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549B1 - 3d 프린터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알림을 제공하는 3d 프린터 - Google Patents

3d 프린터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알림을 제공하는 3d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549B1
KR102528549B1 KR1020210105111A KR20210105111A KR102528549B1 KR 102528549 B1 KR102528549 B1 KR 102528549B1 KR 1020210105111 A KR1020210105111 A KR 1020210105111A KR 20210105111 A KR20210105111 A KR 20210105111A KR 102528549 B1 KR102528549 B1 KR 102528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molding plate
notification
printe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5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3213A (ko
Inventor
위은양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5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549B1/ko
Publication of KR20230023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3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93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50/02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라, 센서로부터 조형 플레이트가 초기 위치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센싱 정보를 획득하고, 프로세서가 출력 요청에 따른 출력 동작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조형 플레이트의 탈착 및 재장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상기 센싱 정보 및 상기 출력 동작이 완료된 시점 이후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상기 조형 플레이트의 탈착 및 재장착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신규 출력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출력물의 미제거 알림을 출력부가 출력하는, 방법, 3D 프린터 및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Description

3D 프린터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알림을 제공하는 3D 프린터{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s of a 3D printer the 3D printer thereof}
본 개시의 기술 분야는 3D 프린터 사용에 따른 알림을 제공하는 기술 분야와 관련된다.
3D 프린팅 기술은 폴리머, 금속 등의 소재를 용융하거나 파우더를 적층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출력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한 3D 이미지에 대응되는 출력물을 출력하는 기술로, 인간의 손으로 제작이 어려운 부품 등을 정밀하게 출력할 수 있고, 출력을 원하는 대상의 3D 이미지를 이용하는 것만으로 출력물을 제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양한 산업 환경 및 치아 보철물 제작 분야 등을 포함하는 의료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일 예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1대의 3D 프린터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출력이 완료되었음에도 3D 프린터 내 출력물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신규 출력 동작이 수행될 경우 미리 출력된 출력물과 프린터 내부 부품 등이 손상되거나, 사용자가 출력물 제거를 위해 조형 플레이트(출력물 조형대, Build platform)를 탈착한 후 재장착 하지 않는 상태에서 신규 출력 동작이 수행될 경우 3D 프린터 및 프린터 내부 부품 등이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이에 따른 경제적, 시간적 손실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62854호 (2020.09.28), 3D 인쇄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대상물을 생산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본 개시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3D 프린터에 대해, 출력물이 제거되지 않았거나 조형 플레이트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신규 출력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신규 출력 동작이 수행될 경우 3D 프린터, 출력물 및 부품 등이 파손되는 상황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제 1측면에 따른 3D 프린터에 대한 알림 제공 방법은, 센서로부터 조형 플레이트가 초기 위치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프로세서가 출력 요청에 따른 출력 동작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조형 플레이트의 탈착 및 재장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상기 센싱 정보 및 상기 출력 동작이 완료된 시점 이후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형 플레이트의 탈착 및 재장착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신규 출력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출력물의 미제거 알림을 출력부가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형 플레이트의 탈착 및 재장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상기 센싱 정보 및 상기 출력 동작이 완료된 시점 이후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 동작이 완료된 이후 상기 조형 플레이트에 대한 센싱 신호가 끊김 없이 유지되는 경우, 상기 조형 플레이트의 탈착 및 재장착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조형 플레이트가 미장착 상태인지 여부를 상기 센싱 정보 및 상기 출력 동작이 완료된 시점 이후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형 플레이트가 미장착 상태인 경우, 상기 신규 