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363B1 - 유아용 의복 - Google Patents

유아용 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363B1
KR102528363B1 KR1020200095300A KR20200095300A KR102528363B1 KR 102528363 B1 KR102528363 B1 KR 102528363B1 KR 1020200095300 A KR1020200095300 A KR 1020200095300A KR 20200095300 A KR20200095300 A KR 20200095300A KR 102528363 B1 KR102528363 B1 KR 102528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infant
coupled
coupling part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5151A (ko
Inventor
최수경
Original Assignee
최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수경 filed Critical 최수경
Priority to KR1020200095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363B1/ko
Publication of KR20220015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8Bodi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4Babies' pa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24Closures using snap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의복에 관한 것으로, 유아의 신체를 감싸고, 유아의 하체를 하측 개구부로 노출시키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상부영역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 및, 제1결합부와 결합 가능하도록 몸체부의 하부영역에 구비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며, 제2결합부는 제1결합부에 결합시 하부영역을 상부영역으로 상승 거치시켜 유아의 하체가 노출되는 면적을 증가시킨다.

Description

유아용 의복{BABY CLOTHES}
본 발명은 유아용 의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가 의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기저귀를 교체하거나 대소변 등의 오염물을 닦아낼 때 유아의 하체를 노출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유아용 의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시기에는 대소변을 스스로 가리기 어려운 시기이므로, 보호자는 유아가 대소변을 본 후나 기저귀를 처리한 후 샤워기 등을 이용해 유아의 해당 신체 부위(엉덩이 등)를 세정하고 있다.
종래에는 유아의 신체를 씻기는 과정에서 유아가 착용한 의복에 오염물이 접촉되거나 물에 젖을 수 있으므로, 유아의 의복을 탈의시키거나 유아의 의복을 상부로 걷어 올린 상태에서 세정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그런데, 유아의 신체를 씻길 때마다 유아가 착용한 의복을 탈의시키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과정이다. 특히 의복을 착용한 유아의 신체를 씻기는 경우는 보호자가 한 손으로 유아의 의복을 걷어 올리고, 다른 한 손으로는 샤워기 등을 들고 유아의 신체를 씻겨야 하기 때문에 보호자의 양손이 자유롭지 않아 세정 과정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의복의 하단을 상부로 말아 올리거나, 옷핀, 빨래 집게 등의 고정을 이용해 의복의 하단을 일정 높이로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세정 과정에서 의복의 말아 올려진 상태가 쉽게 변경될 수 있고, 옷핀이나 빨래 집게 등을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과정에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0710호(2018년 08월 16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하면개폐선과 측면개폐선이 구비된 유아용 의복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가 의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기저귀를 교체하거나 대소변 등의 오염물을 닦아낼 때 유아의 하체를 노출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고, 의복의 거치 상태를 쉽게 변경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아용 의복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의복은 유아의 신체를 감싸고, 상기 유아의 하체를 하측 개구부로 노출시키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영역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하부영역에 구비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시 상기 하부영역을 상기 상부영역으로 상승 거치시켜 상기 유아의 하체가 노출되는 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어느 하나의 일측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일측에 상기 삽입홈과 암수로 결합되도록 삽입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대응되게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몸체부의 양측으로 길이를 갖는 벨크로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영역의 하단에는 팬츠부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팬츠부는 상기 하체의 다리 사이에 위치하며, 전면 또는 후면에 제3결합부가 구비되는 전방 패드 및, 상기 전방 패드의 후방에 대응되게 위치하며, 상기 제3결합부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전면 또는 후면에 상기 제2결합부가 구비되는 후방 패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영역에는 덮개부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덮개부는 상단이 상기 몸체부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결합되며, 하단이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의 결합 위치를 전방 또는 후방에서 커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저귀를 교체하거나 대소변을 닦아낼 때 유아의 하체를 노출된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대소변이나 물의 접촉에 의해 의복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의복의 