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448B1 -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 중의 복수의 사이드링크 제어 송신 - Google Patents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 중의 복수의 사이드링크 제어 송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7448B1
KR102527448B1 KR1020187011216A KR20187011216A KR102527448B1 KR 102527448 B1 KR102527448 B1 KR 102527448B1 KR 1020187011216 A KR1020187011216 A KR 1020187011216A KR 20187011216 A KR20187011216 A KR 20187011216A KR 102527448 B1 KR102527448 B1 KR 102527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link
period
processes
maximum numb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1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0199A (ko
Inventor
요아힘 로에르
말리크 프라티크 바수
릴레이 왕
Original Assignee
선 페이턴트 트러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 페이턴트 트러스트 filed Critical 선 페이턴트 트러스트
Publication of KR20180080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개 이상의 수신 유저 장치로 복수의 직접 SL 송신을 실행하기 위한 송신 유저 장치에 의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에 관한 것이다. SC 기간 내에서의 무선 리소스의 할당은, SC 기간에 대하여, 송신 유저 장치가 설정되는 SL 프로세스의 최대 수에 의해 제한된다. 복수의 SL 허가가 취득된다. 취득되는 SL 허가 중에서 후속의 SC 기간의 개시 전에 가장 최근에 취득된 소정 수의 SL 허가가 선택된다. 복수의 SL 프로세스의 각각이 선택된 소정 수의 SL 허가 중 상이한 1개의 SL 허가와 연관되도록, 복수의 SL 프로세스가 연관된다. 복수의 SL 프로세스의 각각에 대하여, 무선 리소스가 할당된다. 복수의 SL 송신의 각각은 SL 인터페이스를 통한 적어도 1개의 SCI 송신 및 적어도 1개의 데이터 송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 중의 복수의 사이드링크 제어 송신
본 개시는 사이드링크(sidelink) 기간 중에 사이드링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1개 이상의 수신 유저 장치로 복수의 직접 사이드링크 송신을 실행하기 위한 송신 유저 장치로의 무선 리소스의 할당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이에 관하여, 본 개시는 할당 메커니즘을 위한 방법을 정의하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할당 메커니즘을 적용하는 유저 장치도 정의한다.
롱 텀 에벌루션(LTE)
WCDMA 무선 액세스 기술에 근거하는 3세대 모바일 시스템(3G)은 세계 중에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 기술을 향상 또는 진화시키는 첫걸음은 매우 경쟁력 있는 무선 액세스 기술을 제공하는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HSDPA)와,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HSUPA)라고도 불리는 향상된 업링크를 도입하는 것을 수반한다.
더욱 증가하는 유저 요구에 대비하고 새로운 무선 액세스 기술에 경쟁력을 갖기 위해, 3GPP는 롱 텀 에벌루션(LTE)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이동 통신 시스템을 도입했다. LTE는 향후 10년간의 고속의 데이터 및 미디어 전송과 대용량 음성 서포트에 대한 캐리어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설계된다. 높은 비트 레이트를 제공하는 능력은 LTE에 대한 중요한 척도이다.
진화된 UMTS 지상 무선 액세스(UTRA) 및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라고 불리는 롱 텀 에벌루션(LTE)에 관한 작업 항목(WI) 사양은 릴리스 8(LTE Rel. 8)로서 완결된다. LTE 시스템은 낮은 지연 및 낮은 비용으로 완전한 IP 기반의 기능을 제공하는 효율적인 패킷 기반의 무선 액세스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대표한다. LTE에서는, 특정한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유연한 시스템 전개를 달성하기 위해, 1.4, 3.0, 5.0, 10.0, 15.0, 20.0㎒ 등의 확장 가능한 복수의 송신 대역폭이 규정된다. 다운링크에서는, 낮은 심볼 레이트에 기인하는 멀티패스 간섭(MPI)에 대한 고유의 면역, 주기적 전치부호(CP)의 사용, 및 상이한 송신 대역폭 배치에 대한 친화성 때문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기반의 무선 액세스가 채용되었다.
유저 장치(UE)의 제한된 송신 전력을 고려하여 피크 데이터 레이트의 개선보다 광역 커버리지의 프로비저닝이 우선되었기 때문에, 업링크에서는 싱글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SC-FDMA) 기반의 무선 액세스가 채용되었다. LTE Rel. 8/9에서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채널 송신 기술을 포함하는 많은 중요한 패킷 무선 액세스 기술이 채용되고 매우 효율적인 제어 시그널링 구조가 달성된다.
LTE 아키텍처
전체적인 LTE 아키텍처를 도 1에 나타낸다. E-UTRAN은 E-UTRA 유저 플레인(PDCP/RLC/MAC/PHY) 및 제어 플레인(RRC) 프로토콜 종단을 유저 장치(UE)에 제공하는 eNodeB로 이루어진다. eNodeB(eNB)는 유저 플레인 헤더 압축 및 암호화의 기능을 포함하는 물리(PHY) 레이어, 매체 액세스 제어(MAC) 레이어, 무선 링크 제어(RLC) 레이어 및 패킷 데이터 제어 프로토콜(PDCP) 레이어를 호스트한다. eNodeB는 제어 플레인에 대응하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기능도 제공한다. eNodeB는 무선 리소스 관리, 유입 제어, 스케줄링, 협의된 업링크 서비스 품질(QoS)의 시행, 셀 정보 브로드캐스트, 유저 및 제어 플레인 데이터의 암호화/해독, 및 다운링크/업링크 유저 플레인 패킷 헤더의 압축/압축해제를 포함하는 많은 기능을 실행한다. eNodeB는 X2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된다.
또한 eNodeB는 S1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EPC(진화된 패킷 코어)에 접속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S1-MME를 이용하여 MME(이동성 관리 개체)에 접속되고 S1-U를 이용하여 서빙 게이트웨이(SGW)에 접속된다. S1 인터페이스는 MME/서빙 게이트웨이와 eNodeB 사이의 다대다(many-to-many) 관계를 서포트한다. SGW는 eNodeB 사이의 핸드오버 중에 유저 플레인을 위한 이동성 앵커로서 기능함과 아울러 LTE와 다른 3GPP 기술 사이의 이동성을 위한 앵커로도 기능하면서(S4 인터페이스를 종료시키고 2G/3G 시스템과 PDN GW 사이의 트래픽을 중계함), 유저 데이터 패킷을 라우팅 및 포워딩한다. 아이들 상태의 유저 장치의 경우, SGW는 다운링크 데이터 경로를 종료시키고 다운링크 데이터가 유저 장치에 도착하면 페이징을 트리거한다. SGW는 유저 장치 컨텍스트, 예컨대 IP 베어러 서비스의 파라미터, 또는 네트워크 내부 라우팅 정보를 관리 및 보관한다. SGW는 합법적 방해(interception)의 경우에 유저 트래픽의 복제도 실행한다.
MME는 LTE 액세스 네트워크의 주요한 제어 노드이다. MME는 재송신을 포함하는 아이들 모드 유저 장치 트래킹 및 페이징 절차를 담당한다. MME는 베어러 활성화/비활성화 처리에 관여하고, 초기 접속 시 및 코어 네트워크(CN) 노드 재배치를 포함하는 LTE 내의 핸드오버 시에 유저 장치를 위해 SGW를 선택하는 것도 담당한다. MME는 (HSS와 상호작용하는 것에 의해) 유저의 인증을 담당한다. 비 액세스 층(NAS) 시그널링은 MME에서 종료되고, MME는 일시적 ID(identity)의 생성 및 유저 장치로의 할당도 담당한다. MME는 서비스 제공자의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에 캠프하기 위해 유저 장치의 인가를 체크하고 유저 장치 로밍 제한을 실시한다. MME는 NAS 시그널링의 암호화/무결성 보호를 위한 네트워크 내의 종료 포인트이고 보안 키 관리를 처리한다. 시그널링의 합법적 방해도 MME에 의해 서포트된다. MME는 LTE와 2G/3G 액세스 네트워크 사이의 이동성을 위한 제어 플레인 기능에 SGSN으로부터의 MME에서 종료되는 S3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MME는 로밍 유저 장치를 위한 홈 HSS로 향하는 S6a 인터페이스를 종료시킨다.
LTE에서의 컴포넌트 캐리어 구조
3GPP LTE 시스템의 다운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는 시간-주파수 도메인에서 소위 서브프레임으로 세분된다. 3GPP LTE에서 각 서브프레임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다운링크 슬롯으로 분할되고, 제 1 다운링크 슬롯은 제 1 OFDM 심볼 내에 제어 채널 영역(PDCCH 영역)을 포함한다. 각 서브프레임은 시간 도메인에서의 소정의 수의 OFDM 심볼(3GPP LTE(릴리스 8)에서의 12개 또는 14개의 OFDM 심볼)로 이루어지고, 각 OFDM 심볼은 컴포넌트 캐리어의 전체 대역폭에 걸쳐 있다. 따라서 각각의 OFDM 심볼은 각각의 서브캐리어에서 송신되는 몇몇의 변조 심볼로 이루어진다. LTE에서, 각 슬롯 내의 송신 신호는
Figure 112018039496341-pct00001
개의 서브캐리어 및
Figure 112018039496341-pct00002
개의 OFDM 심볼의 리소스 그리드에 의해 서술된다.
Figure 112018039496341-pct00003
은 대역폭 내의 리소스 블록의 수이다. 수량
Figure 112018039496341-pct00004
은 셀에 설정된 다운링크 송신 대역폭에 의존하고,
Figure 112018039496341-pct00005
을 만족할 것이며, 여기서,
Figure 112018039496341-pct00006
Figure 112018039496341-pct00007
은 각각 사양의 현재 버전에 의해 서포트되는 최소 및 최대 다운링크 대역폭이다.
Figure 112018039496341-pct00008
는 1개의 리소스 블록 내의 서브캐리어의 수이다. 통상의 주기적 전치부호 서브프레임 구조에서는,
Figure 112018039496341-pct00009
Figure 112018039496341-pct00010
이다.
예컨대 3GPP 롱 텀 에벌루션(LTE)에서 사용되는, 예컨대 OFDM을 채용하는 멀티 캐리어 통신 시스템을 상정하면, 스케줄러에 의해 할당될 수 있는 리소스의 최소 단위는 1개의 "리소스 블록"이다. 물리 리소스 블록(PRB)은 도 2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시간 도메인에서의 연속적인 OFDM 심볼(예컨대 7개의 OFDM 심볼) 및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연속적인 서브캐리어(예컨대,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12개의 서브캐리어)로서 규정된다. 따라서, 3GPP LTE(릴리스 8)에서, 물리 리소스 블록은 시간 도메인에서의 1개의 슬롯 및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180㎑에 대응하는 리소스 요소로 이루어진다(다운링크 리소스 그리드에 관한 추가적인 상세에 대해서는, 예컨대 http://www.3gpp.org에서 입수 가능하고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3GPP TS 36.211, "진화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E-UTRA); 물리 채널 및 변조(릴리스 8)", 섹션 6.2를 참조하라).
1개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으로 이루어지고, 따라서 소위 "통상" CP(주기적 전치부호)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서브프레임에 14개의 OFDM 심볼이 존재하고, 소위 "확장" CP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서브프레임에 12개의 OFDM 심볼이 존재한다. 용어의 설명을 위해, 이하에서는 완전한 서브프레임에 걸친 동일한 연속적인 서브캐리어에 상당하는 시간-주파수 리소스는 "리소스 블록 쌍", 또는 동등한 "RB 쌍" 또는 "PRB 쌍"이라고 불린다.
용어 "컴포넌트 캐리어"는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몇몇의 리소스 블록의 조합을 가리킨다. LTE에서, 용어 "컴포넌트 캐리어"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고, 대신에, 용어는 다운링크 리소스와 선택적인 업링크 리소스의 조합을 가리키는 "셀"로 변경된다. 다운링크 리소스의 캐리어 주파수와 업링크 리소스의 캐리어 주파수 사이의 링크는 다운링크 리소스에서 송신되는 시스템 정보에 표시된다.
컴포넌트 캐리어 구조에 대한 유사한 상정이 이후의 릴리스에도 적용될 것이다.
넓은 대역폭의 서포트를 위한 LTE-A에서의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IMT-Advanced의 주파수 스펙트럼은 세계 무선 통신 회의 2007(WRC-07)에서 결정되었다. IMT-Advanced의 전체적인 주파수 스펙트럼이 결정되었지만, 실제의 이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폭은 각 지역 또는 국가에 따라 상이하다. 그러나, 이용 가능한 주파수 스펙트럼 개요의 결정에 이어서, 무선 인터페이스의 표준화가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에서 시작되었다. 3GPP TSG RAN #39 회합에서, "E-UTRA(LTE-Advanced)의 추가적인 발전"에 관한 조사 항목의 설명이 승인되었다. 이 조사 항목은, 예컨대 IMT-Advanced의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E-UTRA의 진화를 위해 고려되어야 할 기술 요소를 대상으로 한다.
LTE-Advanced 시스템이 서포트할 수 있는 대역폭은 100㎒이지만, LTE 시스템은 단지 20㎒를 서포트할 수 있다. 요즘에는, 무선 스펙트럼의 부족은 무선 네트워크의 발전의 장해물이 되었고, 그 결과 LTE-Advanced 시스템을 위한 충분히 넓은 스펙트럼 대역을 찾는 것은 어렵다. 결과적으로, 보다 넓은 무선 스펙트럼 대역을 얻는 방법을 찾는 것이 시급하고, 가능한 대답은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기능이다.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에서는, 100㎒까지의 보다 넓은 송신 대역폭을 서포트하기 위해 2개 이상의 컴포넌트 캐리어가 어그리게이트된다. LTE 시스템에서의 몇몇의 셀은, 이들 LTE에서의 셀이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 있을 수 있을지라도, LTE-Advanced 시스템에서의 100㎒에 충분히 넓은 1개의 보다 넓은 채널로 어그리게이트된다.
모든 컴포넌트 캐리어는, 적어도 컴포넌트 캐리어의 대역폭이 LTE Rel. 8/9 셀의 서포트 대역폭을 넘지 않는 경우, LTE Rel. 8/9와 호환성이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유저 장치에 의해 어그리게이트되는 모든 컴포넌트 캐리어가 반드시 Rel. 8/9와 호환성이 있는 것은 아니다. Rel-8/9 유저 장치가 컴포넌트 캐리어에 캠프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기존의 메커니즘(예컨대 바링(barring))이 사용될 수 있다.
유저 장치는 그 능력에 따라 1개 또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복수의 서빙 셀에 대응한다)에서 동시에 수신 또는 송신할 수 있다.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수신 및/또는 송신 능력을 갖는 LTE-A Rel. 10 유저 장치는 복수의 서빙 셀에서 동시에 수신 및/또는 송신할 수 있지만, LTE Rel. 8/9 유저 장치는 컴포넌트 캐리어의 구조가 Rel. 8/9 사양을 따른다는 조건에서 단일 서빙 셀에서만 수신 및 송신할 수 있다.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은 인접 컴포넌트 캐리어 및 비인접 컴포넌트 캐리어의 양쪽에서 서포트되고, 각 컴포넌트 캐리어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최대 110개의 리소스 블록으로 제한된다(3GPP LTE(릴리스 8/9) 수비학(numerology)을 사용함).
3GPP LTE-A(릴리스 10) 호환 유저 장치가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 있어서 동일한 eNodeB(기지국)로부터 유래하는 상이한 수의 컴포넌트 캐리어와 상이한 수의 가능한 상이한 대역폭을 어그리게이트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설정될 수 있는 다운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수는 UE의 다운링크 어그리게이션 능력에 의존한다. 반대로, 설정될 수 있는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수는 UE의 업링크 어그리게이션 능력에 의존한다. 현재, 다운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보다 많은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를 갖는 이동 단말을 설정하는 것은 불가능할 수 있다. 전형적인 TDD 전개에서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수 및 각 컴포넌트 캐리어의 대역폭은 동일하다. 동일한 eNodeB로부터 유래하는 컴포넌트 캐리어가 동일한 커버리지를 제공할 필요는 없다.
인접하여 어그리게이트되는 컴포넌트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사이의 간격은 300㎑의 배수일 것이다. 이것은 3GPP LTE(릴리스 8/9)의 100㎑ 주파수 래스터와 호환성이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동시에 15㎑ 간격의 서브캐리어의 직교성을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어그리게이션 시나리오에 따라, 인접한 컴포넌트 캐리어 사이에 소수의 사용되지 않는 서브캐리어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n×300㎑의 간격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복수의 캐리어의 어그리게이션의 성질은 MAC 레이어까지만 공개된다.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양쪽에 있어서, 각 어그리게이트되는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하여 MAC에서 필요하게 되는 1개의 HARQ 개체가 존재한다.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최대 1개의 전송 블록이 존재한다(업링크를 위한 SU-MIMO가 없는 경우). 전송 블록 및 그 잠재적인 HARQ 재송신은 동일한 컴포넌트 캐리어에 매핑될 필요가 있다.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이 설정될 때, 이동 단말은 네트워크와의 1개의 RRC 접속만을 갖는다. RRC 접속 확립/재확립에서는, LTE Rel. 8/9에서와 마찬가지로, 1개의 셀이 보안 입력(1개의 ECGI, 1개의 PCI 및 1개의 ARFCN) 및 비 액세스 층 이동성 정보(예컨대 TAI)를 제공한다. RRC 접속 확립/재확립 후, 그 셀에 대응하는 컴포넌트 캐리어는 다운링크 1차 셀(PCell)이라고 불린다. 접속 상태의 유저 장치마다 설정되는 유일한 다운링크 PCell(DL PCell) 및 업링크 PCell(UL PCell)이 항상 1개씩 존재한다. 설정되는 컴포넌트 캐리어의 세트 내에서, 다른 셀은 2차 셀(SCell)이라고 불리고, SCell의 캐리어는 다운링크 2차 컴포넌트 캐리어(DL SCC) 및 업링크 2차 컴포넌트 캐리어(UL SCC)이다. PCell을 포함하는 최대 5개의 서빙 셀이 1개의 UE에 대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다운링크 및 업링크 PCell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 각 SCell에 대하여, 다운링크 리소스에 더하여 UE에 의한 업링크 리소스의 사용이 설정 가능하다(따라서, 설정되는 DL SCC의 수는 항상 UL SCC의 수보다 크거나 같고, 업링크 리소스의 사용을 위해서만 SCell이 설정될 수는 없다).
● 다운링크 PCell은 SCell과 달리 비활성화될 수 없다.
● 재확립은 다운링크 SCell이 RLF를 경험할 때가 아닌 다운링크 PCell이 레일리 페이딩(Rayleigh fading : RLF)을 경험할 때에 트리거된다.
● 비 액세스 층 정보는 다운링크 PCell로부터 취하여진다.
● PCell은 핸드오버 절차에 의해서만(즉 보안 키 변경 및 RACH 절차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 PCell은 PUCCH의 송신에 사용된다.
● 업링크 PCell은 레이어 1 업링크 제어 정보의 송신에 사용된다.
● UE의 관점에서는, 각 업링크 리소스는 1개의 서빙 셀에만 속한다.
컴포넌트 캐리어의 설정 및 재설정과, 추가 및 제거는 RRC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활성화 및 비활성화는 MAC 제어 요소를 통해서 행해진다. LTE 내의 핸드오버에서, RRC는 타겟 셀에서의 사용을 위해 SCell을 추가, 제거 또는 재설정할 수도 있다. 새로운 SCell을 추가하는 경우, SCell의 시스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전용 RRC 시그널링이 사용되고, 이 정보는 송신/수신에 필요하다(핸드오버를 위한 Rel-8/9에서와 마찬가지이다). SCell이 1개의 UE에 추가될 때에, 각 SCell은 서빙 셀 인덱스와 함께 설정되고, PCell은 항상 서빙 셀 인덱스 0을 갖는다.
유저 장치가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으로 설정되는 경우, 항상 활성화되어 있는 적어도 1쌍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컴포넌트 캐리어가 존재한다. 그 쌍의 다운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는 "DL 앵커 캐리어"라고도 불릴 수도 있다. 업링크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이 설정되는 경우, 유저 장치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동시에 스케줄링될 수 있지만, 많아도 1개의 랜덤 액세스 절차가 언제라도 진행 중일 것이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은 컴포넌트 캐리어의 PDCCH가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리소스를 스케줄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목적을 위해, 각각의 DCI(다운링크 제어 정보) 포맷에 CIF라고 불리는 컴포넌트 캐리어 식별 필드가 도입된다.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와 다운링크 컴포넌트 캐리어 사이에서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확립되는 링크는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이 없는 경우에 허가(grant)가 적용되는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를 식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운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와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링크는 반드시 1대1일 필요는 없다. 다시 말해서, 2개 이상의 다운링크 컴포넌트 캐리어가 동일한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링크할 수 있다. 동시에, 다운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는 1개의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만 링크할 수 있다.
