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523B1 - 접근 가이드 제공 및 맞춤형 사전 설정을 지원하는 정보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접근 가이드 제공 및 맞춤형 사전 설정을 지원하는 정보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7523B1
KR102527523B1 KR1020200189278A KR20200189278A KR102527523B1 KR 102527523 B1 KR102527523 B1 KR 102527523B1 KR 1020200189278 A KR1020200189278 A KR 1020200189278A KR 20200189278 A KR20200189278 A KR 20200189278A KR 102527523 B1 KR102527523 B1 KR 102527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terminal
information terminal
mat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6651A (ko
Inventor
김지호
김주윤
박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닷
Priority to KR1020200189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523B1/ko
Priority to PCT/KR2021/019151 priority patent/WO2022145827A1/ko
Priority to US17/997,809 priority patent/US20230328174A1/en
Publication of KR20220096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651A/ko
Priority to US17/981,106 priority patent/US20230204370A1/en
Priority to US17/981,069 priority patent/US2023023603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03Static body considered as a whole, e.g. static pedestrian or occupant recogni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접근 가이드 제공 및 맞춤형 사전 설정을 지원하는 정보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이 개시되며,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 가이드 제공 및 맞춤형 사전 설정을 지원하는 정보 단말을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보유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단말을 매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에 대한 접근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및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과 연계된 요소를 상기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설정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근 가이드 제공 및 맞춤형 사전 설정을 지원하는 정보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INFORMATION TERMINAL FOR PROVIDING ACCESS GUIDE AND CUSTOMIZED PRESETTING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본원은 접근 가이드 제공 및 맞춤형 사전 설정을 지원하는 정보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4차 산업혁명과 IT기술의 발달로 각종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기존 인력을 대체할 수 있는 무인화 기기(예를 들면, 키오스크 등)가 대거 등장하며 전세계적으로 그 활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설치되어 있는 대부분의 무인화 기기는 비장애인 사용자, 젊은 연령층의 사용자를 주로 타겟하여 제작, 보급 및 운용되고 있기 때문에 장애인 사용자와 고령층 사용자 등 정보 취약계층의 사용자들이 현재 제공되는 무인화 기기를 통해 특정 서비스에 접근 및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몹시 큰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전세계의 장애인 수는 인구 대비 약 15%를 차지하여 전세계적으로 10억명에 달하는 한편, G20 국가를 중심으로 인구의 고령화 역시 심화되고 있어 2050년까지 전세계 인구의 17%가 노인 인구에 속하게 될 것으로 전망되기도 한다. 결국 향후에는 전체 인구의 10명 당 약 3명 수준으로 장애인 또는 고령층의 비율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인력 부족으로 인한 무인화 기기의 채택이 누구도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인 것을 고려할 때, 장애인 사용자와 고령층 사용자 등 정보 취약계층에 대한 불평등은 계속하여 점차 심화될 것이라는 큰 사회 문제가 예상된다.
한편, 국내에서는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최근 들어 국가정보화기본법과 장애인차별금지법에 대한 개정안이 통과 되었으며, 재화, 용역 등의 제공자와 국가기관 등이 디지털 응용프로그램, 무인(안내) 단말기를 설치 및 운영하는 경우 장애인들이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접근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여, 무인 단말기 이용에 있어서 장애인에 대한 차별을 해소하고자 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무인화 기기의 자동화 수준이 점차 높아지고 무인화 기기를 통해 대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점포 및 공공장소에 적극적으로 도입이 이루어지는 것과는 반대로, 정보 취약계층의 사용자의 경우 무인화 기기에 대한 접근성이 크게 떨어지고, 무인화 기기는 사용자가 무인화 기기의 사용법을 숙지하고 있을 것을 전제로 운용되기 때문에 전술한 정보 취약계층의 사용자에게는 여전히 하나의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정보 취약계층 사용자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사용자가 어려움 없이 무인화 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무인화 기기의 사용 환경, 사용자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및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과 관련된 요소를 반응형 또는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는 무인화 기기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80326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보 단말이 설치된 대상 공간에 접근하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근 가능한 정보 단말을 매칭하여 접근 가이드를 제공하고, 매칭된 정보 단말은 접근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고려하여 맞춤형의 UI/UX 관련 사전 설정을 수행함으로써 장애인 사용자 등 정보 단말의 활용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정보 단말을 사용하도록 보조할 수 있는 접근 가이드 제공 및 맞춤형 사전 설정을 지원하는 정보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 가이드 제공 및 맞춤형 사전 설정을 지원하는 정보 단말을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보유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단말을 매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에 대한 접근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및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과 연계된 요소를 상기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설정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맞춤형 설정으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장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과 연계된 제어 입력 인가 방식 및 정보 출력 방식을 사용자 맞춤형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단말을 매칭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보행 능력, 상기 위치 정보로부터 소정의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로부터 정보 단말까지의 이격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근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장애 정보 및 상기 보행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의 위치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정보인 상기 접근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매칭 결과 및 상기 접근 가이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사전에 확보된 제1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로 접근하는 과정에서 식별되는 상기 사용자의 외형 특성, 행동 특성 및 오브젝트 특성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도출되는 제2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맞춤형 설정으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장애 정보가 시각 장애인 사용자이면,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이 점자 입력 방식, 음성 입력 방식 및 직관화된 터치 입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입력 인가 방식에 기초하여 제어되며, 음성 출력 방식 및 점자 출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 출력 방식에 기초하여 소정의 정보를 표출하도록 하는 맞춤형 설정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맞춤형 설정으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장애 정보가 청각 장애인 사용자이면,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이 터치 입력 방식 및 제스처 입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입력 인가 방식에 기초하여 제어되며, 직관화된 시각 정보 출력 방식 및 제스처 출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 출력 방식에 기초하여 정보를 표출하도록 하는 맞춤형 설정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맞춤형 설정으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장애 정보가 지체 장애인 사용자이면,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이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의 디스플레이의 하단부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터치 입력 방식, 물리키 입력 방식 및 제스처 입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입력 인가 방식에 기초하여 제어되도록 하는 맞춤형 설정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 가이드 제공 및 맞춤형 사전 설정을 지원하는 정보 단말을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로 접근한 후, 상기 맞춤형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로 인가된 검색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입력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를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을 통해 상기 맞춤형 설정에 기초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 가이드 제공 및 맞춤형 사전 설정을 지원하는 정보 단말을 이용한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보유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단말을 매칭하는 정보 단말 매칭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에 대한 접근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접근 가이드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및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과 연계된 요소를 상기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설정으로 