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095B1 - 이동형 후판 탐상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형 후판 탐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095B1
KR102528095B1 KR1020210056510A KR20210056510A KR102528095B1 KR 102528095 B1 KR102528095 B1 KR 102528095B1 KR 1020210056510 A KR1020210056510 A KR 1020210056510A KR 20210056510 A KR20210056510 A KR 20210056510A KR 102528095 B1 KR102528095 B1 KR 102528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ck plate
unit
sensor
signal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9207A (ko
Inventor
황원익
이주섭
Original Assignee
(주)시티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티케이 filed Critical (주)시티케이
Priority to KR1020210056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095B1/ko
Publication of KR20220149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9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by investigating stray magnetic fie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24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ulses or pulse trains; generating pulses or pulse trains
    • G01D5/245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ulses or pulse trains; generating pulses or pulse trains using a variable number of pulses in a train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후판이 있는 위치에서 직접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후판을 편리하게 탐상할 수 있는 이동형 후판 탐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후판의 일면을 이동하면서 탐상하는 이동형 후판 탐상 장치에 있어서, 후판에 자력을 공급하고, 자력 변화를 감지하며, 후판 상면을 따라 굴러 이동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전기를 공급하고, 상기 회전부을 통하여 탐상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며, 사용자가 그립핑하여 상기 회전부를 이송하는 손잡이부; 상기 회전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배치되어 신호 및 전기를 연결하는 슬립링; 및 상기 회전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는 회전형 엔코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형 후판 탐상 장치{Movable apparatus for detecting defect of thick steel plate}
본 발명은 이동형 후판 탐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기센서를 이용한 이동형 후판 탐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후판은 일반적으로 두께 3㎜ 이상의 두꺼운 강판을 의미하며, 주로 선박용이나 건설용 철강재로 주로 사용되며, 주로 탄소강 제품이 많으며, 필요한 경우 합금강이나 스테인리스강 등 특수 처리한 제품도 있다.
선박의 경우에는 많은 후판을 사용하며, 전체 제조 공정을 완료하여 발주처에 인도하며, 인도된 업체에서 선박 외판의 품질을 별도로 검사를 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때 품질 불량이 발생된 경우, 심각한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조선소 등에서는 선박용 구조물 제조를 위하여 입고된 후판의 품질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전에 비파괴 검사 등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은 비파괴 검사의 일환으로 초음파 탐상 기술을 들 수 있는데, 강판 내부 품질 검사용 초음파 탐상 기술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매질의 경계 내에서 음파가 반사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시편의 내부에 결함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원리를 강판 내부 품질 검사에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강판 내부에 개재물(inclusion)이나 크랙, 스크래치, 덴트, 홀 등이 존재할 경우, 강판과 개재물 등과의 계면에서 음파가 반사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렇게 반사된 초음파는 탐촉자에 의해 그 위치와 강도 등의 정보와 함께 감지한다.
특히 공개특허 제2015-0074554호에는 상기와 같은 초음파의 원리를 이용한 초음파 탐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탐상 플레이트, 상기 탐상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초음파 탐촉자를 구비한 초음파 탐상부; 상기 초음파 탐상부를 후판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 구동부; 상기 초음파 탐상부를 후판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 구동부; 상기 초음파 탐상부를 높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Z축 구동부를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초음파 방식은 물과 같이 초음파를 전달하는 별도의 매질이 필요하여 후판 탐상 시 다소 복작한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대부분 후판의 탐상 작업을 위해서는 후판을 탐상장치가 구비된 장소로 운송하여 검사하고 있으나, 선박 제조용 후판의 경우에는 그 크기나 무게 등으로 인해 다시 탐상장치가 있는 위치까지 운송하는 것이 쉽지 않아 이동이 자유로워 피탐상물의 위치까지 손쉽게 이동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매질이 필요 없는 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후판이 있는 위치에서 직접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후판을 편리하게 탐상할 수 있는 이동형 후판 탐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후판의 일면을 이동하면서 탐상하는 이동형 후판 탐상 장치에 있어서, 후판에 자력을 공급하고, 자력 변화를 감지하며, 후판 상면을 따라 굴러 이동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전기를 공급하고, 상기 회전부을 통하여 탐상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며, 사용자가 그립핑하여 상기 회전부를 이송하는 손잡이부; 상기 회전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배치되어 신호 및 전기를 연결하는 슬립링; 및 상기 회전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는 회전형 엔코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부는: 축대칭형상으로 자석으로 포함하며, 상기 후판에 자력을 제공하는 코어부; 상기 코어부의 외면에 환형으로 배치되어 후판의 자력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모듈; 