LTE를 위한 업링크 액세스 방식
업링크 송신의 경우, 커버리지를 최대화하기 위해 전력 효율이 좋은 유저 단말 송신이 필요하다. 동적 대역폭 할당으로 FDMA와 조합되는 싱글 캐리어 송신이 진화된 UTRA 업링크 송신 방식으로서 선택되었다. 싱글 캐리어 송신에 대한 선호의 주된 이유는 멀티 캐리어 신호(OFDMA)에 비하여 낮은 피크 대 평균 전력 비(PAPR)와, 이에 대응하는 개선된 전력 증폭기 효율 및 개선된 커버리지(소정의 단말 피크 전력에 대한 보다 높은 데이터 레이트)이다. 각 시간 간격 동안, 노드 B는 유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고유의 시간/주파수 리소스를 유저에게 할당하고, 그것에 의해 셀 내의 직교성을 보장한다. 업링크에서의 직교 액세스는 셀 내 간섭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 향상된 스펙트럼 효율을 약속한다. 멀티패스 전파에 기인하는 간섭은 송신되는 신호에 주기적 전치부호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도움을 받아 기지국(노드 B)에서 처리된다.
데이터 송신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물리 리소스는 부호화된 정보 비트가 매핑되는 1개의 시간 간격, 예컨대 0.5㎳의 서브프레임 동안의 사이즈 BWgrant의 주파수 리소스로 이루어진다. 송신 시간 간격(TTI)이라고도 불리는 서브프레임은 유저 데이터 송신을 위한 최소 시간 간격인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러나, 1개의 TTI보다 긴 시간 간격에 걸쳐 주파수 리소스 BWgrant를 서브프레임의 연결에 의해 유저에게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다.
LTE를 위한 UL 스케줄링 방식
LTE에서의 업링크 방식은 스케줄링되는, 즉 eNB에 의해 제어되는 액세스 및 경쟁 기반의 액세스의 양쪽을 가능하게 한다.
스케줄링되는 액세스의 경우, UE는 eNB에 의해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한 특정한 시간의 특정한 주파수 리소스(즉, 시간/주파수 리소스)에 할당된다. 몇몇의 시간/주파수 리소스는 UE가 먼저 eNB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일 없이 송신할 수 있는 경쟁 기반의 액세스를 위해 할당될 수 있다. UE가 경쟁 기반의 액세스를 행하고 있는 하나의 시나리오는, 예컨대 랜덤 액세스, 즉 UE가 셀로의 초기 액세스를 행하고 있을 때 또는 업링크 리소스를 요구하고 있을 때이다.
스케줄링되는 액세스를 위해, 노드 B 스케줄러는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한 고유의 주파수/시간 리소스를 유저에게 할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케줄러는 다음과 같은 것을 결정한다.
● 어느 UE(들)가 송신하도록 허용되는가?
● 어느 물리 채널 리소스?
● 송신을 위해 이동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포맷(변조 부호화 방식, MCS)
이어서 할당 정보가 L1/L2 제어 채널에서 송신되는 스케줄링 허가를 통해서 UE에 시그널링된다. 간단하게 하기 위해, 이 채널은 이하에서 업링크 허가 채널이라고 불린다. 이에 대응하여, 스케줄링 허가 메시지는 주파수 대역의 어떤 부분을 UE가 사용하도록 허가되는지의 정보, 허가의 유효 기간, 및 UE가 다음의 업링크 송신에 사용하여야 하는 전송 포맷을 포함한다. 최단 유효 기간은 1개의 서브프레임이다. 선택되는 방식에 따라, 허가 메시지에 추가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UL-SCH에서 송신할 권리를 허가(grant)하기 위해서는 "UE마다의" 허가만이 사용된다(즉 "RB마다의 UE마다의" 허가는 없다). 따라서, UE는 몇몇의 규칙에 따라서 무선 베어러 사이에서의 할당되는 리소스를 분배할 필요가 있다. HSUPA에서와는 달리, UE 기반의 전송 포맷 선택은 없다. eNB는 몇몇의 정보, 예컨대 보고되는 스케줄링 정보 및 QoS 정보에 근거하여 전송 포맷을 결정하고, UE는 선택되는 전송 포맷에 따라야 한다. HSUPA에서는, 노드 B가 최대 업링크 리소스를 할당하고, UE는 그에 따라 데이터 송신을 위한 실제의 전송 포맷을 선택한다.
무선 리소스의 스케줄링은 공유 채널 액세스 네트워크에 있어서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기능이기 때문에, 효율적인 QoS 관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LTE를 위한 UL 스케줄링 방식에 의해 만족되어야 하는 몇몇의 요건이 있다.
● 우선도가 낮은 서비스의 스타베이션(starvation)은 회피되어야 한다.
● 무선 베어러/서비스에 대한 명확한 QoS 구별이 스케줄링 방식에 의해 서포트되어야 한다.
● eNB 스케줄러가 어느 무선 베어러/서비스 데이터가 송신되어야 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UL 보고는 (예컨대 무선 베어러 또는 무선 베어러 그룹마다) 가는 입자의 버퍼 보고(fine granular buffer report)를 허용하여야 한다.
● 상이한 유저의 서비스 사이의 명확한 QoS 구별이 가능하여야 한다.
● 무선 베어러마다 최소 비트 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여야 한다.
상기 리스트로부터 알 수 있듯이, LTE 스케줄링 방식의 하나의 본질적인 측면은 상이한 QoS 클래스의 무선 베어러 사이에서 그 어그리게이트된 셀 용량의 분할을 오퍼레이터가 제어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무선 베어러의 QoS 클래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AGW로부터 eNB에 시그널링되는 대응하는 SAE 베어러의 QoS 프로파일에 의해 식별된다. 그러면 오퍼레이터는 임의의 양의 그 어그리게이트된 셀 용량을 임의의 QoS 클래스의 무선 베어러에 연관되는 어그리게이트된 트래픽에 할당할 수 있다. 이 클래스 기반의 접근법을 채용하는 주된 목표는 패킷이 속하고 있는 QoS 클래스에 따라 패킷의 처리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레이어 1/레이어 2 제어 시그널링
스케줄링된 유저에게 그들의 할당 상황, 전송 포맷, 및 다른 송신 관련 정보(예컨대 HARQ 정보, 송신 전력 제어(TPC) 커맨드)를 통지하기 위해, L1/L2 제어 시그널링이 데이터와 함께 다운링크에서 송신된다. 유저 할당이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서브프레임으로 변할 수 있다고 가정하여, L1/L2 제어 시그널링이 서브프레임에서의 다운링크 데이터와 다중화된다. 유저 할당은 TTI(송신 시간 간격) 단위로 실행될 수도 있고, TTI 길이는 서브프레임의 배수일 수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TTI 길이는 서비스 구역 내에서 모든 유저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고, 상이한 유저에 대하여 상이할 수 있고, 각 유저에 대하여 동적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L1/L2 제어 시그널링은 TTI마다 1회만 송신될 필요가 있다. 일반성을 잃는 일 없이, 이하에서는 TTI가 1개의 서브프레임과 동등한 것으로 가정한다.
L1/L2 제어 시그널링은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서 송신된다. PDCCH는 대부분의 경우에 이동 단말 또는 UE의 그룹을 위한 리소스 할당 및 다른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로서 메시지를 반송한다. 일반적으로, 몇몇의 PDCCH가 1개의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될 수 있다.
3GPP LTE에서는, 업링크 스케줄링 허가 또는 업링크 리소스 할당이라고도 불리는 업링크 데이터 송신에 대한 할당도 PDCCH에서 송신되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3GPP 릴리스 11은 상세한 송신 방법은 PDCCH와 상이하지만 기본적으로 PDCCH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즉 L1/L2 제어 시그널링을 전달하는 EPDCCH를 도입했다. 추가적인 상세는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3GPP TS 36.211 및 36.213의 현재의 버전에서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배경기술 및 실시형태에서 개략적으로 설명되는 대부분의 항목은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 PDCCH 및 EPDCCH, 또는 L1/L2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다른 수단에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기 위한 L1/L2 제어 시그널링에서 송신되는 정보(특히 LTE(-A) 릴리스 10)는 이하의 항목으로 분류될 수 있다.
- 유저 ID. 할당되는 유저를 나타낸다. 이것은 통상 CRC를 유저 ID와 함께 마스킹하는 것에 의해 검사합(checksum)에 포함된다.
- 리소스 할당 정보. 유저가 할당되는 리소스(예컨대, 리소스 블록, RB)를 나타낸다. 혹은, 이 정보는 리소스 블록 할당(RBA)이라고 불린다. 유저가 할당되는 RB의 수는 동적일 수 있는 것에 유의하라.
- 캐리어 표시자. 제 1 캐리어에서 송신되는 제어 채널이 제 2 캐리어에 관한 리소스, 즉 제 2 캐리어에서의 리소스 또는 제 2 캐리어에 관련되는 리소스를 할당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 변조 및 부호화 방식. 채용되는 변조 방식 및 부호화 레이트를 결정한다.
- HARQ 정보. 새로운 데이터 표시자(NDI) 및/또는 리던던시 버전(RV) 등. 데이터 패킷 또는 그 일부의 재송신에 특히 유용하다.
- 전력 제어 커맨드. 할당되는 업링크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 송신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 기준 신호 정보. 적용되는 주기적 시프트 및/또는 직교 커버 코드 인덱스 등. 할당에 관련되는 기준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에 채용되어야 한다.
-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할당 인덱스. 할당의 순서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TDD 시스템에서 특히 유용하다.
- 호핑 정보.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증가시키기 위해 리소스 호핑을 적용하는지 여부 및 어떻게 적용하는지를 나타낸다.
- CSI 요구. 할당되는 리소스에서 채널 상태 정보의 송신을 트리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 멀티클러스터 정보. 송신이 단일 클러스터(인접한 RB의 세트)에서 발생하는지 또는 복수의 클러스터(인접한 RB의 적어도 2개의 비인접 세트)에서 발생하는지를 나타내고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플래그이다. 멀티클러스터 할당은 3GPP LTE-(A) 릴리스 10에 의해 도입되었다.
상기 리스트는 완전한 것이 아니고, 사용되는 DCI 포맷에 따라서는 모든 언급된 정보 항목이 각 PDCCH 송신에 존재할 필요는 없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다운링크 제어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체적인 사이즈 및 그들의 필드에 포함되는 정보가 상이한 몇몇의 포맷으로 존재한다. LTE에 대하여 현재 정의되어 있는 상이한 DCI 포맷은 이하와 같고, 3GPP TS 36.212, "다중화 및 채널 부호화", 섹션 5.3.3.1(http://www.3gpp.org에서 입수 가능하고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현재 버전 v12.4.0)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또한, DCI 포맷 및 DCI로 송신되는 특정한 정보에 관한 추가적인 정보에 대해서는, 언급한 기술 표준 또는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Stefanie Sesia, lssam Toufik, Matthew Baker가 편집한 "LTE - UMTS 롱 텀 에벌루션 - 이론에서 실제까지", 챕터 9.3을 참조하라.
- 포맷 0 : DCI 포맷 0은 업링크 송신 모드 1 또는 2에서 단일 안테나 포트 송신을 사용하는 PUSCH에 대한 리소스 허가의 송신에 사용된다.
- 포맷 1 : DCI 포맷 1은 단일 코드워드 PDSCH 송신(다운링크 송신 모드 1, 2, 7)을 위한 리소스 할당의 송신에 사용된다.
- 포맷 1A : DCI 포맷 1A는 단일 코드워드 PDSCH 송신을 위한 리소스 할당의 조밀한(compact) 시그널링 및 경쟁이 없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모든 송신 모드를 위한) 이동 단말로의 전용 프리앰블 서명의 할당에 사용된다.
- 포맷 1B : DCI 포맷 1B는 랭크-1 송신(다운링크 송신 모드 6)과 함께 폐 루프 프리코딩을 사용하는 PDSCH 송신을 위한 리소스 할당의 조밀한 시그널링에 사용된다. 송신되는 정보는 포맷 1A와 동일하지만, PDSCH 송신에 적용되는 프리코딩 벡터의 표시자가 추가된다.
- 포맷 1C : DCI 포맷 1C는 PDSCH 할당의 매우 조밀한 송신에 사용된다. 포맷 1C가 사용되면, PDSCH 송신은 QPSK 변조를 사용하도록 제약된다. 이것은, 예컨대 페이징 메시지 및 브로드캐스트 시스템 정보 메시지를 시그널링하기 위해 사용된다.
- 포맷 1D : DCI 포맷 1D는 멀티 유저 MIMO를 사용하는 PDSCH 송신을 위한 리소스 할당의 조밀한 시그널링에 사용된다. 송신되는 정보는 포맷 1B와 동일하지만, 프리코딩 벡터 표시자의 비트 중 1개 대신에, 전력 오프셋이 데이터 심볼에 적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단일 비트가 존재한다. 이 특징은 2개의 UE 사이에서 송신 전력이 공유되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필요하다. LTE의 장래의 버전은 이것을 보다 다수의 UE 사이에서 전력을 공유하는 경우로 확장할 수 있다.
- 포맷 2 : DCI 포맷 2는 폐 루프 MIMO 동작(송신 모드 4)을 위한 PDSCH를 위한 리소스 할당의 송신에 사용된다.
- 포맷 2A : DCI 포맷 2A는 개 루프 MIMO 동작을 위한 PDSCH를 위한 리소스 할당의 송신에 사용된다. eNodeB가 2개의 송신 안테나 포트를 갖는 경우에 프리코딩 정보가 존재하지 않고, 4개의 안테나 포트의 경우에 송신 랭크(송신 모드 3)를 나타내기 위해 2비트가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 송신되는 정보는 포맷 2와 동일하다.
- 포맷 2B : 릴리스 9에서 도입되고, 듀얼 레이어 빔포밍(송신 모드 8)을 위한 PDSCH를 위한 리소스 할당의 송신에 사용된다.
- 포맷 2C : 릴리스 10에서 도입되고, 최대 8레이어(송신 모드 9)의 폐 루프 싱글 유저 또는 멀티 유저 MIMO 동작을 위한 PDSCH를 위한 리소스 할당의 송신에 사용된다.
- 포맷 2D : 릴리스 11에서 도입되고, 최대 8레이어 송신에 사용되고, 주로 COMP(협동 멀티포인트)(송신 모드 10)에 사용된다.
- 포맷 3, 3A : DCI 포맷 3, 3A는 각각 2비트 또는 1비트 전력 조정에 의한 PUCCH 및 PUSCH를 위한 전력 제어 커맨드의 송신에 사용된다. 이들 DCI 포맷은 UE의 그룹을 위한 각각의 전력 제어 커맨드를 포함한다.
- 포맷 4 : DCI 포맷 4는 업링크 송신 모드 2에서의 폐 루프 공간 다중화 송신을 사용하는 PUSCH의 스케줄링에 사용된다.
- 포맷 5 : DCI 포맷 5는 PSCCH(물리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의 스케줄링에 사용되고, PSSCH(물리 사이드링크 공유 제어 채널)의 스케줄링에 사용되는 몇몇의 SCI 포맷 0 필드도 포함한다. 특정한 탐색 공간에 매핑되는 DCI 포맷 5에서의 정보 비트의 수가 동일한 서빙 셀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포맷 0의 페이로드 사이즈보다 작은 경우, 페이로드 사이즈가 포맷 0에 추가되는 임의의 패딩 비트를 포함하는 포맷 0의 페이로드 사이즈와 같아질 때까지 포맷 5에 0이 부가될 것이다.
현재 버전 12.4.0의 3GPP 기술 표준 TS 35.212는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5.4.3절에서 사이드링크에 대한 제어 정보를 정의하고 있고, 사이드링크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후술한다.
SCI는 1개의 목적지 ID에 대한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SCI 포맷 0은 PSSCH의 스케줄링에 사용하기 위해 정의된다. 이하의 정보는 SCI 포맷 0에 의해 송신된다.
● 주파수 호핑 플래그 - 1비트.
● 리소스 블록 할당 및 호핑 리소스 할당.
● 시간 리소스 패턴 - 7비트.
● 변조 및 부호화 방식 - 5비트.
● 타이밍 어드밴스 표시 - 11비트.
● 그룹 목적지 ID - 8비트.
논리 채널 우선화(LCP) 절차
업링크에서는, 할당되는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송신하기 위한 MAC PDU를 UE가 작성하는 처리는 완전히 표준화되어 있고, 이것은 상이한 UE 구현 사이에서 최적의 일관된 방법으로 UE가 각 설정된 무선 베어러의 QoS를 만족시키는 것을 보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PDCCH에서 시그널링되는 업링크 송신 리소스 허가 메시지에 근거하여, UE는 새로운 MAC에 포함되어야 하는 각 논리 채널에 대한 데이터의 양을 결정하여야 하고, 필요하다면, MAC 제어 요소를 위한 공간도 할당하여야 한다.
복수의 논리 채널로부터의 데이터로 MAC PDU를 구성하는 경우, 가장 간단하고 가장 직감적인 방법은 절대 우선도 기반의 방법이고, MAC PDU 공간은 논리 채널 우선도가 높은 것부터 차례대로 논리 채널에 할당된다. 즉, 우선도가 가장 높은 논리 채널로부터의 데이터가 MAC PDU에서 먼저 제공되고, 우선도가 다음으로 가장 높은 논리 채널로부터의 데이터가 뒤따르고, MAC PDU 공간이 없어질 때까지 계속된다. 절대 우선도 기반의 방법은 UE 구현의 관점에서는 매우 단순하지만, 때로는 낮은 우선도의 논리 채널로부터의 데이터의 스타베이션(starvation)으로 이어지고, 여기서 스타베이션은 높은 우선도의 논리 채널로부터의 데이터가 모든 MAC PDU 공간을 점유하기 때문에 낮은 우선도의 논리 채널로부터의 데이터가 송신될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LTE에서는, 중요도의 순서대로 데이터를 송신할 뿐만 아니라 보다 낮은 우선도의 데이터의 스타베이션을 회피할 수 있도록 각 논리 채널에 대하여 우선화된 비트 레이트(PBR)가 정의된다. PBR은 논리 채널에 대하여 보증되는 최소 데이터 레이트이다. 논리 채널이 낮은 우선도를 갖더라도, 적어도 소량의 MAC PDU 공간이 할당되어 PBR을 보증한다. 따라서, PBR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스타베이션 문제가 회피될 수 있다.
PBR로 MAC PDU를 구성하는 것은 2라운드로 이루어진다. 제 1 라운드에서, 각 논리 채널은 논리 채널 우선도가 높은 것부터 차례대로 제공되지만, 처음에는 MAC PDU에 포함되는 각 논리 채널로부터의 데이터의 양은 논리 채널의 설정되는 PBR 값에 대응하는 양으로 제한된다. 모든 논리 채널이 그들의 PBR 값까지 제공된 후, MAC PDU에 남는 공간이 있으면, 제 2 라운드가 실행된다. 제 2 라운드에서, 각 논리 채널은 우선도가 높은 것부터 차례대로 다시 제공된다. 제 1 라운드에 비한 제 2 라운드의 주된 차이점은 보다 높은 우선도의 모든 논리 채널이 더 이상 송신할 데이터를 갖지 않는 경우에만 보다 낮은 우선도의 각 논리 채널이 MAC PDU 공간에 할당될 수 있는 것이다.
MAC PDU는 각 설정되는 논리 채널로부터의 MAC SDU뿐만 아니라 MAC CE도 포함할 수 있다. 패딩 BSR을 제외하고, MAC CE는 MAC 레이어의 동작을 제어하기 때문에 논리 채널로부터의 MAC SDU보다 높은 우선도를 갖는다. 따라서, MAC PDU가 구성되면, MAC CE는, 만약 존재한다면, 최초로 포함되고, 나머지의 공간은 논리 채널로부터의 MAC SDU를 위해 사용된다. 그 다음, 추가의 공간이 남아 있고 BSR을 포함하기에 충분히 크면, 패딩 BSR이 트리거되고 MAC PDU에 포함된다. 논리 채널 우선화(LCP) 절차는 새로운 송신이 실행될 때마다 적용된다.