변경하는 사전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전 설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장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과 연계된 제어 입력 인가 방식 및 정보 출력 방식을 사용자 맞춤형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단말 매칭부는, 상기 사용자의 보행 능력, 상기 위치 정보로부터 소정의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로부터 정보 단말까지의 이격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근 가이드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의 장애 정보 및 상기 보행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의 위치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정보인 상기 접근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근 가이드 제공부는, 상기 매칭 결과 및 상기 접근 가이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 가이드 제공 및 맞춤형 사전 설정을 지원하는 정보 단말을 이용한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로 접근한 후, 상기 맞춤형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로 인가된 검색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검색 입력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를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을 통해 상기 맞춤형 설정에 기초하여 제공하는 타겟 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 가이드 제공 및 맞춤형 사전 설정을 지원하는 정보 단말은, 상기 정보 단말은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매칭되고, 상기 정보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및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과 연계된 요소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정보 단말로 접근하기 전에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맞춤형 설정으로 사전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 가이드 제공 및 맞춤형 사전 설정을 지원하는 정보 단말은, 상기 맞춤형 설정에 기초하여 검색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수신부 및 상기 검색 입력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를 상기 맞춤형 설정에 기초하여 제공하는 정보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정보 단말이 설치된 대상 공간에 접근하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근 가능한 정보 단말을 매칭하여 접근 가이드를 제공하고, 매칭된 정보 단말은 접근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고려하여 맞춤형의 UI/UX 관련 사전 설정을 수행함으로써 장애인 사용자 등 정보 단말의 활용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정보 단말을 사용하도록 보조할 수 있는 접근 가이드 제공 및 맞춤형 사전 설정을 지원하는 정보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가 대상 공간에 마련된 정보 단말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지 못하더라도, 접근 가이드 정보를 통해 정보 단말에 쉽게 도달하여 필요한 정보를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의 장애 유형, 연령, 시청각 능력, 신체 능력 등의 사용자 정보를 고려하여 정보 단말의 사용성을 사전에 맞춤형으로 설정함으로써 정보 취약계층 사용자가 정보 단말을 용이하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정보 통신 기술을 활용한 정보 접근이 어려운 장애인 사용자 등의 정보 접근 기회를 확대하고, 이에 따라 정보 취약계층의 사회 참여를 증대시켜 사회적 소외감을 줄이고 장애, 고령 등으로 인한 차별이 없이 교육, 의료, 교통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영위하도록 하여 장애인 사용자 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 가이드 제공 및 맞춤형 사전 설정을 지원하는 정보 단말을 이용한 정보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단말의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단말의 메인 컨트롤부의 세부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지체 장애인 사용자에 대응한 맞춤형 설정으로서 하단부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입력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소정의 사용자에 대하여 매칭된 정보 단말에 디스플레이에 소정의 사용자의 접근에 앞서 표출되는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 가이드 제공 및 맞춤형 사전 설정을 지원하는 정보 단말을 이용한 정보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 가이드 제공 및 맞춤형 사전 설정을 지원하는 정보 단말을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에 관련된 용어(상하방향, 수평방향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2에서 보았을 때 상하방향은 12시에서 6시방향, 수평방향은 3시에서 9시방향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향 설정은 본원 장치의 배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서는 도 2 기준 상향이 수평방향(좌우 방향)을 향하도록 본원 장치가 배치될 수 있고, 다른 예로 도 2 기준 상향이 비스듬한 경사 방향을 향하도록 본원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본원은 접근 가이드 제공 및 맞춤형 사전 설정을 지원하는 정보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 가이드 제공 및 맞춤형 사전 설정을 지원하는 정보 단말을 이용한 정보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 가이드 제공 및 맞춤형 사전 설정을 지원하는 정보 단말을 이용한 정보 제공 장치(100)(이하, '정보 제공 장치(100)'라 한다.), 사용자 단말(200),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 가이드 제공 및 맞춤형 사전 설정을 지원하는 정보 단말(300)(이하, '정보 단말(300)'라 한다.) 및 데이터베이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정보 단말(300) 및 데이터베이스(400) 상호간은 네트워크(2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2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 단말(300)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정보 제공 시스템(10)은 장애인 사용자 등이 소지한 보조 단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단말(미도시)은 예를 들면, 시각 장애인 사용자(예를 들면, 전맹 장애인 등)를 위하여 점자 기반의 정보 출력이 가능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점자 기반의 정보 출력이 가능한 디바이스에는 복수의 점자 돌기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점자 워치, 점자 패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원에서의 보조 단말(미도시)은 장애인 사용자, 고령자 등의 정보 취약 계층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보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를 폭넓게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단말(미도시)은 보청기, 통역기, 지팡이, 전동 휠체어 등 사용자의 시각, 이동성, 청각, 인지 능력 등을 보조하기 위한 다양한 디바이스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정보 단말(300)과 상호 작용하는 사용자는 별도의 보조 단말(미도시) 없이 사용자 단말(200)만을 보유(소지)하거나 보조 단말(미도시) 및 사용자 단말(200)을 모두 보유(소지)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정보 단말(300)은 대상 공간 내의 여러 영역에 각각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달리 말해, 정보 제공 시스템(10)은 복수 개의 정보 단말(300a, ···, 300n)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대상 공간'은 주로 지하철 역, 대중교통 승강장, 철도 역사, 공항, 쇼핑몰, 백화점, 공원, 영화관, 학교, 경기장, 체육관, 공공기관 등 다수의 인원이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 또는 공간을 주로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정보 단말(300)은 대상 공간 내의 주요 시설(화장실,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등), 상점(점포), 특정 위치 등의 목적지에 대한 경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대상 공간에 대하여 설치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대상 공간에 대한 정보 또는 대상 공간에 국한되지 않는 각종 정보를 사용자(통행자)에게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정보 단말(300)은 무인화기기, 키오스크(Kiosk), 디지털 사이니지 등을 폭넓게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원에서 개시하는 정보 단말(300)은 장애인 사용자, 노인 사용자 등의 정보 취약 계층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정보 접근성을 고려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및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을 사용자 정보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공하도록 설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정보 단말(300) 내에 탑재되는 구성으로서 정보 단말(3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및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과 연계된 요소를 제어(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정보 단말(300)의 하위 구성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정보 단말(300)과 별개로 구비되는 디바이스로서 정보 단말(3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및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과 연계된 요소를 제어(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별도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00)는 사용자 각각의 사용자 정보를 사전에 보유하도록 구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400)에는 대상 공간에 대한 공간 정보(예를 들면, 주요 시설의 위치, 지도 정보 등)가 저장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데이터베이스(4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해당 사용자 단말(200)을 보유(소지)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미리 수신하고, 이를 해당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로서 저장하는 방식으로 사용자 정보를 보유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되는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성명, 연령, 성별, 주소, 연락처 등의 인적 사항뿐만 아니라 장애인 사용자의 경우, 장애 유형, 장애 등급(수준) 등의 장애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정보 제공 장치(100)가 소정의 사용자에 대하여 상호 작용할 정보 단말(300)을 매칭하여 매칭된 정보 단말(300)로 사용자를 안내(유도)하고, 매칭된 정보 단말(300)의 UI/UX 설정을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는 맞춤형 설정으로 사전 적용하는 본원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서술하도록 한다.