출력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조형 플레이트의 미장착 알림을 상기 출력부가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상기 조형 플레이트의 초기 위치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는 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2측면에 따를 때 알림을 제공하는 3D 프린터는, 조형 플레이트가 초기 위치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 출력 요청에 따른 출력 동작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조형 플레이트의 탈착 및 재장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상기 센싱 정보 및 상기 출력 동작이 완료된 시점 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조형 플레이트의 탈착 및 재장착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신규 출력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출력물의 미제거 알림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 동작이 완료된 이후 상기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상기 조형 플레이트에 대한 센싱 신호가 끊김 없이 유지되는 경우, 상기 조형 플레이트의 탈착 및 재장착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형 플레이트가 미장착 상태인지 여부를 상기 센싱 정보 및 상기 출력 동작이 완료된 시점 이후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조형 플레이트가 미장착 상태인 경우, 상기 신규 출력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조형 플레이트의 미장착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상기 조형 플레이트의 초기 위치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는 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3 측면에 따르면, 제 1 측면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3D 프린터의 기존 출력 동작이 완료된 후 신규 출력 동작이 수행되기 전, 출력물이 미제거된 여부에 대한 결과에 따라 출력물이 미제거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하여3D 프린터, 출력물 및 3D 프린터 부품 등의 파손 위험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또한, 3D 프린터의 기존 출력 동작이 완료된 후 신규 출력 동작이 수행되기 전, 조형 플레이트 미장착 여부에 따라 미장착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3D 프린터 및 그 부품의 파손 위험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또한, 알림을 제공함에 따라 3D 프린터 및 출력물의 손상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손상된 3D 프린터 및 부품에 대한 수리 또는 교체 비용과, 출력물 손상에 의한 추가적인 소재 구입 비용과 같은 불필요한 비용 지출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3D 프린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은 일 실시 예에 따른 3D 프린터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일 실시 예에 따른 3D 프린터의 구성 및 동작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3D 프린터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알림 또는 제 2 알림이 제공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3 알림이 제공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에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개시가 완전 하도록 하고, 해당 기술 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 전반에 개시된 3D 프린터에 대한 실시 예들은 DLP (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의 3D 프린터를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DLP 방식 이외의 다른 방식을 사용하는 3D 프린터들에도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 예들이 적용될 수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3D 프린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또한,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3D 프린터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프린터(100)는 센서(110), 프로세서(120), 출력부(130) 및 조형 플레이트(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110)는 조형 플레이트(310)의 초기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고, 조형 플레이트(310)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광 센서를 비롯한 다양한 감지 센서 및 조형 플레이트(310)가 이동되는 상황을 감지할 수 있는 모션 센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센서(110)는 조형 플레이트(310)가 초기 위치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조형 플레이트(310)는 출력물이 형성되는 조형대의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일 수 있다.
조형 플레이트(310)는 3D 프린터(100)의 출력 동작이 시작될 때, 출력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초기 위치에서 3D 프린터(100)에 의해 진행되는 출력 진행 상황에 대응되도록 동작하거나 고정될 수 있다.
3D 프린터(100)의 출력 동작이 수행될 때 함께 동작하는 조형 플레이트(310) 의 이동 방향은, 출력 동작이 시작되면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에 대응되는 방향일 수 있고, 출력 동작이 진행 중일 때의 이동 방향은 출력 동작이 시작될 때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화살표 반대 방향)인 초기 위치에 대한 방향일 수 있다. 이러한 조형 플레이트(310)의 이동 속도는 출력 진행 상황과 대응될 수 있다.
또한, 3D 프린터(100)의 출력 동작이 수행 전인 초기 상태 또는 출력 동작이 완료된 이후 시점 및 3D 프린터(100)가 초기화된 이후 시점에서 조형 플레이트(310)의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조형 플레이트(310)가 위치한 지점인 초기 위치일 수 있다.