논리 채널 우선화는, 예컨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3GPP TS 36.321(현재 버전 v12.5.0)의 5.4.3.1절에서 표준화되어 있다.
RRC는 각 논리 채널에 대하여 이하를 시그널링하는 것에 의해 업링크 데이터의 스케줄링을 제어한다.
● 증가하는 우선도 값이 보다 낮은 우선도 레벨을 나타내는 우선도,
● 우선화된 비트 레이트(PBR)를 설정하는 prioritisedBitRate,
● 버킷 사이즈 기간(BSD)을 설정하는 bucketSizeDuration.
UE는 각 논리 채널 j에 대하여 변수 Bj를 유지할 것이다. Bj는 관련되는 논리 채널이 확립되면 0으로 초기화될 것이고, 각 TTI에 대한 곱 PBR×TTI 기간에 의해 증분될 것이며, 여기서 PBR은 논리 채널 j의 우선화된 비트 레이트이다. 하지만, Bj의 값은 버킷 사이즈를 넘을 수 없고, Bj의 값이 논리 채널 j의 버킷 사이즈보다 큰 경우는, 버킷 사이즈로 설정될 것이다. 논리 채널의 버킷 사이즈는 PBR×BSD와 같고, 여기서 PBR 및 BSD는 상위 레이어에 의해 설정된다.
LTE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근접 서비스(ProSe)
근접성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는 새로운 사회적-기술적 동향을 대표한다. 특정되는 분야는 사업자 및 유저가 관심을 가질 상용 서비스 및 공공 안전에 관련되는 서비스를 포함한다. 근접 서비스(ProSe) 기능을 LTE에 도입함으로써, 3GPP 산업은 이 발전하는 시장에 기여할 것이고, 동시에, LTE에 공동으로 커밋(commit)되는 몇몇의 공공 안전 커뮤니티의 시급한 요구에 기여할 것이다.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통신은 LTE-ReI. 12를 위한 기술 요소이다.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통신 기술에 의해,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언더레이(underlay)로서의 D2D가 스펙트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셀룰러 네트워크가 LTE인 경우, 물리 채널을 반송하는 모든 데이터는 D2D 시그널링에 SC-FDMA를 사용한다. D2D 통신에서, 유저 장치는 무선 기지국을 거치는 대신에 셀룰러 리소스를 사용하는 직접 링크를 통해서 서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전체에 걸쳐서 용어 "D2D", "ProSe" 및 "사이드링크"는 교체 가능하다.
LTE에서의 D2D 통신
LTE에서의 D2D 통신은 탐색(discovery) 및 통신의 2가지 분야에 집중하고 있다.
ProSe(근접성 기반의 서비스) 직접 탐색은 ProSe 사용 가능 UE가 PC5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E-UTRA 직접 무선 신호를 사용하여 근접하고 있는 다른 ProSe 사용 가능 UE(들)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하는 절차로서 정의되어 있다. 도 3은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직접 탐색을 위한 PC5 인터페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ProSe 직접 탐색을 위한 무선 프로토콜 스택(AS)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D2D 통신에서, UE는 기지국(BS)을 거치는 대신에 셀룰러 리소스를 사용하는 직접 링크를 통해서 서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한다. D2D 유저는 BS에 의해 계속 제어되는 동안, 즉 적어도 eNB의 커버리지 내에 있을 때에 직접 통신한다. 따라서, D2D는 셀룰러 리소스를 재이용하는 것에 의해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2D는 업링크 LTE 스펙트럼(FDD의 경우) 또는 셀 부여 커버리지의 업링크 서브프레임(TDD의 경우, 커버리지의 밖에 있을 때는 제외한다)에서 동작한다고 가정된다. 또한, D2D 송신/수신은 특정한 캐리어에서 전이중(full duplex)을 사용하지 않는다. 각각의 UE의 관점에서, 특정한 캐리어에서는 D2D 신호 수신 및 LTE 업링크 송신이 전이중을 사용하지 않는다, 즉 동시의 D2D 신호 수신 및 LTE UL 송신은 불가능하다.
D2D 통신에서는, 하나의 특정한 UE1이 송신(송신 유저 장치 또는 송신 단말)의 역할을 하는 경우, UE1은 데이터를 송신하고, 다른 UE2(수신 유저 장치)는 그것을 수신한다. UE1 및 UE2는 그 송신 및 수신 역할을 변경할 수 있다. UE1로부터의 송신은 UE2와 같은 1개 이상의 UE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유저 플레인 프로토콜에 관하여, 이하에서는 D2D 통신 관점으로부터의 합의의 일부가 주어진다(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현재 버전 12.0.1의 3GPP TR 36.843, 섹션 9.2.2도 참조하라).
● PDCP :
- 1:M D2D 브로드캐스트 통신 데이터(즉, IP 패킷)는 통상 유저 플레인 데이터로서 처리되어야 한다.
- PDCP에서의 헤더 압축/압축해제는 1:M D2D 브로드캐스트 통신에 적용 가능하다.
■ U-Mode는 공공의 안전을 위한 D2D 브로드캐스트 동작을 위해 PDCP에서의 헤더 압축에 사용된다.
● RLC :
- RLC UM은 1:M D2D 브로드캐스트 통신에 사용된다.
- 분할 및 재 어셈블리(Segmentation and Re-assembly)은 RLC UM에 의해 L2에서 서포트된다.
- 수신 UE는 송신 피어(peer) UE마다 적어도 1개의 RLC UM 개체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 RLC UM 수신기 개체는 제 1 RLC UM 데이터 유닛의 수신에 앞서 설정될 필요는 없다.
- 지금까지는 유저 플레인 데이터 송신을 위한 D2D 통신을 위한 RLC AM 또는 RLC TM의 필요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 MAC :
- 1:M D2D 브로트캐스트 통신에서 HARQ 피드백은 가정되지 않는다.
- 수신 UE는 수신기 RLC UM 개체를 식별하기 위해 소스 ID를 알 필요가 있다.
- MAC 헤더는 MAC 레이어에서 패킷을 필터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L2 타겟 ID를 포함한다.
- L2 타겟 ID는 브로드캐스트, 그룹캐스트 또는 유니캐스트 어드레스일 수 있다.
■ L2 그룹캐스트/유니캐스트 : MAC 헤더에서 반송되는 L2 타겟 ID는 수신되는 RLC UM PDU를 RLC 수신기 개체에 전달하기 전이더라도 파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 L2 브로드캐스트 : 수신 UE는 모든 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모든 RLC PDU를 처리하고, IP 패킷을 다시 어셈블리하여 상위 레이어에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할 것이다.
- MAC 서브헤더는 (복수의 논리 채널을 구별하기 위해) LCID를 포함한다.
- D2D에서는 적어도 다중화/역 다중화, 우선도 처리 및 패딩이 유용하다.
ProSe 직접 통신 관련 ID
현재 버전 12.5.0의 3GPP TS 36.300은 8.3절에서 ProSe 직접 통신에 사용하는 이하의 ID를 정의한다.
SL-RNTI : (사이드링크 무선 네트워크 일시 식별자) ProSe 직접 통신 스케줄링에 사용되는 고유의 식별자
소스 레이어-2 ID : 사이드링크 ProSe 직접 통신에서 데이터 송신자를 식별한다. 소스 레이어-2 ID는 24비트의 길이이고, 수신기에서 RLC UM 개체 및 PDCP 개체를 식별하기 위해 ProSe 레이어-2 목적지 ID 및 LCID와 함께 사용된다.
목적지 레이어-2 ID : 사이드링크 ProSe 직접 통신에서 데이터의 타겟을 식별한다. 목적지 레이어-2 ID는 24비트의 길이이고, MAC 레이어에서 2개의 비트열로 분할된다.
■ 첫 번째 비트열은 목적지 레이어-2 ID의 LSB 부분(8비트)이고, 사이드링크 제어 레이어-1 ID로서 물리 레이어에 포워딩된다. 이것은 사이드링크 제어에서의 의도되는 데이터의 타겟을 식별하고, 물리 레이어에서 패킷의 필터링에 사용된다.
■ 두 번째 비트열은 목적지 레이어-2 ID의 MSB 부분(16비트)이고, MAC 헤더 내에서 반송된다. 이것은 MAC 레이어에서 패킷의 필터링에 사용된다.
비 액세스 층 시그널링은 그룹 형성 및 UE에서의 소스 레이어-2 ID, 목적지 레이어-2 ID 및 사이드링크 제어 L1 ID의 설정에 필요하다. 이들 ID는 상위 레이어에 의해 제공되거나 또는 상위 레이어에 의해 제공되는 ID로부터 도출된다. 그룹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의 경우, 상위 레이어에 의해 제공되는 ProSe UE ID는 소스 레이어-2 ID로서 직접 사용되고, 상위 레이어에 의해 제공되는 ProSe 레이어-2 그룹 ID는 MAC 레이어에서 목적지 레이어-2 ID로서 직접 사용된다.
근접 서비스를 위한 무선 리소스 할당
송신 UE의 관점에서, 근접 서비스 사용 가능 UE(ProSe 사용 가능 UE)는 리소스 할당을 위한 2개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모드 1은 eNB-스케줄링 리소스 할당을 가리키는데, eNB-스케줄링 리소스 할당에서는, UE가 eNB(또는 릴리스-10의 중계 노드)로부터 송신 리소스를 요구하고, 그것에 응답하여 eNodeB(또는 릴리스-10의 중계 노드)가 UE가 직접 데이터 및 직접 제어 정보, DCI(예컨대, 스케줄링 할당)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할 리소스를 스케줄링한다. UE는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RRC_CONNECTED일 필요가 있다. 특히, UE는 통상의 방식으로, 버퍼 상태 보고(BSR)가 후속하는 D2D 스케줄링 요구(D-SR 또는 랜덤 액세스)를 eNB에 송신한다(이하의 챕터 "D2D 통신을 위한 송신 절차"도 참조하라). BSR에 근거하여, eNB는 UE가 ProSe 직접 통신 송신을 위한 데이터를 갖고 있다고 판단하고, 송신에 필요한 리소스를 추정할 수 있다.
한편, 모드 2는 UE-자율 리소스 선택을 가리키는데, 이 UE-자율 리소스 선택에서는, UE 자신이 리소스 풀(들)로부터 리소스(시간 및 주파수)를 선택하여 직접 데이터 및 직접 제어 정보(즉, SA)를 송신한다. 1개의 리소스 풀은, 예컨대 SIB18의 내용에 의해, 즉 필드 commTxPoolNormalCommon에 의해 정의되고, 이 특정한 리소스 풀은 셀에서 브로드캐스트되고, 그 후 여전히 RRC_Idle 상태에 있는 셀 내의 모든 UE에 대하여 공통으로 이용 가능하게 된다. 효과적으로, eNB는 상기 풀의 최대 4개의 상이한 인스턴스를 정의할 수 있다. 즉 SA 메시지 및 직접 데이터의 송신을 위한 4개의 리소스 풀을 각각 정의할 수 있다. 하지만, 리스트가 복수의 리소스 풀로 구성되었더라도, UE는 그 리스트에 정의되어 있는 최초의 리소스 풀을 항상 사용할 것이다.
대안으로서, 다른 리소스 풀이 eNB에 의해, 즉 예외적인 경우에 UE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필드 commTxPoolExceptional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정의되고 SIB18에서 시그널링될 수 있다.
어느 리소스 할당 모드를 UE가 사용할지는 eNB에 의해 설정 가능하다. 또한, D2D 데이터 통신을 위해 어느 리소스 할당 모드를 UE가 사용할지는 RRC 상태, 즉 RRC_IDLE 또는 RRC_CONNECTED 및 UE의 커버리지 상태, 즉 커버리지 내, 커버리지 밖에도 의존한다. UE가 서빙 셀을 갖는 경우(즉, UE가 RRC_CONNECTED이거나 또는 RRC_IDLE에서 셀에 캠프하고 있는 경우), UE는 커버리지 내라고 간주된다.
리소스 할당 모드에 관한 이하의 규칙이 UE에 적용된다.
● UE가 커버리지 밖이면, 모드 2만을 사용할 수 있다.
● UE가 커버리지 내이면, eNB가 적절하게 설정하는 경우에 모드 1을 사용할 수 있다.
● UE가 커버리지 내이면, eNB가 적절하게 설정하는 경우에 모드 2를 사용할 수 있다.
● 예외 조건이 없는 경우, eNB에 의해 그렇게 하도록 설정되는 경우에만, UE는 모드 1로부터 모드 2로 또는 그 반대로 변경할 수 있다. UE가 커버리지 내인 경우, 예외적인 경우 중 하나가 발생하지 않는 한, UE는 eNB 설정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모드만을 사용할 것이다.
■ UE는, 예컨대 T311 또는 T301이 실행 중인 동안에, 자신이 예외 조건에 있다고 간주한다.
● 예외적인 경우가 발생한 경우, 모드 1을 사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더라도, UE는 모드 2를 일시적으로 사용하도록 허용된다.
E-UTRA 셀의 커버리지 구역에 있는 동안에, UE는 해당 셀에 의해 할당되는 리소스에서만 UL 캐리어에서의(그 캐리어의 리소스가, 예컨대 UICC(범용 집적 회로 카드)에서 사전 설정되었더라도) ProSe 직접 통신 송신을 실행할 것이다.
RRC_IDLE의 UE의 경우, eNB는 이하의 옵션 중 1개를 선택할 수 있다.
● eNB는 SIB에서 모드 2 송신 리소스 풀을 제공할 수 있다. ProSe 직접 통신이 승인되어 있는 UE는 이들 리소스를 RRC_IDLE에서의 ProSe 직접 통신에 사용한다.
● eNB는 eNB가 D2D를 서포트하지만 ProSe 직접 통신을 위한 리소스는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을 SIB에서 나타낼 수 있다. UE는 ProSe 직접 통신 송신을 실행하기 위해 RRC_CONNECTED에 들어갈 필요가 있다.
RRC_CONNECTED의 UE의 경우.
● ProSe 직접 통신 송신을 실행하는 것이 승인되어 있는 RRC_CONNECTED의 UE는 ProSe 직접 통신 송신을 실행할 필요가 있을 때에 ProSe 직접 통신 송신을 실행하기를 원하는 것을 eNB에 나타낸다.
● eNB는 MME로부터 수신되는 UE 컨텍스트를 사용하여 RRC_CONNECTED의 UE에 ProSe 직접 통신 송신이 승인되어 있는지 여부를 인증한다.
● eNB는 UE가 RRC_CONNECTED인 동안에 제약 없이 사용될 수 있는 모드 2 리소스 할당 송신 리소스 풀과 함께 전용 시그널링에 의해 RRC_CONNECTED의 UE를 설정할 수 있다. 혹은, eNB는 UE가 예외적인 경우에만 사용하도록 허용되고 다른 경우에는 모드 1에 의존하도록 허용되는 모드 2 리소스 할당 송신 리소스 풀과 함께 전용 시그널링에 의해 RRC_CONNECTED의 UE를 설정할 수 있다.
UE가 커버리지 밖에 있는 경우의 스케줄링 할당을 위한 리소스 풀은 이하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 수신에 사용되는 리소스 풀은 미리 설정된다.
● 송신에 사용되는 리소스 풀은 미리 설정된다.
UE가 커버리지 내에 있는 경우의 스케줄링 할당을 위한 리소스 풀은 이하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 수신에 사용되는 리소스 풀은 전용 또는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에서 RRC를 통해서 eNB에 의해 설정된다.
● 송신에 사용되는 리소스 풀은 모드 2 리소스 할당이 사용되는 경우에 RRC를 통해서 eNB에 의해 설정된다.
● 송신에 사용되는 SCI(사이드링크 제어 정보) 리소스 풀(스케줄링 할당(SA) 리소스 풀이라고도 불린다)은 모드 1 리소스 할당이 사용되는 경우에 UE에 알려져 있지 않다.
● eNB는 모드 1 리소스 할당이 사용되는 경우에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스케줄링 할당) 송신에 사용하는 특정한 리소스(들)를 스케줄링한다. eNB에 의해 할당되는 특정한 리소스는 UE에 제공되는 SCI의 수신을 위한 리소스 풀 내에 있다.
도 5는 오버레이(overlay)(LTE) 및 언더레이(underlay)(D2D) 시스템을 위한 송신/수신 리소스의 사용을 나타낸다.
기본적으로, eNodeB는 UE가 모드 1 또는 모드 2 송신을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제어한다. UE가 D2D 통신을 송신(또는 수신)할 수 있는 리소스를 알게 되면, 현재의 기술 수준에서는, UE는 대응하는 송신/수신을 위해서만 대응하는 리소스를 사용한다. 예컨대, 도 5에서, D2D 서브프레임은 D2D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기 위해서만 사용될 것이다. D2D 디바이스로서의 UE는 반이중(Half Duplex) 모드로 동작할 것이기 때문에, 어느 시점에서도 D2D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5에 나타내는 다른 서브프레임은 LTE(오버레이) 송신 및/또는 수신에 사용될 수 있다.
D2D 통신을 위한 송신 절차
D2D 데이터 송신 절차는 리소스 할당 모드에 따라 상이하다. 모드 1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eNB는 UE로부터의 대응하는 요구 후에 스케줄링 할당 및 D2D 데이터 통신을 위한 리소스를 명시적으로 스케줄링한다. 특히, UE는 D2D 통신은 일반적으로 허용되지만, 모드 2 리소스(즉, 리소스 풀)가 제공되지 않는 것을 eNB에 의해 통지받을 수 있고, 이것은, 상술한 대응하는 예시적인 ProseCommConfig 정보 요소가 commTxPoolNormalCommon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예컨대 UE에 의한 D2D 통신 관심 표시와 대응하는 응답, 즉 D2D 통신 응답의 교환으로 행해질 수 있으며, 이것은 송신을 포함하는 직접 통신을 개시하고자 하는 UE는 각 개개의 송신마다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E-UTRAN에 요구하여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그러한 경우, UE는 각 개개의 송신마다 리소스를 요구하여야 하고, 이하에서는, 이 모드 1 리소스 할당을 위한 요구/허가 절차의 상이한 스텝이 예시적으로 열거된다.
● 스텝 1 : UE는 PUCCH를 통해서 eNB에 SR(스케줄링 요구)을 송신한다.
● 스텝 2 : eNB는 C-RNTI에 의해 스크램블되는 UL 리소스를 (UE가 BSR을 송신하도록) PDCCH를 통해서 허가(grant)한다.
● 스텝 3 : UE는 버퍼 상태를 나타내는 D2D BSR을 PUSCH를 통해서 송신한다.
● 스텝 4 : eNB는 SL-RNTI에 의해 스크램블되는 D2D 리소스를 (UE가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PDCCH를 통해서 허가한다.
● 스텝 5 : D2D Tx UE는 스텝 4에서 수신되는 허가(grant)에 따라서 SA/D2D 데이터를 송신한다.
SCI(사이드링크 제어 정보)라고도 불리는 스케줄링 할당(SA)은 제어 정보, 예컨대, 대응하는 D2D 데이터 송신을 위한 시간-주파수 리소스, 변조 및 부호화 방식, 및 그룹 목적지 ID로의 포인터(들)를 포함하는 컴팩트한(낮은 페이로드) 메시지이다. SCI는 1개의 (ProSE) 목적지 ID를 위한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다. SA의 내용(SCI)은 기본적으로 상기의 스텝 4에서 수신되는 허가에 따른다. D2D 허가 및 SA 내용(즉, SCI 내용)은 특히 이 배경기술 섹션에서 상술한 SCI 포맷 0을 정의하고 있고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현재 버전 12.4.0의 3GPP 기술 표준 TS 36.212의 5.4.3절에 정의되어 있다.
한편, 모드 2 리소스 할당의 경우, 상기의 스텝 1~4는 기본적으로 필요하지 않고, UE는 eNB에 의해 설정되고 제공되는 송신 리소스 풀(들)로부터 SA 및 D2D 데이터 송신을 위한 리소스를 자율적으로 선택한다.
도 6은 2개의 UE, 즉 UE-A 및 UE-B를 위한 스케줄링 할당 및 D2D 데이터의 송신을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여기서 스케줄링 할당을 송신하기 위한 리소스는 주기적이고, D2D 데이터 송신에 사용되는 리소스는 대응하는 스케줄링 할당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도 7은 SC 기간, 즉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으로도 알려져 있는 1개의 SA/데이터 기간 동안의 모드 2, 즉 자율 스케줄링을 위한 D2D 통신 타이밍을 나타낸다. 도 8은 1개의 SA/데이터 기간 동안의 모드 1, 즉 eNB-스케줄링 할당을 위한 D2D 통신 타이밍을 나타낸다. SC 기간은 스케줄링 할당 및 그것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송신으로 이루어지는 시간 기간이다.
