 화장용 브러시기구
KR100758216B1 (ko) 2005-10-11 2007-09-12 변영광 토출형 액상 화장품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022A (ko) 2009-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2191B2 (en) Manual spray pump
KR101959906B1 (ko) 잔여 내용물의 토출을 방지하는 화장품 용기
KR101469765B1 (ko) 매니큐어 용기
KR200481202Y1 (ko) 다수의 도포용볼을 구비한 겔상 화장료용 펌프 용기
KR200480441Y1 (ko) 자동 스포이드 용기
KR200481241Y1 (ko) 도포용볼을 구비한 펌프 용기
KR102072308B1 (ko) 토출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EP1595470B1 (en) Cosmetics dispenser container fitment
KR101223827B1 (ko) 고점도 크림 용기
CN107224093B (zh) 化妆品用密封包装
KR101049783B1 (ko) 누액방지기능을 갖는 회전 압출식 화장품 용기
KR100995077B1 (ko)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
JP2009131506A (ja) 繰り出し容器
KR200488073Y1 (ko) 이종의 내용물 배출이 가능한 액체 배출용기
KR101443837B1 (ko) 화장품 용기의 펌프
KR200485890Y1 (ko) 고무링이 삽입된 스크류 타입 에어리스 펌프 용기
KR100946433B1 (ko)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
KR101973291B1 (ko) 리필형 화장품 용기
KR200490765Y1 (ko) 화장품 용기
KR102080707B1 (ko) 회전형 화장품 용기
CN112804911A (zh) 能够防止化妆品残留并且同时具有气密功能的化妆品容器
KR100998069B1 (ko) 밀폐성이 향상된 액상체용 디스펜서
KR20110042702A (ko) 화장품 용기
KR101727237B1 (ko) 화장품 케이스
KR101192716B1 (ko) 회전 압출식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