또한, 3D 프린터(100)의 동작 상태는 출력 동작을 준비하는 초기화 상태, 출력 동작의 준비가 끝난 동작 전 대기 상태, 출력 동작이 진행 중인 출력 중 상태, 출력 동작이 정상적으로 종료된 완료 상태, 완성된 조형물이 사용자에 의해 제거되기를 기다리는 동작 후 대기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동작 상태 중에서 3D 프린터(100)의 출력 동작이 완료된 시점 이후의 동작 상태는 완료 상태 및 동작 후 대기 상태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3D 프린터(100)가 초기화 상태, 동작 전 대기 상태 및 동작 후 대기 상태인 동안에, 조형 플레이트(310)의 위치는 도 2에 예시된 조형 플레이트(310)가 위치한 지점인 초기 위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출력 요청에 따른 출력 동작이 완료된 이후에 조형 플레이트(310)의 탈착 및 재장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센싱 정보 및 출력 동작이 완료된 시점 이후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출력 요청에 따른 출력 동작이 완료된 이후에 조형 플레이트(310)의 탈착 및 재장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센싱 정보 및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조형 플레이트(310)의 탈착은 조형 플레이트(310) 상에 출력된 출력물(460) 제거를 위해 이루어질 수 있고, 조형 플레이트(310)의 재장착은 조형 플레이트(310) 상에 출력된 출력물(460)이 제거된 후 신규 출력을 위해 3D 프린터(100)의 초기 위치에 조형 플레이트(310)가 다시 장착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센싱 정보는 조형 플레이트(310)가 초기 위치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출력 동작이 완료된 시점 이후에 획득된 센싱 정보에 따라 조형 플레이트(310)가 초기 위치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는 경우 조형 플레이트(310)의 탈착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출력 동작이 완료된 시점 이후에 획득된 센싱 정보와 신규 출력 동작 수행 이전 시점까지 획득된 센싱 정보에 따라 조형 플레이트(310)의 재장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 정보가, 출력 동작이 완료된 시점 이후 조형 플레이트(310)가 초기 위치에 적어도 한 번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후 신규 출력 동작 수행 이전 시점에 초기 위치에 다시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난 경우 프로세서(120)는 조형 플레이트(310)의 재장착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를 때 센싱 정보는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정보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싱 정보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센싱 신호의 크기 변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센싱 신호의 유무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출력 동작이 완료된 이후의 동작 상태인 동안에 센서(110)를 통해 획득되는 초기 위치에서의 조형 플레이트(310)에 대한 센싱 신호가 끊김 없이 유지되는 경우, 조형 플레이트(310)의 탈착 및 재장착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출력 동작이 수행되기 전, 출력 동작이 완료된 시점 이후의 동작 상태 및 3D 프린터(100)가 초기화된 초기화 상태에서, 조형 플레이트(310)는 초기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만약 출력 동작이 완료된 이후 초기 위치에 위치한 조형 플레이트(310)에 대한 센싱 신호가 끊김 없이 유지되는 경우, 조형 플레이트(310)가 초기 위치에 지속적으로 위치한 것을 나타내며, 이는 조형 플레이트(310)가 초기 위치에서 이동된 적이 없다는 것을 나타내므로, 이 경우 조형 플레이트(310)가 탈착되거나 재장착되지 않았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310)는 출력 동작이 완료된 시점 이후의 동작 상태에서 센서(110)를 통해 획득되는 센싱 신호가 끊김 없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신규 출력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출력물의 미제거 알림을 출력하도록 출력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부(130)는 조형 플레이트(310)의 탈착 및 재장착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신규 출력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출력물(460)의 미제거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30)는 조형 플레이트(310)가 미장착 상태인 경우, 신규 출력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조형 플레이트(310)의 미장착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조형 플레이트(310)를 포함하는 3D 프린터(100)의 개략적인 구성 및 동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도 2 및 도 3를 참조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3D 프린터의 구성 및 동작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본 개시에서 언급되는 3D 프린터(100)의 구성 및 동작 방식과 조형 플레이트(310)를 설명하기 위해 도 3를 참조하면, 3D 프린터(100)가 출력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3D 프린터(100)는 광경화성 수지(photo-polymer, 410)가 담긴 수조(430)를 향해 조형 플레이트(310)를 이동시켜 조형 플레이트(310)에 광경화성 수지(410)가 닿도록 한다. 이어서 3D 프린터(100)는, 3D 프린팅 대상이 되는 3D 이미지의 각 레이어들에 대응되는 광을 광원(420)을 통해 광경화성 수지(410)에 조사한다.
