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777B1 - 여행 일정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여행 일정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7777B1
KR102527777B1 KR1020210085246A KR20210085246A KR102527777B1 KR 102527777 B1 KR102527777 B1 KR 102527777B1 KR 1020210085246 A KR1020210085246 A KR 1020210085246A KR 20210085246 A KR20210085246 A KR 20210085246A KR 102527777 B1 KR102527777 B1 KR 102527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vel
itinerary
service provider
cours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3755A (ko
Inventor
김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리피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리피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리피누
Priority to KR1020210085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777B1/ko
Publication of KR20230003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3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 사용자의 접속 지역 및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단시간 내에 사용자의 특성에 적합한 여행 일정을 생성하는 여행 일정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일정 제공 방법은, 여행 장소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된 여행 장소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여행 지역 및 복수의 여행 지역에서의 여행 일정 코스를 생성하여 코스 데이터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코스 데이터 서버에 저장된 상기 하나의 여행 지역 및 상기 복수의 여행 지역에서의 여행 일정 코스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여행 지역에 포함된 여행 장소별로 태그를 설정하여 태그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태그 테이블을 상기 종합 데이터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태그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하나의 여행 지역 및 상기 복수의 여행 지역에서의 여행 일정 코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여행 일정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TRAVEL ITINERARIES}
본 발명은 여행 일정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여행 일정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 및 해외를 여행하는 관광객들이 증가함에 따라, 여행사를 통해 국내 또는 해외 여행 상품을 선택하거나, 자신에게 적합한 상품이 없는 경우에는 직접 시간을 들여 여행 계획을 수립하는 사람이 증가되고 있다.
다만, 상기 여행 계획을 처음부터 끝까지 개인이 계획 및 수립하는 것은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많은 시간을 들이지 않고서도 여행자의 특성에 적합한 여행 일정을 생성할 수 있는 여행 일정 제공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 2006-0097298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 사용자의 접속 지역 및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단시간 내에 사용자의 특성에 적합한 여행 일정을 제공하는 여행 일정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일정 제공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구현되는 여행 일정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여행 장소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상기 수집된 여행 장소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여행 지역 및 복수의 여행 지역에서의 여행 일정 코스를 생성하여 코스 데이터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와, 종합 데이터 서버가, 상기 코스 데이터 서버에 저장된 상기 하나의 여행 지역 및 상기 복수의 여행 지역에서의 여행 일정 코스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상기 여행 지역에 포함된 여행 장소별로 태그(tag)를 설정하여 태그 테이블(tag table)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상기 생성된 태그 테이블을 상기 종합 데이터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상기 태그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하나의 여행 지역 및 상기 복수의 여행 지역에서의 여행 일정 코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행 장소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장소 데이터 서버로부터 여행 지역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상기 검색된 여행 지역을 상기 코스 데이터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집된 여행 장소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여행 지역 및 복수의 여행 지역에서의 여행 일정 코스를 생성하여 코스 데이터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상기 여행 장소 데이터를 이용하여, 여행 지역 별로 복수의 하루 여행 일정 코스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생성된 여행 지역별 하루 여행 일정 코스를 조합하여 여행 지역 별로 2일 이상의 여행 일정 코스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생성된 여행 지역별 2일 이상의 여행 일정 코스를 조합하여 복수의 여행 지역에서의 2일 이상의 여행 일정 코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상기 생성된 여행 지역별 하루 여행 일정 코스와, 상기 생성된 여행 지역별 2일 이상의 여행 일정 코스 및 상기 생성된 복수의 여행 지역에서의 2일 이상의 여행 일정 코스를 상기 코스 데이터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태그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하나의 여행 지역 및 상기 복수의 여행 지역에서의 여행 일정 코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 지역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나타난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상기 태그 테이블을 검색하여 나타나는 상기 태그의 출현 빈도에 따른 제 1 가중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 지역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나타난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나타나는 여행 일정 코스의 선호도를 수치화한 제 2 가중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상기 설정된 제 1 가중치 및 제 2 가중치에 따라 선택된 상기 하나의 여행 지역 및 상기 복수의 여행 지역에서의 여행 일정 코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 지역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나타난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상기 태그 테이블을 검색한 결과가 없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새로운 태그를 설정하여 상기 태그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상기 설정된 새로운 태그에 따라 제 1 가중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나타난 사용자의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및 나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태그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하나의 