먼저,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200)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여 해당 위치를 사용자의 위치 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되는 GPS 센서, 지자기 센서, 관성 센서 등의 관측 결과를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정보 제공 장치(100)는 대상 공간에 대하여 설치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 등을 통해 확보되는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정보 제공 장치(100)는 대상 공간에 미리 설치되는 복수의 비콘(Beacon)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장치(100)는 파악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단말(300)을 매칭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제공 장치(100)는 대상 공간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정보 단말(300a, ···, 300n)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정보 단말(300)을 사용자에 대하여 매칭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정보, 사용자의 위치 정보로부터 소정의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 및 위치 정보로부터 복수 개의 정보 단말(300a, ···, 300n) 각각에 도달하기 위한 이격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정보 단말(300)의 매칭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가 보유한 사용자 단말(200) 또는 데이터베이스(400)를 통해 사전에 확보된 사용자 정보인 제1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는 소정의 사용자가 정보 단말(300)로 접근하는 과정에서 식별되는 사용자의 외형 특성, 행동 특성 및 오브젝트 특성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도출되는 사용자 정보인 제2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외형 특성은 사용자의 신장, 외모, 체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행동 특성은 사용자의 걸음걸이, 신체 움직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오브젝트 특성은 사용자가 소지한 도구, 사용자 단말(200), 보조 단말(미도시), 의상, 보행보조수단, 휠체어 등을 식별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선글라스'를 착용하고, '흰 지팡이' 등을 소지한 채로 보행하는 시각 장애인 사용자의 경우, 정보 제공 장치(100)는 해당 사용자의 오브젝트 특성으로서 선글라스, 흰 지팡이 등을 해당 사용자가 등장하는 영상으로부터 식별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해당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 사용자인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흰 지팡이로 지면의 유도블록을 치면서 보행하는 특징을 행동 특성으로서 파악하여 해당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 사용자 인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외형 특성, 행동 특성, 오브젝트 특성 등을 검출하기 위한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예를 들면, 의미론적 영역 분할(Semantic Segmentation) 등을 통해 등장 객체를 검출하는 딥러닝 알고리즘 등)을 보유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정보 단말(300)의 매칭, 후술하는 접근 가이드 정보 생성, 정보 단말(300)을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및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과 연계된 요소를 사용자에게 부합하는 맞춤형 설정으로의 변경 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용자 정보'는, 해당 사용자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200), 데이터베이스(400) 등을 통해 사전에 확보된 정보 또는 정보 단말(300)을 사용하는 사용자(보다 구체적으로, 매칭된 정보 단말(300)로 접근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영상 분석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분석되는 정보를 폭넓게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장애 정보 등 사용자의 보행 능력과 관련한 정보를 고려하여 정보 단말(300)의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보행 능력과 관련한 정보를 고려하여 매칭을 수행한다는 것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소정의 정보 단말(300)까지의 이격 거리를 고려하여 매칭을 수행하되, 단순히 현재 위치로부터 이격 거리가 최소인 정보 단말(300)을 매칭하도록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보행 능력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도달하기 용이한 정보 단말(300)을 매칭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보행 능력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장애 정보가 휠체어 탑승자에 해당하는 지체 장애 유형인 경우, 정보 단말(300)의 매칭 과정에서 경로 상에 계단이 존재하는 등 휠체어 탑승자인 사용자가 현재 위치로부터 해당 정보 단말(300)까지 접근하기에 어려움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정보 단말(300)은 매칭에서 제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소정의 목적지를 향하여 이동 중인 경우(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200)에서 실행되는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길안내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소정의 목적지를 향하는 경로 정보를 제공받으면서 보행 또는 이동 중인 경우), 사용자가 소정의 목적지를 향하는 여정 도중에 있다는 사실을 기초로 현재 위치인 사용자의 위치 정보로부터 해당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를 고려하여 정보 단말(300)을 매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장치(100)는 경로 정보(예를 들면, 전술한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길안내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제공되는 경로 정보 등)에 포함된 경로로부터 복수 개의 정보 단말(300a, ···, 300n) 각각에 도달하기 위한 이격 거리를 계산하고, 계산된 이격 거리가 작은 정보 단말(300)일수록 매칭될 확률이 높아지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수 개의 정보 단말(300a, ···, 300n) 중 소정의 정보 단말(300)이 매칭되면, 매칭된 정보 단말(300)에 대한 접근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접근 가이드 정보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매칭된 정보 단말(300)이 존재하는 위치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정보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접근 가이드 정보는 정보 제공 장치(100)에 의해 생성되어 사용자 단말(200) 및 보조 단말(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장애 정보 및 보행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매칭된 정보 단말(300)의 위치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접근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정보 단말(300)의 매칭 결과 및 생성된 접근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가 보유한 사용자 단말(200) 및 보조 단말(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시각, 이동성, 청각, 인지 능력 등을 반영하는 장애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고 용이하게 현재 위치로부터 매칭된 정보 단말(300)에 도달하는 여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의 접근 가이드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의 장애 정보가 휠체어 탑승자 등의 지체 장애 유형인 경우에 대응하여 정보 제공 장치(100)는 휠체어가 통과할 수 있는 통행(보행)로, 휠체어가 탑승할 수 있는 교통 수단 등을 포함하는 접근 가이드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의 장애 유형 정보가 시각 장애 유형인 경우에 대응하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점자(유도)블록 등이 매립된 통행(보행)로가 우선적으로 포함되도록 접근 가이드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장애 정보 내지 사용자의 보행 능력을 고려한 접근 가이드 정보의 제공은 상술한 예시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매칭된 정보 단말(3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및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과 연계된 요소를 해당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설정으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에 대하여 맞춤형 설정으로 정보 단말(300)의 UI/UX 설정을 변경하는 것은, 매칭된 정보 단말(300)을 사용하려는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고려하여 정보 단말(300)의 정보 접근성을 개선하는 프로세스로 이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 단말(300)의 UI/UX에 대한 정보 접근성을 개선한다는 것은 사용자의 장애 유형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시각, 이동성, 청각, 인지 능력 등의 정보 접근 능력을 고려하여 해당 사용자의 조작이 편리하고, 해당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정보 단말(300)을 통해 소정의 정보를 제공(전달)할 수 있도록, 장애인 사용자 등의 사용성이 고려되지 않은 기존 상태의 정보 단말(300)에 대한 정보 입출력 방식을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 맞춤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및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본원에서의 '맞춤형 설정'은 정보 단말(300)에서 기존에 비장애인 사용자 등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정보와 동일한 내용(콘텐츠)을 정보 취약계층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하고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할 수 있도록 정보 단말(300)의 기존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및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과 관련된 요소를 적어도 일부 변경하는 변환 규칙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달리 말해,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장애 정보에 기초하여 매칭된 정보 단말(300)과 연계된 제어 입력 인가 방식 및 정보 출력 방식을 사용자 맞춤형으로 변경할 수 있다.