이 과정에서 광경화성 수지(410)는 광원(420)이 조사됨에 따라 조형 플레이트(310) 상에 경화되므로, 조형 플레이트(310)는 출력물(460)이 형성되는 조형대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광원(420)이 3D 이미지의 각 레이어에 기초하여 광경화성 수지(410)에 광을 조사하는 절차가 반복됨에 따라, 조형 플레이트(310)에는 출력물(460)이 적층 구조로 출력된다. 출력물(460)이 출력되는 과정에서 3D 프린터(100)는 조형 플레이트(310)에 출력물(460)이 원하는 형태로 출력될 수 있도록, 각 레이어의 적층이 완료될 때마다 조형 플레이트(310)를 상부로 조금씩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3D 프린터(100)는 일 측에 구비된 이동축(440)에 연결된 모터(450)를 출력 진행 상황과 대응되는 속도로 동작시켜 조형 플레이트(310)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3D 프린터(100)의 동작 방식에 따르면, 3D 프린터(100)는 조형 플레이트(310) 상에 출력이 완료된 출력물(460)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신규 출력 동작이 개시되는 경우, 조형 플레이트(310)는 출력물(460)이 부착된 상태로 수조(430)가 위치한 하단부로 이동되어 수조(430)에 출력물(460)이 충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출력물(460) 및 3D 프린터(100)의 내부 부품이 손상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3D 프린터(100)는 초기 상태에 조형 플레이트(310)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신규 출력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조사되는 광원(420)에 의해 수조(430) 내의 광경화성 수지(410)가 경화되면서 수조(430)가 파손되거나 소재가 낭비되는 등의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출력 요청에 따른 출력 동작이 완료된 시점 이후의 동작 상태에서 조형 플레이트(310)의 장착 여부 또는 출력물(460)의 제거 여부에 따라서 3D 프린터(100)가 조형 플레이트(310)의 미장착 알림 또는 출력물(460)의 미제거 알림을 출력하는 것이 조형 플레이트(310), 출력물(460) 및 3D 프린터(100)의 손상을 예방하고 소재 낭비를 줄이는 데에 효과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3D 프린터(100)는 출력 요청에 따른 출력 동작이 완료된 이후에 조형 플레이트(310)의 탈착 및 재장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후, 3D 프린터(100)는 조형 플레이트(310)의 탈착 및 재장착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신규 출력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출력물(460)의 미제거 알림을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조형 플레이트(310)의 탈착 및 재장착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신규 출력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미제거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고가의 3D 프린터(100) 및 출력물(460)의 파손과 소재 낭비 등의 상황을 예방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3D 프린터(100)는 출력 동작이 완료된 이후에 조형 플레이트(310)가 미장착 상태인지 여부를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후, 3D 프린터(100)는 조형 플레이트(310)가 미장착 상태인 것으로 결정된 경우, 신규 출력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조형 플레이트(310)의 미장착 알림을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더하여,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3D 프린터(1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D 프린터(100)는 출력 대상과 관련된 3D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알림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를 경우,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생략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3D 프린터(100)는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 의해 이용될 수 있고,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 등과 같이 터치 스크린 패널이 구비된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연동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데스크탑 PC, 노트북 PC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장치에 포함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3D 프린터(10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동작하는 컴퓨터 등의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3D 프린터(100)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서는 