여행 지역 및 상기 복수의 여행 지역에서의 여행 일정 코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제공한 여행 일정 코스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상기 피드백에 기초하여 여행 일정 코스의 선호도를 상기 종합 데이터 서버에 저장하고, 수정된 여행 일정 코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행 장소별로 태그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태그 테이블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특성에 적합한 여행 일정 코스를 단시간 내에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일정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일정 제공 방법을 나타낸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일정 제공 방법 중 여행 장소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일정 제공 방법 중 하나의 여행 지역 및 복수의 여행 지역에서의 여행 일정 코스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일정 제공 방법 중 태그 테이블에 나타난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의 여행 지역 및 복수의 여행 지역에서의 여행 일정 코스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일정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1)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1)은 장소 데이터 서버(10), 종합 데이터 서버(100),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 사용자 단말기(300), 코스 데이터 서버(400)를 포함한다. 이 때, 사용자 단말기(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소 데이터 서버(10), 종합 데이터 서버(100),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 사용자 단말기(300), 코스 데이터 서버(400)는 네트워크(N)를 통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N)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는 일례로서,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는, 장소 데이터 서버(10)로부터 여행 장소 데이터를 제공받아 여행 일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는 종합 데이터 서버(100)를 통해 제공되는 여행 일정 제공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여행 일정 코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여행 희망자)의 단말기일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는, 장소 데이터 서버(10)로부터 여행 장소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일례로서, 장소 데이터 서버(10)는 국가, 도시 등의 여행 지역을 포함하는 여행 장소 데이터를 포함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 때, 여행 지역은 관광 명소, 맛집 등의 여행 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는 상기 장소 데이터 서버(10)로부터 여행 지역을 검색하고, 검색된 여행 지역을 코스 데이터 서버(40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는 웹 크롤링(web crawling) 등의 검색 방법을 통해 여행 장소 데이터를 장소 데이터 서버(10)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일례로서,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는 구글 맵(google map)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등을 이용하여 여행 지역 입력시 자동적으로 국가, 도시 등이 코스 데이터 서버(400)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전술한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를 통한 여행 장소 데이터 수집 방법 이외에,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사용자(여행 희망자)가 희망하는 여행 지역을 코스 데이터 서버(400)에 저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는, 코스 데이터 서버(400)에 수집된 여행 장소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여행 지역 및 복수의 여행 지역에서의 여행 일정 코스를 생성하여 코스 데이터 서버(400)에 저장할 수 있다.
종합 데이터 서버(100)는, 코스 데이터 서버(400)에 저장된 하나의 여행 지역 및 복수의 여행 지역에서의 여행 일정 코스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는, 장소 데이터 서버(10)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여행 지역에 포함된 여행 장소별로 태그(tag)를 설정하여 태그 테이블(tag table)을 생성하고, 생성된 태그 테이블을 종합 데이터 서버(100)에 저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태그는 '서울(종로)-#문화, #유적, #관광', '서울(명동, 강남)-#쇼핑' 등과 같이 여행 지역에 포함된 구체적인 여행 장소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는, 생성된 태그 테이블을 이용하여 하나의 여행 지역 및 복수의 여행 지역에서의 여행 일정 코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는, 네트워크(N)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서, 컴퓨터는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는,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서,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소 데이터 서버(10), 종합 데이터 서버(100) 및 코스 데이터 서버(400)는, 네트워크(N)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서, 컴퓨터는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장소 데이터 서버(10), 종합 데이터 서버(100) 및 코스 데이터 서버(400) 또는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로 여행 일정 제공 서비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는 전송된 여행 일정 제공 서비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여행 일정 제공 서비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이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일례로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기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일례로서, 모바일 단말기(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일정 제공 방법을 나타낸 전체적인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일정 제공 방법 중 여행 장소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일정 제공 방법 중 하나의 여행 지역 및 복수의 여행 지역에서의 여행 일정 코스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일정 제공 방법 중 태그 테이블에 나타난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의 여행 지역 및 복수의 여행 지역에서의 여행 일정 코스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일정 제공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각 단계는 전술한 네트워크(N)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가 여행 장소 데이터를 수집한다(S1 단계).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S1 단계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가 장소 데이터 서버(10)로부터 여행 지역을 검색하는 단계(S11 단계) 및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가 검색된 여행 지역을 코스 데이터 서버(400)에 저장하는 단계(S12 단계)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가 수집된 여행 장소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여행 지역 및 복수의 여행 지역에서의 여행 일정 코스를 생성하여 코스 데이터 서버(400)에 저장한다(S2 단계).