도 7로부터 알 수 있듯이, UE는 SA 오프셋 시간 후에 모드 2의 스케줄링 할당, SA_Mode2_Tx_pool을 위한 송신 풀 리소스를 사용하여 스케줄링 할당을 송신한다. SA의 첫 번째 송신 이후에는, 예컨대, 동일한 SA 메시지의 3회의 재송신이 뒤따른다. 다음으로, UE는 D2D 데이터 송신을, 즉, 보다 상세하게는 SA 리소스 풀(SA_offset에 의해 주어진다)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 후의 소정의 설정된 오프셋(Mode2data_offset)에서 송신의 시간 리소스 패턴, 즉 T-RPT 비트맵/패턴을 사용하여 개시한다.
MAC PDU의 1개의 D2D 데이터 송신은 첫 번째 송신 및 여러 재송신으로 이루어진다. 도 7(및 도 8)의 도시의 경우, 3회의 재송신(즉, 동일한 MAC PDU의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송신)이 행해진다고 가정된다. 모드 2 T-RPT 비트맵(송신의 시간 리소스 패턴, T-RPT)은 기본적으로 MAC PDU 송신(첫 번째 송신) 및 그 재송신(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송신)의 타이밍을 정의한다.
1개의 SA/데이터 기간 동안, UE는 복수의 전송(transport) 블록을 송신할 수 있지만(서브프레임(TTI)마다 1개만, 즉 번갈아), 1개의 ProSe 목적지 그룹에만 송신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전송 블록의 재송신은 다음의 전송 블록의 첫 번째 송신이 개시되기 전에 종료되어야 하고, 즉 1개의 HARQ 프로세스만이 복수의 전송 블록의 송신에 사용된다.
도 8로부터 분명하듯이, eNB-스케줄링 리소스 할당 모드(모드 1)에서는, D2D 데이터 송신, 즉 특히 T-RPT 패턴/비트맵은 SA 리소스 풀에서의 최후의 SA 송신 반복 후의 다음의 UL 서브프레임에서 개시된다. 도 7에 대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모드 1 T-RPT 비트맵(송신의 시간 리소스 패턴, T-RPT)은 기본적으로 MAC PDU 송신(첫 번째 송신) 및 그 재송신(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송신)의 타이밍을 정의한다.
ProSe 네트워크 아키텍처 및 ProSe 개체
도 9는 네트워크 내의 ProSe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ProSe 기능뿐만 아니라 각각의 UE A 및 B에서의 상이한 ProSe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로밍하지 않은(non-roaming) 경우의 높은 레벨의 예시적인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9의 예시적인 아키텍처는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TS 23.303 v.12.4.0 챕터 4.2 "아키텍처 참조 모델"로부터 취하여진다.
기능 개체는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기능 개체(Functional Entities)"라는 제목의 TS 23.303의 4.4절에 상세하게 제시 및 설명되어 있다. ProSe 기능은 ProSe에 필요한 네트워크 관련 동작에 사용되는 논리적 기능으로서, ProSe의 각 특징(feature)을 위해 상이한 역할을 하는 논리적 기능이다. ProSe 기능은 3GPP의 진화된 패킷 코어, 즉 EPC의 일부이고, 근접 서비스에 관련되는 인가, 인증, 데이터 처리 등의 모든 관련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ProSe 직접 탐색 및 통신의 경우, UE는 특정한 ProSe UE ID, 다른 설정 정보, 및 ProSe 기능으로부터의 인가를 PC3 기준 포인트를 통해서 취득할 수 있다. 네트워크에 배치되는 복수의 ProSe 기능이 존재할 수 있지만,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1개의 ProSe 기능이 제시된다. ProSe 기능은 ProSe 특징에 따라 상이한 역할을 하는 3개의 주요한 서브-기능(sub-function), 즉 직접 공급 기능(DPF; Direct Provision Function), 직접 탐색 이름 관리 기능(Direct Discovery Name Management Fuction), 및 EPC 레벨 탐색 기능(EPC-level Discovery Function)으로 이루어진다. DPF는 ProSe 직접 탐색 및 ProSe 직접 통신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를 UE에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용어 "UE"는 다음과 같은 ProSe 기능을 서포트하는 ProSe 사용 가능(ProSe-enabled) UE를 가리킨다.
● PC3 기준 포인트를 통한 ProSe 사용 가능 UE와 ProSe 기능 사이의 ProSe 제어 정보의 교환.
● PC5 기준 포인트를 통한 다른 ProSe 사용 가능 UE의 공개적인(open) ProSe 직접 탐색의 절차.
● PC5 기준 포인트를 통한 일대다(one-to-many) ProSe 직접 통신의 절차.
● ProSe UE 대 네트워크(UE-to-Network) 릴레이로서 기능하는 절차. 원격 UE는 PC5 기준 포인트를 통해 ProSe UE 대 네트워크 릴레이와 통신한다. ProSe UE 대 네트워크 릴레이는 레이어-3 패킷 포워딩을 사용한다.
● 예컨대 UE 대 네트워크 릴레이 검출 및 ProSe 직접 탐색을 위한 PC5 기준 포인트를 통한 ProSe UE 사이의 제어 정보의 교환.
● PC3 기준 포인트를 통한 다른 ProSe 사용 가능 UE와 ProSe 기능 사이의 ProSe 제어 정보의 교환. ProSe UE 대 네트워크 릴레이의 경우, 원격 UE는 LTE-Uu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ProSe 기능을 향해 중계되도록 이 제어 정보를 PC5 유저 플레인을 통해 송신할 것이다.
● 파라미터(예컨대, IP 어드레스, ProSe 레이어-2 그룹 ID, 그룹 보안 자료, 무선 리소스 파라미터를 포함한다)의 설정. 이들 파라미터는 UE에서 미리 설정되거나, 또는, 커버리지 내에 있다면, PC3 기준 포인트를 통한 시그널링에 의해 네트워크 내의 ProSe 기능에 공급될 수 있다.
ProSe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EPC ProSe 유저 ID 및 ProSe 기능 ID의 저장과,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유저 ID 및 EPC ProSe 유저 ID의 매핑을 서포트한다. ProSe 애플리케이션 서버(AS)는 3GPP의 범위 밖의 개체이다. UE에서의 ProSe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기준 포인트 PC1을 통해서 ProSe AS와 통신한다. ProSe AS는 PC2 기준 포인트를 통해서 3GPP 네트워크에 접속된다.
D2D를 위한 UE 커버리지 상태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D2D 통신을 위한 리소스 할당 방법은 RRC 상태, 즉 RRC_IDLE 및 RRC_CONNECTED 외에도 UE의 커버리지 상태, 즉 커버리지 내, 커버리지 밖에 의존한다. UE는 서빙 셀을 갖는 경우(즉, UE가 RRC_CONNECTED이거나 또는 RRC_IDLE에서 셀에 캠핑(camp)하고 있는 경우)에 커버리지 내로 간주된다.
지금까지 언급한 2개의 커버리지 상태, 즉 커버리지 내(IC) 및 커버리지 밖(OOC)은 D2D에 대한 하위 상태(sub-state)로 더 구별된다. 도 10은 D2D UE가 연관될 수 있는 4개의 상이한 상태를 나타내고, 이하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상태 1 : UE1은 업링크 커버리지 및 다운링크 커버리지를 갖는다. 이 상태에서 네트워크는 각각의 D2D 통신 세션을 제어한다. 또한, 네트워크는 UE1이 리소스 할당 모드 1 또는 모드 2를 사용하여야 하는지를 설정한다.
상태 2 : UE2는 다운링크 커버리지를 갖지만 업링크 커버리지를 갖지 않는다. 즉, DL 커버리지만을 갖는다. 네트워크는 (경쟁 기반의) 리소스 풀을 브로드캐스트한다. 이 상태에서 송신 UE는 네트워크에 의해 설정되는 리소스 풀로부터 SA에 사용되는 리소스 및 데이터를 선택하고, 그러한 상태에서는 D2D 통신을 위한 모드 2에 따라서만 리소스 할당이 가능하다.
상태 3 : UE3은 업링크 커버리지 및 다운링크 커버리지를 갖지 않고, 따라서, UE3은 커버리지 밖(OOC)으로 간주된다. 하지만, UE3은 자신들(예컨대, UE1)이 셀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몇몇의 UE들의 커버리지 내이다. 즉, 이들 몇몇의 UE는 CP 중계 UE라고 불릴 수도 있다. 따라서, 도 10의 상태 3 UE의 구역은 CP UE 중계 커버리지 구역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 상태 3의 UE는 OOC 상태 3 UE로 불리기도 한다. 이 상태에서의 UE는 eNB(SIB)에 의해 송신되고 셀의 커버리지 내의 CP UE 중계 UE에 의해 PD2DSCH를 통해서 OOC 상태 3 UE로 포워딩되는 셀 고유 정보를 수신한다. (경쟁 기반의) 네트워크 제어 리소스 풀은 PD2DSCH에 의해 시그널링된다.
상태 4 : UE4는 커버리지 밖이고 셀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다른 UE로부터 PD2DSCH를 수신하지 않는다. 상태 4 OOC라고도 불리는 이 상태에서, 송신 UE는 (경쟁 기반의) 미리 설정된 리소스 풀로부터 데이터 송신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선택한다.
상태 3 OOC와 상태 4 OOC를 구별하는 이유는 주로 커버리지 밖 디바이스로부터의 D2D 송신과 레거시 E-UTRA 송신 사이의 잠재적인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서이다. 일반적으로, D2D 사용 가능 UE는 D2D SA의 송신을 위한 사전 설정된 리소스 풀 및 커버리지 밖에 있는 동안에 사용하기 위한 데이터를 가질 것이다. 이들 커버리지 밖 UE가 셀 경계에서 이들 사전 설정된 리소스 풀에서 송신하는 경우, D2D 송신과 커버리지 내의 레거시 송신 사이의 간섭은 셀 내의 통신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커버리지 내의 D2D 사용 가능 UE가 D2D 리소스 풀 설정을 셀 경계 부근의 커버리지 밖 디바이스에 포워딩하는 경우, 커버리지 밖 UE는 그들의 송신을 eNodeB에 의해 지정된 리소스로 제한할 수 있고, 따라서 커버리지 내의 레거시 송신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RAN1은 커버리지 내의 UE가 리소스 풀 정보 및 다른 D2D 관련 설정을 커버리지 구역 바로 밖의 디바이스(상태 3 UE)에 포워딩하는 메커니즘을 도입했다.
네트워크 근접 내의 리소스 풀이 정렬되도록, 물리 D2D 동기화 채널(PD2DSCH)은 커버리지 내의 D2D 리소스 풀에 관한 이 정보를 네트워크 근접 UE에 반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D2D를 위한 LCP 절차, 사이드링크 논리 채널
D2D를 위한 LCP 절차는 상술한 "정규(normal)" LTE 데이터를 위한 LCP 절차와는 상이할 것이다. 이하의 정보는 참조에 의해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ProSe를 위한 LCP를 기술하고 있는 버전 12.5.0의 TS 36.321, 5.14.1.3.1절로부터 취하여진다.
UE는 새로운 송신이 실행될 때에 이하의 논리 채널 우선화(LCP) 절차를 실행할 것이다.
● UE(예컨대 MAC 개체)는 이하의 규칙에 따라 사이드링크 논리 채널에 리소스를 할당할 것이다.
- UE는 RLC SDU 전체(또는 부분적으로 송신되는 SDU)가 잔여 리소스에 맞는 경우에는 RLC SDU(또는 부분적으로 송신되는 SDU)를 세그먼트화해서는 안 된다.
- UE가 사이드링크 논리 채널로부터의 RLC SDU를 세그먼트화하는 경우, UE는 가능한 한 허가(grant)를 채우기 위해 세그먼트의 사이즈를 최대화할 것이다.
- UE는 데이터의 송신을 최대화하여야 한다.
- UE가 송신에 이용 가능한 데이터를 가지면서, 10바이트 이상의 사이드링크 허가 사이즈가 주어진 경우, UE는 패딩만을 송신해서는 안 된다.
주의 : 상기 규칙은 사이드링크 논리 채널이 서비스되는 순서가 UE 구현의 경우 남겨지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1개의 PDU에 대하여, MAC 개체는 동일한 소스 레이어 2 ID - 목적지 레이어 2 ID 쌍을 갖는 논리 채널만을 고려할 것이다. 즉, 1개의 PDU에 대하여, UE의 MAC 개체는 동일한 ProSe 목적지 그룹의, 즉 동일한 목적지 그룹 ID를 갖는 논리 채널만을 고려할 것이다. UE는 LCP 절차 중에 ProSe 목적지 그룹을 선택한다. 또한, Rel-12에서 1개의 SA/데이터 기간 중에 D2D 송신 UE는 1개의 ProSe 목적지 그룹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을 뿐이다.
모든 D2D(사이드링크) 논리 채널, 예컨대 STCH, 즉 사이드링크 트래픽 채널(Sidelink Traffic CHannel)은 동일한 논리 채널 그룹(LCG)에 할당된다. 즉, LCGID가 '11'로 설정된다(버전 12.5.0의 TS 36.321의 5.14.1.4절 "버퍼 상태 보고"를 참조하라). Rel-12에서는 D2D(사이드링크) 논리 채널/그룹을 위한 우선화 메커니즘이 없다. 본질적으로, 모든 사이드링크 논리 채널은 UE의 관점에서 동일한 우선도를 갖는다. 즉, 사이드링크 논리 채널이 서비스되는 순서는 UE 구현에서는 남겨진다.
Rel-13에서는 보다 진보된 우선화 메커니즘이 고려되고, 각 사이드링크 논리 채널은 PPPP(ProSe per packet priority)라고도 불리는 논리 채널 우선도와 연관된다. 이 논리 채널 우선도에 근거하여, UE는 소정의 사이드링크 허가를 위한 ProSe 목적지 그룹을 선택한다. 즉, 최고 우선도 논리 채널은 ProSe 목적지 그룹을 결정하고, 또한, 선택되는 ProSe 목적지 그룹에 속하는 논리 채널에 리소스를 할당한다(우선도가 높은 것부터 차례대로).
단지 설명의 목적으로, 이하의 예시적인 시나리오는 3개의 ProSe 논리 채널, LCH#1, LCH#2, LCH#3이 유저 장치에 셋업되는 것으로 간주되고, 3개 모두가 동일한 ProSe LCG(예컨대, "11")와 연관된다. LCH#1 및 LCH#2가 ProSe 목적지 그룹 1에 할당되고, LCH#3이 ProSe 목적지 그룹 2에 할당되는 것으로서 예시적으로 가정된다. 이것은 도 12에 나타내어진다.
ProSe에서의 버퍼 상태 보고
또한, 버퍼 상태 보고는 ProSe에 채용되고, 현재는 Rel-12에 대하여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버전 12.5.0의 TS 36.321, 5.14.1.4절 "버퍼 상태 보고"에 정의되어 있다.
(D2D) 사이드링크 버퍼 상태 보고 절차는 UE의 사이드링크 버퍼에 있어서의 송신에 이용 가능한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양에 관한 정보를 서빙 eNB에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RRC는 주기적 ProseBSR 타이머 및 RetxProseBSR 타이머의 2개의 타이머를 설정하여 사이드링크 BSR 보고를 제어한다. 각 사이드링크 논리 채널(STCH)은 LCGID가 "11"로 설정된 LCG에 할당되고, ProSe 목적지 그룹에 속한다.
TS 36.321의 5.14.1.4절에 상세하게 규정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몇몇의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사이드링크 버퍼 상태 보고(BSR)가 트리거될 것이다.
또한,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버전 12.5.0의 TS 36.321, 6.1.3.1a절은 ProSe BSR MAC 제어 요소 및 그 대응하는 내용을 이하와 같이 정의한다. ProSe 버퍼 상태 보고(BSR) MAC 제어 요소는 보고되는 D2D 목적지 그룹마다의 1개의 그룹 인덱스 필드, 1개의 LCG ID 필드, 및 1개의 대응하는 버퍼 사이즈 필드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포함되는 ProSe 목적지 그룹에 대하여, 이하의 필드가 정의된다.
● 그룹 인덱스 : 그룹 인덱스 필드는 ProSe 목적지 그룹을 식별한다. 이 필드의 길이는 4비트이다. 값은 destinationInfoList에서 보고되는 목적지 ID의 인덱스에 설정된다.
● LCG ID : 논리 채널 그룹 ID 필드는 버퍼 상태가 보고되고 있는 논리 채널(들)의 그룹을 식별한다. 필드의 길이는 2비트이고 "11"로 설정된다.
● 버퍼 사이즈 : 버퍼 사이즈 필드는 TTI를 위한 MAC PDU가 구축된 후에 ProSe 목적지 그룹의 모든 논리 채널에 걸쳐 사용 가능한 데이터의 총량을 식별한다. 데이터의 양은 바이트의 수로 나타내어진다.
● R : 예약된 비트로서, "0"으로 설정된다.
도 11은 TS 36.321의 6.1.3.1a장으로부터 취하여진 짝수 N(ProSe 목적지 그룹 수)에 대한 ProSe BSR MAC 제어 요소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의 송신 방식은 데이터의 가능한 내용을 식별하기 위한 ProSe 목적지 그룹의 사용을 포함하여 통상의 LTE 방식과는 상이하다. 현재 정의되어 있는 메커니즘의 몇몇은 약간 비효율적이다.
비 한정적이며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송신 유저 장치가 1개 이상의 수신 유저 장치로 사이드링크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복수의 직접 사이드링크(SL) 송신을 실행하도록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을 제공한다. 독립 청구항은 비 한정적이며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제공한다. 유리한 실시형태는 종속 청구항의 대상이 된다.
몇몇의 측면에 따르면, (이러한 시나리오에 대해서만은 아니지만) 특히 2개 이상의 사이드링크 목적지 그룹으로 향하는 송신 유저 장치에 있어서의 송신에 데이터가 이용 가능한 시나리오에 대하여 송신 유저 장치에 의해 직접 통신 송신을 실행하는 것이 개선된다.
하나의 일반적인 제 1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은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1개 이상의 수신 유저 장치로 사이드링크(SL)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복수의 직접 사이드링크(SL) 송신을 실행하기 위해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송신 유저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사이드링크 제어(SC) 기간 내에서의 무선 리소스의 할당은, SC 기간에 대하여, 송신 유저 장치가 설정되는 SL 프로세스의 최대 수에 의해 제한된다. 송신 유저 장치의 프로세서는 후속의 SC 기간에 대해 복수의 SL 허가를 취득하고, 취득되는 SL 허가 중에서 후속의 SC 기간의 개시 전에 가장 최근에 취득된 소정 수의 SL 허가를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선택되는 SL 허가의 소정 수는 1개의 SC 기간에 대해 설정되는 SL 프로세스의 최대 수를 넘지 않는다. 또한, 프로세서는, 복수의 SL 프로세스의 각각이 후속의 SC 기간 내에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기 위한 선택된 소정 수의 SL 허가 중 상이한 1개와 연관되도록, 후속의 SC 기간에 대해 복수의 SL 프로세스를 연관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프로세서는, 복수의 SL 프로세스의 각각에 대하여, 1개 이상의 수신 유저 장치 중 1개의 수신 유저 장치로 복수의 SL 송신 중 1개의 SL 송신을 실행하기 위해, 각각의 SL 프로세스가 연관되는 선택된 SL 허가에 따라서, 후속의 SC 기간 내에서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SL 송신의 각각은 SL 인터페이스를 통한 적어도 1개의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 송신 및 적어도 1개의 데이터 송신을 포함한다.