및 상기 코어부에 배치되어 상기 센서모듈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손잡이부는 연결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포터를 통하여 상기 회전부에서 처리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고, 외부 전원을 상기 회전부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회전부로 전기를 제공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연결포터를 통하여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부는 중심에 배치되는 중앙부; 상기 중앙부 양측면에 각가 부착되며, 상기 후판의 표면과 접촉하는 측판부; 상기 중앙부 외면에 결합되는 환형의 자석부; 및 상기 중앙부 내부에 배치되어 베어링을 통하여 상기 중앙부와 회전 결합하는 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판부는 강판 또는 순철 또는 전기 강판이며, 상기 축부는 절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모듈은: 유연성 기판; 상기 유연성 기판에 폭방향으로 복수의 단위 센서가 배치되는 센서열; 상기 센서열은 상기 기판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각 센서열의 단위 센서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스위치모듈; 상기 각 센서열에 전기를 제공하는 전원선; 상기 각 스위치모듈을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선; 및 상기 각 센서열의 단위 센서들의 감지값을 진송하는 신호선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모듈은 상기 단위 센서들의 출력 신호를 상기 신호선으로 스위칭 동작에 의하여 일정시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처리모듈은 상기 스위치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처리모듈은 상기 엔코더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부의 이송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후판 탐상 장치는 후판 표면에 접촉하여 회전에 의하여 이송하면서 후판에 자력을 제공하고, 동시에 변화된 자력을 감지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와 결합하면서, 상기 회전부의 전원을 제공하고, 또한 회전부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후판이 위치한 곳에 이동하여 사용자가 단순히 손잡이부를 통하여 이송하는 것만으로 후판의 탐상이 수행되므로, 후판이 적재된 주변 환경에 관계없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후판을 탐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후판 탐상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다른 실시예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회전부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코어부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다른 실시예이며,
도 6은 도 3에 처리모듈이 장착된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6에 센서모듈이 장착된 구성도이며,
도 8은 도 7에서 센서모듈과 후판 사이의 거리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9는 도 7의 센서모듈의 구성도이며,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손잡이부의 구성도이며,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처리모듈의 연결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후판 탐상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판(1)의 상단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회전부(10)와 상기 회전부(10)와 회전결합하고, 사용자가 잡아서 이동시키는 손잡이부(80)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10)와 상기 손잡이부(90) 사이에 설치되는 슬립링(60)과 회전형 엔코더(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슬립링(60)의 일측은 상기 회전부(10)와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손잡이부(80)와 결합하여 회전에 관계없이 전원을 공급하는 용도로 활용되고, 상기 엔코더(70) 역시 일측은 상기 회전부(10)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손잡이부(80)에 결합하여 상기 회전부(10)의 회전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슬립링(60)과 상기 엔코더(70)가 회전부(10)의 일측에 연속하여 설치될 수 있으나, 필요한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10)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슬립링(60)과 엔코더(70)과 환형으로 배치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부(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부(20)와 상기 코어부(20) 외면에 배치되는 처리모듈(30), 상기 처리모듈(30)의 외면에 환형으로 배치되는 센서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코어부(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중앙부(21)와 상기 중앙부(21)의 양끝단에 부착되는 원판 형상의 측판부(22), 상기 중앙부(21) 외면과 상기 측판부(22) 사이에 배치되는 원통형상의 자석부(23), 상기 중앙부(21)의 내면 공간에 배치되며, 복수의 베어링(24)을 매개로 상기 중앙부(21) 또는 측판부(22)와 결합하는 축부(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축부(29)는 상기 코어부(20)와 별도로 회전한다.
상기 측판부(22)는 순철 또는 강판 또는 전기 강판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중앙부(21) 역시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축부(29)는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적절한 강도를 가지면서 절연 특성이 있는 합성수지 또는 탄소섬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필요한 경우 상기 중앙부(21)는 상기 자석부(23)가 그 기능을 담당하는 경우 생략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측판부(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석부(23)의 내경에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석부(23)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대략 3,000가우스 정도의 자력이 구현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코어부(20)를 후판(1)에 안착시키는 경우, 측판부(22)의 외면이 후판(1) 상단과 접촉하므로, 상기 자석부(23)의 자력은 상기 측판부(22)를 통하여 후판(1) 측에 집중되는 특성이 있으며, 상기 코어부(20)가 후판(1) 상단에 굴러가는 경우에도 동일하다.
한편, 상기 코어부(20)에 배치되는 자석부(23)의 외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 단면 형상의 받침대(28)가 부착되며, 상기 받침대(28)의 외면에는 처리모듈(30)이 고정 배치된다.