거치 상태가 고정적으로 유지되므로 보호자의 양손이 자유로워지며, 의복의 거치 상태를 쉽고 빠르게 전환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복을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복의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다수로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복의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벨크로 테이프로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복의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복의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복의 제1결합부를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로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복에 팬츠부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복에 팬츠부를 적용하고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복의 몸체부에 덮개부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복의 몸체부에 덮개부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복의 몸체부에 밴드부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복의 몸체부에 밴드부를 적용하고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복의 몸체부에 통로부 및 조절끈을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복의 몸체부에 통로부 및 조절끈을 적용하고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복을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복의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다수로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복의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벨크로 테이프로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복의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복의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복의 제1결합부를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로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복에 팬츠부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복에 팬츠부를 적용하고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복의 몸체부에 덮개부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복의 몸체부에 덮개부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복의 몸체부에 밴드부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복의 몸체부에 밴드부를 적용하고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복의 몸체부에 통로부 및 조절끈을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복의 몸체부에 통로부 및 조절끈을 적용하고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복은 몸체부(100)와, 제1결합부(200) 및, 제2결합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유아(10)의 상체(11)를 감싸는 몸체부(100)의 상부를 상부영역으로 설명하고, 상부영역보다 상대적으로 하방에 위치된 몸체부(100)의 하부를 하부영역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몸체부(100)는 유아(10)가 착용할 수 있도록 유아(10)의 신체를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를 갖는다. 몸체부(100)의 내부에는 유아(10)가 착용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고, 몸체부(100)는 전면부(110)와 후면부(120)의 결합에 의해 구비될 수 있다. 몸체부(100)의 전면부(110)와 후면부(120)는 가장자리가 상호 봉재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00)의 상부에는 유아(10)의 머리가 통과되도록 상측 개구부(130)가 형성될 수 있고, 몸체부(100)의 하부에는 유아(10)의 다리가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하측 개구부(1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부(100)의 양측에는 유아(10)의 팔이 통과되도록 한 쌍의 소매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유아(10)가 의복을 착용한 경우, 도 1에서처럼 몸체부(100)의 상부영역이 유아(10)의 상체(11)를 외부에서 감쌀 수 있고, 몸체부(100)의 하부영역이 유아(10)의 하체(11)를 일정 면적으로 감쌀 수 있다. 이때 유아(10)의 다리 부위가 하측 개구부(140)를 통해 하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와 다른 형태로, 몸체부(100)는 유아(10)의 상체(11)를 외부에서 감싸고, 유아(10)의 하체(12)가 하측 개구부(140)를 통해 모두 노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몸체부(100)의 형상, 사이즈 등은 한정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적용할 수 있다.
제1결합부(200)는 후술 될 제2결합부(300)와 결합 가능하도록 몸체부(100)의 상부영역에 구비되고, 제1결합부(200)는 몸체부(100)의 전면부(110) 또는 후면부(120)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결합부(200)는 전면부(110)의 후면(안쪽) 또는 후면부(120)의 전면(안쪽)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결합부(2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의복의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제1결합부(200)를 설치할 수 있다. 반면 제1결합부(200)를 전면부(110)의 전면(바깥쪽) 또는 후면부(120)의 후면(바깥쪽)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킬 수도 있다.
제2결합부(300)는 제1결합부(200)와 결합 가능하도록 몸체부(100)의 하부영역에 구비된다. 제2결합부(300)를 제1결합부(200)에 결합시키는 경우, 제2결합부(300)는 몸체부(100)의 하부영역을 상부영역 방향으로 상승 거치시켜 유아(10)의 하체(12)가 노출되는 면적을 증가시킨다.