하나의 일반적인 제 2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은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SL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1개 이상의 수신 유저 장치로 복수의 직접 사이드링크(SL) 송신을 실행하기 위해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송신 유저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사이드링크 제어(SC) 기간 내에서의 무선 리소스의 할당은, SC 기간에 대하여, 송신 유저 장치가 설정되는 SL 프로세스의 최대 수에 의해 제한된다. 프로세서는, 후속의 SC 기간에 대해, 후속의 SC 기간의 개시 전의 상이한 서브프레임에서 복수의 사이드링크(SL) 허가를 취득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취득되는 SL 허가의 각각은, SL 허가가 취득되는 서브프레임에 근거하여, 연관 방식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최대 수의 SL 프로세스 중 1개의 SL 프로세스와 연관되고, 여기서, 최대 수의 SL 프로세스의 각각은 상이한 서브프레임의 세트로부터의 SL 허가와 연관되고, 세트 내의 서브프레임의 각각은 미리 정의된 수의 서브프레임만큼 서로 오프셋된다. 또한, 프로세서는 복수의 최대 수의 SL 프로세스의 각각을, 상이한 서브프레임의 각각의 세트에서 취득되고 후속의 SC 기간의 개시 전에 가장 최근에 취득된 그 1개의 SL 허가와 연관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프로세서는, 복수의 SL 프로세스의 각각에 대하여, 1개 이상의 수신 유저 장치로 복수의 SL 송신 중 1개의 SL 송신을 실행하기 위해, 각각의 SL 프로세스가 연관되는 SL 허가에 따라서, 후속의 SC 기간 내에서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SL 송신의 각각은 SL 인터페이스를 통한 적어도 1개의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 송신 및 적어도 1개의 데이터 송신을 포함한다.
하나의 일반적인 제 3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은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이드링크 제어(SC) 기간 내에 SL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1개 이상의 수신 유저 장치로 복수의 직접 사이드링크(SL) 송신을 실행하기 위해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송신 유저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송신 유저 장치의 프로세서는 각각이 통신 시스템 내에서 SL 송신을 위해 설정되고 사용 가능하게 되는 상이한 리소스 풀로부터 복수의 SL 송신을 위한 SL 허가를 자율적으로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복수의 SL 송신의 각각에 대하여, 설정되는 상이한 리소스 풀로부터 선택되는 상이한 SL 프로세스로의 SL 허가를 연관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프로세서는, 연관된 SL 허가를 갖는 복수의 SL 프로세스의 각각에 대하여, 상이한 목적지 그룹 ID로의 논리 채널만을 고려하는 별개의 논리 채널 우선화(LCP) 절차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프로세서는, 복수의 SL 프로세스의 각각에 대하여, 동일한 SC 기간 내에, 복수의 SL 송신을 실행하기 위해 각각의 SL 프로세스가 연관되는 자율적으로 선택된 SL 허가에 따라서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SL 송신의 각각은 SL 인터페이스를 통한 적어도 1개의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 송신 및 적어도 1개의 데이터 송신을 포함한다.
하나의 일반적인 제 4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은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 유저 장치가 SL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1개 이상의 수신 유저 장치로 복수의 직접 사이드링크(SL) 송신을 실행하는 무선 리소스 할당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사이드링크 제어(SC) 기간 내에서의 무선 리소스의 할당은, SC 기간에 대하여, 송신 유저 장치가 설정되는 SL 프로세스의 최대 수에 의해 제한된다. 송신 유저 장치에 의해, 복수의 SL 허가가 후속의 SC 기간에 대해 취득된다. 송신 유저 장치에 의해, 취득되는 SL 허가 중에서 후속의 SC 기간의 개시 전에 가장 최근에 취득된 SL 허가가 선택되고, 여기서, 선택되는 SL 허가의 소정 수는 1개의 SC 기간에 대해 설정되는 SL 프로세스의 최대 수를 넘지 않는다. 그 다음, 송신 유저 장치에 의해, 복수의 SL 프로세스의 각각이 후속의 SC 기간 내에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기 위한 선택된 소정 수의 SL 허가 중 상이한 1개와 연관되도록, 후속의 SC 기간에 대해 복수의 SL 프로세스가 연관된다. 그 후, 송신 유저 장치에 의해, 복수의 SL 프로세스의 각각에 대하여, 1개 이상의 수신 유저 장치 중 1개의 수신 유저 장치로 복수의 SL 송신 중 1개의 SL 송신을 실행하기 위해, 각각의 SL 프로세스가 연관되는 선택된 SL 허가에 따라서, 후속의 SC 기간 내에서 무선 리소스가 할당된다. 복수의 SL 송신의 각각은 SL 인터페이스를 통한 적어도 1개의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 송신 및 적어도 1개의 데이터 송신을 포함한다.
하나의 일반적인 제 5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은 송신 유저 장치가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SL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1개 이상의 수신 유저 장치로 복수의 직접 사이드링크(SL) 송신을 실행하는 무선 리소스 할당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사이드링크 제어(SC) 기간 내에서의 무선 리소스의 할당은, SC 기간에 대하여, 송신 유저 장치가 설정되는 SL 프로세스의 최대 수에 의해 제한된다. 송신 유저 장치에 의해, 후속의 SC 기간에 대해, 후속의 SC 기간의 개시 전의 상이한 서브프레임에서 복수의 사이드링크(SL) 허가가 취득되고, 여기서, 취득되는 SL 허가의 각각은, SL 허가가 취득되는 서브프레임에 근거하여, 연관 방식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최대 수의 SL 프로세스 중 1개의 SL 프로세스와 연관되고, 여기서, 최대 수의 SL 프로세스의 각각은 상이한 서브프레임의 세트로부터의 SL 허가와 연관되고, 세트 내의 서브프레임의 각각은 미리 정의된 수의 서브프레임만큼 서로 오프셋된다. 그 다음, 송신 유저 장치에 의해, 복수의 최대 수의 SL 프로세스의 각각은, 상이한 서브프레임의 각각의 세트에서 취득되고 후속의 SC 기간의 개시 전에 가장 최근에 취득된 그 1개의 SL 허가와 연관된다. 그 후, 송신 유저 장치에 의해, 복수의 SL 프로세스의 각각에 대하여, 1개 이상의 수신 유저 장치로 복수의 SL 송신 중 1개의 SL 송신을 실행하기 위해, 각각의 SL 프로세스가 연관되는 SL 허가에 따라서, 후속의 SC 기간 내에서 무선 리소스가 할당된다. 복수의 SL 송신의 각각은 SL 인터페이스를 통한 적어도 1개의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 송신 및 적어도 1개의 데이터 송신을 포함한다.
하나의 일반적인 제 6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은 송신 유저 장치가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이드링크 제어(SC) 기간 내에 SL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1개 이상의 수신 유저 장치로 복수의 직접 사이드링크(SL) 송신을 실행하는 무선 리소스 할당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송신 유저 장치에 의해, 각각이 통신 시스템 내에서 SL 송신을 위해 설정되고 사용 가능하게 되는 상이한 리소스 풀로부터 복수의 SL 송신을 위한 SL 허가가 자율적으로 선택된다. 그 다음, 송신 유저 장치에 의해, 복수의 SL 송신의 각각에 대하여, 설정되는 상이한 리소스 풀로부터 선택되는 상이한 SL 프로세스로의 SL 허가가 연관된다. 그 후, 송신 유저 장치에 의해, 연관된 SL 허가를 갖는 복수의 SL 프로세스의 각각에 대하여, 상이한 목적지 그룹 ID로의 논리 채널만을 고려하는 별개의 논리 채널 우선화(LCP) 절차가 실행된다. 마지막으로, 송신 유저 장치에 의해, 복수의 SL 프로세스의 각각에 대하여, 동일한 SC 기간 내에, 복수의 SL 송신을 실행하기 위해 각각의 SL 프로세스가 연관되는 자율적으로 선택된 SL 허가에 따라서 무선 리소스가 할당된다. 복수의 SL 송신의 각각은 SL 인터페이스를 통한 적어도 1개의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 송신 및 적어도 1개의 데이터 송신을 포함한다.
개시되는 실시형태의 추가적인 이득 및 이점은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이득 및/또는 이점은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형태 및 특징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고, 그들 중 1개 이상을 얻기 위해 모두 제공될 필요는 없다.
이들 일반적이고 특정한 측면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현되거나, 또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첨부한 도면 및 그림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 1은 3GPP LTE 시스템의 예시적인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2는 3GPP LTE(릴리스 8/9)에 대하여 정의되는 서브프레임의 다운링크 슬롯의 예시적인 다운링크 리소스 그리드를 나타낸다.
도 3은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직접 탐색을 위한 PC5 인터페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ProSe 직접 탐색을 위한 무선 프로토콜 스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는 오버레이(LTE) 시스템 및 언더레이(D2D) 시스템을 위한 송신/수신 리소스의 사용을 나타낸다.
도 6은 2개의 UE를 위한 스케줄링 할당 및 D2D 데이터의 송신을 나타낸다.
도 7은 UE-자율 스케줄링 모드 2의 D2D 통신 타이밍을 나타낸다.
도 8은 eNB-스케줄링 스케줄링 모드 1의 D2D 통신 타이밍을 나타낸다.
도 9는 비 로밍(non-roaming) 시나리오에 대한 ProSe의 예시적인 아키텍처 모델을 나타낸다.
도 10은 D2D UE가 연관될 수 있는 4개의 상이한 상태에 관한 셀 커버리지를 나타낸다.
도 11은 표준에서 정의되는 ProSe 버퍼 상태 보고 MAC 제어 요소를 나타낸다.
도 12는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위한 ProSe 논리 채널(ProSe LCG)과 ProSe 목적지 그룹 사이의 연관을 나타낸다.
도 13은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2개의 eNB-스케줄링 D2D 송신을 위한 D2D 통신 타이밍을 나타낸다.
도 14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따른 2개의 eNB-스케줄링 D2D 송신을 위한 D2D 통신 타이밍을 나타낸다.
유저 장치(UE), 이동국, 모바일 노드, 또는 유저 단말은 통신 시스템 내의 물리 개체이다. 유저 장치는 통신 시스템 내의 매체를 통해서, 예컨대 다른 유저 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몇몇의 기능 요소를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eNodeB(eNB), 기지국, 네트워크 노드, 또는 네트워크 단말은 통신 시스템 내의 동일한 매체를 통해서, 예컨대 유저 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몇몇의 기능 요소를 갖는다.
용어 "무선 리소스"는 상술한 유저 장치 및/또는 eNodeB가 통신 매체로서 사용하는 시간-주파수 리소스와 같은 물리적 무선 리소스(예컨대, 리소스 요소 RE 또는 리소스 블록 RB)를 광범위하게 가리키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의 문맥에서 사용된다.
용어 "(직접) 사이드링크(SL) 송신"은 2개의 유저 장치 사이의, 즉 eNodeB(eNB)를 경유하지 않는 직접 송신을 광범위하게 가리키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의 문맥에서 사용된다. 사이드링크 송신을 교환하는 2개의 유저 장치의 사이에 사이드링크 통신이 확립된다. 이후, 용어 "(직접) 사이드링크 통신"은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통신 또는 ProSe 통신과 동의어로 사용된다.
또한, 직접 사이드링크 송신은 사이드링크 송신을 제공하는 유저 장치의 기능을 광범위하게 가리키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의 문맥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사이드링크(SL)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실행된다. 3GPP LTE의 용어에서는, 배경기술 섹션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이드링크 인터페이스는 PC5 인터페이스이다.
용어 "사이드링크(SL) 프로세스"는 사이드링크 허가(grant)와 연관될 수 있는, 유저 장치 내에서 설정되는 프로세스를 광범위하게 가리키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의 문맥에서 사용된다. 그러한 사이드링크 프로세스는 SC 기간마다 SL 허가를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와 연관시키는 능력을 제공하는 유저 장치를 위해 설정된다고 할 수 있다. 3GPP LTE의 용어에서는, 배경기술 섹션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이드링크 프로세스는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SL-SCH)에서의 송신을 위해 MAC 개체에서 사이드링크 HARQ 개체에 의해 유지된다.
하지만, 본 명세서의 문맥에서, 사이드링크 프로세스는 이 점에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사이드링크 프로세스는 연관되는 사이드링크 허가 또는 사이드링크 허가 정보가 기억되고 유지되는 유저 장치 내의 메모리 영역만을 수반할 수 있다. 그러한 메모리 영역은, 예컨대 메모리 영역을 새롭게 수신되는 사이드링크 허가 정보와 연관(또는 기억)시키거나 또는 이전에 연관된 사이드링크 허가 정보를 제거하기 위해 메모리 영역을 (재)초기화(또는 소거)하는 유저 장치에 의해 관리된다.
용어 "사이드링크 제어(SC) 기간"은 유저 장치가 사이드링크 송신을 실행하는 시간의 기간을 광범위하게 가리키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의 문맥에서 사용된다. 각 사이드링크 송신은 적어도 1개의 스케줄링 할당(사이드링크 제어 정보) 송신 및 적어도 1개의 대응하는 데이터 송신을 포함한다. 달리 말하면,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은 사이드링크 허가가 유효한 시간의 기간으로서 볼 수 있다. 3GPP LTE의 용어에서는,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은 SA/데이터 기간 또는 SC(사이드링크 제어) 기간이다.
용어 "ProSe 목적지 그룹" 또는 "사이드링크 목적지 그룹"은, 예컨대 3GPP LTE 용어에서 정의되는 1개의 소스 레이어-2 ID - 목적지 레이어 2 ID 쌍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 걸쳐서 사용된다.
"(사이드링크) 허가를 취득한다", "(사이드링크) 허가를 수신한다"라고 하는 표현 및 유사한 표현은 담당 eNodeB로부터 (사이드링크) 허가를 취득/수신하는 유저 장치를 광범위하게 가리킨다(즉 모드 1 기능성). 반대로, "자율적으로 (사이드링크) 허가를 선택한다"라고 하는 표현 및 유사한 표현은 (사이드링크) 허가를 스스로, 즉 적합한 송신 리소스 풀(들)로부터 허가를 위한 리소스를 자율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식별하는 UE를 광범위하게 가리킨다(즉 Mode 2 기능)(즉 UE가 내부적으로 허가를 수신한다).
모드 1(즉 eNB-스케줄링) 및 모드 2(자율-스케줄링)에 관련하여, D2D 통신에 사용되는 현재 표준화되어 있는 송신 방식은 배경기술 섹션에서 설명되었다.
현시점에서 UE는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SC 기간)마다 1개의 (유효한) 사이드링크 허가(SL 허가)만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현재 UE는 동일한 허가와 연관되는 단지 1개의 SL 프로세스로 또한 설정된다. eNB가 모드 1로 UE에 여러 허가를 발행했다고 하더라도, UE는 가장 최근에(즉 마지막으로) 수신된 것만을 SC 기간에 대하여 유효한 SL 허가로서 간주한다. 특히, SL 프로세스는 이전에 수신된 SL 허가(들)를 덮어쓰므로(overwrite), SL 프로세스는 가장 최근에 수신된 SL 허가에만 연관된다.
이와 같이, SC 기간마다 이용 가능한 SL 허가는 1개뿐이므로, UE는 SC 기간마다 1개의 스케줄링 할당(SA) 또는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를 송신할 수 있다. 결국, 송신 UE는 스케줄링 할당(SA) 또는 스케줄링 제어 정보(SCI)마다 각각 1개의 ProSe 목적지 그룹의 1개 이상의 수신 UE에만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1개의 SCI와 연관되는 MAC 패킷 데이터 유닛(들)(PDU(들))에 대하여, 송신 UE는 동일한 소스 레이어-2 ID - 목적지 레이어-2 ID 쌍을 갖는 논리 채널만을 고려할 것이다. 이 현재 표준화되어 있는 D2D 송신 방식은 여러 약점을 초래한다.
UE가 버퍼(들) 내에 복수의 ProSe 목적지 그룹을 위한 데이터를 갖는 경우, 송신 UE는 SC 기간마다 1개의 ProSe 목적지 그룹에만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한된다. 따라서, 나머지의 ProSe 목적지 그룹(들)의 데이터는 적어도 1개의 추가의 SC 기간만큼 지연된다. 다시 말해서, 스케줄링 할당(SA) 또는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 송신은 1개의 ProSe 목적지 그룹만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대응하는 데이터 송신은 동일한 ProSe 목적지 그룹만으로 제한된다.
설정되는 SC 주기성 및 1개의 ProSe 목적지 그룹에 완전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필요한 SC 기간의 수에 따라서는, 지연이 현저할 수 있고, 불리한 사이드링크 통신 특성으로 이어진다. 이것은 무선 리소스가 최초로 서비스되는 ProSe 목적지 그룹보다 많은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경우에도 더욱 그렇다.
또한, 송신 UE는 eNodeB(eNB)에 의한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D2D 송신 리소스를 단지 비효율적으로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 eNodeB(eNB)는 송신 UE가 필요로 하는 것보다 많은 D2D 송신 리소스를 (SL 허가에 의해) 할당할 수 있다. 그러나, 단지 1개의 ProSe 목적지 그룹에 대한 제한으로 인해, 예컨대, UE가 1개의 ProSe 목적지 그룹에 대하여 버퍼 내에 충분한 데이터를 갖고 있지 않은 경우, 송신 UE는 할당된 무선 리소스의 전부를 이용할 수 없다. 예컨대, 이것은 송신 UE에 의해 eNB에 시그널링되는 버퍼 상태 정보가 정확하지 않거나, 오래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할당된 무선 리소스의 몇몇은 동일한 SC 기간 내에 다른 ProSe 목적지 그룹의 데이터의 송신에 사용될 수 없으므로 미사용인 채로 남는다.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상술한 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해 본 발명자들에 의해 생각된다.
이들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몇몇은 다양한 실시형태에 관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추가되는 특정한 주요 특징과 함께 3GPP 표준에 의해 주어지는 넓은 사양으로 구현되고 배경기술 섹션에서 부분적으로 설명된다. 실시형태는, 예컨대, 상기의 배경기술 섹션에서 설명한 3GPP LTE-A(릴리스 10/11/12/13) 통신 시스템과 같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실시형태는 이 특정한 예시적인 통신 네트워크에서만 사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은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고, 본 개시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한 실시형태의 단순한 예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반적인 원리는 상이한 시나리오 및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은 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에 따라, 이하의 시나리오는 다양한 실시형태를 설명할 목적으로 상정되어 있고, 그 실시형태를 그와 같이 한정하지 않을 것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실시형태가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제 1 실시형태의 구현이 도 13과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예시의 목적을 위해, 몇몇의 가정이 이루어지지만, 실시형태의 범위를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첫째, eNodeB를 경유한 우회 없이 UE 사이에서 직접적으로 ProSe 통신, 즉 D2D 송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유저 장치(ProSe 사용 가능 UE)가 상정된다. 또한, 이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개선된 직접 사이드링크 송신 메커니즘은 단일 사이드링크 목적지 그룹을 위한 데이터만이 UE에 있어서의 송신을 위해 이용 가능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지만, UE는 송신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사이드링크 목적지 그룹(즉, ProSe 목적지 그룹)으로 향하는 데이터를 가질 것이다.
제 1 실시형태는 사이드링크 허가(들)가 일대일 방식으로 할당될 수 있는 UE에 있어서의 (복수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의 개념을 도입하는 것에 의해 직접 사이드링크 송신을 개선한다. 달리 말하면, UE는 각 사이드링크 허가에 대한 대응하는 사이드링크 프로세스를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 복수의 사이드링크 허가를 처리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프로세스는 이하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 ID에서 예시적으로 칭하여지는 대응하는 식별자의 사용에 의해 다루어질 수 있다.
현재 표준화되어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은 사이드링크 제어(SC) 기간마다 UE에 의해 이용되는 1개의 유효한 사이드링크 허가(이전에 수신된 모든 사이드링크 허가(들)는 덮어쓰기 되지만, 가장 최근의 것이다)만을 허용하지만, 제 1 실시형태는 UE가 동일한 1개의 SC 기간마다 복수의 유효한 사이드링크 허가를 갖게 함으로써 D2D 통신을 개선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송신 UE는, 소정 수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가 설정된 송신 UE가 SC 기간에 대하여 동일한 수의 유효한 사이드링크 허가를 가질 수 있도록, 사이드링크 프로세스마다 1개의 유효한 사이드링크 허가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UE에 대하여,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의 최대 수는 해당 UE의 사이드링크 통신 능력을 제한하고 있다.
둘째, 본 실시형태의 유저 장치는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의 최대 수가 설정된다고 상정된다. 이 SL 프로세스의 최대 수는 구현에 대하여 고유할 수 있고, 따라서, 유저 장치 내에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UE가 커버리지 내에 있는 경우에 eNodeB에 의해 설정되도록, 최대 수는 UE에 고유할 수도 있다. 또는, 동일한 네트워크 내의 모든 UE가 동일한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의 최대 수가 설정되도록, 최대 수는 네트워크에 고유할 수도 있다. UE에 고유한 설정 또는 네트워크에 고유한 설정에 대한 메커니즘은 RRC 시그널링을 수반할 수 있다.