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S2 단계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가 여행 장소 데이터를 이용하여 여행 지역 별로 복수의 하루 여행 일정 코스를 생성하는 단계(S21 단계)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S21 단계에서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가 서울(종로)에서의 하루 여행 일정 코스, 서울(강남)에서의 하루 여행 일정 코스, 서울(광화문)에서의 하루 여행 일정 코스, 인천(송도)에서의 하루 여행 일정 코스, 인천(월미도)에서의 하루 여행 일정 코스, 인천(영종도)에서의 하루 여행 일정 코스 등과 같이 여행 지역 별로 복수의 하루 여행 일정 코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S2 단계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가 생성된 여행 지역별 하루 여행 일정 코스를 조합하여 여행 지역 별로 2일 이상의 여행 일정 코스를 생성하는 단계(S22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S22 단계에서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가 상기 S21 단계에서 생성된 서울에서의 하루 여행 일정 코스, 인천에서의 하루 여행 일정 코스 등과 같은 여행 지역별 하루 여행 일정 코스를 조합하여 2일 이상의 여행 일정 코스(예 : 서울(종로+강남) 3일 여행 일정 코스 , 인천(송도+영종도) 3일 여행 일정 코스 등)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S2 단계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가 생성된 여행 지역별 2일 이상의 여행 일정 코스를 조합하여 복수의 여행 지역에서의 2일 이상의 여행 일정 코스를 생성하는 단계(S23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S23 단계에서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가 여행 지역별로 생성된 2일 이상의 여행 일정 코스(예 : 서울(종로+강남) 3일 여행 일정 코스 , 인천(송도+영종도) 3일 여행 일정 코스 등)를 조합하여 복수의 여행 지역(예 : 서울+인천)에서의 2일 이상의 여행 일정 코스(서울 3일+인천 3일 여행 일정 코스 등)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S2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가 생성된 여행 지역별 하루 여행 일정 코스(S21 단계에서 생성된 여행 일정 코스)와, 생성된 여행 지역별 2일 이상의 여행 일정 코스(S22 단계에서 생성된 여행 일정 코스) 및 생성된 복수의 여행 지역에서의 2일 이상의 여행 일정 코스(S23 단계에서 생성된 여행 일정 코스)를 코스 데이터 서버(400)에 저장하는 단계(S24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S2 단계 이후에는, 종합 데이터 서버(100)가 코스 데이터 서버(400)에 저장된 하나의 여행 지역 및 복수의 여행 지역에서의 여행 일정 코스를 수신한다(S3 단계).
다음으로,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가, 상기 여행 지역에 포함된 여행 장소별로 태그(tag)를 설정하여 태그 테이블(tag table)을 생성한다(S4 단계).
예시적으로, 상기 태그는 '서울(종로)-#문화, #유적, #관광', '서울(명동, 강남)-#쇼핑' 등과 같이 여행 장소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태그 테이블은 상기 설정된 태그에 대응되는 여행 장소가 테이블(table) 형태로 형성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가, 생성된 태그 테이블을 종합 데이터 서버(100)에 저장한다(S5 단계).
다음으로,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가, 태그 테이블을 이용하여 하나의 여행 지역 및 복수의 여행 지역에서의 여행 일정 코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에 제공한다(S6 단계).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S6단계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가, 사용자 단말기(300)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 사용자 단말기(300)의 접속 지역 및 사용자 단말기(300)에 나타난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태그 테이블을 검색하여 나타나는 태그의 출현 빈도에 따른 제 1 가중치를 설정하는 단계(S61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사용자 단말기(300)에 나타난 사용자의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및 나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61 단계에서는, 예시적으로 '사용자 단말기(300)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 : 서울 강남 여행 3일, 사용자 단말기(300)의 접속 지역 : 부산, 사용자 단말기(300)에 나타난 사용자의 정보 : 20대 여성'인 경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 사용자 단말기(300)의 접속 지역 및 사용자 단말기(300)에 나타난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태그 테이블을 검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에 의해 검색된 태그는 예시적으로 #쇼핑 등일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는 검색된 '#쇼핑' 태그가 들어간 여행 일정 코스에 대해 가중치(제 1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S6 단계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가, 사용자 단말기(300)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 사용자 단말기(300)의 접속 지역 및 사용자 단말기(300)에 나타난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태그 테이블을 검색한 결과가 없는 경우(검색되는 태그가 없는 경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가 새로운 태그를 설정하여 태그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S611 단계) 및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가 S611 단계에서 설정된 새로운 태그에 따라 제 1 가중치를 설정하는 단계(S612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S611 단계에서는, 예시적으로 '사용자 단말기(300)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 : 부산 여행 3일, 사용자 단말기(300)의 접속 지역 : 서울, 사용자 단말기(300)에 나타난 사용자의 정보 : 20대 남성'인 경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 사용자 단말기(300)의 접속 지역 및 사용자 단말기(300)에 나타난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태그 테이블을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기(300)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 사용자 단말기(300)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 사용자 단말기(300)의 접속 지역 및 사용자 단말기(300)에 나타난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태그 테이블을 검색한 결과가 없는 경우에는 예시적으로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는 '#액티비티'와 같이 새로운 태그를 설정하여 태그 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S612 단계에서는, 예시적으로 '#액티비티'와 같은 설정된 새로운 태그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가 '부산' 여행 일정 코스에 대해 가중치(제 1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S6 단계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가, 사용자 단말기(300)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 사용자 단말기(300)의 접속 지역 및 사용자 단말기(300)에 나타난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나타나는 여행 일정 코스의 선호도를 수치화한 제 2 가중치를 설정하는 단계(S62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S62 단계에서는, 예시적으로 '사용자 