3D 프린터(100) 및 3D 프린터(100)의 구성인 센서(110), 프로세서(120) 및 출력부(130)가 동작하여 알림을 제공하는 구체적인 실시 예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S210에서 3D 프린터(100)는 센서로부터 조형 플레이트가 초기 위치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싱 정보는 조형 플레이트(310)가 초기 위치에 존재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조형 플레이트(310)의 초기 위치를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센서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는 조형 플레이트(310)의 초기 위치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된 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조형 플레이트(310)의 초기 위치는 3D 프린터(100)에 전원이 인가된 후 최초 출력 동작을 수행하기 전인 초기 상태에서의 조형 플레이트(310)의 위치 또는 출력 동작이 완료되어 다음 신규 출력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조형 플레이트(310)가 위치하는 지점일 수 있고, 또는 조형 플레이트(310)의 이동 경로 중 가장 최상단(이동 경로 상의 최초 시작 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요청에 따라 3D 프린터(100)가 출력 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수행 과정에서 조형 플레이트(310)가 하향 이동하게 되어 조형 플레이트(310)의 초기 위치에 대응되는 높이에서 획득되는 조형 플레이트(310)에 대한 센싱 신호가 소멸될 수 있고, 이후 출력 동작이 완료됨에 따라 조형 플레이트(310)가 초기 위치로 이동되며 센서(110)로부터 조형 플레이트(310)에 대한 센싱 신호가 다시 획득될 수 있다. 센싱 정보는 이러한 센싱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센싱 정보는 3D 프린터(100)에 의해 출력 동작이 수행됨에 따라 상향 또는 하향 이동되는 조형 플레이트(310)에 대한 센싱 정보를 나타내기 때문에,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3D 프린터(100)의 현재 상태를 출력 동작을 수행 중인 상태 또는 출력 동작이 완료된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출력 요청에 따른 출력 동작이 완료된 상태를 조형 플레이트(310)에 대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프로세서(120)는 프로세서가 출력 요청에 따른 출력 동작이 완료된 이후에 조형 플레이트의 탈착 및 재장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센싱 정보 및 출력 동작이 완료된 시점 이후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력 동작이 완료된 이후의 동작 상태에서, 프로세서(120)는 센서(110)로부터 획득되는 조형 플레이트(310)에 대한 센싱 신호가 끊김 없이 유지되는 경우, 출력물(460) 제거를 위한 조형 플레이트(310)의 탈착 및 재장착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조형 플레이트(310)가 탈착 및 재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출력 동작이 완료된 이후 프로세서(120)는 센서(110)로부터 획득되는 조형 플레이트(310)에 대한 센싱 신호가 기설정 시간 이상 소멸된 것으로 나타나는 경우 조형 플레이트(310)가 미장착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동작이 완료된 이후에는 출력물(460)을 제거하기 위해 조형 플레이트(310)를 탈착 및 재장착하는 동작이 요구되나, 출력 동작이 완료된 이후 조형 플레이트(310)에 대한 센싱 신호가 기설정 시간 이상 소멸된다면 조형 플레이트(310)가 탈착된 후 다시 장착되지 않은 미장착 상태인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프로세서(120)는 이러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조형 플레이트(310)가 미장착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출력부(130)는 조형 플레이트의 탈착 및 재장착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신규 출력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출력물의 미제거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출력물(460)의 미제거 상태에서 신규 출력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출력물(460)이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3D 프린터(100) 내부에 출력물(460)이 제거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미제거 알림(510)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미제거 알림(510)은 신규 출력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에 제공되므로 출력 동작이 완료된 후 사용자에 의해 출력물(460)이 제거되는 시간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미제거 알림(510)은 사용자 단말(미도시)에 제공되거나 3D 프린터(100) 일 측에 구비되어 알림, 3D 프린터(100)의 상태 등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미도시)에 출력될 수 있다.