특히, 사이드링크 송신이 1개의 (송신) UE로부터 1개 이상의 (수신) UE(들)로의 직접 송신이더라도, 그러한 사이드링크 송신에 관여하는 모든 UE에 대해 동일한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의 최대 수가 설정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송신 UE는 사이드링크 송신의 대상이 되는 1개 이상의 수신 UE(들)의 SL 프로세스의 최대 수보다 큰 SL 프로세스의 최대 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송신 UE로부터의 모든 SL 송신이 사이드링크 목적지 그룹 내의 1개 이상의 수신 UE(들)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것이 보증되어야 한다. 송신 UE뿐만 아니라 수신 UE(들)도 이러한 관점에서 충분한 수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가 설정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송신 및 수신 UE의 단순화된 설정을 위해,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의 최대 수는 네트워크에 고유하다고 가정된다. 예컨대,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의 최대 수는 m={2, 4, 8}일 수 있고, 이하의 예에서는 각 UE는 통신 시스템 내에서 m=2(2개)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가 설정되는 경우를 참조한다. 따라서, 그러한 예시적인 UE는 2개의 상이한 사이드링크 허가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따라서 UE는, 때때로 SC 기간 내에서 이용 가능한 설정된 사이드링크 허가라고도 불리는, 2개의 유효한 사이드링크 허가를 갖는다).
전체적으로, UE는 동일한 SC 기간 내에 대응하는 사이드링크 허가를 갖는 각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에 대하여, 예컨대 배경기술 섹션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D2D 송신을 실행하기 위한 이미 표준화된 개념에 따라서, D2D 송신 동작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UE가 이용 가능한 각 사이드링크 허가에 대하여(즉, 각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에 대하여), UE는 1개의 사이드링크 목적지 그룹을 결정하고, 결정된 사이드링크 목적지 그룹으로 향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대응하는 전송(transport) 블록을 생성한다. 무선 리소스는 각각의 사이드링크 허가에 따라서 D2D 송신을 위해 할당된다. UE가 이용 가능한 각 사이드링크 허가에 대하여(즉, 각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에 대하여), UE는 대응하는 D2D 송신을 위한 사이드링크 목적지 그룹 및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식별하는 대응하는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각 사이드링크 허가의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각 사이드링크 허가(처리)에 대한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 및 대응하는 데이터의 D2D 송신을 실행한다.
D2D 송신을 실행하기 위한 이들 스텝의 상세는 여기서는 생략되고, 대신에, 본 출원의 배경기술 섹션에서 대응하는 흐름이 참조된다.
제 1 실시형태의 기초를 이루는 상술한 원리는 다양한 이점을 수반한다. 이미 확립된 절차가 상기의 관점에서 변경 없이 재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추가의 정보가 반송될 필요가 없으므로,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동일한 SCI 포맷 0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사이드링크 프로세스를 위한 D2D 송신은 현재의 표준화된 D2D 송신에 비하여 변함이 없으므로, 수신 UE는 1개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를 위하여 제 1 실시형태에 따라서 실행되는 D2D 송신과 현재의 표준에 따라서 실행되는 D2D 송신을 구별하지 않는다(또한 실제로 구별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수신측에서 UE의 행동은 적응될 필요는 없다.
또한, 제 1 실시형태는 SC 기간 내에 보다 많은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D2D 송신을 위한 데이터 레이트를 증가시킨다.
또한, 제 1 실시형태는, 예컨대, 다수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의 각각에 대하여 상이한 사이드링크 목적지 그룹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동일한 SC 기간 내에 여러 사이드링크 목적지 그룹으로 향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특정한 사이드링크 목적지 그룹의 스타베이션(starvation)이 회피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우선 UE가 어떻게 사이드링크 허가를 취득했는지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서, UE가 이용 가능한 여러 사이드링크 허가를 갖고 있다고 일반적으로 가정되었다. 이것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제 1 변형예
제 1 변형예에서, 송신 UE는 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UE에 설정되는 최대 수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복수의 사이드링크 허가를 취득한다. 복수의 사이드링크 허가는 eNodeB에 의해 시그널링되고, UE는 표준화된 시그널링 방식을 적용하여(예컨대, PDCCH를 경유하여) 그들을 수신한다.
이들 취득된 복수의 사이드링크 허가 중에서, 송신 UE는 소정 수의 사이드링크 허가를 선택한다. 예컨대, UE에 의해 선택되는 사이드링크 허가의 수는 n={2, 4, 8}일 수 있고, 도시되는 예는 UE가 n=2의 사이드링크 허가를 선택하도록 설정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서, 송신 UE는 eNodeB에 의해 시그널링되고 이어서 UE에 의해 취득되는 모든 사이드링크 허가를 저장 또는 유지하지 않고, 소정 수의 사이드링크 허가만을 저장 또는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송신 UE는 취득된 복수의 사이드링크 허가 중에서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의 개시 전에 가장 최근에 취득된 소정 수의 사이드링크 허가를 선택한다. 특정한 서브프레임에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이 개시된다고 가정하면, 송신 UE는 그 특정한 서브프레임의 전에 마지막으로 취득된 사이드링크 허가를 선택한다.
하지만, 이것은 송신 UE가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의 개시 시에 소정 수의 사이드링크 허가를 선택하는 것을 실행할 수 있을 뿐이라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UE는 복수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의 각각을 보다 최근에 취득된 사이드링크 허가와 교대로 (다시) 연관시키는 것에 의해(예컨대, 관여하는 메모리 영역의 덮어쓰기에 의해) 이 사이드링크 허가의 선택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UE는, 새로운 보다 최신의 사이드링크 허가가 취득될 때마다, 그 새롭게 취득된 사이드링크 허가를, 가장 오래된 사이드링크 허가를 갖는 복수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의 사이드링크 허가에 할당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UE는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의 개시 시에 소정 수의 가장 최근의 사이드링크 허가를 이미 선택한 상태이다. 이 측면에서, UE는, 가장 최근에 취득된 사이드링크 허가를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에 할당할 때에, 복수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를 교대로 바꿀 수 있다.
여기서, 도 13에 나타내는 예를 참조한다. 이 예에서, UE는 선택되는 n=2(2개)의 사이드링크 허가 및 m=2(2개)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의 최대 수로 설정된다고 가정된다. UE는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의 서브프레임 N에서의 개시까지(정확히는,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의 개시의 4개의 서브프레임 전인 서브프레임 N-4까지) 사이드링크 허가를 취득한다.
예컨대 서브프레임 N-13에서 최초로 취득되는 사이드링크 허가는 m=2(2개)의 설정된 사이드링크 프로세스 중 첫 번째 것과 연관되고, 그 후에, 예컨대 서브프레임 N-11에서 취득되는 사이드링크 허가는 2개의 설정된 사이드링크 프로세스 중 두 번째 것과 연관된다. 다시 말해서, 사이드링크 허가는 설정된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와 순환적으로 연관된다.
예컨대 서브프레임 N-8에서 추가의 사이드링크 허가가 취득되면, UE는 n=2(2개)의 사이드링크 허가만을 선택하도록 설정된 것을 알고 있으므로, 새롭게 취득된 사이드링크 허가를 m=2(2개)의 설정된 사이드링크 프로세스 중 첫 번째 것과 (다시) 연관시키게 된다(또는 순환시킨다). 다시 말해서, 서브프레임 N-13에서 취득되고 (또한) 2개의 설정된 사이드링크 프로세스 중 첫 번째 것과 이전에 연관된 사이드링크 허가가 덮어쓰기 된다.
특히, 설정된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와의 이 순환적인 연관은 선택되는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의 수(m=2)에 의존하고, UE가 설정되는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의 최대 수(n=2)에 의존하지 않는다. 또한, 선택되는 사이드링크 허가의 수(n=2)는 설정되는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의 최대 수(m=2)를 넘어서는 안 된다(n≤m).
마지막으로, 예컨대 서브프레임 N-6에서 추가의 사이드링크 허가가 UE에 의해 더 취득되면, 이 사이드링크 허가는 다시 m=2(2개)의 설정된 사이드링크 프로세스 중 두 번째 것과 연관된다. 따라서, 서브프레임 N-11에서 취득되고 (또한) 2개의 설정된 사이드링크 프로세스 중 두 번째 것과 이전에 연관된 사이드링크 허가가 덮어쓰기 된다.
요약하면, 상술한 동작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송신 UE는 복수의 사이드링크 허가를 취득했고,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의 개시 시에(보다 정확히는, 개시로부터 4개의 서브프레임 전에)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의 그 개시 전에 가장 최근에 취득된 소정 수의 그들 사이드 링크 허가를 선택했다. 또한, n=2(2개)의 선택되는 사이드링크 허가의 각각은 m=2(2개)의 설정되는 사이드링크 프로세스 중 상이한 1개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와 연관된다.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새로운 가장 최근에 취득된 사이드링크 허가를, 설정된 사이드링크 프로세스들 중 대응하는 것과 연관시키기 전에, 송신 UE는 이 새롭게 취득된 사이드링크 허가가 복수의 설정된 사이드링크 프로세스 중 상이한 1개와 이미 연관된 또 다른 사이드링크 허가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대응하는 경우, 또한 2개의 취득된 사이드링크 허가가 복수의 사이드링크 송신을 위한 동일한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즉 무선 리소스 충돌을 초래하는) 경우, 동일한 새롭게 수신된 사이드링크 허가는 파기된다(즉, 새롭게 취득된 사이드링크 허가를 대응하는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에 연관시키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설정된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와의 순환적인 연관이 유지된다.
상술한 메커니즘은 단순하지만, 이 동작을 이용하면 송신 UE에 사이드링크 허가를 시그널링하기 위해 eNodeB에 의해 사용되는 매체(즉, PDCCH) 상의 간섭 또는 왜곡을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종래, eNodeB는 복수의 시간에 걸쳐 송신 UE에 동일한 사이드링크 허가를 시그널링하는 것에 의해 (예컨대, PDCCH 상에서의) 간섭 또는 왜곡에 대처한다. UE는 간섭 또는 왜곡의 영향을 받지 않는 사이드링크 허가만을 취득한다. 따라서, 송신 UE에서 사이드링크 허가가 성공적으로 취득될 확률은 동일한 사이드링크 허가가 eNodeB에 의해 반복적으로 시그널링될 때마다 향상된다. 종래의 송신 UE는 SL 허가가 성공적으로 취득될 때마다 SL 허가를 덮어쓴다. 이 접근법은 동일한 사이드링크 허가가 관여되고 있는 한 단순하고 로버스트(robust)하다.
송신 UE와 1개 이상의 수신 UE(들)의 사이의 상이한 사이드링크 송신을 위한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복수의 상이한 사이드링크 허가에 이 접근법을 적용하는 것은 확실하지 않다. 또한, eNodeB는 복수의 상이한 사이드링크 허가 중 어느 것이 송신 UE에 의해 성공적으로 취득되고 있는지 또한 어느 것이 그렇지 못한지 알지 못한다. 다시 말해서, eNodeB는 SC 기간의 개시 전에 복수의 상이한 사이드링크 허가 중 1개 또는 다른 것의 재송신이 필요한지 여부를 평가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 1 변형예의 송신 UE는 상이한 사이드링크 허가의 반복되는 시그널링을 가정하고, 복수의 사이드링크 허가를 성공적으로 취득하면, 취득된 사이드링크 허가 중에서 사이드링크 기간의 개시 전에 가장 최근에 취득된 소정 수의 사이드링크 허가를 선택한다. 또한, 사이드링크 허가는 후속의 SC 기간에 대해 해당 후속의 SC 기간에 앞서, UE에 의해 취득된다.
이 접근법은 이하의 이유에서 유리하다. UE가 eNodeB에 의해 시그널링되는 모든 사이드링크 허가를 성공적으로 취득하는 경우, 소정 수의 가장 최근에 취득된 사이드링크 허가를 선택하면 송신 UE가 상이한 사이드링크 허가를 제공받게 되고, 따라서, 송신 UE는 1개 이상의 수신 UE로의 복수의 (상이한) 사이드링크 송신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UE가 eNodeB에 의해 시그널링되는 마지막 소정 수의 사이드링크 허가만을 성공적으로 취득하는 경우, 가장 최근에 취득된 허가를 선택하면 마찬가지로 송신 UE가 상이한 허가를 제공받게 된다. 따라서, 마지막 소정 수의 시그널링된 사이드링크 허가가 송신 UE에 의해 성공적으로 취득되는 한, 마지막 소정 수의 시그널링된 사이드링크 허가 외의 모든 사이드링크 허가는 성공적으로 취득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예컨대, eNodeB에 의해 시그널링되는 사이드링크 허가 중 마지막이 UE에 의해 성공적으로 취득되지 않는 경우(보다 좋게는 전혀 취득되지 않은 경우), UE는 성공적으로 시그널링되지 않은 마지막 사이드링크 허가를 제외하고 소정 수의 성공적으로 취득된 사이드링크 허가를 선택한다. 이 경우에도, 송신 UE는 이하의 고찰로부터 분명하듯이 소정 수의 상이한 사이드링크 허가를 취득하게 된다.
상이한 사이드링크 허가의 반복되는 시그널링을 가정하면, 이 경우에도, eNodeB에 의한 반복되는 시그널링은 이 선택되는 사이드링크 허가의 수도 상이한 것을 보증하고, 따라서 1개 이상의 수신 UE로의 복수의 (상이한) 사이드링크 송신을 실행하기 위해 송신 UE에 의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송신 UE는 상이한 사이드링크 허가를 성공적으로 취득한다.
또한, eNodeB에 의해 중간에서 시그널링되는 사이드링크 허가 중 1개가 UE에 의해 성공적으로 취득되지 않는 경우(즉 취득되지 않는 경우)에도, eNodeB가 송신 UE에 의해 성공적으로 취득되는 가장 최근에 취득된 사이드링크 허가 내에서 초과된 수의 상이한 사이드링크 허가(또는 "스페어" 사이드링크 허가)를 시그널링한다면, 가장 최근에 수신된 사이드링크 허가의 수의 선택은 상이한 사이드링크 허가의 취득을 초래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송신 UE에 의해 취득되는 사이드링크 허가의 수에 대하여 상이한 사이드링크 허가가 eNodeB에 의해 반복적으로 시그널링되는 주기성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적어도 가장 최근에 취득된 사이드링크 허가가 UE에 의해 성공적으로 취득되는 것을 보증할 수 있다.
요약하면, 송신 UE에 의한 가장 최근에 취득된 사이드링크 허가의 수의 선택은 UE가 종래의 접근법의 일부로서의 보다 좋은 간섭 또는 왜곡 배제의 이점을 잃는 일 없이 1개 이상의 수신 UE로의 복수의 (상이한) 사이드링크 송신을 실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또한, 이 접근법은 취득된 사이드링크 허가를 송신 UE가 설정된 최대 수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 중 1개에 연관시키기 위해 사이드링크 허가 내에 식별 정보가 포함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결과적으로, 시그널링되는 각 사이드링크 허가의 정보, 나아가서 그 사이즈는 취득된 사이드링크 허가를, 최대 수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 중에서 대응하는 것에 개별적으로 연관시키는 것에 의해 최소한으로 유지될 수 있다.
UE에 의해 선택되는 사이드링크 허가의 수는 그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을 위해 UE에 설정되는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의 최대 수를 넘어서는 안 된다. 이것에 의해, UE에 의해 선택되는 모든 사이드링크 허가가,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 내에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기 위한 선택된 수의 사이드링크 허가 중 상이한 1개와 연관될 수 있는 것이 보증될 수 있다. 선택된 사이드링크 허가 중 상이한 1개와 연관되는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의 각각에 대하여, UE는 1개 이상의 수신 UE 중 1개의 수신 UE로 복수의 사이드링크 송신 중 제각각의 1개의 사이드링크 송신을 실행하기 위한 연관된 사이드링크 허가에 따라서 수신되는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 내에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고 있다.
예시적인 구현에 따르면, UE에 의해 선택되는 사이드링크 허가의 수는 사이드링크 기간에 대해 UE에 설정되는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의 최대 수에 대응한다. 이것에 의해, 설정된 최대 수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의 전부가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 내에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기 위한 선택된 수의 사이드링크 허가 중 상이한 1개의 사이드링크 허가와 연관될 수 있다.
상술한 제 1 변형예의 원리를 적용하는 예시적인 구현은 현재 버전 V12.7.0의 TS 36.321에서의 관련되는 3GPP 기술 표준에 대한 이하의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간결함을 위해, 관련되는 서브섹션만이 이하에 주어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문서 TS 36.321의 다른 모든 섹션도 참조에 의해서만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5.14 SL-SCH 데이터 전송
5.14.1 SL-SCH 데이터 송신
5.14.1.1 SL 허가 수신 및 SCI 송신
SL-SCH에서 송신하기 위해, MAC 개체는 사이드링크 허가를 가져야 한다. MAC 개체는 최대 x개의 사이드링크 허가를 가질 수 있다. 사이드링크 허가는 이하와 같이 선택된다.
- MAC 개체가 PDCCH 또는 EPDCCH에서 사이드링크 허가를 동적으로 수신하도록 설정되고, 현재의 SC 기간에 송신될 수 있는 것보다 많은 데이터가 STCH에서 이용 가능한 경우, MAC 개체는
- 수신된 사이드링크 허가를 사용하여, [2]의 14.2.1절에 따라 SCI의 송신 및 첫 번째 전송 블록의 송신이 발생하는 서브프레임의 세트를 결정할 것이다.
- 최초의 이용 가능한 SC 기간의 개시 서브프레임의 4개의 서브프레임 전까지 수신되는 마지막 x개의 수신된 사이드링크 허가를 설정된 사이드링크 허가로 간주할 것이고, 이용 가능한 경우에는, 동일한 SC 기간 내에 발생하는 이전에 설정된 사이드링크 허가를 덮어쓴다.
- 대응하는 SC 기간의 끝에서 설정된 사이드링크 허가를 클리어할 것이다.
- 그렇지 않고, MAC 개체가 [8]의 5.10.4절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리소스의 풀을 사용하여 송신하도록 상위 레이어에 의해 설정되고, 현재의 SC 기간에 송신될 수 있는 것보다 많은 데이터가 STCH에서 이용 가능하고, MAC 개체가 설정된 사이드링크 허가를 갖지 않는 경우, MAC 개체는
- 상위 레이어에 의해 설정되는 리소스 풀로부터 사이드링크 허가를 랜덤으로 선택할 것이다. 랜덤 함수는 허용되는 선택지 [2]의 각각이 동일한 확률로 선택될 수 있는 것일 것이다.
- 선택된 사이드링크 허가를 사용하여, [2]의 14.2.1절에 따라 SCI의 송신 및 첫 번째 전송 블록의 송신이 발생하는 서브프레임의 세트를 결정할 것이다.
- 선택되는 사이드링크 허가를, 사이드링크 허가가 선택되었던 서브프레임의 적어도 4개의 서브프레임 후에 개시되는 최초의 이용 가능한 SC 기간의 처음에서 개시되는 서브프레임에서 발생하는 설정된 사이드링크 허가로 간주할 것이다.
- 대응하는 SC 기간의 끝에서 설정된 사이드링크 허가를 클리어할 것이다.
주의 : SL-SCH에서의 재송신은 설정된 사이드링크 허가가 클리어된 후에는 발생할 수 없다.
MAC 개체는 각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 MAC 개체가 이 서브프레임에서 발생하는 설정된 사이드링크 허가를 갖는 경우,
- 설정된 사이드링크 허가가 SCI의 송신에 대응하면,
- 설정된 사이드링크 허가에 대응하는 SCI를 송신하도록 물리 레이어에 지시한다.
- 그렇지 않고 설정된 사이드링크 허가가 첫 번째 전송 블록의 송신에 대응하면,
- 이 서브프레임을 위해, 설정된 사이드링크 허가 및 연관된 HARQ 정보를 사이드링크 HARQ 개체에 전달한다.
5.14.1.2 사이드링크 HARQ 동작
5.14.1.2.1 사이드링크 HARQ 개체
SL-SCH에서의 송신을 위해 MAC 개체에는 X개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를 유지하는 1개의 사이드링크 HARQ 개체가 있다.