단말기(300)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 : 서울 여행 3일, 사용자 단말기(300)의 접속 지역 : 부산, 사용자 단말기(300)에 나타난 사용자의 정보 : 20대 여성'인 경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는 '상기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300)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 사용자 단말기(300)의 접속 지역 및 사용자 단말기(300)에 나타난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나타나는 사용자의 여행 일정 코스의 선호도를 수치화하여 선호도가 높은 여행 일정 코스에 대해 가중치(제 2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S6 단계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가, S61 단계 또는 S612 단계에서 설정된 제 1 가중치 및 S62 단계에서 설정된 제 2 가중치에 따라 선택된 하나의 여행 지역 및 복수의 여행 지역에서의 여행 일정 코스를 사용자 단말기(300)에 제공하는 단계(S63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S63 단계에서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가 S61 단계 또는 S612 단계에서 설정된 제 1 가중치 및 S62 단계에서 설정된 제 2 가중치에 따라 하나의 여행 지역 및 복수의 여행 지역에서의 여행 일정 코스 중 점수가 높은 여행 일정 코스를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 1 가중치 및 제 2 가중치에 따라 선택된 여행 일정 코스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는 점수가 가장 높은 여행 일정 코스만을 사용자 단말기(300)에 제공할 수도 있고, 점수가 가장 높은 여행 일정 코스를 1안으로 제공하고 차순위 여행 일정 코스들을 복수의 추천일정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S6 단계 이후에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가 제공한 여행 일정 코스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계(S7 단계) 및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0)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피드백에 기초하여 여행 일정 코스의 선호도를 종합 데이터 서버(100)에 저장하고 수정된 여행 일정 코스를 사용자 단말기(300)에 제공하는 단계(S8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S8 단계에서 종합 데이터 서버(100)에 저장된 여행 일정 코스의 선호도는 추후 다른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여행 일정 제공 서비스를 이용할 때, 전술한 S62 단계에서 제 2 가중치를 설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행 장소별로 태그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태그 테이블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특성에 적합한 여행 일정 코스를 단시간 내에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시스템
10 : 장소 데이터 서버
100 : 종합 데이터 서버
200 :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
300 : 사용자 단말기
400 : 코스 데이터 서버
N : 네트워크

Claims (7)

  1. 네트워크를 통해 구현되는 여행 일정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여행 장소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상기 수집된 여행 장소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여행 지역 및 복수의 여행 지역에서의 여행 일정 코스를 생성하여 코스 데이터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종합 데이터 서버가, 상기 코스 데이터 서버에 저장된 상기 하나의 여행 지역 및 상기 복수의 여행 지역에서의 여행 일정 코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상기 여행 지역에 포함된 여행 장소별로 태그(tag)를 설정하여 태그 테이블(tag table)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상기 생성된 태그 테이블을 상기 종합 데이터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상기 태그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하나의 여행 지역 및 상기 복수의 여행 지역에서의 여행 일정 코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태그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하나의 여행 지역 및 상기 복수의 여행 지역에서의 여행 일정 코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 지역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나타난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상기 태그 테이블을 검색하여 나타나는 상기 태그의 출현 빈도에 따른 제 1 가중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 지역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나타난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상기 태그 테이블을 검색한 결과가 없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새로운 태그를 설정하여 상기 태그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상기 설정된 새로운 태그에 따라 제 1 가중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 지역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나타난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나타나는 여행 일정 코스의 선호도를 수치화한 제 2 가중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상기 설정된 제 1 가중치 및 제 2 가중치에 따라 선택된 상기 하나의 여행 지역 및 상기 복수의 여행 지역에서의 여행 일정 코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일정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 장소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장소 데이터 서버로부터 여행 지역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상기 검색된 여행 지역을 상기 코스 데이터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일정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여행 장소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여행 지역 및 복수의 여행 지역에서의 여행 일정 코스를 생성하여 코스 데이터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상기 여행 장소 데이터를 이용하여, 여행 지역 별로 복수의 하루 여행 일정 코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생성된 여행 지역별 하루 여행 일정 코스를 조합하여 여행 지역 별로 2일 이상의 여행 일정 코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생성된 여행 지역별 2일 이상의 여행 일정 코스를 조합하여 복수의 여행 지역에서의 2일 이상의 여행 일정 코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상기 생성된 여행 지역별 하루 여행 일정 코스와, 상기 생성된 여행 지역별 2일 이상의 여행 일정 코스 및 상기 생성된 복수의 여행 지역에서의 2일 이상의 여행 일정 코스를 상기 코스 데이터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일정 제공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나타난 사용자의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및 나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일정 제공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하나의 여행 지역 및 상기 복수의 여행 지역에서의 여행 일정 코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제공한 여행 일정 코스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상기 피드백에 기초하여 여행 일정 코스의 선호도를 상기 종합 데이터 서버에 저장하고, 수정된 여행 일정 코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일정 제공 방법.