종합하면, 정보 단말(300)은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매칭되고, 정보 단말(3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및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과 연계된 요소는 매칭된 사용자가 해당 정보 단말(300)로 접근하기 전에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맞춤형 설정으로 사전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정보 단말(300)은 맞춤형 설정에 기초하여 검색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수신부(미도시) 및 정보 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단말의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정보 단말(300)은 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부(310), 메인 컨트롤부(320) 및 보조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정보 단말(300)은 정보 단말(300)을 사용하는 사용자 또는 정보 단말(300)의 주변 영역에 대한 화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30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정보 단말(300)은 사용자의 정보 단말(300)로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근접 센서(30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단말(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디스플레이부(310)가 마련되고, 중간부에 메인 컨트롤부(320)가 마련되고, 하부에 보조부(330)가 마련되는 형태로 설계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정보 단말(300)은 디스플레이부(310) 및 메인 컨트롤부(320)가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마련되고, 그 하부에 보조부(330)가 마련되는 형태 등의 다양한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310)는 감압식(Resistive), 정전용량식(Capacitive), 초음파(SAW) 방식, 적외선(IR) 방식, 멀티 터치 방식 등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터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부(320)는 정보 단말(300)로 검색 입력 등의 사용자 입력을 물리적으로 인가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물리키(예를 들면, 4방향 방향키, 3 X 4 숫자 패드, 핫키, 긴급버튼, 선택/취소/메뉴 기능키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부(320)는 시각 장애인 사용자가 소정의 제어 입력을 인가하거나 정보 단말(300)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점자 방식으로 인식하기 위한 점자 출력을 제공하는 점자 디스플레이(3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단말의 메인 컨트롤부의 세부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정보 단말(300)의 메인 컨트롤부(320)는 점자 디스플레이(321), 점자 디스플레이용 스크롤(322), 핫키(323), 방향키(324) 및 기능키(325)를포함할 수 있다. 점자 디스플레이용 스크롤(322)은 점자 디스플레이(321)의 한정적인 공간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스크롤 업(Up) 또는 스크롤 다운(Down) 제어를 통해 점자 디스플레이(321)에서 표출되는 정보를 상하로 갱신하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점자 디스플레이용 스크롤(322)은 상하 방향 2방향으로 점자 디스플레이(321)를 갱신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하좌우 4방향으로 갱신하도록 구비되거나 점자 디스플레이(321)를 확대 또는 축소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핫키(323)는 정보 단말(300)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 중 다수 사용자에 의해 빈번하게 요청되는 정보를 핫키(323)를 통해 직접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핫키(323)는 대상 공간이 지하철 역인 경우, 예시적으로 안내(Info) 데스크의 위치, 화장실 위치, 엘리베이터의 위치, 출구 위치 등을 각각 안내하기 위한 메뉴에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정보 단말(300)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의 유형 또는 메뉴 유형 중 정보 단말(300)의 핫키(323)에 각각 대응되는 유형을 매칭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맞춤형으로 사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방향키(324) 및 기능키(325)는 정보 단말(300)에서 메뉴 트리 형태로 계층화되어 제공되는 정보와 관련하여, 메뉴의 진입(선택) 및 이동과 관련한 제어 입력을 인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메인 컨트롤부(320)의 점자 디스플레이(321), 점자 디스플레이용 스크롤(322), 핫키(323), 방향키(324), 기능키(325) 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점자 디스플레이(321) 및 점자 디스플레이용 스크롤(322)이 구비되는 영역의 상측 또는 하측에 핫키(323), 방향키(324), 기능키(325) 등이 배치되는 형태 등 본원의 구현예에 따른 다양한 배치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컨트롤부(320)는 정보 단말(300)과 사용자가 보유(소지)한 사용자 단말(200)을 연동하기 위해 마련되거나 사용자가 보유(소지)한 결제 수단(예를 들면, 신용카드 등)을 기초로 소정의 요금을 결제하기 위해 마련되는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무선 통신 모듈은 NFC 태그 RFID 태그, Zigbee 모듈, Zing 모듈 등 이미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무선 통신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보조부(330)는 정보 단말(300)과 상호 작용하는 사용자가 정보 단말(300)을 조작하거나 정보 단말(300)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확인하기 용이한 위치로 디스플레이부(310) 및 메인 컨트롤부(320)를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보조부(330)의 승강 수단은 디스플레이부(310) 및 메인 컨트롤부(320)를 필요에 따라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하여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레일 부재와 레일 부재를 지지하는 기둥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보조부(330)의 승강 수단은 카메라 모듈(301) 또는 근접 센서(302)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제어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보조부(330)의 승강 수단은 카메라 모듈(301) 또는 근접 센서(302)의 감지 결과 휠체어 탑승자인 사용자가 정보 단말(300)을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부(310) 및 메인 컨트롤부(320)가 선 상태로 정보 단말(300)과 상호 작용하는 사용자에 대응한 높이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부(330)는 정보 단말(300)을 통해 제공된 정보를 사용자가 해당 정보 단말(300)의 사용을 종료한 후에도 지속 활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정보 단말(300) 사용이 종료된 후, 필요에 따라 제공된 정보를 지면 상에 출력하여 제공하기 위한 인쇄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 모듈(미도시)은 시각 장애인 사용자에 대응하여 소정의 정보를 출력 제공할 수 있도록 소정의 정보를 점자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점자 인쇄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의 장애 정보를 고려하여 정보 단말(300)을 통해 제공되는 맞춤형 설정의 세부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장애 정보가 시각 장애인 사용자이면, 매칭된 정보 단말(300)이 점자 입력 방식, 음성 입력 방식 및 직관화된 터치 입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입력 인가 방식에 기초하여 제어되도록 하는 맞춤형 설정으로 매칭된 정보 단말(3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및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과 연계된 요소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장애 정보가 시각 장애인 사용자이면, 음성 출력 방식 및 점자 출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 출력 방식에 기초하여 소정의 정보를 표출하도록 하는 맞춤형 설정으로 매칭된 정보 단말(3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및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과 연계된 요소를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점자 입력 방식의 제어 입력 인가 방식과 점자 출력 방식의 정보 출력 방식을 포함하는 맞춤형 설정을 위하여, 정보 단말(300)에 구비되는 