SL-SCH의 각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사이드링크 HQRA 개체는
- 사이드링크 허가가 사이드링크 프로세스를 위해 나타내어졌고, 송신에 이용 가능한 SL 데이터가 있는 경우,
- "다중화 및 어셈블리(Multiplexing and assembly)" 개체로부터 MAC PDU를 취득할 것이다.
- MAC PDU 및 사이드링크 허가 및 HARQ 정보를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에 전달할 것이다.
- 새로운 송신을 트리거하도록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에 지시할 것이다.
- 그렇지 않고, 이 서브프레임이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의 재송신 기회에 대응하는 경우,
- 재송신을 트리거하도록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에 지시할 것이다.
주의 : 재송신 기회를 위한 리소스는 [2]의 14.2.1절에 규정되어 있다.
다른 구현에 따르면, SC 기간과 연관되는 사이드링크 허가 수신 윈도우가 도입되고, 이 수신 윈도우는 수신되는 사이드링크 허가가 대응하는 SC 기간에 대하여 고려되는 시간 기간을 나타낸다. SC 기간 n과 연관되는 사이드링크 허가 수신 윈도우는 서브프레임 y-3으로부터 개시되고, SC 기간 n의 개시 서브프레임의 4개의 서브프레임 전에서 종료되며, 여기서 서브프레임 y는 SC 기간 n-1(이전의 SC 기간)의 개시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제 1 변형예에서, UE는 사이드링크 허가 수신 윈도우 내에서 수신되는 마지막 x개의 수신된 사이드링크 허가를, (이용 가능하다면) 대응하는 SC 기간을 위한 설정된 사이드링크 허가로서 간주한다.
제 2 변형예
제 2 변형예에서, 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송신 UE는 UE에 설정되는 최대 수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 중 적어도 일부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를 위한 복수의 사이드링크 허가를 취득한다. 복수의 사이드링크 허가는 eNodeB에 의해 시그널링되고, UE는 표준화된 시그널링 방식을 적용하여(예컨대, PDCCH를 경유하여) 그들을 수신한다.
이 제 2 변형예의 경우,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의 개시 전의 상이한 서브프레임에서(정확히는, 개시 전의 4개의 서브프레임까지) 시그널링 허가가 취득되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시 말해서, 사이드링크 허가가 취득되는 때의 서브프레임에 따라, 송신 UE는 설정된 최대 수(예컨대, m={2, 4, 8})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 중 1개에 사이드링크 허가를 할당함에 있어서 (잠재적으로) 상이한 행동을 나타낸다.
특히, 이 제 2 변형예는, 이전의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UE가 m개의 설정된 최대 수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의 상기 최대 수의 서브셋에 대응하는 소정 수 n의 사이드링크 허가를 선택하는 것(그리고 연관시키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또한, UE는, 복수의 것 중에서, 취득되는 최대 수 m의 사이드링크 허가를 송신 UE 내의 대응하는 최대 수 m의 설정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와 연관시키도록 구성된다. 분명하게, 이 동작을 위해서는, UE가 실제로 최대 수 m의 사이드링크 허가를 취득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링크 허가가 취득되는 때의 서브프레임은 송신 UE 내에서 사이드링크 허가가 연관되는 사이드링크 프로세스를 결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사이드링크 허가가 시그널링되고, 따라서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의 개시 전의 상이한 서브프레임에서(정확히는, 개시 전의 4개의 서브프레임까지) 취득되므로, 서브프레임은 취득되는 사이드링크 허가의 각각을 설정되는 최대 수의 사이드링크 허가 중 1개와 연관시키기 위한 확실한 할당을 가능하게 한다.
송신 UE는 취득되는 사이드링크 허가를 최대 수의 설정되는 사이드링크 프로세스 중 1개와 연관시키기 위한 연관 방식을 적용한다. 이 연관 방식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최대 수의 SL 프로세스의 각각은 상이한 서브프레임의 세트로부터의 사이드링크 허가와 연관되고, 대응하는 세트에 있어서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미리 정의된 수(예컨대, o)의 서브프레임만큼 서로 오프셋된다.
다시 말해서, 사이드링크 허가들이 취득되는 상이한 서브프레임의 각 세트는 이들 사이드링크 허가에 대하여 설정되는 사이드링크 프로세스 중 1개와의 연관을 규정한다. 서브프레임의 세트들은 각 세트가 상이한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므로 서로 구별된다. 또한, 각 세트의 서브프레임은 서로에 대하여 오프셋된다. 그것에 의해, 후속의 서브프레임은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취득되는 사이드링크 허가를 최대 수의 설정되는 사이드링크 프로세스 중 상이한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와 연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이한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와 연관되는 사이드링크 허가는 인터리브되는 방식으로 송신되고, 동기 타이밍을 갖는다.
요약하면, 송신 UE가 사이드링크 허가를 취득하는 때의 서브프레임마다에 대하여 연관 방식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송신 UE는 (예컨대, 관여하는 메모리 영역을 덮어쓰기 하여) 최대 수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 중 1개를 가장 최근에 취득된 사이드링크 허가와 (다시) 연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최대 수의 설정되는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의 각각은 상이한 서브프레임의 각각의 세트에서 취득되고 후속의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의 개시 전에 가장 최근에 취득된 사이드링크 허가와 연관된다.
여기서 도 14에 나타내는 예를 참조한다. 이 예에서, UE는 최대 수 m=2(2개)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가 설정되고, o=2(2개)의 미리 정의된 수의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세트 내에서의 상이한 서브프레임 사이의 오프셋이 설정된다고 가정된다.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지듯이, 예컨대 o={2, 4, 8}의 오프셋도 가능하므로, 이 예는 기초가 되는 개념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UE는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의 서브프레임 N에서의 개시까지(정확히는,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의 개시 전의 4개의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N-4까지) 사이드링크 허가를 취득한다.
상기로부터 분명하듯이, 세트 내의 상이한 서브프레임 사이의 오프셋, 예컨대 o=2는 설정되는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의 최대 수, 예컨대 m=2에 대응할 수 있거나, 또는 이것보다 클 수 있다(그것에 의해, 중간 서브프레임이 최대 수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 중 1개 또는 다른 것에 할당되지 않은 채로 남는다).
또한, 세트 내의 상이한 서브프레임 사이의 오프셋, 예컨대 o=2 및 설정되는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의 최대 수, 예컨대 m=2간의 대응하는 정의는 사이드링크 허가를 시그널링하기 위한 매체(예컨대, PDCCH)를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반면, 오프셋이 커지면 송신 UE에 의한 동일한 매체의 모니터링을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그 배터리 효율을 개선한다.
설명된 예에 더하여, 연관 방식은, m=2의 최대 수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 중 첫 번째에 대하여, 서브프레임 N-14, N-12, N-10, N-8, N-6, N-4를 포함하는 상이한 서브프레임의 제 1 세트에 근거하여 연관을 정의한다. m=2의 최대 수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 중 두 번째에 대하여, 연관 방식은, 서브프레임 N-13, N-11, N-9, N-7, N-5를 포함하는 상이한 서브프레임의 제 2 세트에 근거하여 연관을 정의한다. 이들 양쪽의 세트에 관하여, 상이한 서브프레임은 o=2(2개)의 미리 정의된 수의 서브프레임만큼 서로 오프셋된다.
상술한 연관 방식을 적용하기 때문에, 예컨대 서브프레임 N-13에서 UE에 의해 취득되는 제 1 사이드링크 허가는 m=2(2개)의 설정되는 사이드링크 프로세스 중 두 번째와 연관되고, UE는 상이한 서브프레임의 제 2 세트에 속하는 서브프레임에서 사이드링크 허가가 취득된다고 판단하고, 따라서 UE는 이 사이드링크 허가가 m=2의 최대 수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 중 두 번째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와 연관된다고 가정한다.
그 후, 예컨대 서브프레임 N-11에서 UE에 의해 취득되는 추가의 사이드링크 허가는, 이 사이드링크 허가도 서브프레임의 제 2 세트에 속하는 서브프레임에서 취득되기 때문에, 2개의 설정되는 사이드링크 프로세스 중 두 번째와 연관된다. 어떤 이전의 사이드링크 허가와도 관계없이, UE는 (예컨대, N-11에서) 새롭게 취득되는 사이드링크 허가를 m=2(2개)의 설정되는 사이드링크 프로세스 중 두 번째와 (다시) 연관시킨다. 다시 말해서, 서브프레임 N-13에서 취득되고 2개의 설정되는 사이드링크 프로세스 중 두 번째와 이전에 (또한) 연관된 사이드링크 허가는 덮어쓰기 된다.
그 후, 상술한 연관 방식을 적용하기 때문에, 예컨대 서브프레임 N-8에서 UE에 의해 취득되는 또 다른 사이드링크 허가는 m=2(2개)의 설정되는 사이드링크 프로세스 중 첫 번째와 연관되고, UE는 상이한 서브프레임의 제 1 세트에 속하는 서브프레임에서 사이드링크 허가가 취득된다고 판단하고, 따라서 UE는 이 사이드링크 허가가 m=2의 최대 수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 중 첫 번째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와 연관된다고 가정한다.
마지막으로, 예컨대 서브프레임 N-6에서 UE에 의해 취득되는 추가의 사이드링크 허가는, 이 사이드링크 허가도 서브프레임의 제 1 세트에 속하는 서브프레임에서 취득되기 때문에, 2개의 설정되는 사이드링크 프로세스 중 첫 번째와 연관된다. 서브프레임 N-8에서 취득되고 2개의 설정되는 사이드링크 프로세스 중 첫 번째와 이전에 (또한) 연관된 사이드링크 허가는 덮어쓰기 된다.
요약하면, 상술한 동작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송신 UE는 복수의 사이드링크 허가를 취득했고, 연관된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의 개시 시에(보다 정확히는, 개시 전의 4개의 서브프레임에), 최대 수 m=2의 복수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의 각각은 상이한 서브프레임의 각각의 세트에 있어서 취득되고 후속의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의 개시 전에 가장 최근에 취득된 사이드링크 허가와 연련된다.
복수의 SL 프로세스의 각각에 대하여, 1개 이상의 수신 유저 장치로의 복수의 사이드링크 송신 중 1개를 실행하기 위해, 각각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가 연관되는 사이드링크 허가에 따라서, 송신 UE는 후속의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 내에 무선 리소스를 할당한다.
제 1 또는 제 2 변형예에 대한 예시적인 구현에 따르면, 송신 UE는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의 개시 전의 4개의 서브프레임까지 (후속의)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을 위한 사이드링크 허가를 취득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UE에 의해 가장 최근의 사이드링크 허가가 취득될 수 있을 때에 eNodeB는 정확한 정보를 제공받는다. 다시 말해서, eNodeB는 사전에 사이드링크 허가의 적절한 시그널링을 계획할 수 있다.
제 1 또는 제 2 변형예에 대한 추가적인 예시적인 구현에서, 복수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의 각각은 (후속의)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의 개시 전에 재초기화(또는 플러시)되고, 그 후에 나중의(즉 다음 후속의)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으로의 연관을 가능하게 한다.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의 개시 전의 4개의 서브프레임까지 사이드링크 허가가 취득될 수 있다고 가정하면, 그 후 가능한 한 빨리, 즉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의 개시 전의 3개의 서브프레임에서 복수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가 재초기화된다. 이것에 의해, 취득되는 사이드링크 허가가 나중의(즉 다음 후속의)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을 위해 가능한 한 빨리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와 이미 연관될 수 있는 것이 보증될 수 있고, 이것은 제 2 변형예에 있어서 특히 유리하지만 그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및 제 2 변형예에 대한 또 다른 예시적인 구현에 따르면, 송신 UE는 - 선택되는 사이드링크 허가의 각각을 사이드링크 프로세스 중 상이한 1개와 연관시킨 후 - 연관된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의 각각에 대하여 논리 채널 우선화(LCP) 절차를 실행하고 있다. 각 LCP 절차가 상이한 ProSe 목적지 그룹을 식별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사이드링크 송신이 각각 상이한 1개 이상의 수신 UE에 대하여 실행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상술한 제 2 변형예의 원리를 적용하는 예시적인 구현은 현재 버전 V12.7.0의 TS 36.321에서의 관련되는 3GPP 기술 표준에 대한 이하의 변경을 수반할 수 있다. 간결함을 위해, 관련되는 서브섹션만이 이하에 주어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문서 TS 36.321의 다른 모든 섹션도 참조에 의해서만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5.14 SL-SCH 데이터 전송
5.14.1 SL-SCH 데이터 송신
5.14.1.1 SL 허가 수신 및 SCI 송신
SL-SCH에서 송신하기 위해, MAC 개체는 사이드링크 허가를 가져야 한다. MAC 개체는 최대 x개의 사이드링크 허가를 가질 수 있다. 사이드링크 허가는 이하와 같이 선택된다.
- MAC 개체가 PDCCH 또는 EPDCCH에서 사이드링크 허가를 동적으로 수신하도록 설정되고, 현재의 SC 기간에 송신될 수 있는 것보다 많은 데이터가 STCH에서 이용 가능한 경우, MAC 개체는
- 수신된 사이드링크 허가를 사용하여, [2]의 14.2.1절에 따라 SCI의 송신 및 첫 번째 전송 블록의 송신이 발생하는 서브프레임의 세트를 결정할 것이다.
- 수신된 사이드링크 허가를 사이드링크 허가가 수신된 서브프레임의 적어도 4개의 서브프레임 후에 개시되는 최초의 이용 가능한 SC 기간의 처음에서 개시되는 서브프레임에서 발생하는 설정된 사이드링크 허가로 간주할 것이고, 이용 가능한 경우에는, 사이드링크 허가가 수신된 서브프레임의 X개의 서브프레임 전에 수신되는 동일한 SC 기간 내에 발생하는 이전에 설정된 사이드링크 허가를 덮어쓴다.
- 대응하는 SC 기간의 끝에서 설정된 사이드링크 허가를 클리어할 것이다.
- 그렇지 않고, MAC 개체가 [8]의 5.10.4절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리소스의 풀을 사용하여 송신하도록 상위 레이어에 의해 설정되고, 현재의 SC 기간에 송신될 수 있는 것보다 많은 데이터가 STCH에서 이용 가능하고, MAC 개체가 설정된 사이드링크 허가를 갖지 않는 경우, MAC 개체는
- 상위 레이어에 의해 설정되는 리소스 풀로부터 사이드링크 허가를 랜덤으로 선택할 것이다. 랜덤 함수는 허용되는 선택지 [2]의 각각이 동일한 확률로 선택될 수 있는 것일 것이다.
- 선택된 사이드링크 허가를 사용하여, [2]의 14.2.1절에 따라 SCI의 송신 및 첫 번째 전송 블록의 송신이 발생하는 서브프레임의 세트를 결정할 것이다.
- 선택되는 사이드링크 허가를, 사이드링크 허가가 선택되었던 서브프레임의 적어도 4개의 서브프레임 후에 개시되는 최초의 이용 가능한 SC 기간의 처음에서 개시되는 서브프레임에서 발생하는 설정된 사이드링크 허가로 간주할 것이다.
- 대응하는 SC 기간의 끝에서 설정된 사이드링크 허가를 클리어할 것이다.
주의 : SL-SCH에서의 재송신은 설정된 사이드링크 허가가 클리어된 후에는 발생할 수 없다.
MAC 개체는 각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 MAC 개체가 이 서브프레임에서 발생하는 설정된 사이드링크 허가를 갖는 경우,
- 설정된 사이드링크 허가가 SCI의 송신에 대응하면,
- 설정된 사이드링크 허가에 대응하는 SCI를 송신하도록 물리 레이어에 지시한다.
- 그렇지 않고 설정된 사이드링크 허가가 첫 번째 전송 블록의 송신에 대응하면,
- 이 서브프레임을 위해, 설정된 사이드링크 허가 및 연관된 HARQ 정보를 사이드링크 HARQ 개체에 전달한다.
5.14.1.2 사이드링크 HARQ 동작
5.14.1.2.1 사이드링크 HARQ 개체
SL-SCH에서의 송신을 위해 MAC 개체에는 X개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를 유지하는 1개의 사이드링크 HARQ 개체가 있다.
SL-SCH의 각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사이드링크 HQRA 개체는
- 사이드링크 허가가 사이드링크 프로세스를 위해 나타내어졌고, 송신에 이용 가능한 SL 데이터가 있는 경우,
- "다중화 및 어셈블리" 개체로부터 MAC PDU를 취득할 것이다.
- MAC PDU 및 사이드링크 허가 및 HARQ 정보를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에 전달할 것이다.
- 새로운 송신을 트리거하도록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에 지시할 것이다.
- 그렇지 않고, 이 서브프레임이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의 재송신 기회에 대응하는 경우,
- 재송신을 트리거하도록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에 지시할 것이다.
주의 : 재송신 기회를 위한 리소스는 [2]의 14.2.1절에 규정되어 있다.
다른 구현에 따르면, 특정한 TTI에 있어서, 이 TTI에서 사이드링크 허가가 수신되는 경우, UE는 사이드링크 허가가 연관되는 사이드링크 프로세스를 식별한다. 서브프레임 n에서 수신되는 사이드링크 허가는 서브프레임 n-X에서 수신되는 사이드링크 허가를 오버라이드(override)하고, X는 미리 정의된 정수값을 나타낸다.
제 2 실시형태
이하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2 실시형태가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특히, 이 실시형태는 모드 2 리소스 할당 모드를 위한 복수의 사이드링크 송신에 초점을 맞추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 점에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이드링크 제어(SC) 기간 내에 SL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1개 이상의 수신 유저 장치로 복수의 직접 사이드링크(SL) 송신을 실행하기 위해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메커니즘이 고안된다.
보다 상세하게, 송신 UE는 통신 시스템 내에서 SL 송신을 위해 설정되고 이용 가능하게 되는 상이한 리소스 풀로부터 복수의 SL 송신을 위한 SL 허가를 자율적으로 선택한다. 또한, UE는, 복수의 SL 송신의 각각을 위해, 상이한 설정된 리소스 풀로부터 선택되는 상이한 SL 프로세스에 SL 허가를 연관시켜야 한다.
연관된 SL 허가를 갖는 복수의 SL 프로세스의 각각에 대하여, 송신 UE는 상이한 목적지 그룹 ID로의 논리 채널을 고려할 뿐인 별개의 논리 채널 우선화(LCP) 절차를 실행한다. 따라서, 복수의 SL 프로세스의 각각을 위해, UE는, 동일한 또는 겹치는 SC 기간 내에서, 각각의 SL 프로세스가 연관되는 자율적으로 선택되는 SL 허가에 따라서 무선 리소스를 할당한다.
그것에 의해, 송신 UE는 동일한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 내에 복수의 SL 송신을 실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복수의 SL 송신의 각각은 1개 이상의 수신 UE로 향한다. 또한, (송신 UE가 상이한 송신 리소스 풀에서 SL 송신을 실행하는 경우에) 동일한 SC 기간 또는 겹치는 SC 기간 내에 상이한 ProSe 목적지 그룹으로의 SL 송신만을 허용한다고 하는 제약은 유리하게 MAC 레이어 내에서의 임의의 추가적인 전송 블록(TB) 재순서화(reordering) 메커니즘에 대한 필요성을 없앤다. 다시 말해서, 이에 의해 ProSe의 차례대로의 전달이 강제된다.
예시적인 구현에 따르면, 송신 UE는, SC 기간 내의 각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할당된 무선 리소스가 동일한 서브프레임 내의 복수의 SL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지 여부를 더 결정한다. 특히, 싱글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SC-FDMA) 방식을 적용하여 업링크 대역에서 ProSe 통신이 행해지기 때문에, 복수의 SL 송신이 싱글 캐리어 특성을 만족하여야 하는 것은 이하로부터 분명해진다.
SC-FDMA 방식으로부터 분명하듯이, 송신 UE는 송신 시간 간격(TTI)마다 단일 전송 블록(TB)의 송신만을 실행할 수 있다. 하지만, 동일한 SC 기간 내의 복수의 SL 송신을 위해 자율적으로 선택되는 무선 리소스는 이 특성을 만족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동일한 복수의 SL 송신을 위해 무선 리소스가 할당되지 않을 수 있다.
할당된 무선 리소스가 적절하게 배치되어 있지 않다고 송신 UE가 판정하는 경우, 즉 송신 시간 간격의 각각에 대하여 상술한 싱글 캐리어 특성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UE는 SL 송신의 보다 낮은 랭크의 논리 채널 우선도를 갖는 SL 프로세스를 위한 각각의 SCI 및/또는 데이터 송신을 스킵하거나, 또는 UE는 SL 프로세스와 연관되는 보다 낮은 랭크의 리소스 풀을 갖는 SL 프로세스를 위한 각각의 SCI 및/또는 데이터 송신을 스킵할 수 있다.