이처럼, 출력 동작이 완료된 후 조형 플레이트(310) 상에 출력물(460)이 미제거된 경우 미제거 알림(510)을 제공함으로써 출력물(460)의 미제거 상태에서 신규 출력 동작이 수행됨에 따라 3D 프린터(100), 조형 플레이트(310) 및 부품이 파손되거나 고비용의 3D 프린팅 소재가 낭비되는 상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에 의해 조형 플레이트(310)가 미장착 상태인 것으로 결정되면, 출력부(130)는 신규 출력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조형 플레이트(310)의 미장착 알림(520)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조형 플레이트(310)가 미장착된 상태에서 신규 출력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조사되는 광원(420)에 의해 수조(430) 내의 광경화성 수지(410)가 경화되면서 수조(430)가 파손되거나 광경화성 수지(410)와 같은 소재가 낭비되는 등의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출력 동작이 완료된 후 조형 플레이트(310)가 미장착 상태일 때 신규 출력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조형 플레이트(310)가 장착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미장착 알림(520)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미장착 알림(520)은 신규 출력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에 제공되므로 사용자에 의해 조형 플레이트(310)가 장착되는 시간이 고려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미제거 알림(510) 또는 미장착 알림(520)이 제공된 후 출력물(460)이 제거되거나 탈착되었던 조형 플레이트(310)가 다시 장착된 것으로 나타난 센싱 신호를 센서(110)로부터 수신하게 되는 경우에만 신규 출력 요청에 따른 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제거 알림(510) 또는 미장착 알림(520)은 별도의 사용자 조작 신호에 의해 스킵(skip)되지 않도록 별도의 스킵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물(460)의 제거 여부 및 조형 플레이트(310)의 장착 여부를 사용자가 한 번 더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출력물(460)의 미제거 상태 또는 조형 플레이트(310)의 미장착 상태임을 사용자가 충분히 인지한 경우 미제거 알림(510) 또는 미장착 알림(520)을 스킵할 수 있도록 알림 스킵 메뉴를 각 알림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3D 프린터는 센서가 오작동되는 상황에도 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3D 프린터(100)는 전술한 실시 예들이 바람직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신규 출력 요청을 수신함에 따른 출력 동작 수행에 부여된 우선도보다 높은 우선도를 출력물(460)의 미제거 상태 또는 조형 플레이트(310)의 미장착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에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D 프린터(100)는 부여된 우선도에 기초하여, 출력 동작을 수행하기 전 3D 프린터(100)가 현재 출력물(460)의 미제거 상태인지 또는 조형 플레이트(310)의 미장착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태에 기초하여 미제거 알림(510) 또는 미장착 알림(520)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출력 동작을 수행하기 전 3D 프린터(100)가 현재 출력물(460)의 제거 상태 또는 조형 플레이트(310)의 장착 상태인 경우 3D 프린터(100)는 부여된 우선도에 따라 알림을 제공하는 동작을 생략하고 신규 출력 요청 수신에 따른 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3D 프린터(100)의 현재 상태가 출력물(460)의 미제거 상태 또는 조형 플레이트(310)의 미장착 상태인 경우 출력 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출력 동작 수행에 따라 출력물(460), 조형 플레이트(310) 및 3D 프린터(100)가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출력 요청 수신에 따른 출력 수행 동작에 부여된 우선도보다 높은 우선도가 미제거 알림(510) 또는 미장착 알림(520)을 제공하는 동작에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후, 3D 프린터(100)는 미제거 알림(510)에 따른 출력물(460)의 제거 상태 또는 미장착 알림(520)에 따른 조형 플레이트(310)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센싱 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된 출력 요청에 따른 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제거 알림(510) 또는 미장착 알림(520)이 제공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3D 프린터(100)는 출력 동작이 완료된 이후 출력물(460)의 미제거 상태인지 또는 조형 플레이트(310)의 미장착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신규 출력 요청을 수신할 경우, 미제거 상태 또는 미장착 상태에 따라 미제거 알림(510) 또는 미장착 알림(520)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제거 알림(510)은 출력물(460)이 조형 플레이트(310) 상에서 미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알림으로, 출력물(460)을 제거한 후 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는 취지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고, 미장착 알림(520)은 조형 플레이트(310)가 미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알림으로, 조형 플레이트(310)를 장착한 후 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는 취지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미제거 알림(510) 및 미장착 알림(520)은, 3D 프린터(100)의 일 측에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터치 조작 신호 또는 음성, 모션 등의 조작 신호를 수신하거나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에 제공되거나 3D 프린터(100)와 네트워크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제공되는 