점자 디스플레이(321)에 사용자가 접근 가능하도록 정보 단말(3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점자 디스플레이(321)는 시각 장애인 사용자 외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것이 방지되어 점자 디스플레이(321)에 구비되는 복수의 점자 돌기의 오염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잠금 수단(예를 들면, 폐쇄 상태에서 점자 디스플레이(321)의 접근을 제한하는 커버 부재 등)을 통해 잠금 상태에 놓일 수 있고, 시각 장애인 사용자가 정보 단말(300)을 사용하려는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정보 제공 장치(100)는 소정의 정보 단말(300)과 매칭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 사용자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점자 디스플레이(321)의 잠금 수단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 장애인 사용자가 매칭된 정보 단말(300)과 떨어진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이내에 위치하거나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매칭된 정보 단말(300)에의 사용자의 예상 도착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범위 이내인 것으로 판단되면 전술한 잠금 수단이 해제되도록 정보 단말(300)을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직관화된 터치 입력 방식과 관련하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정보 단말(300)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메뉴 트리에 기초하여, 메뉴의 진입(선택) 및 이동과 관련한 제어 입력을 정보 단말(300)의 디스플레이부(310)에 마련되는 터치 디스플레이를 통해 수신하되, 터치 디스플레이에 국부적으로 각각 표출되는 버튼, 아이콘 등을 기초로 제어 입력을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터치 디스플레이의 전 영역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제어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정보 제공 장치(100)는 터치 디스플레이의 내부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1회 또는 복수 회 터치하는 제어 입력, 터치 디스플레이의 내부 영역 적어도 일부를 드래그(슬라이드)하는 제어 입력 등 시각 장애인 사용자에 의하여도 충분히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단순화된 터치 제어 방식을 통해 정보 단말(300)에서 제공하는 메뉴의 진입(선택), 이동 등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맞춤형 설정을 매칭된 정보 단말(300)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정보 제공 장치(100)는 터치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는 횟수에 대응하여 수행되는 정보 단말(300)에 대한 조작 방식, 터치 디스플레이를 드래그(슬라이드)하는 방향(예를 들면, 상하방향, 수평방향, 좌상단과 우하단 사이의 대각선 방향, 우상단과 좌하단 사이의 대각선 방향 등)에 매칭되어 수행되는 조작 방식 등을 정보 단말(300)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메뉴 트리에 기초하여 맞춤형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정보 단말(300)과의 상호 작용이 개시되기에 앞서(예를 들면, 정보 단말(300)의 근접 센서(302)에서 매칭된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된 경우 등) 설정된 직관화된 터치 입력 방식의 구체적인 세부 내용을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정보 단말(300)에서 시각 장애인 사용자에 대응하여 설정된 직관화된 터치 입력 방식에 대한 설명이 음성 안내를 통해 제공되도록 정보 단말(30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입력 방식과 관련하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정보 단말(300)의 조작 과정에서 입력이 요구되는 텍스트 정보(예를 들면, 비장애인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에서 자판을 통한 타이핑이 요구되는 항목에 대하여 기입될 내용 등)를 시각 장애인 사용자가 음성 입력을 통해 수신할 수 있도록 텍스트 유형의 기입 항목에 대한 내용 입력 방식을 음성 입력 방식으로 전환하는 맞춤형 설정을 정보 단말(300)에 적용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정보 제공 장치(100)는 텍스트 정보의 기입이 요구되는 항목(또는 메뉴)에 사용자가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정보 단말(300)의 음성 인식 모듈(예를 들면, 마이크 등)을 활성화하고 음성을 통한 발화를 요청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음성이 인가되면 음성 인식 모듈을 통해 해당 음성에 대응하는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기입 항목에 대한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음성 방식의 제어 입력을 통해 정보 단말(300)에서 제공하는 메뉴의 진입(선택), 이동 등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맞춤형 설정을 정보 단말(300)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출력 방식과 관련하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정보 단말(300)에서 제공되는 정보와 연계된 메뉴 정보, 소정의 상황에서 화면에 표출되는 시각 정보 등을 음성으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맞춤형 설정을 정보 단말(300)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장치(100)는 메뉴 트리에 기초하여 사용자 진입 단계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메뉴의 목록 또는 메뉴 관련 제어 조작 목록을 음성 출력 방식으로 나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장치(100)는 시각 장애인 사용자가 아닌 사용자를 대상으로 표출되는 정보 단말(300)의 화면에 포함되는 텍스트 정보 등을 음성으로 변환하여 음성 출력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맞춤형 설정을 정보 단말(300)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점자 출력 방식과 관련하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정보 단말(300)에서 제공되는 정보와 연계된 메뉴 정보, 텍스트 정보 등을 점자로 변환(점역)하여 점자 디스플레이(321)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장애 정보가 청각 장애인 사용자이면, 매칭된 정보 단말(300)이 터치 입력 방식 및 제스처 입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입력 인가 방식에 기초하여 제어되도록 하는 맞춤형 설정으로 매칭된 정보 단말(3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및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과 연계된 요소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장애 정보가 청각 장애인 사용자이면, 매칭된 정보 단말(300)이 직관화된 시각 정보 출력 방식 및 제스처 출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 출력 방식에 기초하여 정보를 표출하도록 하는 맞춤형 설정으로 매칭된 정보 단말(3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및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과 연계된 요소를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스처 입력 방식과 관련하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청각 장애인 사용자의 수화(수어), 구어(구화) 등 제스처 기반의 의사 소통 수단에 기초한 의사 표현을 식별할 수 있도록, 정보 단말(300)의 카메라 모듈(301)을 활성화하고, 카메라 모듈(301)을 통해 확보되는 화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의사 표현의 내용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제스처 입력을 기초로 한 정보 단말(300)의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맞춤형 설정을 정보 단말(300)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직관화된 시각 정보 출력 방식과 관련하여 정보 제공 장치(100)는 문맹 사용자 등이 정보 단말(300)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이해할 수 있도록 정보 단말(300)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와 연계된 메뉴 정보, 텍스트 정보 등에 대응하는 직관적인 기호, 아이콘, 픽토그램 등의 직관화된 시각 정보를 기초로 정보 단말(300)에서 기존에 제공되는 메뉴 정보, 텍스트 정보 등을 대체하거나 직관화된 시각 정보와 메뉴 정보, 텍스트 정보 등이 병기하여 표기하는 맞춤형 설정을 정보 단말(300)에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정보 단말(300)에서 제공하는 메뉴 정보, 텍스트 정보 등에 매칭되는 직관화된 시각 정보를 도출하는 제1변환 알고리즘을 보유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제1변환 알고리즘은 미리 확보된 기호, 아이콘, 픽토그램 등의 직관화된 시각 정보에 대하여 매치되는 단어, 어휘, 