상기 받침대(28)는 절연체인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열적인 측면을 고려하는 경우 테프론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처리모듈(30)은 복수의 단위 처리모듈(31)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위 처리모듈(31)이 상기 받침대(28)의 외면에 각각 부착된다.
상기 받침대(28)를 사각형 단면으로 구현하는 경우 4개의 단위 처리모듈(31)이 부착되며, 각 단위 처리모듈(31)은 필요한 경우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처리모듈(30)은 상기 센서부(40)에서 획득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센서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받침대(28)의 테프론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절연 특성과 제작 특성에 유리하여 바람직하나, 다른 합성수지 재질로도 구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코어부(20)에 설치된 처리모듈(30)의 외곽으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은 환형의 센서부(40)가 배치된다.
상기 센서부(40)는 유연성 기판(41)에 매트릭스 형태의 단위 센서(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단위 센서(42)는 자기센서로 구성되며, 폭방향(W)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센서열(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센서열(43)은 원주 방향(R)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단위 센서(42)는 자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자기센서이며 홀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기타 자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다른 센서(GMR 등)들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단위 센서(42)는 다양한 크기로 제조되나, 1mm 내외의 크기를 갖는 센서를 적용하는 것이 발람직하다.
또한 단위 센서(42) 사이의 거리는 4 내지 6mm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후판(1) 탐상에서 적절한 분해능을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센서열(43)의 표면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판(1)과의 거리 d를 가지며, 상기 d는 0.8mm 내지 1.6mm 사이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d가 0.8mm 미만인 경우에는 후판(1)의 일부 불균일성 또는 표면의 오염 등에 의하여 접촉될 우려가 있고, 1.6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센서열(43)에서 감지되는 자력 변화가 약하여 탐상 능력기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 센서부(40)의 직경이 200mm이고, 폭이 150mm 정도로 설정하는 경우, 상기 센서열(43)은 상기 단위 센서(42)의 크기 제한에 따라 대략 30여개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센서열(43)은 원주 방향으로 대략 90여개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여, 신호 처리 등을 위해서는 상기 센서열(43)은 32개로, 그리고 원주방향의 센서열(43)의 수는 96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센서부(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성 기판(41)과 상기 유연성 기판(41)에 배치되는 단위 센서(42), 그리고 각 센서열(43)의 단위 센서(42)와 대응되는 스위치모듈(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센서부(40)는 상기 처리모듈(30)에서 상기 센서열(4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45) 그리고 상기 스위치모듈(44)에 제어용 펄스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선(46)과 상기 스위치모듈(44)과 대응되는 단위 센서(43)에서 감지되는 자력변화 신호를 상기 처리모듈(30)로 출력하는 신호선(47)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선(45), 제어선(46) 및 신호선(47)들은 물리적으로 복수의 선들로 구성되며, 특히 제어선(46)의 경에는 리셋 신호를 제공하는 선과 펄스 신호를 제공하는 선은 별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모듈(44)는 시프트 레지스터로 먼저 리셋 신호를 인가한 후, 펄스를 상기 신호선(47)으로 인가하면, 해당 펄스 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스위치가 온되는 기능을 가진다.
즉, 첫번째 단위 센서(43)의 측정 값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리셋 신호를 전송한 후, 하나의 펄스를 인가하면, 첫번째 단위 센서(43)의 값이 상기 신호선(47)을 통하여 출력된다.
이후 펄스를 지속적으로 인가하면, 상기 센서열(43)에서 순차적으로 단위 센서(43)에 감지되는 값이 상기 신호선(47)으로 출력된다.
만약 다시 리셋 신호를 전송하고, 펄스를 연속하여 인가하는 경우, 역시 첫번째 단위 센서(43)의 값부터 출력된다.