미제거 알림(510) 및 미장착 알림(520)은 텍스트를 포함하는 메시지 형태 이외에도 효과음, 안내 음성 등의 청각적 알림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3D 프린터(100)는 출력물(460)이 제거되거나 조형 플레이트(310)가 장착된 것으로 나타나는 센싱 정보가 획득되는 경우에 신규 출력 동작을 수행하므로, 미제거 알림(510) 및 미장착 알림(520)은 출력을 스킵할 수 있는 알림 스킵 메뉴(미도시)가 포함되지 않거나,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알림 스킵 신호에 의해 알림이 스킵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3 알림(610)이 제공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3D 프린터(100)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제 3 알림(610)이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3D 프린터(100)는 출력 동작을 수행하는 중, 센서(110)로부터 3D 프린터(100) 내부에서 센싱되는 외부 광의 밝기가 기설정 밝기 레벨에 해당되는 경우, 현재 상태를 외부 광 노출 상태로 결정할 수 있고, 이러한 외부 광 노출 상태를 나타내는 제 3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알림은 3D 프린터(100)의 출력 동작 수행 중 외부 광이 내부로 일정량 이상으로 투과되고 있다는 내용을 포함하거나, 외부 광이 투과됨에 따라 광경화성 수지(410)가 불필요하게 또는 부정확하게 경화되어 출력물(460) 및 부품 파손이 예상된다는 위험성을 나타내는 취지의 알림 또는 출력 중인 출력물(460)의 재출력 여부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취지의 알림 또는 출력 중인 출력물(460)의 재출력이 필요하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알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3D 프린터(100)는 출력 동작이 수행 중 외부 광 노출 상태에 대한 알림을 출력함으로써, 외부 광에 의해 출력물(460)이 변형되거나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410)로 인한 부품 파손 및 소재 낭비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를 들어,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의 프로세서(120)(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3D 프린터
110: 센서 120: 프로세서
130: 수신부
310: 조형 플레이트
410: 광경화성 수지 420: 광원
430: 수조 440: 이동축
450: 모터 460: 출력물
510: 미제거 알림 520: 미장착 알림
610: 제 3 알림

Claims (9)

  1. 3D 프린터에 대한 알림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센서로부터 조형 플레이트가 초기 위치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프로세서가 출력 요청에 따른 출력 동작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조형 플레이트의 탈착 및 재장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상기 센싱 정보 및 상기 출력 동작이 완료된 시점 이후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형 플레이트의 탈착 및 재장착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신규 출력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출력물의 미제거 알림을 출력부가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형 플레이트의 탈착 및 재장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상기 센싱 정보 및 상기 출력 동작이 완료된 시점 이후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 동작이 완료된 이후 상기 조형 플레이트에 대한 센싱 신호가 끊김 없이 유지되는 경우, 상기 조형 플레이트의 탈착 및 재장착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결정하는,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조형 플레이트가 미장착 상태인지 여부를 상기 센싱 정보 및 상기 출력 동작이 완료된 시점 이후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형 플레이트가 미장착 상태인 경우, 상기 신규 출력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조형 플레이트의 미장착 알림을 상기 출력부가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조형 플레이트의 초기 위치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는 광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로부터 외부 광의 밝기의 크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광의 밝기의 크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광의 밝기의 크기가 기설정 레벨에 대응되는 경우 외부 광 노출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광 노출 상태로 결정되는 경우 제 3 알림을 제공하고,
    상기 제 3 알림은 상기 외부 광 노출 상태에 대한 정보, 출력물 및 부품 파손 예상 상태에 대한 정보, 재출력 여부 확인 요청 및 재출력 필요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5. 알림을 제공하는 3D 프린터에 있어서,
    조형 플레이트가 초기 위치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
    출력 요청에 따른 출력 동작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조형 플레이트의 탈착 및 재장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상기 센싱 정보 및 상기 출력 동작이 완료된 시점 이후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조형 플레이트의 탈착 및 재장착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신규 출력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출력물의 미 미제거 알림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 동작이 완료된 이후 상기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상기 조형 플레이트에 대한 센싱 신호가 끊김 없이 유지되는 경우, 상기 조형 플레이트의 탈착 및 재장착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결정하는, 3D 프린터.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형 플레이트가 미장착 상태인지 여부를 상기 센싱 정보 및 상기 출력 동작이 완료된 시점 이후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조형 플레이트가 미장착 상태인 경우, 상기 신규 출력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조형 플레이트의 미장착 알림을 출력하는, 3D 프린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조형 플레이트의 초기 위치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는 광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로부터 외부 광의 밝기의 크기를 획득하고,