표현 등이 결합하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400)를 탐색하여 정보 단말(300)에서 제공되는 메뉴 정보, 텍스트 정보 등에 대응하는 직관화된 시각화 정보를 도출하고, 이를 맞춤형 설정으로서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스처 출력 방식과 관련하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정보 단말(300)과 연계된 메뉴 정보, 텍스트 정보 등에 매칭되는 수화(수어), 구화(구어) 등을 출력하는 방식으로 청각 장애인 사용자가 정보 단말(300)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정보 단말(300)과 연계된 메뉴 정보, 텍스트 정보 등을 수화 등의 제스처 출력으로 변환하는 제2변환 알고리즘을 보유하여 제스처 출력 방식으로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변환 알고리즘은 정보 단말(300)과 연계된 메뉴 정보, 텍스트 정보 등에 대응하는 제스처 기반의 아바타 화상을 생성하는 도구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고,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 정보에 대응되거나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에 대응하는 텍스트 정보로부터 제2변환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된 제스처 기반의 아바타 화상을 정보 단말(300)을 통해 표출하는 맞춤형 설정을 정보 단말(300)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제공 장치(100)는 잔존 시력이 적어도 일부 존재하는 사용자(예를 들면, 노령자 등)의 시력을 고려하여 정보 단말(3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의 시인성이 개선된 맞춤형 설정을 정보 단말(300)에 적용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정보 제공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310)에서 표출되는 텍스트, 이미지, 미디어 등의 각종 시각 정보를 기존 대비 확대하거나 대비, 선명도, 해상도, 명암 등을 확대하여 제공하는 맞춤형 설정을 정보 단말(300)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장애 정보가 지체 장애인 사용자이면, 매칭된 정보 단말(300)이 디스플레이의 하단부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터치 입력 방식, 물리키 입력 방식 및 제스처 입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입력 인가 방식에 기초하여 제어되도록 하는 맞춤형 설정을 매칭된 정보 단말(300)에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지체 장애인 사용자에 대응한 맞춤형 설정으로서 하단부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입력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는 지체 장애인 사용자가 아닌 사용자(보다 구체적으로, 선 상태로 정보 단말(300)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표출되는 인터페이스이고, 도 4의 (b)는 지체 장애인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의 하단부 인터페이스를 활용하여 터치 입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표출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 단말(300)의 통상적으로 터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출되는 인터페이스(도 4의 (a))는 메인 영역(311), 터치 조작 영역(312) 및 광고 영역(313)을 상하 방향을 따라 포함하여, 선 상태의 사용자가 터치 조작 영역(312)을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휠체어 탑승자 등의 지체 장애인 사용자에 대하여는 최하단의 광고 영역(313)을 제거하거나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디스플레이의 하단부에 터치 조작 영역(312)이 배치되도록 그래픽 UI를 변경하는 맞춤형 설정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휠체어 탑승자 등의 지체 장애인 사용자에 대응한 맞춤형 설정을 통해 정보 단말(300)의 터치 디스플레이에서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영역인 터치 조작 영역(312)의 위치를 적절하게 결정하는 것과 더불어, 전술한 보조부(330)의 승강 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부(310) 및 메인 컨트롤부(320)의 위치까지 적절하게 제어될 수 있으므로, 본원에서 개시하는 정보 단말(300)은 지체 장애인 사용자가 터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거나 메인 컨트롤부(320)의 물리키를 이용하도록 하는 등 지체 장애인 사용자에 대한 다채로운 사용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터치 조작 영역(312)의 위치 제어, 승강 수단(미도시)의 제어 등은 비단 휠체어 탑승자 등의 지체 장애인 사용자에게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신장이 작은 어린이 사용자 등에게도 적용되어 정보 단말(300)의 사용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소정의 사용자에 대하여 매칭된 정보 단말에 디스플레이에 소정의 사용자의 접근에 앞서 표출되는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정보 제공 장치(100)는 소정의 정보 단말(300)에 대하여 매칭된 사용자가 해당 정보 단말(300)에 소정 수준 이상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소정의 정보 단말(300)의 디스플레이부(310)를 통해 타 사용자에게 매칭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양보해줄 것을 요청하는 문구(예를 들면, 도 5의 "교통약자 사용 대기 중인 키오스크입니다. 대기선 밖에서 기다려 주십시오." 등)를 포함하는 화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매칭된 사용자가 정보 단말(300)과 떨어진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이내에 위치하거나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매칭된 정보 단말(300)에의 사용자의 예상 도착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범위 이내인 것으로 판단되면 전술한 양보 요청 문구가 표시되도록 정보 단말(3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어서, 매칭된 사용자가 정보 단말(300)에 도착(접근)하면, 정보 단말(300)은 사용자의 도착에 선행하여 사전 적용된 맞춤형 설정에 기초하여 검색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정보 단말(300)은 검색 입력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를 맞춤형 설정에 기초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정보 단말(300)로부터 맞춤형 설정에 기초하여 인가된 검색 입력을 수신하고, 정보 제공 장치(100)가 수신된 검색 입력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를 매칭된 정보 단말(300)로 전송하면, 매칭된 정보 단말(300)이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전송받은 소정의 정보를 사전 설정된 맞춤형 설정에 기초하여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 가이드 제공 및 맞춤형 사전 설정을 지원하는 정보 단말을 이용한 정보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정보 단말 매칭부(110), 접근 가이드 제공부(120), 사전 설정부(130) 및 타겟 정보 제공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단말 매칭부(11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단말(300)을 매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 단말 매칭부(110)는 사용자의 보행 능력, 사용자의 위치 정보(현재 위치)로부터 소정의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 및 위치 정보로부터 정보 단말(300)까지의 이격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정보 단말(300)과 사용자의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접근 가이드 제공부(120)는, 사용자에게 매칭된 정보 단말(300)에 대한 접근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근 가이드 제공부(120)는 사용자의 장애 정보 및 보행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위치 정보)로부터 매칭된 정보 단말(300)의 위치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정보인 접근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접근 가이드 제공부(120)는 정보 단말(300)의 매칭 결과 및 생성된 접근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가 보유한 사용자 단말(200) 및 보조 단말(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사전 설정부(130)는,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매칭된 정보 단말(3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및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과 연계된 요소를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설정으로 변경할 수 있다.