따라서, 상기 처리모듈(30)은 상기 제어선(46)을 통하여 리셋 신호와 펄스를 이용하여 다수의 단위 센서(43)에서 감지되는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도 9에 도시된 처리모듈(30)은 실제적인 배치가 아니라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모식도이며, 실질적으로는 상기 센서모듈(40) 하단에 위치한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80)는 상기 축부(29)의 일단과 결합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는 상기 처리모듈(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배터리(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81)는 상기 슬립링(60)을 통하여 상기 처리모듈(30)과 연결되며, 또한 상기 슬립링(60)을 통하여 출력되는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연결포터(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포터(82)는 유선 방식으로 외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는 외부 피씨와 연결되어 측정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연결포터(82)는 무선모듈을 포함하여, 출력된 신호를 외부로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전송된 신호는 스마트폰 또는 테이블릿 피씨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부(23)가 전자석인 경우에는 상기 연결포터(82)를 통하여 외부 전원이 공급될 수 있으며, 배터리(81)의 용량이 제한적일 경우에도 상기 연결포터(82)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될 수 있으며, 또한 필요한 경우 배터리(81)의 충전도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형 엔코더(70)는 상기 손잡이부(80)를 통하여 상기 회전부(10)를 회전시키는 경우, 회전부(10)의 회전 각도에 따라 펄스를 발생시키므로, 상기 처리모듈(30)은 상기 회전형 엔코더(70)의 펄스 신호에 따라 회전부(10)의 이동량을 설정하며, 회전 방향을 구별하여 인식하도록 구성한다.
만약 사용자가 회전부(10)를 왕복 이송하는 경우, 상기 처리모듈(30)은 반복되는 센서열(43) 신호들을 평균 계산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80)는 작업자가 그립하여 이송하는 역할을 하므로, 필요한 경우 전체 장치의 동작을 위한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처리모듈(3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적으로 연결되며, 엔코더(70) 신호를 기초로 특정한 센서열(43)만의 신호값을 출력한다.
먼저 상기 처리모듈(30)은 상기 엔코더(70)가 회전하여 펄스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회전부(10)가 회전하여 이동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후 전체 센서열(43) 중 특정 위치에 단위 센서(43)의 신호값을 수신받기 위하여 모든 센서열(43)에 대하여 리셋 신호와 특정 펄스 수를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위치(N)의 단위 센서(43)의 원주 방향의 값을 수신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처리모듈(30)은 N번째의 단위 센서(42) 중 신호의 강도가 가장 높은 단위 센서(42)의 위치를 인식한 후, 해당 단위 센서(42)가 위치하는 센서열(43)의 값을 모두 순차적으로 획득한다.
이는 원주 방향의 단위 센서(42) 중 후판(1)가 가장 인접한 단위 센서(42)가 가장 높은 강도의 신호를 수신하므로, 해당 센서열(42) 가장 높은 측정 감도를 가지므로, 높은 탐상 효율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이후에는 상기와 같은 방식은 반복하며, 만약 상기 엔코더(70)의 신호가 왕복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처리모듈(30)은 왕복 이동되는 거리를 산정한 후, 서로 겹치는 부분의 단위 센서(42)의 값들은 평균하여 처리한다.
상기와 같은 왕복 방식은 정교한 후판(1)의 탐상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후판 탐상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후판 10: 회전부
20: 코어부 21: 중앙부
22: 측판부 23: 자석부
24: 베어링 28: 받침대
29: 축부 30: 처리모듈
40: 센서모듈 41: 기판
42: 단위 센서 43: 센서열
44: 스위치모듈 45: 전원선
46: 제어선 47: 신호선
60: 슬립링 70: 엔코더
80: 손잡이부 81: 베터리
82: 연결포터 100: 탐상 장치

Claims (9)

  1. 후판의 일면을 이동하면서 탐상하는 이동형 후판 탐상 장치에 있어서,
    후판에 자력을 공급하고, 자력 변화를 감지하며, 후판 상면을 따라 굴러 이동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전기를 공급하고, 상기 회전부을 통하여 탐상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며, 사용자가 그립핑하여 상기 회전부를 이송하는 손잡이부;
    상기 회전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배치되어 신호 및 전기를 연결하는 슬립링; 및
    상기 회전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는 회전형 엔코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후판 탐상 장치.
    상기 회전부는:
    축대칭형상으로 자석으로 포함하며, 상기 후판에 자력을 제공하는 코어부;
    상기 코어부의 외면에 환형으로 배치되어 후판의 자력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모듈; 및
    상기 코어부에 배치되어 상기 센서모듈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모듈은:
    유연성 기판;
    상기 유연성 기판에 폭방향으로 자기센서인 복수의 단위 센서가 배치되는 센서열;
    상기 센서열은 상기 기판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각 센서열의 단위 센서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스위치모듈;
    상기 각 센서열에 전기를 제공하는 전원선;
    상기 각 스위치모듈을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선; 및
    상기 각 센서열의 단위 센서들의 감지값을 진송하는 신호선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모듈은 상기 단위 센서들의 출력 신호를 상기 신호선으로 스위칭 동작에 의하여 일정시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후판 탐상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손잡이부는 연결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포터를 통하여 상기 회전부에서 처리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고, 외부 전원을 상기 회전부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후판 탐상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회전부로 전기를 제공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연결포터를 통하여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후판 탐상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중심에 배치되는 중앙부;
    상기 중앙부 양측면에 각가 부착되며, 상기 후판의 표면과 접촉하는 측판부;
    상기 중앙부 외면에 결합되는 환형의 자석부; 및
    상기 중앙부 내부에 배치되어 베어링을 통하여 상기 중앙부와 회전 결합하는 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후판 탐상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는 강판 또는 순철 또는 전기 강판이며, 상기 축부는 절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후판 탐상 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처리모듈은 상기 스위치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후판 탐상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처리모듈은 상기 엔코더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부의 이송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후판 탐상 장치.