여기서, 제2결합부(300)는 몸체부(100)의 전면부(110) 또는 후면부(120)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제2결합부(300)는 전면부(110)의 후면(안쪽) 또는 후면부(120)의 전면(안쪽)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2결합부(3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의복의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제2결합부(300)를 설치할 수 있다. 반면 제2결합부(300)를 전면부(110)의 전면(바깥쪽) 또는 후면부(120)의 후면(바깥쪽)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제2결합부(300)를 제1결합부(200)에 결합시키는 경우, 도 4와 도 5에서처럼 몸체부(100)의 전면부(110) 또는 후면부(120)의 하단이 상부로 걷어 올려진 형태로 거치된다. 이때 유아(10)의 하체(엉덩이 등, 12)가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유아(10)의 기저귀를 교환하거나 대소변을 닦아내는 과정이 쉽고, 유아(10)의 신체에 부착된 오염물이 의복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부(200)와 제2결합부(300)는 도 1에서처럼 암수로 대응되게 결합되는 똑딱이 단추(snap button), 버클(buckle)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결합부(200)와 제2결합부(300)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삽입홈(210)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일측에는 삽입홈(210)과 암수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삽입돌기(31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200)와 제2결합부(300)를 똑딱이 단추(snap button), 버클(buckle) 등의 형태로 적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한 손으로 제1결합부(200)와 제2결합부(300)를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결합부(200)와 제2결합부(300)는 도 2에서처럼 몸체부(100)의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결합부(200)와 제2결합부(300)가 좌우 방향을 따라 넓은 면적으로 결합되므로, 몸체부(100)의 하부영역을 보다 넓은 폭으로 거치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1결합부(200)는 도 6에서처럼 몸체부(1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결합부(200)는 서로 다른 높이로 배열되므로 제2결합부(300)가 결합되는 위치(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유아(10)의 하체(엉덩이 등, 12)가 노출되는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유아(10)의 신장이나 체형 등에 대응하는 높이로 제2결합부(300)를 결합시킬 수 있어 범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부(200)와 제2결합부(300)는 도 3에서처럼 대응되게 탈부착 가능한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결합부(200)와 제2결합부(300)는 몸체부(100)의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결합부(200)와 제2결합부(300) 또는 제1결합부(200)와 제2결합부(300) 중 어느 하나는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즉, 제1결합부(200)와 제2결합부(300)가 몸체부(100)의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므로, 몸체부(100)의 하부영역을 넓은 폭으로 걷어 올릴 수 있고, 제1결합부(200)와 제2결합부(300)를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 형태로 적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한 손으로 제1결합부(200)와 제2결합부(300)를 탈부착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미도시 하였으나, 제1결합부(200)와 제2결합부(300) 중 일부를 똑딱이 단추(snap button), 버클(buckle) 등의 형태로 적용하고, 나머지 일부를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 형태로 적용하여 복합적인 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부(200)와 제2결합부(300)에는 대응되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반대되는 극성의 자석(미도시, magnetic)이 각각 내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한 손으로 제1결합부(200)와 제2결합부(300)를 탈부착시킬 수 있고,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제1결합부(200)와 제2결합부(300)를 탈부착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100)는 도 7과 도 8에서처럼 하부에 팬츠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팬츠부(400)는 유아의 다리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팬츠부(400)는 전면 또는 후면에 제3결합부(430)가 구비되는 전방 패드(410) 및, 전방 패드(410)의 후방에 대응되게 위치하고, 제3결합부(430)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전면 또는 후면에 제2결합부(300)가 구비되는 후방 패드(420)로 구비될 수 있다.
전방 패드(410)는 유아(10)의 다리 사이에서 전방(생식기 부위)을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 상단이 전면부(110)의 하단에 연결되고, 하단이 제3결합부(430)에 의해 후방 패드(420)의 하단과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후방 패드(420)는 유아(10)의 다리 사이에서 후방(엉덩이 부위)을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 상단이 후면부(120)의 하단에 연결되고, 하단이 제2결합부(300)에 의해 전방 패드(410)의 제3결합부(430)와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제3결합부(430)는 제2결합부(300)와 대응되게 결합되는 것으로, 제3결합부(430)와 제2결합부(300)는 암수로 대응되게 결합되는 똑딱이 단추(snap button), 버클(buckle) 등의 형태를 가지거나, 대응되게 탈부착 가능한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미도시 하였으나 제3결합부(430)는 똑딱이 단추(snap button), 버클(buckle) 형태나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 형태를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제3결합부(430)와 제2결합부(300)를 똑딱이 단추(snap button), 버클(buckle) 등의 형태로 적용하는 경우, 제3결합부(430)와 제2결합부(300)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일측에는 삽입홈과 암수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삽입돌기(31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아(10)가 의복을 착용시에는 제2결합부(300)와 제3결합부(430)가 결합되어 유아(10)의 하체(12)에 착용되는 팬츠부(400) 형태를 이루고, 유아(10)의 하체(12)를 세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결합부(300)와 제3결합부(430)를 분리시킨 후, 제2결합부(300)를 제1결합부(200)에 결합시켜 몸체부(100)의 하단을 상부에 거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100)의 상부영역에는 도 9와 도 10에서처럼 전면 또는 후면에 덮개부(5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덮개부(500)는 상단이 몸체부(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결합되고, 하단이 제1결합부(200)와 제2결합부(300)의 결합 위치를 전방 또는 후방에서 커버한다.