논리 채널 우선도는 SL 송신의 데이터 송신 부분을 참조한다. 또한, 리소스 풀 랭킹은 SL 송신의 데이터 송신 부분에 대한 우선도도 확립한다. 또한, 리소스 풀의 각각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재송신을 제공하므로, 개별 송신의 스킵은 시스템 성능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무시할 정도이다.
요약하면, 이 유리한 구현은 동일한 SC 기간 내에 복수의 SL 송신을 실행하는 때에 송신 UE에 의해 SC-FDMA 방식에 대한 복수의 SL 송신의 호환성을 강제하고, 여기서 각 SL 송신은 1개 이상의 수신 UE로 향한다. 이것에 의해, 상이한 리소스 풀로부터 자율적으로 선택되는 SL 허가 사이의 호환성을 정의하는 것이 회피될 수 있다.
eNB에 의해 발행되는 SL 허가가, SC 기간 내에서, 할당되는 무선 리소스가 동일한 서브프레임 내의 복수의 SL 송신을 위해 배치되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는 경우, eNB 제어 리소스 할당 모드(모드 1)를 위해 각각의 SCI 및/또는 데이터 송신의 일부를 스킵하는 것도 필요할 수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개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현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협동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상술한 다양한 실시형태의 구현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유저 단말(이동 단말) 및 eNodeB(기지국)이 제공된다. 유저 단말 및 기지국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그 방법에 적절하게 참가하기 위한 수신기, 송신기, 프로세서 등의 대응하는 개체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형태는 컴퓨팅 디바이스(프로세서)를 사용하여 구현 또는 실행될 수 있는 것이 더 인식된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프로세서는, 예컨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특정 용도용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등일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는 이들 디바이스의 조합에 의해 실행 또는 구현될 수도 있다. 특히, 상술한 각 실시형태의 설명에서 이용되는 각 기능 블록은 집적 회로로서의 LSI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그들은 칩으로서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도록 1개의 칩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들은 그들에 연결되는 데이터 입력 및 출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LSI는 집적도의 차이에 따라 IC, 시스템 LSI, 슈퍼 LSI, 또는 울트라 LSI라고 불릴 수 있다. 하지만, 집적 회로를 구현하는 기술은 LSI로 한정되지 않고 전용 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또한, LSI의 제조 후에 프로그램될 수 있는 FPGA(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LSI 내에 배치되는 회로 셀의 연결 및 설정이 재구성될 수 있는 재구성 가능 프로세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형태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또는 하드웨어에서 직접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구현의 조합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예컨대 RAM,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CD-ROM, DVD 등의 임의의 종류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에 기억될 수 있다. 상이한 실시형태의 각각의 특징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다른 실시형태의 주제가 될 수 있는 것에 또한 유의하여야 한다.
당업자는 특정한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대하여 많은 변형 및/또는 수정이 행해질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적이고 한정적이 아니라고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19)

  1.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이드링크(SL)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수신 유저 장치에 대하여 복수의 직접 SL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송신 유저 장치로서,
    상기 송신 유저 장치는,
    후속의 사이드링크 제어(SC) 기간을 위해, 상기 후속의 SC 기간의 개시 전에 복수의 SL 허가를 수신하는 수신기 - 상기 송신 유저 장치는 최대 수의 SL 프로세스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SL 허가의 각각은 상기 최대 수의 SL 프로세스 중 하나와 일대일 방식으로 연관되고, 상기 최대 수의 SL 프로세스 중 하나에 대해, 상기 후속의 SC 기간을 위한 서브프레임 n에서 수신된 제 2 SL 허가는 동일한 후속의 SC 기간을 위한 서브프레임 n-X에서 이전에 수신된 제 1 SL 허가를 오버라이드(override)하고, X는 상기 최대 수의 SL 프로세스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 값임 - 와,
    상기 수신기에 결합되고, 상기 최대 수의 SL 프로세스를 상기 복수의 SL 허가와 각각 연관시키고, 상기 최대 수의 SL 프로세스의 각각에 대해, 상기 연관된 SL 허가에 따라 상기 후속의 SC 기간 내에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회로와,
    상기 회로에 결합되고, 상기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 송신 및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송신을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SL 송신을 수행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송신 유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의 SC 기간을 위한 상기 복수의 SL 허가는 상기 후속의 SC 기간의 개시 전의 4개의 서브프레임까지만 수신되는
    송신 유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수의 SL 프로세스의 각각은 상기 후속의 SC 기간의 개시 전에 재초기화되는
    송신 유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수의 SL 프로세스의 각각은 상기 후속의 SC 기간의 개시 전의 3개의 서브프레임에서 재초기화되는
    송신 유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최대 수의 SL 프로세스의 각각에 대하여, 논리 채널 우선화(LCP) 절차를 수행하는
    송신 유저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LCP 절차는 상기 복수의 SL 송신에서 사용되는 상이한 목적지 그룹 ID를 식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송신 유저 장치.
  7.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이드링크(SL)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수신 유저 장치에 대하여 복수의 직접 SL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송신 유저 장치에 대하여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송신 유저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후속의 사이드링크 제어(SC) 기간을 위해, 상기 후속의 SC 기간의 개시 전에 복수의 SL 허가를 수신하는 스텝 - 상기 송신 유저 장치는 최대 수의 SL 프로세스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SL 허가의 각각은 상기 최대 수의 SL 프로세스 중 하나와 일대일 방식으로 연관되고, 상기 최대 수의 SL 프로세스 중 하나에 대해, 상기 후속의 SC 기간을 위한 서브프레임 n에서 수신된 제 2 SL 허가는 동일한 후속의 SC 기간을 위한 서브프레임 n-X에서 이전에 수신된 제 1 SL 허가를 오버라이드(override)하고, X는 상기 최대 수의 SL 프로세스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 값임 - 과,
    상기 최대 수의 SL 프로세스를 상기 복수의 SL 허가와 각각 연관시키는 스텝과,
    상기 최대 수의 SL 프로세스의 각각에 대해, 상기 연관된 SL 허가에 따라 상기 후속의 SC 기간 내에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스텝과,
    상기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 송신 및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송신을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SL 송신을 수행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의 SC 기간을 위한 상기 복수의 SL 허가는 상기 후속의 SC 기간의 개시 전의 4개의 서브프레임까지만 수신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수의 SL 프로세스의 각각은 상기 후속의 SC 기간의 개시 전에 재초기화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수의 SL 프로세스의 각각은 상기 후속의 SC 기간의 개시 전의 3개의 서브프레임에서 재초기화되는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저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스텝들은, 상기 최대 수의 SL 프로세스의 각각에 대하여, 논리 채널 우선화(LCP) 절차를 수행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LCP 절차는 상기 복수의 SL 송신에서 사용되는 상이한 목적지 그룹 ID를 식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3.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이드링크(SL)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수신 유저 장치에 대하여 복수의 직접 SL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송신 유저 장치의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집적 회로로서,
    상기 프로세스는,
    후속의 사이드링크 제어(SC) 기간을 위해, 상기 후속의 SC 기간의 개시 전에 복수의 SL 허가를 수신하는 것 - 상기 송신 유저 장치는 최대 수의 SL 프로세스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SL 허가의 각각은 상기 최대 수의 SL 프로세스 중 하나와 일대일 방식으로 연관되고, 상기 최대 수의 SL 프로세스 중 하나에 대해, 상기 후속의 SC 기간을 위한 서브프레임 n에서 수신된 제 2 SL 허가는 동일한 후속의 SC 기간을 위한 서브프레임 n-X에서 이전에 수신된 제 1 SL 허가를 오버라이드(override)하고, X는 상기 최대 수의 SL 프로세스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 값임 - 과,
    상기 최대 수의 SL 프로세스를 상기 복수의 SL 허가와 각각 연관시키는 것과,
    상기 최대 수의 SL 프로세스의 각각에 대해, 상기 연관된 SL 허가에 따라 상기 후속의 SC 기간 내에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과,
    상기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 송신 및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송신을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SL 송신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집적 회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87011216A 2015-11-06 2015-11-06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 중의 복수의 사이드링크 제어 송신 KR102527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5/093960 WO2017075798A1 (en) 2015-11-06 2015-11-06 Multiple sidelink control transmissions during a sidelink control peri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199A KR20180080199A (ko) 2018-07-11
KR102527448B1 true KR102527448B1 (ko) 2023-05-02

Family

ID=58661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1216A KR102527448B1 (ko) 2015-11-06 2015-11-06 사이드링크 제어 기간 중의 복수의 사이드링크 제어 송신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4) US10764866B2 (ko)
EP (3) EP3920625A1 (ko)
JP (1) JP6628165B2 (ko)
KR (1) KR102527448B1 (ko)
CN (2) CN115002912A (ko)
AU (1) AU2015414030B2 (ko)
CA (1) CA3000752C (ko)
CO (1) CO2018003953A2 (ko)
MX (1) MX2018004855A (ko)
MY (1) MY188890A (ko)
RU (1) RU2683977C1 (ko)
WO (1) WO20170757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84299B1 (en) * 2015-04-17 2022-02-1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Multiple prose group communication during a sidelink control period
EP3206452B1 (en) * 2016-02-10 2019-10-1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Priority-optimized sidelink data transfer in the case of autonomous resource allocation in lte prose communication
US10813123B2 (en) * 2016-05-02 2020-10-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SPS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9194456B (zh) * 2016-08-05 2020-11-06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中的方法和装置
EP3522629A4 (en) 2016-09-30 2020-05-13 LG Electronics Inc. -1- METHOD AND DEVICE FOR A TERMINAL FOR SELF-SELECTION OF RESOURCES ACCORDING TO PRIOR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140612B2 (en) * 2016-10-21 2021-10-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E for triggering sidelink resource reselection
WO2018084524A1 (ko) * 2016-11-02 2018-05-11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RU2728765C1 (ru) * 2016-11-03 2020-07-31 Панасоник Интеллекчуал Проперти Корпорэйшн оф Америка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и способ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JP6936862B2 (ja) * 2017-02-10 2021-09-22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データ伝送方法、関連するデバイス、及びシステム
CN108632780B (zh) * 2017-03-23 2019-09-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数据传输方法及终端
CN110463315B (zh) * 2017-03-24 2023-12-01 Lg电子株式会社 配置有多个载波的终端的功率分配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终端
CN110120857B (zh) * 2018-02-05 2022-01-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选择资源的方法及装置
WO2019209780A1 (en) * 2018-04-23 2019-10-31 Kyocera Corporation Control information from macrocell to node, mapping data blocks to ue id
EP3628116B1 (en) * 2018-08-03 2021-12-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for sidelink identification
US11611972B2 (en) 2018-08-06 2023-03-21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of handling multiple device-to-device 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0830920B (zh) 2018-08-08 2020-12-29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节点中的方法和装置
CN110838898B (zh) * 2018-08-15 2021-01-26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节点中的方法和装置
CN110838899B (zh) * 2018-08-16 2021-12-24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直接通信链路资源分配方法及终端
EP3621226B1 (en) 2018-09-10 2024-02-14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of source indication for sidelink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2740594A (zh) * 2018-09-25 2021-04-30 Idac控股公司 用于支持v2x上的harq的方法、设备和系统
CN110958696B (zh) * 2018-09-27 2022-08-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能力与资源分配的方法、终端设备和控制设备
WO2020061879A1 (en) * 2018-09-27 2020-04-02 Lenovo (Beijing)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nr sidelink communication
KR102495898B1 (ko) * 2018-09-27 2023-02-06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모바일 장치 및 방법
WO2020034326A1 (en) 2018-09-27 2020-02-20 Zt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ation of scheduling-based sidelink resources
CN110971356B (zh) * 2018-09-28 2021-06-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通信装置
US11310822B2 (en) * 2018-11-02 2022-04-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sidelink communications and resource allocation
CN115765943A (zh) * 2018-12-13 2023-03-07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节点中的方法和装置
CN111385760B (zh) * 2018-12-29 2021-10-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传输方法及装置
US20200229143A1 (en) * 2019-01-10 2020-07-1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allocating and requesting sidelink resources, base station and user device
KR20200087698A (ko) * 2019-01-11 2020-07-21 주식회사 아이티엘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물리계층 세션 아이디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11277819B2 (en) * 2019-01-21 2022-03-1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idelink transmission and resource allocation
CN111246558B (zh) * 2019-01-30 2022-06-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功率控制方法、装置、终端和可读存储介质
WO2020167033A1 (ko) * 2019-02-14 2020-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Nr v2x의 사이드링크 동기 신호 블록의 전송
US20220140956A1 (en) * 2019-03-19 2022-05-05 Lg Electronics Inc. Sidelink signal transmiss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419184B2 (en) * 2019-03-28 2022-08-16 Lenovo (Singapore) Pte. Ltd.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y communications
KR20200114828A (ko) 2019-03-29 2020-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피드백 채널의 신호 처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00116295A (ko) * 2019-04-01 202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1996946B2 (en) * 2019-04-02 2024-05-28 Ntt Docomo, Inc.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11356212B2 (en) 2019-04-05 2022-06-07 K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delink HARQ feedback information
KR102195867B1 (ko) * 2019-04-05 2020-12-29 주식회사 케이티 사이드링크 harq 피드백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11867119B (zh) * 2019-04-30 2021-10-15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用于侧链路的经配置准予的处置重传指示的方法和设备
KR20200127402A (ko) 2019-05-02 2020-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직접 통신시스템에서 패킷 송수신 영역 결정 방법 및 장치
JP2022537898A (ja) * 2019-05-29 2022-08-31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情報伝送方法及び端末機器
KR20220030951A (ko) * 2019-07-03 2022-03-11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사이드링크 구현 방법 및 관련 제품
US11483802B2 (en) 2019-07-18 2022-10-25 Ofinno, Llc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feedback in radio systems
CN112333836A (zh) * 2019-08-05 2021-02-05 夏普株式会社 用户设备的控制方法以及用户设备
CN114245972A (zh) * 2019-08-14 2022-03-2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在支持侧链通信的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harq响应的方法和装置
CN112399374B (zh) * 2019-08-16 2022-07-12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通信装置
WO2021040223A1 (ko) * 2019-08-23 2021-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Nr v2x에서 자원 풀을 기반으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11082876B2 (en) 2019-09-27 2021-08-03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device-to-device channel measur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10041439A (ko) * 2019-10-07 2021-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4271004A3 (en) 2019-10-28 2023-12-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ring retransmission resources based on acknowledgement
US20210136783A1 (en) * 2019-10-30 2021-05-06 Qualcomm Incorporated Reversed sidelink communication initiated by receiving user equipment
ES2950724T3 (es) 2019-11-05 2023-10-13 Asustek Comp Inc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transmitir el informe de medición del enlace lateral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CN115834011A (zh) * 2019-11-06 2023-03-21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节点中的方法和装置
CN112788673B (zh) * 2019-11-07 2023-05-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装置及设备
US11546937B2 (en) * 2019-11-08 2023-01-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servation and resource selection for sidelink communication
CN112822778B (zh) * 2019-11-15 2023-12-05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侧行链路传送的方法及用户设备
WO2021155646A1 (zh) * 2020-02-06 2021-08-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侧行链路配置授权的配置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15336344A (zh) * 2020-04-08 2022-11-11 高通股份有限公司 在资源分配中实现资源冲突避免的侧行链路过程
KR102569243B1 (ko) * 2020-04-09 2023-08-22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스케줄링 모드에서 사이드링크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에 대한 시간 간격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021100A (ko) * 2020-06-09 2023-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harq 프로세스를 위한 자원 선택
US11838910B2 (en) 2020-06-22 2023-12-05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dynamic scheduling of reverse sidelink traffic
US11871465B2 (en) * 2020-07-01 2024-01-09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sidelink radio bearer for UE-to-UE relay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269728A1 (en) * 2020-07-22 2023-08-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from v2x to vehicle
WO2022029943A1 (ja) * 2020-08-05 2022-02-10 富士通株式会社 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US11812426B2 (en) * 2020-08-14 2023-11-07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idelink carrier aggregation (CA) and multi-component carrier (CC) grants
CN115550888A (zh) * 2021-06-29 2022-12-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方法、装置、设备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55138B2 (en) * 2008-08-25 2014-10-07 Qualcomm Incorporated Relay architecture framework
CN108322297B (zh) * 2011-12-22 2021-09-21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无线发射接收单元wtru及无线发射接收方法
US9209945B2 (en) * 2012-02-27 2015-12-08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timing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overlaid on a cellular network
KR102110214B1 (ko) * 2012-04-26 2020-05-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분적 단말 제어 단말 대 단말 통신 방법
TWI620459B (zh) * 2012-05-31 2018-04-0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在蜂巢式通訊系統中賦能直鏈通訊排程及控制方法
KR102058563B1 (ko) * 2013-08-07 2019-12-24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분산형 스케줄링
EP3120503A4 (en) 2014-03-18 2017-12-13 Sharp Kabushiki Kaisha Device-to device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JP6755181B2 (ja) * 2014-03-18 2020-09-16 シャープ株式会社 ワイヤレス端末装置間通信のスケジューリング
EP3120504B1 (en) 2014-03-18 2019-09-11 Sharp Kabushiki Kaisha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EP3471487B1 (en) * 2014-03-21 2020-12-23 Sun Patent Trust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buffer status report
CN106165516B (zh) * 2014-03-28 2020-02-14 Lg 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优先化d2d发送和d2d接收的方法和装置
US20160128082A1 (en) * 2014-10-31 2016-05-05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multiple d2d (device to device) grants in a sa (scheduling assignment) peri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313065B2 (en) * 2015-01-28 2019-06-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 MAC PDU on SL-DCH in a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0506649B2 (en) * 2015-04-10 2019-12-10 Lg Electronics Inc. Method, carried out by terminal, for transmitting PSBC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tilizing the method
EP3284299B1 (en) 2015-04-17 2022-02-1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Multiple prose group communication during a sidelink control period
EP3148284B1 (en) * 2015-09-25 2020-10-21 ASUSTek Computer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olving mismatch between sidelink buffer status report (bsr) and available sidelink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667286B2 (en) * 2015-10-21 2020-05-2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electing prose destinations or SL grants in a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102594945B1 (ko) * 2015-10-29 2023-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통신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54010*
3GPP R1-154256
3GPP R2-153259*
3GPP R2-154051
3GPP R2-15479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683977C1 (ru) 2019-04-03
US11109362B2 (en) 2021-08-31
KR20180080199A (ko) 2018-07-11
EP3372028B1 (en) 2020-02-26
US20230422249A1 (en) 2023-12-28
EP3651523A1 (en) 2020-05-13
EP3372028A4 (en) 2018-10-31
BR112018007742A2 (pt) 2018-10-23
CN108432309A (zh) 2018-08-21
AU2015414030A1 (en) 2018-04-19
US20210352647A1 (en) 2021-11-11
CA3000752C (en) 2024-01-09
CA3000752A1 (en) 2017-05-11
CN115002912A (zh) 2022-09-02
EP3651523B1 (en) 2021-09-08
CN108432309B (zh) 2022-06-07
US10764866B2 (en) 2020-09-01
EP3372028A1 (en) 2018-09-12
MX2018004855A (es) 2018-11-09
US11792800B2 (en) 2023-10-17
CO2018003953A2 (es) 2018-07-10
AU2015414030B2 (en) 2020-08-20
US20200359368A1 (en) 2020-11-12
US20180263026A1 (en) 2018-09-13
MY188890A (en) 2022-01-12
JP6628165B2 (ja) 2020-01-08
JP2018533868A (ja) 2018-11-15
EP3920625A1 (en) 2021-12-08
WO2017075798A1 (en)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2800B2 (en) Multiple sidelink control transmissions during a sidelink control period
US11690046B2 (en) Multiple prose group communication during a sidelink control period
US20190053251A1 (en) Priority-optimized sidelink data transfer in the case of autonomous resource allocation in lte prose communication
JP7122695B2 (ja) サイドリンク制御期間における複数のサイドリンク制御送信
JP7183351B2 (ja) サイドリンク制御期間中の複数のProSeグループ通信
RU2698668C1 (ru) Управление множественными передачами прямого соединения в течение периода управления прямого соединения
RU2712434C1 (ru) Управление множественными передачами прямого соединения в течение периода управления прямого соедин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