KR1020210056510A 2021-04-30 2021-04-30 이동형 후판 탐상 장치 KR102528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510A KR102528095B1 (ko) 2021-04-30 2021-04-30 이동형 후판 탐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510A KR102528095B1 (ko) 2021-04-30 2021-04-30 이동형 후판 탐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207A KR20220149207A (ko) 2022-11-08
KR102528095B1 true KR102528095B1 (ko) 2023-05-12

Family

ID=84041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510A KR102528095B1 (ko) 2021-04-30 2021-04-30 이동형 후판 탐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09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790B1 (ko) 2006-06-29 2008-05-07 주식회사엑소 와이어로프 결함탐지시스템 및 그 방법
JP4561195B2 (ja) 2004-06-24 2010-10-1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磁性金属被検体の欠陥の検出方法及びその検出装置
KR101081375B1 (ko) * 2008-12-09 2011-11-08 한국도로공사 강 교량의 표면 주행이 가능한 교량점검 및 비파괴조사용 로봇
JP6024589B2 (ja) * 2013-05-13 2016-11-1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内部欠陥測定装置
KR102339941B1 (ko) 2021-04-12 2021-12-16 (주)스마트 제어계측 전주의 철근파단 진단을 위한 비파괴 검사 장비 및 그 장비를 이용한 진단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3650B2 (ja) * 1996-02-20 2002-07-22 日本鋼管株式会社 磁気センサアレイの校正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1195B2 (ja) 2004-06-24 2010-10-1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磁性金属被検体の欠陥の検出方法及びその検出装置
KR100827790B1 (ko) 2006-06-29 2008-05-07 주식회사엑소 와이어로프 결함탐지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81375B1 (ko) * 2008-12-09 2011-11-08 한국도로공사 강 교량의 표면 주행이 가능한 교량점검 및 비파괴조사용 로봇
JP6024589B2 (ja) * 2013-05-13 2016-11-1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内部欠陥測定装置
KR102339941B1 (ko) 2021-04-12 2021-12-16 (주)스마트 제어계측 전주의 철근파단 진단을 위한 비파괴 검사 장비 및 그 장비를 이용한 진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207A (ko) 202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1826B2 (en)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 for inspecting limited-access features of a structure
US8798940B2 (en) Rotating array probe system for non-destructive testing
EP1709438B1 (en)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 for inspecting limited-acces features of a structure
US20110234212A1 (en) Magnetic flux leakage inspection device
KR101843890B1 (ko) 강구조물 및 용접부 결함 진단장치
JP4524764B2 (ja) 超音波探傷方法及び装置
US201100614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n-destructive detection of defects in the interior of semiconductor material
US7984650B2 (en) Portable ultrasonic scanner device for nondestructive testing
CN103499636A (zh) 基于测静磁力的薄板类铁磁材料中微缺陷的无损检测方法
JP2006153546A (ja) 接触式鋼管寸法測定装置
KR102528095B1 (ko) 이동형 후판 탐상 장치
CN109975411B (zh) 轴零件批量相控阵超声检测流水线
KR101756263B1 (ko) 회전형 자기 탐상 장치
JP5140677B2 (ja) 管形状の被検体のための漏れ磁束検査装置
KR102578913B1 (ko) 이동형 후판 탐상 장치용 제어 장치
CN101231266A (zh) 一种电磁无损检测探头的检测系统
WO2006046578A1 (ja) 電池外装ケースの傷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KR20100076636A (ko) 초음파 탐상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RU245562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лошного сканирующего контроля качества неповоротных цилиндрических деталей
JP7351332B2 (ja) 渦流探傷用プローブ、探傷方法および渦流探傷装置
JP2010096779A (ja) 超音波探傷装置
JP2019128263A (ja) 測定装置、ロボット及び測定方法
JPS60249049A (ja) 欠陥検出装置
EP0241013A2 (en) Apparatus for detecting surface microdefects in a metal workpiece
JPS6131962A (ja) 配管の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