여기서, 덮개부(500)의 상단은 봉재 등의 방식으로 몸체부(100)의 전면부(110) 또는 후면부(120)에 결합시킬 수 있고, 덮개부(500)의 내측면과 이에 마주하는 몸체부(100)의 전면부(110) 또는 후면부(120)에는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제4결합부(미도시)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4결합부는 암수로 결합 가능한 똑딱이 단추(snap button), 버클(buckle) 등이나, 대응되게 탈부착 가능한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4결합부는 똑딱이 단추(snap button), 버클(buckle) 형태나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 형태를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100)의 하단에는 도 11과 도 12에서처럼 밴드부(1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밴드부(160)는 일측이 몸체부(100)의 하단에 결합되고, 반대되는 타측이 몸체부(100)의 하부로 연장될 수 있으며, 밴드부(160)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제2결합부(30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밴드부(160)와 제1결합부(200)는 몸체부(100)의 좌우 방향에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아(10)의 양측 어깨 부위에 위치될 수 있도록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결합부(300)를 제1결합부(200)에 결합시키는 경우, 밴드부(160)의 하단은 몸체부(100)의 상단을 대응되는 형상으로 감싸면서 밀착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밴드부(160)에 설치된 제2결합부(300)를 제1결합부(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제1결합부(200)는 몸체부(100)의 상면 또는 전면에 위치될 수 있고, 밴드부(160)는 유아(10)의 양측 어깨 부위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2결합부(300)를 제1결합부(200)에 결합시키는 경우, 밴드부(160)가 몸체부(10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거치되므로, 밴드부(160)와 몸체부(100)의 상면이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고, 이를 통해 몸체부(100)의 하부영역을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복은 도 13과 도 14에서처럼 몸체부(100)와, 통로부(600) 및, 조절끈(700)를 포함한다.
몸체부(100)는 유아(10)가 착용할 수 있도록 유아(10)의 신체를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를 갖는다. 몸체부(100)의 내부에는 유아(10)가 착용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고, 몸체부(100)는 전면부(110)와 후면부(120)의 결합에 의해 구비될 수 있다. 몸체부(100)의 전면부(110)와 후면부(120)는 가장자리가 상호 봉재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00)의 상부에는 유아(10)의 머리가 내부의 공간부를 통해 외부로 통과되도록 상측 개구부(130)가 형성될 수 있고, 몸체부(100)의 하부에는 유아(10)의 다리가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하측 개구부(1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부(100)의 양측에는 유아(10)의 팔이 통과되도록 한 쌍의 소매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유아(10)가 의복을 착용한 경우, 도 1에서처럼 몸체부(100)의 상부영역이 유아(10)의 상체(11)를 외부에서 감싸고, 몸체부(100)의 하부영역이 유아(10)의 하체(11)를 일정 면적으로 감쌀 수 있으며, 유아(10)의 다리 부위가 하측 개구부(140)를 통해 하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와 다른 형태로, 몸체부(100)가 유아(10)의 상체(11)를 외부에서 감싸고, 유아(10)의 하체(12)가 하측 개구부(140)를 통해 모두 노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몸체부(100)의 형상, 사이즈 등은 한정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적용이 가능하다.