    상기 외부 광의 밝기의 크기가 기설정 레벨에 대응되는 경우 외부 광 노출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외부 광 노출 상태로 결정되는 경우 제 3 알림을 제공하고,
    상기 제 3 알림은 상기 외부 광 노출 상태에 대한 정보, 출력물 및 부품 파손 예상 상태에 대한 정보, 재출력 여부 확인 요청 및 재출력 필요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3D 프린터.
  9.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10105111A 2021-08-10 2021-08-10 3d 프린터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알림을 제공하는 3d 프린터 KR102528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111A KR102528549B1 (ko) 2021-08-10 2021-08-10 3d 프린터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알림을 제공하는 3d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111A KR102528549B1 (ko) 2021-08-10 2021-08-10 3d 프린터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알림을 제공하는 3d 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213A KR20230023213A (ko) 2023-02-17
KR102528549B1 true KR102528549B1 (ko) 2023-05-08

Family

ID=85327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111A KR102528549B1 (ko) 2021-08-10 2021-08-10 3d 프린터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알림을 제공하는 3d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54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9299B1 (ko) * 2016-06-03 2017-09-19 주식회사 오픈크리에이터즈 3차원 프린터용 카트리지식 베드 자동 교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4542A (ja) * 1998-03-11 1999-09-21 Sanyo Electric Co Ltd 光造形装置の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US10987856B2 (en) 2015-12-21 2021-04-27 Wacker Chemie Ag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n object by using a 3D print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9299B1 (ko) * 2016-06-03 2017-09-19 주식회사 오픈크리에이터즈 3차원 프린터용 카트리지식 베드 자동 교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213A (ko) 2023-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6178B2 (en) Display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same, and network system
US10136018B2 (en) Function execution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storing instructions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06164240A5 (ko)
KR102528549B1 (ko) 3d 프린터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알림을 제공하는 3d 프린터
CN213860718U (zh) 3d打印机耗材报警装置及系统
US1044473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40061623A1 (en)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91796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14889138B (zh) 打印控制方法和三维打印机
JP2012187761A (ja) 印刷装置
JP6365913B2 (ja) モバイル端末装置
JP2009276915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ラットフォーム
JP2019047171A (ja) 音声入力装置、音声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音声入力システム
CN113997708A (zh) 一种印控仪的控制方法及装置
JP6614418B2 (ja) 電子機器、プラットフォームおよびログアプリケーション
US10744706B2 (en) Forming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06023636A (ja) 画像形成装置
CN113997706B (zh) 一种印控仪的盖章方法及装置
JP7367254B2 (ja) 記録装置
JP6915565B2 (ja) 画像処理装置
EP3477464B1 (en) Controller for a printer, print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rinter
JP2015231159A (ja) 操作部を備えた機器、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9619185B2 (en)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history information storage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76303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at perform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2008193355A (ja) 画像形成装置、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