KR1020210085246A 2021-06-30 2021-06-30 여행 일정 제공 방법 KR102527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246A KR102527777B1 (ko) 2021-06-30 2021-06-30 여행 일정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246A KR102527777B1 (ko) 2021-06-30 2021-06-30 여행 일정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3755A KR20230003755A (ko) 2023-01-06
KR102527777B1 true KR102527777B1 (ko) 2023-05-03

Family

ID=84924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246A KR102527777B1 (ko) 2021-06-30 2021-06-30 여행 일정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77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8252B1 (ko) * 2016-02-02 2017-07-17 권경우 여행 일정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21717B1 (ko) * 2016-10-11 2018-01-24 (주)솔투로 여행플랫폼의 공유플랜 제공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7298A (ko) 2005-03-05 2006-09-14 임금혁 여행상품 중개 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41296A (ko) * 2009-10-15 2011-04-21 주식회사 케이티 지식 검색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지식 제공 방법
KR20190093811A (ko) * 2018-01-19 2019-08-12 류재성 여행자 생성 콘텐츠를 추천 여행정보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231219B1 (ko) * 2018-12-20 2021-03-23 주식회사 타임투어 여행 플랜 자동생성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8252B1 (ko) * 2016-02-02 2017-07-17 권경우 여행 일정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21717B1 (ko) * 2016-10-11 2018-01-24 (주)솔투로 여행플랫폼의 공유플랜 제공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3755A (ko) 202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6746B1 (ja) 地図を利用した情報共有システム
CN109063014B (zh) 电子交易方法、移动台、基站、通信系统和存储介质
KR101758252B1 (ko) 여행 일정 서비스 제공 방법
Martin et al. A contextual geofencing mobile tourism service
KR101790745B1 (ko)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CN101166327B (zh) 用于动态标记可视显示地图中的地图对象的方法和装置
CN105339935A (zh) 用于促进与数字地图相关的位置的搜索及显示的方法、装置及计算机软件
CN105339762A (zh) 用于促进与数字地图相关的位置的搜索及显示的方法、装置及计算机软件
CN103148857A (zh) 一种提供信息的方法和系统
KR20040055612A (ko) 정보 표시 시스템
US20150154512A1 (en) Method for booking travel arrangements
Fujita et al. Development of dynamic real-time navigation system
KR102527777B1 (ko) 여행 일정 제공 방법
Guo et al. Towards an iot enabled tourism and visualization review on the relevant literature in recent 10 years
KR102123909B1 (ko) 관심 정보 기반에서의 여행 정보 추천 공유 및 여행지식인 매칭 플랫폼과 그 방법
KR20160093281A (ko) Lbs 기반 개인간 구인구직 서비스 제공 방법
EP3007072A1 (en) Method for displaying site page related to current position in desired condition order in portable terminal, and system
Singh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location–based multimedia mobile tourist guide system
JP2006048260A (ja) 旅行プラン作成支援方法およびシステム
Sun et al. Conserving the landscape connectivity of natural forest reserves in tourism development
CN109388750A (zh) 信息推送方法及装置
KR101592509B1 (ko) 이력관리방법 및 이력관리시스템
KR20140146251A (ko) 위치 기반의 지리 관계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210101504A (ko) 모바일 디바이스 기반 개인비서를 이용한 여행자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Rajasekaran et al.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E-marketing with Reference to Tourism Industry in In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