통로부(600)는 몸체부(100)의 전면부(110) 또는 후면부(120)에 형성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통로부(600)의 상단은 전면부(110) 또는 후면부(120)의 상부영역으로 개방되고, 통로부(600)의 하단은 전면부(110) 또는 후면부(120)의 하부영역으로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통로부(600)는 전면부(110) 또는 후면부(120)의 두께 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전면부(110) 또는 후면부(120)의 외면에 별도의 부재(미도시)를 결합시켜 통로부(600)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조절끈(700)은 통로부(60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다. 여기서, 조절끈(700)의 하단은 몸체부(100)의 하부영역에 해당하는 통로부(600)의 하단에 고정되고, 조절끈(700)의 상단은 상부영역에 위치된 통로부(600)의 상단을 통해 몸체부(10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조절끈(700)의 상단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일정 직경의 손잡이 부재가 설치되거나 매듭지어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절끈(700)의 상단을 몸체부(100)의 외부로 당기는 경우, 조절끈(700)의 하단이 통로부(600)의 상부로 이동됨과 동시에, 조절끈(700)의 하단이 몸체부(100)의 하부영역이 상부로 견인된다. 이때 몸체부(100)의 하부영역이 조절끈(700)의 견인력에 의해 상부영역으로 상승 거치되고, 유아(10)의 하체(엉덩이 등, 12)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조절끈(700)의 외주면과 통로부(600)의 내주면은 서로 접촉되므로 마찰력에 의해 조절끈(700)의 하단이 상승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조절끈(700)의 상단에 매듭을 다시 만들어 통로부(600)의 상단 개방 부위에 걸림 위치시킬 수 있다.
이후, 몸체부(100)의 하부영역을 원래의 위치로 잡아당겨 유아(10)의 하체(12)를 가릴 수 있고, 이때 조절끈(700)의 하단이 하방으로 작용하는 견인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하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의복은 유아(10)가 의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기저귀를 교체하거나 대소변을 닦아낼 때 유아(10)의 하체(12)를 노출된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대소변이나 물의 접촉에 의해 의복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의복의 거치 상태가 고정적으로 유지되므로 보호자의 양손이 자유로워지며, 의복의 거치 상태를 쉽고 빠르게 전환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의복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유아 11: 상체
12: 하체 100: 몸체부
110: 전면부 120: 후면부
130: 상측 개구부 140: 하측 개구부
150: 소매부 160: 밴드부
200: 제1결합부 210: 삽입홈
300: 제2결합부 310: 삽입돌기
400: 팬츠부 410: 전방 패드
420: 후방 패드 430: 제3결합부
500: 덮개부 600: 통로부
700: 조절끈 W1, W2: 노출면적

Claims (5)

  1. 유아의 신체를 감싸고, 상기 유아의 하체를 하측 개구부로 노출시키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영역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하부영역에 구비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시 상기 하부영역을 상기 상부영역으로 상승 거치시켜 상기 유아의 하체가 노출되는 면적을 증가시키되,
    상기 하부영역의 하단에는 팬츠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팬츠부는 상기 하체의 다리 사이에 위치하며, 전면 또는 후면에 제3결합부가 구비되는 전방 패드 및,
    상기 전방 패드의 후방에 대응되게 위치하며, 상기 제3결합부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전면 또는 후면에 상기 제2결합부가 구비되는 후방 패드를 구비하며,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의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며,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는 밴드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밴드부는 일측이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결합되고, 반대되는 타측이 상기 몸체부의 하부로 연장되며, 상기 밴드부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제2결합부가 설치되고, 상기 밴드부와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의 좌우 방향에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며,
    상기 제2결합부를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밴드부의 하단은 상기 몸체부의 상단을 대응되는 형상으로 감싸면서 밀착되고, 상기 밴드부는 유아의 양측 어깨 부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의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어느 하나의 일측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일측에 상기 삽입홈과 암수로 결합되도록 삽입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의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대응되게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몸체부의 양측으로 길이를 갖는 벨크로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의복.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영역에는 덮개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덮개부는 상단이 상기 몸체부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결합되며, 하단이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의 결합 위치를 전방 또는 후방에서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의복.