타겟 정보 제공부(140)는, 사용자가 매칭된 정보 단말(300)로 접근한 후, 맞춤형 설정에 기초하여 매칭된 정보 단말(300)로 인가되는 검색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타겟 정보 제공부(140)는 수신된 검색 입력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를 매칭된 정보 단말(300)로 전송하여, 매칭된 정보 단말(300)을 통해 맞춤형 설정에 기초하여 소정의 정보가 출력(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 가이드 제공 및 맞춤형 사전 설정을 지원하는 정보 단말을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접근 가이드 제공 및 맞춤형 사전 설정을 지원하는 정보 단말을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은 앞서 설명된 정보 제공 장치(100) 및 정보 단말(3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정보 제공 장치(100) 및 정보 단말(3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접근 가이드 제공 및 맞춤형 사전 설정을 지원하는 정보 단말을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11에서 정보 단말 매칭부(11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2에서 정보 단말 매칭부(110)는 획득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단말(300)을 매칭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 S12에서 정보 단말 매칭부(110)는 사용자의 보행 능력, 위치 정보로부터 소정의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 및 위치 정보로부터 정보 단말까지의 이격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3에서 접근 가이드 제공부(120)는 사용자에게 매칭된 정보 단말(300)에 대한 접근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 S13에서 접근 가이드 제공부(120)는 사용자의 장애 정보 및 보행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위치 정보로부터 매칭된 정보 단말(300)의 위치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정보인 접근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3에서 접근 가이드 제공부(120)는 매칭 결과 및 생성된 접근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가 보유한 사용자 단말(200) 및 보조 단말(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4에서 사전 설정부(130)는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매칭된 정보 단말(3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및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과 연계된 요소를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설정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 S14에서 사전 설정부(130)는 사용자의 장애 정보에 기초하여 매칭된 정보 단말(300)과 연계된 제어 입력 인가 방식 및 정보 출력 방식을 사용자 맞춤형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4에서의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가 보유한 사용자 단말(200) 또는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400)를 통해 사전에 확보된 제1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가 매칭된 정보 단말(300)로 접근하는 과정에서 식별되는 사용자의 외형 특성, 행동 특성 및 오브젝트 특성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도출되는 제2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14에서 사전 설정부(130)는 장애 정보가 시각 장애인 사용자이면, 매칭된 정보 단말(300)이 점자 입력 방식, 음성 입력 방식 및 직관화된 터치 입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입력 인가 방식에 기초하여 제어되며, 음성 출력 방식 및 점자 출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 출력 방식에 기초하여 소정의 정보를 표출하도록 하는 맞춤형 설정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14에서 사전 설정부(130)는 장애 정보가 청각 장애인 사용자이면, 매칭된 정보 단말(300)이 터치 입력 방식 및 제스처 입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입력 인가 방식에 기초하여 제어되며, 직관화된 시각 정보 출력 방식 및 제스처 출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 출력 방식에 기초하여 정보를 표출하도록 하는 맞춤형 설정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14에서 사전 설정부(130)는 장애 정보가 지체 장애인 사용자이면, 매칭된 정보 단말(300)이 매칭된 정보 단말(300)의 디스플레이의 하단부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터치 입력 방식, 물리키 입력 방식 및 제스처 입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입력 인가 방식에 기초하여 제어되도록 하는 맞춤형 설정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5에서 매칭된 정보 단말(300)은 사용자가 매칭된 정보 단말(300)로 접근한 후, 사전 적용된 맞춤형 설정에 기초하여 검색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6에서 타겟 정보 제공부(140)는 매칭된 정보 단말(30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검색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7에서 타겟 정보 제공부(140)는 수신된 검색 입력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8에서 타겟 정보 제공부(140)는 결정된 소정의 정보를 매칭된 정보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9에서 매칭된 정보 단말(300)은 수신된 소정의 정보를 사전 적용된 맞춤형 설정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내지 S19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된 접근 가이드 제공 및 맞춤형 사전 설정을 지원하는 정보 단말을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도시된 접근 가이드 제공 및 맞춤형 사전 설정을 지원하는 정보 단말을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정보 제공 시스템
100: 접근 가이드 제공 및 맞춤형 사전 설정을 지원하는 정보 단말을 이용한 정보 제공 장치
110: 정보 단말 매칭부
120: 접근 가이드 제공부
130: 사전 설정부
140: 타겟 정보 제공부
200: 사용자 단말
300: 정보 단말
400: 데이터베이스
20: 네트워크
1: 사용자

Claims (15)

  1. 접근 가이드 제공 및 맞춤형 사전 설정을 지원하는 정보 단말을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보유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단말을 매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에 대한 접근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및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과 연계된 요소를 상기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설정으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맞춤형 설정으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장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과 연계된 제어 입력 인가 방식 및 정보 출력 방식을 사용자 맞춤형으로 변경하되,
    상기 맞춤형 설정으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장애 정보가 청각 장애인 사용자이면,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이 터치 입력 방식 및 제스처 입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입력 인가 방식에 기초하여 제어되며, 직관화된 시각 정보 출력 방식 및 제스처 출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 출력 방식에 기초하여 정보를 표출하도록 하는 맞춤형 설정으로 변경하되,
    상기 직관화된 시각 정보 출력 방식은 상기 정보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와 연계된 메뉴 정보 및 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기호, 아이콘 및 픽토그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시각 정보를 제1변환 알고리즘을 통해 도출하여 대체 또는 병기하는 출력 방식이고,
    상기 제스처 출력 방식은 상기 메뉴 정보 및 상기 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제2변환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된 제스처 기반의 아바타 화상을 표출하는 출력 방식인 것인,
    정보 제공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단말을 매칭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보행 능력, 상기 위치 정보로부터 소정의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로부터 정보 단말까지의 이격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매칭을 수행하는 것인, 정보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장애 정보 및 상기 보행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의 위치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정보인 상기 접근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매칭 결과 및 상기 접근 가이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정보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사전에 확보된 제1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로 접근하는 과정에서 식별되는 상기 사용자의 외형 특성, 행동 특성 및 오브젝트 특성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도출되는 제2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정보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설정으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장애 정보가 시각 장애인 사용자이면,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이 점자 입력 방식, 음성 입력 방식 및 직관화된 터치 입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입력 인가 방식에 기초하여 제어되며, 음성 출력 방식 및 점자 출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 출력 방식에 기초하여 소정의 정보를 표출하도록 하는 맞춤형 설정으로 변경하는 것인, 정보 제공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설정으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장애 정보가 지체 장애인 사용자이면,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이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의 디스플레이의 하단부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터치 입력 방식, 물리키 입력 방식 및 제스처 입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입력 인가 방식에 기초하여 제어되도록 하는 맞춤형 설정으로 변경하는 것인, 정보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로 접근한 후, 상기 맞춤형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로 인가된 검색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입력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를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을 통해 상기 맞춤형 설정에 기초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정보 제공 방법.