KR1020200095300A 2020-07-30 2020-07-30 유아용 의복 KR102528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300A KR102528363B1 (ko) 2020-07-30 2020-07-30 유아용 의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300A KR102528363B1 (ko) 2020-07-30 2020-07-30 유아용 의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151A KR20220015151A (ko) 2022-02-08
KR102528363B1 true KR102528363B1 (ko) 2023-05-03

Family

ID=80251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300A KR102528363B1 (ko) 2020-07-30 2020-07-30 유아용 의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36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8587B1 (ja) * 1999-01-29 2000-07-24 日本電気アイシーマイコンシステム株式会社 Pll回路
JP3145298B2 (ja) * 1995-04-21 2001-03-12 松下電工株式会社 コーティング用樹脂組成物、樹脂コーティング物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US20130298305A1 (en) 2012-05-09 2013-11-14 Andi Lushaj Convertible child bodysuit
JP2013237960A (ja) 2012-05-14 2013-11-28 Mikako Suzuki スリット付きロンパースおむつ替え楽々♪
US20150059049A1 (en) 2013-08-28 2015-03-05 Melissa Jaggernauth Adjustable baby garment
JP2017115276A (ja) 2015-12-25 2017-06-29 株式会社シャルレ 前開きロンパース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8587U (ja) * 1999-10-29 2000-05-12 有限会社モッキンバード トレーディング カンパニー ベビ―用ボディ―ス―ツ
JP3145298U (ja) * 2008-07-24 2008-10-02 陽亮 神田 乳幼児用衣服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5298B2 (ja) * 1995-04-21 2001-03-12 松下電工株式会社 コーティング用樹脂組成物、樹脂コーティング物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3068587B1 (ja) * 1999-01-29 2000-07-24 日本電気アイシーマイコンシステム株式会社 Pll回路
US20130298305A1 (en) 2012-05-09 2013-11-14 Andi Lushaj Convertible child bodysuit
JP2013237960A (ja) 2012-05-14 2013-11-28 Mikako Suzuki スリット付きロンパースおむつ替え楽々♪
US20150059049A1 (en) 2013-08-28 2015-03-05 Melissa Jaggernauth Adjustable baby garment
JP2017115276A (ja) 2015-12-25 2017-06-29 株式会社シャルレ 前開きロンパ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151A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6212B2 (en) Apron, towel and bath wrap for infants and toddlers
US20060143769A1 (en) Wearable towel
WO2016134467A1 (en) Infant garment with independent zippers
JP7307283B2 (ja) 幼児用よだれ掛け
US6594829B1 (en) Protective towel wrap
KR102528363B1 (ko) 유아용 의복
KR101890710B1 (ko) 하면개폐선과 측면개폐선이 구비된 유아용 의복
KR20170083597A (ko) 젖은 운동복 탈의용 보조 도구
JP5031418B2 (ja) 乳幼児用衣服
KR200485084Y1 (ko) 턱받이
KR101260420B1 (ko) 소아용 세안 타월
KR20110011686U (ko) 유아 또는 소아용 턱받이
JP3120728U (ja) ペット用衣服
JP2633208B2 (ja) 失禁性を有する人に有効なパンツ
JP3650749B2 (ja) よだれかけ
JP2021004430A (ja) エプロン、およびエプロンの製造方法
JP2006214025A (ja) 多用途アフガン
JP5948471B1 (ja) 取換シート付スカート
AU2016100717A4 (en) Baby feeding and handling apron
CN101331981A (zh) 婴儿服装
JP2008111215A (ja) 片脇オープン型3層式トレーニングパンツ
KR100334928B1 (ko) 유아복
KR200320361Y1 (ko) 세면용 타월
JP2023067670A (ja) 毛髪結束具およびタオル
JP3081765U (ja) 乳幼児用パン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