  10. 접근 가이드 제공 및 맞춤형 사전 설정을 지원하는 정보 단말을 이용한 정보 제공 장치로서,
    사용자가 보유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단말을 매칭하는 정보 단말 매칭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에 대한 접근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접근 가이드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및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과 연계된 요소를 상기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설정으로 변경하는 사전 설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사전 설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장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과 연계된 제어 입력 인가 방식 및 정보 출력 방식을 사용자 맞춤형으로 변경하되,
    상기 사전 설정부는,
    상기 장애 정보가 청각 장애인 사용자이면,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이 터치 입력 방식 및 제스처 입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입력 인가 방식에 기초하여 제어되며, 직관화된 시각 정보 출력 방식 및 제스처 출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 출력 방식에 기초하여 정보를 표출하도록 하는 맞춤형 설정으로 변경하되,
    상기 직관화된 시각 정보 출력 방식은 상기 정보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와 연계된 메뉴 정보 및 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기호, 아이콘 및 픽토그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시각 정보를 제1변환 알고리즘을 통해 도출하여 대체 또는 병기하는 출력 방식이고,
    상기 제스처 출력 방식은 상기 메뉴 정보 및 상기 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제2변환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된 제스처 기반의 아바타 화상을 표출하는 출력 방식인 것인,
    정보 제공 장치.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단말 매칭부는,
    상기 사용자의 보행 능력, 상기 위치 정보로부터 소정의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로부터 정보 단말까지의 이격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매칭을 수행하고,
    상기 접근 가이드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의 장애 정보 및 상기 보행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의 위치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정보인 상기 접근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매칭 결과 및 상기 접근 가이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정보 제공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로 접근한 후, 상기 맞춤형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로 인가된 검색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검색 입력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를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을 통해 상기 맞춤형 설정에 기초하여 제공하는 타겟 정보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정보 제공 장치.
  14. 접근 가이드 제공 및 맞춤형 사전 설정을 지원하는 정보 단말로서,
    상기 정보 단말은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매칭되고, 상기 정보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및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과 연계된 요소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정보 단말로 접근하기 전에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맞춤형 설정으로 사전 변경되고,
    상기 맞춤형 설정에 기초하여 검색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수신부; 및
    상기 검색 입력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를 상기 맞춤형 설정에 기초하여 제공하는 정보 출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맞춤형 설정은 상기 매칭된 정보 단말과 연계된 제어 입력 인가 방식 및 정보 출력 방식을 상기 사용자의 장애 정보에 기초하여 맞춤형으로 변경한 것이고,
    상기 입력 수신부는,
    상기 장애 정보가 청각 장애인 사용자이면, 터치 입력 방식 및 제스처 입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입력 인가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정보 출력부는,
    상기 장애 정보가 청각 장애인 사용자이면, 직관화된 시각 정보 출력 방식 및 제스처 출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 출력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정보를 표출하되,
    상기 직관화된 시각 정보 출력 방식은 상기 정보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와 연계된 메뉴 정보 및 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기호, 아이콘 및 픽토그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시각 정보를 제1변환 알고리즘을 통해 도출하여 대체 또는 병기하는 출력 방식이고,
    상기 제스처 출력 방식은 상기 메뉴 정보 및 상기 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제2변환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된 제스처 기반의 아바타 화상을 표출하는 출력 방식인 것인,
    정보 단말.
  15.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00189278A 2020-12-31 2020-12-31 접근 가이드 제공 및 맞춤형 사전 설정을 지원하는 정보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102527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278A KR102527523B1 (ko) 2020-12-31 2020-12-31 접근 가이드 제공 및 맞춤형 사전 설정을 지원하는 정보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PCT/KR2021/019151 WO2022145827A1 (ko) 2020-12-31 2021-12-16 정보 접근성이 개선된 레이어 기반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17/997,809 US20230328174A1 (en) 2020-12-31 2021-12-16 Layer-based service provision device and method having enhanced information accessibility
US17/981,106 US20230204370A1 (en) 2020-12-31 2022-11-04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by interlinking a user terminal with an information terminal
US17/981,069 US20230236031A1 (en) 2020-12-31 2022-11-04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an inform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278A KR102527523B1 (ko) 2020-12-31 2020-12-31 접근 가이드 제공 및 맞춤형 사전 설정을 지원하는 정보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651A KR20220096651A (ko) 2022-07-07
KR102527523B1 true KR102527523B1 (ko) 2023-05-03

Family

ID=82398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278A KR102527523B1 (ko) 2020-12-31 2020-12-31 접근 가이드 제공 및 맞춤형 사전 설정을 지원하는 정보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75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326B1 (ko) * 2013-06-07 2015-01-08 (주)본시스 장애인을 위한 키오스크 장치 및 그 화면 운영 방법
JP6612538B2 (ja) * 2015-06-30 2019-11-27 新明工業株式会社 装着型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934B1 (ko) * 2008-03-04 2015-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키오스크로 출력할 이미지의 자동안내 시스템 및 자동안내방법
KR101303755B1 (ko) * 2011-05-19 2013-09-04 (주)클루소프트 모션 기반 의사전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326B1 (ko) * 2013-06-07 2015-01-08 (주)본시스 장애인을 위한 키오스크 장치 및 그 화면 운영 방법
JP6612538B2 (ja) * 2015-06-30 2019-11-27 新明工業株式会社 装着型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651A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m et al. Navigating visually impaired travelers in a large train station using smartphone and bluetooth low energy
CN109118416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20210000078A (ko) 개인 맞춤형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 및 그 제어 시스템
US202100412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lligent and adaptive indoor navigation for users with single or multiple disabilities
US20130254689A1 (en) Wayfinding System and Method
CN111792464A (zh) 电梯的控制方法、电梯及存储介质
JP2014190725A (ja) 経路案内システム、経路案内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610923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エレベータ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155179A (ja) 誘導サービスシステム、誘導サービスプログラム、誘導サービス方法および誘導サービス装置
Kim et al. Mobile applications for assisting mobility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IoT infrastructure
KR102527523B1 (ko) 접근 가이드 제공 및 맞춤형 사전 설정을 지원하는 정보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Zahabi et al. Design of navigation application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 review of literature and guideline formulation
Macik et al. Smartphoneless context-aware indoor navigation
US20230328174A1 (en) Layer-based service provision device and method having enhanced information accessibility
KR102429403B1 (ko) 사용자 단말 및 정보 단말의 연동을 통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24011259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interaction based on disability information
KR102459856B1 (ko) 비대면 실시간 민원상담을 위한 주민생활 통합 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24011250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disability information based on user image data analysis
US2024011080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customized route based on disability information
KR102146918B1 (ko) 유니버설 지도 기반의 유저 맞춤형 지리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586900B1 (ko) 정보 접근성이 개선된 레이어 기반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379599B1 (ko) 터치스크린 제어용 부가입력장치 및 방법
KR20190066523A (ko) 보행 유형을 고려한 개인화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Tao Scalable and vision free user interface approaches for indoor navigation systems for the visually impaired
KR101596256B1 (ko) 내비게이션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기반의 사용자 참여형 장애시설 정보 구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